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0261A - 유기 발광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0261A
KR20080020261A KR1020060083527A KR20060083527A KR20080020261A KR 20080020261 A KR20080020261 A KR 20080020261A KR 1020060083527 A KR1020060083527 A KR 1020060083527A KR 20060083527 A KR20060083527 A KR 20060083527A KR 20080020261 A KR20080020261 A KR 200800202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lines
light emitting
organic light
electrode
display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14820B1 (ko
Inventor
김은아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3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14820B1/ko
Priority to JP2007002394A priority patent/JP2008058928A/ja
Priority to US11/731,966 priority patent/US8415676B2/en
Priority to CN2007101044740A priority patent/CN101136427B/zh
Priority to EP07253445.6A priority patent/EP1895593B1/en
Publication of KR200800202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02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1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148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05B33/26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material used as an electrod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7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9/871Self-supporting seal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구동 회로부 또는 유기 발광 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선들로 이루어진 배선부를 기판의 비표시 영역, 특히 구동 IC가 실장되는 COG 영역의 하부에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인접 신호선들 간에 높이 차가 유지되도록 상기 배선부의 신호선들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층상에 각각 배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오엘이디, 스크래치, 배선, 쇼트, COG,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비표시 영역, 특히 COG 영역 하부에 제공되는 배선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외측에 구비되는 비표시 영역, 특히 COG(Chip On Glass) 영역의 하부에 제공된 신호선들이 외부 스크래치에 의해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극선관의 단점인 무게와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각종 평판 표시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평판 표시장치는 액정 표시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전계 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및 유기 발광 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등이 있다.
이 중에서 상기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화합물을 전기적으로 여기시켜 발광시키는 자발광형 표시 소자로서, N×M 개의 유기 발광 소자들을 전압 구동 또는 전류 구동하여 영상을 표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다이오드 특성을 가져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라고도 불리며, 이는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 전극과, 발광층인 유기 박막과 전자 주입 전극인 캐소드 전극의 구조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유기 발광 소자는 상기한 각 전극으로부터 정공과 전자가 유기박막 내부로 주입되면, 주입된 정공과 전자가 결합한 엑시톤(exiton)이 여기상태로부터 기저상태로 떨어질 때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비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방식에 따라 능동형(active matrix type) 유기 발광 표시장치와 수동형(passive matrix type)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구분할 수 있다.
이 중에서 상기한 능동형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구조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능동형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유기 발광 소자들이 제공된 제1 기판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판은 TFT가 형성된 구동 회로부를 구비하는 구동 회로 기판일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기판은 구동 회로부가 형성되지 않는 디스플레이 기판일 수도 있는데, 이하에서는 상기 제1 기판을 구동 회로 기판이라고 가정한 상태에서 설명한다.
제1 기판은 유기 발광 소자들이 형성되어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외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에는 하부 구조물이 제공되며, 하부 구조물 위에는 평탄화층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한 하부 구조물은 복수의 박막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며, 또한,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을 소오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절연하는 층간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평탄화층 위에는 상기 소스/드레인 전극과 통전하는 애노드 전극이 제공되고, 애노드 전극 위에는 발광층과 캐소드 전극이 순차적으로 제공되며, 애노드 전극과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는 화소 정의막(PDL: Pixel Defining Layer)에 의해 인접 부화소와 분리된다.
이때, 상기 부화소는 적색(R), 녹색(G), 또는 청색(B)을 발광하는 발광층을 구비한다. 따라서, 상기한 3가지 색상을 각각 발광시키는 3개의 부화소가 모여 1개의 화소를 형성하며, 복수의 화소에 의해 풀 컬러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 IC를 적어도 한 개 이상 필요로 한다. 상기한 구동 IC는 일반적으로 탭(Tape Automated Bonding, 이하 'TAB'이라 한다) 방식 또는 씨오지(Chip On Glass, 이하 'COG'라 한다) 방식에 의해 실장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TAB 방식은 구동 IC가 실장된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CP)를 기판에 실장하는 기술을 말하며, COG 방식은 구동 IC를 기판 상에 직접 실장하는 기술을 말한다.
