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2226A -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2226A
KR20040042226A KR1020020070408A KR20020070408A KR20040042226A KR 20040042226 A KR20040042226 A KR 20040042226A KR 1020020070408 A KR1020020070408 A KR 1020020070408A KR 20020070408 A KR20020070408 A KR 20020070408A KR 20040042226 A KR20040042226 A KR 200400422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call
msc
mobile communication
side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0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주범
현승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42226A/ko
Publication of KR2004004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22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8Arrangements for recalling a calling subscriber when the wanted subscriber ceases to be bus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mobile)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교환기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기 위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호 설정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할당이 가능한 지를 검사하고,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어 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고,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온 훅 상태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을 유지하면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채널할당이 가능한 지를 계속하여 검사하고,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채널할당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 호를 설정한다.

Description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CALL SET UP METHOD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동통신 단말기(mobile)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서 전화를 걸었을 경우 상대방이 통화중인 경우에는 호 설정이 이루어지지 않고 음성 사서함으로 연결하게 됩니다. 만약 사용자가 꼭 상대방과 통화를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통화를 하기 위해서 상대방이 통화를 마칠 때까지 계속하여 재통화를 해야 하였다. 이렇게 재통화를 시도하는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한번 전화를 걸어 상대방의 응답이 있기 걸리는 시간은 음성사서함으로 연결되기 전까지의 시간인 응답대기시간으로 보통 30-40초 정도의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므로 이와 같이 통화시도를 계속하게 되면 상당히 많은 시간이 소모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일 경우에는 수회 재통화를 거듭해서 호 설정을 시도해야 했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 설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교환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처리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온 훅 다이얼(On Hook Dial)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호 설정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할당이 가능한 지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어 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온 훅 상태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을 유지하면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채널할당이 가능한 지를 계속하여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채널할당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 호를 설정하는 제 4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 이동 교환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처리 절차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이동통신 시스템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같은 이동통신 단말기들과, 기지국(104), 기지국 제어기(106), 이동 교환기(110), 홈 위칭 등록기(112), 가입자 정보 처리기(114)를 포함한다. 또한 이동통신 시스템은 음성 사서함 서비스 센터(108), 일반 공중 전화망(116)들과 연결되어 있다. 이동통신 단말기는 고유한 번호(전화번호)를 가지며 가입자가 휴대하고 다니는 단말 장치이다. 기지국(104)은 무선국으로, 이동통신 단말기와의 통신을 담당하며 무선통신 구간에서 이동통신 단말기로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장치이다. 기지국 제어기(106)는 이동 교환기(110)와 기지국(104) 사이에서 기지국(104)를 제어하고 무선 자원을 관리하며, 기지국(104) 및 기지국 제어기(106) 사이에서 핸드 오프(hand-off)기능을 수행한다. 이동 교환기(110)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 및 서비스 프로화일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교환 기능을 수행하여 통화로를 연결시켜 통화를 가능하게 하는 장비이다. 홈 위치 등록기(112)는 가입자의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를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 등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가입자의 서비스 프로파일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 베이스이다. 가입자 정보 처리기(114)는 대용량의 실시간 데이터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고 가입자에게 이동성을 보장해 주는 역할을 한다. 음성 사서함 서비스 센터(108)는 전화를 통하여 음성 메시지를 기록할 수 있으며 해당 가입자에게 남겨진 음성 메시지 및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온 훅(On Hook) 기능을 설정하였을 경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 이동 교환기(110) 및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간의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도 2의 20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통화를 위해 이동 교환기(110)에 호 설정 요구 메시지를 전송하면, 202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10)는 홈 위치 등록기(112)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위치 정보를 습득하고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위치영역에 페이징(Paging)을 수행한다. 