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463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463B1
KR101810463B1 KR1020110035860A KR20110035860A KR101810463B1 KR 101810463 B1 KR101810463 B1 KR 101810463B1 KR 1020110035860 A KR1020110035860 A KR 1020110035860A KR 20110035860 A KR20110035860 A KR 20110035860A KR 101810463 B1 KR101810463 B1 KR 101810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member
case
delete delete
slide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5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8352A (ko
Inventor
박경준
정진수
유대원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5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463B1/ko
Priority to TW101111907A priority patent/TWI540875B/zh
Priority to EP12002424.5A priority patent/EP2515198B1/en
Priority to US13/447,068 priority patent/US8837155B2/en
Priority to CN201210111248.6A priority patent/CN102752416B/zh
Publication of KR20120118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8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3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for the transmission of signal or power between the different housings, e.g. details of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passage of cab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 H04M1/236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including keys on side or rear 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04M1/6041Portable telephones adapted for handsfree us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측단에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단말기를 슬림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어느 바디가 다른 바디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보다 단순한 구조를 가지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서로 상대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드 모듈을 구비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단말기 바디를 보다 슬림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는, 제1바디와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측단에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및 제1 디스플레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와 결합시, 상기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탄성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바디는,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탄성구동부의 일단과의 거리를 좁히도록, 상기 슬라이딩 모듈의 일부와 일체화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구현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는 제1바디와 제2바디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슬라이드 연결하는 슬라이드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1바디에 고정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에,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레일홈을 구비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레일홈은 서로 적층되지 않도록, 동일 평면 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레일홈이 디스플레이부의 하면에 적층되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제2 절곡부의 두께만큼 제1 바디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의 측방향 유동 방지와 관련된 형상 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추가되는 부품이 필요 없게 되어, 단말기의 경량화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의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이동 단말기의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상부바디의 배면도.
도 6a은 도 2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1바디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제2케이스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도 2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1바디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과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상면 사시도로서, 도 1은 이동 단말기가 닫힌 상태이고, 도 2는 이동 단말기가 열린 상태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특히, 폭방향(가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가 제시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길이방향(세로방향) 슬라이드 이동에 의하여 열림상태를 구현하는 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10)가 일 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이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의 베이스(130)에 대한 '이동'으로서 슬라이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그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대해 스윙(swing) 또는 스위블(swivel)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의 상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는 기능이나 부품은 이동 단말기(100)가 어떠한 기능을 강조하는가 또는 어떤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를 추구하는가에 따라 다양한 예가 도출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2와 같이 상부 바디(110)의 상면에 디스플레이부(113)를 설치하고, 하부 바디(120)의 상면에 입력이나 제어명령을 위한 제2 조작부(123)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본 발명의 일 예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음향 입력부(117)는 마이크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음향 입력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3)를 기준으로 음향 출력부(114)에 대칭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바디(120)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가 배치될 수 있다.
제2바디(120)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 이에 의해, 닫힌 상태(도 1의 상태)에서 제1바디(110)에 의해 오버랩되는 제2바디(120)의 전면에 배치된 제2 조작부(123)가 제1바디(110)에 대하여 노출된다.
노출된 제2 조작부(123)의 키들은 디스플레이부(113)에서 출력되는 내용과 관련한 입력을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조작부(123)가 언어키(한글 자음 및 모음/영어 알파벳 등) 및 숫자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언어키는 쿼티(QWERTY)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언어키가 쿼티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됨에 따라, 사용자는 영문으로 문자, 메모, 이메일 등을 쉽게 작성할 수 있게 된다.
제2 조작부(123)가 터치 스크린이라면, 터치 스크린의 노출된 부분에는 키들로서 기능키의 아이콘이 터치 입력 가능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13)에 동영상이 출력되는 경우라면, 기능키들은 일시정지, 재생, 뒤로, 앞으로, 재생 목록 등과 같은 기능의 구현을 위한 명령을 입력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설명에서는 제2바디(120)의 전면에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되는 것을 기준으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바디(12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되는 제2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이동 단말기(100)이 배면을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2바디(120)의 주면과 평행한(마주하는) 측면에는 제3 조작부(124), 인터페이스(126)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 123, 124)는 사용자 입력부(user input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제2바디(120)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또한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1)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제1바디(110)의 슬라이딩 시에 제2바디(120)는 슬라이딩 되도록 하기 위하여,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슬라이드 모듈(360, 도 3 참조)에 의해 연결된다. 슬라이드 모듈(360)은 닫힌 상태 및 열린 상태 사이에서 제1바디(110)를 제2바디(120)에 대하여 슬라이딩시키도록 형성된다.
