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110193A -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 Google Patents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110193A
KR20070110193A KR1020070042424A KR20070042424A KR20070110193A KR 20070110193 A KR20070110193 A KR 20070110193A KR 1020070042424 A KR1020070042424 A KR 1020070042424A KR 20070042424 A KR20070042424 A KR 20070042424A KR 20070110193 A KR20070110193 A KR 200701101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stination
part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2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07996B1 (ko
Inventor
히데노리 사카니와
Original Assignee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70110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110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0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0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6Devices for calling a subscriber
    • H04M1/27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 H04M1/274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 H04M1/2745Devices whereby a plurality of signals may be stored simultaneously with provision for storing more than one subscriber number at a time, e.g. using toothed disc using static electronic memories, e.g. chips
    • H04M1/27453Directories allowing storage of additional subscriber data, e.g. meta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처리부(101)는 서로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하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를 갖는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는 사용자로부터 발신처를 나타내는 정보의 입력을 접수한다. 정보보존부(103)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연락상대의 복수의 전화번호를 관련지어 보존한다. 발신처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입력된 발신처에 관련지어진 전화번호와 사용할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정보보존부(103)로부터 취득하고, 취득한 통신방식으로 취득한 전화번호에 통신처리부(101)에 발신시킨다. 복수의 전화번호가 있는 경우,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에 그들의 전화번호에 병렬해서 발신시킨다.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프로그램, 정보기록매체, CDMA, 무선LAN

Description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METHOD, AND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을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도 3b는 정보보존부에 보존되어 있는 정보테이블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동시발신판별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발신중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a, 도 7b, 도 7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화중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신처리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통화중인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 도 10b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성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a, 도 11b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음성처리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통신단말 20: 착신단말
30: 전화기 40: 집
50: CDMA기지국 60: 무선LAN액세스포인트
70: 통신네트워크 100: 제어부
101: 통신처리부 101A: CDMA통신처리부
101B: 무선LAN통신처리부 102: 안테나
103: 정보보존부 104: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05: 음성처리부 106: 스피커
107: 마이크로폰 108: 표시처리부
109: 표시부 110: 계시부
111: 배터리 201: 소유자 정보테이블
202: 연락처 정보테이블 301, 401: 복호화부
302: 다중화기 303: 레인지조정부
304, 405: D/A변환부 311, 411: A/D변환부
312, 412: 분리기 313, 413: 부호화부
402, 403, 414: 스위치 404, 415: 동기제어부
본 발명은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단말장치로서 휴대전화가 널리 보급되어 있다. 예를 들면, 외출처에서 가족에게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에는 우선 집의 고정전화에 전화를 해서 아무도 나오지 않는 경우에, 가족의 휴대전화에 걸거나, 또 그 반대로 우선 가족의 휴대전화에 전화를 해서 연결되지 않았던 경우에, 집의 고정전화에 다시 걸거나 한다. 이 경우, 복수회, 복수지점에 전화를 걸게 되어 연락을 취하기까지 시간이 걸리는 일이 많다.
일본국 특개평 8-237742호 공보에는 가정, 사업소, 옥외의 어디에서라도 사용할 수 있는 1대의 휴대전화를 이용하고, 그 휴대전화단말이 가정, 사업소, 옥외의 어디에 있어도 1회의 발신조작으로 끝나도록 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이 구조에서는 착신측의 휴대전화단말은 전화번호가 각각 다른 가정용, 사업소용, 옥외용으로 통신모드를 전환하면, 전환한 통신모드를 공중망에 접속된 휴대전화시스템제어장치에 통지해서 등록한다. 그리고 등록되어 있지 않은 통신모드용의 전화번호로의 호출이 실행되었을 때에는 휴대전화시스템제어장치가 등록되어 있는 통신 모드용의 전화번호에 전송하고, 착신측의 휴대전화단말은 전환한 통신모드로 착신한다.
긴급성이 높은 정보의 교환을 할 경우에는 전화를 거는 측도, 받는 측도, 빨리 통화를 개시할 수 있는 것이 중요하게 된다. 이때, 연락상대가 복수의 통신처의 전화번호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상대가 있는 장소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없는 일이 많다. 그로 인해, 상대의 어느 전화번호에 거는 것이 가장 효율 좋게 통화를 개시할 수 있는지를 생각하는 것은 수고와 불필요한 시간이 걸려 버려 사용자에게 있어서 큰 부담이다. 또한, 그 예상이 빗나가서 전화가 연결되지 않았던 경우에는 재차 다른 전화번호에 다시 걸지 않으면 안 되게 되어 조급한 연락을 취하는데에 지연이 발생하여 버린다.
또, 상기의 종래기술에서는 복수의 통신모드를 가진 휴대전화단말 이외에, 현재의 통신모드에 의해서 전화의 전송동작을 할 휴대전화시스템제어장치가 필요하고, 그 설치 등에 비용이 든다. 또한, 휴대전화단말을 이용하는 장소에 따라서 단말의 통신모드를 전환하고, 그때마다 공중망을 통해서 휴대전화시스템제어장치에 통신모드를 전환한 것을 통지하지 않으면 안 되어 시간이 걸린다.
본 발명은 상기 실상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복수의 상대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하기 위해 매우 적합한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관련되는 통신단말장치는,
소정의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방식과는 다른 소정의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와,
통신상대에 관련지어 통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해당 통신상대의 통신처가 복수인 경우, 상기 통신상대와 통신할 때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해당 통신상대의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해당 통신상대의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며,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는 통신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관련되는 통신방법은,
통신상대와 통신을 개시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접수스텝과,
상기 접수스텝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했을 때에 상기 통신상대의 복수의 통신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로부터 해당 통신상대의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해당 통신상대의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스텝과,
소정의 제 1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판독스텝에서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에 발신시키고,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1 통신방식과는 다른 제 2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판독스텝에서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에 발신시키는 통신제어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관련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는,
컴퓨터를,
소정의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방식과는 다른 소정의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와,
통신상대에 관련지어 통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해당 통신상대의 통신처가 복수인 경우, 상기 통신상대와 통신할 때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해당 통신상대의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해당 통신상대의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며,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는 통신제어부로서 기능시킨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11을 참조해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의 통신처에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동시에 발신할 수 있는 통신단말을 이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을 이용한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우선, 본 도면을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의 통신시스템 전체의 개략을 설명한다.
통신단말(10)은 전화의 발신자가 갖는 휴대전화 등의 통신단말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단말(10)은,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방식이나 무선LAN(Local Area Network)방식, EV-DO(Evolution Data Only)방식 등의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착신단말(20)은 전화의 착신자가 갖는 휴대전화 등의 통신단말이다. 착신단말(20)은, 예를 들면 CDMA방식으로 무선통신할 수 있다.
전화기(30)는 집(40)에 설치되어 있는 전화기이다.
예를 들면, 착신단말(20)을 갖는 착신자는 재택중에는 전화기(30)로 전화를 받고, 외출중에는 착신단말(20)로 전화를 받는다.
CDMA기지국(50)은 CDMA방식으로 통신단말과 전파를 송수신하는 기지국이다.
무선LAN액세스포인트(60)는 무선LAN방식에서의 무선통신에 있어서의 중계기이다.
통신네트워크(70)는 전화회선망 등의 통신망이다. CDMA기지국(50), 무선LAN액세스포인트(60), 전화기(30)는 이 통신네트워크(70)에 접속되어 있다.
발신자가 갖는 통신단말(10)은 CDMA방식으로 통신할 때에는 CDMA기지국(50) 및 통신네트워크(70)를 통하여 착신단말(20) 또는 전화기(30)와 통신한다. 또, 무선LAN방식으로 통신할 때에는 무선LAN액세스포인트(60) 및 통신네트워크(70)를 통하여 착신단말(20) 또는 전화기(30)와 통신한다.
발신자는 긴급성이 높은 정보의 교환을 할 때, 1회의 조작으로 상대에게 되도록이면 빨리 접속하고 싶은 것이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은 발신자에 의한 1회의 발신조작으로 복수의 통신기능을 이용해서 복수의 전화번호에 동시에 전화를 발신하여 착신자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신자가 통신단말(10)을 이용하여 연락상대(통신상대)에게 발신하기 위한 소정의 조작을 실행하면, 통신단말(10)은 연락상대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사람인지 아닌지를 판별하고, 복수의 전화번호를 갖는 사람인 경우에는 그들 전화번호에 동시에 발신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동시에 발신한다」는, 거의 같은 타이밍으로 다른 접속처에 다른 통신방식을 이용한 통신을 확립하기 위한 처리를 평행해서 개시한다고 하는 의미이다.
예를 들면, 연락상대가 착신단말(20) 또는 전화기(30)로 전화를 받는 착신자인 경우에는, 통신단말(10)은 CDMA기지국(50)으로의 발신과 무선LAN액세스포인트 (60)로의 발신을 동시에 병렬해서 실행한다. 그리고 CDMA기지국(50)은 전화번호등록정보에 의거하여 착신단말(20)로의 호출처리를 실행한다. 한편, 무선LAN액세스포인트(60)는 전화번호등록정보에 의거하여 전화기(30)의 호출처리를 실행한다. 이에 따라, 1회의 발신조작으로 복수의 전화번호의 발신처가 동시에 호출된다. 연 락상대는, 예를 들면 외출중에는 착신단말(20)로, 재택중에는 전화기(30)로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에 따르면, 연락상대가 어디에 있는지 몰라도, 전화를 전송하는 일 없이 연락상대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통신단말(10)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통신단말(10)은 제어부(100), 통신처리부(101), 안테나 (102), 정보보존부(103),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 음성처리부(105), 스피커 (106), 마이크로폰(107), 표시처리부(108), 표시부(109), 계시부(110), 배터리(111)를 구비한다.
