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250B1 -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 Google Patents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250B1
KR100974250B1 KR1020080076062A KR20080076062A KR100974250B1 KR 100974250 B1 KR100974250 B1 KR 100974250B1 KR 1020080076062 A KR1020080076062 A KR 1020080076062A KR 20080076062 A KR20080076062 A KR 20080076062A KR 100974250 B1 KR100974250 B1 KR 100974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ltimedia player
player device
portable multimedia
vehicle
vide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60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138A (ko
Inventor
신한수
Original Assignee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세풍전자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760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2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51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1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1Server components or server architectures
    • H04N21/214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 H04N21/2146Specialised server platform, e.g. server located in an airplane, hotel, hospital located in mass transportation means, e.g. aircraft, train or b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2343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 H04N21/234327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of video streams or manipulating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distribution or compliance with end-user requests or end-user device requirements by decomposing into layers, e.g. base layer and one or more enhancement lay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0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 H04N21/26216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the scheduling operation being performed under constraints involving the channel capacity, e.g. network bandwidt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server for facilitating the content distribution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end-users or client devices, e.g. end-user or client device authentication,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 H04N21/262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 H04N21/26258Content or additional data distribution scheduling, e.g. sending additional data at off-peak times, updating software modules, calculating the carousel transmission frequency, delaying a video stream transmission, generating play-lists for generating a list of items to be played back in a given order, e.g. playlist, or scheduling item distribution according to such li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22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located in transportation means, e.g. personal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용은 물론이고 차량 장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이탈시 장치의 일부만 남게 되므로 도난의 표적이 되기 어렵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을 적용하면, 그 전면에 구성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로부터 이탈시켜 휴대하면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장착되어 양측 장치의 메모리를 검색하고 양측 장치의 구동부를 각각 구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고, 또한 운전자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를 이탈시켜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하게 되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동작이 불가하고 일부 부품으로서 존재하므로 도난 범죄의 표적이 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Figure R1020080076062
PMP,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

Description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ENGAGING MULTIMEDIA PLAYER APPARATUS}
본 발명은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용은 물론이고 차량 장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이탈시 장치의 일부만 남게 되므로 도난의 표적이 되기 어렵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통상 종래의 차량 오디오 장치는 카세트 테이프 및 CD를 재생시키고, 라디오를 출력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내부에 카세트 테이프 출력장치 및 CD 플레이어가 내장되어져 있다.
최근에는 단지 오디오 신호만을 출력시키는 것이 아니고, 외부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인가받아 증폭시켜 스피커나 모니터를 통해 출력시키는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대쉬패널 전면에 매입 장착되어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차량에 일체로 매입되어져 있으므로 휴대용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각종 오디오 및 비디오신호를 출력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고, 차량에 상시 장착되어져 있으므로 운전자가 차량을 주차시 킨 이후 차량을 떠나게 되면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는 절도의 표적이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휴대용 멀티미디어 장치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용은 물론이고 차량 장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이탈시 장치의 일부만 남게 되므로 도난의 표적이 되기 어렵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의 전면에 장착되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의 내부에 구성된 비디오신호를 출력시키고, 그 오디오신호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키조작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를 그 전면에 장착시켜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부터 전송된 키조작신호에 의해 모드전환을 수행하고, 내부에 저장된 비디오신호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며,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제 2스피커(76)를 통해 출력하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로 구성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는 그 전면에 개방부(6)가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탑재공간(8)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함체(4)와; 상기 함체(4)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판(20)과; 상기 가이드판(2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판(14)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착판(14)의 상면에는 전원포트(18)와 데이터 포트(16)가 각각 돌출되어져 있으며, 그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에 접속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스탠바이 전원이 턴온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그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기능 선택키 및 출력 명령을 입력하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기능 선택키 및 출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조작부(40)와;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 구성된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비디오 신호를 화면 출력시키고,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받은 비디오신호를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모니터(34)와; 그 모니터(34)를 구동하기 위한 모니터 구동부(42)와;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1스피커(48)와; 그 제 1 스피커(48)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46)와; 다수의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모드별 출력 우선순위 설정데이터가 구비된 제 1 메모리(50)와;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슬롯(38)과; 상기 키조작부(40)의 