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60753A -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60753A
KR20080060753A KR1020060135214A KR20060135214A KR20080060753A KR 20080060753 A KR20080060753 A KR 20080060753A KR 1020060135214 A KR1020060135214 A KR 1020060135214A KR 20060135214 A KR20060135214 A KR 20060135214A KR 20080060753 A KR20080060753 A KR 200800607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sensing
pixel
insulating substrate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3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49096B1 (ko
Inventor
이현수
박진호
이병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13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9096B1/ko
Priority to JP2007232290A priority patent/JP5075541B2/ja
Priority to CN2007101617263A priority patent/CN101211081B/zh
Priority to US11/940,070 priority patent/US8284155B2/en
Priority to EP07024474.4A priority patent/EP1939670B1/en
Publication of KR20080060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0753A/ko
Priority to US13/440,888 priority patent/US9377645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90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90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7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sets of wires, e.g. crossed wir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제1절연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서브화소 및 단일의 센싱전극을 포함하는 메인화소와; 상기 제1절연기판과 대향하는 제2절연기판과; 상기 센싱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제2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센싱 스페이서와; 상기 센싱 스페이서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전극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개구율이 증가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장치{DISPLAY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액정패널 210 : 게이트 구동부
220 : 데이터 구동부 230 : 센싱 구동부
300 : 제1기판 323 : Y센싱선
353 : X 센싱선 372 : Y 센싱전극
373 : X 센싱전극 400 : 제2기판
451 : 센싱 스페이서 461 : 접촉전극
500 : 액정층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형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은 액정표시패널과 같은 디스플레이패널의 화면상에 나타난 지시 내용을 사람의 손 또는 물체로 선택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장치의 최상측에 구비된다. 터치패널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는 키보드 및 마우스와 같은 별도의 입력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이 증대되고 있다.
한편, 최근 외부 접촉을 감지하기 위한 감압센서가 패널의 형태로 별도로 마련되지 않고 디스플레이패널 내부에 장착되는 내장형 터치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내장형 터치패널의 경우, 화소가 형성되는 부분에 센싱을 위한 전극 및 스페이서 등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위치 정보를 전달하기 위하여 특정 화소에 인접하게 2점 또는 3점의 센싱전극을 형성하는데, 센싱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화소의 개구율이 감소하고, 적색, 녹색 및 청색의 비대칭이 유발될 수 있다. 또한, 한 점의 위치 정보를 얻기 위하여 두 점 이상에 압력이 가해져야 하기 때문에 센싱전극 간의 단차가 발생할 경우 위치정보가 정확하게 전달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구율이 증가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위치정보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제1절연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서브화소 및 단일의 센싱전극을 포함하는 메인화소와; 상기 제1절연기판과 대향하는 제2절연기판과; 상기 센싱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제2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센싱 스페이서와; 상기 센싱 스페이서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전극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서브화소는, 게이트선과;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과;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교차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 서브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센싱선과;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센싱선과; 상기 제2센싱선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센싱전극과 중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며, 센싱전극과 중첩되는 연장부가 동일하기 때문에 외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균일하게 반응할 수 있다.
상기 메인화소는, 상기 제1센싱선과 연결되어 있는 Y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1메인화소와; 상기 제2센싱선과 연결되어 있는 X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2메인화소를 포함하며,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의 감지를 위하여 상기 제1메인화소와 상기 제2메인화소는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색, 녹색 및 청색 서브화소로부터 시인되는 색상의 대칭성을 위하여 상기 각 서브전극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서브화소 중 어느 하나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상기 센싱전극으로 인하여 상기 다른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이 경우, 청색은 다른 색상보다 사용자에게 시인되는 시인감도가 낮으므로 상기 청색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상기 센싱전극으로 인하여 다른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센싱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접촉전극에는 소정 레벨의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제조공정의 단순화를 위하여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공통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공통전극과 상이한 층에 형성될 수 있다.
