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7084B1 -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7084B1
KR101907084B1 KR1020180029798A KR20180029798A KR101907084B1 KR 101907084 B1 KR101907084 B1 KR 101907084B1 KR 1020180029798 A KR1020180029798 A KR 1020180029798A KR 20180029798 A KR20180029798 A KR 20180029798A KR 101907084 B1 KR101907084 B1 KR 101907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plate
spring
rotation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97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득우
Original Assignee
이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득우 filed Critical 이득우
Priority to KR10201800297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7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7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7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회전시키는 암거치부의 일면에 무단으로 고정되는 무단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암거치부의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를 무단으로 고정시키고,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록킹스프링을 손쉽게 작동시키며, 암거치판의 외측면에 회전단속돌기에 접촉되는 회전단속단턱부를 형성하여 암거치부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무분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본체와 로드봉의 사이에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을 구비하여 상승유도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하여 암거치부의 상부회전을 편리하게 동작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 Armrest provided with an endless locking means }
본 발명은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암거치부의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가 무단으로 고정되도록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회전시키는 암거치부의 일면에 무단으로 고정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승용차의 실내에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를 위한 다양한 편의 장치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중 하나로 탑승자가 팔을 기대고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암레스트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암레스트는 탑승자의 편의와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예컨대 승객이 장시간 탑승으로 인한 팔의 피로를 해소시켜 주고, 자동차의 급격한 출발 또는 주행시 급격한 회전 및 급제동이 발생될 경우 승객이 한쪽으로 갑자기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러한 차량에 구비되는 암레스트는 콘솔이 마련되어 운전자가 오른쪽 팔을 올려 기댈 수 있도록 한 콘솔 암레스트, 도어트림에 마련되는 도어 암레스트, 및 뒷좌석 시트에 마련되는 리어시트 암레스트로 구분된다.
한편, 종래의 암레스트에 관한 기술문헌으로 국내등록특허 제10-1591348호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종래의 암레스트에 관한 구조를 살펴보면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암레스트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암레스트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이루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과 직교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캠이 마련된 회전체;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캠의 회전범위 내에서 상기 캠과 접하면서 상기 캠을 탄성 지지하는 요철부가 마련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요철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캠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가 다단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암레스트는 상기 요철부에 의하여 정해진 각도에 따라 상기 암레스트가 고정됨으로써, 상기 요철부의 정해진 각도 외 다른 각도에서 암레스트를 고정시킬 수 없어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암레스트는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요철부에 의하여 상기 암레스트를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상기 암레스트를 가압할 경우 원하지 않게 암레스트가 회전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회전시키는 암거치부의 일면에 무단으로 고정되는 무단록킹수단을 구비하여 암거치부의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를 무단으로 고정시키고,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록킹스프링을 손쉽게 작동시키며, 암거치판의 외측면에 회전단속돌기에 접촉되는 회전단속단턱부를 형성하여 암거치부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무분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고, 로드본체와 로드봉의 사이에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을 구비하여 상승유도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하여 암거치부의 상부회전을 편리하게 동작시키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는 시트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스트로서 상기 시트의 측면에 고정된 판형상의 베이스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환봉형상의 회전축봉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암거치판과,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 상기 회전축봉으로 삽입된 회전축공으로 이루어진 암거치부와;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 연결된 판형상의 회전단속판과, 상기 회전단속판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봉에 삽입되는 회전공과, 상기 회전단속판의 일측면으로 연장된 연결편으로 이루어진 회전단속부와;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 고정된 파이프형상의 로드본체와,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시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편에 연결된 환봉형상의 로드봉과,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봉의 외주면을 압착하거나 이격시켜 상기 암거치판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록킹스프링과, 상기 록킹스프링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스프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파이프형상의 스프링동작구로 이루어진 무단록킹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회전단속판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단속판이 회전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단속편이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는 상기 암거치판의 회전시 상기 회전단속편과 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단속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본체를 고정하는 로드본체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본체연결부는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 부착되며 다수회 절곡된 판형상의 로드본체연결판과, 상기 로드본체연결판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본체의 로드봉이 이동되는 본체연결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동작구는 파이프형상의 동작본체와, 상기 동작본체의 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진 동작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스프링의 양단부에는 상기 스프링동작구의 회전시 상기 록킹스프링의 내경이 확관되거나 축관되도록 상기 동작턱에 안착되며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스프링돌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프링동작구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동작구가 회전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회전돌부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돌부를 가압하여 상기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레버스위치부는 상기 암거치판의 일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판형상의 스위치본체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일단부에 상기 회전돌부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연결홈과, 상기 스위치본체의 타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버튼부와, 상기 스위치본체의 상면에 상기 스위치본체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형상의 회전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판의 일면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거치판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단속돌기에 걸려 상기 암거치판의 회전반경이 한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단턱진 한 쌍의 회전단속단턱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드본체와 로드봉의 사이에는 상기 암거치판이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암거치판의 중량을 지지하며 상승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회전시키는 암거치부의 일면에 무단으로 고정되는 무단록킹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암거치부의 회전시 무단 즉,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닌 정해지지 않은 각도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혼용할 수 있고,
