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61841A -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 Google Patents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61841A
KR20200061841A KR1020180147593A KR20180147593A KR20200061841A KR 20200061841 A KR20200061841 A KR 20200061841A KR 1020180147593 A KR1020180147593 A KR 1020180147593A KR 20180147593 A KR20180147593 A KR 20180147593A KR 20200061841 A KR20200061841 A KR 202000618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control transistor
electrode
transistor
data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75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5457B1 (ko
Inventor
강임국
이설희
조성호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75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5457B1/ko
Publication of KR202000618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8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5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5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6Shielding, e.g. light-blocking means over the TFTs
    • H01L27/3272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01L27/3262
    • H01L51/5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ometry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 대전된 전하에 의해 게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파괴를 차단하는 정전기 방지회로가 포함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제 1 및 제 2 클럭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1 제어 라인, 제 2 제어라인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제어부는 입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게이트 구동부 사이 및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차단하는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ARRAY SUBSTRATE OF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INCLUDING ELECTROSTATIC FORCE PREVENTION CIRCUIT}
본 발명은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하는 정전기로 인한 트랜지스터의 파괴를 방지할 수 있는 어레이 기판에 관한 것이다.
20세기 말부터 폭발적으로 성장한 컴퓨터 및 방송통신 관련 기술의 발전에 따라 대한민국을 포함한 전 세계가 본격적으로 정보화 시대로 진입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사회에서 유통되는 대량의 유용한 정보를 정확하고 선명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다양한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액정 표시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 Plasma Display Panel), 전계방출 표시장치(FED, Field Emission Display),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OLED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와 같은 여러 가지 평판 표시장치(Flat Panel Display)가 개발되었고, 이들 평판 표시장치는 기존의 브라운관(CRT, Cathode Ray Tube)과 대비하여 얇고, 가벼우며, 소비전력이 적은 장점을 가지고 있어 기존의 브라운관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이러한 표시장치 중 각광을 받고 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를 구성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는, 정공주입 전극과 유기 발광층, 전자주입 전극으로 이루어지며, 전자와 정공이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 (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원리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자발광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낮은 소비전력, 높은 휘도와 반응속도를 가지므로 여러 표시장치 중에서 차세대 표시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는 어레이 기판을 포함하며, 어레이 기판 상의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는 부분에 박막 트랜지스터(TFT : Thin Film Transistor)가 놓여 있어, 박막 트랜지스터에 의해 유기발광 다이오드 소자의 구동이 조절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전극 및 소스 전극, 드레인 전극과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데이터 라인과 연결되어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층의 발광량이 조절되어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후에는 대전된 전하가 누적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전하에 의해 게이트 구동부에 형성된 트랜지스터가 파괴될 수 있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있어서 대전된 전하에 의한 게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파괴를 차단하는 정전기 방지회로가 포함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에 있고,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제 1 및 제 2 클럭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1 제어 라인, 제 2 제어라인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제어부는 입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게이트 구동부 사이 및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차단하는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신호 입력부의 상기 제 1 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신호 입력부의 상기 제 2 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2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표시영역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는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패널 안에 포함되는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는 어레이 테스트 실행 시 턴-온(turn on) 되고, 어레이 테스트 실행 후 턴-오프(turn off) 되는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각각 화소전극을 통해 연결되는 어레이 기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1 제어 라인, 제 2 제어라인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기판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 차단막 상에 버퍼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 절연막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에 보호막 및 오버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 및 오버코트층 상에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어레이 테스트는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 on) 시킨 후 실행하고, 상기 어레이 테스트 실행 후 상기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까지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를 턴-오프(turn off) 하는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각각 화소전극을 통해 연결하는 것이 특징인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전기 방지회로는 신호 입력부와 게이트 구동부, 표시영역과 게이트 구동부 사이에 제어 트랜지스터가 포함된 입력 제어부를 형성하여,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제조 공정 중에 발생할 수 있는 대전된 전하에 의한 서지(surge)를 차단하고, 게이트 구동부에 포함된 트랜지스터의 파괴를 방지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어레이 테스트 실시 후 입력 제어부의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사이를 화소전극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어레이 테스트 시 요구되었던 표시패널을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 없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어레이 테스트 시, 입력 제어부의 제어 트랜지스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화소전극을 형성한 후, 입력 제어부의 제어 트랜지스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포함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의 단면이다.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 발광층(E)이 형성된 제 1 기판(101)이 제 2 기판(102)에 의해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될 수 있다.
