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058A - 가요성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가요성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058A
KR20080048058A KR1020087008312A KR20087008312A KR20080048058A KR 20080048058 A KR20080048058 A KR 20080048058A KR 1020087008312 A KR1020087008312 A KR 1020087008312A KR 20087008312 A KR20087008312 A KR 20087008312A KR 20080048058 A KR20080048058 A KR 200800480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image plate
reading
supports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8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18513B1 (ko
Inventor
마이클 톰스
Original Assignee
두르 덴탈 게엠베하 & 씨오. 케이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7832662&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48058(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두르 덴탈 게엠베하 & 씨오. 케이쥐이 filed Critical 두르 덴탈 게엠베하 & 씨오. 케이쥐이
Publication of KR20080048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8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8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8Visualisation of records by optical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2/00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 G03B42/02Obtaining record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Visualisation of such records by using optical means using X-rays
    • G03B42/04Holders for X-ray fil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4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 H04N1/12Scanning arrangements, i.e. arrangements for the displacement of active reading or reproducing elements relative to the original or reproducing medium, or vice versa using the sheet-feed movement or the medium-advance or the drum-rotation movement as the slow scanning component, e.g. arrangements for the main-sc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79Medical imaging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04Scanning transparent media, e.g. photographic film
    • H04N2201/0412Scanning X-ray fil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4Scanning arrangements
    • H04N2201/0402Arrangement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one of the scanning methods covered by groups H04N1/04 - H04N1/207
    • H04N2201/0422Media holders, covers, supports, backgrounds; Arrangements to facilitate placing of the mediu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iography Using Non-Light Waves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 Facsimile Scanning Arrangements (AREA)
  • Holders For Sensitive Materials And Original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송 경로 상에서 가이드 수단을 따라 판독 장치에 대해 영상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 수단을 가진 이송 장치와 영상판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영상판의 형태는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형태와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영상판(202, 302)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지지부(1, 201, 301)를 포함하며, 지지부(1, 210, 301)의 형태와 치수는 이송 경로의 형태에 일치되고, 영상판은 영상판이 지지부(1, 201, 301)와 함께 이송될 때 구동 수단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영상판용 지지부(1)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가요성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DEVICE FOR READING OUT ESPECIALLY FLEXIBLE IMAGING PLATE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특히 가요성의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장치는 이송 경로 상에서 가이드 수단을 따라서 판독 장치에 대해 영상판을 이송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 수단을 가진 이송 장치 및 영상판 상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며, 영상판의 형태는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형태와 일치된다.
일반적으로 영상판(imaging plate)운 예를 들어 의학적 영상 정보, 특히 X-레이 영상 정보를 저정하기 위한 X-레이 필름 대신에 이용된다. 이러한 영상 정보는 특정 판독 장치, 특히 플랫베드 스캐너 또는 드럼 스캐너에 의해 영상판으로부터 판독된다. 판독을 위해, 영상판은 포인트 단위, 라인 단위, 블록 단위로 레이저 빔에 의해 스캔되고, 영상판으로부터 방사된 영상 정보는 컴퓨터 유닛에 의해 분석되며 적합한 광학 검출기에 의해 얻어진다. 영상 정보를 판독한 뒤, 영상 정보는 소거될 수 있으며, 영상판은 재사용될 수 있다.
종래의 판독 장치 내에서 스캐닝을 위하여, 구동 수단에 의해 이송 경로 상에서 이송되는 영상판이 스캐너의 판독 영역을 따라 영상 정보를 포함하는 판독 측면을 가지며, 동시에 레이저 빔이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하게 영상판의 판독 측면을 추적한다. 검출기에 의해 얻어진 영상 정보는 영상판의 대응 영상 지점으로 제공되고, 영상판 상에서 레이저 빔의 위치와 함께 얻어진다.
영상판의 프로파일은 영상판이 판독 영역을 따라 이송되기 때문에 판독 영역의 형태와 일치된다. 예를 들어 영상판은 드럼 스캐너의 경우 원통형 형태이거나 또는 플랫베드 스캐너의 경우 평평한 형태이다.
판독 장치 내에서 이송되는 동안, 영상판은 보호되지 않으며, 이에 따라 특히 구동 휠 및/또는 가이드 레일의 영역에서 스크래치의 형태인 마모가 형성된다. 이는 영상판이 재사용될 수 있는 기간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실례의 실시예는 하기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기술된다.
도 1은 광-차단 커버와 드럼 스캐너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2개의 영상판에 대한 카세트의 형태인 지지부의 제 1 실례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전개도.
도 2는 도 1의 지지부의 종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을 도시하며, 이 경우 광-차단 커버가 없으며, 지지부의 커버는 영상판을 삽입하기 위한 반-개방된 삽입 위치가 도시된다.
도 3은 커버가 밀폐된 경우, 도 1의 지지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광-차단 커버가 판독 측면으부터 지지부 상에 배치되는, 도 1의 지지부의 측면도.
도 5는 광-차단 커버를 포함한, 도 1의 지지부의 측면도.
도 6은 지지부가 영상판을 고정하고 삽입하기 위한 2개의 요홈을 가지며, 영상판을 위한 지지부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하는 종방향 단면도.
도 7은 지지부가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스프링 캐치를 가지며, 영상판에 대한 지지부의 제 3 실시예의 종방향 단면도.
도 8은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용 스캐너의 구동 수단의 이송 방향에 대해 수직한 단면을 도시하는 도면.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판 상의 하중(loading), 특히 기계적인 하중이 판독하는 동안 감소되는 상기 언급된 타입의 장치를 설계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은 영상판용 하나 이상의 강성의 지지부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구현되며, 지지부의 형태와 치수는 이송 경로의 형태와 일치되고, 영상판은 영상판이 지지부와 함께 이송될 때 구동 수단과 접촉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영상판의 마모가 감소되며, 영상판의 수명이 증가된다. 추가적을 지지부내에 배열된 영상판을 취급(handling)이 개선되고, 이에 따라 영상판은 판독 장치로 보다 신속하게 전달되고 이송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영상판은 적어도 판독 공정 동안 지지부에 의해 보호된다. 예를 들어 이송 경로를 따라 구동 수단 및/또는 가이드 레일의 휠 또는 표면과 영상판 사이의 직접적인 접촉이 지지부에 의해 요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판 상의 스크래치와 스코어 마크(score mark)가 상당히 감소된다.
판독 장치와 일치되는 지지부의 형태와 치수에 따라 심지어 고속 이송의 경우에도 최적의 판독 결과가 보장된다. 예를 들어 이송 경로 상에서 지지부의 이송은 레이더 또는 광원, 특히 스캐너와 영상판의 판독 측면 사이의 필요 거리가 항시 정밀하게 유지되도록 실질적으로 백래쉬(backlash)가 없는 상태로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지지부의 크기는 영상판의 크기에 의존된다. 이러한 크기는 20 x 30 mm의 작은 구강내 중앙 포멧으로부터 350 x 34 mm까지의 큰 판 포멧의 범위일 수 있다.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판독 장치로 이송하기 위하여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에 대해 추가적인 구동 수단이 제공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하나 이상의 구동 휠과 하나 이상의 압력 휠로 구성된 장치를 포함한다.
특히 선호되는 실시예에 있어서, 판독 장치는 직사각형 영상판에 대한 플랫베드 스캐너 또는 드럼 스캐너이며, 지지부는 이에 대응하도록 평평하거나 또는 원통형으로 만곡된다. 특히 우수한 판독 결과가 플랫베드 스캐너 또는 드럼 스캐너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영상판은 특정 위생적 요구사항에 노출되는 구강내 영상판(intraoral imaging plate)이다. 따라서 이러한 타입의 영상판은 판독 장치와 접촉하지 않는다.
편의상, 영상판은 지지부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판은 지지부로부터 개별적으로 노출되고, 이후 판독을 위해 지지부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구강내 영상판은 공지된 위생적 덮개(hygiene sheath) 내에서 광-차단 방식으로 패키징될 수 있다. X-레이 노출 이후, 상기 영상판은 강성의 지지부로 이송된다.
영상판이 기술적으로 단순한 방식으로 지지부 내에 배열하기 위하여, 지지부는 카세트의 형태를 가지며, 한 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가지며, 상기 슬롯을 통해 영상판이 덮개, 특히 위생적 덮개로부터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판은 예를 들어 한 측면이 개방된 위생적 덮개로부터 직접적으로 영상판과 접촉할 필요 없이 위생적인 방식으로 지지부로 이송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부는 영상판의 판독 측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 상에 영상판이 위치된다. 이러한 프레임에 따라 레이저 또는 광원과 영상판의 판독 측면 및 검출기 사이의 필요 거리가 재생 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에 추가적으로 또는 이 대신에, 지지부는 영상판의 판독 측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즉 스캐닝 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글래스-클리어 판(glass-clear plate)을 가지며, 상기 글래스-클리어 판은 판독 장치에 따라 평평하거나 또는 만곡되고, 특히 스크래치가 방지되고(scratch-resistance) 이물질이 붙지 않으며(dirt-repellent), 상기 글래스 클리어 판 상에 영상판이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글래스-클리어 표면이 스크래치가 방지되고 이물질이 붙지 않기 때문에 스캐닝된 영상에 이물질과 스크래치가 발생되지 않는다.
삽입 동안 프레임 및/또는 판 위에서 마찰로부터 기인된 영상판의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지지부는 고정 가능한 커버(lockable cover)를 가지며, 상기 커버에 의해 영상판이 지지부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커버에 의해 영상판은 슬롯을 통해 삽입된 후 프레임 또는 판으로 가압되지 않으며, 특히 플랩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지지부는 영상판의 적어도 2개의 마주보는 변부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2개의 요홈을 가질 수 있다. 영상판은 삽입 동안 적어도 2개의 측면 상에서 요홈 내에 안내될 수 있으며, 상기 요홈에 의해 단부 위치에 고정된다.
지지부 내에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지지부는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적으로 기능을 하는 고정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영구 자석이고, 영상판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이의 후방 측면 상에 반자성 필름이 코팅된다. 그 뒤 영상판은 자력에 의해 지지부의 대응 표면으로 끌어당겨지고, 그 뒤 이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판이 매우 용이하게 위치되고 잔여물을 남기지 않고 재차 제거될 수 있다.
이 대신에, 지지부는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표면은 제 1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기능 층과 상기 제 1 기능 층과 협력하는 제 2 기능 층을 가질 수 있으며,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영상판의 후방 측면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자성 부품들을 이용하지 않는 것이 선호된다.
대안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부는 예를 들어 영상판을 고정하는 양면 접착 필름과 같은 재생가능한 접착 층을 가질 수 있다. 접착 층을 이용함에 따라 안정적인 연결이 구현된다. 접착 층은 영상판이 교체될 때 재생될 수 있으며, 지지부/영상판이 재사용될 수 있다.
추가적인 대안의 실시예의 경우 자성적 또는 정전기적으로 기능을 하는 부품 및/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지지부는 특히 평활한 후방 측면을 가진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해 음의 압력에 따라 작동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고정 수단은 음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플런저를 가지며, 밀봉 수단, 특히 영상판의 후방 측면과 접하고 음의 압력에 노출되는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O-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판은 음의 압력(negative pressure)에 의해 지지부의 대응 표면 상에 고정된다. 스프링 플런저에 의해 그리고 밀봉 수단의 도움으로, 영구적인 음의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상기 영구적인 음의 압력에 의해 영상판은 오랜 시간 동안 고정될 수 있다. 매우 우수한 밀봉이 영상판의 평활한 후방 측면에 대해 구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의 경우, 지지부는 영상판에 대한 위치설정 보조물로써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변부를 가질 수 있다. 지지부 상에서 또는 지지부 내에서 영상판의 위치설정이 가이드 변부에 의해, 특히 접착 층이 제공되거나 기계적, 정전기적 또는 음의 압력에 따라 기능을 하는 고정 수단을 이용하는 경우 상당히 단순화된다.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클램핑 장치는 영상판의 마주보는 변부에 제공된 2개의 협력하는 클램핑 요소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클램핑 요소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클램핑 요소에 마주보는 영상판의 변부에 제공되며 클램핑 요소와 협력하고, 영상판의 변부 상에서 기능을 하는 클램핑 장치의 영역은 고무-탄성 재료로 구성된다.
