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7141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87141B1 KR101587141B1 KR1020090089197A KR20090089197A KR101587141B1 KR 101587141 B1 KR101587141 B1 KR 101587141B1 KR 1020090089197 A KR1020090089197 A KR 1020090089197A KR 20090089197 A KR20090089197 A KR 20090089197A KR 101587141 B1 KR101587141 B1 KR 1015871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unit
- opening
- mobile terminal
- gui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3/00—Lids or covers for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43/14—Non-removable lids or covers
- B65D43/16—Non-removable lids or covers hinged for upward or downward moveme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에 윈도우 또는 키패드가 배치되고,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수용유닛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터리를 상기 개구에서 돌출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회전을 상기 수용유닛의 슬라이딩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 및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가압되면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측면에서 장탈착되는 배터리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하드웨어의 면에서 시도는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좀더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적인 변화 및 개량의 하나로 단말기의 측면을 통하여 장탈착되는 배터리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이동 단말기와 관련하여 측면을 통하여 장탈착되는 반자동 배터리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전면에 윈도우 또는 키패드가 배치되고,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와, 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수용유닛과,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터리를 상기 개구에서 돌출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회전을 상기 수용유닛의 슬라이딩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 및 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가압되면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탄성유닛은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커버의 일면을 지지하고, 중앙부가 상기 커버와 결합한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지지되는 커버의 일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커버를 닫힌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포함한다. 록킹장치는 걸림 유닛, 가이드 유닛 및 가이드 핀을 포함한다. 걸림 유닛은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걸림홈이 형성된다. 가이드 유닛은 상기 커버와 연결되며, 가이드 유닛의 양단부 사이에는 일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된다. 가이드 유닛의 일단부에는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가 형성된다. 가이드 핀은 상기 걸림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된다. 걸림 돌기는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본체에 걸리도록 상기 가이드 유닛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본 발명은 변환유닛을 이용하여 커버의 회전을 수용유닛의 슬라이딩으로 변환시킴에 따라, 커버의 개방에 연동하여 배터리를 외부로 돌출시킨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체의 측면으로 삽입되는 배터리 구조가 구현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슬라이딩에 의하여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를 구현할 수 있게 결합되는 제1 및 제2 바디(110, 120)를 포함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특히, 폭방향(가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길이방향(세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이동 단말기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본 도면과 같이 상부 바디(1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113)를 설치하고, 하부 바디(120)의 상면에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제2 조작부(123)를 설치할 수 있다.
제2 조작부(123)는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에 장착되는 키패드와 제2 바디(120)에 내장되는 스위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또는 제1 음향 입력 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11)의 일면에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윈도우에 의하여 덮여지며,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는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인터페이스(125, 1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5, 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5, 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5, 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구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 등이 포함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는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의 후면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 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전원공급부(127)를 나타내는 분해도이고,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록킹장치(170) 및 탄성 유닛(181)의 확대도들이다.
전원공급부(127)는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127a)를 포함한다. 배터리(127a)는 이동 단말기의 제1 바디 또는 제2 바디(110, 120)의 내부에 형성되는 수용실(141)에 수용된다. 이하, 상기 배터리(127a)가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 장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수용실(141)은 배터리(127a)가 수용되도록 리세스된 형태를 이루며, 제2 바디(120)의 측면에 형성되는 개구(142, 도 6b 참조)를 통하여 배터리(127a)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수용실(141)은 리어 케이스(122)의 일면에서 돌출되는 돌기(141a)에 의하여 한정될 수 있다.
수용실(141)에는 배터리(127a)와 접속되는 접속 단자(143)가 설치될 수 있다. 접속 단자(143)는 리어 케이스(122)의 주면(윈도우 또는 키패드와 평행한 면)과 평행한 수용실(141)의 주면상에 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수용실(141)에는 수용유닛(144)이 배치된다. 수용유닛(144)은, 상기 개구(142)를 통하여 배터리(127a)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실(141)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수용유닛(144)은 개구(142)로부터 수용실(141)의 내부로 연장되고, 수용실(141)의 상기 개구(142)와 반대측에서 절곡되어, 배터리(127a)의 일면을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유닛(144)는 배터리(127a)가 개구(142)를 통하여 노출되는 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들을 감싸도록 "ㄷ" 형태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수용유닛(144)는 양 측면부(144a)과 지지부(144b)를 포함한다. 측면부(144a)는 바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부(144b)는 양 측면부(144a)를 서로 연결하며, 배터리(127a)의 일면을 지지한다.
