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9220A - 승물용 테이블 - Google Patents

승물용 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9220A
KR20010089220A KR1020010012004A KR20010012004A KR20010089220A KR 20010089220 A KR20010089220 A KR 20010089220A KR 1020010012004 A KR1020010012004 A KR 1020010012004A KR 20010012004 A KR20010012004 A KR 20010012004A KR 20010089220 A KR20010089220 A KR 200100892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member
groove
main body
table main
guid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2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04753B1 (ko
Inventor
이치마루다카히데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100892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92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047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047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1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 B60N3/0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 B60N3/0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tables or trays of trays of foldable trays mounted on the back-re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과제) 경량화 및 사용상의 편리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충돌력에도 강한 승물용 테이블을 실현한다.
(해결수단) 테이블 본체(1)가 승물측 설치부(9a)에 대해 상하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또, 설치부(9a)에 브래킷(4)을 통해서 회동유지가능하게 부착되는 강성 봉형상의 지지부재(3)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수납위치 및, 이 수납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의 수평하게 되는 사용위치로 전환유지되는 승물용 테이블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구조적 특징으로서는, 테이블 본체(1)는, 이면 전측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지지부재(3)의 선단(31)을 삽입하여 이 선단(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2)을 형성하고 있는 조작 레버(2)를 구비하며, 지지부재(3)는 선단(3)이 가이드 홈(22)의 뒷부분에 걸어 맞춰져 테이블 본체(1)를 사용위치로 규제유지하고, 해당 규제유지가 상기 조작 레버(2)에 의해 해방되어 테이블 본체(1)와의 사이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점에 있다.

Description

승물용 테이블{TABLE FOR MOVING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 전차, 비행기 등의 실내에 장비되는 승물용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승물용 테이블은, 통상, 미사용시에 실내공간을 차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사용위치와 수납위치로 전환가능하게 한 것이 채용된다. 수납전환방식으로서는, 테이블 본체가 수평방향으로 인출되거나 압입되는 슬라이드 수납식과, 테이블 본체가 기립위치부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동조작되는 회전 수납식으로 대별된다. 회전 수납식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244862호 등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가 수납위치에서 설치부의 외면을 따라서 배치되기 때문에, 슬라이드 수납식과 같이 설치부의 내부에 격납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설치부의 폭이나 두께 등에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부의 뒤에 부착할 수 있다는 등의 이점이 있다.
도 9는 상기 공보에 기재된 테이블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구조에서는, 설치부(자동차의 파킹 레버부를 형성하고 있는 외측 커버나 콘솔을 상정하고 있다)에 대해 테이블 본체(51)가 힌지부인 회전축(5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테이블 본체(51)를 거의 수평한 사용위치로 유지하는 강성 봉형상의 스테이(stay)(53)를 가지고 있다. 스테이(53)는 지지부재로서, 중간의 이음매(54)를 통해 절첩가능하게 되어 있으며, 양단이 이음매(55, 56)를 통해서 테이블 본체(51)의 이면(裏面) 및 설치부의 대응부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본체(51)가 도 9의 실선인 수납위치에서 회동축(52)을 지점으로 하여 들어 올려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테이블 본체(51)는, 스테이(53)가 직선에 다다를 때까지 전개됨에 따라서 사용위치로 회동이동되며, 비스듬한 스테이(53)에 의해 지지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류의 테이블은, 자동차나 전차 등의 실내에 있어서, 예를 들어, 좌석의 시트백의 배면이나 실내측 벽 등에 장비됨과 아울러, 컵홀더 등을 일부에 부설하는 것도 있다. 구조적으로는, 처음에 사용하는 사람이나 어린이라도, 사용방법을 헤매지 않도록 간명할 것이 요구된다. 동시에, 경량 및 간이할 것을 전제로 하며, 특히, 차체진동이나 충돌력 등을 받았을 때에도 안정하고, 부주의하게 쓰러지지 않는 것이 불가결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 있어서, 상기한 구조에서는, 간이하기는 하지만 스테이(53)가 크게 노출되어 보기가 좋지 않고, 사용상태에서의안정성도 결여되어 있으며, 게다가 스테이(53)가 도 9의 X방향의 외력에 의해 이음매(54)를 통해 쉽게 접혀져 쓰러지기가 싶다. 후자의 대책으로서, 예를 들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평10-264703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로크기구 등을 별도로 추가하는 방법일 경우에는, 구조적으로 복잡해지고 사용상의 편리성도 나빠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 등을 해소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이구성이며, 경량화 및 사용상의 편리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충돌력에도 강한 승물용 테이블을 실현하는 것에 있다. 다른 목적은 이하에 설명하는 내용중에서 순차적으로 분명히 해 갈 것이다.
