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555A -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555A
KR20070032555A KR1020050086896A KR20050086896A KR20070032555A KR 20070032555 A KR20070032555 A KR 20070032555A KR 1020050086896 A KR1020050086896 A KR 1020050086896A KR 20050086896 A KR20050086896 A KR 20050086896A KR 20070032555 A KR20070032555 A KR 20070032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uetooth
terminal
call
voice signal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6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운찬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86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70032555A/ko
Publication of KR20070032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화 중에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3자 통화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코어망을 통해 상대 단말기와 이동통신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는 무선부와,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검색하여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통화채널 및 상기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와 호 믹싱(callmixing)하여,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는 보코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BLUETOOTH, CALL MIXING, VOCODER, 3자 통화,

Description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THREE CONFERENCE CALL BY BLUETOOTH EQUIPMENT IN SHORT DISTANCE}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간의 3자 통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통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통화 절차를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
본 발명은 블루투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근거리에서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이동통신 단말기들간의 3자통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과 같이 이동통신 가입자 A, B, C가 있는 경우, A와 B가입자가 통화중에 C가입자와 같이 통화하길 원한다면, 상기 B가입자는 단말기의 통화버튼을 눌러 A가입자와의 통화를 잠시 보류하고 C가입자의 전화번호를 입력후, 통화버튼을 눌러 상기 C가입자에게 전화를 건다.
이에 상기 B가입자의 단말기로부터 전송된 통화요청 신호는 기지국(110)을 통하여 코어(Core)네트워크(105)에 전달되고, 상기 코어 네트워크(105)에서는 기존에 연결된 A가입자와의 연결 호를 끊으며, 안내방송 혹은 음악방송을 송출하고, 상기 통화 요청신호를 송출한 B가입자에게는 톤(tone)을 송출한다.
이후 C가입자가 통화요청을 확인하여 통화 버튼을 누르면, B가입자와 C가입자가 연결되어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B가입자는 다시 통화 버튼을 누르면, 코어 네트워크(105)의 보코더(도시하지 않음)에서 B가입자와 C가입자의 음성을 믹싱(Mixing)하여 A가입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세 가입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종래의 3자 통화는 통화버튼을 이용하여 3자 통화를 수행하거나 3자 통화를 위해 별도로 정해진 번호를 입력한 후 통화 버튼을 눌러야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것은 이동통신회사마다 다를 수 있다.
상기된 바와 같이 동작하는 종래 기술에 의한 3자통화방식에 있어서는, 코어 네트워크에 통화로를 설정해야 함으로 로드(Load)가 가중되고, 코어 장비의 톤(Tone)이나 인사말(Announcement)기능을 사용함으로써 리소스에 대한 로드가 가중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를 이용하기 때문에, 단말기들이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도 통화료가 추가로 지불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동작되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목적은, 근거리에서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블루투스 모듈이 구비된 이동통신 가입자 간의 통화 중에 근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단말기가 동시에 통화하려 할 때, 추가로 통화하려는 블루투스 단말기와 기통화중인 블루투스 단말기 사이에 블루투스 방식으로 통신하며, 상기 기통화중인 블루투스 단말기의 보코더에 상기 기통화중인 블루투스 단말기의 음성과 추가로 통화할 블루투스 단말기의 음성이 믹싱되어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화 중에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3자 통화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코어망을 통해 상대 단말기와 이동통신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는 무선부와,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검색하여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통화채널 및 