제어부(10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등으로 구성되고, 데이터의 연산처리를 실행하며, 통신단말(10)의 전체를 제어한다. 연산처리 및 제어처리는, 구체적으로는 CPU가 RAM을 작업영역으로서 사용하여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시키면서, ROM에 기억되어 있는 제어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실행된다.
이 제어부(100)가 ROM이나 후술하는 정보보존부(103) 등에 기억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서, 통신처리부(101), 정보보존부(103),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 음성처리부(105), 표시처리부(108), 계시부(110) 등의 통신단말(10)의 각부를 제어 함으로써, 통신상대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하기 위한 처리 등이 실행된다.
통신처리부(101)는 CDMA, 무선LAN, EV-DO 등의 복수의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통신할 수 있다. 통신처리부(101)는 CDMA방식의 무선통신처리를 실행하는 CDMA통신처리부(101A), 무선LAN을 이용한 무선통신처리를 실행하는 무선LAN통신처리부(101B) 등의 N개(“N”은 2 이상의 정수)의 통신방식별의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통신처리부(101)는 복수의 통신방식에 의해 병렬해서 복수의 통신처와 통신할 수 있다.
안테나(102)는 복수의 통신방식에 있어서의 전파의 송수신을 실행한다. 통신방식마다 다른 안테나(102A, 102B, ㆍㆍㆍ, 102N)가 구비되어 있고, 각각 CDMA통신처리부(101A), 무선LAN통신처리부(101B) 등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1개의 안테나를 공용해도 좋다. 또, 소정의 케이블 등을 이용한 유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할 경우에는 안테나를 구비하지 않아도 좋다.
안테나(102A, 102B, ㆍㆍㆍ, 102N)는, 전파수신시에는 수신한 전파를 수신신호로 변환하여 대응하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에 공급한다. 통신처리부 (101A, 101B, ㆍㆍㆍ, 101N)는 공급된 수신신호를 음성신호의 부호화신호로 변환한다.
또 전파송신시에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는 음성신호의 부호화신호를 통신방식에 따른 송신신호로 변환하여 안테나(102A, 102B, ㆍㆍㆍ, 102N)에 공급한다. 안테나(102A, 102B, ㆍㆍㆍ, 102N)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로부터 공급되는 송신신호를 전파로 변환해서 방사한다.
정보보존부(103)는 이른바 휴대전화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주소록의 데이터 등을 보존하여 유지하는 메모리 공간이다. 예를 들면, 정보보존부(103)는 플래시메모리 등으로 구성되고, 통신단말(10)의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는 소유자 정보테이블(201)과, 통신상대의 연락처(통신처)의 전화번호 등을 기억하는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보존한다.
도 3a는 통신단말(10) 소유자의 정보를 기억하는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의 예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은 소유자의 이름과, 통신단말(10)의 식별정보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식별정보는 전형적으로는 전화번호이다. 예를 들면, 도 3a에 예시한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에 의거하면, 통신단말(10)의 소유자 “야마다 타로”는 3개의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통신단말(10)로부터 전화를 걸 수 있고, 또한, 3개의 전화번호를 이용해서 통신단말(10)로 전화를 받을 수 있다.
또,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은 식별정보마다 종별, 통신방식 등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종별은 식별정보의 분류구분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휴대전화의 전화번호인 것을 나타내는“휴대”, 자택의 전화번호인 것을 나타내는“자택”, 회사의 전화번호인 것을 나타내는“회사” 등이 있다. 이들 종별은 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통신방식은 그 전화번호로 통신할 때에 사용하는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도면에 예시한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제 1 전화번호(211)는 CDMA통신방식을 이용하고, 제 2 전화번호(212)는 무선LAN를 이용하 며, 제 3 전화번호(213)는 EV-DO를 이용해서 통신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다. 이 설정에 의해 CDMA통신처리부(101A)는 제 1 전화번호(211)를 발신원의 전화번호로서 통신처리를 실행하고, 무선LAN통신처리부(101B)는 제 2 전화번호(212)를 발신원의 전화번호로서 통신처리를 실행한다.
도 3b는 통신상대마다의 연락처 정보를 기억하는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의 예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은 상대의 이름마다, 그 상대의 연락처인 식별정보(전형적으로는 전화번호나 가입자 번호)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이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의거해서 통신단말(10)은 복수의 연락처에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하나코”에 발신할 경우에는, 통신단말(10)은 도 3b에 예시한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의거해서 제 1 전화번호 (221)와 제 2 전화번호(222)에 각각 다른 통신방식으로 동시에 발신할 수 있다.
또한,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는 상대의 이름으로서 개인이름뿐만 아니라, 그룹이름 등을 등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대의 이름란에, 그룹의 명칭으로서 “가족”으로 등록하고, 전화번호란에 가족 구성원 각각의 전화번호를 등록해도 좋다. 이름은 통신상대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이면 좋고, 임의의 문자, 숫자, 기호, 화상 등을 이용해서 표현할 수 있다.
또,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은 식별정보마다 종별, 통신방식, 발신설정, 수신시간 등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종별은 연락처 식별정보의 분류구분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예를 들면 “휴대”, “자택”, “회사” 등이 있다.
통신방식은 그 전화번호로 통신할 때에 사용하는 통신방식이다. 도 3b에 예시한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하나코”의 연락처인 제 1 전화번호(221)는 CDMA통신방식을 이용하고, 제 2 전화번호(222)는 무선LAN을 이용하여 통신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발신설정은 발신처의 식별정보가 후술하는 동시발신처리의 대상인지 아닌지를 나타내는 설정정보이며, 소유자 등에 의해서 미리 설정된다. 예를 들면, 동시발신처리의 대상인 전화번호에는 “1”이 설정되고, 동시발신처리의 대상이 아닌 전화번호에는 “0”이 설정된다.
수신시간은 식별정보마다의 수신 가능한 시간이다. 도 3b에 예시한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가족”의 연락처인 제 1 전화번호(231)에는 수신시간은 설정되어 있지 않고, 제 2 전화번호(232)는 21시부터 6시까지 전화를 수신하며, 제 3 전화번호(233)는 9시부터 20시까지 전화를 수신하는 것이 나타나 있다.
이와 같이, 정보보존부(103)는 소유자 정보테이블(201) 및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통신단말(10)의 식별정보나 통신방식을 지정하는 정보를 미리 보존하고, 또, 이른바 주소록과 같은 통신상대의 리스트를 미리 보존한다. 또한, 정보보존부(103)는 동시발신처리를 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의 발신설정이나, 각각의 상대에게 발신할 때에 이용하는 통신방식을 지정하는 정보 등을 보존한다. 또, 정보보존부(103)는 상기한 정보 이외에도 데이터, 프로그램 등의 여러 가지 정보를 보존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는 숫자나 문자를 입력하기 위한 영문숫자키, 십자커서키, 버튼 등으로 구성되고, 통신단말(10)의 사용자에 의해서 조작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는 발신이나 단절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지시입력을 접수하고, 또, 발신처의 전화번호나 전자메일주소 등의 사용자로부터의 정보의 입력을 접수하여 제어부(100)에 입력한다.
또한, 제어부(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로부터 입력된 정보에 따라서 정보보존부(103)에 정보를 추가하거나, 이미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갱신ㆍ삭제하거나 한다. 또, 제어부(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사용자로부터의 발신요구가 입력되면, 정보보존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토대로 통신처리부(101)를 제어해서 발신시킨다. 또, 제어부(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로부터의 입력정보에 의거하여 정보보존부(103)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를 검색하고, 정보의 대조를 실행할 수도 있다.
음성처리부(105)는 통신처리부(101)에 의해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 복호화처리, 부호화처리, 다이내믹레인지조정, 디지털ㆍ아날로그변환 등을 실행하고, 오디오신호와 부호화신호를 통신상대의 단말과 접속하는 경로가 된다.
구체적으로는, 음성처리부(105)는 통신처리부(101)로부터 공급되는 부호화신호를 복호화하여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고, 오디오신호를 생성해서 스피커(106)에 공급한다. 또, 음성처리부(105)는 마이크로폰(107)으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해서 부호화하고, 부호화신호를 생성해서 통신처리부(101)에 공급한다.
스피커(106)는 음성처리부(105)로부터 공급되는 오디오신호에 의거하여 음성통화에 있어서의 음성이나 착신음 등을 출력한다. 마이크로폰(107)은 음성통화시의 사용자에 의한 음성 등을 집음하고, 오디오신호로서 음성처리부(105)에 공급한다. 스피커(106)나 마이크로폰(107)을 통하여 사용자는 통화할 수 있다.
표시처리부(108)는 통신처리부(101)로부터 공급되는 정보에 의거하여 통신상황을 표시부(109)에 표시시키기 위한 처리를 실행한다. 예를 들면, 표시처리부 (108)는 통신처리부(101)가 발신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발신중”으로, 통화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통화중”으로, 단절처리를 실행하고 있을 때에는 “단절중”으로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또, 표시처리부(108)는 그 밖의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키는 처리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표시처리부(108)는 정보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주소록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처리, 발신 착신시에 상대의 전화번호 등을 표시시키는 처리, 배터리잔존량을 표시시키는 처리 등을 제어한다.
표시부(109)는 표시처리부(108)의 제어에 의해 여러 가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디바이스이다. 표시부(109)는, 예를 들면 휴대전화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액정디스플레이(LCD)나 유기EL(Electronic Luminescence)디스플레이 등의 표시장치이다.
계시부(110)는 시계회로 등을 구비하고, 날짜나 일시를 계시한다.
