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8006A -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8006A
KR20080048006A KR1020070121733A KR20070121733A KR20080048006A KR 20080048006 A KR20080048006 A KR 20080048006A KR 1020070121733 A KR1020070121733 A KR 1020070121733A KR 20070121733 A KR20070121733 A KR 20070121733A KR 20080048006 A KR20080048006 A KR 20080048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drive
reverse
shaft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1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9845B1 (ko
Inventor
지츠미 하나후사
Original Assignee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8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9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9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 F16H37/02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 F16H37/027Combinations of mechanical gearing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16H1/00 - F16H35/00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or friction gearings toothed gearing combined with a gear using endless flexible members for reversing rotary motion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5/00Removing snow or ice from roads or like surfaces; Grading or roughening snow or ice
    • E01H5/04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 E01H5/06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 E01H5/061Apparatus propelled by animal or engine power; Apparatus propelled by hand with driven dislodging or conveying levelling elements, conveying pneumatically for the dislodged material dislodging essentially by non-driven elements, e.g. scraper blades, snow-plough blades, scoop blades by scraper bla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8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 F16H7/0827Means for varying tension of belts, ropes, or chains for disconnecting the dri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s By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구동축(58)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전환시키기 위한 풀리 유닛(61)을 구비한다. 풀리 유닛은 정회전 구동 벨트(77)와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구비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정회전 구동 풀리(66)와 정회전 종동 풀리(74) 사이에서 연장한다. 역회전 구동 벨트(78)는 역회전 구동 풀리(67)와 역회전 종동 풀리(75) 사이에서 연장한다. 구동축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정회전 벨트는 인장 상태로 위치하고, 역회전 벨트는 이완 상태로 전환된다. 구동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역회전 벨트는 인장 상태로 위치하고, 정회전 벨트는 이완 상태로 전환된다.

Description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DRIVE SHAFT ROTATION DIRECTION SWITCHING DEVICE}
본 발명은, 구동축과 동력원 사이에 배치되고,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시키는 데에 사용되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어 구동을 주행 구동 시스템으로서 채용하고 있는 종래의 제설기가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제설기에 있어서 전진 및 후진 주행 사이를 전환할 경우에는, 클러치 레버를 조작하여 주행 클러치를 임시 차단 상태로 되게 한다. 그 후 전진 및 후진 주행 사이를 전환하기 위한 레버를 조작하여 기어 구동 시스템의 맞물림을 변경시켜, 구동축의 회전을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전환시킨다.
구동축의 회전을 정회전과 역회전 사이에서 전환시킴으로써 전진 주행과 후진 주행이 전환되는 제설기가, 예컨대 일본 공개 특허 출원 63-223207에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제설기에 있어서는, 주행 클러치가 차단 상태로 위치한 후에 전진 주행과 후진 주행이 전환되어야 하므로, 제설기를 전진 주행 또는 후진 주행으로 원활하게 전환하는 것이 곤란하다.
유압 구동을 주행 구동 시스템으로서 채용하고 있는 제설기도 또한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유압 구동식 제설기를 전진 주행 또는 후진 주행으로 전환시키기 위해서, 단순히 전진 주행과 후진 주행 사이를 전환시키는 레버를 작동시키는 것만으로 구동축의 회전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으로 전환되어, 제설기가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하게 된다.
그러나 전술한 유압 구동식 제설기는 복잡한 구조를 갖고, 정밀한 부품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설기의 비용을 절감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원활하게 전환시킬 수 있는,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양태에 따르면, 동력원으로부터 구동축으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어,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제공되며, 이 회전 방향 전환 장치는, 구동원의 출력축에 연결된 정회전 구동 풀리(drive pulley) 및 역회전 구동 풀리; 구동축에 연결된 정회전 종동 풀리(driven pulley) 및 역회전 종동 풀리; 정회전 구동 풀리와 정회전 종동 풀리 사이에서 연장하는 정회전 구동 벨트; 역회전 구동 풀리와 역회전 종동 풀리 사이에서 연장하는 역회전 구동 벨트;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 중 하나의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전환하고, 다른 구동 벨트를 이완 상태(relaxed state)로 전환하는 벨트 전환 수단; 정회전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전환된 때에 구동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역회전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전환된 때에 구동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어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벨트 전환 수단은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 중 하나의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다른 구동 벨트를 이완 상태로 전환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전환된 때에, 구동축은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역회전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전환된 때에, 구동축은 역방향으로 회전한 다.
따라서 구동축은, 단지 벨트 전환 수단을 사용하여 정회전 구동 벨트 또는 역회전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클러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정회전 상태 및 역회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구동축의 회전 방향은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다.
단지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 또는 이완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구동축이 정회전 상태 및 역회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구조는 단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와 정회전 및 역회전 종동 풀리 중 하나가 각각 단일 축에 설치되고, 다른 하나가 제1 또는 제2 축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축은, 그 제1 및 제2 축 중 하나가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및 제2 축 중 다른 하나가 단일 축에 접근하도록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rotary body)에 설치되고, 하나의 축을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축의 풀리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유지되고, 다른 축을 단일 축에 근접시킴으로써, 다른 축의 풀리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가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축 중 하나의 축이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되고, 다른 축이 회전체의 회전을 통하여 동일 축에 근접하는 구조를 채용한다.
그에 따라 축 중 하나가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되고, 이로써 하나의 축의 풀리의 둘레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다른 샤프트가 단일 축에 근접하게 되며, 이로써 다른 축의 풀리의 둘레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단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이 정회전 상태 및 역회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벨트 전환 수단은, 하나의 축의 풀리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을 구비한다.
일반적으로, 구동 벨트를 사용할 때에 구동 풀리의 회전을 종동 풀리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구동 벨트에 압력을 가하여,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해야 한다. 구동 벨트에 압력을 가하기 위하여 인장 풀리 또는 다른 가압 수단이 구동 벨트의 측부에 설치된다.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 모두가 제공되는 때에는, 각 구동 벨트마다 가압 수단이 필요하다. 따라서 벨트 전환 수단의 구조가 복잡하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하나의 축의 풀리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이 벨트 전환 수단에 설치되는 구조를 채용하고 있다. 이 스프링은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에서 선택된 임의의 (하나의) 구동 벨트의 인장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정회전 구동 벨트 및 역회전 구동 벨트를 인장시키기 위한 별도의 가압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으므로,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벨트 전환 수단의 스프링은 연결 부재를 통해 회전체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인 회전축과의 간섭을 방지하 도록 형성된 간섭 방지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조의 제1 및 제2 축이 회전체에 설치된다. 하나의 축은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체의 회전을 통하여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로부터 선택된 임의의 (하나의)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회전축 중 일측 또는 타측을 임의로 선택하여, 각각의 측부에 스프링의 압박력을 가해야 한다. 따라서 스프링이 회전축과 간섭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스프링이 연결 부재를 통하여 회전체에 연결된다. 연결 부재에는 회전축과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 방지부가 또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체가 회전할 때에 스프링 부재가 회전축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로써 회전축의 일측 또는 타측을 임의로 선택하여 각각의 측부에 스프링의 압박력을 작용시킬 수 있고,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에서 선택된 임의의 (하나의) 구동 벨트에 있어서 인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단일 축에 설치된 풀리는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이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동일 축에 설치된 풀리는 조정 또는 메인터넌스에 대한 필요성이 비교적 적다. 이와 달리, 제1 및 제2 축에 설치된 풀리는 회전체에 의해 지지되기 때문에, 이들 풀리는 조정 또는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동일 축에 설치된 풀리는 정회전 및 역회전을 위한 구동 풀리이다. 이에 따라, 동일 축에 설치된 풀리는 동력원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고, 제1 및 제2 축에 설치된 풀리는 동력원으로부터 멀어지게 배치될 수 있 다.