제1기판과 제2기판 간의 간격 유지를 위하여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셀갭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제1절연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에 교차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Y센싱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X센싱선과; 상기 Y센싱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자극에 대응하여 Y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Y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1화소와; 상기 X센싱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자극에 대응하여 X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X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2화소와; 외부 자극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 Y 위치신호는 상기 제1화소로부터, X 위 치신호는 상기 제2화소로부터 수신하는 센싱구동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한다.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는 제1실시예에서 대표적으로 설명하고 다른 실시예에서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제어블럭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외부 압력에 대응하여 형성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터치스크린 기능을 갖는 디스플레이장치로서, 압력을 센싱하는 센싱 전극(sensing electrode; S.E)을 표시패널(100)의 내부에 포함하고 있는 내장형 방식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표시패널(100), 게이트 구동부(210), 데이터 구동부(220) 및 센싱 신호를 처리하는 센싱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액정층(도3 참조)을 포함하는 액정패널이다.
표시패널(100)은 복수의 메인 화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인 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청색 서브화소 및 녹색 서브화소를 포함한다(도2). 하나의 메인 화소는 하나의 센싱전극(S.E)을 포함하며, 각 서브화소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T)를 포함한다. 박막트랜지스터(T)에 각종 신호를 인가하기 위하여 표시패널(100)는 소정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게이트선(G.L), 게이트선(G.L)과 교차하는 데이터선(D.L)을 포함하며, 센싱전극(S.E)으로부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전달 받기 위하 여 게이트선(G.L)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Y센싱선(Y sensing line; Y-S.L)과 데이터선(D.L)과 나란하게 연장되어 있는 X 센싱선(X sensing line; X-S.L)을 포함한다.
또한, 메인화소는 박막트랜지스터(T)와 공통전압(Vcom)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액정용량(Cl)과 박막트랜지스터(T)와 연결되어 있는 유지용량(Cst)을 포함한다. 게이트선(G.L)에 게이트 온 신호가 인가되어 박막트랜지스터(T)가 턴온되면, 데이터선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Vd)은 박막트랜지스터(T)를 통해 화소전극(미도시)에 인가된다. 화소전극에 인가되는 화소전압(Vp)과 공통전압(Vcom)의 차이에 해당하는 전계가 액정(도1에서는 액정용량(Cl)으로 도시됨)에 인가되어 이 전계의 세기에 대응하는 투과율로 빛이 투과된다. 이때 화소전압(Vp)은 하나의 프레임 동안 유지되어야 하며, 유지용량(Cst)은 화소전극에 인가된 화소전압(Vp)을 유지하기 위하여 보조적으로 사용된다.
메인 화소에 포함되어 있는 센싱전극(S.E)은 압력과 같은 외부의 자극에 대응하는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센싱선(S.L)에 전달하며, Y센싱선(Y-S.L)에 연결되어 Y 위치정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Y 센싱전극(Y-S.E)과 X센싱선(X-S.L)에 연결되어X 위치정보에 대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X센싱전극(X-S.E)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하나의 메인화소에 하나의 센싱전극(S.E)을 포함하고 있는 1 포인트(1-point) 접촉 방식이다.
종래의 경우, 하나의 메인화소, 특히 하나의 서브화소에 위치정보를 위한 2개 이상의 센싱전극이 형성되었기 때문에 서브화소 간의 비대칭이 유발되어 시인성 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위치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센싱전극(S.E)이 하나의 메인 화소 내에2개 이상이었으므로 하나의 위치정보를 위하여 2이상의 센싱전극을 동시에 자극해야 했다. 즉, 어느 하나의 센싱전극이 자극되지 않은 경우 위치 정보가 전달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센싱전극 간의 단차가 존재하는 경우 자극이 복수의 센싱전극에 적절히 가해지지 않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Y 위치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Y센싱전극(Y-S.E)과 X위치정보를 감지하기 위한 X센싱전극(X-S.E)은 하나의 메인화소에 동시에 형성되어 있지 않으며, 각각 상이한 메인화소에 형성되어 있다. Y센싱전극(Y-S.E)이 마련되어 있는 메인화소를 제1메인화소, X센싱전극(X-S.E)이 마련되어 있는 메인화소를 제2메인화소라고 할 경우, 제1메인화소 및 제2메인화소는 표시패널(100)에 균일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메인화소 및 제2메인화소는 상호 교호적으로 마련된다. 메인화소의 크기는 외부 자극에 비하여 상당히 작기 때문에 센싱전극(S.E)이 동일한 메인화소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외부 자극에 충분히 반응할 수 있다. 센싱전극(S.E)은 모든 메인화소 마다 마련될 수도 있으며,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센싱 구동부(230)는 하나의 자극에 대한 위치정보 중 X위치정보는 제2메인화소를 통하여, Y위치정보는 제1메인화소를 통하여 수신하며, 수신한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00)에 인가되는 영상을 제어한다. 센싱 구동부(230)은 센싱선(S.L)으로부터 전달되는 전기적 신호를 처리할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미도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210)는 스캔 구동부(scan driver)라고도 하며 게이트선(G.L)에 연결되어 게이트 온전압(Von)과 게이트 오프 전압(Voff)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선(G.L)에 인가한다.