도 1은 형태예의 승물용 테이블의 전체작동을 나타내는 모식구성도
도 2는 도 1의 테이블 설치예로서, 테이블 본체의 사용위치와 수납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본 사용위치에서의 상태도
도 4는 도 2의 화살표 C의 방향에서 본 수납위치에서의 상태도
도 5는 도 2의 화살표 B, D의 방향에서 봤을 때에 대응하는 도면
도 6은 도 1의 테이블 본체와 조작레버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
도 7은 도 1의 브래킷을 나타내는 모식정면도
도 8은 도 1의 요부작동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테이블 본체 11 - 돌기부
12 - 절결부 14 - 경사홈
2 - 조작 레버 22 - 가이드 홈
23 - 횡홈부 24 - 종홈부
3 - 와이어재(지지부재) 31 - 중간편부(선단)
32 - 양 편부 4 - 브래킷
41 - 베이스 42 - 세움벽
43 - 축구멍 45 - 캠부
5 - 탄지부재(코일 스프링) 5a - 코일 스프링의 양단
6 - 힌지부재 9a - 오목부(설치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도 1에서 도 8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테이블 본체(1)가, 승물측의 설치부(9a)에 힌지부(6)를 통해 상하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또, 상기 설치부(9a)에 부착용 브래킷(4)을 통해서 회동유지가능하게 부착되는 강성 봉형상의 지지부재(3)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수납위치 및, 이 수납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의 수평하게 되는 사용위치로 전환유지되는 승물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1)는, 이면(裏面) 전측(前側)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부재(3)의 선단(31)을 삽입시켜 이 선단(31)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22)을 형성하고 있는 조작 레버(2)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3)는, 선단(3)이 상기 가이드 홈(22)의 뒷부분에 걸어 맞춰져 테이블 본체(1)를 사용위치로 규제유지하며, 해당 규제유지가 상기 조작 레버(2)에 의해 해방되어 테이블 본체(1)와의 사이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구성이다.
이상의 구조적 특징은, 특히, 지지부재(3)에 대한 테이블 본체(1)의 상대적인 이동과, 테이블 본체(1)의 사용위치에서의 안정된 유지를 조작 레버(2)에 의해 확실화한 점에 있다. 테이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테이블 본체(1)를 수납위치에서 들어 올리듯이 힌지부(6)를 통해 회동조작한다. 그러면, 테이블 본체(1)는, 지지부재(3)가 테이블 본체(1)와의 상대적인 위치를 가이드 홈(22)을 따라서 이동하면서 상방향으로 회동되며, 가이드 홈(22)의 뒷부분에 걸어 맞춰졌을 때에 이동불가능해지고, 지지부재(3)를 통해서 사용위치로 유지된다. 수납조작에서는, 조작 레버(2)를 눌러 회동하게 함으로써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시키기 때문에, 그 상태에서 테이블 본체(1)를 수납위치인 하방향으로 밀면, 테이블 본체(1)와 지지부재(3)와의 사이의 상대이동을 따라서 회동되고, 지지부재(3)를 통해서 수납위치로 유지된다. 즉, 이러한 조작 레버(2)는, 우선, 지지부재(3)의 선단(31)의 이동을, 가이드 홈(22)의 안내작용에 의해, 테이블 본체(1)를 작용위치와 수납위치로 전환할 때의 상대적인 이동에 있어서 양호하게 한다. 동시에, 지지부재(3)의 선단(31)이 테이블 본체(1)의 사용위치에서 가이드 홈(22)의 대응부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지지부재(3)와 테이블 본체(1)간의 이동이 불가능하게 하여, 테이블 사용시의 안정성을 확보한다. 동시에, 그 안정성은 조작 레버(2)에 의해 상기 걸어 맞춤을 해방하지 않는 한 유지되며, 역으로, 수납조작에서는 조작 레버(2)라는 간명한 것으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가능하게 한다.
