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4821A -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4821A
KR20070114821A KR1020077024004A KR20077024004A KR20070114821A KR 20070114821 A KR20070114821 A KR 20070114821A KR 1020077024004 A KR1020077024004 A KR 1020077024004A KR 20077024004 A KR20077024004 A KR 20077024004A KR 20070114821 A KR20070114821 A KR 200701148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
tert
methyl
phenyl
alk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4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04979B1 (ko
Inventor
서영거
김희두
박형근
오우택
이용실
박설린
유정현
박영호
신송석
김선영
김진관
정연수
이기화
최진규
임경민
고현주
모주현
김성일
배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평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평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평양
Publication of KR20070114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4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04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049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5/2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275/2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un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six-membered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the group >N—C(O)—N< or >N—C(S)—N<, e.g. urea, thiourea, carmu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2Stomatological preparations, e.g. drugs for caries, aphtae, periodont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12Antidiarrhoe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blad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2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peripheral neuropath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06Antimigraine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16Otolog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5/00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5/04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5/18Derivatives of urea,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having nitrogen atoms of urea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containing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02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 C07C311/08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saturated carbon skeleton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0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311/11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n acyclic un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23/0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 C07C323/50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323/62Thiols, sulfides, hydropolysulfides or polysulfides substituted by halogen, oxygen or nitrogen atoms, or by sulfur atoms not being part of thio groups containing thio groups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having the sulfur atom of at least one of the thio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six-membered aromatic ring of th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11/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1/3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ated pyridine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1/40Oxygen atoms
    • C07D211/44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 C07D211/46Oxygen atoms attached in position 4 having a hydrogen atom as the second substituent in position 4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 C07D295/08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07D295/08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singly bound oxygen or sulfur atom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oxygen or sulfur atoms attached to the same carbon chain, which is not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to an acyclic saturated chai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 C07D295/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 C07D29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C07D295/155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polymethylene-imine rings with at least five ring members, 3-azabicyclo [3.2.2] nonane, piperazine, morpholine or thiomorpholine rings, having only hydroge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carbon atom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nitrogen atom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with the ring nitrogen atoms and the carbon atoms with three bonds to hetero atoms separated by carbocyclic rings or by carbon chains interrupted by carbo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9/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9/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9/10Oxygen atoms
    • C07D309/12Oxygen atoms only hydrogen atoms and one oxygen atom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e.g. tetrahydropyranyl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7/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4 or 14 of the Periodic Table
    • C07F7/02Silicon compounds
    • C07F7/08Compounds having one or more C—Si linkages
    • C07F7/0803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 C07F7/081Compounds with Si-C or Si-Si linkages comprising at least one atom selected from the elements N, O, halogen, S, Se or 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Neur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Card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Hydrogenated Pyridines (AREA)
  • Pyran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바닐로이드 수용체 1; VR1; TRPV1)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통증, 편두통, 관절통, 신경통, 신경병, 신경 손상, 피부 질환, 방광 과민증, 과민성 장 증후군, 긴급 배변, 호흡기 장애, 피부, 눈 또는 점막의 자극, 위-십이지장 궤양, 염증성 질환, 귀 질환, 또는 심장 질환과 같은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를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바닐로이드 수용체(Vanilloid Receptor) 1; VR1; TRPV1]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활성과 연관된 질환으로서(내기(Nagy) 등의 문헌[2004, Eur. J. Pharmacol. 500, 351-369]), 통증, 예컨대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류마티스성 관절통, 골관절염 통증, 대상포진후 신경통, 신경통, 두통 및 편두통(피터센(Petersen) 등의 문헌[2000, Pain, 88, pp125-133]; 워커(Walker)등의 문헌[2003, J. Pharmacol. Exp. Ther., 304, pp56-62]); 신경-관련 질환, 예컨대 신경병, HIV-관련 신경병, 신경 손상, 신경퇴행 및 졸증(박(Park) 등의 문헌[1999, Arch. Pharm. Res. 22, pp432-434]; 김(Kim) 등의 문헌[2005, J. Neurosci. 25(3), pp662-671]); 당뇨병성 신경병(카마이(Kamei) 등의 문헌[2001, Eur. J. Pharmacol. 422, pp83-86]); 긴급 배변(fecal urgency); 과민성 장 증후군(찬(Chan) 등의 문헌[2003, Lancet, 361, pp385-391]); 염증성 장 질환(위안고우(Yiangou) 등의 문헌[2001, Lancet, 357, pp1338-1339]); 소화 기관 질환, 예컨대 위-십이지장 궤양 및 크론병(Crohn's disease)(홀처(Holzer P)의 문헌[2004, Eur. J. Pharm. 500, pp231-241]; 제페티(Geppetti) 등의 문헌[2004, Br. J. Pharmacol., 141, pp1313-1320]); 호흡 기관 질환, 예컨대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황(Hwang) 등의 문헌[2002, Curr Opin Pharm pp235-242]; 스피나(Spina) 등의 문헌[2002, Curr Opin Pharm pp264-272]); 요실금(비르더(Birder) 등의 문헌[2002, Nat. Neuroscience, 5, pp856-860]); 방광 과민증(urinary bladder hypersensitiveness)(비르더 등의 문헌[2001, Proc. Natl. Acad. Sci. 98, pp13396-13401]);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예컨대 건선, 소양증 및 양진(사우탈(Southall) 등의 문헌[2003, J. Pharmacol. Exp. Ther., 304, pp217-222]); 피부, 눈 또는 점막의 자극(토미나가(Tominaga) 등의 문헌[1998, Neuron 21 pp531-543]); 청각과민증; 이명; 전정 과민증(vestibular hypersensitiveness)(발라반(Balaban) 등의 문헌[2003, Hear Res. 175, pp165-70]); 심장 질환, 예컨대 근수축성(inotropic) 허혈 등(스콧랜드(Scotland) 등의 문헌[2004, Circ. Res. 95, pp1027-1034]; 판(Pan) 등의 문헌[2004, Circulation, 110, pp1826-1831])이 열거될 수 있다.
바닐로이드 수용체(VR1)는 고추의 매운 성분인 캅사이신(capsaicin)(8-메틸- N-바닐릴-6-노넨아미드)에 대한 수용체이다. 또한, 이의 분자생물학적 클로닝은 1997년에 보고되었다(카테리나(Caterina) 등의 문헌[1997, Nature 389, pp816-824]). 상기 수용체는 6개의 횡막(transmembrane) 도메인으로 이루어진 비-선택적 양이온 채널이고, TRP 채널 계열에 속한다. 최근에, 이는 TRPV1으로 지칭되었다. 한편, 바닐로이드 수용체는 캅사이신, 레지니페라톡신(resiniferatoxin), 열, 산, 아난다미드(anandamide), 지질 대사물질 등과 같은 자극에 의해 활성화되고; 따라서, 이는 포유동물에서 생리-화학적 유해 자극의 분자 조립자(molecular integrator)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도미나가(Tominaga) 등의 문헌[1998, Neuron 21 pp531-543]; 황 등의 문헌[2000, PNAS, 97, pp6155-6160]). 내인성(endogenous)/외인성(exogenous) 자극에 의한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활성화는 유해 자극의 전달 뿐만 아니라, 신경펩타이드, 예컨대 물질 P, CGRP(칼시토닌 유전자-관련 펩타이드: Calcitonin Gene-Related Peptide) 등의 방출을 유도하여, 신경성 염증을 초래한다. 바닐로이드 수용체는 1차 구심성(afferent) 감각 뉴런에서 고도로 발현된다. 보고에 따르면 이는 다양한 기관 및 조직, 예컨대 방광, 신장, 폐, 소장 및 피부, 및 중추 신경계(CNS), 예컨대 뇌 및 비-뉴런성 조직에서도 발현된다(메제이(Mezey) 등의 문헌[2000, PNAS, 97, pp3655-3660]; 스탠더(Stander) 등의 문헌[2004, Exp. Dermatol. 13, pp129-139]; 코트라이트(Cortright) 등의 문헌[2001, BBRC, 281, pp1183-1189]). 특히, TRPV1 수용체 넉-아웃(knock-out) 마우스는 해로운 물리적 자극에 정상적인 반응을 나타내지만, 바닐로이드에 의하여 열 자극에 대한 통증 반응 및 감각 감수성이 감소되고, 염증 상태에서 조차도 열 자극에 대한 통각과민(hyperalgesia)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다(카테리나(Caterina) 등의 문헌[2000, Science 288, pp306-313]; 데이비스(Davis) 등의 문헌[2000, Nature 405, pp183-187]; 카라이(Karai) 등의 문헌[2004, J. Clin. Invest., 113, pp1344-1352]). 최근에,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추가의 역할은 또한 바닐로이드 수용체가 또다른 TRP 채널인 TRPV3과 이종다량체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는 가능성의 제시에 의해 기대된다(스미쓰(Smith) 등의 문헌[2002, Nature, 418, pp186-190]).
전술된 바와 같이, 바닐로이드 수용체 넉-아웃 마우스는 열 또는 유해 자극에 대한 반응이 감소되었고, 따라서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이 다양한 통증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에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증가시켰다. 최근에, 이러한 가능성은 공지된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인 캅사제핀(capsazepine)이 또한 염증성 및 신경병성 통증의 모델에서 물리적 자극에 의해 야기된 통각과민을 감소시킨다는 보고에 의해 지지된다(워커 등의 문헌[2003, JPET, 304, pp56-62]; 가르시아-마르티네츠(Garcia-Martinez) 등의 문헌[2002, Proc. Natl. Acad. Sci. 99, 2374-2379]). 또한, 구심성 신경 세포와 바닐로이드 수용체 작용물질, 캅사이신 등의 1차 배양물로 처리하면 신경 기능을 손상시키고, 나아가 신경 세포를 사멸시킨다.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은 신경 기능의 이러한 손상 및 신경 세포 사멸에 대해 방어 작용을 한다(홀처의 문헌[1991, Pharmacological Reviews, 43, pp143-201]; 메제이 등의 문헌[2000, PNAS, 97, 3655-3660]). 바닐로이드 수용체는 위장관의 모든 영역, 예를 들면 장근(張筋)의 신경절, 근육층(tunica muscularis), 점막 및 상피 세포에서 발현된다. 특히, 바닐로이드 수용체는 결장 및 회장의 염증성 질환에서 고도로 발현된다.
