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30547A -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30547A
KR20080030547A KR20077008616A KR20077008616A KR20080030547A KR 20080030547 A KR20080030547 A KR 20080030547A KR 20077008616 A KR20077008616 A KR 20077008616A KR 20077008616 A KR20077008616 A KR 20077008616A KR 20080030547 A KR20080030547 A KR 200800305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movement
piezoelectric element
supply
supply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70086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히코 기쿠치
노부유키 히로세
Original Assignee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30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05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6Drive circuits; Control arrangements or methods
    • H02N2/062Small signal circuits; Means for controlling position or derived quantities, e.g. for removing hysteresi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2/00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 H02N2/02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 H02N2/021Electric machines in general using piezoelectric effect,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producing linear motion, e.g. actuators; Linear positioners ; Linear motors using intermittent driving, e.g. step motors, piezoleg motors
    • H02N2/025Inertial sliding mo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Studio Devices (AREA)
  • General Electrical Machinery Utilizing Piezoelectricity, Electrostriction Or Magnetostriction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압전 소자(13a)와, 압전 소자(13a)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13b)과, 구동축(13b)과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구동축(13b)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부(13c)와,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부(24)를 구비하고,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이동부(13c)의 이동 방향에 따른 전력의 공급 시간의 조정량을 산출하는 전처리 모드와 이동 방향 및 조정량에 기초하여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제어를 행하는 이동 제어 모드를 동작 모드로서 가지며, 전처리 모드에 있어서 기단 센서(15)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제어를 행함으로써 기단 위치(15a)를 기준으로 하여 이동부(13c)로 하여금 왕복 이동하게 하고,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공급 시간과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조정량을 산출한다.
왕복 이동, 압전 소자, 오토포커스, 카메라, 마찰력, 기단, 전력 공급

Description

구동 장치{DRIVE}
본 발명은 압전 소자를 구비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촬영 렌즈의 초점 검출을 자동으로 행하는 오토포커스 기능을 탑재한 소형 디지털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렌즈 구동 장치로서 압전 소자와, 압전 소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축과, 렌즈를 지지하는 이동부를 구비하고, 구동축과 이동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이용하여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 참조).
압전 소자의 신장량과 압축량에는 개체 간에서 불균일이 있으므로, 구동 장치의 개체 간에는 구성 부품인 압전 소자의 개체 차로 인해 이동부의 이동 방향마다의 이동량에 불균일이 발생한다. 또한 구동 장치는 자신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구동축과 이동부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의 크기가 변화하므로, 자신의 자세의 변화에 따라 이동부의 이동 방향마다의 이동량에 변화가 발생한다. 또한 구동 장치는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의 변화에 대해서도 이동부의 이동 방향마다의 이동량에 변화가 생긴다. 따라서, 종래의 구동 장치는 이동부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하여 엔코더 등의 정밀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고, 위치 검출기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이동부의 구동을 피드백 제어함으로써 이동부의 정밀한 위치 결정을 실현하고 있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 4-69070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 8-149860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구동 장치에 있어서는, 이동부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부품 수의 증가를 초래하며, 소형화, 경량화가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소정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소정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압전 소자에의 전력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공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압전 소자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부로 하여금 왕복 이동하게 하는 전처리 모드와, 상기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상기 압전 소자에의 상기 전력의 공급 시간과 상기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상기 압전 소자에의 상기 전력의 공급 시간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압전 소자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갖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이동부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 등의 정밀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장치의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모드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과 상기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방향에 따른 상기 공급 시간의 조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조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이동부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 등의 정밀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다른 위치에 상기 이동부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모드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타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와 상기 다른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이동부로 하여금 상기 왕복 이동하게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하게 이동부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동 장치의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과 상기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과 상기 소정의 거리 및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구동 장치는, 이동부의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으므로 보다 정밀하게 이동부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구동 장치와 상기 이동부에 지지된 렌즈를 구비한 구성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촬상 장치는, 이동부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 등의 정밀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는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블럭도.
도 2의 (a)는 도 1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의 인출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때 압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보인 도면, (b)는 도 1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포커스 렌즈의 인입 방향으로 포커스 렌즈를 이동시킬 때 압전 소자에 공급되는 전압을 보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압전 소자에의 전압의 공급 시간에 대한 구동축 및 이동부의 변위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압전 소자에의 전압의 공급 시간에 대한 포커스 렌즈의 인출 방향과 인입 방향에서의 이동부의 변위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한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오토포커스 시의 흐름도.
