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7903A -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 Google Patents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7903A
KR20080027903A KR1020087002464A KR20087002464A KR20080027903A KR 20080027903 A KR20080027903 A KR 20080027903A KR 1020087002464 A KR1020087002464 A KR 1020087002464A KR 20087002464 A KR20087002464 A KR 20087002464A KR 20080027903 A KR20080027903 A KR 20080027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sheet
plate
arrestability
thick steel
thickn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0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4784B1 (ko
Inventor
기요따까 나까시마
마사노리 미나가와
고오지 이시다
아끼라 이또오
Original Assignee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38609631&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80027903(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filed Critical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27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79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4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4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silic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manganese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alumi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08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nickel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2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ungsten, tantalum, molybdenum, vanadium, or niob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4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titanium or zircon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38/00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 C22C38/16Ferrous alloys, e.g. steel alloys containing copp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014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metal particles
    • Y10T428/12021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metal particles having composition or density gradient or differential poros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2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 Y10T428/12458All metal or with adjacent metals having composition, density, or hardness gradi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도가 높고, HAZ 인성의 열화가 없고, 또한 이방성이 없고,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을 제공하는 것으로, 그 강판은 질량%로, C : 0.03 내지 0.15 %, Si : 0.1 내지 0.5 %, Mn : 0.5 내지 2.0 %, P : ≤ 0.02 %, S : ≤ 0.01 %, Al : 0.001 내지 0.1 %, Ti : 0.005 내지 0.02 %, Ni : 0.15 내지 2 %, N : 0.001 내지 0.008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에 의해 화학 성분이 구성되고, 마이크로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모상으로 한 페라이트 또는/및 펄라이트 조직이고,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인 결정립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에서는 15 ㎛ 이하이고, 그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40 ㎛ 이하이다.
고강도 후강판, 마이크로 조직, 베이나이트, 페라이트, 펄라이트

Description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HIGH-STRENGTH STEEL PLATE WITH SUPERIOR CRACK ARRESTABILITY}
본 발명은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에 관한 것이다.
조선, 건축, 탱크, 해양 구조물, 라인 파이프 등의 구조물에 이용되는 후강판에는 구조물의 취성 파괴를 억제하기 위해, 취성 파괴가 전파되는 것을 억제하는 능력인 어레스트성(취성 파괴 전파 정지 성능)이 요구된다. 최근, 구조물의 대형화에 수반하여 항복 응력이 390 ㎫ 내지 500 ㎫, 판 두께가 40 ㎜ 내지 100 ㎜인 고강도 후강판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강도와 판 두께는 상반되는 경향이 있고, 상기한 어레스트성은 판 두께의 증대와 함께 저하된다. 이로 인해, 고강도 후강판에 있어서 어레스트성을 향상시키는 기술이 기대되고 있다.
어레스트성을 향상시키는 기술로서, 예를 들어 결정립 직경을 제어하는 방법, 취화 제2상을 제어하는 방법 및 집합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결정립 직경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61-235534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3-221619호 공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5-148542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는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고, 이 페라이 트를 세립화함으로써 어레스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한, 취화 제2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소59-47323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는 모상이 되는 페라이트 중에 미세한 취화 제2상(예를 들어, 마르텐사이트)을 분산시킴으로써 취성 균열 선단부에 있어서 취화 제2상에 미소 균열을 발생시켜 균열 선단부의 응력 상태를 완화시키는 것이다.
또한, 집합 조직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는,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02-241891호 공보에 기재된 기술이 있다. 이는, 극저 탄소(C < 0.003 %)의 베이나이트 단상강에 있어서, 압연면과 평행한 {211}면 집합 조직을 발달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상기 결정립 직경을 제어하는 기술은 연질의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고강도이고 또한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상기 취화 제2상을 제어하는 기술에서는 페라이트 중에 마르텐사이트를 분산시키고 있으므로 취성 균열 발생 특성이 현저하게 열화된다. 또한, 페라이트를 모상으로 하고 있으므로, 상기와 마찬가지로 고강도이고 또한 판 두께가 두꺼운 강판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한, 상기 집합 조직을 제어하는 기술에서는 극저 탄소강을 이용하고, 그 조직을 베이나이트 단상으로 하여 판 두께 방향으로 균일한 집합 조직을 발달시키고 있으므로, 어레스트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없다. 또한, 극저 탄소강을 얻기 위한 제강에 필요로 하는 부하도 매우 크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강도가 높고, HAZ(Heat Affected Zone) 인성의 열화가 없고, 또한 이방성이 없고,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을 낮은 제조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한 고강도 후강판은 이하와 같이 한다.
(1) 질량%로, C : 0.03 내지 0.15 %, Si : 0.1 내지 0.5 %, Mn : 0.5 내지 2.0 %, P : ≤ 0.02 %, S : ≤ 0.01 %, Al : 0.001 내지 0.1 %, Ti : 0.005 내지 0.02 %, Ni : 0.15 내지 2 %, N : 0.001 내지 0.008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에 의해 화학 성분이 구성되고, 마이크로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모상으로 한 페라이트 또는/및 펄라이트 조직이고,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인 결정립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에서는 15 ㎛ 이하이고, 그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40 ㎛ 이하인 고강도 후강판.