원통형 지지부의 경우, 영상판은 예를 들어 스프링 캐치의 형태인 클램핑 요소에 의해 2개의 측면 상에 고정될 수 있으며, 평평한 지지부의 경우 모든 측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고무-탄성 재료로 덮여진 클램핑 요소의 표면으로 인해 영상판의 변부들이 손상을 받는 것이 방지된다. 강성의 가이드 레일 및 마주보는 클램핑 요소를 이용함에 따라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지지부를 위한 구동 수단 및/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용 추가적인 구동 수단은 하나 이상의 이송 벨트 또는 하나 이상의 구동식 롤러 라인 또는 휠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특정의 제거 가능한 보호 수단, 특히 광-차단 보호 커버를 가지며, 상기 보호 수단은 지지부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 특히 포지티브 끼워 맞춤에 따라 또는 자성적으로 또는 접착성으로 기능을 하는 연결 요소를 가지며, 특히 접착 층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 요소는 슬라이드 연결부 또는 플러그-인 연결부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판독에 앞서 자동적으로 탈착될 수 있으며 그 뒤 자동적으로 밀폐될 수 있는 슬라이드 연결부 또는 플러그-인 연결부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호 수단은 삽입 시 이송 방향으로 판독 유닛의 앞에서 그리고 제거 시 이송 방향으로 판독 유닛의 뒤에서 제거될 수 있으며 특히 자동적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부가 실제 판독 영역의 외측에 있는 조명 공간 내에서 장치가 작동되는 경우, 특히 예들 들어 지지부가 스캐너의 이송 덕트로 삽입될 때까지 빛으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제거 가능한 보호 수단은 얇은 벽구조이며, 적어도 영상판의 광-민감성 층의 영역 내에서 높은 X-레이 투과율을 가진 재료, 특히 알루미늄 또는 탄소-섬유가 충진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사용 이후, 보호 수단은 사용자에 의한 추가적인 취급 노력 없이 X-레이 노출의 직접적으로 영향을 받도록 특히 양방향성 가이드 수단에 의해 영상판 또는 영상판을 포함하는 지지부로 결합될 수 있다. 특히 이는 위생적인 상태가 상당히 개선되도록 오직 몇몇의 취급 공정만이 필요하기 때문에 의학적 도메인 내에서 이용되는 경우 특히 선호된다.
영상판을 가진 지지부 또는 영상판이 없는 지지부가 X-레이 장치로 직접적으로 삽입되도록 하기 위하여, 보호 수단은 X-레이 카세트의 형태일 수 있으며, 지지부에 대한 영상판용 내측 가이드 수단을 가진다.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고정 가능한 관절부(lockable articulation)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고정 가능한 관절부에 의해 지지부는 이송 경로의 프로파일과 일치될 수 있다. 이는 원형 판독과 조합하여 파노라믹(panoramic), 두개계측(cephalometric) 또는 의학적 포맷(medical format)과 같은 넓은 영역의 평평한 노출 형상을 가진 영상판을 이용하는 경우 특히 선호된다.
이 경우, 노출에 앞서 지지부는 벗겨질 수 있는(stripped off) 광-차단 커버, 특히 X-레이 방사선에 대해 투과되는 커버가 설치될 수 있다. 그 뒤 고정 가능한 관절부로 인해 지지부는 판독 장치에 대해 필요한 형태, 특히 드럼 스캐너의 경우 원통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지지부의 외측 치수는 표준 규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standardized). 장치 내에서 이송 경로의 형상을 단순화시키기 위하여, 지지부가 일정한 외측 치수를 가지는 것이 선호된다. 상대적으로 작은 영상판 포멧이 이용되는 경우, 지지부는 복수의 영상판과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지지부의 전방 측면, 필요 시 보호 수단의 전방 측면은 보호 수단 및/또는 지지부의 후방 측면으로 포지티브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이는 보호 수단을 포함하는 복수의 지지부가 실질적으로 간격 없이 적층 방식으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지지부가 공간 절약식 방식으로 저장되고 취급하기에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특히 바람직하게, 하나 이상의 슬롯-형태의 개구부가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삽입하고 및/또는 제거하기 위하여 장치의 하우징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개구부는 광-차단 방식으로 밀폐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스위블 운동식(swivelling) 또는 슬라이딩 플랩(sliding flap) 또는 브러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플랩 또는 브러쉬에 의해 개구부는 외부 빛에 대해 차단될 수 있다. 플랩 또는 브러쉬가 지지부로 삽입되고 또는 이로부터 제거되는 동안 지지부의 외측 형상에 지지된 플랩 또는 브러쉬가 가능한 작은 간격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플랩 및 브러쉬가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에 대해 또는 지지부에 대해 항시 접촉 압력(contact pressure)을 가지기 때문에 삽입 슬롯 또는 제거 슬롯(영상판의 후방 측면 상에서 마모와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함)상에 플랩 또는 브러쉬가 배열되고 판독 측면 상에는 배열되지 않지만 영상판 또는 지지부의 후방 측면 상에는 배열된다.
특히 판독 장치의 스캐닝 슬롯에 의해 이송 경로를 따라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안내하기 위하여 지지부 및/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위한 안내 수단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요홈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수단과 지지부 사이의 마찰 접촉의 경우 추가적으로 선호되는 실시예에서 실질적으로 마찰이 없는 이송이 수행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지지부와 가이드 수단의 상호 접촉 표면은 재료들, 특히 스틸 상의 POM 또는 하드 아노다이즈드 알루미늄 상의 PTFE를 가지며 이에 따라 작은 미끄럼 마찰 계수가 구현된다.
대안으로 지지부 및/또는 가이드 수단은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상호 접합 영역에 주변 볼 가이드(circumferential ball guide) 또는 자성으로 기능을 하는 지지 가이드 요소(magnetically acting support guide element)를 가지거나 또는 공기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 가이드를 가진다. 이와 동일한 이유로, 지지부는 가이드 수단 상에서 이동하는 볼-베어링 장착 휠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지지부를 가능한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하여, 복수의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수용하기 위한 영역이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앞에 제공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요홈이 상기 영역에서 대응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의 일부분, 특히 가이드 레일은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삽입 개구부 앞에 위치된 영역에서 연장될 수 있다.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은 예를 들어 판독 장치의 스캐닝 슬롯과 같은 판독 영역 앞에서 입사 광이 차단되도록 꼬불꼬불한(meander)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경로는 내부적으로 검게 처리된 이송 덕트(internally blackened transport duct)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영상판의 후방 측면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키지 않고 적어도 가능한 슬립에 따라 이송을 수행하기 위하여, 추가 구동 수단 또는 구동 수단의 접촉 영역,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구동시키는 영역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강력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재료, 특히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된다.
이송 경로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구동 수단이 오직 판독 장치의 영역 내에 또는 소거 장치의 영역 내에서만 요구되도록 중력에 의해 이동되며, 상기 구동 수단은 판독 장치의 소거 영역 또는 판독 영역을 따라 필요한 속도로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안내한다. 이에 따라 기술적인 요구사항이 실질적으로 감소되고, 비용도 절약된다.
공기-베어링 가이드(air-bearing guide)가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에 대해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그 뒤 예를 들어 이송 덕트 내의 공기 베어링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이는 지지부 또는 특히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의 판독 측면이 접촉하지 않는 방식으로 안내되고 이에 따라 마모가 제거되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이송 덕트 내의 벽을 따라서 지지부 및/또는 다양한 포멧의,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횡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하여, 횡방향 공기 흐름(lateral air flow)은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위한 가이드 수단의 이용(appliance)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공기 흐름에 의해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안내된다.
추가적으로, 이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안내되는 복수의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모터 축에 부착된 레버 또는 이송 경로로 도달되는 리프팅-마스네트 축(lifting-magnet axle), 이송 경로 분리 메커니즘이 제공될 수 있다.
분리 메커니즘이 개재됨에 따라, 기능 영역 내에서 보호 수단, 특히 광-차단 커버로부터 삽입된 지지부들의 분리, 분리/고정 영역에서 이들의 재-장착, 판독 영역에서 영상판의 판독 및 소거 영역에서 영상판의 소거(erasing)가 연속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언급된 기능 영역들 중 한 기능 영역에 복수의 지지부가 동시에 형성되는 것이 방지된다.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수단, 특히 광 배리어 또는 특정 기계적 센서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특히 분리 메커니즘의 영역 내에서 이송 경로가 모니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추가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다음의 영역으로 이송되기 위한 줄(queue) 내에 있는 지의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추가 지지부가 이송되지 않는다면, 각각의 후속 공정 단계의 성분들이 대기 작동 모드로 변환될 수 있다.
게다가, 제거된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위한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뒤에 위치되며, 상기 수집 장치는 제거된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슬라이딩하기 위한 기계적이고 자동 구동식 슬라이더를 가진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다수의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배출 영역에 수용될 수 있으며, 특히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수직 이송 방향의 경우 슬라이드에 의해 예를 들어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두께 또는 영상판 두께로 가이드 수단에 의해 배출 영역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이 배출 영역에서 개방될 수 있는 것이 선호된다.
바람직하게 공간적인 이유로,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수평 정렬된 층 내에서 적재되거나 또는 기울어질 수 있다. 모든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동일한 수준으로 연속적으로 기울이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수집 장치는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에 대한 적재 장치(stacking device)로서 구현될 수 있으며, 높이 보상을 위한 수단, 특히 스프링-하중식 지지 표면을 가진다. 스프링-하중식 지지 표면은 스택의 바로 밑에 배열된다. 추가 지지부 또는 추가 영상판이 스택 위에 배열될 때 한 지지부 두께 또는 한 영상판 두께 정도로 하강되며, 가해진 중량은 한 지지부 또는 한 영상판의 중량에 의해 증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최상측 지지부 또는 최상측 영상판이 항시 동일한 수준에 위치된다.
추가적으로, 수집 장치는 지지 수단, 특히 제거된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제거된 영상판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적 캐치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수직 방향으로 종방향 축을 따라 연속하여 배열될 때 진동과 같은 사고에 대해 보호되는 장점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지지 수단은 한 지지부의 두께 또는 한 영상판의 두께의 각각의 간격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손가락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수집 장치는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물로써 하나 이상의 그립 컷아웃(grip cutout)을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가이드 수단은 양방향성일 수 있으며(bidirectional), 구동 수단/추가 구동 수단은 양방향성으로 기능을 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보호 수단이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에 대해 이용되는 경우에 선호되며, 또는 지지부가 없는 상기 영상판이 판독 공정에 뒤이어 동일한 보호 수단으로 재차 이송될 수 있다. 게다가, 이에 따라 개별적인 제거 개구부가 필요 없을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수단의 일부분만이 판독 영역 또는 소거 영역 내에서 양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대응하는 양방향성 구동 수단에 의해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이 예를 들어 브랜치-오프(branch-off)에 의해 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주요 이송 경로로부터 판독 영역/소거 영역으로 가압될 수 있다. 판독/소거 공정 이후, 지지부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구동 수단에 의해 브랜치-오프를 경유하여 상반된 방향으로 재차 주요 이송 경로로 이송될 수 있으며, 주요 이송 방향으로 주요 이송 경로 내에서 추가적으로 이송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장치는 제어 장치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지지부와 보호 수단을 분리하고 결합하기 위하여 이송 단계가 제어될 수 있으며, 영상판을 소거하기 위하여 판독 공정이 제어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이러한 공정들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영상판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가 상기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도시되지 않은 2개의 직사각형이고 가요성이며 구강내 영상판(intraoral imaging plate)을 위한 지지부로서 도면부호(1)로 도시된 강성의 카세트(rigid cassette)와 상기 카세트(1)를 위한 광-차단 커버(light-shielding cover, 3)를 도시한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하부로부터 종방향(5)으로 광-차단 커버(3)가 없는 조립된 카세트(1)를 각각 도시한 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에서 우측 하부로부터 좌측 상부까지 횡방향(7)으로 도시한 광-차단 커버(3)를 포함하는 카세트(1)를 도시하며 우측 상부로부터 좌측 하부까지 도 1의 판독 방향(9)에 상반된 측면도를 각각 도시한다.
광-차단 커버(3)가 형성된 카세트(1)는 영상판의 판독을 위해 드럼 스캐너(drum scanner)로 제공되며, 종방향(5)으로 이동될 수 있다. 카세트(1) 내에 수용된 영상판은 드럼 스캐너의 판독 장치(reading device)에 의해 판독 방향(9)으로 판독될 수 있다.
광-차단 커버(3)는 판독 측면 상의 카세트(1)로, 즉 도 1의 우측편에서 도 1의 하부로부터 상부까지 종방향(5)을 따라 가압될 수 있다.
광-차단 커버(3)에 결합된 카세트(1)는 공지된 X-레이 장치로 직접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종래의 X-레이 카세트의 외측 치수를 실질적으로 가진다. 횡단면 내에서 카세트(1)의 형태와 치수 및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이송 덕트(transport duct)의 형태와 치수는 이들의 프로파일에 대해 서로 일치된다.
카세트(1)의 판독 측면은 대응하는 방식으로 원통형으로 만곡된다. 카세트(1)와 광-차단 커버(3)는 판독 방향(9)으로 볼 때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의 형태를 가진다.
카세트(1)는 도 1이 중앙에 위치된 기초 몸체(11)와 도 1의 좌측에 도시된 커버(13)를 포함한다.
커버(13)는 2개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된 피벗 조인트(15)에 의해 기초 몸체(11)로 피벗 회전하도록 결합된다.
