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899A -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899A
KR20070110899A KR1020077022505A KR20077022505A KR20070110899A KR 20070110899 A KR20070110899 A KR 20070110899A KR 1020077022505 A KR1020077022505 A KR 1020077022505A KR 20077022505 A KR20077022505 A KR 20077022505A KR 20070110899 A KR20070110899 A KR 200701108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balance
image
correction value
balance adjustment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22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2242B1 (ko
Inventor
다까시 다께무라
다께시 우라사끼
Original Assignee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올림푸스 메디칼 시스템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110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3/00Telescopes, e.g. binoculars; Periscopes;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Viewfinders; Optical aiming or sighting devices
    • G02B23/24Instruments or system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e.g. fibrescopes
    • G02B23/2476Non-optical details, e.g. housings, mountings, supports
    • G02B23/2484Arrangements in relation to a camera or imag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8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lour balance, e.g. white-balance circuits or colour temperatur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urger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stronomy & Astro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doscopes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Color Television Image Signal Generators (AREA)

Abstract

양호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화상 처리 장치는, 촬상부에 있어서 촬상된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부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가 갖는 보정치 표시부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특성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휘도치를 기초로 상기 화상 신호의 휘도치를 변경하기 위한 계수의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수의 값에 기초로 상기 화상 신호의 휘도치를 변경함으로써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컬러 밸런스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컬러 밸런스 스위치, 컬러 밸런스 조정구, 광원 장치, 촬상부, 라이트 가이드

Description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IMAGE PROCESSING DEVICE, ENDOSCOPE DEVICE, AND COLOR BALANCE ADJUSTING METHOD}
본 발명은,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할 때에 컬러 밸런스 조정구에 있어서 발생하는 특성 변동을 보정 가능한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 및 광원 장치 등을 갖는 내시경 장치는 종래부터 의료 분야 등에 있어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특히, 의료 분야에 있어서의 내시경 장치는 사용자가 생체 내의 검사, 관찰 등의 처치를 행하는 용도에 있어서 주로 이용되고 있다. 의료 분야에 있어서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관찰로서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어 백색광을 생체 내에 조사하여 육안에 의한 관찰과 대략 같은 생체 내의 상(像)을 찍는 통상 관찰 외에, 특정한 파장 대역을 갖는 여기광을 생체 내에 조사하였을 때에 생체 내의 생체 조직이 발하는 자가 형광의 상을 찍고 상기 자가 형광의 상을 관찰함으로써 생체 내의 정상 부위 및 병변 부위를 판별할 수 있는 형광 관찰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내시경 장치에 의한 검사, 관찰 등의 처치를 행할 때에 는, 내시경에 있어서의 고체 촬상 소자의 감도의 변동, 광원 장치에 있어서의 필터, 렌즈 등의 광학적 특성 변동, 상기 내시경과 상기 광원 장치를 접속하였을 때의 색수차의 변동 등에 의한 색재현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내시경 장치의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각각의 관찰 전에 행해지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11-089789호 공보 및 일본 특허 공개 평10-201707호 공보에 제안되어 있는 내시경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 관찰 등의 처치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통상 관찰에 따른 피사체를 촬상하여 행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의 하나로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 및 형광 관찰에 따른 피사체를 촬상하여 행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이 각각의 관찰 전에 행해지고 있다.
전술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포함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되는 피사체에는, 예를 들어 광에 의해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로서의 형광 부재를 갖고 구성되는 것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포함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되는 피사체 중, 특히 형광 부재를 갖고 구성되는 것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상기 형광 부재가 발하는 형광 강도의 변동 등의 특성 변동이 제조시에 발생하기 쉽다.
또한, 내시경 장치에 의한 각 관찰의 사전에 행해지는 상기 내시경 장치의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컬러 밸런스 조정은, 전술한 상기 내시경 장치 각 부의 특성 변동에 부가하여, 또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되는 피사체의 특성 변동이 고려된 상태에 있어서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개 평11-089789호 공보의 형광 화상 장치 및 일본 특허 공개 평10-201707호 공보의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는,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행해질 때에,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이용되는 피사체의 특성 변동이 고려되고 있지 않아, 그로 인해 양호한 관찰 화상을 얻는 것이 곤란하다는 과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점에 비추어 이루어진 것으로, 양호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는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화상 처리 장치는, 촬상부에 있어서 촬상된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부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가 갖는 보정치 표시부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특성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휘도치를 기초로 상기 화상 신호의 휘도치를 변경하기 위한 계수의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수의 값을 기초로 상기 화상 신호의 휘도치를 변경함으로써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컬러 밸런스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상기 내시경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개구부가 마련된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를 갖고, 상기 형광 발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4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3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동은 상기 형광 강도의 변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5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1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보정치 입력부를 갖는 보정치 입력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6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제5 화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은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조작의 일람을 나타내기 위한 조작 안내부와, 상기 보정치 입력부에 상기 제2 보정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필요한 조작의 준비를 촉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갖고 표시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내시경 장치는,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고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내시경과, 상기 화상 신호에 대해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갖고,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하는 계수의 값을,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휘도치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에 있어서 발생하는 특성 변동을 기초로 하는 보정치를 기초로 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상기 내시경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개구부가 마련된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를 갖고, 상기 형광 발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4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3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동은 상기 형광 강도의 변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5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1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보정치 입력부를 갖는 보정치 입력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6 내시경 장치는, 상기 제5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은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조작의 일람을 나타내기 위한 조작 안내부와, 상기 보정치 입력부에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필요한 조작의 준비를 촉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갖고 표시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1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은, 촬상부에 있어서 촬상된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 단계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가 갖는 보정치 표시부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특성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보정치 입력 판정 단계와, 상기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나의 파장 대역을 갖는 상에 있어서의 휘도치의 평균치와 다른 대역을 갖는 상에 있어서의 휘도치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휘도치 산출 단계와, 상기 보정치와 상기 휘도치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각 평균치를 기초로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하는 계수의 값을 산출하는 계수 산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2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은, 상기 제1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를 갖고, 상기 형광 발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제3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은, 상기 제2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동은 상기 형광 강도의 변동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의 광원 장치가 갖는 RGB 필터의 대역과 투과율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의 광원 장치가 갖는 형광 관찰용 필터의 대역과 투과율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를 구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에 대해 이용되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하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모니터에 표시하는 보정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9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도8에 나타내는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도8 및 도10에 나타내는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도11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였을 때에 모니터에 표시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모니터에 표시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취지의 문자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치를 산출할 때에 샘플링하는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관찰을 행할 때에 모니터에 표 시되는 표준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관찰을 행할 때에, 모니터에 표시되는 고해상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1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2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의 광원 장치가 갖는 RGB 필터의 대역과 투과율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의 광원 장치가 갖는 형광 관찰용 필터의 대역과 투과율의 상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4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를 구성하는 화상 처리 장치에 설치된 조작 패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에 대해 이용되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외관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에 도시하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모니터에 표시하는 보정치 입력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행하는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9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모니터에 표시되는 메뉴 화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0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도8에 나타내는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1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행하는 처리에 있어서, 도8 및 도10에 나타내는 처리와는 다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12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도11에 나타내는 처리를 행하였을 때에 모니터에 표시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은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모니터에 표시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취지의 문자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4는 본 실시 형태의 화상 처리 장치가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치를 산출할 때에 샘플링하는 화소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5는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관찰을 행할 때에 모니터에 표시되는 표준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6은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를 이용한 관찰을 행할 때에 모니터에 표시되는 고해상도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내시경 장치(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상을 찍는 내시경(2)과, 광원 장치(3)와, 내시경(2)이 찍은 피사체상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로서의 모니터(4)와, 화상 처리 장치(5)를 갖고 주요부가 구성되어 있다.