둘째,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가 록킹스프링을 손쉽게 작용시킬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편리해지며,
셋째, 암거치판의 외측면에 외측방향으로 단턱지며 베이스부 일면에 돌출된 회전단속돌기에 접촉되는 회전단속단턱부를 형성함으로써, 암거치부가 상부 또는 하부방향으로 무분별하게 회전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넷째, 로드본체와 로드봉의 사이에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을 구비함으로써, 암거치판이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승유도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하여 암거치부의 상부회전을 편리하게 동작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 보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를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레스트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부분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무단록킹수단을 나타내 보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작용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단속단턱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작용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승유도스프링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작용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단속부의 작용을 나타내 보인 작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스트(1)로서 도 2 내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S)의 측면에 고정된 판형상의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환봉형상의 회전축봉(12)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암거치판(21)과,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상기 회전축봉(12)으로 삽입된 회전축공(22)으로 이루어진 암거치부(20)와;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연결된 판형상의 회전단속판(31)과, 상기 회전단속판(31)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봉(12)에 삽입되는 회전공(32)과, 상기 회전단속판(31)의 일측면으로 연장된 연결편(33)으로 이루어진 회전단속부(30)와;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고정된 파이프형상의 로드본체(41)와,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거치부(20)의 회전시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편(33)에 연결된 환봉형상의 로드봉(42)과,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봉(42)의 외주면을 압착하거나 이격시켜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록킹스프링(43)과, 상기 록킹스프링(43)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스프링(4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파이프형상의 스프링동작구(44)로 이루어진 무단록킹수단(40);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은 상기 로드봉(42)의 외주면을 항상 압착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로드봉(4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로드봉(42)에는 상기 연결편(33)에 고정되도록 볼트(미도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회전단속판(31)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단속판(31)이 회전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단속편(34)이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시 상기 회전단속편(34)과 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단속핀(23)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회전단속편(34)은 상기 회전단속판(31)의 회전시 상기 회전단속핀(23)에 걸려지도록 한 쌍의 회전단속핀(23)의 사이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본체(41)를 고정하는 로드본체연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본체연결부(24)는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부착되며 다수회 절곡된 판형상의 로드본체연결판(241)과, 상기 로드본체연결판(24)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본체(41)의 로드봉(42)이 이동되는 본체연결공(242)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본체연결공(242)으로 삽입된 로드본체(41)와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부착된 로드본체연결판(241)은 볼팅 또는 용접등으로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동작구(44)는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상의 동작본체(441)와, 상기 동작본체(441)의 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진 동작턱(4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스프링(43)의 양단부에는 상기 스프링동작구(44)의 회전시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이 확관되거나 축관되도록 상기 동작턱(442)에 안착되며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스프링돌부(431)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동작턱(442)에 안착되지 못하는 타측 스프링돌부(431)는 상기 로드본체(41)에 고정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타측 스프링돌부(431)가 끼워지는 절개부가 형성된 파이프형상의 연결구(미도시)가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동작구(44)의 외주면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프링동작구(44)가 회전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회전돌부(443)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돌부(443)를 가압하여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스위치부(50)는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판형상의 스위치본체(51)와,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일단부에 상기 회전돌부(443)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연결홈(52)과, 상기 스위치본체(51)의 타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버튼부(53)와,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상면에 상기 스위치본체(51)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형상의 회전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버튼부(53)가 관통되도록 천공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치본체(51)가 회전되되 상기 암거치판(21)가 고정되도록 내측이 상기 스위치본체(51)의 단면과 동일한 내주면으로 천공된 설치구(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거치판(21)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단속돌기(13)에 걸려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반경이 한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단턱진 한 쌍의 회전단속단턱부(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로드본체(41)와 로드봉(42)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거치판(21)이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암거치판(21)의 중량을 지지하며 상승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45)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로드봉(42)의 일단부에는 상기 상승유도스프링(45)이 걸려지도록 상기 로드봉(42)의 직경보다 확대된 스프링단속부(미도시)가 형성되고, 상기 스프링단속부(미도시)는 상기 연결편(33)과 안착되도록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스트(1)이다.
