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7405A -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7405A
KR20080047405A KR1020087006766A KR20087006766A KR20080047405A KR 20080047405 A KR20080047405 A KR 20080047405A KR 1020087006766 A KR1020087006766 A KR 1020087006766A KR 20087006766 A KR20087006766 A KR 20087006766A KR 20080047405 A KR20080047405 A KR 200800474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ar
floor
passenger
travel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90547B1 (ko
Inventor
스스무 사쿠라이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74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74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5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5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66B1/14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 B66B1/18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with devices, e.g. push-buttons, for indirect control of movements with means for storing pulses controlling the movements of several cars or c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66B1/2458For elevator systems with multiple shafts and a single car per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24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 B66B1/2408Control systems with regulation, i.e. with retroactive action, for influencing travelling speed, acceleration, or deceleration where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is of importance, i.e. by means of a supervisory or group controll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8Call register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10Details with respect to the type of call input
    • B66B2201/103Destination call input before entering the elevator c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11Waiting time, i.e. response ti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20Details of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allocation of a call to an elevator car
    • B66B2201/231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 B66B2201/232Sequential evaluation of plurality of criteria where the time needed for a passenger to arrive at the allocated elevator car from where the call is made is taken into accou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15Wherein the destination is registered before boar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3Wherein the call is registered through physical contact with the elevator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61Call registering systems for priority u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201/00Aspects of control systems of elevators
    • B66B2201/40Details of the change of control mode
    • B66B2201/46Switches or switchgear
    • B66B2201/4607Call registering systems
    • B66B2201/4676Call registering systems for checking authorization of the passengers

Abstract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제어한다. 각 엘리베이터 장치는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층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갖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승강장층에서 조작 가능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조작된 승강장층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하고, 각 엘리베이터 칸의 어느 하나를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하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 각 엘리베이터 장치 및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선정 엘리베이터로서 선정하는 응답 선정부, 응답 선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선정 출입구로 하고, 선정 출입구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및 선정 엘리베이터 및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CONTROL SYSTEM FOR ELEVATOR}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운행 관리를 행하는 엘리베이터용 그룹 제어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그룹 제어 장치가 마련된 건물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에 각각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출입구가 동일 층(floor)에 마련된다. 또, 해당 층에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때문에 승객에 의해 조작되는 호출 등록 지시 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호출 등록 지시 장치가 조작되었을 때에는 해당 층으로 이동되는 엘리베이터 칸의 할당이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칸의 할당은 각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층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과,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승객이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층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이,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승객이 도달하는데 필요한 시간보다 짧은 경우에는 해당 엘리베이터 출입구는 할당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된다. 이것에 의해, 승객이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도달한 후에 도착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할 수 있고,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를 놓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제3040524호
그러나,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그룹 제어 장치에서는 승객이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도달할 때까지의 시간보다 빨리 도착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이 할당의 대상으로부터 제외되므로, 예를 들어 한대의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층에 정지되어 있고, 나머지의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층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위치에 존재하고, 해당 층에 도달하는데 장시간을 요하는 경우에도, 멀리 위치하는 엘리베이터 칸을 할당하게 된다. 그 결과, 승객은 엘리베이터 칸이 해당 층에 도착하기 전에, 엘리베이터 출입구에 도달할 수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이 도착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출입구 앞에서 장시간 기다려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객의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은 공통의 승강장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승강장층에 정지된 엘리베이터 칸과 승강장층 사이의 승하차를 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승강장층에서 조작 가능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조작된 승강장층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하고, 각 엘리베이터 칸의 어느 하나를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하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 각 엘리베이터 장치 및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선정 엘리베이터로서 선정하는 응답 선정부; 응답 선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선정 출입구로 하고, 승객이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선정 출입구까지의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 소요되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및 선정 엘리베이터 및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어 시스템 본체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실시 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건물에는 복수(이 예에서는 3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 ~ 3)가 마련되어 있다. 또, 건물에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를 이용 가능한 복수의 승강장층(4)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는 각 승강장층(4)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5)과, 각 승강장층(4)에 마련되어 엘리베이터 칸(5)과 승강장층(4) 사이의 승하차를 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6)를 갖고 있다.
