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8740A - 화물선 - Google Patents

화물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8740A
KR20080028740A KR1020070005984A KR20070005984A KR20080028740A KR 20080028740 A KR20080028740 A KR 20080028740A KR 1020070005984 A KR1020070005984 A KR 1020070005984A KR 20070005984 A KR20070005984 A KR 20070005984A KR 20080028740 A KR20080028740 A KR 200800287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pillar
support
hatch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4862B1 (ko
Inventor
신지 고바야시
고이치 요시다
Original Assignee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신 쿠루시마 도쿠 filed Critical 히노데 유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87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87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4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48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 B63B25/004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goods other than bulk goods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48Decks
    • B63B2003/485Decks movably connected to hull or super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2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deck loads
    • B63B2025/285Means for securing deck containers against unwanted mov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과제] 장척물(長尺物)을 포함시켜 화물의 적재 하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선창의 강도가 높아 중량물을 포함시킨 혼재(混載)가 가능하며,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물선을 제공한다.
[해결수단] 상갑판(5)의 중앙부에 해치(6)를 개구(開口)하여, 해치(6)와 선박 측프레임(12) 사이의 상갑판(5)을 적재(積載) 스페이스로 하고, 제2 갑판(3)의 중앙부에 해치(8)를 개구하여, 해치(8)와 선박 측프레임(12) 사이의 제2 갑판(3)을 적재 스페이스로 한 화물선으로서, 상갑판(5)의 해치측단 둘레와 제2 갑판(3)의 해치측단 둘레 사이에 세워서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필라(13)와, 지지 필라(13)와 선박 측프레임(12)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중간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 데크(30)를 구비하고 있다. 지지 필라(13)는, 고정(固定) 필라(14)와, 착탈 가능한 가동(可動) 필라(15)로 이루어지고, 고정 필라(14)와 가동 필라(15)가 서로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화물선, 해치, 필라, 승강 데크, 갑판

Description

화물선{Cargo vessel}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화물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승강 데크를 나타낸 평면도, 도 2(B)는 제2 갑판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승강 데크와 지지 필라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승강 데크의 해치(hatch)측의 지지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5는, 승강 데크의 선박 측프레임 쪽의 지지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6은, 승강 데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가동 필라와 상하의 지지 프레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승강 데크의 매달기 링크, 해치측의 지지블럭, 지지금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승강 데크의 선박 측프레임 측을 지지하는 지지블럭과 지지금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0은, 매달기 링크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1은, 장척재(長尺材)의 적재 예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2는, 키 큰 화물과 자동차의 적재 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13은, 장척재의 적재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종래예 1인 2층갑판 화물선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종래예 2인 3층갑판 화물선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하부 선창
2 : 상부 선창
3 : 제2 갑판
4 : 폰툰 해치(pontoon hatch)
5 : 상갑판
6 : 해치
7 : 해치 커버
13 : 지지 필라(pillar)
14 : 고정(固定) 필라
15 : 가동(可動) 필라
20 : 데크 선창
21 : 제1 데크 선창
22 : 제2 데크 선창
30 : 승강 데크
40 : 매달기 링크
51, 52 : 지지블럭
61, 62, 63 : 지지금구
본 발명은, 화물선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잡화, 자동차, 컨테이너, 파이프나 강재(鋼材) 등의 장척물(長尺物; 길이가 긴 물건)을 운반하는 일반화물선에 관한 것이다.
도 14에 나타낸 종래예 1은 2층갑판 화물선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하부 선창(101)과 상부 선창(102)은 제2 갑판(103)으로 구획되어 있고, 제2 갑판(103) 중앙의 개구부(開口部)는 폰툰 해치(104)가 가로 걸쳐 놓여 있다. 상갑판(105) 중앙의 개구부에는 해치(106)가 형성되고, 해치 커버(107)로 덮개를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폰툰 해치(104)는 강(鋼)으로 만들어진 덮개이어서, 그 상면에 자동차 등을 적재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2층갑판 화물선에서는 하부 선창(101)에, 주로 강재나 플랜트물 등의 중량물을 싣고, 상부 선창(102)에 일반화물이나 자동차를 싣도록 하는 혼재(混載)가 가능하게 된다(비특허문헌 1).