내시경(2)은, 촬상부(11)와, 라이트 가이드(12)와, 전기 신호 등의 신호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로서 구성되고 내시경(2)의 기종 및 후술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보정치의 공장 출하시의 값 등의 정보가 미리 기입된 기억부(15)를 내부에 갖고 있다. 또한, 내시경(2)은, 조작 스위치(13)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을 통해 화상 처리 장치(5)의 커넥터(31)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14)를 외장 표면 상에 갖고 있다.
내시경(2)의 선단부에 설치된 촬상부(11)는, (도1에는) 도시하지 않은 CCD 등의 촬상 소자와, (도1에는) 도시하지 않은 렌즈 등의 대물 광학계를 갖고, 피사 체상을 찍어, 찍은 상기 피사체상을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석영 파이버 등으로 형성되는 라이트 가이드(12)는 내시경(2)의 내부를 삽입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고, 일단부가 내시경(2)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동시에, 타단부가 광원 장치(3)에 접속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라이트 가이드(12)는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짐으로써, 광원 장치(3)로부터 출사되는 광을 내시경(2)의 선단부로 유도한다.
조작 스위치(13)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면, 화상 처리 장치(5)를 통해, 예를 들어 내시경(2)의 촬상부(11)에 대해 피사체의 촬상을 개시 및 정지하기 위한 지시를 신호로서 출력한다.
광원 장치(3)는, 백색광을 출사하는 크세논 램프 등의 광원으로 이루어지는 광원부(21)와, RGB 필터(22)와, 형광 관찰용 필터(23)와, 광원부(21)로부터 출사된 조사광을 라이트 가이드(12)의 입사 단부면에 집광시키는 집광 렌즈(24)와, RGB 필터(22) 및 형광 관찰용 필터(23)의 구동 제어를 행하는 필터 제어부(25)와, 전기 신호 등의 신호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판독이 가능한 메모리로서 구성되고 광원 장치(3)의 기종, 일련번호 등의 정보가 미리 기입된 기억부(27)를 내부에 갖고 있다. 또한, 광원 장치(3)는, 조작 패널(26)과,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을 통해 화상 처리 장치(5)의 커넥터(43)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28)를 외장 표면 상에 갖고 있다.
RGB 필터(22)는, 적색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투과하는 R 필터와, 녹색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투과하는 G 필터와, 청색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투과하 는 B 필터를 갖고 있다. 그리고, RGB 필터(22)가 갖는 이들 3종 필터는, 파장 대역과 투과율의 상관이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RGB 필터(22)는 필터 제어부(25)에 의해 광원부(21)의 조사 광로 상에 배치되면, R 필터와, G 필터와, B 필터가 상기 조사 광로 상에 대략 연속적으로 개재 삽입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광원 장치(3)는 RGB 필터(22)가 전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통상 관찰이 행해질 때에, 적색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과, 녹색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과, 청색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면 순차식으로 조사하는 제1 조사광인 통상 관찰용 조사광을 출사한다.
형광 관찰용 필터(23)는, 청색의 파장 대역 중 피사체에 형광을 여기시키는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투과하는 Ex 필터와, 녹색의 파장 대역 중 일부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투과하는 ref1 필터와, 적색의 파장 대역 중 일부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을 투과하는 ref2 필터를 갖고 있다. 그리고, 형광 관찰용 필터(23)가 갖는 이들 3종 필터는, 파장 대역과 투과율과의 상관이 도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형광 관찰용 필터(23)는, 필터 제어부(25)에 의해 광원부(21)의 조사 광로 상에 배치되면, Ex 필터와, ref1 필터와, ref2 필터가 상기 조사 광로 상에 대략 연속적으로 개재 삽입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광원 장치(3)는 형광 관찰용 필터(23)가 전술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형광 관찰이 행해질 때에 피사체에 형광을 여기시키는 소정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인 여기광과, 녹색의 파장 대역 중 일부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인 ref1광과, 적색의 파장 대역 중 일부의 파장 대역을 갖는 광인 ref2광을 면 순차식으로 조사하는, 제2 조사광인 형광 관찰용 조사광을 출사한다.
필터 제어부(25)는 RGB 필터(22) 및 형광 관찰용 필터(23)에 대해, 예를 들어 이들 2개의 필터 중 어느 한쪽의 필터를 광원부(21)의 조사 광로 상에 배치한 후, 상기 필터를 회전 구동시키는 등과 같은 제어를 행한다. 그리고, 필터 제어부(25)에 의해 이와 같은 제어가 행해지면, 광원 장치(3)로부터는 통상 관찰용 조사광 또는 형광 관찰용 조사광 중 어느 한쪽의 조사광이 출사된다.
조작 패널(26)은, 광원 장치(3)로부터 출사되는 조사광을 통상 관찰용 조사광으로 하는 도시하지 않은 통상 관찰 모드 스위치와, 광원 장치(3)로부터 출사되는 조사광을 형광 관찰용 조사광으로 하는 도시하지 않은 형광 관찰 모드 스위치를 갖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이들 스위치의 절환 조작이 행해지면, 조작 패널(26)로부터 필터 제어부(25)에 대해 광원부(21)의 조사 광로 상에 배치되는 필터의 변경을 행하는 취지의 제어 지시를 갖는 신호가 출력된다. 또한, 상기 제어 지시를 갖는 신호는 필터 제어부(25)를 통해 화상 처리 장치(5)에 대해서도 출력된다. 이에 의해, 화상 처리 장치(5)는 광원 장치(3)로부터 출사되는 조사광이 통상 관찰용 조사광 또는 형광 관찰용 조사광 중 어느 쪽인지를 검지할 수 있다.