각 승강장층(4)에는 엘리베이터 홀(7)이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홀(7)에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각각의 엘리베이터 출입구(6)가 수평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는 엘리베이터 출입구(6)를 개폐하기 위한 한 쌍의 엘리베이터 문(8)이 마련되어 있다.
각 승강장층(4)에는 다음 회의 문 열림이 예정되어 있는 엘리베이터 출입구(6)를 엘리베이터 홀(7)에 알리는 동시에, 엘리베이터 칸(5)이 도착하였음을 엘리베이터 홀(7)에 알리기 위한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홀 랜턴(hall lantern; 9)이 마련되어 있다. 각 홀 랜턴(9)은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의 근방에 하나씩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문 열림이 예정된 엘리베이터 출입구(6)의 알림은 홀 랜턴(9)이 점등하는 것에 의해 행해지고, 엘리베이터 칸(5)의 도착 알림은 홀 랜턴(9)이 점멸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또, 각 승강장층(4)에는 승강장층(4)에서 조작 가능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마련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는 엘리베이터 홀(7)내로의 출입을 위한 홀 출입구에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에는 승객의 조작에 의해 목적층을 선택하기 위한 목적층 선택기(11)와, 승객이 선택한 목적층의 표시를 행하기 위한 표시기(12)가 마련되어 있다. 목적층 선택기는 정상인이 목적층을 선택하기 위한 일반용 선택기와, 일반용 선택기의 아랫쪽에 배치되고, 예를 들어 휠체어 사용자 등의 신체 장애자가 목적층을 선택하기 위한 신체 장애자용 선택기를 갖고 있다. 일반용 선택기 및 신체 장애자용 선택기에는 복수의 목적층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의 엘리베이터 칸(5)내에는 엘리베이터 칸(5)내에서 조작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등록 장치(13)가 마련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등록 장치(13)에는 승객의 조작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5)의 행선지층을 선택하기 위한 행선지층 선택기와, 엘리베이터 칸(5)의 현재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 시기가 마련되어 있다(어느 것도 도시하지 않음). 행선지층 선택기에는 복수의 행선지층 버튼이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 및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의 운전을 통괄하여 제어하는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전송된다. 제어 시스템 본체(14)는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 및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의 운전을 제어한다.
제어 시스템 본체(14)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를 하나의 그룹으로서 운전 관리하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5)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5)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각각의 운전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복수(이 예에서는 3개)의 각 대(臺) 제어 장치(16)를 갖고 있다.
도 2는 도 1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제어 시스템 본체(14)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 응답 선정부(19), 데이터베이스(기억부)(20),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 및 개폐 제어부(22)를 갖고 있다.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는 각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조작된 승강장층(4)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하고,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5)의 어느 하나를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자동으로 행한다.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는 각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등록 장치(13)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등록 장치(13)의 조작에 의해 선택된 행선지층에 해당 엘리베이터 칸(5)을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자동으로 행한다.
응답 선정부(19)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 및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서 행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를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중에서 선정 엘리베이터로서 선정한다. 즉, 응답 선정부(19)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에 대하여, 엘리베이터 칸(5)이 도착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있어서 대기 시간을 평가치(評價値)로서 산출하고(평가치 연산을 행하고), 평가치가 가장 좋은 엘리베이터 장치를 선정 엘리베이터로서 선정한다. 즉, 응답 선정부(19)는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에 대한 평가치 연산을 행하는 것에 의해, 선정 엘리베이터의 선정을 행한다. 선정 엘리베이터의 선정은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의 엘리베이터 칸(5)의 위치나 속도, 엘리베이터 칸(5)이 만원인지의 유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엘리베이터 칸(5)의 정지수 등의 정보에 기초하여 행해진다. 이 예에서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5)에 의해 선정 엘리베이터의 선정이 행해진다.
