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5637A -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5637A
KR20080045637A KR1020070117851A KR20070117851A KR20080045637A KR 20080045637 A KR20080045637 A KR 20080045637A KR 1020070117851 A KR1020070117851 A KR 1020070117851A KR 20070117851 A KR20070117851 A KR 20070117851A KR 20080045637 A KR20080045637 A KR 20080045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ixel electrode
pixel
wiring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78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스히로 시모다이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3127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2010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7074277A external-priority patent/JP5092479B2/ja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45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5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 G02F1/167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optical or magneto-optical effect by electrophoresi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6Electrodes
    • G02F1/16766Electrodes for active matr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55Substrat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7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6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translational movement of particles in a fluid under the influence of an applied field
    • G02F1/1675Constructional details
    • G02F2001/1678Construction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particle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2RGB geometrical arrang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3/00Function characteristic
    • G02F2203/0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 G02F2203/055Function characteristic wavelength dependent wavelength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으로서,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제 1 화소 전극 및 제 2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화소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화소 구동 회로에 접속된 배선과, 상기 배선에 마련되어, 상기 회피부를 우회하도록 마련된 우회 배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은, 상기 회피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화소 전극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측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회 배선부는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ACTIVE-MATRIX CIRCUIT BOARD AND DISPLAY}
관련 출원의 기재
본원은, 2006년 11월 20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6-312788 호, 2007년 3월 15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066839 호, 및 2007년 3월 22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 2007-074277 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본 발명은, 구동 전극과 배선 패턴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과, 이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갖춘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 광학 장치로 이루어지는 각종의 표시 패널(디스플레이)의 보급에 따라, 시계나 여러 계기 등의 표시부에 관해서도, 상기 표시 패널을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이와 같이 시계나 여러 계기 등의 표시부로서 이용되는 표시 패널(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예컨대 시계에서 시각을 나타내거나, 계기에 있어서 눈금(수치)을 나타내거나 하기 위한 지침이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패널에 관통 구멍을 형성할 필요가 있다. 관통 구멍을 형성한 표시 패널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2001-75112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인 STN 액정을 전제로 한 액정 표시 패널이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시계 등에 이용되는 표시 패널(표시 장치)에 있어서도, 단순한 시각을 나타내는 숫자 등을 표시할 뿐만 아니라, 「날짜」나 「요일」 등의 달력 정보, 추가로 시계 등의 기기에 부속되는 각종의 기능(타이머 기능이나 스톱 워치 기능, 전파 수신 기능 등)에 관해서도 표시를 행하기 때문에, 패시브 매트릭스 구동이 아니라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으로 표시를 행하고 싶다는 요망이 있다.
그러나,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을 행하기 위해서는, 데이터선이나 스캔선 등의 배선을 종횡으로 배치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패널의 구성 부품으로 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에 드릴 등으로 관통 구멍을 형성하면, 그 뚫린 구멍 위치에 있는 데이터선이나 스캔선이 손상되어 버린다. 예컨대 이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이용한 표시 패널이 직사각형 화면인 경우, 관통 구멍을 포함한 십자 모양의 부위, 즉 설계상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배선에 접속하는 화소 전극에 의한 표시 부위에 있어서는, 표시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관통 구멍을 갖는 매트릭스 표시체에 있어서는, 설계상, 상기 관통 구멍을 통과하는 배선에 대하여, 해당 관통 구멍을 회피해야 하고, 해당 관통 구멍의 근방의 배선 부분을 우회시킬 필요가 있다.
또, 상기 일본 특허공개 2001-75112 호 공보에 있어서는, 아날로그 지시 계기와 병용하기 위해서, 표시부 내에 관통 구멍을 갖는 액정 표시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관통 구멍의 주변에 배선되는 X 전극 및 Y 전극에는, 관통 구멍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는 소정 곡율의 원호 형상 전극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관통 구멍의 주변 공간을 유효하게 이용하여 고밀도인 배선이 가능하고, 또한, 관통 구멍의 주변에 특이한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액정 표시 패널이 제공되어 있다. 그러나, 이 일본 특허 공개 2001-75112 호 공보에는, TFT 패널에 의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에 있어서는 하등 고려되어 있지 않고, 따라서 상기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으로 표시를 행하고 싶다는 요망에는 응할 수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액티브 매트릭스 방식의 고선명의 표시 장치에서는, 데이터선(신호선)이나 스캔선(주사선) 등의 배선을, 관통 구멍을 회피시키고 우회시킬 필요가 있지만, 관통 구멍을 우회시켜 배선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해당 배선의 형성 위치에 화소 전극을 구동시키기 위한 화소 구동 회로를 배치할 수가 없게 되어 버린다. 특히, 고해상도의 것으로 되면, 우회시키는 배선의 수가 매우 많아져 버려, 그만큼, 화소 구동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도, 보다 한정되어 버린다. 그 결과, 관통 구멍의 주변에서는 표시를 행할 수 없고, 따라서 전체의 표시 면적이 작아져 버린다.
이러한 문제점을 피하기 위해서, 세밀도를 낮게 하는 것으로 화소 구동 회로의 배치에 여유를 갖게 하여, 이들 화소 구동 회로 사이에 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이 공간에 배선을 통과시키는 것이 생각된다.
또한,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층수를 늘려, 서로 완충하지 않도록 다른 층에 배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관통 구멍의 근방에도 화소 구동 회로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확보하여, 이것에 의해서 표시용의 화소 전극을 관통 구멍의 근방에까지 마 련하는 것도 생각된다.
그러나, 세밀도를 낮게 하는 것은 표시 품질을 내리는 것으로 되고, 가령 관통 구멍 주변부에까지 표시 영역이 넓어져 큰 표시 면적이 확보되더라도, 제품으로서는 충분한 고급감을 얻을 수 없게 되어 버린다.
또한, 배선을 형성하기 위한 층수를 늘리면, 그만큼 공정수가 늘어나 버려, 제조 비용이 대폭 상승해 버린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 중 하나는, 표시 품질을 내리는 일없이, 표시 면적을 확보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의 표시 장치와, 이 구성 부품으로 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제 1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제 1 화소 전극 및 제 2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화소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화소 구동 회로에 접속된 배선과, 상기 배선에 마련되어, 상기 회피부를 우회하도록 마련된 우회 배선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은, 상기 회피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화소 전극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측으로 연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회 배선부는,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회피부는, 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에 의하면, 상기 회피부를 회피한 우회 배선부를 갖는 배선을 갖추고 있기 때문에, 이 배선에 접속하는 화소 전극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없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제 1 화소 전극이 회피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제 2 화소 전극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측으로 연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와 같이 제 1 화소 전극을 회피부측으로 연장하는 것만큼, 회피부 근방에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회 배선부가 제 1 화소 전극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우회 배선부와 화소 구동 회로가 서로 간섭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고해상도(고선명)의 표시 장치로서, 우회시키는 배선의 수가 매우 많은 표시 장치에 대하여도,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지장 없이 용이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에 있어서는, 복수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화소 구동 회로가 대응하여 마련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복수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각각에, 화소 구동 회로가 하나 대응하여 마련되더라도 좋다.
제 1 화소 전극을 복수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제 1 화소 전극에 의한 회피부 근방에서의 표시를, 고선명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복수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각각에, 화소 구동 회로가 복수 대응하여 마련되더라도 좋다.
제 1 화소 전극이 복수 마련되기 때문에, 이들 제 1 화소 전극에 의한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를, 고선명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서 하나의 제 1 화소 전극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에 동일한 동작을 시켜, 이들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 협동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예컨대 제 2 화소 전극보다도 크게 형성된 제 1 화소 전극에 대하여, 제 2 화소 전극과 동등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에 있어서는, 상기 제 1 화소 전극이 하나만 마련되고, 상기 제 1 화소 전극에는 화소 구동 회로가 복수 대응하여 마련되더라도 좋다.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서 하나의 제 1 화소 전극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에 동일한 동작을 시켜, 이들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에 의해 협동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예컨대 제 2 화소 전극보다도 크게 형성된 제 1 화소 전극에 대하여, 제 2 화소 전극과 동등의 전계를 발생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에 있어서는, 상기 회피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상기 회피부의 전부가,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표시 영역에 차지하는 회피부의 면적이 커지기 때문에, 회 피부 근방에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하는 것에 의한 효과가 높아진다.
