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5514A -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5514A
KR20080005514A KR1020077024656A KR20077024656A KR20080005514A KR 20080005514 A KR20080005514 A KR 20080005514A KR 1020077024656 A KR1020077024656 A KR 1020077024656A KR 20077024656 A KR20077024656 A KR 20077024656A KR 20080005514 A KR20080005514 A KR 200800055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rter
particulate
polishing
product
grai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발터 오익스터
Original Assignee
뷜러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뷜러아게 filed Critical 뷜러아게
Publication of KR20080005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551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4/00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 B07B4/08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ubjecting their mixture to gas currents while the mixtures are supported by sieves, screens, or like mechan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1/00Preparing grain for milling or like processes
    • B02B1/02Dry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BPREPARING GRAIN FOR MILLING; REFINING GRANULAR FRUIT TO COMMERCIAL PRODUCTS BY WORKING THE SURFACE
    • B02B5/00Grain treat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2B5/02Combined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BSEPARATING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 B03B4/00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 B03B4/02Separating by pneumatic tables or by pneumatic jigs using swinging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9/00Combinations of apparatus for screening or sifting or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General arrangement of plant, e.g. flow sheets
    • B07B9/02Combinations of similar or different apparatus for 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using gas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djustment And Processing Of Grains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에 따라 세척으로부터 혼합된 생산물이 가벼운 곡물 분리기를 통해 진행한다.
곡물, 밀, 세척

Description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GRAIN}
본 발명은 곡물들을 세척하기 위한, 특히 몇몇 곡물 특성들로의 정밀한 분류를 위한 것뿐만 아니라, 오염 물질들로 채워진 곡물 낟알들을 선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방법 및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롤(rolls)의 세척 및 그라인딩(grinding) 준비를 위해 사용되지만, 한정되지 않는다.
곡물, 예를 들어, 밀(wheat) 또는 호밀(rye)은 곡물 표면으로부터 먼지, 느슨한 껍질들(husks) 또는 오염 물질들을 제거하기 위해 습식(wet) 및/또는 건식 세척될 수 있다. 지난 10년 동안, 건식 세척은 광범위하게 가장 대중적이 되었다. CH-640750은 밀이 연마(scouring)을 포함하는 건식 세척 상태에 놓는 방법을 개시한다. 밀은 그 다음 안정화 셀들(quieting cells) 내에서 몇 시간 동안 가습되고 저장된다. 안정화 후, 밀은 제1그라인딩 통로(first grinding pass) 전에서 즉시 탈곡(husked)되되, 탈곡(husking)은 소정의 높은 탈곡 단계의 컨디셔닝(conditioning)이 선행될 수 있다. 이것은 가습(wetting) 및 안정화 후 곡물들의 탈곡 단계 및/또는 유연화(softening)에 달려있다. 본질적으로, 프로세스(process)는 건식 세척, 습식 탈곡(moist shelling), 집중 가습 및 후속 그라인딩을 포함한다.
CH-A-684576에 의하면, 곡물의 제분(milling)은 가습, 안정화 및 탈곡이 선행되되, 탈곡은 건조해지거나 습해질 수 있고, 제분 전에 사전 파손(pre-breaking)이 일어난다.
제분 전에 밀을 연마하고 닦아내며(polish), 그 다음 밀을 가습하는 방법도 공지된다. EP-B-529843에 의하면, 가습되고 닦여진 밀은, 특히 고랑(furrow)으로부터 추가적인 겨(bran)를 제거하기 위해 다시 습식 세척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곡물들, 특히 밀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인데, 이것은 오염 제거(decontamination)뿐만 아니라 세척 프로세스의 추가적인 단순화, 특히 곡물 낟알들의 마이코톡신(mycotoxin) 부하(load)의 감소 및/또는 몇몇 품질 레벨들로 곡물들의 정밀한 분류 또는 분리(division)를 가능하게 한다. 본 목적은 청구 범위 제1항의 특징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혼합된 생산물은 사전 세척 단계 후에 세척을 위한 가벼운 곡물 선별기(light-gain sorter)로 공급된다. 놀랍게도, 이것은 먼지를 채우는 것뿐만 아니라 느슨한 껍질 및 쓸모없는 미립자들(fines)이 곡물 재료로부터 미리 제거될 수 있기 때문에, 마이코톡신으로 채워진 곡물들 및 곡물 요소들의 비율(share)을 매우 뚜렷하게 감소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개시된다. 예를 들어, 미립자 선별 다음의 가습 및 안정화 후에, 연마하고, 필요하다면, 곡물 낟알들을 다시 한번 충돌 및 흡기 상태로 놓는 것이 유익할 수 있다.