데이터 구동부(220)는 소스 구동부(source driver)라고도 하며, 계조전압 생성부(미도시)로부터 계조전압을 인가받고 외부의 제어에 따라 계조전압을 선택하여 데이터선(D.L)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2의 Ⅲ-Ⅲ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4는 도2의 Ⅳ-Ⅳ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2 내지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센싱전극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메인화소(Ⅰ, Ⅱ)가 형성되어 있는 제1기판(300), 제1기판(300)에 대향하는 제2기판(400) 및 도시하지 않았지만 양 기판(300, 400)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액정층(500)을 포함한다.
제1기판(100)에는 메인화소(Ⅰ, Ⅱ)가 행렬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하나의 메인화소(Ⅰ, Ⅱ)는 적색 서브화소(R), 녹색 서브화소(G), 청색 서브화소(B) 및 하나의 센싱전극(372, 373)을 포함한다. 서브화소(RGB)는 통상적으로 장방형이다. 메인화소(Ⅰ, Ⅱ)는 Y 센싱전극(372)을 포함하는 제1메인화소(Ⅰ)와 X 센싱전극(373)을 포함하는 제2메인화소(Ⅱ)으로 구성되며, 제1메인화소(Ⅰ)와 제2메인화소(Ⅱ)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있다. 즉, 제1메인화소(Ⅰ)와 제2메인화소(Ⅱ)는 서로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하나의 제1메인화소(Ⅰ)의 주변에는 제2메인화소(Ⅱ)가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청색 서브화소(B)에 센싱전극(372, 373)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청색 서브화소(B)의 면적은 적색 서브화소(R), 녹색 서브화소(G)의 면적보다 작다. 서브화소(RGB)는 각각 박막트랜지스터(T) 및 박막트랜지스터(T)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371)을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제1메인화소(Ⅰ)와 제2메인화소(Ⅱ)는 교호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다. 즉, 제1메인화소(Ⅰ)와 제2메인화소(Ⅱ) 사이에 센싱전극(372, 373)을 포함하지 않은 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절연기판(310) 위에 게이트 배선(320, 321, 323)이 형성되어 있으며, 게이트 배선(320, 321, 323)은 금속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게이트 배선(320, 321, 323)은 가로 방향으로 뻗어 있는 게이트선(320), 게이트선(320)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게이트 전극(321), 게이트선(320)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Y센싱선(323)을 포함한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화소전극(371)과 중첩되어 유지용량을 형성하는 유지전극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게이트선(320) 및 Y센싱선(323)은 상호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지그재그 형상으로 변형될 수도 있으며, 서로 평행하지 않게 마련될 수도 있다.
Y센싱선(323)은 Y센싱전극(372)의 상부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Y센싱전극(372)을 통하여 전류 또는 전압과 같은 아날로그 신호가 전달되는 통로가 되며, 압력이 가해진 곳의 위치정보를 센싱 구동부(230)로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제1절연기판(310)위에는 실리콘 질화물(SiNx) 등으로 이루어진 게이트 절연막(330)이 게이트 배선(320, 321, 323)을 덮고 있다.
