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6281B1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6281B1 KR101566281B1 KR1020080027549A KR20080027549A KR101566281B1 KR 101566281 B1 KR101566281 B1 KR 101566281B1 KR 1020080027549 A KR1020080027549 A KR 1020080027549A KR 20080027549 A KR20080027549 A KR 20080027549A KR 101566281 B1 KR101566281 B1 KR 10156628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
- cover
- elastic force
- slide member
- connect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14—Foldable telephones, i.e.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H04M1/0216—Foldable in one direction, i.e. using a one degree of freedom hing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18—Telephone set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ships, mines, or other places exposed to adverse environment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3/00—Joints and connections
- Y10T403/61—Side slide: elongated co-linear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Input Circuits Of Receivers And Coupling Of Receivers And Audio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를 상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를 가리는 커버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열린 상태에서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커넥터를 가리기 위한 커버 유닛을 구비하는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으며, 휴대 단말기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들 중 슬라이드 타입의 휴대 단말기는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를 포함한다. 제1 및 제2바디는 일반적으로 연성회로기판(FPCB)과 같은 커넥터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슬라이드 타입을 갖는 휴대 단말기의 제1 및 제2바디는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닫힌 상태와 제1 및 제2바디 사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열린 상태 사이를 상대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열린 상태에서 제1 및 제2바디의 서로 중첩된 영역에 커넥터가 배치되게 된다.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수록 커넥터가 배치되는 공간이 감소하게 되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 거리를 일정 이상 증가시키면 커넥터의 적어도 일영역이 외부로 노출되어 휴대 단말기의 미관을 저해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시 열린 상태에서 커넥터의 노출을 방지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를 상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와, 상기 제1 및 제2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를 가리는 커버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배치 공간을 마련하는 커넥터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닛은 제1축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커넥터홀을 개폐하는 커버 본체부와, 상기 커버 본 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력 제공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 상을 직선 이동하여 상기 커넥터 홀을 개폐하도록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에 연결되는 커버 본체부와, 상기 커버 본체부와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을 덮으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1바디를 체결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바디에는 출력된 시각 정보를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1 및 제2바디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서로 슬라이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를 통과하는 커넥터, 및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를 가리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모듈의 상대 이동에 따라 커넥터홀을 개폐하는 커버 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미관상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 거리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력 제공 유닛을 제1슬라이드 부재와 제1바디의 사이에 배치시킴으로써, 열린 상태에서 탄성력 제공 유닛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바디에 시각 정보를 터치함에 의해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제1 및 제2바디(110,120) 사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바디(110,120)는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와 리어 케이스(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0)와 리어 케이스(120)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제1조작부(116), 및 음향 입력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제1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으며, 음향입력부(1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디스플레이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디스플레이부(123)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디스플레이부(123)에 입력된 정보가 제1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일예로서, 제2디스플레이부(123)에는 퀴티키 형태의 시각 정보가 출력될 수 있으며, 문자, 숫자, 기호 등의 키 입력 정보가 터치되면 제1디스플레이부(113)에 이들이 표시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2조작부(124),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조작부(116,124)는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조작부(116,124)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할 수 있도록 작동될 수 있고, 제2조작부(124)는 제1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25)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125)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125)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6)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6)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영상입력부(127)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상입력부(127)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27)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영상입력부(127)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8)와 거울부(129)가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8)는 제2영상입력부(127)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29)는 사용자가 제2영상입력부(127)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30)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30)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2바디(1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1.도 1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131)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영상입력부(127) 등이 제2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영상입력부(127) 등 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7 내지 13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영상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7)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일 부분이 배치되며, 이하에서는 슬라이드 모듈(140)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로서, 슬라이드 모듈(140)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제1바디(110)에 고정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141)와, 제2바디(120)에 고정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142)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는 서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제1슬라이드 부재(141)는 제2슬라이드 부재(142)보다 큰 면적을 갖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143)이 형성되고, 제2슬라이드 부재에는 제1바디(110)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슬라이드 레일(143)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그루브(144)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바디(110,120)는 커넥터(145)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커넥터(145)의 일예로서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이동에 따라 변형 가능한 연 성회로기판(FPCB)이 사용될 수 있다.