상기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 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와 호 믹싱(callmixing)하여,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는 보코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화 중에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3자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어망을 통해 상대 단말기와 통화 중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3자 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응답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음성신호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와 호 믹싱하여 상기 상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블루투스(Bluetooth)는 좁은 범위 내에서 저렴한 비용으로 휴대용 PC, 휴대폰을 비롯한 이동 가능한 장치들을 무선으로 연결해 주는 규격으로서, 무선 면허가 필요없는 2.45MHZ의 ISM(Industrial Scientific Medical)밴드의 무선 주파수를 이용하여 각종 디지털 장비 간의 통신에 물리적인 케이블 없이 음성과 데이터를 주고받게 해준다. 예컨대, 블루투스 무선 기술은 휴대폰 안에 구현되어 케이블 없이도 헤드셋과 연결되어 음성통화에 사용할 수 있으며, 사실상 모든 디지털 장비들이 블루투스 시스템의 일부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블루투스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 사용자들 중 이동통신 가입자 A, B가 통화 중에 근거리에 있는 다른 한 가입자 C와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동시에 통화를 하려고 할 때, 코어 네트워크의 보코더 기능을 이용하여 통화하는 것이 아니라, 기 통화중인 가입자 B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가입자 C의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상기 기통화중인 가입자 B의 블루투스 단말기 B의 보코더에 가입자 B의 음성신호와, 추가로 통화하는 가입자 C의 음성신호가 믹싱되어 통화중인 가입자 A의 단말기에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제어부(20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키입력부(220)는 다수의 숫자키들과 기능키들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가 소정의 키를 누를 때 해당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200)로 출력한다. 표시부(230)는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액정표시부(Liquid Crystal Display: LCD)를 포함하고, 제어부(200)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키입력부(220)에서 발생되는 키 데이터 및 제어부(200)의 각종 정보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한다.
메모리부(240)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소정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부(200)에 의해 이동통신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이 수행될 때 입출력되는 데이터 및 이미지를 소정의 설정된 영역에 저장한다.
무선부(260)는 기지국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하여 제어부(200)와 기지국간의 무선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한다.
블루투스 모듈(270)은 다른 블루투스 기기들과 무선통신을 수행하며, 제어부(200)와 다른 블루투스 기기간의 무선신호 교환을 가능하게 하고 특히, 블루투스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방송하여 서로 간에 연결을 통해 음성 신호 전송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여 근거리, 즉 블루투스간에 연결가능한 상태의 거리에서는 기지국을 통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것이 아닌, 블루투스 기기들만으로도 통화가 가능하다. 이와 같이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한 단말기들은 블루투스 단말기라 불린다.
보코더부(25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디지털화하는 것으로서, 송신측 보코더에서는 음성신호에 내재된 특성을 이용해서 모델화하여 이 모델의 각종 매개변수들을 생성하고, 수신측 보코더에서는 수신된 매개변수들을 이용하여 다시 음성신호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3자 통화시 블루투스 모듈(270)로부터 음성신호를 수신한 경우는 블루투스 모듈(270)로부터 수신한 음성신호와 자신의 마이크로부터 입력된 음성신호를 하나의 신호로 믹싱하는 호 믹싱(callmixing) 기능을 보 코더(250)에서 수행하여 무선부(260)에 전달하면, 상기 무선부(260)에서 상대 통화자에게 음성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상대 통화자는 수신한 음성신호를 두개의 음성신호로 복원하여 두가입자의 음성을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게 된다. 여기서 블루투스 모듈(270)과 무선부(260), 보코더부(250)들은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제어부(200) 제어에 따라 서로간의 데이터 전달시 제어부를 거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과 같이 이동통신 가입자 A, B, C가 있는 경우에 모든 단말기가 블루투스 단말기이거나 가입자 B, C의 단말기만 블루투스 단말기인 경우로서, A, B가입자가 기지국(310)과 코어부(305)를 통하여 통화 중일 때, 상기 B가입자와 가까운 거리에 있는 C가입자를 블루투스로 연결하여 3자 통화를 하고자 하는 경우이다.
