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40004A -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40004A
KR20080040004A KR1020087006586A KR20087006586A KR20080040004A KR 20080040004 A KR20080040004 A KR 20080040004A KR 1020087006586 A KR1020087006586 A KR 1020087006586A KR 20087006586 A KR20087006586 A KR 20087006586A KR 20080040004 A KR20080040004 A KR 200800400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compound
dimethylthieno
pyrimidine
di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6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57709B1 (ko
Inventor
한철규
윤정혁
김남두
김진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큐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큐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큐스팜
Publication of KR20080040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400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7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77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2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 C07D22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211/00 - C07D219/00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21/20Spiro-condensed ring system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14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or physical composition or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or by the simultaneous addition of the electroluminescent material in or onto the light sourc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10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 H10K85/111Organic polymers or oligomers comprising aromatic, heteroaromatic, or aryl chains, e.g. polyaniline, polyphenylene or polyphenylene vinylene
    • H10K85/115Polyfluorene;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7Electroluminesc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Other In-Based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제로 유용한 5,6-디메틸 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C형 간염바이러스 (Hepatitis C virus ; HCV)의 증식억제 효과가 뛰어난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신규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및 그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그의 제조방법과 하기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화학식 1 로 표시되는 신규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HCV)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도 적으므로 C형 간염의 예방과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5,6-DIMETHYLTHIENO[2,3-DI] PYRIMIDINE DERIVATIVES, TH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FOR ANTI-VIRUS}
본 발명은 항바이러스제로 유용한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C형 간염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 HCV)의 증식억제 효과가 뛰어난 신규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C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Hepatitis C Virus; HCV)는 플라비바이러스(Flavivirus) 과에 속하는 막이 있는 바이러스이다. 게놈은 (+)-RNA(plus-strand RNA)로서 그 크기가 9.6kb이며 3,010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다단백질(poly-protein)을 발현한다. 이 다단백질은 숙주 세포와 바이러스의 효소에 의해 3개의 구조 단백질과 6개의 비구조 단백질로 분리된다.
HCV 게놈의 5'과 3' 말단에는 거의 모든 유전형(genotype)의 염기 서열이 동일하게 유지된 비해독 부위가 있다. 5' 말단에서는 330∼341개의 뉴클레오티드가, 그리고 3' 말단에서는 폴리 A(poly A) 뒤에 98개의 뉴클레오티드가 최근 발견되었 는데, 이곳이 바이러스의 RNA 복제나 해독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 된다. 바이러스 게놈의 아미노 말단은 바이러스 구조 단백질인 중심 항원 유전자(Core), E1, E2를 만들고 나머지 부위는 비구조 단백질을 만들게 된다. 중심 항원 유전자는 바이러스의 캡시이드(Capsid) 단백질, E1과 E2는 바이러스의 외피 단백질로 되어 있고 이들 단백질은 내형질쇄막(endoplasmic reticulum)에 있는 신호 펩티드 분해효소(signal peptidase)에 의해 분리된다. 비구조 단백질은 세린 단백질 분해효소 (serine protease)인 NS3과 보조인자(cofactor)인 NS4A에 의해 분리된다. NS5B는 RNA-의존적인 RNA 중합효소(RNA-dependent RNA polymerase) 기능을 갖고 있으며 바이러스 복제에 가장 중요한 효소이다.
HCV에 의한 감염은 수혈 및 지역 특이적 전염(community-acquired)에 의해 일어나고, 신장 투석에 의해 약 70% 정도가 감염된다는 보고가 있다. HCV에 감염이 되면 약 20% 정도가 5년 내에 간경화를 수반한 급성 간염을 일으키게 되고 간암으로 전이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고문헌: Davis et al, New. Engl. J. Med., 321, 1501, 1989; Alter et al, in Current Pespective in Hepatology, p83, 1989) 이러한 높은 만성 감염율은 RNA 바이러스에서 보기 드문 일로서 HCV가 높은 비율의 간암을 일으키는 매개체임을 보여주고 있다. HCV의 지속적인 감염 기작에 대해서는 연구된 바가 없다. 최근에는 모든 혈액에 대해서 HCV 검사가 잘 이루어지고 있어 수혈로 인한 감염은 현저히 줄어들었지만 지역 특이적 감염은 아직 조절할 수가 없어 전 세계적으로 중요한 문제점으로 대두되고 있다.
