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703B1 -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703B1
KR101604703B1 KR1020080094962A KR20080094962A KR101604703B1 KR 101604703 B1 KR101604703 B1 KR 101604703B1 KR 1020080094962 A KR1020080094962 A KR 1020080094962A KR 20080094962 A KR20080094962 A KR 20080094962A KR 101604703 B1 KR101604703 B1 KR 1016047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slide member
members
movement restricting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5530A (ko
Inventor
김성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703B1/ko
Priority to AT09004457T priority patent/ATE519325T1/de
Priority to EP09004457A priority patent/EP2169920B1/en
Priority to US12/421,594 priority patent/US8140136B2/en
Priority to CN2009101370382A priority patent/CN101686623B/zh
Publication of KR20100035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7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7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어느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 개폐되도록 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 이 제공되고 있다.
상기 시도들에 더하여, 상기 하드웨어 등의 기능을 보다 개선하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 바디의 유동이 완화 또는 방지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라이딩 동작은 용이하면서, 슬라이드 모듈의 유동이 완화 또는 방지되는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은 제1 슬라이드 부재, 제2 슬라이드 부재 및 이동 제한부를 포함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는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이동 제한부는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및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제1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이동 제한부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와 각각 연관되게 형성된다. 이동 제한부는 제1 및 제2 이동 제한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 이동 제한부는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각각 제한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이동 제한부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및 가까워지는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제1 이동 제한부는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벗어나는 양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1 이동 제한부는 홈부 및 걸림부를 포함한다. 홈부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걸림부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된다. 걸림부는 상기 홈부와 인접한 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홈부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에는 홈부와 인접한 영역에 대해 단차를 가지는 단차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는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단차 영역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의 양단부 사이는 홈부와 인접한 영역이 걸리도록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드 모듈은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벗어나는 양 방향 중 타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제2 이동 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슬라이드 모듈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윤활 부재를 더 포함한다. 제2 이동 제한부는 제1 및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는 윤활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 돌기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제1 돌기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제2 돌기는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하는 거리(STROKE)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측면에 따르면, 윤활 부재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양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복수로 구비된다. 복수의 윤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 입력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제1 바디 및 제2 바디와 상기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한다. 무선통신 모듈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고, 입력장치는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고,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 정보를 표시한다. 제1 및 제2 바디에는 각각 상기 무선통신 모듈,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된다. 슬라이드 모듈은 제1 및 제2 바디를 상대 슬라이딩시키도록 제1 및 제2 바디와 각각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이동 제한부를 통하여 제1 및 제2 바디의 유동을 완화 또는 방지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동 제한부는 슬라이드 모듈에 구비되어 슬라이드 모듈의 유동을 완화 또는 방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휴대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동작은 용이하면서도 바디의 유동은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 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제1 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 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 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40)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를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이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사이에는 슬라이드 모듈(140)이 장착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안내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각각 제1 및 제2 바디(110, 120)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이 상기 설명에만 한정되 는 것이 아니며,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각각 제2 및 제1 바디(120, 110)에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각각 제1 또는 제2 바디(110, 120)의 일부분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US, Stainless Steel) 등과 같은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상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한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양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이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양 모서리에 인접한 영역을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양 모서리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게 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휴대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딩시에 일정 위치에서 정지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일단에 인접하여 정지되고, 이때가 열린 상태가 된다.
도 4는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 대응하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140)의 평면도이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및/또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되는 탄성 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모듈(150)은 제1 및 제2 암 부재(151, 152)와 스프링(153)을 포함한다.
제1 및 제2 암 부재(151, 152)는 각각 일단에서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와 연결되고, 타단에서 스프링(153)과 연결된다. 스프링(153)은 상기 슬라이드 모듈(140)의 슬라이딩시에 일정 거리를 이동한 제2 슬라이드 부재(142)를 계속 이동시키는 탄성력을 발생시킨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사이에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윤활 부재(143, 144)가 배치된다. 윤활 부재(143, 144)는 합성수지, 예를 들어 폴리옥시메틸렌(POM, Poly Oxy Methylen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 및 제2 위치(140a, 140b) 사이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141)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제1 위치(140a)에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배치되는 것은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 대응하고, 제2 위치(140b)에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배치되는 것은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 대응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이동 제한부(160, 170)를 포함한다.
이동 제한부(160, 170)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슬라이딩에 의하여 제1 및 제2 위치(140a, 140b) 중 적어도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제2 슬라이드 부재(142)의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 대한 상대 이동을 제한한다.