또한,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활성화는 감각 신경을 자극하고, 자극받은 감각 신경은 장 질환의 발병원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공지된 신경펩타이드의 방출을 초래한다. 위장 장애의 진행에서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역할은 명확히 밝혀졌고, 최근의 과학 논문 및 간행물에 기록되어 있다: 예를 들면, 홀처의 문헌[2004, Eur. J. Pharm. 500, pp231-241]; 및 제페티 등의 문헌[2004, Br. J. Pharmacol., 141, pp1313-1320]. 이러한 문헌에 따르면,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은 위장 질환, 예컨대 위-식도 역류 질환(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및 위-십이지장 궤양(gastroduodenal ulcer: DU)의 예방 및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감각 신경의 수가 과민성 장 증후군을 앓는 환자에서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이러한 증가된 발현은 질환의 진행에 관여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찬 등의 문헌[Lancet, 361, pp385-391]). 다른 연구들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발현이 염증성 장 질환을 앓는 환자에서 크게 증가됨을 보여준다. 이와 함께,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은 이러한 장 질환에 대해 치료학적으로 유효할 수 있는 것으로 보인다(위안고우 등의 문헌[2001, Lancet, 357, pp1338-1339]).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구심성 신경은 기도 점막에 다량으로 분포되어 있다. 기관지 과민성은 통각과민과 매우 유사하고, 양성자 및 리폭시게네이즈(lipoxygenase) 생성물(이는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대한 내인성 리간드로 공지됨)은 천식 및 만성 폐색성 폐 질환의 진행을 책임지는 중요한 인자로서 공지되어 있다(황 등의 문헌[Curr. Opin. Pharm. pp235-242]; 스피나(Spina) 등의 문헌[2002, Curr. Opin. Pharm. pp264-272]). 추가로, 일종의 천식-유발 물질인 공기-오염 물질, 즉 미립자 물질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특이적으로 작용하고, 이러한 작용은 캅사제핀에 의해 저해되는 것으로 보고되었고, 따라서 호흡기 질환에 대한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의 사용가능성이 제안되었다(베로네시(Veronesi) 등의 문헌[2001, NeuroToxicology, 22, pp795-810]). 방광 과민증 및 요실금은 다양한 중추/말초 신경 장애 또는 손상에 의해 초래되고, 캅사이신-반응성 감각 신경은 방광 기능 조절 및 염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면역반응성은 래트의 방광 상피(요로상피)에서 보고되어 있고, 캅사이신에 의해 유도된 방광 과활성은 신경 섬유에 존재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 또는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의해 방출되는 다양한 전달자의 자극에 기인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비르더 등의 문헌[2001, Proc. Natl. Acad. Sci. 98, pp13396-13401]). 추가로, VR1(TRPV1) -/- 마우스는 해부학적으로는 정상이지만, 정상 마우스에 비해 낮은 수축력에 의해 비-배뇨성 방광 수축을 나타내고, 따라서 이는 바닐로이드 수용체가 방광의 기능에 영향을 미침을 의미한다(비르더 등의 문헌[2002, Nat. Neuroscience, 5, pp856-860]). 최근에 일부 바닐로이드 작용물질이 방광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치료제로서 개발되고 있다. 바닐로이드 수용체는 인간의 상피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 뿐만 아니라 1차 구심성 감각 신경에 분포되어 있고(덴다(Denda) 등의 문헌[2001, Biochem. Biophys. Res. Commun., 285, pp1250-1252]; 이노우에(Inoue) 등의 문헌[2002, Biochem. Biophys. Res. Commun., 291, pp124-129]), 다양한 유해 자극의 전달 및 통증, 예컨대 피부 자극 및 소양증에 관여하여, 신경성/비-신경성 인자에 기인한 피부 질환 및 장애, 예컨대 피부 염증의 발병원인과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이는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인 캅사제핀이 인간 피부 세포에서 염증성 인자를 저해한다는 보고에 의해 뒷받침된다(사우트홀(Southall) 등의 문헌[2003, J. Pharmacol. Exp. Ther., 304, pp217-222]).
전술된 정보를 근거로 하여, 다양한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의 개발이 진행되고 있고, 개발중인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에 관한 일부 특허 및 특허 출원이 최근에 공개되었다(여기에는 전술된 정보가 잘 개시되어 있다)(라미(Rami) 등의 문헌[2004, Drug Discovery Today: Therapeutic Strategies, 1, pp97-104]).
상기 논의된 이론적 배경에 근거하여 광범위하게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대한 선택적 작용에 의해 길항 활성을 갖는 신규한 화합물을 합성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놀랍게도, 다이벤질 유레아, 다이벤질아미드 또는 다이벤질신나모일 구조를 갖고 이의 페닐 고리 중 하나의 고리 상에 C2-C5 알케닐 또는 C2-C5 알키닐 뿐만 아니라 아민-함유 치환기를 보유하는 화합물 특히, 높은 활성을 가진 바닐로이드 수용체인 조절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대한 강력한 길항물질로서 유용한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a의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1
상기 식에서,
X는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페닐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카보닐아미노, C1-C5 알킬설포닐아미노, 페닐설포닐아미노,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또는 C1-C5 알콕시카보닐이고;
R3은 수소, C1-C5 알킬, C1-C5 알콕시 또는 할로 (C1-C5) 알킬이고;
R4, R5,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C2-C5 알키닐,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콕시카보닐, 페닐 또는 할로겐이고, 여기서 페닐은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9는 C1-C5 알킬설포닐 또는 C2-C5 알케닐설포닐이고;
R10은 수소이되;
R3이 수소가 아닌 경우, R11 및 R12는 동시에 수소가 아니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양태는 X가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브로모, 클로로, 요오도,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이고;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3이 수소, 메틸, 에틸 또는 메톡시이고; R4, R5, R6,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t-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C2-C5 알키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페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여기서 페닐이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9가 메탄설포닐, 에탄설포닐 또는 에테닐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이되; R3이 수소가 아닌 경우, R11 및 R12가 동시에 수소가 아닌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X가 트랜스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수소이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6이 할로 (C1-C3) 알킬,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는 X가 트랜스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 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5, R7 및 R8이 모두 수소이고; R6이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X가 CR11=CH, CH=CR12,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둘다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메틸이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6이 할로 (C1-C3) 알킬,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는 X가 CR11=CH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이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 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메틸이고; R4가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5, R7 및 R8이 모두 수소이고; R6이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는 R1이 설포닐아미노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페닐 고리에 결합되어 하기 화학식 Ib를 가진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2
화학식 Ia의 화합물에 따른 바람직한 화합물의 예는 하기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3-(4-3급-부틸-페닐)-N-(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2-메틸-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5-요오도-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 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프로피올릭아미드,
(E)-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메틸-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5-다이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2,5-다이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클로로-5-요오도-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5-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5-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2-메틸-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부트-2-엔산 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미드,
3-(4-3급-부틸-페닐)-N-[1-(R)-(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프로피올릭아미드,
3-(4-3급-부틸페닐)-N-[1-(R)-(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 및
3-(4-3급-부틸-페닐)-N-[1-(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나이트로, 시아노, C1-C5 알킬,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카복시, C1-C5 알콕시카보닐 또는 C1-C5 알킬티오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은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C2-C5 알키닐,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콕시카보닐, 페닐 또는 할로겐이고, 여기서 페닐은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6은 할로 (C1-C3) 알킬 또는 C1-C5 알킬이고;
R9는 C1-C5 알킬설포닐, C2-C5 알케닐설포닐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양태는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나이트로, 시아노, C1-C5 알킬,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카복시, C1-C5 알콕시카보닐 또는 C1-C5 알킬티오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이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C2-C5 알키닐,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콕시카보닐, 페닐 또는 할로겐이고, 여기서 페닐이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6이 C1-C5 알킬이고; R9가 C1-C5 알킬설포닐, C2-C5 알케닐설포닐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닐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는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시아노,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메톡시, 에톡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카복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이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3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에티닐, 아이소부틸, 메틸티오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고; R6이 C3-C5 알킬이고; R9가 메탄설포닐, 에탄설포닐 또는 에텐설포닐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는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시아노,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메톡시, 에톡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카복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이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이 수소이고; R6이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양태는 R1이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나이트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가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에틸, 및 요오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이 메틸, 에틸 및 n-프로 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경우 R2가 또한 수소일 수 있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3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에티닐, 아이소부틸, 메틸티오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고; R6이 할로 (C1-C3) 알킬 또는 C3-C5 알킬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인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양태는 R1이 설포닐아미노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페닐 고리에 결합된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본 발명의 보다 더 바람직한 양태는 R1 및 R2 둘다 설포닐아미노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결합되어 하기 화학식 IIa을 가진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이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4
화학식 II 또는 IIa의 화합물에서, 가장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는 수소, 플루오로 및 클로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화학식 II의 화합물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예는 하기 화합물들로 이루어 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5-클로로-2-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에틸-6-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클로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나이트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5-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클로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5-클로로-2-에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및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은 화학적으로 하기 반응식에 의해 합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5
상기 반응식 1은 아크릴아미드 화합물(3)을 합성하기 위해 제안된 과정을 나타낸다. 불포화 아릴아크릴산(2)을 벤질아민 및 다이에틸시아노포스페이트와 반응시켜 아크릴아미드(3)를 수득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6
반응식 2는 아크릴아미드 화합물을 합성하기 위한 또다른 과정을 나타낸다. DMTMM 4-(4,6-다이메톡시-1,3,5-트라이아진-2-일)-4-메틸모폴리늄 클로라이드(Tetrahedron Lett., 1999, 40, 5327)를 다이에틸시아노포스페이트 대신에 사용하여 화합물(6)을 합성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7
반응식 3은 입체특이적 아크릴아미드 화합물(9)을 합성하기 위해 제안된 과정을 나타낸다. 아릴아크릴산(8)을 벤질아민(7)과 반응시켜 주쇄의 구조가 상이한 아크릴아미드(9)를 수득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8
반응식 4는 아크릴아미드 유도체(12)를 합성하기 위해 제안된 과정을 나타낸다. 불포화 지방산의 알켄 위치에 다양한 치환기를 갖는 에스터 화합물(10)을 가수분해하여 지방산(11)을 수득한다. 반응식 3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치환기를 갖는 불포화 지방산(11)을 사용하여 화합물(12)을 합성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09
상기 반응식 5는 프로피올릭아미드 화합물(15)을 합성하기 위해 제안된 과정을 나타낸다. 3중 결합을 갖는 산 화합물(14)을 벤질아민 화합물(7)과 반응시켜 목적 화합물(15)을 수득한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0
상기 반응식 6은 다이벤질 유레아 화합물(17)을 합성하기 위해 제안된 과정을 나타낸다. 우선, 치환된 벤질아민을 다이-3급-부틸다이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벤질 카바메이트를 동일반응계에서 수득하고, 상기 반응 혼합물에 메탄설포닐 기를 갖는 치환된 벤질아민(4) 및 트라이에틸아민을 즉시 첨가하여 다이벤질유레아 화합물(1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1
상기 반응식 7은 벤질 아이소시아네이트(18)를 사용하여 유레아 화합물(19)을 합성하는 신규 과정을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2
반응식 8은 다양한 유레아 유도체를 합성하기 위한 나머지 반응을 나타낸다. 다양한 치환기를 갖는 벤질아민 화합물을 (4-3급-부틸-벤질)-카밤산 페닐 에스터(20)와 반응시켜 유레아 화합물(21)을 수득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성분으로서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활성 성분으로서의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통증, 급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편두통, 관절통, 신경병, 신경 손상, 당뇨병성 신경병, 신경퇴행, 졸증,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소양증, 양진, 방광 과민증, 과민성 대장 증후군, 긴급 배변, 크론병, 호흡기 장애, 예컨대 천식 또는 만성 폐색성 폐 질환, 피부, 눈 또는 점막의 자극, 위-십이지장 궤양, 염증성 장 질환 또는 염증성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에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바닐로 이드 수용체의 병리학적 자극 및/또는 비정상적 발현과 관련된 질환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와 관련된 증상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앞서, 바닐로이드 수용체와 관련된 상기 증상은 통증, 편두통, 관절통, 신경통, 신경병, 신경 손상, 피부 질환, 방광 과민증, 과민성 장 증후군, 긴급 배변, 호흡기 장애, 피부, 눈 또는 점막의 자극, 위-십이지장 궤양, 염증성 질환, 귀 질환 또는 심장 질환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바닐로이드 수용체와 관련된 상기 증상은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류마티스성 관절통, 골관절염 통증, 치료후 신경통, 당뇨병성 신경병, HIV-관련 신경병, 신경퇴행, 졸증,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소양증, 양진,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요실금, 염증성 장 질환, 청각과민증, 이명, 전정 과민증 또는 근수축성 허혈이다.