기초 몸체(11)는 종방향 벽(17)에 평행하고 피벗 조인트 측면 상에 위치된 종방향 벽(19)과 도 1의 전방에서 피벗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종방향 벽(17)에 의해 종방향(5)으로 경계가 형성된다. 상기 기초 몸체(11)는 종방향 벽에 수직한 가로방향 벽(21)에 의해 가로 방향(7)으로 경계가 형성된다.
가로방향 벽(21)의 상대적으로 긴 판독-측면 변부들은 원형의 원통형 표면을 가지도록 만곡되고, 판독 방향(9)에 대해 상반되게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의 좌측에의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향하는 후방 측면상에서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진 원형의 원통형 표면을 가지도록 볼록하게 만곡된다.
피벗 조인트 측면 상에서 종방향 벽(19)을 향하는 단부 영역에서, 가로방향 벽(21)은 종방향(5)으로 연속된 각각의 피벗 스터드 보어(pivot stud bore, 25)를 가진다. 판독 방향(9)으로 볼 때 후방에 위치된 가로방향 벽(21)의 측면은 가로 방향(7)으로 대략 중앙에 위치된 각각의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positioning lug recess, 27)를 가진다.
게다가, 불연속적인 내측 커버 캐치 홀(inner cover catch hole, 29)과 외측 커버 캐치 홀(outer cover catch hole, 31)은 가로방향 벽(21)을 향하는 그 외의 다른 가로방향 벽(21)의 내측 표면에 각각 제공된다. 커버 캐치 홀(29, 31)은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27)에 인접한 피벗 스터드 보어(25)와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27) 사이의 영역에 배열된다. 이들은 원(circle)의 호(arc)상에서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며, 상기 원의 무게중심은 각각의 피벗 스터드 보어(25)의 축방향 중심을 통해 형성된다.
추가적으로 기초 몸체(11)는 가로방향 벽(21)과 종방향 벽(17, 19)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영역 내에서 판독 측면 상에 벽(33)이 제공된다. 판독-측면 벽(33)의 전방 단부면은 원형 실린더의 원통형 표면의 일부분이고, 상기 원형 실린더의 축은 판독 측면 상에서 종방향(5)으로 형성된다. 상기 원형 실린더의 곡률 중심은 가로방향 벽(21)의 긴 단부면의 곡률 중심과 일치된다.
판독-측면 벽(33)은 피벗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종방향 벽(17)을 초과하여 가로방향(7)으로 한 측면 상에서 다소 돌출되고, 피벗 조인트 측면 상에 위치된 종방향 벽(19)을 초과하여 상기와 동일한 크기로 그 외의 다른 측면 상에서 다소 돌출된다. 돌출된 영역들은 종방향(5)으로 신장된 가이드 웹(oblong guide web, 37)을 형성한다.
해당 변부로부터 동일한 거리의 가이드 웹(37)의 양 단부에서 각각의 기초-몸체 캐치 홀(39)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향하는 웹-가이드 후방 측면에 제공된다. 가이드 웹(37)들은 종방향(5)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 1 대칭 평면에 대하여 각각 거울상 대칭되며, 가로방향(7)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된 제 2 대칭 평면에 대하여 서로 거울상 대칭된다.
게다가 판독-측면 벽(33)은 종방향(5)으로 서로 연속되는 2개의 동일하고 대략 직사각형인 판독 개구부(read opening, 41)들을 가지며, 상기 개구부들은 가로방향(7)으로 연장되는 판독-측면 벽(33)의 가로방향 영역(43)에 의해 서로 분리되고 판독-측면 벽(33)의 완전한-주변 변부 영역(45)에 의해 가로방향 벽(41)으로부터 이격되고 종방향 벽(17, 19)으로부터 분리된다.
판독 개구부(41)들은 영상판을 장착하기 위한 코너에서 개방된 직사각형 프레임(47)에 의해 판독-측면 벽(33)의 변부 영역(45)과 가로방향 영역(43)의 후방 측면 상에서 각각 경계를 이룬다.
프레임(47)은, 판독-측면 벽(33)의 완전한-주변 변부 영역(45)에 배열되고 가로방향 영역(43) 상에 수직하게 각각 배열되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쌍을 이루어 각각 배열된 2개의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과 2개의 종방향 프레임 부분(49)으로 구성된다. 프레임 부분(49, 51)는 각각 직사각형의 평평한 판이며,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의 긴 측면은 판독-측면 벽(33)의 곡률에 따라 만곡된다.
판독-측면 벽(3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의 상측 측면은 개구부 측면 상의 짧은 영역으로부터 이격된 판독-측면 벽(33)과 동일한 곡률 중심을 가지도록 각각 만곡되어 상기 벽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도 1의 우측 하부에서, 카세트(1)의 개구부 측면 상에서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의 상측 측면의 짧은 영역은 직선 구조로 형성된다. 이는 만곡된 영역과 무단으로(steplessly) 접합되고, 판독-측면 벽(33)으로부터 이격된 영역에 대해 기울어진다.
종방향(5)으로 볼 때, 종방향 프레임 부분(49)의 대응하는 상측 측면들은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의 단부들의 상측 측면들의 신장부들과 동일한 수준으로 위치된다.
종방향(5)으로부터 프레임(47)의 높이, 즉 판독-측면 벽(33)으로부터 상측 측면의 거리는 영상판의 판독 측면과 판독 장치의 레이저 또는 판독기 사이의 필요한 거리에 따라 형성된다.
상측 측면이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향하는 피벗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종방향 벽(17)의 상측 측면은 2개의 슬롯 중공(slot hollow, 53)을 가지며, 상기 슬롯 중공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판독 방향(9)으로 볼 때 오목한 형태이고, 영상판을 삽입을 위한 커버 내(13) 내의 삽입 슬롯(55)과 대응한다. 각각의 슬롯 중공(53)은 프레임(47)들 중 한 프레임에 제공된다. 슬롯 중공(53)은 대응 프레임(47)의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의 직선 영역의 신장부들을 다소 초과하여 종방향(5)으로 돌출된다.
카세트(1)의 커버(13)는 개구부 측면 상에 피벗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종방향 벽(17)에 대응하는 커버 종방향 벽(cover longitudinal wall, 57), 피벗 조인트 측면 상에서 종방향 벽(19)에 대응하는 피벗 조인트 측면 상에 커버 종방향 벽(59) 및 가로방향 벽(21)에 대응하는 2개의 커버 가로방향 벽(61)을 가진다.
도 2에 도시된 커버 중앙 가로방향 벽(cover central transverse wall, 62)은 평행한 커버 벽(61)들 사이의 중앙에 배열된다.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커버(13)의 측면은 밀폐 벽(covering wall, 63)에 의해 밀폐된다.
종방향(5)으로 볼 때, 판독 측면 상에서 자유로운, 커버 중앙 벽(62)과 커버 가로방향 벽(61)의 밀폐 벽(63)의 변부들은 실질적으로 원형의 원통형 형태로 만곡되고, 이에 해당하는 실린더의 축은 판독 측면 상에서 종방향(5)으로 연장되며, 상기 축의 프로파일은 판독-측면 벽(33) 및 기초 몸체(11) 내의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의 각각의 프로파일과 일치된다.
가로방향(7)과 종방향(5)으로의 커버(13)의 외측 치수는 기초 몸체(11)의 대응 내측 치수보다 다소 작다. 가로방향(7)과 종방향(5)으로 커버의 내측 치수는 기초 몸체(11) 내에서 프레임(47)의 대응 외측 치수보다 다소 크다. 이에 따라 커버(13)는 기본 몸체(11)로 스위블 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의 벽(57, 59, 61)은 기초 몸체(11)의 가로방향 벽(21)과 프레임(47) 사이 그리고 종방향 벽(17, 19)과 프레임(47) 사이의 간격으로 우선적으로 들어가며, 커버 중앙 가로방향 벽(62)은 상기 2개의 내측 가로방향 벽(21)들 사이에서 스위블 운동한다.
커버(13)가 완전히 스위블 운동된, 즉 밀폐된 접촉 위치에서, 판독 측면을 향하는 커버(13)의 밀폐 벽(63)의 내측면은 기초 몸체(11) 내에서 프레임 부분(49, 50)의 상측면 상에 직접적으로 지지되며, 이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영상판들이 제 위치에 고정되고 프레임(47)에 대해 압축된다.
커버 종방향 벽(57, 59), 커버 중앙 가로방향 벽(62) 및 커버 가로방향 벽(61)의 판독 방향(9)으로의 높이는 커버(13)가 밀폐될 때 판독 측면 상에서 상기 벽들의 측면이 벽의 변부 영역(43)과 가로방향 영역(43) 내에서 기본 몸체(11)의 판독-측면 벽(33) 상에 광-차단 방식으로(light-proof manner) 지지되도록 치수가 형성된다.
종방향(5)으로 볼 때,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측면 상에서 커버(13)의 프로파일은 복수의 카세트(1)가 공간-절약 방식으로 판독 방향(9)으로 포지티브 끼워 맞춤 상태에 따라 차례로 저장될 수 있도록 판독 측면 상에서 광-차단 커버(3)의 프로파일과 일치된다.
판독 측면을 향하여 개방된 2개의 연속적인 삽입 슬롯(55)은 벽의 판독 측면 단부에서 피벗 조인트로부터 이격된 커버 종방향 벽(57) 내에서 종방향(5)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다. 영상판들은 커버(13)가 반-개방 삽입 위치에 있을 때 삽입 슬롯(55)을 통해 카세트(1)로 삽입될 수 있다.
삽입 슬롯(55)은 기초 몸체(11) 내의 슬롯 중공(53)과 종방향(5)으로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 다소 짧다. 판독 방향(9)으로 삽입 슬롯의 폭은 영상판의 두께보다 다소 넓다.
커버(13)가 판 적재 위치(plate loading position)에 있을 때, 삽입 슬롯(55)은 영상판이 삽입될 수 있도록 카세트(1)의 외측으로부터 가로방향(7)으로 볼 때 각각의 슬롯 중공(53) 위로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다.
접촉 위치에서, 삽입 슬롯(55)은 삽입 슬롯을 통해 카세트(1)의 내측으로 빛이 유입될 수 없도록 기초 몸체(11)의 개구부-측면 종방향 벽(17)에 의해 밀폐된다.
게다가, 커버 가로방향 벽(61)은, 카세트(1)의 내측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외측 측면 상에서 피벗 조인트 측면 상에서, 커버 가로방향 벽의 단부 영역에 각각의 구상화 피벗 스터드(spheroidized pivot stud, 65)를 가지며, 상기 구상화 피벗 스터드의 축은 종방향(5)으로 연장된다. 카세트(1)가 조립될 때, 구상화 피벗 스터드(65)는 기초 몸체(11)의 가로방향 벽(21) 내에서 대응하는 피벗 스터드 보어(25) 내에 연결되고, 상기 피벗 스터드 보어와 함께 피벗 조인트(15)를 형성하며, 상기 피벗 조인트 주위에서 커버(13)는 접촉 압력을 기초 몸체(11)에 대하여 영상판으로 가하고 카세트(1)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스위블 운동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커버 가로방향 벽(61)은 기초 몸체(11)의 가로방향 벽(21) 내에서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27)들 중 한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와 일치되고 가로방향(7)으로 길게 연장된 각각의 위치설정 러그(positioning lug, 67)를 가진다. 상기 위치설정 러그(67)는 기초 몸체(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커버 가로방향 벽(61)의 긴 측면의 영역에 대략 중앙에 위치된다. 상기 위치설정 러그는 긴 측면의 외측 면에 제공되고, 일체 구성된다.
위치설정 러그(67)의 치수는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27)의 내측 치수와 일치된다. 커버(13)와 완전히 밀폐될 때, 위치설정 러그(67)는 위치설정 러그 리세스(27) 내에 맞물리고, 이에 따라 커버(13)가 기초 몸체(11)에 대해 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구상 캐치 요소(spheroidal catch element, 69)가 각각의 커버 가로방향 벽(61) 내에 배열되며, 커버(13)가 반-개방 삽입 위치(half-open insertion position)에 있을 때 상기 구상 캐치 요소는 대응하는 후방 커버 캐치 홀(29) 내에 수용되고, 커버(13)가 밀폐된 접촉 위치에 있을 때 대응하는 전방 커버 캐치 홀(31) 내에 수용된다.
구상 캐치 요소(69)는 커버 가로방향 벽(61) 내에서 외측으로부터 대응하는 보어(71)로 각각 삽입된다. 구상 캐치 요소(69)의 축과 대응하는 구상 피벗 스터드(65)의 축 사이의 거리는 기초 몸체(11)의 가로방향 벽(21) 내에서 커버 캐치 홀의 중심과 대응하는 피벗 스터드 보어(25)의 중심 사이의 거리와 일치된다.