또한, 예컨대, 상기 회피부의 일부만이,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과 대응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표시 영역이 비교적 좁은 표시 장치에도 대응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히 표시 영역을 좁게 하여,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으로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하도록 한 표시 장치에의 적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대향 배치되고,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중 상기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중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기판은, 앞서 기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이다.
이 표시 장치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일부의 화소 전극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없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이 회피되어,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우회 배선에 의해서 화소 구동 회로가 배치할 수 없게 된다고 하는 문제점도 회피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제 1 기판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품질을 내리는 일없이, 또한 배선의 층수를 늘리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상승을 초래하지 않고, 큰 표시 면적이 확보된다.
또한, 상기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이, 전기 영동 입자와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액상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 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하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영동 소자가 표시의 유지성(메모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표시 화상을 고정시킬 때는, 전기 영동 입자에 부여하는 전계를 없애더라도, 표시 화상이 그 이전에 인가된 전계에 의해서 유지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저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2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구동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전원선을 포함하되, 일부가 상기 회피부를 우회하는 우회 부분을 갖는 복수의 배선과, 상기 기판 중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전원선 중의 일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원선에 접속된 접속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에 접속된 복수의 전원선중, 기판상의 회피부의 주변부에는, 소정의 수의 전원선을 연결하도록 상기 전원선에 접속된 접속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 연결된 것만큼 전원선의 마련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전원선의 공간을 절약하여 회피부를 우회시키기 때문에, 그 만큼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피부」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판에 마련된 관통 구멍 등 물리적으로 배선을 배치할 수가 없는 영역이나, 다른 배선이 마련되는 영역 등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선을 배치할 수가 없는 영역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은, 상기 접속부가, 상기 복수의 배선의 상기 우회 부분 중 상기 회피부에 대하여 최외주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가 복수의 배선의 우회 부분 중 회피부에 대하여 최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전원선을 연결하기 쉽게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피부를 회피하는 공간을 상당히 절약할 수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상기 접속부가, 상기 복수의 전원선의 전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가 복수의 전원선의 전부에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그만큼 전원선을 배치하는 공간을 대폭 절약할 수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기판은, 상기 접속부가, 상기 회피부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접속부가 회피부를 둘러싸도록 환상으로 마련되는 것으로 했기 때문에, 전원선을 연결할 수 있는 이상, 회피부의 주위의 어떤 부분으로부터도 접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회피부를 회피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대향 배치되고,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중 상기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중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 1 기판이,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선의 공간을 절약하여 회피부를 우회시키는 것으로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품질을 내리는 일없이, 또한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의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이, 전기 영동 입자와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액상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영동 소자가 표시의 유지성(메모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표시를 고정하고 있을 때에는 전기 영동 입자에 부여하는 전계를 없애더라도, 표시가 그 이전에 인가된 전계에 의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저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제 3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 중 상기 화소 전극과는 다른 층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서는,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끼리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피부의 주변부에서는,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끼리가, 자신과는 다른 층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화소 전극을 거쳐서 회피부를 우회시킬 수 있다. 화소 전극을 거쳐서 우회시키는 것만큼, 회피부를 우회시키는 배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 다. 이에 따라, 회피부를 우회시키는 부분의 면적을 상당히 작게 할 수 있어, 그만큼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회피부」에 있어서는, 예컨대 기판에 마련된 관통 구멍 등 물리적으로 배선을 배치할 수가 없는 영역이나, 다른 배선이 마련되어 있는 영역 등 전기적 단락이 발생하기 때문에 배선을 배치할 수가 없는 영역 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서는, 상기 일부의 배선끼리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된 화소 전극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피부의 주변부에서는, 상기 일부의 배선끼리가 복수의 화소 전극 중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된 화소 전극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회피부를 회피하는 배선의 길이를 상당히 짧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된 화소 전극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회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화소 전극 중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된 화소 전극이, 평면에서 보아 회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회피부를 회피하는 배선의 길이를 더욱 짧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상기 복수의 배선과 동일층 내에 상기 회피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끼리를 접속하는 환상 전극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배선과 동일층 내에 회피부를 따라 마련되고,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끼리를 접속하는 환상 전극을 더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환상 전극에 있어서도 회피부를 회피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과 환상 전극에 의해, 배선 중 회피부를 우회하는 부분의 면적을 상승적으로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일부의 배선이, 상기 구동 회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일부의 배선이, 구동 회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 이른바 전원 배선이기 때문에, 세그먼트 구동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표시 형태로 할 수 있다. 특히 화소 전극을 금속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한 경우에는, 전기 저항값이 낮게 되기 때문에 바람직한 형태로 된다. 또한, 구동 회로에 전원 배선이 1개만 필요한 경우에는, 전원 배선을 타고 넘을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회피부의 우회 부분의 면적을 상당히 작게 할 수 있다.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은,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일부의 배선이, 상기 구동 회로의 접지용의 배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일부의 배선이, 구동 회로의 접지용의 배선, 이른바 그라운드 배선이기 때문에, 그라운드 패턴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대향 배치되고,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중 상기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 에 마련된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중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대향 전극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로서, 상기 제 1 기판이, 상기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배선이 형성된 층 중 회피부를 우회시키는 부분의 면적을 상당히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이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표시 품질을 내리는 일없이, 또한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상승을 초래하는 일없이,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의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상기의 표시 장치는,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이, 전기 영동 입자와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액상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전기 영동 소자가 표시의 유지성(메모리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표시를 고정하고 있을 때에는 전기 영동 입자에 부여하는 전계를 없애더라도, 표시가 그 이전에 인가된 전계에 의한 상태로 유지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저감화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품질을 내리는 일없이, 표시 면적을 확보한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의 표시 장치와, 이 구성 부품으로 되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제공할 수 있다.
[제 1 실시예]
우선,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 1 실시예인 표시 패널(5)을 갖춘 손목 시계(1)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이 손목 시계(1)의 측단면도이다.
손목 시계(1)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케이스(2)와, 이 시계 케이스(2)에 연결된 한 쌍의 밴드(3)를 구비하고 있다. 시계 케이스(2)는,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 수지 등의 수지재로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계 케이스(2)의 내부의 수용부(2A)에는, 무브먼트(4)와 표시 패널(5)이 수용되어 있다.
이 시계 케이스(2)의 수용부(2A)의 한쪽 단부측(시계 정면측)에는, 수지제 또는 금속제의 압입링(6)을 거쳐서, 유리제 또는 수지제의 투명 커버(7)가 압입 고정되어 있다. 또한, 수용부(2A)의 다른 쪽 단부측(시계 뒷편)에는, 패킹(8)을 거쳐서 후면 커버(9)가 나사 조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시계 케이스(2)는, 그 내부의 밀봉성이 후면 커버(9) 및 투명 커버(7)에 의해서 확보되어 있다.
또한, 시계 케이스(2)에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자로서의 용두(10)와 조작 버튼(11)이 마련되어 있다. 용두(10)는, 무브먼트(4)의 용심측(winding stem)(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되고, 이 용심측과 일체로 되어 다단층(예컨대 2단계)로 자유롭게 푸쉬 풀되고, 또한, 자유롭게 회전되도록 마련된 것이다.
무브먼트(4)는, 초침(21), 분침(22) 및 시침(23)으로 이루어지는 아날로그 지침이 연결된 운침 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이 운침 기구가 상기 아날로그 지침(21~23)을 회전 구동함으로써, 운침 기구는, 설정된 시각을 표시하는 시각 표시부로서 기능한다.