역학적으로 볼 때 HCV는 HBV와 달리 전 세계에 골고루 분포되어 있고 전 세 계 인구의 1.5∼2%가 감염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HCV에 감염되면 만성 간염으로 진행되는 것이 특징인데 간경화 및 간암으로 전이되는 확률이 B형보다 상당히 높다. C형은 분류학적으로도 B형과는 전혀 다른 바이러스과에 속하기 때문에 B형 백신으로는 예방이 불가능하며 알파-인터페론(α-IFN)으로 치료를 시도하고 있으나 유전형에 따라 반응이 현저히 다르고 효과가 극히 미약하다. 특히 많은 수가 감염되어 있는 유전형 1b(genotype 1b)의 경우 알파-인터페론 치료 효과가 가장 미약하다.
HCV는 1989년 처음으로 클로닝에 의해 RNA 게놈(genome)이 분리된 이후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지만 아직까지 효과적인 치료제는 개발되지 못하고 있다. 현재 HCV 감염에 대한 치료제로, 인터페론과 항바이러스제인 리바비린(ribavirin) 병용요법이 사용되고 있지만, 치료율이 낮고 부작용이 나타나므로 그 효과가 미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HCV 감염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추가의 화합물들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부작용 및 독성이 적고, HCV에 대해 우수한 항바이러스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에서 HCV 증식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밝힘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기술적 과제
본 발명의 목적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HCV 증식효과가 우수한 C 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술적 해결방법
본 발명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포함하는 HCV 증식효과가 우수한 C 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유리한 효과
본 발명의 신규한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도 적으므로, C형 간염의 예방제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2
R2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3
,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4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5
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염으로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리산(free acid)에 의해 형성된 산 부가염이 유용하다. 화학식 1의 화합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인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유리산으로는 유기산과 무기산을 사용할 수 있으며, 무기산으로는 염산, 브롬산, 황산, 인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유기산으로는 구연산(Citric acid), 초산, 젖산, 주석산(Tartaric acid), 말레인산, 푸마르산(Fumaric acid), 포름산, 프로피온산(Propionic acid), 옥살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벤조산, 글루콘산, 메탄설폰산, 글리콜산, 숙신산, 4-톨루엔설폰산, 글루탐산 또는 아스파르트산 등을 사용할 수있다.
또한, 본 발명은
1) 화합물 2의 2,4-디클로로-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과 화합물 3의 치환된 아닐린을 반응시켜서 화합물 4의 4번 위치가 아닐린 유도체가 치환된 2-클로로-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을 얻는 단계;
2) 상기 화합물 4에 피페라진 (화합물 5)과 반응을 통하여 화합물 6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화합물 6을 화합물 7과 반응시켜 목적하는 화학식 1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6
상기 반응식 1에서,
R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7
R2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8
,
Figure 112008019605812-PCT00009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0
을 나타낸다.
상기 제조방법에서 반응용매로는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아세토니트릴, N,N-디메틸포름아미드, 아세톤, 등과 같은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트리에틸아민,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N-메틸모르포린, 1-메틸피페리딘, 피리딘, 2,6-루티딘,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N,N-디메틸아닐린 등과 같은 일반적인 유기염기 존재 하에서, 0℃-150℃의 온도범위가 바람직하며, 2시간 내지 20시간 이내에 반응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화학식 1의 (5,6-디메틸-2-피페라진-1-일-티에노[2,3-디]피리미딘-4-일) 유도체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C형 간염의 치료제 또는 예방제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C형 간염 치료제로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가 가능하며 일반적인 의약품제제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은 실제 임상 투여 시에 경구 및 비경구(바람직하게는 주사제로)의 여러 가지 제형으로 투여될 수 있는데, 제제화 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는 하나 이상의 화학식 1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슈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Polyethylene glycol),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학식 1의 화합물의 유효용량은 성별, 나이, 환자의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성인에게 10 - 1000 mg/일, 바람직하게는 20 - 500 mg/일 이며, 하루에 1 - 3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를 위한 형태
이하,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5,6-디메틸-4-(4-몰폴린-4-일-페닐아미노)-티에노[2.3-디]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피리딘-2-일-메타논의 제조
2,4-디클로로-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240mg, 1.02mmol)을 50ml의 에틸알코올에 녹인 후 4-(4-모르포리노)아닐린(220.20mg, 1.23mmol)을 가한 후 탄산나트륨(130.90mg, 1.23mmol)을 가하고 환류 교반시켰다. 반응 완결 후, 반응 용매인 에틸알코올을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알코올로 결정화시켜 여과하여 430mg(정량적)의 2-클로로-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4-일-4-모폴린-4-일-페닐아민을 얻었다. 얻은 생성물(220mg, 0.53mmol)을 sealed tube에서 20ml의 1-부탄올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223㎕, 1.59mmol)과 피페라진 45.9mg을 가한 후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생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 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결정화하여 5,6-디메틸-2-피페라진-1-일-티에노[2,3-디]피리미딘-4-일-4-모폴린-4-일-페닐아민을 30mg(수율 15%)얻었다. 디메틸클로 라이드 5 ml에 얻은 화합물 5,6-디메틸-2-피페라진-1-일-티에노[2,3-디]피리미딘-4-일-4-모폴린-4-일-페닐아민(9 mg, 0.02mmol)을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3.5 ㎕, 0.02mmol)를 가한 후, 피콜리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4.1mg, 0.02mmol)을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완결 후 반응용매인 디메틸클로라이드를 감압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결정화하여 6mg의 생성물(수율 30%)을 얻었다.