키신호 및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C-MP 제어부(61)로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C-MP 제어부(61)로 전송된 비디오신호를 상기 PMP 제어부(54)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데이터 슬롯(36)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C-MP 제어부(61)로부터의 신호 인가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에 대한 자동 연동모드로의 전환을 제어하며, 그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신호 또는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모니터(34)를 통해 출력 제어하며,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게 제어하는 PMP 제어부(5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그 내부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에 구성된 전원슬롯(38) 및 데이터 슬롯(36)에 각각 접속되는 전원포트(18) 및 데이터 포트(16)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 카 메라를 구동하고 그 후방카메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후방카메라 구동부(62)와;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포트(18)를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60)와; 네비게이션 칩을 포함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구동부(64)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모드별 구동 우선순위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66)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인가된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메모리(66)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72)와;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2 스피커(76)와; 제 2 스피커(7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스피커구동부(74)와;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 포트(16)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모니터(34)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비디오신호 스위칭부(68)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 및 제 2 메모리(66)에 저장된 오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오디오신호 스위칭부(70)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키조작부(40)로부터 키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네비게이션 및 PMP 파일, MP3 파일에 대한 모드 및 파일 검색을 수행하고, 해당 모드 또는 파일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인가된 비디오신호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모니터(34)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 제어하기 위한 C-MP 제어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PMP 제어부(54)는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비디오신호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동시에 비디오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신호가 우선 출력되게 스위칭 제어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PMP 제어부(54)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의 비디오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라면,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를 우선 출력되게 제어하도록 출력우선순위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그 전면에 구성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로부터 이탈시켜 휴대하면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독립적으로 출력시킬 수 있으면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장착되어 양측 장치의 메모리를 검색하고 양측 장치의 구동부를 각각 구동 제어할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고, 또한 운전자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를 이탈시켜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하게 되 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동작이 불가하고 일부 부품으로서 존재하므로 도난 범죄의 표적이 되지 않게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와 연동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의 연결 포트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포트 접속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장치의 전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어 휴대용은 물론이고 차량 장착용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써 차량으로부터 이탈시 장치의 일부만 남게 되므로 도난의 표적이 되기 어렵고, 휴대용으로 사용할 수 있어서 편의성이 높은 장치이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 구성되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단독으로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없으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와 연동되어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는 장치이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와의 접속과 무관하게 단독으로 내부에 저장된 오디오신호 및 비디오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이탈시켜 휴대하면서 비디오신호 및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으므로 그 편의성이 매우 높고, 또한 운전자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를 소지한 상태에서 하차하게 되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동작이 불가하므로 도난 범죄의 표적이 되지 않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에 포함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그 전면에 개방부(6)가 형성된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함체(4)가 제공되며, 그 함체(4)의 내부에는 부품을 탑재하기 위한 부품 탑재공간(8)이 구성되어져 있고, 그 부품 탑재공간(8)에는 DVD 구동칩(10) 및 대용량 하드 드라이브(12)를 포함한 다수의 멀티미디어 신호재생용 부품이 탑재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함체(4)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판(20)이 함체(4)의 전면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바, 그 가이드판(20)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측면 형상과 대응되게 구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판(20)의 내부이며, 상기 함체(4)의 전면 하단에는 전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판(14)이 구비되어져 있고, 그 안착판(14)의 상면에는 전원포트(18)와 데이터 포트(16)가 각각 돌출되어져 있으며, 그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에 접속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가이드판(20)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장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별도의 접속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안착판(14)상에 형성된 상기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되게 된다.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안착판(14)상에 형성된 상기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이 접속되게 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그 전면에 장착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모니터(34) 및 키조작부(40: 도 5참조)를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 구성된 제 1메모리(50: 도 5참조)도 공통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그 외부 케이스(32)의 전면 중앙에는 모니터(34)가 구성되며, 그 하부에는 기능 선택키 및 음량 조절버튼 등을 포함한 키조작부(40: 도 5참조)가 구비되어져 있고, 그 하면에는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이 형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장착 여부에 따라 자동으로 스탠바이 전원이 턴온되어, 구동 가능 여부가 결정되게 된다. 즉,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가 장착되게 되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가 구동 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가 장착되지 않게 되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구동이 불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 및 그 장치와 연동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그 내부에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기능 선택키 및 출력 명령을 입력하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기능 선택키 및 출력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키조작부(40)가 구비되어져 있다.