배터리(111)는 통신단말(10)을 구동하는데에 필요하게 되는 전력을 공급한다.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연락상대의 이름, 연락처의 전화번호 등을 미리 입력해서 둘 수 있다. 입력된 정보는 정보보존부(103)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보존하여 유지된다.
사용자는 정보보존부(103)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보존되어 있는 연락처정보 중에서 1개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던지, 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로부터 직접 전화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전화를 건다.
통신단말(10)에 있어서의 통신상황은 표시처리부(108)의 제어에 의해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음성통화가 확립되면, 음성처리부(105)가 음성정보를 부호화 하고, 다이내믹레인지조정 등의 처리를 시행함으로써 사용자는 스피커(106)나 마이크로폰(107)을 통하여 통화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의 통신처리부(101)는 상기한 바와 같이, N종류의 통신방식에 의해 동시에 통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통신상대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하기 위한 통신처리를 설명한다.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에 있어서의 통신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 처리는 사용자에 의해 발신이 요구되면, 개시된다.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는 사용자로부터의 발신요구를 접수하고, 제어부(100)는 발신요구가 있었는지 없었는지를 판별한다(스텝S101).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접속처를 지정하는 식별정보와 그 접속처에 발신할 취지의 요구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로부터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00)가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기억되어 있는 이름의 일람을 표시부(109)에 표시시켜서 사용자가 그 중에서 연락을 취하고 싶은 상대의 이름을 선택하고, 발신을 요구하기 위한 발신버튼 등을 누르면, 제어부(100)는 발신요구가 있었다고 판별한다.
발신요구가 없는 경우에는(스텝S101; NO), 제어부(100)는 발신요구가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발신요구가 있었던 경우에는(스텝S101; YES), 제어부(100)는 복수의 통신처에 동시 발신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0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스텝S101에서의 발신요구에 포함되는 접속처를 지정하는 식별정보와 정보보존부(103) 내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의 정보를 대조한다. 그리고 (1) 상대에게 식별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복수 존재하는지, (2) 복수 존재한 경우에, 발신설정에 동시에 발신하는 것을 나타내는 취지가 설정되어 있는지 없는지 등을 판별함으로써 동시발신처리의 대상이 되는 식별정보가 복수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동시 발신하면 설정된 식별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한다고 판별하고, 그 이외의 경우에는, 동시 발신하지 않는다고 판별한다.
여기에서, 스텝S102에서 실행되는 판별처리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판별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우선, 제어부(100)는 상대에게 복수의 식별정보가 대응지어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201).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정보보존부(103) 내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 도 4의 스텝S101에서의 발신요구에 포함되는 상대의 이름에 복수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가 관련지어져 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복수의 식별정보가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에는(스텝S201; YES), 제어부(100)는 그 복수의 식별정보 중에 발신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것이 복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202).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정보보존부(103) 내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참조하여 발신설정이 유효한 것을 나타내는 “1”로 설정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복수 존재하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발신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스텝S202; YES), 제어부(100)는 현재의 시간이 수신시간내인 식별정보가 복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스텝S203).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계시부(110)로부터 현재의 시간을 취득한다. 그리고 정보보존부(103) 내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참조하여 발신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식별정보 중에 수신시간의 설정이 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있는 경우에는, 현재의 시간이 수신시간내인지 아닌지를 판별한다. 또한, 수신시간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식별정보는 언제라도 수신할 수 있는 것으로 하고, 수신시간내라고 판별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제어부(100)는 발신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식별정보 중에 현재의 시간이 수신시간내인 것이 복수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현재의 시간이 수신시간내인 식별정보가 복수 있는 경우에는(스텝S203; YES),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한다고 판별한다(스텝S204). 즉, 제어부(100)는 상대의 이름에 대응지어진 식별정보 중에 발신설정이 유효하고 또한 수신시간내인 것 이 복수 있는 경우에는, 이들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후술하는 스텝에서 동시 발신한다.
한편, 스텝 S201에서 상대의 식별정보가 복수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스텝S201; NO), 또는 스텝 S202에서 발신설정이 유효로 되어 있는 식별정보가 복수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스텝S202; NO), 또는 스텝S203에서 현재의 시간이 수신시간내인 식별정보가 복수 존재하지 않는다고 판별된 경우에는(스텝S203; NO),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하지 않는다고 판별하고(스텝S205), 이 처리를 종료한다. 이 경우,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하지 않는다(스텝S102; NO).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발신요구를 수신했을 때에 정보보존부(103) 내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의 설정을 참조하고, 동시 발신하도록 설정된 복수의 식별정보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있는 경우에는, 그 복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동시 발신한다. 예를 들면 어떤 연락상대에게 현재 동시 발신할 취지가 설정된 복수의 전화번호가 있으면, 제어부(100)는 그들 전화번호에 병렬해서 서로 다른 통신방식으로 전화를 걸도록 제어한다.
제어부(100)는 각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가 이용하는 통신방식 중에서 검지하고 있는 전파강도가 소정값 이상의 것을 특정하고, 전파강도가 소정값 이상으로 특정된 통신방식이 관련지어진 식별정보를 연락처 정보테이블(202)로부터 취득해서 발신시키도록 해도 좋다. 제어부(100)는 취득한 식별정보가 복수인 경우에는 동시 발신시키고, 1개밖에 없는 경우에는 그 취득한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통신방식만으로 발신시키면 좋다.
도 4로 되돌아가 스텝S102에서 동시 발신한다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S102; YES),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 대상의 복수의 식별정보를 취득한다(스텝S103).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상기의 판별처리에 있어서 동시 발신한다고 판별된 상대의 복수의 식별정보를 정보보존부(103)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로부터 판독하여 취득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를 제어하고, 취득한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동시발신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04).
예를 들면, 도 3b에 예시한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기억되어 있는 “하나코”에 사용자가 연락을 취하고 싶은 경우, 제어부(100)는 CDMA통신처리부(101A)에 제 1 전화번호(221)로 발신시키고, 무선LAN통신처리부(101B)에 제 2 전화번호로 발신시킨다.
또한, 이 동시발신처리할 때에, 발신처의 식별정보의 수(M, “M”은 2 이상의 정수)가 사용 가능한 통신방식의 수(N, “N”은 2 이상의 정수)보다 적은 경우에, 어느 통신방식을 선택하는지의 수법에는 복수의 수법이 있다. 예를 들면, 순번으로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 중에서 선택해도 좋다. 또, 각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가 검지하고 있는 전파강도를 비교해서 전파강도가 높은 순으로 통신방식을 선택해도 좋다. 또, 이용 가능한 통신방식 중에서 사용자의 이용빈도가 높은 것을 우선적으로 선택해도 좋다. 또, 무작위로 통신방식을 선택해도 좋다. 그 밖의 수법을 이용해도 좋다.
또, 이 동시발신처리할 때에, 발신처의 식별정보의 수(M)가 사용 가능한 통 신방식의 수(N)보다 많은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통신방식의 수(N)와 동일수의 식별정보를 연락처 정보테이블(202)로부터 추출해서 동시발신처리를 실행한다. 제어부(100)는 M개의 식별정보 중에서, 무작위로 N개를 선택해도 좋고, 사용자의 사용빈도가 큰 순으로 N개를 선택해도 좋다. 또, 제어부(100)는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참조하여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진 통신방식을 취득하고, 각각의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통신처리부에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할당해서 발신시킨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표시부(109)에 발신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S105).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발신중의 상황, 발신처의 이름, 발신중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 등을 표시처리부(108)에 입력하고, 표시처리부(108)는 이들 정보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00)는 음성처리부(105)를 제어하여 호출음을 울리도록 요구하고, 음성처리부(105)는 정보보존부(103)에 보존된 소정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해서 스피커(106)로부터 호출음을 출력시킨다(스텝S106).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 중의 어느 것인가 1개가 접속에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107).
스텝S107에서 1개의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S107; YES), 제어부(100)는 처음으로 접속에 성공한 통신처리부(101X, “X”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와 음성처리부(105)의 사이에서 음성데이터의 송수신이 실행된다. 즉, 제어부(100)는 음성통화를 개시한다(스텝S108).
이와 같이, 제어부(100)는 처음으로 접속할 수 있었던 전화번호와의 통화를 개시한다. 여기에서, 접속에 성공한다는 것은, 발신자로부터의 발신에 대해, 기지국이나 액세스포인트가 상대에 대해 호출통지를 실행하고, 이 호출에 상대가 응답하여 발신자와 착신자의 사이에서 통신 가능하게 되는 것을 나타낸다.
따라서, 통신단말(10)을 사용하는 발신자는 복수의 전화번호를 소유하는 상대에 대해, 1회의 발신조작으로 통신을 조기에 확립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처음으로 접속된 통신방식에 적합한 부복호화를 선택해서 통화처리를 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처음으로 접속된 호출을 우선해서 사용하여 통화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아직 접속에 성공하고 있지 않은 발신을 중지시킨다(스텝S109). 이에 따라, 불필요한 발신처리에 의한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고, 착신자로의 불필요한 호출을 피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빨리 접속된 전화번호로 연락상대와 연락을 취할 수 있고, 연락상대는 다른 전화번호에서의 호출에 응하는 수고를 경감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표시부(109)에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S110).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통화중의 상황, 통화상대의 이름, 통화상대의 식별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 등을 표시처리부(108)에 통지하여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스텝S107에서 접속이 1개도 성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S107; NO), 스텝S105로 되돌아가고, 제어부(100)는 발신중인 표시 등을 계속하며, 접속이 성공하기까지 기다린다.
또한, 여기에서, 어떤 통신방식이 사용중인 경우나, 통신단말(10) 또는 접속처의 통신단말의, 어떤 통신방식의 전파강도가 소정값 미만인 경우나, 발신지 또는 착신지가, 어떤 통신방식의 서비스제공영역 밖인 경우, 제어부(100)는 그 통신방식에 대응하는 통신처리부(101)를 제어하고, 발신을 재시도시키거나, 통신을 단절시키거나 해도 좋다.