게이트 전극(321) 의 게이트 절연막(330)의 상부에는 비정질 실리콘 등의 반도체로 이루어진 반도체층(341)이 형성되어 있으며, 반도체층(341)의 상부에는 실리사이드 또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등의 물질로 만들어진 저항 접촉층(342)이 형성되어 있다.
저항 접촉층(342) 및 게이트 절연막(330)의 상부에는 데이터 배선(350, 351, 352, 353, 354)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은 역시 금속층으로 이루어진 단일층 또는 다중층일 수 있다. 데이터 배선은 세로방향으로 형성되어 게이트선(320)과 교차하여 화소를 형성하는 데이터선(350), 소스전극(351), 드레인 전극(352), 데이터선(350)과 나란하게 형성되며 Y센싱선(323)과 교차하는 X센싱선(353),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이 마련될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354)를 포함한다.
소스 전극(351)은 데이터선(350)으로부터 분지되어 있으며, 드레인 전극(352)은 접촉구(10)를 통하여 화소전극(371)과 연결되어 있다.
X센싱선(353)은 X센싱전극(373)에 압력이 가해질 경우, X센싱전극(373)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는 통로가 되며, 압력이 가해진 곳의 위치정보를 센싱 구동부(230)로 전달한다.
연장부(354)는 X센싱선(353)으로부터 연장되어 각 센싱전극(372, 373)의 하부에 마련된다. Y센싱전극(372)의 하부에 마련되어 있는 연장부(354)는 Y 센싱전 극(372)과 제2기판(400)의 접촉전극(461) 간의 간격 및 X 센싱전극(373)과 접촉전극(461) 간의 간격을 동일하게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도3). 이처럼, Y 센싱전극(372)과 제2기판(400)의 접촉전극(461) 간의 간격 및 X 센싱전극(373)과 접촉전극(461) 간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면 X 센싱전극(373)과 Y 센싱전극(372)에 특정 압력이 동시에 가해졌을 때, 센싱전극(372, 373) 간의 단차가 없기 때문에 압력에 대한 반응율이 향상된다. 연장부(354)가 형성되어 있는 Y 센싱전극(372)의 상부에 센싱 스페이서(451)가 마련된다.
Y 센싱전극(372)은 Y센싱선(323)과 접촉구(20)를 통하여 연결되기 때문에 Y 센싱전극(372)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연장부(354)는 생략될 수 있는 구성 요소이다.
도4와 같이, X 센싱전극(373)의 하부에 위치하는 연장부(354)는 접촉구(30)를 통하여 X 센싱전극(373)과 접촉되어 있으며, X 센싱전극(373)에서 발생한 전기적 신호를 X 센싱선(353)에 전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연장부(354)는 청색 서브화소(B)가 형성되는 화소영역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청색 서브화소(B)의 개구 영역은 적색 및 녹색 서브화소(R, G)에 비하여 작다. 이는 청색이 적색이나 녹색 보다 시인 감도가 낮기 때문에 청색 서브화소(B)의 개구율이 다른 서브화소(R, G)보다 작은 경우에도 사용자는 청색의 부족함을 잘 시인하지 못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와 같이 서브화소(RGB) 중 어느 하나의 개구율을 감소시켜 센싱전극(372, 373)을 형성하는 경우, 센싱전극(372, 373)은 청색 서브화소(B)이 형성되는 화소영역에 형성하고 다른 서브화소(R, G)의 개구율은 유지할 수 있다.
데이터 배선(350, 351, 352, 353, 354) 및 이들이 가리지 않는 반도체층(341)의 상부에는 보호막(360)이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360)에는 드레인 전극(352), Y센싱선(323) 및 연장부(274)를 드러내는 접촉구(10, 20, 30)가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360)의 상부에는 화소전극(371), Y센싱전극(372), X센싱전극(373), 이 형성되어 있다. 화소전극(371)은 통상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센싱전극(372, 373)은 화소전극(371)과 동일한 층에 투명 도전물질로 형성된다. 센싱전극(372, 373)에 의하여 청색 서브화소(G)의 화소전극(371)의 면적은 다른 서브화소(R, G)의 화소전극(371)의 면적보다 작다.