도 15에 나타낸 종래예 2는 3층갑판 화물선의 중앙 종단면도이다. 이 3층갑판 화물선에서는 1단(段)째의 폰툰 해치(104a)로 하부 선창(101)과 그 상부의 선창을 나눔과 함께, 상부의 선창을, 2단째의 폰툰 해치(104b)로, 중간 선창(102a)과 상부 선창(102b)으로 나눈 것이다. 하부 선창(101)에는 중량물을 싣고, 중간 선창(102a)에는 자동차와 일반화물을 혼재하고, 상부 선창(102b)에는 자동차를 싣도 록 하는 혼재가 가능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예 1, 2에서 이용한 폰툰 해치(104, 104a ,104b)는, 재화중량 2만톤 클래스까지의 화물선이면, 폰툰 해치의 폭은 15m 정도까지이므로 핸들링 가능하다. 그러나, 그 이상의 대형 화물선이 되어 폰툰 해치의 폭이 15m를 넘게 되면, 중량도 상당히 증가되어, 해치 격납 등의 핸들링이 매우 힘들고 위험한 작업이 된다. 또한, 강도 면에서는 자동차와 같은 가벼운 화물밖에 실을 수 없으므로, 중량물까지도 포함시킨 다종(多種) 혼재는 어려웠다.
그래서, 본 출원인은, 해치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 제2 갑판과 상갑판의 사이에, 데크 선창을 마련한 화물선(종래예 3)을 제안하고 있다. 즉, 이 화물선은, 해치의 좌우 양측부에 있어서, 제2 갑판과 상갑판 사이에, 선체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필라를 장착하여, 제2 갑판 위를 데크 선창으로 구성함과 함께, 데크 선창에 있어서의 제2 갑판과 상갑판 사이에 중간 데크를 장착하여, 2층 데크 선창으로 구성한 화물선을 특허출원하고 있다(특허문헌 1).
상기 화물선에 의하면, 제2 갑판의 좌우 양측부에 데크 선창을 마련한 만큼, 해치의 개구 폭을 좁게 할 수 있으므로, 폰툰 해치도 소형화할 수 있어서, 선폭이 큰 대형선이더라도 폰툰 해치의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지지 필라로 제2 갑판과 상갑판을 고정함으로써 강도가 높아지므로, 중량물을 적재할 수 있다. 또한, 2층의 데크 선창에 이종(異種)의 화물을 분리하여 싣을 수 있으므로, 혼재의 자유도가 높아진다고 하는 이점(利點)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예 3에 있어서도, 강재나 파이프 등의 장척재(長尺材)를 효율 좋게 적재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하면 좋을 것인가. 중간 데크의 지지 필라는 화물의 적재에 방해가 되지만, 그것을 없애면 승강 데크의 강도를 유지할 수 없으므로, 어떻게 해서 해결할 것인가. 중간 데크를 상승시킨 위치와 하강시킨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하면서, 승강시킬 때는 간단하게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어떻게 하면 좋을 것인가, 등의 문제가 아직 남아 있다.
[비특허문헌 1] 선체 각부 명칭도(개정판) 54∼55쪽 이케다 마사루(池田 勝)저(著) 쇼와 54년 가이분도(海文堂)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공개 2005-306114호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종래기술 3을 개량하여, 장척물을 포함하여 화물의 적재 하역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선창의 강도가 높아 중량물을 포함시킨 혼재가 가능하며, 하역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화물선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발명의 화물선은, 상갑판의 중앙부에 해치를 개구(開口)하여, 이 해치와 선박 측프레임 사이의 상갑판을 적재(積載) 스페이스로 하고, 제2 갑판의 중앙부에 해치를 개구하여, 이 해치와 선박 측프레임 사이의 제2 갑판을 적재 스페이스로 한 화물선으로서, 상기 상갑판의 해치 측단(側端) 둘레와 상기 제2 갑판의 해치측단 둘레 사이에 세워서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필라와, 상기 지지 필라와 상기 선박 측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중간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 데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필라는, 고정(固定) 필라와, 착탈 가능한 가동(可動) 필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필라와 상기 가동 필라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2 발명의 화물선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필라는, 상기 제2 갑판의 해치측단 둘레에 형성된 하측 지지 프레임에 끼워지는 하단부와, 상기 상갑판의 해치측단 둘레에 형성된 상측 지지 프레임에 끼워지는 상단부를 가지는 기둥형상(柱狀) 부재이고, 상기 상측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가동 필라의 상단부를 계지(系止; latch)하는 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3 발명의 화물선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데크는, 인접하는 지지 필라의 간격에 상당하는 폭과, 상기 지지 필라와 상기 선박 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상당하는 깊이를 가지는 적하(積荷)용 부재이고, 복수개의 승강 데크가, 선박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4 발명의 화물선은, 제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승강 데크를 중간위치에서 지지하는 중간위치 지지기구와, 상승위치에서 지지하는 상승위치 지지기구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중간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를 상측으로부터 중간위치에 내리는 동작에 의해 이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이며, 상기 상승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를 상승위치보다도 위로 상승시킨 후에 하강시켜서 상승위치로 내리는 동작에 의해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5 발명의 화물선은,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의 전단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매달기 링크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전단 둘레 지지블럭과,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후단 