한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추가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중 임의의 화학식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통증, 염증성 관절 자가면역 질환을 비롯한 염증성 관절 질환, 요실금을 비롯한 방광 과민증, 위-십이지장 궤양, 과민성 장 증후군(IBS) 및 염증성 장 질환(IBD),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소양증 및 양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 는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골관절염("OA"), 류마티스성 관절염("RA"), 강직성 척추염(Ankylosing Spondylitis: "AS"), 당뇨병성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섬유근육통, 근막통 증후군, 및 등 통증을 포함함), 편두통 및 다른 유형의 두통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이거나 이와 연관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이 골관절염과 관련된 통증을 치료하기 위해 유용하다고 주장되는 경우, 이는 골관절염의 다른 징후 및 증후의 치료 또한 포함한다는 것이 배제되지 않을 것이다. 골관절염과 연관된 통증을 감소시키는 것 이외에, 골관절염의 약리학적 조정은 관절의 운동성을 유지시키고 관절 장애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염증성 관절 질환"이라는 용어는 관절, 예컨대 무릎, 손가락, 둔부 등의 관절에서의 다소간의 염증성 과정을 수반하는 질환을 포함한다. 이러한 질환의 일예는 골관절염이다. "염증성 관절 질환"이라는 용어는 또한 자가면역 과정을 수반할 수 있는 질환 또는 증상, 예컨대 류마티스성 관절염 또는 강직성 척추염 또한 포함한다. "염증성 관절 질환"에 대한 본 발명의 치료는 우선적으로 이러한 증상과 관련된 통증을 치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할 뿐만 아니라, 예컨대 질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관절의 움직임과 관련된 통증을 감소시킴으로써 이러한 관절의 기능을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개선시키는 것으로 목적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염증성 관절 질환을 앓는 환자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을 투여한 결과 중 하나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배합물을 투여하기 직전에 환자가 겪는 통증에 비하여 상기 질환을 앓는 환자가 겪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상기 치료의 또다른 결과는 약리학적 치료 또는 다른 치료요법의 결과로서 이미 감소되어진 통증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료의 또다른 결과는 염증성 관절 질환, 예를 들면 구체적으로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과 관련된 징후의 발생 및/또는 심각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적합하게는, 치료는 강직을 감소시키고 운동성을 개선시키는 등, 관절의 기능을 개선시킬 수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골관절염(OA)"이라는 용어는 전형적으로 가동관절(운동성, 활액이 덮혀짐(synovial-lined))의 장애를 갖는 질환을 포함한다. 가장 흔한 질환 형태인 특발성(1차) OA에서, 어떠한 예후 인자도 나타나지 않는다. 2차 OA는 근원적인 원인에 기인할 수 있다. 통증 및 관절 기능부전은 OA의 기본적인 증후이다. OA의 관절 통증은 종종 심통(deep ache)으로서 기술되고, 관여된 관절에 국한된다. 전형적으로 OA의 통증은 관절의 사용에 의해 심해지고 휴식에 의해 완화되지만, 질환이 진행됨에 따라, 이는 영구화될 수 있다. 수면을 방해하는 야간 통증은 특히 둔부의 OA의 진행시에 관찰되고, 기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아침 또는 비활동 기간 이후에 일어나는 관여된 관절의 강직은 현저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20분 미만동안 지속된다.
"RA"라는 용어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을 지칭한다. RA는 면역 시스템이 관절, 및 특히 관절중의 활액막을 공격하는 만성 염증성 자가면역 질환이다. 활액막에 염증이 일어나면, 활액막은 팽창 및 통증을 초래한다. RA의 기본적인 증후는 관절 통증 및 강직이지만, 추가의 증후로는 근육통, 빈혈 및 발열이 포함된다. RA의 진단은 "류마티스(또는 "류마티즘") 인자"로 지칭되는 혈액중의 항체를 검출하고/하거나 혈액 침강 시험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다른 유용하고 통상적인 시험은 "항핵(antinuclear) 항체" 또는 "C-반응성 단백질"의 검출이다.
"AS"는 강직성 척추염을 나타내고, 이는 관절, 특히 척추 관절의 관절염, 염증 및 궁극적 부동화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의 진행성 자가 면역 질환이다. 이는 척추 관절(척추골)의 진행 중인 팽윤 및 자극의 결과로서 (종종 아침 시간에) 등의 통증 및 강직을 초래한다. 척추골에 연결되어 이를 지지하는 힘줄 및 인대의 염증은 늑골, 견갑골, 둔부, 허벅지, 정강이, 뒤꿈치에서 및 정강이의 골점(bony point)을 따라 통증 및 연화(tenderness)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관절의 염증성 자가면역 질환과 연관된 통증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것으로 주장되는 경우, 이는 RA 또는 AS와 관련된 등 통증, 관절 통증 및 근육 통증을 비롯한 염증성 관절 자가면역 질환을 앓는 대상이 겪는 1종 이상의 통증 증후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배합물을 투여함을 지칭한다. 통증 완화 이외에, 관절의 염증성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는 또한 활액막의 염증 및/또는 팽윤의 감소를 포함하고, 특히 RA 또는 AS를 앓는 환자에서 관절의 기능성의 개선(즉, 운동성의 유지 및 장애의 최소화)을 도울 수 있다.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의 치료는 등 통증, 섬유근육통 및 근막통 증후군을 비롯한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을 앓는 대상이 겪는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화합물의 배합물을 투여함을 지칭한다. 치료의 한가지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배합물을 투여하기 직전에 상기 질환을 앓는 환자가 겪는 통증에 비해 이러한 환자가 겪는 통증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치료의 또다른 결과는 약학 치료의 결과로서 이미 감소되어진 통증의 재발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치료의 또다른 결과는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 예를 들면 등 통증, 섬유근육통 및 근막통 증후군과 관련된 징후의 발생 및/또는 심각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적합하게는, 치료는 정상적인 비-유해수용성(non-nociceptive) 자극에 의해 발생된 통증(이질통: allodynia)을 특징으로 하는 증가된 근육 감수성 또는 유해수용성 자극에 의해 발생된 증가된 통증 강도(감각과민: hyperalgesia)를 감소시킨다. 최종적으로,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의 치료는 또한 등 통증, 섬유근육통 및 근막통 증후군의 연관된 증후를 개선시킬 수도 있다.
"섬유근육통" 또는 "FMS"라는 용어는 골 및 관절을 지지하고 움직이는 조직전체를 통한 만연된 통증 및 강직을 일으키는 증후군과 관련된다. 섬유근육통은 적어도 11개 내지 18개의 특이적 근육-힘줄 부위에 압력을 적용할 경우 과도한 연화의 존재에 의해 진단될 수 있다.
"근막통 증후군"은 만성 비-퇴행성,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 증상이다. 근육내의 별개의 영역 또는 이의 섬세한 연결 조직 외피(근막: fascia)는 비이상적으로 두꺼워지거나 팽팽해진다. 근막 조직이 팽팽해지고 그의 탄성을 손실할 경우, 뇌와 신체 사이에 메세지를 보내고 수용하는 신경전달자 능력이 손상된다. 증후는 유발 부위로부터의 일정 영역내에서의 근육 강직 및 동통, 및 찌르는듯한 쑤 심(sharp shooting pains), 또는 욱신거림(tingling) 및 저림(numbness)을 포함한다. 가장 흔한 유발 부위는 목, 등 또는 엉덩이중에서이다.
"등 통증"은 급성이거나 만성일 수 있는 통상의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 증상이다. 이는 요추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질환 및 장애에 의해 초래될 수 있다. 허리 통증은 종종 좌골신경통에 동반되는데, 좌골 신경통은 좌골 신경을 수반하는 통증이고 허리, 엉덩이 및 허벅지 뒤에서 감지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과활성 방광의 징후 및 증후, 예컨대 요실금, 보다 구체적으로 절박 요실금, 스트레스 요실금, 긴급 뇨증, 야뇨증 및/또는 빈뇨증의 치료에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에 적합하다. 다르게는, 피부 질환이 치료되어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은 또한 국소 또는 경피 사용을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환자에서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바닐로이드 리간드가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관점에서, 본 발명은 치료 유효량의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치료가 요구되는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통증, 편두통, 관절통, 신경병, 신경 손상, 피부 질환, 방광 과민증, 과민성 장 증후군, 긴급 배변, 호흡기 장애, 피부, 눈 및 점막의 자극, 위-십이지장 궤양 및 염증성 질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질환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에서, 질환은 또한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당뇨병성 신경병, 신경퇴행, 졸증,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소양증, 양진,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요실금 또는 염증성 장 질환으로부터 선택된다.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양태에서, 상기 방법은 골관절염("OA"), 류마티스성 관절염("RA"), 강직성 척추염("AS"), 당뇨병성 신경병성 통증,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섬유근육통, 근막통 증후군 및 등 통증을 포함함), 수술후 통증, 편두통 및 두통의 다른 유형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이거나 이와 관련된 통증을 치료하는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길항물질로서의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비이상적 발현 및/또는 비이상적 활성화와 관련된, 바닐로이드 수용체와 관련된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또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바닐로이드 수용체와 관련된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 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한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한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통증, 염증성 관절 자가면역 질환, 요실금을 비롯한 방광 과민증, 위-십이지장 궤양, 과민성 장 증후군(IBS) 및 염증성 장 질환(IBD),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COPD), 소양증 및 양진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람직한 양태에서,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통증을 치료하기 위한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이때 통증은 골관절염("OA"), 류마티스성 관절염("RA"), 강직성 척추염("AS"), 당뇨병성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섬유근육통, 근막통 증후군 및 등 통증을 포함함), 편두통 및 다른 유형의 두통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이거나 이와 연관된 통증이다.
이후, 제형 방법 및 부형제의 종류가 기재될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학식 (Ia), (Ib), (II) 또는 (I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보조제, 희석제 등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오일,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주사액을 생성하기 위해 흔히 사용되는 기타 용매에 용해될 수 있다. 담체의 적합한 예로는 생리식염수,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탄올, 식물성 오일, 아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등이 포함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 는다. 국소 투여를 위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연고 또는 크림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또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고, 단독으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다른 활성 화합물과 병용되거나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수용성 용매, 예컨대 식염수 및 5% 덱스트로즈, 또는 수-불용성 용매, 예컨대 식물성 오일, 합성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고급 지방산 에스터 및 프로필렌 글리콜에 용해, 현탁 또는 유화됨으로써 주사액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은 임의의 통상의 첨가제, 예컨대 용해제, 등장성 제제, 현탁제, 유화제, 안정화제 및 방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바람직한 투여량 수준은 환자의 증상 및 체중, 특정 질환의 심각성, 투여 형태, 및 투여 경로와 기간을 비롯한 다양한 인자에 따라 달라지지만, 당분야의 숙련가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1일 0.001 내지 100mg/체중 1kg,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30mg/체중 1kg의 양으로 투여된다. 투여량은 1일 1회 투여되거나, 각각 분할된 분량으로 1일 수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약학 조성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0.0001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중량%의 양으로 약학 조성물에 사용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 대상, 예컨대 래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에게 다양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쉽게 기대될 수 있는 투여 방법으로 는 경구 및 직장 투여; 정맥내, 근육내, 피하, 자궁내, 경막내(duramatral) 및 뇌실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정의에 대한 상세한 설명
화합물,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이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 및 이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를 설명할 경우, 본원에 사용된 모든 용어는 당분야의 숙련가, 예를 들면 의약 화학자, 약사 또는 의사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의미를 가질 것이다. 예로서 특정 기의 일부 정의가 아래에 제시되어 있다.
"알킬"은 일가의 포화 지방족 탄화수소 기를 포함한다. 탄화수소 쇄는 직쇄이거나 분지쇄일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아이소프로필, n-부틸, 아이소-부틸 또는 3급-부틸과 같은 기에 의해 예시된다.
"알콕시"는 R이 알킬인 -OR 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알콕시 기로는, 예를 들면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아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3급-부톡시, 2급-부톡시, n-펜톡시, 1,2-다이메틸부톡시 등이 포함된다.
"알케닐"은 1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1가 올레핀성 불포화 탄화수소 기를 포함한다. 구체적인 알케닐 기로는 에테닐(-CH=CH2), n-프로페닐(-CH2CH=CH2), 아이소프로페닐(C(CH3)=CH2) 등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알케닐" 기는 에테닐(비닐)이다.