이때 본 발명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는 다른 이동통신 단말기와이미 통화로가 연결된 상태일 경우임을 가정하고 설명한다. 202단계에서 이동 교환기(110)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채널할당이 이미되어 있음을 감지하고, 204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임을 알리는 메시지를 전송한다. 통화중 메시지를 수신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통화하기를 원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임을 감지하고, 사용자에 의해 온 훅 기능이 설정되는지를 검사한다. 여기서 온 훅 기능이란 상대방이 통화중일 때 이러한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사용자가 다른 업무를 할 수 있고, 상대방이 통화가 종료되었을 때 자동적으로 호를 재설정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즉, 온 훅 기능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통화이 가능한 상태가 될 경우 바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능으로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와 이동 교환기(110)와의 호 설정(call setup)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온 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해서는 통화버튼(send button)을 눌러서 온 훅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고, 온 훅 기능 설정을 위한 별도의 버튼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한편, 206단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사용자가 온 훅 기능을 설정하였으면, 208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는 이동 교환기(110)로 온 훅 상태임을 알리는 온 훅 상태 메시지를 전송한다. 이동 교환기(110)는 210단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온 훅 상태임을 감지하고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이동 교환기(110)와 호 설정을 유지하면서 212단계로 진행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채널 할당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지를 검사한다. 즉,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이전 단말기와의 통화상태가 종료되었을 경우 채널 할당이 가능해진 정상 상태(Idle State)인지를 검사하는 것이다. 212단계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정상 상태이면 이동 교환기(110)는 214단계에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와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사이에 통화로 설정을 위한 무선 트래픽 채널을 할당한다. 무선 트래픽 채널 할당이 완료되면 이동 교환기(110)는 216단계에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얼레팅(Alerting)신호를 전송하여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에게 착신호 설정을 요구한다. 또한 이동 교환기(110)는 218단계에게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로 통화 연결음을 송출한다. 이동 교환기(110)는 얼레팅 신호를 수신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로부터 사용자의 통화키 입력에 의한 통화연결요구 메시지를 수신하면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와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사이에 통화연결을 수행한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일반적인 이동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에서 제어부(300)는 전화 통화나 메시지, 데이터 통신 등을 처리 및 제어하는 블록으로,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통화중인 경우 통화가 끝나면 바로 자동으로 호가 연결될 수 있도록 온 훅 기능 설정을 제어한다. 무선부(302)는 제어부(300)에 의해 제어된다. 무선부(302)는 주파수 대역의 무선 채널로 수신되는 주파수 신호가 안테나(ANT)를 통해 수신되면, 이를 대역 하강 변환하고 데이터의 종류를 구별하여 제어부(300)로 출력한다. 무선부(302)로부터 제어부(30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문자 데이터 또는 페이징 채널을 통해 수신되는 페이징 신호 및 시그널링 신호들이 된다. 그리고 음성 처리부(310)로 출력되는 데이터는 음성 호가 설정된 경우에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가 된다. 또한 무선부(302)는 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 또는 음성 처리부(310)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해 대역 상승 변환하여 안테나(ANT)를 통해 주파수 대역의 무선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메모리부(304)는 제어부(300)에서 수행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거나 프로그램에 의해 처리된 데이터를 임시 저장한다. 또한 메모리부(304)는 수신된 단문 메시지 및 전화번호 테이블 등을 저장한다. 이러한 메모리부(304)는 동작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ROM)과 전기적으로 프로그램이 가능한 이이피롬(EEPROM)과 램(RAM)등으로 구성된다. 키 입력부(306)는 다수의 숫자키와 기능키를 가지며, 키입력에 따른 키 데이터를 제어부(300)에 인가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온 훅 기능을 설정하기 위한 키가 구비된다. 표시부(308)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각종 상태를 표시한다. 음성처리부(110)는 일반적으로 보코더(VOCODER) 등으로 구성되며,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구동된다. 음성 처리부(110)는 무선부(102)로부터 수신되는 코드화된 음성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전기적인 음성 신호로 변환한 후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그러면 스피커(SPK)는 수신된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가청음으로 변환 출력하게 된다. 또한 음성 처리부(110)는 마이크(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부호화하여 무선부(102)로 출력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온 훅 기능이 설정될 시에 온 훅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 흐름도인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일 경우 온 훅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온 훅 상태(On Hook State)로 수행하는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발신측 이동 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300)는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402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통화요구가 있는지를 검사한다. 202단계에서 통화요구가 있으면 404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300)는 무선부(302)를 통해 통화중 메시지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통화중 메시지가 수신되지 않았으면 406단계로 진행하여 일반적인 통화를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404단계의 검사결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가 통화중임을 나타내는 통화중 메시지가 수신되었으면, 제어부(300)는 사용자에 의해 온 훅 기능 설정을 위한 키의 입력이 있는지를 검사한다. 