외부의 자극이 발생하면 접촉전극(461)은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에 접촉된다. 이때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은 접촉전극(461)이 용이하게 접촉될 수 있도록 충분한 면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의 면적은 상부의 접촉전극(461)의 면적보다 최소한 같거나 크게 마련될 수 있으며 개구율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범위에서 넓은 것이 바람직하다.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의 면적은 상이할 수도 있고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 간의 면적비는 접촉전극(461) 및 화소전극(371)의 면적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될 수 있는 값이다.
이어 제2기판(400)에 대하여 설명하겠다.
제2절연기판(410) 위에 블랙 매트릭스(420)가 형성되어 있다. 블랙 매트릭스(420)는 일반적으로 적색, 녹색 및 청색 필터 사이를 구분하며, 제1기판(300)에 위치하는 박막 트랜지스터로의 직접적인 광조사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블랙 매트릭스(420)는 통상 검은색 안료가 첨가된 감광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검은색 안료로는 카본블랙이나 티타늄 옥사이드 등을 사용한다. 또한, 블랙 매트릭스(420)는 크롬 옥사이드 등의 금속물질을 포함할 수도 있다.
화소전극(371)이 형성되어 있는 제2절연기판(410)의 상부에는 컬러필터층(431)이 형성되어 있다. 컬러필터층(431)은 블랙 매트릭스(420)를 경계로 하여 적색, 녹색 및 청색 필터가 반복되어 형성된다. 컬러필터층(431)은 백라이트 유닛(미도시)으로부터 조사되어 액정층(500)을 통과한 빛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컬러필터층(431)은 통상 감광성 유기물질로 이루어져 있다. 컬러필터층(431)은 제2기판(400)이 아닌 제1기판(300) 상에 형성될 수도 있으며, 백라이트 유닛의 구동 형태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컬러필터층(431)과 컬러필터층(431)이 덮고 있지 않은 블랙 매트릭스(420)의 상부에는 오버코트막(440)이 형성되어 있다. 오버코트막(440)은 컬러필터층(431)을 평탄화하고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 아크릴계 에폭시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오버코트막(440)의 상부에는 센싱자극을 전달하는 센싱 스페이서(451) 및 셀갭을 형성하기 위한 셀갭 스페이서(452)가 형성되어 있다. 센싱 스페이서(451)는 센싱전극(372, 373)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셀갭 스페이서(452)는 박막트랜지스터(T)의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 셀갭 스페이서(452)는 제1기판(300)과 제2기 판(400)가 일정한 이격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양 기판(300, 400)이 이격된 공간으로 액정이 주입된다. 센싱 스페이서(451)는 사용자가 제2기판(400)의 상부에 소정의 자극을 가할 경우, 이를 제1기판(300)에 전달한다.
오버코트막(440)의 상부에는 공통전극(4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센싱 스페이서(451)의 상부에는 접촉전극(461)이 형성되어 있다. 공통전극(460)과 접촉전극(461)은 동일한 층에 형성되며, 소정 레벨의 공통전압이 인가된다. 공통전극(460)은 ITO(indium tin oxide) 또는 IZO(indium zinc oxide)등의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진다.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공통전극(460)과 접촉전극(461)은 제2절연기판(410)의 전면에 도전물질을 증착한 뒤, 셀갭 스페이서(452) 상부의 도전물질을 제거하는 하나의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다. 공통전극(451)은 제1기판(300)의 화소전극(371)과 함께 액정층(500)에 직접 전압을 인가한다.
센싱전극(372, 373)의 상부에 외부 자극이 발생하면 공통전압이 인가되어 있는 접촉전극(461)이 센싱전극(372, 373)과 접촉되고, 공통전압은 센싱전극(372, 373) 및 센싱선(323, 353)을 통하여 센싱 구동부(230)로 입력된다. 센싱 구동부(230)는 어느 위치에 있는 메인화소(Ⅰ, Ⅱ)로부터 전기적 신호가 전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외부 자극이 가해진 위치를 파악하게 된다. 접촉전극(461)과, Y센싱전극(372) 또는 X센싱전극(373)의 접촉이 용이하도록 접촉전극(461)은 Y센싱전극(372) 및 X센싱전극(373)의 중심부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통전극(460)의 상부에 센싱 스페이서(451) 및 셀갭 스페이서(452)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공통전극(460)과 접촉전극(461)은 상이한 층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접촉전극(461)은 공통전극(460)과 다른 공정을 통하여 형성된다.
