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10296A -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및 자동차 - Google Patents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및 자동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10296A
KR20080010296A KR20070073765A KR20070073765A KR20080010296A KR 20080010296 A KR20080010296 A KR 20080010296A KR 20070073765 A KR20070073765 A KR 20070073765A KR 20070073765 A KR20070073765 A KR 20070073765A KR 20080010296 A KR20080010296 A KR 200800102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udio device
casing
vehicle
portable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70073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42237B1 (ko
Inventor
가쯔히꼬 이와데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80010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0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2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22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08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 H04B1/082Constructional details, e.g. cabinet to be used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41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telepho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11/0264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control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49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for non integrated articles
    • B60R2011/0064Connection with the article
    • B60R2011/0075Connection with the article using a containment or docking sp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2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collapsible, e.g. for storing after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011/004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mounting means
    • B60R2011/008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 B60R2011/0084Adjustable or movable supports with adjustment by linear movement in their operational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7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for Din-siz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60R2011/0294Apparatus with multi-functionalities, e.g. radio and tele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싱, 튜너, 오디오 출력 유닛, 하우징 챔버, 하우징 챔버의 개구, 하우징, 로킹 기구 그리고 케이싱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제공한다. 튜너는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오디오 출력 유닛은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한다. 하우징 챔버는 케이싱 내에 형성된다. 개구는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한다. 하우징은 개구를 통해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된다. 로킹 기구는 하우징 챔버에 대해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한다. 케이싱 커넥터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자동차, 케이싱, 튜너, 오디오 출력 유닛, 하우징 챔버, 하우징, 로킹 기구, 케이싱 커넥터

Description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및 자동차{VEHICLE-MOUNTED AUDIO DEVICE AND AUTOMOBILE}
본 발명은 2006년 7월 25일자로 일본 특허청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JP 2006-202005호와 관련된 주제를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이 참조로 여기에 합체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그리고 이러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합체한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이전에, 자동차 상의 많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는 AM 및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튜너 그리고 CD 및 DVD를 재생하는 플레이어를 갖는다. 소스가 튜너 및 플레이어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되고, 소스의 소리가 자동차의 승객석 내의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근년에 들어, 다양한 휴대용 오디오 장치가 당업계에서 입수 가능하였다.
승객석 내의 스피커와 결합하여 자동차의 승객석 내에서 이러한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매우 편리하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가 자동차의 승객석 내에서 사용되게 하기 위해, 승객석 내에 공간을 유지할 것, 공간 내에 케이싱을 위치시킬 것, 케이싱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위치시킬 것 그리고 승객석 내의 스피커와 결합하여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사용할 것이 제안되었다. 세부 사항에 대해, 일본 특허 공개 제2000-332433호를 참조하여야 한다.
그러나, 위에서 제안된 배열로써,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싱이 승객석 내에 제공될 것이 필요하고, 승객석의 제한된 공간 내의 어떤 영역을 점유하기 때문에 장애물이 되는 경향이 있다.
양질의 소리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합체한 자동차의 승객석의 미적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휴대용 오디오 장치에 의해 재생될 수 있도록 된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하는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그리고 이러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합체한 자동차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는 케이싱, 튜너, 오디오 출력 유닛, 하우징 챔버, 하우징 챔버의 개구, 하우징, 로킹 기구 그리고 케이싱 커넥터를 포함한다. 튜너는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오디오 출력 유닛은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한다. 하우징 챔버는 케이싱 내에 형성된다. 개구는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개구를 통해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된다. 로킹 기구는 하우징 챔버에 대해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한다. 케이싱 커넥터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는 케이싱, 튜너, 오디 오 출력 유닛, 하우징 챔버, 하우징 챔버의 개구, 하우징, 로킹 기구, 제어기, 케이싱 커넥터 그리고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튜너는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오디오 출력 유닛은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한다. 하우징 챔버는 케이싱 내에 형성된다. 개구는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한다. 하우징은 개구를 통해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된다. 로킹 기구는 하우징 챔버에 대해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한다. 제어기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튜너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케이싱 커넥터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는 제어기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장착식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는 케이싱, 튜너, 오디오 출력 유닛, 하우징 챔버, 하우징 챔버의 개구, 하우징, 로킹 기구 그리고 케이싱 커넥터를 포함한다. 튜너는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오디오 출력 유닛은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한다. 하우징 챔버는 케이싱 내에 형성된다. 개구는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개구를 통해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된다. 로킹 기구는 하우징 챔버에 대해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한다. 케이싱 커넥터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케이싱의 전방 패널은 자동차의 승객석을 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장착식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는 케이싱, 튜너, 오디오 출력 유닛, 하우징 챔버, 하우징 챔버의 개구, 하우징, 로킹 기구, 제어기, 케이싱 커넥터 그리고 조작 부재를 포함한다. 튜너는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오디오 출력 유닛은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한다. 하우징 챔버는 케이싱 내에 형성된다. 개구는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된다. 하우징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개구를 통해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된다. 로킹 기구는 하우징 챔버에 대해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한다. 제어기는 하우징 내에 수용된 튜너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케이싱 내에 배치된다. 케이싱 커넥터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조작 부재는 제어기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보낸다. 케이싱의 전방 패널은 자동차의 승객석을 향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에 전기적으로 연결 중인 동안에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케이싱 내에 위치된다.
그러므로, 양질의 소리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로부터 승객석 내의 스피커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 및 케이블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케이싱 내에 수용되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 및 케이블은 승객석의 제한된 공 간 내의 어떤 영역을 점유하지 않고, 장애물이 되지 않는다. 승객석은 이와 같이 개선된 미적 외관을 가질 수 있다.
