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6596A -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6596A
KR20200136596A KR1020190062320A KR20190062320A KR20200136596A KR 20200136596 A KR20200136596 A KR 20200136596A KR 1020190062320 A KR1020190062320 A KR 1020190062320A KR 20190062320 A KR20190062320 A KR 20190062320A KR 20200136596 A KR20200136596 A KR 2020013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locking
spring
rot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2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30108B1 (ko
Inventor
이득우
Original Assignee
이득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득우 filed Critical 이득우
Priority to KR1020190062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108B1/ko
Publication of KR2020013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67Angle adjus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는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거치부, 상기 회전축과 동축을 유지하며 상기 암거치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회전단속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암거치부의 전방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단속편이 형성되는 캠부, 상기 암거치부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로드본체와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시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캠부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환봉형상의 로드봉과 상기 로드봉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록킹스프링과 상기 록킹스프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동작구를 구비하는 무단록킹부, 상기 스프링동작구를 회전시켜 상기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암거치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SLIDING LOCKING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암거치부의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를 무단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에는 승객의 팔을 걸칠 수 있는 암레스트(Armrest)를 구비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차량 시트의 암레스트는 흔히 시트 부위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결합 부분을 중심으로 암레스트 전체를 회전시키며 올리거나 내려 승객의 편의에 따라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는 암레스트를 시트에 대해 수직 상태로 올려 해당 시트에 착석하거나 내리고자 하는 승객의 이동 동선 확보와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암레스트를 수평 상태로 내려 해당 시트에 착석한 승객의 팔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이러한 암레스트는 정해진 각도로 회전된 이후 그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정해진 각도 외 다른 각도에서 암레스트를 고정시킬 수 없어 사용범위가 한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암레스트는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가압할 경우 원하지 않게 회전될 수 있어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1541(2003.01.24)호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래칫(ratchet)의 치형부와 기어의 치형부가 역전방지구조로 구성되어 노브(knob)의 작동없이 암레스트를 차량 후방으로 젖히면서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을 하고, 암레스트가 완전히 젖혀지면 래칫의 치형부가 기어축 상에서 기어와 나란히 배치되는 가이드 섹터(guide sector)의 원주면 상에 물려지도록 하여 가이드 섹터가 회전되면서 암레스트가 하향 회동된 후 다시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브의 작동없이 암레스트의 상/하향 회동과 암레스트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므로 노브 및 로드의 제작이 불필요하고 암레스트 프레임 상에서 노브와 로드가 장착되는 부위의 형성이 불필요하며, 이로써 부품수 및 제작공수를 줄일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1348(2016.01.28)호는 암레스트용 다단고정 힌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축을 기준으로 암레스트가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암레스트와 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을 이루고, 단부에는 상기 회전축과 직교방향으로 돌출형성된 캠이 마련된 회전체, 및 상기 베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캠의 회전범위 내에서 상기 캠과 접하면서 상기 캠을 탄성 지지하는 요철부가 마련된 탄성체를 포함하여, 상기 요철부를 따라 회전하는 상기 캠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가 다단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레스트용 다단 힌지장치에 대해 개시한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71541(2003.01.24)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91348(2016.01.28)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암거치부의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를 무단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을 통해 암거치부의 회전 각도 조절 작업이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암거치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여 암거치부의 회전을 자연스럽게 동작시킬 수 있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들 중에서,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는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거치부, 상기 회전축과 동축을 유지하며 상기 암거치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회전단속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암거치부의 전방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단속편이 형성되는 캠부, 상기 암거치부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로드본체와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시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캠부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환봉형상의 로드봉과 상기 로드봉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록킹스프링과 상기 록킹스프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동작구를 구비하는 무단록킹부, 상기 스프링동작구를 회전시켜 상기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암거치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부를 포함한다.
