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5428A - 자석식 걸쇠장치 - Google Patents

자석식 걸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5428A
KR20080015428A KR1020077028314A KR20077028314A KR20080015428A KR 20080015428 A KR20080015428 A KR 20080015428A KR 1020077028314 A KR1020077028314 A KR 1020077028314A KR 20077028314 A KR20077028314 A KR 20077028314A KR 20080015428 A KR20080015428 A KR 200800154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
rack bar
door
magnetic
do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8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릭 카라발로나
로빈 탈루크다
케빈 에이. 맥클로스키
로버트 벤슨 쥬니어. 스피어스
Original Assignee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154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542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20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for assisting final closing or for initiating open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05B77/06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by means of inertial for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0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glov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28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 E05B83/32Locks for glove compartments, console boxes, fuel inlet covers or the like for console boxes, e.g. between passenger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9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eans for covering after user, e.g. boxes, shutter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48Swing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48Swinging
    • Y10T292/0849Oper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48Swinging
    • Y10T292/0849Operating means
    • Y10T292/0856Ge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08Bolts
    • Y10T292/0801Multiple
    • Y10T292/0848Swinging
    • Y10T292/0849Operating means
    • Y10T292/086Rig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2/00Closure fasteners
    • Y10T292/11Magnetic

Abstract

본원발명은 구획실의 2개의 도어를 해제가능하게 폐쇄상태로 유지하는데 적합한 걸쇠장치에 관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걸쇠는 2개의 회전식 자석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각 자석은 상기 각 도어를 상기 각 도어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 삽입물을 자력에 의해 끌어당겨 상기 구획실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확실하게 유지한다. 기계적인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상기 자석의 작동을 돕는다. 본원발명에 따른 걸쇠는 2개의 도어가 연계되어 있는 적용례에서 사용하는데에 매우 적합하다. 이러한 적용례에서 어느 한개의 도어를 닫는 것은 다른 도어도 폐쇄상태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도어들의 기계적인 연계가 불완전하므로 상기 도어의 닫힘은 항상 동시간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은 아니다. 종종 어느 한개의 도어는 다른 도어보다 약간 지체된다. 본원발명에 따른 걸쇠는 어느 한개의 도어가 다른 도어보다 지체되는 때에 상기 도어들을 폐쇄상태로 적절히 닫는데 효과적으로 설계되었다. 또한, 상기 걸쇠에는, 상기 걸쇠가 장착된 탈것이 충돌상황에 처하는 경우에 걸쇠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안전기능도 제공된다.
Figure 112007087269463-PCT00001
제1부재, 제2부재, 하우징, 자석 삽입물, 자석, 구동기구, 자석식 걸쇠장치.

Description

자석식 걸쇠장치{MAGNETIC LATCH MECHANISM}
본원발명은 구획실의 1개 이상의 폐쇄 패널을 그 폐쇄위치로 유지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자석을 가지는 걸쇠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원은 2005. 5. 8.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0/609,274 및 2005. 5. 23.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0/683,981의 이익을 주장하며, 위 특허출원들은 본원에 선행기술로서 온전히 포함되어 있다.
많은 적용례에 있어서, 구획실 개구나 다른 패널에 대하여 어떤 패널을 폐쇄 위치로 유지할 필요가 생긴다. 예컨대, 자동차 산업에 있어서, 구획실에 접근하지 않는 때에 자동차의 내부 구획실의 칸막이로서 기능하는 패널들은 폐쇄 상태로 유지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획실의 예로는, 자동차의 조수석 도구함 및 자동차 앞좌석 사이의 중앙 콘솔 구획실을 들 수 있다. 상기 구획실을 위한 폐쇄부재는, 사용자가 상기 구획실의 내용물에 접근하기 위하여 상기 폐쇄부재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것을 허용하는 한편, 상기 구획실의 내용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걸쇠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된다. 종래에도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많은 걸쇠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걸쇠들의 예로 미국 특허번호 5,927,772 및 6,761,278을 찾아볼 수 있다. 그 러나 이러한 종래의 걸쇠들 중 어느 것도 본원 발명의 신규하고 차별적인 걸쇠를 제시하거나 암시하고 있지 않음을 알 수 있다.
2005. 2. 12.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0/652,295, 2005. 3. 29.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60/666,694, 2005. 5. 8.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0/609,274 및 2005. 5. 23. 출원된 미국 가특허 출원 60/683,981의 개시기술은 본원에 선행기술로서 온전히 포함되어 있다.
본원발명은, 제1부재는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1부재를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석식 걸쇠장치에 관련된다. 상기 제1부재는 예컨대 도어일 수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예컨대 구획실이거나 도어프레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1개 이상의 도어가 상기 구획실의 폐쇄를 위하여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걸쇠는 특히 기계적으로 연동된 이중 도어가 폐쇄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적용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적용례에서, 어느 1개의 도어의 폐쇄는 또한 다른 도어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도어들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수단은 완전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들의 폐쇄는 항상 동시간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종종 어느 한 개의 도어는 폐쇄작동 동안에, 다른 도어보다 약간 지체될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자석식 걸쇠에 의해, 일단 상기 도어가 걸쇠 자석의 자기장의 영향범위 내에 들어오면, 상기 도어는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종국적인 폐쇄위치로 끌어당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가 그들의 폐쇄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상대적인 위치의 큰 편차에도 불구하고, 이중도어 적용례에서 각 도어를 종국의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운동은 적절히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상기 걸쇠는, 1개의 도어가 다른 1개보다 지체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들을 폐쇄위치로 적절히 유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설계되어 있다.
도1 내지 도71은 본원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72 내지 도105는 본원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06 내지 도113은 본원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4는 본원발명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5는 본원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6은 본원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7은 본원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8은 본원발명의 제8실시예를 도시한다.
도119 내지 도122는 본원발명에 따른 또 다른 걸쇠장치가 자동차 조수석 보조함에 사용된 것을 도시하는 주위도(environmental view)이다.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는 개방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작동된, 즉 풀린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정도의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123은 작동된, 즉 풀린 상태에 있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24 및 도125는 도119 내지 122의 자석식 걸쇠장치가 자동차 조수석 보조함에 사용된 것을 도시하는 주위도이다.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는 개방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개방된 상태에 있으나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정도의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126은 개방된 상태에 있으나 작동되지 않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27 내지 도131은 도119 내지 122의 자석식 걸쇠장치가 자동차 조수석 보조함에 사용된 것을 도시하는 주위도이다.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정도의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132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에 있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33 내지 도135는 도119 내지 122의 자석식 걸쇠장치가 자동차 조수석 보조함에 사용된 것을 도시하는 주위도이다.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는 완전히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부분적으로 완전히 폐쇄된, 즉 걸린 상태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의 작동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정도의 상기 조수석 보조함 도어의 일부만이 도시되어 있다.
도136 내지 도141은 완전히 폐쇄된, 즉 걸린 상태에 있는 도119 내지 도122 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42 내지 도143은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하우징을 도시한다.
도144 내지 도145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모터 구동 커버를 도시한다.
도146 내지 도149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랙바아를 도시한다.
도150 내지 도154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미끄럼바아를 도시한다.
도155 내지 도158은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볼베어링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9 내지 도160은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회전식 자석의 의 독립도이다.
도161 내지 도164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스트라이커 중 한개를 도시한다.
도165 내지 도166은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스트라이커의 자석 삽입물의 독립도이다.
도167 내지 도174는 도119 내지 도122의 자석식 걸쇠장치의 조정핀을 나타낸다.
도175 내지 도297은 본원발명에 따른 또 다른 자석식 걸쇠장치를 도시한 다. .
비슷한 도면번호는 여러 도면에 걸쳐 비슷한 부재를 지시한다.
도1 내지 도71에는, 본원발명에 따른 이중 회전식 자석을 가지는 자석식 걸쇠장치의 일 실시예(1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걸쇠장치(100)는 2개의 도어(102,104)를, 2개의 회전하는 자석(106,108)을 사용하여 동시에 폐쇄 상태로 잠그기 위해 설계된 원격작동 걸쇠장치이다. 상기 걸쇠장치(100)는,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식 자석(106,108)을 가진 상태에서, 도어(102,104)의 피봇 또는 힌지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디자인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각 자석(106,108)은 이와 독립된 자석캐리어(118,119)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는 하우징(1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은 각 자석캐리어(118,119)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식 자석과 그 자석캐리어는 1개의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 각각의 자석캐리어(118,119)는 각 걸림위치(latched position)와 풀림위치(unlatched position)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또한 한쌍의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pawl, 134,13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각 자석캐리어(118,119)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와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는 1개의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 쇠(134,136)는 1개의 경사진 캠면(138)과 1개의 캣치면(catch surface, 144)을 가지는 갈고리모양의 헤드(122)를 포함하는데, 상기 캠면(138)은 상기 각각의 자석캐리어(118,119)를 외면하고 있고(face away), 상기 캣치면(144)는 상기 각각의 자석캐리어(118,119)를 바라보고 있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100)는 상기 도어(102,104)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석 삽입물(114,116)를 포함한다.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은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각각에 대응한다.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이 걸림 위치에 있고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을 바라보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의 극성은, 그 각각의 회전식 자석(106,1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의 극성과 서로 상반된다(즉, N극, S극).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은,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의 S극이 그 각각의 회전식 자석(106,108)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은,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과 그들의 캐리어가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회전식 자석의 N극이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을 바라보도록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이 부착된 상기 도어(102,104)는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각각의 스트라이커(124,126)와 맞닿아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차단한다. 이 특징은 상기 도어(102,104)에 의해 닫혀진 상기 구획실의 외부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한쌍의 스트라이커(124,126)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상기 한쌍의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의 각각에 대응한다. 각 스트라이커(124,126)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각 도어의 내면과 이격되고 상기 갈고리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의 헤드(122)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와 각 도어(102,104)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각각의 도어(102,104)에 의해 지지된다. 각 스트라이커(124,126)는 상기 각 도어(102,104)를 외면하는 1개의 캠면과 상기 각 도어(102,104)를 바라보는 1개의 캣치면(130)을 가진다. 각 스트라이커의 상기 캠면(128)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의 캠면(138)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각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우연히 걸림위치에 있다면, 상기 톱니멈춤쇠를 상기 스트라이커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각 도어로 하여금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를 걸림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의 헤드(122)는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와 상기 각 도어(102,104) 사이에 위치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의 캣치면(144)은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의 캣치면(130)과 맞닿아, 상기 각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 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이 풀림 위치에 있고(도14 및 44 참조),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에 있는 때에(도1 참조), 그 극성이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의 극성과 상반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각 극 부분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반면, 그 극성이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의 극성과 동일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각 극 부분은,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걸림 위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에 더 가깝도록 위치된다. 상기 풀림위치에서, 각 회전식 자석(106,1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의 동일한 극성인 극 부분 사이의 척력은,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의 상반된 극성인 극 부분 사이의 인력을 넘어선다. 따라서, 순(net) 척력이 각 회전식 자석(106,108)과 각 자석 삽입물(114,116) 사이에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자석캐리어(118,119)와 함께 풀림 위치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도어(102,104)가 개방되는데의 기계적인 방해가 제거되어,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이 부착되어 있는 상기 도어(102,104)는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은,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자석 삽입물의 S극이 상기 각각의 회전식 자석(106,108)을 바라보도록 위치되어 있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 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과 그들의 캐리어(118,119)가 상기 걸림 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N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의 S극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회전식 자석의 S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의 S극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이 그들의 풀림 위치에 도달한 때에 순 척력이 각 회전식 자석(106,1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114,116) 사이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10°초과 18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30°이상 18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45°이상 145°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60°이상 12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80°이상 115°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약 110°(110°± 10°)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그들의 캐리 어(118,1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약 110°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극성이 상반된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의 극 부분은, 걸림 위치에서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의 극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볼(directly face) 필요는 없다. 상기 회전식 자석은, 상반된 극성을 가지는 상기 회전식 자석의 극부분과 상기 각각의 자석 삽입물의 극 부분 사이의 정면 응시 위치관계(direct facing relationship)로부터 θ 만큼 벗어날수 있다(0 °≤θ < 90°). 물론,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의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도 이에 따라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상반된 극성을 가지는 상기 회전식 자석의 극부분과 상기 각각의 자석 삽입물의 극 부분 사이의 정면 응시 위치관계(즉, 0°이거나 약 0°)에서, 걸쇠장치에 가장 큰 유지력이 발생하고, 걸림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N극이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과 정면 응시 위치관계에 가급적 근접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N극이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S극에 비하여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에 더 근접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 사이의 순인력이 충분히 커서 상기 회전식 자석이 상기 도어(102,104)를 끌어당겨 여기에 도시된 폐쇄 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걸림 위치에서의 각도 위치가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림 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의 N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과의 정면응시 위치관계로부터 수 °만큼 벗어나 있다.
각 자석 삽입물(114,116)은,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 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자석 삽입물 하우징이 상기 각 도어(102,104)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도어(102,104)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은 상기 도어(102,104)에 나사못(18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을 상기 도어(102,104)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며,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은 상기 도어(102,104)와 1개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이 완전히 생략되어, 상기 자석삽입물(114,116)은 상기 도어(102,104)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을 상기 도어(102,104)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은 상기 도어(102,104)의 재료 내에 파묻힐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는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과 1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176,17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트라이커(124,126)를 상기 도어(102,104)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스트라이커(124,126)가 상기 각 도어의 내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 쇠(134,136)의 헤드(122)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 및 상기 각 도어(102,104)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면, 상기 스트라이커(124,126)를 지지하기 위한 어떤 적합한 구조물(structure)이라도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을 상기 각 도어에 부착하기 위하여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 등의 적합한 고정 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트라이커(124,126)는 상기 도어(102,104)와 1개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100)는 하우징(132)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우징(132)에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회전식 자식을 가지는 상기 자석캐리어(118,11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132)의 상부 개구(101,105)(일부 실시예에서는 2개의 개구(101,105)의 위치에 1개의 큰 상부개구만이 나타나 있을 수 도 있음)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로 하여금 상기 하우징(132)을 벗어나도록 뻗어 상기 스트라이커(124,126)와 맞닿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자석캐리어(118,119)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184,186)을 포함한다. 각 자석캐리어(118,119)는 각각 한쌍의 스핀들(140,142 및 150,152)을 가지며, 상기 각 한쌍의 스핀들은 상기 각 리셉터클(184,186)의 반대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184,186)과 결론적으로 상기 자석 캐리어(118,119)는, 그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32)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하우징(1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140,142,150,152)은 각각 상기 하우징(132)의 측부에 있는 구멍(154,156,158,160) 내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멍(154,156,158,160)에는 도입 진입로(163,165,167,169)가 각각 제공되어, 상기 스핀들(140,142,150,152)이 상기 구멍(154,156,158,160) 내로 딸깍소리를 내며 끼워 맞춰져, 상기 자석 캐리어(118,119)는 상기 하우징(132) 안으로 스냅에 의해 끼워맞춰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132)은 모터 구획실(141)을 가진다. 상기 모터구획실(141)에는 커버(133)가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자석캐리어(118,119)는 상기 하우징(1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자석캐리어(118,119)를 상기 하우징(132)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특정의 양식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하우징(132) 내에서 상기 자석캐리어(118,11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명된 상기 양식은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된 것이다. 이를 대신하여, 차축(axles), 축 또는 핀을 상기 구멍(154,156,158,160)의 위치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베어링 구조와 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캐리어(118,119)는 상기 하우징(1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상기 하우징(132)은, 상기 스핀들(140,142,150,152)이 상기 스핀들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절한 베어링 구조 내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132)의 각 반부(halves)가 서로 조립되는 구조의 덮개구조(clam-shell)로 설계될 수도 있다.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 리셉터클(184,186) 및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 사이에는 어떠한 상대적인 회전도 없으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 쇠(134,136) 및 상기 각 리셉터클(184,186)과, 결과적으로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는 일체로 회전한다.