데이터베이스(20)에는 승객이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로부터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까지의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 소요되는 각각의 시간(승객 이동 시간)이 미리 격납되어 있다.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응답 선정부(19) 및 데이터베이스(20)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마련된 엘리베이터 출입구(6)를 선정 출입구로 하고, 승객이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로부터 선정 출입구까지의 사이를 이동하는데 소요되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승객 이동 시간의 산출은 선정 출입구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출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개폐 제어부(22)는 선정 엘리베이터로부터의 운전 정보 및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즉, 개폐 제어부(22)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나서,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산출된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하여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는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상태를 계속하고,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 후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는 미리 설정된 통상 문 열림 시간만큼 문 열림 상태를 유지하는 통상의 개폐 동작을 행한다.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은 그룹 관리 제어 장치(15)로부터의 개폐 지령에 기초하여, 각 대 제어 장치(16)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시스템 본체(14)는 연산 처리부(CPU), 기억부(ROM 및 RAM 등) 및 신호 입출력부를 가진 컴퓨터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 응답 선정부(19), 데이터베이스(20),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 및 개폐 제어부(22)의 기능은 제어 시스템 본체(14)의 컴퓨터에 의해 실현된다.
즉, 컴퓨터의 기억부에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 응답 선정부(19),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 및 개폐 제어부(22)의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되어 있다. 또, 승객 이동 시간이나 통상의 문 열림 시간 등의 정보도 기억부에 격납된다. 연산 처리부는 기억부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기초하여, 제어 시스템 본체(14)의 기능에 관한 연산 처리를 실행한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도 2의 제어 시스템 본체(14)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조작되면(S1), 해당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마련된 승강장층(4)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해 행해진다(S2).
이 후,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의 운전 정보,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해 등록된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정보, 및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해 등록된 행선지층의 정보에 기초하여,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에 대한 평가치 연산이 응답 선정부(19)에 의해 행해진다. 그 결과,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응답하는 엘리베이터 장치가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 중에서 선정 엘리베이터로서 선정된다(S3). 이 후, 응답 선정부(19)로부터의 정보에 의해, 선정 엘리베이터의 표시가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의 표시기(12)에서 행해진다(S4).
이 후,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로부터 선정 출입구(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출입구(6))까지의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산출된다. 승객 이동 시간의 산출은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응시켜서 데이터베이스(20)에 미리 격납되어 있는 승객 이동 시간 중에서, 선택 출입구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독취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S5).
이 후, 선정 엘리베이터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했는지의 여부가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판정된다(S6). 엘리베이터 칸(5)이 도착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5)의 도착 유무가 판정된다.
이 후,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행해진다(S7).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완료한 후,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후의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산출된 승객 이동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S8).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전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상태는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된다(S9).
승객 이동 시간을 경과하고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통상의 문 열림 시간의 경과 후, 문 닫힘 동작이 행해져서 처리가 종료된다(S10).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로부터 선정 출입구까지의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22)를 갖고 있으므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로부터 엘리베이터 출입구(6)까지의 거리가 길고, 승객의 이동에 장시간을 요하는 경우에도, 승객이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도달하기까지 엘리베이터 출입구(6)가 문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선정 엘리베이터의 선정은 모든 엘리베이터 장치(1 ~ 3)가 대상으로 되고, 일부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선정으로부터 제외하는 일은 없으므로, 선정 엘리베이터의 선정을 양호한 효율로 행할 수 있고,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조작되고 나서,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할 때까지의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승객의 대기 시간의 단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폐 제어부(22)는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조작되고 나서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는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상태를 계속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를 놓치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데이터베이스(20)에 격납된 승객 이동 시간이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해 하나씩으로 되어 있으나,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하여 일반용 및 신체 장애자용 각각의 승객 이동 시간을 따로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한 승객 이동 시간의 산출은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일반용 선택기의 조작에 의해 행해졌을 때에는 일반용의 승객 이동 시간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하고,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신체 장애자용 선택기의 조작에 의해 행해졌을 때에는 신체 장애자용의 승객 이동 시간을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하는 것에 의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면, 승객이 신체 장애자이어도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한 직후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개시되도록 되어 있으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한 후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을 즉시 행하지는 않고,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를 계속하고,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했을 때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을 행하도록 해도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했는지의 여부 판정(S6)까지의 처리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양(同樣)이다.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하고 있지 않다는 판정이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행해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5)이 도착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5)의 도착 유무가 판정된다.
