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58168A - 토션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 Google Patents

토션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58168A
KR20080058168A KR1020070115939A KR20070115939A KR20080058168A KR 20080058168 A KR20080058168 A KR 20080058168A KR 1020070115939 A KR1020070115939 A KR 1020070115939A KR 20070115939 A KR20070115939 A KR 20070115939A KR 20080058168 A KR20080058168 A KR 200800581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ing
torsion spring
slide
coil
straight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5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06815B1 (ko
Inventor
마사유끼 미후네
기미아끼 이마이
Original Assignee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44127A external-priority patent/JP435012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44125A external-priority patent/JP4405501B2/ja
Application filed by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58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58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8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1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telephon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5/00Flexible or turnable line connectors, i.e. the rotation angle being limited
    • H01R35/02Flexible line connectors without frictional contac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토션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 있어서,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을 갖는 토션스프링(20)에,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와, 제 1 내지 제 3 직선부(23, 24, 25)를 배치한다. 제 1 코일부(21)의 일단을 제 1 직선부(23)로 연속시키는 동시에 타단을 제 2 직선부(24)의 일단으로 연속시킨다. 제 2 직선부(24) 타단을 제 2 코일부(22)의 일단으로 연속시키고, 제 2 코일부(22)의 타단을 제 3 직선부(25)로 연속시킨다. 또, 표면에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싱(2)과, 표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3)을 구성시키며,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플렉시블기판(11)으로 전기적 접속시키고, 슬라이드기구(4)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한다. 제 2 케이싱(3) 표면에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한 쌍의 레일부(12)를 구성시키고, 한 쌍의 레일부(12) 사이에 제 1 케이싱(2)이 제 2 케이싱(3)의 레일부(12) 위를 슬라이딩하는 것을 보조하는 2개의 코일부(21, 22)를 갖는 토션스프링(20)을 배치한다. 플렉시블기판(11)을 토션스프링(20)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한다.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토션스프링, 제 1 코일부, 제 2 코일부, 슬라이드기구, 레일부, 플렉시블기판

Description

토션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TORSION COIL SPRING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된 휴대전화기나 휴대통신단말 등에 이용되는 토션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 관한 것이다.
종래,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을 갖는 토션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5-174919호 공보에서, 토션스프링은, 전지팩 또는 건전지 수납부를 갖는 전자기기에 사용된다. 이 전자기기에 있어서, 상기 수납부는, 그 개구부를 개폐하는 덮개체를 갖는 것이며, 상기 덮개체는, 플레이트형 부재에 대하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형 부재는, 기기본체에 고정되는 본체측 부재에 힌지결합 됨과 더불어,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개구부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항상 힘이 작용하며, 상기 덮개체는, 상기 개구부를 폐쇄한 위치에서 슬라이드 동작시킨 위치에서 회전동작이 가능하고 또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90도 회전되어 열린 상태가 되며, 상기 덮개체가 열린 상태에서, 당해 덮개체가 상기 기기본체와 접촉하도록 하여 상기 덮개체를 직립시킨 상태로 유지하도록 구성된 다.
일본 특허공개 2006-206230호 공보의 토션스프링을 이용한 탄성구조에서는, 토션스프링과 이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을 받는 피탄성부재가 설치되는 설치본체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코일부를 수납하는 통형 구멍부를 형성하여 당해 통형 구멍부의 내벽 면에서 상기 코일부를 바깥 쪽에서 지지하고, 상기 설치본체에, 상기 토션스프링의 일단을 거는 걸침부를 형성함과 더불어, 상기 토션스프링의 타단을 상기 피탄성부재에 건다.
또, 종래 휴대단말은, 그 휴대성 확보를 위해, 가볍고 작게 할 필요가 있는 한편, 그 편의성 확보를 위해서는 표시부를 크게 하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
스트레이트형 휴대단말은, 표면에 나타나는 면적이 제한되고, 그 제한된 표면에 표시부와 조작부를 배치해야 하여, 표시부의 크기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없다. 폴더식 휴대단말은, 제 1 케이싱 표면에 표시부를, 제 2 케이싱 표면에 조작부를 각각 가지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은 힌지부에서 결합된다. 때문에 힌지부가 표시부의 장소를 취하므로 표시부가 차지하는 장소 확보에 장애가 된다. 이와 같이, 스트레이트형 휴대단말이나 폴더식 휴대단말에서는, 표시부를 최대한 크게 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근래 표시부를 크게 할 수 있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공개 2006-165854호 공보와 같이, 조작부를 갖는 제 1 케이싱과, 표시부를 갖는 제 2 케이싱과, 제 1 케이싱 및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결합수단을 갖는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가 알려져 있다. 이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는, 슬라이드 결합수단에 슬라이드 수지부재를 구성시키고, 이 슬라이드 수지부재와 대향하는 케이싱 쪽 대향면에 돌기부를 형성하여, 양 케이싱을 신장방향으로 슬라이드 시켰을 때, 양 케이싱이 겹치는 부분이 최소가 되는 신장단 부근에서는 슬라이드 수지부재와 돌기부가 압축상태로 접하도록 구성하여, 슬라이드 개폐 시의 개폐단에서의 스토퍼 충돌음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일본 특허공개 2005-174919호 공보 및 일본 특허공개 2006-206230호 공보와 같은 토션스프링은, 감김 수가 많고, 코일부의 높이가 높아져 얇은 스페이스에 설치할 수 없다.
한편, 얇은 스페이스에 토션스프링을 설치하고자 하면, 코일부를 동일 평면 내에 서서히 지름이 작아지도록 모기향 형태로 감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 필요한 탄성력을 얻기 위해서는, 코일부의 바깥지름이 커져 설치스페이스를 크게 취하므로, 휴대전화기와 같은 소형 휴대단말의 탄성구조에 배치하기는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특허공개 2006-165854호 공보와 같은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서는,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플렉시블기판 포함)의 배선을 적절히 하지 않으면 슬라이드 조작 시 방해가 된다. 때문에,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없거나, 신호선이 엉키는 것을 막기 위해 슬라이드 양이 작아져 조작부가 작아지거나 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제 1 목적은, 토션스프링을 얇은 스페이스에 배치 가능하며 또 장소를 차지하지 않는, 코일부 높이 및 바깥지름이 작은 것으로 하는 것이다.
