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6271A -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6271A
KR20070116271A KR1020077024733A KR20077024733A KR20070116271A KR 20070116271 A KR20070116271 A KR 20070116271A KR 1020077024733 A KR1020077024733 A KR 1020077024733A KR 20077024733 A KR20077024733 A KR 20077024733A KR 20070116271 A KR20070116271 A KR 200701162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voltage
output
vector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7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49639B1 (ko
Inventor
가츠토시 야마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Publication of KR200701162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62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96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96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3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5/00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 H02M5/0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 H02M5/04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 H02M5/22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5/275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 H02M5/297Conversion of ac power input into ac power output, e.g. for change of voltage, for change of frequency, for change of number of phases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d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riode or transistor type requiring continuous application of a control signal for conversion of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c-Ac Conversion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PWM 펄스가 좁아진 경우에도,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고, 연산 처리가 간단하고 낮은 가격이며 고성능인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을 제공한다. 교류 전원의 각 상과 출력측의 각 상을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교류 전원 전압을 PWM 제어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와, 전체 상 스위칭 모드를 구비하고,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부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구비한다. 또한, 순시 전압 벡터와 동일한 전압 벡터를, 육각형 공간 벡터도 중에서 선택하고, 순시 전압 벡터의 벡터 성분을 연산하는 벡터 성분 연산기(13)와 벡터 성분의 출력 시간을 연산하는 시간 연산기(14)를 구비했다.

Description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FORMING METHOD}
본 발명은, 교류 전원으로부터 임의의 주파수로 출력 변환 가능한 전력 변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펄스폭 변조(PWM) 제어나 다이렉트·토크·컨트롤 제어를 이용한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는, 교류 전원의 각 상과 출력측의 각각의 상의 사이를 자기 소호 능력(自己消弧能力)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의 회로 구성으로 접속하고, 교류 전원을 직접 임의의 전압·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스위치에 흐르는 전류(電流)를 강제적으로 스위칭하기 위해서, 독자적 스위칭 시퀀스가 필요하다. 이후 이 스위칭 시퀀스를 전류(傳流) 시퀀스라고 부른다. PWM 사이클로 컨버터의 스위칭 시퀀스는, 특허 문헌 1이나 특허 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전류 시퀀스의 작성 방법으로는, 스위칭 소자의 양단 전압의 극성을 판정하는 회로를 이용하고, 이에 의해 얻어진 스위치간 전압 극성 신호를 기본으로 작성하는 방법과, 스위칭 소자로부터 흘러나오는 출력 전류의 방향을 판정하는 출력 전류 방향 검출 회로에 의해 얻어진 출력 전류 방향 신호를 기초로 작성하는 방법 등 을 들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3, 특허 문헌 4). 전류 시퀀스는, 출력된 PWM 신호를 기초로 논리 회로에 있어서 작성되는 일이 많고, 스위칭 소자의 스위칭 시간을 고려하여, 어느 일정한 시간을 들여 행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래 출력되어야 할 출력 전압의 전압 지령치와, 실제로 출력되는 출력 전압과의 사이에 오차가 생겨 버린다. 그 오차는, 전원의 기준 전압 상태나 전류 시퀀스의 정보원이 되는 스위칭 소자의 양단 전압 극성이나 출력 전압의 방향 등에 의존해 발생한다. 또한, 양방향 스위치에 전류가 흐르면,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출력 전압의 오차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 특허 문헌 5에서는, 이러한 오차를 미리 지령으로 보정함으로써 회피하고, 특허 문헌 6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는 전류 시퀀스를 이용함으로써 회피하고 있다. 또한,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스위칭 로스를 저감시키기 위해, 1상의 스위칭을 정지한 PWM 펄스로 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비특허 문헌1의 도 2 및 비특허 문헌2의 도 8). 또한, 다이렉트·토크·컨트롤 제어를 이용한 매트릭스 컨버터는 비특허 문헌 3에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국 특허공개 평 11-341807
특허 문헌 2: 일본국 특허공개 2000-139076
특허 문헌 3: 일본국 특허공개 2000-2724
특허 문헌 4: 일본국 특허공개 2001-165966
특허 문헌 5:일본국 특허공개 2003-309975(도 6, 도 7)
특허 문헌 6:EP1306964(Fig.5)
비특허 문헌 1: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회로와 그 관련 기술의 현상과 과제 매트릭스 컨버터(PWM 제어 사이클로 컨버터) 평성 16년 전기 학회 산업 응용 부문 대회 1-S3-2
비특허 문헌 2: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회로와 그 관련 기술의 현상과 과제 직류 링크 부착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회로 평성 16년 전기 학회 산업 응용 부문 대회 1-S3-3
비특허 문헌 3:「The Use of Matrix Converters in Direct Torque Control of Induction Machines」Domenico Casadei 외, IEEE TRANSACTIONS ON INDUSTRIAL ELECTRONICS, VOL.48, NO. 6, DECEMBER 2001
종래의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1상의 스위칭을 정지한 PWM 펄스로 되어 있고, 또한 입력 전원 상태에 의해서 PWM 펄스의 패턴이 변해버린다. 도 9 및 도 10에 입력 전원 상태가 다른 PWM 펄스예를 나타낸다. 도 9는 입력 전원의 중간 전압 EM가 EN에 가까운 경우의 PWM 펄스로 U상의 스위칭이 정지하고, 도 10은 입력 전원의 중간 전압 EM가 EP에 가까운 경우의 PWM 펄스로 W상의 스위칭이 정지한다. 이들 스위칭이 정지하는 상은 입력 전원 상태에 따라 정해지고 출력 전압 지령에는 의존하지 않는다.
출력 전압은 PWM의 펄스폭에 의해서 결정되므로, 예를 들면, U상이 P, V상이 N, W상이 N상태로 되는 펄스폭이 매우 좁아지면, 도 9의 PWM 펄스에서는, 이 펄스는 V상의 스위칭에 의해서만 발생되므로, V상의 전류 시퀀스에 필요한 시간폭이나 스위칭의 지연 등의 영향에 의해, U상이 P, V상이 N, W상이 N의 상태로 되는 펄스가 출력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도 10의 PWM펄스에서는, U상이 P, V상이 N, W상이 N의 상태가 되는 펄스폭은 U상과 V상의 펄스의 차분으로서 출력되므로, 이 문제는 발생하지 않고, U상이 P, V상이 P, W상이 N의 상태가 되는 펄스폭에 관해서, 이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전류 시퀀스나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를 보정하도록 구성한 경우, 상기 기술의 좁은 펄스폭에 대한 보정은 불가능하므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변형도 보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PWM 펄스 패턴 연산 방법에서는, 입력 전류의 제어를 행하고, 또한 출력 전압 제어를 행하며, 또한 출력 PWM 펄스나 출력 전압 벡터의 결정을 동시에 행하므로, 입력 전류 제어와 출력 전압 벡터와의 관련을 떼어낼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비특허 문헌 3과 같이 가상적으로 AC/DC변환+DC/AC 변환 장치로서 나누고, 제어 상으로 AC/DC 변환 장치의 입력 전류 벡터와 DC/AC 변환 장치의 출력 전압 벡터를 나누어 생각하는 제어 방법에서는, 사고 방식이 복잡하고, 또한, 입력의 교류 전원의 각 상 모두를 따로 따로 출력의 각 상에 접속하는 벡터 상태를 취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어, 이 방식으로는 출력 전압의 변형이 크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PWM 펄스가 좁아진 경우에도,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의 변형을 작게 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간 벡터의 사고 방식을 이용해 출력 전압 벡터를 기본으로 하는 사고를 적용하고, 연산이 확실하고 용이하며, 출력 전압의 펄스 변형과 입력 전류 변형을 감소시켜, 소형이며 저비용의 전력 변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성한 것이다.