이를 대신하여,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 멈춤쇠(134,136)는 상기 자석 캐리어(118,119)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각 톱니 멈춤쇠가 그 각각의 자석캐리어와 1개의 유닛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석캐리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대신하여,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 멈춤쇠와 상기 자석캐리어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에 대비하여, 각 자석캐리어(118,119)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 멈춤쇠(134,136)사이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의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도면에 나타내어진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에 대한 그들의 현재의 위치 쪽으로 스프링에 의하여 편향될 필요가 있다. 상기 상대적인 운동은, 상기 각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도중에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 멈춤쇠가 우연히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각 회전식 자석(106,108)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각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자석캐리어(118,119)는 복수개의 기어치(187,189)를 가지고 있다. 기어치(187,189)의 각 세트는 원의 일부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를 따라 분포되는데, 상기 원은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의 회전축에 중심을 두고 있다. 물론, 상기 각 자석캐리어(118,119)의 회전축은 각 자석캐리어(118,119)의 각 쌍의 스핀들(140,142 또는 150,152)의 중심축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각 자석캐리 어(118,119)의 각 기어치(187,189)는 각 자석캐리어의 상기 각 리셉터클(187,189)에 의해 지지되며, 이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랙바아(117)의 기어치(113)은 상기 기어치(187,189)와 맞닿는다.
상기 걸쇠장치(1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분포된 1세트의 기어치(113)를 가지는 랙바아(117)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치(113)의 세트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치(113)는 상기 기어치(187,189)와 지속적으로 톱니물림되어, 상기 자석캐리어(118,119)는 상기 랙바아(117)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랙바아(117)는, 도12,35,38 및 42에 도시된 걸림위치와 도 14,31 및 44에 도시된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길이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랙바아(117)는 상기 자석캐리어(118,119)가 일제히 운동하도록 하여, 상기 자석캐리어와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은 1개의 공통의 작동기구에 의해, 상기 2중 도어(102,104)의 동시의 개방을 제공하기 위하여 걸림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바아(117)는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한된 범위의 직선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미끄럼바아(115)를 지지한다.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랙바아(117)에 의해 둘러싸여져, 상기 기어치(113)는 상기 미끄럼바아(115)와 상기 기어치(187,189)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다른 부분은 상기 랙바아(117)에 있는 슬롯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쇠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우든케이블(Bowden cable,120)의 단부에 있는 원통형의 다월(dowel)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107)을 가진다. 상기 미끄럼바아(115)는 상기 랙바아(1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방향으 로 운동가능하다. 상기 미끄럼바아(115)와 랙바아(117) 사이에는스프링(170)이 개재되어, 이 스프링은 상기 미끄럼바아(115)를 잠금위치 쪽으로 편향시킨다. 상기 미끄럼바아(115)가 잠금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미끄럼바아는 1개 이상의 볼베어링(172)을 상기 랙바아(117)의 양 측부상에 있는 개구(174)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부쳐, 상기 볼베어링(172)은 상기 랙바아(117)의 양 측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미끄럼바아(115)가 잠금위치에 있고 상기 랙바아(117)가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볼베어링(172)는 상기 하우징(132) 내의 오목부(173)와 맞닿아, 상기 랙바아(117)는 상기 미끄럼바아(115)가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한 움직일수 없게 된다. 상기 스프링(170)의 탄성률은, 충돌시에 예상되는 충격력에 의한 미끄럼바아 자체의 관성에 의해 이동될 수 없을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볼베어링(172)이 상기 오목부(173)과 맞닿는 것은, 걸쇠장치(100)가 충돌과정 동안에 풀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걸쇠장치(100)가 충돌에 의한 풀림에 견딜 수 있게 한다.
미끄럼바아(115)는 오목부(175)를 가지는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미끄럼바아(115)가 해제위치에 있는 때에 개구(174)와 맞추어진다. 이 오목부(175)는 상기 미끄럼바아(115)가 해제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볼베어링(172)으로 하여금 상기 랙바아(117) 내부로 후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번에는 상기 랙바아(117)가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리셉터클(107)은 적어도 그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통(barrel) 또는 관(sleeve) 형상이다. L자 형상의 슬롯(111)이 상기 통형상의 리셉터클(107)을 절 개한다. 상기 L자 형상의 슬롯(111)은 상기 리셉터클(107)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상기 리셉터클(107)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107)의 대략적인 중간부분까지 뻗는다.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L자 형상의 슬롯(11)은 상기 리셉터클(107)의 원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원호를 따라 뻗고, 이에 따라 L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슬롯(111)의 폭은 상기 보우든케이블(120)로 하여금 상기 슬롯(11)을 통과하여 뻗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다. 또한, 상기 다월(109)은 구형이나 다른 형상일 수도 있고, 그 크기는 상기 슬롯(111)을 통과하여 끼워질 수 없되 상기 리셉터클(107)에는 끼워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132)은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외장(12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U자 형상의 슬롯(110)을 가지는 브래킷(103)을 가진다.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은 상기 걸쇠장치의 원격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외장(123)의 일단이 상기 브래킷(103)의 U자 형상의 슬롯(1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월(109)이 상기 리셉터클(107)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원격단(미도시)를 당기는 것은 상기 미끄럼바아(115)로 하여금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초기 운동은 상기 랙바아(117)가 그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의 운동범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또한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원격단(미도시)를 당기는 것은 상기 미끄럼바아(115) 및 랙바아(117) 모두의 직선방향 운동을 야기하여, 상기 랙바아(117)는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풀림위치로 이동된 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자석캐리어(118,1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상기 원격단은 수작업이나 전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 타입의 원격 핸들이나 누름버튼이 상기 걸쇠장치(100)의 수작동이나 전기적인 작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각각 제공된다.
상기 걸쇠장치(100)는 상기 하우징(132)을 프레임이나 구획실(194)에 탑재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나 구획실(194)에 탑재된다.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은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에 외부로 노출되거나 보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슬롯(196,198) 등은,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가 걸림위치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로 하여금 도어프레임(194)을 통하여 뻗어 상기 스트라이커(124,126)와 맞닿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상기 도어프레임(194)에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132)을 상기 도어프레임(194)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므로,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 등의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132)은 상기 도어프레임(19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106,108)은 상기 도어(102,104)를 끌어당겨 상기 도어가 정확하게 걸리도록 한다. 상기 자석(106,108)은, 폐쇄위치에서의 상기 도어(102,104)의 최종이동, 위치 및 갭 조건을 통제한다. 상기 자석(106,108)은 또한 상기 걸쇠장치가 풀리는 때에 상기 도어(102,104)의 개방을 돕는다.
상기 걸쇠장치(100)를 개방하기 위하여, 예컨대 상기 버튼(미도시)이 눌려진다. 이는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원격단이 전술한 상기 조작기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야기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당김은,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자석캐리어(118,1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로 하여금 그들의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 작동은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124,126)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102,104)를 기계적으로 해제한다. 더욱이, 상기 자석(106,108)은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자석들은 상기 도어(102,104)에 부착된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을 밀쳐내, 상기 도어들로 하여금 회전개방되도록 한다. 일단 상기 자석(106,108)이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의 자기장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102,104)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106,108) 중 어느 한 개의 N극과 상기 자석(106,108) 중 다른 한 개의 S극, 또는 그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이 상기 회전식자석(106,108), 상기 자석캐리어(118,1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를 상기 도어(102,104)를 열기 위한 상기 풀림위치에 근접한 제1중간위치(도15 및 41에 도시)로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106)의 N극과 상기 회전식자석(108)의 S극과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회전식자석(106,108), 상기 자석캐리어(118,1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를 그 각각의 제1중간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도어(102,104)를 닫기 위해, 상기 도어(102,104) 중 어느 하나를 눌러 닫는다. 이 동작은 상기 도어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다른 도어도 닫히도록 끌어당기지만, 1개의 도어는 상기 연동수단의 자유동작(free play)에 의해 다른 도어보다 지체될 것이다. 상기 도어가 거의 닫히면,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상기 자석캐리어(118,1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상기 자석 삽입물(114,116)의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이들은 그들의 걸림위치에 더 근접한 제2중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자석삽입물(114,116)과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106,108)사이의 강한 자기적인 인력이, 상기 양 도어가 동시에 닫히도록 상기 지체된 도어를 가속시키고,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가 동시에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상기 스트라이커(124,126)에 맞닿고, 상기 자석삽입물(114,116) 및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106,108) 사이에는 강한 자기적인 인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양 도어는 기계적으로 및 자기적으로 폐쇄위치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100)는 상기 도어(102,104)의 기계적인 연동수단의 자유동작 및 폐쇄 위치에 근접한 상기 도어들 사이의 위치적인 차이를 허용하면서도, 상기 도어를 서로 맞닿도록 동시에 폐쇄하는 잠금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도어(102,104) 사이의 지체가 충분히 크다면, 상기 지체된 도어가 그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도어는 완전히 폐쇄되고, 이로 인하여 양 회전식 자석(106,108) 및 양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으로 하여금 그들 각각의 걸림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지체된 도어의 스트라이커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를 그 경로로부터 이동시키고 상기 지체된 도어로 하여금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폐쇄위치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와 각 회전식 자석은 그들의 걸림위치로 복귀하여 상기 지체된 도어를 그 폐쇄위치로 유지한다. 상기 자석캐리어(118,119) 사이의 연동관계 때문에, 이미 폐쇄되어 있는 상기 선행도어에 대응하는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는 일시적으로 그에 대응하는 스트라이커로부터 떨어질 수도 있으나, 상기 선행도어는, 상기 지체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되면 상기 선행 도어에 대응하는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그에 대응하는 스트라이커와 다시 맞닿도록 하는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와 이에 대응하는 각 스트라이커간의 상대적인 비율로부터, 상기 지체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의 상기 회전식 자석의 운동은 매우 경미하여야 하여, 상기 지체된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상기 각 회전식 자석 사이에는 상기 지체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 항상 충분히 강력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체된 도어의 폐쇄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100)는 상기 랙바아(117)를 상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종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기(121)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 구동기(121)는, 상기 보우든케이블(1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상기 보우든케이블이 수동보조장치(manual override)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모터 구동기(121)가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100)로 하여금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공되는 적용예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에 대한 보조시스템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모터 구동기(221)는 출력기어(127)를 구동하는 모터(125)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127)는 일부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원판형상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물론 그 치가 그 원주를 따라 분포된 기어이다. 상기 기어(127)는 상기 모터(125)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기어(127)는 기어(129)와 항상 톱니물림된다. 상기 기어(129)는 구동스크류(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상기 하우징(1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적어도 1개의 수(male) 나선형의 나사산을 가지는데, 이것은 슬라이더(143)에 형성된 상기 수 나사산과 짝지어진 암(female) 그루브나 나사산과 맞물린다. 상기 슬라이더(143)는 상기 구동스크류(131)의 회전에 응답하여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3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143)는 돌출부(155)를 가지는데, 이것은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돌출부(147)와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랙바아(117)가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미끄럼바아(115)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돌출부(147)는 상기 돌출부(155)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143)는 상기 기어(129)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위치될 것이다. 이것이 상기 슬라이더(143)의 걸림위치이다. 상기 모터(125)가 구동되면 상기 기어(127)가 구동되어, 순차적으로 상기 기어(129) 및 구동스크류(131)의 회전이 야기된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스크류(131)의 회전은 상기 슬라이 더(143)의 직선운동을 야기하여, 상기 돌출부(155)로 하여금 상기 돌출부(147)과 맞닿도록 한다. 상기 구동스크류(131)의 계속된 회전은 상기 슬라이더(143)의 상기 기어(129) 쪽으로의 계속된 직선방향 운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바아(115)는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상기 초기 운동이 상기 랙바아(117)가 해제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미끄럼바아(115)의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의 운동범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상기 구동스크류(131)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143)의 상기 기어(129) 쪽으로의 계속된 이동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바아(115) 및 랙바아(117) 모두의 직선운동이 야기되어, 상기 랙바아(117)는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자석캐리어(118,1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었다고 가정하면, 그들의 각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슬라이더(143)는 풀림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랙바아(117) 및 상기 자석캐리어(118,119)의 그들의 풀림위치로의 운동은 상기 도어(102,104)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풀림 동작이 완료되면, 적절한 통제회로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125)로의 전류는 역전되어 상기 구동스크류(131)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143)를 상기 걸림 싸이클을 다시 반복할 수 있도록 걸림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슬라이더(143)를 그의 걸림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돌출부(155)가 상기 돌출부(147)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자석(106,108) 중 어느 한개의 N극과, 상기 자석(106,108) 중 다른 한개의 S극, 또는 이와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102,104)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상기 자석캐리어(118,1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를 제1중간위치로 유지시킬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풀림위치에서 상기 자석(106,108)의 그 극성이 반대인 극 사이의 인력은, 상기 도어(102,104)가 다시 한번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자석의 자석캐리어(118,119)를 그들의 풀림위치에 근접하게 유지할 것이다. 그 후, 상기 도어(102,104)가 그들의 폐쇄 위치로 이동된 다음에, 상기 걸쇠장치(100)는 구동싸이클을 반복할 준비가 될 것이다.
도72 내지 105에는, 본원 발명의 제2 실시예(100a)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100a)는 이하에서 상술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00)와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걸쇠장치(100a)는 랙바아(117a)를 가지는데, 상기 랙바아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분포된 1세트의 기어치(113)를 가진다. 상기 기어치(113)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치(113)은 기어치(187,198)와 항상 톱니물림되어, 자석캐리어(118,119)는 상기 랙바아(117a)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랙바아(117a)는 도90 및 93에 도시된 걸림위치와 도94에 도시된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세로축선 방향으로 직선으로 전후 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랙바아(117a)는 상기 자석캐리어(118,119)가 일제히 움직이도록 하여, 상기 자석캐리어 및 상기 회전식 자 석(106,108)은, 이중 도어(102,104)의 동시 개방을 제공하기 위하여 공통된 구동기구에 의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바아(117a)는 상기 걸쇠장치(100a)를 구동하기 위한 보우든케이블(120)의 일단에 있는 원통형 다월(109)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리셉터클(107)을 가진다. 상기 다월(109)이 상기 리셉터클(120)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우든케이블(120)의 원격단(미도시)를 당기는 것은 즉각 상기 랙바아(117a)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직선 이동하는 것을 야기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자석캐리어(118,1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었다고 가정하면, 그 각각의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100a)는 상기 랙바아(117a)를 상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종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기(221a)를 포함한다. 상기 모터 구동기(221a)는 원심 클러치(127a)를 구동하는 모터(125)를 포함한다. 상기 원심 클러치(127a)는 공지의 타입이므로 여기에서는 자세히 논의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원심클러치(127a)는 상기 모터(125)의 출력축에 의해 구동된다. 상기 모터(125)의 출력축이 회전하면 연장로드(미도시)(가 상기 원심클러치(127a)의 양 측부상의 개구로부터 밖으로 돌출하여, 아치형의 핀(129a)과 톱니물림되어 상기 모터(125)의 출력축은 구동스크류(131)와 연결된다. 상기 모터(125)의 출력축이 회전하지 않는 때에, 상기 연장로드는 상기 원심 클러치(127a) 내부로 후퇴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상기 모터(125)로부터 떨어져,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어떠한 저항없이 상기 모터(125)에 의해 자유롭게 회 전한다. 상기 아치형 핀(129a)은 상기 구동스크류(131)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상기 하우징(132a)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적어도 1개의 수(male) 나선형의 나사산을 가지는데, 이것은 슬라이더(143a)에 형성된 보어 내에 있는 상기 수 나사산과 짝지어진 암(female) 그루브나 나사산과 맞물린다. 상기 슬라이더(143a)는 상기 구동스크류(131)의 회전에 응답하여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132a)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143a)는 돌출부(155a)를 가지는데, 이것은 상기 랙바아(117)의 놋치(147a)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랙바아(117a)가 걸림위치에 있으면, 상기 슬라이더(143a)도 걸림위치에 있을 것이다. 상기 모터(125)가 구동되면 상기 원심 클러치(127a)가 상기 아치형 핀(129a)과 맞닿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구동스크류(131)의 회전이 야기된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스크류(131)의 회전은 상기 슬라이더(143a)의 상기 모터(125) 쪽으로의 직선운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랙바아(117a)가 그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의 운동을 야기할 것이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자석캐리어(118,1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었다고 가정하면, 그들의 각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슬라이더(143a)는 풀림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랙바아(117a) 및 상기 자석캐리어(118,119)의 그들의 풀림위치로의 순차적인 운동은 상기 도어(102,104)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풀림 동작이 완료되면, 상기 모터(125)로의 전류는 끊겨, 상기 모 터(125)는 전원이 끊기게 되고, 이는 상기 원심 클러치(127a)의 상기 아치형 핀(129a) 및 구동스크류(131)로 부터의 분리를 야기한다. 상기 자석(106,108) 중 어느 한개의 N극과, 상기 자석(106,108) 중 다른 한개의 S극, 또는 이와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상기 자석캐리어(118,1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를 상기 도어(102,104)를 폐쇄하기 위한 제1중간위치에 유지시킬 것이다.