개구부 측면으로부터 가로방향(7)으로 볼 때, 긴 측면이 볼록하게 만곡된 프로파일을 가지며 종방향(5)으로 길게 연장된 돌출부(73)는 개구부 측면 상에서 밀폐 벽(63)이 커버 종방향 벽(57)을 초과하여 연장되도록 돌출된다. 돌출부(73)는 특히 커버(13)를 개방하기 위한 그립 보조물(grip aid)로써 제공된다.
추가적으로, 밀폐 벽(63)의 외측면은 돌출부(73)의 측면 상에 판독할 수 있는 다양한 심볼(symbol, 75), 특히 숫자가 형성된다. 이러한 심볼은 레이저 각인(laser inscription)에 의해 사전 정해진 크기로 영구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심볼은 예를 들어 카세트(1)의 타입의 특정이거나 또는 카세트(1)로 각각 제공되고 수용된 영상판으로 제공된다. 카세트(1)는 심폴(75)에 의해 식별될 수 있다(identifiable).
광-차단 커버(3)는 판독 측면에 판독 방향(9)으로 볼 때 직사각형인 얇은 벽구조의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광-차단 전방 벽(77)을 포함한다.
광-차단 전방 벽(77)은 원형의 원통형 형태로 만곡되고, 실린더 축은 판독 측면 상에서 종방향(5)으로 연장된다. 곡률 중심은 커버(13)의 밀폐 벽(63) 및 기초 몸체(11)의 판독-측면 벽(33)의 곡률 중심과 일치된다.
광-차단 전방 벽(77)은 2개의 거울상 대칭 광-차단 종방향 벽(79), 도 1의 상측에서 종방향(5)으로 전방에 위치되는 광-차단 가로방향 벽(81) 및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다. 종방향(5)으로 볼 때, 광-차단 전방 벽(77)의 프로파일 및 이의 크기는 기초 몸체(11)의 판독-측면 벽(33)의 크기 및 프로파일과 일치된다.
도 1의 상측에서 광-차단 종방향 벽(79)의 상호 대향한 내측 측면들 사이의 가로방향(7)으로의 거리는 판독-측면 벽(33)으로부터 이격된 기초 몸체(11)의 가이드 웹(37)이 외측 측면들 사이의 가로방향(7)의 거리와 일치된다. 도 1의 상측에서, 광-차단 전방 벽(77)의 전방 측면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향하는 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1)의 측면과 접하고, 종방향(5)으로 볼 때 광-차단 전방 벽(77)의 프로파일과 대응하도록 만곡된다. 상기 만곡된 측면에 마주보는 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1)의 판독-측면의 측면은 직선 구조로 형성된다.
도 1의 하부에서, 광-차단 전방 벽(77)의 후방 측면은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의 내측 영역과 수직 방향으로 접한다.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방향으로 향하는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의 측면은 만곡되고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과 광-차단 전방 벽(77)의 교차 곡선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구속해제 중공(release hollow, 84)을 가진다.
광-차단 종방향 벽(79)과 후방 광-차단 보호 벽(83)은 카세트(1)에 대한 수용 영역을 형성한다.
게다가, 광-차단 종방향 벽(79), 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1) 및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은 경계면(bounding face, 87)을 형성하며, 상기 경계면에 대해 동일한 치수를 가진 추가 카세트(1)가 광-차단 커버(3)를 가진 복수의 카세트(1)를 저장하고 특히 적재하거나 또는 연속하여 배치하기 위하여 공간-절약 방식으로 판독 측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광-차단 종방향 벽(79)은 이의 전방 절반부에 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1)과 인접한 각각의 직선 부분(89)을 포함하며, 이의 후방 절반부에 그립 중공(93)을 가진 고정 부분(91)을 포함한다. 카세트(1)를 향하고 후방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서 고정 부분(91)은 직선 부분(89) 위로 판독 방향(9)으로 돌출된다.
고정 부분(91)은 그 외의 다른 광-차단 종방향 벽(79)을 향하는 측면 상에 가로방향(7)으로 고정 칼라(holding collar, 95)를 포함하며, 상기 고정 칼라는 종방향(5)으로 연장된다. 고정 칼라(95)는 카세트(1)를 향하는 고정 부분(91)의 측면 상에서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광-차단 전방 벽(77)의 면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제공된다.
이러한 이격된 거리는 판독 방향(9)으로 기초 몸체(11)의 가이드 웹(37)의 두께보다 다소 크다. 종방향(5)으로 연장된 영역(97)은 광-차단 전방 벽(77) 및 고정 칼라(95)들 중 한 고정 칼라에 의해 각각 경계가 형성된다.
판독 방향(9)으로 고정 칼라(95)의 깊이는 광-차단 커버(3)가 끼워 맞춤될 때(도 5) 슬롯 중공(53)에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도록 가이드 웹(37)을 향하는 기초 몸체(11)의 개구부-측면 종방향 벽(17) 내에서 슬롯 중공(53)의 긴 측면과 가이드 웹(37) 사이의 거리보다 작다.
카세트(1)가 포지티브 끼워 맞춤에 따라 광-차단 커버(3) 내에 고정되도록 가이드 웹(37)은 도 1의 상측의 전방으로부터 종방향(5)으로 광-차단 전방 벽(77)과 고정 칼라(95)들 사이의 요홈-형 영역(97)으로 삽입될 수 있다.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을 향하는 고정 칼라(95)의 단부 영역에서, 각각의 광-차단 구상 캐치 요소(99)는 광-차단 전방 벽(77)을 향하는 고정 칼라의 면 내에 배열된다. 카세트(1)가 광-차단 커버(3)로 삽입될 때, 광-차단 캐치 요소(99)는 기초 몸체(11)의 가이드 웹(37) 내에서 대응하는 기초-몸체 캐치 홀(39) 내에 수용되며, 이에 따라 카세트(1)가 광-차단 커버(3) 내에서 제 위치에 고정된다.
게다가 고정 요소(91)는 그 외의 다른 고정 요소(9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외측 측면 상에 가로방향(7)으로 연장되는 확장된 부분(101)을 가진다.
종방향(5)으로 볼 때, 그립 중공(93)은 대략 중심에 제공되며, 상기 그립 중공은 가로방향(7)으로 볼 때 광-차단 커버(3)의 외측으로부터 원통형의 오목한 표면에 따라 만곡된다.
도시되지 않은 드럼 스캐너는 영상판에 저장된 정보를 포인트 단위, 라인 단위 또는 블록 단위로 판독하기 위한 공지된 판독 장치를 가진다. 영상판을 소거하기 위한 소거 장치(erasing device)는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뒤에 배열될 수 있다.
드럼 스캐너 내에서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를 위한 이송 덕트가 판독 장치로 안내되고 소거 장치로 안내된다. 상기 이송 덕트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수직한 방향으로 꼬불꼬불한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덕트의 내측 표면은 검게 처리된다(blackened).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를 위한 가이드 레일이 이송 덕트 내에 제공된다.
가이드 레일을 따라 미끄러지고 가이드 레일과 접촉하는 광-차단 커버(3) 또는 카세트(1)의 표면들은 PTFE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의 대응 표면은 하드 아노다이즈드 알루미늄(hard-anodized aluminium)으로 구성된다.
이송 덕트는 드럼 스캐너의 하우징 벽 내의 한 단부에 슬롯-형태의 삽입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삽입 개구부를 통해 광-차단 커버(3)가 제공된 카세트(1)가 삽입될 수 있으며, 그 외의 다른 단부에 슬로-형태의 배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배출 개구부를 통해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가 소거될 수 있다.
이송 방향으로 볼 때, 삽입 개구부와 배출 개구부의 프로파일은 종방향(5)으로 볼 때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의 프로파일과 일치되며, 상기 개구부들의 내측 치수는 카세트가 개구부를 통과하도록 카세트(1)의 외측 치수보다 다소 크다.
삽입 개구부와 배출 개구부는 피벗 회전 가능한 플랩(pivotable flap)에 의해 외부 빛에 대해 밀봉된다. 플랩은 카세트(1)의 커버(13)의 밀폐 벽(63) 상에 연결되고, 상기 밀폐 벽은 영상판의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향한다.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가 삽입되고 소거되는 동안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가 최대한으로 간격이 없는 방식으로 밀폐 벽(63) 상에 지지되도록 설계된다.
이송 방향에서 삽입 개구부 뒤에 그리고 판독 장치 앞에 이송 덕트는 광-차단 커버(3)와 복수의 카세트(1)를 수용하기 위한 기다란 영역을 가진다. 가이드 레일은 상기 영역 내에서 대응하도록 신장된다.
이송 덕트 내에서 카세트(1)를 이송하기 위하여, 구동 수단을 가진 이송 장치가 판독 장치와 소거 장치의 영역에 제공된다. 이송 단계 동안, 구동 수단은 오로지 광-차단 커버(3)에 또는 카세트(1)에 작용한다. 카세트(1) 내의 영상판들은 상기 구동 수단과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는다.
판독 장치는 레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이저에 의해 카세트(1) 내의 영상판이 공지된 방식으로 스캔될 수 있으며, 영상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이 광 검출기(photodetector)에 의해 입수되며, 광 신호는 공지된 분석 유닛으로 전달될 수 있다. 소거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와 접한다.
영상판을 소거하기 위한 광원(light source)과 같이, 소거 장치는 웜 톤의 형광 튜브를 가지며(warm-tone fluorescent tube), 상기 형광 튜브에 의해 50,000 lm m-2의 조도(illumination density)가 구현된다. 이는 소거를 위해(erasing) 필요한 대략 500,000 lm s의 광도(light intensity)를 제공하기에 충분하고, 다수의 영상판에 대한 높은 효율(high throughput)에 따라 준-연속적 판독 공정(quasi-continuous readout process)을 위해 필요한 짧은 소거 작용 시간(erasing duration)이 구현된다.
소거를 위한 소거 지속 시간은 영상판에 대한 판독 지속 시간(readout duration)에 적합하며, 이러한 판독 지속 시간은 최소한의 지속 시간에 대한 저장 형광 물질(storage fluorescent substance)의 잔광 지속시간(afterglow duration)에 의해 제한된다. 저장 형광 물질 BaFBr:Eu을 가진 영상판의 경우, 판독 공정에서 레이저에 의한 노출 이후 잔광의 지속시간은 680 ns이다. 구강내 영상판의 경우, 판독 지속 시간은 10 s이다.
추가적으로 형광 튜브는 높은 에너지 효율을 가지며, 이에 따라 튜브가 가열에 의해 영상판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소량의 열만을 발생시킨다.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광학 에지 필터(optical edge filter)는 형광 튜브와 소거되는 영상판 사이에 배열된다. 이러한 필터에 의해 바람직하지 못한 스펙트럼 성분들이 흡수되고, 오직 대략 480 nm 이상의 파장을 가진 요구된 스펙트럼 성분들만이 투과된다. 또한 광학 에지 필터가 판독 장치의 광검출기의 PSL 신호에 대한 형광 튜브의 소거 광(erasing light)의 혼선을 방지하는데, 왜냐하면, 광검출기에 앞서는 블루 필터가 약 450nm 이하의 파장만을 투과시키고, 이에 따라서, 필터링된 소거 광이 차단되기 때문이다.
추가적으로, 이송 덕트로 도달되는 리프팅 마그네트(lifting-magnet)의 축은 복수의 카세트(1)를 분리하기 위한 소거 장치 앞에 그리고 판독 장치 앞에 배열되며, 광-차단 커버(3)는 연속적으로 이송된다. 리프팅-마그네트 축은 제어 장치로 제어 가능하게 연결된다. 리프팅-마그네트 축이 개재(interposition)됨에도 불구하고 연속적으로 수행되는 공정, 즉 광-차단 커버(3)로부터 삽입된 카세트(1)의 분리, 영상판의 판독 및 영상판의 소거 단계가 조정되고 제어된다. 이를 위해 카세트(1)가 판독 영역 또는 소거 영역으로 추가적으로 이송되며, 리프팅-마그네트 축이 카세트(1) 뒤의 이송 덕트로 도달되며, 이에 따라 후속 카세트(1)가 기능 영역(function region)으로 슬립되는 것이 방지된다(slipping).
각각의 광 배리어(light barrier)는 각각의 기능 영역 앞에, 특히 리프팅-마그네트 축 앞에 직접적으로 배열되며, 상기 각각의 광 배리어는 제어 장치에 기능적으로 연결된다. 광 배리어에 의해 추가 카세트(1)가 해당 기능 영역으로 이송되기 위한 줄(queue) 내에 있는 지의 여부가 감지될 수 있다. 추가 카세트(1)가 줄 내에 있지 않는다면, 각각의 후속 기능 영역의 부품들은 대기 작동 모드로 변환된다(switch).
게다가, 분리/결합 장치가 제공된다. 카세트(1)는 상기 분리/결합 장치에 의해 판독 전 광-차단 커버(3)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며, 소거 후 커버로 재결합될 수 있다.
