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2520Y1 -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2520Y1
KR200382520Y1 KR20-2005-0003077U KR20050003077U KR200382520Y1 KR 200382520 Y1 KR200382520 Y1 KR 200382520Y1 KR 20050003077 U KR20050003077 U KR 20050003077U KR 200382520 Y1 KR200382520 Y1 KR 200382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nnecting member
torsion spring
opening
clos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307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식
Original Assignee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닉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307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252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2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2520Y1/ko
Priority to FI20060082A priority patent/FI20060082A/fi
Priority to US11/343,930 priority patent/US20060180457A1/en
Priority to CN2006100033392A priority patent/CN1816064B/zh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62Details related to the integrated keyboard
    • G06F1/1671Special purpose buttons or auxiliary keyboards, e.g. retractable mini keypads, keypads or buttons that remain accessible at closed lap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축선을 따라 서로 상대 이동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개폐장치는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기 이동축선을 따라 배치된다.

Description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SLIDING TYPE OPENING AND CLOSING APPARATUS FOR USE IN PORTABLE TELEPHONE}
본 고안은 슬라이딩에 의한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두 유닛을 결합시키고 두 유닛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하도록 하여 두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5에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개폐장치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5를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2a)는 점선으로 도시된 제1 유닛(14a)과 제2 유닛(16a)을 구비한다. 통상 제1 유닛(14a)에는 키패드가 마련되고 제2 유닛(16a)에는 액정디스플레이가 마련된다. 제1 유닛(14a)과 제2 유닛(16a)은 개폐장치(10a)에 의해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개폐장치(10a)는 제1 유닛(14a)에 고정되는 지지체(20a)와, 제2 유닛(16a)의 양쪽에 각각 고정되는 두 개의 슬라이더가 되는 이동막대(40a)와, 토션 스프링(50a)을 구비한다. 상세히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지지체(20a) 양쪽에는 안내레일이 마련되고, 그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하도록 두 이동막대(40a)가 각각 끼워진다. 토션 스프링(50a)의 두 결합부는 각각 지지체와 두 이동막대(40a) 중 하나에 연결되어 있다. 두 이동막대(40a)가 지지체(20a)의 안내레일을 따라 직선이동함에 따라, 제1 유닛(14a)의 키패드가 노출되거나 폐쇄된다. 이때, 토션 스프링(50a)의 작용에 의해 제2 유닛(16a)은 어느 정도 이동한 후에 자동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이동하게 된다.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는 내구성이 요구된다. 특히 부품 중에서 탄성부재는 지속적으로 동작을 수행하도록 내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개폐장치는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소형화되는 휴대전화기 등의 물품에 적합하도록 보다 얇고 작아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두 유닛을 결합시키고 두 유닛이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도록 하여 두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거나 폐쇄하도록 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휴대전화기에 사용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로서, 내구성이 우수한 구성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정확한 동작을 제공하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두께가 얇은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측면에 따르면,
이동축선을 따라 서로 상대 이동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기 이동축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은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두 연장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은 2개의 코일부와 두 코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두 연장부는 상기 각 코일부로부터 하나씩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각각 2개의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의 각 연장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각 롤러에 하나씩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두 롤러는 상기 제2 연결부재를 바라보는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두 롤러는 상기 제1 연결부재를 바라보는 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을 참조하면, 휴대 전화기(12)는 키패드가 마련되는 제1 유닛(14)과, 액정 디스플레이가 마련되는 제2 유닛(16)을 구비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유닛(16)에도 필요한 버튼을 구비할 수 있다. 도2의 (a), (b), (c)를 함께 참조하면, 제1 유닛(14)과 제2 유닛(16)은 개폐장치(10)에 의해 포개져서 결합되어 이동축선(100)을 따라 서로 상대적으로 직선 슬라이딩 운동하게 된다.