제 1 기판(101) 상에는 광 차단막(121)이 형성될 수 있으며, 광 차단막(121) 상에는 버퍼 절연막(122)이 형성될 수 있다.
버퍼 절연막(122) 상의 화소영역(P)에는 반도체층(104)이 형성될 수 있는데, 반도체층(104)은 실리콘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중앙부는 채널을 이루는 액티브 영역(104a), 그리고 액티브 영역(104a) 양 측면으로 고농도의 불순물이 도핑된 소스 영역(104b) 및 드레인 영역(104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반도체층(104)의 상부에는 게이트 절연막(105)이 형성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105) 상부에는 반도체층(104)의 액티브 영역(104a)에 대응하여 게이트 전극(107)과,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게이트 라인(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게이트 전극(107)과 게이트 라인(미도시)의 상부 전면에는 층간 절연막(106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때 층간 절연막(106a)과 그 하부에 위치한 게이트 절연막(105)은 액티브 영역(104a) 양 측면에 위치한 소스 영역(104b) 및 드레인 영역(104c)을 각각 노출시키는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구비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포함하는 제 1 층간 절연막(106a) 상부에는, 서로 이격하며 제 1 및 제 2 반도체층 콘택홀(109)을 통해 노출된 소스 영역(104b) 및 드레인 영역(104c)과 각각 접촉하는 소스 전극(108a) 및 드레인 전극(108b)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소스 전극(108a) 및 드레인 전극(108b)과 두 전극 사이로 노출된 층간 절연막(106a) 상부에는 드레인 전극(108b)을 노출시키는 드레인 콘택홀(112)을 갖는 보호막 또는 오버코트층(106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소스 전극(108a) 및 드레인 전극(108b)과, 이들 전극과 접촉하는 소스 영역(104b) 및 드레인 영역(104c)을 포함하는 반도체층(104)과, 반도체층(104) 상부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105) 및 게이트 전극(107)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위와 같은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형성하는 과정은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나 입력 제어부의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형성하는 경우에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는 반도체층(104)이 폴리 실리콘 반도체층으로 이루어진 코플라나(co-planar) 타입을 예로서 보이고 있으나, 이의 변형 예로서 순수 및 불순물의 비정질 실리콘으로 이루어진 바텀 케이트(bottom gate)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의 드레인 전극(108b)과 연결되며 제 2 층간 절연막(106b) 상부에는 실질적으로 화상을 표시하는 영역에는, 예를 들어 일함수 값이 비교적 높은 물질로 발광다이오드(E)를 구성하는 일 구성요소로서 양의 전극(anode)을 이루며 화소전극이 되는 제 1 전극(1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전극(111)은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되는데, 각 화소영역(P) 별로 형성된 제 1 전극(111) 사이에는 뱅크(119)가 위치할 수 있다.
뱅크(119)를 각 화소영역(P) 별 경계부로 하여 제 1 전극(111)이 화소영역(P) 별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전극(111)의 상부에 유기 발광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기 발광층(113)은 발광물질로 이루어진 단일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발광 효율을 높이기 위해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발광층(emitting material layer),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의 다중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 발광층(113)은 적(R), 녹(G), 청(B)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영역(P)마다 적(R), 녹(G), 청(B)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113a, 113b, 113c)을 패터닝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유기 발광층(113)의 상부에는 전면에 음극(cathode)을 이루는 제 2 전극(115)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이중층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함수가 낮은 금속 물질을 얇게 증착한 반투명 금속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전극(115)은 반투명 금속막 상에 투명한 도전성 물질이 두껍게 증착된 이중층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은 제 2 전극(115)을 향해 방출되는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으로 구동될 수 있다.
