KR102287977B1 -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7977B1
KR102287977B1 KR1020200055125A KR20200055125A KR102287977B1 KR 102287977 B1 KR102287977 B1 KR 102287977B1 KR 1020200055125 A KR1020200055125 A KR 1020200055125A KR 20200055125 A KR20200055125 A KR 20200055125A KR 102287977 B1 KR102287977 B1 KR 102287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armrest
seat
vehicle sea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왕덕강
김민수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주)현대공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주)현대공업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5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79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7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79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7/00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 B60R7/04Stowing or holding appliances inside vehicle primarily intended for personal property smaller than suit-cases, e.g. travelling articles, or maps in driver or passenger space, e.g. using ra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5/00Fluid-actuated devices for displacing a member from one position to another; Gearing associated therewith
    • F15B15/20Other details, e.g. assembly with regulating devices
    • F15B2015/206Combined actuation, e.g. electric and fluid actu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시트 브라켓; 상기 시트 브라켓에 제1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스트본체; 상기 레스트본체에 상기 제1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캠; 상기 제1 캠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가스실린더; 및 상기 레스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캠은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캠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스트본체에 형성된 레스트본체 가이드홀 및 상기 시트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캠 가이드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ARMREST OF CAR SEAT}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가스 실린더를 활용하여 차량 시트에 대한 상대적인 암레스트의 각도를 미세하게 조절함으로서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편의를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암레스트는 운전석과 조수석 사이에 배치된 콘솔 암레스트와, 좌우측 리어 시트 사이에 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리어 암레스트와, 독립형 시트에 직접 장착되는 암레스트 등을 포함한다.
독립형 시트에 직접 장착되는 암레스트의 경우, 암레스트는 시트에 착석한 사람의 팔을 상부에 거치할 수 있으며, 시트백의 양측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암레스트는 흔히 시트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암레스트 전체를 회전시키며 개방 타단을 올리거나 내려 승객의 편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암레스트가 시트에 대해 수직 상태로 올려진 상태에서 시트에 착석하거나 내리고자 하는 승객의 이동 동선 확보 및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고, 암레스트가 수평 상태로 내려진 상태에서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팔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는 후방 일단이 시트(100)에 회전축(222)으로 결합되는 레스트본체(210); 상기 회전축(222)과 동축을 유지하며 상기 레스트본체(210)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는 시트에 구비된 스토퍼(111)와 접촉하여 상기 레스트본체(210)의 전방 회전각을 제한하는 고정돌기(221)가 형성된 캠(220); 일단이 상기 캠(220)과 힌지(225)로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레스트본체(210)의 전방 일단과 결합되는 가스실린더(230); 및 상기 레스트본체(210)의 전방 일단에 구비되어 상기 가스실린더(230)의 작동부(235)와 연결되는 조작버튼(240);을 포함하여, 상기 조작버튼(240)의 조작에 따라 상기 가스실린더(230)를 수축시키거나 팽창시킴에 따라 시트에 대한 레스트본체(210)의 회전각이 조절되도록 구성한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2016-0025219호 (공개 22016.03.18)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본체의 회전축과 암레스트의 다단을 조절하는 캠의 회전축을 서로 달리 두어, 암레스트의 다단 조절을 위한 작동력을 축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캠의 구조를 2절 링크 구조로 하여 간접 구동을 통한 작동력을 축소가능하고, 링크의 회전 위치 조절을 통해 길이를 보다 더 증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의 수평 상태 및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도 차량 시트와 나란하게 뒤로 젖혀진 상태까지 회전 가능케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시트 브라켓; 상기 시트 브라켓에 제1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스트본체; 상기 레스트본체에 상기 제1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캠; 상기 제1 캠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가스실린더; 및 상기 레스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캠은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캠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스트본체에 형성된 레스트본체 가이드홀 및 상기 시트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캠 가이드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캠의 타단부에 