이 후,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진 후의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을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판정된다(S11).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전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가 계속된다(S12). 이 후, 승강장 이동 시간이 경과하고 있는지의 여부가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재차 판정되고(S8),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상기의 동작이 반복된다. 이것에 의해,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는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된다.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행해진다(S13). 문 열림 동작이 완료한 후, 통상의 문 열림 시간의 경과시에 문 닫힘 동작이 행해져(S14), 처리가 종료된다. 다른 구성 및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나서,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사이에,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했을 때에는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가 계속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를 조작한 승객과 다른 이용자가 잘못하여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에 승차하는 것의 방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는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되도록 되어 있으나, 문 열림 동작의 개시 시기가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동작 개시 시각까지 계속하도록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승객 이동 시간보다도 소정의 시간만큼 짧은 시간의 경과시를 동작 개시 시각으로 하면, 승객이 선정 출입구에 도달하기 직전에 선정 출입구를 문 열림시킬 수 있고,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객의 승차를 원활히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각 엘리베이터 장치(1 ~ 3)의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 형태 3.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3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로부터의 정보는 응답 선정부(19)뿐만 아니라, 개폐 제어부(22)에도 전송되도록 되어 있다. 개폐 제어부(22)는 선정 엘리베이터,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 및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한다.
즉, 개폐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있을 때는 승객 이동 시간과 관계없는 통상의 개폐 동작을 선정 출입구에 대해 행한다. 또, 개폐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없을 때이며, 또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나서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했을 때에 승객 이동 시간에 근거하는 개폐 동작을 선정 출입구에 대해 행한다.
승객 이동 시간에 기초하는 개폐 동작은 상기의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동작으로 된다. 즉,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동작 개시 시각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가 계속되고, 동작 개시 시각의 경과 후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개시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2와 동양이다.
도 6은 도 5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처리 동작이 개시되고 나서,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산출될 때까지(S1 ~ S5)의 동작은 실시 형태 2와 동양이다.
승객 이동 시간이 산출된 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하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5)의 감속이 개시되었는지(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의 정지 결정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판정된다(S21). 엘리베이터 칸(5) 감속의 개시가 행해져 있지 않다고 하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5)의 감속이 개시될 때까지, 엘리베이터 칸(5) 감속의 개시 유무의 판정이 반복하여 행해진다.
엘리베이터 칸(5)의 감속이 개시되었다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엘리베이 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져 있는지의 여부가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판정된다(S22).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있다고 하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개폐 제어부(22)의 제어에 의해 선정 출입구가 통상의 개폐 동작을 행하고(S13, S14), 처리가 종료된다.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있지 않다고 하는 판정이 행해진 경우에는 개폐 제어부(22)에 의해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내에는 승객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된다. 이 후, 선정 엘리베이터의 운전 정보에 기초하여,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도착했는지의 여부가 제어 시스템 본체(14)에 의해 판정된다(S6).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2와 동양이다.
이와 같이, 개폐 제어부(22)는 엘리베이터 칸내 호출 자동 등록부(18)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없는 때이며, 또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10)가 조작되고 나서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 칸(5)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했을 때에,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동작 개시 시각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를 계속하고, 동작 개시 시각의 경과후에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을 개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내에 승객이 존재하지 않을 때에만,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의 개시를 늦추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선정 엘리베이터의 엘리베이터 칸(5)내에 승객이 존재할 때의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의 지연을 방지할 수 있고, 엘 리베이터의 운행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승객 이동 시간에 기초하는 개폐 동작은 실시 형태 2와 동일한 개폐 동작으로 되어 있으나,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시까지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상태를 계속하는 실시 형태 1과 동양인 개폐 동작으로 해도 된다.
실시 형태 4.
또, 상기의 예에서는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정도에 따라서 달라지는 일은 없으나,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정도에 의해 승객 이동 시간을 다르도록 해도 된다.
즉, 데이터베이스(20)에는 각 승강장층(4)이 승객으로 혼잡한 혼잡 시간대 및 각 승강장층(4)의 혼잡이 진정되는 한산(閑散) 시간대 각각의 정보를 포함하는 시간대 정보와, 혼잡 시간대 및 한산 시간대의 각각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의 정보를 포함한 승객 이동 시간 정보가 격납되어 있다.