도1과 도2의 (a), (b), (c)를 참조하면, 제1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10)는 휴대 전화기(12)의 제1 유닛(14)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20)와, 휴대 전화기(12)의 제2 유닛(16)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40)와, 이동축선(100)을 따라 배치된 제1 탄성부재(70) 및 제2 탄성부재(80)를 구비한다. 제1 연결부재(20)는 대체로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서, 기초판(22)과, 기초판(22) 양측에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2 유닛(16) 쪽으로 약간 돌출되어 형성된 제1, 제2 측벽(26, 27)을 구비한다. 기초판(22)에는 제2 연결부재(40)를 바라보는 쪽에 제1A 롤러(30)와 제2A 롤러(32)가 장착된다. 제1A 롤러(30)와 제2A 롤러(32)는 제1 측벽(26) 쪽에 치우쳐서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1A 롤러(30)에는 제1 탄성부재(70)의 후술하는 제1A 결합부(78)가 결합된다. 제2A 롤러(32)에는 제2 탄성부재(80)의 후술하는 제2A 결합부(88)가 결합된다. 두 측벽(26, 27)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며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연장된 장착홈(261, 271)이 마련된다. 각 결합홈(261, 271)에는 제1 가이드(50)와 제2 가이드(52)가 끼워져 장착된다. 제1, 제2 가이드(50, 52)에는 각각 서로 마주보며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연장된 제1, 제2 결합안내홈(501, 521)이 형성된다. 제1, 제2 결합안내홈(501, 521)에 후술하는 제2 연결부재(40)의 제1, 제2 삽입날개(42, 43)가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2 연결부재(40)는 대체로 이동축선(100) 방향으로 연장된 직사각형의 판상으로서,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연장된 양측에는 휴대전화기(12)의 제1 유닛(14) 쪽으로 약간 꺾인 후 다시 바깥쪽으로 꺾여 약간 연장되어 마련된 제1, 제2 삽입날개(42, 43)가 각각 형성된다. 제1, 제2 삽입날개(42, 43)는 각각 제1 연결부재(20)의 제1, 제2 결합안내홈(501, 5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제1 삽입날개(42)와 제2 삽입날개(43)의 양 끝단은 각각 구부러져서 제1 연결부재(20)에 대한 이동이 양끝에서 제한된다. 제2 연결부재(40)에는 제1 연결부재(20)를 바라보는 쪽에 제1B 롤러(44)와 제2B 롤러(46)가 장착된다. 제1B 롤러(44)와 제2B 롤러(46)는 제2 삽입부(43) 쪽에 치우쳐서 이동축선(100)과 평행하게 서로 인접하여 위치된다. 제1B 롤러(44)에는 제1 탄성부재(70)의 후술하는 제1B 결합부(79)가 결합된다. 제2B 롤러(46)에는 제2 탄성부재(80)의 후술하는 제2B 결합부(89)가 결합된다. 제1 연결부재(20)가 제2 연결부재(40)의 가운데 부분에 위치할 때, 제1 연결부재(20)의 제1A 롤러(30) 및 제2A 롤러(32)는 각각 제2 연결부재(40)의 제1B 롤러(44) 및 제2B 롤러(46)와 각각 마주보게 된다(도3의 (b) 참조).