커넥터(145)는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 중 적어도 하나를 관통하여 제1 및 제2바디(110,120)를 연결하며, 제1슬라이드 부재(141)에는 커넥터(145)가 관통하는 커넥터홀(146)이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145)의 일단은 제1바디(110)에 연결되고, 커넥터(145)의 타단은 커넥터홀(146)을 통과하여 제2바디(1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커넥터홀(146)은 제1 상태에서 커넥터(145)의 배치 공간을 마련하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의 상대 이동시 커넥터(145)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도 3 및 4와 같이 제1 및 제2바디가 열린 상태에 위치하는 경우, 커넥터의 일부 영역이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커넥터홀(146)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
본 발명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140)은 열린 상태에서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열린 상태에서 커넥터(145)를 가리는 커버 유닛(150)을 구비한다.
커버 유닛(150)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와 연결되어,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의 상대 이동에 따라 커넥터홀(146)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즉, 커버 유닛(150)은 열린 상태에서 커넥터홀(146)을 덮도록 구성되며, 도 3 및 도 4의 도시는 커버 유닛(150)이 커넥터홀(146)을 덮고 있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커버 유닛(15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 보기로 한다. 도 5는 도 4의 제1바디(110)에서 제2바디(120)의 방향으로 바라본 슬라이드 모 듈(140)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 모듈(14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 유닛(150)은 제1슬라이드 부재(141)에 연결되는 커버 본체부(151)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에 각각 연결되는 링크부(152)를 포함한다.
커버 본체부(151)는 그 일단이 제1축(155)에 의해 제1슬라이드 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동작에 의하여 커넥터홀(146)을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커버 본체부(151)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커넥터홀(146)에 인접한 영역에 제1축(155)에 의해 제1슬라이드 부재(141)에 회전 연결될 수 있다.
링크부(152)는 커버 본체부(151)를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에 연결하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의 상대 이동에 따라 커버 본체부(151)를 제1축(155)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링크부(152)는 커버 본체부(151)에 형성된 이동홈(153)과, 커버 본체부(151)를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축(15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홈(153)은 제2축(154)에서 제1축(155)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제2축은 링크부(153) 상을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버 본체부(151)와 링크부(152)는 제1 및 제2바디(110,120)와 슬라이드 모듈(140)이 결합된 상태에서 커버 본체부(151)와 링크부(15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전면, 즉 제1슬라이드 부재(141)과 제1바디(110)의 사이에 장착된다.
슬라이드 모듈(140)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의 상대 이동에 따라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 편향되도록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력 제공유닛(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력 제공유닛(160) 또한 열린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제1슬라이드 부재(141)와 제1바디(11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력 제공유닛(160)은 커버 유닛(150)과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탄성력 제공유닛(160)은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전면과 슬라이드 그루브(144)의 내면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를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커버 유닛(150)이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일측에 장착되는 경우, 탄성력 제공유닛(160)은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탄성력 제공유닛(160)은 일단이 제1슬라이드 부재(1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드(161)와, 일단이 제2슬라이드 부재(1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1로드(161) 상을 직선 이동하는 제2로드(162), 및 제1로드(161)의 타단과 제2로드(162)의 타단 사이에 장착되어 제1 및 제2로드(161,162) 사이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16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로드(161)의 일단은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전면에 연결되며, 제2로드(162)의 일단은 제2슬라이드 부재(142)에 형성된 슬라이드 그루브(144)의 내면에 연결된다.
제1슬라이드 부재(141)에는 커버 유닛(150) 및 탄성력 제공유닛(160)을 덮는 커버 부재(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 부재(170)는 제1바디(110, 도 4 참조)와 제1슬라이드 부재(141)를 체결함과 동시에 탄성력 제공유닛(160)과 제1바디(11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슬라이드 부재(141)를 향하여 양단이 굴곡되어 형성되는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커버 부재(170) 상에는 커넥터(145)가 관통되는 관통홀(171)이 형성된다.