또, 제 2 목적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신호선과,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딩을 보조하는 토션스프링의 구성에 변형을 줌으로써, 신호선 배선을 용이하게 하고, 신호선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제 1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에서는, 토션스프링에 2개의 코일부를 구성시킨다.
구체적으로 제 1 발명에서는,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을 갖는 토션스프링을 전제로 하며, 상기 토션스프링은, 제 1 및 제 2 코일부와, 제 1 내지 제 3 직선부를 가지며, 상기 제 1 코일부의 일단은 상기 제 1 직선부로 연속되는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 2 직선부로 연속되고, 상기 제 2 직선부 타단은 상기 제 2 코일부로 연속되며, 상기 제 2 코일부의 타단은 상기 제 3 직선부로 연속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2 직선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코일부가 연결되고, 제 1 및 제 3 직선부에 힘을 가하면 비틀림 각도가 바뀌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 의해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이 발생한다. 2개의 코일부를 배치함으로써, 1개의 코일부만 가진 것에 비해 각각의 코일부 비틀림 각도는 1/2로 충분하다. 이로써 동등한 비틀림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1개의 코일부에 의한 경우에 비해 코일부 크기가 작아진다.
제 2 발명에서는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는, 각각 상기 제 2 직선부의 단부에서 서서히 반경이 작아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코일부를 모기향 형태로 감음으로써 그 높이가 낮아지고, 또,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음으로써 2개의 코일부가 제 1 및 제 3 직선부에 개재된 영역에 배치되므로, 토션스프링 전체의 크기가 작아진다.
제 3 발명에서는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의 최대지름부와 최소지름부는, 상기 제 2 직선부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또, 제 1 코일부의 최소지름부에서 제 1 직선부로, 제 2 코일부의 최소지름부에서 제 3 직선부로, 각각 상기 동일 평면에서 떨어지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 연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서 제 1 또는 제 3 직선부로 연속되는 부분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전체 높이가 억제되어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배치가 가능하다.
제 4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3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의 선단에는 제 1 환상부가 형성되며, 제 3 직선부의 선단에는 제 2 환상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3 직선부 선단을 핀에 삽입함으로써, 제 1 및 제 2 환상부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이 적당히 회전하여, 2개 부재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서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직선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동일 평면 쪽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 2 환상부는 이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환상부와 제 2 환상부는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슬라이드 이동되는 2개 물체 사이의 틈새에 토션스프링을 배치할 때, 한쪽에 제 1 환상부가, 다른 쪽에 제 2 환상부가 각각 용이하게 배치된다.
제 6 발명에서는 제 1 내지 제 5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토션스프링은, 스프링용 스테인리스 강선으로 구성된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내부식성이 우수한 토션스프링을 사용함으로써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제 2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이 발명에서는, 신호선과, 제 1 케이스의 슬라이드를 보조하는 토션스프링의 배치에 변형을 주었다.
구체적으로 제 7 발명에서는, 상기 제 1 발명의 토션스프링을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을 대상으로 하며, 이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은, 표면에 표시부를 갖는 제 1 케이싱과, 표면에 조작부를 갖는 제 2 케이싱과,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기판과, 상기 제 2 케이싱 표면에 상기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와, 상기 토션스프링을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하는 슬라이드기구 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스프링은, 상기 한 쌍의 레일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케이싱이 상기 조작부가 나타나도록 슬라이딩 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과, 슬라이딩 후 원래 위치로 슬라이딩 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의 적어도 한쪽을 행하고, 상기 플렉시블기판은, 상기 토션스프링 근방에 이 토션스프링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구성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토션스프링은, 제 2 직선부에 의해 제 1 및 제 2 코일부가 연결되고, 제 1 및 제 3 직선부에 힘을 가하면 비틀림 각도가 바뀌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 의해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이 발생한다. 2개의 코일부를 배치함으로써, 1개의 코일부만 가진 것에 비해 각 코일부의 비틀림 각도는 1/2로 충분하다. 이로써, 동등한 비틀림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1개의 코일부에 의한 경우에 비해 코일부 크기가 작아진다.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배치한 레일부를 따라 이동시키면, 제 2 케이싱의 조작부가 나타나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 때, 토션스프링이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므로, 슬라이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또,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기판이 토션스프링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또 코일부 크기가 작아지므로, 제 1 케이싱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도 플렉시블기판이 쉽게 토션스프링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양이 커진다.
제 8 발명에서는 제 7 발명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기판은, 상기 제 1 케이 싱에서 제 2 케이싱으로, 절곡부가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에 맞추어 유연성을 구비한 플렉시블기판이, 절곡부가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유지한 채 원활하게 변형되므로,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양이 더욱 커진다.
제 9 발명에서는 제 7 또는 제 8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 전체 슬라이드 위치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토션스프링의 비틀림 각도가 최소가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이 중간위치를 벗어나면,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이 원래로 돌아가려 하므로, 어느 방향으로도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조된다.
제 10 발명에서는 제 9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위치까지의 제 1 슬라이드 양은, 이 중간위치에서 상기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 종점까지의 제 2 슬라이드 양보다 작아진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 1 케이싱을 제 1 슬라이드 양보다 약간 많이 이동시키면, 힘을 가하지 않아도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조작부가 나타나도록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조작부가 완전히 나타난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 종점에서 제 1 케이싱을 제 2 슬라이드 양보다 약간 많이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힘을 가하지 않아도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이 제 2 케이싱에 중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제 1 슬라이드 양이 제 2 슬라이드 양보다 작으므로, 제 1 케이 싱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를 사용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양이,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중첩시켜 대기상태로 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양보다 작아진다. 이로써, 특히 제 1 케이싱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를 사용하는 것이 용이하다.
제 11 발명에서는 제 7 내지 제 10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 선단에는 제 1 환상부가 형성되며, 제 3 직선부 선단에는 제 2 환상부가 형성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3 직선부 선단을 핀에 삽입함으로써, 토션스프링이 적당히 회전하므로, 제 1 케이싱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도 용이하게 플렉시블기판이 토션스프링에 접촉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양이 더욱 커진다.