(2) 질량%로, Cu : 0.1 내지 1 %, Cr : 0.1 내지 1 %, Mo : 0.05 내지 0.5 %, Nb : 0.005 내지 0.05 %, V : 0.02 내지 0.15 %, B : 0.0003 내지 0.003 %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화학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3) 질량%로, Ca : 0.0003 내지 0.005 %, Mg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화학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4)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이, 상기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에서는 면적률로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5)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이, 상기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면적률로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6) 판 두께가 40 ㎜ 이상인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7) 항복 응력이 390 ㎫ 이상인 상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본 발명에 따르면, 어레스트성이 매우 우수하고, 또한 판 두께가 두꺼워도 강도가 높고, HAZ 인성의 열화가 없는 강판이 되므로, 용접강 구조물의 저비용화나 안전성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Ni 첨가량과 결정립 직경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EBSP법에 의한 측정에 의해 얻게 된 입계 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3은 EBSP법에 의한 측정에 의해 얻게 된 {100}면 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후강판은 마이크로 조직을 베이나이트를 모상으로 한 페라이트 또는/및 펄라이트 조직으로 하고, 또한 판 두께 방향의 결정립 직경 및 집합 조직을 제어함으로써 어레스트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베이나이트를 모상으로 하는 이유는 판 두께가 두껍고 강도가 높은 강판으로 하기 위해서이고, 페라이트가 모상에서는 그와 같은 강판으로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베이나이트를 모상으로 함으로써, 원하는 판 두께, 강도의 강판을 얻을 수 있으면, 제2 상으로서 페라이트 또는/및 펄라이트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베이나이트의 입자 직경은 베이나이트로 변태되기 전의 오스테나이트의 입자 직경에 의해 지배되어 있다. 이로 인해, 베이나이트의 입자 직경을 미세하게 하는 것은 어렵다. 이에 대해, 본 발명자가 예의 검토한 결과, Ni 첨가량을 적절한 값으로 함으로써, 베이나이트의 입자 직경을 미세화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도1의 그래프에, 열간 압연 후의 냉각 속도를 5 내지 30 ℃/s로 변화시킨 경우의, Ni 첨가량과 베이나이트 조직에 있어서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인 결정립의 평균 원상당 직경(결정립 직경)의 관계를 나타낸다. Ni 이외의 화학 성분은 질량%로, C : 0.01 %, Si : 0.2 %, Mn : 1.3 %, P : 0.005 %, S : 0.003 %, Al : 0.03 %, Ti : 0.01 %, N : 0.003 %이다. 이 그래프로부터 첨가하는 Ni량을 많게 함으로써 결정립이 미세화되고, 또한 냉각 속도를 크게 하면 결정립이 미세화되 는 것을 알 수 있다.
판 두께 40 ㎜ 초과인 강판의 냉각 속도는 강판의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이하, 강판 표리층부라고 칭함)에서는 약 30 ℃/s인 경우가 많고,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는 강판 표리층부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이하, 강판 중심부라고 칭함)에서는 약 5 ℃/s인 경우가 많다. 이와 같은 냉각 속도에 있어서 Ni 첨가량을 0.15 % 이상으로 하였을 때에, 강판 표리층부, 강판 중심부 각각의 결정립 직경이 15 ㎛ 이하, 40 ㎛ 이하가 되는 것을 도1로부터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이 결정립 직경이 강판 표리층부에서 15 ㎛ 이하, 강판 중심부에서 40 ㎛ 이하를 만족시켰을 때에 ―10 ℃에 있어서의 Kca가 170 ㎫ㆍm0.5 이상인 고어레스트성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2는 화학 성분이 질량%로, C : 0.08 %, Si : 0.2 %, Mn : 1.1 %, P : 0.005 %, S : 0.005 %, Al : 0.01 %, Ti : 0.008 %, Ni : 1.0 %, N : 0.002 %, Nb : 0.015 %, B : 0.001 %, Ca : 0.001 %이고, 판 두께가 80 ㎜인 후강판에 있어서, EBSP법에 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입계 맵이다. 도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결정립 직경은, 강재의 표면으로부터 5 ㎜ 아래의 위치에서는 6 ㎛이고,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4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11 ㎛이고, 판 두께의 1/2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18 ㎛이다. 이와 같이 결정립 직경이 강판 표리층부에서 15 ㎛ 이하, 강판 중심부에서 40 ㎛ 이하를 만족시킨 후강판은, ―10 ℃에 있어서 의 Kca는 200 ㎫ㆍm0.5로 높은 어레스트성을 나타내고 있다.