표시 패널(5)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무브먼트(4)의 시계 정면측에 배치되고, 손목 시계(1)의 표시부를 구성한다. 이 표시 패널(5)은, 본 실시예에서는 액티브 매트릭스 구동의 전기 영동 표시 패널이며, 예컨대 원형 형상이나 정8각형 형상, 16각형 형상의 표시면을 갖는다. 또, 이 표시 패널(5)에는, 그 중앙에 관통 구멍(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 구멍(5A)을 통하여, 상기 무브먼트(4)의 운침 기구(도시하지 않음)의 초차(24), 2번차(25) 및 통차(26)의 각 축이 뚫고 나와 있다. 이 축의 선단에는, 초침(21), 분침(22) 및 시침(23)이 부착되어 있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표시 패널(5)은, 제 1 기판(30)과, 제 2 기판(31)과, 이들 기판(30, 31) 사이에 마련된 전기 영동층(32)을 포함한다.
제 1 기판(3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의 1 실시예이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 1 기판(30)에 있어서는, 유리 기판(33)의 내면측에 다수의 화소 구동 회로(3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이들 화소 구동 회로(34) 상에는 화소 전극(35)이 배치되어 있다.
제 2 기판(31)은, 표시 패널(5)에 있어서 표시면측에 배치되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 기판(36)과, 투명 기판(36)의 내면에 형성된 ITO 등으로 이루어지는 투명의 공통 전극(대향 전극)(37) 을 포함한다.
전기 영동층(32)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마이크로캡슐(24)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마이크로캡슐(24)에는, 각각 전기 영동 분산액(25)이 봉입되어 있다. 이 전기 영동 분산액(25)에 있어서는,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기 광학 물질로서, +로 대전한 흑색의 전기 영동 입자(이하, 흑색 입자라고 한다)(26)와, -로 대전한 백색의 전기 영동 입자(이하, 백색 입자라고 한다)(27)가, 각각 다수개씩 액상 분산매(도시하지 않음) 중에 분산하고 있다.
여기서, 이와 같이 화소 전극(35)과 공통 전극(37)과 이들 전극 사이에 협지되어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층(32)(마이크로캡슐(24))으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소자(28)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공통 전극(37)의 전위가 화소 전극(35)의 전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로 대전한 백색 입자(27)가 공통 전극(37)측으로 이동(영동)하고, +로 대전한 대전 흑색 입자(26)는 화소 전극(35)측으로 이동(영동)한다. 그 결과, 이 상태로 표시면측으로 되는 공통 전극(37)측을 보면, 이 전기 영동 소자(28)에 대응하는 화소부에서는 백색이 인식된다.
또한, 도 5(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의 전위가 공통 전극(37)의 전위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경우에는, +로 대전한 대전 흑색 입자(26)가 공통 전극(37)측으로 이동(영동)하고, -로 대전한 백색 입자(27)는 화소 전극(35)측으로 이동(영동)한다. 그 결과, 이 상태로 공통 전극(37)측을 보면, 이 전기 영동 소자(28)에 대응하는 화소부에서는 흑색이 인식된다. 따라서, 화소부마다 백 또는 흑이 표시되는 것에 의해, 이들 화소부가 기본적으로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표시 패널(5)에서는, 백 또는 흑으로 이루어지는 패턴 표시가 가능하다.
또, 전기 영동 분산액(25)으로서는, 상기 2입자계의 것으로 한정되는 일없이, 1입자계의 것도 사용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액상 분산매로서 착색한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2입자계, 1입자계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입자의 색에 있어서는, 백과 흑 이외의 여러 색을 채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 구멍(5A)의 주변부 이외의 표시 영역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부(40)는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정렬 배치되어 있다. 이들 각 화소부(40)는, 상기 전기 영동 소자(28)와, 화소 전극(35)에 접속된 상기 화소 구동 회로(34)를 포함한다. 즉, 이들 각 화소부(40)는, 도 7의 회로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위칭 소자로서의 트랜지스터(41)와, 4개의 트랜지스터(42, 43, 44, 45)를 조합시켜 구성되는 래치 회로(46)와, 상기 전기 영동 소자(28)를 포함한다. 또한, 특히 상기 화소 구동 회로(34)는, 본 실시예에서는 트랜지스터(41)와 래치 회로(46)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41)는, 예컨대 전계 효과형의 n 채널 트랜지스터이다. 트랜지스터(41)에 있어서는, 그 게이트가 주사선(스캔선)(47)에 접속되고, 한쪽의 소스 드레인(입력단)이 데이터선(신호선)(48)에 접속되고, 다른 쪽의 소스 드레인(출력단)이 래치 회로(46)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래치 회로(플립플롭 회로)(46)는, 예컨대 2개의 전계 효과형의 n 채널 트랜지스터(42, 44)와, 2개의 전계 효과형의 p 채널 트랜지스터(43, 45)가 조합되어 구 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트랜지스터(42, 43)에 있어서, 그 한쪽의 소스 드레인끼리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2)의 다른 쪽의 소스 드레인은, 저전압 전원선(49)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43)의 다른 쪽의 소스 드레인은 고전압 전원선(50)에 접속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트랜지스터(44, 45)에 있어서, 그 한쪽의 소스 드레인끼리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4)의 다른 쪽의 소스 드레인은, 저전압 전원선(49)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45)의 다른 쪽의 소스 드레인은 고전압 전원선(50)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2, 43)의 각 게이트는, 접속점(N1)에 있어서, 트랜지스터(44, 45)의 소스 드레인끼리에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점(N1)은, 래치 회로(46)의 입력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입력단(N1)은, 상기 트랜지스터(41)의 다른 쪽의 소스 드레인(출력단)과 접속되어 있다. 또한, 트랜지스터(44, 45)의 각 게이트는, 접속점(N2)에 있어서, 트랜지스터(42, 43)의 소스 드레인끼리 접속되어 있다. 이 접속점(N2)은, 래치 회로(46)의 출력단으로서 기능한다. 이 래치 회로(46)의 출력단(N2)은, 상기 화소 전극(35), 즉 전기 영동 소자(28)의 한쪽의 전극에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래치 회로(46)에 있어서, 입력단(N1)에 인가된 전위가 고전위일 때에 출력단(N2)에는 저전위(VSS)가 나타나고, 입력단(N1)에 인가된 전위가 저전위일 때에 출력단(N2)에는 고전위(VEP)가 나타난다.
또, 상기 화소 구동 회로(34)에 접속된 배선, 즉 트랜지스터(41)에 접속된 주사선(스캔선)(47) 및 데이터선(신호선)(48)이나, 래치 회로(46)에 접속된 저전압 전원선(49) 및 고전압 전원선(50) 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관통 구멍(5A)의 주변부 이외의 표시 영역에서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횡으로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관통 구멍(5A)의 주변부에서는, 상기 주사선(47)이나 데이터선(48) 등의 배선(이하, 이들 각 배선을 총칭하여 배선(60)이라고 한다) 중, 특히 설계상 상기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에는, 상기 관통 구멍(5A)을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60a)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설계상 상기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은, 관통 구멍(5A)이 없으면 이 관통 구멍(5A)을 형성한 부위와 겹치도록 배치된 배선(60)을 의미한다.
여기서, 상기 관통 구멍(5A)의 주위에는, 해당 관통 구멍(5A)의 주위를 밀봉한 밀봉부(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밀봉부(51)도, 배선(60)을 통과시킬 수 없는 부위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 구멍(5A) 뿐만 아니라 밀봉부(51)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피부(52)이다. 즉, 상기 배선(60) 중, 설계상 상기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뿐만 아니라, 설계상 밀봉부(51)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에도, 해당 밀봉부(51)를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60a)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우회 배선부(60a)를 형성한 배선(60)의 근방에 위치하는 배선(60)에 있어서도, 인접하는 우회 배선부(60a)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해서, 우회 배선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선(60)에 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우회 배선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관통 구멍(5A) 및 밀봉부(51)에 더해서, 이들의 근방에 위치하는 우회 배선(60a)도, 본 발명에 있어서의 회피부(52)이다.