또는 제 2 전극(115)이 불투명한 금속막으로 이루어져, 유기 발광층(113)에서 발광된 빛이 제 1 전극(111)을 향해 방출되는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으로 구동될 수 있다.
이러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은 선택된 색 신호에 따라 제 1 전극(111)과 제 2 전극(115)으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 제 1 전극(111)으로부터 주입된 정공과 제 2 전극(115)으로부터 제공된 전자가 유기 발광층(113)으로 수송되어 엑시톤(exciton)을 이루고, 이러한 엑시톤이 여기 상태에서 기저 상태로 천이 될 때 빛이 발생하여 가시광선의 형태로 방출된다.
이때, 발광된 빛은 투명한 제 2 전극(115) 또는 제 1 전극(111)을 통과하여 외부로 나가게 되므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은 화상을 구현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 발광층(E)의 상부에는 제 2 기판(102)이 구비되며,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은 접착특성을 갖는 접착필름을 통해 서로 이격하여 합착되므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은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 될 수 있다.
이때, 접착필름(103)은 외부 습기가 유기 발광층(E)의 내부로 침투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 발광층(E)을 보호하는 막으로, 유기 발광층(E)을 에워싸며 제 1 기판(10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접착필름은 OCA(Optical Cleared Adhesive), 열 경화성 레진 또는 열 경화성 봉지재 중 선택된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며, 기판(101) 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유기 발광층(E)을 밀봉시키게 된다.
한편,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은 유리, 플라스틱 재질 등을 재료로 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을 금속 호일로 형성할 경우, 5 ~ 100㎛의 두께를 갖도록 형성할 수 있어, 제 1 기판(101)과 제 2 기판(102)을 유리 또는 압연방식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비해 얇은 두께로 형성할 수 있어,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의 전체적인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의 두께를 줄임에도 불구하고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110) 자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표시영역(AA)에 대응하는 어레이 기판 상의 영역에는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220)이 형성되며, 다수의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라인(220)이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P)을 정의한다.
화소영역(P)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포함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게이트 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층(E)의 발광량이 조절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박막트랜지스터(310)를 포함하고, 게이트 라인(210)을 통해 표시영역(AA)에 위치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와 연결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턴-온(turn on) 시킨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표시패널(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표시패널(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게이트 인 패널(GIP : Gate in Panel)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신호 입력부(400)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게이트 구동부(300)에 전달한다. 신호 입력부(400)는 클럭 라인(410)과, 이와 연결된 연결 라인(420)을 포함한다. 연결 라인(420)은 게이트 구동부(300)에 포함된 트랜지스터(310)와 연결된다.
표시패널(100)에서 표시영역(AA)을 제외한 부분은 비표시영역(NA)이 되고, 비표시영역(NA)의 패드부(PA)에 있어서는, 표시영역(AA)에 형성된 데이터 라인(220)과 연결되며 표시패널(100) 외부의 인쇄회로기판(미도시)과 연결하기 위한 데이터 패드(230) 및 신호 입력부(400)에 형성된 클럭 라인(410)과 연결되어 이들 클럭 라인(410)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클럭 패드(430)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영역(AA)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 비표시 영역(NA)의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 트랜지스터(310)를 제조하는 과정 중에 소스 전극과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이후부터 화소전극을 형성할 때까지 대전된 전하가 증가하기 시작한다. 이는 신호 입력부(400)의 클럭 라인(410)과 표시영역(AA) 사이에 높은 커패시턴스가 생성되므로, 클럭 라인(410)과 표시영역(AA) 사이에 생성된 커패시턴스에 의해 서지(surge)가 발생하여 게이트 구동부(300)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310)를 파괴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화상의 불량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하부 발광방식(bottom emission type)에 의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는,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후 화소전극을 형성할 때까지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1, 502)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3)를 연결하지 않음으로써, 신호 입력부(400)의 클럭 라인(410)과 표시영역(AA) 사이에 커패시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클럭 라인(410)과 표시영역(AA) 사이에 생성된 커패시턴스에 의해 서지(surge)가 발생하여 게이트 구동부(300)에 포함된 박막트랜지스터(31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화소전극을 형성한 이후에는 다시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1, 502)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3)를 연결하여 타이밍 제어신호를 신호 입력부(400)에서 게이트 구동부(300)에 인가할 수 있게 하고,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300)에서 표시영역(AA)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인가할 수 있게 한다.