승객석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설치하는 공간 이외의 여분의 공간을 갖지 않더라도,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승객석 내에 설치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케이싱 내에 수용되므로 그리고 양질의 소리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로부터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통해 재생되므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실용적 가치는 증가된다.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합체한 자동차의 승객석을 도시하고 있다. 도2는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3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4는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 그리고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5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가 인출된 하우징 내에 위치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6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 그리고 하우징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가 그 내에 위치된 상태로 후퇴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7은 로킹 기구의 파단 측면도이다. 도8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도8)가 자동차의 승객석(2) 내에 설치되는 스피커(120)(도8)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게 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CD, MD, DVD 등의 디스크형 기록 매체(광 디스크)를 채용하는 오디오 플레이어 그리고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등을 채용하는 오디오 플레이어를 포함한 다양한 공지된 장치들 중 임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또는 하드 디스크 내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재생하는 기능 그리고 오디오 신호로서 재생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기능을 갖는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그 케이싱(5002)의 전방 표면 상에 전원 스위치, 재생 버튼, 음악 피드 버튼, 정지 버튼, 볼륨 조정 버튼 등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조작 부재(5004)를 갖는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케이싱(12), 튜너(102)(도8), 오디오 출력 유닛(106)(도8), 하우징 챔버(14), 하우징(16), 로킹 기구(18)(도7) 및 케이싱 커넥터(20)를 포함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2)은 승객석(2) 내에 위치되는 계기판(2A) 또는 중심 콘솔 패널(2B) 등의 차체 부재 내에 위치된다. 케이싱(12)은 승객석(2)을 향하는 전방 패널을 갖는다.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튜너(102), 제어기(104), 오디오 출력 유닛(106), 디스플레이 유닛(108) 및 제어 콘솔(110)을 포함하는 주 섹션을 포함한다.
튜너(102)는 라디오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는 AM 및 FM 라디오 방송을 수신하는 역할 그리고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06)은 제어기(104)를 통해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처리 예컨대 증폭하고, 스피커(120)가 대응하는 음향 오디오 소리를 출력하게 하기 위해 승객석(2) 내의 스피커(120)로 처리된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오디오 출력 유닛(106)은 제어기(104)를 통해 튜너(102)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 연결되고, 튜너(102) 또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의 오디오 신호를 기초로 하여 스피커(120)가 음향 오디오 소리를 출력하게 한다.
제어기(104)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5006)가 케이싱 커넥터(2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때에 케이블(20A)에 의해 서로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5006)는 예컨대 헤드폰 커넥터이고 좌측 및 우측의 2개의 채널에서의 오디오 신호를 전송하는 스테레오 미니-잭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108)은 문자, 기호, 아이콘 또는 화상으로써 튜너(102) 및 오디오 출력 유닛(106)의 동작 상태를 표시하기 위해 제어기(104)에 의해 제어된다.
제어 콘솔(110)은 튜너(102) 및 소리 출력 유닛(106)이 동작하게 지시하도록 조작되고, 제어기(104)로 제어 콘솔(110)의 조작에 따라 제어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기(104)는 튜너(102), 소리 출력 유닛(106), 디스플레이 유닛(108) 및 제어 콘솔(110)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12)은 직육면체의 형태로 되어 있다. 케이싱(12)은 튜너(102), 제어기(104) 및 소리 출력 유닛(106)의 다양한 전자 부품이 장착되는 다양한 기판(22)을 그 내에 수납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평행한 안내 레일(1602)이 케이싱(12)에 대한 이동을 위해 하우징(16)을 안내하기 위해 케이싱(12) 내에 배치된다. 케이싱(12)의 외부로의 원하지 않는 이동에 대해 하우징(16)을 정지시키는 정지부(1602A)가 안내 레일(1602)의 각각의 전방 단부 근처에 배치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 콘솔(110) 및 디스플레이 유닛(108)은 케이싱(12)의 전방 패널의 좌측 부분 상에 배치된다.
제어 콘솔(110)은 그 오디오 데이터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에 의해 재생될 소스를 선택하는 소스 선택 스위치(110A), 그 방송이 튜너(102)에 의해 수신될 방송국을 선택하는 채널 선택 스위치(110B), 전원 스위치(110C) 그리고 재생되는 소리의 레벨을 조정하는 볼륨 놉(110D)을 포함하는 복수개의 조작 부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소스 선택 스위치(110A)가 조작될 때마다, 제어기(104)는 튜너(102)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수신 대역(AM 및 FM)을 연속적으로 선택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 챔버(14)는 케이싱(12)의 우측 부분 내에 배치되고 케이싱(12)의 전방 패널의 우측 부분 내에 형성되는 개구(1042)를 갖는다.
하우징(16)은 하우징 챔버(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된다.
도3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은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수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하우징(16)은 하우징 챔버(14)의 외부로 인출될 때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하우징(16)에 대해 접근될 수 있도록 적어도 상향으로 개방된다.
하우징(16)은 이동 가능한 방향으로 긴 저부판(1620), 저부판(1620)의 전방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전방판(1622), 저부판(1620)의 각각의 측면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한 쌍의 측판(1624) 그리고 저부판(1620)의 후방 모서리로부터 수직으로 연장하는 후방판(1626)을 포함한다.