제2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캠은 일단부에 상기 가스실린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캠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캠은 상기 제2 캠의 타단부에 상기 제2 캠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 스토퍼가 삽입되는 제2캠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캠 회동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캠 홀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캠 가이드바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본체의 회전축과 암레스트의 다단을 조절하는 캠의 회전축을 서로 달리 두어, 암레스트의 다단 조절을 위한 작동력을 축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캠의 구조를 2절 링크 구조로 하여 간접 구동을 통한 작동력을 축소가능하고, 링크의 회전 위치 조절을 통해 길이를 보다 더 증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의 수평 상태 및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에서도 차량 시트와 나란하게 뒤로 젖혀진 상태까지 회전 가능케 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측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일부 구성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수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측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가스 실린더가 팽창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가스 실린더가 수축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수평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 및 도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도 11(b)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가스 실린더가 팽창한 상태이고, 및 도 12(b)는 가스 실린더가 수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1000)의 암레스트(2000, 3000)의 일측 단부는 차량 시트(10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 단부는 상부 혹은 하부로 회전될 수 있다. 암레스트(2000, 3000)는 수평 상태(S1)를 기준으로 상측 혹은 하측으로 자유롭게 회전될 수 있다. 상측으로 회전될 경우 차량 시트(1000)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 상태(S2)가 될 수 있으며, 하측으로 회전될 경우 수평 상태(S1) 보다 하측으로 회전된 상태(S3)이 되어 승객의 팔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S1 상태는 암레스트의 인출 상태, S2 상태는 암레스트의 수납 상태, S3 상태는 암레스트의 대략 30도 하향 경사진 다단조절 상태라고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시트(1000)의 암레스트(2000, 3000)는 수평 상태(S1)에서 시트와 나란한 접힌 상태(S2)까지의 프리 각도 조절구간(B)에서 신속하고 용이하게 강제적으로 회전 동작될 수 있고, 수평 상태(S1)에서 전방으로 소정 각도 조절된 상태(S3)까지의 다단 각도 조절구간(A)을 통해 착석한 승객의 신체 차이는 물론 다양한 착석 자세를 취하고자 하는 승객의 안락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브라켓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일부 구성에 대한 내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1000)의 암레스트(2000)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1000)의 암레스트(2000)는 레스트본체(2100), 제1캠(2200), 제2캠(2300), 가스실린더(2400), 조작버튼(2500), 작동브라켓(2600), 시트 브라켓(27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시트 브라켓(2700)은 암레스트(2000)를 시트(1000)에 설치하기 위하여 구조물로서, 시트(10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시트(1000)에 설치된 시트 브라켓(2700)은 시트 브라켓(270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암레스트(2000)의 무게를 지탱해 줄 수 있다.
시트 브라켓(2700)은 시트 브라켓 몸체(2701)와 시트(1000)의 프레임(1101)에 고정 결합되는 고정 클립(2750, 2751)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클립(2750, 2751)은 시트의 전후방향으로 시트 브라켓 몸체(2701)의 전단과 후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시트 브라켓(2700)은 브라켓 몸체(2701)에 형성된 브라켓 중심홀(2710) 및 브라켓 가이드홀(2740)을 포함할 수 있다. 브라켓 중심홀(2710)은 암레스트(2000)의 회전축(O1) 역할을 하는 회동바(2720)이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홀이다. 브라켓 가이드홀(2740)은 브라켓 중심홀(2710)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브라켓 가이드홀(2740)은 암레스트(2000)가 회전축(O1)을 중심으로 시계 방향 혹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 회전할 수 있는 각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캠(2200)은 시트 브라켓(2700)의 브라켓 가이드홀(2740)에 회전축(O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1캠(2200)은 제1캠 몸체(2201)과, 제1캠 몸체(2201)의 일단에 형성된 제1캠 결합부(2220)와, 제1 몸체(2201)의 타단에 형성된 캠 가이드바(2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캠 몸체(2201)은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회전축(O1)이 형성될 수 있고, 시트(1000)의 전후 방향으로 납작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캠 몸체(2201)은 좌측 혹은 우측에서 보았을 때 마름모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캠 결합부(2220)는 제1캠 몸체(2201)의 일단으로 제2캠(2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2회전축(O2)을 형성한다. 제2회전축(O2)는 시트의 좌우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회전축(O1)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캠 가이드바(2210)는 시트용 시트 브라켓(2700)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시트의 좌우방향으로 승객이 있는 안쪽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캠 가이드바(2210)는 레스트본체 가이드홀(2130)를 관통하고, 시트용 시트 브라켓(2700)의 브라켓 가이드홀(2740)을 관통할 수 있다.