승객 이동 시간 정보로 포함되는 승객 이동 시간은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응시켜서 설정되어 있다.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시의 정보에 기초하여, 혼잡 시간대 및 한산 시간대의 어느 한쪽의 승객 이동 시간을 선택하고, 선택한 승객 이동 시간 중, 선정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독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선택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4에서의 처리 동작은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을 제외하고, 실시 형태 1에서의 처리 동작과 동양이므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4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졌을 때의 시각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검출된 후(S31), 시간대 정보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된다(S32).
이 후,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해 검출된 시각과 시간대 정보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비교된다. 이것에 의해,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시각이 혼잡 시간대에 있는지의 여부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판정된다(S33).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시각이 혼잡 시간대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혼잡 시간대 및 선정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된다(S34). 이와 같이 하여, 선정 출입구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산출된다.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시각이 혼잡 시간대에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한산 시간대 및 선정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된다(S35). 이와 같이 하여, 선정 출 입구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산출된다. 이 후의 동작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혼잡 시간대 및 한산 시간대의 각각에 대한 승객 이동 시간을 데이터베이스(20)에 미리 설정해 두고,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시각이 어느 시간대에 속하는가를 판정하는 것에 의해, 승객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정도에 대응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간편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있어서 승객 이동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고,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 지연의 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5.
또, 상기의 예에서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서의 혼잡 정도가 시간대에 의해 판정되도록 되어 있으나,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에 의해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서의 혼잡 정도를 판정하도록 해도 된다.
즉, 실시 형태 5에서는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단위 시간 당(예를 들어, 1분당)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를 검출하고, 검출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유무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가 미리 설정된 기준 횟수보다도 많을 때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이 혼잡하고 있다 고 판정하고, 기준 횟수 이하일 때에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이 진정되었다고 판정하도록 되어 있다.
또, 데이터베이스(20)에는 혼잡하고 있을 때의 승객 이동 시간과 혼잡이 진정되었을 때의 승객 이동 시간이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응시켜서 미리 격납되어 있다.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유무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혼잡하고 있을 때 및 혼잡이 진정되었을 때의 어느 하나의 승객 이동 시간을 선택하고, 선택한 승객 이동 시간 중, 선정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독취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선택 엘리베이터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다음에,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실시 형태 5에서의 처리 동작은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을 제외하여 실시 형태 1에서의 처리 동작과 동양이므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5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할 때의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객 이동 시간이 산출될 때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단위 시간당의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검출된다(S41). 이 후, 검출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 많은가의 여부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판정된다(S42).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가 기준 횟수보다도 많은 경우에는 엘리베이 터 칸 호출층이 혼잡한 것으로 되고, 혼잡한 때의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된다(S43).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가 기준 횟수 이하인 경우에는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이 진정된 것으로 되고, 혼잡이 진정되어 있을 때의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된다(S44).
이와 같이 하여, 선택 출입구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산출된 후, 실시 형태 1과 동양으로 하여 처리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가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의 횟수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유무를 판정하고,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단체 승객이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는 경우 등과 같이, 승객수가 일시적으로 증가하는 경우에도, 간편한 구성으로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있어서 승객 이동 시간을 보다 확실하게 산출할 수 있고,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 지연의 방지를 더욱 도모할 수 있다.
실시 형태 6.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6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 도 10은 도 9의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승강장층(4)에는 예를 들어 접촉형 자기 카드나 비접촉형 IC 카드, 비접촉 태그 기기 등에 기억된 승객의 개인 정보를 취득할 수 있고, 취득한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인증을 행하기 위한 인증 장치(31)가 승강장 호 출 등록 장치로서 설치되어 있다.
엘리베이터 홀(7)의 홀 출입구에는 개인 정보가 인증 장치(31)에 의해 인증되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홀(7)내로의 입실을 허가하는 시큐리티 게이트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홀 출입구에는 통상 시정(施錠)되어 있고 인증 장치(31)에 의한 인증에 의해 일시적으로 해정(解錠)되는 문을 마련해도 된다. 또, 인증 장치(31)에 의한 인증시만에 홀 출입구를 자동으로 개방하는 문을 홀 출입구에 마련해도 된다.