도2의 (b)와 (c)를 참조하면, 제1 탄성부재(70)는 토션스프링으로서, 제1A, 제1B 코일부(72, 73)와, 두 코일부(72, 73)를 공통으로 외접하며 연결하는 제1 연결부(74)와, 제1A 코일부(72)로부터 연장된 제1A 연장부(75)와, 제1B 코일부(73)로부터 연장된 제1B 연장부(76)를 구비한다. 제1A 연장부(75)와 제1B 연장부(76)는 대체로 제1 연결부(74)의 반대쪽을 향하도록 연장된다. 제1A 코일부(72)와 제1A 연장부(75)가 연결되는 부분과 제1B 코일부(73)와 제1B 연장부(76)가 연결되는 부분 사이의 거리는 제1 연결부재(20)의 제1A 롤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제1B 롤러(44) 사이의 거리와 대체로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도3의 (b) 참조). 제1A 연장부(75)의 끝단과 제1B 연장부(76)의 끝단은 각각 원형으로 구부러져서 제1A 결합부(78)와 제1B 결합부(79)가 구비된다. 제1A 결합부(78)와 제1B 결합부(79)는 제1A 롤러(30)와 제1B 롤러(44)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70)는 제1A 롤러(30)와 제1B 롤러(44)에 결합된 상태에서 두 연장부(75, 76)가 서로 벌어지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2 탄성부재(80)는 제1 탄성부재(7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2 탄성부재(80)의 제2A 결합부(88)와 제2B 결합부(89)는 제2A 롤러(32)와 제2B 롤러(46)에 각각 끼워져 결합된다. 제1 탄성부재(70)와 제2 탄성부재(80)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제2 탄성부재(80)는 역시 제2A 롤러(32)와 제2B 롤러(46)에 결합된 상태에서 두 연장부(85, 86)가 서로 벌어지도록 하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제1 탄성부재(70)와 제2 탄성부재(80)는 이동축선(100)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따라서, 개폐장치(10)의 두께가 줄어든다. 또한, 두 탄성부재(70, 80)는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마주 보도록 배치된다 함은 두 탄성부재의 연장부가 서로 가깝게 위치하고 두 탄성부재의 코일부는 멀게 위치함을 의미한다.
이제, 도2 내지 도4를 참조하여 상기 실시예에 따른 개폐장치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2 내지 도4에서 제2 연결부재(40)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휴대전화기가 개방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이고, 좌측으로 이동하는 것은 휴대전화기가 폐쇄되도록 이동하는 방향이다. 먼저 도2의 (a)와 (b)를 참조하면, 휴대전화기(12)가 완전히 닫혀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40)는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도면상 좌측으로 최대한 이동해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40)의 제1B 롤러(44)와 제2B 롤러(46)가 제1 연결부재(20)의 제1A 롤러(30)와 제2A 롤러(32)에 대하여 좌측에 위치해 있다. 제1 탄성부재(70)의 두 연장부(75, 76) 및 제2 탄성부재(80) 두 연장부(85, 86)는 서로 벌어지려하므로 제1 탄성부재(70)와 제2 탄성부재(80)는 제2 연결부재(40)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좌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나 휴대전화기(12)는 이미 완전히 닫힌 상태로서, 제1 연결부재(20)에 대한 제2 연결부재(40)의 좌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닫힌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도2의 (a)와 (b)의 상태에서 휴대전화기(12)를 펼치기 위해서는 외력을 가하여 제2 유닛(16)을 화살표 방향(도면에서는 우측)으로 밀어야 한다. 그러면 그 외력에 의해 개폐장치(10)의 제2 연결부재(40)가 함께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연결부재(40)의 두 롤러(44, 46)가 우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계속해서 휴대전화기(12)의 제2 유닛(16)을 제1 유닛(14)에 대하여 우측으로 밀어 제2 연결부재(40)의 두 롤러(44, 46)가 제1 연결부재(20)의 두 롤러(30, 32)와 마주보며 가장 가까워진 중립위치에 도착한 상태가 도3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다. 도3의 (b)를 참조하면, 제1 연결부재(20)의 제1A 롤러(30)와 제2 연결부재(40)의 제1B 롤러(44)가 이동축선(100)과 수직인 선상에 위치한다. 또한, 제1 연결부재(20)의 제2A 롤러(32)와 제2 연결부재(40)의 제2B 롤러(46) 역시 이동축선(100)과 수직인 선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제1 탄성부재(70)와 제2 탄성부재(8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연결부재(60)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좌측이나 우측 어느 쪽으로든 자동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도4의 (a)와 (b)에 도시된 중립상태에 도달하기 이전에 외력을 제거하면 제1, 제2 탄성부재(70, 80)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연결부재(40)는 자동으로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휴대전화기(12)는 자동으로 닫히게 된다.