분리/결합 장치는 고정 수단을 가지며, 상기 고정 수단에 의해 광-차단 커버(3)가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분리/결합 장치는 구속해제/잠금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구속해제/잠금 수단에 의해 카세트(1)는 고정된 광-차단 커버(3)로부터 그리고 고정된 광-차단 커버(3)로 미끄러질 수 있다.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및 소거 장치 뒤에, 이송 덕트의 배출 개구부 뒤에 이송 덕트는 수집 장치의 수집 용기 내에서 광-차단 커버(3)와 제거된 카세트(1)를 정렬시키기 위한(ranging) 수집 장치를 가진 배출 영역으로 개방된다. 배출 영역에서 이송 덕트는 가이드 레일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다.
수집 장치(collecting device)는 광-차단 커버(3)와 제거된 카세트(1)를 슬라이딩하기 위한 기계적이며 자동 구동식 슬라이더를 가진다. 슬라이더에 의해, 배출 영역에서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는 적어도 두께, 즉 수집 용기에 대한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의 도 1의 판독 방향(9)으로부터 치수 정도로 가이드 레일로부터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가압될 수 있다. 수집 용기 내에서 광-차단 커버(3)와 제거된 카세트(1)는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수집 장치는 수평 방향으로 수집 용기 내에 배열되는 다수의 기계적인 캐치(mechanical catch)를 가지며, 상기 기계적인 캐치들의 간격은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의 두께이다. 상기 기계적인 캐치에 의해 광-차단 커버(3)와 배열된 카세트(1)는 심지어 진동 시에도 사고(accident)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게다가 수집 용기는 광-차단 커버(3)와 배열된 카세트(1)의 제거를 돕기 위한 그립 컷아웃(grip cutou)을 가진다. 초기에 구강내 영상판은 공지된 위생적인 덮개(hygiene sheath) 내에 차광 방식으로 패키징된다. 제 1 X-레이 노출이 위생적인 덮개에 영향을 미친다.
공지된 방식으로 사전 노출된 영상판을 카세트(1)로 삽입시키기 위하여, 우선 카세트(1)의 커버(13)가 반-개방 삽입 위치로 보내지며, 여기서 구상 캐치 요소(69)가 상측 커버 캐치 홀(29) 내에 수용된다.
영상판은 개구부의 측면으로부터 각각의 삽입 슬롯(55)을 통해 가로방향(7)으로 카세트(1) 내에 직접적으로 삽입되고, 한 측면 상에서 파열 개방된 각각의 구강내 위생적 덮개들 중 하나로부터 삽입된다. 이 경우, 영상판의 변부는 기초 몸체(11) 내에서 가로방향 프레임 부분(51)의 상측면 위에서 미끄러진다. 그 뒤 커버(13)는 완전히 밀폐되고, 구상 캐치 요소(69)는 상측 커버 캐치 홀(29)로부터 분리되고, 접촉 위치에서 각각의 하측 커버 캐치 홀(31) 내에 연결된다.
접촉 위치에서, 영상판은 기초 몸체(11) 내에서 프레임(47)에 대해 커버(13)의 밀폐 벽(63)과 함께 압축되고 제 위치에 고정된다.
그 뒤 채워진 카세트(1)는 광-차단 커버(3)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카세트(1)는 광-차단 종방향 벽(79)의 전방 직선 부분(89)의 영역에서 도 1의 하측에 위치된 가이드 웹(37)의 후방 절반부를 이용하여 판독 방향(9)으로 광-차단 커버(3)로 끼워 맞춤된다. 기초 몸체(11)의 후방-측면 벽(33)은 포지티브 끼워 맞춤에 따라 광-차단 전방 벽(77) 상에 지지된다.
그 뒤 카세트(1)는, 고정 부분(91)의 방향으로, 광-차단 커버(3)에 대해 종방향(5)으로 가압된다. 이 경우, 가이드 웹(37)은 광-차단 전방 벽(77)과 고정 부분(91)의 고정 칼라(95) 사이의 요홈-형태의 영역(97) 내에서 안내된다. 카세트(1)가 광-차단 커버(3) 내의 단부 위치에 위치될 때, 광-차단 커버(3)의 구상 캐치 요소(69)는 대응 기초-몸체 캐치 홀(39) 내에 수용되고, 카세트(1)를 광-차단 커버(3) 내의 제 위치에 고정시킨다.
기초 몸체(11)의 가이드 웹(37)이 대칭 구조이고 종방향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의 기초-몸체 캐치 홀(39)을 가지기 때문에, 카세트(1)는 도 1의 상측에서 광-차단 커버(3)로 가압될 수 있다.
그 뒤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는, 가이드 레일에 의해 이송 방향으로 안내되고 중력에 의해 이동되며 판독 영역으로 전달되는, 이송 채널의 삽입 개구부로 종방향(5)으로 삽입된다.
판독 영역에 도달될 때,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는 리프팅-마그네트 축에 의해 정지되며, 해당 광 배리어에 의해 감지된다. 판독 영역이 없다면, 즉 후속하는 카세트(1)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리프팅-마그네트 축은 이송 덕트로부터 자동적으로 후퇴되고(withdrawn), 카세트(1)는 추가적으로 이송되며, 그 뒤 리프팅-마그네트 축은 후속 카세트(1)의 추후의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 덕트로 재차 제공된다.
광-차단 커버(3)는 분리/결합 장치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 부분(91)의 그립 중공(93)에서 제 위치에 자동적으로 고정되며, 카세트(1)는 구상 캐치 요소(69)의 저항에 대하여 후방 광-차단 가로방향 벽(83) 내에서 구속해제 중공(85)의 영역에 형성된 구속해제/잠금 수단에 의해 종방향(5)으로 압축됨으로써 광-차단 커버(3)로부터 자동적으로 압축되고, 판독 장치에 제공된 구동 수단에 의해 판독 영역을 가압된다. 판독 영역에서, 영상판은 공지된 방식으로 판독된다.
그 뒤 카세트(1)는 광 배리어에 의해 감지되는 소거 장치의 리프팅-마그네트 축으로 운반된다. 소거 영역이 없다면, 소거 장치 내에 제공된 리프팅-마그네트 축이 이송 덕트로부터 자동적으로 후퇴되며(withdraw), 카세트(1)는 이에 제공된 구동 수단에 의해 소거 영역으로 운반된다. 그 뒤 리프팅-마그네트 축은 추가적인 카세트(1)의 추후-미끄러짐(after-slippage)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 덕트로 재차 자동적으로 가압된다.
소거 영역 내에서, 영상판이 소거되고, 그 뒤 분리/결합 장치로 이송된다. 이러한 장치에 의해 영상판과 카세트(1)는 광-차단 커버(3)로 가압된다. 그 뒤 광-차단 커버(3)와 카세트(1)는 이송 덕트와 이의 배출 개구부에 의해 수집 장치로 이송되며, 수집 용기 내에 적절히 저장된다. 상기 광-차단 커버와 카세트는 용기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며, 사용자의 추가 처리 노력 없이 신규한 X-레이 노출에 대해 직접적으로 이용된다.
드럼 스캐너 내에서 이용하기 위한, 도 6에 도시되고 제 1 실시예에 따라 기술된 영상판(202)용 지지부(support)의 제 2 실시예가 도 6에 종단면도로 도시된다.
도 6에서 하측을 항하여 판독 방향(209)으로 볼 때와 같이, 도 6의 상측과 판독 측면으로부터의 지지부(201)는 직사각형 후방 벽(263)을 가진다. 상기 지지부는 원형의 원통형 형태로 만곡되고, 대응 실린더 축은 판독 측면 상에서 도 6에서 수평으로 종방향(205)으로 연장된다. 곡률 중심은 제 1 실시예에서 원형의 원통형 표면의 곡률 중심과 일치하고, 즉 드럼 스캐너에 대해 필요한 곡률 중심과 일치된다.
도 6에서, 후방 벽(263)은 각각의 가로방향 벽(221)에 의해 좌측과 우측에서 경계가 형성된다. 판독 측면에서, 가로방향 벽(221)은 후방 벽(263)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연장된다.
도 6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가로방향(207)으로 가로방향 벽(221)은 후방 벽(263)의 전체 폭에 대해 연장되고 종방향(205)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원 호의 형태로 만곡된 코스를 따른다. 가로방향 벽(221)은 이의 상호 대향한 내측면에 각각의 요홈(247)을 가지며, 상기 요홈은 단부 면에서 개방되고 가로방향(207)으로 가로방향 벽(221)의 전체 길이에 대해 연장된다. 요홈(247)의 내측면은 삽입된 영상판(202)의 변부들을 손상시키지 않는 고무-탄성 재료로 코팅된다.
각각의 경우,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향하는 요홈(247)의 가로방향 벽(221)의 윤곽은 후방 벽(263)의 판독-측면 표면의 윤곽으로 무단으로 결합된다.
판독 방향(209)으로 요홈(247)의 폭은 영상판(202)의 두께와 일치된다. 종방향(205)으로 요홈(247)의 기저부들 사이의 영역의 크기는 삽입된 영상판(202)이 마찰에 의해 요홈(247)들 사이에 고정되도록 영상판(202)의 크기와 정확히 일치된다. 가로방향(207)으로의 후방 벽(263)의 크기는 영상판(202)의 해당 크기와 동일하다.
영상판(202)은 이의 판독 측면이 후방 벽(263)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도록 가로방향(207)으로 영상판의 변부들이 지지부의 요홈(247)으로 삽입된다. 영상판(202)은 요홈(247)들 사이의 단부 위치에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물의 경우, 후방 벽의 종방향 측면 상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된 종방향 벽이 가로방향 벽으로 추가적으로 제공된다. 종방향 벽은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지며 가로방향 벽 내에 요홈을 연결하는 대응 종방향 요홈을 가진다. 종방향 요홈 내에서, 삽입된 영상판은 종방향 측면 상에 고정된다.
도 7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서, 도 6에 따라 기술된 제 2 실시예의 요소들과 유사한 요소들은 100이 증가된 동일한 도면부호로 도시되며, 이러한 요소들에 대한 설명에 따라 제 2 실시예에 대한 기술 내용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실례의 실시예는 요홈(347)이 가로방향 벽(321) 내에서가 아니라 후방 벽(363)과 가로방향 벽(321)에 대해 이동될 수 스프링 캐치 요소(340) 내에 형성된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 상이하다.
제 3 실시예에서, 요홈(347)은 L-형태의 프로파일을 가지는 스프링 캐치 요소(340)에 의해 가로방향(307)으로 경계를 이루며 판독 측면 상에서 판독 방향(309)으로 경계를 이룬다.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측면 상에서 요홈들은 판독-측면 후방 벽 표면에 의해 경계를 이룬다.
스프링 캐치 요소(340)는 가로방향(307)으로 일렬로 배열된 복수의 가이드 핀(342)에 의해 가로방향 벽(21)으로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가이드 핀(342)의 축은 종방향(305)으로 연장된다.
가이드 핀(342)은 나선형 압축 스프링(344)에 의해 둘러싸여 지고, 상기 압축 스프링의 단부는 각각 가로방향 벽(321)과 스프링 캐치 요소(340)에 작용한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344)에 의해 스프링 하중이 이동 가능한 스프링 캐치 요소(340)와 가로방향 벽(21) 사이의 종방향(305)으로 발생될 수 있다.
나선형 압축 스프링(344)은 종방향(305)으로 마주보는 요홈(247)에 의해 경계가 형성된 영역에 구속되며, 상기 영역은 영상판(302)의 대응 크기보다 다소 좁다. 도 7의 평면에 대해 수직한 가로방향(307)으로 영상판(302)을 삽입할 때, 스프링 캐치 요소(340)는 나선형 압축 스프링(344)의 스프링 하중에 대하여 영상판(302)에 의해 가압되고, 나선형 압축 스프링(344)은 편향된다. 그 뒤 영상판(302)은 이동 가능한 스프링 캐치 요소(340)들 사이의 단부 위치에 클램프 고정된다.
도시되지 않은 제 3 실시예의 변형물에서, 종방향 벽은 대응 스프링 캐치 요소가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영상판을 삽입하기 위하여, 모든 스프링 캐치 요소가 상호 가압되며, 영상판이 판독 방향으로 판독 측면으로부터 삽입된다. 스프링 캐치 요소가 구속 해제되자마자(release), 나선형 압축 스프링은 감압되며, 제 3 실시예에 따른 방식과 유사한 방식으로 영상판을 클램프 고정시킨다.
도시되지 않은 제 4 실시예에서, 도 6의 제 2 실시예에 따르는 고정된 가로방향 벽이 한 측면에 제공되며, 도 7의 제 3 실시예에 따르는 이동 가능한 스프링 캐치 요소를 가지는 가로방향 벽이 마주보는 측면에 제공된다. 이에 따라 영상판의 삽입과 고정이 수행된다.
측면마다 오직 하나의 스프링 캐치 요소(240, 340) 대신에 다수의 개별 스프링 캐치 요소가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서 제공될 수 있다.