그에 따라 동력원은 제1 및 제2 축에 설치된 풀리의 측부에 대한 조정 또는 메인터넌스를 방해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및 제2 축에 설치된 풀리의 측부에서의 조정 또는 메인터넌스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 및 제2 축에 설치된 풀리는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이다.
동력원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동력원의 회전은 기어 기구에 의해 소정의 회전까지 감속되어야 한다.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의 직경은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를 소정의 회전까지 감속시키도록 증가할 수 있다.
이로써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는, 정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와 역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분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정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와 역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가 서로 맞물려서, 정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는 역회전 구동 풀리에 설치된 기어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아이들러 기어로서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기어 기구에 있어서의 기어의 수를 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단지 예로서만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단지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 또는 이완 상태로 전환시킴으로써 구동축을 정회전 상태 및 역회전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18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도시하고, 도 21 내지 도 23은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도시한다.
도 1에 도시된 보행형 제설기(10)는 기계 본체(11)의 좌우에 설치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을 구비한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커버(17)에 의해 덮여 있고,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이 회전 방향을 전환한다. 엔진(19; 동력원)은 주행 클러치(18)를 통하여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에 회전을 전달한다. 좌우 핸들(24, 25)이 좌우 스윙 파이프(21, 22)의 후단부(21a, 22a)에 각각 부착되어 있다. 좌우 스윙 파이프(21, 22)의 전단부(21b, 22b)에는 배설판(26; snow discharge plate)이 설치된다.
좌측 크롤러 주행 유닛(12)은 구동륜(28), 종동륜(29; driven wheel), 구동륜과 종동륜 사이에서 연장하는 크롤러 벨트(31)로 구성된다. 구동륜(28)은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 및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하여 엔진(19)에 연결되어 있다.
우측의 크롤러 주행 유닛(13)은 좌측의 크롤러 주행 유닛(12)과 좌우 대칭인 부재이며, 그 구성 부재를 지칭하는 데에 동일한 참조 기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파이널 구동 기구(32; 도 2 참조)를 통하여 좌우 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에 연결되어 있다.
엔진(19)의 회전은 주행 클러치(18),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 및 파이널 구동 기구(32)를 매개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에 전달된다.
커버(17)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를 덮도록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커버(17)는 또한 기계 본체(11)에 부착되어 있다.
엔진(19)은 출력축으로서의 크랭크샤프트(33)를 구비하고, 엔진(19)은 크랭크샤프트(33)가 하향 연장하는 길이 방향으로 정향된 버티칼 엔진(vertical engine)이다.
좌측 핸들(24)은 좌측 스윙 파이프(21)의 후단부(21a)로부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하고, 그 후단부에 좌측 그립(51)을 구비하며, 좌측 그립(51)의 근처에 주행 클러치 레버(52)가 설치되어 있다. 주행 클러치 레버(52)는 주행 클러치(18)를 접속 상태 및 차단 상태로 전환시키는 레버이다.
우측 핸들(25)은 우측 스윙 파이프(22)의 후단부(22a)로부터 차체의 후방을 향하여 상향 경사지게 연장하고, 그 후단부에 우측 그립(54)을 구비하며, 우측 그립(52)의 근처에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가 설치되어 있다.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의 일부를 구성한다.
보행형 제설기(10)는, 좌우측 손으로 좌우 그립(51, 54)을 파지한 상태에서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의 정회전을 통하여 전진 주행하고,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의 역회전을 통하여 후진 주행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도 1에 도시 된 엔진(19)으로부터 입력축(58; 구동축)으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고, 입력축(58)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시킨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주행 클러치(18)에 연결된 풀리 유닛(61); 풀리 유닛(61)에 연결된 기어 유닛(62; 기어 기구); 풀리 유닛(61)에 대한 연결을 전환시키는 벨트 전환 수단(63)을 구비한다.
주행 클러치(18)는 도 1에 도시된 엔진(19)의 출력축(33; 크랭크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
풀리 유닛(61)은 주행 클러치(18)에 연결된 구동축(동일 축; 65); 구동축(동일 축; 65)에 설치된 정회전 구동 풀리(66) 및 역회전 구동 풀리(67); 기어 유닛(62)에 연결된 정회전축(71; 제1축) 및 역회전축(72; 제2축); 정회전축(71)에 설치된 정회전 종동 풀리(74); 역회전축(72)에 설치된 역회전 종동 풀리(75); 정회전 구동 풀리(66)와 역회전 종동 풀리(74) 사이에서 연장하는 정회전 구동 벨트(77); 역회전 구동 풀리(67)와 역회전 종동 풀리(75) 사이에서 연장하는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구비한다.
정회전 구동 풀리(66)와 역회전 구동 풀리(67)는, 정회전 구동 풀리(66)가 위에 있고 역회전 구동 풀리(67)가 아래에 있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도 4 참조).
정회전 종동 풀리(74)는 정회전 구동 풀리(66)와 동일한 높이(수평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정회전축(71)과 기어 유닛(62)을 통하여 입력축(58)에 연결되어 있다.
역회전 종동 풀리(75)는 역회전 구동 풀리(67)와 동일한 높이(수평 위치)로 배치되어 있고, 역회전축(72)과 기어 유닛(62)을 통하여 입력축(58)에 연결되어 있다.
풀리 유닛(61)은,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인장된 상태에서 정회전 구동 풀리(66)의 회전을 정회전 구동 벨트(77)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74)에 전달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이완 상태로 있을 때에, 정회전 구동 풀리(66)는 아이들 상태로 있고(공전하고), 정회전 구동 풀리(66)의 회전은 정회전 구동 벨트(77)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74)에 전달되지 않는다.
풀리 유닛(61)은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인장 상태로 있을 때에, 역회전 구동 풀리(67)의 회전을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통하여 역회전 종동 풀리(75)에 전달한다.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이완 상태로 있을 때에, 역회전 구동 풀리(67)는 아이들 상태로 있고(공전하고), 역회전 구동 풀리(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통하여 역회전 종동 풀리(75)로 전달되지 않는다.