"알키닐"은 1개 이상의 삼중 결합을 갖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아세틸렌성 불포화 탄화수소 기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알키닐 기는 에티닐(아세틸렌)이다.
"알킬설포닐"은 라디칼 -S(O)2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기임)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탄설포닐, 에틸설포닐, 프로필설포닐, 부틸설포닐 등이 포함된다.
"알킬티오"는 라디칼 -S-R(여기서, R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치환될 수 있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기임)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예로는,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메틸티오, 에틸티오, 프로필티오, 부틸티오 등이 포함된다.
"아미노"는 라디칼 -NH2를 지칭한다.
"카복시"는 라디칼 -C(=O)OH를 지칭한다.
"에테닐"은 -CH=CH2를 지칭하고, 이는 본원에서 또한 "비닐"로서 명명된다.
"에티닐"은 -C≡CH을 지칭한다.
"할로" 또는 "할로겐"은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및 요오도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할로 기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다.
"할로알킬"은 동일하거나(이 경우 예를 들면,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또는 펜타플루오로에틸임) 상이한 1종 이상의 할로겐으로 치환된, 상기 추가로 정의된 바와 같은 "알킬" 기를 포함한다.
"하이드록시"는 라디칼 -OH를 지칭한다.
"나이트로"는 라디칼 -NO2를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동물,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에서의 사용에 대하여 연방정부 또는 주정부의 규제 기관에 의해 승인되거나, U.S. 약전(藥典) 또는 기타 통상적으로 인식된 약전에 열거됨을 의미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하면서, 모 화합물의 목적하는 약리학적 활성을 갖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이러한 염으로는, (1) 무기산, 예컨대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에 의해 형성되거나, 유기산, 예컨대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헥산산,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온산, 글리콜산, 피루브산, 락트산, 말론산, 석신산, 말산, 말레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3-(4-하이드록시벤조일)벤조산, 신남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1,2-에탄-다이설폰산, 2-하이드록시에탄설폰산, 벤젠설폰산, 4-클로로벤젠설폰산, 2-나프탈렌설폰산, 4-톨루엔설폰산, 캄포설폰산, 4-메틸바이사이클로[2.2.2]-옥트-2-엔-1-카복실산, 글루코헵톤산, 3-페닐프로피온산, 트라이메틸아세트산, 3급 부틸아세트산, 라우릴 황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하이드록시나프트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뮤콘산 등에 의해 형성되는 산 부가 염; 또는 (2) 모 화합물에 존재하는 산성 양성자가 대체될 경우 형성되는 염이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본 발명의 화합물과 함께 투여되는 희석제, 보조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지칭한다.
"예방하는" 또는 "예방"은 질환 또는 장애에 걸릴 위험을 감소시킴(즉, 질환 에 노출되거나 질환에 걸리기는 쉽지만 아직 질환에 걸리거나 질환의 증후를 나타내지 않는 대상에서 질병의 1종 이상의 임상적 증후가 진행되지 않도록 함)을 지칭한다.
"대상"은 인간을 포함한다. "인간", "환자" 및 "대상"이라는 용어는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치료 유효량"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대상에게 투여할 경우 질환에 대해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화합물의 양을 의미한다. "치료 유효량"은 화합물, 질환 및 이의 심각성, 및 치료될 대상의 연령, 체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임의의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한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를 경감시킴(즉, 질환, 또는 이의 1종 이상의 임상적 증후의 진행을 저지 또는 감소시킴)을 지칭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대상에 의해 식별될 수 없는 1종 이상의 물리적 매개변수를 경감시킴을 지칭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를 물리적으로(예컨대, 식별가능한 증후의 안정화), 생리학적으로(예컨대, 물리적 매개변수의 안정화), 또는 이들 둘다로 조정함을 지칭한다. 또다른 실시양태에서,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질환 또는 장애의 발병시기를 지연시킴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제한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 1: 3-[4-3급-부틸- 페닐 ]-N-[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3
단계 1: 2- 플루오로 -4- 요오도 -1-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젠
2-플루오로-4-요오도아닐린(1.50g, 6.33 밀리몰), 피리딘(1.02mL) 및 MsCl(700㎕, 9.50 밀리몰)을 CH2Cl2(40mL)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1.5N HCl로 완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CH2Cl2로 추출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잔여 액체를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화합물 37a(1.89g, 95%)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4
단계 2: 4- 시아노 -2- 플루오로 -1- 메탄설포닐아미노벤젠
2-플루오로-4-요오도-1-메탄설포닐아미노 벤젠을 DMF(10mL)에 용해시켰다. Zn(CN)2(845mg, 7.2 밀리몰) 및 Pd(PPh3)4(187mg, 0.16 밀리몰)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 내지 90℃에서 1시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 을 에틸아세테이트(20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잔여 액체를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화합물 38a(1.03g, 80%)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5
단계 3: 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단계 2에서 제조된 4-시아노-2-플루오로-1-메탄설포닐아미노벤젠(1.03g)을 메탄올(20mL)에 용해시키고, 촉매량의 10중량% Pd/C 및 농축 HCl(3mL)을 첨가하여 수소화시켰다. 반응 용액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에터로 희석하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1.13g, 9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6
단계 4: 3-[4-3급-부틸- 페닐 ]-N-[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2-프로펜산(500mg, 2.45 밀리몰) 및 옥살릴 클로라이드(2.0당량, 0.43 mL, 4.89 밀리몰)를 메틸렌클로라이드(10mL)에 첨가하였다. DMF(5 소적)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 응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 및 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민 HCl 염(1.2당량, 748mg, 2.94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10mL)에 용해시켰다. Et3N(2.4당량, 0.82mL, 5.87 밀리몰)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EtOAc:n-헥산 = 1:1)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틸설포닐아미노-벤질]-2-프로펜아미드(264mg, 27%)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7
실시예 2: 3-(4-3급-부틸- 페닐 )-N-(3- 클로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8
N-(4-아미노메틸-2-클로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HCl 염(200mg, 0.74 밀리몰)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과 반응시켜 백색 고형분(260mg, 83%)을 제공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19
실시예 3: 3-(4-3급-부틸- 페닐 )-N-(3- 메틸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0
3-메틸-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40mg, 0.56 밀리몰),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1.1당량, 0.13g) 및 DMTMM(1.1당량, 0.185g)을 25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1N H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고형분(49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1
실시예 4: 3-(4-3급-부틸- 페닐 )-N-(3,5- 다이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2
N-(4-아미노메틸-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HCl 염(100mg, 0.37 밀리몰)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과 반응시켜 백색 고형분(150mg, 9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3
실시예 5: 3-(4-3급-부틸- 페닐 )-N-(2,5- 다이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4
25ml의 환저 플라스크에 N-(4-아미노메틸-2,5-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5mg, 0.46 밀리몰),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1.2당량, 112mg) 및 DMTMM(1.2당량, 152mg)을 넣었다. 상기 혼합물에 15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붓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1N H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고형분(147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5
실시예 6: 3-(4-3급- 부틸페닐 )-N-(3- 클로로 -5- 요오도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6
단계 1: 4-아미노-3- 클로로 -5- 요오도벤조나이트릴
4-아미노-3-클로로-벤조나이트릴(100mg, 0.66 밀리몰) 및 ICl(1.1당량, 0.72 밀리몰, 117.05m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급랭시켰다. 수성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용액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3:1) 4-아미노-3-클로로-5-요오도벤조나이트릴(65.2mg, 35.8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7
단계 2: (4-아미노-3- 클로로 -5- 요오도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4-아미노-3-클로로-5-요오도벤조나이트릴(65.2mg, 0.23 밀리몰)을 0℃에서 THF에 용해시켰다. 보란-THF 착체(4당량, 0.94 밀리몰, 0.94ml)를 반응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한 후, 반응 온도를 상승시켜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MeOH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4-아미노메틸-2-요오도-6-메틸-페닐아민(19.4mg)을 수득하였다.
4-아미노메틸-2-클로로-6-요오도페닐아민(52.92mg, 0.19 밀리몰)을 THF에 용해시킨 다음, Boc2O(1.1당량, 0.21 밀리몰, 47.48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5:1) 고형분(34.37mg, 47.9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8
단계 3: (3- 클로로 -5- 요오도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4-아미노-3-클로로-5-요오도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254.7mg, 0.67 밀리몰)를 아르곤 분위기하에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첨가하였다.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5당량, 3.33 밀리몰, 258.04㎕) 및 TEA(3당량, 2.00 밀리몰, 278.80㎕)를 혼합 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수성 NaHCO3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급랭시켰다. 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CuSO4, H2O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THF:H2O = 2:1)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화합물 및 NaOH(5당량, 3.33 밀리몰, 133.2mg)를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10% HCl 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3:1) 황색 고형분(122.0mg, 39.7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29
단계 4: N-(4- 아미노메틸 -2- 클로로 -6- 요오도 - 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3-요오도-4-메탄설포닐아미노-5-메틸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122.0mg, 0.27 밀리몰) 및 CF3COOH(5 내지 6 소적)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하에 농축시켜 갈색빛 시럽(142.2m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0
단계 5: 3-(4-3급- 부틸페닐 )-N-(3- 클로로 -5- 요오도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아크릴아미드
N-(4-아미노메틸-2-클로로-6-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50mg, 0.11 밀리몰) 및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1.2당량, 0.13 밀리몰, 25.84mg)을 DMF에 첨가하였다. DEPC(1.2당량, 0.13 밀리몰, 19.72㎕) 및 TEA(2당량, 0.22 밀리몰, 30.66㎕)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1:1) 백색 고형분(33.4mg, 55.6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1
실시예 7: 3-(4-3급-부틸- 페닐 )-N-(3- 클로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5- 메틸벤질 )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2
단계 1: 2- 클로로 -4- 요오도 -6- 메틸페닐아민
2-클로로-6-메틸-페닐아민(50㎕, 0.35 밀리몰) 및 ICl(1.1당량, 0.39 밀리 몰, 63.06mg)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티오황산나트륨 수용액을 첨가하여 혼합물을 급랭시켰다. 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7:1) 보라색 시럽(85.1mg, 9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3
단계 2: 4-아미노-3- 클로로 -5- 메틸벤조나이트릴
2-클로로-4-요오도-6-메틸-페닐아민(85.1mg, 0.32 밀리몰)을 피리딘에 용해시켰다. CuCN(0.96 밀리몰, 85mg)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3:1) 고형분(22.7mg, 4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4
단계 3: (4-아미노-3- 클로로 -5- 메틸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4-아미노-3-클로로-5-메틸-벤조나이트릴(499.4mg, 3.00 밀리몰) 및 보란-THF 착체(4당량, 12.04 밀리몰, 12.04ml)를 THF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 안 환류하에 교반하였다.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MeOH를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MeOH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여 4-아미노메틸-2-클로로-6-메틸-페닐아민(19.4mg)을 황색 시럽으로서 수득하였다.