이상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첫째, 상기 가이드 홈(22)이, 거의 수평전후로 연장된 횡홈부(23) 및 횡홈부(23)의 후단에서 하측으로 움푹 패인 종홈부(24)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3)의 선단(31)이 종홈부(24)와 걸어 맞춰지고, 또 상기 걸어 맞춤의 해제시에 횡홈부(23)측으로 움직이는 구성이다. 이것은, 가이드 홈(22)으로서, 상기한 상대이동용 횡홈부(23)와, 지지부재 선단(31)과 걸어 맞춰지는 종홈부(24)라는 간단한 구조로 상기한 작용을 실현가능하게 한다.
둘째, 상기 조작 레버(2)를 테이블 본체(1)의 내측에 탄지시키며, 또한, 상기 조작 레버(2)를 상기 걸어 맞춤의 해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에서 탄지압이 증대되도록 형성된 탄지부재(5)를 가지고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조작 레버(2)의 걸어맞춤 작용을 탄지부재(5)에 의해 확실화한다.
셋째, 상기 테이블 본체(1)에 형성되며 상기 횡홈부(23)에 비해 경사가 져 있는 경사홈(14)이 있는 돌기부(11)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3)의 선단(31)이 상기 가이드홈(22) 및 상기 경사홈(14)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경사홈(14)이 상기 종홈부(24)를 교차하여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불가능하게 로크하며, 상기 조작 레버(2)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상기 횡홈부(23)와 거의 겹쳐져(옆으로 나란하게 된다는 의미) 비로크상태가 되는 구성이다. 이것은, 사용위치에 있는 테이블 본체(1)의 안정성을, 즉 상기한 가이드 홈(22)과 지지부재 선단(31)과의 걸어맞춤을 경사홈(14)과의 위치관계만으로 구조적으로 유지가능하게 한다. 즉, 테이블 본체(1)는, 도 1의 사용위치에서 지지부재(3)의 선단(31)과 종홈부(24)와의 걸어맞춤에 의해 상기한 상대적 이동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테이블 본체(1)에 큰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될 우려가 없다고는 단언할 수 없다. 이 구조에서는, 테이블 본체(1)에 일체적으로 형성이 용이한 경사홈(14)이 부착된 돌기부(11)에 의해 그 우려도 해소하고, 품질 및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킨다.
넷째, 상기 조작 레버(2)는 상기 가이드 홈(22)을 쌍으로 가지며, 상기 돌기부(11)가 상기 가이드 홈(22)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지부재(5)는 상기 돌기부(11)의 후단측에 유지되며, 양단(5a)이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홈(22)의 후단측에 걸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구성이다. 이것은, 테이블 본체(1)가 대형이 되어도, 상기한 작용 및 이점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탄지부재(5)의 조립성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조작 레버(2)의 걸어맞춤 상태를 보장하고, 동시에 조작 레버(2)와 테이블 본체(1)와의 사이를 덜컹거림없이 일체적으로 연결하기 쉽다는 것, 등의 이점이 있다.
다섯째로, 상기 지지부재(3)는, 대략 ㄷ형으로 구부러진 금속제 와이어재이고, ㄷ형의 양단을 각각 외측으로 굴곡시켜 추축부(33)로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브래킷(4)에 대해 상기 추축부(33)를 이 브래킷(4)의 축구멍(43)에 걸어맞춤 상태에서, 회동 또한 탄성유지가능하게 조립되어져 있는 구성이다. 이것은, 지지부재(3)가 금속재 와이어재의 탄지력을 이용하여 브래킷(4)에 회동가능, 또 탄성유지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으며, 게다가 외관적인 모습도 양호하게 유지한다.
여섯째, 상기 브래킷(4)은, 고정용 베이스부(41)와, 상기 베이스부(41)에 돌출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3)의 양 편부(32)의 최소간격보다 좁게 한 1쌍의 세움벽부(42)와, 이 세움벽부(42)에 형성된 상기 축구멍(43)과, 상기 지지부재(3)의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상기 축구멍(43)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부(44) 및 축구멍(43)의 하측에 형성된 캠부(45)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3)가 양 편부(31)를 근접시켜 탄지압을 발현한 상태에서 추축부(33)와 축구멍(43)과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조립되는 구성이다. 이것은, 지지부재(3)의 전환유지작용을 보다 효과적으로 간단하게 얻을수 있도록 한다.