제1바디(110)가 보다 많이 슬라이딩되면, 제2바디(120)의 전면의 노출되는 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된다. 노출 면적이 넓어짐에 따라 단말기의 하드웨어적 기능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작부(123, 도 2 참조)의 언어키 및 숫자키가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상부바디의 배면도이며, 도 6a은 도 2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1바디의 단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에서 제2케이스의 변형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제1케이스(프론트 케이스, 111)와 제2케이스(리어케이스, 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바디(110), 구체적으로 제1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제1 조작부(116), 그리고 음향 입력부(117)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통화 연결을 위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터치 입력 가능한 숫자 키들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단말기(100)는 제1바디(110), 제2바디(120), 제1 디스플레이부(113) 및 슬라이드 모듈(200)을 포함한다.
슬라이드 모듈(200)은 제1 슬라이드 부재(210), 탄성 구동부(220) 및 제2 슬라이드 부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라이드 부재(210)는 제1바디(110)에 결합하여 고정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210)는 제2 슬라이드 부재(230)에 형성된 레일홈(233)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한다.
레일홈(233)은 서로 교차하는 제1절곡부(231)와 제2절곡부(23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231)는 제2 슬라이드 부재(230)의 측단으로부터 일정 각도로 절곡되고, 제2절곡부(232)는 제1절곡부(231)와 교차하도록 절곡되어 제1절곡부(231)와 제2절곡부(232)는 함께 레일홈(233)을 형성한다. 즉, 제1절곡부(231)와 제2절곡부(232)는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제1 슬라이드 부재(210)의 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며, 제1 슬라이드 부재(210)가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레일홈(233)을 형성한다.
이러한 레일홈(233)은 제1 디스플레이부(113)와 적층되지 않도록 동일 평면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단말기의 제1바디(1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일 예로, 디스플레이부, 제2 케이스(112), 제1 슬라이드 부재(210), 제2 슬라이드 부재(230)가 순서대로 적층되고, 레일홈(233)이 디스플레이부의 하면에 적층되는 경우, 제2절곡부(232)의 두께만큼 제1바디(110)의 두께가 두터워 진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같이, 레일홈(233)이 디스플레이부의 하면에 적층되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면, 최소한 제2절곡부(232)의 두께만큼 제1바디(1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레일홈이 디스플레이부에 적층되는 구조에서는, 슬라이딩 동작의 완료시에는 스프링의 탄성 또는 복원력으로 인하여, 디스플레이부가 가압되거나, 디스플레이부에 충격이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레일홈(233)이 제1 디스플레이부(113)와 적층되지 않도록 동일 평면상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이와 같은 가압 또는 충격을 보다 완화할 수 있다. 왜냐하면, 레일홈이 디스플레이부에 적층되는 구조보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경우, 탄성 구동부의 일단으로부터 제1바디 내의 각 부품들까지의 거리가 더 짧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레일홈의 측면에 위치하며,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에 의해 한정되는 공간에는 내충격성이 완화된 스피커 또는 마이크가 배치될 수 있으며, 기존에 비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드 부재(230)에는, 결합되는 제2바디(120)에 안착되도록 제2바디(120)를 향하여 일면이 돌출되는 돌출부(234)가 형성된다. 돌출부(234)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사이의 형성되는 갭으로 얇은 판상의 카드와 같은 외부의 구조물이 삽입되어 연성회로기판(240)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카드와 같은 외부 구조물에 의해 연성회로기판(240)이 손상될 수 있는 데, 돌출부(234)를 형성함으로써 이를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돌출부(234)에는 상기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 간의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240)이 통관하도록 홀(235)이 형성된다. 또한, 제1 슬라이드 부재(210)는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211)이 형성된다. 제1 슬라이드 부재(210)의 홈(211)에는 연성회로기판(240)이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가 닫힌 상태에서 열린 상태로 전환되게 되면, 연성회로기판(240)의 길이로 인하여, 연성회로기판(240) 자체가 꺾이거나 서로 겹치게 된다. 이러한 꺾임이나 겹침이 반복되면, 연성회로기판(240)이 파손된다.