4-아미노메틸-2-클로로-6-메틸-페닐아민(571.5mg, 3.36 밀리몰) 및 Boc2O(0.8당량, 2.69 밀리몰, 618.29㎕)를 THF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합한 유기 층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여 고형분(481.1mg, 59%)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5
단계 4: (3- 클로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5- 메틸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4-아미노-3-클로로-5-메틸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300mg, 1.11 밀리몰),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5당량, 5.55 밀리몰, 428.81㎕) 및 TEA(3당량, 3.33 밀리몰, 464.13㎕)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NaHCO3 수성 용액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급랭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혼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 여(n-Hx:EA = 3:1) 황색 고형분(153.8mg, 4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6
단계 5: N-(4- 아미노메틸 -2- 클로로 -6- 메틸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5-메틸-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153.8mg, 0.44 밀리몰) 및 CF3COOH(5 내지 6 소적)를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진공하에 농축하여 시럽(159.6m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7
단계 6: 3-(4-3급-부틸- 페닐 )-N-(3- 클로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5- 메틸벤질 ) 아크릴아미드
N-(4-아미노메틸-2-클로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51.9mg, 0.14 밀리몰) 및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1.2당량, 0.17 밀리몰, 35.11mg)을 DMF에 첨가하였다. DEPC(1.2당량, 0.17 밀리몰, 25.49㎕) 및 TEA(2당량, 0.28 밀리몰, 39.02㎕)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1:1) 백색 고형분(59.6mg, 9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8
실시예 8: 3-(4-3급- 부틸페닐 )-N-(3- 플루오로 -5- 요오도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39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DMF중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59.4mg, 0.291 밀리몰, 1당량) 및 다이에틸시아노포스핀(48.6㎕, 0.320 밀리몰, 1.1당량)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N-(4-아미노메틸-2-플루오로-6-요오도페닐)에탄설폰아미드(100mg, 0.291 밀리몰, 1당량)(실시예 14의 단계 4에서 제조됨) 및 트라이에틸아민(121.7㎕, 0.873 밀리몰, 3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생성된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황색 고형분(59.8mg, 38.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0
실시예 9: 3-(4-3급-부틸- 페닐 )-N-(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5- 메틸 -벤질)-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1
N-(4-아미노메틸-2-플루오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HCl 염(100mg, 0.35 밀리몰)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3-(4-3급-부틸-페닐)-아크릴산과 반응시켜 백색 고형분(140mg, 9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2
실시예 10: 3-(4-3급- 부틸페닐 )-N-(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2- 메틸 - 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3
단계 1: 3-(4-3급- 부틸페닐 )-2- 메틸아크릴산 에틸 에스터의 합성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중 MgBr2 다이에틸 에테레이트(1.2당량, 95.51mg, 0.37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1ml)중 TEA(1.54당량, 0.48 밀리몰, 66.53㎕) 및 트라이에틸-2-포스포노프로피오네이트(1.4당량, 0.43 밀리몰, 94.50㎕)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1ml)중 3급-부틸 벤즈알데하이드(50㎕, 0.31 밀리몰)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진행을 확인한 후, NH4Cl로 반응물을 급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80/1) 22.0mg의 E-이성체(조질-기질과 E-이성체의 혼합물 32.1mg)(29.00%)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4
단계 2: 3-(4-3급- 부틸페닐 )-2- 메틸아크릴산
3-(4-3급-부틸-페닐)-2-메틸-아크릴산 에틸 에스터(516.3mg, 2.10 밀리몰)를 25ml의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NaOH 용액(3당량, 6.29 밀리몰, 251.69mg)을 천천히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0% HCl로 산성화시켜 백색 고형분(411.5mg, 89.9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5
단계 3: 3-(4-3급- 부틸페닐 )-N-(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2- 메틸 - 아크릴아미드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DMF중 3-(4-3급-부틸-페닐)-2-메틸-아크릴산(200mg, 0.92 밀리몰) 및 N-(4-아미노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1.2당량, 1.10 밀리몰, 220.12mg)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TEA(2당량, 1.84 밀리몰, 256.46㎕) 및 다이에틸시아노포스포네이트(1.2당량, 1.10 밀리몰, 166.90㎕)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DMF를 감압하에 제거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백색 고형분(124.0mg, 33.8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6
실시예 11: 3-(4-3급- 부틸페닐 )-N-[1-(R)-(4- 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 )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7
N-[4-(1-아미노에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0.25 밀리몰, 82.72mg) 및 3-(4-3급-부틸페닐)-2-메틸아크릴산(0.23 밀리몰, 50mg)을 DMF에 첨가하였다. DEPC(0.27 밀리몰, 41.88㎕) 및 TEA(0.46 밀리몰, 64.11㎕)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진공하에 제거한 후,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H2O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2:1 1:2) 백색 고형분(58.1mg, 60.99%)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8
실시예 12: 3-(4-3급- 부틸페닐 )-N-(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2-메틸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49
N-(4-아미노메틸-2-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0.10 밀리몰, 30.0mg) 및 3-(4-3급-부틸페닐)-2-메틸아크릴산(1.1당량, 0.11 밀리몰, 21.68mg)을 DMF에 용해시키고, DEPC(1.2당량, 0.12 밀리몰, 18.21㎕) 및 TEA(2당량, 0.20 밀리몰, 27.88㎕)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tOAc = 1:1) 백색 고형분(24.5mg, 58.59%)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0
실시예 13: 3-(4-3급-부틸- 페닐 )- 부트 -2- 엔산 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 벤질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1
단계 1: 3-(4-3급- 부틸페닐 )- 부트 -2- 엔산
4ml의 DMF중 에틸다이에틸포스포노아세테이트(1.2당량, 0.25g)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60% 수소화나트륨(1.4당량, 1.27 밀리몰, 51mg)을 첨가한 다음, 3ml의 DMF중 4-3급-부틸페닐아세토페논(0.16g, 0.91 밀리몰)을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 용액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MeOH/THF 용액에 용해시키고, 1N NaOH 용액을 첨가한 다음, 밤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1N HCl 용액으로 산성화시켰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134mg, 68.1%)을 수득하였다.
단계 2: 3-(4-3급-부틸- 페닐 )- 부트 -2- 엔산 -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아미드
50ml의 환저 플라스크에 N-(4-아미노메틸-2-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0.14g, 0.55 밀리몰), 3-(4-3급-부틸페닐)-부트-2-엔산(1.0당량, 0.12g) 및 DMTMM(1.2당량, 0.183g)을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25ml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을 붓고, 트라이에틸아민(과량, 0.5ml)을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혼합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1N HCl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표제 화합물(41.5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2
실시예 14: 3-(4-3급-부틸- 페닐 )-N-[1-(3- 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 )에틸]-2- 메틸아크릴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3
3-(4-3급-부틸-페닐)-2-메틸아크릴산(1.1당량, 0.14 밀리몰, 31.01mg) 및 (R)-N-[4-(1-아미노-에틸)-2-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1당량, 0.13 밀리몰, 30mg)를 DMF에 용해시켰다. DEPC(1.2당량, 0.16 밀리몰, 23.67㎕) 및 TEA(2당량, 0.26 밀리몰, 36.24㎕)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MF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 및 H2O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에 의해 건조시키고, 진공하에 농축하 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tOAc = 1:1) 표제 화합물(52.53mg, 93.5%)을 백색 고형분으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4
실시예 15: 3-(4-3급- 부틸페닐 )-N-[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프로피올릭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5
단계 1: (4-3급-부틸- 페닐 )-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터
100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톨루엔중 4-3급-부틸-벤조일 클로라이드(500mg, 2.34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트라이페닐포스포르아닐리덴)아세트산 메틸 에스터(1.5당량, 3.52 밀리몰, 1178.39mg)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90 내지 100℃에서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톨루엔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4/1) 황색 고형분(생성물 1)을 수득하였다.
50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생성물(1)을 플라스 크에 넣고, 가열하고, 90분 동안 25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화합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5/1) 황색 액체(생성물(2), 81.7mg, 19.69%)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6
단계 2: (4-3급- 부틸페닐 )-프로피온산
(4-3급-부틸-페닐)-프로피온산 메틸 에스터(21.7mg, 0.11 밀리몰)를 25ml의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소량의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K2CO3 용액을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한 다음,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메탄올:에틸아세테이트 = 1:1) 백색 액체(20.8mg, 95.37%)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7
단계 3: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1.2g, 4.0 밀리몰)를 50ml의 1구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30ml의 1,4-다이옥산을 부었다. 용액에 c-HCl(과량, 2ml)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유리 필터로 여과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공기중에서 건조시켜 고형분(0.947g, 10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8
단계 4: 3-(4-3급- 부틸페닐 )-N-[4-( 메탄설포닐아미노 )벤질] 프로피올릭아미드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DMF중 (4-3급-부틸-페닐)-프로피온산(24.5mg, 0.12 밀리몰)(단계 2에서 제조됨) 및 N-(4-아미노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HCl(1.2당량, 0.15 밀리몰, 29.10mg)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TEA(2당량, 0.24 밀리몰, 33.45㎕) 및 다이에틸시아노 포스포네이트(1.2당량, 0.15 밀리몰, 24.46㎕)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생성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백색 고형분(10.1mg, 21.6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59
실시예 16: 3-(4-3급- 부틸페닐 )-N-[1-(R)-(4- 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 )에틸] 프로피올릭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0
(4-3급-부틸-페닐)-프로피온산(92.58mg, 0.46 밀리몰) 및 N-[4-(1-아미노-에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1.2당량, 0.38 밀리몰, 124.1mg)를 아르곤 분위기하에 DMF에 첨가하였다. TEA(2당량, 0.76 밀리몰, 105.92mg) 및 다이에틸시아노포스포네이트(1.2당량, 0.57 밀리몰, 86.48㎕)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생성된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백색 고형분(112mg, 61.4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1
실시예 17: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플루오로 -6- 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2
단계 1: 4-아미노-3- 플루오로벤조나이트릴
50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DMF중 2-플루오로-4-요오도아닐린(1g, 5.219 밀리몰, 1당량)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구리(I) 시아나이드(453.4mg, 5.063 밀리몰, 1.2당량)를 첨가하고, 가열하여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포화 중탄산나트륨 용액을 용액에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증발시켰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연한 황색 고형분(461.6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3
단계 2: 4-아미노-3- 플루오로 -5- 요오도벤조나이트릴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아미노-3-플루오로-벤조나이트릴(300mg, 2.204 밀리몰, 1당량)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요오도모노클로라이드(393.6mg, 2.424 밀리몰, 1.1당량)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생성된 용액에 포화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2회)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1) 갈색 액체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4
단계 3: N-(4- 시아노 -2- 플루오로 -6- 요오도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아미노-3-플루오로-5-요오도-벤조나이트릴(1g, 3.818 밀리몰, 1당량)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310.3㎕, 4.009 밀리몰, 1.05당량) 및 트라이에틸아민(1.06ml, 7.636 밀리몰, 2당량)을 첨가 하였다. 혼합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가열하여 밤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메틸렌클로라이드를 감압하에 제거하였다. 용액에 용액 (THF:H2O = 2:1) 및 NaOH(763.6mg, 19.090 밀리몰, 5당량)를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10%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주황색을 띈 고형분(388.3mg, 기질 회수량: 599mg)(29.90%(74.5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5
단계 4: N-(4- 아미노메틸 -2- 플루오로 -6- 요오도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50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중 4-아미노-3-플루오로-5-요오도-벤조나이트릴(330mg, 0.970 밀리몰, 1당량)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보란-THF 착체 용액(1.0M, 1.94ml, 1.941 밀리몰, 2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 용액의 온도를 실온으로 상승시키고, 가열하여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메탄올을 천천히 첨가함으로써 반응물을 급랭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수득된 액체를 감압하에 농축하여 황색 고형분(237.5mg, 71.1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6
단계 5: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플루오로 -6- 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Boc)(27mg, 0.0426 밀리몰, 1당량)를 25ml의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 아세트산(3.6118㎕, 0.0469 밀리몰, 1.1당량)을 첨가하고, 밤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중탄산나트륨으로 중화시키고, pH 페이퍼로 확인하였다.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연한 황색 고형분(11mg, 48.39%)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7
실시예 18: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5- 클로로 -2- 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8
단계 1: 4-아미노-2- 클로로 -5- 요오도벤조나이트릴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아미노-2-클로로-벤조나이트릴(50mg, 0.33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ICl(1.1당량, 0.36 밀리몰, 58.52mg)을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Na2S2O3으로 반응물을 급랭시켰다. 반응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1) 백색 고형분(27.5mg, 기질 회수량-9.6mg, 조질물-7.7mg)(30.2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69
단계 2: 4- 아미노메틸 -5- 클로로 -2- 요오도페닐아민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중 4-아미노-2-클로로-5-요오도-벤조나이트릴(63.8mg, 0.23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보란-THF 착체(2당량, 0.46 밀리몰, 0.4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가열하여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용액에 메탄올을 천천히 첨가하고(기포의 발생)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황색 시럽(46.5mg, 71.85%)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0
단계 3: (4-아미노-2- 클로로 -5- 요오도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중 4-아미노메틸-5-클로로-2-요오도-페닐아민(445.1mg, 1.58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Boc2O(1.2당량, 1.89 밀리몰, 435.68ml)를 천천히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5/1) 백색 고형분(502.9mg, 83.39%)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1
단계 4: (2- 클로로 -5- 요오도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켰다.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아미노-2-클로로-5-요오도-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268.4mg, 0.70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5당량, 3.51 밀리몰, 271.91㎕) 및 TEA(3당량, 2.10 밀리몰, 292.69㎕)를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 용액을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NaHCO3 용액으로 반응물을 급랭시켰다. 반응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CuSO4,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용액(THF:H2O = 2:1)으로 희석시키고, NaOH(5당량, 3.5 밀리몰, 140mg)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10%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백색 고형분(211.8mg, 65.5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2
단계 5: N-(4- 아미노메틸 -5- 클로로 -2- 요오도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2-클로로-5-요오도-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카밤산 아이소프로필 에스 터(100mg, 0.22 밀리몰)를 건조된 25ml의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5 내지 6 소적의 CF3COOH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톨루엔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된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시럽(102.1mg, 130.48%)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3
단계 6: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5- 클로로 -2- 요오도페닐 메탄설폰아미드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3급-부틸-벤질아민(34.28㎕, 0.28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Boc2O(1.5당량, 0.32 밀리몰, 72.44㎕) 및 DMAP(0.2당량, 0.01 밀리몰, 5.13mg)를 천천히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1-3급-부틸-4-아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이 생성됨을 확인한 후, 용액에 N-(4-아미노메틸-5-클로로-2-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1당량, 0.28 밀리몰, 74.6mg) 및 TEA(2당량, 0.56 밀리몰, 58.54㎕)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의 진행을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백색 고형분(30.4mg, 20.04%)을 수득하였다.