또, 광원 장치(3)는, 조사광으로서 통상 관찰용 조사광 및 형광 관찰용 조사광의 2종류의 조사광만을 출사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광원 장치(3)는 상기 2종류의 조사광에 부가하여, 예를 들어 근적외의 파장 대역을 갖는 적외 관찰용 조사광을 출사하는 것이라도 좋고, 또는 적색의 협대역광, 녹색의 협대역광 및 청색의 협대역광으로 이루어지는 협대역 관찰용 조사광을 출사하는 것이라도 좋다.
화상 처리 장치(5)는, 촬상부(11)에 설치된 (도1에는) 도시하지 않은 CCD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인 CCD 구동부(32)와, 화상 신호 입력부(33)와,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와, 화상 신호 출력부(35)와, CPU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어 회로로, 내시경(2), 광원 장치(3) 및 화상 처리 장치(5)의 각 부에 대해 제어를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를 내부에 갖고 있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5)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을 통해 내시경(2)의 커넥터(14)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31)와, 조작 패널(41)과,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등을 통해 광원 장치(3)의 커넥터(28)와 착탈 가능하게 접속되는 커넥터(43)를 외장 표면 상에 갖고 있다.
화상 신호 입력부(33)는 도시하지 않은 A/D 컨버터 등의 회로로 구성되고, 내시경(2)의 촬상부(11)로부터 출력된 피사체상의 화상 신호에 대해 노이즈 제거, A/D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한 후, 상기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내시경 장치(1)의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컬러 밸런스 조정이 행해질 때에, 화상 신호 입력부(33)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을 기초로 하는 휘도의 보정을 행하고, 상기 처리를 행한 후의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또, 화상 처리 장치(5)의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형광 관찰 모드 이외의 관찰 모드로서의 통상 광 관찰 모드 등의 관찰 모드에 있어서는 컬러 밸런스 조정의 하나로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5)의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화이트 밸런스 조정과는 다른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특별히 명시하지 않은 경우, 컬러 밸런스 조정은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과, 형광 관찰 모드 이외의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양방, 또는 임의의 어느 한쪽을 가리키는 것으로 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도시하지 않은 RGB 멀티 플렉서 및 D/A 컨버터 등의 회로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에 대해 상기 화상 신호를 구성하는 신호 성분의 R, G 및 B의 3개의 색 채널에 대한 할당 및 D/A 변환 등의 처리를 행한 후, 이들 3개의 색 채널에 할당된 화상 신호를 동시화된 RGB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모니터(4)는 화상 신호 출력부(35)로부터 출력된 RGB 화상 신호를 기초로 촬상부(11)가 찍은 피사체상을 컬러 표시한다. 또한,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전술한 회로에 부가하여,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기초로 예를 들어 내시경 장치(1)의 시스템 메뉴 화면의 화상, 및 후술하는 보정치 입력 화면의 화상 등을 생성하기 위한 도시하지 않은 화상 생성 회로를 갖는다.
조작 패널(41)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를 갖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에 의해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의 조작이 행해진 경우, 내시경 장치(1)에 있어서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제어 지시를 갖는 지시 신호가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에 대해 출력된다. 또한, 조작 패널(41)은,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컬러 밸런스가 미설정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 밸런스 미설정 표시부(102)와, 컬러 밸런스가 설정된 것을 나타내기 위한 컬러 밸런스 설정 완료 표시부(103)를 갖고 있다.
고지부로서의 컬러 밸런스 미설정 표시부(102) 및 컬러 밸런스 설정 완료 표 시부(103)는, 예를 들어 컬러 밸런스의 설정 상태에 따라서 서로 LED의 점등 상태를 반대로 함으로써, 컬러 밸런스 조정이 행해졌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형광 관찰용 색 밸런스 차트로서의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는, 예를 들어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주면이 금속, 고분자계의 수지 등의 차광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일단부가 폐쇄된 구조를 갖는 대략 원통 형상의 관체로서 구성되어 있고, 내시경(2)의 선단부가 삽입 가능한 내경을 갖는 개구부(201a)와, 개구부(201a)에 연통하는 내부 공간(201b)을 갖는다. 또한, 내부 공간(201b)을 형성하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은, 적어도 단부면부(201c)가 백색 도료 등의 형광 부재에 의해 형성된 형광 발생부를 갖고, 또한 상기 내주면에 의해 개구부(201a) 이외의 부분이 덮이는 구성을 갖고 있다. 환언하면,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에 설치된 형광 발생부는, 촬상부(11)에 의해 촬상되는 상기 내주면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외표면 상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보정치(WBCAF)가 나타내어진 보정치 표시부(201d)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보정치(WBCAF)는, 기준이 되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내주면으로부터 발하게 되는 형광 강도를「1.0」으로 한 경우의 상대적인 값으로서, 제조시 또는 공장 출하시 등에 있어서 결정되는 값이다. 또한, 보정치(WBCAF)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으로부터 발하게 되는 형광 강도의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로서 나타내어지는 값이다.
또,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개구부(201a)로부터 내부 공간(201b)에 대해 내시경(2)의 선단부를 삽입하였을 때의 상태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라이트 가이드(12)로부터 여기광이 출사되면, 촬상부(11)의 대물 광학계(11a)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의 형광 부재로부터 발하게 되는 형광을 집광한다. 그리고, 대물 광학계(11a)의 결상 위치에 설치된 촬상부(11)의 촬상 소자(11b)는, 대물 광학계(11a)가 얻은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의 상을 찍은 후, 화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1)의 작용에 대한 설명을 행한다.
우선, 사용자는, 내시경(2)과, 광원 장치(3)와, 모니터(4)와, 화상 처리 장치(5)를 주요부의 구성으로 하여 갖는 내시경 장치(1)의 각 부를 접속한 후, 내시경 장치(1)의 각 부의 전원을 투입하여 기동시킨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CCD 구동부(32)는 촬상부(11)에 설치된 (도1에는) 도시하지 않은 CCD를 구동시킨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의 기억부(15) 및 광원 장치(3)의 기억부(27)에 각각 기입된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의 기종 정보를 판독하고,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어떤 관찰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검지한다.
다음에, 사용자는 형광 관찰용 조사광이 광원 장치(3)로부터 출사되도록 하기 위해, 광원 장치(3)의 형광 관찰 모드 스위치를 온(ON)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광원 장치(3)의 형광 관찰 모드 스위치를 온한 후, 예를 들어 내시경(2)의 선단부 가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부 공간(201b)에 있어서,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개구부(201a)로부터 내부 공간(201b)에 대해 내시경(2)의 선단부를 삽입한다.