둘레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달기 링크는, 상단이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승강 데크에 연결된 포개어 접기(折疊) 가능한 링크로서, 신장(伸長)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데크를 중간위치에 매다는 것이고, 상기 전단 둘레 지지블럭은, 상기 고정 필라의 중간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 둘레 지지블럭은, 선박 측프레임의 중간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6 발명의 화물선은, 제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승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의 전단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가동 필라측 지지금구(金具)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 필라측 지지금구와,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후단 둘레 지지금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측 지지금구는 상기 상측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측 지지금구는 상기 고정 필라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 둘레 지지금구는 상기 선박 측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각 지지금구는, 상기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위치와, 상기 승강 데크의 승강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퇴각위치 사이에서 자세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련된 화물선의 종단면도이다. 도 2(A)는 승 강 데크(30)를 나타낸 평면도, 도 2(B)는 제2 갑판(3)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은 하부 선창, 2는 상부 선창이며, 3은 제2 갑판, 5는 상갑판이다. 상갑판(5)의 중앙부는 개구(開口)하여 해치(6)가 형성되어 있고, 제2 갑판(3)의 중앙부도 개구하여 해치(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갑판(5)의 해치(6)는, 개폐 가능한 해치 커버(7)로 덮을 수 있고, 제2 갑판(3)의 해치(8)는, 복수개의 폰툰 해치(4)를 착탈 가능하게 장착하여 덮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해치 커버(7)와 폰툰 해치(4)는, 적하를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도를 가진 적재용 부재이다. 따라서, 해치 커버(7)나 폰툰 해치(4)의 상면에 적하를 쌓아 올리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상갑판(5)의 해치(6) 외측의 갑판 위도 적재 스페이스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해치(8)의 좌우 양측에 있는 제2 갑판(3)의 상면 공간도 적재 스페이스로 하는 점에 특징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갑판(3)과 상갑판(5)의 외측부에는, 선측(船側) 프레임(12)이 세워져 장착되어 있고, 이 선박 측프레임(12)은 다수개가 선박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선박 측프레임(12)의 외측에 선박 측외판(11)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2 갑판(3)의 해치측단 둘레와 상갑판(5)의 해치측단 둘레 사이에는, 지지 필라(13)가 세워져 장착되어 있다. 이 각 지지 필라(13)도 다수개가, 선박 길이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다만,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지 필라(13)는, 고정 필라(14)와 가동 필라(15)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 필라(13)에 의해, 상갑판(5)과 제2 갑판(3)은, 모두 양쪽 지지가 되므로, 강도적으로 극히 완강한 것이 된다.
상기 제2 갑판(3)의 상측 공간으로서, 선박 측프레임(12)과 지지 필라(13)의 사이는, 데크 선창(20)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데크 선창(20) 내에 있어서, 승강 데크(30)가 마련되어 있고, 지지 필라(13)와 선박 측프레임(12) 사이에서 지지되면서, 승강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우측의 데크 선창(20)에 있어서는, 승강 데크(30)는 중간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좌측은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승강 데크(30)의 하측 공간을 제1 데크 선창(21)이라 하고, 상측 공간을 제2 데크 선창(22)이라 한다.
도 2는 화물선의 제2 홀드(H2)와 제3 홀드(H3) 부분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2(A)는 승강 데크(30)를 나타낸 평면도로서, 그 하측의 제2 갑판(3) 상의 구조물은 생략하고 있다. 또한, 도 2(B)는 제2 갑판(3)을 나타낸 평면도로서, 해치(8) 하측의 구조물은 생략하고 있다.
동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승강 데크(30)는, 각 홀드(H2, H3)에 있어서, 해치(8)의 양측에서 선박 길이방향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 필라(13)로서, 고정 필라(14)와 가동 필라(15)가 번갈아 배치되어 있다. 다만, 부분적으로는 고정 필라(14)가 늘어서서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도 3 내지 도 5는, 복수의 승강 데크(30) 주변의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3은 승강 데크와 지지 필라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승강 데크의 해치측의 지지기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5는 승강 데크의 선박 측프레임 쪽의 지지기구 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각 승강 데크(30)가 서로 이웃하는 부위에는, 고정 필라(14)와 가동 필라(15)가 세워져 마련되어 있다. 상기 승강 데크(30) 자체는 평면에서 볼 때 사각형의 적하(積荷)용 부재로서, 예컨대 자동차 등의 경화물(輕貨物)을 몇 대 탑재할 수 있는 면적과 강도를 구비하고 있다.