하우징(16)이 하우징 챔버(14) 내로 압박될 때, 케이싱(12) 및 하우징(16)은 하우징 챔버(14) 내에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수용하는 폐쇄 공간(S)(도3)을 공동으로 구성한다. 이 때, 개구(1402)가 전방판(1622)에 의해 폐쇄되고, 폐쇄 공간(S)이 케이싱(12), 전방판(1622), 측판(1624) 및 후방판(1626)에 의해 구체적으로 형성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은 그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보유하는 홀더(24)를 포함한다.
홀더(24)는 하우징(16)에 고정되는 길이 방향 단부를 갖는 표면 체결구 스트 립을 포함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홀더(24)에 의해 하우징(16)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보유될 때,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자동차가 주행 중인 동안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하우징(16) 및 케이싱(12)의 내부 표면 내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므로, 홀더(24)에 의해 하우징(16) 내에 보유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안정되게 동작하게 되고 장시간 동안 내구성 상태로 존속한다.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기구(18)는 자동차가 주행 중인 동안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에 대해 하우징 챔버(14) 내에 안정되게 보유된 상태로 하우징(16)을 유지하는 역할 그리고 또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하우징(16)에 대해 접근되게 하기 위해 하우징 챔버(14)로부터 하우징(16)을 해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로킹 기구(18)는 하우징(16) 내에 형성되는 결합 홈(1610) 내에 결합되는 결합 핑거(1802), 결합 홈(1610) 내에 결합되도록 결합 핑거(1802)를 통상적으로 편의시키고 또한 케이싱(12)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로킹 해제 버튼(1804)을 편의시키는 스프링(1806) 그리고 개구(1402)의 외부로 돌출하도록 하우징(16)을 편의시키는 스프링(1808)을 포함한다.
하우징(16)이 개구(1402)를 통해 하우징 챔버(14) 내로 압박될 때, 결합 핑거(1802)는 스프링(1806)의 편의 하에서 결합 홈(1610) 내에 결합되고, 그에 의해 하우징 챔버(14) 내에 하우징(16)을 유지한다. 즉, 하우징(14) 내의 저장 위치에 하우징(16)을 위치시킨다. 로킹 해제 버튼(1804)이 후속적으로 스프링(1806)의 편의에 대해 압박될 때, 결합 핑거(1802)는 결합 홈(1804)으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하우징(16)은 전방판(1622)이 파지될 수 있는 돌출 위치에 위치될 때까지 스프링(1808)의 편의 하에서 하우징 챔버(14)의 외부로 압박된다. 로킹 기구(18)는 설명된 구조에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된 구조들 중 임의의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16)의 측판(1624)은 하우징(16)이 하우징 챔버(14)로부터 개구(1402)를 통해 최대로 인출되는 최전방 위치를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정지부(1602A)에 대해 맞닿게 하기 위해 이들의 후방 단부에서 이들의 상부 모서리 상에 각각의 치형부(1630)를 갖는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하우징(16)이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에 하우징(16)에 대해 접근된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싱 커넥터(20)는 후방판(1626)을 통해 연장하고 하우징(16) 내에 위치되는 케이블(20A)의 말단 단부에 부착된다. 하우징(16)이 하우징 챔버(14)에 대해 이동할 때, 케이싱 커넥터(20)는 하우징(16)과 더불어 이동할 수 있다.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를 사용하여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우선, 로킹 기구(18)가 돌출 위치로 하우징(16)을 해제하도록 조작된다. 하우징(16)의 전방판(1622)이 파지되고 하우징(16)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 위치로 전방으로 인출된다.
그 다음에,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하우징(16) 내로 위치되고, 케이싱 커넥터(20)가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5006)에 연결된다. 그 다음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홀더(24)에 의해 하우징(16)에 이동 불가능하게 체결된다(도6).
그 다음에,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이 로킹 기구(18)에 의해 하우징 챔버(14) 내의 저장 위치에 로킹될 때까지 케이싱(12) 내로 압박된다. 하우징 챔버(14) 내에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케이싱 커넥터(20) 및 케이블(20A)이 이제 폐쇄 챔버(S) 내에 수용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그리고 케이싱(12)의 내부는 이와 같이 먼지 및 오물로부터 보호된다.
하우징(16)이 케이싱(12) 내로 압박되기 전,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조작 부재(5004)들 중 일부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기 시작하도록 조작된다. 제어 콘솔(110)의 전원 스위치(110C)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전원을 켜도록 조작되고, 소스 선택 스위치(110A)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선택하도록 조작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출력되는 오디오 신호가 제어기(104) 및 오디오 출력 유닛(106)을 통해 승객석(2) 내로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20)로 공급된다. 소리의 레벨은 볼륨 놉(110D)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 중인 동안에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케이싱(12) 내에 위치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가 FM 송신기 등의 매개물을 통하지 않고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에 직접적으로 전송되므로, 오디오 신호는 FM 신호 등으로 변환되지 않기 때문에 과도하게 악화되지 않고, 따라서 양질의 소리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재생될 수 있다. 추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및 케이블(20A)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케이싱(12) 내에 수용되기 때문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및 케이블(20A)은 승객석(2)의 제한된 공간 내의 어떤 영역을 점유하지 않고, 승객석(2)은 개선된 미적 외관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승객석(2) 내에 설치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케이싱(12) 내에 수용되고, 양질의 소리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를 통해 재생된다. 이와 같이, 승객석(2) 내에 위치되는 계기판(2A) 또는 중심 콘솔 패널(2B) 등의 차체 부재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를 설치하는 공간 이외의 여분의 공간을 갖지 않더라도,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실용적 가치는 승객석(2)의 미적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증가된다.