따라서, 연성회로기판(240)의 양단이 각각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와 결합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야 하며, 이 경우, 연성회로기판(240)의 양단이 각각 제1바디(110) 및 제2바디(120)와 결합될 때, 'S'자 형의 굴곡된 상태를 갖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234), 돌출부(234)에 형성된 홀(235) 및 제1 슬라이드 부재(210)에 형성된 홈(211)에 의해, 연성회로기판(240)이 보호될 수 있다.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제1바디(110)는 외관을 형성하는 제1케이스(111)와 제2케이스(112)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1케이스(111) 또는 제2케이스(112)에는 슬라이딩시 구름 접촉하도록 레일홈(233)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112b)가 형성된다. 특히, 가이드부(112b)는 레일홈(233)의 제1 절곡부(231)와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슬라이딩시 레일홈(233)의 측방향 변형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2케이스(112)는 일면에서 기 설정된 간격만큼 리세스되는 리세스부(112b)를 포함하는 데, 리세스부(112b)에는 제1디스플레이부(113)가 안착될 수 있다. 이로써, 제1 디스플레이부(113)의 측방향 유동을 줄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디스플레이부(113)의 측방향 유동 방지와 관련된 형상이나, 이를 방지하기 위해 추가되는 부품이 필요 없게 되어, 단말기의 경량화 및 제조공정의 간소화를 이룰 수 있다.
그리고, 리세스부(112b)에는 리세스부(112b)를 덮도록 제1 슬라이드 부재(210)가 부착된다.
도 6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슬라이드 부재(210)와 제2 케이스(11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바디(110)의 두께를 제1 슬라이드 부재(210)의 두께 만큼 슬림화할 수 있다.
제2바디(120)에는 제2 슬라이드 부재(230)가 안착되는 안착홈(141)이 형성된다. 안착홈(141)은 제2바디(12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깊이만큼 리세스되어,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가 일정 갭을 유지한 상태로 슬라이딩 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141)은 돌출부(234)의 일부가 안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르는 도 2의 라인(Ⅳ-Ⅳ)를 따라 절단한 상태에서의 제1바디(110)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게 단말기는 제1바디(110), 제2바디(120), 디스플레이부(113) 및 슬라이드 모듈(300)을 포함한다. 그리고, 슬라이드 모듈(300)은 제1 슬라이드 부재(310)와 제2 슬라이드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 슬라이드 부재(310)는 제2케이스의 리세스부(112b)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312)을 구비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관통홀(312)은 리세스부(112a)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고, 삽입시 리세스부(112a)와 제1 슬라이드 부재(310)는 서로 적층되지 않고, 동일 평면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관통홀(312)에 리세스부(112a)가 삽입됨으로써, 제1바디(110)의 두께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부(113), 제2 케이스(112), 제1 슬라이드 부재(310), 레일홈(333)의 제2절곡부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20)가 두께 방향으로 순서대로 적층되어 단말기를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부(113), 제2 케이스(112) 및 제2 슬라이드 부재(320)만이 두께 방향으로 적층되므로, 제2절곡부와 제1 슬라이드 부재(310)의 두께 만큼 단말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2)

  1. 제1바디와 제2바디;
    상기 제1바디에 장착되는 제1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를 서로에 대하여 상대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드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제1바디의 외관을 형성하며, 일 영역이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의 측면을 감싸는 제1케이스와 제2케이스; 및
    제1 디스플레이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케이스의 일면에서 리세스되는 리세스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 모듈은,
    상기 제2케이스에 결합되는 제1 슬라이드 부재; 및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측단에 서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는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를 구비하는 제2 슬라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절곡부와 제2절곡부는 상기 제1 및 제2케이스의 상기 일 영역과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리세스부를 덮도록 상기 리세스부에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상기 리세스부에 대응하는 형상의 관통홀을 구비하고,
    상기 리세스부는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와 결합시, 상기 관통홀에 적어도 일부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케이스 또는 제2케이스는,
    슬라이딩시 구름 접촉하도록,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제2 케이스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슬라이드 부재는,
    결합되는 제2바디에 안착되며, 일면으로부터 상기 제2바디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제1바디와 제2바디 간의 신호를 주고 받을 수 있는 연성회로기판이 통관하도록 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라이드 부재는,
    일면으로부터 리세스된 홈을 구비하여,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상기 홈을 따라 배치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바디는,