결정립 직경은 미세할수록 어레스트성은 향상되지만, 생산성을 고려하면, 결정립 직경의 하한은, 강판 표리층부는 3 ㎛, 강판 중심부는 1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정립 직경이 상기와 같이 미세하게 됨으로써 어레스트성이 향상되는 이유는 이하와 같다. 결정립계에 있어서는, 인접 결정립 사이에서 결정 방위가 다르기 때문에, 이 부분에 있어서 균열이 전파되는 방향이 변화된다. 이로 인해, 미파단 영역이 생기고, 미파단 영역에 의해 응력이 분산되어 균열 폐구 응력이 된다. 따라서, 균열 전파의 구동력이 저하되어 어레스트성이 향상된다. 또한, 미파단 영역이 최종적으로 연성 파괴되므로, 취성 파괴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흡수된다. 이로 인해, 어레스트성이 향상된다.
일반적으로 후강판의 표층에서는 취성 파괴가 생기기 어렵고, 연성 파괴 영역(시어리프)이 형성되기 쉽다. 표층을 세립화하고, 또한 세립화층의 두께를 크게 하면 시어리프 영역이 확대된다. 시어리프 형성 전의 미파단 영역에서는 응력이 분산되어 균열 폐구 응력이 되고, 또한 시어리프 형성에 의해 취성 파괴에 필요로 하는 에너지가 흡수된다. 이로 인해, 어레스트성이 향상된다.
인접 입자와의 결정 방위차를 15° 이상으로 한 이유는, 15° 미만에서는 결정립계가 취성 균열 전파의 장해가 되기는 어렵고, 상기와 같은 어레스트성 향상 효과가 감소되기 때문이다. 또한, 강판 표리층부의 결정립 직경을 15 ㎛ 이하로 한 이유는, 15 ㎛ 초과에서는 시어리프의 형성에 필요한 인성을 얻을 수 없기 때문이고, 강판 중심부의 결정립 직경을 40 ㎛ 이하로 한 이유는, 40 ㎛ 초과에서는 인성이 저하되어 판 두께 내부의 취성 균열의 전파가 지배적이 되고, 표층부의 파괴 구동력이 커짐으로써, 시어리프가 형성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이다.
한편, 강판이 외부 응력을 받았을 때에 상기 강판에 발생하는 취성 균열은 {100}면의 벽개면(劈開面)을 따라서 전파되므로, 이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100}면 집합 조직이 발달하면, 상기와 같이 결정립 직경을 제어하였을 때의 어레스트성 향상 효과가 감소되는 것이 판명되었다.
이때,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의 집합 조직이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강판 표리층부)에서, 면적률로 30 % 이하로 하면, 결정립 직경의 미세화에 의한 어레스트성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어레스트성은 충분한 값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또한, 강판 표리층부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강판 중심부)에 있어서, 상기한 집합 조직의 면적률을 15 % 이하로 하면, 결정립 직경의 미세화에 의한 어레스트성 향상 효과를 발휘할 수 있어, 어레스트성은 충분한 값을 나타내는 것이 판명되었다.
도3은 도2에서 이용한 후강판에 있어서 EBSP법에 의한 측정 결과를 나타내는 {100}면 맵이다. 도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검은 부분이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이다. 이 {100}면의 면적률은, 강재의 표면으로부터 5 ㎜ 아래의 위치에서는 14 %이고,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4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14 %이고, 판 두께의 1/2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6 %이다. 이와 같이 {100} 면적률이 강판 표리층부에서 30 % 이하, 강판 중심부에서 15 % 이하를 만족시킨 후강판은, 상기한 바와 같이 ―10 ℃에 있어서의 Kca는 200 ㎫ㆍm0.5로 높은 어레스트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시험편의 파면을 관찰하면, 표리층부에 있어서 판 두께의 약 10 %인 시어리프가 관찰되었다.
이 {100}면의 면적률은 작을수록 어레스트성은 향상되지만, 극단적으로 지나치게 작으면 다른 집합 조직이 발달하여 어레스트성에 이방성이 생기기 때문에, 강판 표리층부는 5 % 이상, 강판 중심부는 3 % 이상으로 한 쪽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어레스트성 향상 효과는 항복 응력이 390 내지 500 ㎫인 강판 및 판 두께가 40 내지 100 ㎜인 강판에 있어서 특히 현저해진다. 이 이유는, 항복 응력이 390 ㎫ 미만 또는 500 ㎫ 초과, 판 두께가 40 ㎜ 미만 또는 100 ㎜ 초과인 영역에서는 본 발명에서 규정하고 있는 판 두께 방향으로 결정립 직경이나 집합 조직이 다른 분포를 형성시키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이다.
이하, 각 원소의 양을 한정한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C는 두꺼운 모재의 강도와 인성을 확보하기 위해 0.03 % 이상 필요하고, 이것이 하한이다. 또한, C가 0.15 %를 초과하면 양호한 HAZ 인성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기 때문에, 이것이 상한이 된다.
Si는 탈산 원소 및 강화 원소로서 유효하기 때문에, 0.1 % 이상 필요하지만, 0.5 %를 초과하면 HAZ 인성이 크게 열화되므로, 이것이 상한이다.