나아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하우징(16) 내에 위치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기만 하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음악 콘텐츠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종류와 무관하게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를 통해 재생될 수 있다. 따라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사용될 수 있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에 대해 상당히 융통성이 있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9를 참조하여 아 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수직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자동차가 주행 중인 동안에 하우징(16) 내에 수납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도록 설계된다.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스펀지 등의 얇은 완충 패드(충격 흡수 재료)(17)가 실질적으로 그 전체 상부 표면에 걸쳐 하우징(16)의 저부판(1620) 상에 장착되고, 또 다른 얇은 완충 패드(17)가 하우징 챔버(14)의 상부벽 상에 즉 하우징(16)이 하우징 챔버(14) 내에 위치될 때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향하는 케이싱(12)의 상부판의 하부 표면 상에 장착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추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자동차가 주행 중인 동안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으로 인해 하우징(16) 내에서 이동하고 하우징(16)의 저부판(1620) 그리고 케이싱(12)의 상부판을 가격할 때에도, 완충 패드(17)가 진동 및 충격을 감쇠시키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안정되게 동작하고 장시간 동안 내구성 상태로 존속한다.
완충 패드(17)가 사용된 상태에서, 홀더(24)가 불필요할 수 있다. 다른 완충 패드(17)가 전방판(1622)의 후방 표면, 측판(1624)의 내부 표면 그리고 후방판(1626)의 전방 표면 상에 장착될 수 있다. 이들 추가의 완충 패드(17)의 사용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더 안정되게 동작하고 장시간 동안 더 내구성 상태로 존 속하게 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10 내지 도12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0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11은 작동기로써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조물의 측면도이다. 도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16)은 작동기에 의해 하우징 챔버(14)에 대해 이동된다.
도10 및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기는 케이싱(12) 내에 배치되는 모터(28)를 포함하고, 래크(26)가 하우징(16)의 측판(1624)들 중 하나의 측판의 외부 표면 상에 장착되고 하우징(16)의 측판(1624)들 중 하나의 측판의 외부 표면을 따라 연장한다. 모터(28)는 래크(26)와 대면 관계에 있는 케이싱(12) 내의 기판(22)들 중 하나의 기판 상에 위치된다. 제어 시스템은 하우징(16)이 저장 위치 및 최전방 위치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검출 스위치(30)(도12)를 포함한다. 모터(28)가 작동될 때, 이것은 저장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16)을 이동시키기 위해 래크(26)를 작동시키도록 기어 기구(32)를 회전시킨다.
제어 콘솔(110)은 저장 위치 및 최전방 위치로 하우징(16)을 이동시키는 조작 스위치(11)(도10)를 포함한다. 조작 스위치(11)는 예컨대 전방판(1622) 상에 장착된다.
조작 스위치(11)가 조작될 때, 제어기(104)는 정상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8)를 작동시키고, 그에 의해 저장 위치로부터 최전방 위치로 하우징(16)을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 기구(32)가 래크(26)를 작동시키게 한다. 검출 스위치(30)가 하우징(16)이 최전방 위치에 도달할 때를 검출할 때, 제어기(104)는 최전방 위치에 하우징(16)을 보유하기 위해 모터(28)를 작동 해제시킨다.
조작 스위치(11)가 다시 조작될 때, 제어기(104)는 역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모터(28)를 작동시키고, 그에 의해 최전방 위치로부터 저장 위치로 하우징(16)을 이동시키기 위해 기어 기구(32)가 래크(26)를 작동시키게 한다. 검출 스위치(30)가 하우징(16)이 저장 위치에 도달할 때를 검출할 때, 제어기(104)는 저장 위치에 하우징(16)을 보유하기 위해 모터(28)를 작동 해제시킨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설명된 실시예에서, 하우징(16)은 모터(28), 기어 기구(32) 및 래크(26)에 의해 저장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그러나, 다양한 이동 기구들 중 임의의 이동 기구가 저장 위치와 최전방 위치 사이에서 하우징(16)을 이동시키는 데 채용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13 및 도14를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3은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4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음악 콘텐츠 및 비디오 콘텐츠(이동 화상 데이터 및 정지 화상 데이터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쪽 모두)를 재생할 수 있고, 비디오 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의 비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 상에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 공급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좌측 및 우측 채널에서의 오디오 신호의 양쪽 모두 그리고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단일의 오디오 신호/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5010)를 갖는다.
케이싱 커넥터(20)(도13)가 오디오 신호/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5010)에 연결될 때, 케이싱 커넥터(20)는 케이블(20A)을 통해 제어기(104)로 3개의 신호 즉 좌측 및 우측 채널에서의 오디오 신호 그리고 비디오 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 커넥터(20)는 비디오 신호를 위한 케이싱 커넥터와 일체로 결합된다.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비디오 출력 유닛(112)을 포함한다. 비디오 출력 유닛(112)은 제어기(104)로부터 공급되는 비디오 신호를 처리하고, 디스플레이 장치(122) 상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승객석(2) 내에 합체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22)로 처리된 비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디스플레이 장치(122)는 독립형 비디오 장치로서 또는 차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다.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승객석(2) 내의 계기판(2A) 또는 중심 콘솔 패널(2B) 내에 합체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제4 실시예에서, 단일의 오디오 신호/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5010)는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 및 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의 일체형 결합부를 포함하고, 단일의 케이싱 커넥터(20)와 결합된다.