항목 1에 기재의 발명은, 교류 전원의 각 상과 출력측의 각 상을 자기 소호 능력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교류 전원 전압을 PWM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PWM 주기 중에 출력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하여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와, PWM 주기 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와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항목 2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1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출력 펄스폭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3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1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출력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4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1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교류 전원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이고, 또한 출력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5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1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교류 전원 전압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또한 출력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6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1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출력 전압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바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7에 기재의 발명은,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과 3상 출력측의 각 상을 자기 소호 능력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상기 3상 교류 전원의 전압을 PWM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 변환 방법에 있어서, 상기 3교류 전원의 3상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3상 전원 전압을 가상 중성점 전압으로부터 보아 최대 전압과 중간 전압과 최소 전압으로 할당하는 단계와, 제어 샘플링 주기마다, 출력 전압 지령과 상기 3상 전원 전압으로부터, PWM 주기 중에 출력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하여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인지, PWM 주기 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선택한 스위칭 모드와, 상기 출력 전압 지령과, 상기 3상 전원 전압으로부터 양방향 스위치의 온 오프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온 오프 패턴에 의거해 양방향 스위치를 온 오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8에 기재의 발명은, 교류 전원의 각 상과 출력측의 각 상을 자기 소호 능력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교류 전원 전압을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의 중성점으로부터 본 각 상의 전압치에 의거해, 교류 전원의 최고의 전압치를 가지는 P상과 중간의 전압치를 가지는 M상, 최저의 전압치를 가지는 N상으로 종류를 나누고, 출력측의 상과 교류 전원의 접속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 벡터를 육각형 공간 벡터도에 대응시키고, 출력해야 할 순시 전압 벡터와 동일한 전압 벡터를, 상기 육각형 공간 벡터도에서 선택해, 상기 순시 전압 벡터의 벡터 성분을 연산하는 벡터 성분 연산기와, 상기 벡터 성분에서, 전압 벡터의 출력 시간을 연산하는 출력 시간 연산기를 구비하고, 상기 시간 연산기의 연산 결과에 의거해, 전력 변환 장치의 스위치를 온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9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8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벡터 성분 연산기 및 상기 출력 시간 연산기는, 일정 주기마다 연산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10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8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벡터 성분을 가지는 전압 벡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는, 소정의 시간마다 복수의 전압 벡터를 차례로 선택하고, 교류 전원의 입력 전류를 정현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11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8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3상 교류 출력의 각 상을 3상 교류 전원의 P상, N상, M상으로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cm 벡터를 출력하는 PWM 펄스 패턴과, 출력하지 않는 PWM 펄스 패턴을 전환하는 PWM 펄스 패턴 전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12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11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상기 PWM 펄스 패턴 전환기는, 입력 전류의 위상과 출력 전압의 위상에 의거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13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8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3상 교류 출력의 각 상을 3상 교류 전원의 M상 및 P상 또는 N상 중 어느 한쪽에 접속하는 ap, an, bp, bn 벡터와 제로 벡터의 PWM 펄스 패턴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항목 14에 기재의 발명은, 항목 8기재의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원의 선간 전압 최대치의 1/3 정도 이하의 값을 취하는 제1의 설정치 이하에서는 3상 교류 출력의 각 상을 3상 교류 전원의 M상 및 P상 또는 N상 중 어느 한쪽에 접속하는 ap, an, bp, bn 벡터와 제로 벡터의 PWM 펄스 패턴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효과>
항목 1 및 2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출력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해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와, PWM 주기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를 구비하므로, PWM 펄스폭이 좁아지는 경우에는, 좁은 PWM 펄스폭을 해소할 수 있어,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변형을 저감할 수 있고, 전류 시퀀스나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의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항목 3, 항목 4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상기 교류 전원 전압의 위상 또는 전압이나 출력하는 전압의 위상에 의거하여,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므로, PWM 펄스폭의 감시를 행하지 않고 좁은 PWM 펄스폭을 해소할 수 있어, 간단한 제어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고, 전류 시퀀스나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의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항목 5, 6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출력하는 전압에 의거하여, PWM 펄스폭의 감시를 행하지 않고 좁은 PWM 펄스폭을 해소할 수 있고, 간단한 제어로,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전류 시퀀스나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의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항목 7에 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출력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해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와, PWM 주기 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를 구비하므로, PWM 펄스폭이 좁아지는 경우에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므로, 좁은 PWM 펄스폭을 해소할 수 있고, 출력 전압 및 출력 전류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어, 전류 시퀀스나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의 보정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전력 변환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항목 8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공간 벡터를 이용해 연산 처리를 행하므로, 출력 전압의 연산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항목 9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PWM 제어에 의해, 출력 전압의 변형이 감소한다.
항목 10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입력 전류의 제어를 벡터 선택·조정에 의해 행하여, 입력 전류 제어의 연산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항목 1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출력하는 PWM 펄스 패턴의 변경을 행함으로써,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변형을 바꿀 수 있다.
항목 1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출력하는 PWM 펄스 패턴의 변경을 운전중에 행함으로써,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변환을 운전 중에 조정할 수 있다.
항목 1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낮은 출력 전압을 확실하게 출력할 수 있고, 또한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연산이 확실하고 용이하므로, 낮은 가격의 장치로 제어가 가능해지고, 전력 변환 장치의 고성능화, 저비용화, 소형화가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전력 변환 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의 PWM 펄스 패턴 전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의 PWM 펄스 패턴 전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의 PWM 펄스 패턴 전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의 PWM 펄스 패턴 전환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6은 입력 전원 상태와 공간 벡터도의 부호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공간 벡터도
도 8은 출력 전압 지령과 공간 벡터의 대응을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종래의 2상 변조의 PWM 펄스예 1
도 10은 종래의 2상 변조의 PWM 펄스예 2
도 11은 본 발명의 전력 변환 방법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12는 가상 중성점을 설명하는 도면
도 13은 입력 전원 위상 변동에 의한 공간 벡터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출력하는 펄스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출력하는 펄스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출력하는 펄스열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17은 도 16의 펄스열로 출력할 수 있는 전압의 벡터 성분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은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19는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1은 3상 순시 전압 지령과, 벡터 성분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부호의 설명>
1 : 계통 전원 2 : 파워 회로
3 : 부하기 4 : 제어 회로
5 : 모드 전환 회로 11 : 제어 회로
12 : PWM 펄스 패턴 전환기 13 : 벡터 성분 연산기
14 : 출력 시간 연산기 15 : PWM 펄스 패턴 연산기
16 : 구동 회로 SUR : U상과 R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US : U상과 S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UT : U상과 T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VR : V상과 R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VS : V상과 S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VT : V상과 T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WR : W상과 R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WS : W상과 S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SWT : W상과 T상에 접속한 양방향 스위치
EN : 가상 중성점 전압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에 있어 도면을 참조해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전력 변환 장치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3상의 전원, 2는 직접형 전력 변환 장치의 주 회로, 3은 부하(모터 등), 4는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의 제어 회로이다.