Mn은 뚜꺼운 모재의 강도와 인성을 경제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0.5 % 이상 필요하다. 단, 2.0 %를 초과하여 Mn을 첨가하면, 중심 편석이 현저해져 이 부분의 모재와 HAZ의 인성이 열화되므로, 이것이 상한이다.
P는 불순물 원소이고, HAZ 인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0.02 % 이하로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S도 불순물 원소이고, 모재의 특성 및 HAZ 인성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해, 0.01 % 이하로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Al은 탈산을 담당하고, 불순물 원소인 O를 저감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Al 이외에도 Mn이나 Si도 탈산에 기여하지만, 가령 이들 원소가 첨가되는 경우라도, 0.001 % 이상의 Al이 없으면 안정적으로 O를 억제하는 것은 어렵다. 단, Al이 0.1 %를 초과하면, 알루미나계의 조대 산화물이나 그 클러스터가 생성되어, 모재와 HAZ 인성이 손상되므로, 이것이 상한이다.
Ti는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다. Ti를 첨가함으로써 TiN이 형성되고, 강편 가열 시에 오스테나이트 입자 직경이 커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 입자 직경이 커지면 변태 후의 베이나이트의 입자 직경도 커지기 때문에, 필요한 크기의 베이나이트 입자 직경을 얻기 위해서는 Ti를 0.005 % 이상 첨가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지나친 Ti의 첨가는 TiC 형성에 의한 HAZ 인성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0.02 %를 상한으로 한다.
Ni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Ni 첨가량을 적절한 값으로 제어하고, 또한 강판 냉각 과정에 있어서의 냉각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베이나이트의 서브 유닛, 즉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인 계면을 입계라고 정의한 경우의 결정립을 미세화할 수 있다. 이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Ni의 첨가량은 0.15 %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단, Ni는 고가의 원소이고 지나친 첨가는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Ni 첨가의 효과에도 상한이 있으므로, 2 %를 상한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N은 본 발명에 있어서 중요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강재 중에 TiN이 형성될 필요가 있으므로, 0.001 %를 하한으로 한다. 한편, N의 첨가량이 지나치면 강재의 취화를 초래하므로, 0.008 %를 상한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첨가 원소 외에, 질량%로, Cu : 0.1 내지 1 %, Cr : 0.1 내지 1 %, Mo : 0.05 내지 0.5 %, Nb : 0.005 내지 0.05 %, V : 0.02 내지 0.15 %, B : 0.0003 내지 0.003 %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화학 성분으로서 함유해도 좋다. 이들을 하한 이상 첨가함으로써, 모재의 강도 및 인성이 확보된다. 단, 이들 원소가 지나치게 많으면, HAZ 인성이나 용접성이 저하되므로, 각각의 원소에 상한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또한, 상기한 첨가 원소 외에, 질량%로, Ca : 0.0003 내지 0.005 %, Mg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화학 성분으로서 함유해도 좋다. 이들을 첨가함으로써 HAZ 인성이 확보된다.
다음에, 본 발명인 고강도 후강판의 바람직한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상기한 적절한 화학 성분으로 조정한 용강을, 전로(轉爐) 등의 통상 공지의 용제 방법으로 용제하고, 연속 주조 등의 통상 공지의 주조 방법으로 강 소재인 주 물편으로 한다. 주조 시의 냉각 도중 혹은 냉각 후에 강편을 950 내지 1250 ℃의 온도로 가열하여 오스테나이트 단상화한다. 이는, 950 ℃ 미만에서는 용체화가 불충분하고, 1250 ℃ 초과에서는 가열 오스테나이트 입자 직경이 극단적으로 조대화되어 압연 후에 미세한 조직을 얻는 것이 곤란해져 인성이 저하되기 때문이다. 이 가열한 강 소재는 오스테나이트 세립화를 목적으로 900 ℃ 이상에서의 재결정 압연을 행해도 좋지만, 재결정 압연이 없는 상태라도 상관없다. 계속해서, 처리 압연에 의해 소정의 두께의 강판을 만들고, 압연 후에 수냉한다. 이때, 670 ℃ 이상 850 ℃ 이하의 온도에서 누적 압하율 30 % 이상의 압연을 행하고, 650 ℃ 이상의 온도로부터 냉각을 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의 냉각 속도는 강판 표면에 있어서 25 ℃/초 이상, 강판 중심부에 있어서 5 ℃/초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자기 템퍼링을 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수냉을 500 ℃ 이하의 온도로부터 공냉으로 절환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냉각 후에 300 내지 650 ℃의 온도에서 템퍼링 열처리를 행하고, 모재의 강도와 인성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극저온 압연 및 복잡한 열처리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본 실시 형태에 관한 고강도 후강판을 높은 생산성이고, 또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잔류 응력도 억제되므로, 형상 교정에 기인한 비용의 증가를 억제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르면, Ni 첨가량을 적절한 값으로 하여 베이나이트 주체 조직의 결정립 직경을 미세화하고, 또한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배향한 {100}면의 면적률을 저감시킨 집합 조직 분포를 형성함으로써, 고강도 후강판 에 있어서, 어레스트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항복 응력이 390 내지 500 ㎫, 또한 판 두께가 40 내지 100 ㎜인 강판에 있어서, 어레스트성을 나타내는 ―10 ℃에 있어서의 Kca를 170 ㎫ㆍm0.5 이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생산성이 높고, 저비용으로 할 수 있다.