사용자와 통신상대의 사이에서 음성통화가 개시되면, 제어부(100)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사용자에 의한 통신단절의 지시가 입력되었는지 아닌지를 판별한다(스텝S111). 예를 들면,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의 통화종료버튼 등을 누름으로써 통신단절의 지시를 입력한다.
통신단절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S111; NO), 스텝S110으로 되돌아가고, 제어부(100)는 계속해서 통화중인 취지를 표시하며, 통신단절지시가 있기까지 기다린다.
통신단절지시가 있으면(스텝S111; YES), 제어부(100)는 접속하고 있는 통신처리부에 의한 통신을 단절하며(스텝S112), 표시부(109)에 단절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고(스텝S113), 이 통신처리를 종료한다. 또한, 통화중에 그 통신방식의 전파가 소정값 미만으로 되거나, 예기하지 않고 단절되거나 한 경우에도 제어부(100)는 통신을 단절한다.
한편, 스텝S102에서 동시 발신하지 않는다고 판별한 경우에는(스텝S102; NO), 제어부(100)는 통신상대의 1개의 식별정보를 취득한다(스텝S114).
이어서, 제어부(100)는 취득한 1개의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통신방식 의 통신처리부(101Y, “Y”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를 제어해서 발신처리를 실행한다(스텝S115). 예를 들면, 정보보존부(103)에 동시 발신하지 않는 경우에 이용할 통신방식을 미리 기억하여 두고, 제어부(100)는 이 정보에 의거하여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발신시켜도 좋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표시부(109)에 발신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S116). 구체적으로는, 제어부(100)는 발신중의 상황, 발신처의 이름, 발신처의 전화번호 등을 표시처리부(108)에 통지하여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또한, 제어부(100)는 음성처리부(105)에 호출음을 울리도록 요구하고, 음성처리부(105)는 정보보존부(103)에 보존된 소정의 음성데이터를 재생해서 스피커 (106)로부터 호출음을 출력시킨다(스텝S117).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발신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통신처리부(101Y)에 있어서, 접속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118). 그리고 접속이 성공하지 않았던 경우에는(스텝S118; NO), 스텝S116로 되돌아가며, 제어부(100)는 발신중의 표시 등을 계속하고, 접속이 성공하기까지 기다린다.
스텝S118에서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S118; YES),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Y)에서의 통신을 확립하고, 사용자와 상대의 사이에서 음성통화를 개시한다(스텝S119). 이어서, 스텝S110으로 진행하여 통화중인 취지를 표시시킨다.
이상 설명한 통신처리에 의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은 동시 발신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연락상대의 이름에 관련지어져 있는 복수의 전화번호에 복수의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동시에 발신할 수 있다. 또, 발신상황이나 통화상황 이 표시부(109)에 표시됨으로써 발신자는 통신의 상황을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발신자가 복수의 전화번호를 소유하는 상대에게 1회 발신을 요구하는 것만으로 통신단말(10)은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 동시 발신하여 상대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스텝S105에 있어서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6a∼도 6c는 발신중을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에서 동시 발신이 되고 있을 때에, 표시처리부(108)를 제어하여 표시부(109)에 발신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정보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도 3b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로부터 이름 “이치로”를 선택하고, 발신을 지시한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를 제어해서 복수의 전화번호에 발신한다.
도 6a는 단지, “이치로”에 대해서 발신중인 것을 표시하고, 복수의 전화번호에 발신되고 있는 것을 표시하지 않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발신중인 취지의 정보가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예는, 사용자가 어느 통신방식을 이용하고 있는지를 신경 쓰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알기 쉬운 표시이며, 편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6b는 동시에 발신하고 있는 전화번호의 종별을 표시하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발신중인 종별명에 관련지어진 발신중인 취지의 정보가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또, 도 6c는 “이치로”의 모든 연락처의 종별을 표시하고, 그 중에서, 어느 연락처에 동시에 발신하고 있는지를 표시하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연락상대의 모든 연락처의 종별명이 표시부(109)에 표시되고, 또한, 발신중인 종별명과 발신중이 아닌 종별명이 구별되어 표시된다.
표시부(109)는 주목시키고 싶은 정보를 점멸시켜 표시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6c에서는 “휴대” 및 “자택”의 문자가 점멸하고, “이치로”의 연락처의 종별 “휴대” 및 “자택”의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되고 있는 것이 나타나는 동시에, 종별 “회사”의 전화번호에는 발신되고 있지 않은 것이 나타나도 좋다.
도 6b나 도 6c와 같은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연락처의 전화번호에 발신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고, 발신자(사용자)는 발신처를 용이하게 의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4의 스텝S110에 있어서 표시부(109)에 표시되는 화면의 구성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은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에서 통화가 확립되고 있을 때에, 표시처리부(108)를 제어하여 표시부(109)에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킨다.
예를 들면, “이치로”의 복수의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하고, 도 4의 스텝S107에서 1개의 발신의 접속이 성공되면, 스텝S108에서 통화가 확립되며, 스텝S109에서 다른 발신은 중지된다.
도 7a는 단지, “이치로”와 통화중인 것을 표시하며, 어느 전화번호로 접속 을 할 수 있었는지 등을 구별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접속처의 전화번호나 통신종별을 표시하지 않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통화중인 취지의 정보가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는, 통화에 어느 전화번호가 이용되고 있는지를 사용자가 신경 쓰지 않는 경우에 사용자에게 있어서 알기 쉬운 표시이며, 편리성 향상의 효과가 있다.
도 7b는 어느 전화번호로 접속되었는지 구별하고, 접속된 전화번호의 통신종별을 표시하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통화중의 종별명에 관련지어진 통화중인 취지의 정보가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사용자는 어느 전화번호로 통화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또, 도 6에 나타낸 표시예와 적절히 조합하여 표시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발신중은 발신처의 전화번호를 구별하지 않고, 도 6a에 예시한 바와 같이 연락상대의 이름과 “발신중”의 메시지만을 표시하며, 통신이 확립된 후는 도 7b에 예시한 바와 같이 통신처의 종별을 구별해서 표시해도 좋다. 이와 같은 표시는, 사용자가 발신중은 어디에 발신하고 있어도 신경 쓰지 않는데, 실제로 통신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 그 통신종별을 알고 싶다고 하는 경우에 적합하다.
도 7c는 복수의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을 한 후, 먼저 접속한 통화를 통화중으로 하고, 아직 접속되어 있지 않은 발신을 단절하고 있는 취지를 표시하는 예이다. 이 경우에는 연락상대의 이름과, 통화중의 종별명에 관련지어진 통화중인 취지의 정보와, 단절중의 종별명에 관련지어진 단절중인 취지의 정보가 표시부(109)에 표시된다. 이와 같은 표시에 의해, 어느 전화번호에 접속되어 있고, 어느 전화 번호로의 발신을 중지했다고 하는 상황을 사용자는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다음으로, 소유자 정보테이블(201) 및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에 나타낸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에는 통신단말(10)의 소유자의 이름, 식별정보(전화번호), 식별정보의 종별이나, 통신방식 등이 관련지어 기억되어 있다. 제어부(100)가 이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을 참조하고, 소유자 정보테이블 (201)에 기록되어 있는 복수의 발신 전화번호를 이용하여 통신처리부(101)에 동시 발신시킴으로써, 발신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동시에 복수의 전화번호에 발신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에 있어서의 식별정보와 통신방식의 관련지움을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이용해서 입력, 갱신, 삭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사정에 따라서 식별정보와 통신방식을 구사할 수 있다. 또한, 식별정보는 전화번호 외에 IP주소, MAC주소, 호스트명 등이라도 좋다.
또, 상기의 동시발신처리에 사용하는 식별정보의 우선도를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이용해서 설정해도 좋다. 또, 정보보존부(103)에 보존되어 있는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의 정보는 통신단말(10)이 검지하고 있는 전파강도에 맞추어서 개서(改書)되어도 좋다. 예를 들면, 전파강도가 강한 통신방식에 관련지어져 있는 식별정보의 우선도를 높게 설정해서 정보보존부(103)에 보존하여 둔다. 이에 따라, 발신자는 소망의 통신상대와 더욱 빨리 통화를 개시할 수 있다.
또,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은 식별정보마다 발신을 허가하는 시간대를 추가 로 기억하고, 제어부(100)는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에 기억된 식별정보 중에서, 설정된 시간대에 현재의 시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선택하여 발신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시간대에 따라서 전화번호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도 3b에 나타낸 연락처 정보테이블(202)도 사용자인터페이스부 (104)를 이용하여 개서, 갱신, 삭제할 수 있다. 이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이용함으로써 발신자는 1회 발신을 지시하는 것만으로 그 연락상대의 이름에 관련지어진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할 수 있어 통화개시까지의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가족의 누군가와 조급하게 연락을 취하고 싶을 때에는 “가족”의 명칭을 선택한다. 도 3b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 “가족”에 관련지어진 제 1 전화번호(231)에는 CDMA통신방식, 제 2 전화번호(232)에는 무선LAN통신방식이 설정되어 있다. 그래서, 발신자가 “가족”을 선택해서 발신하면, 통신처리부(101)는 CDMA통신방식에 의해서 제 1 전화번호에 발신하고, 동시에, 무선LAN통신방식에 의해서 제 2 전화번호에 발신한다. 또한, 제 3 전화번호(233)에는 발신설정으로서 “0”이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족”이 선택되어도 동시 발신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발신자는 “가족”에 1회 발신을 지시하는 것만으로 그것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시킬 수 있다. 또, 발신설정의 정보에 의해,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이름에 관련지어진 식별정보의 모두를 이용해서 발신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가 미리 선택한 식별정보로 발신할 수 있다.
