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2869B1 - 단말기 - Google Patents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2869B1
KR100662869B1 KR1020050010320A KR20050010320A KR100662869B1 KR 100662869 B1 KR100662869 B1 KR 100662869B1 KR 1020050010320 A KR1020050010320 A KR 1020050010320A KR 20050010320 A KR20050010320 A KR 20050010320A KR 100662869 B1 KR100662869 B1 KR 1006628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ing member
lower body
pressing
terminal
uppe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1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89334A (ko
Inventor
배은덕
부성운
이동우
조진우
김기택
곽동옥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10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2869B1/ko
Priority to US11/342,565 priority patent/US8466876B2/en
Publication of KR200600893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893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2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2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5Finance or payroll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하부 몸체; 하부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몸체; 및 양단이 하부 및 상부 몸체 각각에 지지되어, 하부 몸체에 대한 상부 몸체의 이동위치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가압부재의 일단은 하부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에 의하면, 상부 몸체가 하부 몸체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동됨에 있어서 가압부재의 최소 크기로 최대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단말기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단말기, 이동통신, 휴대폰, 슬라이딩, 탄성부재, 가압력, 토션스프링.

Description

단말기{A TERMINAL}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에 의한 단말기의 상부 몸체가 하부 몸체에 대하여 소정 거리 슬라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의한 단말기의 조립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슬라이딩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그리고,
도 8은 도 6의 A영역을 확대하여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확대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부 몸체 13: 하부 플레이트
14: 가이드부 15: 가이드슬릿
16: 연결부재 20: 상부 몸체
24: 상부 플레이트 30: 가압부재
40: 보조 탄성부재 50: 슬라이딩유닛
본 발명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 몸체에 대하여 상부 몸체가 이동 가능한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단말기는 사용자가 상대방과 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는 기기로써, 셀룰러폰, PCS 또는 PDA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이동 중에도 상대방과 통신할 수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가 이에 속한다.
이러한 일반적인 단말기는 사용자의 편의와 휴대성을 고려하여, 바형(bar type), 플립형(flip type), 폴더형(folder type) 및 슬라이딩형(slide type) 등으로 구분되어 사용자에게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종류의 이동통신 단말기는, 신호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패널과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가 설치되는 형상에 따라 구분된다.
여기서, 상기 폴더형 단말기는 서로 다른 몸체에 상기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키를 형성하여, 이 서로 다른 몸체를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폴더형 단말기는 상기 바형과 플립형 단말기가 가지는 노출된 입력키로 인한 오작동 문제와 소형화가 어렵다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다.
그런데, 이 폴더형 단말기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이 상기 몸체의 회전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개방됨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의 확인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수반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상기 몸체의 외관에 별도의 보조 디스플레이패널을 장착할 수 있으나, 이 또한 구조가 복잡하고 상기 보조 디스플레이패널이 외부 충격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에서 나열한 바형, 플립형 및 폴더형 단말기들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딩형 단말기가 개발되어 널리 보급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서로 다른 몸체에 디스플레이패널과 입력키를 형성한다는 점에서 상기 폴더형 단말기와 유사하나, 상기 서로 다른 몸체가 서로 슬라이딩되어 선택적으로 개방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상기 슬라이딩형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항시 외부에 노출되는 디스플레이패널이 형성되는 상부 몸체와 이 상부 몸체의 슬라이딩 동작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방되는 입력키가 형성되는 하부몸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 사이에는 별도의 스토퍼 없이 슬라이딩거리를 제한하고, 슬라이딩동작에 탄성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한 가압부재가 설치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 사이에 상기 가압부재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딩 방향과 이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대하여 반력이 작용하게 된다. 이에 의해,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반력에 의해 고려되는 상기 가압부재의 크기로 인해, 공간활용도가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하부 몸체에 대하여 상부 몸체를 움직임 가능하게 형성함에 있어서 공간활용도가 높도록 구조가 개선된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단말기는,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몸체; 및 양단이 상기 하부 및 상부 몸체 각각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의 이동위치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부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몸체에 상기 상부 몸체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 몸체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시 자세변환되면서 가압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한 상대적인 소정 이동구간에서 가압력이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이 상기 가압력이 반전되는 구간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위치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이 상기 반전구간에서 멀어질 때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상기 제 2 위치 쪽으로 가압해주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하부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상기 제 2 위치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타단과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의 소정 영역에는 입력키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소정 영역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단말기는, 하부 몸체(10), 상부 몸체(20), 가압부재(30) 및 보조 탄성부재(40)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 몸체(10)는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입력키(11)와 사용자가 상대방과 음성통화시 상대방에게 음성을 전달할 수 있는 마이크로폰유닛(12)이 마련된다. 이 입력키(11)는 일반적인 숫자키(3×4 키 버튼)가 형성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하부 몸체(10)에 형성되는 상기 입력키(11)와 마이크로폰유닛(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20)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외부에 개방된다.