(실시예)
제강 공정에 있어서 용강의 화학 성분 조정을 행한 후, 연속 주조에 의해 주물편을 만들고, 이 주물편을 재가열하고, 또한 후판 압연에 의해 두께가 40 내지 100 ㎜인 후강판을 만들어 수냉하였다. 이때 일부의 강판에 있어서는 공냉하였다(비교예). 그 후, 필요에 따라서 열처리를 행하여 항복 강도가 390 ㎫ 내지 500 ㎫인 후강판을 제조하였다. 표1에 각 후강판의 화학 성분을 나타낸다.
[표1]
Figure 112008007649413-PCT00001
각 후강판의 마이크로 조직 상분률, 기계적 성질, 평균 결정립 직경 및 어레스트성을 측정하였다. 이들 중, 마이크로 조직 상분률로서는, 광학 현미경에 의해 판 두께 표면으로부터 5 ㎜ 아래의 위치, 판 두께의 1/4, 1/2의 위치를 400배의 배율로 마이크로 조직을 촬영하고, 화상 해석에 의해 각각의 위치에서 측정한 전체 시야 영역에 대한 각 상의 면적률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또한, 항복 응력(YS) 및 인장 응력(TS)으로서는 2개의 시험편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또한 ―40 ℃에서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vE-40)로서는 3개의 시험편의 평균치를 구하였다. 또한, 평균 결정립 직경은 EBSP(Electron Back Scattering Pattern)법에 의해, 500 ㎛ × 500 ㎛인 영역을 1 ㎛ 피치로 측정하고, 인접 입자와의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인 입계 맵을 작성하고, 그때의 결정립의 원상당 직경을 화상 해석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측정한 EBSP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 방위 해석을 행하고,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의 맵을 작성하고, 그 전체 시야 영역에 대한 면적률을 화상 해석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평균 결정립 직경 및 {100}면의 면적률의 측정 위치는 후강판의 표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 정도 아래의 위치(이하, 표층이라고 나타냄) 및 판 두께 중심부(이하, 중심이라고 나타냄) 각각이다. 또한, 어레스트성은 온도 구배형의 표준 ESSO 시험(원두께 및 판 폭 각각이 500 ㎜)에 의해 시험하였다. 각 후강판의 이들의 측정 결과를 제조 방법과 합하여 표2, 표3에 나타낸다.
[표2]
Figure 112008007649413-PCT00002
[표3] (표2의 계속)
Figure 112008007649413-PCT00003
1) 판 두께 중심 위치, YS와 TS는 시험편 2개의 평균값, -40 ℃에서의 샤르피 흡수 에너지(vE-40)는 시험편 3개의 평균값
2) EBSP법에 의한 인접 입자와의 방위차 15° 이상인 입계로 둘러싸인 결정립의 원상당 직경
3) EBSP법에 의한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 결정면의 면적률
4) 온도 구배형 표준 ESSO 시험(원두께, 판 폭 500 ㎜)에 있어서의 -10 ℃일 때의 Kca값
강 1 내지 8은 화학 성분, 결정립 직경 모두 본 발명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어레스트성을 나타내는 ―10 ℃에 있어서의 Kca가 170 ㎫ㆍm0.5 이상인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특히, 강 1 내지 6은 {100} 면적률도 본 발명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므로, 195 ㎫ㆍm0.5 이상의 보다 우수한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베이나이트 주체의 마이크로 조직을 나타내고 있고, 기계적 성질도, 항복 강도(YS)가 395 내지 480 ㎫, 인장 강도(TS)가 530 내지 640 ㎫로 높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에 대해, 강 9, 10은 Ni 첨가량이 각각 0 %, 0.1 %로 본 발명의 하한을 하회하고, 그 결과, 결정립 직경이 표층, 중심부 모두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다. 또한, 강 9는 {100} 면적률이 표층부에 있어서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다. 이로 인해, ―10 ℃에 있어서의 Kca가 80 내지 95 ㎫ㆍm0.5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강 11은, 화학 성분은 본 발명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지만, 결정립 직경 및 {100} 면적률이 표층부에 있어서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다. 이로 인해, ―10 ℃에 있어서의 Kca가 75 ㎫ㆍm0.5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강 12는 화학 성분의 Ti가 본 발명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지 않으므로, 결정립 직경이 표층부에 있어서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다. 또한, {100} 면적률이 중심부에 있어서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다. 이로 인해, ―10 ℃에 있어서의 Kca가 120 ㎫ㆍm0.5로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강 13은, 화학 성분 및 표층부의 결정립 직경은 본 발명 요건을 만족시키고 있지만, 중심부의 결정립 직경이 본 발명 범위의 상한을 상회하고 있다. 이로 인해, {100} 면적률이 본 발명 요건을 만족시켜도 ―10 ℃에 있어서의 Kca가 150 ㎫ㆍm0.5가 되어 높은 어레스트성을 나타낼 수 없었다.