이 중에서, 상기 COG 방식은 TAB 방식에 비해 더 미세한 피치를 가진 구동 IC를 실장할 수 있다. 따라서, 근래에 많이 적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하지만, COG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구동 IC가 실장되는 COG 영역이 기판 상에 구비되어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표시 영역 외측의 비표시 영역 중 일부를 COG 영역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편, 상기한 구성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조함에 있어서, 근래에는 다면취 공정을 이용하고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다면취 공정은 한 개의 원장 기판에 복수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들을 형성하고, 한 개의 인캡 글라스를 사용하여 상기한 유기 발광 표시장치들을 모두 밀봉한 후, 상기 인캡 글라스와 원장 기판을 표시장치 단위로 절단하여 복수의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공정을 말한다.
이에, 상기한 COG 방식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상기한 다면취 공정에 의해 제조할 때에는 상기 인캡 글라스의 일부를 스크라이빙(scribing)한 후 이를 제거하여 상기 COG 영역을 노출시키고, 노출된 COG 영역에 구동 IC를 실장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인캡 글라스의 일부를 제거할 때에는 스크라이빙 작업시에 발생한 글라스 파티클 등에 의해 평탄화막 상에 스크래치(scratch)가 형성된다.
따라서,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층상에 형성되어 상기 평탄화막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COG 영역 하부의 배선들이 상기 스크래치로 인해 쇼트(short)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비표시 영역에 제공된 배선이 외부 스크래치에 의해 쇼트(short)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구동 회로부 또는 유기 발광 소자에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신호선들로 이루어진 배선부를 기판의 비표시 영역, 특히 구동 IC가 실장되는 COG 영역의 하부에 형성함에 있어서,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인접 신호선들 간에 높이 차가 유지되도록 상기 배선부의 신호선들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층상에 각각 배치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신호선들은 박막 트랜지스터의 반도체층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절연막과,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게이트 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층간 절연막 상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신호선(제1 신호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그리고, 제1 신호선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의 제2 신호선은 상기 박막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신호선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이와 마찬가지로 제2 신호선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1 신호선들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의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은 번갈아가며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배선부의 모든 신호선들을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도시하였다. 층, 막, 영역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표시 영역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비표시 영역, 특히 COG 영역 하부에 제공되는 배선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선부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대향 배치되는 제1 기판(10) 및 제2 기판(20)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 기판(10)으로는 투명한 재질의 글라스 기판 또는 불투명한 재질의 수지재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메탈 호일(foil)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씰런트에 의해 제1 기판(10)에 봉지되는 제2 기판(20)으로는 투명한 재질의 글라스 기판 또는 메탈 캡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상기한 제2 기판 대신에 제1 기판(10)의 구조물 상에 박막을 도포하여 상기 구조물을 밀봉하는 것도 가 능하다.
상기 제1 기판(10)에는 표시 영역(A1)과 비표시 영역(A2)이 형성되는데, 표시 영역(A1)은 소정의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복수의 유기 발광 소자(18)들이 제공되는 영역으로, 도 2를 참조하여 표시 영역(A1)의 단면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배면 발광(bottom emission) 방식의 능동 매트릭스(active matrix)형 유기 발광 표시장치의 표시 영역을 도시한 단면 구조로서, 제1 기판(10)에는 버퍼막(12)이 제공되고, 버퍼막(12) 위에는 구동 회로부를 구성하는 박막 트랜지스터(14)들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버퍼막(12) 위에는 반도체층(14a)이 제공되며, 반도체층(14a) 및 버퍼막(12) 위에는 게이트 절연막(14b)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반도체층(14a)은 다결정 실리콘막을 일정한 형상으로 패터닝한 후, 이 막에 불순물을 주입하여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이 영역들 사이의 채널 영역을 형성하여 제조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4b) 위에는 게이트 전극(14c)이 제공되고, 게이트 전극(14c)과 게이트 절연막(14b) 위에는 층간 절연막(14d)이 제공되며, 층간 절연막(14d) 위에는 소스 전극(14e) 및 드레인 전극(14f)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소스 전극(14e) 및 드레인 전극(14e)은 층간 절연막(14d)의 접속홀을 통해 반도체층(14a)의 소스 영역 및 드레인 영역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된다.