이동 제한부(160, 170)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와 각각 연관되게 형성된다. 이동 제한부(160, 170)는 제1 및 제2 이동 제한부(160, 17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이동 제한부(160, 170)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서로에 대해 교차하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각각 제한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 방향은 X축 방향이고, 상기 제1 방향은 Y축 방향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방향은 Z축 방향이 될 수 있다(도 5 참조).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모듈(140)의 측면도이고, 도 6a 및 도 6c는 도 4의 부분 표시들(A, B, C)의 슬라이드 모듈(140)에 대한 부분 확대도들이고, 도 6d는 도 4의 부분 표시(D)의 슬라이드 모듈(140)에 대한 부분 단면도이다.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는 주면이 서로에 대해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이를 통하여 슬라이딩시에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가 서로에 대해 마찰을 일으키지 않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이격에 의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41)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방향(R1, R2)으로 발생하는 유동이 존재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a를 참조하여, 제1 이동 제한부(16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이동 제한부(160)는 상기 회전시에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적어도 일부를 잡아주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회전하는 방향으로 발생하는 유동이 완화 또는 방지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141)는 제1 바디(110)와 결합하므로 제1 이동 제한부(160)는 제1 바디(110)의 제2 바디(120, 이상 도 3 참조)에 대한 유동을 완화 또는 방지한다.
제1 이동 제한부(160)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가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 및 가까워지는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 록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멀어지는 방향은 Z축의 플러스(Plus) 방향이 되고, 상기 가까워지는 방향은 Z축의 마이너스(Minus) 방향이 된다.
제1 이동 제한부(160)는 홈부(161) 및 걸림부(162)를 포함한다. 홈부(161)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걸림부(162)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홈부(161) 및 걸림부(162)는 각각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에 형성된다.
걸림부(162)는 홈부(161)와 인접한 영역(161a)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걸림부(162)의 일단부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와 연결될 수 있다. 걸림부(162)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 예를 들어 리벳 결합, 용접 등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다. 또한 걸림부(162)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걸림부(162)의 양단부 사이는 홈부(161)와 인접한 영역(161a)이 걸리도록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될 수 있다.
홈부(161)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으로 형성된다. 홈부(161)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상기 제2 위치(140b) 제1 위치(140a, 이상 도 4 참조)로 슬라이딩 하는 방향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걸림부(162)는 슬라이딩에 따라 홈부(161)에 점차적으로 걸리게 된다.
상기 홈부(161) 및 걸림부(162)는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홈부(161) 및 걸림부(162)의 개수는, 예를 들어 실험 데이터 또는 설계자의 경험 등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제1 이동 제한부(160)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1 및 제2 위치(140a, 140b)의 사이를 벗어나는 양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상기 홈부(161)의 일단부에 걸림부(162)가 걸림에 의하여,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X축의 마이너스(Minus)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제한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는 홈부(161)와 인접한 영역(161a)에 대해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단차 영역(141a)이 형성된다. 단차 영역(141a)에는 탄성 모듈(150, 도 4 참조)이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탄성 모듈(150)이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사이에 배치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걸림부(162)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1 및 제2 위치(140a, 140b)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단차 영역(141a)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걸림부(162)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2 위치(140b)로 배치된 상태에서 단차 영역(141a)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형성된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2 위치(140b)에서 제1 위치(140a)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단차 영역(141a)에 의하여 덮여졌던 걸림부(162)는 홈부(161)와 인접한 영역(161a)보다 Z축의 마이너스(Minus) 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1 이동 제한부(160)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두께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므로 휴대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 될 수 있다.
이하 도 6b 내지 도 6d를 참조하여 제2 이동 제한부(170, 도 4 참조)에 대하 여 설명한다.
제2 이동 제한부(170)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를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윤활 부재(143, 144)가 제2 슬라이드 부재(142)에 장착된다. 윤활 부재(143, 144)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양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도 4 참조). 제2 슬라이드 부재(142)는 모서리 부분이 윤활 부재(143, 144)를 수용할 수 있도록 리세스된 단면을 가지도록 절곡된다. 윤활 부재(143, 144)는 리세스된 부분 안에서 수용 가능하도록 리세스된 부분의 내면에 대응하는 외형을 이룬다.
윤활 부재(143, 144)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면을 구비한다. 이를 통하여 슬라이딩시에 윤활 부재(143, 144)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윤활 마찰을 일으키게 된다. 여기서 윤활 마찰이란, 윤활 부재(143, 144)에 의한 마찰을 의미한다.