상기 캠부는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축과 동축을 유지하고 상기 암거치부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과 회전단속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조작 레버,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조작 레버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스프링동작구의 회전돌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프링동작구를 회전시키는 록킹 레버, 및 상기 사용자 조작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록킹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레버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부는 일단이 상기 캠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귀 스프링부는 상기 캠부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을 통해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캠부와 상기 로드봉의 연결 부분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기술은 다음의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다만, 특정 실시예가 다음의 효과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다음의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개시된 기술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는 암거치부의 회전시 고정되는 각도를 무단으로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혼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는 사용자의 레버 조작을 통해 암거치부의 상하 각도 조절 작업이 편리하게 구현될 수 있어 사용성이 매우 편리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는 암거치부의 회전 단속시 탄성력을 제공하여 암거치부가 원래 위치로 유연하게 복귀하도록 동작시킬 수 있어 암레스트의 작동 소음으로 인한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 있는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있는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있는 암레스트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에 있는 암레스트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2에 있는 암레스트에서 복귀 스프링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있는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한편, 본 출원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차량(vehicle)", "차량의(vehicular)" 또는 다른 유사한 용어는 자동차들, 일반적으로 스포츠 유틸리티 차량들(SUV)을 포함하는 자가용들(passenger automobiles), 버스들, 트럭들, 다양한 상업 차량들, 다양한 보트들 및 배들을 포함하는 선박, 비행기 등을 포함하고, 그리고 하이브리드 자동차, 전기 자동차,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 수소 동력 차량들과 다른 대체 연료(예를 들어, 석유가 아닌 자원들로부터 유도된 연료들) 차량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바와 같이, 전기 자동차(EV)는 자신의 이동 능력들(locomotion capabilities)의 부분으로서, 충전 가능한 에너지 저장 장치(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재충전 가능한 전기 화학적 셀 또는 다른 유형의 배터리)로부터 얻어지는 전기 동력을 포함하는 차량이다. EV는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모터 사이클들, 카트들, 스쿠터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이브리드 자동차는, 두 개 이상의 전력 소스, 일례로 가솔린 기반 동력 및 전기 기반 동력을 갖는 차량이다(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HEV)).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의 설치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100)는 시트(S)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100)는 수평 상태를 기준으로 전,후방으로 자유롭게 회전각이 조절됨에 따라 시트(S)에 착석하거나 내리고자 하는 승객의 이동 동선 확보와 공간 활용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신체 차이는 물론 다양한 착석 자세를 취하는 승객의 팔을 자연스럽게 지지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에 있는 암레스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있는 암레스트의 일부분을 나타내는 확대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100)는 베이스부(110), 암거치부(120), 캠부(130), 무단록킹부(140), 레버부(150), 복귀스프링부(16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는 시트(S)의 측면에 고정된 판형상의 베이스판(111)과, 베이스판(111)의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환봉형상의 회전축봉(112)을 구비한다. 베이스판(111)의 일면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113)가 형성된다.
암거치부(120)는 베이스판(111)의 일면에 연결되며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판형상의 암거치판(121)을 구비한다. 암거치판(121)의 일면에는 베이스판(1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회전축봉(112)으로 삽입되는 회전축공이 형성되어 암거치판(121)이 베이스판(111)에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암거치판(121)의 외측면에는 암거치판(121)이 회전될 경우 회전단속돌기(113)에 걸려 암거치판(121)의 회전반경이 한정되도록 외측방향으로 단턱진 한쌍의 회전단속단턱(122)이 형성된다. 한쌍의 회전단속단턱(122)은 암거치판(121)의 전방 및 후방 회전반경을 각각 한정한다.