융점: 163-165℃;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4
실시예 19: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에틸-6- 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5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비닐-페닐메탄설폰아미드(15.6mg, 0.04 밀리몰)를 메탄올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Pd/C(10중량%)를 첨가하고, 플라스크중의 공기를 수소 기체로 대체하였다. 반응 용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Pd/C를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백색 고형분(15.8mg, 100.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6
실시예 20: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7
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1.13g)(실시예 1의 단계 3에서 제조됨)를 DMF(6mL)에 용해시키고, 다이클로로메탄(35mL)으로 희석하였다. 용액에 4-3급-부틸벤질아이소시아네이트(1.09g) 및 TEA(1.2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고, 에틸아세테이트(20mL)로 희석시키고, 물 및 포화 NaCl 수성 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생성된 용액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잔여 액체를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2) 표제 화합물(1.23g, 5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8
실시예 21: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79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22%)를 실 시예 20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0
실시예 22: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클로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1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클로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10%)를 실시예 20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합성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2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3
실시예 23: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나이트로페닐메탄설폰 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4
단계 1: N-(4- 시아노 -2- 나이트로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KH(700mg, 6.1 밀리몰)를 THF(15mL)에 -78℃에서 용해시키고, 용액에 THF(10mL)중 4-아미노-3-나이트로-벤조나이트릴(500mg, 3.1 밀리몰) 용액을 적가하였다. 반응 용액을 30분 동안 교반한 후, 용액에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0.35mL, 4.6 밀리몰)를 적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물로 급랭시키고, 생성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5/1) 나이트릴(120mg, 16%)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5
단계 2: N-[4-( 아미노메틸 )-2- 나이트로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나이트릴(120mg, 0.50 밀리몰)을 THF(5.0mL)에 용해시켰다. 용액에 톨루엔중 1M BH3(1.5mL) 용액을 적가하고,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용액에 2N HCl(1.0mL)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생성된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조질의 아민(48mg, 39%)을 수득하였다. 아민 화합물을 추가의 처리없이 단계 3에 사용하였다.
단계 3: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나이트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단계 2에서 제조된 아민 화합물을 3급-부틸벤질 아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 켜 실시예 20에 기재된 바와 동일한 절차에 따라서 유레아(10%)를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6
실시예 24: N-4-[3-(4-3급-부틸-벤질)- 유레이도메틸 ]-2- 요오도 - 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7
N-(4-아미노메틸-2-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HCl 염(297mg, 0.820 밀리몰)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4-3급-부틸-벤질)-카밤산 페닐 에스터와 반응시켜 백색 고형분(152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8
실시예 25: N-4-[3-(4-3급-부틸-벤질)- 유레이도메틸 ]-2,6- 다이플루오로 - 페닐 -메 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89
N-(4-아미노메틸-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HCl 염(100mg, 0.36 밀리몰)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4-3급-부틸-벤질)-카밤산 페닐 에스터와 반응시켜 백색 고형분(18mg, 12%)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0
실시예 26: N-4-[3-(4-3급-부틸-벤질)- 유레이도메틸 ]-2,5- 다이플루오로 - 페닐 -메 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1
단계 1: (4-아미노-2,5- 다이플루오로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건조된 50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켰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중 4-아미노-2,5-다이플루오로벤조나이트릴(0.5g, 3.24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고,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보란-THF 착체(2당량, 6.49 밀리몰, 6.49m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의 온도를 상승시키고, 가열하여 18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용액에 메탄올을 천천히 첨가하고(기포의 발생),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메탄올을 감압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여 황색 시럽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된 액체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에 용해시키고, Boc2O(1.0당량, 0.71g)를 천천히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4/1) 백색 고형분(0.43g, 51.2%)을 수득하였다.
단계 2: (2,5- 다이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켰다.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아미노-2,5-다이플루오로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0.43g, 1.66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1.2당량, 1.99 밀리몰, 0.16ml) 및 피리딘(과량, 0.5ml)을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 용액을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10% HCl로 산성화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1) 백색 고형분(0.41g, 73.5%)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2
단계 3: 2,5- 다이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벤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2,5-다이플루오로-4-메탄설포닐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0.41g, 1.22 밀리몰)를 50ml의 1구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30ml의 1,4-다이옥산을 부었다. 용액에 c-HCl(과량, 2ml)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세척하고, 유리 필터로 여과하였다. 수득된 고형분을 공기중에서 건조시켜 고형분(0.24g, 72.5%)을 수득하였다.
단계 4: N-4-[3-(4-3급-부틸-벤질) 유레이도메틸 ]-2,5- 다이플루오로 -4- 메탄설포닐페닐메탄설폰아미드
2,5-다이플루오로-4-메탄설포닐벤질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70mg, 0.26 밀리몰) 및 4-3급-부틸벤질카밤산 페닐 에스터(1.1당량, 80mg)를 25ml의 1구 환저 플라스크에 넣고, 15ml의 아세토나이트릴을 부었다. 상기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과량, 0.5ml)을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물질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1M HCl 용액으로 세척하고,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2/3) 표제 화합물(64mg)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3
실시예 27: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2- 클로로 -6- 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4
4-3급-부틸-벤질아민(1.5당량, 72.85㎕, 0.45 밀리몰)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용해시킨 후, Boc2O(1.5당량, 0.45 밀리몰, 103.49㎕) 및 DMAP(0.2당량, 0.06 밀리몰, 7.33mg)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1-3급-부틸-4-아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의 합성을 확인한 후, N-(4-아미노메틸-2-클로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1당량, 0.30 밀리몰, 107.7mg) 및 TEA(2당량, 0.60 밀리몰, 83.63㎕)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매를 진공하에 제거하였다. 잔류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H2O 및 염수로 제거하고, Na2SO4로 건조시킨 다음, 진공하에 농축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A = 1:1) 백색 고형분(31.3mg, 24%)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5
실시예 28: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5- 클로로 -2- 에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6
단계 1: (4-아미노-2- 클로로 -5- 트라이메틸실라닐에티닐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DMF중 (4-아미노-2-클로로-5-요오도-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60mg, 0.16 밀리몰), CuI(0.05당량, 0.008 밀리몰, 1.52mg) 및 PdCl2(PPh3)2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에 (TMS)아세틸렌(1.3당량, 0.21 밀리몰, 29.39mg) 및 트라이에틸아민(3당량, 0.48 밀리몰, 66.90㎕)을 첨가하고, 가열하여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생성된 용액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6/1) 주황색을 띈 고형분(44.9mg, 81.17%)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7
단계 2: (2- 클로로 -5- 에티닐 -4- 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 ) 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켰다.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아미노-2-클로로-5-트라이메틸실라닐에티닐-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225.3mg, 0.64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은 다음, 0℃로 냉각시켰다. 용액에 메탄설포닐클로라이드(5당량, 3.20 밀리몰, 247.60㎕) 및 트라이에틸아민(3당량, 1.92 밀리몰, 267.61㎕)을 천천히 첨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NaHCO3 용액으로 반응 용액을 급랭시켰다. 반응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CuSO4,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용액(THF:H2O = 2:1)으로 희석시키고, 용액에 NaOH(5당량, 3.20 밀리몰, 128m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10%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3/1) 백색 고형분(182.6mg, 79.70%)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8
단계 3: N-(4- 아미노메틸 -5- 클로로 -2- 에티닐페닐 ) 메탄설폰아미드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 (2-클로로-5-에티닐-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카밤산 3급-부틸 에스터(182.6mg, 0.51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5 내지 6 소적의 CF3COOH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한 후, 톨루엔을 사용함으로써 생성된 용액을 감압하에 농축하여 갈색 시럽(98.1mg, 114.2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099
단계 4: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5- 클로로 -2- 에티닐페닐메탄설폰아미드
건조된 25ml의 2구 환저 플라스크에 아르곤 기체를 충전시키고, 메틸렌클로라이드중 4-3급-부틸-벤질아민(44.08㎕, 0.27 밀리몰) 용액을 플라스크에 넣었다. 용액에 Boc2O(1.5당량, 0.41 밀리몰, 93.14㎕) 및 DMAP(0.2당량, 0.05 밀리몰, 6.59mg)를 천천히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1-3급-부틸-4-아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이 생성됨을 확인한 후, 용액에 N-(4-아미노메틸-5-클로로-2-에티닐-페닐)-메탄설폰아미드(1당량, 0.27 밀리몰, 70mg) 및 TEA(2당량, 0.54 밀리몰, 75.27㎕)를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로 반응의 진행을 확인한 후, 반응 용액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물 및 염수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하에 농축하였다. 수득된 액체를 칼럼 크로마토 그래피하여(n-헥산/에틸아세테이트 = 1/1) 백색 고형분(20.20mg, 16.73%)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0
단계 5: N-4-[3-(4-3급- 부틸벤질 )- 유레이도메틸 ]-5- 클로로 -2- 에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5-클로로-2-에티닐-페닐-메탄설폰아미드(30mg, 0.19 밀리몰) 및 린들러의 촉매(Lindler' catalyst)를 메탄올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수소 분위기하에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에 의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하에 농축한 다음,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n-Hx:EtOAc = 1:1) 황색 시럽(25.6mg, 85%)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1
실시예 29: N-4-[3-(4-3급-부틸-벤질)- 유레이도메틸 ]-2- 플루오로 -6- 메틸 - 닐- 메탄설폰아미드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2
N-(4-아미노메틸-2-플루오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및 HCl 염(200mg, 0.70 밀리몰)을 일반적인 절차에 따라서 3-(4-3급-부틸-벤질)-카밤산 페닐 에스터와 반응시켜 백색 고형분(31mg, 11%)을 수득하였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3
실험예 : 생물학적 효능 시험
1. 45 Ca 유입 시험
1) 신생 래트에서의 척추 배근 신경절(dorsal root ganglia: DRG)의 분리 및 이의 1차 배양
신생(2-3일 자라거나, 2-3일 자란 것 보다 더 어림) SD 래트를 5분 동안 얼음위에 올려 마취시키고, 70% 에탄올로 살균하였다. 척수의 모든 부분의 DRG를 절개하고(우드(Wood) 등의 문헌[1988, J. Neurosci. 8, pp3208-3220]), 1.2g/l의 중탄산나트륨 및 50mg/l의 젠타마이신(gentamycin)이 첨가된 DME/F12 배지 중에 모았다. DRG를 37℃에서 30분 동안 200U/ml의 콜라게나아제 및 2.5mg/ml의 트립신으로 개별적 및 순차적으로 항온처리하였다. 신경절을 10% 말 혈청으로 보충된 DME/F12 배지로 2회 세척하고, 화이어-폴리싱 파스퇴르 피펫(fire-polished Pasteur pipette)을 통해 적정하고, 니텍스(Nitex) 80 막을 통해 여과하여 단일 세포 현탁액을 수득하고, 현탁액을 한번 더 세척하였다. 이를 원심분리한 다음, 세포 배양 배지에 일정 수준의 세포 밀도로 재현탁시켰다. 세포 배양 배지로서, 10% 말 혈청으로 보충된 DME/F12 배지를, 전면(confluent) 단일층으로 2일 동안 배양된 C6 신경교종 세포에 의해 컨디셔닝(conditioning)된 동일한 배지로 희석하고(1:1), NGF(신경 성장 인자)를 첨가하여 200ng/ml의 최종 농도로 조정하였다. 분할하는 비뉴런 세포를 죽이기 위해 사이토신 아라비노사이드(cytosine arabinoside)(Ara-C, 100 μM)가 첨가된 배지에서 세포를 2일 동안 증식시킨 이후, 배지를 Ara-C가 없는 배지로 바꾸었다. 재현탁된 세포를 10㎍/ml의 폴리-D-오르니틴으로 미리 피복시킨 테라사키(Terasaki) 플레이트 상에 1500-2000 뉴런/웰의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2) 45 Ca 유입 실험