상기 도어(102,104)가 폐쇄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자석(106,108)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134,136)는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한다. 이 동작은, 상기 슬라이더(143a)가 그 걸림위치로 복귀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더(143a)의 상기 걸림위치로의 직선운동 동안, 상기 구동스크류(131)는 상기 클러치(127a)가 상기 스크류(131)로부터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자유롭게 회전하고, 상기 모터(125)에 의한 상기 슬라이더(143a)의 그 걸림위치로의 이동에 어떠한 장애도 없게 된다.
충격이 충분히 커서 상기 랙바아(117a)를 풀림위치 쪽으로 밀어부쳐 상기 걸쇠장치를 해제할 정도의 충돌사고나 충격의 경우에는, 예컨대 적절한 통제회로에 통합된 에어백 센서 또는 기울기 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모터의 정상적인 풀림작동 동안의 출력축의 회전방향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상기 모터에 전원이 공급된다. 이 역전모터 작동은 상기 클러치(127a)가 상기 핀(129a) 및 구동스크류(131)와 맞닿게 하여, 상기 톱니멈춤쇠 및 회전식 자석을 그들의 걸림위치에 유지하고, 이에 따라 상기 걸쇠장치(100a)는 충돌과정에서 풀림에 저항할 수 있게 된다.
도106 내지 도113에는, 본원 발명의 제3 실시예(100b)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100b)는 이하에서 상술될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00)와 근본적으로 유사하다. 상기 실시예(100b)에서 모터(125)의 출력축의 종축은 구동스크류(131)의 종축과 평행하고, 상기 모터(125)의 출력축은 상기 구동스크류(131)와 직접 연결되어 기어(127,129)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또한, 슬라이더(143a)는 상기 슬라이더(143)와 비교하여 약간 상이한 형상을 가지지만, 그 정확하게 동일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른 사항에 있어서, 실시예(100)와 실시예(100b)는 동일하다.
전술된 실시예에 추가하여, 상기 걸쇠장치로 하여금 충돌과정에서 풀리는 것을 견디게 하기 위한 무수히 많은 방식이 본원 발명의 일부로서 안출되었다. 이들은 다음 사항을 포함하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1) 실리콘 댐퍼를 상기 랙바아에 통합하는 방식. 이것은 폐쇄 또는 개방동작 동안에 상기 시스템이 댐핑되는 것을 초래할 것이다. 상기 댐퍼의 상기 랙바아의 이동에 대한 저항은 충돌과정에서 만날 수 있는 충격력에 응답하여 훨씬 크다. 이는 충돌조건 하에서의 유효 시스템 질량 관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2) 상기 갈고리, 자석캐리어, 회전식 자석조립체를, 자석을 가지는 완성된 조립체의 질량 중심이 상기 조립체의 피봇 축에 최대한 근접하게 설계한다. 이는 상기 회전식 자석 조립체가 충돌과정에서 풀리도록 야기하는 관성모멘트를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직선방향으로 운동하는 랙은 균형잡힌 회전가능한 기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는 충돌과정에서 그 자체의 관성에 의하여 이동하기 쉬운 부재들을 더욱 감소시킬 것이다(도114참조).
3) 1개의 걸림 포인트를 180°만큼 회전시켜, 도1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갈고리가 서로를 바라보도록 하는 것이다. 어느 한개의 갈고리를 풀 수 있는 힘은 다른 한개의 갈고리를 걸림상태로 유지한다. 이는 적어도 1개의 갈고리 및 회전식 자석은 항상 걸림상태로 확실하게 유지시킨다. 그 후, 상기 도어들 사이의 연동수단이 상기 도어가 충돌과정에서 갑자기 개방되지 않도록 유지할 것이다.
4) 갈고리와 키퍼에 오목부/언터컷(197)을 가지도록 설계하여, 상기 도어가 갑자기 개방될 경우에, 상기 키퍼가 상기 갈고리를 그들의 걸림 위치로 끌어당기도록 한다(도117 참조).
5) 정상적인 개방 및 폐쇄 동작 동안 갈고리와 회전식 자석이 이동되기 전에 모터 운동에 의해 개방될 제2의 캣치를 부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랙바아는 상기 갈고리를 이동시키지 않고 수 밀리미터 정도 이동할 필요가 있다. 일 예가 도115에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 차단레버(181)는 자석 홀더의 풀림방향으로의 회전을 차단한다. 상기 차단레버는 모터에 의해 상기 경로를 벗어나도록 밀쳐친다.
6) 도1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독립된 솔레노이드(185)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제2 캣치부재를 부가한다. 상기 캣치부재는, 정상적인 개방 및 폐쇄동작동안 갈고리와 회전식 자석이 이동되기 전에 랙바아(117c)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된다. 상기 캣치부재(183)의 이동방향은 상기 랙바아의 이동방향과 수직을 이루어, 상기 랙바아를 이동시킬 수 있는 힘은 상기 캣치부재를 이동시킬 수는 없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7) 정상적인 개방 및 폐쇄동작 동안 갈고리와 회전식 자석이 이동되기 전에 모터 작동에 의해 개방될 제2 캣치를 부가한다. 실시예(100)은 이 방식의 일례이다. 도118은 다른 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에서, 미끄럼바아(115d)는 적어도 그 일부분이 랙바아(117d)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상기 랙바아(117d)는 외팔보 스프링 암(185d)에 의해 지지되는 볼베어링의 위치에 캣치부재(172d)를 가진다. 상기 미끄럼바아(115d)는 구멍(174d)를 가지는데, 상기 미끄럼바아(115d)가 잠금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구멍을 통하여 상기 캣치부재(172)가 통과하여 하우징(132d)에 있는 오목부(173d)와 맞닿는다. 상기 미끄럼바아(115d)가 해제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랙바아(117d)의 이동을 위하여 이에 대한 구속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구멍(174d)의 가장자리는 캠처럼 작동하여 상기 캣치부재(172d)를 상기 오목부(173d)로부터 떨어지도록 이동시킨다(상기 캣치부재(172d)는 상기 랙바아(117d)의 양측에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119 내지 도 174를 참조하면, 본원발명은, 제1부재는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1부재를 제2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석식 걸쇠장치에 관련된다. 상기 제1부재는 예컨대 도어일 수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예컨대 구획실이거나 도어프레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1개 이상의 도어가 상기 구획실의 폐쇄를 위하여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걸쇠는 특히 기계적으로 연동된 이중 도어가 폐쇄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적용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적용례에서, 어느 1개의 도어의 폐쇄는 또한 다른 도어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도어들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수단은 완전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들의 폐쇄는 항상 동시간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종종 어느 한개의 도어는 폐쇄작동 동안에, 다른 도어보다 약간 지체될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자석식 걸쇠에 의해, 상기 도어가 일단 걸쇠 자석의 자기장의 영향범위 내에 들어오면, 상기 도어는 자기적인인력에 의해 종국적인 폐쇄위치로 끌어당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가 그들의 폐쇄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상대적인 위치의 큰 편차에도 불구하고, 이중도어 적용례에서 각 도어를 종국의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운동은 적절히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상기 걸쇠는, 1개의 도어가 다른 1개보다 지체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들을 폐쇄위치로 적절히 유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설계된다.
도119 내지 도174를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2개의 회전식 자석을 가지는 자석식 걸쇠장치의 일 실시예(2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걸쇠장치(200)는 2개의 도어(202,204)를, 2개의 회전하는 자석(206,208)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폐쇄 상태로 닫기 위해 설계된 원격작동 걸쇠장치이다. 상기 걸쇠장치(200)는,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식 자석(206,208)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202,204)의 피봇 또는 힌지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각 자석(206,208)은 이와 독립된 자석캐리어(218,219)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는 하우징(2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은 각 자석캐리어(218,219)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식 자석과 그 자석캐리어는 1개의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 각각의 자석캐리어(218,219)는 각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는 또한 한쌍의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 234,23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각 자석캐리어(218,219)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와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는 1개의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1개의 경사진 캠면(238)과 1개의 캣치면(244)을 가지는 갈고리모양의 헤드(222)를 포함하는데, 상기 캠면(238)은 상기 각각의 자석캐리어(218,219)를 외면하고 있고, 상기 캣치면(244)는 상기 각각의 자석캐리어(218,219)를 바라보고 있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은 상기 도어(202,204)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석 삽입물(214,216)을 포함한다.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은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각각에 대응한다.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이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을 바라보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의 극성은, 그 각각의 회전식 자석(206,2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극성과 서로 상반된다(즉, N극, S극).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은, 도어(202,204)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S극이 그 각각의 회전식 자석(206,208)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은,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과 그들의 캐리어가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회전식 자석의 N극이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을 바라보도록 위치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 물(214,216)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이 부착된 상기 도어(202,204)는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각각의 스트라이커(224,226)와 맞닿아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차단한다. 이 특징은 상기 도어(202,204)에 의해 폐쇄된 상기 구획실의 외부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는 한쌍의 스트라이커(224,226)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상기 한쌍의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의 각각에 대응한다. 각 스트라이커(224,226)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각 도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갈고리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의 헤드(222)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와 각 도어(202,204)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각각의 도어(202,204)에 의해 지지된다. 각 스트라이커(224,226)는 상기 각 도어(202,204)를 외면하는 1개의 캠면과 상기 각 도어(202,204)를 바라보는 1개의 캣치면(230)을 가진다. 각 스트라이커의 상기 캠면(228)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의 캠면(238)과 상호 작용하여, 상기 각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우연히 걸림위치 근처에 있다면, 상기 톱니멈춤쇠를 상기 스트라이커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각 도어로 하여금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 사이의 자기적 인 인력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를 걸림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의 헤드(222)는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와 상기 각 도어(202,204) 사이에 위치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의 캣치면(244)은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의 캣치면(230)과 맞닿아, 상기 각 도어(202,204)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이 풀림위치에 있고(도132 및 162 참조),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도119 참조), 그 극성이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의 극성과 상반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각 극 부분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반면, 그 극성이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의 극성과 동일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각 극 부분은,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걸림위치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에 더 가깝도록 위치된다. 상기 풀림위치에서, 각 회전식 자석(206,2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의 동일한 극성인 극 부분 사이의 척력은,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의 상반된 극성인 극 부분 사이의 인력을 넘어선다. 이에 따라, 순 척력이 각 회전식 자석(206,208)과 각 자석 삽입물(214,216) 사이에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자석캐리어(218,219)와 함께 풀림위치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202,204)가 개방되 는데의 기계적인 장해가 제거되어,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이 부착되어 있는 상기 도어(202,204)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은,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자석 삽입물의 S극이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206,208)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과 그들의 캐리어(218,219)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N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의 S극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회전식 자석의 S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의 S극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이 그들의 풀림위치에 도달한 때에 순 척력이 각 회전식 자석(206,2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214,216) 사이에 작용하게 된다.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10°초과 18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30°이상 18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45°이상 145°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60°이상 120°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80°이상 115°이하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약 110°(110°± 10°)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더욱 정확하게는,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그들의 캐리어(218,219)는, 이들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약 110°의 각도 범위에서 이동한다.
극성이 상반된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의 극 부분은, 그들의 걸림위치에서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극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은, 상반된 극성을 가지는 상기 회전식 자석의 극 부분과 그들 각각의 자석 삽입물의 극 부분 사이의 정면 응시 위치관계로부터 θ 만큼 벗어날 수 있다(0 °≤θ < 90°). 물론,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의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도 이에 따라 조정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상반된 극성을 가지는 상기 회전식 자석의 극 부분과 상기 각각의 자석 삽입물의 극 부분 사이의 정면 응시 위치관계(즉, 0°이거나 약 0°)에서, 상기 걸쇠장치에 가장 큰 유지력이 발생하고, 걸림 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N극이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과 정면 응시 위치관계에 가급적 근접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N극이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S극에 비하여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에 더 근접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과 그들 각각의 자석 삽입 물 사이의 순인력이 충분히 커서 상기 회전식 자석이 상기 도어(202,204)를 끌어 당겨 여기에 도시된 폐쇄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걸림위치에서의 각도 위치가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의 N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과의 정면응시 위치관계로부터 수 °만큼 벗어나 있다.
각 자석 삽입물(214,216)은,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 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자석 삽입물 하우징이 상기 각 도어(202,204)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도어(202,204)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은 상기 도어(202,204)에 나사못(280)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을 상기 도어(202,204)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며,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은 상기 도어(202,204)와 1개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이 완전히 생략되어, 상기 자석삽입물(214,216)은 상기 도어(202,204)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을 상기 도어(202,204)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은 상기 도어(202,204)의 재료 내에 파묻힐 수도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는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 징(276,278)과 1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트라이커(224,226)를 상기 도어(202,204)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스트라이커(224,226)가 상기 각 도어의 내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의 헤드(222)가 각 스트라이커(224,226) 및 상기 각 도어(202,204)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면, 상기 스트라이커(224,226)를 지지하기 위한 어떤 적합한 구조물이라도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을 상기 각 도어에 부착하기 위하여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 등의 적합한 고정 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트라이커(224,226)는 상기 도어(202,204)와 1개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는 하우징(232)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우징(232)에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회전식 자식을 가지는 상기 자석캐리어(218,21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232)의 상부 개구(205)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로 하여금 상기 하우징(232)을 벗어나도록 뻗어 상기 스트라이커(224,226)와 맞닿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자석캐리어(218,219)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284,286)을 포함한다. 각 자석캐리어(218,219)는 각각 한쌍의 스핀들(240,242 및 250,252)을 가지며, 상기 각 한쌍의 스핀들은 상기 각 리셉터클(284,286)의 반대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284,286)과 결론적으로 상기 자석 캐리어(218,219)는, 그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32)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하우징(2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240,242,250,252)은 각각 상기 하우징(232)의 측부에 있는 구멍(254,256,258,260) 내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멍(254,256,258,260)에는 도입 진입로(263,265,267,269)가 각각 제공되어, 상기 스핀들(240,242,250,252)이 상기 구멍(254,256,258,260) 내로 딸깍소리를 내며 끼워 맞춰져, 상기 자석 캐리어(218,219)는 상기 하우징(232) 안으로 스냅에 의해 끼워맞춰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232)은 모터 구획실(241)을 가진다. 상기 모터구획실(241)에는 커버(233)가 제공된다. 그리하여, 상기 자석캐리어(218,219)는 상기 하우징(2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자석캐리어(218,219)를 상기 하우징(232)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특정의 양식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하우징(232) 내에서 상기 자석캐리어(218,21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설명된 상기 양식은 조립의 편의를 위하여 선택된 것이다. 이를 대신하여, 차축, 축 또는 핀을 상기 구멍(254,256,258,260)의 위치에 사용될 수 있는 다른 타입의 베어링 구조와 함께 사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캐리어(218,219)는 상기 하우징(2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를 대신하여, 상기 하우징(232)은, 상기 스핀들(240,242,250,252)이 상기 스핀들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적절한 베어링 구조 내로 삽입되고, 상기 하우징(232)의 각 반부(halves)가 서로 조립되는 구조의 덮개구조(clam-shell)로 설계될 수도 있다.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 리셉터클(284,286)과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 사이에는 어떠한 상대적인 회전도 없으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 및 상기 각 리셉터클(284,286)과, 결과적으로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는 일체로 회전한다.