특정한 중량으로 낟알 재료를 선별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공지된 반면에, 낟 알 재료를 오염 제거하기 위한 이러한 원리를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지 않았다. 마이코톡신 함유량의 감소는 특히 선별을 통해 일어날 수 있는 반면에, 충돌 및 흡기는 준비 중에 도움이 된다. 통상적인 미립자 선별과 대조적으로, 다양한 생산물들이 언급된 준비를 통해 더 잘 분리될 수 있기 때문에, 용량은 몇 배 이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래의 더 큰 상세한 설명에서 도면에 기초하는 실시예로 개시될 것이다.
원료 밀 사일로(raw wheat silo; 1)로부터의 원료 밀은 출원서 EP-B-293426에 따른 건식 세척기(dry cleaner; 2) 내에서 제1세척단계에서 세척되며, 미립자 선별기(fine sorter; 3)로 공급된다. 혼합된 미립자 생산물(14)은 그 다음 연마 장치(scouring machine; 4), 그 다음 느슨한 껍질 부분과 같은 것이 기류 내에서 제거되는 충돌 장치(impact machine; 5) 및 흡기 채널(aspiration channel; 6)로 통과된다. 밀은 그 다음 사전 가습(pre-wetting)을 위해 집중 가습기(intensive wetter; 7)에 도달하며, 그 후에 예를 들어 60-90분 동안 안정화 셀(quieting cell; 8) 내에 중간물로 저장된다. 필요하다면, 다른 미립자 선별기(17)가 안정화 셀(8)의 하류부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간 저장 후에, 밀은 제2연마 장치(9) 내에서 연마되며, 제2충돌 장치(10) 및 제2흡기 채널(11) 내에서 추가적인 충돌 및 흡기 상태에 놓인다. 다음에는, 출원서 WO2004/060564에 개시된 종류의 탈곡 장치(7) 내에서 밀의 탈곡(husking) 또는 필링(peeling)이 수행된다. 이러한 형태의 필링 동안, 세척되고, 가습되고 안정화된 밀은 요구된 표면 상에 다시 가습되며, 그 결과 탈곡 장치(12) 내에서 탈곡된다. 탈곡된 생산물은 분쇄기(pulverization; 13)로 공급된다.
이러한 시도는 적당한 환경 하에서, 예를 들어, 제2연마, 충돌 및 흡기 프로세스를 생략하여 단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100% 생산물(16) 또는 무거운 생산물(15)만이 미립자 선별기(3)에 공급될 수 있으며, 껍질들의 오염 물질 함유량을 감시할 수도 있다.
건식 세척기(2)는 조합 세척 장치(combination cleaning machine)인데, 이것 내에서 모래 및 다른 오염 물질이 몇몇 상부 스크린들 상에서 밀로부터 분리되는 반면에, 느슨한 껍질, 짚(straw) 및 그와 같은 종류들과 같은 가벼운 생산물은 곡물 재료를 통과하는 기류에 의해 제거된다. 처리되는 곡물 재료는 더 아래쪽의 집중 장치 데크(concentrator deck) 및 암석 선별기 상에서 연속적인 처리가 수행된다.
미립자 선별기(3)는 밀을 위한 스크린 박스(screen box; 52) 상에 입구(inlet; 51)를 가지되, 입구는 슬라이더(slider; 미도시)에 의하여 조절될 수 있다.
입구(51) 아래에는 생산물 분리기(product divider; 53)가 위치되고, 바람직하게는 두 개의 상부 스크린 레이어들(screen layers; 56, 57) 상에서 반환 플레이트(return plate; 54 또는 55)를 통해 들어오는 밀을 균일하게 분리시킨다. 추가적인 그러한 반환 플레이트(55, 58 및 59)는 또한 스크린 레이어들(59, 69, 61)의 앞에 또는 위에 위치된다.