이상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을 적용함으로써, 항복 응력이 390 내지 500 ㎫, 판 두께가 40 내지 100 ㎜인 베이나이트 주체 조직이고, 또한 ―10 ℃에 있어서의 Kca가 170 ㎫ㆍm0.5 이상인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주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어레스트성이 우수하고, 항복 응력이 높고 판 두께가 40 ㎜ 이상인 후강판을 저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어, 조선, 탱크, 건축 등의 대형의 구조물의 안전성이나 저비용에 대한 요구에 답할 수 있으므로, 큰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7)

  1. 질량%로, C : 0.03 내지 0.15 %, Si : 0.1 내지 0.5 %, Mn : 0.5 내지 2.0 %, P : ≤ 0.02 %, S : ≤ 0.01 %, Al : 0.001 내지 0.1 %, Ti : 0.005 내지 0.02 %, Ni : 0.15 내지 2 %, N : 0.001 내지 0.008 %를 함유하고, 잔부가 철 및 불가피적 불순물에 의해 화학 성분이 구성되고, 마이크로 조직이 베이나이트를 모상으로 한 페라이트 또는/및 펄라이트 조직이고, 결정 방위차가 15° 이상인 결정립의 평균 원상당 직경이,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에서는 15 ㎛ 이하이고, 그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40 ㎛ 이하인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2. 제1항에 있어서, 질량%로, Cu : 0.1 내지 1 %, Cr : 0.1 내지 1 %, Mo : 0.05 내지 0.5 %, Nb : 0.005 내지 0.05 %, V : 0.02 내지 0.15 %, B : 0.0003 내지 0.003 %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화학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질량%로, Ca : 0.0003 내지 0.005 %, Mg : 0.0003 내지 0.005 %, REM : 0.0003 내지 0.005 %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화학 성분으로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이, 상기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에서는 면적률 30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외부 응력과 수직인 면에 대해 ±15°의 각도를 이루는 {100}면이, 상기 표면 및 이면으로부터 판 두께의 10 %인 영역 이외의 판 두께 중심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는 면적률로 15 %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판 두께가 40 ㎜ 이상인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복 응력이 390 ㎫ 이상인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KR1020087002464A 2006-04-13 2007-04-13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KR10090478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10590 2006-04-13
JP2006110590 2006-04-13
JPJP-P-2007-00066716 2007-03-15
JP2007066716A JP4058097B2 (ja) 2006-04-13 2007-03-15 アレスト性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7903A true KR20080027903A (ko) 2008-03-28
KR100904784B1 KR100904784B1 (ko) 2009-06-25

Family

ID=38609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02464A KR100904784B1 (ko) 2006-04-13 2007-04-13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914629B2 (ko)
EP (1) EP2006407B9 (ko)
JP (1) JP4058097B2 (ko)
KR (1) KR100904784B1 (ko)
CN (1) CN101341269B (ko)
BR (1) BRPI0702910B1 (ko)
DE (1) DE602007009814D1 (ko)
DK (1) DK2006407T3 (ko)
PL (1) PL2006407T3 (ko)
WO (1) WO2007119878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46B1 (ko) * 2012-04-06 2014-09-2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KR20150114574A (ko) * 2013-03-15 2015-10-1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후육 고인성 고장력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572600B2 (en) 2017-12-24 2023-02-07 Posco Co., Ltd Structural steel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propagat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85364B2 (ja) * 2007-02-09 2012-11-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脆性破壊伝播停止特性と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厚手高強度鋼板の製造方法、及び、脆性破壊伝播停止特性と大入熱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厚手高強度鋼板
JP5223375B2 (ja) * 2007-03-01 2013-06-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るラインパイプ用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223379B2 (ja) 2007-03-08 2013-06-26 新日鐵住金株式会社 低温靭性に優れるスパイラルパイプ用高強度熱延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934505B2 (ja) * 2007-05-29 2012-05-1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疲労亀裂進展抑制特性および脆性破壊抑制特性に優れた鋼板
JP5233303B2 (ja) * 2008-02-12 2013-07-10 新日鐵住金株式会社 Z方向のアレスト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72391B2 (ja) * 2008-03-03 2013-03-2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と均一伸びに優れた鋼板