제1 기판(300)과 제2 기판(400)의 사이에는 액정분자를 포함하는 액정층(500)이 위치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각 서브화소(RGB)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면적의 화소전극(374)을 포함한다. Y센싱선(324)은 게이트선(320)과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서브화소(RGB)가 형성되어 있는 화소영역을 가로지른다.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352)과 연장부(354)는 Y센싱선(324)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연장부(354)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적색 서브화소(R) 및 녹색 서브화소(G)의 화소전극(374)은 청색 서브화소(B)의 화소전극(374)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본 실시예에 따를 경우 각 색상에 대한 서브화소(RGB)의 개구율 및 투과율은 균등하다. 이는 서브화소(RGB) 화소전극(374)의 크기 차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는 킥백전압차를 줄이고, 서브화소(RGB) 간의 전기적 특성을 균일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각 서브화소(RGB)의 화소전극(374)의 크기가 동일하므로 연장부(354)는 서브화소(RGB)의 화소영역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하나의 메인화소(Ⅰ, Ⅱ)에 하나의 센싱전극(372, 373)을 형성함으로써 종래의 2 내지 3 포인트 접촉방식보다 개구율이 향상되고, 특정 화소전극의 면적이 크게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1 포인트 접촉방 식으로 인하여 외부 자극에 대한 위치정보 전달이 용이하므로 자극에 발생한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개구율이 증가하고 시인성이 향상된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위치정보가 용이하고 정확하게 파악되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24)

  1.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제1절연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의 서브화소 및 단일의 센싱전극을 포함하는 메인화소와;
    상기 제1절연기판과 대향하는 제2절연기판과;
    상기 센싱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제2절연기판의에 형성되어 있는 센싱 스페이서와;
    상기 센싱 스페이서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화소는,
    게이트선과;
    상기 게이트선과 교차하는 데이터선과;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교차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녹색 서브화소 및 청색 서브화소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1센싱선과;
    상기 데이터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제2센싱선과;
    상기 제2센싱선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센싱전극과 중첩되는 연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화소는,
    상기 제1센싱선과 연결되어 있는 Y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1메인화소와;
    상기 제2센싱선과 연결되어 있는 X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2메인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제1메인화소와 상기 제2메인화소는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서브전극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화소 중 어느 하나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상기 센싱전극으로 인하여 상기 다른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상기 센싱전극으로 인하여 다른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전극은 상기 화소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을 더 포함하며,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접촉전극에는 소정 레벨의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공통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공통전극과 상이한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셀갭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3. 디스플레이장치에 있어서,
    제1절연기판과;
    상기 제1절연기판에 교차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선 및 데이터선과;
    상기 게이트선과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Y센싱선과;
    상기 데이터선에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는 X센싱선과;
    상기 Y센싱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자극에 대응하여 Y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Y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1화소와;
    상기 X센싱선에 연결되어 있으며 외부 자극에 대응하여 X위치신호를 발생시키는 X센싱전극을 포함하는 제2화소와;
    외부 자극에 대응하는 위치정보 중 Y 위치신호는 상기 제1화소로부터, X 위 치신호는 상기 제2화소로부터 수신하는 센싱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와 상기 제2화소는 상호 교호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와 상기 제2화소는,
    상기 게이트선과 상기 데이터선의 교차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박막트랜지스터와;
    상기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어 있는 화소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와 상기 제2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청색 서브화소 및 녹색 서브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각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실직적으로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소와 상기 제2화소는 적색 서브화소, 청색 서브화소 및 녹색 서브화소를 포함하며,
    상기 청색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은 상기 Y센셍전극 또는 상기 X센싱전극으로 인하여 다른 서브화소의 화소전극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절연기판과 대향하는 제2절연기판과;