1H NMR (CDCl3) ppm : 8.85-8.95(d, 1H), 8.27-8.35(m, 1H), 7.79-8.01(m, 1H), 7.60-7.79(m, 1H), 7.25-7.30(m, 2H), 6.87-6.95(m, 2H), 3.92-3.70(m, 10H), 3.40(br, 2H), 3.18-3.13(t, J=3.4Hz, 4H), 2.50(s, 3H), 2.37(s, 3H)
<실시예 2> 4-[5,6-디메틸-4-(4-몰폴린-4-일-페닐아미노)-씨에노[2.3-d]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메타논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피콜리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 대신에 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을 사용하여 생성물(수율 45%)을 얻었다.
1H NMR (CDCl3) ppm : 9.20(s, 1H), 8.99-9.05(m, 1H), 8.88-8.99(m, 1H), 8.11-8.30(m, 1H), 7.25-7.38(d, 2H), 6.85-6.95(d, 2H), 3.92-3.76(m, 10H), 3.42(br, 2H), 3.18-3.14(t, J=3.4Hz, 4H), 2.53(s, 3H), 2.39(s, 3H)
<실시예 3> 4-[5,6-디메틸-4-(4-몰폴린-4-일-페닐아미노)-티에노[2.3-디]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타논의 제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피콜리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 대신에 이소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을 사용하여 생성물( 수율 48% )을 얻었다.
1H NMR (CDCl3) ppm : 8.75(d, J=5.6Hz, 2H), 7.46(d, J=9.0Hz, 2H), 7.34(d, J=1.6Hz, 2H), 7.04(s, 1H), 6.93(d, J=8.8Hz, 2H), 3.92-3.76(m, 10H), 3.41(br, 2H), 3.19-3.14(t, J=3.4Hz, 4H), 2.51(s, 3H), 2.39(s, 3H)
<실시예 4> 4-[5,6-디메틸-4-(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2.3-디]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피리딘-2-일-메타논의 제조
2,4-디클로로-5,6-디메틸-싸이에노[2,3-d]-피리미딘(240mg, 1.02mmol)을 50ml의 에틸알코올에 녹인 후 6-모르포리노피리딘-3-아민(226.40mg, 1.26mmol)을 가한 후 탄산나트륨(130.90mg, 1.23mmol)을 가하고 환류 교반시켰다. 반응 완결 후, 반응 용매인 에틸알코올을 감압 농축한 후 에틸알코올로 결정화한 후, 여과하여 440mg (정량적)의 2-클로로-5,6-디메틸-N-(6-몰폴리노피리딘-3-일)싸이에노[2,3-d]피리미딘-4-아민을 얻었다. 얻은 생성물(200mg, 0.50mmol)을 sealed tube에서 20ml의 1-부탄올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220㎕, 1.50mmol)과 피페라진 45.9mg을 가한 후 12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완결 후, 반응 중 생긴 고체를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 시킨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결정화시켜 5,6-디메틸-N-(6-몰폴리노피리딘-3-일)-2-(피페라진-1-일)-티에노[2,3-디]피리미딘-4-아민을 25mg(수율 12%)얻었다. 디메틸클로라이드 5 ml에 얻은 화합물 5,6-디메틸-2-피페라진-1-일-티에노[2,3-d]피리미딘-4-일-4-몰폴린-4-일-페닐아민(9 mg, 0.02mmol)을 녹이고 트리에틸아민 (3.5 ㎕, 0.02mmol)를 가한 후, 피콜리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4.1mg, 0.02mmol)을 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 완결 후 반응용매인 디메틸클로라이드를 감압농축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결정화하여 7mg의 생성물(수율 35%)을 얻었다.