도 6은 도 5에 도시한 전처리 모드의 흐름도.
도 7은 도 5에 도시한 이동 제어 모드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오토포커스 시의 전처리 모드의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오토포커스 시의 이동 제어 모드의 흐름도.
<부호의 설명>
10 : 오토포커스 카메라(촬상 장치) 11 : 포커스 렌즈
13a : 압전 소자 13b : 구동축(구동부)
13c : 이동부 15 : 기단 센서(소정 위치 검출 수단) 15a : 기단 위치(소정의 위치) 16 : 선단 센서(타 위치 검출 수단)
16a : 선단 위치(다른 위치)
24 : 마이크로컴퓨터부(공급 제어 수단)
30 : 구동 장치 L : 소정의 거리
R : 왕복 시간비(조정량) R1 : 이동 속도
R2 : 이동 속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로서의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포커스 렌즈(11)와, 광을 차단하는 차폐판(12a)을 가진 렌즈 경통(12)과, 포커스 렌즈(11)의 광축 방향인 화살표(10a, 10b)로 나타낸 방향으로 렌즈 경통(12)을 구동하는 임팩트형 액추에이터(13)와, 차폐판(12a)의 이동 가능 범위의 기단(基端) 위치(15a)에 배치되어 차폐판(12a)에 의해 광 경로가 차단됨으로써 차폐판(12a)이 기단 위치(15a)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로 이루어지는 기단 센서(15)와, 차폐판(12a)의 이동 가능 범위의 선단 위치(16a)에 배치되어 차폐판(12a)에 의해 광 경로가 차단됨으로써 차폐판(12a)이 선단 위치(16a)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포토 인터럽터로 이루어지는 선단 센서(16)와, 포커스 렌즈(11)에 의해 결상한 화상을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17)와, 임팩트형 액추에이터(13)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회로(18)와, CCD(17)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에 기초하여 화상 처리를 행하는 화상 처리 IC(Integrated Circuit)(2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화살표(10a)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와 화살표(10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와의 사이에서 오토포커스에 있어서 제어 단위 시간의 조정을 행할 것인지 여부를 전환하는 수단인 전환 수단(18a)을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환 수단(18a)은 구동 회로(18)에 내장되어 있는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환 수단(18a)은 예를 들어 구동 회로(18)와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여기서 임팩트형 액추에이터(13)는, 화살표(10a)로 나타낸 방향으로 연장되고 화살표(10a)로 나타낸 방향과 반대 방향인 화살표(10b)로 나타낸 방향으로 수축하는 압전 소자(13a)와, 압전 소자(13a)와 결합하여 압전 소자(13a)에 의해 화살표(10a, 10b)로 나타낸 방향으로 구동되는 구동부로서의 구동축(13b)과, 렌즈 경통(12)이 고정되며, 구동축(13b)과 마찰 결합하여 구동축(13b)에 대하여 화살표(10a, 10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13c)를 가지고 있다.