하나의 승강 데크(30)를 나타내면 도 6과 같으며, 전단 둘레의 양측에는, 고정 필라(14)와 가동 필라(15)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한 노치(31, 31)가 형성되고, 후단 둘레의 양측에는, 후술하는 후단 둘레 지지금구(63)에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금구(金具)(32)가 돌출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전단 둘레의 가동 필라측 단부(도면 중 좌측)에는, 매달기 링크(40)와 후술하는 지지금구를 받아서 지지하기 위한 상자형상 금구(33)가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전단 둘레의 고정 필라측 단부(도면 중 우측)는, 그대로 지지금구에 닿는 부분이 된다.
그리고, 이 승강 데크(30)의 4 코너를 지지하는 상승위치 지지기구와 중간위치 지지기구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련되어 있어, 승강 데크(30)를 상승위치와 중간위치에서 선택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고정 필라(14)는, 단면(斷面) 다각형인 기둥형상 물체(柱狀物)로서, 그 하단은 제2 갑판(3)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고, 그 상단은 상갑판(5)으로부터 늘어뜨려 설치되어 있는 해치(6)의 입벽(立壁)(6a)에 용접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가동 필라(15)는, 단면 다각형인 기둥형상 물체로서, 제2 갑판(3)과 상갑판(5)에 대하여, 분리장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갑판(3) 상에는, 각봉재(角棒材)를 평면에서 볼 때 ㄷ자 형으로 형성한 하측 지지 프레임(16)을 설치하고 있고, 이 하측 지지 프레임(16) 내에 가동 필라(15)의 하단부를 끼우거나, 빼거나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 필라(15)의 하단면에는, 위치맞춤용 핀(15b)이 형성되고, 하측 지지 프레임(16)의 바닥면(底面)에는 핀구멍(16b)이 형성되어 있어, 핀(15b)이 핀구멍(16b)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가동 필라(15)의 하단부를 하측 지지 프레임(16) 내에 끼우고, 핀(15b)을 핀구멍(16b)에 삽입하면, 가동 필라(15)는 하측 지지 프레임(16) 내에서 전후좌우와 깊이 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되게 된다.
또한, 상갑판(5)의 하면에는 상측 지지 프레임(17)이 마련되어 있다. 이 상측 지지 프레임(17)은, 2장의 강판으로, 가동 필라(15)의 상단부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으로서, 가동 필라(15)의 상단부를 넣고 뺄 수 있다. 그리고, 계지핀(18)을 삽입하는 핀구멍(17a)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가동 필라(15)의 상단부에도 계지핀(18)을 통과시키는 핀 삽입부(15a)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필라(15)의 상단부를 상측 지지 프레임(17)에 끼워서, 계지핀(18)을 통과시키면, 가동 필라(15)는 장착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가동 필라(15)의 적절한 곳에는, 리프트용 리프트 금구(19)가 장착되어 있다. 이 리프트 금구(19)는 가동 필라(15)를 장착하거나 분리할 때에 사용된다.
이 가동 필라(15)의 장착 분리는, 배에 탑재되어 있는 포크리프트나 크레인 등을 이용하면 좋다.
다음으로, 중간위치 지지기구를 도 8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승강 데크의 매달기 링크, 해치측의 지지블럭, 지지금구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승강 데크의 선박 측프레임 쪽을 지지하는 지지블럭과 지지금구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상기 중간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30)의 전단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매달기 링크(40)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전단 둘레 지지블럭(51)과,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후단 둘레 지지블럭(52)으로 이루어진다. 이 중간위치 지지기구로 지지하는 중간위치라 함은, 데크 선창(20) 중에서 상하방향의 거의 중간의 높이로서, 제2 갑판(3) 위와 승강 데크(30) 위의 양쪽에, 짐(荷物)을 적재하기 쉬운 높이이면 좋다.
상기 매달기 링크(40)는, 상단이 상갑판(5)에 접속되어 있는 상기 입벽(立壁)(6a)에 연결되고, 하단이 승강 데크(30)에 연결된 포개어 접기(折疊) 가능한 링크로서, 신장(伸長)된 상태에서 승강 데크(30)를 중간위치에 매다는 것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매달기 링크(40)는, 상측 링크(41)와 하측 링크(42)로 이루어지고, 상측 링크(41)의 상단은 상갑판(5) 측(입벽(6a))에 고정된 브래킷(43)에 핀 지지되어 있고, 하측 링크(42)의 하단은 승강 데크(30)에 고정된 브래킷(44)에 핀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 하측 링크(41, 42)는 서로 핀(45)으로 연결되어 포개어 접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측 링크(41)에는 핀(45)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긴구멍(46)이 형성 되어, 포개어 접기 방향을 한 방향으로 구속하는 구속핀(47)이 장착되어 있다.