기어 유닛(62)은 회전축으로서의 입력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회전 케이스(회전체; 81); 정회전축(71)에 설치된 정회전 구동 기어(83); 정회전 구동 기어(83)와 맞물리는 입력축(58)에 설치된 종동 기어(84); 종동 기어(84)와 맞물리는 아이들러 기어(85); 아이들러 기어(85)와 맞물리는 역회전축(72)에 설치된 역회전 구동 기어(86)를 구비한다.
회전 케이스(81)는 정회전 구동 기어(83), 종동 기어(84), 아이들러 기어(85) 및 역회전 구동 기어(86)를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91); 케이스 본체(91)의 개구부(92)를 막는 케이스 커버(93)를 구비한다. 케이스 커버(93)는 케이스 본체(91)의 개구 에지부(94)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 구동 기어(83)는 정회전축(7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케이스(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종동 기어(84)는 입력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케이스(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아이들러 기어(85)는 중간축(96)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케이스(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역회전 구동 기어(86)는 역회전축(7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 케이스(81)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기어 유닛(62)은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인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축(58)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기어 유닛(62)은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인장되어 있는 상태에서 입력축(58)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파이널 구동 기어(32)는 파이널 드라이브 케이스(7) 내측에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절반부에 워엄(98)이 형성되어 있는 입력축(58); 워엄(98)과 맞물리는 워엄 휠(99); 회전 가능하도록 파이널 드라이브 케이스(97)에 의해 지지된 주행축(101)을 구비한다. 주행축(101)에는 워엄 휠(99)이 설치된다.
주행축(101)의 좌단부(101a)는 파이널 드라이브 케이스(97)의 좌측부(97a)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우단부(101b)는 파이널 드라이브 케이스(97)의 우측부(97b)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한다.
좌단부(101a)에는 좌측 주행 파이프(102)가 연결된다. 좌측 주행 파이프(102)는 좌측 크롤러 주행 유닛(12)의 구동륜(28; 도 1)에 연결된다.
우단부(101b)에는 우측 주행 파이프(103)가 연결된다. 우측 주행 파이프(103)는 우측 크롤러 주행 유닛(13)의 구동륜(28; 도 2)에 연결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 전환 수단(63)은 회전 케이스(81)의 하부(91a; 도 4)에 설치된 전환 레버(105); 연결 핀(106)을 매개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전환 레버(105)에 연결된 연결 아암(107; 연결 부재); 연결 아암(107)에 연결된 스프링(108); 전환 레버(105)에 연결된 푸시-풀 케이블(109); 푸리-풀 케이블(109)에 연결된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를 구비한다.
전환 레버(105)는 제1 및 제2 단부(111, 112)를 구비하고, 또한 하나의 측방향 에지가 실질적으로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른 측방향 에지가 만곡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부(113)를 구비한다. 고정부(113)는 회전 케이스(81)의 하부(91a)에 용접되어 있어서, 전환 레버(105)가 회전 케이스(81)의 하부(91a)에 고정되어 있다.
푸시-풀 케이블(109)의 전단부(109a)는 볼트(115)에 의해 제1 단부(111)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아암(107)의 후단부(107a)는 연결 핀(106)에 의해 제2 단부(112)에 연결되어 있다.
연결 아암(107)은 도그 레그(dog leg)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입력축(58)에 마주하는 측방향 에지부에 형성된 간섭 방지부(118; 오목부)를 구비한다.
연결 아암(107)의 후단부(107a)는 연결 핀(106)에 의해 전환 레버(105)에 연결되고, 전단부(107b)가 스프링(108)의 일단(108a)을 유지한다. 스프링(108)의 타단(108b)은 로킹 부재(117)에 의해 유지되어 있다. 로킹 부재(117)는 기계 본체(11)에 나사 결합되어 있다.
스프링(108)은 정회전 구동 벨트(77)와 역회전 구동 벨트(78) 중 하나가 인장되는 방향으로 압박된다.
푸시-풀 케이블(109)은 외부 케이블(121)과 내부 케이블(122)을 구비한다. 외부 케이블(121)의 전단부(121a)는 기계 본체(11)에 부착되고, 후단부(121b)는 브라켓(123; 도 1)에 부착된다. 브라켓(123)은 도 1에 도시된 우측 핸들(25)에 부착된다.
내부 케이블(122)은 외부 케이블(121) 내측에 이동할 수 있도록 부착된다.
내부 케이블(122)의 전단부(109a)는 외부 케이블(121)의 전단부(121a)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고, 볼트(115)에 의해 전환 레버(105)의 제1 단부(111)에 연결된다.
내부 케이블(122)의 후단부(109b)는 외부 케이블(121)의 후단부(121b; 도 1)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하고, 볼트(124)에 의해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에 연결된다.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는 지지 핀(126)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도록 우 측 핸들(25)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그에 따라, 내부 케이블(122)은,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가 지지 핀(1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요동할 때에 화살표 B로 지시된 바와 같이 견인된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내부 케이블(122)을 화살표 B로 표시된 바와 같이 견인함으로써 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내부 케이블(122)은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가 지지 핀(126)의 축선을 중심으로 화살표 C의 방향으로 요동할 때에 화살표 D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밀린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내부 케이블(122)을 화살표 D로 지시된 바와 미는 것에 의하여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구동축(65)에 설치된 정회전 구동 풀리(66)와 역회전 구동 풀리(67)는 비교적 조정 및 메인터넌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정회전축(71)에 설치된 정회전 종동 풀리(74)와 역회전축(72)에 설치된 역회전 종동 풀리(75)는 회전 케이스(81)에 의해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조정 및 메인터넌스가 필요하다.
따라서 제1 실시예에서는, 회전 케이스(81) 또는 정회전 및 역회전 종동 풀리(74, 75)가 엔진(19)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에 따라 엔진(19)은, 도 1에 도시된 커버(17)를 제거하고, 회전 케이스(81) 또는 정회전 및 역회전 종동 풀리(74, 75)의 조정 또는 메인터넌스를 실행할 때에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엔진(19)은, 회전 케이스(81) 내의 정회전 구동 기어(83), 종동 기 어(84), 아이들러 기어(85), 역회전 구동 기어(86) 및 다른 구성 요소의 조정 또는 메인터넌스를 실행할 때에 방해하지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을 기초로 하여,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가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벨트 전환 수단(63)이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가 전진 주행 상태로 배치되어 있으면, 벨트 전환 수단(63)의 연결 핀(106)은 중심선(128)의 우측에 위치한다.
중심선(128)은 입력축(58)을 로킹 부재(117)의 로킹 구멍(117a)에 연결시키는 선이다. 스프링(108)의 타단(108b)은 로킹 구멍(117a)에 로킹되어 있다.
스프링(108)의 인장력(F1)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연결 아암(107)에 작용한다. 작용하는 인장력(F1)은 연결 아암(107)을 통하여 하중으로서 연결 핀(106)에 전달된다. 전달된 하중은 연결 핀(106)을 통하여 하중(F2)으로서 전환 레버(105)에 전달된다.