3상의 전원 전압과 위상에 관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성점으로부 터 본 최대 전압상을 P, 최소 전압상을 N, 중간 전압상을 M으로서 할당을 행하고, 공간 벡터의 개념을 이용하면,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 공간 벡터는 도 7의 일예와 같이 쓸 수 있다. 통상은 전력 변환 장치에서, 중성점 전압은 직접 관측 불가능하므로, 도 12와 같이 3상 전원의 각 상을 동일 저항치의 저항을 스타형으로 접속하고, 접속점 전압을 가상 중성점 전압으로서 이용하거나, 선간 전압으로부터 계산식에 의해서 상 전압을 구한다(예를 들면, R상 전압(ER)은 R상과 S상의 선간 전압(ERS)와 T상과 R상의 선간 전압(ETR)을 이용해 ER=(ERS-ETR)/3로서 계 산할 수 있다.) 도 7에 있어서, a, ap, an, b, bp, bn으로 분류된 전압 벡터는 입력 전원의 전압 상태에 따라 길이가 변동하고, cm으로 분류된 전압 벡터는 입력 전원의 전압 상태에 따라, 길이와 각도가 변동한다. 전력 변환 장치가 출력하는 전압 지령이 전압 벡터로(θ, k) 만난 경우, 도 8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출력 전압 지령의 a벡터 성분 Va와 b벡터 성분 Vb를, a, ap, an, b, bp, bn, cm 및 Op, Om, On으로 분류된 벡터의 조합에 의해서 PWM(펄스폭 변조)으로 출력한다. PWM 펄스 패턴으로는 도 9, 10에서 도시하는 것과 같은 1상을 정지한 2상 변조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PWM 펄스폭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출력 전압 지령의 a벡터 성분 Va 또는 b벡터 성분 Vb에 따라 출력되므로, 출력 전압 지령이 a벡터의 각도 근방이면, b벡터 성분 Vb에 대응하는 PWM 펄스는 좁아지고, 출력 전압 지령이 b벡터의 각도 근방이면, a벡터 성분 Va에 대응하는 PWM 펄스가 좁아진다. 또한, 출력 전압 지령 이 낮은 경우에는 a벡터 성분 Va와 b벡터 성분 Vb에 대응하는 PWM 펄스는 모두 좁아진다. 실제로 출력되는 PWM 펄스폭은, 입력 전원 상태에 따라서 Op, On의 어느 쪽을 이용할지에 의존하고, 입력 전원의 상 전압 절대치의 최대치가 정(正)인 경우는 도 9, 부(負)인 경우는 도 10과 같이 변화하고, 도 9와 같이 Op를 이용하는 경우는 b벡터 성분을 표현하는 PWM 펄스는 Op에 의해서 펄스폭이 연장되어 문제없지만, a벡터 성분의 PWM 펄스가 좁아지면 문제가 된다. 또한, 도 10과 같이 On을 이용하는 경우는 a벡터 성분을 이용하는 PWM 펄스는 On에 의해서 펄스폭이 연장되어 문제없지만, b벡터 성분의 PWM 펄스가 좁아지면 문제가 된다.
본 발명에서는, PWM 주기 중에 출력 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해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3상 출력의 경우는 2상 변조 PWM라고 부른다)와, PWM 주기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3 상 변조 PWM라고 부른다)를 전환하는 스위칭 모드 전환부를 구비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것과 같은 구성으로 하고, 제어 연산 회로로 연산된 각 벡터의 PWM 펄스폭을 3상 변조 PWM 펄스 발생기와 2상 변조 PWM 펄스 발생기에 건네고, 각각의 PWM 펄스 발생기의 출력을 제어 연산 회로로부터의 전환 신호에 의해서 스위칭 모드 전환 회로에서 선택한다. 제어 연산 회로는 도 9의 예에서 a벡터 성분의 PWM 펄스폭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좁아지는 경우에는, PWM 주기중에 출력상의 1상을 스위칭 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해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PWM 주기 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여, PWM 펄스폭을 확보하고, 도 10의 예에서 b벡터 성분의 PWM 펄스폭이 미리 설정된 값보다 좁아 지는 경우에는, 1상의 스위칭을 정지하는 2상 변조로부터, 도 3의 예에 도시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여, PWM 펄스폭을 확보한다. 또한, 미리 설정된 값은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동작 상태나 전류 시퀀스 방법, 스위치 소자의 특성에 의존하므로, 이들에 따라 설정된다.
이와 같이 PWM 펄스폭을 확보하면, 전류 시퀀스 필요한 시간폭이나 스위칭의 지연 등의 영향에 의해 PWM 펄스가 출력되지 않는 일이 없어지므로, 출력 전압의 변형이 감소하고, 출력 전류의 변형도 감소한다. 또한, 전류 시퀀스나 반도체 소자의 특성 상의 전압 강하의 보정도 PWM 펄스폭이 확보되므로 가능해지고, 출력 전압과 출력 전류의 변형이 더욱 감소한다. PWM 펄스의 전환은 보정을 행하는 제어 연산 회로가 행하므로, 전환에 따른 보정을 행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의 예에서는 Op, On중 어느 한쪽을 이용하는 예를 나타냈는데, 예를 들면 도 5와 같이 균등하게 분배하는 등, Op, On 어느쪽이나 이용하는 PWM 펄스로 해도 된다. 그러나, 도 2 및 도 3이 스위칭 회수가 적기 때문에, 스위칭 로스의 면에서 유리하다.
실시예 2
PWM 펄스는 출력 전압 지령이 a벡터 또는 b벡터와의 각도 근방이 된 경우에 좁아진다. 직접형 전력 변환 장치에서는 a벡터와 b벡터의 각도는 변동하지 않으므로, 출력 전압 지령의 위상이 a벡터 또는 b벡터에 가까운 각도가 된 경우에 도 1 의 제어 연산 장치에서 전환 신호를 발생하여 3상 변조로 전환함으로써 PWM 펄스폭을 감시하지 않고 PWM 펄스폭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환 각도의 폭은 전류 시 퀀스 방법, 스위치 소자의 특성에 의존하므로, 이들에 따라 설정된다.
실시예 3
출력 전압 지령의 위상에 의해서 변환을 행하면, PWM 펄스폭이 좁아지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도 전환을 행하여, 스위칭 로스가 증가해 버린다. 도 9의 PWM 펄스와 도 10의 PWM 펄스의 변화는 입력 전원의 전압 상태에 의존하므로, 입력 전원의 전압과 출력 전압 지령의 위상으로부터 PWM 펄스폭이 좁아지는 조건을 예측하고, 예를 들면 도 9의 경우에는 출력 전압 지령의 위상이 b벡터의 각도에 가깝게 된 경우에만 2상 변조로부터 3상 변조로 전환함으로써 스위칭 로스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전환하는 각도의 폭은 전류 시퀀스 방법, 스위치 소자의 특성에 의존하므로, 이들에 따라 설정된다.