즉, 도 2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S)의 측면에 고정된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암거치부(20)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상기 암거치부(20)를 회전시키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암거치부(20)의 일면에는 정해진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고정되는 환봉형상의 로드봉(42)으로 이루어진 무단록킹수단(40)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암거치부(2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무단록킹수단(40)은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는 로드봉(42)의 외주면에 압착되거나 이격되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록킹스프링(43)을 삽입시키고, 상기 록킹스프링(43)을 일방향으로 비틀어줌으로써, 도 6b와 같이 상기 로드봉(42)의 외주면에 압착된 록킹스프링(43)의 내주면을 확관시켜 상기 로드봉(42)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록킹스프링(43)을 비틀어준 이후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도 6a와 같이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이 원상태로 축관됨으로써, 상기 로드봉(42)의 외주면을 압착하며 이동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암거치부(20)의 회전시 무단 즉,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닌 정해지지 않은 각도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혼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스프링(43)의 일면에는 도 4와 같이 일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부(443)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에는 상기 회전돌부(443)를 가압하여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5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레버스위치부(50)을 작용시키는 것으로 상기 록킹스프링(43)을 손쉽게 비틀어줄 수 있어 상기 록킹스프링(43)의 작용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레버스위치부(50)를 통하여 상기 회전돌부(443)를 가압할 경우 상기 스프링동작구(44)의 일면에는 상기 스프링돌부(431)가 안착되는 동작턱(442)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록킹스프링(43)을 용이하게 비틀어 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단턱진 한 쌍의 회전단속단턱부(25)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암거치판(21)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단속단턱부(25)가 상기 회전단속돌기(13)에 걸려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반경을 한정시켜 상기 암거치부(20)의 무분별한 회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로드본체(41)와 로드봉(42)의 사이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45)이 구비됨으로써, 상기 암거치판(21)이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암거치판(21)의 중량을 지지하며 상승시켜 상기 암거치부(20)의 상부회전을 간편하게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암거치부(20)에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로드봉(42)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회전단속부(30)가 구비됨으로써, 도 9a 내지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거치부(20)의 회전반경과 상기 로드봉(42)의 회전반경을 다르게 동작시켜 상기 로드봉(42)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암거치부(20)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회전단속판(31)의 일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편(34)이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단속편(34)이 접촉되며 상기 회전단속부(30)를 회전시키는 한 쌍의 회전단속핀(23)이 형성됨으로써, 도 9c와 같이 상기 암거치부(20)가 상부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단속부(30)가 정해진 위치만큼 따라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로드봉(42)의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S : 시트 1 : 암레스트
10 : 베이스부 11 : 베이스판
12 : 회전축봉 13 : 회전단속돌기
20 : 암거치부 21 : 암거치판
22 : 회전축공 23 : 회전단속핀
24 : 로드본체연결부 241 : 로드본체연결판
242 : 본체연결공 25 : 회전단속단턱부
30 : 회전단속부 31 : 회전단속판
32 : 회전공 33 : 연결편
34 : 회전단속편 40 : 무단록킹수단
41 : 로드본체 42 : 로드봉
43 : 록킹스프링 431 : 스프링돌부
44 : 스프링동작구 441 : 동작본체
442 : 동작턱 443 : 회전돌부
45 : 상승유도스프링 50 : 레버스위치부
51 : 스위치본체 52 : 연결홈
53 : 버튼부 54 : 회전스프링

Claims (8)

  1. 시트(S)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거치하는 암레스트(1)에 있어서,
    상기 시트(S)의 측면에 고정된 판형상의 베이스판(11)과, 상기 베이스판(11)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환봉형상의 회전축봉(12)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0)와;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암거치판(21)과,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상기 회전축봉(12)으로 삽입된 회전축공(22)으로 이루어진 암거치부(20)와;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연결된 판형상의 회전단속판(31)과, 상기 회전단속판(31)이 회전되도록 상기 회전축봉(12)에 삽입되는 회전공(32)과, 상기 회전단속판(31)의 일측면으로 연장된 연결편(33)으로 이루어진 회전단속부(30)와;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고정된 파이프형상의 로드본체(41)와,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거치부(20)의 회전시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연결편(33)에 연결된 환봉형상의 로드봉(42)과, 상기 로드본체(41)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로드봉(42)의 외주면을 압착하거나 이격시켜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록킹스프링(43)과, 상기 록킹스프링(43)의 일면에 연결되며 상기 록킹스프링(43)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파이프형상의 스프링동작구(44)로 이루어진 무단록킹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단속판(31)의 일측면에는 상기 회전단속판(31)이 회전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단속편(34)이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시 상기 회전단속편(34)과 접촉되도록 일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회전단속핀(23)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본체(41)를 고정하는 로드본체연결부(24)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본체연결부(24)는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부착되며 다수회 절곡된 판형상의 로드본체연결판(241)과, 상기 로드본체연결판(241)의 일면에는 상기 로드본체(41)의 로드봉(42)이 이동되는 