즉,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가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에 장착되게 되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에 구성된 키조작부(40)를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물론이고,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에 구동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는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 구성된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비디오 신호를 화면 출력시키고,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받은 비디오신호를 화면 출력시키기 위한 모니터(34)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모니터(34)를 구동하기 위한 모니터 구동부(42)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는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 구성된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1스피커(48)가 구성되어져 있고, 그 제 1 스피커(48)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4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는 다수의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모드별 출력 우선순위 설정데이터가 구비된 제 1 메모리(50)가 구비되어져 있고,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슬롯(38)이 구비되어져 있으며, 상기 키조작부(40)의 키신호 및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C-MP 제어부(61)로 인터페이스하고, 상기 C-MP 제어부(61)로 전송된 비디오신호를 상기 PMP 제어부(54)로 인터페이스하기 위한 데이터 슬롯(36)이 구비되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내부에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C-MP 제어부(61)로부터의 신호 인가여부를 체크하여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에 대한 자동 연동모드로의 전환을 제 어하며, 그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신호 또는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모니터(34)를 통해 출력 제어하며,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오디오신호를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게 제어하는 PMP 제어부(54)가 구비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PMP 제어부(54)는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비디오신호 및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동시에 비디오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신호가 우선 출력되게 스위칭 제어하게 설정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PMP 제어부(54)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의 비디오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라면,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를 우선 출력되게 제어하도록 출력우선순위값이 설정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내부에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에 구성된 전원슬롯(38) 및 데이터 슬롯(36)에 각각 접속되는 전원포트(18) 및 데이터 포트(16)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내부에는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 카메라(미도시)를 구동하고 그 후방카메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후방카메라 구동부(62)가 되어져 있으며,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포트(18)를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60)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내부에는 네비게이션 칩을 포함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구동부(64)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모드별 구동 우선순위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66)가 구비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내부에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인가된 오디오 신호 및 상기 제 2 메모리(66)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를 증폭시키기 위한 증폭부(72)가 구비되어져 있으며, 증폭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2 스피커(76)가 구성되어져 있고, 제 2 스피커(76)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 2 스피커구동부(74)가 구비되어져 있다.
또,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내부에는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 포트(16)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모니터(34)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비디오신호 스위칭부(68)가 구성되어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 및 제 2 메모리(66)에 저장된 오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오디오신호 스위칭부(70)가 구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내부에는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키조작부(40)로부터 키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네비게이션 및 PMP 파일, MP3 파일에 대한 모드 및 파일 검색을 수행하고, 해당 모드 또는 파 일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인가된 비디오신호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모니터(34)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 제어하기 위한 C-MP 제어부(61)가 구비되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기능과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와 연동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먼저,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가이드판(20)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를 삽입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장착하게 되면 사용자가 별도의 접속 행위를 하지 않더라도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자중에 의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안착판(14)상에 형성된 상기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에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이 접속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에 구비된 키조작부(40)를 통해 제어 가능한 상태로 자동으로 스탠바이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키조작부(4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 또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제 1, 2 메모리(50, 66)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 또는 동영상데이터를 출력시키도록 조작할 수 있는 바, 상기 제 1, 2 메모리(50, 66)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에 대한 재생 조작을 수행하면 그 오디오데이터는 상기 증폭부(72)를 거쳐 증폭되고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게 되고, 제 1 스피커(48)측으로는 오디오신호가 인가되지 않도록 자동으로 스위칭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키조작부(40)를 통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네비게이션 구동부(64)에 조작명령을 발생시키면, 상기 네비게이션 구동부(64)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는 상기 증폭부(72)를 거쳐 증폭되고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게 되고, 상기 네비게이션 구동부(64)로부터 인가된 비디오신호는 상기 비디오신호 스위칭부(68) 및 데이터포트(16)와 데이터 슬롯(36)을 통해 모니터(34)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때, 미리 출력되던 제 1, 2 메모리(50, 66)에 저장된 오디오데이터 또는 동영상데이터는 그 출력이 일시 정지되게 된다.