제 2 및 제 3 실시예에서, 요홈(247)과 스프링 캐치 요소(340)는 가로방향 벽(221, 321) 대신에 종방향 벽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스프링 캐치 요소(340), 요홈(247) 또는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프레임(47) 대신에, 지지부는 지지부 내에 영상판(202, 302)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으로 작동되는 고정 수단을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영구 자석이고, 영상판(202, 302)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된 후방 측면 상에 반자성 필름이 코팅될 수 있다. 그 뒤 영상판(202, 302)은 자력에 의해 지지부의 대응 표면으로 끌어당겨지고, 그 뒤 이에 고정된다. 위치 설정을 위해, 영상판(202, 302)이 가이드 변부 상으로 위치된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는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기능 층을 가진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표면(electrostatically charged surface)을 포함한다. 제 1 기능 층과 협력하는 제 2 기능 층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영상판의 후방 측면 상에 제공된다.
지지부내에서, 영상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의 한 측면에 가이드 변부가 제공되며, 영상판의 대응 변부는 위치 설정을 위해 상기 가이드 변부 상에 위치된다.
기능 층 또는 자성 고정 수단에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지지부는 영상판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에 양면 접착 필름의 재생가능한 접착 층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접착 층은 영상판이 교체될 때 재생되며(renew), 영상판은 재사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그 외의 다른 실례의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스프링 플런저(spring plunger)를 포함하며, 상기 스프링 플런저에 의해 음의 압력(negative pressure)이 지지부의 지지 표면과 영상판의 평활한 후방 측면(smooth back side) 사이의 영역으로 가해질 수 있다. 이러한 영역은 O-링을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밀봉된다. 영상판이 지지부로 삽입될 때, 영상판은 가이드 변부 상에 위치되고, 음의 압력에 의해 지지부의 대응 표면상에서 제 위치에 고정된다. O-링과 스프링 플런저 대신에, 밀봉 수단을 가지며 음의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그 외의 다른 타입의 고정 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지지부는 고정 가능한 관절부(lockable articulation)를 가지며, 상기 고정 가능한 관절부에 의해 지지부는 서로 피벗 회전 가능한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된다. 서로에 대해 영역들이 피벗 회전됨에 따라 지지부는 판독 장치, 특히 스캐너의 수용 형상(receiving geometry)에 적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는 원통형 형태 또는 평평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실례의 실시예 따라 상기 기술된 드럼 스캐너 또는 플랫베드 스캐너(flatbed scanner) 내에서 이용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노출에 앞서 예를 들어 파노라믹(panoramic), 두개계측(cephalometric) 또는 그 외의 다른 의학적 포맷(medical format)과 같은 넓은 영역의 평평한 노출 형상을 가진 영상판을 이용하는 경우, 지지부는 광-차단 커버(3), 바람직하게 제거될 수 있는 커버가 사전 설치될 수 있다. 그 뒤 상기 관절부에 의해 지지부는 판독 장치를 위해 필요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실례의 실시예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지지부 없이 이송되는 영상판을 위한 판 이송 덕트는 광-차단 커버를 포함하거나 또는 없는 카세트를 위한 이송 덕트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소거 장치 및 영상판과 카세트를 위한 판독 장치와 결합될 수 있는 대응 형태의 판독 장치의 영역에서 판 이송 덕트는 도 8에 도시된 추가 판 구동 수단(plate drive means, 560)을 가진다.
판 구동 수단(560)은 도 8의 상측에 단일의 압력 휠(562)을 포함하며 하측에 2개의 구동 휠(564)을 포함한다. 도 8에서, 압력 휠(562)과 구동 휠(564) 사이의 영상판(502)은 도면의 평면에 대해 수평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단일의 압력 휠(562)은 수평 축(566)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배열된다. 2개의 하측 구동 휠(564)은 도 8의 좌측편에 위치된 트랜스미션(transmission, 570)에 의해, 바람직하게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를 가진 도시되지 않은 톱니형 기어 트랜스미션 또는 마찰 기어 트랜스미션에 의해 이동되는 공통 수평 구동 축(568) 상에 고정된다. 상기 축(566)은 트랜스미션(570)의 고정판 내에 장착된다.
단일의 압력 휠(562)의 변부는 2개의 하측 구동 휠(564)들 사이의 영역으로 돌출되고, 이에 따라 영상판(502)은 드럼 스캐너의 원통형 형태와 일치되도록 도 8의 상측으로부터 판독 측면으로부터 볼 때 오목하게 형성된 만곡된 원통형 표면 형태로 형성된다.
영상판(502)과 접촉하는 구동 휠(564)과 압력 휠(562)의 변부는 탄성 재료, 바람직하게 강력한 구동력을 형성하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된다.
영상판(502)은 도시되지 않은 스캐너 내에서 판독 장치의 판독 슬롯 위에서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요홈을 따라서 필요 시 소거 장치 내에서 판 구동 수단(560)에 의해 안내될 수 있다.
판 이송 덕트는 영상판(502)을 위한 공기 베어링 가이드(air bearing guide)를 추가적으로 가지며, 상기 판 이송 덕트는 상기 공기 베어링 가이드에 의해 판독 측면과 접촉하지 않고 판 구동 수단(56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안내된 공기 흐름에 의해 영상판(502)은 이의 포멧을 고려하지 않고 가이드 레일의 방향으로 판 이송 덕트로 횡방향으로 가압되며, 상기 판 이송 덕트를 따라 안내된다.
구동 휠과 압력 휠(562, 564)의 조합물을 가진 판 구동 수단(560) 대신에 롤러 드라이브(roller drive)가 지지체 없이 영상판에 대해 이용될 수 있다.
평평한 롤러와 조합된 드럼 스캐너의 경우와 같이, 원형 스캐닝(circular scanning)을 이용하는 경우, 예를 들어 판독 장치의 레이저 빔의 초점 깊이(focal depth)는 한편으로 검출기 주위의 원형 경로 상에 형성된 검출기 광소자(detector optics)의 초점과, 다른 한편으로는 영상판의 판독-측면 평평한 표면 사이의 간격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영상판이 제 2 쌍의 롤러와 접촉할 때 판독 장치의 판독 슬롯과 영상판 사이의 거리가 가변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한 측면 상에 가이드 레일이 제공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 의해 영상판이 이송 방향으로 안내된다. 이 경우, 오직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향하는 후방 측면과 영상판의 대응 변부만이 가이드 레일과 접촉한다.
한 쌍의 롤러는 영상판이 이의 후방 측면에 의해 가이드 레일을 향하고 판독 슬롯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압되는 방식으로 정렬되며, 이에 따라 판독 측면은 바람직하게 판독 슬롯과 접촉하지 않고 판독 슬롯으로부터 일정 거리에서 판독 슬롯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영상판의 판독 측면의 스크레칭(scratching)이 방지된다. 추가적으로, 판독 장치의 레이저 및 검출기와 영상판의 판독 측면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이송 벨트 또는 구동식 롤러 라인(필름 프로젝터와 유사함) 또는 휠 라인 상에서 안내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든 실례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수단, 특히 이송 덕트 내의 가이드 레일은 양방향성(bidirectional)을 가질 수 있다. 판독 작업 이후에,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은 상기 지지부 또는 영상판이 삽입되는 개구부로부터 후방으로 안내된다.
삽입 이송 방향으로 결합된 삽입/배출 개구부의 바로 뒤에서 그리고 배출 이송 방향으로 결합된 삽입/배출 개구부의 앞에서 광-차단 수단(2)으로부터 영상판 또는 지지부(1, 201, 301)가 분리될 수 있다.
판독/소거 작업이 완료된 후, 지지부(1, 201, 301)는 배출 이송 방향으로 삽입/배출 개구부의 앞에서 지지부를 수용할 준비가 되도록 위치된 광-차단 수단(3)으로 이송될 수 있다.
2개의 영상판을 제공하는 대신에, 지지부는 오직 하나 또는 3개 이상의 영상판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장치는 그 외의 다른 의학적 또는 비-의학적 도메인에 이용하기 위한 영상판과 같은 구강내 영상판 이외의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영상판은 비-가요성일 수 있다.
또한 영상판은 직사각형 형태 이외의 형태일 수 있다.
드럼 스캐너 대신에, 다양한 타입의 장치가 예를 들어 플랫베드 스캐너(flatbed scanner)와 같이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의 형태는 장치에 따라 적합해진다. 예를 들어 플랫베드 스캐너의 경우, 판독-측면 표면은 원형의 원통형 형태로 만곡되는 대신에 평평하게 형성된다.
지지부의 크기는 영상판의 크기에 의존하여 사전 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판의 크기는 20 mm x 30 mm의 표면 영역을 가진 작은 구강내 치과용 포멧으로부터 350 mm x 430 mm의 큰 판 포멧일 수 있다.
위생적 덮개로부터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는 대신에, 영상판은 다양한 타입의 덮개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덮개의 이용이 제외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따라 기술된 제 1 실례의 실시예에서, 카세트(1)는 영상판의 판독 특면을 향하는 측면, 즉 스캐닝 측면 상에 프레임(47)에 추가하거나 또는 대신에 하나 이상의 글래스-클리어 판(glass-clear plate)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글래스-클리어 판은 평평하거나 만곡되고, 특히 스크래치가 방지되고(scratch-resistance) 이물질이 붙지 않으며(dirt-repellent), 상기 글래스 클리어 판 상에 영상판이 위치될 수 있다.
제 1 실례의 실시예에 따르는 카세트(1)의 커버(13) 내에서 삽입 슬롯(55)은 바람직하게 차광 플랩 또는 브러쉬를 가질 수 있다.
제 2, 제 3 및 제 4 실시예에 따르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 또는 지지부(201, 301)는 보호 수단, 특히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카세트(1)와 유사한 방식으로 제거될 수 있는 광-차단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제 1 실시예에 따르는 요홈-형태의 영역(97)을 포함하는 고정 부분(91)에 대응하는 지지부로 연결하기 위한 포지티브-끼워맞춤 연결 요소를 가지는 대신에, 보호 수단은 지지부로 연결하기 위한 자성 또는 접착성 작용 연결 요소, 특히 접착 층이 제공된 연결 요소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연결 요소는 수동으로 탈착 가능하다. 제 1 실시예에서 포지티브-끼워맞춤 슬라이딩 연결부 대신에 플러그-인 연결부(plug-in connection)가 제공될 수 있다.
보호 수단, 특히 광-차단 커버(3)의 광-차단 전방 벽(77)은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대신에 예를 들어 탄소-섬유가 충진된 플라스틱과 같이 높은 X-레이 투과율을 가진 그 외의 다른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는 방사선에 대해 완벽히 비-투과성을 가질 수 있다. X-레이 카세트의 형태 대신에 지지부를 포함하는 보호 수단은 다양한 타입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는 그 외의 다른 영상판 포멧을 이용하는 경우 오직 하나 또는 다수의 영상판이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의 외측 치수는 종래의 치수와 상이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지지부는 이용되는 장치, 특히 스캐너에 적합해질 수 있거나 적합해진다.
피벗 회전 가능한 플랩을 이용하여 밀봉되는 대신에, 이송 덕트 또는 판 이송 덕트의 삽입 개구부 및/또는 배출 개구부는 슬라이딩 플랩 또는 브러쉬를 이용하여 밀봉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 특히 가이드 레일의 표면은 PTFE로 구성될 수 있으며, 대신에 지지부의 표면은 하드 아노다이즈드 알루미늄(hard-anodized aluminium)이거나 또는 이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틸 위의 POM과 같이 작은 슬라이딩 마찰 계수를 구현하기 위한 그 외의 다른 재료들이 이용될 수 있다.
그 외의 다른 타입의 수단이 이송 중에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부 및/또는 가이드 수단은 접합 영역에 연속적인 볼 가이드 또는 자성으로 기능을 하는 지지 가이드 요소 또는 공기 베어링을 가진 지지 가이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가이드 요홈 내에서 또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하고 볼 베어링 상에 장착되는 휠과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삽입 개구부 뒤에서 연장되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수단, 특히 이송 덕트 내의 가이드 레일은 이송 덕트 외측의 영역에서 이송 방향으로 삽입 개구부 앞에서 연장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다수의 지지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영역이 상당히 증가된다.
리프팅-마그네트 축이 이송 경로에 도달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모터 축에 부착된 레버와 같이 그 외의 다른 타입의 분리 메커니즘이 이용될 수 있다.
광 배리어에 추가적으로 또는 이 대신에, 기계적인 센서와 같은 그 외의 다른 타입의 수단이 지지부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 특히 스캐너는 소거 장치를 갖지 않거나 또는 다양한 타입의 소거 장치를 가질 수 있다.
소거 장치 내에서 웜-톤의 광 튜브 대신에, 예를 들어 오직 레드 형광 물질이 코팅된 튜브와 같이, 소형의 블루 및 UV 스펙트럼 성분을 가진 다양한 형광 튜브가 이용될 수 있다.