하중(F2)은 전환 레버(105)를 통하여 회전 케이스(81)에 전달되고,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F3)이 회전 케이스(81)에 작용한다.
도 7은 풀리 유닛(61)이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회전력(F3)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81)에 작용하고, 이로써 회전력(F3)은 정회전축(71)에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정회전축(71)은 스프링(108)의 인장력(F1)에 의해 구동축(6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인장력(F1)은 스프링(108)이 정회전 구동 벨트(77)에 적절한 인장력을 가하도록 조정된다.
그에 따라, 회전 케이스(81)는 정회전 구동 벨트(77)에 적절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인장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유지된다. 회전 케이스(81)는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전진 주행 상태의 풀리 유닛(61)에 있어서,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고, 역회전 구동 벨트(78)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에 도시된 엔진(19)을 구동하면, 정회전 구동 풀리(66)는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정회전 구동 풀리(66)의 회전이 정회전 구동 벨트(77)에 전달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화살표 B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정회전 구동 벨트(77)의 회전은 정회전 종동 풀리(74)에 전달된다.
이로써 정회전 종동 풀리(74)는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정회전축(71)은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역회전 종동 풀리(75)는 역회전 구동 풀리(67)를 향하여 이동한다(도 4).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역회전 구동 풀리(67)는, 역회전 구동 풀리(67)가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경우라도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역회전 구동 풀리(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통하여 역회전 종동 풀리(75)로 전달되지 않는다.
다이어그램은 이완된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역회전 구동 풀리(67) 또는 역회전 종동 풀리(75)로부터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실제로 역회전 구동 풀리(67) 또는 역회전 종동 풀리(75)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다음으로, 구동 벨트가 구동 풀리 또는 종동 풀리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완된 구동 벨트를 유지하는 부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회전 구동 풀리(66)와 역회전 구동 풀리(67)에는 구동 벨트 스토퍼(131)가 설치된다.
정회전 종동 풀리(74)에는 정회전 종동 벨트 스토퍼(132)가 설치된다.
또한, 역회전 종동 풀리(75)에는 역회전 종동 벨트 스토퍼(133)가 설치된다.
구동 벨트 스토퍼(131)와 정회전 종동 벨트 스토퍼(132)는,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이완 상태로 유지된 때에,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풀리(66, 74)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동 벨트 스토퍼(131)와 역회전 종동 벨트 스토퍼(133)는,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이완 상태로 유지된 때에,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풀리(67, 75)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8은 기어 유닛(62)이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정회전축(71)은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이로써 정회전 구동 기어(83)는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축(71)과 일체로 회전한다. 정회전 구동 기어(83)가 회전하여, 종동 기어(84)는 화살표 D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 한다.
입력축(58)은 화살표 D로 지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84)와 일체로 회전하고, 이로써 입력축(58)의 회전은 도 2에 도시된 파이널 구동 기구(32)를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에 전달된다.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보행형 제설기(10)는 전진 주행한다.
아이들러 기어(85)는 종동 기어(84)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E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역회전 구동 기어(86)는 아이들러 기어(85)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F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역회전 종동 풀리(75; 도 7)는 역회전 구동 기어(86)와 일체로 회전한다.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도 7에 도시된 역회전 종동 풀리(75)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이로써, 입력축(58)은 단지 회전 케이스(81)의 회전에 의해 정회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1을 기초로 하여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가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설명한다.
도 9는 벨트 전환 수단(63)이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 도 2)가 후진 주행 상태로 있을 때에, 벨트 전환 수단(63)의 연결 핀(106)은 중심선(128)의 좌측에 위치한다.
연결 아암(107)은 실질적으로 도그 레그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입력 축(58)에 마주하는 위치에 간섭 방지부(118)로서의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로써, 벨트 전환 수단(63)의 연결 핀(106)이 중심선(128)의 좌측에 위치할 때에, 연결 아암(107)이 입력축(58)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스프링(108)은 연결 아암(107)을 통하여 회전 케이스(81)에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스프링(108)이 입력축(58)과 간섭하는 것이 방지된다.
벨트 전환 수단(63)의 연결 핀(106)은 중심선(128)의 좌측에 위치하며, 이로써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08)의 인장력(F4)이 연결 아암(107)에 작용한다.
작용하는 인장력(F4)은 연결 아암(107)을 통하여 연결 핀(106)에 하중으로서 전달된다. 전달된 하중은 연결 핀(106)을 통하여 전환 레버(105)에 하중(F5)으로서 전달된다.
하중(F5)은 전환 레버(105)를 통하여 회전 케이스(81)에 전달되고, 회전 케이스(81)에는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력(F6)이 작용한다.
도 10은 풀리 유닛(61)이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회전력(F6; 도 9)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81)에 작용하고, 이로써 회전력(F6)은 역회전축(72)에 작용한다. 구체적으로, 역회전축(72)은 스프링(108)의 인장력(F4)에 의해 구동축(65)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인장력(F4)은 스프링(108)이 역회전 구동 벨트(78)에 적절한 인장력을 가하도록 조정된다. 그에 따라, 회전 케이스(81)는 적절한 인장 력이 역회전 구동 벨트(78)에 작용하는 상태(인장 상태)에서 고정 유지된다. 회전 케이스(81)는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된다.
구체적으로, 후진 주행 상태의 풀리 유닛(61)에 있어서, 역회전 구동 벨트(78)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고,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역회전 구동 풀리(67; 도 4)가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때, 역회전 구동 풀리(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78)로 전달된다.
역회전 구동 벨트(78)는 화살표 G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역회전 구동 벨트(78)의 회전은 역회전 종동 풀리(75)에 전달된다. 이로써 역회전 종동 풀리(75)는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역회전축(72)은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정회전 종동 풀리(74)는 정회전 구동 풀리(66)를 향하여 이동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회전 구동 풀리(66)는, 정회전 구동 풀리(66)가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할 경우라도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그에 따라, 정회전 구동 풀리(66)의 회전은 정회전 구동 벨트(77)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74)에 전달되지 않는다.
다이어그램은, 이완된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정회전 구동 풀리(66) 또는 정회전 종동 풀리(74)로부터 분리되어 있지 않고,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실제로 정회전 구동 풀리(66) 또는 정회전 종동 풀리(74)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다.
정회전 구동 풀리(66) 또는 정회전 종동 풀리(74)로부터 분리된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구동 벨트 스토퍼(131)와 정회전 종동 벨트 스토퍼(132)에 의해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가 전진 주행 상태로 있을 때에, 정회전축(71)은 스프링(108)의 인장력(F1)에 의해 구동축(65)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진다. 이로써 적절한 인장력이 정회전 구동 벨트(77)에 작용하는 상태(인장 상태)가 유지된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가 후진 주행 상태로 있을 때에, 역회전축(72)은 스프링(108)의 인장력(F4)에 의해 구동축(65)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진다. 이로써 적절한 인장력이 역회전 구동 벨트(78)에 작용하는 상태(인장 상태)가 유지된다.