상기 설명은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의 일 모서리 부분을 기준으로 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양 모서리 부분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2 이동 제한부(170)는 제1 및 제2 돌기(171a, 172)를 포함한다.
제1 돌기(171a)는 윤활 부재(143)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윤활 부재(143)의 양단부 사이에서 일부가 돌출될 수 있다. 제2 슬라이드 부재(142)의 윤활 부재(143)를 감싸는 부분에는 윤활 부재(143)의 돌출되 는 부분의 적어도 일부가 관통되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2 돌기(172)는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제1 돌기(171a)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제1 및 제2 돌기(171a, 172)는 서로가 맞닿기 전에 서로에 대해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 및 제2 돌기(171a, 172)는 맞닿음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하며 서로에 대해 가압하게 된다.
복수의 윤활 부재(143, 144) 중 적어도 하나는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141, 142)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도 6c 및 도 6d를 참조하면, 제1 돌기(171a)가 형성되는 윤활 부재(143)와 다른 윤활 부재(144)는 양단부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141)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윤활 부재(144)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적어도 일 모서리를 수용하도록 리세스된 단면을 구비한다.
윤활 부재(144)의 양단부(144a)는 양단부 사이(144b)보다 적게 리세스되도록 형성된다. 윤활 부재(144)는 양단부(144a)에서 양단부 사이(144b)보다 제1 슬라이드 부재(141)와 보다 밀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제2 이동 제한부(170)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1 위치(140a)로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모서리 부분을 각각 가압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제2 이동 제한부(170)는 제1 슬라이드 부재(141)의 양 모서리 부분을 가압한다. 이를 통하여, 슬라이드 모듈(140)의 Y축 방향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 모듈(140)이 슬라이딩 동작 중에는 제1 및 제2 돌기(171a, 172)가 서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제2 이동 제한부(170)는 슬라이딩 동작감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 대응하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140)의 평면도이다.
제2 돌기(172)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하는 거리(STROKE)에 대응하는 간격(S)을 두고 배치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 이동 제한부(170)는 제2 위치(140b)에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배치된 상태에서 슬라이드 모듈(140)의 Y축 방향의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도 5c 내지 도 5e를 참조한 설명과 같은 원리이며, 당업자라면 누구나 이해가능할 것이다.
제1 슬라이드 부재(141)에는 스토퍼(145)가 장착될 수 있다. 스토퍼(145)는 제1 이동 제한부(160)와 함께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1 및 제2 위치(140a, 140b)의 사이를 벗어나도록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스토퍼(145)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제2 위치(140a)에 배치된 상태에서 걸림부(162)와 맞닿도록 형성된다. 스토퍼(145)는 제2 슬라이드 부재(142)가 슬라이딩을 멈출 때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145)는, 예를 들어 러버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이동 제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걸림부(262)에는 부싱(262')에 결합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241)에는 부싱(262')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홈부(261)와 인접한 부분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 는 커버부(246)가 형성된다. 커버부(246)가 부싱(262')를 덮음에 의하여, 슬라이드 모듈(240)의 Z축 방향(도 5 참조) 유동이 제한된다. 본 변형예에서 걸림부(262)는 부싱(262')이 결합됨이 없이 커버부(246)에 의하여 덮여질 수도 있다.
커버부(246)는 부싱(262')의 외주에 대응하도록 원주를 구비하고, 부싱(262')의 외주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의하여 슬라이드 모듈(240)의 Y축 방향 유동이 제한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8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8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85), 메모리(18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8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8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8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8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8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유닛(186)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 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8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8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8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8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수신 모듈(18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8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 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를 제1 바디와 제2 바디로 분리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휴대 단말기의 열린 상태에 대응하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
도 5는 도 4의 슬라이드 모듈의 측면도.
도 6a 및 도 6c는 도 4의 부분 표시들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부분 확대도들.
도 6d는 도 4의 부분 표시의 슬라이드 모듈에 대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휴대 단말기의 닫힌 상태에 대응하는 도 3의 슬라이드 모듈의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이동 제한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15)

  1. 제1 슬라이드 부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제1 및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와 각각 연관되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적어도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 대한 상대 이동을 제한하는 제1 및 제2 이동 제한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이동 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에 대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한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벗어나는 양 방향 중 일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동 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홈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다른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홈부와 인접한 영역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부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일방향으로 긴 관통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홈부와 인접한 영역에 대해 단차지도록 형성되는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 영역에 의하여 덮여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일단부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와 연결되고, 양단부 사이는 상기 홈부와 인접한 영역이 걸리도록 적어도 일부가 리세스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제1 및 제2 위치의 사이를 벗어나는 양 방향 중 타 방향으로 상기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것을 제한하도록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제한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를 서로에 대해 멀어지는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배치되는 윤활 부재를 더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동 제한부는,
    상기 윤활 부재의 적어도 일부에서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 돌기; 및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에 장착되고, 상기 제1 돌기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돌기는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가 상기 슬라이딩에 의하여 이동하는 거리(STROKE)에 대응하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 부재는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의 양 모서리에 인접한 부분에 복수로 구비되고,
    복수의 윤활 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양단부에서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슬라이드 부재 중 어느 하나를 가압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 듈.