이러한 구성의 박막 트랜지스터(14) 및 층간 절연막(14d) 위에는 평탄화 층(16)이 제공되고, 평탄화층(16) 위에는 유기 발광 소자(18)들이 제공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평탄화층(16) 위에는 애노드 전극(18a)이 제공되고, 애노드 전극(18a)은 평탄화층(16)의 접속홀을 통해 상기 드레인 전극(14f)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애노드 전극(18a) 위에는 발광층(18b) 및 캐소드 전극(18c)이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애노드 전극(18a)은 발광층(18b)에서 발광된 빛이 이 전극(18a)과 제1 기판(10)을 통해 외부로 디스플레이 될 수 있도록 투명 재질의 비금속 전극, 예컨대 ITO로 형성될 수 있으며, 캐소드 전극(18c)은 불투명 재질의 금속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애노드 전극(18a)과 캐소드 전극(18c) 및 발광층(18b)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18)들은 화소 정의막(Pixel Defining Layer: 18d)에 의해 인접 소자들과 분리된다.
상기 발광층(18b)은 적색(R), 녹색(G), 청색(B) 중의 어느 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으로,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및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를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전자 수송층과 캐소드 전극(18c) 사이에는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이 더욱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유기 발광 소자(18)들은 발광층(18b)의 빛이 애노드 전극(18a) 및 제1 기판(10)을 투과하여 외부로 방출되면서 소정의 영상을 구현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유기 발광 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의 세부적인 구성은 제품(application) 사양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표시 영역(A1)의 외측에 제공되는 비표시 영역(A2)에는 상기한 박막 트랜지스터(14) 또는 유기 발광 소자(18)에 구동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배선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배선부(3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신호선들(32,34)을 구비하는데, 상기 신호선들(32,34)은 서로 다른 구동 신호를 필요로 하는 곳에 상기 신호를 각각 전달하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신호선들(32,34)이 소스 전극(14e) 및 드레인 전극(14f)과 동일한 물질로 층간 절연막(16) 상에 형성되고 있으므로, 제2 기판(20)에 의해 봉지되지 않는 비표시 영역, 특히 구동 IC(40)가 실장되는 COG 영역(A3)에서 스크래치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스크래치에 의해 신호선들(32,34) 간에 쇼트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스크래치로 인해 발생되는 신호선들(32,34) 간의 쇼트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신호선들(32,34)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신호선을 상기 게이트 절연막(14d) 상에 형성한다.
이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선부(30)는 게이트 절연막(14d) 상에 형성되는 제1 신호선(32)과, 층간 절연막(16) 상에 형성되는 제2 신호선(34)을 포함한다.