제어 시스템 본체(14)는 인증 장치(31)에 의해 취득된 개인 정보를 해석하는 인증 정보 독취 장치(32)를 추가로 갖고 있다. 개인 정보에는 예를 들어 각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나 목적층,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 등의 상세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인증 정보 독취 장치(32)는 개인 정보의 해석에 의해, 상기의 상세 정보를 검출한다.
인증 정보 독취 장치(32)로부터의 정보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전송된다.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는 인증 장치(31)에 의해 승객을 인증했을 때에만,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한다.
또,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인증 정보 독취 장치(32)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장치(31)에 의해 인증된 개인 정보에 대응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즉,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인증 정보 독취 장치(32)에 의해 해석된 상세 정보 중에서 승객 이동 시간의 정보를 독취하는 것에 의해, 개인 정보에 대응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한다. 다른 구성은 실시 형태 1과 동양이다.
이와 같은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서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인증 장치(31)에 의해 승객이 인증되었을 때에만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부인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방지할 수 있고, 시큐리티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는 인증 장치(31)에 의해 인증된 개인 정보에 대응한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승객 이동 시간을 승객마다 치밀하게 설정할 수 있고, 승객의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 지연의 방지를 더욱 확실하게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예에서는 개인 정보 중에 승객 이동 시간의 정보가 포함되어 있으나, 예를 들어 성별이나 연령 등의 정보를 개인 정보에 포함시켜, 성별이나 연령 등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0)에 각각 격납해도 된다. 이 경우, 인증 장치(31)에 의해 인증된 개인 정보에 대응하는 승객 이동 시간이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의해 데이터베이스(20)로부터 독취된다.
또, 각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대의 엘리베이터 장치(1 ~ 3)를 포괄하여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본 발명이 적용되어 있으나, 단독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본 발명을 적용해도 된다. 이 경우, 제어 시스템 본체(14)는 그룹 관리 제어 장치(15)를 갖고 있지 않다. 또, 제어 시스템 본체(14)에서는 선정 엘리베이터의 선정을 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로부터의 정보가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21)에 직접 입력된다.
이와 같이 단독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17)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시부터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엘리베이터 출입구(6)의 문 열림 동작이 완료했을 때라도, 엘리베이터 출입구(6)의 문 열림 상태를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계속하도록 했으므로, 승객이 엘리베이터 출입구(6)에 도달하기까지 엘리베이터 출입구(6)가 문 닫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5)으로의 승차 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승객의 대기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는 동시에, 승객이 엘리베이터 칸으로의 승차를 놓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공통의 승강장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층에 정지된 상기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장층 사이의 승하차를 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각각 갖는 복수의 엘리베이터 장치의 운전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층에서 조작 가능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상기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조작된 상기 승강장층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하고, 각 상기 엘리베이터 칸의 어느 하나를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하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
    각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 및 상기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에 응답하는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를 선정 엘리베이터로서 선정하는 응답 선정부,
    상기 응답 선정부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정 엘리베이터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마련된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선정 출입구로 하고, 승객이 상기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상기 선정 출입구까지의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 걸리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및
    상기 선정 엘리베이터 및 상기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2. 승강장층에 정지 가능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층에 정지된 엘리베이터 칸과 상기 승강장층 사이의 승하차를 위한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갖는 단독의 엘리베이터 장치를 제어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으로서,
    상기 승강장층에 마련되고, 상기 승강장층에서 조작 가능한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