또한, 상기 관통 구멍(5A)의 주위에 위치하는 화소부(도시하지 않음)에서는, 각각의 화소 전극(35), 즉 본 발명에 있어서의 주위 화소 전극(제 1 화소 전극)(35a)이, 다른 화소 전극(제 2 화소 전극)(35)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이들 주위 화소 전극(35a)은 해당 주위 화소 전극(35a)을 포함하는 화소 전극(35)의 배열을 따라, 상기 관통 구멍(5A)에 대하여 가로 방향(또는 세로 방향)으로 연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즉, 주위 화소 전극(35a)은, 관통 구멍(5A) 측으로 연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주위 화소 전극(35a)의, 상기 관통 구멍(5A) 측으로 연장한 부위의 바로 아래(유리 기판(33)과 주위 화소 전극(35a) 사이)에는, 상기 배선(60)의 우회 배선부(60a)가 배치되어 있다. 주위 화소 전극(35a)에 접속되는 화소 구동 회로(34)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으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우회 배선부(60a)는, 화소 구동 회로(34)와 서로 간섭하는 일이 없고, 화소 구동 회로(34)의 옆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의 각각에 대하여, 화소 구동 회로(34)가 하나씩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이들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은,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된다.
또한, 도 4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주위 화소 전극(35a)이 다른 화소 전극(35)에 대하여 4배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주위 화소 전극(35a)의 연장한 부위의 바로 아래에는, 4개의 우회 배선부(60a)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주위 화소 전극(35a)에 접속된 화소 구동 회로부(34)에 있어서는, 도시하지 않지만, 그 스위칭 소자로서 기능하는 상기 트랜지스터(41)의 게이트 폭(W2)이, 다른 화소 전극(35)에 접속된 화소 구동 회로부(34)의 트랜지스터(41)의 게이트 폭(W1)에 비교해서 크게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게이트 폭(W2)과 게이트 폭(W1)과의 비를, 화소 전극(35)의 면적비인 4:1로 하여도 좋다. 또는, 그 비의 값보다도 게이트 폭(W2)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작게 하더라도 좋다. 또한, 래치 회로(46)의 동작을 안정시키기 위해서, 상기 트랜지스터(42, 43, 44, 45)의 게이트 폭의 비에 관해서도, 화소 전극(35)의 면적비인 4:1로 하여도 좋다. 또는, 그 비의 값보다도 게이트 폭의 폭을 크게 하더라도, 작게 하더라도 좋다.
또, 화소 구동 회로(34)로서는, 상기 래치 회로(46) 대신에 용량 소자를 이용하여도 좋다. 그 경우, 주위 화소 전극(35a)에 접속된 화소 구동 회로부(34)와, 다른 화소 전극(35)에 접속된 화소 구동 회로부(34)에서는, 그 용량의 크기를 상기 화소 전극(35)의 면적비에 대응시켜 바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화소 전극(35)의 면적비에 대응시켜, 상기 게이트 폭(W2)이나 용량 소자의 크기를 바꿔 놓은 것에 의해, 화소 전극(35)보다 면적이 큰 주위 화소 전극(35a)에 대하여도, 화소 전극(35)에 부여한 전위와 동등의 전위를 부여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주위 화소 전극(35a)을 갖춘 전기 영동 소자(28)에 있어서도, 다른 화소 전극(35)을 갖춘 전기 영동 소자(28)와 동등의 표시를 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손목 시계(1)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5)에 있어서는, 그 제 1 기판(30)에 있어서의 배선(60) 중, 설계상 회피부(52)(관통 구멍(5A)이나 밀봉부(51)를 포함한다)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에 우회 배선부(60a)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배선(60)에 접속된 화소 전극(35)에 의한 표시가 이루어져 없어져 버린다고 하는 문제점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관통 구멍(5A)의 주위에 위치하는 주위 화소 전극(35a)은, 다른 화소 전극(35)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 구멍(5A) 측으로 연장한 상태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주위 화소 전극(35a)이 관통 구멍(5A) 측으로 연장한 것만큼, 관통 구멍(5A) 근방에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우회 배선부(60a)가, 주위 화소 전극(35a)의, 관통 구멍(5A) 측으로 연장한 부위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이 우회 배선부(60a)와 화소 구동 회로(34)가 간섭한다고 하는 문제점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고해상도(고선명)의 표시 패널(5)으로서, 우회시키는 배선의 수가 매우 많은 표시 패널(5)에 대하여도, 지장 없이 용이하게 본 실시예의 구조를 적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표시 패널(5)에 의하면, 표시 품질을 내리는 일없이, 또한 배선의 층수를 늘리지 않기 때문에, 제조 비용의 대폭적인 상승을 초래하는 것도 없이,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의 각각에 대하여 화소 구동 회로(34)를 하나씩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이들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을 각각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고, 따라서 이들 주위 화소 전극(35a)에 의한 관통 구멍(5A)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를, 고선명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5)에 있어서는, 이것을 구성하는 전기 광학 소자로서, 표시의 유지성(메모리성)을 갖는 전기 영동 소자를 채용하고 있기 때문에, 예컨대, 표시 패널(5)의 표시 화상으로서 문자판을 표시시키는 경우, 즉, 표시 화상을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전기 영동 입자에 부여하는 전계를 없애더라도, 표시 화상이 그 이전에 인가된 전계에 의해서 유지된다. 따라서, 소비 전력의 저감화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의 각각에 대하여 화소 구동 회로(34)를 하나씩 마련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의 각각에 대하여,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를 마련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8 중에 있어, 이웃하는 두개의 주위 화소 전극(35a, 35a)을, 도 8 중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주위 화소 전극(35b)으로 하여도 좋다. 그 경우에, 이 주위 화소 전극(35b)에 대하여, 2개의 화소 구동 회로(34)가 접속된다.
이와 같이 하면,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에 의해서 하나의 주위 화소 전극(35b)을 구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에 동일한 동작을 시켜, 이들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를 협동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예컨대 다른 화소 전극(35)보다도 크게 형성된 주위 화소 전극(35b)에 대하여, 다른 화소 전극(35)과 동등의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이 주위 화소 전극(35a)을 갖춘 전기 영동 소자(28)에 있어서도, 다른 화소 전극(35)을 갖춘 전기 영동 소자(28)와 동등의 표시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예에 있더라도, 주위 화소 전극(35a)이 복수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주위 화소 전극(35a)에 의한 관통 구멍(5A) 근방에서의 표시를, 고선명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주위 화소 전극(35c)을 하나만 마련하더라도 좋다. 이 경우, 이 주위 화소 전극(35c)에, 관통 구멍(5A)의 주위에 형성되고, 또한 해당 관통 구멍(5A)에 대하여 가장 내측에 배치된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의 모두를 접속하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주위 화소 전극(35c)은, 단면도에 있어서, 주위 화소 전극(35c)에 접속된 화소 구동 회로(34)의 바로 위의 위치로부터, 관통 구멍(5A)을 향해서 연장하도록 환상으로 형성된다. 또, 도 10에 있어서는, 배선(60)은,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그 일부밖에 (은선으로)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실제로는 도시되어 있는 개수보다도 많은 개수의 배선(60)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상기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에 의해서 하나의 주위 화소 전극(35c)을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에 동일한 동작을 시켜, 이들 복수의 화소 구동 회로(34)를 협동하여 구동시킴으로써, 예컨대 주위 화소 전극(35c)에 대하여 다른 화소 전극(35)과 동등의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주위 화소 전극(35c)을 갖춘 전기 영동 소자(28)에, 다른 화소 전극(35)을 갖춘 전기 영동 소자(28)와 동등의 표시를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이 원형 형상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의 형상이 8각형 형상이더라도 좋다. 이와 같이 특히 8각형 형상으로 한 경우 등에서는, 예컨대 주사선(47)과 데이터선(48)을 직교시키는 일없이, 그 중 한쪽을 비스듬히(예컨대 45°로) 배치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도, 이들 배선(주사선(47), 데이터선(48))(60) 중, 특히 설계상 회피부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에는, 우회 배선부(60a)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배선(60)은, 회피부를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한다.