도 6a 내지 6c는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140)의 정면도들로서,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상대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닫힌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상부 영역에 위치된다. 닫힌 상태에서 커버 본체부(151)는 커넥터홀(146)을 개방시킨 상태로 커넥터홀(146)의 상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탄성력 제공유닛(160)의 제1 및 제2로드(161,162)는 일정 간격만큼 이격된 상태로 배치되며, 제2축(154)은 커버 본체부(151)에 형성된 링크부(153)의 일단에 위치된다. 또한, 커넥터(145, 도 4 참조)는 커넥터홀(146)의 상단부에 위치하게 된다.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바디(110) 또는 제2바디(120)에 힘을 가하면,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는 상대 슬라이드 이동을 시작하여 도 6b와 같은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도 6b의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중앙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그리고, 탄성력 제공유닛(160)의 제1 및 제2로드(161,162) 는 상대 이동하여, 제1로드(161)의 타단과 제2로드(162)의 타단 사이의 간격이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로드(161,162) 사이에 배치된 스프링(163)은 인장 변형하게 되며, 스프링(163)에는 압축되는 방향으로 탄성 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제2축(154)은 커버 본체부(151)의 이동홈(153) 상을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축(154)은 커버 본체부(151)에 회전력을 가하여 커버 본체부(151)를 제1축(155)을 중심으로 회전 이동시킨다. 제2축(154)은 제1축(155)과의 거리가 감소하는 양만큼 이동홈(153) 상을 직선 이동한다. 도 6b의 상태에서 제2축(154)은 링크부(153)의 타단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 제1 및 제2축(154,155) 사이의 거리는 최소가 된다.
도 6b의 상태를 지나면, 제1 및 제2로드(161,162)는 스프링(1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게 되며, 제1 및 제2로드(161,162)는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에 제 2상태를 향하여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도 6b의 상태로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를 상대 이동시키면, 그 이후부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는 스프링(16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도 6c와 같은 열린 상태로 상대 이동하게 된다.
도 6c의 도시와 같이, 제2슬라이드 부재(142)는 제1슬라이드 부재(141)의 하부 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며, 제2축(154)은 이동홈의 일단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버 본체부(151)는 커넥터홀(146)을 덮게 되어 회전 이동을 완료하게 된다.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141,142)가 열린 상태에서 닫힌 상태로 상대 이동되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과정들과 역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24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커버 유닛(250)은 링크부(252)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1실시예의 커버 유닛(150)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커버 유닛(250)은 제1축(255)에 의해 제1슬라이드 부재(24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커버 본체부(251)와, 제1축(255)을 중심으로 커버 본체부(251)를 회전시키는 링크부(252)를 포함한다.
링크부(252)는 커버 본체부(251) 상에 형성되는 로드홈(253)과, 제1 및 제2 제2축(254a)에 의해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241,24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이동로드(254)를 포함한다.
로드홈(253)은 제2축(254a)에서 제1축(255)을 향하는 방향을 길이 방향을 갖도록 커버 본체부(251)에 형성되며, 이동 로드(254)는 로드홈(253) 상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 가능하도록 커버 본체부(251)에 장착된다.
도 8a 내지 8c는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240)의 정면도들로서,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241,24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상대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8a의 상태에서 제2슬라이드 부재(242)는 제1슬라이드 부재(241)의 상부 영역에 위치하고 있다. 제2슬라이드 부재(242)는 하부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도 8b와 같이 제1슬라이드 부재(241)의 중앙 영역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로드(254)는 제2축(254a)에서 제1축(255)을 향하는 방향으로 로드홈(253) 상을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동 로드(254)는 커버 본체부(251)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여기서, 제1 및 제2축(254a,255) 사이의 거리는 감소하게 되며, 이는 이동 로드(254)의 이동 거리에 대응되게 된다. 도 8b는 제1 및 제2축(254,255a) 사이의 거리가 최소가 될 때를 나타내며, 이는 이동 로드(254)가 로드홈(253) 상을 최대로 이동한 경우이다.