광원 장치(3)의 조작 패널(26)에 있어서, 형광 관찰 모드 스위치가 온되면, 모드 절환 신호가 필터 제어부(25) 및 커넥터(28)를 통해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에 대해 출력된다.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조작 패널(26)로부터 출력된 모드 절환 신호를 기초로 화상 처리 장치(5)의 각 부를 형광 관찰 모드로 절환한다.
그 후, 사용자가 전술한 바와 같은 조작을 행하면, 내시경(2)의 촬상부(11)는 형광 관찰용 조사광의 여기광에 의해 조명된 피사체의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의 형광 부재가 발하는 형광의 상과, ref1광의 반사광의 상과, ref2광의 반사광의 상으로 이루어지는 피사체상을 찍고, 찍은 상기 피사체상을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 그리고, 촬상부(11)로부터 출력된 화상 신호는 화상 처리 장치(5)의 화상 신호 입력부(33)에 입력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 있어서,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조작 패널(41)의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조작되면, 화상 처리 장치(5)의 각 부는 이후에 기술하는 바와 같은 방법에 의해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한다. 또, 이후에 기술하는 처리가 행해지기 이전의 상태로서의 초기 상태는,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조작되기 직전의 상태로 한다.
사용자에 의해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조작되고, 컬러 밸런스 스위 치(101)로부터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지시 신호가 출력되면(도8의 스텝 S1),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상기 지시 신호를 기초로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예를 들어 도7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모니터(4)에 표시한다(도8의 스텝 S2).
또,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도8의 스텝 S1에 나타내는 처리가 행해지고 나서 도8의 스텝 S2에 나타내는 처리가 행해질 때까지의 동안에, 예를 들어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확인하는 취지의 문자열 등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도록,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제어를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로부터 출력되는 지시 신호를 검출하면, 예를 들어「컬러 밸런스의 설정을 하겠습니까」라는 문자열과,「예 : Enter」라는 문자열과,「아니오 : Esc」라는 문자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도록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제어를 행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의 제어 내용을 기초로, 도13에 도시한 바와 같은 화면을 생성하여 모니터(4)에 표시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Esc」키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화상 처리 장치(5) 의 각 부를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조작되기 직전의 상태로 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Enter」키가 눌러진 것을 검출하면,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예를 들어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을 생성하여 모니터(4)에 표시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이 모니터(4)에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 등을 이용하여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보정치 표시부(201d)에 표시되어 있는 보정치(WBCAF)를 보정치 입력부(301)에 입력한다. 또한, 모니터(4)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부분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에 있어서 사용자가 행할 수 있는 조작의 일람을 나타내기 위한 조작 안내부(301A)가 표시된다. 또,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에 있어서는, 보정치 입력부(301)에 보정치(WBCAF)의 입력에 관한 조작의 준비를 사용자에게 재촉하기 위한 메시지로서, 예를 들어「AFI 컬러 밸런스 캡을 준비해 주십시오」및「캡의 보정치를 입력해 주십시오」라는 문자열이 보정치 입력부(301) 및 조작 안내부(301A)와 함께 표시된다.
도7에 나타내는 보정치 입력 화면의 보정치 입력부(301)는 화상 처리 장치(5)에 접속된,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키 및「→」키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표시되는 값이 순차적으로 변경되는 구성을 갖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키 및「→」키가 눌러지면, 보정치 입력부(301)에는「0.5」,「0.6」,「0.7」,「0.8」,「0.9」,「1.0」,「―」,「1.0」,「1.1」,「1.2」,「1.3」,「1.4」및「1.5」라는 보정치가 순차 표시된다. 또, 초기 상태에 있어서는, 보정치 입력부(301)에는「―」가 표시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보정치로서 전술한 값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키 및「→」키에 의해 선택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 숫자키에 의해 보정치 입력부(301)에 직접 입력되는 것이라도 좋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보정치 입력부(301)에 보정치(WBCAF)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Esc」키가 눌러진 경우, 또는 보정치 입력부(301)에「―」가 표시된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Enter」키가 눌러진 경우,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보정치 입력부(301)에 보정치(WBCAF)가 입력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한다(도8의 스텝 S3).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의 처리를 중단하는 동시에, 각 부를 초기 상태로 하여 사용자에 의해 다시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조작될 때까지는 초기 상태를 유지한다(도8의 스텝 S1).
또한, 예를 들어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의「←」키 및「→」키에 의해 (「―」이외의) 어느 하나의 보정치가 선택된 후,「Enter」키가 눌러진 경우,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보정치 입력부(301)에 보정치(WBCAF)가 입력되었다고 판정한다(도8의 스텝 S3).
또한, 보정치(WBCAF)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가 이후의 처리를 행할 때에 설정하는 측광(測光) 모드 및 조광(調光) 레벨에 관련된 것이라도 좋다. 그 경우,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선택된 보정치(WBCAF)의 값을 기초로 화상 처리 출력부(35)에 대해 측광 모드 및 화면 전체의 밝기로서의 조광 레벨을 소정의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예를 들어 보정치(WBCAF)로서「1.0」이 선택된 경우,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으로부터 발하게 되는 형광 강도가 기준이 되는 형광 강도와 대략 동일한 강도라 판단하여, 측광 모드를 오토, 조광 레벨치를「0」으로 하도록 화상 처리 출력부(35)에 대해 제어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예를 들어 보정치(WBCAF)로서「1.3」이 선택된 경우,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으로부터 발하게 되는 형광 강도가 기준이 되는 형광 강도에 비해 작다고 판단하여, 측광 모드를 오토, 조광 레벨치를「+3」으로 하도록 화상 처리 출력부(35)에 대해 제어를 행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화상 처리 출력부(35)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측광 모드 및 조광 레벨치를 일시적으로 유지하면서 무효로 한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화상 처리 출력부(35)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은 제어를 행한 후에 있어서는, 유지하고 있는 사용자가 미리 설정한 측광 모드 및 조광 레벨치를 다시 유효로 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의 형광 부재가 발하는 형광의 상에 있어서,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 치(WBAF)를 산출한다(도8의 스텝 S4).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의, ref2광의 반사광의 상에 있어서,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치(WBR)를 산출한다(도8의 스텝 S4).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형광의 상에 있어서의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치(WBAF)와, 반사광의 상에 있어서의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치(WBR)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보정치(WBCAF)를 기초로, 하기 수식 (1) 및 수식 (2)를 이용하여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하는 계수의 값으로서의 형광의 상에 대한 보정치(WBKAF)와, ref2광의 반사광의 상에 대한 보정치(WBKR)를 산출한다(도8의 스텝 S5).