도 10에 있어서, 부호 Ⅰ은 매달기 링크(40)가 신장(伸長)된 상태이고, 이 상태에서 승강 데크(30)는 중간위치로 지지된다. 부호 Ⅱ는 포개어 접기의 도중을 나타내고 있다. 이 포개어 접기의 개시시에는, 구속핀(47)에 의해 반드시 한 방향(도면에서는 우측)으로 굴곡되도록 되어 있다.
부호 Ⅲ은 매달기 링크(40)가 포개어 접힌 상태이고, 승강 데크(30)는 상승위치가 된다. 여기서, 이 상태에서의 지지는, 후술하는 상승위치 지지기구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중간위치 지지기구를 구성하는 각 지지블럭(51, 52)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필라(14)의 중간위치에 고정된 것(51)과, 도 9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측프레임(12)의 중간위치에 고정된 것(52)이 있다. 이들의 지지블럭(51, 52)은, 튼튼한 지지체이며, 승강 데크(30)와 적재물의 중량을 부담하는 강도를 가지고 있으면, 어떠한 형상, 구조의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상기 승강 데크(30)는, 이들 지지블럭(51, 52)의 상측으로부터 하강되어 오던가, 거기서 상승할 뿐이므로, 하강되어 오면, 자동적으로 지지블럭(51, 52)으로 승강 데크(30)를 지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승위치 지지금구를 도 8 및 도 9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상승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30)의 전단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가동 필라측 지지금구(61)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 필라측 지지금구(62)와,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2개의 후단 둘레 지지금구(63)로 이 루어진다. 이 상승위치 지지기구로 지지하는 상승위치라 함은, 승강 데크(30)를 가능한 한 상측으로 밀어 올려서, 키가 높은 짐을 제2 갑판(3) 상에 실을 수 있는 높이이면 좋다.
다만, 상승위치에 있는 승강 데크(30)에, 높이가 낮은 짐을 가능한 한 싣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승강 데크(30)의 가동측 단부용 가동 필라측 지지금구(61)는, 상기 상측 지지 프레임(17)의 측면에 장착되어 있다. 이 지지금구(61)는 다른 지지금구(62, 63)보다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는 클리어 하이트(clear hight)(선창 내의 적재 가능한 높이)를 높게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짐을 효율적으로 싣기 위해서는, 클리어 하이트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므로, 그를 위해서 상측 지지 프레임(17)은 입벽(立壁)(6a)으로부터 가까운 거리에 겹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 결과, 지지금구(61)는 높은 위치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승강 데크(30) 측의 상자형상 금구(33)를 승강 데크(30)의 상면에 세워 설치하여, 수용하는 높이를 높게 하고 있다.
상기 고정 필라측 지지금구(62)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필라(15)의 상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승강 데크(30)의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좌우의 후단 둘레 지지금구(63)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박 측프레임(12)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각 지지금구(61, 62, 63)는 동일 구성이므로, 정리하여 도 9 속의 확대 도면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체(65)는, 요동축(66)에 요동 가능하게 축으로 지지된 두꺼운 판부재이고, 요동축(66)을 가운데 두고 상단부가 지지부(67), 둘레부가 위치결정부(68)이다. 그리고, 실선(實線)으로 나타낸 돌출위치에서는 지지부(67)에 승강 데크(30)를 올릴 수 있고,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퇴각위치로 하면, 승강 데크(30)를 자유자재로 승강시킬 수 있다.
또한, 지지체(65)에 와이어로프(69)를 연결시켜서, 지지체(65)를 요동시켜 돌출위치와 퇴각위치 사이의 선택을 인위 조작하도록 하면 좋다. 다만, 승강 데크(30)를 아래로부터 상승시켜 가면 접촉되어, 지지체(65)가 세워진 퇴각위치로 밀어 넣어지도록 하여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역작업 중에 있어서의 승강 데크(30)의 승강동작은, 어떠한 수단을 이용해도 좋다.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에 싣고 있는 포크리프트(F)를 사용해도 좋으며, 이 경우는 포크리프트(F)의 포크에 발판형의 가설대(S)를 장착해서, 가설대(S)를 통하여, 승강 데크(30)를 승강시킬 수 있다. 그 밖에, 선박용 크레인이나, 각 승강 데크(30)에 구비한 체인블럭 등의 하역장치를 이용해도 좋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의 화물선에 있어서의 화물 적재예를 도 11 및 도 12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⑴ 도 11의 화물 적재예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에 있어서, 승강 데크(30)는 중간위치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에 제1 파이 프나 강재 등을 싣고 있다. 파이프나 강재 등은 정렬시키기 쉬우므로, 가늘고 긴 제1, 제2 데크 선창(21, 22) 내에도 스페이스 효율 좋게, 대량으로 실을 수 있다.