그러나,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 및 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들 커넥터는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케이싱 커넥터 그리고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케이싱 커넥터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15 내지 도17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5는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16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케이싱의 전방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1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제5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제어 콘솔(110)은 휴 대용 오디오 장치(50)를 또한 제어할 수 있다.
도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디지털 신호를 사용하여 컴퓨터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를 갖는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유니버설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에 따라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를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이와 같이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를 통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기록 매체와 외부 장치 사이에서 양방향으로 음악 콘텐츠의 오디오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외부 장치로부터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를 통해 공급되는 제어 명령(제어 신호)을 기초로 하여 예컨대 음악 재생을 시작, 정지, 일시 정지, 빨리-감기 및 되감기 위해 그 동작 면에서 제어될 수 있다.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케이싱 커넥터(20)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에 연결된다.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케이싱 커넥터(20)에 연결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와 제어기(104)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제어기(104)와 케이싱 커넥터(20) 사이에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1A)를 포함한다. 인터페이스(11A)는 제어기(104)의 제어 하에서 동작한다.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제어 콘솔(110)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소스 선택 스위치(110A), 전원 스위치(110C) 및 볼륨 놉(110D) 그리고 추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를 포함한 다.
조작 부재는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예컨대 재생 버튼(110E), 빨리-감기 버튼(110F), 되감기 버튼(110G), 정지 버튼(110H) 및 일시 정지 버튼(110I)을 포함한다.
튜너(102)가 소스 선택 스위치(110A)에 의해 선택될 때,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조작하는 조작 부재들 중 일부가 채널 선택 버튼으로서 사용된다.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를 사용하여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음악 콘텐츠를 재생하는 과정이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케이싱 커넥터(20)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에 연결되고,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수용하는 하우징(16)이 하우징 챔버(14) 내에 위치된다.
소스 선택 스위치(110A)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선택할 때, 제어기(104)는 자체가 인터페이스(11A)를 통해 자체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상태로 되게 한다.
사용자가 제어 콘솔(110)의 재생 버튼(110E)을 조작할 때, 제어기(104)가 재생 모드에서 동작하고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로 오디오 데이터(디지털 신호)를 공급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 재생 요청을 나타내는 제어 명령을 보낸다.
제어기(104)가 오디오 출력 유닛(106)으로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디지털 신호)를 공급한다. 오디오 출력 유닛(106)이 오디오 데이터를 처리하고,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증폭한다. 그 다음에, 오디오 출력 유닛(106)이 대응하는 소리를 출력하는 스피커(120)로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공급한다.
사용자가 빨리-감기 버튼(110F), 되감기 버튼(110G), 정지 버튼(110H) 및 일시 정지 버튼(110I)을 조작할 때, 제어기(104)가 대응하는 모드에서 동작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 이들 버튼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보낸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나아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그 내에 위치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갖는 하우징(16)이 하우징 챔버(16) 내에 수용 중인 동안에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의 제어 콘솔(110)로써 조작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에서보다 효율적으로 조작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USB에 따라 수행된다. 그러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사이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공지된 통신 포맷들 중 임의의 통신 포맷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 및 제어 명령의 양쪽 모두가 데이터 통신을 통해 전송된다. 그러나, 제어 명령이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로부터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 공급될 수 있고, 오디오 신호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로 아날로그 신호로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오디오 데이터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로 공급된다. 그러나, 비디오 데이터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로부터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로 공급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18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8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6 실시예에 따르면, 도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케이싱 커넥터(20)는 하우징(16)의 후방판(1626)에 고정되고, 데이터 통신 커넥터(5020)는 하우징(16)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지지하기 위해 케이싱 커넥터(20)에 연결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나아가, 사용된 부품의 개수는 홀더(24)가 불필요할 수 있기 때문에 감소된다.
<제7 실시예>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가 도19 및 도20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설명될 것이다.
도19는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이고, 도20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이다.
제7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원격 제어 유닛(60)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도19 및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그 케이싱의 외부 표면 상에 수신기(5030)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 유닛(60)은 조작될 때에 원격 제어 유닛(60)이 적외선 제어 신호(제어 명령)(Sc)를 전송하게 하는 다양한 조작 부재를 갖는다. 적외선 제어 신호(Sc)가 수신기(5030)에 의해 수신될 때,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모드에서 예컨대 재생 모드, 빨리-감기 모드, 되감기 모드, 정지 모드 및 일시 정지 모드에서 동작한다.