하부 발광방식은 어레이 기판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회로와 유기 발광층(E)이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E)이 형성되어 있더라도 어레이 기판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회로의 결함을 복구할 수 있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E)이 형성되어 화소의 형성을 완성한 이후에도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기 때문에,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이후부터 화소를 형성할 때까지는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1, 502)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3)가 연결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그러나 상부 발광방식(top emission type)은 어레이 기판 상의 박막트랜지스터 회로와 유기 발광층(E)이 분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유기 발광층(E)이 형성되면 어레이 기판 상의 박막트랜지스터회로가 보이지 않아 박막트랜지스터 회로의 결함을 복구할 수 없다. 따라서, 유기 발광층(E)이 형성되어 화소의 형성을 완성하기 전에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하여 어레이 기판 상의 박막트랜지스터회로의 결함을 복구해야 한다. 이를 위하여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여 박막트랜지스터의 형성을 완성한 이후,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1, 502)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3)를 연결하고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해야 된다.
그러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이후,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1, 502)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단자(503)를 연결하게 되면, 클럭 라인(410)과 표시영역(AA) 사이에 생성된 커패시턴스에 의해 서지(surge)가 발생하여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가 파괴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의 어레이 기판 상에는 연결 제어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영역(AA)에 대응하는 어레이 기판 상의 영역에는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신호를 공급하는 다수의 데이터 라인(220)이 형성되며, 다수의 게이트 라인(210)과 데이터 라인(220)이 교차하여 다수의 화소영역(P)을 정의한다.
화소영역(P)에는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가 포함되며,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게이트 신호를 전송한 후, 데이터 신호에 따라 유기 발광층(E)의 발광량이 조절되어 화상을 표시하게 된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박막트랜지스터(310)를 포함하고, 게이트 라인(210)을 통해 표시영역(AA)에 위치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게이트 신호를 공급하여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를 턴-온(turn on) 시킨다. 게이트 구동부(300)는 표시패널(100)의 외부에 위치할 수 있으나, 표시패널(100)의 내부에 위치하여 게이트 인 패널(GIP : Gate in Panel)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신호 입력부(400)는 타이밍 제어부(미도시)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이를 게이트 구동부(300)에 전달한다. 신호 입력부(400)는 클럭 라인(410)과, 이와 연결된 연결 라인(420)을 포함한다. 클럭 라인은(410)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를 턴-온(turn on) 시키는 신호를 공급하는 제 1 클럭 라인(411)과,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소스 전극으로 신호를 인가하는 제 2 클럭 라인(412)을 포함한다. 제 1 클럭 라인은(411)은 제 1 연결 라인(421)과 연결되고, 제 2 클럭 라인은(412)은 제 2 연결 라인(422)과 연결된다.
연결 제어부(500)는 다수의 제 1 제어 트랜지스터부(510)와 제 2 제어 트랜지스터부(520), 제 1 제어 라인(530)과 제 2 제어 라인(540)을 포함한다.
제 1 제어 트랜지스터부(510)는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를 포함한다.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제어 라인(530)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신호 입력부(400)의 제 1 연결 라인(421)과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게이트 전극과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의 게이트 전극은 제 1 제어 라인(530)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신호 입력부(400)의 제 2 연결 라인(422)과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소스 전극과 라인을 통해 연결된다.