    상기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가 조작된 상기 승강장층을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으로 하고, 상기 엘리베이터 칸을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시키기 위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하는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의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마련된 상기 엘리베이터 출입구를 선정 출입구로 하고, 승객이 상기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로부터 상기 선정 출입구까지의 사이를 이동하기 위해서 걸리는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는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및
    상기 엘리베이터 장치 및 상기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 각각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선정 출입구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는 개폐 제어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는 상기 승객에 의한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의 혼잡 정도에 대응한 상기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나서, 상기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하여 상기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동작이 완료했을 때에는 상기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상기 선정 출입구의 문 열림 상태를 계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개폐 제어부는 상기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에 의한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이 행해지고 나서, 상기 승객 이동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이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층에 정지했을 때에는 상기 승객 이동 시간의 경과시를 기준으로 정해지는 동작 개시 시각까지, 상기 선정 출입구의 문 닫힘 상태를 계속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 호출 등록 장치는 상기 승객의 개인 정보를 취득 가능하고, 상기 개인 정보에 기초하여 개인 인증을 행하는 인증 장치이고,
    상기 승강장 호출 자동 등록부는 상기 개인 인증에 의해 상기 승객을 인증했을 때에, 상기 엘리베이터 칸 호출 등록을 행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승객 이동 시간 산출부는 상기 인증 장치에 의해 인증된 상기 승객의 상기 개인 정보에 대응한 상기 승객 이동 시간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20087006766A 2005-12-07 2005-12-07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09905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05/022462 WO2007066390A1 (ja) 2005-12-07 2005-12-07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7405A true KR20080047405A (ko) 2008-05-28
KR100990547B1 KR100990547B1 (ko) 2010-10-29

Family

ID=38122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6766A KR100990547B1 (ko) 2005-12-07 2005-12-07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7913820B2 (ko)
EP (1) EP1958908B1 (ko)
JP (1) JP5031371B2 (ko)
KR (1) KR100990547B1 (ko)
CN (1) CN101272976B (ko)
WO (1) WO200706639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0642B2 (en) 2010-06-29 2015-09-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3882B1 (ko) 2006-02-21 2010-08-0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1154804B1 (ko) * 2008-04-03 2012-06-18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장치
US20120145488A1 (en) * 2009-10-23 2012-06-1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operating apparatus
EP2508460A1 (en) * 2009-12-03 2012-10-10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system
WO2011077537A1 (ja) 2009-12-24 2011-06-30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
US20130048436A1 (en) * 2011-08-29 2013-02-28 Mark Kit Jiun Chan Automated elevator car call prompting
JP5403526B2 (ja) * 2012-01-13 2014-01-29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管理制御システム
JP5894842B2 (ja) * 2012-04-11 2016-03-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2013241230A (ja) * 2012-05-18 2013-12-05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および群管理制御方法
FI124131B (fi) * 2012-11-14 2014-03-31 Kone Corp Hissijärjestelmä
JP5684307B2 (ja) * 2013-03-08 2015-03-1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オートロック連動運転システム
CN104044968B (zh) * 2013-03-12 2016-01-27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电梯层站呼梯装置的设置控制方法
EP2779118A1 (en) * 2013-03-15 2014-09-17 Inventio AG Adaptive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EP2779117A1 (en) * 2013-03-15 2014-09-17 Inventio AG Access control for areas with multiple doors
JP5863206B2 (ja) * 2014-06-09 2016-02-16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群管理装置
JP6299468B2 (ja) * 2014-06-17 2018-03-28 三菱電機ビルテクノサービス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システム
JP6365178B2 (ja) * 2014-09-24 2018-08-01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
CN106315316A (zh) 2015-06-16 2017-01-11 奥的斯电梯公司 一种电梯系统及其控制方法
US11124388B2 (en) * 2015-07-30 2021-09-21 Inventio Ag Locking system for elevator car door
JP6381810B2 (ja) * 2015-08-10 2018-08-29 三菱電機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の報知タイミング制御方法
WO2017112659A1 (en) * 2015-12-22 2017-06-29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service request using user device