도3의 (a)와 (b)의 상태에서, 휴대전화기(12)를 더 열기 위해 제2 유닛(16)을 제1 유닛(14)에 대하여 우측으로 밀면 제2 연결부재(40)가 함께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제2 연결부재(40)의 두 롤러(44, 46)가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 연결부재(40)의 두 롤러(44, 46)가 제1 연결부재(20)의 두 롤러(30, 32)의 우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제1 탄성부재(70)와 제2 탄성부재(80)는 제2 연결부재(40)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2 연결부재(40)는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자동으로 우측으로 이동하고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한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가 도4의 (a)와 (b)에 도시되어 있다. 도4의 (a)와 (b)를 참조하면, 휴대전화기(12)가 완전히 개방되어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40)는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도면상 우측으로 최대한 이동해 있다. 이때, 제2 연결부재(40)의 제1B 롤러(44)와 제2B 롤러(46)가 제1 연결부재(20)의 제1A 롤러(30)와 제2A 롤러(32)에 대하여 우측에 위치해 있다. 제1 탄성부재(70)의 두 연장부(75, 76) 및 제2 탄성부재(80) 두 연장부(85, 86)는 서로 벌어지려하므로 제1 탄성부재(70)와 제2 탄성부재(80)는 제2 연결부재(40)가 제1 연결부재(20)에 대하여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힘을 가한다. 그러나 휴대전화기(12)는 이미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서, 제1 연결부재(20)에 대한 제2 연결부재(40)의 우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개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휴대전화기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닫는 과정은 상기 설명한 개방과정과 정반대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실시예에서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슬라이드 방식으로 열고 닫히는 두 유닛을 구비한다면 상기 개폐장치가 장착되어 적용될 수 있음을 당업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구성을 따르면 앞에서 기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전화기의 두 유닛을 결합시키고 두 유닛이 상대적으로 직선이동하도록 하여 두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시키거나 폐쇄시키는 슬라이드형 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두 탄성부재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므로 개폐장치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상기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고안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도1은 슬라이딩 방식으로 열리고 닫히는 휴대전화기의 사시도
도2의 (a), (b), (c)는 각각 도1의 휴대전화기에 장착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형 개폐장치의 측면도, 저면도 및 정면도로서, 휴대전화기가 완전히 닫혔을 때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의 (a)와 (b)는 각각 도2의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가 열리고 있는 도중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 도2의 개폐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저면도
도4의 (a)와 (b)는 각각 도2의 개폐장치를 구비한 휴대전화기가 완전히 열렸을 때, 도2의 개폐장치의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및 저면도
도5는 휴대전화기에 장착되는 종래의 슬라이드형 개폐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개폐장치 20 : 제1 연결부재
30 : 제1A 롤러 32 : 제2A 롤러
40 : 제2 연결부재 44 : 제1B 롤러
46 : 제2B 롤러 70 : 제1 탄성부재
72 : 제1A 코일부 73 : 제1B 코일부
74 : 제1 연결부 75 : 제1A 연장부
76 : 제1B 연장부 80 : 제2 탄성부재
82 : 제2A 코일부 83 : 제2B 코일부
84 : 제2 연결부 85 : 제2A 연장부
86 : 제2B 연장부

Claims (6)

  1. 이동축선을 따라 서로 상대 이동하는 제1 유닛과 상기 제1 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1 유닛과 제2 유닛 사이의 상대이동에 의해 상기 제1 유닛 또는 제2 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개폐장치로서,
    상기 제1 유닛에 연결되는 제1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에 대하여 상기 이동축선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2 유닛에 연결되는 제2 연결부재와,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1 토션스프링과,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2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스프링은 상기 이동축선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개폐장치.
  2. 제1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은 코일부와, 상기 코일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두 연장부를 구비하는 개폐장치.
  3. 제2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개폐장치.
  4. 제3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은 2개의 코일부와 두 코일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며, 상기 두 연장부는 상기 각 코일부로부터 하나씩 연장되는 개폐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청구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는 각각 2개의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 토션스프링과 제2 토션스프링의 각 연장부는 상기 제1 연결부재와 제2 연결부재의 각 롤러에 하나씩 연결되는 개폐장치.
  6. 제5항의 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연결부재의 두 롤러는 상기 제2 연결부재를 바라보는 면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연결부재의 두 롤러는 상기 제1 연결부재를 바라보는 면에 위치하는 개폐장치.