수용유닛(144)의 측면부(144a)에는 가이드 돌기(144c)가 형성되고, 수용실(141)의 돌기(141a)에는 상기 가이드 돌기(144c)가 삽입되는 가이드 홈(141b)이 형성된다. 가이드 홈(141b)은 수용유닛(144)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용유닛(144)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제2 바디(120)의 개구(142)를 덮도록 커버(151)가 리어 케이스(122)와 결합한다. 커버(151)는 제2 바디(120)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커버(151)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양 단부를 구비하며, 양 단부에서 상기 제2 바디(120)와 힌지 결합하여 커버(151)의 회전에 의하여 개구(142)를 개폐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커버(151)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변환유닛(160)에 의하여 상기 수용유닛(144)은 슬라이딩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배터리(127a)는 커버(151)의 개방과 동시에 개구(142)에서 돌출된다. 변환유닛(160)는, 예를 들어 링크 연결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변환유닛(160)은 제1 및 제2 연결부(161, 162), 링크부재(163)을 포함한다.
제1 연결부(161)는 수용유닛(144)의 단부에 형성되며, 링크부재(163)의 일단과 연결되는 체결홀이 될 수 있다. 제2 연결부(162)는 커버(151)의 일면에서 돌출 되며, 링크부재(163)의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링크 연결에 의하여 커버(151)의 회전은 수용유닛(144)의 슬라이딩을 발생시킨다.
도 3 및 도 4a를 참조하면, 제2 바디(120)에는 커버(151)를 닫힌 위치에서 제2 바디(120)에 록킹시키는 록킹장치(170)를 포함한다. 록킹장치(170)는 커버(151)의 양단부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형성된다.
록킹장치(170)는 걸림 유닛(171), 가이드 유닛(172) 및 가이드 핀(173)를 포함한다.
걸림 유닛(171)은 리어 케이스(122)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걸림홈(171a)이 형성된다. 걸림 유닛(171)은 커버의 양 단부에 인접하게 각각 배치되고, 리어 케이스에 볼트 체결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걸림 유닛(171)은 리어 케이스(12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걸림홈(171a)은 상기 수용유닛(144)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형성되는 관통홀이 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72)은 커버(151)에 회전에 의하여 가이드 유닛(172)이 슬라이딩하도록 커버(151)에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일 예로, 가이드 유닛(172)은 수용유닛(144)에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 유닛(172)의 일단부에는 커버(151)가 닫힌 상태에서 걸림홈(171a)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172a)가 형성된다. 걸림 돌기(172a)는 외팔보를 이루며, 자유단에 돌기되는 부분이 걸림홈(171a)에 걸리도록 이루어진다. 걸림 돌기(172a)는 굽힘 변형을 통하여 걸림홈(171a)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가이드 유닛(172)의 양단부 사이에는 일 방향으로 가이드 홈(172b)이 형성된 다. 가이드 홈(172b)은 수용유닛(144)의 슬라이딩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이루어진다.
가이드 핀(173)은 가이드 유닛(172)이 커버(151)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172b)에 삽입된다. 가이드 핀(173)은 걸림 유닛(171)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 유닛(172)의 슬라이딩을 가이드한다.
도 3 및 도 4b를 참조하면, 커버(151)는 탄성유닛(181)에 의하여 지지된다. 탄성유닛(181)은 닫힌 상태에서 커버(151)가 가압되면 상기 커버(151)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형성된다.