제 12 발명에서는 제 1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의 제 1 환상부는 제 1 케이싱의 측면 근방에, 상기 제 3 직선부의 제 2 환상부는 제 2 케이싱의 반대쪽 측면 근방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위치결정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토션스프링이 한 쌍의 레일부 사이에서, 그 제 3 직선부의 제 2 환상부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제 1 직선부의 제 1 환상부가 이동하여 플렉시블기판을 피하면서 회전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양이 더욱 커진다.
제 13 발명에서는 제 1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의 최대지름부와 최소지름부는, 상기 제 2 직선부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또, 제 1 코 일부의 최소지름부에서 제 1 직선부로, 제 2 코일부의 최소지름부에서 제 3 직선부로, 각각 상기 동일 평면에서 떨어지는 동일방향으로 돌출 연속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서 제 1 또는 제 3 직선부로 연속되는 부분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서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전체 높이가 제어되어 좁은 스페이스에서도 배치가 가능하다.
제 14 발명에서는 제 1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3 직선부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동일 평면 쪽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 2 환상부는 이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환상부와 제 2 환상부는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 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 사이의 틈새에 토션스프링을 배치할 때, 제 1 케이싱에 제 1 환상부가, 제 2 케이싱에 제 2 환상부가 각각 용이하게 설치된다.
제 15 발명에서는 제 7 내지 제 14 발명 중 어느 한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은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인 것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여 표시부 및 조작부를 크게 유지하면서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므로, 휴대성 및 조작성 좋은 휴대전화기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목적 및 기타의 목적과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토션스프링에 2개의 코일부를 구 성시키고, 동등한 비틀림 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1개의 코일부에 의한 경우에 비해 코일부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을 좁은 스페이스에도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발명에 의하면, 2개의 코일부를 제 1 및 제 3 직선부에 개재된 영역에 배치하여, 토션스프링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을 좁은 스페이스에 배치하기가 보다 쉬워진다.
상기 제 3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서 제 1 또는 제 3 직선부로 연속되는 부분을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켜 전체 높이를 억제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을 두께가 얇은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다.
상기 제 4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3 직선부 선단에 환상부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3 직선부 선단을 핀에 삽입하여 토션스프링이 적당히 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써, 2개의 물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 환상부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이 회전하므로,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제 5 발명에 의하면, 제 1 환상부와 제 2 환상부를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시키고, 한쪽 물체에 제 1 환상부를, 다른 쪽 물체에 제 2 환상부를 각각 용이하게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의 배치가 용이하다.
상기 제 6 발명에 의하면, 토션스프링을 스프링용 스테인리스강선으로 구성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내구성 높은 토션스프링이 얻어진다.
상기 제 7 발명에 의하면, 제 2 케이싱 표면에 한 쌍의 레일부를 형성하고, 2개의 코일부를 갖는 토션스프링에 의해, 제 1 케이싱이 레일부 위를 슬라이드 이 동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함과 더불어,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기판을 토션스프링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 플렉시블기판이 토션스프링에 접촉하지 않아,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할 수 있어, 표시부 및 조작부가 크고, 조작성이 좋은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8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기판을 제 1 케이싱에서 제 2 케이싱으로 절곡부가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에 맞추어 원활하게 변형되도록 한다. 이로써, 확실하게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여 조작부를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 9 발명에 의하면, 제 1 케이싱 전체 슬라이드 위치의 중간위치에서 토션스프링의 비틀림 각도를 최소로 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조작을 어느 방향으로도 원터치 조작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0 발명에 의하면, 제 1 케이싱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를 사용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양을, 제 1 케이싱을 제 2 케이싱에 중첩시켜 대기상태로 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양보다 작게 한다. 이로써, 매우 용이하게 제 1 케이싱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조작성 좋은 휴대전자기기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제 11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3 직선부 선단에 환상부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3 직선부 선단을 핀에 삽입하여 토션스프링이 적당히 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 토션스프링이 플렉시블기판을 피하므로, 확실하게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2 발명에 의하면, 제 1 직선부의 제 1 환상부를 제 1 케이싱 측면 근방에, 제 3 직선부의 제 2 환상부를 제 2 케이싱의 반대쪽 측면 근방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여, 토션스프링을 한 쌍의 레일부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이 플렉시블기판을 피하면서 회전하므로, 확실하게 플렉시블기판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3 발명에 의하면, 제 1 및 제 2 코일부에서 직선부로 연속되는 부분을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켜 전체 높이를 제어한다. 이로써,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의 두께가 억제되어 그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14 발명에 의하면, 제 1 환상부와 제 2 환상부를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시켜, 제 1 케이싱에 제 1 환상부를, 제 2 케이싱에 제 2 환상부를 각각 용이하게 구성시키도록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의 배치가 용이하다.
상기 제 15 발명에 의하면, 플렉시블기판이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지 않도록 하여, 표시부 및 조작부를 크게 유지하면서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휴대성 및 조작성 좋고 상품성 높은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를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도 11 내지 도 13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토션스프링(20)을 나타내며, 이 토션스프링(20)은, 스프링용 스테인리스강선(예를 들어, SUS304WPA나 SUS304WPB)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내부식성이 우수하여 내구성이 향상된다. 이 토션스프링(20)은,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와, 제 1 내지 제 3 직선부(23, 24, 25)를 갖는다. 제 1 코일부(21)의 일단은 제 1 직선부(23)로 연속됨과 더불어, 타단은 제 2 직선부(24)로 연속된다. 제 2 직선부(24)의 타단은 제 2 코일부(22)로 연속되며, 제 2 코일부(22)의 타단은 상기 제 3 직선부(25)로 연속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직선부(23)는, 제 3 직선부(25)보다 긴 것으로 구성되나, 동일 길이라도 된다.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는, 그 최대지름부(21a, 22a)와 제 2 직선부(24)가 각각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된다.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의 최소지름부(21b, 22b)와 최대지름부(21a, 22a)는, 상기 제 2 직선부(24)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또 제 1 코일부(21)의 최소지름부(21b)로부터 제 1 직선부(23)로, 제 2 코일부(22)의 최소지름부(22b)로부터 제 3 직선부(25)로, 각각 상기 동일 평면에서 떨어지는 동일 방향(표면 쪽)으로 돌출 연속된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에서 제 1 또는 제 3 직선부(23, 25)로 연속되는 부분이 동일 방향으로 돌출되므로, 전체 높이가 제어되어 얇은 스페이스에서도 배치가 가능해진다.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는, 각각 제 2 직선부(24) 단부로부터 서서히 반지름이 작아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긴다. 이로써, 2개의 코일부(21, 22)가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에 개재된 영역에 배치되므로, 토션스프링(20) 전체의 크기가 작아진다.