극히 짧은 소거 시간을 구현하기 위하여, 할로겐 토치가 웜-톤의 형광 튜브 대신에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토치는 이미터의 표면 영역에 대해 상대적으로 전력 소모가 많으며 상대적으로 높은 광 출력 강도를 가진다.
바람직하게 램프 하우징은 예를 들어 웜(warm) 또는 옐로우 폼(yellow foam), 화이트 테프론(white Teflon), 밝게 광택 처리된 알루미늄 판 또는 예를 들어 BaSO4와 같은 반사 코팅제가 코팅된, 특히 옐로우 염료가 혼합된 임의의 지지 재료와 같이 소거 광(erasing light)을 우수하게 반사시키는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에지 필터는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대신에 예를 들어 광학적 특성을 가진 유리와 같은 다양한 타입의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연달아 배열되는 대신에 제거된 지지부는 대안의 수집 장치를 이용함에 따라 또한 아래 위의 방식으로 적재될 수 있다. 이 경우, 수집 장치는 지지부를 기울이고(tilting) 수평층 내에서 지지부를 하강시키기 위한 수단을 가진다.
모든 지지부들이 연속적으로 동일한 수준으로 기울어지도록(tilt) 예를 들어 스택 하부의 스프링-하중식 지지 표면과 같이 높이 보상을 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스프링-하중식 지지 표면들은 추가 지지부가 스택 위에 위치될 때 하나의 지지부의 두께 정도가 하강되고, 이에 따라 제공된 중량은 한 지지부의 두께 정도로 증가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각각의 최상측 지지부가 항시 동일한 수준에 위치된다.
기계적인 캐치 대신에 수집 장치는 제거된 지지부를 위한 그 외의 다른 타입의 보호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지지부를 위한 이송 경로, 이송 장치, 판독 장치, 소거 장치 및/또는 수집 장치와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을 위한 상기 장치들은 동일하거나 상이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실례의 실시예에 따라 기술된, 모든 부품들과 그 외의 대체물들이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이송 경로, 이송 장치, 판독 장치, 소거 장치 및/또는 수집 장치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에 대해 또는 지지부에 대해 선택적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괄적인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는 지지부는 공지된 판독 장치, 특히 공지된 드럼 스캐너 또는 플랫베드 스캐너와 다른 장치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스캐닝 판독 장치를 이용하는 대신에, 영상 정보를 하나로 판독할 수 있는 판독 장치를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판의 전체 영상 영역이 노출되는 광원은 예를 들어 CCD 칩과 같이 평면 검출기(planar detector)와 함께 이용될 수 있다.

Claims (46)

  1. 이송 경로 상에서 가이드 수단을 따라 판독 장치에 대해 영상판을 이송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구동 수단을 가진 이송 장치와 영상판에 저장된 정보를 판독하기 위한 판독 장치를 포함하고, 영상판의 형태는 판독 장치의 판독 영역의 형태와 일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요성 영상판을 판독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영상판(202, 302)을 위한 하나 이상의 실질적으로 강성인 지지부(1, 201, 301)를 포함하며, 지지부(1, 210, 301)의 형태와 치수는 이송 경로의 형태에 일치되고, 영상판은 영상판이 지지부(1, 201, 301)와 함께 이송될 때 구동 수단과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용 추가 구동 수단(560)을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압력 휠(562)과 하나 이상의 구동 휠(564)로 구성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판독 장치는 직사각형 영상판(202, 302)용 플랫베드 스캐너 또는 드럼 스캐너이며, 지지부(1, 201, 301)는 평평하거나 또는 원통형으로 만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판은 구강내 영상판(202, 302, 50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판(202, 302)은 지지부(1, 201, 301)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는 카세트의 형태이며 하나 이상의 슬롯(1)을 가지며, 상기 슬롯을 통해 영상판이 덮개, 특히 위생적 덮개로부터 지지부로 삽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는 영상판의 판독 측면을 향하는 측면상에 하나 이상의 프레임(47)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 상에 영상판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영상판의 판독 측면을 향하는 측면 상에 하나 이상의 그래스-클리어 판을 가지며, 상기 글래스-클리어 판은 판독 장치에 따라 평평하게 형성되거나 만곡되며, 특히 스크래치가 방지되고 이물질이 붙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는 고정 가능한 커버(13)를 가지며, 상기 커버에 의해 영상판이 지지부(1) 내의 제 위치에 고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201)는 영상판(202)의 2개 이상의 마주보는 변부들을 수용하기 위한 2개 이상의 요홈(24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자성으로 기능을 하는 고정 수단을 가지며, 특히 지지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영구 자석이고, 영상판은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후방 측면 상에 반자성 필름이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표면을 포함하며, 상기 표면은 제 1 정전기적으로 하전된 기능 층을 가지며 판독 측면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향하는 영상판의 후방 측면상에 제 1 기능 층과 협력하는 제 2 기능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예를 들어 영상판을 고정하는 양면 접착 필름과 같은 재생 접착 층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특히 평활한 후방 측면을 가진 영상판을 고정하기 위하여 음의 압력에 따라 기능을 하는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음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스프링 플런저를 가지며 영상판의 후방 측면과 접하고 음의 압력에 노출되는 영역을 밀봉하기 위한 밀봉 수단, 특히 하나 이상의 O-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영상판용 위치설정 변부와 같은 하나 이상의 가이드 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301)는 영상판(302)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클램핑 장치를 가지며, 상기 클램핑 장치는 영상판(302)의 마주보는 변부에 제공된 2개의 협력하는 클램핑 요소(340)를 포함하거나 또는 하나의 클램핑 요소와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은 클램핑 요소에 마주보는 영상판의 변부에 제공되며 클램핑 요소와 협력하고, 영상판(302)의 변부 상에서 기능을 하는 클램핑 장치의 영역은 바람직하게 고무-탄성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7.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를 위한 구동 수단 및/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위한 추가 구동 수단(560)은 하나 이상의 이송 벨트 또는 하나 이상의 구동식 롤러 장치 또는 휠 장치(562, 56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원형 가이드 레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영상판에 부착된 복수의 슬라이드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수단은 원형 가이드 레일에 고정되게 연결되고 나사산 스핀들에 결합된 변위 테이블(displacement tabl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은 제거 가능한 보호 수단, 특히 광-차단 보호 커버(13)를 가지며, 상기 보호 수단은 지지부(1)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 요소(37, 91, 95, 97), 특히 포지티브 끼워 맞춤에 따라 또는 자성적으로 또는 접착성의 연결 요소를 가지며, 특히 접착 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보호 수단(13)은 얇은 벽구조이며, 적어도 영상판의 광-민감성 층의 영역(77) 내에서 높은 X-레이 투과율을 가진 재료, 특히 알루미늄 또는 탄소-섬유가 충진된 플라스틱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1. 제 19 항 또는 제 20 항에 있어서, 보호 수단(13)은 X-레이 카세트의 형태이며, 영상판 또는 지지부(1)를 위한 내측 가이드 수단(95, 9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2.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하나 이상의 고정 가능한 관절부를 가지며, 상기 관절부에 의해 이송 경로의 프로파일과 일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3.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의 외측 치수는 표준 규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의 전방 측면과 필요 시 보호 수단(13)의 전방 측면은 지지부 및/또는 보호 수단(13)의 후방 측면으로 끼워 맞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제거하고 및/또는 삽입하기 위한 장치의 하우징 내에 위치된 하나 이상의 슬롯-형태의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광-차단 방식으로 밀폐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 201, 301) 및/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위한 가이드 수단이 하나 이상의 가이드 레일 또는 가이드 요홈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서로에 대해 미끄러지는 지지부(1, 201, 301)와 가이드 수단의 상호 접촉 표면은 재료들, 특히 스틸 상의 POM 또는 하드 아노다이즈드 알루미늄 상의 PTFE를 가지며 이에 따라 작은 미끄럼 마찰 계수가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 및/또는 가이드 수단은 상호 접합 영역에 주변 볼 가이드 또는 자성으로 기능을 하는 지지 가이드 요소를 가지거나 또는 공기 베어링을 포함하는 지지 가이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는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요홈 내에 또는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하는 볼-베어링이 장착된 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수용하기 위한,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앞에 위치된 영역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1.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경로의 적어도 일부분이 꼬불꼬불한 형태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2.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경로는 내부적으로 검게 처리된 이송 덕트 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3.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구동시키는 구동 수단 또는 추가 구동 수단(560)의 접촉 영역(562, 564)은 강력한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재료, 특히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송 경로는 상측으로부터 하측까지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위한 공기-베어링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횡방향 공기 흐름(lateral air flow)은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위한 가이드 수단의 이용(appliance) 방향으로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7.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송 경로 내의 분리 메커니즘, 특히 모터 축에 부착된 레버 또는 이송 경로로 도달되는 리프팅-마그네트 축은 이송 경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8.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부(1, 201, 301)의 위치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수단, 특히 광 배리어 또는 기계적인 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9.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영상판(202, 302, 502)을 소거하기 위한 소거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소거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뒤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0.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거된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위한 수집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수집 장치는 이송 방향으로 판독 장치 뒤에 위치되며, 상기 수집 장치는 제거된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슬라이딩하기 위한 기계적이고 자동 구동식 슬라이더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1. 제 40 항에 있어서, 수집 장치는 제거된 지지부(1, 201, 302)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적재하기 위한 적재 장치로서 구성되며, 높이 보상을 위한 수단, 특히 스프링-하중식 지지 표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2. 제 40 항 또는 제 41 항에 있어서, 수집 장치는 지지 수단을 가지며, 특히 제거된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제거된 영상판(502)을 위한 하나 이상의 기계적인 캐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3. 제 40 항 내지 제 4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집 장치는 지지부(1, 201, 301) 또는 지지부가 없는 영상판(502)을 제거하기 위한 보조물로써 하나 이상의 그립 컷아웃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4.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이드 수단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양방향성이며, 가이드 수단은 양방향으로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5.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6. 전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따르는 장치와 조합하여 이용하기 위한 영상판(202, 302)용 지지부(1, 201, 301).
KR1020087008312A 2005-09-27 2006-08-23 가요성 영상판 판독 장치 KR1013185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46248.0 2005-09-27
DE102005046248A DE102005046248A1 (de) 2005-09-27 2005-09-27 Vorrichtung zum Auslesen von insbesondere flexiblen Speicherfolien
PCT/EP2006/008259 WO2007036268A2 (de) 2005-09-27 2006-08-23 Vorrichtung zum auslesen von insbesondere flexiblen speicherfoli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058A true KR20080048058A (ko) 2008-05-30
KR101318513B1 KR101318513B1 (ko) 2013-10-16

Family

ID=37832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8312A KR101318513B1 (ko) 2005-09-27 2006-08-23 가요성 영상판 판독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029821B2 (ko)
EP (6) EP2434341A1 (ko)
JP (1) JP4782837B2 (ko)
KR (1) KR101318513B1 (ko)
CN (1) CN101485190B (ko)
AU (1) AU2006296787B2 (ko)
BR (1) BRPI0616356A2 (ko)
DE (1) DE102005046248A1 (ko)
EA (2) EA201300318A1 (ko)
WO (1) WO200703626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37062A1 (de) * 2009-08-13 2011-02-17 DüRR DENTAL AG Einrichtung zum Entnehmen von Speicherfolien aus einer Schutzhülle
US9384864B2 (en) * 2010-01-25 2016-07-05 Robert Sigurd Nelson High resolution imaging system for digital dentistry
US8378327B2 (en) * 2010-11-27 2013-02-19 Icrco, Inc. Combination computed and direct radiography system and method
US10914847B2 (en) 2011-01-18 2021-02-09 Minnesota Imaging And Engineering Llc High resolution imaging system for digital dentistry
US8658996B2 (en) 2011-03-15 2014-02-25 Carestream Health, Inc. Computed radiography scanner and envelope for imaging plates
WO2013075767A1 (de) 2011-11-22 2013-05-30 DüRR DENTAL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lesen einer speicherfolie
JP2013250454A (ja) 2012-05-31 2013-12-12 Fujifilm Corp 蛍光体シート、及び搬送補助部材
FI20125734L (fi) * 2012-06-27 2013-12-28 Palodex Group Oy Kuvalevyalusta ainakin yhden lääketieteellisessä kuvauksessa käytettävän kuvalevyn pitämiseksi järjestyksessä suhteessa kuvauskohteeseen
DE102012015214A1 (de) 2012-08-03 2014-02-06 DüRR DENTAL AG Focusverstellung des Abtastlasers im Gerät
CN102937600B (zh) * 2012-11-06 2015-05-20 北京大学 基于ip成像板的透射电镜成像扫描系统及其控制方法
EP2879001B1 (en) * 2013-11-27 2018-05-23 Agfa HealthCare N.V. Apparatus and method for reading out storage phosphor plates
EP2921881B1 (en) * 2014-03-18 2018-11-28 Agfa Nv Storage phosphor plate assembly, x-ray cassette and system for reading out storage phosphor plates
US10092255B2 (en) * 2014-08-08 2018-10-09 Rayence Co., Ltd. Intraoral sensor
KR20180041763A (ko) 2015-09-10 2018-04-24 아메리칸 사이언스 앤 엔지니어링, 인크. 선형 적응적 전자기 x-선 스캐닝을 이용한 후방산란 특성화
US11193898B1 (en) 2020-06-01 2021-12-07 American Science And Engineering, Inc.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image contrast in an X-ray system
US11974869B2 (en) * 2022-01-25 2024-05-07 Kurt Hainze Portable x-ray cassette positioning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7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85907A (en) * 1975-05-12 1978-04-25 Fuji Photo Film Co., Ltd. Magnetic tape magazine
SE7611828L (sv) * 1975-10-31 1977-05-01 Xerox Corp Pneumatisk anordning for legesinstellning av ark.