그리고, 도 11 중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이러한 우회 배선부(60a)의 바로 위에는, 도 4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35b)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관통 구멍(5A)의 주위에 위치하고, 또한 해당 관통 구멍(5A)에 대하여 가장 내측에 위치하는 화소 구동 회로(34)에 접속된 주위 화소 전극으로서,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 측으로 연장된 복수의 주위 화소 전극(35a)(35b)이 형성된다. 또는, 이러한 우회 배선부(60a)의 바로 위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주위 화소 전극(35c)이 형성되더라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의 형상이 원형 이외의 각형 형상, 예컨대 8각형 형상이며,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와 설계상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이 상기한 바와 같이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한 경우에도, 원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8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이 직사각형 형상이더라도, 또한, 특수한 형상의 예로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이더라도, 마찬가지로 해서,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 도 12(a) 및 도 12(b)에서 부호 61은 게이트 드라이버, 부호 62는 소스 드라이버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5A)을 포함하는 회피부의 전부가,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회피부의 일부만이,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1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형상이 정8각형이며, 그 중심에 관통 구멍(5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통 구멍(5A)의 절반이, 배선(60)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 측에 배치되고, 나머지의 절반이 비 표시 영역측에 배치되도록, 표시 영역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한, 도 1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의 1/4가, 배선(60)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측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비 표시 영역 측에 위치하도록, 표시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 13(a) 및 도 13(b)에서, 부호 63은 게이트 드라이버, 부호 64는 데이터 드라이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 영역이 비교적 좁은 표시 패널(5)에도,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적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히 표시 영역을 좁게 하고,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으로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하도록 한 표시 패널에의 적용이 용이해진다.
[제 2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 2 실시예인 표시 패널(5)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의 표시 영역(70)에는, 화소 전극(35)이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에는, 화소 전극(35)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에는,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마련되어 있다.
도 15는, 표시 패널(5) 중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동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영역(70)에서는, 주사선(47)이 해당 2차원 매트릭스의 가로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고, 저전압 전원선(49)이 이 주사선(47)과 마찬가지로 2차원 매트릭스의 가로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이 표시 영역(70)에서는, 저전압 전원선(49)과 주사선(47)이 2차원 매트릭스의 세로 방향(저전압 전원선(49) 및 주사선(47)의 배열)으로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표시 영역(70)에서는, 데이터선(48)이 2차원 매트릭스의 세로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가로 방향을 따라 배열되어 있고, 고전압 전원선(50)이 데이터선(48)과 마찬가지로 이 영역에서 2차원 매트릭스의 가로 방향으로 연재하고, 또한, 세로 방향을 따라서 배열되어 있다. 표시 영역(70)에서는, 고전압 전원선(50)과 데이터선(48)이 2차원 매트릭스의 세로 방향(고전압 전원선(50) 및 데이터 선(48)의 배열)으로 교대로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는, 설계상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 즉 관통 구멍(5A)이 없으면 이 관통 구멍(5A)을 형성한 부위와 겹치도록 배치된 부분이다. 이 주변부(71)에는, 주사선(47) 및 데이터선(48)과 함께, 관통 구멍(5A)을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47a 및 48a)가 각각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에는, 해당 관통 구멍(5A)의 주위를 밀봉한 밀봉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51)는, 주사선(47) 및 데이터선(48)을 통과시킬 수 없는 영역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관통 구멍(5A) 및 밀봉부(51)를 회피부(52)로 하고 있다.
주사선(47) 및 데이터선(48) 중, 설계상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뿐만 아니라, 설계상 밀봉부(51)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에도, 해당밀봉부(51)를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47a 및 48a)가 마련되어 있다.
우회 배선부(47a 및 48a)를 형성한 주사선(47) 및 데이터선(48)의 근방에 위치하는 주사선(47) 및 데이터선(48)에도, 해당 우회 배선부(47a 및 48a)를 피할 필요가 있는 한, 역시 우회 배선부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주사선(47) 및 데이터선(48)에 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우회 배선부(47a, 48a)를 각각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5A) 및 밀봉부(51)에 더해서, 이들의 근방에 위치하는 우회 배선(47a 및 48a)도 회피부(52)로 되어 있다.
또한,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에는, 각 저전압 전원선(49)에 접속된 저전압 접속부(59)와, 각 고전압 전원선(50)에 접속된 고전압 접속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는, 금속이나 ITO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져, 회피부(52)를 둘러싸도록 평면에서 보아 환상, 예컨대 정8각형의 환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는,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 중 상술한 우회 배선부(47a) 및 우회 배선부(48a)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고, 해당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의 최외주에 마련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는, 저전압 접속부(59)가 외측, 고전압 접속부(53)가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각 저전압 전원선(49) 및 각 고전압 전원선(50)은,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에 의해서 하나씩의 배선부에 연결된 상태로 회피부(52)를 회피하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A-A 단면을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B-B 단면을 따른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리 기판(33)상에는 화소 구동 회로(34)가 마련되어 있다. 화소 전극(35)은, 화소 구동 회로(34)의 상층에 마련되어 있고, 해당 화소 구동 회로(34)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위치에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화소 전극(35) 및 화소 구동 회로(34)는, 콘택트 홀(61)을 거쳐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유리 기판(33)상에는, 주사선(47),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이 주사선(47),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 부(53)상에는, 이들을 덮도록 절연층(67)이 마련되어 있다. 주사선(47)은, 상기의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에 평면에서 보아 교차하는 부분에서는, 예컨대 콘택트 홀(62)을 거쳐서 절연층(67)상에 마련되어 있다. 절연층(67)상에는, 데이터선(48)이 마련되어 있다. 데이터선(48)상에는, 해당 데이터선(48)을 덮도록 절연층(68)이 마련되어 있다. 절연층(68)상에는, 상기의 화소 전극(35)이 마련되어 있다.
주사선(47) 또는 데이터선(48)이 유리 기판(33)상의 층에 설치되는 영역에서는,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는 이 주사선(47) 또는 데이터선(48)을 피하도록, 절연층(67)상의 층에 마련되어 있다(예컨대 도 15의 세로 방향으로 연재하는 저전압 접속부(59a) 및 고전압 접속부(53a)). 주사선(47) 또는 데이터선(48)이 절연층(67)상의 층에 마련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는 이 주사선(47) 또는 데이터선(48)을 회피하도록, 유리 기판(33)상의 층에 마련되어 있다(예컨대 도 15의 세로 방향에 대하여 45°기울어 연재하는 저전압 접속부(59b) 및 고전압 접속부(53b)). 절연층(67)상의 저전압 접속부(59a) 및 고전압 접속부(53a)와, 유리 기판(33)상의 저전압 접속부(59b) 및 고전압 접속부(53b) 사이는, 콘택트 플러그(59c, 53c)에 의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통상,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된 화소를 구동하는 경우, 도 18(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원용 배선과 신호용 배선(주사선, 데이터선)을 교대로 배열시키고 있다. 전원용 배선 및 신호용 배선은, 화소의 배열된 라인마다 마련된다. 양자는 서로 단락하지 않도록 거리를 두고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화소의 라인 방향으로 넓어져 배치되는 것으로 된다. 이 때문에, 그만큼 표시 영역이 좁게 되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도 1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의 주변부(71)에 있어서, 화소 전극(35)을 구동하는 화소 구동 회로(34)에 접속되는 저전압 전원선(49) 및 고전압 전원선(50)을 연결하도록 해당 저전압 전원선(49) 및 고전압 전원선(50)에 각각 접속된 저전압 접속부(59) 및 고전압 접속부(53)가 마련되어 있다. 이에 따라, 이 연결된 것만큼 전원선의 마련되는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 저전압 전원선(49) 및 고전압 전원선(50)의 공간을 절약하여 회피부(52)가 우회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9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 3 실시예인 표시 패널(10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105)은, 제 2 실시예의 표시 패널(5)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 전극(135) 이외에, 회피부(152)의 외측으로부터 회피부(152)내를 향해서 연재하는 화소 전극(135c)이 마련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회피부(152)내에도 화소 전극(135c)을 마련할 수 있 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4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 4 실시예인 표시 패널(20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205)은, 제 2 실시예의 표시 패널(5)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있지만,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화소 전극(235) 이외에, 회피부(252)를 덮도록 환상의 화소 전극(235c)이 마련되어 있다는 점에서, 제 2 실시예와는 다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회피부(252)내에도 화소 전극(235c)을 마련할 수 있기 때문에,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한,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5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 5 실시예인 표시 패널(30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305)은, 주사선(347)과 데이터선(348)을 직교시키는 일없이, 주사선(347)을 비스듬히(예컨대 45°로) 배열된 구성을 갖는다. 화소 전극(335)이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는 영역에서는, 주사선(347) 의 사이에 저전압 전원선(349)이 마련되어 있고, 주사선(347)과 저전압 전원선(349)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이 영역에서는, 데이터선(348)의 사이에 고전압 전원선(350)이 마련되어 있고, 데이터선(348)과 고전압 전원선(350)이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 구멍(305A) 및 밀봉재(351)의 주위(회피부(352))에 있어서는, 저전압 전원선(349) 및 고전압 전원선(350)을 연결하도록 해당 저전압 전원선(349) 및 고전압 전원선(350)에 접속된 접속부(359)가 마련되어 있다.