WBKAF = 1 …(1)
WBKR = WBAF/(WBR × WBCAF) …(2)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산출한 형광의 상에 대한 보정치(WBKAF)와, ref2광 반사광의 상에 대한 보정치(WBKR)를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에 대해 출력한다.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형광의 상에 대한 보정치(WBKAF)와, ref2광의 반사광의 상에 대한 보정치(WBKR)를 화상 신호 입력부(3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를 기초로 형광의 상 및 ref2광의 반사광의 상에 대해 휘도의 보정을 행한다(도8의 스텝 S6). 그리고,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보정치(WBKAF) 및 보정치(WBKR)를 기초로 하는 휘도의 보정을 행한 후, 상기 보정을 행한 후의 화상 신호를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출력한다. 또,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새로운 보정치가 출력될 때까지는, 상기 보정치(WBKAF) 및 상기 보정치(WBKR)를 유지하면서, 이들 2개의 보정치를 기초로 화상 신호 입력부(33)로부터 입력되는 화상 신호에 대한 휘도의 보정을 행하는 것으로 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기초로 형광의 상의 화상 신호를 G 채널에 대해 할당하고, ref1광 반사광의 상의 화상 신호를 R 채널에 대해 할당하고, ref2광의 반사광의 상의 화상 신호를 B 채널에 대해 할당한 후, 이들 3개의 색 채널에 할당된 화상 신호를 동시화된 RGB 화상 신호로서 출력한다(도8의 스텝 S7).
그리고, 모니터(4)는 화상 신호 출력부(35)로부터 출력된 RGB 화상 신호를 기초로 촬상부(11)가 찍은 형광 화상의 컬러 표시를 행한다.
또, 보정치의 입력이 행해지는 보정치 입력 화면은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조작되어 처음에 표시되는 도7에 나타내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내시경 장치(1)의 시스템 메뉴 화면의 일부로서 보정치 입력부(301a)가 표시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내시경 장치(1)에 있어서의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전에,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보정치 표시부(201d)에 표시되어 있는 값을 미리 입력할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는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컬러 밸런스 조정에 있어서 행해지는 작업의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서술한 처리에 있어서, 사용자가 도시하지 않은 키보드를 이용하여 행하는 조작의 일람은,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보정치 입력 화면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조작 안내부(301A)에 표시되어 있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조작 안내부(301A)에 표시되는 조작 방법을 참조하면서, 모니터(4)로부터 눈을 떼지 않고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보정치(WBCAF)의 입력을 행할 수 있다.
또한,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 화상 처리 장치(5)는 내시경(2)으로부터 출력되는 ref1광의 반사광의 상의 화상 신호 중, 예를 들어 상기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의 중앙부에 가까운 부분의 화소를 중점적으로 샘플링한 후, 샘플링한 소정의 화소수의 화소의 휘도치를 기초로 하여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치를 산출하는 것이라도 좋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화상 처리 장치(5)의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는 화상에 있어서, 예를 들어 도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정의 화소수의 8할을 중앙부(501)로부터, 상기 소정의 화소수의 2할을 주변부(502)로부터 샘플링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샘플링한 각각의 화소의 휘도치를 상기 소정의 화소수분 검출하여 유지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유지하고 있는 상기 소정의 화소수분의 휘도치 중, 210 이상의 휘도치를 갖는 화소와, 15 이하의 휘도치를 갖는 화소를 특정하여, 이후에 행하는 처리로부터 제외한다.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제외되지 않고 남은 화소가 갖는 휘도치의 평균치를 산출한 후, 상기 평균치를 기초로 하여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치를 산출한 다.
또, 전술한 처리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휘도치가 210 이상인 화소 및 휘도치가 15 이하인 화소를 특정하여 제외하였을 때에, 제외되지 않고 남은 화소수가 상기 소정의 화소수의 3할 이하인 경우,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처리에 실패한 취지의 문자열 등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도록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제어를 행하는 동시에,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기 위한 보정치의 갱신을 행하지 않는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1)는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에 있어서 발생하는 특성 변동 중,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201)의 내주면에 설치된 형광 물질의 형광 강도의 변동을 기초로 하는 보정치(WBCAF)를 기초로 한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할 수 있다. 그로 인해, 본 실시 형태의 내시경 장치(1)는 양호한 관찰 화상을 얻을 수 있다.
또, 이상에 서술한 화상 처리 장치(5)가 행하는 처리는, 광원 장치(3)가 통상 관찰용 조사광 및 형광 관찰용 조사광의 2종류의 조사광만을 출사하는 기능을 갖는 경우에 행해지는 처리로서 설명을 행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원 장치(3)가 예를 들어 상기 2종류의 조사광에 부가하여, 적외 관찰 모드에 대응한 적외 관찰용 조사광 및 협대역 관찰 모드에 대응한 협대역 관찰용 조사광을 출사하는 기능을 더 갖는 경우, 화상 처리 장치(5)는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있어서, 이후에 기술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또, 이후에 기술하는 화상 처리 장치(5)의 각 부의 처리는, 동일한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를 이용하여 복수의 관찰 모드에 대해 순차로 또한 연속해서 상기 복수의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행해지는 경우의 처리인 것으로 한다.
기동 후의 초기 동작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5)의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의 기억부(15)로부터, 접속되는 광원 장치(3)에 대응된 3종의 관찰 모드, 즉 통상 관찰 모드, 협대역 관찰 모드 및 적외 관찰 모드의 각각의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에 있어서 이용되는 보정치를 판독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보정치의 값을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에 유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가 행하는 제어를 기초로,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보정치의 값을 유지한다(도10의 스텝 S11). 또,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의 기억부(15)에 접속되는 광원 장치(3)에 대응된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보정치가 없는 것을 검지한 경우, 컬러 밸런스 처리부(34)가 유지하는 보정치를 초기치로서 정하는 것이라도 좋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계속 눌러짐으로써, 지시 신호가 연속해서 출력된 시간(T)이 시간 T1 이상인 것을 검지하면(도10의 스텝 S12), 통상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치를 취득하고, 통상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보정치를 산출한 후, 상기 보정치를 유지한다(도10의 스텝 S13).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계속 눌러짐 으로써, 지시 신호가 연속해서 출력된 시간(T)이 시간 T2(T1 < T2) 이상인 것을 검지하면(도10의 스텝 S14), 협대역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치를 취득하고, 협대역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보정치를 산출한 후, 상기 보정치를 유지한다(도10의 스텝 S15).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계속 눌러짐으로써, 지시 신호가 연속해서 출력된 시간(T)이 시간 T3(T2 < T3) 이상인 것을 검지하면(도10의 스텝 S16), 적외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1화면분의 휘도치의 평균치를 취득하고, 적외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의 보정치를 산출한 후, 상기 보정치를 유지한다(도10의 스텝 S17).