이상의 테이블 본체에는, 그 일부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컵구멍이나 컵구멍과 함께 컵받침 부재, 또는 노트북 등의 휴대기기류용의 전기적 접속부 등이 요구항목에 맞춰 부설된다. 승물측의 설치부로서는, 좌석의(시트백측) 배면에 한하지 않고, 예를 들어, 실내벽, 콘솔,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 요는 회전수납식으로서 적합한 개소라면 좋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는, 본 발명의 호적한 예이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바람직한 여러가지 한정이 부가되어 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 테이블의 전체작동을 나타내는 모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테이블의 설치예 및 테이블 본체의 사용위치와 수납위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2의 화살표 A의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당하는 도면, 도 4는 도 2의 화살표 C의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당하는 도면, 도 5는 도 2의 화살표 B, D의 방향에서 봤을 때에 상당하는 도면이다. 도 6은 테이블 본체와 조작 레버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모식구성도, 도 7은 부착용 브래킷의 정면도, 도 8은 도 1을 포착하는 요부작동도이다.
형태예의 승물용 테이블은, 테이블 본체(1)가 주체가 되며, 조작 레버(2)와, 지지부재인 금속제 와이어재(3)와, 부착용 브래킷(4)과, 탄지부재인 코일 스프링(5)과, 힌지부재(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테이블의 부착개소인 설치부로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석(8)의 시트백(9)의 배면을 상정하여 설계하였으나, 실내벽을 구성하고 있는 내측장비나 콘솔의 외벽 등이라도 마찬가지로 조립가능하게 되어 있다. 시트백(9)의 배면측에는, 오목부(9a)가 형성되고, 테이블 본체(1)가 도 2(b)와 같이 수납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그 오목부(9a) 내에 수납되며, 후술할 부착용 브래킷(4)이나 힌지부재(6)에 대응하는 고정부가 내설되어 있다. 이러한 것은 종래와 마찬가지이다. 이하, 각 부재의 특징을 부재끼리의 조립을 포함하여 차례로 설명한 후, 주된 작동에 대해 언급한다.
(구성부재) 테이블 본체(1)는, 대략 구형의 판형상의 수지형성품으로 이루어지며, 둘레 가장자리부가 둥그스름하고, 이면측이 한단 움푹 패인 상태로 되어 있으며, 도 3과 같이 이면 좌우의 거의 중간에 형성된 돌기부(11)와, 돌기부(11)와 대향하는 전연부(前緣部)에 형성된 절결부(12)와, 이면의 후연부(後緣部)에 접근된 개소에 형성된 쌍을 이루는 부착부(13) 등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돌기부(11)는, 도 6과 같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을 이루며, 내측을 결여하여 좌우로 관통시킨 경사홈(14)과, 전측에 형성된 추지구멍(15)과, 후측 외면에서 후방향으로 돌설된 장착축(16)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홈(14)은,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아래로 약간 경사진 상태를 이루고 있다. 추지구멍(15)은 좌우로 관통된 축구멍이다. 장착축(16)은, 코일 스프링(5)을 전후방향으로 끼워 통과시켜 이탈불가능하게 조립하는 것으로서, 선단에 빠짐방지부(16a)를 형성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절결부(12)는, 조작 레버(2)의 최대폭보다 큰 폭의 치수로 형성되어, 조작 레버(2)의 선단을 여기로부터 노출시켜 사용자에게 목시시킴으로써 조작 레버(2)를 회동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부착부(13)는, 도 3과 같이 좌우로 사이를 두고 쌍으로 형성되고, 각각이 힌지부재(6)를 사이에 배치할 수 있는 2개의 리브로 구성되며, 양 리브의 사이가 절결되어 있다. 각 부착부(13)에는, 축부(17)가 대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힌지부재(6)가 그 축부(17)를 통해서 상대적으로 회동가능하게 부착된다. 이 힌지부재(6)는, 테이블 본체(1)를 설치부 즉 상기 오목부(9a)의 대응부에 나사 등의 고정부재(18)를 이용하여 조립하는 부재이다. 단, 부착부(13)나 힌지부재(6)의 구조는, 테이블 본체(1)의 형상과 아울러 설치부 등에 맞춰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이다.