또, 동시에 발신할 때에, 다른 식별정보에 같은 통신방식이 관련지어져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그들 식별정보 중에서, 1개만을 선택하여 발신한다. 선택 방법은 임의인데, 예를 들면 사용빈도가 가장 큰 것을 선택한다.
또, 발신측의 통신단말(10)은 통신방식마다 개개로 식별정보(예를 들면 전화번호)를 갖고 있다. 그래서, 제어부(100)는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이용하여 발신할 상대에게 어느 식별정보를 통지할지를 관리하도록 해도 좋다. 이것은 상대에게 알려주고 있지 않은 자신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상대의 통신단말에 발신하면, 착신자가 누구로부터의 전화인지를 인식할 수 없어 전화를 받지 않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미리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통신상대의 식별정보와, 그 상대에게 이미 알려 준 식별정보를 관련지어 기억시켜 둔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시에, 상대의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자신의 식별정보를 사용해서 발신한다. 이에 따라, 상대에게 알려 준 전화번호로 발신할 수 있어 발신할 상대에 따라서 자신의 전화번호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또, 특별히 긴급을 요할 경우에는, 통신단말(10)은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의 통신방식, 발신설정, 수신시간 등의 설정정보를 무시하고, 발신할 수 있는 모든 발신을 시도해도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통신상대의 이름과 함께 특별히 긴급을 요하는 취지의 정보가 입력된 경우에는, 통신단말(10)은 입력된 이름에 관련지어져 있는 모든 식별정보를 연락처 정보테이블(202)로부터 판독하고, 이용 가능한 통신방식의 모든 식별정보를 사용해서 동시 발신한다. 이것은 착신측의 사정보다도, 발신측(통신단말(10)측)의 긴급성을 우선할 경우에 적합하다.
또,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 통신상대의 이름과 통신상대의 전자메일주소를 관련지어 기억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통신단말(10)은 음성통화가 연결되지 않았던 때에,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있어서 통신상대의 이름에 관련지어져 있는 전자메일주소를 수신인주소로 하여 전자메일을 송신한다. 또, 임의의 타이밍으로 전화를 발신하는 동시에 전자메일을 발신할 수 있도록 해도 좋다. 이에 따라, 연락상대의 자택의 PC 등에 직접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나, 음성발신과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어 연락을 조기에 취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전자메일 외에, IP주소, MAC주소, 호스트명 등을 이용한 공지의 네트워크메시징시스템을 이용해도 좋다.
또, 상대가 전화를 받지 않았던 경우에, 그 상대의 이름에 관련지어진 전자메일주소 등을 수신인주소로 해서 발신의 이유 등을 통지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한다.
(실시형태 2)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단말(10)은 복수의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하고, 1개의 접속이 성공해도 접속이 성공하고 있지 않은 다른 발신을 중지하지 않는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에 있어서의 통신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통신단말(10)은 동시 발신한다고 판별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사용자에 의해 동시 발신이 요구되면, 이 통신처리가 개시된다. 제어부 (100)는 동시 발신할 복수의 식별정보를 취득한다(스텝S301). 예를 들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연락상대의 이름이 입력되면, 제어부(100)는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참조하여 상대의 이름에 관련지어져 있는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한 발신설정이나 수신시간의 조건을 만족시키는 것을 추출한다. 또한,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을 참조하지 않고, 예를 들면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입력되는 복수의 식별정보를 동시 발신하기 위해 이용하는 식별정보로 해도 좋다.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도 4의 스텝S104∼S106과 마찬가지로,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를 제어하여 취득한 복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동시 발신하며(스텝S302), 표시부(109)에 발신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고(스텝S303), 음성처리부(105)에 호출음을 재생시킨다(스텝S304).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A∼101N)에 통신의 접속부터 단절까지의 처리를 병렬해서 실행시킨다. 여기에서는 통신처리부(101A)와 제어부(100)에 의한 통신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통신처리부(101B∼101N)도 마찬가지이다.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A)에 의해 접속이 성공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고(스텝S305), 성공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스텝S305; NO), 스텝S303으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발신중인 취지를 표시부(109)에 표시시킨다.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스텝S305; YES), 제어부(100)는 도 4의 스텝S108과 마찬가지로, 통신처리부(101A)에 의한 통신을 확립해서 음성통화를 개시한다(스텝S306A).
다음으로, 제어부(100)는 도 4의 스텝S110과 마찬가지로, 표시부(109)에 통 화중인 취지의 정보를 표시시킨다(스텝S307).
그리고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A)에 의한 통신의 단절 지시가 있는지 없는지를 판별하고(스텝S308), 통신단절지시가 없는 경우에는(스텝S308; NO), 스텝S307로 되돌아가 계속해서 통화중인 취지를 표시시킨다.
통신처리부(101A)에 의한 통신의 단절 지시가 있었던 경우에는(스텝S308; YES), 제어부(100)는 통신처리부(101A)에 의한 통신을 단절하며(스텝S309), 표시부(109)에 단절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시키고(스텝S310), 통신처리를 종료한다.
이 스텝S305∼S310의 처리가 통신처리부(101A∼101N)의 각각에 대해 병렬해서 실행된다.
복수의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음성처리부(105)를 제어하고, 복수의 음성을 믹싱 등에 의해 합성해서 동시에 복수의 상대와 통화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가족”으로 그룹화된 멤버 전원에게 같은 정보를 전할 때나, 긴급연락을 할 경우에 동시에 복수의 상대와 통화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은 동시에 복수의 통신을 확립할 수 있고, 사용자는 복수의 상대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다.
또, 복수의 전화번호에 동시 발신하여 복수의 접속처와 접속할 수 있었던 경우에, 접속처마다 통신을 단절할지 아닐지를 사용자에게 문의한다. 그리고 사용자는 어느 것을 단절할지를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선택한다.
도 9는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의 표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가족”의 각 멤버에게 동시 발신하고, 종별 “휴대” 및 “자택”의 전화번호와의 접속이 성공한 경우에는, 표시부(109)는 종별마다의 통화중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한다. 사용자가 표시된 리스트로부터 단절할 통화를 선택하면, 제어부(100)는 선택된 통화를 통신처리부(101)에 단절시킨다.
이와 같은 제어에 의해, 예를 들면 동시에 복수의 사람과 이야기할 필요가 없어진 경우에, 임의로 통화를 단절할 수 있다. 또, 동시 접속수를 줄임으로써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조작하여 통신을 확립할 수 있었던 회선 중 어느 것을 우선해서 사용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또, 사용자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조작하여 선택하지 않았던 통화를 보류로 할지, 단절할지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0a, 도 10b는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에 있어서의 음성처리부(105)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a는 통신처리부(101A∼101N)로부터 음성처리부(105)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의 예이다. 도 10b는 음성처리부(105)로부터 통신처리부(101A∼101N)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의 예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호화부(301)는 통신방식마다 복호화기 (301A, 301B, ㆍㆍㆍ, 301N)를 구비하고,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로부터 입력되는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한다. 각 복호화기(301A∼301N)는 CDMA통신처리부(101A), 무선LAN통신처리부(101B) 등에서 사용하는 부호화방식에 대응하고 있고, 통신처리부(101A∼101N)의 각각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디지털 부호화된 음성 정보를 복호한다.
다중화기(302)는 복호화부(301)의 각 복호화기(301A∼301N)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믹싱한다.
레인지조정부(303)는 통신처리부(101A∼101N)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의 다이내믹레인지를 조정하고, 다중화기(302)에 의한 다중화 때에 음성레벨을 평준화한다.
D/A변환부(304)는 다중화기(302)에서 다중화된 디지털신호를 오디오신호로 아날로그 변환하여 스피커(10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106)로부터 믹싱된 음성이 출력되고, 사용자는 통신처리부(101A∼101N)에서 교환되는 음성정보를 1개의 스피커로부터 동시에 들을 수 있다.
도 1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A/D변환부(311)는 마이크로폰(10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분리기(312)는 A/D변환부(3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부호화방식마다 분리하여 부호화부(313)에 송신한다.
부호화부(313)는 복수의 부호화기(313A∼313N)를 구비하고, 분리기(312)로부터 송신되는 디지털신호를 부호화한다. 각 부호화기(313A∼313N)는 각 부호화방식(또는 통신방식)에 준거해서 부호화하고, 통신처리부(101A∼101N)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마이크로폰(10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은 각 통신방식에서 사용되는 음성코덱에 맞은 규칙으로 부호화되고, 발신자의 음성을 동시에 복수의 통신 상 대에게 전할 수 있다.
또, 본 도면과 같이 복호화기와 부호화기를 복수개 구비한 구성이라도 좋고, 1개의 복호화/부호화기를 시간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구성이라도 좋다. 복수개의 복호화기 또는 부호화기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복수의 음성코덱을 병행해서 처리할 수 있어 고속으로 통신처리할 수 있다. 1개의 복호화/부호화기를 시간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로 구성해도 좋다. 하드웨어로 구성한 경우는 성능에 맞춘 병렬고속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성한 경우는 새로운 코덱에 대응할 때에 기능확장이 하기 쉬워진다.
(실시형태 3)
다음으로, 음성처리부(105)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음성처리부(105)에는 각 통신처리부(101A∼101N)로부터 시분할되거나, CALL- ID로 불리는 시리얼정보가 부여되어 분리되거나 하여 음성정보가 송신된다.
CALL-ID는 미리 각 통신처리부(101A∼101N)에 할당된 번호이다. 예를 들면, 음성정보는 CDMA방식으로 통신되는 음성정보를 CALL-ID=1로서, 무선LAN방식으로 통신되는 음성정보를 CALL-ID=2로서 분리된다.