실시예 4
출력 전압이 낮으면 PWM 펄스의 a벡터 성분과 b벡터 성분이 함께 좁아져 버리므로, 출력 전압 지령이 낮은 경우에는, 도 5와 같이 Op와 On을 함께 사용하는 PWM 펄스나, 도 4의 예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PWM 펄스로서 PWM 펄스폭을 확보한다. 도 2, 도 3의 PWM 펄스는 펄스폭이 좁아지는 부분이 있으므로, 출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이용할 수 없다. 도 4의 예에서는 PWM 펄스가 P로부터 N 또는 N으로부터 P에 직접 스위칭하는 일이 없으므로, 1스위칭당 스위칭 로스가 적고, 노이즈, 서지 전압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도 4의 (M, M, M)이 되는 제로 벡터는, 2개의 상의 동시 스위칭에 의한 전압 오차나 서지를 허용할 수 있다면 생략해도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전력 변환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로 제어 샘플링 주기마다 행해진다. 도 11에 있어서, 단계 ST1에서 3상 교류 전원의 3상 전원 전압을 검출한다. 다음에 단계 ST2에서 3상 전원 전압을 가상 중성점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최대 전압, 최소 전압, 중간 전압에 할당한다. 다음에 단계 ST3에서 출력 전압 지령과 3상 전원 전압으로부터 1상 스위칭 모드인지 전체 상 스위칭 모드인지를 결정한다. 다음에 단계 ST4에서 스위칭 모드와 출력 전압 지령과 3상 전원 전압으로부터 양방향 스위치의 온 오프 패턴을 결정한다. 다음에 단계 ST5에서 온 오프 패턴에 의거해 양방향 스위치를 온 오프한다.
실시예 5
3상의 전원 전압과 위상에 관해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중성점으로부터 본 최대 전압상을 P , 최소 전압상을 N, 중간 전압상을 M으로서 할당을 행한다. 입력 전원 위상으로서 R상 전압의 최고점을 기준(θi=0)으로 한 경우의 R, S, T와 P, M, N의 할당을 표 1에 P, M, N과 R, S, T의 전원 전압 위상에 의한 대응으로서 정리한다.
<표 1>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1
이와 같이 가상 DC 전압을 정의한 경우,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를 출력할 수 있는, 전압 벡터는 도 7과 같이 쓸 수 있다.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는 도면과 같이 27=33의 벡터를 출력할 수 있고, 이들 벡터를, 제로 벡터(op, om, on), 상의 순방향 벡터(a, ap, an) 상과 역방향 벡터(b, bp, bn), 중간 벡터(cm)와 같이 분류한다.
제로 벡터를 제외한 각 벡터는 입력 전압의 위상 상태에 따라 길이가 변동하고, cm 벡터는 또한 인접하는 a벡터와 b벡터의 선단을 연결하는 선(도 7의 점선) 상을 이동한다. 도형 상, cm벡터의 a벡터 성분은 ap벡터, b벡터 성분은 bn벡터와 등가이다. 벡터는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이동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다른 벡터와 일치한다.
(1) M에 해당되는 입력상의 전위와 N에 해당되는 입력상의 전위가 동일한 경우는 N=M이 되므로, cm(PMN)=a(PNN)=ap(PMM)이다.(이 때 an=bn=on이 된다.)
(2) M에 해당되는 입력상의 전위와 P에 해당되는 입력상의 전위가 동일한 경우는 P=M가 되므로, cm(PMN)=b(PPN)=bn(MMN)이다.(이 때 ap=bp=op가 된다.)
(3) M에 해당하는 입력상의 전위가, P에 해당하는 입력상과 N에 해당되는 입력상의 전위의 중간치로 되는 경우는, a벡터에 대해 30°를 이루는 각을 가지고, 길이가 (√3)/2로 된다.(이 때 ap=an=a/2, bp=bn=b/2가 된다.)
직접형 교류 전력 변환 장치의 출력 벡터의 순번을 생각해, 이하와 같은 제한을 두는 것이 일반적이다.
(Ⅰ) P, M, N의 스위칭 시에 P와 M의 사이, M와 N의 사이는 서로 자유롭게 스위치할 수 있지만, P와 N의 사이는 직접 이행할 수 없게 한다.
(Ⅱ) 2상의 동시 스위칭은, 원칙적으로 허용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는 또한
(Ⅲ) 입력선간을 단락하지 않는다.
(Ⅳ) 출력선간을 개방하지 않는다.
이러한 제한에 의해서, 안전성 및, 출력 전압, 입력 전류의 변형을 저감시킬 수 있다.
도 7의 조건을 가지는 공간 벡터 개념에는 이미 이 제한이 들어가므로, 이들에 대해 특별히 고려할 필요는 없다.
모터 드라이브용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는 AC 입력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입력 전류를 정현파화하고, 입력 역률을 1로 한다. 입력 전류의 제어는 부하 모터가 전류원이라고 상정하고, 부하 전류를 출력 전압 벡터의 선택에 의해서 입력 단자에 분배함으로써 실현된다.
예를 들면 도 7의 A영역에 있어서, 영역을 구성하는 벡터를 출력한 경우의, 입력상 전류 IP, IM, IN과 출력상 전류 I(U), I(V), I(W)의 관계는 표 2의 출력 벡터와 입력상 전류-출력상 전류의 관계(A영역)와 같이 된다.
<표 2>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2
여기서 P상 전류 IP, M상 전류 IM, N상 전류 IN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실제의 입력 전압상(R, S, T)에 대응할 수 있다.
a, ap, an벡터 및 b, bp, bn벡터는 동일한 방향을 가지는 벡터, cm벡터는 a, b벡터의 조합으로도 출력할 수 있고, PWM 펄스의 조합에 장황성이 있으므로, 출력 벡터의 조합 선택과 표 2의 대응에 의해서 입력 전류의 제어가 가능하다. 표 2를 각 영역에 전개하면 표 3의 출력 벡터와 입력상 전류-출력상 전류의 관계와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여기서 변수 P1, P2, P3은 영역에 의해서 표 4의 P1, P2, P3와 U, V, W상의 대응과 같이 변화한다.
<표 3>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3
<표 4>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4
다음에 입력 전류 제어와 PWM 펄스 패턴의 관계를 설명한다. 우선, 도 6의 P상 전압을 EP, M상 전압을 EM, N상 전압을 EN으로 하고, 입력선간 전압의 최고치 dEmax와 중간치 dEmid, 최저치 dEmin를 이하의 식과 같이 정의한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5
Ebase는 상 전압의 절대치가 최대로 되는 상이며 도 6과 같은 대응이 된다.
Ebase의 θ에 의한 변화를 표 5에 Ebase와 EP, EM, EN의 관계로서 정리한다.
<표 5>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6
여기서 dEmax, dEmid, dEmin와 공간 벡터의 길이의 대응은 다음과 같이 된다.