도 3에서는 제1 신호선(32)과 제2 신호선(34)을 각각 한 개씩만 도시하고 있 지만, 상기 제1 신호선(32) 및 제2 신호선(34)은 도 3에 도시한 패턴과 동일한 패턴으로 COG 영역(A3) 하부에 무수히 많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신호선(32)은 게이트 전극(14c)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2 신호선(34)은 상기 소스 전극(14e) 및 드레인 전극(14f)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배선부(30)를 형성함에 있어서, 게이트 절연막(14c) 상에 형성되는 제1 신호선(32)과 층간 절연막(16) 상에 형성되는 제2 신호선(34)은 교대로 번갈아가며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신호선(32) 및 제2 신호선(34)은 인접 신호선들 간에 높이 차가 유지되도록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층상에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위에서 언급한 스크래치가 발생되더라도 인접 신호선들(32,34) 간에 쇼트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배선부(30)는 제1 신호선(32) 및 제2 신호선(34)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 상기한 제1 신호선(32)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 또는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제2 신호선(34)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1 신호선(32)과 제2 신호선(32)이 꼭 한 개씩 번갈아가며 교대로 형성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층간 절연막(16)에 의해 보호되고 있는 제1 신호선(32)을 제2 신호 선(32) 사이의 공간에 2개 이상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배선부(30)를 구성하는 모든 신호선들, 즉 도 3의 제1 신호선(32)과 제2 신호선(34)을 모두 게이트 전극(14c)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14b) 상에 형성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신호선들(32,34)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전압을 전달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비표시 영역에 배선부를 형성함에 있어서, 인접 신호선들 간에 높이 차가 유지되도록 게이트 절연막 및 층간 절연막 상에 신호선들을 교대로 번갈아가며 배치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상기 배선부의 모든 신호선들이 평탄화층에 비해 경도가 높은 층간 절연막에 의해 보호되도록 상기 신호선들을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하고 있다.
따라서, 외부 스크래치가 발생되더라도 상기 스크래치로 인해 신호선들이 쇼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상기 쇼트로 인해 구동에 심각한 오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0)

  1.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층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기판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구동 회로부;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부;
    상기 표시 영역 외측에 구비된 비표시 영역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 또는 유기 발광 소자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을 구비하는 배선부
    를 포함하며, 상기 신호선들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신호선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들 중에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적어도 일부의 신호선을 제1 신호선이라 하며, 상기 제1 신호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을 제외한 나머지 일부의 제2 신호선은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선은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신호선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8.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들이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9. 제 3항 내지 제 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신호선과 제2 신호선이 번갈아가며 교대로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 시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의 모든 신호선들이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선들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전압을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3.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층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기판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구동 회로부;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구동 회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부; 및
    상기 표시 영역 외측에 구비된 COG 영역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회로 부 또는 유기 발광 소자부에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을 구비하는 배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의 일부 신호선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 신호선들은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일부 신호선들은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기 나머지 일부 신호선들과는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일부 신호선들은 서로 동일한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일부 신호선들은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7. 제 13항 내지 제 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기 일부 신호선들은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상기 나머지 일부 신호선들 사이에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8.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층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기판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구동 회로부;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구동 회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부; 및
    상기 표시 영역 외측에 구비된 COG 영역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 또는 유기 발광 소자부에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을 구비하는 배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의 신호선들은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인접 신호선들 간에 높이 차가 유지되도록 2개 이상의 서로 다른 층상에 각각 배치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부의 신호선들 중 일부의 신호선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 신호선은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20. 반도체층, 게이트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게이트 전극, 층간 절연막을 사이에 두고 상기 게이트 전극의 상부에 형성되는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포함하며, 기판의 표시 영역에 구비되는 구동 회로부;
    제1 전극 및 제2 전극과 이 전극들 사이에 배치된 유기 발광층을 포함하며, 상기 표시 영역 내에서 상기 구동 회로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부; 및
    상기 표시 영역 외측에 구비된 COG 영역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구동 회로부 또는 유기 발광 소자부에 서로 다른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선들을 구비하는 배선부