캠부(130)는 암거치판(121)의 회전축과 동축을 유지하며 암거치판(121)으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판형상의 캠(131)과, 캠(131)의 일측면으로 연장된 한쌍의 연결편(132,133)을 구비한다. 캠(131)의 일측면에는 캠(131)의 회전시 베이스판(1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회전단속돌기(113)와 접촉하여 암거치판(121)의 회전을 단속하도록 일방향으로 연장된 회전단속편(134)이 형성된다. 회전단속편(134)은 사용자가 과도한 힘으로 암거치부(120)를 가압할 경우 회전단속돌기(113)에 걸려 암거치부(12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무단록킹부(140)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고정된 파이프형상의 로드본체(141)와, 로드본체(141)의 내부에 삽입되어 암거치부(120)의 회전시 로드본체(14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제1 연결편(132)에 힌지핀으로 연결된 환봉형상의 로드봉(142)과, 로드본체(141)의 내부에는 로드봉(142)의 외주면을 압착하거나 이격시켜 암거치판(121)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록킹스프링(143)과, 록킹스프링(143)의 일면에 연결되며 록킹스프링(143)의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파이프형상의 스프링동작구(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스프링(143)의 내경은 로드봉(142)의 외주면을 항상 압착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로드봉(142)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록킹스프링(143)은 스프링동작구(144)의 회전시 내경이 확관되거나 축관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스프링동작구(144)의 외주면에는 스프링동작구(144)가 회전되도록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회전돌부(145)가 형성된다.
한편, 암거치판(121)의 일면에는 로드본체(141)를 고정하는 로드본체연결부(146)가 형성된다. 로드본체연결부(146)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부착되며 다수회 절곡된 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로드본체연결부(146)에는 로드본체(141)의 로드봉(142)이 이동되도록 본체연결공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로드본체연결부(146)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볼팅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될 수 있다.
암거치판(121)의 일면에는 또한 회전돌부(145)를 가압하여 스프링동작구(144)를 회전시켜 록킹스프링(143)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부(150)가 구비된다.
레버부(150)는 사용자 조작 레버(151), 록킹 레버(152), 이들 레버(151,152)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1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조작 레버(151)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조작 레버(151)의 일측면에는 케이블(153)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홈이 형성되어 케이블(153)이 체결홈에 끼워져 체결될 수 있다.
록킹 레버(152)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회전되도록 연결되고 사용자 조작 레버(151)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153)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회전돌부(145)의 일면을 가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록킹 레버(152)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고정 형성되는 레버연결부(154)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레버연결부(154)는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볼팅 또는 용접 등으로 고정 부착될 수 있으며, 록킹 레버(152)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된다.
암거치판(121)과 캠(131)의 사이에는 암거치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부(160)가 연결된다.
복귀 스프링부(160)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일측이 캠(131)의 제2 연결편(133)에 체결되고 타측이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고정된다. 이때, 캠(131)의 제2 연결편(133)에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복귀 스프링부(160)의 일측이 체결홈에 끼워져 체결되고 복귀 스프링부(160)의 타측이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볼팅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100)는 도 1에 보여진 바와 같이, 시트(S)의 측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거치할 수 있다.
즉,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의 측면에 고정된 베이스부(110)와 베이스부(110)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되는 암거치부(120)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암거치부(120)를 회전시키며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암거치부(120)의 일면에는 정해진 거리만큼 슬라이드 이동되거나 고정되는 환봉형상의 로드봉(142)으로 이루어진 무단록킹부(140)가 구비됨으로써, 암거치부(120)를 정해진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무단록킹부(140)는 정해진 거리만큼 이동되는 로드봉(142)의 외주면에 압착되거나 이격되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록킹스프링(143)을 삽입시키고, 록킹스프링(143)을 일방향으로 비틀어줌으로써, 로드봉(142)의 외주면에 압착된 록킹스프링(143)의 내주면을 확관시켜 로드봉(142)을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록킹스프링(143)을 비틀어준 이후 가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록킹스프링(143)의 내경이 원상태로 축관됨으로써 로드봉(142)의 외주면을 압착하며 이동을 단속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하여, 암거치부(120)의 회전시 무단 즉, 회전각도가 미리 정해진 것이 아닌 정해지지 않은 각도에서 고정시킬 수 있어 다양한 체형의 사용자가 편리하게 혼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록킹스프링(143)의 일면에는 일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돌부(145)가 형성되고, 암거치판(121)에는 회전돌부(145)를 가압하여 록킹스프링(143)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부(15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레버부(150)를 작용시키는 것으로 록킹스프링(143)을 손쉽게 비틀어줄 수 있어 록킹스프링(143)의 작용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5의 (가) 내지 (다)에 보여진 바와 같이, 사용자가 외부로 노출된 사용자 조작 레버(151)를 암거치부(120) 쪽으로 당기면 레버(151)가 작동하게 되고 레버(151) 작동에 따라 레버(151)에 체결된 케이블(153)이 당겨지면서 케이블(153)의 반대쪽에 체결된 록킹 레버(152)가 연동하여 무단록킹부(140)의 회전돌부(145)를 가압하게 된다.