또한, 상기 하부 몸체(10) 상면의 상기 상부 및 하부 몸체(20)(10) 사이에 하부 플레이트(13)가 마련된다. 이 하부 플레이트(13)는 상기 상부 몸체(20)에 의 해 항시 가려져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입력키(11)의 상측에 고정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에는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4)가 마련된다. 이러한, 상기 가이드부(14)는 가이드슬릿(15)과 연결부재(16)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슬릿(15)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에 상부 몸체(20)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재(16)는 후술하는 보조 탄성부재(40)의 타단(41)과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결한다.
상기 상부 몸체(20)는 상기 하부 몸체(10)의 상부에 설치되며, 전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21), 메뉴입력키(22) 및 스피커폰유닛(23)이 마련된다.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은 소정의 신호를 표시하며, 이를 위해 컬러 LCD모듈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컬러 LCD모듈은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로써 이해 가능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메뉴입력키(22)는 상기 하부 몸체(10)에 형성되는 입력키(11)와 별도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21)의 하측에 마련된다. 이 메뉴입력키(22)는 상기 단말기를 사용함에 있어서 사용될 수 있는 통화, 종료, 확인과 같은 메뉴들을 제공하기 위해 형성된다. 상기 스피커폰유닛(23)은 사용자가 상대방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전달받기 위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20) 저면의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와 대면하는 위치에는 상부 플레이트(24)가 설치된다. 이 상부 플레이트(24)는 상기 하부 몸체(10) 에 대하여 움직임 가능한 상부 몸체(20)와 함께 연동되어 위치이동 가능하다.
상기 상부 몸체(20)는 상기 하부 몸체(10)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10)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부 몸체(20)와 하부 몸체(10) 사이에는 별도의 슬라이딩유닛(50)이 형성된다.
상기 슬라이딩유닛(5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홈(51) 및 슬라이딩부재(52)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홈(51)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의 길이방향 즉, 상기 상부 플레이트(24)가 하부 플레이트(13)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에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슬라이딩홈(5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꼭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슬라이딩홈(51)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13)의 일단에 형성되거나 하부 플레이트(13)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과 같이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부재(52)는 상기 슬라이딩홈(51)에 삽입되어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51)과 대응하는 위치의 상부 플레이트(24)에 형성된다. 이 슬라이딩부재(52)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24)와 일체로 양단에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 슬라이딩부재(52)의 기술구성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는 바형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슬라이딩홈(51)에 삽입되어 움직일 수 있는 돌기와 같은, 다수의 변형 실시예가 가능하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하부 및 상부 몸체(10)(20) 각각에 지지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하부 및 상부 플레이트(24)에 양단이 각각 지지된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하부 몸체(10)에 대한 상부 몸체(20)의 이동위치 즉, 슬라이딩 위치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되는 가압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가압부재(30)는 상부 몸체(20)의 하부 몸체(10)에 대한 이동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세 변환되면서 가압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인 것이 좋다. 그러나, 상기 가압부재(30)의 기술구성을 상기 토션스프링인 것으로 꼭 한정하지 않는다. 즉, 상기 가압부재(30)는 일정 위치에서 가압력의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될 수 있는 여타 탄성수단들이 채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가압부재(30)는 일단(31)이 상기 하부 몸체(10)에 마련된 하부 플레이트(13)의 가이드슬릿(15)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상기 상부 몸체(20)에 마련되는 상부 플레이트(24)의 고정홈(24a)에 삽입되어 지지된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상부 몸체(20)의 하부 몸체(10)에 대한 상대적인 소정 이동구간에서 가압력이 반전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은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위치(P1)(P2) 사이에서 이동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위치(P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이 상기 가압력이 반전되는 구간(D)으로 이동될 때, 이 가압부재(30)의 일단(31)이 이동되는 위치이다.
상기 제 2 위치(P2)는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전구간(D)에서 멀어질 때,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이 이동되는 위치이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이 상기 제 2 위치(P2)에 위치할 때,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몸체(10)가 개방되는 구간(D1) 또는 하부 몸체(10)가 폐쇄되는 구간(D2)에서 각각 A1 및 A2 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보조 탄성부재(40)는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을 상기 제 2 위치(P2) 쪽으로 가압해주기 위해, 일단(43)은 상기 하부 몸체(10)에 마련되는 하부 플레이트(13)의 지지홈(13a)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보조 탄성부재(40)의 타단(41)은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과 함께 연결부재(16)에 연결되어 가이드슬릿(15)을 따라 소정 길이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보조 탄성부재(40)의 타단(41)은 상기 가이드슬릿(15)을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P1)(P2)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을 상기 제 2 위치(P2)로 가압한다.