한편, 기단 센서(15)는, 이동부(13c)가 소정의 위치인 기단 위치(15a)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소정 위치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선단 센서(16)는, 기단 위치(15a)로부터 소정의 거리(L)(수 백 μm∼수 mm)만큼 이격된 다른 위치인 선단 위치(16a)에 이동부(13c)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타 위치 검출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 IC(20)는, 기단 센서(15) 및 선단 센서(16)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여 구동 회로(18)에의 신호를 출력하는 입출력 회로(21)와, CCD(17)를 제어하는 CCD 제어 회로(22)와, CCD(17)로부터 출력된 영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으로부터 초점 평가값을 얻는 신호 처리부(23)와, 신호 처리부(23)에 의해 얻어진 초점 평가값에 기초하여 입출력 회로(21)를 통하여 구동 회로(18)의 동작을 제어하여 영상 콘트라스트 방식의 오토포커스를 행하는 마이크로컴퓨터부(24)와, 마이크로컴퓨터부(24)의 동작 프로그램 등을 기억한 ROM(Read Only Memory)(25)과, 마이크로컴퓨터부(24)의 작업 영역인 RAM(Random Access Memory)(26)과, ROM(25) 및 RAM(26)을 제어하는 메모리 컨트롤러(27)를 구비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기단 센서(15) 및 선단 센서(16)로부터 제어 단위 시간(Bc)마다 신호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구동 회로(18)에 의한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공급 제어 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구동 회로(18)에 의해 압전 소자(13a)에 전압을 공급하는 경우, 압전 소자(13a)에의 전압의 공급 시간을 제어 단위 시간의 정수 배의 시간으로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ROM(25)은, 구동 회로(18)가 압전 소자(13a)에 공급하는 전압의 파형 형상을 주는 신호, 즉 압전 소자(13a)의 수축, 신장의 속도나 구동 주파수를 결정하는 신호로서, 포커스 렌즈(11)의 인출 방향, 즉 화살표(10a)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도 2(a)에 도시한 신호와, 포커스 렌즈(11)의 인입 방향, 즉 화살표(10b)로 나타낸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 사용되는 도 2(b)에 도시한 신호를 기억하고 있다. 여기서, 도 2에 도시한 신호는, 예를 들어 포커스 렌즈(11), 렌즈 경통(12) 및 이동부(13c)의 관성 질량과, 구동축(13b) 및 이동부(13c)의 사이에 발생하는 움직임 마찰력, 정지 마찰력 등의 부하와, 압전 소자(13a)의 추력 및 이동부(13c)의 이동 속도에 기초하여 오토포커스 카메라(10)가 안정적으로 동작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도 2(a)에 도시한 신호의 주기와 도 2(b)에 도시한 신호의 주기는 서로 같다.
한편, 렌즈 경통(12), 임팩트형 액추에이터(13), 기단 센서(15), 선단 센서(16), 구동 회로(18), 입출력 회로(21), 마이크로컴퓨터부(24), ROM(25), RAM(26) 및 메모리 컨트롤러(27)는 포커스 렌즈(11)를 구동하는 구동 장치(30)를 구성하고 있다.
다음, 오토포커스 카메라(1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마이크로컴퓨터부(24)가 이동부(13c)를 이동시키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압을 구동 회로(18)가 압전 소자(13a)로 인가하면, 압전 소자(13a)가 전압에 따라 신축하므로, 압전 소자(13a)와 결합한 구동축(13b)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압에 따라 이동한다. 즉, 구동축(13b)은 구동 회로(18)가 압전 소자(13a)에 인가하는 전압이 완만하게 증가할 때, 압전 소자(13a)의 신장에 따라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완만하게 이동하고, 구동 회로(18)가 압전 소자(13a)에 인가 하는 전압이 급격하게 감소할 때 압전 소자(13a)의 수축에 따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한다.
구동축(13b)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하면, 구동축(13b)과 마찰 결합한 이동부(13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한다. 즉, 이동부(13c)는 구동 축(13b)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완만하게 이동할 때 구동축(13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관성력에 대하여 크므로 구동축(13b)과 함께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완만하게 이동하고, 구동축(13b)이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급격하게 이동할 때 구동축(13b)과의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이 관성력과 균형을 이루어 이동하지 않고 구동축(13b)에 대하여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압을 구동 회로(18)가 압전 소자(13a)에 반복하여 인가하면, 이동부(13c)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완만하게 이동한다.
이상에 있어서는, 이동부(13c)가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마이크로컴퓨터부(24)로부터의 커맨드에 의해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전압을 구동 회로(18)가 압전 소자(13a)에 인가하면, 마찬가지로 이동부(13c)는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편, 압전 소자(13a)에 공급되는 전압의 1주기분의 이동부(13c)의 이동량은 수 십 nm이다. 한편, 오토포커스 카메라(10)의 오토포커스에서 필요로 하는 포커스 렌즈(11)의 이동량의 최소 단위는 1∼10μm의 범위일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13c)는 이동 개시 후의 매우 짧은 시간에 있어서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 시간에 대하여 이동량이 대략 정비례하게 될 때까지 수 주기를 요구하고 있으나, 실용적인 구동 시간에 대해서는, 구동 시간에 대하여 이동량이 대략 정비례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이동부(13c)의 이동량은 압전 소자(13a)에의 전압의 공급 시간(제어 단위 시간의 정수 배의 시간)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제어 단위 시간(Bc)은 이동부(13c)가 소정의 정지 정밀도로 이동 가능하도록 충분히 단시간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동부(13c)는, 압전 소자(13a)에의 전압의 공급 시간이 동일하여도,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할 때와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서 이동량이 다른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오토포커스 카메라(10)가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을 수직 상향으로 한 자세인 경우, 이동부(13c)는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중력을 받으므로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력을 받는 자세와 비교하여 도 4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약간 상대적으로 적게 이동하고,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방향으로 중력을 받으므로, 이동 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중력을 받는 자세와 비교하여 도 4에 파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약간 상대적으로 많이 이동한다.