    를 포함하며, 상기 배선부의 신호선들은 상기 게이트 전극과 동일한 물질로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형성되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20060083527A 2006-08-31 2006-08-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KR1008148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27A KR100814820B1 (ko) 2006-08-31 2006-08-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JP2007002394A JP2008058928A (ja) 2006-08-31 2007-01-10 有機発光表示装置
US11/731,966 US8415676B2 (en) 2006-08-31 2007-04-02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CN2007101044740A CN101136427B (zh) 2006-08-31 2007-04-23 有机发光显示器
EP07253445.6A EP1895593B1 (en) 2006-08-31 2007-08-31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3527A KR100814820B1 (ko) 2006-08-31 2006-08-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0261A true KR20080020261A (ko) 2008-03-05
KR100814820B1 KR100814820B1 (ko) 2008-03-20

Family

ID=38754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3527A KR100814820B1 (ko) 2006-08-31 2006-08-31 유기 발광 표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415676B2 (ko)
EP (1) EP1895593B1 (ko)
JP (1) JP2008058928A (ko)
KR (1) KR100814820B1 (ko)
CN (1) CN10113642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048A (ko) *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116595A (ko) * 2018-04-0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17866A (ko) * 2018-04-06 2019-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309946B2 (ja) * 2008-12-12 2013-10-0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TWI443629B (zh) 2008-12-11 2014-07-01 Sony Corp 顯示裝置、其驅動方法及電子設備
KR101885806B1 (ko) * 2012-05-01 2018-08-0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N105334994A (zh) * 2014-08-06 2016-02-17 上海和辉光电有限公司 一种oled触控显示面板
JP6469427B2 (ja) * 2014-12-03 2019-02-13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102490881B1 (ko) * 2014-12-26 2023-01-2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4617106B (zh) * 2015-01-09 2017-12-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及显示装置
CN105068349A (zh) * 2015-09-16 2015-11-1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以及阵列基板的制作方法
JP6707156B2 (ja) * 2019-01-16 2020-06-10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KR20220170385A (ko) * 2021-06-22 2022-12-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8315A (ja) * 2001-03-01 2002-09-11 Display Technologies Inc アレイ基板、及びこれを用いる液晶表示装置
KR100461634B1 (ko) 2002-04-15 2004-12-1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JP2004140267A (ja) * 2002-10-18 2004-05-13 Semiconductor Energy Lab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作製方法
JP4572510B2 (ja) * 2003-06-17 2010-11-0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05109223A (ja) * 2003-09-30 2005-04-21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表示装置
KR100579184B1 (ko) * 2003-11-24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659532B1 (ko) 2003-11-28 2006-12-1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557731B1 (ko) 2003-12-27 2006-03-06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KR100626009B1 (ko) * 2004-06-30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박막 트랜지스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디스플레이 장치
JP2006071861A (ja) 2004-09-01 2006-03-16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KR101014172B1 (ko) * 2004-09-13 2011-02-14 삼성전자주식회사 구동유닛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JP2006208903A (ja) * 2005-01-31 2006-08-10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20070003178A (ko) * 2005-06-30 2007-01-05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소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5048A (ko) * 2015-12-22 2017-07-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135222A (ko) * 2015-12-22 2022-10-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90116595A (ko) * 2018-04-03 2019-10-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90117866A (ko) * 2018-04-06 2019-10-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95593A3 (en) 2011-04-13
EP1895593A2 (en) 2008-03-05
EP1895593B1 (en) 2017-05-10
CN101136427A (zh) 2008-03-05
US20080055212A1 (en) 2008-03-06
CN101136427B (zh) 2010-06-09
JP2008058928A (ja) 2008-03-13
US8415676B2 (en) 2013-04-09
KR100814820B1 (ko) 2008-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14820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US841068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JP4309333B2 (ja) デュアルパネルタイプ有機電界発光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79548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와 그 제조방법
CN107785392B (zh) 显示装置
JP2005196167A (ja) 有機電界発光素子
KR101860036B1 (ko) 씨오지 타입 플렉서블 유기발광소자
JP2008070873A (ja) 平板表示装置
KR102050067B1 (ko) 표시 장치
KR101731821B1 (ko) 유기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1664182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2037871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US11963423B2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TWI423718B (zh) 有機電致發光裝置及具有此有機電致發光裝置的電子裝置
KR20180062522A (ko) 플렉서블 표시장치
JP2005085737A (ja) 自発光型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9073680A1 (ja) 表示装置
KR10264621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20093713A (ko) 전계 발광 표시장치
KR100739649B1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66933B1 (ko) 평판 표시장치
KR20200061841A (ko)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US20240179993A1 (en) Transparent display device
KR100739650B1 (ko)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14383A (ko) 유기발광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4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