도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6)의 전방판(1622)은 하우징(16) 내에 수용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의 수신기(5030)를 향하는 적외선-투과성 창(1630)을 갖는다.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와 동일한 장점을 제공한다. 추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수신기(5030)가 창(1630)을 향한 상태로 하우징(16) 내에 위치될 때, 원격 제어 유닛(60)으로부터 보내지는 제어 신호가 창(1630)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수신기(5030)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그러므로,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원격 제어 유닛(60)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으므로 상당히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수신기(5030)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와 일체로 결합된다. 그러나, 수신기(5030)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 상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위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6)은 상향으로 개방된다. 그러나, 하우징(16)은 그 상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를 간단하게 위치시키는 직사각형 프레임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거나, 폐쇄 공간이 그 내에 형성된 상태의 박스의 형태로 되어 있을 수 있으며, 박스는 폐쇄 공간을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리드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을 갖는다. 하우징(16)은 다양한 구조들 중 임의의 구조로 되어 있을 수 있지만, 상향으로 개방된 하우징(16)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하우징(16)에 대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위의 실시예에서, 하우징(16)은 하우징 챔버(14)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용된다. 그러나, 하우징(16)이 불필요할 수 있고, 외향으로 개방된 하우징 공동이 케이싱(12) 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리드가 외향으로 개방된 하우징 공동의 개구 위에 개방 가능하게 배치된다.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개구(1402)를 통해 외향으로 개방된 하우징 공동에 대해 접근될 수 있다. 그러나, 위의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6)은 휴대용 오디오 장치(50)가 하우징(16)에 대해 용이하게 접근될 수 있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위의 실시예에서,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10)를 사용하여 동작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50)는 디스크형 기록 매체,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또는 하드 디스크 내에 기록된 음악 콘텐츠 및 비디오 콘텐츠 등의 데이터를 재생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설명된 휴대용 오디오 장치 에 제한되지 않고, 내장 메모리, 메모리 카드 또는 하드 디스크와 결합하여 제공되는 음악 재생 기능을 갖는 음악 플레이어 기능을 구비한 휴대폰 등의 다양한 휴대용 전자 장치들 중 임의의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다양한 변형, 조합, 보조-조합 및 변경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 또는 이들의 등가물 내에 있기만 하면 설계 요건 및 다른 인자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이해되어야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를 합체한 자동차의 승객석을 도시하는 도면.
도2는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3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4는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 그리고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5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가 인출된 하우징 내에 위치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6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 그리고 하우징이 휴대용 오디오 장치가 그 내에 위치된 상태로 후퇴된 상태의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7은 로킹 기구의 파단 측면도.
도8은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수직 단면도.
도10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11은 작동기로써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조물을 도시하는 측면도.
도12는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13은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14는 제4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15는 하우징이 인출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16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케이싱의 전방 패널의 정면도.
도17은 제5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18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19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제어 시스템의 블록도.
도20은 그 케이싱의 상부판이 도면으로부터 생략된 상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승객석
10: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12: 케이싱
14: 하우징 챔버
16: 하우징
18: 로킹 기구
20: 케이싱 커넥터
50: 휴대용 오디오 장치
102: 튜너
104: 제어기
106: 오디오 출력 유닛
108: 디스플레이 유닛
110: 제어 콘솔
120: 스피커

Claims (19)

  1.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유닛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챔버와;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챔버에 대해 상기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하는 로킹 기구와;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케이싱 커넥터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2.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유닛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챔버와;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챔버에 대해 상기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하는 로킹 기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튜너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제어기와;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케이싱 커넥터와;
    상기 제어기로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보내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상향으로 개방된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및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수납 중인 동안에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그 내에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납하는 폐쇄 공간을 형성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그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보유하는 홀더를 포함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부분을 갖는 표면 체결구 스트립을 포함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벽에 고정되고 상기 휴대용 상기 오디오 장치의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연결되고, 그에 의해 상기 하우징 내에 이동 불가능하게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지지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완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상기 완충 재료 상에 장착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저부판을 갖고 상향으로 개방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저부판 상에 배치되는 완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상기 완충 재료 상에 장착되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케이싱에 가해지는 진동 및 충격을 감소시키는 또 다른 완충 재료를 포함하고, 상기 다른 완충 재료는 상기 하우징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수납 중인 동안에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향하는 상기 하우징 챔버의 상부벽 상에 장착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챔버는 상기 케이싱에 대한 이동을 위해 상기 하우징을 안내하는 안내부를 갖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챔버에 대해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작동기를 추가로 포함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원격 제어 유닛에 의해 원격 제어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개구를 개방 가능하게 폐쇄하는 전방판을 갖고, 상기 전방판은 그를 통해 상기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창을 포함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 부재는 상기 케이싱의 전방 패널 상에 장착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를 갖고, 상기 제어기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 출력 유 닛을 포함하고, 상기 비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비디오 신호를 위한 케이싱 커넥터를 추가로 포함하고, 비디오 신호를 위한 상기 케이싱 커넥터는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상기 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케이싱 커넥터 그리고 비디오 신호를 위한 상기 케이싱 커넥터는 서로와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 및 상기 비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는 서로와 일체로 결합되는 차량 장착식-오디오 장치.
  16. 차량-장착식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장착식 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유닛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챔버와;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챔버에 대해 상기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하는 로킹 기구와;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케이싱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전방 패널은 자동차의 승객석을 향하는 자동차.
  17. 차량-장착식 장치를 포함한 자동차에 있어서, 상기 차량-장착식 장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튜너와;
    상기 튜너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 신호를 증폭 및 출력하는 오디오 출력 유닛과;
    상기 케이싱 내에 형성되고, 상기 케이싱의 전방 패널 내에 형성되는 개구를 포함하는 하우징 챔버와;
    그 내에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수용하고,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하우징 챔버 내에 제거 가능하게 수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 챔버에 대해 상기 하우징을 선택적으로 로킹 및 로킹 해제하는 로킹 기구와;
    상기 하우징 내에 수용된 상기 튜너 및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 내에 배치되는 제어기와;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의 오디오 신호 출력 커넥터에 결합 해제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상기 오디오 출력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케이싱 커넥터와;
    상기 제어기로 상기 휴대용 오디오 장치를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보내는 조작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싱의 상기 전방 패널은 자동차의 승객석을 향하는 자동차.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자동차의 전방 패널 또는 중심 콘솔 패널 내의 리세스 내에 합체되는 자동차.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자동차의 전방 패널 또는 중심 콘솔 패널 내의 리세스 내에 합체되는 자동차.