다음, 마이크로컴퓨터부(24)가 오토포커스의 개시 명령을 받았을 때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기단 센서(15)에 의해 검출된 기단 위치(15a)를 기준으로 하여 이동부(13c)로 하여금 왕복 이동하게 하는 전처리 모드와,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 시간과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 시간 및 이동부(13c)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이동 부(13c)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 모드를 갖는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오토포커스의 개시 명령을 받으면,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 시간과 이동부(13c)의 이동 방향에 따른 조정량을 산출하는 전처리 모드를 개시한다(S101). 즉,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단 센서(1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기단 위치(15a)로 포커스 렌즈(11)를 이동시키고(S111), 포커스 렌즈(11)를 기단 위치(15a)로부터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제어 단위 시간(Bc)의 S1배의 시간만큼 이동시킨 후(S112), 포커스 렌즈(11)가 현재 위치에서 기단 위치(15a)로 복귀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단위 시간(Bc)의 경과 횟수(S2)를 카운트하면서 기단 센서(1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11)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기단 위치(15a)까지 이동시킨다(S113).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S113에 있어서 카운트한 S2를 S1으로 나누어서 조정량으로서의 왕복 시간비(R)를 산출하고(S114), 산출한 왕복 시간비(R)를 RAM(26)에 기억시키고(S115), 전처리 모드를 종료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전처리 모드 종료 후의 최초의 수직 귀선 시간을 계기로 하여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부(13c)의 이동 방향 및 이동부(13c)의 조정량에 기초하여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압전 소자(13a)에의 전력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이동 제어 모드를 개시한다(S102). 즉,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새로 취득한 초점 평가값과 과거에 취득한 초점 평가값을 비교하고, 초점 평가값의 변화의 크고 작음과 변동 폭에 따라 포커스 렌 즈(11)의 이동 방향과 이동량을 결정한 후, 포커스 렌즈(11)를 이동시킨다는 일련의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포커스 렌즈(11)의 위치를 초점 평가값이 최대가 되는(정점) 부근으로 수렴시킨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11)를 제어 단위 시간의 N회분의 시간만큼 이동시킬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11)의 인출 방향, 즉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121), S121에 있어서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 단위 시간(Bc)의 N회분의 시간만큼 포커스 렌즈(11)의 인출 방향, 즉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122). 한편, S121에 있어서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S115에 있어서 RAM(26)에 기억한 왕복 시간비(R)를 제어 단위 시간(Bc)에 곱한 제어 단위 시간(Bc')의 N회분의 시간만큼 포커스 렌즈(11)의 인입 방향, 즉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123).
한편, S112에서의 이동량은 연산 상의 라운딩 오차를 줄이는 등을 위하여 긴 것이 좋으나, 필요 이상으로 길게 하면 마이크로컴퓨터부(24)가 오토포커스의 개시 명령을 받고 나서 이동 제어 모드를 개시할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이하 "전처리 시간"이라고 함.)이 증가한다. 여기서, 영상 콘트라스트 방식의 오토포커스는 통상 1필드 내지 1프레임 단위로 렌즈의 이동과 초점 평가값의 판독을 반복한다. 따라서, S112에서의 이동량은 오토포커스 전체의 처리 시간에 영향을 주지 않는 1필드 내지 1프레임 이내에 전처리 시간이 종료하도록 정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오토 포커스 카메라(10)는 1/3 프레임 이내에 전처리 시간이 종료하도록 S1이 정해져 있을 수도 있다.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와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에서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어 단위 시간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 이동량의 목표값에 대한 실제의 이동량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에서 대략 같아지므로, 포커싱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이동 횟수가 이론값과 대략 같아진다. 한편,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와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에서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어 단위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도록 전환 수단(18a)에 의해 전환하면, 이동량의 목표값에 대한 실제의 이동량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에서 다른 경우, 포커싱점에 도달할 때까지의 이동 횟수가 이론값보다 대폭으로 늘어난다. 예를 들어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와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에서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어 단위 시간의 조정을 행하지 않고, 이동량의 목표값에 대한 실제의 이동량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에서 10% 다른 경우, 오토포커스의 종료에 2초 정도 필요해지는 데 반해,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와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부(13c)를 이동시킬 때에서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제어 단위 시간의 조정을 행하는 경우, 1.5초 정도이면 오토포커스를 종료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오토포커스 카메라(10) 자신의 자세의 변화나 임팩트형 액추에이터(13) 개개의 불균일이나, 온도, 습도 등의 환경의 변화 등에 따라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량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차이가 발생하여도, 발생한 차이를 오토포커스의 개시 시에 매회 조정하므로, 이동부(13c)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 등의 정밀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하지 않아도, 종래와 동일한 정도의 정밀도로 오토포커스를 실행할 수 있다. 그리고,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이동부(13c)의 실제의 위치를 순차적으로 검출하기 위한 정밀한 위치 검출기를 구비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고, 경량화, 소형화, 제조 비용의 저감 등을 실현할 수 있다.