한편, 사용자가 차량의 후진기어를 작동시키면, 그 후진기어 작동신호는 차량의 ECU(미도시)를 거쳐 후방 카메라(미도시)가 활성화되어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로 비디오신호가 인가되는 바, 그 후방카메라 구동부(62)로 비디오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C-MP 제어부(61)는 후방카메라 작동신호 및 비디오신호를 상기 PMP 제어부(54)로 인가하게 되고, 그 PMP 제어부(54)는 기존 출력되던 비디오신호를 일시 정지시키고, 상기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를 상기 모니터(34)를 통해 화면 출력시킨다.
또한,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가이드판(20)으로부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를 이탈시키게 되면,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의 안착판(14)상에 형성된 상기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로부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이 접속해제되게 되고,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의 전원은 자동으로 턴오프되게 된다.
이때,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로부터 이탈된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는 일반 PMP 장치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저장된 오디오 신호 및 동영상 신호를 휴대하면서 출력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는 단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그 기술적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외형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의 연결 포트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포트 접속상태를 도시한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 및 그 장치와 연동되는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의 회로 구성을 도시한 블록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4:함체,
14:안착판, 16:데이터포트,
18:전원포트, 20:가이드판,
30: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

Claims (8)

  1.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의 전면에 장착되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의 내부에 구성된 비디오신호를 출력시키고, 그 오디오신호를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를 통해 출력시키도록 키조작 및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수행하며, PMP 제어부(54)로부터 인가받은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키기 위한 제 1스피커(48)와; 그 제 1 스피커(48)를 구동하기 위한 스피커 구동부(46)와; 다수의 비디오 및 오디오데이터를 저장하며, 각 모드별 출력 우선순위 설정데이터가 구비된 제 1 메모리(50)와;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전원을 인가받기 위한 전원슬롯(38)이 구비된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를 그 전면에 장착시켜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부터 전송된 키조작신호에 의해 모드전환을 수행하고, 내부에 저장된 비디오신호를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 전송하여 출력시키며, 그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를 제 2스피커(76)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에 구성된 전원슬롯(38) 및 데이터 슬롯(36)에 각각 접속되는 전원포트(18) 및 데이터 포트(16)와; 차량의 후방에 장착된 후방 카메라를 구동하고 그 후방카메라로부터 캡쳐된 화상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후방카메라 구동부(62)와; 각 부품에 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전원 포트(18)를 통해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60)와; 네비게이션 칩을 포함한 네비게이션 기능을 구동시키기 위한 네비게이션 구동부(64)와; 오디오 데이터 및 비디오데이터를 저장하고, 각 모드별 구동 우선순위에 대한 설정데이터가 저장된 제 2 메모리(66)와;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비디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데이터 포트(16)를 통해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모니터(34)로 전송하기 위한 스위칭을 수행하는 비디오신호 스위칭부(68)와;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 및 제 2 메모리(66)에 저장된 오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오디오신호 스위칭부(70)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키조작부(40)로부터 키조작신호를 인가받아 네비게이션 및 PMP 파일, MP3 파일에 대한 모드 및 파일 검색을 수행하고, 해당 모드 또는 파일의 구동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후방카메라 구동부(62)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인가된 비디오신호를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의 모니터(34)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30)로부터 전송된 오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 