2일 동안의 1차 배양물로부터의 DRG 신경 세포를 HEPES(10mM, pH 7.4)-완충된 Ca2 +, Mg2 +-무함유 HBSS(H-HBSS)로 4회 세척하여 평형화시켰다. 각각의 웰내의 용액을 개개의 웰로부터 제거하였다. H-HBSS 중에 시험 화합물 + 캅사이신(최종 농도: 0.5 M) 및 45Ca(최종 농도: 10 Ci/ml)을 함유하는 배지를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항온처리하였다. 테라사키 플레이트를 H-HBSS로 5회 세척하고, 실온에서 건조시켰다. 각각의 웰에, 0.3% SDS(10㎕)를 첨가하여 45Ca를 용출 시켰다. 각각의 웰에 섬광 칵테일(scintillation cocktail)을 첨가한 후, 뉴런으로의 45Ca 유입량을 방사선을 계수함으로써 측정하였다.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대한 시험 화합물의 길항 활성을 0.5 μM 농도에서 캅사이신의 최대 반응의 저해율로서 계산하였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40 내지 500nM의 우수한 IC50 값을 나타내었고, 대부분의 화합물이 600nM 미만의 IC50 값을 가졌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4
3. 진통 활성 시험: 페닐 -p-퀴논에 의해 유도된 마우스 몸부림( writhing ) 시험
수컷 ICR 마우스(평균 체중: 25g)를 실험을 위해 제어된 조명 환경(전원이 켜져 있는 상태 하에서 12시간/전원이 꺼진 상태 하에서 12시간)하에 유지시켰다. 동물에게 0.3ml의 화학 자극제 페닐-p-퀴논(4.5mg/kg의 투여량이 되도록 5% 에탄올이 함유된 식염수에 용해됨)을 복막내 주사하고, 6분 후에 복부 수축의 수를 후속 시간 6분 동안 계수하였다. 에탄올/트윈(Tween) 80/식염수(10/10/80)의 비히클 중의 0.2ml 시험 화합물 용액을 페닐-p-퀴논을 주사하기 30분 전에 동물(10 마리의 동물/군)에게 복막내로 수득하였다. 식염수 대조군에서 반응하는 몸부림 수에 대하여 시험 약물 화합물에 반응하는 몸부림의 수의 감소를 진통 효과의 지표로서 간주하였다. 진통 효과는 하기 방정식 1에 의해 계산되었다(표 3):
방정식 1
% 저해율 = (C-T)/C x 100
상기 식에서,
C 및 T는 각각 대조군 및 화합물-처리군에서의 몸부림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5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통증, 편두통, 관절통, 신경통, 신경병, 신경 손상, 피부 질환, 방광 과민증, 과민성 장 증후군, 긴급 배변, 호흡 장애, 피부, 눈 또는 점막의 자극, 위-십이지장 궤양, 염증성 질환, 귀 질환, 및 심장 질환 등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급성 통증, 만성 통증,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류마티스성 관절통, 골관절염 통증, 치료후 신경통, 당뇨병성 신경병, HIV-관련된 신경병, 신경퇴행, 졸증,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소양증, 양진,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요실금, 염증성 장 질환, 청각과민증, 이명, 전정 과민증 및 근수축성 허혈을 예방하고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Claims (31)

  1.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a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6
    상기 식에서,
    X는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C1-C5 알킬 또는 페닐이고;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카보닐아미노, C1-C5 알킬설포닐아미노, 페닐설포닐아미노,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또는 C1-C5 알콕시카보닐이고;
    R3은 수소, C1-C5 알킬, C1-C5 알콕시 또는 할로 (C1-C5) 알킬이고;
    R4, R5, R6,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C2-C5 알키닐,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콕시카보닐, 페닐 또는 할로겐이고, 여기서 페닐은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9는 C1-C5 알킬설포닐 또는 C2-C5 알케닐설포닐이고;
    R10은 수소이되;
    R3이 수소가 아닌 경우, R11 및 R12는 동시에 수소가 아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X가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브로모, 클로로, 요오도, 메틸, 에틸 또는 프로필이고;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나이트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3이 수소, 메틸, 에틸 또는 메톡시이고;
    R4, R5, R6,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C2-C5 알키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페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여기서 페닐이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 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9가 메탄설포닐, 에탄설포닐 또는 에테닐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이되;
    R3이 수소가 아닌 경우, R11 및 R12가 동시에 수소가 아닌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3. 제 1 항에 있어서,
    X가 트랜스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수소이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6이 할로 (C1-C3) 알킬,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X가 트랜스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수소이고;
    R4가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5, R7 및 R8이 모두 수소이고;
    R6이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5. 제 1 항에 있어서,
    X가 CR11=CH, CH=CR12, CR11=CR12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 및 R12가 둘다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메톡시 또는 에톡시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메틸이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6이 할로 (C1-C3) 알킬,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X가 CR11=CH 또는 C≡C이고, 여기서 R11이 메틸이고;
    R1이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또는 요오도이고;
    R2가 수소, 메틸,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고;
    R3이 메틸이고;
    R4가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3급-부틸, 2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프로페닐,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에티닐, 프로피닐,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티오, 아세틸, 메톡시카보닐, 브로모, 클로로 또는 요오도이고;
    R5, R7 및 R8이 모두 수소이고;
    R6이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이고;
    R10이 수소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7. 제 1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설포닐아미노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페닐 고리에 결합되어 하기 화학식 Ib를 가진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b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7
  8. 제 1 항 또는 제 3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4-3급-부틸-페닐)-N-(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2-메틸-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5-요오도-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프로피올릭아미드,
    (E)-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메틸-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5-다이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2,5-다이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클로로-5-요오도-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클로로-4-메탄설포닐아미노-5-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5-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2-메틸-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부트-2-엔산 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미드,
    3-(4-3급-부틸-페닐)-N-[1-(R)-(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프로피올릭아미드,
    3-(4-3급-부틸페닐)-N-[1-(R)-(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 및
    3-(4-3급-부틸-페닐)-N-[1-(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4-3급-부틸-페닐)-N-[1-(R)-(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N-(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2-메틸-아크릴아미드,
    3-(4-3급-부틸-페닐)-부트-2-엔산 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벤질아미드,
    3-(4-3급-부틸-페닐)-N-[1-(R)-(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프로피올릭아미드, 및
    3-(4-3급-부틸-페닐)-N-[1-(3-플루오로-4-메탄설포닐아미노-페닐)에틸]-2-메틸-아크릴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약학적으 로 허용가능한 염.
  10.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I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8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나이트로, 시아노, C1-C5 알킬,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카복시, C1-C5 알콕시카보닐 또는 C1-C5 알킬티오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은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은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C2-C5 알키닐,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콕시카보닐, 페닐 또는 할로겐이고, 여기서 페닐은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6은 할로 (C1-C3) 알킬 또는 C1-C5 알킬이고;
    R9는 C1-C5 알킬설포닐, C2-C5 알케닐설포닐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닐이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나이트로, 시아노, C1-C5 알킬,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카복시, C1-C5 알콕시카보닐 또는 C1-C5 알킬티오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이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C1-C5 알킬,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C2-C5 알키닐,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콕시카보닐, 페닐 또는 할로겐이고, 여기서 페닐이 치환되지 않거나 카복시, C1-C5 알킬, 할로겐, 나이트로, C2-C5 알케닐, C1-C5 알콕시, 할로 (C1-C5) 알킬, C1-C5 알킬카보닐, C1-C5 알킬티오, C1-C5 알킬설포닐 및 C1-C5 알콕시카보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고;
    R6이 C1-C5 알킬이고;
    R9가 C1-C5 알킬설포닐, C2-C5 알케닐설포닐 또는 트라이플루오로메탄설포닐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시아노,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메톡시, 에톡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카복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이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3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에티닐, 아이소부틸, 메틸티오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고;
    R6이 C3-C5 알킬이고;
    R9가 메탄설포닐, 에탄설포닐 또는 에텐설포닐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3. 제 10 항 내지 제 12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가 독립적으로 수소, 플루오로, 클로로, 브로모, 요오도, 나이트로, 시아노,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부틸, 아이소부틸, 메톡시, 에톡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카복시 또는 메톡시카보닐이되, R1 및 R2중 하나 이상이 수소가 아니고;
    R4, R5, R7 및 R8이 수소이고;
    R6이 아이소프로필 또는 3급-부틸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4. 제 10 항에 있어서,
    R1이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나이트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가 플루오로, 클로로, 메틸, 에틸 및 요오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1이 메틸, 에틸 및 n-프로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될 경우 R2가 또한 수소일 수 있고;
    R4, R5, R7 및 R8이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카복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3급-부틸, 나이트로, 에테닐, 에티닐, 아이소부틸, 메틸티오 또는 메톡시카보닐이고;
    R6이 할로 (C1-C3) 알킬 또는 C3-C5 알킬이고;
    R9가 메탄설포닐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5. 제 11 항 내지 제 1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이 설포닐아미노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페닐 고리에 결합된 화합물, 이의 이 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6. 제 11 항 내지 제 1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 및 R2 둘다 설포닐아미노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서 결합되어 하기 화학식 IIa를 갖는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화학식 IIa
    Figure 112007074700537-PCT00109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또는 에틸이고, R2가 수소, 플루오로 및 클로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8. 제 11 항 내지 제 1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5-클로로-2-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에틸-6-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클로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나이트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요오도-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6-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5-다이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클로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5-클로로-2-에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및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19. 제 11 항 내지 제 16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에틸-6-플루오로-페닐메탄설폰아미드,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클로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 및
    N-4-[3-(4-3급-부틸-벤질)유레이도메틸]-2-플루오로-6-메틸-페닐메탄설폰아미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화합물, 이의 이성체 및/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약제로서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21. 활성 성분으로서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와 함께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22.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병리학적 자극 및/또는 비정상적 발현과 관련된 증상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23. 제 21 항 또는 제 22 항에 있어서,
    통증, 염증성 관절 질환, 요실금을 비롯한 방광 과민증, 위-십이지장 궤양, 과민성 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 및 염증성 장 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소양증 및 양진(prurigo)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을 치료하기 위한 약학 조성물.