경사진 스크린 레이어들(56, 57, 60, 61)의 상부 종단에는 최종 분리 영역들(end separating zones) 또는 최종 분리 장치들(end separating devices; 62, 63, 64, 65)이 위치되고, 각각은 띄우기 위한 가드(guard; 66), 가벼운 생산물(light product) 및 조절 가능한 관통된 플레이트(adjustable perforated plate)를 가지되, 슬릿 홀들(slit holes)은 조절 장치에 의하여 그들의 개구 표면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카운터-플레이트(counter-plate)는 관통된 플레이트에 평행하여 이동된다. 그러므로, 카운터-기류(counter-air stream)는 조절될 수 있다. 각각의 더 무거운 생산물은 스크린 레이어들 상에 가라앉고 각각의 스크린 플레이트를 향하여 아래로 넘어가며, 진동 드라이브(미부호)의 진동 운동에 의해 최종 분리 장치(62-65)가 있는 상부 종단으로 운반된다.
어떠한 생산물도 스크린 레이어들(56, 57, 60, 61)의 스크린 플레이트를 통해 낙하하지 않는다. 아래로부터 스크린 레이어들(56, 57, 60, 61)을 관통하는 카운터-기류는 각각의 더 가벼운 생산물을 위로 불어낸다. 더 무거운 생산물, 예를 들어 최종 분리 장치(62 및 63)의 후방의 무거운 생산물, 및 최종 분리 장치(64)의 후방의 혼합된 생산물은 각각의 최종 분리 장치(62-65)의 후방의 출구(outlets)(미부호)를 통해 받아들여지지 않는다. 최종 분리 장치(65)의 후방에, 대응하는 가벼운 생산물은 출구(67)에 도달한다.
두 개의 상부 스크린 레이어들(62 및 63)의 더 가벼운 생산물은 혼합된 생산물로써 생산물 분리기(58)를 통해 스크린 레이어(60)로 공급되며, 거기에 형성된 가벼운 생산물은 생산물 분리기(59)를 통해 가장 낮은 스크린 레이어(61)로 선별되기 위해 공급된다. 가벼운 스크랩(scrap)은 출구(68)로 들어간다. 가장 낮은 스크린 레이어(61) 상에서, 최종 분리 장치(75)는 스크랩이 출구(67)를 통해 가벼운 생산물과 함께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가장 낮은 스크린 레이어(61)의 기울기는 생산물 분리에 영향을 미치도록 조절 장치로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분쇄를 위해 준비된 밀은 매우 낮은 마이코톡신 부하(load)로 특징지어지며, 추가적으로 높은 밀가루 산출량을 가져다준다.
도 1은 모든 옵션들을 가진 완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미립자 선별기를 도시한다.
<도면 부호>
1 원료 밀 사일로(Raw wheat silo)
2 건식 세척기(Dry cleaner)
3 미립자 선별기(Fine sorter)
4 연마 장치(Scouring machine)
5 충돌 장치(Impact machine)
6 흡기 채널(Aspiration channel)
7 집중 가습기(Intensive wetter)
8 안정화 셀(Quieting cell)
9 연마 장치(Scouring machine)
10 충돌 장치(Impact machine)
11 흡기 채널(Aspiration channel)
12 탈곡 장치(Husking machine)
13 분쇄기(Pulverization)
14 혼합된 생산물(Mixed product)
15 무거운 생산물(Heavy product)
16 100% 생산물(100% product)
17 미립자 선별기(Fine sorter)
51 입구(Inlet)
52 스크린 박스(Screen box)
53 생산물 분리기(Product divider)
54 반환 플레이트(Return plate)
55 반환 플레이트(Return plate)
56 스크린 레이어(Screen layer)
57 스크린 레이어(Screen layer)
58 반환 플레이트(Return plate)
59 반환 플레이트(Return plate)
60 스크린 레이어(Screen layer)
61 스크린 레이어(Screen layer)
62 최종 분리 장치(End separating device)
63 최종 분리 장치(End separating device)
64 최종 분리 장치(End separating device)
65 최종 분리 장치(End separating device)
66 가드(Guard)
67 출구(Outlet)
68 출구(Outlet)

Claims (11)

  1. 건식 세척(dry cleaning)을 통해 곡물, 특히 밀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이되, 혼합된 생산물은 미립자 선별기(fine sorter) 상에서 세척으로(세척 후에)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미립자 선별 다음에 가벼운 생산물의 연마(scouring), 충돌(impacting) 및 흡기(aspirating)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미립자 선별 다음에 곡물 낟알들을 가습(wetting) 및 안정화(quieting)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안정화 다음에 제2연마, 충돌 및 흡기 단계가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은 표면적으로 가습되며, 그 다음 안정화된 후에 또는 제2연마, 충돌 및 흡기 단계 후에 탈곡(husked)되거나 필링(peeled)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마, 충돌 및 흡기 단계는 가습 또는 안정화 후에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건식 세척기(dry cleaner; 2) 및 미립자 선별기(fine sorter; 3)를 포함하는 곡물, 특히 밀을 세척하기 위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연마 장치(scouring machine; 4), 충돌 장치(impacting machine; 5) 및 흡기 채널(aspiration channel; 6)은 상기 미립자 선별기(3)의 하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제2연마 장치(9), 제2충돌 장치(10) 및 다른 흡기 채널(11)은 혼합된 생산물을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 셀(cell; 8)의 후방에 상기 미립자 선별기(3)의 하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탈곡 장치(husking machine; 12)는 상기 제2흡기 채널(11)의 하류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1. 