상기 제 1 직선부(23)의 선단은 절곡되어 제 1 환상부(26)가 형성되고, 제 3 직선부(25)의 선단도 절곡되어 제 2 환상부(27)가 형성된다.
또한, 제 3 직선부(25)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동일 평면 쪽으로 만곡되며, 제 2 환상부(27)는 이 평면 내에 배치되고, 제 1 환상부(26)와 제 2 환상부(27)는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 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2)에 제 1 환상부(26)가, 제 2 케이싱(3)에 제 2 환상부(27)가 각각 용이하게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토션스프링(20)은,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에 힘을 가하면 비틀림 각도가 변하여,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에 의해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이 발생한다. 2개의 코일부(21, 22)를 배치함으로써, 1개의 코일부 밖에 없는 것에 비해, 각각의 코일부 비틀림 각도는 1/2로 충분하다. 이로써, 동등한 비틀림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1개의 코일부에 의한 경우에 비해 코일부(21, 22) 크기가 작아진다.
-사용 예-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토션스프링의 사용 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토션스프링이 구성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이 상단으로 슬라이딩된 양상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이다. 도 4는, 토션스프링이 보이도록 한, 도 1 상당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의 도 4 또는 도 2 상당도이다. 도 3은, 도 5의 III-III선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는, 상하방향으로 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구비한다. 백색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은, 슬라이드기구(4)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된다.
제 1 케이싱(2)은, 그 표면에 상하방향으로 긴 종형 표시부(5)를 가지며, 그 표시부(5) 위쪽에 수화부(6)가 구성된다. 표시부(5)는, 액정디스플레이라도 되고, 유기EL디스플레이라도 된다.
제 2 케이싱(3)은, 그 표면의 중앙에서 아래쪽 부분에 조작부(7)를 갖는다. 그 조작부(7)에는, 예를 들어 기능버튼(8)과 번호버튼(9)이 배치된다. 조작부(7) 아래쪽에 송화부(10)가 배치된다.
도 2에 단면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은 후술하는 플렉시블기판(11)(2점쇄선으로 표시)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 2 케이싱(3) 표면의 좌우단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도록 한 쌍의 레일부(12)가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레일부(12)는, 제 2 케이싱(3)의 좌우 중앙에서, 외측을 향해 오목해지도록 홈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 1 케이싱(2) 이면 쪽의 뒤쪽 캐비넷(2a)에는, 이 한 쌍의 레일부(12) 내로 삽입되는, 상하방향으로 긴 로크부(locking part)(13)가 좌우방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 로크부(13)를 레일부(12) 내에 삽입시킴으로써, 제 1 케이싱(2)이 안정되게 제 2 케이싱(3)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또, 도 3에서 제 1 케이싱(2)은, 뒤쪽 캐비넷(2a)만 나타내고, 도 4 등에서는, 보기 쉽게 하기 위하여 제 1 케이싱(2)은 2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제 2 케이싱(3)의 표면 조작부(7) 등은 생략한다.
상기 한 쌍의 레일부(12) 사이에는, 토션스프링(20)이 배치된다. 토션스프링(20)은, 제 1 케이싱(2)이 제 2 케이싱(3) 상단 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보조하는 동시에, 슬라이드 후 원래 위치로(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기구(4)는, 이들 한 쌍의 레일부(12)와 토션스프링(20)으로 구성된다. 표면에서 보아 제 1 케이싱(2)의 측면 근방, 즉, 뒤쪽 캐비넷(2a) 이면 쪽의 상하방향 중앙부 왼쪽에는, 제 1 스프링 고정핀(29)이 제 2 케이싱(3) 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마찬가지로 표면에서 보아 제 2 케이싱(3)의 반대쪽 측면 근방, 즉, 표면 쪽 상하방향 중앙보다 위쪽이면서 오른쪽에는, 제 2 스프링 고정핀(30)이 제 1 케이싱(2) 쪽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된다. 제 1 환상부(26)는, 제 1 스프링 고정핀(29)에 회전 자유롭게 위치 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 2 환상부(27)는, 제 2 스프링 고정핀(30)에 회전 자유롭게 위치 결정된다.
그리고, 토션스프링(20)은, 제 1 케이싱(2) 전체 슬라이드 위치의 중간위치(도 5 및 도 6에 도시)에서, 상기 토션스프링(20)의 비틀림 각도가 최소로 되도록 배치된다.