그에 따라, 정회전 구동 벨트(77)와 역회전 구동 벨트(78)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구동 벨트는 벨트 전환 수단(63)에 스프링(108)을 제공함으로써 인장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정회전 구동 벨트(77) 및 역회전 구동 벨트(78)에 장력을 부여하기 위한 별도의 가압 수단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
도 11은 기어 유닛이 후진 주행 상태로 있는 예를 도시한다.
역회전 구동 기어(86)는 화살표 H로 지시된 역회전축(7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축(72)과 일체로 회전한다. 아이들러 기어(85)는 역회전 구동 기어(86)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I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종동 기어(84)는 아이들러 기어(85)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J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은 화살표 J로 지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84)와 일체로 회전하고, 이로써 입력축(58)의 회전은 도 2에 도시된 파이널 구동 기구(32)를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에 전달된다. 이로써, 도 1에 도시된 보행형 제설기(10)는 전진 주행한다.
정회전 구동 기어(83)는 종동 기어(84)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K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정회전 종동 풀리(74; 도 10)는 정회전 구동 기어(83)와 일체로 회전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정회전 종동 풀리(74)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입력축(58)은 단지 회전 케이스(81)를 회전시킴으로써 역회전 상태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8을 기초로 하여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12의 A 및 B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2의 A에 있어서,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는 전진 주행 위치(P1)에 유지되어 있다.
도 12의 B에 도시된 풀리 유닛(61)에 있어서,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고, 역회전 구동 벨트(78)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정회전 구동 풀리(66)는 엔진(19)의 구동에 의해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 이 회전한다(도 1). 정회전 구동 풀리(66)의 회전은 정회전 구동 벨트(77)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74)에 전달된다.
정회전축(71)은 화살표 C로 지시된 정회전 종동 풀리(74)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도 4에 도시된 역회전 구동 풀리(67)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아이들 상태).
도 13의 A 및 도 13b는 보행형 제설기(10)가 전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의 A에 있어서, 정회전 구동 기어(83)는 화살표 C로 지시된 정회전축(71)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축(71)과 일체로 회전한다. 종동 기어(84)는 정회전 구동 기어(83)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D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은 화살표 D로 지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84)와 일체로 회전한다.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형 제설기(10)는 화살표 L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진 주행한다.
도 14의 A 및 도 14b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4의 A에 있어서,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는 화살표 M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진 주행 위치(P1)로부터 후진 주행 위치(P2)로 이동한다. 푸시-풀 케이블(109)의 내부 케이블(122)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방으로 밀린다.
도 14b에 있어서, 스프링(108)의 인장력(F1)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81)에 회전력(F3)을 가한다.
내부 케이블(122)의 전단부(122a)는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의 조작에 의해 화살표 N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밀린다. 회전 케이스(81)는 전단부(122a)의 압박에 의해 스프링(108)의 인장력(F1)에 대항하여 화살표 O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이 회전 케이스(81)의 회전 중심이다.
회전 케이스(81)가 입력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할 때, 전환 레버(105)의 제2 레버(112)는 화살표 P로 지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58)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연결 핀(106)은 전환 레버(105)의 제2 단부(112)와 함께 화살표 P로 지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128)을 향하여 이동한다. 연결 핀(106)은 중심선(128)을 가로질러서, 중심선(128)의 좌측으로 이동한다.
도 15의 A 및 도 15b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15의 A에 있어서, 연결 핀(106)이 중심선(128)을 가로질러서 중심선(128)의 좌측으로 이동하면, 스프링(108)의 인장력에 기인한 회전 케이스(81)의 회전력은 화살표 Q의 방향(시계 방향)으로 전환된다.
회전 케이스(81)는 스프링(108)의 인장력에 의해 화살표 Q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도 15b에 있어서, 역회전축(72)은 회전 케이스(81)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65)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진다. 회전 케이스(81)는, 역회전 구동 벨트(78)에 적절한 인장력이 작용하는 상태(인장 상태)로 고정 유지된다. 구체적으 로, 회전 케이스(81)는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08)의 인장력은 F4이고, 회전 케이스(81)의 회전력은 F6이다.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역회전 구동 풀리(67; 도 4)가 화살표 A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면, 역회전 구동 풀리(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매개로 역회전 종동 풀리(75)에 전달된다.
역회전 종동 풀리(75)는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역회전축(72)은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정회전 구동 풀리(66)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도 16의 A 및 도 16b는 보행형 제설기(10)가 후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16의 A에 있어서, 역회전 구동 기어(86)는 화살표 H로 지시된 역회전축(72)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축(72)과 일체로 회전한다. 아이들러 기어(85)는 역회전 구동 기어(86)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I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종동 기어(84)는 아이들러 기어(85)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J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은 화살표 J로 지시된 바와 같이 종동 기어(84)와 일체로 회전한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행형 제설기(10)는 화살표 R로 지시된 바와 같이 후진 주행한다.
도 17의 A 및 도 17b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17의 A에 있어서,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는 화살표 S로 지시된 바와 같이 후진 주행 위치(P2)로부터 전진 주행 위치(P1)로 이동한다.
푸시-풀 케이블(109)의 내부 케이블(122)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당겨진다.
도 17b에 있어서, 스프링(108)의 인장력(F4)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 케이스(81)에 회전력(F6)을 가한다.
내부 케이블(122)의 전단부(122a)는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의 조작에 의해 화살표 T로 지시된 바와 같이 당겨진다. 회전 케이스(81)는 전단부(122a)의 압박에 의해 스프링(108)의 인장력(F4)에 대항하여 화살표 U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이 회전 케이스(81)의 회전 중심이다.
회전 케이스(81)가 입력축(58)을 중심으로 회전하면, 전환 레버(105)의 제2 단부(112)는 화살표 V로 지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58)을 중심으로 피벗된다.
연결 핀(106)은 제2 단부(112)와 함께 화살표 V로 지시된 바와 같이 중심선(128)을 향하여 이동한다. 연결 핀(106)은 중심선(128)을 가로질러서 중심선(128)의 우측으로 이동한다.
도 18의 A 및 도 18b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연결 핀(106)이 중심선(128)을 가로질러서 중심선(128)의 우측으로 이동하 면, 스프링(108)의 회전력에 기인한 회전 케이스(81)의 회전력은 화살표 W의 방향(반시계 방향)으로 전환된다.
도 12의 B에 있어서, 정회전축(71)은 회전 케이스(81)의 회전에 의해 구동축(65)으로부터 멀어지게 당겨진다. 회전 케이스(81)는 정회전 구동 벨트(77)에 적절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상태(인장 상태)로 고정 유지된다. 회전 케이스(81)는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스프링(108)의 인장력은 F1이고, 회전 케이스(81)의 회전력은 F3이다.