이러한, 상기 보조 탄성부재(40)는 상기 가압부재(30)와 같은 토션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꼭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보조 탄성부재(40)가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을 가압할 수 있는 압축 스프링과 같은 일반적인 스프링의 기술구성이 채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단말기의 동작상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말기의 상부 몸체(20)가 하부 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지 않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도 8에서 A2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가압부재(30)가 도 6에서 패쇄구간(D2)에 위치하게 되며, 이 때 상기 가압부재(30)는 B2방향으로 가압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은 연결부재(16)에 의해 연결된 보조 탄성부재(40)의 타단(41)과 함께 상기 제 2 위치(P2)에 위치하게 된다.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20)가 사용자가 F1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에 의해 하부 몸체(10)에 대하여 소정 거리 슬라이딩되면,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C2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반전구간(D)의 A0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은 보조 탄성부재(40)의 타단(41)과 함께 가이드슬릿(15)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제 1 위치(P1)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0)의 가압력은 사용자에 의해 가해질 가압력의 방향에 따라 B1 또는 B2방향으로 반전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20)가 도 6의 상태에서 F1방향으로 계속 슬라이딩되면,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B1방향으로 가압력이 반전되어, 개방구간(D1)에 위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반전구간(D)에서 개방구간(D1)으로 넘어오면, 사용자가 힘을 주지 않아도 가압부재(30)의 반전된 가압력에 의해 저절로 A1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단말기가 상기 가압부재(30)의 가압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개방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은 상기 보조 탄성부재(40)의 가압력에 의해 가압되어 다시 제 2 위치(P2)로 가이드슬릿(15)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단말기는 상기 상부 몸체(20)가 하부 몸체(1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어 개방됨으로써, 사용자가 하부 몸체(10)의 입력키(11)와 마이크로폰유닛(12)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를 통해 상대방과 신호교환이나 정보검색과 같은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단말기를 다시 상기 상부 몸체(20)에 의해 하부 몸체(10)가 폐쇄되는 초기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F2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개방구간(D1)에서 벗어나기 위해 C1방향으로 가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과 타단(33)은 상기 반전구간(D)으로 복귀되어 각각 제 1 위치(P1) 및 A0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계속해서 F2방향으로 사용자가 힘을 가하게 되면, 상기 상부 몸체(20)는 계속 슬라이딩되어 상기 상부 몸체(20)가 하부 몸체(10)를 폐쇄시키는 초기상태로 복귀된다. 여기서, 상기 가압부재(30)의 일단(31)은 보조 탄성부재(40)의 가압력에 의해 다시 상기 제 2 위치(P2)로 복귀되고, 가압부재(30)의 타단(33)은 B2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A2지점에 위치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30)의 타단(33)이 반전구간(D)을 벗어나 폐쇄구간(D2)으로 진입하게 되면, 사용자가 F2방향의 힘을 제거해도, 가압부재(30)의 B2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반자동으로 복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상부 몸체(20)가 하부 몸체(10)에 대하여 소정 거리 이동됨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30)의 최소 크기로 최대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단말기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단말기에 의하면, 하부 및 상부 몸체 사이에 개재되는 가압부재의 일단이 가이드부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상부 몸체가 하부 몸체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는 슬라이딩방향과 이 슬라이딩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반력의 작용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동일한 가압부재의 가압력으로 상기 상부 몸체의 슬라이딩 거리를 최대로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가 상기 단말기의 슬라이딩 운동을 탄력 지지함에 있어서 최소 크기로도 최대 가압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상기 단말기의 공간활용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2)

  1.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상부 몸체; 및
    양단이 상기 하부 및 상부 몸체 각각에 지지되어,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한 상기 상부 몸체의 이동위치에 따라 크기 및 방향이 가변되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상기 하부 몸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에는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하부 몸체에 상기 상부 몸체의 이동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 형성된 가이드슬릿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하부 몸체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시 자세변환되면서 가압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상부 몸체의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한 상대적인 소정 이동구간에서 가압력이 반전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며,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이 상기 가압력이 반전되는 구간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 1 위치 쪽으로 이동되고, 상기 가압부재의 타단이 상기 반전구간에서 멀어질 때 상기 제 2 위치로 이동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상기 제 2 위치 쪽으로 가압해주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탄성부재는,
    일단은 상기 하부 몸체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상기 제 2 위치로 가압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보조 탄성부재의 타단과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이 함께 이동되도록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일단을 어느 한쪽방향으로 밀착되게 가압하는 보조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에 대해 상대적으로 소정 거리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12.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몸체의 소정 영역에는 입력키가 마련되며,
    상기 상부 몸체의 소정 영역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기.