제 2 제어 트랜지스터부(520)는 다수의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를 포함한다.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의 게이트 전극은 제 2 제어 라인(540)과 연결되고, 소스 전극은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드레인 전극과 라인을 통해 연결되며, 드레인 전극은 표시영역(AA)에 포함된 게이트 라인(210)과 연결된다.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는, 제 1 클럭 라인(411)에서 공급되며,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를 턴-온(turn on) 또는 턴-오프(turn off) 시키는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게이트 전극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는, 제 2 클럭 라인(412)에서 공급되며, 표시영역(AA)에 위치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소스 전극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는,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의 드레인 전극에서 공급되며, 표시영역(AA)에 위치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에 공급되는 게이트 신호를, 표시영역(AA) 상의 게이트 라인으로 전달하거나 차단한다.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 및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이후에는, 제 1 제어 라인(530)과 제 2 제어 라인(540)을 통해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턴-온(turn on) 시키는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가 연결되며,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하고 어레이 기판의 불량을 복구할 수 있다.
어레이 테스트의 실행을 마치면 제 1 제어 라인(530)과 제 2 제어 라인(540)을 통해 상기 제어 트랜지스터들을 턴-오프(turn off) 시키는 신호를 공급한다. 이에 따라 신호 입력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의 연결이 차단되며,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에 서지(surnge)가 발생하여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부 발광방식의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에 있어서, 도 4와 같이 입력 제어부(500)의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 및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이후에는, 어레이 기판의 단락 불량 또는 전기적 특성의 결함 등을 확인하기 위하여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 1 제어 트랜지스터부(510)의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 및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와, 제 2 제어 트랜지스터부(520)의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를 턴-온(turn on) 시킨다. 이에 따라 신호 연결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가 입력 제어부(500)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제어 트랜지스터부(510, 520)를 통해 연결되기 때문에, 별도의 테스트 라인을 구비하지 않아도 표시패널과 어레이 기판의 단락 불량을 검사할 수 있다.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한 이후 어레이 테스트가 완료되면 화소전극(111)을 형성할 때까지,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를 턴-오프(turn off) 시킨다. 이에 따라 신호 입력부(400)의 클럭 라인(410)과 표시영역(200) 사이에 대전된 전하가 증가하여 커패시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게이트 구동부(300)의 박막트랜지스터(310)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표시패널에 화상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효과를 가진다.
화소전극(111)을 형성하는 단계에서는, 도 5와 같이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의 소스 전극(108a) 및 드레인 전극(108b),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각각 화소전극(111)을 통해 연결한다. 따라서 화소전극(111)을 형성한 이후부터는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511),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12),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521)가 통전 상태가 되므로, 표시영역(AA)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DTr)로 원활하게 게이트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신호 연결부(400)와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 및 표시영역(AA)과 게이트 구동부(300) 사이를 최종적으로 화소전극(111)의 형성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어레이 테스트 실시 후 패널을 절단하는 과정이 필요가 없어지므로 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 비용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고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패널 210 : 게이트 라인
220 : 데이터 라인 230 : 데이터 패드
300 : 게이트 구동부 310 :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
400 : 신호 입력부 410 : 클럭 라인
411 : 제 1 클럭 라인 412 : 제 2 클럭 라인
420 : 연결 라인 421 : 제 1 연결 라인
422 : 제 2 연결 라인 430 : 클럭 패드
500 : 연결 제어부 510 : 제 1 제어 트랜지스터부
511 :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512 :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520 : 제 2 제어 트랜지스터부 521 :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530 : 제 1 제어 라인 540 : 제 2 제어 라인
DTr : 구동 박막트랜지스터 AA : 표시영역
NA : 비표시영역 PA : 패드부

Claims (8)

  1. 게이트 라인과 데이터 라인이 교차하여 정의되는 화소영역과, 상기 화소영역에 형성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표시영역과;
    비표시영역에 있고, 박막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부와;
    제 1 및 제 2 클럭 라인과 상기 제 1 및 제 2 클럭 라인과 각각 연결된 제 1 및 제 2 연결 라인을 포함하는 신호 입력부와;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1 제어 라인, 제 2 제어라인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 제어부는 입력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표시영역과 상기 게이트 구동부 사이 및 상기 신호 입력부와 상기 게이트 구동부 사이를 연결하거나 연결을 차단하는 어레이 기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신호 입력부의 상기 제 1 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1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신호 입력부의 상기 제 2 연결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은 상기 제 2 제어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은 상기 게이트 구동부의 박막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과 연결되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전극은 상기 표시영역의 게이트 라인과 연결되는 어레이 기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표시패널 안에 포함되는 어레이 기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는 어레이 테스트 실행 시 턴-온(turn on) 되고, 어레이 테스트 실행 후 턴-오프(turn off) 되는 어레이 기판.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은 각각 화소전극을 통해 연결되는 어레이 기판.