조작 레버(2)는, 대략 혀모양의 수지성형품으로서, 도 6에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부(21)가 전측에 위치하고, 후측 좌우에 가이드 홈(22)을 형성하고 있는 홈 형성부(25)가 위치하고 있다. 여기서, 조작부(21)는 최대폭의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다. 조작부(21)와 홈 형성부(25)와의 사이에는, 상기한 추지구멍(15)에 대응하는 횡방향의 장착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각 홈 형성부(25)는, 조작부(21)의 후측으로 연결되며, 상기 돌기부(11)와 거의 같은 길이로 간격(27)을 두고 나란히 형성됨과 아울러 후단측을 약간 하방향으로 돌출시키고, 또한 그 하측으로 돌출된 외면(外面)에 돌출형성된 유지부(28)를 일체적으로 가지고 있다. 간격(27)은 돌기부(11)가 삽입되는 치수이다. 각 가이드 홈(22)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횡홈부(23)와, 횡홈부(23)의 후단에 연속된 종홈부(24)로 구성되어 있다. 횡홈부(23)는, 거의 수평전후로 연장되어 있으며, 도 8과 같이 상기 경사홈(14)의 길이에 대응하고 있다. 횡홈부(23)의 홈 앞부분은, 홈의 하면이 완곡한 테이퍼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종홈부(24)는, 도 8(a)의 상태에서, 경사홈(14)의 대응부가 교차하는 깊이로 되어 있다.유지부(28)는, 여기에 작은 블록체(29)를 접합하여 후술할 코일 스프링(5)의 양단(5a)을 거는 개소이다. 구조적으로는, 유지부(28)를 두껍게 형성하여, 코일 스프링(5)의 양단(5a)을 거기에 직접 걸어도 된다.
이상의 조작 레버(2)는, 테이블 본체(1)에 축핀(7)과 코일 스프링(5)을 이용하여 회동가능하게 조립된다. 조립요령은, 상기 돌기부(11)가 간격(27)에 수용되도록, 조작 레버(2)를 테이블 본체(1)의 이면에 배치하고, 장착구멍(26)이 추지구멍(15)과 일치하도록 위치를 결정한다. 이 상태에서, 조작레버(2)는, 도 6과 같이 축핀(7)이 일측의 장착구멍(26), 추지구멍(15), 타측의 장착구멍(26)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축핀(7)을 통해서 테이블 본체(1)의 이측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며, 그 후, 코일 스프링(5)에 의해 일방향으로 탄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코일 스프링(5)은, 장착축(16)에 삽입되고, 또한 빠짐방지부(16a)의 존재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지지되어 있다. 이 양단(5a)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휘어 구부러져 있어, 대응하는 소블록체(29)에 각각 걸려서 고정상태가 된다. 그러면, 조작 레버(2)는, 도 8에 있어서, 조작부(21)가 절결부(12) 내에 위치하고, 홈 형성부(25)가 테이블본체(1)의 이면에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일방향 즉 도 8의 경우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만 도 8(b)와 같이 절결부(12)를 형성하고 있는 대응 가장자리부에 조작부(21)가 닿기 때문에 그 회전량은 근소한 거리이다. 도 8(a)의 상태는, 조작 레버(2)가 코일 스프링(5)의 탄지압에 의해 테이블 본체(1)의 이면에 맞닿아 있다. 이 때는, 경사홈(14)의 후측이 종홈부(24)에 위치하여, 후술하는 와이어재(3)를 이동불가능하도록 즉 로크한다. 도 8(b)의 상태는, 조작 레버(2)가 코일 스프링(5)의 탄지압에 저항하여 조작부(21)가 눌려서 회전되어 있다. 이 때는, 코일 스프링(5)이 탄지압을 증대하고, 경사홈(14)과 횡홈부(23)가 거의 횡렬로 나란히 겹쳐져, 와이어재(3)의 상대적인 이동을 허용한다.
와이어재(3)는, 소정의 강성을 만족시키는 구형의 금속제 와이어로서, 전체가 대략 ㄷ자형태로 구부려져 있고, 중간 편부(31)와 양 편부(32)를 형성하고 있다. 길이는, 도 3과 같이 테이블 본체(1)가 사용위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홈(14)의 후단에서부터 테이블 본체(1)의 후연(後緣)보다 다소 돌출하는 치수이다. 지름은, 경사홈(14)이나 양 홈부(23,24)에 여유를 갖고 배치되는 치수이다. 양 편부(32)는,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간격이 조금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각 단부가 외측으로 구부러진 추축부(33)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양 편부(32)는, 예를 들어, 평행하게 형성되거나, 단부로 갈수록 점차 간격이 넓어지도록 해도 된다. 요건적으로는, 사이를 좁힐 때에 탄성력이 발현되는 형상이다.