한편,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이동부(13c)를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어 단위 시간(Bc)에 기초하여 이동부(13c)를 이동시키고, 이동부(13c)를 화살표(10b)으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어 단위 시간(Bc)에 왕복 시간비((R)(=S2/S1))를 곱한 제어 단위 시간(Bd')에 기초하여 이동부(13c)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량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발생한 차이를 감소시키고 있는데,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량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 로의 이동량에 발생한 차이를 다른 방법에 의해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이동부(13c)를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어 단위 시간(Bc)에 S1/S2을 곱한 제어 단위 시간에 기초하여 이동부(13c)를 이동시키고, 이동부(13c)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제어 단위 시간(Bc)에 기초하여 이동부(13c)를 이동시킴으로써,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량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발생한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제어 단위 시간을 조정하는 것이 아니라, 제어 단위 시간(Bc)에 기초하여 산출한 이동 시간을 조정함으로써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의 이동량과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의 이동량에 발생한 차이를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또한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기단 위치(15a)를 기준으로 하여 조정량을 산출하고 있는데, 선단 위치(16a)를 기준으로 하여 조정량을 산출하도록 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한편, 오토포커스 카메라(10)는 렌즈계 전체를 포커스 렌즈로 하였는데, 복수의 렌즈 군을 고정 렌즈와 이동 렌즈로 분할하고, 이동 렌즈 중 포커스 렌즈를 이동하여 포커스 조정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먼저,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촬상 장치인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구성은 제1 실시 형 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10)(도 1 참조)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오토포커스 카메라(10)의 구성과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ROM(25)은 기단 위치(15a)와 선단 위치(16a)와의 사이의 거리(L)를 이미 알고 있는 기계 치수 데이터로서 기억하고 있다.
다음, 마이크로컴퓨터부(24)가 오토포커스의 개시 명령을 받았을 때의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오토포커스의 개시 명령을 받으면, 도 8에 도시한 전처리 모드를 개시한다. 즉,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기단 센서(1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기단 위치(15a)로 포커스 렌즈(11)를 이동시키고(S211), 포커스 렌즈(11)가 기단 위치(15a)로부터 선단 위치(16a)에 도달하는 데 소요되는 제어 단위 시간(Bc)의 경과 횟수(S3)를 카운트하면서 선단 센서(16)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11)를 기단 위치(15a)에서 선단 위치(16a)까지 이동시킨 후(S212), 포커스 렌즈(11)가 선단 위치(16a)에서 기단 위치(15a)까지 되돌아오는 데 소요되는 제어 단위 시간(Bc)의 경과 횟수(S4)를 카운트하면서 기단 센서(15)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포커스 렌즈(11)를 선단 위치(16a)에서 기단 위치(15a)까지 이동시킨다(S213).
이어서,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S212에 있어서 카운트한 S3로 거리(L)를 나누어 조정량으로서의 이동 속도(R1)를 산출하고(S214), S213에 있어서 카운트한 S4로 거리(L)를 나누어 조정량으로서의 이동 속도(R2)를 산출하고(S215), S214에 있어서 산출한 이동 속도(R1)와 S215에 있어서 산출한 이동 속도(R2)를 RAM(26)에 기억하고(S216), 전처리 모드를 종료한다.