도 11a는 각 통신처리부(101A∼101N)로부터 음성처리부(105)에 음성신호가 입력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b는 음성처리부(105)로부터 통신처리부(101A∼101N)에 음성신호를 출력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복호화부(401)는 도 10a의 복호화부(301)와 똑같은 처리를 실행하며, 부호화 방식(통신방식)마다 복호화기를 구비한다. 각 복호화기(401A, 401B, ㆍㆍㆍ, 401N)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가 이용하는 각 부호화방식에 대응하고 있다.
스위치(402)는 통신처리부(101)로부터 시분할해서 송신되어 오는 부호화된 음성정보를 시간 또는 CALL-ID로 배분하여 복호화기(401A∼401N)의 어느 하나에 입력시킨다.
스위치(403)는 복호화부(401)의 각 복호화기(401A∼401N)에서 복호화된 디지털신호를 D/A컨버터(405)에 출력한다.
동기제어부(404)는 동기클록에 의해, 스위치(402)와 함께 스위치(403)를 동시에 전환한다. 스위치(402)와 스위치(403)가 동시에 전환함으로써 동기제어부 (404)는 통신처리부(101)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음성정보의 부호화방식에 맞은 패스를 결정할 수 있다.
D/A변환부(405)는 스위치(403)를 통하여 복호화부(401)로부터 출력되는 복호화된 디지털신호를 오디오신호로 아날로그 변환하여 스피커(106)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스피커(106)로부터 믹싱된 음성이 출력되어 동시에 통신하고 있는 모든 상대로부터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또, 도 11a에 나타내는 음성처리부(105)는 CALL-ID가 부여된 음성정보를 통신처리부(101)로부터 취득하고, 스위치(402)로 각 CALL-ID에 맞은 복호화기(401A∼401N)의 어느 하나를 선택해서 복호화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통신처리부(101A∼101N)에서 교환되는 음성정보를 스피커(106)로부터 동시에 들을 수 있다.
A/D변환부(411)는 마이크로폰(107)으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음성을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
분리기(412)는 A/D변환부(411)로부터 입력되는 디지털신호를 부호화방식마다 분리하여 부호화부(413)에 송신한다.
부호화부(413)는 도 10b의 부호화부(313)와 똑같은 처리를 실행하며, 복수의 부호화기(413A∼413N)를 구비한다. 각 부호화기(413A∼413N)는 각 부호화방식(통신방식)에 준거한 부호화를 실행한다.
스위치(414)는 통신처리부(101)에 부호화된 음성정보를 송신할 때에 부호화기(413A∼413N)로부터의 출력을 전환한다.
동기제어부(415)는 동기클록에 의해 스위치(414)를 전환한다.
스위치(414)는 동기클록에 의해, 통신처리부(101)와 동기한 타이밍으로 전환하고, 그 전환타이밍으로 각 부호화기(413A∼413N)에서 부호화된 음성정보가 통신처리부(101)에 송신된다. 그리고 통신처리부(101)가 이들 음성정보를 시분할하여 통신처리함으로써 각 통신처에 발신자의 음성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각 부호화기(413A∼413N)에서 CALL-ID를 부가하도록 해도 좋다. 그 경우는, 통신처리부(101)는 CALL-ID마다 통신처리부(101A∼101N)의 어느 하나를 선택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폰(107)으로부터 입력된 음성은 각 통신처리부(101A∼101N)에서 사용되는 음성 코덱에 맞은 규칙으로 부호화되고, 통신단말(10)은 발신자의 음성을 복수의 상대에게 동시에 전할 수 있다.
또, 통신단말(10)은 복수의 복호화기 또는 부호화기를 구비해도 좋고, 1개의 복호화/부호화기를 시간으로 전환하여 사용해도 좋다. 복수개의 복호화기 또는 부호화기를 구비하는 구성에서는 복수의 음성코덱을 병행해서 처리할 수 있어 고속으로 통신처리할 수 있다. 1개의 복호화/부호화기를 시간으로 전환하여 사용하는 구성에서는 회로규모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은 하드웨어로 구성해도 좋고, 소프트웨어로 구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에 따르면, 사용자는 동시에 복수의 통화를 실행할 수 있으므로, 예를 들면 선택한 상대에게 발신함과 동시에, 경찰이나 소방 등의 미리 설정한 특정 상대의 전화번호에도 발신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정보보존부(103)에 경찰이나 소방 등의 특정의 식별정보(전화번호)를 미리 보존하여 둔다. 그리고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에 연락상대의 이름과 함께 긴급을 요하는 취지의 정보가 입력되면, 선택한 연락상대와 미리 설정된 특정의 식별정보에 동시 발신한다. 이에 따라, 긴급성이 높은 정보를 간단한 조작으로 다른 상대에게 동시에 전할 수 있다. 이 특정의 식별정보에는 임의의 식별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그 밖의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한 도 4의 스텝S109에서 통화개시 전에 발신이 중지되면, 착신자는 통신이 단절된 이유를 모른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단말(10)은 착신자에게 단절이유 등의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처리부(101)에 의해 송수신되는 데이터 중에 단절이유를 나타내는 데이터영역을 미리 준비한다. 이 데이터영역에는 “다른 통신처에 접속이 완료됨”, “재다이얼 불필요”등의 단절이유를 나타내는 정보(전언(傳言)정보)가 격납되어 상대에게 송신된다. 이에 따라서, 통신이 단절된 후에 착신자의 단말은 수신한 전언 정보가 나타내는 메시지를 표시할 수 있어 상대는 단절이유를 알 수 있다.
또, 단절 후에 단절한 이유를 상대에게 전자메일로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정보보존부(103)의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미리 전화번호와 함께 전자메일주소를 보존하여 두고, 제어부(100)는 단절한 상대의 전자메일주소를 수신인주소로 하여 단절이유를 첨부한 전자메일을 송신한다.
또한, 동시 발신했는데 어느 연락처와도 접속할 수 없었던 경우에, 상대에게 그 취지를 통지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누구와도 접속할 수 없었다”등의 단절이유를 나타내는 전언정보를 상대에게 송신한다. 또, 도 8의 스텝S309에서 통신처마다 통신을 단절할 때에 전언정보를 송신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통신처리부(101A, 101B, ㆍㆍㆍ, 101N)에는 정보보존부(103) 내의 소유자 정보테이블(20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통신방식마다 발신용의 전화번호가 할당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동시 발신용의 자신의 전화번호를 미리 정보보존부(103)에 보존하여 두고,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할 때, 그 동시 발신용의 전화번호에 관련지어져 있는 통신방식을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동시 발신할 때에, 발신자가 동시 발신용의 전화번호를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또, 제어부(100)는 발신자측이 수신하는 전파강도가 강한 통신방식을 우선적으로 선택하여 소유자 정보테이블(201)로부터 그 선택된 통신방식에 관련지어진 전화번호로 발신시켜도 좋다.
여기에서, 수신하는 전파강도가 강한 통신방식이란, 통신처리부(101A∼101N)에 있어서, 전파강도를 나타내는 지표, 예를 들면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C/I(Carrier-to-Interference Ratio), Pilot강도를 나타내는 Ec/Io 등의 값이 큰 통신방식이다. 예를 들면, CDMA통신방식이나 무선LAN통신방식 등의 다른 통신방식마다 전파강도지표의 값과 접속률의 대응관계를 미리 실험적으로 구하고, 각 통신방식의 전파강도지표의 값과 접속률을 관련지은 테이블을 정보보존부(103)에 보존하여 둔다. 그리고 제어부(100)는 동시 발신시에, 각 통신방식의 전파강도를 측정하고, 이 테이블을 참조해서 접속률이 높은 통신방식을 우선적으로 선택한다. 이에 따라, 접속하기 쉬운 통신방식을 우선해서 선택하므로, 통신단말(10)은 짧은 시간으로 상대와 접속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어떤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이 혼잡하고 있는 등의 이유 때문에 기지국으로부터 발신규제가 걸려 있는 경우나, 전파강도가 안정되지 않은 경우에, 제어부(100)는 그 통신방식 이외의 통신방식을 선택해서 발신시킬 수도 있다.
또, 착신측의 통신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방식을 미리 알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00)는 착신측의 통신단말을 사용할 수 있는 복수의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동시에 발신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정보보존부(103)는 연락처 정보테이블(202)에 보존된 식별정보마다 동일단말인 것을 나타내는 플래그를 추가로 기억하고, 제어부(100)는 이 플래그를 참조해서 착신측이 사용할 수 있는 통신방식을 판단하면 좋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을 전화를 거는 것뿐만 아니라, 상대에게 임의의 데이터를 송신할 때에 적용해도 좋다. 이 경우, 데이터송신처의 주소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고, 제어부(100)는 입력된 주소 앞으로 동시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이에 따라, 통신단말(10)은 음성통화뿐만 아니라 문자정보나 영상, 화상 등의 데이터통신에 있어서도 1회의 발신조작으로 복수의 수신인주소에 메시지를 조기에 송신할 수 있다.
또, 전파강도가 약한 등의 이유로 어떤 통신방식의 발신이 도중에 실패한 경우, 제어부(100)는 그 통신방식에 의한 발신을 그 시점에서 중지할지, 또는, 재시도하여 재발신할지를 선택해서 실행시키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어느 쪽을 선택시킬지의 정보를 미리 정보보존부(103)에 보존하여 둔다. 또, 사용자가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그때마다 선택하도록 해도 좋다. 무선LAN액세스포인트(60)이나 CDMA기지국(50)과 통신단말(10)의 인증에 실패한 경우나, 통신 권 밖의 경우에는, 재시도하지 않고 발신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전파강도가 약하기 때문에 발신이 실패한 경우에는, 그 발신을 재시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스피커(106)로부터 출력되는 발신중의 호출음은 복수의 발신의 어느 하나만을 선택해서 들리도록 해도 좋고, 음성을 믹싱해서 모든 호출음을 들리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10a에 나타낸 음성처리부(105)에서 음성데이터를 믹싱하 면 좋다. 또는, 도 11a에 나타낸 음성처리부(105)에서 출력하는 음성을 교대로 전환하면 좋다.