이를 대신하여,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상기 자석 캐리어(218,219)와 독립적으로 형성되고, 각 톱니 멈춤쇠가 그 각각의 자석캐리어와 1개의 유닛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자석캐리어에 부착될 수도 있다. 또한 이를 대신하여,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와 상기 자석캐리어가 별개의 부재로 형성되는 경우를 위하여, 각 자석캐리어(218,219)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 사이에서 일정 범위 내에서의 상대적인 운동이 가능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도면에 나타내어진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에 대한 그들의 현재의 위치 쪽으로 스프링에 의하여 편향될 필요가 있다. 상기 상대적인 운동은, 상기 각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되는 도중에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 멈춤쇠가 우연히 걸림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각 회전식 자석(206,208)을 이동시킬 필요 없이,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각 도어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각 자석캐리어(218,219)는 복수개의 기어치(287,289)를 가지고 있다. 기어치(287,289)의 각 세트는 원의 일부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를 따라 분포되는데, 상기 원은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의 회전축에 중심을 두고 있다. 물론,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의 회전축은 각 자석캐리어(218,219)의 각 쌍의 스핀들(240,242 또는 250,252)의 중심축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각 자석캐리어(218,219)의 각 기어치(287,289)는 각 자석캐리어의 상기 각 리셉터클(287,289)에 의해 지지되며, 이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랙바아(217)의 기어치(213)은 상기 기어치(287,289)와 맞닿는다.
상기 걸쇠장치(2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분포된 1세트의 기어치(213)를 가지는 랙바아(217)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치(213)의 세트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치(213)는 상기 기어치(287,289)와 지속적으로 톱니물림되어, 상기 자석캐리어(218,219)는 상기 랙바아(217)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랙바아(217)는, 도130,153,156 및 160에 도시된 걸림위치와 도 132,149 및 162에 도시된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길이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랙바아(217)는 상기 자석캐리어(218,219)가 일제히 운동하도록 하여, 상기 자석캐리어와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은 1개의 공통의 작동기구에 의해, 상기 2중 도어(202,204)의 동시의 개방을 제공하기 위하여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바아(217)는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한된 범위의 직선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미끄럼바아(215)를 지지한다.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랙바아(217)에 의해 둘러싸여져, 상기 기어치(213)가 상기 미끄럼바아(215)와 상기 기어치(287,289) 사이에 개재된다.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다른 부분은 상기 랙바아(217)에 있는 슬롯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걸 쇠장치(200)를 작동시키기 위한 보우든케이블(Bowden cable,120)의 단부에 있는 구형의 확장부(209)를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207)을 가진다. 상기 미끄럼바아(215)는 상기 랙바아(2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방향으로 운동가능하다. 상기 미끄럼바아(215)와 랙바아(217) 사이에는 스프링(270)이 개재되어, 이 스프링은 상기 미끄럼바아(215)를 잠금위치 쪽으로 편향시킨다.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잠금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미끄럼바아는 1개 이상의 볼베어링(272)을 상기 랙바아(217)의 양 측부상에 있는 개구(274)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부쳐, 상기 볼베어링(272)는 상기 랙바아(217)의 양 측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잠금위치에 있고 상기 랙바아(217)가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볼베어링(272)은 상기 하우징(232) 내의 오목부(273)와 맞닿아, 상기 랙바아(217)는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상기 스프링(270)의 탄성률은, 충돌 시에 예상되는 충격력에 의한 미끄럼바아 자체의 관성에 의해 이동될 수 없을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볼베어링(272)이 상기 오목부(273)과 맞닿는 것은, 상기 걸쇠장치(200)가 충돌과정 동안에 풀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걸쇠장치(200)가 충돌에 의한 풀림에 견딜 수 있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오직 단식의(single) 볼베어링(272), 단식의 개구(274) 및 단식의 오목부(273)가 제공된다.
미끄럼바아(215)는 1개 이상의 오목부(275)를 가지는데, 상기 오목부는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해제위치에 있는 때에 개구(274)와 맞추어진다. 이 오목부(275)는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해제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볼베어링(272)으로 하여 금 상기 랙바아(217) 내부로 후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번에는 상기 랙바아(217)가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단일의 오목부(275)만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207)은 적어도 그 일단이 개방된 원통형의 통(barrel) 또는 관(sleeve) 형상이다. L자 형상의 슬롯(211)이 상기 통형상의 리셉터클(207)을 절개한다. 상기 L자 형상의 슬롯(211)은 상기 리셉터클(207)의 개방된 단부로부터 상기 리셉터클(207)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207)의 대략적인 중간부분까지 뻗는다. 상기 위치로부터, 상기 L자 형상의 슬롯(211)은 상기 리셉터클(207)의 원통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원호를 따라 뻗고, 이에 따라 L자 형상을 이룬다. 상기 슬롯(211)의 폭은 상기 보우든케이블(120)로 하여금 상기 슬롯(11)을 통과하여 뻗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다. 또한, 상기 구형 확장부(209)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고, 그 크기는 상기 슬롯(211)을 통과하여 끼워질 수 없되 상기 리셉터클(207)에는 끼워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232)은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외장(22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U자 형상의 슬롯(210)을 가지는 브래킷(203)을 가진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은 상기 걸쇠장치의 원격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외장(223)의 일단이 상기 브래킷(203)의 U자 형상의 슬롯(210) 내에 배치되고, 상기 다월(209)이 상기 리셉터클(207)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원격단(미도시)를 당기는 것은 상기 미끄럼바아(215)로 하여금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바 아(215)의 초기 운동은 상기 랙바아(217)가 그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의 운동범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또한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원격단(미도시)를 당기는 것은 상기 미끄럼바아(215) 및 랙바아(217) 모두의 직선방향 운동을 야기하여, 상기 랙바아(217)는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풀림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자석캐리어(218,2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상기 원격단은 수작업이나 전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 타입의 원격 핸들이나 누름버튼이 상기 걸쇠장치(200)의 수작동이나 전기적인 작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쇠장치(200)는 상기 하우징(232)을 프레임이나 구획실(194)에 탑재함으로써, 상기 프레임이나 구획실(294)에 탑재된다.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은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위치에서 보았을 때에 외부로 노출되거나 보일 필요는 없다. 그러나, 슬롯(296,298) 등은,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가 걸림위치로 회전하는 때에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로 하여금 도어프레임(294)을 통과하여 뻗어 상기 스트라이커(224,226)와 맞닿도록 하기 위하여 반드시 상기 도어프레임(294)에 제공되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232)을 상기 도어프레임(294)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며, 나사못, 리 벳, 핀, 못 및 접착제 등의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하우징(232)은 상기 도어프레임(294)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206,208)은 상기 도어(202,204)를 끌어당겨 상기 도어가 정확하게 걸리도록 한다. 상기 자석(206,208)은, 폐쇄위치에서의 상기 도어(202,204)의 최종이동, 위치 및 갭 조건을 통제한다. 상기 자석(206,208)은 또한 상기 걸쇠장치가 풀리는 때에 상기 도어(202,204)의 개방을 돕는다.
상기 걸쇠장치(200)를 개방하기 위하여, 예컨대 상기 버튼(미도시)이 눌려진다. 이는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원격단이 전술한 상기 조작기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야기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당김은,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자석캐리어(218,2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로 하여금 그들의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 작동은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202,204)를 기계적으로 해제한다. 더욱이, 상기 자석(206,208)은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자석들은 상기 도어(202,204)에 부착된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을 밀쳐내, 상기 도어들로 하여금 회전개방되도록 한다. 일단 상기 자석(206,208)이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자기장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202,204)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206,208) 중 어느 한개의 N극과 상기 자석(206,208) 중 다른 한개의 S극, 또는 그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이 상기 회전식자석(206,208), 상기 자석캐리어(218,2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 의 톱니멈춤쇠(234,236)를 상기 도어(202,204)를 열기 위한 상기 풀림위치에 근접한 제1중간위치(도124-126에 도시된 자석식 걸쇠장치의 풀렸지만 작동되지 않은 상태에 대응됨)로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의 N극과 상기 회전식자석(208)의 S극과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회전식자석(206,208), 상기 자석캐리어(218,2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를 그 각각의 제1중간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도어(202,204)를 닫기 위해, 상기 도어(202,204) 중 어느 하나를 눌러 닫는다. 이 동작은 상기 도어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다른 도어도 닫히도록 끌어당기지만, 1개의 도어는 상기 연동수단의 자유동작에 의해 다른 도어보다 지체될 것이다. 상기 도어(202,204)가 거의 닫히면,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상기 자석캐리어(218,2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이들은 그들의 걸림위치에 더 근접한 제2중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자석삽입물(214,216)과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206,208)사이의 강한 자기적인 인력이, 상기 양 도어가 동시에 닫히도록 상기 지체된 도어가 가속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가 동시에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상기 스트라이커(224,226)에 맞닿고, 상기 자석삽입물(214,216)과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206,208) 사이에는 강한 자기적인 인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양 도어는 기계적으로 및 자기적으로 폐쇄 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는 도133 내지 141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는 상기 도어(202,204)의 기계적인 연동수단의 자유동작 및 폐쇄 위치에 근접한 상기 도어들 사이의 위치적인 차이를 허용하면서도, 상기 도어를 서로 맞닿도록 동시에 폐쇄하는 잠금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이때 상기 볼베어링(272)는 상기 하우징(232) 내의 오목부(273)과 맞닿아,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해제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한 상기 랙바아(217)는 잠겨져 움직일 수 없다.
상기 도어(202,204) 사이의 지체가 충분히 크다면, 상기 지체된 도어가 그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도어는 완전히 폐쇄되고, 이로 인하여 양 회전식 자석(206,208) 및 양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로 하여금 그들 각각의 걸림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 상태는 도130 및 131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볼베어링(272)는 상기 랙바아(217)를 잡아 그 결과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걸림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지체된 도어의 스트라이커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의 상부와 부딪히고, 상기 지체된 도어는 완전한 폐쇄위치로 움직일 수 없다. 이러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조정핀(281,282)이 제공된다. 상기 조정핀(281,282)은 그 일단에는 돌출된 러그(232)를 가진 길쭉한 축형상(283)이다. 상기 조정핀(282,282)은, 상기 축(283)의 세로축의 방향으로 그 확장 및 후퇴위치사이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2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각 조정핀(281,282)은 스프링(288,290)에 의해 각각 상기 확장위치로 스프링편향된다. 상기 각 스트라이커(224,226)에는 포션(portion) 또는 패드(291,292)가 제공되어, 이들은 상기 대응하는 도어(202,204)가 완전 폐쇄위치 로 이동하는 때에, 그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핀(281,282)과 맞닿아 상기 조정핀(281,282)을 후퇴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조정핀(281,282)이 상기 후퇴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랙바아(217)는 그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랙바아(217)에는 놋치(293,295)가 제공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상기 랙바아(217)가 제2중간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러그(285)와 합치되는데, 상기 제2중간위치에서 도128 내지 1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치 걸쇠장치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걸림위치에 근접해 있다. 상기 각 놋치(293,295)는 상기 랙바아(217)의 직선운동방향과 수직방향인 측부와, 상기 랙바아(217)의 직선운동방향과 완만히 경사진 측부를 가진다. 상기 양 조정핀(281,282)이 확장위치에 있는 때에, 그들의 각 러그(285)는 그에 대응하는 각 놋치(293,295) 내에 위치하여, 상기 각 러그는 상기 각 놋치의 가장 깊은 부분에 안착되고, 상기 러그(285)가 상기 놋치의 상기 랙바아(217)의 직선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 측부와 맞닿는 것에 의하여 상기 랙바아(217)가 걸림위치에 근접한 상기 제2중간위치로부터 상기 걸림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각 놋치(293,295)의 완만히 경사진 측부는 캠처럼 작동하여, 그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핀(281,282)을 상기 후퇴위치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조정핀(281,282)은 상기 랙바아(217)가 상기 풀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없다. 따라서, 상기 도어(202,20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완전 폐쇄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이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핀은 상기 랙바아(217)가, 상기 볼베어링(272)이 상기 오목 부(273)과 맞닿아 잠기게 되는 걸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체된 도어(202,204)의 스트라이커가 그에 대응하는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와 부딪혀 상기 랙바아(217)가 걸림위치에 붙잡히는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위치에 근접한 위치 또는 제2중간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라이커(234,236)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밀쳐질 수 있으며, 상기 지체된 도어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상기 조정핀(282,282) 모두는 상기 후퇴위치에 있고,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 및 회전식 자석은 모두 그들의 걸림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선행도어는 지체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와 이에 대응하는 각 스트라이커 간의 상대적인 비율로부터, 상기 지체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의 상기 회전식 자석의 운동이 존재한다면 그 정도는 매우 경미하여야 하여, 상기 지체된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상기 각 회전식 자석 사이에는 상기 지체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 항상 충분히 강력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체된 도어의 폐쇄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는 상기 랙바아(217)를 상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종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기(221)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 구동기(221)는, 상기 보우든케이블(2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상기 보우든케이블이 수동보조장치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모터 구동기(221)가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200)로 하여금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공되는 적용예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에 대한 보조시스템으로서 제공된다.