KR1020050010320A 2005-02-04 2005-02-04 단말기 KR100662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320A KR100662869B1 (ko) 2005-02-04 2005-02-04 단말기
US11/342,565 US8466876B2 (en) 2005-02-04 2006-01-31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10320A KR100662869B1 (ko) 2005-02-04 2005-02-04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89334A KR20060089334A (ko) 2006-08-09
KR100662869B1 true KR100662869B1 (ko) 2007-01-02

Family

ID=367806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10320A KR100662869B1 (ko) 2005-02-04 2005-02-04 단말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466876B2 (ko)
KR (1) KR1006628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491B1 (ko) * 2006-07-07 2008-10-27 주식회사 피앤텔 토션 스프링,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슬라이딩개폐장치와 휴대용 응용기기
KR100778281B1 (ko) * 2006-09-19 2007-11-22 (주)쉘-라인 슬라이드형 개인휴대단말기
KR100827112B1 (ko) * 2006-10-17 2008-05-02 삼성전자주식회사 다중 토션 스프링 및 이를 채용한 반자동 슬라이딩 장치
KR100819284B1 (ko) * 2007-03-13 2008-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1419692B1 (ko) * 2007-10-31 2014-07-21 삼성전자주식회사 롱 스트로크 힌지를 갖는 휴대 단말기
US20090170574A1 (en) * 2007-12-28 2009-07-02 Motorola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guous surfaces when open
US7986983B2 (en) * 2007-12-28 2011-07-26 Motorola Mobility, Inc. Methods and slider form factor devices with continguous surfaces when open
KR101006230B1 (ko) * 2008-03-31 2011-01-07 (주)나라테크놀로지 슬라이드형 휴대용 단말기
TWI418201B (zh) * 2008-05-30 2013-12-01 Fih Hong Kong Ltd 滑蓋結構及應用該滑蓋結構之攜帶式電子裝置
US8781540B2 (en) * 2008-08-25 2014-07-15 Htc Corporation Portable electronic device
TWI372964B (en) * 2009-09-11 2012-09-21 Htc Corp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167065B (zh) * 2011-12-16 2017-07-2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滑动机构及使用该滑动机构的电子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9967Y1 (ko) 2003-04-21 2003-07-12 주식회사 하이맥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40062765A (ko) * 2003-01-03 2004-07-09 주식회사 유엠텍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04253526A (ja) 2003-02-19 2004-09-09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40097511A (ko) * 2003-05-12 2004-11-18 텔슨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반자동 분리형 슬라이딩 모듈
KR20040098618A (ko) * 2004-11-02 200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29571B2 (en) * 2003-09-03 2009-05-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Sliding/hinge apparatus for sliding/rotating type mobile terminals
KR100617690B1 (ko) * 2003-11-10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2765A (ko) * 2003-01-03 2004-07-09 주식회사 유엠텍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JP2004253526A (ja) 2003-02-19 2004-09-09 Strawberry Corporation スライド装置並びにスライド装置を用いた電子機器
KR200319967Y1 (ko) 2003-04-21 2003-07-12 주식회사 하이맥 슬라이드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20040097511A (ko) * 2003-05-12 2004-11-18 텔슨전자 주식회사 슬라이드형 휴대폰의 반자동 분리형 슬라이딩 모듈
KR20040098618A (ko) * 2004-11-02 2004-11-20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60178176A1 (en) 2006-08-10
KR20060089334A (ko) 2006-08-09
US8466876B2 (en) 2013-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869B1 (ko) 단말기
US8180416B2 (en) Sliding-type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6822871B2 (en) Sliding-type portable wireless terminal
US7925318B2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US7102881B2 (en) Slide type portable terminal
KR20050104665A (ko) 이중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통신 장치
US7450968B2 (en) Mobile communication device with slide portion
KR200308165Y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무선단말기
KR10077852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681356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754594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장치
KR100800808B1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72594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드/힌지 장치
KR100710319B1 (ko) 반자동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한 슬라이드 폰
KR100575759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개폐장치
KR20090047416A (ko) 휴대폰용 슬림 슬라이드 힌지 어셈블리
KR200353356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CN101150613A (zh) 用于双滑动型便携式通信终端的滑动模块
KR20090044086A (ko) 롱 스트로크 힌지를 갖는 휴대 단말기
KR100721173B1 (ko) 슬라이딩 장치 및 이를 갖춘 휴대폰
KR100929104B1 (ko) 휴대용 통신 장치
KR10080075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슬라이딩 모듈
KR100678061B1 (ko) 슬라이딩 모듈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0353355Y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용 모듈
KR20050109643A (ko) 슬라이딩 타입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