<수식 1>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7
Rr는 θi에 의존해 1~2/(√3)의 값을 취한다.
출력 전압의 전압 지령 Vo를 극좌표에서 (θ, k)로 하면, 출력 전압 지령 벡터와 공간 벡터도의 관계는 도 8와 같이 된다. 여기서,θ는 U상 a벡터로 이루는 각, 또한 출력 전압 지령에 인접하는 a벡터로 이루는 각을 θ’로 한다.
출력 전압 지령 벡터 Vo(θ, k)의 a벡터 방향 성분 Va와 b벡터 방향 성분 Vb는 다음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8
그리고 이들 길이 Va, Vb와 3상 출력 전압 지령의 대응을 2레벨 인버터의 3 상 변조 PWM에 발생 방식과 같이 쓰면 도 21과 같이 된다. 도 21은, 캐리어의 진폭을 0.5로 하고, 3상 출력 전압 지령을 정규화한 예이다.
출력상 전압의 최고치를 Vmax, 중간치를 Vmid, 최저치를 Vmin로 하면,
Figure 112007076846899-PCT00009
이다. 이 식을 이용해 Va, Vb를 계산해도 된다.
또한, 출력선간 전압의 최고치 dVmax와 중간치 dVmid는 이하의 식과 같이 된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0
출력 전압 지령 벡터를 영역을 구성하는 벡터로 출력하는 경우, 각 벡터의 단위 시간당 출력 시간을,
Ta : a벡터의 출력 시간
Tb : b벡터의 출력 시간
Tcm : cm벡터의 출력 시간
Tap : ap벡터의 출력 시간
Tan : an벡터의 출력 시간
Tbp : bp벡터의 출력 시간
Tbn : bn벡터의 출력 시간
Top : op벡터의 출력 시간
Tom : om벡터의 출력 시간
Ton : on벡터의 출력 시간
이와 같이 정의하면, Va는 각 벡터의 a벡터 성분, Vb는 각 벡터의 b벡터 성분으로 합성되므로, |Va|,|Vb|는 이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1
또한,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의 입력 전류는 표 3에서 이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2
(여기서, 입출력 모두 3상 교류 전류는 평형하므로, I( P1 )+I( P2 )+I( P3 )=0, IP+IM+IN=0이다)
입력 전류를 정현파로 하고, 입력 전원 역률≒1의 제어를 하는 경우는, IP>IM>IN으로 되고, 입력 전류의 분배율αic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3
로 정의한다. 이와 같이 αic을 정의하면, 입력 전류는 3상 평형하므로,αic 는 O~1의 값을 취한다.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의 2상 변조 PWM에서는 dEmax, dEmid만을 사용하고, dEmin의 상 전압을 출력하지 않으므로, ap, an, bp, bn 벡터 중에서 길이가 짧은 쪽의 벡터를 사용하지 않는 제어를 행한다. 이러한 PWM 펄스 패턴과 벡터의 출력 시간은 이하와 같이 된다.
(1) Ebase=EP인 경우
식(5)에서, dEmid=|ap|=|bp|이므로, dEmin의 값을 취하는 an, bn벡터의 출력 시간은 제로 Tan=Tbn=0으로 한다. 이 때, PWM 반주기에서의 펄스 순서예를 생각하면 op-bp-b-cm-a 및 op-bp-ap-cm-a로 되어 도 14(a)(b)와 같은 펄스로 된다.
여기서 P1, P2, P3는 출력 전압 지령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에 의해서 표 4와 같이 U, V, W의 상으로 전환된다.
식(13), (14)에서, 출력 전압과 벡터의 출력 시간의 관계는 식(19)(20)이 된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4
식(15), (16), (17)에서 입력 전류와 벡터의 출력 시간의 관계는 식(21)(22)
(23)이 된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5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6
입력 전류의 분배율은, αic=IM/IN이므로, I( P2 )와 I( P3 )의 항의 비를 생각하면,αic와 출력 시간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된다.
<수식 2 >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7
따라서, 식(19)에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8
또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19
이므로 다른 벡터의 출력 시간은 이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0
따라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1
여기서, Tb≥0, Tap≥0이므로, (|Vb|-αic|Va|)≥0이면 Tap=0으로 하여 Tb를 구하여 도 14(a)의 PWM 펄스 패턴을 출력하고, (|Vb|-αic|Va|)<0이면 Tb=0으로 하여 Tap를 구하여 도 14(b)의 PWM 펄스 패턴을 출력한다.
Tap=0일 때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2
Tb=0일 때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3
(2) Ebase=En인 경우
식(5)에서, dEmid= |an|=|bn|이므로, dEmin의 값을 취하는 ap, bp 벡터의 출력 시간은 제로 Tap=Tbp=0으로 한다. 이 때, 펄스 순서를 생각하면 b-cm-a-an-on 및 b-cm-bn-an-on과 같이 되고 도14(c)(d)와 같은 펄스로 된다.
여기서 P1, P2, P3는 출력 전압 지령 벡터가 존재하는 영역에 의해서 표 4와 같이 U, V, W의 상으로 전환된다.
식(13), (14)에서 , 출력 전압과 벡터의 출력 시간의 관계는 이하와 같이 된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4
식(15), (16), (17)에서, 입력 전류와 벡터의 출력 시간의 관계는 식(41)(42)(43)이 된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5
입력 전류의 분배율은, αic=IM/IP이므로, I( P1 )와 I( P2 )의 항의 비를 생각하면, αic와 출력 시간의 관계는 식(44)가 된다.
<수식 3>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6
따라서, 식(40)에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7
또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8
이므로, 다른 벡터의 출력 시간은 식 (49)로 계산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29
따라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0
여기서, Ta≥0, Tan≥0이므로, (|Va|-αic|Vb|)≥0이면 Tbn=0으로 하여 Ta를 구하여 도 14(c)의 PWM 펄스 패턴을 출력하고, (|Va|-αic|Vb|)<0이면 Ta=0으로 하여 Tbn을 구하여 도 14(d)의 PWM 펄스 패턴을 출력한다.
Tbn=0일 때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1
Ta=0일 때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2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3
실시예 6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에 있어서 AC/DC 변환 회로와 DC/AC 변환 회로로서 분리해 취급하는 경우에는, 출력에 2배선분의 DC밖에 출력할 수 없으므로, 도 7의 공간 벡터 중에서, P, M, N의 3 값을 가지는 cm 벡터를 출력할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cm 벡터를 사용하지 않는 연산으로 함으로써, cm 벡터를 사용한다·사용하지 않는다를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의 각 벡터의 출력 시간 연산은, 다음과 같이 연산할 수 있다.