또,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계속 눌러짐으로써, 지시 신호가 연속해서 출력된 시간(T)이 시간 T3보다 짧은 경우,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도10의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7까지의 처리를 행함으로써 얻은 보정치를 모두 무효로 한 후에, 컬러 밸런스 처리부(34)가 원래 유지하고 있던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에 유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도10의 스텝 S16 및 스텝 S11).
또한,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가 계속 눌러짐으로써, 지시 신호가 연속해서 출력된 시간(T)이 시간 T3 이상인 경우,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전술한 도10의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7까지의 처리에 있어서 새롭게 얻은 보정치를 유효로 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 는 내용을 갖는 제어 신호를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출력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전술한 3종의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생성하여 모니터(4)에 표시한다(도10의 스텝 S18).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도10의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7까지의 처리에 있어서 새롭게 얻은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보정치를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에 유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컬러 밸런스 처리부(34)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가 행하는 제어를 기초로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보정치로서, 도10의 스텝 S13으로부터 스텝 S17까지의 처리에 있어서 새롭게 얻은 보정치를 유지한다(도10의 스텝 S19).
또, 전술한 복수의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도10에 나타내는 순서로서 행해지는 경우에, 화상 처리 장치(5)의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예를 들어 내시경 장치(1)가 협대역 관찰 모드 및 적외 관찰 모드 중 어느 한쪽의 모드로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컬러 밸런스 스위치(101)로부터 출력되는 지시 신호를 무효로 하는 제어를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상기 3종의 관찰 모드 및 형광 관찰 모드에 있어서, 각각 다른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를 이용하여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경우에, 내시경용 컬러 밸런스 조정구를 잘못 취하는 일 없이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화이트 밸런스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화상 처리 장치(5)에 있어서 행해짐으로써, 사용자는 예를 들어 통상 관찰 모드, 적외 관찰 모드 및 협대역 관찰 모드의, 전술한 3종의 관찰 모드의 관찰이 가능한 기능을 갖는 내시경 장치(1)에 있어서, 어느 하나의 모드에만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행해진 상태, 또는 어느 하나의 모드 이외의 각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행해진 상태를 회피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 서술한 바와 같은 처리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5)는 전술한 3종의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그로 인해, 사용자는 전술한 3종의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행해진 것을 확인한 후에 있어서, 전술한 3종의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관찰을 행할 수 있다.
또한, 내시경(2)의 기억부(15)로부터 판독한 보정치를 이용하여 각 관찰 모드에 대응한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경우, 화상 처리 장치(5)는 이후에 기술하는 처리를 행하는 것이라도 좋다.
기동 후의 초기 동작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5)의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의 기억부(15)로부터, 접속되는 광원 장치(3)에 대응된 보정치의 판독을 개시한다(도11의 스텝 S21).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보정치의 판독이 완료되면(도11의 스텝 S22),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를 정상으로 판독할 수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의 기억부(15) 및 광원 장치(3)의 기억부(27)에 각각 기입된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의 기종 정보를 판독하여,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어떠한 관찰 모드에 대응하고 있는지를 검지한다.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를 모두 정상으로 판독할 수 있었다고 판정하면(도11의 스텝 S23), 판독한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를 기초로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 상기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이용하는 보정치를 산출한(도11의 스텝 S24) 후, 상기 보정치를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에 유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출력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생성하여 모니터(4)에 표시한다(도11의 스텝 S25).
또,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조작 패널(41)의 컬러 밸런스 미설정 표시부(102)의 LED를 비점등 상태로 하고, 또한 컬러 밸런스 설정 완료 표시부(103)의 LED를 점등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전체에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완료된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 를 정상으로 판독할 수 없었다고 판정하면(도11의 스텝 S23), 정상으로 판독할 수 있었던 보정치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찰 모드와, 정상으로 판독할 수 없었던 보정치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찰 모드를 특정한다. 그리고,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상기 보정치의 데이터 중, 정상으로 판독할 수 있었던 보정치의 데이터에 대응하는 관찰 모드에 대해서만, 상기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시에 이용하는 보정치를 산출한(도11의 스텝 S26) 후, 상기 보정치를 컬러 밸런스 처리부(34)에 유지시키는 제어를 행한다. 그 후,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미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는 내용과, 컬러 밸런스 조정이 미완료된 관찰 모드에 있어서 내시경(2)이 촬상한 피사체상을 모니터(4)에 표시시키지 않는 내용을 갖는 제어 신호를 화상 신호 출력부(35)에 대해 출력한다.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화이트 밸런스 조정이 미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문자열로서,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하는「컬러 밸런스의 설정을 해 주십시오」라는 문자열을 생성하여 모니터(4)에 표시한다(도11의 스텝 S27).
또,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미완료된 취지를 나타내기 위한 방법은, 전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는 조작 패널(41)의 컬러 밸런스 미설정 표시부(102)의 LED를 점등 상태로 하고, 또한 컬러 밸런스 설정 완료 표시 부(103)의 LED를 비점등 상태로 하는 제어를 행함으로써,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각 관찰 모드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이 미완료된 취지를 나타내는 것이라도 좋다.
또한, 화상 신호 출력부(35)는 화상 처리 장치 제어부(42)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제어 신호를 기초로, 예를 들어 도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모니터(4)에 있어서 내시경(2)이 촬상한 피사체상의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인 화상 표시부(302)에, 다른 화상으로서 예를 들어 단색의 화상, 컬러 바아의 화상 등을 표시한다(도11의 스텝 S28).
그런데, 내시경 장치(1)를 이용한 관찰에 있어서, 사용자는 예를 들어 도15에 나타내는 표준 화상을 도시하지 않은 VTR 및 도시하지 않은 프린터 등의 기록 장치에 입력시키고, 도16에 도시하는 고해상도 화상을 모니터(4)에 표시시킨다. 그리고, 표준 화상에 의한 기록 화면에 있어서는, 내시경 장치(1)의 상태에 관한 문자열 등이 화상 표시부(603)의 일부를 덮도록 고지 표시부(601, 602)에 표시된다. 또한, 고해상도 화상에 의한 관찰 화면에 있어서는, 내시경 장치(1)의 상태에 관한 문자열 등이 화상 표시부(603a) 중 전술한 표준 화상의 경우와 대략 동일한 부분을 덮도록 고지 표시부(601a, 602a)에 표시된다. 이로 인해, 사용자는 표준 화상의 기록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부(603)와, 고해상도 화상의 관찰 화면에 있어서의 화상 표시부(603a)가 전술한 문자열 등에 의해 대략 마찬가지로 덮혀 있는 것을 인식하면서, 표준 화상의 화면의 기록을 행할 수 있다.