제 7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미립자 선별기(3)는 적어도 두 개의 스크린 레이어들(screen layers)을 가지는 스크린 박스(screen box; 52)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공기가 아래에서부터 통과할 수 있으며, 상기 스크린 박스(52)는 적어도 하나의 진동 드라이브(oscillating drive)를 구비하되, 상기 각각의 스크린 레이어(56, 57, 60, 61)는 최종 분리 영역(end separation zone) 또는 최종 분리 장치(62-65)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077024656A 2005-04-27 2006-03-15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08000551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5019998.4 2005-04-27
DE102005019998A DE102005019998A1 (de) 2005-04-27 2005-04-27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Reinigung von Getreid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5514A true KR20080005514A (ko) 2008-01-14

Family

ID=36218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656A KR20080005514A (ko) 2005-04-27 2006-03-15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80190821A1 (ko)
EP (1) EP1888240B1 (ko)
KR (1) KR20080005514A (ko)
CN (1) CN101166578A (ko)
AT (1) ATE459420T1 (ko)
AU (1) AU2006239701A1 (ko)
DE (2) DE102005019998A1 (ko)
ES (1) ES2340871T3 (ko)
RU (1) RU2405628C2 (ko)
WO (1) WO2006114006A1 (ko)
ZA (1) ZA20070915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3668B (zh) * 2012-01-18 2014-01-08 杭州恒天面粉集团有限公司 一种高效清洁小麦清理、分级制粉工艺
ITUA20162313A1 (it) * 2016-04-05 2017-10-05 Golfetto Sangati Srl Macchina semolatrice di prodotti macinati
JP7352367B2 (ja) * 2019-03-29 2023-09-28 ニチハ株式会社 建材製造装置および建材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2686A (en) * 1956-01-31 melin
US405660A (en) * 1889-06-18 John b
US1747124A (en) * 1928-11-14 1930-02-11 Frank C Morrow Screen
DE541114C (de) * 1930-04-27 1932-01-07 Friedrich Hermann Schule Vorbereitungs- und Mahlverfahren fuer Getreide
US2837210A (en) * 1949-06-27 1958-06-03 Ackert Rudolf Oscillating sieves, screens or the like
GB842684A (en) * 1957-06-20 1960-07-27 Anders Sigvard Jonsson Apparatus for drying and/or cleaning or winnowing of granular material
US3021009A (en) * 1959-11-16 1962-02-13 Joe L Scott Automatic grain separator control
US3284266A (en) * 1962-09-24 1966-11-08 Milton L Clifford Manufacture of particle board
SE306508B (ko) * 1968-03-14 1968-12-02 Trelleborgs Gummifabriks Ab
US3915852A (en) * 1973-09-21 1975-10-28 George M Butzow Dividing apparatus and method
US3943054A (en) * 1974-12-19 1976-03-09 Durex Products, Inc. Segmented screen body
CH640750A5 (en) * 1979-03-29 1984-01-31 Buehler Ag Geb Method for preparing and roller-milling cereal, and device for carrying out the method
IT1174200B (it) * 1983-06-14 1987-07-01 Jorge Bacatti Vaglio
US4554067A (en) * 1983-12-12 1985-11-19 John Bodger & Sons Co. Seed treating machine
US4502493A (en) * 1983-12-12 1985-03-05 Hart-Carter Company Infinite adjustment means for sieve and chaffer slats
US4652362A (en) * 1984-05-08 1987-03-24 Roman Mueller Apparatus and method for separating heavy material, more particularly stones or the like, from cereals and other bulk materials