1H NMR (CDCl3) ppm : 9.05(s, 1H), 8.85-8.95(d, 1H), 8.27-8.35(m, 1H), 7.79-8.01(m, 1H), 7.60-7.79(m, 1H), 7.25-7.30(m, 1H), 6.87-6.95(m, 1H), 3.72-3.50(m, 8H), 3.22-3.45(m, 8H), 2.40(s, 3H), 2.27(s, 3H), 1.59-1.51(m, 6H)
<실시예 5> 4-[5,6-디메틸-4-(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2.3-디]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일-메타논의 제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피콜리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 대신에 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을 사용하여 생성물( 수율 35% )을 얻었다.
1H NMR (CDCl3) ppm : 9.17(s, 1H), 8.85-8.95(d, 1H), 8.27-8.35(m, 1H), 7.79-8.01(m, 1H), 7.60-7.79(m, 1H), 6.99-6.99(d, 1H), 6.65-6.77(d, 1h), 3.51-3.70(m, 8H), 3.23-3.46(m, 8H), 2.41(s, 3H), 2.25(s, 3H), 1.59-1.52(m, 6H)
<실시예 6> 4-[5,6-디메틸-4-(6-몰폴리노피리딘-3-일아미노)-티에노[2.3-디]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일-피리딘-4-일-메타논의 제조
실시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피콜리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 대신에 이소니코티노일 클로라이드 염산염을 사용하여 생성물( 수율 42% )을 얻었다.
1H NMR (CDCl3) ppm : 9.17(s, 1H), 8.85-8.92(d, 2H), 7.83-8.01(d, 2H), 6.99-6.79(d, 1H), 6.77-6.65(d, 1H), 3.70-3.51(m, 8H), 3.22-3.47(m, 8H), 2.45(s, 3H), 2.27(s, 3H), 1.56-1.58(m, 6H)
<실험예 1 > HCV 리플리콘 저해시험 결과
본 발명의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6-디메틸티에닐[2,3-디]피리미딘 유도체들의 HCV 리플리콘 저해활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순서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HCV 저해 활성 시험을 위해 사용한 리플리콘은 NK-R2AN이며 해당 리플리콘은 HCV IRES, neomycin resistance gene, FMDV 2A protease, renilla luciferase, EMCV IRES, HCV 비구조단백질 NS3부터 NS5B, HCV 3'non-translated region(NTR)의 순으로 구성되어 있다. 24well 플레이트에 C형 간염바이러스 리플리콘 NK-R2AN을 유지하고 있는 간암 세포주인 Huh-7 세포주를 각 웰 당 3만개 정도를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37℃의 CO2 배양기 안에서 배양하여 세포가 플레이트 바닥에 고정되도록 한다. 배양배지는 DMEM 동물세포 배양배지로서 최종농도 10%의 fetal bovine serum, 1% penicillin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배지이다. 시험하고자 하는 화합물을 DMSO를 용매로 녹여 원하는 농도로 각 웰에 분주한다. 이때 각 웰에 들어가는 DMSO의 양이 동일하게 하여 각 웰의 DMSO 최종농도가 0.5%가 되도록 한다. DMEM 동물세포 배양배지로서 최종농도 2%의 fetal bovine serum, 1% penicillin streptomycin을 포함하는 배지에서, 48시간 동안 섭씨 37도의 CO2 배양기 안에서 배양한 후, 각 배지를 흡입하여 없애고 PBS 용액으로 씻어준 후 Renilla luciferase assay를 위한 cell lysis-buffer 60㎕를 각 well에 분주하고 상온에서 30분간 배양하여 세포의 lysis가 일어나도록 한다.