도 4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플렉시블기판(11)은, 토션스프링(20)의 아래쪽에 이 토션스프링(20)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된다. 여기서 도 4에는, 토션스프링(20) 사이에 개재된 플렉시블기판(11) 부분을 2점쇄선으로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제 1 케이싱(2) 내부의 표시부(5) 배면 쪽에는 표시부 쪽 기판(18)이 배치되고, 제 2 케이싱(3) 내부에는 조작부 쪽 기판(19)이 배치된다. 플렉시블기판(11)은 종형의 사각형상을 가지며, 긴 쪽 방향이 상하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일단(11a)이 표시부 쪽 기판(18)에 접속되고, 타단(11b)이 조작부 쪽 기판(19)에 접속된다. 플렉시블기판(11)은 적당한 유연성을 가지며, 구부리면 그 절곡부(11c)가 만곡되어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이 되는 성질을 갖는다. 이로써 플렉시블기판(11)은, 제 1 케이싱(2)에서 제 2 케이싱(3)으로, 절곡부(11c)가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작용-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의 슬라이드 조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기상태에서는, 제 1 케이싱(2)이 제 2 케이싱(3)과 중첩된 상태이다. 토션스프링(20)의 형상은, 평면적으로 보아 2개의 코일부(21, 22)가 좌우 거의 같은 높이로 나열된다. 제 2 코일부(22) 아래쪽에 토션스프링(20)과 거리를 유지하고 플렉시블기판(11)이 배치된다. 플렉시블기판(11)의 절곡부(11c)는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유지한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을 위쪽으로 약간 슬라이딩시킨다. 이 때, 제 1 케이싱(2)은 제 2 케이싱(3)에 설치된 레일부(12)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다. 제 2 환상부(27)는 정해진 위치에 있으며 제 2 스프링 고정핀(30)을 중심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제 1 환상부(26)가 제 1 스프링 고정핀(29)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위쪽으로 이동한다. 토션스프링(20)의 형상은, 제 1 코일부(21)가 제 2 코일부(22)보다 위쪽에 위치하며, 전체적으로 산(山) 형상이 된다. 플렉시블기판(11)도 절곡부(11c)는 U자형을 유지한 채, 토션스프링(20) 아래쪽으로 거리를 유지하고 슬라이딩한다. 토션스프링(20)의 비틀림 각은, 자유형상(load free)보다 축소되므로 그 탄성력에 저항하여 제 1 케이싱(2)을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을 더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조작부(7)가 서서히 나타나며,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 중간위치에 도달한다. 토션스프링(20)의 형상은, 제 1 코일부(21)가 더 오른쪽 위로 이동한다. 플렉시블기판(11)도 절곡부(11c)가 U자형을 유지한 채, 토션스프링(20) 안쪽으로 거리를 유지하고 슬라이딩한다. 이 때, 토션스프링(20)의 비틀림 각이 가장 작아져, 가장 큰 탄성에너지가 축적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2)이 중간위치에서 상하 어느 한쪽 방향으로 벗어나면, 압축되었던 토션스프링(20)이 원래상태로 돌아가려 하므로, 어느 방향으로도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이 보조된다.
다음에 제 1 케이싱(2)을 더 위쪽으로 이동시키면, 토션스프링(20)이 압축된 상태에서 자유형상으로 돌아가고자 하여,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한다. 그러면,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케이싱(2)이 제 2 케이싱(3) 상단 쪽으로 이동하고, 조작부(7)가 완전히 나타나 조작부(7)의 조작이 가능 해지며 또 통화가 가능해진다. 토션스프링(20)의 형상은, 제 1 코일부(21)가 제 2 코일부(22) 위쪽으로 이동하여,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가 오른쪽 끝단에 위치한다. 플렉시블기판(11)도 절곡부(11c)는 U자형을 유지한 채, 토션스프링(20) 안쪽으로 거리를 두고 유지된다.
역으로 제 1 케이싱(2)을 제 2 케이싱(3)과 중첩시킬 때는 상기와 역 조작이 된다.
이와 같이, 토션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2)을 손으로 약간 슬라이딩시킨 후 손을 떼면 슬라이드 전 상태로 돌아오고자 하나, 손으로 크게 슬라이딩시켜 중간위치를 지난 후 손을 떼면 제 1 케이싱(2)이 슬라이딩된다. 즉, 토션스프링(20)이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을 어느 쪽 방향으로도 보조하므로, 원터치로 슬라이드 조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플렉시블기판(11)이, 토션스프링(20)에서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며, 또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의 크기가 작아지므로, 제 1 케이싱(2)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도 플렉시블기판(11)은 토션스프링(20)에 접촉하지 않는다.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 선단을 제 1 또는 제 2 고정핀(29, 30)에 삽입함으로써, 토션스프링(20)이 플렉시블기판(11)을 피하면서 회전하므로, 제 1 케이싱(2)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도 플렉시블기판(11)이 토션스프링(20)에 접촉하는 일은 없다.
-실시예의 효과-
따라서, 본 실시예에 관한 토션스프링(20)에 2개의 코일부(21, 22)를 구성시 켜, 동등한 비틀림 각을 발생시키기 위해 1개의 코일부에 따른 경우에 비해 코일부(21, 22)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20)을 좁은 스페이스에도 배치할 수 있다.
또, 2개의 코일부(21, 22)를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 사이에 개재된 영역에 배치하여, 토션스프링(20) 전체의 크기를 작게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20)을 좁은 스페이스에 배치하기가 보다 쉬워진다.
또한,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에서 제 1 또는 제 3 직선부(23, 25)로 연속되는 부분을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켜 전체 높이를 억제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20)을 두께가 얇은 스페이스에 배치할 수 있다.
또,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 선단에 제 1 또는 제 2 환상부(26, 27)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 선단을 핀에 삽입하여 토션스프링(20)이 적당히 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써, 2개의 물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킬 때 제 1 및 제 2 환상부(26, 27)를 중심으로 토션스프링(20)이 회전하므로, 슬라이드 조작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환상부(26)와 제 2 환상부(27)를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 시켜, 한쪽 물체에 제 1 환상부(26)를, 다른 쪽 물체에 제 2 환상부(27)를 각각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20)의 배치가 용이하다.
그리고, 토션스프링(20)을 스프링용 스테인리스강선으로 구성하여 내부식성을 향상시킨다. 이로써, 내구성 높은 토션스프링(20)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관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에 의하면, 제 2 케이싱(3) 표면에 한 쌍의 레일부(12)를 배치하고, 2개의 코일부(21, 22)를 갖는 토션스프링(20)에 의해 제 1 케이싱(2)이 레일부(12) 위를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도록 함과 더불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기판(11)을 토션스프링(20)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함으로써, 제 1 케이싱(2)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 플렉시블기판(11)이 토션스프링(20)과 접촉하지 않아, 플렉시블기판(11)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이 방지되므로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할 수 있어, 표시부(5) 및 조작부(7)가 크고 휴대성 및 조작성이 좋으며 상품성 높은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를 얻을 수 있다.
플렉시블기판(11)을, 제 1 케이싱(2)에서 제 2 케이싱(3)으로 절곡부(11c)가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여,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에 맞추어 원활하게 변형되도록 한다. 이로써, 확실하게 플렉시블기판(11)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고 조작부(7)를 크게 유지할 수 있다.