  6.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와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제 1 제어 라인, 제 2 제어라인을 포함하는 입력 제어부를 포함하는 어레이 기판에 있어서,
    기판 상에 광 차단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광 차단막 상에 버퍼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버퍼 절연막 상에 반도체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층 상에 게이트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절연막 상에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상에 층간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층간 절연막 상에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형성하는 단계와;
    어레이 테스트를 실행하는 단계와;
    상기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에 보호막 및 오버코트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보호막 및 오버코트층 상에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박막트랜지스터를 형성하는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어레이 테스트는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를 턴-온(turn on) 시킨 후 실행하고,
    상기 어레이 테스트 실행 후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를 턴-오프(turn off) 하는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전극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게이트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1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 상기 제 2 데이터 제어 트랜지스터의 소스 전극 및 드레인 전극을 각각 화소전극을 통해 연결하는 어레이 기판의 제조방법.
KR1020180147593A 2018-11-26 2018-11-26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5954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93A KR102595457B1 (ko) 2018-11-26 2018-11-26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7593A KR102595457B1 (ko) 2018-11-26 2018-11-26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841A true KR20200061841A (ko) 2020-06-03
KR102595457B1 KR102595457B1 (ko) 2023-10-27

Family

ID=71087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7593A KR102595457B1 (ko) 2018-11-26 2018-11-26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545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94A1 (ko) * 2020-07-2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917A (ko) * 2006-06-16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보호회로를 가지는 표시패널
KR20070120388A (ko) * 2006-06-19 2007-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96634A (ko) * 2013-01-28 2014-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33790A (ko) * 2013-09-23 2015-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20170038435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9917A (ko) * 2006-06-16 2007-12-21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전기 보호회로를 가지는 표시패널
KR20070120388A (ko) * 2006-06-19 2007-12-24 엘지.필립스 엘시디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KR20140096634A (ko) * 2013-01-28 2014-08-0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정전기 방지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50033790A (ko) * 2013-09-23 2015-04-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박막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
KR20170038435A (ko) * 2015-09-30 2017-04-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패널 및 그 제조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394A1 (ko) * 2020-07-29 2022-02-03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5457B1 (ko) 2023-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8967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CN100382132C (zh) 有源矩阵型有机电致发光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202853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having plurality of driving transistors and plurality of anodes or cathodes per pixel
US9741782B2 (en) 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and display apparatus
KR102166341B1 (ko) 고 개구율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20190189717A1 (en) Display device
CN107785392B (zh) 显示装置
US8415676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US20050258741A1 (e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and fabricating method thereof
KR101368006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788868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20040025383A (ko)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14910A (ja) 有機電界発光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80046418A (ko)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90198599A1 (e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KR102387791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183437B1 (ko) 박막 트랜지스터 및 이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0805599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258261B1 (ko)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20220096739A (ko) 투명 표시 패널
KR101928407B1 (ko) 유기전계 발광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595457B1 (ko) 정전기 방지회로를 포함한 유기발광 다이오드 표시장치용 어레이 기판
KR102609087B1 (ko) 유기발광소자
KR20160038174A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40130894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