KR20-2005-0003077U 2005-02-01 2005-02-01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200382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77U KR200382520Y1 (ko) 2005-02-01 2005-02-01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FI20060082A FI20060082A (fi) 2005-02-01 2006-01-27 Solukkopuhelimen liukutyyppinen avaus- ja sulkulaite
US11/343,930 US20060180457A1 (en) 2005-02-01 2006-01-31 Sliding mechanism for use with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06100033392A CN1816064B (zh) 2005-02-01 2006-02-05 移动电话用的滑动型开闭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3077U KR200382520Y1 (ko) 2005-02-01 2005-02-01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2520Y1 true KR200382520Y1 (ko) 2005-04-20

Family

ID=368145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3077U KR200382520Y1 (ko) 2005-02-01 2005-02-01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60180457A1 (ko)
KR (1) KR200382520Y1 (ko)
CN (1) CN1816064B (ko)
FI (1) FI2006008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285B2 (en) 2004-03-08 2010-11-09 Hitech Parts Co., Ltd.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KR101006815B1 (ko) * 2006-12-21 2011-01-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84151U (en) * 2005-09-08 2005-12-21 Jarllytec Co Ltd Sliding component
CN101248585B (zh) * 2005-09-23 2011-01-26 安费诺凤凰株式会社 在便携式电话中使用的滑动式开启和关闭装置
KR100839415B1 (ko) * 2005-09-29 2008-06-23 (주)하이텍파츠 슬라이더 조립체용 업/다운 유지수단 및 그러한 업/다운유지수단을 구비한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용 슬라이더조립체
US20070293384A1 (en) * 2006-06-14 2007-12-20 Nokia Corporation Slider assembly having a position changing module
KR100827112B1 (ko) 2006-10-17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토션 스프링 및 이를 채용한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
TWI382131B (zh) * 2006-10-23 2013-01-11 Fih Hong Kong Ltd 滑蓋機構及應用該滑蓋機構之攜帶式電子裝置
KR101250791B1 (ko) 2006-10-26 2013-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CN101179605B (zh) 2006-11-08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4636459B2 (ja) * 2006-12-07 2011-02-23 富士通東芝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製造方法
CN101203101B (zh) * 2006-12-15 2011-05-04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滑盖机构及应用该滑盖机构的便携式电子装置
JP4405501B2 (ja) * 2006-12-21 2010-01-27 シャープ株式会社 スライド式携帯機器
JP4341925B2 (ja) * 2007-05-11 2009-10-14 株式会社ストロベリーコーポレーション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403888B1 (ko) * 2007-12-12 2014-06-0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자동으로 슬라이딩 되는 휴대 단말기
CN201184384Y (zh) * 2008-04-03 2009-01-21 杭州安费诺飞凤通信部品有限公司 移动通信终端滑盖铰链中的组合式驱动弹簧
TWM341382U (en) * 2008-04-23 2008-09-21 Mobinnova Corp Housing structure
TWI366431B (en) * 2008-05-05 2012-06-11 Asustek Comp Inc Torsion spring assembly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torsion spring assembly
TWM348430U (en) * 2008-05-28 2009-01-01 Micro Star Int Co Ltd Sliding-type mechanism with a semi-automatic opening function
JP4638937B2 (ja) * 2008-12-26 2011-02-23 三菱製鋼株式会社 スライド型ヒンジ機構
CN201554807U (zh) * 2009-10-27 2010-08-18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弹性模组、应用该弹性模组的滑盖机构及电子装置
JP4781473B1 (ja) * 2010-03-11 2011-09-28 三菱製鋼株式会社 ばねユニット及びスライド機構
CN201797673U (zh) * 2010-08-24 2011-04-13 新日兴股份有限公司 滑盖式枢纽器及滑盖式可携装置
JP5598403B2 (ja) * 2011-03-31 2014-10-01 富士通株式会社 電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853051B1 (en) * 1996-02-26 2009-12-16 Nokia Corporation Radio telephone
US6073027A (en) * 1996-08-29 2000-06-06 Bellsouth Corporation Portable radiotelephone with sliding cover and automatic antenna extension
US6980840B2 (en) * 2000-01-24 2005-12-27 Lg Electronics Inc. Drawer-type mobile phone
JP2003179678A (ja) * 2001-10-03 2003-06-27 Nec Corp 携帯電話機