제 1 케이싱(2) 전체 슬라이드 위치의 중간위치에서 토션스프링(20)의 비틀림 각도를 최소로 하여, 어느 방향으로도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을 보조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조작을 어느 방향으로도 원터치로 행할 수 있다.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 선단에 제 1 및 제 2 환상부(26, 27)를 형성하고, 제 1 및 제 3 직선부(23, 25) 선단을 핀에 삽입하여 토션스프링(20)이 적당하게 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2)이 슬라이드 이동할 때 토션스프 링(20)이 플렉시블기판(11)을 피하므로, 확실하게 플렉시블기판(11)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환상부(26)를 제 1 케이싱(2)의 측면 근방에, 제 2 환상부(27)를 제 2 케이싱(3) 반대쪽 측면 근방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위치 결정하고, 토션스프링(20)이 한 쌍의 레일부(12) 사이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20)이 플렉시블기판(11)을 피하면서 회전하므로, 플렉시블기판(11)이 슬라이드 조작을 방해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로부터 제 1 또는 제 3 직선부(23, 25)로 연속되는 부분을 동일 방향으로 돌출시켜 전체 높이를 억제한다. 이로써,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의 두께가 억제되어 그 휴대성을 확보할 수 있다.
제 1 환상부(26)와 제 2 환상부(27)를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시키고, 제 1 케이싱(2)에 제 1 환상부(26)를, 제 2 케이싱(3)에 제 2 환상부(27)를 각각 용이하게 구성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로써, 토션스프링(20)의 배치가 용이하다.
-실시형태의 변형예-
도 14 내지 도 16에 본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휴대전화기(101)를 나타낸다.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이 중첩된 상태(도 14에 도시)에서 중간위치(도 15에 도시)까지의 제 1 슬라이드 양(A)은, 중간위치에서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 종점(도 16에 도시)까지의 제 2 슬라이드 양(B)보다 작아진다(A<B). 전체 슬라이드 양(C)은, C=A+B가 된다. 여기서, 도 14 내지 도 16에 있어서, 휴대전화기(101)는, 토션스프링(20)을 보기 쉽도록 간략화시켜 도시한다.
즉,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이 중첩된 상태에서 제 1 케이싱(2)을 제 1 슬라이드 양(A)보다 약간 많이 이동시키면, 힘을 가하지 않아도 토션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2)이 조작부(7)가 나타나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마찬가지로 조작부(7)가 완전히 나타난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 종점에서 제 1 케이싱(2)을 제 2 슬라이드 양보다 약간 많이 슬라이드 이동시키면, 힘을 가하지 않아도 토션스프링(2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케이싱(2)이 제 2 케이싱(3)에 중첩된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 때, 제 1 슬라이드 양(A)이 제 2 슬라이드 양(B)보다 작으므로, 제 1 케이싱(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7)를 사용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양(A+C/2)이, 제 1 케이싱(2)을 제 2 케이싱(3)에 중첩시켜 대기상태로 하는 경우의 슬라이드 양(B+C/2)보다 작아진다. 이로써, 특히 제 1 케이싱(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7)를 사용하기가 용이하다.
따라서, 매우 용이하게 제 1 케이싱(2)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조작부(7)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보다 조작성 좋은 휴대전화기(101)가 얻어진다.
[그 밖의 실시예]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즉, 도시하지는 않으나, 제 1 케이싱의 표면 아래쪽에 제 2 조작부를 배치해도 된다. 이로써,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중첩시킨 상태에서 제 2 조작부의 조작이 가능해져, 표시부(5)를 횡형상태로 하고 제 2 조작부 조작도 가능해진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양을 크게 하여 조작 부(7)를 크게 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제 2 조작부를 구성시킬 필요는 없다.
상기 실시예에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는, 상하방향으로 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구비하는 것으로 했으나, 좌우방향으로 긴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구비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 표시부는 횡형이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슬라이드식 휴대기기는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로 했으나, PHS, PDA, PC, 모바일 도구, 전자사전, 전자계산기, 복사기 등이라도 된다.
그리고, 이상의 실시예는, 본질적으로 바람직한 예시이며, 본 발명, 그 적용물이나 용도 범위의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토션스프링이 사용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이 상단으로 슬라이딩된 양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도 1의 II-II선 단면도.
도 3은, 도 5의 III-III선 단면도.
도 4는, 토션스프링이 보이도록 한 도 1 상당도.
도 5는,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중간위치에 있는 도중의 양상을 나타낸 도 4 상당도.
도 6은,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중간위치에 있는 도중의 양상을 나타낸 도 2 상당도.
도 7은,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도중의 양상을 나타낸 도 4 상당도.
도 8은, 제 1 케이싱의 슬라이드 도중의 양상을 나타낸 도 2 상당도.
도 9는,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 4 상당도.
도 10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 2 상당도.
도 11은, 토션스프링의 사시도.
도 12는, 토션스프링의 평면도.
도 13은, 토션스프링의 측면도.
도 14는, 실시예의 변형예에 관한 휴대전화기의 제 1 케이싱이 상단으로 슬라이딩된 양상을 나타내며, (a)가 정면도이고, (b)가 측면도.
도 15는, 제 1 케이싱이 슬라이드 중간위치에 있는 양상을 나타낸 도 14 상 당도.