    상기 Y센싱전극 및 상기 X센싱전극에 대향하는 상기 제2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센싱 스페이서와;
    상기 센싱 스페이서에 형성되어 있는 접촉전극과;
    상기 제2절연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공통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전극과 상기 접촉전극에는 소정 레벨의 공통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X센싱전극 및 상기 Y센싱전극에 대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1.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Y센싱전극 및 상기 X센싱전극의 면적은 상기 접촉전극의 면적과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공통전극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전극은 상기 공통전극과 상이한 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절연기판 상에 형성되어 있는 셀갭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1020060135214A 2006-12-27 2006-12-27 디스플레이장치 KR1013490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14A KR101349096B1 (ko) 2006-12-27 2006-12-27 디스플레이장치
JP2007232290A JP5075541B2 (ja) 2006-12-27 2007-09-07 ディスプレイ装置
CN2007101617263A CN101211081B (zh) 2006-12-27 2007-09-24 显示装置
US11/940,070 US8284155B2 (en) 2006-12-27 2007-11-14 Display device
EP07024474.4A EP1939670B1 (en) 2006-12-27 2007-12-18 Display device
US13/440,888 US9377645B2 (en) 2006-12-27 2012-04-05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135214A KR101349096B1 (ko) 2006-12-27 2006-12-27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0753A true KR20080060753A (ko) 2008-07-02
KR101349096B1 KR101349096B1 (ko) 2014-01-09

Family

ID=39184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35214A KR101349096B1 (ko) 2006-12-27 2006-12-27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8284155B2 (ko)
EP (1) EP1939670B1 (ko)
JP (1) JP5075541B2 (ko)
KR (1) KR101349096B1 (ko)
CN (1) CN1012110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7866B1 (ko) * 2007-10-15 2014-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451938B1 (ko) * 2008-03-17 2014-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스크린 내장형 표시 패널
TWI364697B (en) * 2008-05-30 2012-05-21 Chimei Innolux Corp Touch-sensitive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same
JP4683090B2 (ja) 2008-08-06 2011-05-11 ソニー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389016B (zh) * 2008-08-26 2013-03-11 Acer Inc 整合式畫素結構、整合式觸控液晶顯示裝置及其觸控方法
CN101666931B (zh) * 2008-09-05 2011-12-28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液晶显示器、薄膜晶体管液晶显示器的阵列基板及其制造方法
KR101571683B1 (ko) * 2008-12-24 2015-12-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587889B1 (ko) * 2009-01-23 2016-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10095187A1 (ja) * 2009-02-23 2010-08-26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4968276B2 (ja) * 2009-02-24 2012-07-04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1893977B (zh) * 2009-05-19 2012-07-25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屏、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
JP2011033918A (ja) * 2009-08-04 2011-02-17 Toppan Printing Co Ltd カラーフィルタ及びその製造方法
CN102023733B (zh) * 2009-09-11 2012-11-14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触摸屏、彩膜基板及其制造方法
CN102053410B (zh) * 2009-10-30 2012-11-21 群康科技(深圳)有限公司 触控显示面板、触控显示装置和平面显示面板
KR101059096B1 (ko) 2009-11-17 2011-08-24 이성호 터치패널의 터치셀 구조, 그를 이용한 터치패널 및 터치입력 검출방법
CN105390110B (zh) 2009-12-18 2019-04-30 株式会社半导体能源研究所 显示设备及其驱动方法
KR101672344B1 (ko) * 2010-05-20 2016-11-04 삼성전자주식회사 광센싱 회로, 상기 광센싱 회로의 구동 방법, 및 상기 광센싱 회로를 채용한 광센싱 장치
KR101761861B1 (ko) * 2010-06-18 2017-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촉 감지 기능이 있는 표시 장치
JP5573540B2 (ja) * 2010-09-22 2014-08-20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
CN102749774B (zh) * 2012-06-21 2015-01-2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设备、电子设备、扫描方法以及扫描装置
JP5778119B2 (ja) 2012-11-30 2015-09-1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タッチ検出機能付き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US10402000B2 (en) * 2013-03-04 2019-09-03 Apple Inc. Display with integrated pressure sensing utilizing capacitive coupling to circuit elements
CN103294317B (zh) * 2013-05-31 2016-03-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触控面板及显示装置
TWI514228B (zh) * 2013-07-10 2015-12-21 Innolux Corp 觸控式顯示裝置與其製造方法
CN103412675B (zh) * 2013-07-26 2016-07-27 北京京东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内嵌式触摸屏及显示装置
CN103529993B (zh) * 2013-11-01 2016-08-1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触控显示面板及显示装置