KR20070073765A 2006-07-25 2007-07-24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및 자동차 KR10144223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202005A JP2008024259A (ja) 2006-07-25 2006-07-25 車載用オーディオ機器および自動車
JPJP-P-2006-00202005 2006-07-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0296A true KR20080010296A (ko) 2008-01-30
KR101442237B1 KR101442237B1 (ko) 2014-09-23

Family

ID=38859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70073765A KR101442237B1 (ko) 2006-07-25 2007-07-24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및 자동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20080025526A1 (ko)
JP (1) JP2008024259A (ko)
KR (1) KR101442237B1 (ko)
CN (2) CN101115381A (ko)
DE (1) DE1020070347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910A1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운서 이동식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용 거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52250A (ja) * 2008-04-01 2009-10-29 Alpine Electronics Inc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方法
JP2009262891A (ja) * 2008-04-30 2009-11-12 T K R:Kk 車載オーディオ装置用の収納装置
DE102008057786B4 (de) * 2008-11-17 2011-08-2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30165 Aufnahme für ein tragbares elektronisches Gerät in einem Kraftfahrzeug
DE202009010194U1 (de) * 2009-07-27 2010-12-09 Dometic Waeco International Gmbh Monitor mit Monitorhalter
JP4954258B2 (ja) * 2009-10-13 2012-06-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物品収納装置
GB2475559B (en) * 2009-11-24 2014-12-24 Gm Global Tech Operations Inc Multi functional device for a center stack
JP5532907B2 (ja) 2009-12-21 2014-06-25 ソニー株式会社 車載用オーディオ機器
FR2961453A3 (fr) * 2010-06-21 2011-12-23 Renault Sa Dispositif de rangement pour appareil multimedia et panneau de porte interieur d'un vehicule automobile associe
KR101209950B1 (ko) 2010-10-22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전자기기 수용 장치
JP2012203961A (ja) 2011-03-25 2012-10-22 Sony Corp 車載用オーディオ機器
DE102011106268A1 (de) * 2011-05-12 2012-11-15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Steuergerät zum Ansteuern eines Gerätehalters, Gerätehalter und Andockstation zum Anschluss eines Gerätehalters
DE102011102771B4 (de) * 2011-05-28 2022-12-2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ontaktiereinrichtung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1109056A1 (de) * 2011-07-30 2013-01-31 Volkswagen Ag Anordnung einer Halterung für ein Mobilgerät im Innenraum eines Fahrzeugs
DE102012008381A1 (de) * 2011-09-09 2013-03-14 Volkswagen Ag Vorrichtung zur Halterung und zum Betreiben eines mobilen Gerätes in einem Kraftfahrzeug
JP5447999B2 (ja) * 2011-12-12 2014-03-19 株式会社ビートソニック 車載用ホルダー装置
JP5907779B2 (ja) * 2012-03-30 2016-04-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収納ボックス構造
JP6103475B2 (ja) * 2012-04-16 2017-03-29 スズキ株式会社 車両の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
KR101527951B1 (ko) * 2014-06-26 2015-06-10 한진철 앰프의 노브 원격제어장치
CN105644453B (zh) * 2014-08-29 2018-07-20 本田技研工业(中国)投资有限公司 车辆仪表板的音响单元与储物盒的配置构造
JP6363717B2 (ja) * 2014-09-11 2018-07-25 小島プレス工業株式会社 ディスプレイオーディオ装置
JP2016208095A (ja) * 2015-04-15 2016-12-0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電子機器、電子機器における出力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866936B2 (en) * 2015-08-03 2018-01-09 Richard L. Patrone Magnetic motorcycle stereo
CN106998020A (zh) * 2017-03-22 2017-08-01 合肥浦尔菲电线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收放数据线的车载电源接口装置
US10440633B1 (en) * 2019-02-15 2019-10-08 Tarkan Bastiyali Smart safe console system and method
WO2021000154A1 (zh) * 2019-06-30 2021-01-07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扬声器箱
US11949442B2 (en) * 2021-06-09 2024-04-02 Siyata Mobile Inc. Mobile conversion apparatus for docking cellular data devices
US20230249645A1 (en) * 2022-02-08 2023-08-10 Tarkan Bastiyali Smart safe console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63985A (en) * 1973-07-09 1975-02-04 Chauncey E Zuber Offal cart
US4199204A (en) * 1978-12-18 1980-04-22 General Electric Company Housing for a two-way radio or the like
US4807292A (en) * 1987-10-13 1989-02-21 Bernard Sorscher Apparatus for converting a motor vehicle plug-in audio unit into a remote playable unit
DE3926678C2 (de) * 1989-08-12 1994-09-01 Didier Werke Ag Schließ- und Regelorgan für ein metallurgisches Gefäß
JPH0342460U (ko) * 1989-08-30 1991-04-22
JPH082874Y2 (ja) 1990-01-31 1996-01-29 アイワ株式会社 音響装置
JPH05110267A (ja) * 1991-10-14 1993-04-30 Mitsubishi Electric Corp 電子機器の収納箱
JPH05226851A (ja) * 1992-02-18 1993-09-03 Toshiba Corp 電子機器の固定装置
JPH0672254A (ja) * 1992-08-28 1994-03-15 Nifco Inc 車両用物品保持具