상기 모터 구동기(221)는 구동스크류(231)와 연결되는 출력축(227)을 가지는 모터(22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스크류(231)는 상기 하우징(2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스크류(231)는 적어도 1개의 수(male) 나선형의 나사산을 가지는데, 이것은 슬라이더(243)에 형성된 상기 수 나사산과 짝지어진 암(female) 그루브나 나사산과 맞물린다. 상기 슬라이더(243)는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회전에 응답하여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23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243)는 돌출부(255)를 가지는데, 이것은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돌출부(247)와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랙바아(217)가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미끄럼바아(215)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돌출부(247)는 상기 돌출부(255)에 근접하여 위치되고, 이때 상기 슬라이더(243)는 상기 모터(225)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위치될 것이다. 이것이 상기 슬라이더(243)의 걸림위치이다. 상기 모터(125)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회전이 야기된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회전은 상기 슬라이더(243)의 직선운동을 야기하여, 상기 돌출부(255)로 하여금 상기 돌출부(247)과 맞닿도록 한다.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계속된 회전은 상기 슬라이더(243)의 상기 모터(225) 쪽으로의 계속된 직선방향 운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바아(215)는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상기 초기 운동이 상기 랙바 아(217)가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미끄럼바아(215)의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의 운동범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상기 구동스크류(231)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243)의 상기 기어(129) 쪽으로의 계속된 이동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바아(215215 랙바아(217) 모두의 직선운동이 야기되어, 상기 랙바아(217)는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자석캐리어(218,2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었다고 가정하면, 그들의 각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슬라이더(243)는 풀림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랙바아(217) 및 상기 자석캐리어(218,219)의 그들의 풀림위치로의 운동은 상기 도어(202,204)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풀림 동작이 완료되면, 적절한 통제회로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225)로의 전류는 역전되어 상기 구동스크류(231)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243)를 상기 걸림 싸이클을 다시 반복할 수 있도록 걸림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슬라이더(243) 그의 걸림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돌출부(255)가 상기 돌출부(247)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자석(206,208) 중 어느 한개의 N극과, 상기 자석(206,208) 중 다른 한개의 S극, 또는 이와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도어(202,204)가 폐쇄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202,204)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206,208), 상기 자석캐리어(218,2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234,236)를 도124 내지 126에 도시 된 제1중간위치로 유지시킬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상기 도어(202,204)가 개방되면, 상기 자석(206,208)의 그 극성이 반대인 극 사이의 인력은, 상기 도어(202,204)가 다시 한번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자석캐리어(218,219)를 그들의 풀림위치에 근접하게 유지할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202,204)가 그들의 폐쇄 위치로 이동된 다음에, 상기 걸쇠장치(200)는 구동싸이클을 반복할 준비가 될 것이다.
상기 랙바아(217)에는 그 아랫면으로부터 돌출한 핀(fin,297)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센서(299)가 상기 하우징(232) 내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센서(299)는 예컨대 포토다이오드를 조명하는 광방출다이오드(LED)를 가지는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랙바아(217)가 상기 제2중간위치에 있는 때에, 즉, 상기 걸림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기 조정핀(281,282)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랙바아의 걸림위치 쪽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핀(297)은 상기 LED(미도시)에 의해 상기 센서(299)의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조명을 방해하여, 확장위치에 있는 상기 조정핀 중 하나의 신호 표시가 생성될 것이다. 이 신호는, 예컨대 상기 도어들 중 어느 한개의 폐쇄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조수석 보조박스 내의 내용물 때문에 적절히 닫히지 않은 상기 도어(202,204) 중 어느 한 개에 대응될 것이다. 이 신호는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의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회로나 인쇄회로기판(PCB, 미도시)에 공급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도어(202,204)가 소정의 시간 한계 이상의 시간동안 계속 열린 상태로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모터(2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도어(202,204)를 개방하도 록 프로그램되어,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가 상기 도어를 다시 닫아, 이번에는 도어가 적절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도175 내지 도297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은, 제1부재는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 및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제1부재를 제2부재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석식 걸쇠장치에 관련된다. 상기 제1부재는 예컨대 도어일 수 있고, 상기 제2부재는 예컨대 구획실이거나 도어프레임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1개 이상의 도어가 상기 구획실의 폐쇄를 위하여 제공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걸쇠는 특히 기계적으로 연동된 이중 도어가 폐쇄상태로 유지되어야 하는 적용례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이러한 적용례에서, 어느 1개의 도어의 폐쇄는 또한 다른 도어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나, 상기 도어들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수단은 완전하지 않으며, 상기 도어들의 폐쇄는 항상 동시간적으로 일어나지는 않는다. 종종 어느 한개의 도어는 폐쇄작동 동안에, 다른 도어보다 약간 지체될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자석식 걸쇠에 의해, 상기 도어가 일단 걸쇠 자석의 자기장의 영향범위 내에 들어오면, 상기 도어는 자기적인인력에 의해 종국적인 폐쇄위치로 끌어당겨질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도어가 그들의 폐쇄위치로 접근함에 따라 상기 도어의 상대적인 위치의 큰 편차에도 불구하고, 이중도어 적용례에서 각 도어를 종국의 폐쇄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운동은 적절히 영향을 받을 것이다. 이에 따라, 본원발명의 상기 걸쇠는, 1개의 도어가 다른 1개보다 지체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들을 폐쇄위치로 적절히 유지하는데 효과적으로 설계된다.
도175 내지 도297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2개의 회전식 자석을 가지 는 자석식 걸쇠장치의 일 실시예(300)가 도시되어 있다. 이 걸쇠장치(300)는 2개의 도어(302,304)를, 2개의 회전하는 자석(306,308)을 사용하여 거의 동시에 폐쇄 상태로 닫기 위해 설계된 원격작동 걸쇠장치이다. 상기 걸쇠장치(300)는, 서로 평행하고 이격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식 자석(306,308)을 가진 상태에서, 상기 도어(302,304)의 피봇 또는 힌지들 사이에 설치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또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각 자석(306,308)은 이와 독립된 자석캐리어(318,319)에 의해 각각 지지된다.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는 하우징(3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은 각 자석캐리어(318,319)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식 자석과 그 자석캐리어는 1개의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 및 그 각각의 자석캐리어(318,319)는 각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회동가능하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는 또한 한쌍의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 334,336)를 포함한다.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각 자석캐리어(318,319)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와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는 1개의 유닛으로서 회전한다.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1개의 경사진 캠면(338)과 1개의 캣치면(344)을 가지는 갈고리모양의 헤드(322)를 포함하는데, 상기 캠면(338)은 상기 각각의 자석캐리어(318,319)를 외면하고 있고, 상기 캣치면(344)은 상기 각각의 자석캐리어(318,319)를 바라보고 있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는 상기 도어(302,304)에 부착될 수 있는 자 석 삽입물(314,316)을 포함한다.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은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각각에 대응한다.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이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을 바라보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의 극성은, 그 각각의 회전식 자석(306,3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214,216)의 극성과 서로 상반된다(즉, N극, S극). 예컨대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은, 도어(302,304)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의 S극이 그 각각의 회전식 자석(306,308)을 바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은,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과 그들의 캐리어가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회전식 자석의 N극이 실질적으로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을 바라보도록 그들의 캐리어(318,319) 내에 위치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 사이에는 인력이 작용하여,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이 부착된 상기 도어(302,304)는 폐쇄 위치에 유지된다.
더욱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각각의 스트라이커(324,326)와 맞닿아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차단한다. 이 특징은 상기 도어(302,304)에 의해 폐쇄된 상기 구획실의 외부로부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도어가 들어올려져 개방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는 한쌍의 스트라이커(324,326)를 포함하는데, 그 각각은 상기 한쌍의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의 각각에 대응한다. 각 스 트라이커(324,326)는,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각 도어의 내면으로부터 이격되고 상기 갈고리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의 헤드(322)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324,326)와 각 도어(302,304)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각각의 도어(302,304)에 의해 지지된다. 각 스트라이커(324,326)는 상기 각 도어(302,304)를 외면하는 1개의 캠면(328)과 상기 각 도어(302,304)를 바라보는 1개의 캣치면(330)을 가진다. 각 스트라이커의 상기 캠면(328)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의 캠면(338)과 상호 작용하여, 도2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도어가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때에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우연히 걸림위치 근처에 있다면, 상기 톱니멈춤쇠를 상기 스트라이커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이동시키고, 상기 각 도어로 하여금 폐쇄 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 위치에 있게 되면,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를 걸림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걸림 위치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의 헤드(322)는 상기 각 스트라이커(324,326)와 상기 각 도어(302,304) 사이에 위치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의 캣치면(344)은 상기 각 스트라이커(324,326)의 캣치면(330)과 맞닿아, 상기 각 도어(302,304)가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기계적으로 차단한다.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이 풀림위치에 있고(도278 및 도289 참조),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위치에 있는 때에(도282 내지 도284 참조), 그 극성이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극성과 상반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각 극 부분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로부터 더 멀어지도록 위치되는 반면, 그 극성이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극성과 동일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각 극 부분은,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걸림위치와 비교할 때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에 더 가깝도록 위치된다. 상기 풀림위치에서, 각 회전식 자석(306,3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동일한 극성인 극 부분 사이의 척력은,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 및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상반된 극성인 극 부분 사이의 인력을 넘어선다. 이에 따라, 순 척력이 각 회전식 자석(306,308)과 각 자석 삽입물(314,316) 사이에서 작용한다. 또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및 그들의 자석캐리어(318,319)와 함께 풀림위치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302,304)가 개방되는데의 기계적인 장해가 제거되어,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이 부착되어 있는 상기 도어(302,304)는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다시 한번, 예컨대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은,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자석 삽입물의 S극이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306,308)을 바라보도록 위치된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과 그들의 캐리어(318,319)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풀림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N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S극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하고, 상기 회전식 자석의 S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S극 쪽으로 이동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이 그들의 풀림위치에 도달한 때에 순 척력이 각 회전식 자석(306,308)과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 사이에 작용하게 된다.
극성이 상반된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의 극 부분은, 그들의 걸림위치에서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의 극 부분을 정면으로 바라볼 필요는 없다. 상기 풀림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과 이에 대응하는 각 자석 삽입물(314,316) 사이의 순인력이 충분히 커서 전술한 바와 같이 어느 한개의 도어가 다른 도어보다 지체되는 경우에도 상기 도어(302,304)의 신뢰할 수 있는 동시간적인 닫힘을 달성할 수 있다면,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은, 상반된 극성을 가지는 상기 회전식 자석의 극 부분과 그에 대응하는 각 자석 삽입물의 극 부분 사이의 정면 응시 위치관계(direct facing relationship)로부터 편향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결과가 얻어지는 한, 그 극성이 상기 자석(306,308)을 바라보는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의 극성과 반대인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극 부분은 상기 자석(306,308)을 바라보는 상기 각 자석 삽입물(314,316)의 극 부분을 실질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물론, 상반된 극성을 가지는 상기 회전식 자석의 극 부분과 상기 각각의 자석 삽입물의 극 부분 사이의 정면 응시 위치관계에서, 상기 걸쇠장치에 가장 큰 유지력이 발생하고, 걸림 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N극이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과 정면 응시 위치관계에 가급적 근접하도록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N극이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S극에 비하여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에 더 근접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과 그들 각각의 자석 삽입물 사이의 순인력이 충분히 커서 상기 회전식 자석이 상기 도어(302,304)를 끌어 당겨 여기에 도시된 폐쇄위치로 유지할 수 있는 범위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걸림위치에서의 각도 위치가 선택되어야 한다는 것이 핵심적인 고려사항이다. 논의되는 실시예에서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의 N극은, 상기 각 자석 삽입물의 S극과의 정면응시 위치관계로부터 수 °만큼 벗어나 있다.
각 자석 삽입물(314,316)은,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 내에 각각 삽입되고, 상기 자석 삽입물 하우징이 상기 각 도어(302,304)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각 도어(302,304)에 부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은 상기 도어(302,304)에 나사못(380)에 의해 부착되어 있는데, 상기 나사못의 헤드는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의 재료에 묻혀있다. 상기 나사못(380)은 상기 도어(302,304) 내의 나사산이 형성된 구멍과 맞닿아, 상기 나사못(380)을 회전시키면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의 높이와 이에 따라 상기 스트라이커(324,326)의 높이를 상기 도어(302,304)의 내면보다 높도록 조정한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을 상기 도어(302,304)에 부착하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며,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은 상기 도어(302,304)와 1개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276,278)이 완전히 생략되어, 상기 자석삽입물(314,316)은 상기 도어(302,304)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와 같은 적합한 고정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을 상기 도어(302,304)에 부착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서,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은 상기 도어(302,304)의 재료 내에 파묻힐 수도 있다.
그러나,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을 상기 도어(302.304)에 부착하기 위하여는 도시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도시된 수단은 상기 스트라이커(324,326)의 높이를 상기 도어(302,304)의 내면 보다 높도록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폐쇄위치에 있을 때의 도어(302,304)와 상기 하우징(332) 사의의 갭의 오차를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각 스트라이커(324,326)는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과 1개의 유닛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자석삽입물 하우징(376,378)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상기 스트라이커(324,326)를 상기 도어(302,304)에 부착시키기 위한 수단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상기 스트라이커(324,326)가 상기 각 도어의 내면으로부터 충분히 이격되어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의 헤드(322)가 각 스트라이커(324,326)와 상기 각 도어(302,304) 사이에 끼워질 수 있다면, 상기 스트라이커(324,326)를 지지하기 위한 어떤 적합한 구조물이라도 채택될 수 있으며, 상기 구조물을 상기 각 도어에 부착하기 위하여 나사못, 리벳, 핀, 못 및 접착제 등의 적합한 고정 수단 중 어느 것이라도 사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스트라이커(324,326)는 상기 도어(302,304)와 1개의 유닛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는 하우징(332)을 포함하는데, 상기 하우징(332)에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이 부착되어 있어 상기 회전식 자식을 가지는 상기 자석캐리어(318,319)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우징(332)의 상부 개구(305,329)는, 걸림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로 하여금 상기 하우징(332)을 벗어나도록 뻗어 상기 스트라이커(324,326)와 맞닿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각 자석캐리어(318,319)는 상기 각 회전식 자석(306,308)을 수용하기 위한 리셉터클(384,386)을 포함한다. 각 자석캐리어(318,319)는 각각 한쌍의 스핀들(340,342 및 350,352)을 가지며, 상기 각 한쌍의 스핀들은 상기 각 리셉터클(384,386)의 반대쪽에서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리셉터클(384,386)과 결론적으로 상기 자석 캐리어(318,319)는, 그 회전축이 상기 하우징(332)의 길이방향 축선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상기 하우징(332)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스핀들(340,342,350,352)은 각각 상기 하우징(332)의 측부에 있는 구멍(354,356,358,360) 내에 수용되어 상기 구멍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자석 캐리어(318,319)는 상기 하우징(3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스핀들(340,342,350,352)은 관모양이다. 상기 하우징(332)은 모터 구획실(341)을 가진다. 커버(335)가 회로기판(363)을 위하여 제공된다. 상기 하우징(332)의 일부를 이루는 커버 플레이트(333)에는 구멍(356,360)이 제공된다. 반복하건데, 상기 자석캐리어(318,319)를 상기 하우 징(332) 내에서 회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된 특정의 양식은 본원발명에서 특징적인 것이 아니다.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와 일체로 형성된다. 따라서, 각 리셉터클(384,386)과 상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 사이에는 어떠한 상대적인 회전도 없으며, 각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 및 상기 각 리셉터클(384,386)과, 결과적으로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는 일체로 회전한다.
또한, 각 자석캐리어(318,319)는 복수개의 기어치(387,389)를 가지고 있다. 기어치(287,289)의 각 세트는 원의 일부에 의해 정해지는 원호를 따라 분포되는데, 상기 원은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의 회전축에 중심을 두고 있다. 물론,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의 회전축은 각 자석캐리어(318,319)의 각 쌍의 스핀들(340,342 또는 350,352)의 중심축에 의해 규정된다. 상기 각 자석캐리어(318,319)의 각 기어치(387,389)는 각 자석캐리어의 상기 각 리셉터클(384,386)에 의해 지지되며, 이와 일체를 이루고 있다. 랙바아(317)의 제1 및 제2세트의 기어치(313,337)는 상기 자석캐리어(318,319)의 상기 기어치(387,389)와 맞닿는다.