부착용 브래킷(4)은 수지성형체로서, 고정용 베이스부(41)와, 베이스부(41)에 나란히 형성된 세움벽부(42)와, 세움벽부(42)에 형성된 축구멍(43),걸림부(44), 캠부(45) 등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41)는, 양 세움벽(42)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를 하측으로 길게 한 평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중간부의 상측에 돌출형성된 벽부(46)와 양측에 형성된 부착구멍을 가지고 있다. 이 부착구멍은, 도 3과 같이 브래킷(4)을 설치부 즉 상기 오목부(9a)의 대응부에 나사 등의 고정부재(47)를 이용하여 고정조립할 때 사용하는 구멍이다. 양 세움벽부(42)는, 두껍게 형성되며, 도시하지 않은 다수의 보강 리브의 존재도 부가되어 소정의 강성이 부여되어 있다. 양자의 간격은, 와이어재(3)의 양 편부(32)의 단부 사이의 치수보다 좁게 설정되어 있다. 축구멍(43)은, 각 세움벽(42)의 내면으로부터 두껍게 형성된 구멍으로서, 세움벽(42)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기 대응하는 추축부(33)가 끼워져 들어간다. 걸림부(44)는, 상기 벽부(46)와 양 세움벽(42)과의 사이의 간격을 이용하여 형성되며, 와이어재(3)의 편부(32)의 대응부를 압접하면서 받아들이고, 와이어재(3)의 상측으로의 회동을 규제한다. 캠부(45)는, 각 세움벽(42)의 하측 내면에 위치하며, 아래로 갈수록 점차 외측으로 벗어나는, 즉, 양측의 캠부(45)가 팔자(八)형상이 되도록 한 거의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양 캠부(45)는, 와이어재(3)의 양 편부(32)가 압접상태에서 캠면을 따라서 벌어짐으로써, 양 편부(32)가 일단 이 위치까지 파고 들어오면 부주의하게 상측 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규제하는 작용, 즉 로크작용을 행한다.
이상의 브래킷(4)에는 와이어재(3)가 조작 레버(2)의 가이드 홈(22) 및 테이블 본체(1)의 경사홈(14)에 일부를 끼워 넣은 상태로 조립된다. 즉, 이 조작에서는, 우선, 와이어재(3)의 일측의 편부(32)를 가이드 홈(22), 경사홈(14)에 통과시키고, 그 가이드 홈(22), 경사홈(14)에 중간 편부(31)를 위치시킨 후, 양 편부(32)의 간격을 좁혀, 그 상태에서, 양단 추축부(33)를 브래킷(4)의 대응하는 축구멍(43)에 끼워 넣는다. 그러면, 와이어재(3)는, 도 3과 같이 기단측(基端側) 즉 추지부(樞支部)를 통해서 브래킷(4)에 회동유지가능하게 조립된다. 이 회동범위는, 도 3과 같이 상방측이 걸림부(44)에 의해 규제되고, 도 4와 같이 하측이 양 세움벽(42)의 사이에 있는 판부분(48)에 맞닿아 규제된다. 유지력은, 와이어재(3)가 양 편부(32)를 좁혔을 때에 발현되는 탄성압과, 세움벽(42)의 내면에 대한 양 편부(32)의 압접력에 비례하는 크기이다.