이와 같은 경우, B가입자는 C가입자의 블루투스 모듈을 검색하여 인식하고, C가입자의 ID를 입력하여 블루투스 통화 버튼을 누르면, B가입자의 단말기를 A가입자와의 음성신호 송신을 중단하고, C가입자와 연결중임을 나타내는 음성 메시지나 대기 중 음악을 A가입자에게 전송한다. 이후 B와 C가입자가 서로 간에 블루투스로 연결되어 블루투스 통화 채널 설정이 완료되면, A가입자로의 대기 중 음악 송출을 중단하고, 블루투스 통화 채널과 이동통신 통화 채널을 연결하여 A, B, C가입자간에 3자 통화를 수행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B가입자 단말기의 보코더에서는 블루투스 통화 채널로부터 수신된 C가입자의 음성신호를 B가입자의 음성신호와의 호 믹싱을 통하여 믹싱된 음성신호를 생성하여 이동통신 통화채널로 연결된 A가입자에게 전달한다. A가입자는, 상기 B가입자로부터 수신한 믹싱된 음성신호에서 B와 C가입자의 음성신호를 A가입자가 들을 수 있는 음성으로 변환함으로써, 세 가입자가 동시에 통화할 수 있다.
또한 A가입자가 B,C가입자에게 음성신호를 전달할 경우는 A가입자의 음성신호를 B가입자가 수신하여 상기 B가입자의 보코더에서 A가입자의 음성신호와 C가입자의 음성신호를 믹싱하여 C가입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통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단말기 A(405)와 블루투스 단말기 B(410)는 420단계에서 호를 연결하여 통화를 수행하는 중, 상기 단말기 B(410)가 블루투스로 연결가능한 거리에 있는 블루투스 단말기 C(415)와 동시에 통화하길 원하는 경우, 통화버튼을 누르면, 425단계에서 상기 단말기 A(405)로 3자 통화를 위한 대기모드 메시지를 송출한다. 상기 대기모드는 음악이나 대기통화중임을 나타내는 안내 메시지가 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단말기 A(405)로부터의 음성 송출이 중단된다.
430단계에서 단말기 B(410)는 단말기 C(415)와 연결하기 위하여 주변 블루투스 기기를 검색하여 인식된 단말기 C(415)로 아이디를 송출하여 통화를 요청한다. 435단계에서 단말기 C(415)는 상기 단말기 B(410)로부터의 통화 요청을 수락하여, 블루투스간 통화 채널을 설정하여 블루투스 기능만으로 단말기 B(410)와 단말기 C(415)간의 통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후 단말기 B(410)는 다시 통화버튼을 눌러 단말기 A(405)로의 음악 송출을 중지하고 상기 단말기 A(405)의 통화 데이터를 수신 가능상태로 변경한다. 이에 따라 세 단말기는 동시에 통화가 가능한 상태가 된다.
440단계에서 단말기 C(415)가 통화 데이터를 전송하면 단말기 B(410)는 수신한 상기 통화 데이터를 단말기 A(405)에게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단말기 B(410)의 보코더에서 상기 단말기 A(405)의 통화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 B(410)의 통화데이터를 함께 호 믹싱(460)하여 445단계에서 단말기 A(405)에게 전달하게 된다. 상기 단말기 A(405)는 수신한 통화데이터에서 단말기 B(410)와 단말기 C(415)의 음성을 듣게 된다. 상기 통화데이터는 음성데이터 위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음성데이터 뿐만 아니라 영상데이터 혹은 문자 데이터도 같이 전송될 수 있다.
450단계에서는 단말기 A(405)에서 통화 데이터를 단말기 B(410)에게 송신하여 상기 단말기 B(410)는 상기 단말기 A(405)의 통화 데이터와, 상기 단말기 B(410)의 통화데이터를 함께 믹싱(460)하여 455단계에서 단말기 C(415)에게 전달하여 상기 단말기 C(415)는 수신된 통화데이터를 통하여 각 단말기(405, 410) 사용자들의 음성을 듣을 수 있다.
465단계에서 단말기 B(410)의 통화데이터는 단말기 A(405)에게 전송하고, 470단계에서는 가입자 C(415)에게 통화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와 같이 상기 465단계와 470단계에서는 단말기 B(410)의 통화데이터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호 믹싱(460)없이 전달하게 된다.