⑵ 도 12의 화물 적재예
도면 중 좌측과 같이, 승강 데크(30)를 중간위치로 했을 때는,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에 키가 낮은 화물(貨物)인 자동차 등을 실을 수 있다.
도면 중 우측과 같이, 승강 데크(30)를 상승위치로 했을 때는, 제1 데크 선창(21)에 키가 높은 컨테이너 등의 화물을 실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키가 높은 화물과 키가 높지 않은 다른 화물과의 혼재(混載)를 자유롭게 행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의 화물선에 있어서,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에는, 폰툰 해치(4)를 이용하지 않고서, 컨테이너를 쌓아 올려도 좋고, 폰툰 해치(4)를 이용해서, 하부 선창(1)과 상부 선창(2)으로 나누어서 일반화물이나 컨테이너를 실어도 좋다. 또한, 해치 커버(7)나 상갑판(5) 위에도, 다양한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도 13에는, 장척재(長尺材)의 짐 싣는 요령을 나타내고 있다. 도 13(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짐 싣는 중에는, 가동 필라(15)를 빼내서, 고정 필라(14)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해 둔다. 그리고, 장척재(W)를 비스듬하게 해서, 그 일단(一端)으로부터 제1 데크 선창(21)의 안쪽으로 넣고, 또한 한쪽으로 치우치게 한다. 이어서, 장척재(W)의 타단(他端)을 넣어서, 선박 측외판(11)에 대하여 평행하게 되도록 정렬시킨다.
이 순서를 사용하면, 전체 길이가 고정 필라 사이 거리보다 긴 장척재(W)이 더라도 실을 수 있다.
그리고, 도 1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짐 실은 후에, 가동 필라(15)를 장착하면, 상갑판(5)과 제2 갑판(3)의 강도를 유지하면서, 쌓아 올려진 장척재(W) 등의 무너짐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다. 그리고, 가동 필라(15)는 장착상태에서는, 상단의 지지핀(18)에 의해 상하의 움직임이 구속되며, 또한 하단의 핀(15b)과 핀구멍(16b)의 끼워맞춤과 가동 필라(15) 자체의 중량에 의해, 하측 지지 프레임(16)으로부터 빠져 나오지도 않는다. 이로 인하여, 상당한 횡(橫)하중이 걸리더라도, 그에 저항할 수 있어, 적재화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상에 화물의 혼재 예를 두 가지 예로 설명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혼재 예가 가능하여, 다목적 화물선으로서의 이용가치가 높은 것이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2번 선창(H2)과 3번 선창(H3)에 데크 선창(20)을 마련한 구조이었지만, 선체길이가 긴 화물선으로서, 선수(船首)측과 선미(船尾)측의 선창을 제외한 중간의 선창이 3 이상인 경우에, 그 모든 선창 혹은 일부의 선창에 본 발명의 데크 선창을 마련하는 것은 임의(任意)이다. 다만, 자동차를 실을 경우의 램프웨이는, 상기 제1 데크 선창(21)과 제2 데크 선창(22)에 통하도록 마련하여 놓으면 좋다.
제1 발명에 의하면, 폰툰 해치를 소형화해서 핸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지지 필라로 강도를 높여서 중량물의 적재가 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종래예 3의 이점을 계승하면서, 더욱 다음의 효과를 누린다.
⒜ 승강 데크를 상승위치로 상승시키면 높이가 높은 1층 데크가 되고, 승강 데크를 중간위치에 하강시키면 2층 데크가 되므로, 높이가 다른 화물을 나누어 싣을 수 있어, 화물의 혼재(混載) 자유도가 높아진다.
⒝ 가동 필라를 이동시킴으로써 장척물의 적재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게다가, 적재 후에 가동 필라를 장착하면, 상갑판과 제2 갑판 강도를 유지함과 함께 적재물이 무너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안전하다.
제2 발명에 의하면, 가동 필라는 장착한 상태에서는, 그 하단은 하측 지지 프레임으로 위치결정되고, 그 상단은 상측 지지 프레임에 끼워져 지지됨과 함께, 계지(系止; latch)수단으로 계지된다. 이로 인하여, 장착상태는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음과 함께 착탈도 용이하다.
제3 발명에 의하면, 승강 데크의 폭과 깊이가, 제2 갑판 상의 적재 스페이스 전체의 크기이므로, 적재량을 많이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승강 데크를 선박 길이방향에 있어서 동일 높이로도 다른 높이로도 승강할 수 있으므로, 다품종의 혼재 자유도가 높아진다.