  24. 제 23 항에 있어서,
    통증이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당뇨병성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섬유근육통, 근막통 증후군 및 등 통증을 포함함), 편두통 및 다른 유형의 두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이거나 이와 관련되는, 약학 조성물.
  25. 제 21 항 내지 제 2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구 투여용으로 적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
  26. 환자에서 바닐로이드 수용체를 발현하는 세포를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과 접촉시킴을 포함하는, 환자에서 바닐로이드 리간드가 바닐로이드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저해하는 방법.
  27. 치료 유효량의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통증, 염증성 관절 질환, 요실금을 비롯한 방광 과민증, 위-십이지장 궤양, 과민성 장 증후군(IBS) 및 염증성 장 질환(IBD),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소양증 및 양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증상의 치료가 필요한 인간을 비롯한 포유동물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상기 증상을 치료하는 방법.
  28. 제 27 항에 있어서,
    통증이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당뇨병성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섬유근육통, 근막통 증후군 및 등 통증을 포함함), 편두통 및 다른 유형의 두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이거나 이와 관련되는, 방법.
  29.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비정상적 발현 및/또는 비정상적 활성화와 관련된 증상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한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30. 통증, 염증성 관절 질환, 요실금을 비롯한 방광 과민증, 위-십이지장 궤양, 과민성 장 증후군(IBS) 및 염증성 장 질환(IBD), 신경성/알레르기성/염증성 피부 질환, 건선, 천식, 만성 폐색성 폐 질환, 소양증 및 양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제 1 항 내지 제 19 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이의 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용도.
  31. 제 30 항에 있어서,
    증상이 골관절염, 류마티스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당뇨병성 신경병성 통증, 수술후 통증, 비-염증성 근골격 통증(섬유근육통, 근막통 증후군, 및 등 통증을 포함함), 편두통 및 다른 유형의 두통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증상이거나 이 와 관련된 통증인 용도.
KR1020077024004A 2005-03-19 2006-03-17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130497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022986 2005-03-19
KR1020050022986 2005-03-19
US66326905P 2005-03-21 2005-03-21
US60/663,269 2005-03-21
PCT/KR2006/000988 WO2006101321A1 (en) 2005-03-19 2006-03-17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4821A true KR20070114821A (ko) 2007-12-04
KR101304979B1 KR101304979B1 (ko) 2013-09-06

Family

ID=370239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002A KR101304981B1 (ko) 2005-03-19 2006-03-15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20077024004A KR101304979B1 (ko) 2005-03-19 2006-03-17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4002A KR101304981B1 (ko) 2005-03-19 2006-03-15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2) US7763657B2 (ko)
EP (2) EP1861357B1 (ko)
JP (2) JP5159604B2 (ko)
KR (2) KR101304981B1 (ko)
AR (2) AR056943A1 (ko)
AU (2) AU2006225496A1 (ko)
BR (2) BRPI0608714A2 (ko)
CA (2) CA2601871A1 (ko)
EA (2) EA200702020A1 (ko)
IL (2) IL185891A0 (ko)
MX (2) MX2007011466A (ko)
NO (2) NO20075353L (ko)
TW (2) TW200716523A (ko)
WO (2) WO2006101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601871A1 (en) * 2005-03-19 2006-09-28 Amorepacific Corporatio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R063211A1 (es) 2006-07-27 2009-01-14 Amorepacific Corp Derivados de 3-(piridin-3-il)acrilamida y 3-(piridin-3-il)propionamida, un metodo para su preparacion, una composicion farmaceutica que los comprende y su uso en la fabricacion de medicamentos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asociadas con el receptor vaniloide.
DE102007017884A1 (de) * 2007-04-13 2008-10-16 Grünethal GmbH Neue Vanilloid-Rezeptor Liganden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Arzneimitteln
US20110160279A1 (en) * 2007-08-13 2011-06-30 Board Of Trustees Of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THODS FOR TREATMENT AND PREVENTION OF OTOTOXICITY BY siRNA
US8557872B2 (en) * 2008-01-28 2013-10-15 Amorepacific Corporation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N102089277B (zh) * 2008-05-07 2014-02-12 大日本住友制药株式会社 环状胺-1-甲酸酯衍生物及含有其的药物组合物
WO2010002209A2 (en) 2008-07-02 2010-01-07 Amorepacific Corporatio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EP2635281B1 (en) * 2010-11-03 2018-03-14 University Of Hawaii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ardiac hypertrophy
AR085509A1 (es) 2011-03-09 2013-10-09 Bayer Cropscience Ag Indol- y bencimidazolcarboxamidas como insecticidas y acaricidas
ES2790358T3 (es) 2011-12-28 2020-10-27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Compuestos de heteroaril aldehído sustituido y métodos para su uso en el aumento de la oxigenación tisular
PT3738434T (pt) 2011-12-28 2023-11-13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Intermediários para obter compostos de benzaldeído substituído e métodos para a sua utilização no aumento da oxigenação de tecidos
CN107573275A (zh) * 2012-12-28 2018-01-12 日本脏器制药株式会社 肉桂酰胺衍生物
US8952171B2 (en) 2013-03-15 2015-02-10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Compounds and uses thereof for the modulation of hemoglobin
SG10201802911RA (en) 2013-03-15 2018-05-30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Compounds and uses thereof for the modulation of hemoglobin
CN111454200A (zh) 2013-03-15 2020-07-28 全球血液疗法股份有限公司 化合物及其用于调节血红蛋白的用途
CA2902711C (en) 2013-03-15 2021-07-06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Substituted pyridinyl-6-methoxy-2-hydroxybenzaldehy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eful for the modulation of hemoglobin
SI3102208T1 (sl) 2014-02-07 2021-07-30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Kristalinični polimorf proste baze 2-hidroksi-6-((2-(1-izopropil-1H-pirazol-5-IL)piridin-3-IL)metoksi)- benzaldehida
MA43373A (fr) 2015-12-04 2018-10-10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Régimes posologiques pour 2-hydroxy-6-((2- (1-isopropyl-1h-pyrazol-5-yl)pyridin-3-yl)méthoxy)benzaldéhyde
US11014884B2 (en) 2018-10-01 2021-05-25 Global Blood Therapeutics, Inc. Modulators of hemoglobi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7254A (ja) * 1983-10-19 1985-05-16 Japan Carlit Co Ltd:The 新規尿素化合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除草剤
EP1154989B1 (en) * 1999-02-22 2005-12-14 Pacific Corporation Vanilloid analogues containing resiniferatoxin pharmacophores as potent vanilloid receptor agonists and analgesics,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02016319A1 (en) 2000-08-21 2002-02-28 Pacific Corporation Novel thiourea compounds and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DE60133743T2 (de) 2000-08-21 2009-07-02 Pacific Corp. Neue thiourea-derivate und 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en die diese enthalten
GB0105895D0 (en) * 2001-03-09 2001-04-25 Smithkline Beecham Plc Novel compounds
AU2002364549B2 (en) 2001-12-10 2007-11-22 Amgen, Inc Vanilloid receptor ligands and their use in treatments
DE60315973T2 (de) 2002-05-08 2008-05-21 Xention Ltd. Iconix Park Hydroxy-tetrahydro-naphthalinylharnstoff-derivate
AU2003251828A1 (en) 2002-07-12 2004-02-02 Janssen Pharmaceutica N.V. Naphthol, quinoline and isoquinoline-derivatives as modulators of vanilloid vr1 receptor
KR100707123B1 (ko) * 2003-07-02 2007-04-16 그뤼넨탈 게엠베하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길항제로서 강력한 진통효과를나타내는 4-(메틸설포닐아미노)페닐 동족체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
CA2571133C (en) * 2004-07-15 2011-04-19 Japan Tobacco Inc. Fused benzamide compound and vanilloid receptor 1 (vr1) activity inhibitor
ITMI20042042A1 (it) * 2004-10-26 2005-01-26 Pharmeste Srl Derivati solfonammidici antagonisti del recettore dei vanilloidi trpv1
EP1858865B1 (en) * 2005-03-10 2009-09-16 Pfizer Inc. Substituted n-sulfonylaminophenylethyl-2-phenoxy acetamide compounds
CA2601871A1 (en) 2005-03-19 2006-09-28 Amorepacific Corporatio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O20075354L (no) 2007-12-18
AU2006225496A1 (en) 2006-09-28
JP2008537547A (ja) 2008-09-18
CA2601871A1 (en) 2006-09-28
EP1861358A4 (en) 2011-08-31
KR101304981B1 (ko) 2013-09-06
JP5159604B2 (ja) 2013-03-06
EP1861357B1 (en) 2013-04-24
IL185891A0 (en) 2008-02-09
IL185892A0 (en) 2008-02-09
US7763657B2 (en) 2010-07-27
WO2006101321A1 (en) 2006-09-28
JP5064374B2 (ja) 2012-10-31
AU2006225434A1 (en) 2006-09-28
KR20080007329A (ko) 2008-01-18
EP1861358A1 (en) 2007-12-05
TW200716523A (en) 2007-05-01
TW200716522A (en) 2007-05-01
JP2008538109A (ja) 2008-10-09
MX2007011466A (es) 2008-01-16
WO2006101318A1 (en) 2006-09-28
BRPI0608714A2 (pt) 2010-01-26
EA200702021A1 (ru) 2008-02-28
KR101304979B1 (ko) 2013-09-06
AR056943A1 (es) 2007-11-07
EA200702020A1 (ru) 2008-02-28
MX2007011205A (es) 2008-02-15
US7960584B2 (en) 2011-06-14
CA2601873A1 (en) 2006-09-28
EP1861357A4 (en) 2011-08-31
BRPI0608624A2 (pt) 2010-01-19
US20080234383A1 (en) 2008-09-25
US20090105258A1 (en) 2009-04-23
EP1861357A1 (en) 2007-12-05
NO20075353L (no) 2007-12-18
AR053561A1 (es) 2007-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4979B1 (ko)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물질로서의 신규 화합물, 이의이성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KR100453078B1 (ko) 신규 티오우레아 화합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7858621B2 (en)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CN101163670A (zh) 作为香草素受体拮抗剂的新化合物,其异构体或其药用盐;和包含其的药物组合物
NO138335B (no) Analogifremgangsmaate for fremstilling av fysiologisk aktive alkanolaminer
JP5643112B2 (ja) バニロイド受容体としての新規化合物、その異性体または薬剤学的に許容し得る塩、及びこ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
JPWO2016199906A1 (ja) 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またはその薬学的に許容される酸付加塩
WO2006098554A1 (e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KR102221928B1 (ko) 아미노사이클로부탄 유도체들, 이들을 제조하는 방법 및 약물들로서 그들의 용도
WO2007120012A1 (e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RU2622651C2 (ru) Производные n-ацилгидразона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качестве селективных ингибиторов т-клеток и медикаментов для лечения лимфонеоплазии
WO2007142426A1 (e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EP1857440A1 (en) Novel compounds, isomer thereof, or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as vanilloid receptor antagonist;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US3775418A (en) 3-((3-azaspiro(5,5)undecino)methyl)-3-quinuclidinol
KR20100053470A (ko) 바닐로이드 수용체 길항제로 작용하는 신규 화합물, 이의 이성질체 또는 이의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이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KR20060096326A (ko) 바닐로이드 수용체의 강력한 길항제로서 사용하는 신규한화합물 또는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및 이를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