    슬라이딩에 의해 노출되거나 덮히는 조작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조작부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부와 관련된 시각정보를 표시하는 제2디스플레이부이거나, 복수의 키버튼들이 배열된 키패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KR1020110035860A 2011-04-18 2011-04-18 이동 단말기 KR101810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860A KR101810463B1 (ko) 2011-04-18 2011-04-18 이동 단말기
TW101111907A TWI540875B (zh) 2011-04-18 2012-04-03 行動終端機
EP12002424.5A EP2515198B1 (en) 2011-04-18 2012-04-03 Slidable mobile terminal
US13/447,068 US8837155B2 (en) 2011-04-18 2012-04-13 Mobile terminal
CN201210111248.6A CN102752416B (zh) 2011-04-18 2012-04-16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5860A KR101810463B1 (ko) 2011-04-18 2011-04-18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8352A KR20120118352A (ko) 2012-10-26
KR101810463B1 true KR101810463B1 (ko) 2017-12-19

Family

ID=4597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5860A KR101810463B1 (ko) 2011-04-18 2011-04-18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37155B2 (ko)
EP (1) EP2515198B1 (ko)
KR (1) KR101810463B1 (ko)
CN (1) CN102752416B (ko)
TW (1) TWI5408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430B1 (ko) * 2009-07-13 2015-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625290B2 (en) * 2009-10-15 2014-01-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Waterproof structure for portable terminal
USD738844S1 (en) * 2013-06-27 2015-09-15 Lg Electronics Inc. Cellular phone
KR101547640B1 (ko) * 2013-09-16 2015-08-27 (주) 프렉코 가이드부재를 갖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장치
US10474409B2 (en) * 2014-09-19 2019-11-12 Lenovo (Beijing) Co., Ltd. Response contro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US10503257B2 (en) 2016-02-23 2019-12-10 Blackberry Limited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providing haptic feedback
CN108600428B (zh) * 2018-04-02 2021-03-1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设备
JP6698144B1 (ja) * 2018-12-25 2020-05-27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
USD975794S1 (en) * 2021-02-07 2023-01-17 Zhaoyu Wang Toy phon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3807A1 (en) * 2009-09-11 2011-03-17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2718B1 (ko) 2005-04-04 2006-12-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기어구동형 슬라이드 모듈 및 그 개폐방법
TWM341382U (en) * 2008-04-23 2008-09-21 Mobinnova Corp Housing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063807A1 (en) * 2009-09-11 2011-03-17 Htc Corporation Handheld electronic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246893A (en) 2012-11-16
KR20120118352A (ko) 2012-10-26
CN102752416B (zh) 2016-01-20
US8837155B2 (en) 2014-09-16
TWI540875B (zh) 2016-07-01
EP2515198B1 (en) 2017-10-18
EP2515198A3 (en) 2015-05-06
US20120262887A1 (en) 2012-10-18
CN102752416A (zh) 2012-10-24
EP2515198A2 (en) 2012-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0463B1 (ko) 이동 단말기
KR10149517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US8947882B2 (en)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US8634885B2 (en) Mobile device having a plate in a gap between sliding bodies
US20120231855A1 (en) Connecting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554187B1 (ko) 힌지 유닛 및 그를 채용한 휴대용 단말기
KR101688941B1 (ko) 휴대 단말기의 제조방법
KR101869771B1 (ko)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 제조방법
KR101604703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201910B1 (ko) 이동 단말기
KR101918989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0206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7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70380B1 (ko) 휴대 단말기
KR1016047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545594B1 (ko) 휴대 단말기
KR20090017908A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47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45572B1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9535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29919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3621B1 (ko) 휴대 단말기
KR101545591B1 (ko) 휴대 단말기
KR101474437B1 (ko) 휴대 단말기
KR20120087731A (ko) 이동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