제2슬라이드 부재(242)는 탄성력 제공유닛(26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도 8b의 상태에서 도 8c의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동 로드(254)가 제1축(255)에서 제2축(254a)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이동 로드(254)는 커버 본체부(251)에 회전력을 가하게 되며, 이에 따라 커버 본체부(251)는 회전 이동을 계속하여 커넥터홀(246)을 덮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340)의 정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340)은 탄성력 제공유닛(36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이 제2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 모듈(240)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탄성력 제공유닛(260)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341,342)의 양측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탄성력 제공 유닛(360a,360b)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성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341,342)의 상대 이동시 이들에 보다 안정적인 탄성력의 제공을 위함이다.
제1슬라이드 부재(341)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탄성력 제공유닛(360a)이 장착되고, 타측에는 제2탄성력 제공유닛(360b)이 장착된다.
제2슬라이드 부재(342)에 형성된 슬라이드 그루브(344) 중 어느 하나에는 제1슬라이드 부재(341)의 중앙 영역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장부(344a)가 형성된다. 연장부(344a)의 일측에는 커버 유닛(350)이 장착되며, 타측에는 제2탄성력 제공유닛(360b)이 장착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제1 및 제2탄성력 제공유닛(360a,360b)과 커버 유닛(350)의 구성 및 작동에 대한 설명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44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커버 유닛(450)은 제1슬라이드 부재(441) 상을 이동하여 커넥터홀(446)을 개폐하는 커버 본체부(451)와, 탄성력 제공유닛(460)에 연동하여 커버 본체부(451)를 이동시키는 링크부(45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탄성력 제공유닛(460)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41,442)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및 제2탄성력 제공유닛(460a,460b)을 포함하며, 설명의 편의상 이들 중 하나를 기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커버 본체부(451)는 앞선 실시예들과 달리 제1슬라이드 부재(441) 상을 직선 이동하도록 구성되며, 탄성력 제공유닛(460)에 연동되어 이동하여 커넥터홀(446)을 개폐한다.
링크부(452)는 커버 본체부(451) 상에 형성되는 이동홈(453)과, 제2로 드(462) 상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이동홈(453)에 삽입되는 이동돌기(454)를 포함한다.
이동홈(453)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41,442)의 상대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갖는 슬릿 형태로 형성되며, 이동 돌기(454)는 이동홈(453) 상을 직선 이동하도록 제2로드(462)의 전면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슬라이드 모듈(440)은 커버 본체부(451)가 그 이동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부재(472)가 상대 이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유동방지부재(472)는 커버 부재(470) 상에 고정되어 커버 본체부(441)의 슬라이드 이동을 가이드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커버 본체부(441)의 전면에는 표면에서 함몰되어 형성되는 유동방지 그루브(473)가 형성되며, 유동방지부재(472)의 측면에는 유동방지 그루브(473)를 따라 이동하는 유동방지 레일(474)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에서는 유동방지부재(472)가 커버 부재(470)와 별도로 구성되는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유동방지부재(472)는 커버 부재(470)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11a 내지 11c는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440)의 정면도로서,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441,44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상대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1a와 같이, 닫힌 상태에서 커넥터홀(446)은 개방된 상태에 있으며, 커버 본체부(451)는 커넥터홀(446)의 상단부에 위치한다. 그리고, 탄성력 제공유닛(460) 의 이동 돌기(454)는 이동홈(453)의 일단에 위치하게 된다.
제2슬라이드 부재(452)가 도 11b의 상태로 이동함에 따라, 탄성력 제공유닛(460)의 제1 및 제2로드(461,462)는 상대 이동하게 되며, 제1 및 제2로드(161,162)의 타단 사이의 거리는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돌기(454)는 이동홈(453) 상을 직선 이동하게 되며, 이동 돌기(454)는 커버 본체부(451)에 힘을 가하여 하측 방향으로 커버 본체부(451)를 이동시킨다. 도 11b의 상태에서 이동 돌기(454)는 이동홈(453)의 타단에 위치하게 된다.