상기 걸쇠장치(300)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분포된 제1및 제2세트의 기어치(313,337)를 가지는 랙바아(317)를 포함한다. 상기 각 세트의 기어치(313.337)의 세트는 복수개의 기어치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치(313,337)는 상기 기어치(387,389)와 지속적으로 톱니물림되어, 상기 자석캐리어(318,319)는 상기 랙바아(317)에 의해 연동된다. 상기 랙바아(317)는, 도175, 도282 내지 도286에 도시된 걸림 위치와 도278 및 도289에 도시된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길이축 방향을 따라 전후로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랙바아(317)는 상기 자석캐리어(318,319)가 일제히 운동하도록 하여, 상기 자석캐리어와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은 1개의 공통의 작동기구에 의해, 상기 2중 도어(302,304)의 동시의 개방을 제공하기 위하여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랙바아(317)는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제한된 범위의 직선 운동을 제공하기 위한 미끄럼바아(315)를 지지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일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상기 랙바아(317)에 의해 둘러싸여져, 상기 기어치(313,337)가 상기 미끄럼바아(315)와 상기 기어치(387,389) 사이에 개재된다. 돌출부(307)가 상기 미끄럼바아(315)로부터 돌출하여, 가요성있는 연결수단(339)에 의한 연결이 가능하다. 상기 가요성있는 연결수단(339)은, 상기 미끄럼바아(315)를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상기 랙바아(3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 후 상기 랙바아(317)가 그의 풀림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기 미끄럼바아(315) 및 랙바아(317) 모두를 끌어당기기 위한, 가요성있는 리본 또는 띠부분(strap portion, 345), 보우든케이블(220)을 부착하기 위한 리셉터클(369) 및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돌출부(307)와 맞닿기에 적합한 바브(barb) 또는 돌출부(349)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수단(339)의 띠부분(345)은 가요성이 있으나, 항복상태에 이르지 않고, 상기 미끄럼바아(315)를 해제위치로 상기 랙바아(3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끌어당길 수 있고, 그 후 상기 랙바아(317)가 그의 풀림위치에 이를 때까지 상기 미끄럼바아(315) 및 랙바아(317) 모두를 끌어당길 수 있을 정도의 충분한 인장강도를 가진다. 상기 리셉터클(369)은 상기 걸쇠장치(300)를 구동하기 위한 보우든케이블(220)의 일단에 있는 구형 확장부(209)를 수용하기에 적합하다. 상기 연결수단(339)의 띠부분(345)은 상기 하우징(332) 내의 U자 형상의 트랙(351) 내에 위치된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하우징(332)의 외부에서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이 당겨지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미끄럼바아(315) 및 랙바아(317)를 당기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보우든케이블이 상기 미끄럼바아(315)와 직접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332) 내의 U자 형상의 트랙을 통하여 안내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배치가 조립 및 제조의 편의를 위하여 선호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는 상기 랙바아(317)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잠금위치와 해제위치 사이에서 직선방향으로 운동가능하다. 상기 미끄럼바아(315)와 랙바아(317) 사이에는 스프링(370)이 개재되어, 이 스프링은 상기 미끄럼바아(315)를 잠금위치 쪽으로 편향시킨다. 상기 스프링(370)은 상기 랙바아(317) 내에 있는 공동(353) 내에 수용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잠금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미끄럼바아는 볼베어링(372)을 상기 랙바아(317)의 상부에 있는 개구(374)로부터 바깥쪽으로 밀어부쳐, 상기 볼베어링(372)은 상기 랙바아(317)의 상부로부터 바깥방향으로 돌출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잠금위치에 있고 상기 랙바아(317)가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볼베어링(372)은 상기 하우징(332) 내의 오목부(373)와 맞닿아, 상기 랙바아(317)는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해제위치로 이동되지 않는 한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상기 스프링(370)의 탄성률은, 충돌 시에 예상되는 충격력에 의한 미끄럼바아 자체의 관성에 의해 이동될 수 없을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된다. 따라서, 상기 볼베어링(372)이 상기 오목부(373)과 맞닿는 것은, 상기 걸쇠장치(300)가 충돌과정 동안에 풀리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고, 상기 걸쇠장치(300)가 충돌에 의한 풀림에 견딜 수 있게 한다.
미끄럼바아(315)는 함몰부(375)를 가지는데, 상기 함몰부는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해제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개구(374)와 합치된다. 이 함몰부(375)는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해제위치에 있는 경우에 상기 볼베어링(372)으로 하여금 상기 랙바아(317) 내부로 후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여, 이번에는 상기 랙바아(317)가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리셉터클(369)은 그 일단에 개구와, 상기 리셉터클(369)의 바닥을 통과하여 상기 리셉터클의 바닥의 일측부의 아래쪽으로 어느 정도 뻗은 슬롯(311)을 가진다. 상기 슬롯(311)은 상기 리셉터클(369)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리셉터클(369)의 상기 개방된 단부로부터 상기 바닥부까지 상기 리셉터클(369)의 길이방향과, 상기 리셉터클의 바닥부의 지름의 일부분을 따라 뻗는다. 상기 슬롯(311)의 폭은 상기 보우든케이블(120)로 하여금 상기 슬롯(311)을 통과하여 뻗을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넓다. 또한, 상기 구형 확장부(209)는 다른 형상일 수도 있고, 그 크기는 상기 슬롯(311)을 통과하여 끼워질 수 없되 상기 리셉터클(369)에는 끼워질 수 있어야 한다.
상기 하우징(332)은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외장(223)의 일단을 지지할 수 있는 U자 형상의 슬롯(310)을 가지는 브래킷(303)을 가진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은 상기 걸쇠장치의 원격조작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외장(223)의 일단이 상기 브래킷(303)의 U자 형상의 슬롯(310) 내에 배치되고, 상 기 구형 확장부(209)가 상기 리셉터클(369) 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원격단(미도시)을 당기는 것은 상기 미끄럼바아(315)로 하여금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초기 운동은 상기 랙바아(317)가 그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의 운동범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또한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원격단(미도시)을 더욱 당기는 것은 상기 미끄럼바아(315) 및 랙바아(317) 모두의 직선방향 운동을 야기하여, 상기 랙바아(317)는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풀림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자석캐리어(318,3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다고 가정한다면,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상기 원격단은 수작업이나 전기 액튜에이터에 의해 당겨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소정 타입의 원격 핸들이나 누름버튼이 상기 걸쇠장치(300)의 수작동이나 전기적인 작동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로서 각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걸쇠장치(300)는 도어(302,304)에 의해 닫혀지는 상기 구획실에 탑재된다.
상기 자석(306,308)은 상기 도어(302,304)를 끌어당겨 상기 도어가 정확하게 걸리도록 한다. 상기 자석(306,308)은, 폐쇄위치에서의 상기 도어(302,304)의 최종이동, 위치 및 갭 조건을 통제한다. 상기 자석(306,308)은 또한 상기 걸쇠장치가 풀리는 때에 상기 도어(302,304)의 개방을 돕는다.
상기 걸쇠장치(300)를 개방하기 위하여, 예컨대 상기 버튼(미도시)이 눌려진다. 이는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원격단이 전술한 상기 조작기구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당겨지는 것을 야기한다.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의 당김은,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자석캐리어(318,3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로 하여금 그들의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는 것을 야기한다. 이 작동은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가 상기 각 스트라이커(324,326)로부터 떨어지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도어(302,304)를 기계적으로 해제한다. 더욱이, 상기 자석(306,308)은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는데, 여기에서 상기 자석들은 상기 도어(302,304)에 부착된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을 밀쳐내, 상기 도어들로 하여금 회전개방되도록 한다. 일단 상기 자석(306,308)이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의 자기장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고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이 해제되면, 상기 도어(302,304)가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306,308) 중 어느 한개의 N극과 상기 자석(306,308) 중 다른 한개의 S극, 또는 그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이 상기 회전식자석(306,308), 상기 자석캐리어(318,3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를 상기 도어(302,304)를 열기 위한 상기 풀림위치에 근접한 제1중간위치(도177, 178 및 290에 도시된 자석식 걸쇠장치의 풀렸지만, 작동되지 않고, 휴식 상태에 대응됨)로 유지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회전식 자석(206)의 N극과 상기 회전식자석(208)의 S극과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회전식자석(306,308), 상기 자석캐리어(318,3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 쇠(334,336)를 그 각각의 제1중간위치에 유지시킨다.
상기 도어(302,304)를 닫기 위해, 상기 도어(302,304) 중 어느 하나를 눌러 닫는다. 이 동작은 상기 도어 사이의 기계적인 연동수단(미도시)에 의해 다른 도어도 닫히도록 끌어당기지만, 1개의 도어는 상기 연동수단의 자유동작(free play)에 의해 다른 도어보다 지체될 것이다. 상기 도어(302,304)가 거의 닫히면,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상기 자석캐리어(318,3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상기 자석 삽입물(314,316)의 자기장의 영향에 의해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기 시작하여, 이들은 그들의 걸림위치에 더 근접한 제2중간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이 위치에서 상기 자석삽입물(314,316)과 그들 각각의 회전식 자석(306,308)사이의 강한 자기적인 인력이, 상기 양 도어가 동시에 닫히도록 상기 지체된 도어가 가속되도록 하고,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가 동시에 그들의 걸림위치로 회전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상기 스트라이커(324,326)에 맞닿고, 상기 자석삽입물(314,316) 각각의 회전식 자석(306,308) 사이에는 강한 자기적인 인력이 발생한다. 이에 따라, 양 도어는 기계적으로 및 자기적으로 폐쇄위치로 유지된다. 이 상태는 도282 내지 286에 도시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는 상기 도어(302,304)의 기계적인 연동수단의 자유동작 및 폐쇄 위치에 근접한 상기 도어들 사이의 위치적인 차이를 허용하면서도, 상기 도어를 서로 맞닿도록 동시에 폐쇄하는 잠금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이때 상기 볼베어링(272)은 상기 하우징(332) 내의 오목부(273)과 맞닿아,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해제위치로 이동하지 않는 한 상기 랙바아(317)는 잠겨져 움직일 수 없다.
상기 도어(302,304) 사이의 지체가 충분히 크다면, 상기 지체된 도어가 그 폐쇄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다른 도어는 완전히 폐쇄되고, 이로 인하여 양 회전식 자석(306,308) 및 양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로 하여금 그들 각각의 걸림위치로 이동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볼베어링(372)은 상기 랙바아(317)를 잡아, 그 결과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걸림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지체된 도어의 스트라이커는 이에 대응하는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의 상부와 부딪히고, 상기 지체된 도어는 완전한 폐쇄위치로 움직일 수 없다. 이러한 결과를 방지하기 위해 조정핀(381,382)이 제공된다. 상기 조정핀(381,382)은 그 일단에는 돌출된 러그(332)를 가진 길쭉한 축형상(283)이다. 상기 조정핀(382,382)은, 상기 축(283)의 세로축의 방향으로 그 확장 및 후퇴위치 사이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33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각 조정핀(381,382)은 스프링(288,290)에 의해 각각 상기 확장위치로 스프링편향된다. 상기 각 스트라이커(324,326)에는 포션(portion) 또는 패드(391,392)가 제공되어, 이들은 상기 대응하는 도어(302,304)가 완전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때에, 그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핀(381,382)과 맞닿아 상기 조정핀(381,382)을 후퇴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 조정핀(381,382)이 상기 후퇴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랙바아(317)는 그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랙바아(317)에는 탭(393,395)이 제공되어 있고, 이들 각각은 상기 랙바아(317)가 제2중간위치 에 있는 때에, 상기 각 조정핀(381,382)의 러그(385)와 맞닿는데, 상기 제2중간위치에서 도28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자석치 걸쇠장치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에 있으며,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걸림위치에 근접해 있다. 상기 각 탭(393,395)은 상기 랙바아(317)의 직선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측부(a side)를 가진다. 상기 양 조정핀(381,382)이 확장위치에 있는 때에, 그들의 각 러그(385)가 상기 탭의 상기 랙바아(317)의 직선운동방향과 수직한 방향의 상기 측부와 맞닿는 것에 의하여 상기 랙바아(317)가 걸림위치에 근접한 상기 제2중간위치로부터 상기 걸림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도어(302,304) 중 어느 하나 또는 모두가 완전 폐쇄위치로부터 벗어나 있을 때, 이에 대응하는 상기 조정핀은 상기 랙바아(317)가, 상기 볼베어링(372)이 상기 오목부(373)과 맞닿아 잠기게 되는 걸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체된 도어(302,304)의 스트라이커가 그에 대응하는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와 부딪혀 상기 랙바아(317)가 걸림위치에 붙잡히는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걸림위치에 근접한 위치 또는 제2중간위치에서,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스트라이커(334,336)의 경로로부터 벗어나도록 밀쳐질 수 있으며, 상기 지체된 도어가 그 폐쇄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며, 이때 상기 조정핀(381,382) 모두는 상기 후퇴위치에 있고,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 및 회전식 자석은 모두 그들의 걸림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도어를 폐쇄위치로 유지할 수 있다. 선행도어는 지체된 도어가 완전히 폐쇄될 때까지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폐쇄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 와 이에 대응하는 각 스트라이커 간의 상대적인 비율로부터, 상기 지체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의 상기 회전식 자석의 운동이 존재한다면 그 정도는 매우 경미하여야 하여, 상기 지체된 도어의 스트라이커와 상기 각 회전식 자석 사이에는 상기 지체된 도어가 폐쇄되는 동안 항상 충분히 강력한 인력이 작용하게 되어, 전술한 바와 같은 상기 지체된 도어의 폐쇄가 달성된다.
또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는 상기 랙바아(317)를 상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그 종축방향으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터 구동기(321)를 포함한다. 그리하여, 상기 모터 구동기(321)는, 상기 보우든케이블(220)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며, 예컨대 상기 보우든케이블이 수동보조장치로 제공되는 한편 상기 모터 구동기(321)가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300)로 하여금 전기적으로 작동되도록 제공되는 적용예에서 사용되기 위하여,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에 대한 보조시스템으로서 제공된다. 또한, 중첩적인 전기구동 시스템이 선호되는 적용례에 있어서는, 상기 보우든케이블(220)을 전기적으로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모터 구동기(321)는 구동스크류(331)와 연결되는 출력축(327)을 가지는 모터(325)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스크류(331)는 상기 하우징(332)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구동스크류(231)는 적어도 1개의 수(male) 나선형의 나사산을 가지는데, 이것은 슬라이더(343)에 형성된 상기 수 나사산과 짝지어진 암(female) 그루브나 나사산과 맞물린다. 상기 구동스크류(331)의 수 나선형의 나사산은 연속적이거나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단속적일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더(343)는 상기 구동스크류(331)의 회전에 응답하여 직선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332)에 의하여 지지된다. 상기 슬라이더(343)는 상기 구동스크류(331)에 걸쳐지는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포크(347)와 맞닿아, 상기 미끄럼바아(315)를 해제위치로 이동시키고, 그 후 상기 랙바아(317)가 풀림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미끄럼바아(315) 및 랙바아(317)를 직선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모터(335)와 구동스크류(331) 사이의 연결은 상기 출력축(327)에 고정된 피니언기어(355)를 포함하고, 이 피니언기어는 링기어(359)의 내부기어치와 톱니물림되며, 상기 링기어는 상기 구동스크류(331)의 일단에 고정부착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크류(331)와 상기 링기어(359)는 1개의 유닛으로 회전하도록 부착되어 있으며, 1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치는 상기 모터(325)에 필요한 토크출력을 감소시킨다.