탄성유닛(181)은 적어도 일단부가 커버(151)의 일면을 지지하고, 중앙부가 커버(151)와 결합한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지지되는 커버(151)의 일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탄성유닛(181)은 중앙부에서 감겨지고, 양단부가 중앙부로부터 돌출되어, 양단부에 가해진 힘에 대하여 중앙부의 감기는 정도가 변하면서 탄성력이 발휘되는 스프링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탄성유닛(181)은 전단 스프링이 되며, 커버(151)에는 수용실(141)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152)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152)에 전단 스프링의 중앙부가 삽입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탄성유닛(181)은 양단에서 각각 커버(151)를 지지하는 판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커버(151)는 양 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양 단부의 사이에서 상기 수용실(141)을 향하여 굽힘 변형하도록 얇은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의 커버에 대한 누름 조작을 통하여 커버(151)의 굽힘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며, 상기 굽힘 변형은 걸림 돌기(172a)와 걸림홈(171a)의 맞물림을 해제시킨다.
이하, 상기 수용유닛(144), 변환유닛(160) 및 탄성유닛(181)에 의하여 배터리(127a)가 반자동으로 탈착되는 매커니즘에 대하여 도 5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탄성유닛(181)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며,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배터리(127a)의 탈착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이다. 본 도면들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배터리(127a)를 미도시한 개념도들이다.
먼저, 탄성유닛(181)의 탄성력과 록킹장치(170, 도 4a 참조)의 해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를 참조하면, 커버(151)에 장착되는 탄성유닛(181)은 닫힌 상태에서 커버(151)의 일면에 탄성력을 부가하지 않거나, 미약한 탄성력을 부가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5b를 참조하면, 커버(151)가 사용자에 의하여 눌러지면, 커버(151)는 굽힘 변형하고, 탄성유닛(181)은 커버(151)에 탄성력을 부가하게 된다. 이 때에, 가이드 유닛(172)은 상기 커버(151)의 눌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커버(151)를 누르던 힘이 해제되면, 즉 사용자의 누름 동작이 끝나면, 탄성유닛(181)은 상기 가이드 유닛(172)의 이동에 대하여 반대 방향으로 커버(151)에 탄성력을 가하게 된다. 커버(151)에 부가되는 탄성력은 가이드 유닛(172)을 상기 눌림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 때, 가이드 유닛(172)의 걸림 돌기(172a)는 굽힘 변형하면서, 걸림 돌기(172a)의 걸림홈(172a, 이상 도 4a 참조)에 대한 걸림이 해제된다.
도 6a를 참조하면, 닫힌 상태에서 수용유닛(144)의 지지부(144b)는 수용실(141)의 돌기(141a)에 의하여 이동이 제한된다. 수용유닛(144)은 슬라이딩시에 마찰을 감소시키도록 리어 케이스(122)의 주면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의 커버 누름 동작에 의하여 걸림 돌기(172a)의 걸림홈(172a, 이상 도 5b 참조)에 대한 걸림이 해제되면, 도 6b와 같이, 커버(151)는 리어 케이스(122)와의 힌지 결합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개구(142)를 개방한다. 이 때에, 링크부재(163)의 일단은 수용유닛(144)의 제1 연결부(161)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링크부재(163)의 타단은 커버(151)의 제2 연결부(16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링크부재(163)를 당기게 된다. 이를 통하여 변환유닛(160)은 커버(151)의 회전을 수용유닛의 슬라이딩으로 변환한다.
수용유닛(144)의 가이드 돌기(144c)가 가이드 홈(141b, 이상 도 3 참조)에 의하여 구속되므로, 수용유닛(144)은 링크부재(163)의 당김에 의하여 슬라이딩 하게 된다.
도 6c를 참조하면, 커버는 닫힌 상태에서 90도 이상으로 회전하여 개구를 완전히 개방시키고, 수용유닛(144)의 지지부(144b)는 배터리(127a, 도 3 참조)가 개구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도록 배터리(127a)를 밀어주게 된다.