Cell lysis 용액 중 5㎕를 취하여 renilla luciferase substrate 용액 30㎕를 첨가하여 renilla luciferase activity를 측정한다. Cell lysis 용액 중 20㎕를 취하여 Bradford assay를 수행하여 단위 cell lysis 용액당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고, Bradford assay를 통하여 측정한 단백질의 양으로 renilla luciferase activity를 나누어 cell mass대비 리포터 발현여부를 계산한다. 측정된 C형 간염바이러스 증식 정도와 사용한 화합물의 농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Graphpad사의 Prism4 T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저해 결과를 분석하였다.
표1은 상기 실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HCV 리플리콘 저해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1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HCV의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가 우수하므로 이를 기전으로 HCV 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따라서 C형 간염의 예방제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험예 2> 세포독성 실험
화학식 1의 화합물들이 세포독성(Cytotoxicity)을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Hep G2 세포를 이용하여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MTT 분석방법으로 시험관내( in vitro)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험에 사용된 화합물들은 모두CC50 값이 100 ㎍/㎖이상으로서, 세포에 대한 독성이 매우 적은 물질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신규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는, C형 간염 바이러스 (HCV)의 증식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고 독성도 적으므로, C형 간염의 예방제 및 치료제로서 유 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Claims (3)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그의 염:
    <화학식 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2
    상기 화학식 1에서,
    R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3
    R2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4
    ,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5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6
    을 나타낸다.
  2. 하기 반응식 1에서 표시된 바와 같이,
    1) 화합물 2의 2,4-디클로로-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과 화합물 3의 치환된 아닐린을 반응시켜서 화합물 4의 4번 위치가 아닐린 유도체가 치환된 2-클로로-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을 얻는 단계;
    2) 상기 화합물 4에 피페라진 (화합물 5)과 반응을 통하여 화합물 6을 얻는 단계; 및
    3) 상기 화합물 6을 화합물 7과 반응시켜 목적하는 화학식 1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의 제조방법.
    <반응식 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7
    상기 반응식 1에서,
    R1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8
    R2
    Figure 112008019605812-PCT00019
    ,
    Figure 112008019605812-PCT00020
    Figure 112008019605812-PCT00021
    을 나타낸다.
  3. 제 1항의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C형 간염의 치료, 예방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87006586A 2004-09-24 2005-09-23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9577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40077214 2004-09-24
PCT/KR2005/003170 WO2006080638A1 (en) 2004-09-24 2005-09-23 New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40004A true KR20080040004A (ko) 2008-05-07
KR100957709B1 KR100957709B1 (ko) 2010-05-12

Family

ID=36090285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991A KR100642996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9)
KR1020050088891A KR100645026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6)
KR1020050088990A KR100775738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10)
KR1020087006586A KR100957709B1 (ko) 2004-09-24 2005-09-23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20050088992A KR100642995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8)
KR1020050088890A KR100645028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7)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991A KR100642996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9)
KR1020050088891A KR100645026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6)
KR1020050088990A KR100775738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10)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8992A KR100642995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8)
KR1020050088890A KR100645028B1 (ko) 2004-09-24 2005-09-23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7)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7824779B2 (ko)
EP (5) EP1791927B1 (ko)
JP (5) JP4782129B2 (ko)
KR (6) KR100642996B1 (ko)
CN (5) CN101010406B (ko)