Ebase=Ep인 경우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4
<수식 4>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5
Ebase=Ep인 경우 |ap|=|bp|>|an|=|bn|이므로 Tan=Tbn=0으로 하면,
<수식 5>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6
로 되고
<수식 6>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7
로 함으로써 입력 전원 역률≒1의 제어가 가능하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8
·Ebase=En인 경우
Figure 112007076846899-PCT00039
<수식 7>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0
Ebase=En인 경우 |an|=|bn|>|ap|=|bp|이므로 Tap=Tbp=0으로 하면,
<수식 8>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1
로 되고
<수식 9>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2
로 함으로써, 입력 전원 역률≒1의 제어가 가능하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3
이 경우에 출력되는 펄스예를 도 15에 나타낸다.
cm 벡터를 사용한 펄스와 사용하지 않는 펄스의 비교를 생각하면, cm 벡터를 사용하는 경우는, 출력 전압의 스위칭 시의 변화가 적으므로(PN간의 스위칭의 발생이 없다), 출력 전압 변형이 적어지는데, 입력 전류의 펄스에 불연속이 발생하는 경우(도 14(a)의 EM상, 도 14(c)의 EM상이 있어, 입력 전류의 변형이 커진다.
cm 벡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는, 출력 전압의 스위칭 시의 변화가 많으므로(PN간의 스위칭의 발생이 있다), 출력 전압의 변형이 많아지는데, 입력 전류의 펄스에 불연속이 발생하는 경우는 없고, 입력 전류의 변형이 적다.
실시예 7
이와 같이 출력되는 펄스열에 따라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변형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사용 상황에 따라, 이들 펄스를 바꾸는 PWM 펄스 패턴 전환기를 구비함으로써, 입력 전류의 품질 중시(계통에의 악영향이 적다)나 출력 전압의 품질 중시(출력 노이즈가 적다) 전력 변환 장치를 선택할 수 있고, 또한, 이와 같이 공간 벡터를 이용하면 연산 알고리즘과 PWM 펄스 패턴의 변경만으로 전환이 가능해져, 복잡한 하드웨어가 필요없게 되므로 변환 장치를 낮은 가격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약간 복잡하게 되지만, 운전 중에 도 14(a)의, 도 14(c)의 펄스 발생 유무를 입력 전류의 위상과 순간 출력 전압의 위상으로부터 판단하고, 도 15의 펄스로 바꾸는 구성으로 하면, 입력 전류와 출력 전압의 변형을 그다지 나쁘게 하지 않는 도 14, 15만과 도 16만의 경우의 중간을 취할 수도 있고, 사용되는 전원이나 부하의 상황에 따라 이들 3개를 선택할 수 있는 범용성이 높은 전력 변환 장치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실시예 8
상술한 PWM 펄스 패턴은 1상의 스위칭을 정지하는 2상 변조를 이용하고 있으므로, 출력 전압이 낮은 경우에는 데드 타임이나 스위칭 소자의 온 시간이 매우 짧아지는 경우가 있어, 미소한 전압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있다. 출력 전압이 낮은 경우는, 짧은 전압 벡터를 이용함으로써, 펄스의 시간을 길게 할 수 있어, 출력 전압을 확보할 수 있다. 이 경우 펄스 시간의 연산 방법은, 긴 벡터 a, b, cm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Ta|=|Tb|=|Tc|=O
으로서 식(79)~(83)을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4
(여기서 입출력 모두 3상 교류 전류는 평형하므로, I( P1 )+I( P2 )+I( p3 )=0, IP+IM+IN=0이다.)
ap, an 벡터의 합계 출력 시간을 Tax, bp, bn 벡터의 합계 출력 시간을 Tbx로 하고, 각 출력비를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5
로 하면, 식(79)~(83)은 이하와 같이 바꿔쓸 수 있다.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6
입력 전원 역률≒1의 제어를 위해서 입력 전류의 분배율αic
<수식 10>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7
로 정의하면,
(1)Ebase=Ep인 경우αic=(1-2·α1)/α1=(2·α2-1)/(-α2)로 되고, α1=α2=1/(αic+2)이다.
αic는 0~1의 값을 취하므로, α1=α2는 1/3~1/2의 값을 취한다.
(2) Ebase=EN인 경우αic=(1-2·α1)/(-(1-α1))=(2·α2-1)/(1-α1)로 되고 α1=(1+αic)/(αic+2)이다. αic는 0~1의 값을 취하므로,α1=α2는 1/2~2/3의 값을 취한다.
α1=α2의 값이 정해지면, Tax, Tbx는 식(86), (87)에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8
로 정해지고, Tap, Tan, Tbp, Tbn는 식(84), (85)에서 구할 수 있다.
이러한 연산에 의해서, 도 16과 같은 3상 변조의 펄스예를 출력하면, 낮은 전압도 확실히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a, b, cm 벡터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출력할 수 있는 최대 전압에 제한이 발생한다. 그 개략 계산은, 식(92), (93)에 있어서,
Tax=1, Tbx=0인 경우, 출력할 수 있는 |Va|의 최저치는, |ap|=dEmax-|an|이고 |an|은 제로~dEmax까지 변화하고, α1은 1/3~2/3의 값을 취하므로,
Figure 112007076846899-PCT00049
로 된다. 이를 그래프화하면 도 17과 같이 되고, |Va|/dEmax는 1/3~2/3의 값을 취한다.
Tax=0, Tbx=1인 경우도 동일한 고찰로, |Vb|/dEmax는αic의 조건에 의해서 1/3~2/3의 값을 취한다. 따라서, 이 변조는 입력 전원 역률의 제어를 행하는 경 우, 출력 전압이 dEmax의 1/3 이하가 아니면 출력 전압의 변형이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 3상 변조의 펄스와 2상 변조의 펄스는 출력 전압 벡터의 길이가 dEmax의 1/3이하의 값을 취하는 제1의 설정치에 따라 바꿈으로써, 저전압으로부터 고전압까지 원활하게 또한 변형을 적게할 수 있는 전력 변환 장치로 할 수 있다.
또한, 도 16의 펄스예는, 출력 전압의 스위칭 시의 변화가 적고(P-N간의 스위칭의 발생이 없다), 입력 전류의 펄스에 불연속이 발생하는 경우도 없으므로, 출력 전압이 dEmax의 1/3이하에서는 입력 전류, 출력 전압 모두 변형이 적은 펄스가 된다.