US4156260A (en) * 1977-12-19 1979-05-22 Sycor, Inc. Cartridge-loading tape recorder
NL8101927A (nl) * 1981-04-21 1982-11-16 Oce Nederland Bv Scheidingsinrichting voor het scheiden van vellen.
DE3131279C2 (de) * 1981-08-07 1985-06-13 M.A.N.- Roland Druckmaschinen AG, 6050 Offenbach Vorrichtung zum seitlichen Ausrichten von Bogen
JPS61251A (ja) * 1984-06-13 1986-01-06 Tokio Mera 持続性を有する静電気付着力を付与したポリプロピレン系フイルム
JPS61124899A (ja) * 1984-11-21 1986-06-12 コニカ株式会社 蓄積性螢光体板担持装置
US4750045A (en) * 1985-08-15 1988-06-07 Fuji Photo Film Co., Ltd. Light beam scanning system
US4810874A (en) * 1985-12-27 1989-03-07 Fuji Photo Film Co., Ltd. Radiation image read-out apparatus and cassette used for the same
JPS62246011A (ja) * 1986-04-18 1987-10-27 Fuji Photo Film Co Ltd 光ビ−ム走査装置
JPS63262359A (ja) * 1987-04-20 1988-10-28 Fuji Photo Film Co Ltd シ−ト体搬送機構
US4904868A (en) * 1987-08-19 1990-02-27 Fuji Photo Film Co., Ltd. Radiation image read-out apparatus and stimulable phosphor sheet composite member for the same
US4791657A (en) * 1987-11-06 1988-12-13 Alan Kirsch Intraoral radiographic film packet
US4973134A (en) * 1988-06-21 1990-11-27 Siemens Aktiengesellschaft Read-out apparatus for a luminescent storage screen
JP2546708B2 (ja) * 1988-09-14 1996-10-23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光ビーム走査装置
US4933558A (en) * 1989-01-31 1990-06-12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Administrator Of The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X-ray sensitive area detection device
JPH03105844A (ja) * 1989-09-19 1991-05-02 Ushio Inc 放電ランプ
JPH03209452A (ja) * 1990-01-12 1991-09-12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シートのカセッテ装填方法
JPH0727465Y2 (ja) * 1990-02-14 1995-06-21 共立醫療電機株式会社 X線撮影用フイルムカセツテホルダ
JPH042999A (ja) * 1990-04-20 1992-01-07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像変換パネル
JPH04100000A (ja) * 1990-08-20 1992-03-31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シートおよびそれを収納するカセッテ
JPH04104135A (ja) * 1990-08-23 1992-04-06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読取装置
JP2676118B2 (ja) * 1990-12-25 1997-11-12 大日本スクリーン製造株式会社 ドラム型画像走査装置
US5441251A (en) * 1991-04-19 1995-08-15 Fuji Photo Film Co., Ltd. Sheet article containing cassette and system
JPH04319940A (ja) * 1991-04-19 1992-11-10 Fuji Photo Film Co Ltd カセッテおよびシート状物取出機構
FI92633C (fi) * 1992-03-02 1994-12-12 Orion Yhtymae Oy Hammasröntgenkuvaukseen tarkoitettu kuvalevy sekä menetelmä sen ottamiseksi esille suojuksestaan
JP2987664B2 (ja) * 1992-07-01 1999-12-06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セッテ
DE69311433T2 (de) * 1992-04-21 1998-01-02 Agfa Gevaert Nv Abtasteinrichtung für PSL-Radiographiekassette
US5461492A (en) * 1994-02-16 1995-10-24 Eastman Kodak Company Film scanner with in-line dual scanning gates
JPH0829899A (ja) * 1994-07-15 1996-02-02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情報読取システム
JPH0859038A (ja) * 1994-08-22 1996-03-05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シート搬送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その搬送方法に使用される蓄積性蛍光体シート
DE19540005A1 (de) * 1995-10-27 1997-04-30 Philips Patentverwaltung Filmabtaster
JP3458035B2 (ja) * 1996-02-05 2003-10-2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走査装置
FI103695B (fi) * 1996-11-11 1999-08-13 Instrumentarium Corp Kuvalevyn suojakuori
US6124885A (en) * 1996-12-20 2000-09-26 Eastman Kodak Company Film gate and scanner, and method of scanning using the scanner
JPH10186554A (ja) * 1996-12-26 1998-07-14 Konica Corp 放射線画像変換パネル用カセッテ
DE19724271A1 (de) * 1997-06-09 1999-02-04 Fraunhofer Ges Forschung Anordnung zum Auslesen photostimulierbarer Speicherleuchtstoffe
JPH1152538A (ja) * 1997-07-29 1999-02-26 Asahi Optical Co Ltd フィルムホルダ
US6097475A (en) * 1997-08-21 2000-08-01 Agf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orienting a recording media sheet on a support surface
JPH11338078A (ja) * 1998-05-21 1999-12-10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読み取り装置
DE19851780A1 (de) * 1998-11-10 2000-05-11 Will E C H Gmbh & Co Vorrichtung zum Ausschleusen von Blattlagen aus einer Förderlinie
JP2001075204A (ja) * 1999-09-03 2001-03-23 Fuji Photo Film Co Ltd 被走査シートの搬送方法および搬送装置
DE19946743C1 (de) * 1999-09-29 2000-11-23 Siemens Ag Röntgendiagnostikeinrichtung mit einem Speicherleuchtschirm
US7375350B2 (en) * 1999-11-24 2008-05-20 Neushul Stephen Computed radiography x-ray cassette with rigid embedded CR plate
JP2002131670A (ja) * 2000-10-19 2002-05-09 Fuji Photo Film Co Ltd 光走査装置
US6781144B2 (en) * 2000-11-20 2004-08-24 Konica Corporation Radiation image radiographing cassette and radiation image reading apparatus
JP4129117B2 (ja) * 2000-11-24 2008-08-0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シート体用容器の排出機構
JP2002182322A (ja) * 2000-12-15 2002-06-26 Fuji Photo Film Co Ltd 蓄積性蛍光体シートおよび搬送補助部材
US6397029B1 (en) * 2001-01-11 2002-05-28 Lexmark International, Inc Coupler for an image-forming apparatus
JP2002214646A (ja) * 2001-01-18 2002-07-31 Toshiba Corp 液晶表示素子
US6784448B2 (en) * 2001-02-27 2004-08-31 Fuji Photo Film Co., Ltd. Method for reading radiation image from stimulable phosphor sheet
JP2003005316A (ja) * 2001-06-26 2003-01-08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情報読取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カセッテ
JP2003029359A (ja) * 2001-07-13 2003-01-29 Fuji Photo Film Co Ltd 放射線画像情報読取方法および装置
US6969861B2 (en) * 2001-10-02 2005-11-29 Konica Corporation Cassette for radiographic imaging, radiographic image reading apparatus and radiographic image reading method
JP2003156809A (ja) * 2001-11-20 2003-05-30 Konica Corp 放射線画像読取装置及び放射線画像消去装置
US6866149B2 (en) * 2002-05-07 2005-03-15 Air Techniques, Inc. Barrier envelopes for reusable photo-stimulable phosphor imaging plates
JP2003344963A (ja) * 2002-05-22 2003-12-03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放射線画像読取装置
ATE459017T1 (de) * 2002-07-02 2010-03-15 Agfa Gevaert Healthcare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slesen von in einer speicherschicht abgespeicherter information
EP1391749A1 (en) * 2002-08-16 2004-02-25 Konica Corporation Radiographic image reading apparatus
US7045806B2 (en) * 2002-08-16 2006-05-16 Konica Minolta Holdings, Inc. Radiographic image reading apparatus
JP2004212795A (ja) * 2003-01-07 2004-07-29 Konica Minolta Holdings Inc 医療用カセッテ及び画像処理システム
US7159862B2 (en) * 2003-01-14 2007-01-09 Sharp Kabushiki Kaisha Sheet delivery mechanism for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4219705A (ja) * 2003-01-15 2004-08-05 Konica Minolta Holdings Inc 放射線画像撮影用カセッテ
JP4046649B2 (ja) * 2003-06-10 2008-02-13 三洋電機株式会社 給紙トレイ
DE50307426D1 (de) * 2003-07-02 2007-07-19 Agfa Gevaert Healthcare Gmbh Röntgenkassette mit Andruckelementen für den Bildträger
US7045805B2 (en) * 2003-08-08 2006-05-16 Noa Katz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and shaping a photo-stimulable phosphor plate
DE602004017394D1 (de) * 2003-10-02 2008-12-11 Konica Minolta Med & Graphic Radiologie-Kassette mit stimulierbarer Speicherleuchtstoffschicht vom gewachsenen Kristalltyp, Kassettenlesegerät sowie Verfahren
JP2005115226A (ja) * 2003-10-10 2005-04-28 Konica Minolta Medical & Graphic Inc カセッテ読取処理装置及びカセッテ読取処理方法
JP2005123292A (ja) * 2003-10-15 2005-05-12 Canon Inc 収納装置、当該収納装置を用いた露光方法
JP4241402B2 (ja) * 2004-01-16 2009-03-1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形成装置用カセッテ
US7228090B2 (en) * 2004-02-26 2007-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a removable process unit capable of securing rotation transmission accuracy without stressing a holding portion despite shaft misalign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91108B1 (de) 2013-06-19
BRPI0616356A2 (pt) 2011-06-14
EP2383971A1 (de) 2011-11-02
EA018795B1 (ru) 2013-10-30
AU2006296787A1 (en) 2007-04-05
DE102005046248A1 (de) 2007-03-29
EP1929763A2 (de) 2008-06-11
EP2383973A1 (de) 2011-11-02
EA200800899A1 (ru) 2008-10-30
CN101485190A (zh) 2009-07-15
WO2007036268A3 (de) 2007-08-23
EA201300318A1 (ru) 2013-07-30
JP2009510491A (ja) 2009-03-12
EP2383971B1 (de) 2013-06-19
EP2434341A1 (de) 2012-03-28
WO2007036268A2 (de) 2007-04-05
CN101485190B (zh) 2012-06-13
KR101318513B1 (ko) 2013-10-16
EP1929763B1 (de) 2012-06-06
US9029821B2 (en) 2015-05-12
EP2391108A1 (de) 2011-11-30
EP2431807A1 (de) 2012-03-21
JP4782837B2 (ja) 2011-09-28
US20100171052A1 (en) 2010-07-08
AU2006296787B2 (en) 2011-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18513B1 (ko) 가요성 영상판 판독 장치
JPH03134611A (ja) 光ビーム走査装置
JP2786341B2 (ja) カセッテ
JP2000169011A (ja) 画像記録坦体用搬送装置
JP2650797B2 (ja) シート状物収納機構
JP2005212245A (ja) 可搬型画像形成装置用固定機構
KR200212802Y1 (ko) 공업용 필름의 스캐닝 및 보관장치
JPH04319941A (ja) カセッテ
JP2903278B2 (ja) カセッテ
JPH04319940A (ja) カセッテおよびシート状物取出機構
JP2596845B2 (ja) 蓄積性蛍光体シート用カセッテおよび蓄積性蛍光体シート供給収納機構
JP2642505B2 (ja) 原稿カセット
JPH043145A (ja) 放射線画像情報読取装置
JP2005275293A (ja) カセッテ及びカセッテ開閉機構
JPS63259548A (ja) 画像記録担体用カセツテ
JPS61192638A (ja) 記録媒体収納容器
JP2002128295A (ja) シート体吸着搬送機構
JP2000338616A (ja) 画像情報読取装置
JP2003255479A (ja) シート取出方法および装置
JP2000013559A (ja) 画像読取方法および装置
JP2002111981A (ja) シート状記録媒体の走査装置
JP2003156809A (ja) 放射線画像読取装置及び放射線画像消去装置
JPH02278250A (ja) 放射線画像情報読取装置
JPH03161738A (ja) 原稿カセット
JPH04319939A (ja) シート状物の収納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