(작동) 이상과 같이 구성된 테이블은, 설치부로서의 오목부(9a)에 대해 힌지부재(6) 및 브래킷(4)이 고정됨으로써, 시트백(9)에 장비된다. 그리고, 테이블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 승원은 테이블 본체(1)를 오목부(9a)에 넣은 수납위치(도 1의 ③위치)에서 들어 올리듯이 상기 축부(17)를 통해 회동조작한다. 그러면, 테이블 본체(1)는, 와이어재(3)가 그 선단의 중간 편부(31)를 횡홈부(23) 및 경사홈부(14)를 따라서 이동시키면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사용위치(도 8(a) 및 도 1의 ①위치)까지 회동된다. 사용위치에서는, 중간 편부(31)가 종홈부(24)에 걸어 맞춰져 있고, 또, 경사홈(14)이 종홈부(24)와 교차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불가능하게 로크된다. 따라서, 이 구조에서는, 테이블 본체(1)에 큰 외력이 가해져도, 상기 걸어맞춤이 해제되는 일 없이, 사용상태의 안정성이 확실하게 보증된다. 이것에 반해, 테이블을 수납하고 싶을 경우, 승원은 절결부(12)에 노출되어 있는 조작 레버(2)의 조작부(21)를 도 8(b)의 화실표 Y방향으로 밀고, 테이블본체(1)를 하방향으로 눌러 넣는다. 즉, 조작 레버(2)는, 조작부(21)가 화살표 Y방향으로 눌리면, 축핀(7)을 지점으로 하여 시소방식으로 회동되어, 후측이 조금 하방향으로 변위된다. 이것에 의해, 중간 편부(31)는 상대적으로 종홈부(24)의 상측 즉 횡홈부(23)의 후단에 위치하고, 또한, 횡홈부(23)와 경사홈(14)이 거의 횡렬로 나란한 상태가 되어, 상기 걸어맞춤 및 경사홈(14)에 의한 로크상태가 해제(즉, 테이블 본체(1)와 와이어재(3)와의 상대적 이동이 허용)된다. 이 때문에, 테이블 본체(1)는, 횡홈부(23)의 가이드 작용에 의해서, 와이어재(3)의 회전궤적을 따라서 수납위치까지 회동가능하게 되는 것다. 수납위치에 있어서, 테이블 본체(1)는, 상기한 바와 같이 양 편부(32)의 기단측이 대응하는 캠부(45)에 압접되어 있기 때문에, 진동이 가해져도 덜컹거리거나, 부주의하게 상방향으로 회동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기본형태와 같이 구체화되는 것이지만, 청구항 1에 기재된 기술요소를 제하고, 세부를 변형하거나, 컵홀더 등의 부가기능이 적절하게 추가되는 것이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승물용 테이블은, 부재수가 비교적 적고, 테이블 본체의 회동전환이 가이드 홈을 따라서 양호하게 움직이며, 지지부재의 선단이 테이블 본체의 사용위치에서 가이드 홈의 대응부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지지부재와 테이블 본체와의 사이를 이동불가능하게 하여 테이블 사용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고, 조작 레버라는 간명한 수단으로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기 때문에 처음 사용하는 사람도 이해하기가 쉽다, 는 등의 이점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은, 설계상 요구되는 사용상의 편리성, 구조의 간략화, 경량화 등의 각 항목을 만족시키기 쉬운 것이 된다.

Claims (7)

  1. 테이블 본체가, 승물측의 설치부에 대해 힌지부를 통해서 상하회동가능하게 부착되며, 또, 상기 설치부에 부착용 브래킷을 통해 회동유지가능하게 부착되는 강성 봉형상의 지지부재에 의해, 하방향으로 회동되는 수납위치 및, 이 수납위치에서 상방향으로 회동되어 거의 수평해지는 사용위치로 전환유지되는 승물용 테이블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는, 이면 전측에 회동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을 삽입하고 이 선단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홈을 형성하고 있는 조작 레버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부재는, 선단이 상기 가이드 홈의 뒷부분에 걸어 맞춰져 테이블 본체를 사용위치로 규제유지하고, 해당 규제유지가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해방되어 테이블 본체와의 사이의 상대이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물용 테이블.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홈이 대략 수평전후로 연장된 횡홈부 및 상기 횡홈부의 후단에서 아래로 움푹 들어간 종홈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이 종홈부와 걸어 맞춰지고, 또 상기 걸어맞춤의 해제시에 횡홈부측으로 움직이는 승물용 테이블.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를 테이블 본체의 이측에 탄지시키며, 또, 상기 조작 레버를 상기 걸어맞춤 해제방향으로 회전하는 과정에서 탄지압이 증대되도록 형성된 탄지부재를 가지고 있는 승물용 테이블.
  4. 청구항 2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 본체에 형성되고 상기 횡홈부에 비해 경사가 진 경사홈이 있는 돌기부를 가지며, 상기 지지부재의 선단이 상기 가이드홈 및 상기 경사홈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경사홈이 상기 종홈부와 교차하여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불가능하게 로크하고, 상기 조작 레버에 의해 상기 걸어맞춤을 해제하면 상기 횡홈부와 거의 겹쳐져 비로크 상태가 되는 승물용 테이블.