그리고,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전처리 모드의 종료 후의 최초의 수직 귀선 시간을 계기로 하여 이동 제어 모드를 개시한다. 마이크로컴퓨터부(24)는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포커스 렌즈(11)를 거리(X)만큼 이동시킬 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커스 렌즈(11)의 인출 방향, 즉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킬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S221), S221에 있어서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S215에 있어서 RAM(26)에 기억한 이동 속도(R1)로 거리(X)를 나누어 얻은 시간만큼 포커스 렌즈(11)의 인출 방향, 즉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22). S221에 있어서 화살표(10a)로 나타낸 인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S215에 있어서 RAM(26)에 기억한 이동 속도(R2)로 거리(X)를 나누어 얻은 시간만큼 포커스 렌즈(11)의 인입 방향, 즉 화살표(10b)로 나타낸 인입 방향으로 이동시킨다(S223).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는 이동부(13c)의 이동 속도를 구할 수 있으므로, 기단 위치(15a) 또는 선단 위치(16a)로부터 임의의 이동 거리를 지정할 수 있게 되고,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오토포커스 카메라(10)(도 1 참조)와 비교하여 정밀하게 이동부(13c)의 위치 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동 장치는 부품 수를 종래보다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가지며, 카메라의 포커스 조정 등의 렌즈의 구동에 사용되는 구동 장치 등으로서 유용하다.

Claims (5)

  1. 압전 소자와, 상기 압전 소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와의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구동부에 대하여 이동하는 이동부와, 상기 이동부가 소정의 위치에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소정 위치 검출 수단과, 상기 압전 소자에의 전력의 공급의 제어를 행하는 공급 제어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압전 소자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소정의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이동부로 하여금 왕복 이동하게 하는 전처리 모드와, 상기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상기 압전 소자에의 상기 전력의 공급 시간과 상기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상기 압전 소자에의 상기 전력의 공급 시간 및 상기 이동부의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압전 소자에의 전력의 공급을 행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이동부를 이동시키는 이동 제어 모드를 포함하는 동작 모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모드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과 상기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에 기초하여 상기 이동 방향에 따른 상기 공급 시간의 조정량을 산출하고, 상기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이동 방향 및 상기 조정량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다른 위치에 상기 이동부가 존재하는 것을 검출하는 타 위치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전처리 모드에 있어서, 상기 소정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와 상기 타 위치 검출 수단에 의한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어를 행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위치와 상기 타 위치와의 사이를 상기 이동부로 하여금 상기 왕복 이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제어 수단은, 상기 이동 제어 모드에 있어서, 상기 왕복 이동의 왕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과 상기 왕복 이동의 복로에서의 상기 공급 시간과 상기 소정의 거리 및 상기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상기 공급 시간을 조정하여 상기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장치.
  5. 제 1 항에 기재된 구동 장치와 상기 이동부에 지지된 렌즈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 장치.
KR20077008616A 2005-07-28 2006-07-20 구동 장치 KR200800305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218948 2005-07-28
JP2005218948A JP4733457B2 (ja) 2005-07-28 2005-07-28 駆動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0547A true KR20080030547A (ko) 2008-04-04

Family

ID=37683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7008616A KR20080030547A (ko) 2005-07-28 2006-07-20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791247B2 (ko)
JP (1) JP4733457B2 (ko)
KR (1) KR20080030547A (ko)
CN (1) CN101044671B (ko)
WO (1) WO20070133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3885A (ko) * 2007-04-18 2008-10-22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KR20080094572A (ko) * 2007-04-19 2008-10-23 미쓰미덴기가부시기가이샤 구동 장치
US7956513B2 (en) * 2007-04-20 2011-06-07 Mitsumi Electric Co., Ltd. Method of driving a driving device
US7759634B2 (en) * 2007-04-24 2010-07-20 Mitsumi Electric Co., Ltd. Position detecting device capable of improving detection accuracy