도 16은, 제 1 케이싱과 제 2 케이싱이 중첩된 상태를 나타낸 도 14 상당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01 :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슬라이드식 휴대단말)
2 : 제 1 케이싱 3 : 제 2 케이싱
4 : 슬라이드기구 5 : 표시부
7 : 조작부 11 : 플렉시블기판
11c : 절곡부 12 : 레일부
20 : 토션스프링 21 : 제 1 코일부
21a, 22a : 최대지름부 21b, 22b : 최소지름부
22 : 제 2 코일부 23 : 제 1 직선부
24 : 제 2 직선부 25 : 제 3 직선부
26 : 제 1 환상부 27 : 제 2 환상부

Claims (15)

  1. 비틀림 방향으로 신축력을 갖는 토션스프링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와,
    제 1 내지 제 3 직선부(23, 24, 25)를 가지며,
    상기 제 1 코일부(21)의 일단은 상기 제 1 직선부(23)로 연속되는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 2 직선부(24)의 일단으로 연속되고,
    상기 제 2 직선부(24) 타단은 상기 제 2 코일부(22)의 일단으로 연속되며,
    상기 제 2 코일부(22)의 타단은 상기 제 3 직선부(25)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는, 각각 상기 제 2 직선부(24)의 단부에서 서서히 반경이 작아지도록 서로 반대방향으로 감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의 최대지름부(21a, 22a)와 최소지름부(21b, 22b)는, 상기 제 2 직선부(24)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또, 제 1 코일부(21)의 최소지름부(21b)에서 제 1 직선부(23)로, 제 2 코일부(22)의 최소지름 부(22b)에서 제 3 직선부(25)로, 각각 상기 동일 평면에서 떨어지는 같은 방향으로 돌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
  4.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23)의 선단에는 제 1 환상부(26)가 형성되며, 제 3 직선부(25)의 선단에는 제 2 환상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 3 직선부(25)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동일 평면 쪽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 2 환상부(27)는 이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환상부(26)와 제 2 환상부(27)는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
  6.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프링용 스테인리스강선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션스프링.
  7. 상기 청구항 1의 토션스프링(20)을 구비한 슬라이드식 휴대단말에 있어서,
    표면에 표시부(5)를 갖는 제 1 케이싱(2)과,
    표면에 조작부(7)를 갖는 제 2 케이싱(3)과,
    상기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플렉시블기판(11)과,
    상기 제 2 케이싱(3) 표면에 상기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이어지는 한 쌍의 레일부(12)와, 상기 토션스프링(20)을 가지며, 상기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연결하는 슬라이드기구(4)를 구비하고,
    상기 토션스프링(20)은, 상기 한 쌍의 레일부(12)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 1 케이싱(2)이 상기 조작부(7)가 나타나도록 슬라이딩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과, 슬라이딩 후 원래 위치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의 적어도 한쪽을 행하고,
    상기 플렉시블기판(11)은, 상기 토션스프링(20) 근방에 이 토션스프링(20)으로부터 소정 거리를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플렉시블기판(11)은, 상기 제 1 케이싱(2)에서 제 2 케이싱(3)으로, 절곡부(11c)가 측면에서 보아 U자형을 형성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2) 전체 슬라이드 위치의 중간위치에서, 상기 토션스프링(20)의 비틀림 각도가 최소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 1 케이싱(2)과 제 2 케이싱(3)이 중첩된 상태에서 상기 중간위치까 지의 제 1 슬라이드 양은, 이 중간위치에서 상기 제 1 케이싱(2)의 슬라이드 이동 종점까지의 제 2 슬라이드 양보다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1. 청구항 7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23) 선단에는 제 1 환상부(26)가 형성되며, 제 3 직선부(25) 선단에는 제 2 환상부(27)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 1 직선부(23)의 제 1 환상부(26)는 제 1 케이싱(2)의 측면 근방에, 상기 제 3 직선부(25)의 제 2 환상부(27)는 제 2 케이싱(3)의 반대쪽 측면 근방에 각각 회전 자유롭게 위치결정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코일부(21, 22)의 최대지름부(21a, 22a)와 최소지름부(21b, 22b)는, 상기 제 2 직선부(24)와 동일 평면 내에 배치되며, 또, 제 1 코일부(21)의 최소지름부(21b)에서 제 1 직선부(23)로, 제 2 코일부(22)의 최소지름부(22b)에서 제 3 직선부(25)로, 각각 상기 동일 평면에서 떨어지는 동일방향으로 돌출, 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 3 직선부(25)는, 측면에서 보아 상기 동일 평면 쪽으로 만곡되며, 상기 제 2 환상부(27)는 이 평면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 1 환상부(26)와 제 2 환상부(27)는 측면에서 보아 오프셋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15. 청구항 7에 있어서,
    슬라이드식 휴대전화기(1, 1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20070115939A 2006-12-21 2007-11-14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10068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44127A JP4350123B2 (ja) 2006-12-21 2006-12-21 捩りコイルバネ
JPJP-P-2006-00344127 2006-12-21
JPJP-P-2006-00344125 2006-12-21
JP2006344125A JP4405501B2 (ja) 2006-12-21 2006-12-21 スライド式携帯機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58168A true KR20080058168A (ko) 2008-06-25
KR101006815B1 KR101006815B1 (ko) 2011-01-10

Family

ID=39203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5939A KR101006815B1 (ko) 2006-12-21 2007-11-14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941192B2 (ko)
EP (1) EP1936925B1 (ko)
KR (1) KR101006815B1 (ko)
AT (1) ATE523031T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82B1 (ko) * 2009-09-25 2012-03-16 (주)나라테크놀로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스프링
WO2022014908A1 (ko)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93956B2 (en) 2020-07-14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US11860694B2 (en) 2020-07-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80652A1 (en) * 2006-01-25 2007-08-09 Makoto Miyamoto Opening and closing device
US7583989B2 (en) * 2006-04-18 2009-09-01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Sliding-type hinge
CN101472430B (zh) * 2007-12-24 2011-12-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
TWM341382U (en) * 2008-04-23 2008-09-21 Mobinnova Corp Housing structure
TWM348430U (en) * 2008-05-28 2009-01-01 Micro Star Int Co Ltd Sliding-type mechanism with a semi-automatic opening function
CN101636061A (zh) * 2008-07-25 2010-01-27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开合机构
US8781540B2 (en) * 2008-08-25 2014-07-15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7809415B2 (en) * 2008-09-08 2010-10-05 Chin-Fu Horng Coupling structure of sliding type
KR101604703B1 (ko) * 2008-09-26 2016-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N101730424A (zh) * 2008-10-10 2010-06-0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具有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5257199B2 (ja) * 2009-03-30 2013-08-07 富士通株式会社 携帯機器
US20100331062A1 (en) * 2009-06-30 2010-12-30 Nokia Corporation Microslide
US8862190B2 (en) * 2010-02-15 2014-10-14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upper housing and cover plate therefor
CA141527S (en) * 2011-02-15 2012-03-09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USD665763S1 (en) * 2011-07-15 2012-08-21 Chi Mei Communication Systems, Inc. Mobile phone
USD756324S1 (en) * 2014-06-06 2016-05-17 Hzo, Inc. Mobile telephone
USD754625S1 (en) * 2014-06-06 2016-04-26 Hzo, Inc. Mobile telephone
USD774486S1 (en) * 2015-01-05 2016-12-20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USD774487S1 (en) * 2015-01-05 2016-12-20 Blackberry Limited Electronic device
US11405496B2 (en) * 2019-07-02 2022-08-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tation camera
US11181140B1 (en) * 2020-07-31 2021-11-23 G. Joseph Ring Dual clevis pin retainer spring assembly and kit
CN115529776A (zh) * 2021-06-25 2022-12-2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一种滑轨机构、伸缩屏结构及电子设备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779251U (de) 1958-10-20 1958-12-11 Hans Mertens & Co Federn Und M Flachfeuerelement und daraus hergestellte druckfeder.