또, 상기 구성에서는, 주사선(347)을 비스듬히 배치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데이터선(348)을 비스듬히 배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구성에서는, 저전압 전원선(349) 및 고전압 전원선(350)이 공통의 접속부(359)에 접속되어 있지만, 다른 접속부를 각각 마련하여도 상관없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 대하여 주사선(347) 및 데이터선(348)의 배치를 바꾼 경우에도, 저전압 전원선(349) 및 고전압 전원선(350)을 연결하도록 접속하는 접속부(359)가 설치되기 때문에, 저전압 전원선(349) 및 고전압 전원선(350)의 공간을 절약하면서 회피부(352)를 회피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6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피부의 일부만이, 표시 장치의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2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405)의 평면 형상이 정8각형이며, 그 중심에 관통 구멍(405A)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주사선(447) 및 데이터선(448)을 마련한 표시 영역 측에 관통 구멍(405A)의 절반이 배치되고, 나머지의 절반이 비표시 영역측에 배치되도록, 표시 영역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22에 있어서, 부호 463은 게이트 드라이버, 부호 464는 데이터 드라이버이다.
회피부의 일부를 표시 영역 내에 형성하는 다른 예로서,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05)의 평면 형상이 정8각형이며, 그 중심에 관통 구멍(505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통 구멍(505A)의 1/4가, 주사선(547) 및 데이터선(548)을 마련한 표시 영역측에 관통 구멍(505A)의 절반이 배치되고, 나머지가 비 표시 영역측에 배치되도록, 표시 영역이 형성되어도 좋다. 또, 도 23에 있어서, 부호 563은 게이트 드라이버, 부호 564는 데이터 드라이버이다.
이와 같이, 회피부의 일부를 표시 영역 내에 형성하는 구성에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이면, 표시 영역이 비교적 좁은 표시 패널이더라도,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히 표시 영역을 좁게 하고,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으로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하도록 한 표시 패널에의 적용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기술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전압 접속부 및 고전압 접속부의 평면 형상은 8 각형의 환상이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없다. 예컨대 도 2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저전압 접속부(659) 및 고전압 접속부(660)의 형상을 정방형의 환상으로 형성하더라도 상관없다.
또한, 상기 실시예와 같이 표시 장치의 평면 형상을 8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평면 형상을 직사각형 형상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직사각형 형상의 경우이더라도 관통 구멍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직사각형 형상으로 하는 것에 의해, 콘택트 플러그를 이용하여, 주사선이나 데이터선을 피하기 위해서 다른 층에 저전위 전원선 및 고 전위 전원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할 필요가 없어지기 때문에, 콘택트 플러그를 형성하지 않게 된다.
또한, 특수한 형상의 예로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장치의 평면 형상을 하트 형상으로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들의 경우, 상기와 마찬가지로 하여, 관통 구멍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제 7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5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 7 실시예인 표시 패널(705)의 제 1 기판(30) 중 관통 구멍(5A)의 주변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5의 A-A 단면에 따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은, 제 1 실시예의 도 4와 동일하다.
화소 구동 회로(34)는, 유리 기판(33)상에 마련되어 있고, 화소 전극(35)에 전기 신호를 공급하는 회로다. 화소 전극(35)은, 화소 구동 회로(34)의 상층에 마련되어 있고, 해당 화소 구동 회로(34)에 평면에서 보아 겹치는 위치에 2차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관통 구멍(5A)의 주변부에는, 해당 관통 구멍(5A)을 둘러싸도록 환상의 화소 전극(35c)이 마련되어 있다. 화소 전극(35)은, ITO나 금속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다.
화소 배선(60)은, 화소 구동 회로(34)와 동일층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도시하지 않는 스위칭 소자를 거쳐서 화소 구동 회로(34)(트랜지스터(41))에 접속된 상기의 주사선(47)이나 데이터선(48) 등이 포함된다. 전원 배선(61)은, 화소 배선(60)과 동일층에 마련되어 있고, 해당 화소 배선(60)과 병렬로 배치되어 있다. 전원 배선(61)은, 래치 회로(46)에 접속하는 저전압 전원선(49) 및 고전압 전원선(50) 등이 포함된다.
화소 배선(60) 및 전원 배선(61)은, 관통 구멍(5A)의 주변부 이외의 표시 영역에서는, 종횡으로 직선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화소 배선(60) 중 관통 구멍(5A)의 근방의 부분은, 설계상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부분, 즉 관통 구멍(5A)이 없으면 이 관통 구멍(5A)을 형성한 부위와 겹치도록 배치된 부분이다. 이 부분에는, 관통 구멍(5A)을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60a)가 마련되어 있다.
관통 구멍(5A)의 주위에는, 해당 관통 구멍(5A)의 주위를 밀봉한 밀봉부(51)가 형성되어 있다. 밀봉부(51)는, 배선(60)을 형성할 수가 없는 영역이다. 따라서, 여기서는, 관통 구멍(5A) 및 밀봉부(51)를 회피부로 하고 있다. 배선(60) 중, 설계상 관통 구멍(5A)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뿐만 아니라, 설계상 밀봉부(51)와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에도, 해당 밀봉부(51)를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60a)가 마련되어 있다.
도 2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우회 배선부(60a)를 형성한 배선(60)의 근방에 위치하는 배선(60)에도, 우회 배선부(60a)를 피할 필요가 있는 한, 역시 우회 배선부(60a)를 형성할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은 배선(60)에 관해서도, 본 실시예에서는 마찬가지로 우회 배선부(60a)를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관통 구멍(5A) 및 밀봉부(51)에 더해서, 이들의 근방에 위치하는 우회 배선(60a)도 회피부(52)로 되어 있다.