도 11b의 상태에서 제1 및 제2로드(461,462)는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제1 및 제2로드(461,462)의 타단이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2슬라이드 부재(442)는 도 11c의 상태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이동 돌기(454)는 이동홈(453)의 일단으로 복귀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이동 돌기(454)가 커버 본체부(451)에 힘을 가함으로써 커버 본체부(451)가 커넥터홀(446)을 덮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540)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커버유닛(550)은 링크부(552)를 제외하고 제4실시예에 의한 커버 유닛(450)과 동일한 구성을 가지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앞선 설명에 갈음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링크부(552)는 커버 본체부(551)의 일면에 배치되는 이동 플레이트(553)와, 제2로드(562) 상에 형성되는 이동 돌기(554)를 포함한다.
이동 플레이트(553)는 커버 본체부(551)의 전면에 부착되며, 이동 플레이트(553)에는 이동홈(553a)이 형성된다. 이동홈(553a)은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 재(531,542)의 상대 이동 방향과 수직한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는 슬릿 형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 플레이트(553)와 커버 본체부(551)가 별도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들었으나, 이동 플레이트(553)와 커버 본체부(551)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 돌기(554)는 이동홈(553)에 삽입되어 직선 이동하도록 제2로드(562) 상에 돌출되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 유닛은 커버 본체부(551)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55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555)는 제1슬라이드 부재(541)에 장착되는 가이드 부재(556)와, 커버 본체부(551)의 측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한다.
가이드 부재(556)에는 커버 본체부(551)의 이동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갖는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되며, 가이드 레일(551)은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되어 이동된다.
도 13a 내지 13c는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540)의 정면도로서,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541,542)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상대 이동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3a 내지 13c에서 제2로드(562)의 이동 돌기(554)가 이동 플레이트(553)의 이동홈(553a)을 이동하는 과정은 제4실시예에서 제2로드(462)의 이동 돌기(454)가 커버 본체부(451)의 이동홈(453)을 이동하는 과정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한 커버 유닛(550)은 제4실시예와 달리 이동홈(553a)이 이동 플레이트(553) 상에 형성되며, 커버 본체부(551)는 가이드 부재(556)를 따라 이동되면서 보다 안정적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640)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600)의 사시도이며,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6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640)은 도 14와 같이 제1바디(610)를 제2바디(620)에 대해 일정 각도로 세울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2슬라이드 부재(642)의 단부에는 제2바디(620)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연결부(646)가 구비된다. 힌지 연결부(646)은 제2바디(620) 상에 구비된 회전축(647)과 힌지 연결되며, 제2슬라이드 부재(642)는 회전축(647)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1슬라이드 부재(641)가 제2슬라이드 부재(642) 상을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이동된 후, 제2슬라이드 부재(642)는 제2바디(6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회전 운동 된다.
따라서, 제1바디(610)는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슬라이드 이동된 후, 제2바디(620)에 대하여 일정 각도 세워지는 제3상태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힌지 연결부(646)는 사용자가 제3상태에서 제2바디(620)의 제2디스플레이부(623)를 통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경우, 사용자가 제1디스플레이부(613)를 바라보는 각도에 따라 제1바디(610)가 세워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힌지 연결부(646)는 앞서 설명된 제1 내지 제5 실시예에 의한 슬라이드 모듈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도 16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71), 조작부(116,124), 영상입력부(115,127), 음향입력부(117), 디스플레이부(113,123), 음향출력부(114,130), 센싱유닛(176), 인터페이스(125), 방송 수신 모듈(175), 메모리(174), 전원공급부(126),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무선통신 모듈(17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7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72)을 포함한다.
조작부(116,12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영상입력부(115,127)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12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123)로 출력된다.