본체연결공(24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동작구(44)는 파이프형상의 동작본체(441)와, 상기 동작본체(441)의 일면에서 내측방향으로 단턱진 동작턱(442)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록킹스프링(43)의 양단부에는 상기 스프링동작구(44)의 회전시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이 확관되거나 축관되도록 상기 동작턱(442)에 안착되며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스프링돌부(431)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동작구(44)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프링동작구(44)가 회전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회전돌부(443)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는 상기 회전돌부(443)를 가압하여 상기 록킹스프링(43)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스위치부(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스위치부(50)는 상기 암거치판(21)의 일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된 판형상의 스위치본체(51)와,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일단부에 상기 회전돌부(443)가 삽입되도록 내측으로 요입된 연결홈(52)과, 상기 스위치본체(51)의 타단부에 사용자가 손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버튼부(53)와, 상기 스위치본체(51)의 상면에 상기 스위치본체(51)를 탄성적으로 회전시키는 토션스프링형상의 회전스프링(5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11)의 일면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13)가 형성되고;
    상기 암거치판(21)의 외측면에는 상기 암거치판(21)이 회전될 경우 상기 회전단속돌기(13)에 걸려 상기 암거치판(21)의 회전반경이 한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단턱진 한 쌍의 회전단속단턱부(25)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로드본체(41)와 로드봉(42)의 사이에는 상기 암거치판(21)이 상부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상기 암거치판(21)의 중량을 지지하며 상승될 수 있도록 코일스프링형상의 상승유도스프링(45)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KR1020180029798A 2018-03-14 2018-03-14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KR101907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98A KR101907084B1 (ko) 2018-03-14 2018-03-14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9798A KR101907084B1 (ko) 2018-03-14 2018-03-14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7084B1 true KR101907084B1 (ko) 2018-12-05

Family

ID=64743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9798A KR101907084B1 (ko) 2018-03-14 2018-03-14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7084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080A (zh) * 2018-09-14 2019-02-05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可双向调节的活动式扶手以及座椅
KR20200136596A (ko) * 2019-05-28 2020-12-08 이득우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KR102287978B1 (ko) * 2020-05-08 2021-08-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2287977B1 (ko) * 2020-05-08 2021-08-1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CN113781890A (zh) * 2021-09-10 2021-12-10 南京宝舜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轻量化bim建筑模型的搭建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87B1 (ko)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JP2016101844A (ja)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タチエス 座席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887B1 (ko)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JP2016101844A (ja) 2014-11-28 2016-06-02 株式会社タチエス 座席装置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05080A (zh) * 2018-09-14 2019-02-05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可双向调节的活动式扶手以及座椅
CN109305080B (zh) * 2018-09-14 2023-12-05 上汽大众汽车有限公司 一种可双向调节的活动式扶手以及座椅
KR20200136596A (ko) * 2019-05-28 2020-12-08 이득우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KR102230108B1 (ko) * 2019-05-28 2021-03-19 이득우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KR102287978B1 (ko) * 2020-05-08 2021-08-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KR102287977B1 (ko) * 2020-05-08 2021-08-10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
CN113781890A (zh) * 2021-09-10 2021-12-10 南京宝舜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轻量化bim建筑模型的搭建设备
CN113781890B (zh) * 2021-09-10 2023-11-14 南京宝舜达信息技术有限公司 一种基于轻量化bim建筑模型的搭建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7084B1 (ko)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JP489803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のサポートレッグ装置
JP6452053B2 (ja) 子供用安全シート
EP2111348B1 (en) Fold and tumble seat
WO2012172001A1 (en) Base for a child safety seat
JP2009292435A (ja) シート
JP5087962B2 (ja) 車両用シート
US20100013289A1 (en) Vehicular seats
US9102255B2 (en) Headrest assembly for an aircraft seat
KR20010089220A (ko) 승물용 테이블
KR101268179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80612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목받침대
JP5082490B2 (ja) 車両用シート
CN106965724B (zh) 机械手动腿部倾斜装置
US10449884B2 (en) Lock for pivoting member in vehicle with push button release
KR102025620B1 (ko) 무단 업다운 헤드레스트
CN107042778B (zh) 用于机动车座椅深度调整装置的座垫承板
JP4031280B2 (ja) 車両用フック装置
US5216937A (en) Mechanical positioning jack for vehicle seats
KR101872360B1 (ko)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와 그 조립방법
KR101559889B1 (ko) 높이조절장치 및 그를 구비한 의자
JP7145400B2 (ja) シートバックテーブル
KR200160390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차량용 풋레스트
KR20190118340A (ko) 트랙캠을 이용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KR102421680B1 (ko) 차량용 암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