여기서, 레버부(150)를 통하여 회전돌부(145)를 가압할 경우 스프링동작구(144)가 회전하게 되어 록킹스프링(143)을 용이하게 비틀어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로드봉(142)이 로드본체(141)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게 된다.
한편, 암거치부(120)에는 독립적으로 회전되며 로드봉(142)의 일단부가 연결되는 캠부(130)가 구비됨으로써 암거치부(120)의 회전반경과 로드봉(142)의 회전반경을 다르게 동작시켜 로드봉(142)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 암거치부(120)를 고정하거나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베이스판(111)의 일면에는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113)가 형성되고, 암거치판(121)의 외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단턱진 한쌍의 회전단속단턱부(122)가 형성됨으로써, 암거치판(121)이 회전될 경우 회전단속단턱부(122)가 회전단속돌기(113)에 걸려 암거치판(121)의 회전반경을 한정시켜 암거치부(120)의 무분별한 회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캠(131)의 일측면에는 외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편(134)이 형성됨으로써, 암거치부(120)가 상부방향으로 최대한 회전될 경우 캠부(130)가 정해진 위치만큼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로드봉(142)의 길이를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캠부(130)의 제2 연결편(133)과 암거치판(121)의 사이에는 코일스프링형상의 복귀 스프링부(160)가 구비됨으로써 암거치부(120)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복귀 스프링부(160)의 탄성력에 의해 암거치부(120)가 소리를 크게 내지 않고 자연스럽게 원래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된다.
도 6 및 도 7은 도 2에 있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에서 복귀 스프링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100)는 도 2와 동일하게 구성되되, 코일스프링형상의 복귀 스프링부(160)를 토션 스프링형상의 복귀 스프링부(610)로 구성할 수 있다.
복귀 스프링부(610)는 캠(13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설치되고 일단이 암거치판(121)의 일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캠부(130)의 제1 연결편(132)에 연결된다. 이때, 암거치판(121)의 일면에는 고정핀(620)이 돌출 형성되어 고정핀(620)을 통해 토션 스프링 형상의 복귀 스프링부(610)의 일단이 고정 지지되게 된다.
복귀 스프링부(610)는 암거치판(121)과 캠(131) 사이에 형성되는 최대사용각도 내에서 암거치부(120)와 캠부(130)에 탄성력을 제공하여 암거치부(120)가 원래 위치로 복귀시 소리를 크게 내지 않고 자연스럽게 복귀할 수 있게 한다.