JPH0724660U (ja) 1993-10-15 1995-05-09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車輌用収納装置
JPH0855467A (ja) * 1994-08-11 1996-02-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携帯用プレーヤ兼用車載音響装置
JPH09198572A (ja) 1996-01-18 1997-07-31 Eiko Yamada:Kk アミューズメントビデオ装置
KR970064007U (ko) * 1996-05-28 1997-12-11 카 오디오의 탈거 구조
JP3042460U (ja) 1997-01-10 1997-10-21 株式会社ベルビック 携帯型通信機器のホルダ
JP3790316B2 (ja) 1997-01-24 2006-06-28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自動車電話システム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アダプタ
US5864627A (en) * 1997-02-14 1999-01-26 Kim; Youngkook Portable sound system
JPH1120556A (ja) * 1997-06-30 1999-01-26 Sony Corp 電子機器の車載用取付け装置
JP3045385U (ja) 1997-07-16 1998-01-27 怡利電子工業股▲ひん▼有限公司 携帯電話用握持不要受話器機能を具えた自動車用音響装置
US5974333A (en) * 1997-07-25 1999-10-26 E-Lead Electronic Co., Ltd. Automobile acoustic unit having integrated cellular phone capabilities
JPH1196741A (ja) * 1997-09-18 1999-04-09 Sony Corp 車載用取付装置及びホルダー
JPH11146049A (ja) 1997-11-13 1999-05-28 Shigeru Furuta 携帯電話機操作装置
JP2000052884A (ja) * 1998-08-05 2000-02-22 Yazaki Corp 車載用オーディオラック
JP2000115315A (ja) 1998-09-30 2000-04-2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話機ホルダー
JP2000332433A (ja) * 1999-05-19 2000-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取付装置
JP4264610B2 (ja) 1999-10-29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車載用オーディオ機器
JP2002351475A (ja) 2001-05-25 2002-12-06 Fujitsu Isotec Ltd 車載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2003127791A (ja) * 2001-10-30 2003-05-08 Kenwood Corp 車載用電子機器の取付構造
JP4301538B2 (ja) * 2001-12-06 2009-07-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電子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CN2520094Y (zh) * 2001-12-21 2002-11-06 陈少鹏 具便携功能的汽车用影音设备
US20050100174A1 (en) * 2002-11-08 2005-05-12 Damian Howard Automobile audio system
US6939155B2 (en) * 2002-12-24 2005-09-06 Richard Postrel Modular electronic systems for vehicles
JP2004359065A (ja) 2003-06-03 2004-12-24 Honda Motor Co Ltd 車両のグローブボックス構造
JP2005041441A (ja) * 2003-07-25 2005-02-17 Sony Corp クレードル及びクレードルを備える車載装置
US7216926B2 (en) * 2003-10-22 2007-05-15 Hampel Lance T Vehicle cab
JP3102192U (ja) 2003-12-10 2004-07-02 飛▲緑▼股▲分▼有限公司 容器
JP2005318382A (ja) 2004-04-30 2005-11-10 Masaki Kishida 携帯電話ホルダー
CN2712723Y (zh) 2004-06-24 2005-07-27 韩健 与汽车音响配合使用的带有信号接头的匣仓
JP2006048867A (ja) 2004-08-06 2006-02-16 Chieko Hoshino 車載オーディオ装置
US20060039263A1 (en) * 2004-08-20 2006-02-23 Remy Trotabas Audio system with removable digital media player
US20060256475A1 (en) * 2005-05-12 2006-11-16 Joshua Lindsay Cassette adapter including integral mounting of a portable audio player with integral connection means
US20060277555A1 (en) * 2005-06-03 2006-12-07 Damian Howard Portable device interfacing
US20070223726A1 (en) * 2006-03-22 2007-09-27 Chance Dunn Universal cassette bridg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76910A1 (ko) * 2008-12-30 2010-07-08 주식회사 운서 이동식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용 거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42237B1 (ko) 2014-09-23
US9124331B2 (en) 2015-09-01
US9197261B2 (en) 2015-11-24
US20140287709A1 (en) 2014-09-25
CN101115381A (zh) 2008-01-30
JP2008024259A (ja) 2008-02-07
CN103991415A (zh) 2014-08-20
DE102007034764A1 (de) 2008-01-31
US20080025526A1 (en) 2008-01-31
US20120213384A1 (en) 2012-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2237B1 (ko) 차량―장착식 오디오 장치 및 자동차
EP1809511B1 (en) Housing adapted to secure a removable media source to a seat in a vehicle
EP1623565B1 (en) Headrest mountable video system
US7689255B2 (en) In-vehicle apparatus
US20060046778A1 (en) System for listening to playback of music files by a portable audio device while in a vehicle
US20060039263A1 (en) Audio system with removable digital media player
WO2004062047A1 (en) Modular electronic systems for vehicles
JPH06309854A (ja) 音声信号転送機能付きカーマウントアダプター
US20050282600A1 (en) Car stereo for communicating with portable music player using wired connection
KR100916573B1 (ko) 차량용 카세트 데크에 설치되는 외부기기 커넥터 장치
US20090222862A1 (en) Video player, docking station and system for vehicle having wireless video transmission
JP4281503B2 (ja) 車載用情報再生装置
KR100595536B1 (ko)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JP2012140126A (ja) 車載用オーディオ機器
JP2005041441A (ja) クレードル及びクレードルを備える車載装置
JPS63153785A (ja) 記録媒体演奏装置
KR100974250B1 (ko)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JP2002112353A (ja) リモコン装置
KR20060078486A (ko) 차량용 디브이디 리시버
KR19990065202A (ko) 마이크로폰을 구비한 차량용 인사이드미러
JPH0325782A (ja) カセットテープの録再機
JP2010036713A (ja) 車載用オーディオ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3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