US9910530B2 (en) * 2015-02-27 2018-03-06 Panasonic Liquid Crystal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with touch detection function
US10345977B2 (en) * 2016-10-14 2019-07-09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nput/output panel and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current sensing circuit
CN107817926B (zh) * 2017-10-27 2021-03-23 北京京东方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液晶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80467A (ja) 1995-09-14 1997-03-28 Toshiba Corp ペン入力位置の検出機能を有する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型表示装置
JP2001042296A (ja) * 1999-07-30 2001-02-16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1075074A (ja) * 1999-08-18 2001-03-23 Internatl Business Mach Corp <Ibm> タッチセンサ一体型液晶表示素子
TWI363206B (en) * 2003-02-28 2012-05-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7495722B2 (en) * 2003-12-15 2009-02-24 Genoa Color Technologies Ltd. Multi-color liquid crystal display
US20050200291A1 (en) * 2004-02-24 2005-09-15 Naugler W. E.Jr. Method and device for reading display pixel emission and ambient luminance levels
JP2006040269A (ja) 2004-06-25 2006-02-09 Shoei Insatsu Kk 食事管理のための情報提供システム
KR101133753B1 (ko) * 2004-07-26 2012-04-09 삼성전자주식회사 감지 소자를 내장한 액정 표시 장치
JP2006119446A (ja) 2004-10-22 2006-05-11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液晶表示装置
JP5066335B2 (ja) * 2004-11-22 2012-11-07 三星電子株式会社 感知素子を内蔵した表示装置
JP4684046B2 (ja) * 2005-03-30 2011-05-18 三洋電機株式会社 表示装置
JP4338140B2 (ja) * 2005-05-12 2009-10-07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タッチパネル一体表示装置
KR101226440B1 (ko) * 2005-09-26 2013-01-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이를 구비한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터치 위치검출방법
JP4428359B2 (ja) * 2005-10-18 2010-03-10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1230309B1 (ko) * 2006-01-27 2013-02-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감지 신호 처리 장치
KR101383708B1 (ko) * 2007-03-27 2014-04-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184256B2 (en) * 2007-12-28 2012-05-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090075369A (ko) * 2008-01-04 2009-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표시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39670A3 (en) 2008-07-23
JP5075541B2 (ja) 2012-11-21
US9377645B2 (en) 2016-06-28
EP1939670A2 (en) 2008-07-02
JP2008165181A (ja) 2008-07-17
CN101211081B (zh) 2011-08-03
KR101349096B1 (ko) 2014-01-09
US20120188190A1 (en) 2012-07-26
EP1939670B1 (en) 2017-03-29
CN101211081A (zh) 2008-07-02
US20080158199A1 (en) 2008-07-03
US8284155B2 (en) 201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9096B1 (ko) 디스플레이장치
JP5240893B2 (ja) 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表示装置
KR101338011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7362393B2 (en) Four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JP5025281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感知部検査方法
KR100841153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US939583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having integrated pressure sensing units
US8884921B2 (en) Display device including touch sensor
US7889183B2 (en)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sensing unit and image data line arrangement
US20150185927A1 (en) Inpu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2356698B1 (ko) 인셀 터치 타입의 표시 장치
US10860128B2 (en) Touch display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KR20140000459A (ko)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20878A (ko) 표시 장치
CN112748818A (zh) 触摸显示装置和显示面板
CN105785675A (zh) 液晶显示器
KR20060070177A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20230133441A (ko) 디스플레이 일체형 터치 검출 장치
KR20080011598A (ko) 액정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
JP202306465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表示パネル、及び表示装置
KR20080048780A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6122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1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61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209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5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3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40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401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1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