캠 가이드바(2210)는 암레스트(2000)가 상측 혹은 하측으로 회전하는 경우에 브라켓 가이드홀(2740)의 내부에서 가이드되며, 암레스트(2000)의 상측 혹은 하측으로 암레스트(20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캠(2300)은 제2회전축(O2)으로 제1캠(2200)의 제1캠 결합부(222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캠(2300)은 제2캠 몸체(2301)와, 제2캠 몸체(2301)의 일단에 형성된 제2캠 홀(2310)과, 제2캠 몸체(2301)의 타단에 형성된 제2캠 회동부(23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캠 몸체(2301)은 일 방향으로 긴 형상을 가지며 중심부에 회전축(O2)가 형성될 수 있고, 시트(1000)의 전후 방향으로 납작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캠 몸체(2301)은 좌측 혹은 우측에서 보았을 대 직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캠 몸체(2301)은 제1캠 몸체(2201) 보다 시트 브라켓(2700)에서 멀리 떨어져서 설치된다.
제2캠 홀(2310)은 제2회전축(O2)에서 이격된 제2캠 몸체(2301)의 일단에 형성되며, 제2캠(230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할 수 있다. 제2회전축(O2)로부터 제2캠 홀(2310)까지의 길이 및 제2캠 회동부(2320)까지의 길이는 제2 회전축(O2)로부터 캠 가이드바(2210)까지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캠 홀(2310)은 제2회전축(O2) 보다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캠 홀(2310)은 시트용 시트 브라켓(2700)에 고정되는 회동 스토퍼(2330)에 의해서 삽입될 수 있으며, 회동 스토퍼(2330)는 제2캠(2300)의 회동을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제2캠 홀(2310)은 제2 회전축(O2)을 중심으로 일정한 각도의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캠 회동부(2320)는 후술할 가스실린더(240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캠 회동부(2320)는 제2회전축(O2) 보다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캠 회동부(2320)는 제2캠(2300)의 바같쪽에 형성됨으로써 가스실린더(2400)가 제2캠(2300)의 바깥쪽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수평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하방으로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레스트본체(2100)는 사용자의 팔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내부에 제1캠(2200), 제2캠(2300), 가스실린더(2400), 작동브라켓(2600)이 설치될 수 있는 내부공간(211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2110)은 레스트본체(2100)에서 승객을 기준으로 안쪽의 제1프레임(100a)과 바깥쪽의 제2프레임(미도시)의 결합으로 생성될 공간을 의미한다.
레스트본체(2100)는 시트용 시트 브라켓(2700)에 제1회전축(O1)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레스트본체(2100)는 캠 가이드바(2210)에 의해서 삽입되는 레스트본체 가이드홀(213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스트본체 가이드홀(2130)은 캠 가이드바(2210)의 이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의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스트본체 가이드홀(2130)을 이루는 호의 중심은 제1회전축(O1)이다.
가스실린더(2400)는 레스트본체(2100)의 길이 방향으로 냉부공간(211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가스실린더(2400)의 후방 일단은 제2캠(2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전방 일단은 작동 브라켓(2600)에 연결될 수 있다. 가스실린더(2400)의 수축과 팽창에 따라서 제2캠(2300)은 제2회전축(O2)을 중심으로 회전 동작하게 된다. 가스실린더(2400)는 위치 이동에 따라서 내부 가스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작동부(2410), 내부 가스 압력 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 작동하는 피스톤로드(2420), 내부에 가스를 저장하고 피스톤로드(2420)에게 관통되는 실린더(2430), 실린더(24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2캠(23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부(24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버튼(2500)은 가스실린더(2400)를 조작하는 작동부재이며, 시트(1000)에 착석한 승객의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는 레스트본체(2100)의 전방 일단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작동브라켓(2600)은 조작버튼(2500)의 압력을 가스실린더(2400)의 작동부(2410) 전달하기 위하여 조작버튼(2500)과 작동부(24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0)가 수평한 상태인 경우 팽창된 가스실린더(2400)에 의해서 제2캠(2300)은 제2회전축(O2)을 중심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토크를 받으며, 제2캠(2300)은 회동 스토퍼(2330)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최대 회전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이 경우 제1캠(2200)의 캠 가이드바(2210)는 시트 브라켓(2700)의 브라켓 가이드홀(2740)의 상단부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암레스트(2000)를 수평한 상태로 위치 고정한다(도 4 참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0)는 조작버튼(2500)을 누름으로써 수평한 상태에서 아래로 경사지게 하측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조작버튼(2500)이 눌리면, 조작버튼(2500)에 연결된 작동브라켓(2600)에 의해서 가스 실린더(400)의 작동부(2410)가 밀리게 되고, 가스 실린더 내부의 가스 유동 경로가 확보되면서, 피스톤로드(2420)는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조작버튼(2500)이 눌린 상태에서 암레스트(2000)를 아래로 밀면, 가스실린더(2400)의 길이가 짧아지면서 제2캠(2300)은 제2 회전축(O2)를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암레스트(2000)는 제1 회전축(O1)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래로 경사지게 하측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 경우 암레스트(2000)의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각도는 제2캠(2300)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각도에 비례할 수 있다.