상기에서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110: 베이스부 111: 베이스판
112: 회전축봉 113: 회전단속돌기
120: 암거치부 121: 암거치판
122: 회전단속단턱 130: 캠부
131: 캠 132,133: 연결편
134: 회전단속편 140: 무단록킹부
141: 로드본체 142: 로드봉
143: 록킹스프링 144: 스프링동작구
145: 회전돌부 146: 로드본체연결부
150: 레버부 151: 사용자 조작 레버
152: 록킹 레버 153: 케이블
160,610: 복귀 스프링부 620: 고정핀

Claims (6)

  1. 시트의 측면에 고정되고 일면에 일측방향으로 돌출된 회전단속돌기가 형성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회전축으로 결합되고 사용자의 팔이 거치되는 암거치부;
    상기 회전축과 동축을 유지하며 상기 암거치부로부터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외면에는 상기 회전단속돌기와 접촉하여 상기 암거치부의 전방 회전각을 제한하는 회전단속편이 형성되는 캠부;
    상기 암거치부에 고정된 파이프 형상의 로드본체,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시 상기 로드본체의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상기 캠부에 힌지핀으로 결합되는 환봉형상의 로드봉, 상기 로드봉의 외주면에 안착되어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을 단속하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형성된 록킹스프링, 및 상기 록킹스프링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스프링동작구를 구비하는 무단록킹부;
    상기 스프링동작구를 회전시켜 상기 록킹스프링의 내경을 가변시키는 레버부; 및
    상기 암거치부를 원래 위치로 복귀시키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복귀 스프링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캠부는
    상기 암거치부의 회전축과 동축을 유지하고 상기 암거치부와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캠과, 상기 캠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한쌍의 연결편과 회전속편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사용자 조작 레버;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 조작 레버의 작동에 따라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힘에 의해 상기 스프링동작구의 회전돌부를 가압하여 상기 스프링동작구를 회전시키는 록킹 레버; 및
    상기 사용자 조작 레버와 상기 록킹 레버 사이를 연결하는 케이블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는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부착되고 상기 록킹 레버가 회전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레버연결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부는
    일단이 상기 캠부에 체결되고 타단이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고정되는 코일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귀 스프링부는
    상기 캠부의 회전축에 설치되고 일단이 상기 암거치부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 고정핀을 통해 고정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캠부와 상기 로드봉의 연결 부분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KR1020190062320A 2019-05-28 2019-05-28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KR10223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20A KR102230108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2320A KR102230108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6596A true KR20200136596A (ko) 2020-12-08
KR102230108B1 KR102230108B1 (ko) 2021-03-19

Family

ID=7377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2320A KR102230108B1 (ko) 2019-05-28 2019-05-28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45025A (ko) 2021-04-21 2022-10-28 (주)대한솔루션 테이블로 이용할 수 있는 자율주행차 시트용 암레스트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70A (ko) * 1999-11-19 2001-06-15 정해창 암레스트 회전장치
KR100371541B1 (ko) 2000-12-01 200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KR20030033161A (ko) * 2001-10-18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KR101591348B1 (ko) 2014-11-07 2016-02-04 덕양산업 주식회사 암레스트용 다단고정 힌지장치
KR20180045482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다스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907084B1 (ko) * 2018-03-14 2018-12-05 이득우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7370A (ko) * 1999-11-19 2001-06-15 정해창 암레스트 회전장치
KR100371541B1 (ko) 2000-12-01 2003-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암레스트
KR20030033161A (ko) * 2001-10-18 2003-05-0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암레스트 자동 폴딩 장치
KR101591348B1 (ko) 2014-11-07 2016-02-04 덕양산업 주식회사 암레스트용 다단고정 힌지장치
KR20180045482A (ko) * 2016-10-26 2018-05-04 주식회사다스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907084B1 (ko) * 2018-03-14 2018-12-05 이득우 무단록킹수단이 구비된 암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108B1 (ko) 2021-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01169B2 (en) Seat swivel mechanism for vehicles
US7938490B2 (en) Seat
US9776531B2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for vehicle
US4997223A (en) Compact latching device for seat assemblies
US7472958B2 (en) Seat swiveling device of a vehicle
EP1541058B1 (en) Both-ends supported type reclining seat
JP5821650B2 (ja) 車両用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5289233B2 (ja) 車両用シート
US9469219B2 (en) Pumping device for vehicle seat
US8845000B2 (en) Vehicle sun visor
US10576846B2 (en) Release actuator for vehicle seat
KR101793440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10442367B1 (en) Electronic device holder
KR102236705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US8931822B2 (en) Vehicle sun visor
KR102230108B1 (ko) 차량용 무단 록킹 암레스트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JP3240972U (ja) シート回転装置及びそのシート
US20180056830A1 (en) Single spring linear adjusting lock
EP1951543B1 (fr) Mecanisme de verrouillage des glissieres d'un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6613406B2 (ja) 乗物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又はアームレストのロック機構
JP5974801B2 (ja) 車両用シート
JP2023024083A (ja) 回転軸構造
KR101593843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84868B1 (ko) 차량의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