  5. 청구항 3 또는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레버는, 상기 가이드 홈을 쌍으로 가지며, 상기 돌기부가 상기 가이드 홈끼리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탄지부재는, 상기 돌기부의 후단측에 유지되고, 양단이 대응하는 상기 가이드 홈의 후단측에 걸어 맞춰지는 코일 스프링인 승물용 테이블.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대략 ㄷ자형상으로 구부러진 금속제 와이어재이고, ㄷ자형상의 양단을 각각 외측으로 굴곡시켜 추축부에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브래킷에 대해 상기 추축부를 이 브래킷의 축구멍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회동 또 탄성유지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승물용 테이블.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은, 고정용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돌출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양 편부의 최소간격보다 좁게 한 1쌍의 세움벽부와, 이 세움벽부에 형성된 상기 축구멍과, 상기 지지부재의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상기 축구멍의 상측에 형성된 걸림부 및 축구멍의 하측에 형성된 캠부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가 양 편부를 가까이 하여 탄지압을 발현한 상태에서 추축부와 축구멍과의 걸어맞춤에 의해 조립되어 있는 승물용 테이블.
KR10-2001-0012004A 2000-03-08 2001-03-08 승물용 테이블 KR1004047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62768 2000-03-08
JP2000062768A JP2001246976A (ja) 2000-03-08 2000-03-08 乗物用テーブル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9220A true KR20010089220A (ko) 2001-09-29
KR100404753B1 KR100404753B1 (ko) 2003-11-10

Family

ID=185827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2004A KR100404753B1 (ko) 2000-03-08 2001-03-08 승물용 테이블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01246976A (ko)
KR (1) KR1004047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04804B2 (ja) * 2005-06-09 2011-11-02 シロキ工業株式会社 シート背面用テーブルの支持構造
JP2008238960A (ja) * 2007-03-27 2008-10-09 Nissan Diesel Motor Co Ltd 車両用コンソール
JP4944665B2 (ja) * 2007-05-01 2012-06-06 株式会社クボタ シート装置
JP6107722B2 (ja) * 2014-03-26 2017-04-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6107723B2 (ja) * 2014-03-26 2017-04-0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6167973B2 (ja) * 2014-04-04 2017-07-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6167980B2 (ja) * 2014-04-11 2017-07-2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
JP6059191B2 (ja) * 2014-10-17 2017-01-1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乗り物用シート
KR101595732B1 (ko) * 2014-11-07 2016-02-19 주식회사 동강홀딩스 자동차의 테이블용 이중 홀딩 컵홀더
FR3031708B1 (fr) * 2015-01-15 2017-02-24 Cera Tsc Systeme de reception d'objet derriere un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JP6234949B2 (ja) * 2015-01-16 2017-11-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のテーブル装置
CN105946677B (zh) * 2016-05-20 2017-11-10 延锋安道拓座椅有限公司 可翻折桌板
US10426258B2 (en) * 2017-07-06 2019-10-01 Safran Seats Usa Llc Sliding mechanism
FR3080336B1 (fr) * 2018-04-19 2020-03-27 Renault S.A.S. Siege de vehicule dote d'une tablette inclinable
CN109866668A (zh) * 2019-03-29 2019-06-11 衡阳泰豪通信车辆有限公司 一种车载工作台
JP7200840B2 (ja) * 2019-06-19 2023-01-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CN111301245B (zh) * 2020-05-11 2020-08-18 宁波帅特龙集团有限公司 汽车用折叠小桌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04753B1 (ko) 2003-11-10
JP2001246976A (ja) 2001-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04753B1 (ko) 승물용 테이블
KR20220055238A (ko) 차량의 센터 암레스트
JP2000177434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JPH0223172Y2 (ko)
KR100561816B1 (ko) 자동차용 글로브 박스 잠금기구
JP5259114B2 (ja) ヘッドレスト及び該ヘッドレスト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JP3606181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622700B1 (ko) 헤드레스트의 슬라이딩 장치
JP2010143548A (ja) コンソールリッドの開閉構造及びコンソールボックス
JP5872385B2 (ja) 車両用シート
JP4784802B2 (ja) 跳上げ可能なスライド式折畳みシート
JP3675143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102675152B1 (ko) 노브 연동형 암레스트 어셈블리
JP2024059013A (ja) アームレスト及び車両用シート
JP5872386B2 (ja) 車両用シート
JPH0719307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S6030094Y2 (ja) 車両座席背当ての傾斜角度調節装置
JP554911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100318078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틸팅 조절장치
JPH0211219Y2 (ko)
KR200199629Y1 (ko) 암레스트의 기능을 갖는 콘솔 박스
JP2788644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3547632B2 (ja) 自動車のシート装置
JP3637754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KR20030003480A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