암레스트(2000)의 회전 중 조작버튼(2500)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작동부(2410)는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실린더 내부의 가스 유동 경로가 폐쇄되어 피스톤로드(2420)의 이동이 정지되고, 가스실린더(2430)의 수축 작용이 정지되면서 가스실린더(2400)의 길이가 고정됨으로써 제2캠(2300)의 회전이 제한되어, 암레스트(2000)의 회전은 차단되고 현재 각도를 유지한케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0)는 조작버튼(2500)을 누르고 위로 경사지게 상측으로 회전하는 힘을 가함으로써 암레스트(2000)를 상측으로 회전 시킬 수 있다. 조작버튼(2500)이 눌리게 되면, 가스실린더(2400)의 길이가 수축 및 팽창 가능한 상태가 되며, 암레스트(20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키는 힘을 가하게 되면, 가스실린더(2400)의 길이는 팽창하게 되어 제2캠(2300)은 도 5와 같이 반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할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0)는 시트와 나란한 방향으로 S2 상태가지 회전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5와 같은 수평한 상태에서 조작버튼(2500)의 누름 없이 암레스트(2000)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힘을 가하면, 제1 회전축(O1)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되며, 제1캠(2200)의 캠 가이드바(2210)가 시트 브라켓(2700)의 브라켓 가이드홀(2740)의 하단부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됨으로써 암레스트(2000)의 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 각도를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2000)는 차량 시트(100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측 혹은 하측으로 차량 시트(1000)에 대비하여 각도를 변경할 수 있으며, 암레스트(2000)의 제1 회전축(O1)과 암레스트(2000)의 다단을 조절하는 캠의 제2회전축(O2)을 서로 달리 두어, 암레스트(2000)의 다단 조절을 위한 작동력을 축소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를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의 측면도이다. 이하에서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차량 시트(1000)의 암레스트(30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1000)의 암레트스(3000)는 레스트본체(3100), 제3캠(3200), 가스실린더(3400), 조작버튼(3500), 작동브라켓(3600), 연결 브라켓(37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연결 브라켓(3700)은 암레스트(3000)를 시트(1000)에 설치하기 위한 구조물로서, 시트(10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연결 브라켓(3700)은 연결 브라켓 몸체(3710)와, 연결 브라켓 몸체(3710)에 형성된 중심홀(3720), 연결 브라켓 몸체(3710)에 형성된 제1 가이드홀(3730), 연결 브라켓 몸체(3710)에 형성된 제2 가이드홀(3740)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브라켓 몸체(3710)은 시트(1000)의 시트 프레임(11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암레스트의 무게를 지탱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 혹은 강화 플라스틱 재질로 이뤄질 수 있다.