상기 랙바아(317)가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미끄럼바아(315)가 잠금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포크(347)는 상기 모터(225)로부터 가장 이격되어 위치한 상기 슬라이더(343)에 근접하여 위치될 것이다. 이것이 상기 슬라이더(343)의 걸림위치이다. 상기 모터(325)에 전원이 공급되면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회전이 야기된다. 상기 제1 방향으로의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회전은 상기 슬라이더(343)의 직선운동을 야기하여 상기 포크(347)와 맞닿도록 한다. 상기 구동스크류(231)의 계속된 회전은 상기 슬라이더(343)의 상기 모터(225) 쪽으로의 계속된 직선방향 운동을 야기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바아(315)는 잠금위치로부터 해제위치로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상기 초기 운동이 상기 랙바아(317)가 풀림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랙바아의 구속을 해제한다. 상기 미끄럼바아(315)의 상기 잠금위치로부터 상기 해제위치까지의 운동범위는 상대적으로 제한적이며, 상기 구동스크류(231)를 더 회전시키면 상기 슬라이더(343)의 상기 모터(325) 쪽으로의 계속된 이동이 야기되고, 이에 따라 상기 미끄럼바아(315) 및 랙바아(317) 모두의 직선운동이 야기되어, 상기 랙바아(317)는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이동된다. 그 결과,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자석캐리어(318,319) 및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는, 이들 모두가 초기에 걸림위치에 있었다고 가정하면, 그들의 각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회전하게 된다. 그 후, 상기 슬라이더(343)는 풀림위치에 있게 된다. 상기 랙바아(317) 및 상기 자석캐리어(318,319)의 그들의 풀림위치로의 운동은 상기 도어(302,304)의 개방을 가능하게 한다.
일단 풀림 동작이 완료되면, 적절한 통제회로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상기 모터(325)로의 전류는 역전되어 상기 구동스크류(331)를 상기 제1방향과 반대방향인 제2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슬라이더(343)를 상기 걸림 싸이클을 다시 반복할 수 있도록 걸림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슬라이더(343)를 그의 걸림위치로 복귀시키면, 상기 슬라이더(343)는 상기 포크(347)로부터 떨어지고, 상기 자석(306,308) 중 어느 한개의 N극과, 상기 자석(306,308) 중 다른 한개의 S극, 또는 이와 반대, 사이의 자기적인 인력은, 상기 도어(302,304)가 폐쇄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도어(302,304)를 폐쇄하기 위하여, 상기 회전식 자석(306,308), 상기 자석캐리어(318,319) 및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334,336)를 도290에 도시된 제1중간위치로 유지시킬 것이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일단 상기 도어(302,304)가 개방되면, 상기 자석(306,308)의 그 극성이 반대인 극 사이의 인력은, 상기 도어(302,304)가 다시 한번 폐쇄위치로 이동할 때까지, 상기 자석캐리어(318,319)를 그들의 풀림위치에 근접하게 유지할 것이다. 그리하여, 상기 도어(302,304)가 그들의 폐쇄 위치로 이동된 다음에, 상기 걸쇠장치(300)는 구동싸이클을 반복할 준비가 될 것이다.
상기 랙바아(317)에는 그 아랫면으로부터 돌출한 핀(fin,397)이 제공되어 있다. 또한, 센서(399,361)가 상기 하우징(332)에 의해 지지되는 회로기판(363) 상에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센서(399,361)는 예컨대 포토다이오드를 조명하는 광방출다이오드(LED)를 가지는 타입일 수도 있다. 상기 랙바아(317)가 상기 제2중간위치에 있는 때에, 즉, 상기 걸림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있어서 확장된 위치에 있는 상기 조정핀(381,382)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상기 랙바아의 걸림위치 쪽으로의 이동이 방지되는 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핀(397)은 상기 LED(미도시)에 의해 상기 센서(399,361)중 어느 한개의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조명을 방해하여, 확장위치에 있는 상기 조정핀 중 하나에 대응하는 오류 신호 표시(fault signal indicative)가 생성될 것이다. 이 신호는, 예컨대 상기 도어들 중 어느 한개의 폐쇄위치로의 이동을 방해하는 조수석 보조박스 내의 내용물 때문에 적절히 닫히지 않은 상기 도어(302,304) 중 어느 한 개에 대응될 것이다. 이 신호는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의 작동을 통제하는 제어회로나 인쇄회로기판(PCB, 363)에 공급된다. 상기 제어회로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프로그램가능하다.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도어(302,304)가 소정의 시간 한계 이상의 시간 동안 계속 열린 상태로 있다는 것을 나타내면 상기 제어회로는 상기 모터(325)에 전원을 공급하여 상기 도어(302,304)를 개방하도록 프로그램되어, 차량에 탑승하고 있는 사용자가 신속하게 상기 도어를 다시 닫아, 이번에는 도어가 적절히 폐쇄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63)은 상기 모터(325) 내로 플러그인 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프롱(prong, 365)을 가진다. 또한, 상기 회로기판(363)은 전원공급 및 신호라인과의 연결을 위한 잭(367)을 가진다.
상기 랙바아(317)가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즉, 상기 핀(397)은 상기 LED(미도시)에 의해 상기 센서(399,361) 모두의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조명을 방해하여, 상기 도어(302,304)가 닫힌다는 신호 표시가 생성될 것이다. 이 신호는, 상기 도어를 개방하라는 다음의 신호를 수령할 때까지 상기 회로기판(363)으로 하여금 슬립모드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랙바아(317)가 상기 풀림위치에 있는 때에, 즉, 상기 핀(397)은 상기 LED(미도시)에 의해 상기 센서(399,361) 모두의 상기 포토다이오드의 조명을 방해하지 않아, 상기 도어(302,304)가 개방된다는 신호 표시가 생성될 것이다. 상기 회로기판(363)은, 상기 도어가 닫힐 때까지 활성화된 상태로 유지되고 상기 구획실의 불이 켜진 상태로 유지한다. 상기 도어가 개방되어 전원이 끊긴 후에, 상기 회로기판(363)은 전원이 켜진 후에 상기 구획실의 불을 켠다.
스프링(371)은 도17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있는 연결수단(339)을 걸림위치로 편향시킨다.
본원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더욱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본원발명의 사상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된 본원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다양한 변형, 변화 및 응용이 가능할 것이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제1부재는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석식 걸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될 수 있는 자석삽입물;
    상기 제2부재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1개 이상의 자석으로서, 걸림 및 풀림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고,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자석 삽입물이 부착된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자석 삽입물과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잠금위치로 붙잡도록 위치되고, 상기 풀림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제1부재가 상기 제2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된 상기 자석 삽입물을 밀어내 상기 제1부재를 상기 제2부재에 대하여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위치되는 1개 이상의 자석;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1개 이상의 자석을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풀림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제1부재에 부착될 수 있는 스트라이커;
    상기 1개 이상의 자석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로서, 상기 1개 이상의 자석이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스트라이커와 맞닿아 상기 제1부재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는 갈고리모양의 톱니멈춤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1개 이상의 자석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어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직선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랙바아로서, 상기 랙바아가 그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직선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에 따라, 상기 자석과 상기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상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1개 이상의 자석과 함께 회전하는 기어치와 맞물릴 수 있는 복수의 기어치를 가지는 랙바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랙바아에 의해 유지되는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잠금 및 해제위치 사이에서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미끄럼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미끄럼바아의 상기 랙바아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랙바아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미끄럼바아가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기 잠금위치에 있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도록 이동하여 상기 랙바아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풀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미끄럼바아가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기 해제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랙바아는 상기 미끄럼바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추가적인 직선운동에 응답하여 그 걸림위치로부터 그 풀림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미끄럼바아를 구동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6. 제1도어 및 제2도어 각각은 제3부재에 대하여 그 각각의 폐쇄위치와 개방위치 사이에서 운동 가능하며, 상기 제1도어 및 제2도어를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폐쇄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자석식 걸쇠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자석 삽입물;
    상기 제2도어에 부착될 수 있는 제2자석 삽입물;
    상기 제3부재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자석으로서, 걸림 및 풀림 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고,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자석 삽입물이 부착된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1자석 삽입물과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잠금위치로 붙잡도록 위치되고, 상기 풀림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제1도어가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에 부착된 상기 제1자석 삽입물을 밀어내 상기 제1도어를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위치되는 제1자석;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자석으로서, 걸림 및 풀림위치 사이에서 회전운동가능하고, 상기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자석 삽입물이 부착된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2자석 삽입물과의 자기적인 인력에 의해 상기 잠금위치로 붙잡도록 위치되고, 상기 풀림위치에 있는 때에는 상기 제2도어가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2도어에 부착된 상기 제2자석 삽입물을 밀어내 상기 제2도어를 상기 제3부재에 대하여 상기 폐쇄위치로부터 개방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위치되는 제2자석; 및
    사용자로부터의 입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자석 및 제2자석을 그들의 걸림위치로부터 풀림위치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구동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제1도어에 부착될 수 있는 제1스트라이커;
    상기 제1자석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로서, 상기 제1자석이 그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제1스트라이커와 맞닿아 상기 제1도어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는 제1 갈고리모양의 톱니멈춤쇠;
    상기 제2도어에 부착될 수 있는 제2스트라이커; 및
    상기 제2자석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 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로서, 상기 제2자석이 그 걸림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제2스트라이커와 맞닿아 상기 제2도어가 상기 개방위치로부터 이동되는 것을 기계적으로 방지하는 제2 갈고리모양의 톱니멈춤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제1자석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세트의 기어치와, 상기 제2자석과 함께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2세트의 기어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하우징에 의하여 직선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랙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랙바아는, 상기 랙바아가 그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직선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1자석과 상기 제1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상기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1자석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제1세트의 기어치와 맞물릴 수 있는 제1 복수의 기어치 와, 상기 랙바아가 그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직선방향으로 각각 이동함에 따라, 상기 제2자석과 상기 제2갈고리 모양의 톱니멈춤쇠가 그들의 걸림위치와 풀림위치 사이에서 함께 회전하도록 상기 제2 자석과 함께 회전하는 상기 제2세트의 기어치와 맞물릴 수 있는 제2 복수의 기어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랙바아에 의해 유지되는 볼베어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기구는,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잠금 및 해제위치 사이에서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직선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미끄럼바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볼베어링은 상기 미끄럼바아의 상기 랙바아에 대한 상대적인 운동에 응답하여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랙바아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걸림위치에 있고 상기 미끄럼바아가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기 잠금위치에 있는 상기 하우징과 맞닿도록 이동하여 상기 랙바아가 상기 걸림위치로부터 상기 풀림위치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미끄럼바아가 상기 랙바아에 대하여 상기 해제위치에 있는 때에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떨어질 수 있으며,
    상기 랙바아는 상기 미끄럼바아의 상기 하우징에 대한 추가적인 직선운동에 응답하여 그 걸림위치로부터 그 풀림위치로 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자석식 걸쇠장치는 상기 미끄럼바아를 구동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석식 걸쇠장치.
KR1020077028314A 2005-05-08 2006-05-08 자석식 걸쇠장치 KR200800154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7927405P 2005-05-08 2005-05-08
US60/679,274 2005-05-08
US68398105P 2005-05-23 2005-05-23
US60/683,981 2005-05-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5428A true KR20080015428A (ko) 2008-02-19

Family

ID=37397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8314A KR20080015428A (ko) 2005-05-08 2006-05-08 자석식 걸쇠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04550B2 (ko)
EP (1) EP1880073B1 (ko)
JP (1) JP2008540880A (ko)
KR (1) KR20080015428A (ko)
WO (1) WO200612215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6902B1 (fr) * 2011-06-21 2013-07-26 Faurecia Interieur Ind Ensemble d'habillage d'une partie de l'habitacle d'un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pluralite de pieces d'habillage
KR20070101376A (ko) * 2005-02-12 2007-10-16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자기 래치 기구
US9004550B2 (en) 2005-05-08 2015-04-14 Southco, Inc. Magnetic latch mechanism
DE112008000129T5 (de) * 2007-01-06 2010-01-14 Southco, Inc. Magnetschlossmechanismus
DE112011100924T5 (de) 2010-03-16 2013-03-21 Southco, Inc. Elektromechanisches Kompressionsschloss
CN103003102B (zh) * 2010-04-28 2015-07-29 因特瓦产品有限责任公司 手套箱致动装置
JP5629131B2 (ja) * 2010-06-09 2014-11-19 株式会社ニフコ ロック装置
TWI451019B (zh) * 2012-08-21 2014-09-01 Quanta Comp Inc 應用電磁鎖閥之物品固持裝置
PL2935741T3 (pl) * 2012-12-21 2019-10-31 Centor Design Pty Ltd Mechanizm ryglujący
FR3010957B1 (fr) * 2013-09-20 2017-07-07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d'une plaque coulissante par rapport a un element, et systeme associe
WO2015195640A1 (en) 2014-06-16 2015-12-23 DoorDots, LLC Door stop device and method
ES2741737T3 (es) 2015-04-09 2020-02-12 Multimatic Inc Sistema de puerta de vehículo con amortiguación continua de puerta
US9771743B2 (en) * 2015-12-02 2017-09-26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mpact-activated latch lock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glove box doors
US10697207B2 (en) 2016-03-11 2020-06-30 Trimark Corporation Rotary latch plates
US10676967B2 (en) * 2016-03-11 2020-06-09 Trimark Corporation Rotary latch with modular components
EP3458306B1 (en) * 2016-05-18 2020-12-16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Console assembly for vehicle interior
KR101856336B1 (ko) * 2016-07-14 2018-05-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트레이 장치
US10762731B2 (en) 2017-06-13 2020-09-01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Mobile device for safe, secure, and accurate delivery of items
US10344513B2 (en) 2017-08-18 2019-07-09 Shanghai Yangeng Jinqiao Automotive Trim Systems Co. Ltd. Component for vehicle interior
US10651786B2 (en) * 2018-01-08 2020-05-12 David Lynn Panel with magnetically-controlled connectors for attachment to a support member
JP2019142336A (ja) * 2018-02-20 2019-08-29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コンソールボックス
CA3096253A1 (en) * 2018-05-15 2019-11-21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Electronic lock
WO2020068799A1 (en) 2018-09-26 2020-04-02 United States Postal Service Locking system