US20030153280A1 (en) * 2002-02-08 2003-08-14 Joe Kopp Handset having a retractable keypad
KR100484732B1 (ko) * 2002-11-19 2005-04-2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KR100694258B1 (ko) * 2003-07-25 2007-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 타입 휴대 단말기
US7599723B2 (en) * 2003-08-25 2009-10-06 Laird Technologies Korea Yh Sliding opening and closing device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0576000B1 (ko) * 2003-10-29 2006-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의 스프링 모듈
JP2005210649A (ja) * 2004-01-26 2005-08-04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端末のスライド機構
JP2008502175A (ja) * 2004-02-10 2008-01-24 ハンサン リー スライディング開閉装置及びそれを採用した応用機器
KR100663543B1 (ko) * 2004-03-04 2007-01-02 삼성전자주식회사 팝-업 타입 휴대용 단말기
WO2006006776A1 (en) * 2004-07-08 2006-01-19 Hitech Parts Co., Ltd.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KR100655114B1 (ko) * 2004-03-26 2006-12-08 이근주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100586979B1 (ko) * 2004-09-02 2006-06-08 삼성전기주식회사 자동/수동 슬라이드형 통신단말기
CN100589331C (zh) * 2004-09-15 2010-02-10 莱尔德科技Map有限公司 用于打开和关闭便携式电话的滑动机构
JP2006108881A (ja) * 2004-10-01 2006-04-20 Kato Electrical Mach Co Ltd 携帯機器のスライド機構及び携帯電話機
US7181257B2 (en) * 2004-12-28 2007-02-20 Motorola, Inc. Slider mechanism for handheld devices
CN101248585B (zh) * 2005-09-23 2011-01-26 安费诺凤凰株式会社 在便携式电话中使用的滑动式开启和关闭装置
US8073510B2 (en) * 2007-09-10 2011-12-06 Samkwang Ind Co., Lt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8233948B2 (en) * 2007-12-11 2012-07-3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lider assembly for a housing of a mobile comput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31285B2 (en) 2004-03-08 2010-11-09 Hitech Parts Co., Ltd. Slider assembly for sliding-type mobile phone and cellular phone having the slider assembly
KR101006815B1 (ko) * 2006-12-21 2011-01-10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슬라이드식 휴대단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816064B (zh) 2010-11-24
CN1816064A (zh) 2006-08-09
FI20060082A (fi) 2006-08-02
FI20060082A0 (fi) 2006-01-27
US20060180457A1 (en) 2006-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82520Y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20050077004A (ko) 휴대단말기슬라이드기구
US8108018B2 (en) Cellular phone with a guide member and sliding member with insert member having a guide groove
JP2006217594A (ja) 携帯電話機用のスライド型開閉装置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20070056782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20070058733A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0605045B1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0609467B1 (ko) 슬라이드 폰
KR200382516Y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방식 개폐장치
KR200410324Y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캠형 슬라이드 힌지 모듈
KR101033478B1 (ko) 슬라이딩 모듈용 탄성 부재
KR10093919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슬라이드 모듈
KR101066041B1 (ko)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전자기기
KR200389766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폰의 바디 구동장치
KR100970983B1 (ko) 슬라이드 장치용 스프링 모듈
KR100967905B1 (ko) 휴대폰의 슬라이드 힌지 장치
KR100685650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폴더부 슬라이드 장치
US20110299230A1 (en) Relative movement urging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relative movement urging device
KR20060014308A (ko) 휴대전화기용 슬라이드형 개폐장치
KR101061430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전자기기
KR10069082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슬라이드 모듈
KR10092910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678061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449394Y1 (ko) 서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두 유닛을 구비하는 휴대장치에사용되는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