검사결과 온 훅 기능을 설정하는 키의 입력이 있으면, 410단계로 진행하여 제어부(300)는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가 온 훅 상태임을 알리는 온 훅 상태 메시지를 이동 교환기(110)로 전송한다. 412단계에서 온훅 상태인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의 제어부(300)가 무선부(302)로 통화 연결됨을 알리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41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모드를 수행한다. 여기서 통화모드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요구가 있을 경우에는 이동 교환기(110)를 통해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0)과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의 통화로가 연결되어 통화가 가능하도록 동작한다. 그러나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102)로 부터 통화 연결을 위한 요구가 없는 경우에는 통화가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대방에게 전화를 걸어서 통화하고자 할 때 상대방이 통화중이면 사용자에 의해 온 훅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상대방의 전화가 끝났을 경우 바로 자동으로 호를 연결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온 훅 기능 설정을 위한 키를 통화 버튼(send button)을 사용하는 예를 들었으나 별도로 구비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대방과 통화를 위해 전화를 걸었을 경우 상대방이 통화중이어서 통화가 이루어지지 못할 경우 사용자가 온 훅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상대방의 전화통화가 끝나자마자 바로 자동으로 연결하여 통화를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자동으로 상대방과 통화가 연결될 때에는 사용자의 단말기에서도 전화벨을 울림으로써 상대방과 통화 연결됨을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대방이 통화중일 경우에 계속하여 통화를 하기 위한 절차를 수행하지 않고 다른 업무를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이동 교환기가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 호 설정요구에 따라 해당하는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할당이 가능한 지를 검사하는 제 1과정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의 채널이 이미 할당되어 있어 통화가 불가능할 경우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중 메시지를 전송하는 제 2과정과,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부터 온 훅 상태 메시지가 전송되면 상기 이동 교환기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호 설정을 유지하면서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채널할당이 가능한 지를 계속하여 검사하는 제 3과정과,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채널할당이 가능하게 되면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채널을 할당하여 통화 호를 설정하는 제 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 설정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간의 통화 호가 설정되어 연결되면 상기 이동 교환기가 상기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통화 연결음 신호를 송출하고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로 얼레팅(Alerting) 신호를 송출하는 제 4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호설정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발신측 이동통신 단말기가 상기 통화 연결음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착신측 이동통신 단말기와 통화 호가 설정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화로 설정 방법.
KR1020020070408A 2002-11-13 2002-11-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KR200400422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408A KR20040042226A (ko) 2002-11-13 2002-11-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0408A KR20040042226A (ko) 2002-11-13 2002-11-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2226A true KR20040042226A (ko) 2004-05-20

Family

ID=37339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0408A KR20040042226A (ko) 2002-11-13 2002-11-13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422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19B1 (ko) * 2002-12-12 2005-05-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종료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419B1 (ko) * 2002-12-12 2005-05-11 주식회사 팬택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 종료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1978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음성인식 및 문자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378405B1 (ko) 무선전화기에서베이스절환방법
KR2004004222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통화 호 설정 방법
KR100350248B1 (ko) 이동전화시스템에서 음성 사서함 서비스방법
JP2000261856A (ja) 簡易型携帯電話機
CN100477813C (zh) 在无线接入网实现主叫识别信息传送及显示业务的方法
KR100253794B1 (ko)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의 이동국, 기지국간 호처리 방법
KR100800763B1 (ko) 이동 통신 단말의 음성 사서함 연결 방법
KR20070032555A (ko)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JPH01288027A (ja) 通信装置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00487568B1 (ko)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KR200400251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100621679B1 (ko) 발신측 요구에 따른 착신측 음성 사서함 연결방법
KR100600386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자 음성 출력 방법
JP2936602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0050326A (ja) ワイヤレスローカルループシステムの固定電話加入者ユニット及びその発番号表示情報の送信方法
JP2001008259A (ja) コールバック通信制御方法とそのシステム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100721870B1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음성 메세지를 이용한 호출 방법
JP4506007B2 (ja) 通報システム
KR20040037676A (ko) 무선 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설정방법
JPH04258029A (ja) 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