영상입력부(115,127)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74)에 저장되거나 무선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입력부(117)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71)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통신 모듈(171)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입력부(117)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12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123)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
음향 출력부(114,130)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7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7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부(114,130)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센싱 유닛(17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6)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5)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5)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5)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7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7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7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0), 디스플레이부(113,12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7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7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7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6)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6a 내지 6c는 도 5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8a 내지 8c는 도 7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11a 내지 11c는 도 10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의 사시도
도 13a 내지 13c는 도 12에 도시된 슬라이드 모듈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관련된 슬라이드 모듈이 장착된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Claims (25)
-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 사이를 상대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슬라이드 모듈에 의해 연결되는 제1 및 제2바디; 및상기 제1 및 제2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커넥터를 포함하고,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를 가리는 커버 유닛을 구비하며,상기 슬라이드 모듈은,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고, 상기 닫힌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의 배치공간을 마련하는 커넥터홀이 형성되는 제1슬라이드 부재; 및상기 제2바디에 고정되며,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상기 커버 유닛은,제1축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회전 동작에 따라 상기 커넥터홀을 개폐하는 커버 본체부;상기 커버 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닫힌 상태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이며,상기 열린 상태는 제1 및 제2바디 사이의 적어도 일 영역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이동에 따라 변형되는 연성회로기판(FPC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상기 커버 본체부에 형성되는 이동홈; 및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상기 커버 본체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며, 상기 이동홈 상을 직선 이동하는 제2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상기 커버 본체부에 형성되는 로드홈; 및제2축에 의하여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로드홈 상을 직선 이동하는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력 제공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커버 본체부는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에 연결되고,상기 링크부는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본체부를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일단이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로드;일단이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1로드 상 에 직선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2로드; 및상기 제1로드의 타단과 상기 제2로드의 타단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제1 및 제2로드 사이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상기 커버 본체부 상에 형성되는 이동홈; 및상기 제1 및 제2로드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홈 상을 직선 이동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상기 커버 본체부에는 상기 커버 본체부 상을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커버 본체부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동방지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상기 커버 본체부의 일면에 배치되며, 이동홈이 형성되는 이동 플레이트; 및상기 제1 및 제2로드 중 어느 하나의 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이동홈 상을 직선 이동하는 이동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커버 본체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장착되며, 가이드 그루브가 형성된 가이드 부재; 및상기 커버 본체부의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그루브에 삽입되어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는 슬라이드 레일이 형성되고,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제1바디의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그루브가 형성되며,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상기 슬라이드 그루브의 내면과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전면을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일측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드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타측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커버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의 중앙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상기 제1슬라이드의 중앙 영역을 중심으로 양측에 장착되는 제1 및 제2탄성력 제공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는 상기 커버 유닛 및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을 덮으며, 상기 제1슬라이드부재와 상기 제1바디를 체결하기 위한 커버 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를 상기 제2바디에 대해 일정 각도 세우기 위한 힌지 연결부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상기 제1 및 제2바디에는 출력된 시각 정보를 터치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제1 및 제2디스플레이부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
- 제1 및 제2바디에 각각 고정되며,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로 상대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서로 슬라이드 연결되는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상기 제1 및 제2바디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를 통과하는 커넥터; 및상기 열린 상태에서 상기 커넥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상기 커넥터를 가리는 커버 유닛을 포함하고,상기 커버 유닛은,제1축에 의해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제2슬라이드 부재에 형성된 커넥터홀을 회전 동작에 의해 개폐하는 커버 본체부;상기 커버 본체부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를 연결하며,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커버 본체부를 회전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 삭제