역회전 구동 벨트(78)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도 12 내지 도 18을 기초로 하는 설명에 따르면,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를 전진 주행 위치(P1)에 유지하게 되면,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정회전 구동 풀리(66)의 회전은 정회전 구동 벨트(77)와 정회전 종동 풀리(74)를 통하여 정회전축(71)에 전달된다. 정회전축(71)은 화살표 C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보행형 제설기(10)는 화살표 L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진 주행한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를 전진 주행 위치(P1)로부터 후진 주행 위치(P2)로 이동시킴으로써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인장 상태로 유지된다.
역회전 구동 풀리(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78) 및 역회전 종동 풀 리(75)를 통하여 역회전축(72)에 전달된다. 역회전축(72)은 화살표 H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보행형 제설기(10)는 화살표 R로 지시된 바와 같이 후진 주행한다.
또한,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전진/후진 주행 전환 레버(55)를 후진 주행 위치(P2)로부터 전진 주행 위치(P1)로 이동시킴으로써 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는 이완 상태로 유지된다. 이로써, 보행형 제설기(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 L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전진 주행한다.
구체적으로,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는 정회전 구동 벨트(77)와 역회전 구동 벨트(78) 중 하나의 구동 벨트가 벨트 전환 수단(63)에 의해 인장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하고, 다른 구동 벨트가 이완 상태로 전환될 수 있게 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77)가 인장 상태로 전환되면, 보행형 제설기(10)는 전진 주행한다.
역회전 구동 벨트(78)가 인장 상태로 전환되면, 보행형 제설기(10)는 후진 주행한다.
이로써, 보행형 제설기(10)는, 벨트 전환 수단(63)을 사용하여 정회전 구동 벨트(77) 또는 역회전 구동 벨트(78)를 인장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만으로, 클러치를 조작하지 않고도 전진 주행 상태 또는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로써, 보행형 제설기(10)는 전진 주행과 후진 주행 사이에서 원활하게 전환될 수 있다.
보행형 제설기(10)는 단지 정회전 구동 벨트(77) 또는 역회전 구동 벨트(78) 를 인장 상태와 이완 상태로 전환시키는 것만으로 전진 주행과 후진 주행 사이에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에,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9 및 도 20을 기초로 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의 제1 및 제2 변형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다.
제1 변형예는, 제1 실시예의 연결 아암(107) 대신에 연결 부재(141)가 사용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연결 부재(141)의 외부 형상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이고, 입력축(58)에 마주하는 위치에서 간섭 방지부(142)가 형성되어 있다.
간섭 방지부(142)는 입력축(58)을 수납하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된 부분이다.
이로써, 벨트 전환 수단(63)의 연결 핀(106)이 중심선(128)의 좌측에 위치할 때에 연결 부재(141)가 입력축(58)과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변형예를 통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2 변형예는, 제1 실시예의 연결 아암(107) 대신에 연결 부재(145)가 사용되고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와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연결 부재(145)의 외부 형상은 실질적으로 장방형이고, 입력축(58)과의 간섭 을 방지하기 위한 간섭 방지부(146)가 연결 부재(145)의 중심에 형성되어 있다.
간섭 방지부(146)는 입력축(58)을 수납하도록 형성된 개구부이다.
구체적으로, 간섭 방지부(146)는, 벨트 전환 수단(63)의 연결 핀(106)이 중심선(128)의 좌측에 위치한 때의 각 상태에서 연결 부재(145)가 입력축(58)과 간섭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제2 변형예를 통하여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으로 도 21 내지 도 23을 기초로 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0)를 설명한다.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의 부재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재에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1은 제2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도시한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0)는 도 1에 도시된 엔진(19)으로부터 입력축(58)으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어, 입력축(58)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시킨다.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0)는 주행 클러치(18)에 연결된 기어 유닛(151; 기어 기구); 기어 유닛(151)에 연결된 풀리 유닛(152); 풀리 유닛(152)의 연결을 전환하기 위한 벨트 전환 수단(도시 생략)을 구비한다.
벨트 전환 수단은 제1 실시예의 벨트 전환 수단(63)과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기어 유닛(151)은 회전축으로서의 구동축(65)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된 회전 케이스(154; 회전체); 구동축(65)에 설치된 구동 기어(155); 구동 기어(155)와 맞물리는 정회전축(156; 제1 타축)에 설치된 정회전 종동 기어(157); 정회전 종동 기어(157)와 맞물리는 역회전축(158; 제2 타축)에 설치된 역회전 종동 기어(159)를 구비한다.
회전 케이스(154)는 구동 기어(155), 정회전 종동 기어(157) 및 역회전 종동 기어(159)를 수납하는 케이스 본체(161); 케이스 본체(91)의 개구부(162)를 막는 케이스 커버(163; 도 22의 B 참조)를 또한 구비한다.
케이스 커버(163)는 케이스 본체(161)의 개구 에지부(164)에 볼트 고정되어 있다.
도 21에 있어서, 기어 유닛(151)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케이스 커버(163)는 제거되어 있다.
풀리 유닛(152)은 정회전 종동 기어(157)를 지지하는 정회전축(156); 정회전축(156)에 설치된 정회전 구동 풀리(166); 역회전 종동 기어(159)를 지지하는 역회전축(158); 역회전축(158)에 설치된 역회전 구동 풀리(167); 입력축(58)에 설치된 정회전 종동 풀리(171) 및 역회전 종동 풀리(172); 정회전 구동 풀리(166)와 정회전 종동 풀리(167) 사이에서 연장하는 정회전 구동 벨트(174); 역회전 구동 풀리(167)와 역회전 종동 풀리(172) 사이에서 연장하는 역회전 구동 벨트(175)를 구비한다.
풀리 유닛(152)은, 정회전 구동 벨트(174)가 인장 상태로 있을 때에 정회전 구동 풀리(166)의 회전을 정회전 구동 벨트(174)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171)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정회전 구동 벨트(174)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상태에서, 정회전 구동 풀리(166)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정회전 구동 풀리(166)의 회전은 정회전 구동 벨트(174)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171)에 전달되지 않는다.
또한, 풀리 유닛(152)은, 역회전 구동 벨트(175)가 인장 상태로 있을 때에, 역회전 구동 풀리(167)의 회전을 역회전 구동 벨트(175)를 통하여 역회전 종동 풀리(172)에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역회전 구동 벨트(175)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면, 역회전 구동 풀리(167)는 아이들 상태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역회전 구동 풀리(1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175)를 통하여 역회전 종동 풀리(172)에 전달되지 않는다.