TW (5) TWI296281B (ko)
WO (5) WO200608064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24779B2 (en) * 2004-09-24 2010-11-02 Lg Chem, Ltd.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KR101251623B1 (ko) 2004-11-30 2013-04-08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소자 및 발광 장치
JP4790260B2 (ja) * 2004-12-22 2011-10-12 出光興産株式会社 アントラセン誘導体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1288588B1 (ko) * 2005-08-12 2013-07-22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아릴아민 화합물 및 그의 합성 방법
US7622584B2 (en) * 2006-11-24 2009-11-24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Imidazopyridine-based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including organic layer comprising the imidazopyridine-based compound
KR100939627B1 (ko) 2006-12-01 2010-0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KR100852118B1 (ko) * 2007-03-13 2008-08-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미다조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막을구비한 유기 발광 소자
US7862908B2 (en) * 2007-11-26 2011-01-04 National Tsing Hua University Conjugated compounds containing hydroindoloacridine structural elements, and their use
TWI385235B (zh) * 2008-07-22 2013-02-11 Ind Tech Res Inst 有機化合物及包含其之有機電激發光裝置
US8632893B2 (en) 2008-07-22 2014-01-2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Organic compound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evice employing the same
KR101317501B1 (ko) 2009-01-09 2013-1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그 유도체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KR101092170B1 (ko) * 2009-05-27 2011-12-1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카바졸계 포스핀 옥사이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120892B1 (ko) * 2009-06-19 2012-02-27 주식회사 두산 아크리딘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408515B1 (ko) 2009-07-01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CN102597121B (zh) * 2009-10-27 2015-04-22 三星电子株式会社 阳极缓冲层用组合物、阳极缓冲层用高分子化合物、有机电致发光元件、其制造方法及其用途
KR101231931B1 (ko) * 2009-11-13 2013-02-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축합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자소자
KR101717988B1 (ko) * 2010-03-31 2017-03-22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스피로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WO2011155169A1 (ja) 2010-06-07 2011-12-15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クリダン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2050782A (zh) * 2010-12-20 2011-05-11 南京方圆环球显示技术有限公司 螺芴吖啶中间体的制备方法
WO2012150001A1 (de) * 2011-05-05 2012-11-08 Merck Patent Gmbh Verbindungen für elektronische vorrichtungen
KR102014552B1 (ko) 2011-05-05 2019-10-21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전자 소자용 화합물
CN102229565A (zh) * 2011-05-10 2011-11-02 南京邮电大学 螺芴二苯并吖啶类有机半导体材料及其制备和应用方法
KR102006506B1 (ko) * 2011-07-15 2019-08-01 가부시키가이샤 큐럭스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및 그것에 사용하는 화합물
KR20130049075A (ko) 2011-11-03 2013-05-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발광 소자
US20150060803A1 (en) * 2012-04-10 2015-03-05 Hodogaya Chemical Co., Ltd. Compound having acridan ring structure,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WO2014058123A1 (ko) 2012-10-08 2014-04-17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JP6370225B2 (ja) * 2013-01-17 2018-08-08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インデノアクリダン環構造を有する化合物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104981471B (zh) * 2013-02-07 2017-03-08 株式会社Lg化学 杂环化合物及使用其的有机发光元件
KR102249277B1 (ko) * 2013-05-15 2021-05-07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유기발광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152012B1 (ko) * 2013-09-11 2020-09-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형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다이오드소자
KR101408632B1 (ko) 2013-10-24 2014-06-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KR101550523B1 (ko) 2014-01-22 2015-09-07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자 소자
JP5867840B1 (ja) * 2014-03-11 2016-02-24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アザフルオレン環構造を有するスピロ化合物、発光材料およ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3020782B1 (en) * 2014-11-11 2018-08-01 SFC Co., Ltd. An electroluminescent compound and an electroluminescent device comprising the same