도 5a내지 5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 한 3자통화 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블루투스 단말기B는 502단계에서 수신대기중에 있으며, 504단계에서 이동통신 가입자인 단말기 A로 부터의 호 요청이 들어오면, 506단계에서 다른 단말기와 통화중인지를 확인하여 통화중이라면, 518단계로 진행하고, 통화중이 아니라면 50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08단계에서 단말기 B는 통화중이 아니므로, 단말기 A로부터의 호 요청이 왔음을 벨소리로 나타낸 후, 510단계에서 통화 가능 여부를 확인한다. 단말기 B의 사용자가 부재중이거나 전화를 받지 못한다면 512단계에서 연결을 할 수 없으므로 종료하고, 통화가 가능하다면 51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채널을 설정하고, 516단계에서 호 연결에 성공하면 530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상기 506단계에서 단말기 B가 통화중이라면 518단계에서 톤(tone)으로 단말기 A에게 단말기 B가 통화중임을 알려준다. 이후 520단계에서 통화가 가능하지 않다면, 522단계에서 연결에 실패한 것으로 판단하여 종료한다. 반면, 통화가 가능하다면 상기 514단계로 진행하여, 통화 채널을 설정하고, 516단계에서 호 연결에 성공하면 5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524단계에서 블루투스를 이용한 통화가 가능하지 않다면 526단계에서 통화를 종료하고, 통화가 가능하다면 528단계로 진행하여 블루투스 단말기 C와의 3자 통화가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일 3자 통화가 가능하지 않다면 530단계에서 통화를 종료하고, 가능하다면, 532단계에서 블루투스 단말기간에 블루투스 통신을 통하여 서로의 단말을 인식하고 ID를 할당하여, 534단계에서 등록된 블루투스 단말기 사용자를 지정하여 통화를 시도한다.
536단계에서 블루투스간 통화 채널을 설정하고 538단계에서 블루투스간 통화로가 설정되기까지 단말기 A에게 음악 송출을 위한 채널을 설정하고, 540단계에서 단말기 A와의 이통통신 통화채널을 통한 통화는 잠시 중단되어 상기 단말기 A는 단말기 B로의 음성 송신이 중단된다. 이후 설정된 음악채널을 통하여 542단계에서 단말기 A에게 대기중 음악을 송출한다.
544단계에서 블루투스간 호 설정에 성공하였다면, 546단계에서 단말기 B의 통화버튼을 입력하여 548단계에서 단말기 A와의 음악방송 채널을 삭제하고, 550단계에서 단말기 C로부터 블루투스 통화 채널을 통한 통화 데이터가 송출되었다면 단말기 B는 보코더를 이용한 호 믹싱을 수행하여 단말기 A와 설정된 이동통신 통화채널을 통하여 호 믹싱된 통화 데이터를 상기 단말기 A에게 송신하게 된다. 이후 3자 통화를 모두 마쳤다면, 552단계에서 통화를 종료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개시되는 발명중 대표적인 것에 의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의 3자 통화시에는 코어네트워크의 보코더에서 호 믹싱 기능을 수행하여 다른 가입자에게 음성 신호를 전달하나, 블루투스를 이용하면 블루투스간에 통화 내용을 블루투스 자체의 보코더에서 호 믹싱을 수행하여 코어부에서는 별다른 동작 없이 믹싱된 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믹싱된 신호를 수신한 다른 가입자가 연결된 블루투스 가입자간의 통화내용을 청취할 수 있으므로, 코어 네트워크에 대한 로드가 감소하며, 통화에 따른 과금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화 중에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3자 통화를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에 있어서,
    코어망을 통해 상대 단말기와 이동통신 통화채널을 연결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사이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증폭 및 필터링는 무선부와,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를 검색하여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통해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블루투스 모듈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감지하고, 상기 이동통신 통화채널 및 상기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한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의 음성신호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와 호 믹싱(callmixing)하여,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 전달하고, 상기 무선부를 통해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모듈을 통해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는 보코더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모듈은,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연결을 위한 요청 메시지를 방송하여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연결하고, 상기 블루투스 기기와 음성 신호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장치.