JPS4884251A (ko) 1972-02-15 1973-11-09
JPS5237140A (en) 1975-09-17 1977-03-22 Kenji Okamoto Magic rod
JPS5825940B2 (ja) 1976-04-19 1983-05-3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冷房、除湿、乾燥装置
JPS59130303A (ja) 1983-01-17 1984-07-26 上野 靖弘 弾性部材
JPS60121217U (ja) 1984-01-24 1985-08-15 松下電工株式会社 キツクばね
JPS63187742U (ko) 1987-05-25 1988-12-01
JP2922568B2 (ja) 1990-03-16 1999-07-26 株式会社リコー ねじりコイルばね及びこのばねを用いたディスクカートリッジ
JP4026260B2 (ja) * 1998-12-29 2007-12-26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用蓋開閉装置
FI112422B (fi) 2000-04-28 2003-11-28 Nokia Corp Teleskooppirakenne puhelinlaitetta varten
JP4092063B2 (ja) * 2000-09-22 2008-05-28 Tdk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4153684B2 (ja) 2001-05-24 2008-09-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磁気テープカートリッジ
JP3764082B2 (ja) 2001-10-04 2006-04-05 朝日インテック株式会社 医療用ガイドワイヤとバルーンカテーテル、ならびに機器用ワイヤロープ
US7240882B2 (en) * 2002-11-25 2007-07-10 Medrad, Inc. Medical container loading system and method for use with fluid containers, syringes and medical injectors
KR20030082520A (ko) * 2003-10-07 2003-10-22 최동석 이동통신 기기용 악세사리 겸용 화면 클리너
KR100617690B1 (ko)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JP2005210649A (ja) 2004-01-26 2005-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JP2008502175A (ja) * 2004-02-10 2008-01-24 ハンサン リー スライディング開閉装置及びそれを採用した応用機器
JP2005295024A (ja) 2004-03-31 2005-10-20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JP2006063930A (ja) 2004-08-30 2006-03-09 Toyo Zenmai Kk 往復回転数制御装置
JP4297038B2 (ja) 2004-11-15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06165854A (ja) 2004-12-06 2006-06-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スライド式携帯電話機
JP2006206230A (ja) 2005-01-27 2006-08-10 Seiko Epson Corp 捩りコイルバネを用いた付勢構造
KR200382520Y1 (ko) * 2005-02-01 2005-04-20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JP2006217594A (ja) 2005-02-01 2006-08-17 Phoenix Korea Co Ltd 携帯電話機用のスライド型開閉装置
KR100790088B1 (ko) * 2005-03-17 2007-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스윙 장치
KR100754594B1 (ko) * 2005-11-07 2007-09-05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800843B1 (ko) * 2006-09-08 2008-02-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통신 장치 및 그의 슬라이딩 모듈
KR100827112B1 (ko) * 2006-10-17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토션 스프링 및 이를 채용한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
KR100770855B1 (ko) * 2006-10-31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프링 그리고 이를 이용한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채용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 통신 단말기
TWI377897B (en) * 2007-06-13 2012-11-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2582B1 (ko) * 2009-09-25 2012-03-16 (주)나라테크놀로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의 스프링
WO2022014908A1 (ko) * 2020-07-14 2022-01-20 삼성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지지 구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493956B2 (en) 2020-07-14 2022-11-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lectronic component arrangement structure
US11860694B2 (en) 2020-07-14 2024-0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rollable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53558A1 (en) 2008-06-26
EP1936925A1 (en) 2008-06-25
ATE523031T1 (de) 2011-09-15
EP1936925B1 (en) 2011-08-31
KR101006815B1 (ko) 2011-01-10
US7941192B2 (en) 2011-05-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815B1 (ko)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KR100709652B1 (ko) 폴더식 휴대전화
JP4020910B2 (ja) スライド型携帯電話機用モジュール
EP1777921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therefor
CN102082845B (zh) 电子装置
KR100662869B1 (ko) 단말기
KR20200093010A (ko) 외부 플렉서블 스크린 모바일 단말기 및 그 힌지
JP6917973B2 (ja) 折り畳み式表示装置
JP2013243588A (ja) 電子機器
JP4783847B2 (ja) 携帯端末
JP440550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4796651B2 (ja) 携帯用端末の2軸スライド装置
JP5420486B2 (ja) 開閉装置
US8186016B2 (en) Hinge device for mobile device of folding type
TWI384834B (zh) Mobile machine sliding mechanism and action machine
US8554289B2 (en) Portable apparatus having a slide mechanism for an upper casing and a lower casing
CN101752537A (zh) 电池盖结构
KR101009933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의 힌지장치
JP4708321B2 (ja)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4350123B2 (ja) 捩りコイルバネ
JP5313704B2 (ja) 携帯機器
CN101360132B (zh) 可携式电子装置
KR200411625Y1 (ko) 휴대폰용 슬라이드 힌지 모듈
JP2010181962A (ja) 携帯用電子機器
KR20110064956A (ko) 양방향 슬라이드 타입 휴대단말기의 힌지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