또, 고지 표시부(601, 602, 601a, 602a)에 표시되는 문자열 등은, 예를 들어 광원 장치(3)의 부조(不調)를 나타내는 바와 같은, 사용자에 대해 주의를 환기시키는 내용인 것이다. 그로 인해, 고지 표시부(601, 602, 601a, 602a)에 표시되는 문자열 등은 모니터(4)에 표시된 후,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소거되는 것이라도 좋다.
이상에 서술한 처리가 화상 처리 장치(5)에 있어서 행해짐으로써, 사용자는 내시경(2) 및 광원 장치(3)가 대응하고 있는 관찰 모드 각각에 있어서의 컬러 밸런스 조정 중,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이 행해진 관찰 모드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이 행해지지 않은 관찰 모드를 명확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이상에 서술한 처리가 화상 처리 장치(5)에 있어서 행해짐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색조와는 다른 색조의 피사체상의 화상을 보지 않으므로, 예를 들어 병변 부위를 정상 부위로 잘못 보게 되는 것이 종래보다도 적은 상태에 있어서 생체 내의 관찰을 진행시켜 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 있어서 다양한 변경이나 응용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출원은, 2005년 5월 23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05-149886호를 우선권 주장의 기초로 하여 출원하는 것이며, 상기의 개시 내용은 본원 명세서, 청구범위, 도면에 인용된 것으로 한다.

Claims (15)

  1. 촬상부에 있어서 촬상된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부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가 갖는 보정치 표시부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특성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휘도치를 기초로 상기 화상 신호의 휘도치를 변경하기 위한 계수의 값을 산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계수의 값을 기초로 상기 화상 신호의 휘도치를 변경함으로써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컬러 밸런스 처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상기 내시경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개구부가 마련된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를 갖고, 상기 형광 발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동은 상기 형광 강도의 변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보정치 입력부를 갖는 보정치 입력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은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조작의 일람을 나타내기 위한 조작 안내부와, 상기 보정치 입력부에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필요한 조작의 준비를 촉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갖고 표시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처리 장치.
  7.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을 촬상하여 화상 신호로서 출력하는 촬상부를 구비한 내시경과, 상기 화상 신호에 대해 컬러 밸런스 조정을 행하는 화상 처리 장치를 갖는 내시경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처리 장치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하는 계수의 값을,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휘도치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에 있어서 발생하는 특성 변동을 기초로 하는 보정치를 기초로 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상기 내시경의 선단부를 삽입 가능한 직경을 갖는 개구부가 마련된 관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를 갖고, 상기 형광 발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내시경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동은 상기 형광 강도의 변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기 위한 보정치 입력부를 갖는 보정치 입력 화면을 표시 장치에 표시시키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또한,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은 상기 보정치 입력 화면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조작의 일람을 나타내기 위한 조작 안내부와, 상기 보정치 입력부에 상기 보정치를 입력하는 경우에 필요한 조작의 준비를 촉구하기 위한 메시지를 갖고 표시되는 화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 장치.
  13. 촬상부에 있어서 촬상된, 적어도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을 포함하는 피사체상의 화상 신호를 입력하는 화상 신호 입력 단계와,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가 갖는 보정치 표시부에 나타내어지는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특성 변동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치가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하는 보정치 입력 판정 단계와,
    상기 화상 신호를 기초로 하나의 파장 대역을 갖는 상에 있어서의 휘도치의 평균치와 다른 대역을 갖는 상에 있어서의 휘도치의 평균치를 산출하는 휘도치 산출 단계와,
    상기 보정치와 상기 휘도치 산출 단계에서 산출된 각 평균치를 기초로 컬러 밸런스 조정에 이용하는 계수의 값을 산출하는 계수 산출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는 형광을 발하는 형광 발생부를 갖고, 상기 형광 발생부는 상기 촬상부에 의해 촬상된 상기 컬러 밸런스 조정구의 상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변동은 상기 형광 강도의 변동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KR1020077022505A 2005-05-23 2006-03-01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KR1009722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5-00149886 2005-05-23
JP2005149886A JP5173120B2 (ja) 2005-05-23 2005-05-23 内視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899A true KR20070110899A (ko) 2007-11-20
KR100972242B1 KR100972242B1 (ko) 2010-07-23

Family

ID=3745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22505A KR100972242B1 (ko) 2005-05-23 2006-03-01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8284245B2 (ko)
EP (1) EP1884183B1 (ko)
JP (1) JP5173120B2 (ko)
KR (1) KR100972242B1 (ko)
CN (1) CN101170939B (ko)
AU (1) AU2006250728B2 (ko)
CA (1) CA2608449C (ko)
WO (1) WO20061263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6563B2 (ja) * 2006-07-06 2011-11-16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画像表示システム
JP2008110004A (ja) * 2006-10-30 2008-05-15 Pentax Corp 電子内視鏡装置
JP2009189654A (ja) 2008-02-15 2009-08-27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信号処理システム
JP2009213673A (ja) * 2008-03-11 2009-09-24 Fujinon Corp 内視鏡システム及び内視鏡の検査方法
JP5424570B2 (ja) * 2008-04-10 2014-02-26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ビデオスコープ及び電子内視鏡装置
EP2322075B1 (en) * 2009-03-30 2012-12-05 Olympus Medical Systems Corp. Fluorescence observation device
JP5325725B2 (ja) 2009-09-24 2013-10-2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WO2011092901A1 (ja) * 2010-02-01 2011-08-0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内視鏡用撮像ユニット
EP2599434B1 (en) * 2010-07-26 2017-05-10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endoscope apparatus
JP5507376B2 (ja) * 2010-07-28 2014-05-28 三洋電機株式会社 撮像装置
JP5570373B2 (ja) * 2010-09-29 2014-08-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
JP5244164B2 (ja) * 2010-10-18 2013-07-24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5714875B2 (ja) * 2010-11-26 2015-05-0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蛍光内視鏡装置
CN102846301B (zh) * 2011-07-08 2014-07-02 上海交通大学 内窥镜照度的智能调节装置
JP2015150138A (ja) * 2014-02-13 2015-08-24 Hoya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画像生成装置およびマウスピース
JP6234350B2 (ja) * 2014-09-30 2017-11-22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内視鏡システム、プロセッサ装置、内視鏡システムの作動方法、及びプロセッサ装置の作動方法
JP6427280B2 (ja) * 2016-03-03 2018-11-21 Hoya株式会社 補正データ生成方法及び補正データ生成装置
WO2018181156A1 (ja) * 2017-03-31 2018-10-04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システム
WO2019198576A1 (ja) * 2018-04-11 2019-10-17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医療画像処理装置
JP7196016B2 (ja) * 2019-05-27 2022-12-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並びに内視鏡システム及びその作動方法
CN110751611A (zh) * 2019-11-01 2020-02-04 深圳市博盛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内窥镜系统的显示器色彩的校准方法及内窥镜系统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883302T2 (de) * 1987-06-04 1994-03-31 Dainippon Screen Mfg Gerät und Verfahren zur Stabilisierung der Lichtmenge einer Fluoreszenzlampe.