CN101800485A (zh) * 2010-01-14 2010-08-11 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准独立模态传感器的构建方法
US8466637B2 (en) * 2010-07-20 2013-06-18 New Scale Technologies, Inc. Methods for controlling one or more positioning actuators and devices thereof
JP5935233B2 (ja) * 2010-11-02 2016-06-1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50575A (en) * 1935-09-14 1998-12-15 Nikon Corporation Image vibration reduction device
JPS61285082A (ja) * 1985-06-10 1986-12-15 Toshiba Corp 圧電型駆動装置
JPS63201635A (ja) * 1987-02-18 1988-08-19 Minolta Camera Co Ltd バイモルフによつて駆動されるシヤツタ−と閃光発光手段を備えたカメラ
JP2633066B2 (ja) 1990-07-03 1997-07-23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
KR100341871B1 (ko) * 1993-09-08 2002-11-29 아스라브 쏘시에떼 아노님 회전자위치탐지기를갖는압전모터및그압전모터고정자제조방법
US5721581A (en) * 1993-11-30 1998-02-24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pparatus
US5589723A (en) * 1994-03-29 1996-12-31 Minolta Co., Ltd. Driving apparatus using transducer
JP3141714B2 (ja) * 1994-11-21 2001-03-05 ミノルタ株式会社 電気機械変換素子を使用した駆動装置
JPH07271266A (ja) * 1994-03-31 1995-10-20 Canon Inc 画像記録装置および画像記録方法
JP4054092B2 (ja) * 1997-09-30 2008-02-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WO1999044279A1 (fr) * 1998-02-27 1999-09-02 Star Micronics Co., Ltd. Moteur a ultrasons
US6249093B1 (en) * 1998-06-08 2001-06-19 Minolta Co., Ltd. Drive mechanism employing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photographing lens with the drive mechanism, and its drive circuit
JP3339468B2 (ja) * 1999-06-24 2002-10-28 ミノルタ株式会社 プリンタ一体型デジタルカメラ
WO2001033646A1 (en) * 1999-11-03 2001-05-10 New Focus, Inc. Control for piezoelectric actuator
JP2001268951A (ja) * 2000-03-23 2001-09-28 Minolta Co Ltd 駆動装置
EP1630879B1 (en) * 2000-03-23 2012-09-19 Elliptec Resonant Actuator AG Vibratory motor and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JP4144171B2 (ja) * 2000-09-14 2008-09-0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気−機械変換素子を用いた駆動装置
JP2002218773A (ja) * 2001-01-22 2002-08-02 Minolta Co Ltd 駆動装置
JP3832396B2 (ja) * 2002-07-17 2006-10-11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駆動装置、位置制御装置およびカメラ
JP4561164B2 (ja) * 2004-04-23 2010-10-13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駆動装置および駆動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146602A1 (en) 2009-06-11
WO2007013349A1 (ja) 2007-02-01
JP4733457B2 (ja) 2011-07-27
CN101044671B (zh) 2010-09-29
US7791247B2 (en) 2010-09-07
CN101044671A (zh) 2007-09-26
JP2007037337A (ja) 200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30547A (ko) 구동 장치
US7280292B2 (en) Driving control device, portable optical apparatus and driving control method
US8395855B2 (en) Shape memory alloy actuation apparatus
US5907212A (en) Apparatus provided with electro-mechanical transducer
EP2031442B1 (en) Auto-focu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amera
JP6071669B2 (ja) レンズ装置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EP1731939A1 (en) Lens barrel and imaging apparatus
US8743267B2 (en) Optical apparatus for calculating an object distance
US9684225B2 (en) Optical apparatus and drive controlling method
WO2005019897A1 (ja) 撮像装置
JP2009169013A (ja) 駆動装置および撮像装置
KR910009562B1 (ko) 비디오 카메라등의 자동 초점 맞춤 장치
JP2672498B2 (ja) ズームレンズの像補正装置
JP2004205742A (ja) 光学系駆動方法
US10989894B2 (en) Lens driving apparatus, control method therefor, storage medium storing control program therefor, and image pickup apparatus
JP2006189648A (ja) カメラ
JP3200096B2 (ja) レンズ制御装置
JP2006042408A (ja) リニアアクチュエータ、光学装置
JP2007140292A (ja) 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JPS63193775A (ja) ビデオカメラのオ−トフオ−カス装置
JP2760669B2 (ja) レンズ基準位置調整装置を有する撮像装置
JP2010057308A (ja) 駆動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H0810290B2 (ja) ズームレンズシステムとズーム駆動方法
KR20220133547A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JP2007140294A (ja) 駆動制御装置及び駆動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