JP5234921B2 (ja) 2008-03-19 2013-07-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歪時効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445561B2 (ja) * 2008-07-15 2010-04-0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鋼の連続鋳造鋳片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091306B1 (ko) * 2008-12-26 2011-12-07 주식회사 포스코 원자로 격납 용기용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0082676A1 (ja) 2009-01-14 2010-07-22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脆性き裂伝播性に優れた溶接構造体
TW201036746A (en) 2009-01-14 2010-10-16 Nippon Steel Corp Weld dtructure having brittle fracture arresting characterstics
JP4853575B2 (ja) * 2009-02-06 2012-01-11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耐座屈性能及び溶接熱影響部靭性に優れた低温用高強度鋼管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342902B2 (ja) * 2009-03-11 2013-11-1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および母材疲労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0104165A1 (ja) * 2009-03-12 2010-09-1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耐hic厚鋼板およびuoe鋼管
BRPI0901378A2 (pt) * 2009-04-03 2010-12-21 Villares Metals Sa aço bainìtico para moldes
CN101701326B (zh) * 2009-10-28 2011-07-20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厚规格高强高韧船板钢及其生产方法
KR101140097B1 (ko) 2010-03-04 2012-06-14 신닛뽄세이테쯔 카부시키카이샤 고강도 후강판의 취성 균열 전파 정지 성능의 판정 방법
JP5759109B2 (ja) * 2010-03-09 2015-08-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2002481A1 (ja) * 2010-06-30 2012-01-05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熱延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2008056A1 (ja) * 2010-07-14 2012-0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耐脆性き裂伝播性を有する溶接構造体
US9528172B2 (en) * 2010-09-03 2016-12-27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strength steel sheet having improved resistance to fracture and to HIC
KR20120075274A (ko) * 2010-12-28 2012-07-06 주식회사 포스코 극저온 인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US9644372B2 (en) * 2011-12-15 2017-05-09 Nippon Steel & Sumitomo Metal Corporation High-strength H-beam steel exhibiting excellent low-temperature toughnes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BR112015020815B1 (pt) * 2013-03-26 2021-06-29 Jfe Steel Corporation Chapa de aço grossa de alta resistência para soldagem de elevado aporte de calor com excelente capacidade de interrupção de ruptura frágil e método para fabricação da mesma
JP5713135B1 (ja) 2013-11-19 2015-05-07 新日鐵住金株式会社 鋼板
EP3120941B1 (en) * 2014-03-20 2018-03-28 JFE Steel Corporation High toughness and high tensile strength thick steel pl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WO2015162939A1 (ja) 2014-04-24 2015-10-2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厚鋼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6472315B2 (ja) * 2014-05-22 2019-02-2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厚鋼板
CN107109597B (zh) * 2014-12-24 2020-01-31 Posco公司 耐脆性裂纹扩展性优异的高强度钢材及其制造方法
KR101657827B1 (ko) * 2014-12-24 2016-09-20 주식회사 포스코 취성균열전파 저항성이 우수한 구조용 극후물 강재 및 그 제조방법
CN107109592A (zh) 2014-12-24 2017-08-29 Posco公司 耐脆性裂纹扩展性优异的高强度钢材及其制造方法
US10822671B2 (en) 2014-12-24 2020-11-03 Posco High-strength steel having superior brittle crack arrestability,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CN104561831A (zh) * 2015-01-30 2015-04-29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高止裂性能的钢板及其制造方法
CN104694850B (zh) * 2015-03-12 2017-03-15 东北大学 一种止裂性能优异的厚钢板及其制造方法
CN105039865B (zh) * 2015-08-26 2017-07-14 江苏省沙钢钢铁研究院有限公司 一种高强度高韧性钢板及其制造方法
JP6624208B2 (ja) 2016-02-03 2019-12-25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大入熱溶接用鋼材
JP6911575B2 (ja) * 2016-06-30 2021-07-28 日本製鉄株式会社 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に優れた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8660389B (zh) * 2017-03-29 2020-04-24 鞍钢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异止裂性的高强厚钢板及其制造方法
CN109762967B (zh) * 2019-03-12 2021-03-12 南京钢铁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优良低温韧性的耐腐蚀船用球扁钢及制造方法
CN112899551B (zh) * 2019-12-30 2022-08-30 宝钢湛江钢铁有限公司 低成本、高止裂及高焊接性YP355MPa级特厚钢板及其制造方法
JP7402055B2 (ja) * 2020-01-07 2023-12-20 日本製鋼所M&E株式会社 溶接熱影響部の靱性が優れたCu含有低合金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22045353A1 (ja) * 2020-08-31 2022-03-03 日本製鉄株式会社 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5398018B (zh) * 2020-08-31 2023-07-21 日本制铁株式会社 钢板及其制造方法