도 22의 A 및 도 22b는 제2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22의 A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엔진(19)을 구동하면, 구동축(65)은 화살표 X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구동 기어(155)는 구동축(65)과 함께 화살표 X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정회전 종동 기어(157)는 구동 기어(155)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X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역회전 종동 기어(159)는 정회전 종동 기어(157)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Z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도 22b에 도시된 풀리 유닛(152)에 있어서, 정회전 구동 벨트(174)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역회전 구동 벨트(175)는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정회전 종동 기어(157)의 회전은 정회전축(156)을 통하여 정회전 구동 풀리(166)에 전달된다. 정회전 구동 풀리(166)는 화살표 Y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정회전 구동 풀리(166)의 회전은 정회전 구동 벨트(174)를 통하여 정회전 종동 풀리(171)에 전달된다. 정회전 종동 풀리(171)는 화살표 Y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은 화살표로 지시된 바와 같이 정회전 종동 풀리(171)와 일체로 회전하고, 이로써 입력축(58)의 회전은 도 21에 도시된 파이널 구동 기구(32)를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에 전달된다. 이로써, 보행형 제설기(10)는 전진 주행할 수 있게 된다.
역회전 종동 기어(159; 도 22의 A)의 회전은 역회전축(158)을 통하여 역회전 구동 풀리(167)에 전달된다.
역회전 구동 벨트(175)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역회전 구동 풀리(167)는 화살표 Z로 지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도 23의 A 및 도 23b는 제2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한다.
도 23의 A에 있어서, 도 1에 도시된 엔진(19)을 구동하면, 구동축(65)은 화살표 X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하고, 구동 기어(155)는 구동축(65)과 함께 화살표 X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정회전 종동 기어(157)는 구동 기어(155)의 회전에 의해 화살표 Y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역회전 종동 기어(159)는 정회전 종동 기어(157)의 회전에 의하여 화살표 Z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도 23b에 있어서, 역회전 구동 벨트(175)는 인장 상태로 유지되어 있고, 정회전 구동 벨트(174)는 이완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역회전 종동 기어(159; 도 23의 A)의 회전은 역회전축(158)을 통하여 역회전 구동 풀리(167)에 전달된다. 역회전 구동 풀리(167)는 화살표 Z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역회전 구동 풀리(167)의 회전은 역회전 구동 벨트(175)를 통하여 역회전 종동 풀리(172)에 전달된다.
역회전 종동 풀리(172)는 화살표 Z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회전한다.
입력축(58)은 화살표 Z1으로 지시된 바와 같이 역회전 종동 풀리(172)와 일체로 회전하며, 이로써 입력축(58)의 회전은 도 21에 도시된 파이널 구동 기구(32)를 통하여 좌우의 크롤러 주행 유닛(12, 13)에 전달된다. 이로써 보행형 제설기(10)는 후진 주행하게 될 수 있다.
정회전 종동 기어(157; 도 23의 A)의 회전은 정회전축(156)을 통하여 정회전 구동 풀리(166)에 전달된다.
정회전 구동 벨트(174)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기 때문에, 정회전 구동 풀리(166)는 화살표 Y로 지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 상태로 회전한다.
엔진(19)이 비교적 고속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엔진(19)의 회전은 기어 기구 등에 의해 소정의 속도로 감속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2 실시예에 있어서는, 정회전축(156)에 정회전 구동 풀리(166)가 설치되고, 역회전축(158)에 역회전 구동 풀리(167)가 설치된다.
정회전 구동 풀리(166) 및 역회전 구동 풀리(167)를 소정의 속도로 감속시키도록, 정회전 구동 풀리(166)에 설치된 정회전 종동 기어(157)의 직경 또는 역회전 구동 풀리(167)에 설치된 역회전 종동 기어(159)의 직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로써, 정회전 구동 풀리(166)와 역회전 구동 풀리(167)는, 정회전 종동 기어(157)와 역회전 종동 기어(159)가 서로 맞물려 있을 때에 상호 간섭을 방지하도록 분리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정회전 종동 기어(157)와 역회전 종동 기어(159)는 서로 맞물리며, 이로써 정회전 종동 기어(157)는 역회전 종동 기어(159)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아이들러 기어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기어 유닛(151)에 구비된 기어의 개수를 1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0)를 통해서도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에 있어서,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 150)를 보행형 제설기(10)에 적용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보행형의 잔디깍기 기계, 경운기, 또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필요한 기타 작업기(utility vehicle)에 적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정방향과 역방향으로 전환시키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구비하는 작업기, 기구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구비한 보행형 제설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선 4-4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선 5-5를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에 도시된 벨트 전환 수단이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풀리 유닛이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의 평면도이고,
도 8은 도 3에 도시된 기어 유닛이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의 평면도이고,
도 9는 도 3에 도시된 벨트 전환 수단이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풀리 유닛이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의 평면도이고,
도 11은 도 3에 도시된 기어 유닛이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의 평면도이고,
도 12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전진 주행 상태 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3의 A 및 B는 보행형 제설기가 전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4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후진 진행 상태로 전환시키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5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6의 A 및 B는 보행형 제설기가 후진 주행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7의 A 및 B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8은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전환되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19는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 방향 전환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2의 A 및 B는 도 21에 도시된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고,
도 23의 A 및 B는 도 21에 도시된 회전 방향 전환 장치가 후진 주행 상태로 유지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Claims (6)

  1. 동력원(19)으로부터 구동축(58)으로의 동력 전달 경로에 배치되어, 구동축의 회전 방향을 정회전과 역회전으로 전환시키는 데 사용되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15; 150)에 있어서,
    상기 구동원의 출력축(33)에 연결된 정회전 구동 풀리(66; 166; drive pulley) 및 역회전 구동 풀리(67; 167);
    상기 구동축에 연결된 정회전 종동 풀리(74; 171; driven pulley) 및 역회전 종동 풀리(75; 172);
    상기 정회전 구동 풀리 및 정회전 종동 풀리의 둘레에 걸려 있는 정회전 구동 벨트(77, 174);
    상기 역회전 구동 풀리 및 역회전 종동 풀리의 둘레에 걸려 있는 역회전 구동 벨트(78, 175);
    상기 정회전 구동 벨트와 역회전 구동 벨트 중 하나의 구동 벨트를 인장 상태로 전환하고, 다른 구동 벨트를 이완 상태(relaxed state)로 전환하는 벨트 전환 수단(63);
    상기 정회전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전환된 때에 구동축을 정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역회전 구동 벨트가 인장 상태로 전환된 때에 구동축을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기어 기구(62, 151)를 포함하는 회전 방향 전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그룹으로서의 상기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66, 67; 166, 167)와 그룹으로서의 정회전 및 역회전 종동 풀리(74, 75; 171, 172) 중 하나가 단일 축(65, 58; single shaft)에 설치되고, 두 그룹 중 다른 하나가 제1 또는 제2 축(71, 72; 156 158)에 설치되며, 제1 및 제2 축은, 그 제1 및 제2 축 중 하나가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되고 제1 및 제2 축 중 다른 하나가 단일 축에 접근하도록, 회전할 수 있는 회전체(rotary body; 81)에 설치되고, 상기 하나의 축을 단일 축으로부터 분리함으로써, 하나의 축의 풀리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77, 78; 174, 175)가 인장 상태로 유지되고, 다른 축을 단일 축에 근접시킴으로써, 다른 축의 풀리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77, 78; 174, 175)가 이완 상태로 유지되는 것인 회전 방향 전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전환 수단(63)은, 하나의 축(71, 72, 156, 158)의 풀리(74, 75, 171, 172)에 걸려 있는 구동 벨트(77, 78, 174, 175)를 인장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스프링(108)을 구비하는 것인 회전 방향 전환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 전환 수단(63)의 스프링(108)은 연결 부재(107, 141, 145)를 통해 회전체(81)에 연결되고, 연결 부재는 회전체의 회전 중심으로서 작용하는 회전축(58)과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형성된 간섭 방지부(118, 142, 146)를 구비하는 것인 회전 방향 전환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축(65)에 설치된 풀리는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66, 67)인 것인 회전 방향 전환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축(156, 158)에 설치된 풀리는 정회전 및 역회전 구동 풀리(166, 167)인 것인 회전 방향 전환 장치.