중심홀(3720)은 암레스트(3000)의 회전의 중심축(O4) 역할을 하는 중심바(3220)에 의해서 삽입되는 홀이다. 중심바(3220)는 연결 브라켓(3700)에 레스트본체(3100)과 제3캠(3200)을 제4 회전축(O4)을 기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가이드홀(3730)은 중심홀(3720)을 기준으로 제1 소정 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가이드홀(3740)은 중심홀(3720)을 기준으로 제2 소정 각도를 가지는 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홀(3730)은 제2 가이드홀(3740) 보다 중심홀(3720)에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소정 각도는 제2 소정 각도 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가이드홀(3730)은 제2 가이드홀(3740)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홀(3730)은 제2 가이드홀(3740) 보다 작은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홀(3730)은 후술할 제1 가이드바(3230)에 의해서 삽입되며, 제1 가이드바(323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한한다. 제2 가이드홀(3740)은 후술할 제2 가이드바(3240)에 의해서 삽입되며, 제2 가이드바(3240)의 이동을 가이드하며 제한한다.
제1 가이드홀(3730)은 브라켓의 가이드홀이라 할 수 있고, 제2 가이드홀(3740)은 브라켓의 보조 가이드홀이라 할 수 있다. 제1 가이드바(3230)는 레스트본체의 가이드바라고 할 수 있고, 제2 가이드바(3240)는 캠의 가이드바라고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레스트본체(3100)은 암레스트(3000)의 뼈대 역할을 하는 구조물이다. 후술할 조작버튼(3500) 및 작동 브라켓(3600)은 레스트본체(3100)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레스트본체(3100)은 전방으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좌우방향으로 얇은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레스트본체(3100)의 전방 일단에 조작버튼(3500)이 결합될 수 있으며, 레스트본체(3100)의 후방에 암레스트(3000)의 제4 회전축(O4)가 형성될 수 있다. 레스트본체(3100)은 중심바(3220)에 의해서 삽입되는 레스트본체 중심홀(3130)과 제2 가이드바(3240)에 의해서 삽입되는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을 포함할 수 있다.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은 레스트본체 중심홀(3130)을 중심으로 소정 각도의 호 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의 소정 각도는 30°일 수 있다.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은 제1 가이드홀(3730) 혹은 제2 가이드홀(3740) 보다 작은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중심바(3220)은 레스트본체(3100)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바(3230)은 중심바(3220) 보다 전방에서 레스트본체(3100)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레스트본체(310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바(3240)은 중심바(3220) 보다 후방에서 레스트본체(3100)의 일면에서 돌출되도록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을 관통하여 구비될 수 있다.
레스트본체(3100)의 일면은 연결 브라켓(3700)에 제4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타면은 제3캠(3200)이 제4 회전축(O4)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3캠(3200), 레스트본체(3100), 연결 브라켓(3700)은 서로 중심바(3220)를 통해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중심바(3220)은 제3캠(3200)의 중심홀(미도시), 레스트본체 중심홀(3130), 연결 브라켓 중심홀(3720)에 삽입되거나, 제3캠(32000)과 일체로 형성되어 레스트본체 중심홀(3130) 및 연결 브라켓 중심홀(3720)에 삽입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제3캠(3200)은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각 꼭지점 부근에 중심바(3220)가 결합되는 제1 결합부(3251), 제2 가이드바(3240)가 결합되는 제2 결합부(3252), 가스 실린더(3400)이 결합되는 제3 결합부(32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부(3251), 제2 결합부(3252), 제3 결합부(3253)는 삼각 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제3캠(3200)의 제1 결합부(3251)에 중심바(3220)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캠(3200)은 제4 회전축(O4)을 중심으로 레스트본체(3100)에 회전할 수 있다. 제2 결합부(3252)에 결합된 제2 가이드바(3240)는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을 관통하여 제2 가이드홀(3740)에 삽입된다.
제3 결합부(3253)는 가스 실린더(3400)의 일단과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가스 실린더(3400)의 팽창과 수축에 따라서 제3캠(3200)에 제4 회전축(O4)를 중심으로 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
가스실린더(3400)는 위치 이동에 따라서 내부 가스의 유동 경로를 변경하는 작동부(3410), 내부 가스 압력 차에 따라 수축 또는 팽창하여 작동하는 피스톤로드(3420), 내부에 가스를 저장하고 피스톤로드(3420)에게 관통되는 실린더(3430), 실린더(3430)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3캠(340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실린더 연결부(34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버튼(3500)은 가스실린더(3400)를 조작하는 작동부재이며, 시트(1000)에 착석한 승객의 팔이 자연스럽게 위치할 수 있는 레스트본체(3100)의 전방 일단의 일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작동브라켓(3600)은 조작버튼(3500)의 압력을 가스실린더(3400)의 작동부(3410) 전달하기 위하여 조작버튼(3500)과 작동부(34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가스 실린더가 팽창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c) 및 도 9(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가스 실린더가 수축한 경우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a) 및 도 9(b)를 참고하면, 팽창된 가스실린더(3400)는 제3캠(3200)을 반 시계 방향으로 돌리는 힘을 작용하고, 제3캠(3200)은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의 상단에 의해서 더 이상 회전할 수 없을 때까지 회전하게 된다.