KR102606594B1 (ko) * 2018-10-25 2023-11-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글로브 박스 장치
US11572723B2 (en) 2019-02-27 2023-02-07 Shanghai Yanfeng Jinqiao Automotive Triim Systems Co. Ltd. Vehicle interior component
US10643412B1 (en) * 2019-07-09 2020-05-05 Frank Yang Smart lock device and method
DE112020004910T5 (de) * 2019-10-09 2022-09-01 Southco, Inc. Elektronisch betätigtes und verriegelbares handschuhfachsystem
DE102021111208A1 (de) * 2020-05-28 2021-12-02 Magna Closures Inc. Haupt- und Nebenverschluss für Schlösser von Kraftfahrzeugen
CN216331782U (zh) * 2021-03-11 2022-04-19 福特全球技术公司 存储控制台

Family Cites Families (1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5325C (ko) 1902-12-30 1905-11-25
US258690A (en) * 1882-05-30 william b
BE669664A (ko) *
US1320444A (en) * 1919-11-04 Combination-lock
US2342848A (en) 1936-10-17 1944-02-29 Waldemar A Endter Rotary latch with multiple engaging means
US2219186A (en) 1938-11-02 1940-10-22 Gen Electric Magnetic latch
US2288688A (en) * 1939-08-05 1942-07-07 Dubilier William Magnetic lock
US2446336A (en) * 1944-07-27 1948-08-03 Winters & Crampton Corp Magnetic refrigerator door closure and seal
US2565891A (en) * 1947-09-12 1951-08-28 Wilbur G Sherman Magnetic door lock
US2586900A (en) 1949-11-02 1952-02-26 Alderman Wayne Magnetic door latch
US2797655A (en) * 1954-04-13 1957-07-02 Silas A Morehouse Safety refrigerator lock
US2889164A (en) 1955-12-29 1959-06-02 Robert A Clark Door lock
US2898138A (en) 1956-11-19 1959-08-04 Jervis Corp Power operated latch mechanism
FR1201673A (fr) * 1958-07-09 1960-01-04 Perfectionnements aux fermetures magnétiques, notamment pour portes
JPS3612595Y1 (ko) * 1959-11-02 1961-05-18
FR1302936A (fr) * 1960-10-18 1962-09-07 Fermeture loqueteau magnétique à deux aimants, inversant leurs pôles
US3184654A (en) * 1962-06-14 1965-05-18 Ahmet K Bey Magnetic holding device
US3332713A (en) 1965-05-05 1967-07-25 Gen Motors Corp Closure latch
US3288511A (en) * 1965-07-20 1966-11-29 John B Tavano Two-part magnetic catch for doors or the like
DE1553544A1 (de) 1966-01-19 1969-07-24 Max Baermann Schloss mit magnetisch beeinflussbarem Verschlussorgan
DE1505721B2 (de) 1966-04-16 1976-06-24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verriegelung eines kraftfahrzeug-klappverdecks
US3516701A (en) 1968-09-03 1970-06-23 Percy R Graham Door latch and lock of magnetic type
US3596958A (en) * 1969-08-27 1971-08-03 William R Bowerman Magnetic lock
US3860277A (en) * 1970-01-15 1975-01-14 Cons Controls Corp Latching assembly with magnetic locking
DE2455520A1 (de) * 1974-11-23 1976-05-26 Gordon Cockburn Verschlussvorrichtung, bestehend aus dauermagnet und einem magnetischen gegenpol
JPS5413000A (en) * 1977-06-30 1979-01-3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Switchgear of door
JPS6019879Y2 (ja) 1977-09-27 1985-06-14 株式会社糸井製作所 引き出し付収納庫
JPS54102046A (en) * 1978-01-26 1979-08-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evice for closing folding and movable partition
US4195236A (en) 1978-03-23 1980-03-25 Vsesojuzny Nauchno-Issledovatelsky Institut Vagonostroenia Device for discrete control of thyristor-pulse converters
US4262830A (en) 1979-06-25 1981-04-21 Wisco Corporation Latch mechanism
JPS5663648U (ko) 1979-10-24 1981-05-28
JPS5919107Y2 (ja) * 1980-02-12 1984-06-01 正男 三宅 ドア開閉装置
FR2518621B1 (fr) 1981-12-21 1986-03-14 Kiekert Gmbh Co Kg Serrure pour porte de vehicule automobile
FR2518620A1 (fr) 1981-12-22 1983-06-24 Peugeot Aciers Et Outillage Serrure a pene pivotant,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518181A (en) 1982-05-28 1985-05-21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ocking device
DE3333746A1 (de) 1983-09-19 1985-06-05 Neiman GmbH, 5657 Haan Schloss fuer eine kraftfahrzeugtuer
FR2555643B1 (fr) 1983-11-25 1988-10-14 Renault Dispositif d'ouverture et de fermeture electrique d'un battant de vehicule muni d'une serrure du type a armement
US5046340A (en) 1984-04-18 1991-09-10 The Eastern Company Latch and lock assemblies with spring-biased pivot bolts
US4679836A (en) 1986-03-21 1987-07-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ure latch
FR2604472B1 (fr) 1986-09-26 1992-06-12 Peugeot Aciers Et Outillage Serrure,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4763936A (en) 1986-10-20 1988-08-16 General Motors Corporation Power operated door latch
US4732432A (en) 1986-12-29 1988-03-22 Whirlpool Corporation Breaker strip for a refrigerator cabinet
US4796932A (en) 1987-09-22 1989-01-10 Hoover Universal, Inc. Remote release and pull-down unit
US4892340A (en) 1987-10-15 1990-01-09 Ohi Seisakusho Co., Ltd. Electric locking device for lid
FR2632003B2 (fr) 1987-10-21 1993-12-03 Vachette Sa Perfectionnements aux serrures assistees a pene rotatif
US4875723A (en) 1988-03-03 1989-10-24 General Motors Corporation Closure latch
US4867496A (en) 1988-03-14 1989-09-19 Trine Products Corporation Electrically operable strike
DE3827555A1 (de) 1988-08-13 1990-02-15 Stihl Maschf Andreas Regelmembran
US4861089A (en) 1988-08-29 1989-08-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venting arrangement responsive to side door opening and closing
US5033789A (en) 1989-03-31 1991-07-23 Aisin Seiki Kabushiki Kaisha Convertible car body structure
DE3923695C2 (de) 1989-07-18 1994-02-24 Karmann Gmbh W Vorrichtung zum Niederholen des vorderen Endes eines Fahrzeugverdecks
US4958508A (en) * 1989-10-30 1990-09-25 Lin Emily M Y Double hook-bolt mortise lock
US5140316A (en) 1990-03-22 1992-08-18 Masco Industries, Inc. Control apparatus for powered vehicle door systems
BR9005985A (pt) * 1990-11-16 1991-07-02 Endel Kello Aperfeicoamento em fechaduras
DE4102049A1 (de) 1991-01-24 1992-07-30 Kiekert Gmbh Co Kg Kraftfahrzeugtuerverschluss
JP2533004B2 (ja) 1991-02-16 1996-09-1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トランク扉等の電動式ロック装置
JPH0814216B2 (ja) 1991-03-29 1996-02-14 株式会社大井製作所 自動車用バックドアのクロージャ装置
DE4230985C2 (de) 1991-09-17 1996-07-11 Mitsubishi Motors Corp Kofferraumverriegelung
US5197775A (en) 1991-12-13 1993-03-30 Ford Motor Company Glove compartment
DE4321586C2 (de) 1992-06-29 1995-06-08 Ohi Seisakusho Co Ltd Motorbetriebene Schließvorrichtung
US5309680A (en) 1992-09-14 1994-05-10 The Standard Products Company Magnetic seal for refrigerator having double doors
US5544925A (en) 1992-11-09 1996-08-13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Spring mounting device for automotive door lock apparatus
US5642636A (en) 1993-01-22 1997-07-01 Mitsui Kinzoku Kogyo Kabushiki Kaisha Locking device for trunk lids
US5406340A (en) * 1993-06-30 1995-04-11 Hoff; Leslie J. Infant-to-toddler eye wear including head straps
US5413391A (en) 1993-07-12 1995-05-09 Hartwell Corporation Self-closing latch
JP2739677B2 (ja) 1993-12-13 1998-04-15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車両用扉のロック装置
US5498040A (en) 1994-07-28 1996-03-12 Kelsey-Hayes Company Deck lid latch and actuator
US5549337A (en) 1994-10-07 1996-08-27 Thomas Loeff Motor actuated latch mechanism
DE19533193A1 (de) 1995-09-08 1997-03-13 Kiekert Ag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ftfahrzeugverschlusses mit ortsfestem Anschlagelement für ein Abtriebselement
US5620226A (en) 1995-12-07 1997-04-15 Dura Convertible Systems, Inc. Simplified automated top operator
DE19629361C1 (de) * 1996-07-20 1997-11-20 Heraeus Instr Gmbh Schloß
DE19630246A1 (de) 1996-07-26 1998-01-29 Bosch Gmbh Robert Kraftfahrzeug-Türschloß, -Haubenschloß o. dgl.
DE69831398T2 (de) 1997-02-04 2006-06-14 Intier Automotive Closures Inc Kraftfahrzeug-türschliesssystem mit getrennten motorangetriebenen türinnen- und türaussenverriegelungsvorrichtungen
CA2205157C (en) 1997-05-12 2002-03-26 Camco Inc. Refrigerator side-by-side door seal assembly
US5941104A (en) 1997-09-03 1999-08-24 Randall C. Hansen Paddle lock
US6327879B1 (en) 1997-09-11 2001-12-11 Pella Corporation Locking mechanism for sliding glass doors
US6048006A (en) 1997-09-12 2000-04-11 Southco, Inc. Ratcheting pawl latch
US5927772A (en) 1997-09-12 1999-07-27 Southco, Inc. Ratcheting pawl latch
US5984383A (en) 1997-10-17 1999-11-16 Cleveland Hardware And Forging Company Lockable slammable cam latch with handle key hole cover
US6386599B1 (en) 1999-08-12 2002-05-14 John Phillip Chevalier Latch arrangement for automotive door
JP3612595B2 (ja) 1997-12-19 2005-01-19 リコープリンティング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用コロナ放電器
CA2231319C (en) * 1998-03-05 2004-07-06 Les Jeziorowski Refrigerator door seal assembly
DE19828202A1 (de) 1998-06-25 1999-12-30 Mannesmann Vdo Ag Schließeinrichtung für ein bewegliches Element, insbesondere für eine Tür eines Fahrzeuges
JP2000038863A (ja) 1998-07-23 2000-02-08 Oi Seisakusho Co Ltd 自動車用トランクリッドのクロージャ装置
US6139073A (en) 1998-08-31 2000-10-31 Westinghouse Air Brake Company Lock assembly
US6076868A (en) 1999-02-09 2000-06-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compartment latch
CA2299921A1 (en) 1999-03-05 2000-09-0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6463773B1 (en) 1999-03-05 2002-10-15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Electronic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6086131A (en) 1999-03-24 2000-07-11 Donnelly Corporation Safety handle for trunk of vehicle
US6267420B1 (en) 1999-09-30 2001-07-31 Ohi Seisakusho Co., Ltd. Latch mechanism for open-close member of a vehicle
DE19953898C5 (de) 1999-11-10 2004-07-01 K.A. Schmersal Gmbh & Co Zugangsschutzeinrichtung
US6530251B1 (en) 1999-11-18 2003-03-11 Strattec Security Corporation Modular vehicle door lock and latch system and method
WO2001038671A2 (en) 1999-11-29 2001-05-31 Southco, Inc. Ratcheting pawl latch
WO2001066890A2 (en) 2000-03-07 2001-09-13 Southco, Inc. Gravity-sensitive latch
DE10015010C2 (de) 2000-03-22 2002-08-29 Eppendorf Ag Verriegelung eines Verschlusses mit einem Gehäuse
IL137213A0 (en) 2000-07-07 2001-07-24 Ganzi Eitan Closure mechanism for doors and the like
CN1254595C (zh) 2000-07-07 2006-05-03 索斯科公司 电操作的棘爪插销
FR2814410B1 (fr) 2000-09-26 2003-02-21 Visteon Systemes Interieurs Vide-poches notamment pour vehicule automobile
US6460902B1 (en) 2000-10-27 2002-10-08 Pompanette, Inc. Slam latch and hatch assembly including a slam latch
WO2002036907A2 (en) 2000-11-01 2002-05-10 Southco, Inc. Latching device
US20020167175A1 (en) 2001-01-30 2002-11-14 Robert Bosch Gmbh Motor vehicle gate lock arrangement
US6719333B2 (en) 2001-04-25 2004-04-13 Delphi Technologies, Inc. Vehicle door latch with power operated release mechanism
WO2002087987A1 (en) 2001-04-30 2002-11-07 Southco, Inc. Ambidextrose console lid
US6471260B1 (en) 2001-08-06 2002-10-29 The Eastern Company Rotary latches with enhanced service longevity
EP1497156B1 (en) 2002-04-07 2011-08-24 Southco, Inc. Glovebox latch
EP1540118A2 (en) 2002-07-01 2005-06-15 Southco, Inc. Two point latching system
DE10344244B4 (de) 2002-09-28 2008-04-24 Witte-Velbert Gmbh & Co. Kg Drehfallenverschluss
US6588811B1 (en) * 2002-12-03 2003-07-08 Edward B. Ferguson Reversible magnetic door stop/latch
US6942259B2 (en) 2002-12-11 2005-09-13 Tri/Mark Corporation Latch assembly
DE10312269A1 (de) 2003-03-19 2004-09-30 Drumm Gmbh Magneto-mechanische Schließeinrichtung
EP2669454B1 (en) 2003-07-10 2019-11-20 Southco, Inc. Rotary pawl latch
EP1663738B1 (en) 2003-08-22 2017-03-01 Southco, Inc. Rotary pawl latch with lock down paddle
FR2860023B1 (fr) 2003-09-18 2007-01-26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Dispositif de verrouillage mutuel de deux elements de vehicule automobile, notamment d'un ouvrant avec un element de caisse, et ensemble d'obturation associe.
TWI238309B (en) * 2004-01-29 2005-08-21 Asustek Comp Inc Electronic apparatus having magnetic switch
USD506120S1 (en) 2004-02-22 2005-06-14 Southco, Inc. Multi-directional rotary-pawl latch
US20050200137A1 (en) 2004-03-15 2005-09-15 James Nels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JP2008511775A (ja) * 2004-09-01 2008-04-17 サウスコ,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二重回転爪付きラッチ
WO2006034057A1 (en) 2004-09-19 2006-03-30 Southco, Inc. Rotary pawl latch
US7234739B2 (en) 2005-02-10 2007-06-26 Washin Optical Co., Ltd. Magnetic latch assembly
KR20070101376A (ko) * 2005-02-12 2007-10-16 사우스코 인코포레이티드 자기 래치 기구
US9004550B2 (en) 2005-05-08 2015-04-14 Southco, Inc. Magnetic latch mechanism
US20070007775A1 (en) * 2005-07-05 2007-01-11 Gallas William N Rotatable bipolar phased magnetic locking system for door
DE102007012616A1 (de) 2006-03-16 2007-10-31 Southco, Inc. Drehklinkenverriegelung für ein Handschuhfach
DE112008000129T5 (de) * 2007-01-06 2010-01-14 Southco, Inc. Magnetschlossmechanismus
KR20100031608A (ko) 2007-06-26 2010-03-23 와카모토 세이야꾸 가부시끼가이샤 수성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22151A2 (en) 2006-11-16
JP2008540880A (ja) 2008-11-20
EP1880073A4 (en) 2014-07-02
US20080231060A1 (en) 2008-09-25
US9004550B2 (en) 2015-04-14
WO2006122151A3 (en) 2007-05-31
EP1880073A2 (en) 2008-01-23
EP1880073B1 (en) 2016-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15428A (ko) 자석식 걸쇠장치
US8382168B2 (en) Magnetic latch mechanism
US7296830B2 (en) Rotary pawl latch
US6017067A (en) Latch device for a tailgate of a vehicle
US6786070B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US6705140B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EP1621705B1 (en) Automotive door latch device
CN1894124B (zh) 具有锁定把手的转动爪锁栓
US20040069028A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JP2008538801A (ja) 磁気ラッチ機構
US20090230699A1 (en) Latch with Dual Rotary Pawls
US20080012355A1 (en) Vehicle door lock control
TWI532908B (zh) 把手裝置
KR200386657Y1 (ko) 컵핸들용 출입문 개폐장치
CN115667652A (zh) 用于感测旋转闩锁内的撞击件的方法和设备
JPH06108716A (ja) モータ駆動電気錠のデッドボルト制御機構
CN218644081U (zh) 手套箱锁组件
CA2409171A1 (en) Latch apparatus and method
JP2002180714A (ja) 電気錠の制御機構
US20230175295A1 (en) Rotary latch with spring guide
JP2591004Y2 (ja) 引戸の電気錠
KR100997890B1 (ko) 이중 잠금기능을 갖는 도어 래치
JP347446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アクチュエータの組み付け方法
JPH11159211A (ja) 引戸錠の安全装置
KR20050082480A (ko) 비상 손잡이 일체형 트렁크 리드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