CN105655496B (zh) * 2014-11-14 2018-11-23 Sfc株式会社 有机发光化合物及包含它的有机电致发光元件
WO2016204453A1 (ko) * 2015-06-19 2016-12-22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TWI629271B (zh) * 2015-09-30 2018-07-11 Lg化學股份有限公司 具有螺環接結構的化合物、含有其的有機發光裝置、顯示裝置及照明裝置
KR101742436B1 (ko) 2015-12-15 2017-05-31 주식회사 두산 유기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8137622B (zh) * 2016-01-07 2021-07-23 广州华睿光电材料有限公司 含硅的有机化合物及其应用
KR101939182B1 (ko) * 2016-07-01 2019-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자 소자
WO2018004318A2 (ko) * 2016-07-01 2018-01-04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1939179B1 (ko) * 2016-07-01 2019-0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07586307B (zh) * 2016-07-08 2020-06-30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用于电致发光材料的硅芴衍生物
KR101869657B1 (ko) 2016-08-09 2018-06-21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 소자
CN106349251B (zh) * 2016-08-23 2018-07-24 中节能万润股份有限公司 一种包含4,5-二氮杂螺式硫杂蒽结构有机电致发光材料及其应用和器件
KR102103620B1 (ko) * 2016-09-06 2020-04-22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KR101941148B1 (ko) * 2016-09-22 2019-01-23 주식회사 엘지화학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KR102042330B1 (ko) 2017-01-10 2019-11-06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CN109863153B (zh) * 2017-02-28 2021-09-21 株式会社Lg化学 杂环化合物和包含其的有机发光器件
CN108623594B (zh) * 2017-03-22 2019-09-17 中国科学院化学研究所 一种螺环芳香稠环酰亚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
WO2018216913A1 (ko) * 2017-05-22 2018-11-29 주식회사 엘지화학 신규한 헤테로고리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발광 소자
KR102134960B1 (ko) 2017-07-11 2020-07-16 주식회사 엘지화학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
JP2021501198A (ja) * 2017-10-27 2021-01-14 トランスフュージョン ヘルス,リミティド ライアビリティ カンパニー フルオレンの誘導体を用いて造血幹細胞を増殖する組成物および方法
KR102485831B1 (ko) * 2017-11-10 2023-01-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함질소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 전계 발광 소자
CN109867652B (zh) * 2017-12-04 2023-11-10 Cmdl有限公司 新型有机化合物及包含其的有机电致发光器件
KR102254304B1 (ko) * 2018-02-28 2021-05-20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KR102308281B1 (ko) 2018-11-06 2021-10-0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기 발광 소자
CN110872315A (zh) * 2019-11-29 2020-03-10 浙江华显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有机化合物和使用该化合物的有机电致发光器件
CN116063267A (zh) * 2022-09-28 2023-05-05 上海钥熠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螺环类化合物及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502728A (ja) * 1991-11-07 1995-03-23 ザ ダウ ケミカル カンパニー 塩素化プロセス、前記プロセスの生成物のアルキル化およびその製品
DE4442050A1 (de) * 1994-11-25 1996-05-30 Hoechst Ag Heterospiroverbindungen und ihre Verwendung als Elektrolumineszenzmaterialien
US5763636A (en) * 1995-10-12 1998-06-09 Hoechst Aktiengesellschaft Polymers containing spiro ato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as electroluminescence materials
US6309763B1 (en) * 1997-05-21 2001-10-30 The Dow Chemical Company Fluorene-containing polymers and electroluminescent devices therefrom
US6133271A (en) * 1998-11-19 2000-10-17 Cell Pathways, Inc. Method for inhibiting neoplastic cells and related conditions by exposure thienopyrimidine derivatives
JP4024009B2 (ja) * 2000-04-21 2007-12-19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WO2002043449A1 (fr) * 2000-11-24 2002-05-30 Toray Industries, Inc. Materiau luminescent et element luminescent contenant celui-ci
US6630254B2 (en) * 2001-04-10 2003-10-07 National Research Council Of Canada Conjugated polycarbazole derivatives i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TWI249542B (en) 2001-11-09 2006-02-21 Sumitomo Chemical Co Polymer compound and polymer light-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JP4585750B2 (ja) * 2002-08-27 2010-11-24 キヤノン株式会社 縮合多環化合物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発光素子
US7014925B2 (en) * 2003-04-29 2006-03-21 Canon Kabushiki Kaisha Heterogeneous spiro compounds in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elements
CN1977244A (zh) 2004-06-29 2007-06-0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安全闪存