실시예 9
출력 전압 벡터의 출력 시간을 연산이 아니라, 다이렉트·토크·컨트롤과 같이 결정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출력 전압의 벡터 상태에 따라 출력되는 펄스의 천이를, 도 14, 15, 16의 예에 나타낸 것과 같은 천이가 되도록 선택하고, 이들을 바꿈으로써, 입력 전류나 출력 전압의 변형을 저감한 전력 변환 장치로 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20에 있어서, 11은 제어 회로, 12는 PWM 펄스 패턴 전환기, 13은 벡터 성분 연산기, 14는 출력 시간 연산기, 15는 PWM 펄스 패턴 연산기, 16은 구동 회로이다. 제어 회로(11)는 속도 지령이나 부하인 모터의 속도 신호로부터 전류 지령을 생성하고, 전류 지령과 모터 전류 신호로부터 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동시에, 교류 전원의 각 상 전압을 최고의 전압치를 가지는 P상과 중간의 전압치를 가지는 M상, 최저의 전압치를 가지는 N상으로 종류를 구분한다. PWM 펄스 전환기(12)는, 전원 전압의 위상 관계 등으로부터 cm 벡터를 사용할지 여부를 결정해 PWM 펄스 패턴을 선택한다. 벡터 성분 연산기(13)는 출력측의 상과 교류 전원의 접속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 벡터를 육각형 공간 벡터도에 대응시키고, 출력해야 할 순시 전압 벡터와 동일한 전압 벡터를, 상기 육각형 공간 벡터도에서 선택하고, 상기 순시 전압 벡터의 벡터 성분을 연산한다. 출력 시간 연산기(14)는 전압 벡터 성분으로부터, 전압 벡터의 출력 시간을 연산한다. PWM 펄스 패턴 연산기(15)는 벡터 성분의 출력 시간부터 PWM 펄스 패턴을 합성해 게이트 신호를 생성한다. 구동 회로(16)는 게이트 신호를 절연 증폭해서 양방향 스위치를 구동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출력 전압이나 출력 전류의 변형이 감소하고, 전환도 간략화할 수 있고, 스위칭 로스도 줄일 수 있으므로, 제어 장치의 고성능화, 저비용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부터 모터 구동이나, 계통 전원의 주파수·전압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공간 벡터를 이용해, 용이하게 직접형 전력 변환 회로의 출력 전압 벡터 시간의 연산이 가능해지고, 전력 변환 장치의 고성능화, 저비용화,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입력 전류·출력 전압의 변형에 의한 선택이나 조정이 가능하므로, 전원이나 부하의 다양한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신뢰성 높은 전력 변환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부터 모터 구동이나, 계통 전원의 주파수·전압 변환하는 전력 변환 장치의 용도에도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4)

  1. 교류 전원의 각 상과 출력측의 각 상을 자기 소호 능력(自己消弧能力)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교류 전원 전압을 PWM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PWM 주기 중에 출력 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하고 다른 상을 스위칭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와,
    PWM 주기 중에 전체 상이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를 구비하고,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와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를 전환하는 모드 전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출력 펄스폭이 소정치 이하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출력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교류 전원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이고, 또한 출력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상기 교류 전원 전압이 소정 범위인 경우이고, 또한 출력 전압 위상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모드 전환부는, 출력 전압이 소정 범위인 경우에, 상기 1상 고정 스위칭 모드로부터 상기 전체 상 스위칭 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7. 3상 교류 전원의 각 상과 3상 출력측의 각 상을 자기 소호 능력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상기 3상 교류 전원의 전압을 PWM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 변환 방법에 있어서,
    제어 샘플링 주기마다, 상기 3상 교류 전원의 3상 전원 전압을 검출하는 단 계와,
    상기 3상 전원 전압을 가상 중성점 전압으로부터 보아 최대 전압과 중간 전압과 최소 전압으로 할당하는 단계와,
    출력 전압 지령과 상기 3상 전원 전압으로부터, PWM 주기 중에 출력 상의 1상을 스위칭하지 않고 소정 상태로 고정하고 다른 상을 스위칭 하는 1상 고정 스위칭 모드인지, PWM 주기 중에 전체 상을 스위칭하는 전체 상 스위칭 모드인지를 결정하는 단계와,
    선택한 스위칭 모드와, 상기 출력 전압 지령과, 상기 3상 전원 전압으로부터 양 방향 스위치의 온 오프 패턴을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온 오프 패턴에 의거해 양방향 스위치를 온 오프시키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방법.
  8. 교류 전원의 각 상과 출력측의 각 상을 자기 소호 능력을 가지는 양방향 스위치로 접속하고, 교류 전원 전압을 상기 스위치의 온 오프 상태를 제어함으로써 임의의 전압을 출력하는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
    교류 전원의 중성점으로부터 본 각 상의 전압치에 의거해, 교류 전원의 최고의 전압치를 가지는 P상과 중간의 전압치를 가지는 M상, 최저의 전압치를 가지는 N상으로 종류를 구분하고, 출력측의 상과 교류 전원의 접속 상태에 의해 결정되는 전압 벡터를 육각형 공간 벡터도에 대응시켜, 출력해야 할 순시 전압 벡터와 동일한 전압 벡터를, 상기 육각형 공간 벡터도로부터 선택하고, 상기 순시 전압 벡터의 벡터 성분을 연산하는 벡터 성분 연산기와,
    상기 벡터 성분으로부터, 전압 벡터의 출력 시간을 연산하는 출력 시간 연산기를 구비하고,
    상기 시간 연산 장치의 연산 결과에 의거해, 전력 변환 장치의 스위치를 온 오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벡터 성분 연산기 및 상기 출력 시간 연산기는, 일정 주기마다 연산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동일한 벡터 성분을 가지는 전압 벡터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전압 벡터를 소정 시간마다 순차 선택하고, 교류 전원의 입력 전류를 정현파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3상 교류 출력의 각 상을 3상 교류 전원의 P상, N상, M상에 전기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얻어지는 cm 벡터를 출력하는 PWM 펄스 패턴과, 출력하지 않는 PWM 펄스 패턴을 전환하는 PWM 펄스 패턴 전환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PWM 펄스 패턴 전환기는, 입력 전류의 위상과 출력 전압의 위상에 의거해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13. 청구항 8에 있어서,
    3상 교류 출력의 각 상을 3상 교류 전원의 M상 및 P상 또는 N상 중 어느 한쪽에 접속하는 ap, an, bp, bn벡터와 제로 벡터의 PWM 펄스 패턴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14. 청구항 8에 있어서,
    출력 전압이 입력 전원의 선간 전압 최대치의 1/3정도 이하의 값을 취하는 제1의 설정치 이하에서는 3상 교류 출력의 각 상을 3상 교류 전원의 M상 및 P상 또는 N상 중 어느 한쪽에 접속하는 ap, an, bp, bn벡터와 제로 벡터의 PWM 펄스 패턴만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변환 장치.