JP2542089B2 (ja) * 1989-03-16 1996-10-09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内視鏡用光源装置
JPH0469615A (ja) 1990-07-10 1992-03-0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用ホワイトバランス調整具
US5504524A (en) * 1993-10-15 1996-04-02 Vlsi Vis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lor balance of a video signal
GB9416406D0 (en) * 1994-08-13 1994-10-05 Univ Of Huddersfield Colour inspection system
FI107412B (fi) * 1995-06-20 2001-07-31 Teknillinen Korkeakoulu Graafi Menetelmä ja laite sähköisessä muodossa olevan kuvan visuaalisen laadun maksimoimiseksi
JPH0910170A (ja) * 1995-06-29 1997-01-14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対物光学系
DE19529366C2 (de) * 1995-08-10 1998-06-04 Wolf Gmbh Richard Vorrichtung zur Farbtonkorrektur bei von einer Videokamera aufgenommenen Farbbildern
US6307638B1 (en) * 1996-03-13 2001-10-23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electronic equipment and their control method
JP3962122B2 (ja) 1996-11-20 2007-08-2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US6293911B1 (en) * 1996-11-20 2001-09-25 Olympus Optical Co., Ltd. Fluorescent endoscope system enabling simultaneous normal light observation and fluorescence observation in infrared spectrum
JP3887060B2 (ja) * 1997-04-09 2007-02-28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電子スチルカメラの画像補正情報記録装置および画像復元処理装置
US5876399A (en) * 1997-05-28 1999-03-02 Irvine Biomedical, Inc. Catheter system and methods thereof
JPH1189789A (ja) 1997-09-24 1999-04-06 Olympus Optical Co Ltd 蛍光画像装置
JP4624513B2 (ja) * 1999-01-19 2011-02-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顕微鏡用撮像装置
JP4360724B2 (ja) * 2000-01-11 2009-11-11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用信号切換装置
JP2001197485A (ja) * 2000-01-11 2001-07-19 Asahi Optical Co Ltd 電子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電子内視鏡用信号切替装置
US6468204B2 (en) * 2000-05-25 2002-10-22 Fuji Photo Film Co., Ltd. Fluorescent endoscope apparatus
JP4321697B2 (ja) * 2000-08-02 2009-08-2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蛍光画像表示方法および装置
US6826424B1 (en) * 2000-12-19 2004-11-30 Haishan Zeng Methods and apparatus for fluorescence and reflectance imaging and spectroscopy and for contemporaneous measurements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with multiple measuring devices
US6989859B2 (en) * 2000-12-22 2006-01-24 Eastman Kodak Company Camera having user interface ambient sensor viewer adaptation compensation and method
US7172553B2 (en) * 2001-05-16 2007-02-06 Olympus Corporation Endoscope system using normal light and fluorescence
JP4855586B2 (ja) * 2001-05-16 2012-01-1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172922B2 (ja) 2001-05-30 2008-10-29 Hoya株式会社 電子内視鏡システムおよ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の利用状況記録方法
JP2003000537A (ja) * 2001-06-27 2003-01-07 Fuji Photo Film Co Ltd 内視鏡用の撮像方法および装置
JP2003334162A (ja) * 2002-03-14 2003-11-25 Olympus Optical Co Ltd 内視鏡画像処理装置
JP4197879B2 (ja) 2002-03-15 2008-12-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564239B2 (ja) * 2003-04-11 2010-10-20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JP4139276B2 (ja) * 2003-06-17 2008-08-2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電子内視鏡装置及び信号処理装置
JP4315748B2 (ja) * 2003-07-07 2009-08-19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内視鏡装置
AU2003272531A1 (en) * 2003-09-15 2005-04-27 Beth Israel Deaconess Medical Center Medical imaging systems
JP4294440B2 (ja) 2003-10-30 2009-07-15 オリンパス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
JP4504078B2 (ja) * 2004-04-26 2010-07-1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エアギャップ可変式分光透過率可変素子のエアギャップ基準位置調整構造及びエアギャップ可変式分光透過率可変素子のエアギャップ基準位置調整構造を備えた光学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126318A1 (ja) 2006-11-30
CN101170939B (zh) 2010-05-26
AU2006250728B2 (en) 2010-04-22
EP1884183A1 (en) 2008-02-06
CA2608449A1 (en) 2006-11-30
EP1884183A4 (en) 2009-12-16
AU2006250728A1 (en) 2006-11-30
US8284245B2 (en) 2012-10-09
US20090073261A1 (en) 2009-03-19
CN101170939A (zh) 2008-04-30
JP5173120B2 (ja) 2013-03-27
CA2608449C (en) 2012-02-28
KR100972242B1 (ko) 2010-07-23
EP1884183B1 (en) 2015-12-30
JP2006325672A (ja)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2242B1 (ko) 화상 처리 장치, 내시경 장치 및 컬러 밸런스 조정 방법
US9872610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ing device,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and image processing method
JP5424570B2 (ja) 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ビデオスコープ及び電子内視鏡装置
EP2671498B1 (en) Endoscope device
JP5259882B2 (ja) 撮像装置
US7907169B2 (en) Electronic endoscope system for fluorescence observation
EP3085300A1 (en) Endoscope device
WO2015015839A1 (ja) 撮像装置
JP5751869B2 (ja) 電子内視鏡装置、電子内視鏡用プロセッサ及び電子内視鏡システム
JP3884265B2 (ja) 内視鏡装置
JP6113385B1 (ja) 撮像システム
US10462440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4526322B2 (ja) 内視鏡装置
JP6396717B2 (ja) 感度調整方法および撮像装置
JP4657003B2 (ja) 内視鏡プロセッサ
JP2004033334A (ja) 電子内視鏡
CN109310272B (zh) 处理装置、设定方法以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