JP2006080637A (ja) 2004-09-07 2006-03-23 Canon Inc 画像記録再生装置、音声再生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824779B2 (en) * 2004-09-24 2010-11-02 Lg Chem, Ltd. Compound and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1621A (ko) 2006-05-19
US7811682B2 (en) 2010-10-12
EP1794260A4 (en) 2008-06-11
KR100642995B1 (ko) 2006-11-10
EP1791927B1 (en) 2012-01-11
EP1791927A1 (en) 2007-06-06
WO2006080637A1 (en) 2006-08-03
CN101010405B (zh) 2011-01-05
CN101006158B (zh) 2010-09-08
TW200619186A (en) 2006-06-16
CN101035878B (zh) 2011-09-14
WO2006080646A1 (en) 2006-08-03
EP1791928A4 (en) 2008-06-11
CN101010406B (zh) 2011-01-05
TWI296281B (en) 2008-05-01
JP4786659B2 (ja) 2011-10-05
WO2006080645A1 (en) 2006-08-03
KR20060051620A (ko) 2006-05-19
US7785720B2 (en) 2010-08-31
TW200619185A (en) 2006-06-16
JP4642850B2 (ja) 2011-03-02
JP4782130B2 (ja) 2011-09-28
KR20060051619A (ko) 2006-05-19
EP1791926B1 (en) 2016-08-31
JP2008510801A (ja) 2008-04-10
CN101010405A (zh) 2007-08-01
EP1794260B1 (en) 2011-11-09
TWI308141B (en) 2009-04-01
JP2008511162A (ja) 2008-04-10
EP1794259A1 (en) 2007-06-13
EP1791926A1 (en) 2007-06-06
EP1794260A1 (en) 2007-06-13
TW200619349A (en) 2006-06-16
TW200619184A (en) 2006-06-16
US20080008907A1 (en) 2008-01-10
CN101006160B (zh) 2010-11-17
KR20060051612A (ko) 2006-05-19
CN101010406A (zh) 2007-08-01
US7824779B2 (en) 2010-11-02
EP1791928B1 (en) 2012-01-11
EP1791928A1 (en) 2007-06-06
JP2008511155A (ja) 2008-04-10
EP1794259A4 (en) 2008-06-11
KR20060051613A (ko) 2006-05-19
TW200621939A (en) 2006-07-01
JP2008511156A (ja) 2008-04-10
US20080303434A1 (en) 2008-12-11
JP2008511161A (ja) 2008-04-10
US20080093983A1 (en) 2008-04-24
TWI299054B (en) 2008-07-21
CN101006160A (zh) 2007-07-25
US20090045721A1 (en) 2009-02-19
CN101006158A (zh) 2007-07-25
WO2006080638A1 (en) 2006-08-03
TWI308142B (en) 2009-04-01
EP1794259B1 (en) 2012-01-11
KR100642996B1 (ko) 2006-11-10
CN101035878A (zh) 2007-09-12
US20070292715A1 (en) 2007-12-20
KR100775738B1 (ko) 2007-11-09
TWI302907B (en) 2008-11-11
KR100645026B1 (ko) 2006-11-10
JP4782129B2 (ja) 2011-09-28
KR100645028B1 (ko) 2006-11-10
EP1791926A4 (en) 2008-06-11
JP4787259B2 (ja) 2011-10-05
US7816019B2 (en) 2010-10-19
KR100957709B1 (ko) 2010-05-12
EP1791927A4 (en) 2008-06-11
US7820306B2 (en) 2010-10-26
WO2006033564A1 (en) 2006-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7709B1 (ko) 5,6-디메틸티에노[2,3-디]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JP4767321B2 (ja) 5,6−ジメチルチエノ[2,3−d]ピリミジン誘導体、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含む抗ウイルス用薬学的組成物
JP2008507518A (ja) C型肝炎を治療するためのチエノピリジン
JP2008184403A (ja) 新規c型肝炎ウイルス阻害剤
CN108794487A (zh) 双并环类核衣壳抑制剂和其作为药物用于治疗乙型肝炎的用途
WO2004058150A2 (en) Anti-infectives
KR100516434B1 (ko) 6-(4-치환된-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90893B1 (ko) 2-메톡시-1,3,5-트리아진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CN108201539B (zh) 联苯核苷氨基磷酸酯化合物的应用
KR20110040384A (ko) 신규한 2-페닐-벤즈이미다졸 또는 2-페닐-벤즈옥사졸 유도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02394B1 (ko) 2-[2-(4-모르포리노)에틸아미노]피리딘 유도체, 그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16432B1 (ko) 2-(4-치환된-아닐리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02395B1 (ko) 4-[4-(4-모르포리노)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61081B1 (ko) 항바이러스제로 유용한 6-메틸니코틴아미드 유도체
KR100575344B1 (ko) C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53946B1 (ko) 6-메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90892B1 (ko) 4-(4-치환된-아닐리노)피리미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798634B1 (ko) C형 간염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57857B1 (ko) 2-[2-(3-인돌릴)에틸아미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638709B1 (ko) N-치환된- 설파모일벤조산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69085B1 (ko) 3,4,5-트리플루오로피리딘 유도체, 그의 제조방법 및 이를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KR100446669B1 (ko) 2-(헤테로사이클릭-알킬아미노)피리딘 유도체, 그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CN112679489A (zh) N-磺酰基杂环衍生物及其制药用途
KR20120048223A (ko) 2-페닐-4-[3-(치환된-설포닐)아닐리노]퀴나졸린 유도체,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c형 간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030079393A (ko) 2-(2-치환된-아닐리노)피리딘 유도체, 그 제조방법 및이를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약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