어느 하나의 호출음을 선택해서 들리도록 한 경우는, 사용자는 발신중에 접속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것을 소리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모든 호출음을 믹싱 등으로 하여 스피커로부터 들리도록 한 경우는, 사용자는 동시에 발신하고 있는 상황을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다.
모든 호출음을 들리도록 한 경우, 발신처마다 호출음의 음색이나 음량을 변경해도 좋다. 호출음의 음색이나 음량의 변경은 통신처리부(101)에서 실행해도 좋고, 음성처리부(105)에서 실행해도 좋다. 통신처리부(101)에서 실행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통신처리부(101A∼101N)에 호출음에 이용되는 주파수를 미리 할당하여 둔다. 또, 음성처리부(105)에서 실행할 경우에는, 예를 들면 CALL-ID를 식별하여 레인지조정부(303)에서 음량을 조정한다.
또, 동시 발신하고 있는 어느 것인가의 통신이 확립된 경우에, 다른 동시 발신하고 있는 호출음을 중지해도 좋고, 혹은, 일부 또는 모두를 계속해서 울려도 좋다. 예를 들면, 미리 사용자에게 어느 쪽인지 선택시켜서 그 설정정보를 정보보존부(103)에 보존하여 두고, 제어부(100)는 이 설정정보에 의거하여 선택한다.
또, 사용자에게 모든 발신중에서 호출음을 중지하고 싶은 것을 사용자인터페이스부(104)를 통하여 선택시키고, 제어부(100)는 호출음을 실시간으로 전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선택된 발신에 대응하는 통신처리부(101Z, “Z”는 1 이상 N 이하의 정수)는, 호출음의 음성정보를 음성처리부(105)에 송신하지 않는다.
어느 것인가의 통화가 확립되었을 때에 모든 호출음을 중지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있어서 어느 것인가가 접속되면, 다른 전화번호에 연결되지 않아도 좋은 경우에 적합하다. 또, 통화가 확립되었을 때에 일부 또는 전부의 호출음을 계속 울리는 것은 사용자가 가능한 한 많은 상대와 동시 접속하고 싶은 경우에 적합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에 관련되는 통신단말(10)에 따르면, 이하에 서술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는 통신단말(10)은 사용자에 의한 1회의 발신조작으로, 다른 전화번호에 다른 통신방식으로 동시에 발신함으로써 연락을 취하고 싶은 상대에게 접속할 수 있는 확률, 접속까지 요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 처음으로 접속할 수 있었던 통신방식을 선택함으로써, 처음으로 접속된 호출을 우선해서 사용자에게 통화시킬 수 있다.
또, 다른 상대와 다른 통신방식으로 평행하게 접속된 경우에, 일부 또는 전부의 통화음성을 믹싱해서 스피커로부터 들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동시에 복수의 상대로부터의 음성을 들을 수 있다.
또, 동시 발신시에 발신처를 나타내는 정보나 발신상황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현재 누구와 접속되어 있고 누구와 접속되어 있지 않은지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 동시 발신시에 발신처의 정보를 표시하지 않도록 할 수도 있어 발신자에게 어느 전화번호를 이용하고 있는지는 신경 쓰게 하지 않는다.
또, 사용자는 단절할 통화를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에게 있어서 불필요한 호출을 단절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다.
또, 통신단말(10)은 상대의 이름,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등의 발신처정보에 관련지어 동시 발신을 위한 설정을 미리 기억하고, 이 설정에 의거하여 동시 발신함으로써, 사용자는 간단한 조작으로 동시에 복수의 전화번호에 발신할 수 있다.
또, 통신단말(10)이 각각의 통신방식을 사용하는 시각을 미리 기억하고, 이것에 의거하여 통신방식을 선택할 수 있음으로써, 사용자의 사정에 따라서 통신방식(통신에 이용하는 전화번호)을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또, 처음으로 접속할 수 있었던 발신 이외의 발신을 중지함으로써, 전력소비를 저감할 수 있어 착신자에게의 불필요한 호출을 경감할 수 있다.
또, 발신을 중지한 호출의 단절이유 등을 통지함으로써, 착신자에게 필요없는 불안이나 부담을 주지 않는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했는데, 상기한 본 발명의 각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예시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실시형태에만 한정하는 취지는 아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의 구성을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정보보존부(103)를 위해 준비된 메모리공간은, 통신단말(10)에 착탈 가능한 메모리(예를 들면 공지의 플래시메모리카드 등)라도 좋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사용자가 통신단말(10)을 교체한 경우라도, 교체한 단말에 이 메모리를 장착함으로써, 지금까지 축적한 데이터를 계승해서 사용할 수 있다.
또, 예를 들면, 상기한 동작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통신단말(10)에 상기의 각 처리를 실행시키는 프로그램이 메모리 등에 미리 기억되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했다. 그러나 상기의 처리동작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플렉시블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Only Memory), DVD(Digital Versatile Disk), MO(Magneto-Optical disk) 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격납해서 배포하고, 그 프로그램을 기존의 통신단말에 인스톨함으로써, 상기의 처리를 실행하는 통신단말을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프로그램을 인터넷 등의 통신네트워크상의 소정의 서버장치가 갖는 디스크장치 등에 격납해서 두고, 예를 들면, 반송파에 중첩시켜서 통신단말에 다운로드 등 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통신네트워크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전송하면서 기동 실행하는 것에 의해서도 상기의 처리를 달성할 수 있다.
또, 상기의 기능을 OS(Operating System)가 분담해서 실현할 경우 또는 OS와 애플리케이션의 협동에 의해 실현할 경우 등에는, OS 이외의 부분만을 매체에 격납해서 배포해도 좋고, 또, 통신단말에 다운로드 등 해도 좋다.
본 출원은 2006년 5월 12일에 일본국 특허청에 출원된 특원 제2006-134441호를 기초로 하고 있고, 해당 출원의 내용을 본원에 집어넣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통신방식으로 복수의 통신상대와의 통신을 조기에 확립할 수 있다.

Claims (19)

  1. 소정의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1 통신방식과는 다른 소정의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와,
    통신상대에 관련지어 통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해당 통신상대의 통신처가 복수인 경우, 상기 통신상대와 통신할 때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해당 통신상대의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해당 통신상대의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며,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는 통신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한 해당 통신상대를 지정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입력접수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입력접수부가 접수한 지시입력이 나타내는 해당 통신상대에 관련지어진 복수의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 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며,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접수부가 접수한 지시입력이 나타내는 통신상대와,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한 발신에 해당 통신상대가 응답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제 1 통신처와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져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기억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며, 해당 취득한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 1 통신부에 의한 발신에 해당 통신상대가 응답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기억부로부터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져 있는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취득하며, 해당 취득한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와,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한 발신에 해당 통신상대가 응답했는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추가로,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가 발신하고 있을 때에 발신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가 해당 통신상대와 통신하고 있을 때에 통신중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식별정보마다 상기 통신제어부에 의해 병렬해서 발신하기 위해 사용할지 아닐지를 나타내는 설정정보를 추가로 기억하고,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입력접수부가 접수한 지시입력이 나타내는 통신상대에 관련지어진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 설정정보에 상기 통신제어부에 의해 병렬해서 발신하기 위해 사용한다고 설정된 상기 제 1 전화번호와 상기 제 2 전화번호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시각을 계시하는 계시부를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기억부는 상기 식별정보마다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가 상기 제 1 통신처 또는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통신상대에게 발신하는 것을 허가하는 시간을 나타내는 허가시간을 추가로 기억하며,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계시부가 계시한 현재시각을 취득하고,
    상기 입력접수부가 접수한 지시입력이 나타내는 통신상대에게 대응지어진 식별정보 중에서, 상기 허가시간이 나타내는 시간에 해당 취득한 현재시각이 포함되는 상기 제 1 식별정보와 상기 제 2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한 발신에 통신상대가 응답했는지 아닌지를 판별하는 판별부와,
    상기 판별부에 의해 통신상대가 응답하고 있지 않다고 판별된 발신을 중지시키는 발신중지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발신중지부가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한 발신을 중지시켰을 때에, 해당 중지시킨 상기 제 1 또는 제 2 통신부가 발신하고 있었던 통신상대에게 소정의 전언정보를 송신하는 전언정보송신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한 발신에 상기 제 1 통신처 및 상기 제 2 통신처의 양쪽이 응답했을 때에, 상기 제 1 통신부가 출력하는 제 1 통신처로부터의 음성신호와, 상기 제 2 통신부가 출력하는 제 2 통신처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믹싱하는 믹싱부와,
    상기 믹싱부가 믹싱한 음성신호에 의거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출력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제 1 통신부 및 상기 제 2 통신부의 발신에 상기 제 1 통신처 및 상기 제 2 통신처의 양쪽이 응답했을 때에, 상기 제 1 통신처 또는 상기 제 2 통신처의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하고,
    해당 접수한 지시입력에 의거하여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에 의한 통신을 단절시키는 통신단절부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전화번호, 전자메일주소, IP주소, MAC주소 중, 적어도 1개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부와 상기 제 2 통신부 중, 적어도 한쪽은 무선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부는 상기 통신상대의 상기 제 1 통신처와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의 각각에 관련지어져 통신방식을 나타내는 정보를 추가로 기억하고,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의 적어도 한쪽이 이용하는 상기 무선통신방식의 전파강도를 취득하는 전파강도취득부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입력접수부가 접수한 지시입력이 나타내는 통신상대에 관련지어진 통신방식 중에 상기 무선통신방식이 포함될 경우, 상기 전파강도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무선통신방식의 전파강도가 소정값 이상의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판독한 식별정보가 1개밖에 없는 경우, 상기 제 1 통신부 또는 상기 제 2 통신부 중, 상기 판독한 식별정보에 관련지어진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도록 발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6.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처음으로 통신상대가 응답했다고 판별된 발신에 이용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을 유지하고, 그 이외의 발신을 상기 발신중지부에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판별부에 의해 처음으로 통신상대가 응답했다고 판별된 발신에 이용한 통신방식에 의한 통신을 유지하고, 그 이외의 다른 발신을 중지하는 지시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기까지 해당 다른 발신을 계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단말장치.