CN112501511B (zh) * 2020-11-30 2022-02-01 武汉钢铁有限公司 一种低内应力桥梁结构用钢及其生产方法
CN114763593B (zh) * 2021-01-12 2023-03-14 宝山钢铁股份有限公司 具有耐高湿热大气腐蚀性的海洋工程用钢及其制造方法
CN116005071B (zh) * 2022-12-27 2024-05-24 南阳汉冶特钢有限公司 一种x80止裂钢板及其生产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47323A (ja) 1982-09-10 1984-03-17 Nippon Steel Corp 溶接部靭性および脆性破壊伝播停止特性の優れた高張力鋼の製造法
JPH064903B2 (ja) 1985-04-09 1994-01-19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の優れた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法
JP2633757B2 (ja) 1991-11-29 1997-07-23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脆性破壊伝播停止特性の優れた溶接用構造用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3325148B2 (ja) * 1995-02-22 2002-09-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と低温靱性の優れた厚鋼板の製造方法
JP4213833B2 (ja) * 1999-10-21 2009-01-21 新日本製鐵株式会社 溶接部靱性に優れた高靱性高張力鋼とその製造方法
JP2002105534A (ja) * 2000-09-27 2002-04-10 Nippon Steel Corp 耐破壊特性に優れた高張力鋼の製造方法
JP3775279B2 (ja) 2000-12-15 2006-05-17 Jfeスチール株式会社 塑性変形後の脆性き裂伝播停止特性ならびに疲労き裂伝播特性に優れた構造用鋼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770106B2 (ja) * 2001-06-20 2006-04-26 住友金属工業株式会社 高強度鋼とその製造方法
JP2003221619A (ja) 2002-01-31 2003-08-08 Kobe Steel Ltd アレスト特性および延性破壊特性に優れた厚鋼板の製造方法
JP3860763B2 (ja) * 2002-02-19 2006-12-20 新日本製鐵株式会社 疲労強度に優れた厚鋼板とその製造方法
JP3869747B2 (ja) 2002-04-09 2007-01-17 新日本製鐵株式会社 変形性能に優れた高強度鋼板、高強度鋼管および製造方法
JP4354754B2 (ja) 2003-08-06 2009-10-2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母材靭性およびhaz靭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
JP4449388B2 (ja) 2003-09-25 2010-04-14 Jfeスチール株式会社 脆性亀裂伝播停止特性および超大入熱溶接熱影響部靱性に優れた高張力厚鋼板の製造方法
JP2005097694A (ja) 2003-09-26 2005-04-14 Jfe Steel Kk 脆性亀裂伝播停止性能に優れた非調質高強度厚鋼板の製造方法
JP2005146407A (ja) * 2003-10-20 2005-06-09 Nippon Steel Corp 高速延性破壊特性に優れた超高強度鋼板及び超高強度鋼管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4646B1 (ko) * 2012-04-06 2014-09-26 신닛테츠스미킨 카부시키카이샤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KR20150114574A (ko) * 2013-03-15 2015-10-12 제이에프이 스틸 가부시키가이샤 후육 고인성 고장력 강판 및 그의 제조 방법
US11572600B2 (en) 2017-12-24 2023-02-07 Posco Co., Ltd Structural steel having excellent brittle crack propagation resist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006407A4 (en) 2009-05-06
EP2006407B9 (en) 2012-04-18
CN101341269B (zh) 2011-09-21
US7914629B2 (en) 2011-03-29
US20090092515A1 (en) 2009-04-09
BRPI0702910A2 (pt) 2011-03-22
JP4058097B2 (ja) 2008-03-05
JP2007302993A (ja) 2007-11-22
WO2007119878A1 (ja) 2007-10-25
BRPI0702910B1 (pt) 2014-09-02
DK2006407T3 (da) 2010-11-15
DE602007009814D1 (de) 2010-11-25
KR100904784B1 (ko) 2009-06-25
PL2006407T3 (pl) 2011-04-29
EP2006407A1 (en) 2008-12-24
CN101341269A (zh) 2009-01-07
EP2006407B1 (en) 2010-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4784B1 (ko) 어레스트성이 우수한 고강도 후강판
KR101642196B1 (ko) 강판
KR101024709B1 (ko) 두꺼운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 방법
EP3012340B1 (en) Ht550 steel plate with ultrahigh toughness and excellent weld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5064150B2 (ja) 脆性き裂伝播停止性能に優れた高強度厚鋼板
CN111727267B (zh) 奥氏体耐磨钢板
JP6007968B2 (ja) 高強度高延性厚板鋼板とその製造方法
KR101360737B1 (ko) 취성 균열 발생 저항성이 우수한 고강도 강판 및 그 제조방법
WO2010134220A1 (ja) 大入熱溶接用鋼材
CN110546290A (zh) 奥氏体系耐磨钢板
WO2014038200A1 (ja) 溶接熱影響部ctod特性に優れた厚肉高張力鋼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082667B2 (ja) アレスト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09401A (ja) 溶接熱影響部の靭性と均一伸びに優れた鋼板
JP2011074403A (ja) 大入熱溶接用鋼
KR20080100787A (ko) 취성 균열 전파 정지 특성 및 판 두께 중앙부의 인성이우수한 강판과 그 제조방법
WO2013088715A1 (ja) 大入熱溶接用鋼材
JP2011214053A (ja) 超大入熱溶接部靭性に優れた低降伏比建築構造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15075771A1 (ja) 鋼板
JP2010174357A (ja) 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287086A (ja) 圧延方向に対し45°方向のアレスト特性に優れた高強度厚肉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3395985B1 (en) Thick steel plate for high heat input welding and having great heat-affected area toughnes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7568718A (zh) 厚钢板及其制造方法
JP2005054250A (ja) 母材靭性およびhaz靭性に優れた高張力鋼板
JP2011089155A (ja) 海洋構造物用厚鋼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899694B1 (ko) 저온 충격인성 및 ctod 특성이 우수한 후강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