각 전원 배선(61)은, 관통 구멍(5A)의 주변부에서, 예컨대 콘택트 홀 등을 거쳐서 이 화소 전극(35c)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배선(61)은, 화소 전극(35c)에 의해서 관통 구멍(5A), 밀봉부(51), 및 우회 배선부(60a) 등의 회피부를 우회하고, 이들 각 부위를 회피하도록 되어 있다. 도 2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화소 전극(35c)과 전원 배선(61)의 접속 위치는, 화소 전극(35c)의 외주를 따르는 영역 내(예컨대, 도면 중의 흑점 부분)에 배치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회피부(52)의 주변부에서는,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전원 배선(61))끼리가, 자신과는 다른 층(상층측)에 마련된 화소 전극(35c)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화소 전극(35c)을 거쳐서 회피부(52)를 우회시킬 수 있다. 화소 전극(35c)을 거쳐서 우회시키는 것만큼, 회피부(52)를 우회시키는 배선의 개수를 적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회피부(52)를 우회시키는 부분의 면적을 매우 작게 할 수 있고, 그만큼 큰 표시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8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 7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705)의 표시 영역이 원형 형상인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2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각형 형상으로 되어 있다. 표시 영역을 8각형 형상으로 한 경우에는, 예컨대 주사선(47)과 데이터선(48)을 직교시키는 일없이, 그 중 한쪽을 비스듬히(예컨대 45°로) 배치하는 것도 있다. 이 경우, 화소 배선(주사선(47), 데이터선(48))(60) 중, 특히 설계상 회피부를 통과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배선(60)에 있어서는, 회피부를 피하여 그 주위를 우회하는 우회 배선부(60a)가 형성된다.
또한, 우회 배선부(60a)의 바로 위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의 주위에 화소 전극(35c)이 형성되어 있다. 전원 배선(61)은, 콘택트 홀 등을 거쳐서 이 화소 전극(35c)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 배선(61)과 화소 전극(35c)의 접속 위치에 있어서는, 도 26에 나타내는 위치와 거의 마찬가지이다.
또한, 이와 같이 8각형 형상뿐만 아니라, 도 12(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 패널(5)이 직사각형 형상이더라도, 또한, 특수한 형상의 예로서 도 12(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트 형상이더라도, 마찬가지로 해서,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의 형상이 원형 이외의 각 형 형상, 예컨대 8각형 형상이며,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를 설계상 통과하는 배선(60)이 상기한 바와 같이 비스듬히 교차하도록 한 경우에도, 원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영역이 직사각형 형상이나 하트 형상 등, 다른 형상이더라도, 원형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관통 구멍(5A) 등의 회피부 근방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을 확대할 수 있다.
[제 9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8은,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805)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상기의 제 8 실시예의 도 27에 대응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105A) 및 밀봉부(151)를 둘러싸도록 환상 전극(180)이 마련되어 있고, 전원 배선(161)이 해당 환상 전극(180)에 접속되어 있다. 이 환상 전극(180)은, 전원 배선(161)이나 화소 배선(160)과는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고, 콘택트 홀을 거쳐서 전원 배선(161)에 접속되어 있다. 환상 전극(180)은, 예컨대 금속 등의 도전 재료로 이루어진다. 전원 배선(161)이 환상 전극(180)에 접속되어 있는 것에 의해, 해당 환상 전극(180)을 거쳐서 회피부(152)를 우회하여 회피시키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상 전극(180)은 접지용의 전극으로서 이용되고 있다. 환상 전극(180)을 접지용의 전극으로서 이용하는 것에 의해, 일부의 배선이 접지용의 배선, 이른바 그라운드 배선으로 되기 때문에, 그라운드 패턴의 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적절히 변경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관통 구멍(5A)을 포함하는 회피부의 전부가,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없다. 예컨대, 회피부의 일부만이, 표시 패널(5)의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도 2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패널 형상이 정8각형이며, 그 중심에 관통 구멍(5A)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관통 구멍(5A)의 절반이, 배선(60)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측에 위치하고, 나머지의 절반이 비 표시 영역측에 위치하도록, 표시 영역을 형성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2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관통 구멍(5A)의 1/4가, 배선(60)을 배치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영역측에 위치하고, 나머지가 비 표시 영역측에 위치하도록, 표시 영역을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 29(a) 및 도 29(b)에서, 부호 63은 게이트 드라이버, 부호 64는 데이터 드라이버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표시 영역이 비교적 좁은 표시 패널(5)에도, 본 발명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을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특히 표시 영역을 좁게 하고, 소비 전력을 억제하는 것으로 전지의 수명을 길게 하도록 한 표시 패널에의 적용이 용이해진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이,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로 여러 변경이 가능하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전기 광학 물질로 서 전기 영동 분산액을 이용하고, 전기 영동 소자를 구성하는 것으로 화상을 표시시키도록 했지만, 그 외에 예컨대, 전기 광학 물질로서 액정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액정 표시 소자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고, 또한, 유기 EL 재료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 유기 EL 소자를 구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손목 시계에 적용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탁상 시계나 벽괘 시계, 벽시계, 회중 시계 등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시계 이외에도, 지침을 갖는 각종의 계기 등에도 적용할 수 있고, 더욱이, 관통 구멍 이외의 회피부를 갖은 여러 표시 장치에도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관한 손목 시계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손목 시계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의 1실시예의 주요부 측단면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기 영동 소자의 동작 설명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 이외의 표시 영역을 도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화소부의 등가 회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의 주요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주위 화소 전극의 확대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의 형상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3(a) 및 도 1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영역과 관통 구멍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일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표시 장치의 제 1 기판의 단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있어서의 전원선용의 배선을 연결하는 것에 의한 효과를 도시하는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 도,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의 표시 패널의 평면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있어서의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7은 관통 구멍의 주변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8은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따른 표시 패널의 구성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9(a) 및 도 29(b)는 표시 영역과 관통 구멍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Claims (20)

  1.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으로서,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回避部)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제 1 화소 전극 및 제 2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제 1 화소 전극 및 상기 제 2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화소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화소 구동 회로에 접속된 배선과,
    상기 배선에 마련되어, 상기 회피부를 우회하도록 마련된 우회 배선부
    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은, 상기 회피부의 주위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화소 전극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회피부측으로 연장한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우회 배선부는,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바로 아래에 배치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는 홀인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3.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제 1 화소 전극의 각각에는, 적어도 하나의 상기 화소 구동 회 로가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화소 전극이 하나만 마련되고, 상기 제 1 화소 전극에는 화소 구동 회로가 복수 대응하여 마련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의 적어도 일부는 표시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6. 표시 장치로서,
    대향 배치되고,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중 상기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중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대향 전극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판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인
    표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전기 영동 입자와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액상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인 표시 장치.
  8.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으로서,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고, 상기 구동 회로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복수의 전원선을 포함하고, 일부가 상기 회피부를 우회하는 우회 부분을 갖는 복수의 배선과,
    상기 기판상 중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전원선 중의 일부를 연결하도록 상기 전원선에 접속된 접속부
    를 포함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상기 복수의 배선의 상기 우회 부분 중 상기 회피부에 대하여 최외주에 마련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상기 복수의 전원선의 전부에 접속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상기 회피부를 둘러싸도록 환상(環狀)으로 마련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2. 표시 장치로서,
    대향 배치되고,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중 상기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중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대향 전극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판은 청구항 8에 기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인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전기 영동 입자와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액상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인 표시 장치.
  14.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으로서,
    소정의 영역에 회피부가 마련된 기판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 전극과,
    상기 기판상에 마련되어,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을 구동하는 구동 회로와,
    상기 기판상 중 상기 화소 전극과는 다른 층에 마련된 복수의 배선
    을 포함하되,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서는,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끼리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적어도 하나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서는, 상기 일부의 배선끼리가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된 화소 전극을 거쳐서 접속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화소 전극 중 상기 회피부의 주변부에 마련된 화소 전극이, 평면에서 보아 상기 회피부를 둘러싸는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선과 동일층 내에 상기 회피부를 따라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일부의 배선끼리를 접속하는 환상 전극을 더 포함하는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에 접속되는 일부의 배선은 상기 구동 회로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선, 또는 상기 구동 회로의 접지용의 배선인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19. 표시 장치로서,
    대향 배치되고, 전기 광학 물질을 사이에 유지하는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과,
    상기 제 1 기판 중 상기 제 2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화소 전극과,
    상기 제 2 기판 중 상기 제 1 기판에 대향하는 면에 마련된 대향 전극
    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기판은 청구항 14에 기재된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인
    표시 장치.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 광학 물질은 전기 영동 입자와 상기 전기 영동 입자를 분산시키는 액상 분산매로 이루어지는 전기 영동 분산액인 표시 장치.