제4 발명에 의하면, 중간위치 지지기구는, 상측으로부터 중간위치로 내리는 동작에 의해 이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역작업의 사전준비에 일손이 소요되지 않는다. 또한, 상승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를 상승위치보다도 위로 상승시킨 후에 하강시켜서 상승위치에 내리는 동작에 의해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으므로 하역작업의 사전준비에 일손이 소요되지 않는다. 따라서, 하역효율이 좋아진다.
제5 발명에 의하면, 승강 데크의 4개의 코너 중 3개, 즉, 후단 둘레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는 고정장착된 지지블럭으로 지지되므로, 확실한 지지를 할 수 있고, 남은 한 군데의 전단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는 가동 필라가 분리되어 있어도 매달기 식의 매달기 링크로 지지할 수 있으므로, 가동 필라의 유무에 상관없이, 승강 데크를 중간위치로 지지해서 적하를 적재할 수 있다.
제6 발명에 의하면, 상기 각 지지금구는 상기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위치와 퇴각위치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으므로, 간단한 조작으로, 승강 데크를 상승위치에 격납할 수 있어, 하역 효율이 좋게 된다.

Claims (6)

  1. 상갑판의 중앙부에 해치를 개구(開口)하여, 이 해치와 선박 측프레임 사이의 상갑판을 적재(積載) 스페이스로 하고, 제2 갑판의 중앙부에 해치를 개구하여, 이 해치와 선박 측프레임 사이의 제2 갑판을 적재 스페이스로 한 화물선으로서,
    상기 상갑판의 해치 측단(側端) 둘레와 상기 제2 갑판의 해치측단 둘레 사이에 세워서 장착되는 복수개의 지지 필라와,
    상기 지지 필라와 상기 선박 측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또한 중간위치와 상승위치 사이에서 승강 가능한 승강 데크를 구비하고,
    상기 지지 필라는, 고정(固定) 필라와, 착탈 가능한 가동(可動) 필라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 필라와 상기 가동 필라가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동 필라는, 상기 제2 갑판의 해치측단 둘레에 형성된 하측 지지 프레임에 끼워지는 하단부와, 상기 상갑판의 해치측단 둘레에 형성된 상측 지지 프레임에 끼워지는 상단부를 가지는 기둥형상(柱狀) 부재이고,
    상기 상측 지지 프레임과 상기 가동 필라의 상단부를 계지(系止; latch)하는 계지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데크는, 인접하는 지지 필라의 간격에 상당하는 폭과, 상기 지지 필라와 상기 선박 측프레임 사이의 간격에 상당하는 깊이를 가지는 적하용 부재이며,
    복수개의 승강 데크가, 선박 길이방향으로 늘어서도록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 데크를 중간위치에서 지지하는 중간위치 지지기구와, 상승위치에서 지지하는 상승위치 지지기구가 마련되고 있고,
    상기 중간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를 상측으로부터 중간위치에 내리는 동작에 의해 이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이고,
    상기 상승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를 상승위치보다도 위로 상승시킨 후에 하강시켜서 상승위치에 내리는 동작에 의해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기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중간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의 전단(前端)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端部)를 지지하는 매달기 링크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전단 둘레 지지블럭과,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후단 둘레 지지블럭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매달기 링크는, 상단이 상기 상갑판에 연결되고, 하단이 상기 승강 데크에 연결된 포개어 접기(折疊) 가능한 링크로서, 신장(伸長)된 상태에서 상기 승강 데크를 중간위치에 매다는 것이고,
    상기 전단 둘레 지지블럭은, 상기 고정 필라의 중간위치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 둘레 지지블럭은, 선박 측프레임의 중간위치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승위치 지지기구는, 승강 데크의 전단 둘레 가동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가동 필라측 지지금구(金具)와, 전단 둘레 고정 필라측 단부를 지지하는 고정 필라측 지지금구와, 후단 둘레를 지지하는 후단 둘레 지지금구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동측 지지금구는 상기 상측 지지 프레임에 장착되고, 상기 고정측 지지금구는 상기 고정 필라의 상단부에 장착되고, 상기 후단 둘레 지지금구는 상기 선박 측프레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각 지지금구는, 상기 승강 데크를 지지할 수 있는 돌출위치와, 상기 승강 데크의 승강동작에 간섭하지 않는 퇴각위치의 사이에서 자세변경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선.