- 제22항에 있어서,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및 제2슬라이드 부재의 상대 이동에 따라 상기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편향되도록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력 제공유닛을 더 포함하고,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은 상기 제1바디와 상기 제1슬라이드 부재의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유닛은,상기 커버 본체부와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을 연결하며, 상기 탄성력 제공유닛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 본체부를 이동시키는 링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7549A KR101566281B1 (ko) | 2008-03-25 | 2008-03-25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US12/372,532 US8046036B2 (en) | 2008-03-25 | 2009-02-17 |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DE602009000690T DE602009000690D1 (de) | 2008-03-25 | 2009-03-05 | Gleitmodul und tragbares Endgerät damit |
AT09003208T ATE497674T1 (de) | 2008-03-25 | 2009-03-05 | Gleitmodul und tragbares endgerät damit |
EP09003208A EP2106101B1 (en) | 2008-03-25 | 2009-03-05 |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27549A KR101566281B1 (ko) | 2008-03-25 | 2008-03-25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2242A KR20090102242A (ko) | 2009-09-30 |
KR101566281B1 true KR101566281B1 (ko) | 2015-11-05 |
Family
ID=408874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27549A KR101566281B1 (ko) | 2008-03-25 | 2008-03-25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8046036B2 (ko) |
EP (1) | EP2106101B1 (ko) |
KR (1) | KR101566281B1 (ko) |
AT (1) | ATE497674T1 (ko) |
DE (1) | DE602009000690D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51873B2 (en) | 2017-03-28 | 2020-02-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6577B1 (ko) * | 2008-10-09 | 2010-06-29 | 주식회사 다이아벨 | 슬라이드 힌지 장치 |
KR20110040300A (ko) * | 2009-10-14 | 2011-04-20 | 암페놀피닉스 유한회사 | 휴대형 단말기용 슬라이드 개폐장치 |
US8625290B2 (en) * | 2009-10-15 | 2014-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
KR101728387B1 (ko) * | 2010-09-27 | 2017-04-1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
US20120154999A1 (en) * | 2010-12-15 | 2012-06-21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apparatus |
CN202332674U (zh) * | 2011-08-29 | 2012-07-11 | 华为终端有限公司 | 终端设备及其按键外壳和内壳体的模具 |
US8774716B2 (en) * | 2012-03-29 | 2014-07-08 | Auden Techno Corp. |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58039A1 (en) * | 2004-09-15 | 2008-03-06 | M2Sys Co., Ltd. |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344887B2 (ja) | 2004-10-13 | 2009-10-14 |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 携帯情報端末 |
KR100839415B1 (ko) * | 2005-09-29 | 2008-06-23 | (주)하이텍파츠 |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
KR20070087744A (ko) * | 2005-09-30 | 2007-08-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복수의 액정을 갖는 이동단말기 |
WO2007114584A1 (en) * | 2006-04-04 | 2007-10-11 | Laird Technologies Map Co., Ltd. | Slide-up opening and closing mechanism for portable terminal |
US7385150B1 (en) | 2006-12-28 | 2008-06-10 | Microsoft Corporation | Sliding mechanism for device with two keyboards |
CN101453853B (zh) * | 2007-12-07 | 2012-03-14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滑动机构 |
-
2008
- 2008-03-25 KR KR1020080027549A patent/KR10156628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
- 2009-02-17 US US12/372,532 patent/US8046036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9-03-05 EP EP09003208A patent/EP2106101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09-03-05 AT AT09003208T patent/ATE497674T1/de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9-03-05 DE DE602009000690T patent/DE602009000690D1/de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058039A1 (en) * | 2004-09-15 | 2008-03-06 | M2Sys Co., Ltd. | Sliding Mechanism for Opening and Closing of Cellular Phon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51873B2 (en) | 2017-03-28 | 2020-02-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ocking station for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2106101B1 (en) | 2011-02-02 |
KR20090102242A (ko) | 2009-09-30 |
DE602009000690D1 (de) | 2011-03-17 |
EP2106101A3 (en) | 2009-10-28 |
ATE497674T1 (de) | 2011-02-15 |
EP2106101A2 (en) | 2009-09-30 |
US8046036B2 (en) | 2011-10-25 |
US20090245933A1 (en) | 2009-10-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29913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46381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63819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2726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66281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728387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649625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87141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604703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4557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04739B1 (ko) | 폴더타입 휴대 단말기 | |
KR10154559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95358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95347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62259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74430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484536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7239B1 (ko) |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 |
KR101474435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45572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87134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95351B1 (ko) | 휴대 단말기 | |
KR101513304B1 (ko) |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1437976B1 (ko) |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 |
KR101545596B1 (ko) | 휴대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