KR1020070117851A 2006-11-20 2007-11-19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KR20080045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312788A JP4201041B2 (ja) 2006-11-20 2006-11-20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JPJP-P-2006-00312788 2006-11-20
JPJP-P-2007-00066839 2007-03-15
JP2007066839 2007-03-15
JPJP-P-2007-00074277 2007-03-22
JP2007074277A JP5092479B2 (ja) 2007-03-22 2007-03-22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5637A true KR20080045637A (ko) 2008-05-23

Family

ID=39149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7851A KR20080045637A (ko) 2006-11-20 2007-11-19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7830591B2 (ko)
EP (1) EP1923738A3 (ko)
KR (1) KR20080045637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96646A (ko) * 2016-02-16 2017-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US10134826B2 (en) 2016-04-12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detour lines
CN109951951A (zh) * 2019-04-29 2019-06-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印刷电路板及显示装置
WO2019199139A1 (ko) * 2018-04-13 2019-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홀 영역을 우회하는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200015872A (ko) * 2018-08-03 2020-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10797373A (zh) * 2018-08-02 2020-02-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
US10910461B2 (en) 2018-07-03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437460B2 (en) 2019-02-27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hole and data lines in different layers
US12004397B2 (en) 2016-04-12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32760A (ja) * 2008-07-29 2010-02-12 Hitachi Displays Ltd 表示装置
US20110205616A1 (en) * 2008-08-07 2011-08-25 Adrea, LLC Moving Particle Display Device
JP2010066564A (ja) * 2008-09-11 2010-03-25 Seiko Epson Corp 電気泳動表示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腕時計
JP2010286455A (ja) * 2009-06-15 2010-12-24 Seiko Epson Corp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2181445A (ja) * 2011-03-02 2012-09-20 Seiko Epson Corp 電気装置
KR102490891B1 (ko) * 2015-12-04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65377B1 (ko) 2016-02-12 2022-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83956B1 (ko) 2016-03-31 2023-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80000771A (ko) * 2016-06-23 2018-01-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3863B1 (ko) 2016-09-22 2023-12-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611958B1 (ko) 2016-09-23 2023-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59096B1 (ko) 2016-11-29 2023-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80096875A (ko) 2017-02-21 2018-08-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11057554B2 (en) 2017-05-22 2021-07-06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with hollowed part in backlight
WO2019009184A1 (ja) * 2017-07-05 2019-01-10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基板、表示装置、およびアクティブマトリックス基板の製造方法
JP7002908B2 (ja) * 2017-10-13 2022-01-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CN107748470A (zh) * 2017-11-03 2018-03-02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圆环形阵列基板及电泳显示装置
CN108182886B (zh) * 2018-01-02 2020-10-1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102527993B1 (ko) 2018-01-05 2023-05-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CN110021640A (zh) 2018-01-08 2019-07-16 三星显示有限公司 电致发光装置
KR102572136B1 (ko) 2018-01-08 2023-08-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윈도우를 갖는 전계 발광 장치
JP2019133097A (ja) 2018-02-02 2019-08-08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2019158956A (ja) 2018-03-08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デバイス
JP2019160174A (ja) * 2018-03-16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JP2019159249A (ja) 2018-03-16 2019-09-1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2540895B1 (ko) 2018-05-30 2023-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9119447B (zh) * 2018-08-29 2020-11-1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JP7057740B2 (ja) * 2018-08-30 2022-04-2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631254B1 (ko) 2018-09-21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KR20200088930A (ko) 2019-01-15 2020-07-2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094877A (ko) * 2019-01-30 2020-08-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20200097374A (ko) 2019-02-07 2020-08-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TWI703370B (zh) * 2019-02-22 2020-09-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陣列基板
JP2020148942A (ja) 2019-03-14 2020-09-17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CN110504287B (zh) * 2019-08-09 2020-10-16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及电子设备
KR20210025748A (ko) 2019-08-27 2021-03-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52656A (ko) * 2019-10-29 2021-05-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표시 장치
KR20210055850A (ko) 2019-11-07 2021-05-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WO2021097798A1 (zh) * 2019-11-22 2021-05-27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显示基板及其制备方法、显示装置
CN112863414A (zh) * 2019-11-26 2021-05-28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显示面板及其驱动方法
KR20210078638A (ko) 2019-12-18 2021-06-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81513A (ko) 2019-12-23 2021-07-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및 이를 구비한 전자 기기
KR20210131489A (ko) * 2020-04-23 2021-1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기기
CN114360378B (zh) * 2021-12-31 2023-11-21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70693A (en) 1991-08-19 1993-12-14 Smiths Industries, Inc. Enlarged area addressable matrix
WO2000038020A1 (fr) 1998-12-22 2000-06-29 Citizen Watch Co., Ltd. Appareil d'horlogerie
JP4126851B2 (ja) * 1999-07-21 2008-07-30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表示媒体、画像形成方法、及び画像形成装置
JP4341792B2 (ja) 1999-08-31 2009-10-07 オプトレックス株式会社 液晶表示パネル
KR100685916B1 (ko) 2000-12-22 2007-02-23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
JP4393200B2 (ja) 2002-03-26 2010-01-06 東芝モバイル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アレイ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1401B2 (en) 2016-02-16 2022-02-15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11737311B2 (en) 2016-02-16 2023-08-22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pparatus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KR20170096646A (ko) * 2016-02-16 2017-08-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장치와, 이의 제조 방법
US10134826B2 (en) 2016-04-12 2018-11-20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detour lines
US10297655B2 (en) 2016-04-12 2019-05-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12004397B2 (en) 2016-04-12 2024-06-0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11631730B2 (en) 2016-04-12 2023-04-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US10854705B2 (en) 2016-04-12 2020-12-0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apparatus
WO2019199139A1 (ko) * 2018-04-13 2019-10-17 삼성전자 주식회사 표시 영역에 의해 둘러싸인 홀 영역을 우회하는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335764B2 (en) 2018-04-13 2022-05-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including plurality of wirings bypassing hole area encompassed by display are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ame
US10910461B2 (en) 2018-07-03 2021-02-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825707B2 (en) 2018-07-03 2023-11-21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011595B2 (en) 2018-08-02 2021-05-18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CN110797373A (zh) * 2018-08-02 2020-02-14 三星显示有限公司 显示面板
US11659743B2 (en) 2018-08-02 2023-05-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KR20200015872A (ko) * 2018-08-03 2020-02-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US11437460B2 (en) 2019-02-27 2022-09-06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substrate hole and data lines in different layers
US11950470B2 (en) 2019-02-27 2024-04-02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with hole surrounded by data lines in different layers
CN109951951A (zh) * 2019-04-29 2019-06-28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印刷电路板及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923738A3 (en) 2009-03-11
US20080117497A1 (en) 2008-05-22
EP1923738A2 (en) 2008-05-21
US7830591B2 (en) 2010-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45637A (ko) 액티브 매트릭스 회로 기판 및 표시 장치
JP4201041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JP4281840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JP5092479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回路基板及び表示装置
US20080225216A1 (en) Active matrix circuit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5745601B2 (ja) 液晶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841153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US8134672B2 (en) Liquid cryst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0892535B1 (ko) 액정 장치 및 전자기기
USRE45188E1 (en) Electric field driving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KR101305071B1 (ko) 어레이 기판 및 이를 갖는 표시패널
WO2007034599A1 (ja) 表示装置
CN103713431A (zh) 显示基板及具有该显示基板的液晶显示面板
JP2018036315A (ja) 表示装置
JP5484575B2 (ja) 表示装置
US20080224990A1 (en) Active matrix circuit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07094089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US20220283457A1 (en)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JP2007094025A (ja)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JPWO2012002043A1 (ja) 表示装置
KR20180024687A (ko) 표시패널 및 이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1944363B1 (ko)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85766B1 (ko) 표시장치
JP5581591B2 (ja) 電気光学装置、電子機器
CN111108432A (zh) 一种显示屏及终端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