도 9(c) 및 도 9(d)를 참고하면, 조작버튼(3500)이 눌리게 되면, 가스실린더(3400)는 수축과 팽창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의 가스실린더(3400)는 제3캠(3200)을 반 시계 방향으로 될리는 힘을 작용할 수 없으며, 제3캠(3200)은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이며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의 하단까지 회전될 수 있다.
조작 버튼(3500)을 누르던 힘이 사라지면, 가스실린더(34000)는 수축과 팽창이 되지 않는 락업 상태가 된다. 이 상태의 가스실리터(3400)는 제3캠(3200)의 회전을 제한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수평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c) 및 도 10(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하측으로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의 상측으로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a)는 도 11(b)와 동일한 도면으로서 가스 실린더가 팽창한 상태이고, 및 도 12(b)는 가스 실린더가 수축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a) 및 도 10(b)를 참고하여, 수평한 상태의 암레스트(3000)에 대해 설명한다. 팽창한 가스 실린더(3400)에 의해서 제3캠(3200)은 반시계 방향으로 최대 회전한 상태이며, 제3캠(3200)의 제2 가이드바(3240)는 제2 가이드홀(3740)의 상단에 의해서 이동이 제한된다. 따라서 암레스트(3000)는 자중에 의해서 하측으로 회전하지 않고 수평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0(c) 및 도 10(d)를 참고하여, 하측으로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의 암레스트(3000)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버튼(3500)이 눌리면 가스 실린더(3400)은 수축 및 팽창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외력에 의해서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암레스트(3000)를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외력이 가해지면, 제3캠(3200)은 제2 가이드바(3240)의 이동이 레스트본체 가이드홀(3120)의 하단부에 의해서 제한될 때까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암레스트(3000)는 레스트본체(3100)에 고정된 제1가이드바(3230)의 이동이 제1가이드홀(3730)의 일단에 의해 제한될 때까지 하측으로 경사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고하여, 상측으로 경사지게 회전한 상태의 암레스트(3000)에 대해 설명한다. 조작버튼(3500)이 눌려지지 않는다면 가스실린더(3400)의 길이는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조작버튼(3500)의 누름 없이 도 10(a) 및 도 10(b)와 같은 수평 상태의 암레스트(3000)에서 암레스트(3000)를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외력을 가하면, 암레스트(3000)는 레스트본체(3100)에 고정된 제1가이드바(3230)의 이동이 제1가이드홀(3730)의 타단에 의해서 제한될 때까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회전할 수 있다. 암레스트(3000)는 수직한 방향 보다 후방측으로 더 경사질 때까지 회전할 수 있다.