KR1020077024733A 2005-04-27 2006-04-18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 KR1009496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128915 2005-04-27
JPJP-P-2005-00128915 2005-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6271A true KR20070116271A (ko) 2007-12-07
KR100949639B1 KR100949639B1 (ko) 2010-03-26

Family

ID=3730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733A KR100949639B1 (ko) 2005-04-27 2006-04-18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7701740B2 (ko)
JP (1) JP4626651B2 (ko)
KR (1) KR100949639B1 (ko)
CN (1) CN101171741B (ko)
DE (1) DE112006001095T5 (ko)
TW (1) TW200711283A (ko)
WO (1) WO20061180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74023B2 (ja) * 2004-03-31 2009-06-03 株式会社安川電機 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JP4957303B2 (ja) * 2007-03-14 2012-06-20 株式会社明電舎 交流−交流直接変換装置の空間ベクトル変調方法
US7920392B2 (en) * 2007-05-11 2011-04-05 Soft Switching Technologies Corporation Dynamic voltage sag correction
JP5126550B2 (ja) * 2007-07-20 2013-01-23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
JP5012309B2 (ja) * 2007-08-13 2012-08-29 株式会社明電舎 交流−交流直接変換装置のスイッチングパターン切替方法
JP5012311B2 (ja) * 2007-08-13 2012-08-29 株式会社明電舎 交流−交流直接変換装置のスイッチングパターン切替方法
JP5012310B2 (ja) * 2007-08-13 2012-08-29 株式会社明電舎 交流−交流直接変換装置のスイッチングパターン切替方法
JP2010239765A (ja) * 2009-03-31 2010-10-21 Panasonic Corp モータ駆動装置
JP4687824B2 (ja) * 2009-06-26 2011-05-25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3相整流器
CN102474197B (zh) * 2009-07-31 2015-04-22 大金工业株式会社 功率转换装置
EP2589137B8 (en) * 2010-06-29 2020-05-13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Power factor control of a cyclo-converter
JP4877411B1 (ja) * 2010-09-30 2012-02-15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リンク電圧測定方法
JP5329587B2 (ja) * 2011-03-07 2013-10-30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力変換装置
JP5377604B2 (ja) * 2011-09-06 2013-1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5437334B2 (ja) * 2011-09-06 2014-03-1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JP5377603B2 (ja) * 2011-09-06 2013-12-2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電力変換装置
EP2728729A2 (en) * 2012-10-30 2014-05-07 Kabushiki Kaisha Yaskawa Denki Matrix converter
KR20140074849A (ko) * 2012-12-10 2014-06-18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카와덴키 매트릭스 컨버터 및 매트릭스 컨버터의 제어 방법
JP5569583B2 (ja) * 2012-12-21 2014-08-13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
JP5672319B2 (ja) * 2013-01-23 2015-02-18 株式会社富士通ゼネラル マトリックスコンバータ
JP6165470B2 (ja) * 2013-03-04 2017-07-19 株式会社東芝 モータ制御装置,ヒートポンプシステム及び空気調和機
JP5962591B2 (ja) * 2013-06-03 2016-08-03 株式会社デンソー モータ駆動装置
JP5854017B2 (ja) * 2013-09-26 2016-02-09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
JP2015096020A (ja) * 2013-11-14 2015-05-18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および出力電圧誤差の補償方法
JP2015096019A (ja) * 2013-11-14 2015-05-18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および出力電圧誤差の補償方法
CN103812353B (zh) * 2014-03-05 2016-08-24 深圳市英威腾电气股份有限公司 一种矩阵变换器输出电压控制方法
KR101666712B1 (ko) * 2014-05-13 2016-10-14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모듈형 멀티레벨 컨버터
JP2016046957A (ja) * 2014-08-25 2016-04-04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および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
JP6331925B2 (ja) * 2014-09-25 2018-05-30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発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方法
JP2016067168A (ja) 2014-09-25 2016-04-28 株式会社安川電機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発電システムおよび電力変換方法
AU2016240621B2 (en) * 2015-03-31 2018-07-26 Fujitsu General Limited DC/AC system interconnection device and AC/AC system interconnection device
US10778123B2 (en) 2015-10-16 2020-09-15 Kohler Co. Synchronous inverter
US10063097B2 (en) 2015-10-16 2018-08-28 Kohler Co. Segmented waveform converter on controlled field variable speed generator
US10148207B2 (en) * 2015-10-16 2018-12-04 Kohler Co. Segmented waveform converter on controlled field variable speed generator
US10148202B2 (en) 2015-10-16 2018-12-04 Kohler Co. Hybrid device with segmented waveform converter
JP6956856B2 (ja) * 2018-03-29 2021-11-02 ヌヴォトンテクノロジージャパン株式会社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制御装置、及び、電力変換システム
CN110571841A (zh) * 2019-07-10 2019-12-13 台州宏达电力建设有限公司台州经济开发区运检分公司 变频输电系统
US11451156B2 (en) 2020-01-21 2022-09-20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Overvoltage clamp for a matrix converter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77738B2 (ja) * 1987-05-20 1997-02-05 三菱電機株式会社 Pwmインバ−タ装置
JP3865007B2 (ja) 1997-05-30 2007-01-10 株式会社安川電機 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装置
JP3815529B2 (ja) 1998-05-27 2006-08-30 株式会社安川電機 三相/三相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4134380B2 (ja) 1998-06-16 2008-08-20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圧電流極性検出装置とそれを備えた電力変換装置
JP3864327B2 (ja) 1998-10-30 2006-12-27 株式会社安川電機 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
JP4355873B2 (ja) 1999-12-10 2009-11-04 株式会社安川電機 電圧電流極性検出装置
DE10057783A1 (de) * 2000-11-22 2002-06-06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s Matrixumrichters
EP1306964A1 (en) 2001-10-29 2003-05-02 Phase Motion Control S.r.l. Control method for an AC-AC matrix converter
EP1311057A1 (en) * 2001-11-08 2003-05-14 Phase Motion Control S.r.l. Control method for a three-phase matrix converter
DE10260716A1 (de) * 2001-12-27 2003-07-10 Otis Elevator Co Mehrfach-PWM-Direktumrichter
JP4065727B2 (ja) * 2001-12-27 2008-03-26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多重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
JP3864834B2 (ja) 2002-04-15 2007-01-10 株式会社安川電機 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
JP4029282B2 (ja) * 2002-11-26 2008-01-09 富士電機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交流/交流直接変換形電力変換装置
JP2005045912A (ja) * 2003-07-22 2005-0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回路およびモータ駆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18026A1 (ja) 2006-11-09
CN101171741A (zh) 2008-04-30
TW200711283A (en) 2007-03-16
TWI308817B (ko) 2009-04-11
KR100949639B1 (ko) 2010-03-26
DE112006001095T5 (de) 2008-03-20
US7701740B2 (en) 2010-04-20
CN101171741B (zh) 2010-06-09
JPWO2006118026A1 (ja) 2008-12-18
JP4626651B2 (ja) 2011-02-09
US20090091954A1 (en) 2009-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9639B1 (ko) 전력 변환 장치와 전력 변환 방법
JP5263150B2 (ja) 電力変換装置
EP2204901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4824360B2 (ja) 電力変換装置
EP2204900B1 (en) Power conversion device
KR101119244B1 (ko) 전력 변환 장치에 있어서의 상태량 검출 방법 및 전력 변환 장치
JP5737445B2 (ja) 電力変換器制御装置
US8159851B2 (en) Matrix converter
US9130481B2 (en) Power converting appartatus
JP4862475B2 (ja) 交流−交流直接変換装置のスイッチングパターン生成方法
US9780717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motor driving device including power conversion device, blower and compressor including motor driving device, and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and freezer including blower and compressor
JP4747252B2 (ja) 交流−交流直接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JP4274023B2 (ja) Pwmサイクロコンバータ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装置
US20160049896A1 (en) Power conversion device, motor drive device including power conversion device, air blower and compressor including motor drive device, and air conditioner, refrigerator, and freezer including air blower and compressor
JP4893152B2 (ja) 交流−交流直接変換装置の空間ベクトル変調方法
JP4884131B2 (ja) 交流交流直接変換器の制御装置
JP4707111B2 (ja) 交流−交流直接電力変換器の制御装置
GB2458726A (en) Power transforming apparatus and power transforming method
US9531301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and motor driving device
JP4168222B2 (ja) ゲート信号出力装置
JPH07241082A (ja) 電力変換装置
JP2005192346A (ja) マトリクスコンバータ
JP5874835B2 (ja) 電力変換装置
JP4066156B2 (ja) 電力変換装置
JP2007185010A (ja) 交流直接変換器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