US4865720A (en) * 1986-03-19 1989-09-12 Gilmore Larry J Debris separator system
CH672440A5 (ko) * 1986-12-01 1989-11-30 Buehler Ag Geb
US5301811A (en) * 1987-11-27 1994-04-12 Gebruder Buhler Ag Apparatus for the separation of grain material and the sorting out of heavy inclusions from grain material
DE4006214C2 (de) * 1990-02-28 1994-01-13 Happle Gmbh & Co Maschf Vorrichtung zur Oberflächenreinigung von Schüttgutkörpern
ATE176608T1 (de) * 1991-09-23 1999-02-15 Camas Int Inc Anlage und verfahren zur sortierung mittels eines gleichmässigen wirbelbettes
DE4339285A1 (de) * 1992-12-02 1994-06-09 Buehler Ag Verfahren zum Reinigen und Sortieren von Schüttgut
GB2273154B (en) * 1992-12-02 1996-12-11 Buehler Ag Method for cleaning and sorting bulk material
US5816412A (en) * 1996-04-02 1998-10-06 Western Wire Works, Inc. Screening systems and methods for screening particulate material
US5824356A (en) * 1996-08-07 1998-10-20 Silver; Barnard Stewart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roots, tubers, bulbs, and the like
JP3428609B2 (ja) * 1996-03-29 2003-07-22 株式会社サタケ 粗選石抜装置
DE19738674C1 (de) * 1997-09-04 1999-05-20 Wolfgang Rohr Vorrichtung zum Klassieren von Feinstmaterial aus fortlaufend zugeführten körnigen Feststoffen
US6079568A (en) * 1998-02-25 2000-06-27 Deister Machine Company Dual deck dewatering screen
DE10300295A1 (de) * 2003-01-02 2004-07-15 Bühler AG Verfahren und Anlage zur Reinigung von Getrei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88240A1 (de) 2008-02-20
RU2405628C2 (ru) 2010-12-10
RU2007143993A (ru) 2009-06-10
US20080190821A1 (en) 2008-08-14
WO2006114006A1 (de) 2006-11-02
ES2340871T3 (es) 2010-06-10
CN101166578A (zh) 2008-04-23
AU2006239701A1 (en) 2006-11-02
ZA200709155B (en) 2009-08-26
DE502006006339D1 (de) 2010-04-15
ATE459420T1 (de) 2010-03-15
DE102005019998A1 (de) 2006-11-02
EP1888240B1 (de) 2010-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38345B2 (en) Dry milling corn fractionation process
CA2602221C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corn grains for production of ethanol
KR100440036B1 (ko) 원료맥에 대해 선별작용을 실시하는 제분방법 및 그 제분방법에 의한 제분 시스템
US3399839A (en) Dry milling corn process
US4978078A (en) Apparatus for dehusking grain
CN108837882A (zh) 一种谷物加工方法
EP3124119B1 (en) Degerminator
CN107377388A (zh) 一种大米精加工的粗滤系统
KR20080005514A (ko) 곡물을 세척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05032529B (zh) 一种适用于真菌毒素污染小麦分级清理的工艺
RU2181308C2 (ru) Способ помола зерн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7246762B2 (en) Process of forming corn flaking grits of improved quality with minimization of production of corn doubles
UA82862C2 (en) Method and installation for cleaning grains
ES2266122T3 (es) Proceso para la molienda de maiz.
CN107670988A (zh) 一种大米精加工的粗滤系统
CN218223542U (zh) 一种燕麦精清理杂粮回收系统
JP3162262B2 (ja) 籾摺精米機
JPS61135559A (ja) 米胚芽の処理装置
CA1303451C (en) Dehusking grain
CZ200040A3 (cs) Způsob mletí zrnin a zařízení k provádění tohoto způsobu
JPS5912764A (ja) 籾摺装置における麦粒等の除去装置
JPH10192722A (ja) 摺落米風選装置
JPS6128467A (ja) 籾摺選別装置
JPH11169796A (ja) 揺動選穀装置における仕上米取出装置
JP2002035617A (ja) 揺動選別型籾摺選別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