도 12(a)는 도 10(a) 및 도 10(b)와 같이 수평한 상태의 암레스트(3000)를 조작버튼(3500)의 누름 없이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이며, 제1가이드바(3230)는 제1가이드홀(3730)의 타단까지 이동된 상태이지만, 제2가이드바(3240)는 제2가이드홀(3740)의 타단까지 이동되지 않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도 12(b)는 도 10(c) 및 도 10(d)와 같이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의 암레스트(3000)를 조작 버튼(35000의 누름 없이 상측으로 회전시키는 경우이며, 제1가이드바(3230)는 제1가이드홀(3730)의 타단까지 이동된 상태이고, 제2가이드바(3240)는 제2가이드홀(3740)의 타단까지 이동된 모습을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3000)는 수평 상태의 암레스트(3000)를 뒤로 젖힐 때와 동일한 회전 각도로 하측으로 경사진 상태의 암레스트(3000)도 뒤로 젖힐 수 있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차량 시트(1000) 암레스트(2000, 3000)
레스트본체(2100) 제1캠(2200)
제2캠(2300) 제3캠(3200)

Claims (5)

  1. 차량 시트에 결합되는 시트 브라켓;
    상기 시트 브라켓에 제1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레스트본체;
    상기 레스트본체에 상기 제1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캠;
    상기 제1 캠에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연결되며, 길이 방향으로 팽창과 수축이 가능한 가스실린더; 및
    상기 레스트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가스실린더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캠은 암레스트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캠의 일단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레스트본체에 형성된 레스트본체 가이드홀 및 상기 시트 브라켓에 형성된 브라켓 가이드홀을 관통하는 캠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캠의 타단부에 제2 회전축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캠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캠은 일단부에 상기 가스실린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캠 회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캠은 상기 제2 캠의 타단부에 상기 제2 캠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동 스토퍼가 삽입되는 제2캠 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회전축은 상기 제2캠 회동부 보다 상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2캠 홀 보다 하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2 회전축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상기 캠 가이드바 보다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20200055125A 2020-05-08 2020-05-08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2287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25A KR102287977B1 (ko) 2020-05-08 2020-05-08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125A KR102287977B1 (ko) 2020-05-08 2020-05-08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7977B1 true KR102287977B1 (ko) 2021-08-10

Family

ID=77315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125A KR102287977B1 (ko) 2020-05-08 2020-05-08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79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519B1 (ko) * 2023-06-28 2023-12-27 광성기업 주식회사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스프링힌지장치
KR102616518B1 (ko) * 2023-06-28 2023-12-27 광성기업 주식회사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19Y2 (ja) * 1978-02-17 1985-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写可能な控用紙付連続葉書帳標
JPH0631555U (ja) * 1992-04-30 1994-04-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角度可変式アームレストのラチェット取付構造
JPH10295490A (ja) * 1997-04-25 1998-11-10 Ikeda Bussan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6088849A (ja) * 2004-09-22 2006-04-06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50002657U (ko) * 2013-12-29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조립장치
KR20160025219A (ko) 2014-08-27 2016-03-08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1907084B1 (ko) * 2018-03-14 2018-12-05 이득우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JP2019199158A (ja) * 2018-05-16 2019-11-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クインユニット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619Y2 (ja) * 1978-02-17 1985-05-09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複写可能な控用紙付連続葉書帳標
JPH0631555U (ja) * 1992-04-30 1994-04-2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角度可変式アームレストのラチェット取付構造
JPH10295490A (ja) * 1997-04-25 1998-11-10 Ikeda Bussan Co Ltd アームレスト装置
JP2006088849A (ja) * 2004-09-22 2006-04-06 Fuji Heavy Ind Ltd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KR20150002657U (ko) * 2013-12-29 2015-07-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암레스트 조립장치
KR20160025219A (ko) 2014-08-27 2016-03-08 대원산업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1907084B1 (ko) * 2018-03-14 2018-12-05 이득우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JP2019199158A (ja) * 2018-05-16 2019-11-21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ウォークインユニッ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519B1 (ko) * 2023-06-28 2023-12-27 광성기업 주식회사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의 스프링힌지장치
KR102616518B1 (ko) * 2023-06-28 2023-12-27 광성기업 주식회사 양방향 개폐가 가능한 차량용 콘솔 암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7977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JP2020075526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264456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US8746799B2 (en) Headrest support rod
KR102287978B1 (ko)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JP2007001568A (ja) シートパンに対して回動してテーブル位置に配置し得る背もたれを含む自動車車両シート
JP3201592B2 (ja) 車両用シート
JP4569823B2 (ja) 車両用シート
JP5589833B2 (ja) 車両用シート
JP3977515B2 (ja) 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JP2002154362A (ja) シートバックのテーブル構造
KR100974511B1 (ko) 자동차 시트 허리지지대
JPH07257242A (ja) 車両用シート
JP7449756B2 (ja) 座席装置
KR102522891B1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JP2624096B2 (ja) シート装置
JPH0729872Y2 (ja) シート装置
JP2002264708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1711760B1 (ko) 수평 유지형 암레스트 장치
JP6950426B2 (ja) 壁内蔵シート
JPH0735166U (ja) 腰 掛
JP5369473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589977Y2 (ja) シート装置
JP4375942B2 (ja) 乗り物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