구동부(64) 및 제 2 메모리(66)로부터 인가된 오디오신호를 제 2 스피커(76)를 통해 출력 제어하기 위한 C-MP 제어부(61)를 포함하여 구성된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로 구성되며;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2)는 그 전면에 개방부(6)가 형성되고, 내부에 부품탑재공간(8)이 형성된 직육면체의 함체(4)와; 상기 함체(4)의 전면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절곡되어 돌출되어져 있으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를 수용하기 위한 가이드판(20)과; 상기 가이드판(20)의 내부에 구성되며,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판(14)으로 구성되고, 상기 안착판(14)의 상면에는 전원포트(18)와 데이터 포트(16)가 각각 돌출되어져 있으며, 그 전원포트(18)와 데이터포트(16)는 상기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장치(30)의 하면에 형성된 전원 슬롯(38) 및 데이터슬롯(36)에 접속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P 제어부(54)는 제 1 메모리(50)에 저장된 비디오신호 및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동시에 비디오신호가 인가되는 경우에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인가되는 비디오신호가 우선 출력되게 스위칭 제어하게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PMP 제어부(54)는 상기 차량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2)로부터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 및 네비게이션의 비디오신호가 동시에 인가되는 경우라면, 후방카메라의 비디오신호를 우선 출력되게 제어하도록 출력우선순위값이 설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KR1020080076062A 2008-08-04 2008-08-04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KR100974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62A KR100974250B1 (ko) 2008-08-04 2008-08-04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6062A KR100974250B1 (ko) 2008-08-04 2008-08-04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138A KR20100015138A (ko) 2010-02-12
KR100974250B1 true KR100974250B1 (ko) 2010-08-05

Family

ID=42088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6062A KR100974250B1 (ko) 2008-08-04 2008-08-04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25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344A (ko) * 2000-02-23 2000-06-05 최춘석 자동차 비디오.오디오신호 수신장치 및 비디오신호 수신방법
KR20060128470A (ko) *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착탈형 카오디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344A (ko) * 2000-02-23 2000-06-05 최춘석 자동차 비디오.오디오신호 수신장치 및 비디오신호 수신방법
KR20060128470A (ko) * 2005-06-10 2006-12-14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착탈형 카오디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138A (ko) 2010-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24331B2 (en) Vehicle-mounted audio device and automobile
US20050155068A1 (en) Multi-media player
KR101835593B1 (ko) 휴대 전자기기를 차량에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장치
JP4842785B2 (ja) 車載用電子システム及び車載電子装置
KR20070114332A (ko) 차량 탑재용 전자 장치
US20110053549A1 (en) Car stereo unit with removably coupled mobile communication device
EP2279911B1 (en) Electronic device and electronic system
KR100670641B1 (ko) 휴대용 엠피3 플레이어를 착탈 할 수 있는 도난 방지카오디오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2547924Y2 (ja) カーステレオ装置
KR100974250B1 (ko) 연동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장치
JP5081499B2 (ja) 車載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および再生装置
US20070263068A1 (en) Mobile audio-video receiver with external memory receptacle
JP3767072B2 (ja) 音響システム、及びアダプタ装置
JP2007018618A (ja) 車載用音響映像システム、車載用音響映像装置、車載用音響映像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車載用音響映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JP3811940B2 (ja) 車両用電子機器
JP3811939B2 (ja) 車両用電子機器
JP2005041441A (ja) クレードル及びクレードルを備える車載装置
JP2002071356A (ja) カーナビゲーション装置
JP2008094218A (ja) 車両の音響システム
JP2002109868A (ja) 車載用電子機器
KR20070062667A (ko) 차량용 범용직렬버스 허브 장치
JPH0713114Y2 (ja) 記録媒体演奏装置
JP2008084434A (ja) 可動式ディスプレイを備えた電子装置
JP2007326463A (ja) 車載用電子機器
JPH0563872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