상기 동작과 같이 변환유닛(160)을 이용하여 커버(151)의 회전을 수용유닛(144)의 슬라이딩으로 변환시킴에 따라, 커버(151)의 개방에 연동하여 배터리(127a)가 외부로 돌출되는 반자동으로 탈착 매커니즘이 구현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91), 조작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17), 디스플 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96), 인터페이스(125, 126), 방송 수신 모듈(195), 메모리(194), 전원공급부(127), 제어부(1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9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9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9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9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9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93)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90)에 제공한다. 조작부(116,123,124)는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9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9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이동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9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9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이동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96) 이동 단말기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9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5, 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5, 126)는 이동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5, 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94)는 제어부(19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9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 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9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9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9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9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9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9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9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전원공급부를 나타내는 분해도.
도 4a 및 도 4b는 각각 도 3의 록킹장치 및 탄성 유닛의 확대도들.
도 5a 및 도 5b는 도 3의 탄성유닛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6a 내지 도 6c는 도 3의 배터리의 탈착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들.
도 7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3)
- 전면에 윈도우 또는 키패드가 배치되고, 측면에 개구가 형성되는 단말기 본체;상기 개구를 통하여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수용유닛;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상대 회전에 의하여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커버;상기 커버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배터리를 상기 개구에서 돌출시키도록, 상기 커버의 회전을 상기 수용유닛의 슬라이딩으로 변환시키는 변환유닛; 및상기 커버를 지지하도록 배치되어,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버가 가압되면 상기 커버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유닛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탄성유닛은 적어도 일단부가 상기 커버의 일면을 지지하고, 중앙부가 상기 커버와 결합하며, 상기 중앙부는 상기 지지되는 커버의 일면과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버를 닫힌 위치에서 상기 본체에 록킹시키는 록킹장치를 더 포함하고,상기 록킹장치는,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적어도 일부에 걸림홈이 형성되는 걸림 유닛;상기 커버와 연결되며, 양단부 사이에는 일 방향으로 가이드 홈이 형성되며, 일단부에는 상기 커버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걸림홈에 걸리도록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가이드 유닛; 및상기 걸림 유닛에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 유닛이 상기 커버의 회전에 연동하여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는 가이드 핀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9197A KR101587141B1 (ko) | 2009-09-21 | 2009-09-21 | 이동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9197A KR101587141B1 (ko) | 2009-09-21 | 2009-09-21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1793A KR20110031793A (ko) | 2011-03-29 |
KR101587141B1 true KR101587141B1 (ko) | 2016-01-21 |
Family
ID=43936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9197A KR101587141B1 (ko) | 2009-09-21 | 2009-09-21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8714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09533B1 (ko) * | 2015-06-24 | 2017-02-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
KR20220016015A (ko) | 2021-12-29 | 2022-02-08 | 그린포장 주식회사 | 단실 재봉 이지오픈포대 |
KR20220016014A (ko) | 2021-12-29 | 2022-02-08 | 그린포장 주식회사 | 단실 재봉 이지오픈포대 |
KR20220017879A (ko) | 2021-12-29 | 2022-02-14 | 그린포장 주식회사 | 단실 재봉 이지오픈포대 |
KR20220016016A (ko) | 2021-12-29 | 2022-02-08 | 그린포장 주식회사 | 단실 재봉 이지오픈포대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4863B1 (ko) | 2006-04-05 | 2007-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
KR100800828B1 (ko) | 2006-09-22 | 2008-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 커버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00009303U (ko) * | 1999-06-04 | 2000-06-05 | 정형택 | 기능성 남성팬티 |
KR20080036495A (ko) * | 2006-10-23 | 2008-04-28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심카드 착탈장치 |
-
2009
- 2009-09-21 KR KR1020090089197A patent/KR10158714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4863B1 (ko) | 2006-04-05 | 2007-06-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팩 장착 장치 |
KR100800828B1 (ko) | 2006-09-22 | 2008-02-04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배터리 커버 장치를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31793A (ko) | 2011-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1229B1 (ko) |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 |
KR101529913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42726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6381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728387B1 (ko) | 휴대 단말기 | |
KR20090038300A (ko) | 조그 입력장치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US8644026B2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66281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8714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04703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47443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4557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04739B1 (ko) | 폴더타입 휴대 단말기 | |
KR101474449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7443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4559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3190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8713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3304B1 (ko) |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148453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7239B1 (ko) |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 |
KR101545572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9535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37976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29919B1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