JP6627638B2 (ja) * 2016-04-28 2020-01-08 フジテック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群管理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システム
ES2906960T3 (es) * 2017-05-18 2022-04-21 Carrier Corp Sistema y procedimiento de llamada al ascensor
JP6517306B1 (ja) * 2017-11-15 2019-05-22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10950206B (zh) * 2018-09-26 2022-08-02 奥的斯电梯公司 乘客的移动检测系统、检测方法、呼梯控制方法、可读存储介质及电梯系统
CN109534112A (zh) * 2018-12-14 2019-03-29 江苏威尔曼科技有限公司 一种通过电梯外呼自动登录楼层信息系统
JP2020125196A (ja) * 2019-02-06 2020-08-20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運転制御システム
US20200354196A1 (en) * 2019-05-06 2020-11-12 Otis Elevator Company Self-tuning door timing parameters
CN110615329A (zh) * 2019-09-26 2019-12-27 马鞍山问鼎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远程数据连接的智能电梯系统
JP7171773B2 (ja) * 2021-01-04 2022-11-15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制御装置、エレベータ制御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82270U (ko) * 1978-11-29 1980-06-06
JPS5582270A (en) 1978-12-15 1980-06-20 Nippon Denso Co Refrigerating plant
EP0440967B1 (de) 1990-02-05 1994-03-16 Inventio Ag Gruppensteuerung für Aufzüge mit vom Rufeingabeort auf einem Stockwerk abhängiger Sofortzuteilung von Zielrufen
EP0452130A3 (en) * 1990-04-12 1992-01-22 Otis Elevator Company Controlling door dwell time
JPH04317968A (ja) * 1991-02-21 1992-11-09 Otis Elevator Co エレベータにおける乗り込み乗客の到着時刻算出方法
JPH04358682A (ja) * 1991-06-04 1992-12-11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制御装置
US5329076A (en) * 1992-07-24 1994-07-12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car dispatcher having artificially intelligent supervisor for crowds
JPH1121031A (ja) * 1997-07-02 1999-01-26 Hitachi Ltd エレベーターの群管理装置
JPH1171080A (ja) * 1997-08-29 1999-03-16 Toshiba Corp エレベータの制御装置
JPH11121031A (ja) 1997-10-17 1999-04-30 Mitsubishi Heavy Ind Ltd ベータアルミナ電解質構造体及び二次電池
JP2000016729A (ja) 1998-06-17 2000-01-18 Otis Elevator Co 群管理エレベーター
US6397976B1 (en) * 1999-10-04 2002-06-04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ic elevator destination call processing
JP2002220177A (ja) * 2001-01-24 2002-08-06 Mitsubishi Electric Corp エレベーター運転制御システム
FI112062B (fi) * 2002-03-05 2003-10-31 Kone Corp Menetelmä matkustajien allokoimiseksi hissiryhmässä
JP4226293B2 (ja) 2002-09-06 2009-02-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弾性クローラ
JP2004250191A (ja) * 2003-02-20 2004-09-0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の運転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の運転切替え方法
JP2005263362A (ja) 2004-03-16 2005-09-29 Toshiba Elevator Co Ltd エレベータ群管理システムの利用者乗車誘導装置
JP4358682B2 (ja) 2004-05-25 2009-11-04 日東電工株式会社 回路付サスペンション基板の導体パターンの導通検査方法
US7328775B2 (en) * 2004-09-27 2008-02-12 Otis Elevator Company Destination entry system with delayed elevator car assignment
WO2006101552A1 (en) * 2005-03-18 2006-09-28 Otis Elevator Company Elevator dispatcher
CN101102952A (zh) * 2005-11-01 2008-01-09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控制系统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0642B2 (en) 2010-06-29 2015-09-01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Elevator control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72976B (zh) 2011-02-16
KR100990547B1 (ko) 2010-10-29
EP1958908B1 (en) 2019-04-03
US20080196979A1 (en) 2008-08-21
JP5031371B2 (ja) 2012-09-19
CN101272976A (zh) 2008-09-24
EP1958908A1 (en) 2008-08-20
JPWO2007066390A1 (ja) 2009-05-14
WO2007066390A1 (ja) 2007-06-14
EP1958908A4 (en) 2013-01-09
US7913820B2 (en) 201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0547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0973882B1 (ko) 엘리베이터의 제어 시스템
KR101179343B1 (ko) 엘리베이터의 그룹 관리 제어장치
KR100367365B1 (ko) 엘리베이터의 관리제어장치
US7793762B2 (en) Destination entry passenger interface with multiple functions
US20120175195A1 (e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JP5992671B2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979795B2 (ja) エレベーター群管理システム
JP6416326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CN107539849B (zh) 电梯系统及群管理控制装置
JP5684307B2 (ja) エレベータのオートロック連動運転システム
JP2017001812A (ja) 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6068690B1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H0517083A (ja) エレベーターの制御装置
JP7280846B2 (ja) エレベーターシステム及びエレベーター制御方法
KR20070088519A (ko) 엘리베이터 그룹 관리 제어 장치
CN111891888B (zh) 自调谐门定时参数
JP2017001802A (ja) エレベータ制御装置およびエレベータ制御方法
JP2003012243A (ja) エレベーター制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