  18. 통신상대와 통신을 개시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하는 접수스텝과,
    상기 접수스텝에서 통신을 개시하는 지시입력을 접수했을 때에 상기 통신상대의 복수의 통신처를 나타내는 정보를 미리 기억하는 기억부로부터, 해당 통신상대의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해당 통신상대의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는 판독스텝과,
    소정의 제 1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판독스텝에서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에 발신시키고,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1 통신방식과는 다른 제 2 통신방식을 이용해서 상기 판독스텝에서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에 발신시키는 통신제어스텝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9. 컴퓨터를,
    소정의 제 1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1 통신부,
    상기 제 1 통신방식과는 다른 소정의 제 2 통신방식으로 통신하는 제 2 통신부,
    통신상대에 관련지어 통신처를 특정하기 위한 식별정보를 기억하는 기억부,
    해당 통신상대의 통신처가 복수인 경우, 상기 통신상대와 통신할 때에 상기 기억부로부터 해당 통신상대의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와, 해당 제 1 통신처와는 다른 해당 통신상대의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판독하고,
    상기 제 1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1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며, 해당 발신과 병렬하여 상기 제 2 통신부에 상기 판독한 상기 제 2 통신처의 식별정보를 이용해서 발신시키는 통신제어부로서 기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그램을 기억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정보기록매체.
KR1020070042424A 2006-05-12 2007-05-02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KR1009079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134441 2006-05-12
JP2006134441A JP4277028B2 (ja) 2006-05-12 2006-05-12 無線通信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110193A true KR20070110193A (ko) 2007-11-16
KR100907996B1 KR100907996B1 (ko) 2009-07-16

Family

ID=38750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2424A KR100907996B1 (ko) 2006-05-12 2007-05-02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036363B2 (ko)
JP (1) JP4277028B2 (ko)
KR (1) KR100907996B1 (ko)
CN (1) CN10107240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75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33001B2 (ja) * 2007-06-15 2010-03-17 株式会社カシオ日立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通信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8385216B1 (en) * 2007-11-20 2013-02-26 Spring Spectrum L.P. Method and system for vertical handoff with target traffic channel setup conveyed via source channel
JP5354571B2 (ja) * 2008-10-02 2013-11-27 シャープ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通信プログラム
US20100203867A1 (en) * 2009-02-10 2010-08-12 Chun-Ying Wu Method for increasing call reachability, and associated apparatus
SG190870A1 (en) 2010-11-24 2013-07-31 Elta Systems Ltd Wireless device system-architecture
JP5303582B2 (ja) * 2011-01-13 2013-10-02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携帯端末装置および通信切替方法
JP5873314B2 (ja) * 2011-12-12 2016-03-01 株式会社サムスン日本研究所 通信装置、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5106696B1 (ja) * 2012-05-23 2012-12-26 京セラ株式会社 無線端末装置
US20130324094A1 (en) * 2012-05-31 2013-12-05 Tip Solutions, Inc. Image response system and method of forming same
JP6011100B2 (ja) 2012-07-20 2016-10-19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US9992714B1 (en) 2012-10-24 2018-06-05 Sprint Spectrum L.P. Dynamic management of handoff based on detected network
JP5664709B2 (ja) * 2013-06-18 2015-02-04 株式会社ナカヨ Ip回線チャネル選択機能を有するip電話システムのip電話機
JP6451642B2 (ja) * 2013-11-07 2019-01-16 アイコム株式会社 中継装置、音声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信号の中継方法
JP6239990B2 (ja) * 2014-01-22 2017-11-2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接続装置、プログラムおよび接続方法
US9913119B2 (en) * 2014-02-06 2018-03-06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torage medium
BR112017027938A2 (pt) * 2015-06-24 2018-08-28 Vonex Ltd sistema e método para estabelecer comunicações sobre uma pluralidade de plataformas de comunicação.
KR101833538B1 (ko) 2016-02-17 2018-02-28 홍교식 모바일 페이지 접속 제어장치 및 그 시스템과 방법
JP6577888B2 (ja) * 2016-03-15 2019-09-1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装置及び通信システム
CN108881590A (zh) * 2018-06-29 2018-11-23 深圳市天聆通科技有限公司 一种在应急指挥调度系统中快速联络指定联系人的方法
WO2021248439A1 (en) * 2020-06-12 2021-12-16 Ringcentr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establishing a call connect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21217C (en) * 1989-07-18 1994-11-01 Akira Ishikura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 function for displaying reception field strength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apparatus
JP3015705B2 (ja) 1995-02-28 2000-03-06 三洋電機株式会社 電話装置及び携帯電話システム
DE69734772T2 (de) * 1996-06-28 2006-08-03 Harris Corp., Melbourne Verbesserungen bei oder bezogen auf anrufbearbeitung
JP3492508B2 (ja) 1998-01-28 2004-02-03 日本電気株式会社 登録データの表示制御装置
JPH11313149A (ja) 1998-04-30 1999-11-09 Dainippon Printing Co Ltd 利用可能時間帯の任意設定可能な移動体通信装置
JP2001086221A (ja) 1999-09-10 2001-03-30 Nitsuko Corp 通信端末機の発信装置
US6728360B1 (en) * 2000-06-30 2004-04-27 Nortel Networks Limited Call processing software, methods and equipment providing enhanced notifications
JP2002094615A (ja) 2000-09-19 2002-03-29 Kenwood Corp 携帯電話機
US6882828B1 (en) * 2001-04-02 2005-04-1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Missed call notification to cellular telephone using short text messaging
US6816582B2 (en) * 2001-09-28 2004-11-09 Bellsouth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Automatically simultaneously ringing alternative telephone numbers
JP2003188978A (ja) 2001-12-20 2003-07-04 Casio Comput Co Ltd 通信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834659B1 (ko) * 2002-04-12 2008-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복수의 전화번호를 이용한전화통신과 단문 메시지 전송 및 전화번호 저장방법
TW587384B (en) * 2002-08-05 2004-05-11 Syshubs Global Service Inc Phone receiver sharing device and system and method applying such device for multi-party communication
US7606570B2 (en) * 2004-04-16 2009-10-20 Broadcom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ed network access notification via a broadband access gateway
KR101080542B1 (ko) * 2005-03-10 2011-1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통화 발신 방법
US7742590B2 (en) * 2005-03-22 2010-06-22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for selectively managing telephone call connections
KR100749184B1 (ko) * 2005-09-23 2007-08-13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폰북 기능을 갖는 통신 단말기의 발신 처리 방법
US20070154004A1 (en) * 2005-12-29 2007-07-05 Daigle Brain K Sender disablement of simultaneous rings and routed ring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22075A (ko) * 2014-08-19 2016-02-2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환 정보 제어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072408A (zh) 2007-11-14
KR100907996B1 (ko) 2009-07-16
US20070275737A1 (en) 2007-11-29
JP2007306429A (ja) 2007-11-22
CN101072408B (zh) 2010-06-09
JP4277028B2 (ja) 2009-06-10
US8036363B2 (en) 201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7996B1 (ko) 통신단말장치, 통신방법 및 정보기록매체
JPH10506244A (ja) セルラ電話機並びに音声チャンネルを発信元電話機との間に音声通信を設立することなく開設するための関連する方法
KR100315338B1 (ko) 복수의전화번호를사용하는무선전화시스템및무선전화기
JP2007096989A (ja) 通信装置及び通信方法
JP4440166B2 (ja) 電話機、サーバ装置及び通信方法
JP20062114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
US6999798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king notification of reception limitation status of mobile telephone
US9031588B2 (en) Cellular phone with mail function
KR100640888B1 (ko) 디지털 trs단말기를 이용한 개별통화 방법
JP2003087395A (ja) 文字メッセージ送信機能付き移動体通信装置
KR100430308B1 (ko)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 정보를 이용한 선별 착신 방법
KR100640326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푸시투토크 방식의 통화 알림 방법
JP2007184987A (ja) 移動通信端末
JP2005197915A (ja) 通話機器および通話機器の呼出方法
KR101084119B1 (ko) 메시지 또는 부재중 전화에 대한 답장 발송방법
KR20050015638A (ko) 무선통신단말기에서 단문메시지서비스를 이용한 자동 응답방법
JPH11261720A (ja) 携帯電話機及びその通信方法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100661575B1 (ko) 음성사서함전환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와 그 제어방법
JP2008042242A (ja) 電話着信時メッセージ通知システム
JP2003047069A (ja) 無線端末の送信方法及び無線端末
JPH04196741A (ja) 待時応答機能付電話交換システム
JPH11275230A (ja) 選択肢指定サービス対応交換機、着信者指定サービス対応交換機、選択肢指定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2002152366A (ja) 移動電話機
KR2004004222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