KR1020070121733A 2006-11-27 2007-11-27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KR100959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318804 2006-11-27
JP2006318804A JP4356898B2 (ja) 2006-11-27 2006-11-27 回転方向切換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8006A true KR20080048006A (ko) 2008-05-30
KR100959845B1 KR100959845B1 (ko) 2010-05-27

Family

ID=390227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733A KR100959845B1 (ko) 2006-11-27 2007-11-27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8333673B2 (ko)
EP (1) EP1925850B1 (ko)
JP (1) JP4356898B2 (ko)
KR (1) KR100959845B1 (ko)
CN (1) CN101191553B (ko)
CA (1) CA2611038C (ko)
DE (1) DE602007002141D1 (ko)
ES (1) ES2330267T3 (ko)
TW (1) TWI3461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0956A1 (en) * 2008-05-23 2010-08-19 Hanbyul Medi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radial arterial pulses for noninvasive and continuous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nd arterial elasticity
KR102244205B1 (ko) * 2020-11-19 2021-04-23 김영동 소형 농기계 동력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5753A1 (de) 2009-01-23 2010-07-29 Daimler Ag Hydraulische Steuerung für ein automatisiertes Getriebe
CN102114283B (zh) * 2009-12-31 2013-04-17 北京谊安医疗系统股份有限公司 带轮锁紧调整装置
JP6065309B2 (ja) * 2012-09-27 2017-01-25 有限会社鷹岡工業所 正逆転切替えユニット及び該正逆転切替えユニットを備えた原動機及び該原動機を備えた作業機械
CN112314159A (zh) * 2013-09-27 2021-02-05 株式会社久保田 作业机和联合收割机
CN109723775B (zh) * 2019-01-14 2023-09-01 嘉兴科瑞迪医疗器械有限公司 一种同步带张紧和松脱结构
US11879526B2 (en) 2021-03-17 2024-01-23 Terry Gordon Wood Transmission with alternating rotary disks
KR102630130B1 (ko) 2023-02-27 2024-01-29 주식회사 넥스트앤코 농업용 관리기의 동력 전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24982A (en) * 1958-02-24 1960-02-16 Allis Chalmers Mfg Co Reversible belt drive
US3722277A (en) * 1971-05-11 1973-03-27 Hesston Corp Transmission having direction control
FR2140792A5 (ko) * 1971-06-08 1973-01-19 Bouyer Jean
US4046022A (en) 1976-06-09 1977-09-06 Dayco Corporation Belt drive system
JPS6141677A (ja) 1984-08-03 1986-02-28 Iseki & Co Ltd サイドクラツチ式走行装置
JPS61109947A (ja) 1984-10-31 1986-05-28 Honda Motor Co Ltd 変速操作装置
US4634403A (en) * 1985-11-18 1987-01-06 Tennant Company Belt drive
US4696661A (en) * 1986-12-22 1987-09-29 Weber Rehlander Forward-reverse belt transmission
JPH0774494B2 (ja) 1987-03-11 1995-08-09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小型除雪機
FR2667123A1 (fr) * 1990-09-21 1992-03-27 Staub Tracteurs Motocult Transmission a courroies debrayable, a traitement dans les deux sens de rotation.
AP394A (en) * 1992-03-30 1995-08-07 Reunert Mech Systems Limited Transmitting rotary power.
JP3509243B2 (ja) * 1994-12-28 2004-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動力伝達装置
KR0129767Y1 (ko) * 1996-01-17 1998-12-01 엄성섭 로더의 차륜 구동장치
JP2001021015A (ja) 1999-07-07 2001-01-26 Uinburu Yamaguchi:Kk ベルト駆動装置における変速機構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210956A1 (en) * 2008-05-23 2010-08-19 Hanbyul Medi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sensing radial arterial pulses for noninvasive and continuous measurement of blood pressure and arterial elasticity
KR102244205B1 (ko) * 2020-11-19 2021-04-23 김영동 소형 농기계 동력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330267T3 (es) 2009-12-07
EP1925850A2 (en) 2008-05-28
KR100959845B1 (ko) 2010-05-27
US20080125254A1 (en) 2008-05-29
DE602007002141D1 (de) 2009-10-08
TW200839126A (en) 2008-10-01
CA2611038C (en) 2012-01-10
EP1925850B1 (en) 2009-08-26
TWI346190B (en) 2011-08-01
CN101191553B (zh) 2010-06-09
CN101191553A (zh) 2008-06-04
US8333673B2 (en) 2012-12-18
EP1925850A3 (en) 2008-08-13
CA2611038A1 (en) 2008-05-27
JP4356898B2 (ja) 2009-11-04
JP2008133856A (ja) 2008-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9845B1 (ko) 구동축의 회전 방향 전환 장치
JP5033709B2 (ja) 動力伝達装置
JPH1095360A (ja) 走行ミッション装置の操舵機構
US8182380B2 (en) Power transmission device
US7434637B2 (en) Working-machine steering apparatus
FR2513718A1 (fr) Appareil d'inversion marche avant - marche arriere pour vehicule de travail
JPH0642599A (ja) 駆動力の伝達方法及びその装置
US4369851A (en) Transmission system
JP4362196B2 (ja) クローラトラクタ
JP2000142496A (ja) 作業機の操作部
JP2010195096A (ja) 乗用管理機の伝動装置
JP4933342B2 (ja) 移動農機
JP4157402B2 (ja) 除雪機
KR20010054488A (ko) 동력 손수레
JP2007118908A (ja) 小型クローラ式トラクタ
JPH0725270A (ja) 走行伝動装置の変速操作装置
JP2004278649A (ja) 走行型農作業機における走行変速操作装置
JPH064670Y2 (ja) 作業車輌
JP3098154B2 (ja) 乗用移動農機におけるミッションケース
JP2881802B2 (ja) 農作業機
KR20020025968A (ko) 산업용 동력 전달장치
JP2000310327A (ja) 作業車
JP2000153773A (ja) 作業車
JPH0228025A (ja) トラクタ等の変速操作装置
JPH07195953A (ja) Pto逆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