KR1020070005984A 2006-09-27 2007-01-19 화물선 KR1008348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262676 2006-09-27
JP2006262676A JP4347330B2 (ja) 2006-09-27 2006-09-27 貨物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8740A true KR20080028740A (ko) 2008-04-01
KR100834862B1 KR100834862B1 (ko) 2008-06-03

Family

ID=39254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5984A KR100834862B1 (ko) 2006-09-27 2007-01-19 화물선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347330B2 (ko)
KR (1) KR100834862B1 (ko)
CN (1) CN100515859C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8151A (zh) * 2020-10-26 2021-01-2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支柱系统及其使用方法
CN113548148A (zh) * 2021-08-31 2021-10-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客滚船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45305B (zh) * 2012-07-03 2015-11-04 珠海天岳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带伸缩装置的船舶
CN102963492A (zh) * 2012-12-05 2013-03-13 上海斯迪安船舶设计有限公司 一种海洋工程船机舱结构
CN104149942B (zh) * 2014-07-16 2016-08-03 浙江海洋学院 一种二甲板定位导轨机构
CN105346670A (zh) * 2015-11-25 2016-02-24 浙江海洋学院 一种防海盗甲板
CN106347585B (zh) * 2016-08-30 2019-05-03 扬帆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大型汽车滚装船
CN108100182A (zh) * 2018-01-23 2018-06-01 唐军 一种带升降功能的组合式游览船
CN108706075A (zh) * 2018-06-15 2018-10-26 中远海运重工有限公司 船用小分片式中间甲板
SE543411C2 (en) * 2019-10-01 2021-01-05 Macgregor Sweden Ab Hoistable car deck panel
CN112141276A (zh) * 2020-09-29 2020-12-29 东台永胜盈华游艇有限公司 一种具有翻转浮动机构的游艇
CN113460226B (zh) * 2021-07-22 2022-11-08 烟台中集来福士海洋工程有限公司 远洋货船
KR102657299B1 (ko) 2022-05-17 2024-04-15 대륜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선박용 폴딩 데크 유닛
CN114889748B (zh) * 2022-05-29 2023-03-14 武汉金鑫海船舶设计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可以部分替代浮船坞的船舶起重装置
CN116495100A (zh) * 2023-05-24 2023-07-28 武汉理工大学 一种配备浮动式甲板的船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64583A (en) 1979-06-11 1980-12-22 Sumitomo Heavy Ind Ltd Structure of hull
JPS61120691U (ko) 1985-01-18 1986-07-30
JPH0663498U (ja) * 1993-02-18 1994-09-09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冷凍船兼コンテナ船
US6105525A (en) 1995-10-04 2000-08-22 Rapeli; Pekka Unit cargo ship
US7040848B2 (en) 2003-07-21 2006-05-09 Itl Technologies, Inc. Transport platform
JP3914540B2 (ja) * 2004-04-19 2007-05-16 株式会社新来島どっく 貨物船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278151A (zh) * 2020-10-26 2021-01-29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船舶支柱系统及其使用方法
CN113548148A (zh) * 2021-08-31 2021-10-26 广船国际有限公司 一种客滚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515859C (zh) 2009-07-22
KR100834862B1 (ko) 2008-06-03
CN101152899A (zh) 2008-04-02
JP4347330B2 (ja) 2009-10-21
JP2008080941A (ja) 2008-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862B1 (ko) 화물선
US6877939B2 (en) Transport linking frames
JP4819787B2 (ja) コンテナ船及びコンテナ船のコンテナ積載方法
EP2845833B1 (en)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during port operations, comprising a crane, and a base located in the body of the crane that supports and stacks hatchway covers
US7905528B2 (en) Spreader frame for cargo container
JP2013518788A (ja) コンテナ処理装置、そのようなものの利用法、および積み下ろし時の方法
US7722101B2 (en) Cargo shipping container spreader and method
KR100664915B1 (ko) 화물선
US1067627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orage and transportation of cargo
CN1170728C (zh) 用船运送货卷的方法和构造;中间甲板以及在船的货舱中的中间甲板构造
FI123734B (fi) Kuljetuskontti
KR100985654B1 (ko) 컨테이너선의 컨테이너 데몬스트레이션을 위한해치커버상단용 지그
CN102202982A (zh) 板状体的叠放装置及搬运车辆
JP2005514269A (ja) コンテナ船の貨物量を増大する方法、及びコンテナ支持用腕木
WO2008010999A2 (en) Cargo shipping container spreader and method
KR20240013309A (ko) 분리형 래싱 브리지
JPS6345435Y2 (ko)
WO2024006261A1 (en) High-capacity intermodal transport platform
FI125626B (fi) Menetelmä ja järjestely kelojen laivaamiseksi ja kelateline
JP2011251608A (ja) 船舶と船舶の荷役方法
JP2001253545A (ja) 製品コイルの船積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パレット並びにパレット吊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1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