  3.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한 통화 중에 근거리의 블루투스 단말기와의 3자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코어망을 통해 상대 단말기와 통화 중에,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3자 통화를 요청하는 과정과,
    상기 요청 응답에 따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와, 블루투스 통화 채널을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부터 상기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통하여 수신한 음성신호를 마이크로부터의 음성신호와 호 믹싱하여 상기 상대 단말기에게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상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음성 신호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동시에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3자 통화를 요청한 이후, 상기 상대 단말기와의 통신을 일시 중단하고, 상기 상대 단말기에게 대기를 요청하는 음성메시지나 대기 중 음악을 송출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블루투스 통화채널을 연결하는 과정은,
    통화를 하고자 하는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를 검색하여 인식하고,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의 아이디를 포함하는 통화 요청 메시지를 상기 블루투스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방법.
KR1020050086896A 2005-09-16 2005-09-16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KR2007003255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96A KR20070032555A (ko) 2005-09-16 2005-09-16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6896A KR20070032555A (ko) 2005-09-16 2005-09-16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555A true KR20070032555A (ko) 2007-03-22

Family

ID=41560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6896A KR20070032555A (ko) 2005-09-16 2005-09-16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7003255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6141A (zh) * 2012-11-16 2014-03-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蓝牙建立连接的方法、移动终端、蓝牙设备及系统
CN105472430A (zh) * 2015-11-20 2016-04-06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通过智能电视控制移动终端响铃的方法、设备及系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636141A (zh) * 2012-11-16 2014-03-12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蓝牙建立连接的方法、移动终端、蓝牙设备及系统
US9185734B2 (en) 2012-11-16 2015-11-10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mobile terminal, Bluetooth device, and system
CN103636141B (zh) * 2012-11-16 2016-01-13 华为终端有限公司 一种建立蓝牙连接的方法、移动终端、及蓝牙连接系统
US9537991B2 (en) 2012-11-16 2017-01-03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and mobile terminal
US9756457B2 (en) 2012-11-16 2017-09-05 Huawei Device Co., Ltd. Method for establishing bluetooth connection and mobile terminal
CN105472430A (zh) * 2015-11-20 2016-04-06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通过智能电视控制移动终端响铃的方法、设备及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31809B1 (ko) 이동통신 단말기 간의 착 발신 전환에 따른 과금 처리 방법
US6198942B1 (en) Telephone apparatus adaptable to different communication systems
CN111343349A (zh) 一种支持多设备会议应用的usb电话装置及其控制方法
CN113365250A (zh) 一种无线耳麦
KR20070032555A (ko) 근거리 블루투스 단말기를 이용한 3자 통화방법 및 장치
WO2012155565A1 (zh) 一种多模通信方法、终端和系统
JP4352138B2 (ja) 携帯電話での同報通話システム
KR20100065221A (ko) 휴대전화 단말기를 통한 유선전화 통화연결 방법과 그 장치
KR0162828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선택적 이동국 호출방법 및 그 장치
JP4198946B2 (ja) 携帯電話機
US20070178924A1 (en) Apparatus for notifying a mobile user of a push-to-talk communication call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JP2003092785A (ja) 携帯電話機
JP2006270352A (ja) 電話会議方法及びそのシステム並びにそのための近距離無線通信機能付き携帯通信端末装置
JP2001285448A (ja) 移動無線電話機および電話機
KR20050040544A (ko) 그룹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 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40046338A (ko) 이동 전화의 통화 대기 또는 연결 중에서 착신자홈페이지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착신자홈페이지 제공 방법
JP2000332677A (ja) 移動体通信端末
JP2928181B2 (ja) 音声会議装置
KR100625660B1 (ko) 무선 헤드셋을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의 착신음 송출 방법
KR20020057682A (ko) 이동 통신 단말에서의 호 형성 방법
KR100605832B1 (ko) Ptt 휴대용 단말기의 수신상태 알림방법
KR20050036400A (ko) 다수통화자 통화 기능을 가지는 무선통신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50098192A (ko) 다자간 통화 시스템과 그 시스템 구현을 위한 통신 단말기
KR20060021617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 연결 방법
JPH0779479A (ja) 携帯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