  15.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통신 모듈;
    제어를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 장치;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각각 상기 무선통신 모듈, 입력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하나가 구비되는 제1 및 제2 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 바디를 상대 슬라이딩시키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바디와 각각 연결되고, 제1항, 제4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KR1020080094962A 2008-09-26 2008-09-26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6047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62A KR101604703B1 (ko) 2008-09-26 2008-09-26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AT09004457T ATE519325T1 (de) 2008-09-26 2009-03-27 Gleitmodul und tragbares endgerät damit
EP09004457A EP2169920B1 (en) 2008-09-26 2009-03-27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US12/421,594 US8140136B2 (en) 2008-09-26 2009-04-09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CN2009101370382A CN101686623B (zh) 2008-09-26 2009-04-21 滑动模块及具有该模块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62A KR101604703B1 (ko) 2008-09-26 2008-09-26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30A KR20100035530A (ko) 2010-04-05
KR101604703B1 true KR101604703B1 (ko) 2016-03-25

Family

ID=410551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962A KR101604703B1 (ko) 2008-09-26 2008-09-26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140136B2 (ko)
EP (1) EP2169920B1 (ko)
KR (1) KR101604703B1 (ko)
CN (1) CN101686623B (ko)
AT (1) ATE519325T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1186B1 (ko) * 2011-02-25 2017-11-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2811578A (zh) * 2011-05-30 2012-12-0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式电子装置及其采用的滑动模组
CN113692166B (zh) * 2021-08-31 2023-07-14 歌尔科技有限公司 滑盖结构和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3421B1 (ko) 2005-11-1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US20070155451A1 (en) 2004-03-08 2007-07-05 Jang-Woo Lee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7294A (ko) * 2003-07-02 2004-04-01 포스텍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힌지장치
KR100694258B1 (ko) *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KR100563696B1 (ko) * 2003-09-09 2006-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구조
JP2005207562A (ja) * 2004-01-26 2005-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スライド機構
EP1721390A1 (en) * 2004-02-10 2006-11-15 Lee, HanSang Sliding mechanism apparatus and appliance integrated with the same
KR100586979B1 (ko) * 2004-09-02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
JP4511596B2 (ja) * 2004-09-15 2010-07-28 レイアード テクノロジーズ マップ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携帯電話の開閉に対する摺動機構
KR100640500B1 (ko) * 2005-07-20 2006-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미디어용 슬라이딩 스윙 타입 휴대 단말기
CN1929725B (zh) * 2005-09-09 2011-1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铰链及使用该铰链的便携式电子装置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KR101139785B1 (ko) * 2006-12-05 2012-04-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
EP1936925B1 (en) * 2006-12-21 2011-08-31 Sharp Kabushiki Kaisha Torsion coil spring and sliding type mobile terminal equipped therewith
KR20100075443A (ko) * 2007-10-26 2010-07-02 가부시키가이샤 스트로베리 코포레이션 슬라이드 장치 및 슬라이드 장치를 이용한 전자 기기
CN101567430B (zh) * 2008-04-22 2011-11-1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电池盖卡锁结构
KR101634811B1 (ko) * 2010-01-21 2016-06-29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유닛의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451A1 (en) 2004-03-08 2007-07-05 Jang-Woo Lee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KR100713421B1 (ko) 2005-11-11 2007-05-04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69920A1 (en) 2010-03-31
US8140136B2 (en) 2012-03-20
ATE519325T1 (de) 2011-08-15
EP2169920B1 (en) 2011-08-03
US20100081490A1 (en) 2010-04-01
KR20100035530A (ko) 2010-04-05
CN101686623A (zh) 2010-03-31
CN101686623B (zh) 2012-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991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66281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54187B1 (ko) 힌지 유닛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587141B1 (ko) 이동 단말기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53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0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37700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13304B1 (ko)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37976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35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47444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29919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91B1 (ko) 휴대 단말기
KR10163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42727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7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