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87568B1 -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87568B1
KR100487568B1 KR10-2002-0049222A KR20020049222A KR100487568B1 KR 100487568 B1 KR100487568 B1 KR 100487568B1 KR 20020049222 A KR20020049222 A KR 20020049222A KR 100487568 B1 KR100487568 B1 KR 100487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t
terminal
call
dect terminal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9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7100A (ko
Inventor
김현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49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7568B1/ko
Publication of KR200400171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71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7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75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56Arrangement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the called number at the calling subscriber's s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Abstract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 내의 DECT 시스템에서 DECT 단말기를 이용한 호 착/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은, DECT 단말기의 자동 발신을 위하여, 키폰 시스템에서 DECT 기지국으로 해당 DECT 단말의 발신요청을 위한 오프후크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DECT 기지국에서 DECT 단말기가 자동으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풀-페이징 메시지를 작성하여 DEC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ECT 단말기에서 수신된 풀-페이징 메시지를 해석하여, 자동으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원격으로 DECT 단말기를 조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프로그램과 연동 하여 DECT 단말기를 조작하여 착신/발신 테스트 등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기대된다.

Description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Method of DECT portable part remote controlling in keyphone system}
본 발명은 키폰 시스템 내의 DECT(Digital Enhanced Cordless Telephone) 시스템에서 DECT 단말기를 이용한 호 착/발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키폰 시스템의 DECT 기지국(FP; Fixed Part)에서 단말기의 호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키폰시스템은 전화국에서 오는 '전화번호가 부여된' 국선을 키폰 주 장치에서 받아들여 각각의 고유번호가 부여된 내선에서 (키폰전화기 혹은 일반전화기) 자유롭게 사용하거나 전환, 보류, 방송, 회의 등 여러 가지 기능으로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만든 통신 시스템이다.
상기와 같은 키폰 시스템은 크게 주장치와 전화기, 그리고 주장치와 전화기를 연결해주는 선로. 또한 시스템의 성능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해주는 부가 장비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키폰 시스템 내의 DECT 시스템은 1990년대 초반에 유럽에서 만들어진 저출력 디지털 코드리스 전화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1880-1900MHz의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TDMA/TDD 방식으로 착발신이 가능하다. 보행자 중심의 핸드오버(Handover) 기능을 제공하며, 가입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인증 기능을 지원한다. 기본적인 음성 통화 서비스 이외에 부가 서비스 및 데이터 서비스도 규정되어 있으며 다양한 응용 분야가 있으며, 특히 업무용 건물 내의 무선 PBX로 이용하는 것도 적합하다.
DECT는 10개의 캐리어 주파수를 가지며 각 캐리어를 시간 영역에서 24개의 타임 슬롯을 분할하여 사용하는 TDMA 방식을 채택한다. 또한 송신과 수신에 사용되는 캐리어 주파수는 동일하지만 서로 다른 타임슬롯을 사용함으로써 송수신이 분리되는 TDD(Time Division Duplexing)방식을 채택한다. 따라서 하나의 캐리어당 12개의 양방향 채널을 가진다.
또한 DECT송신단의 순간 출력은 250mW, 즉 23dBm으로 제한되며 ±1dB 이내에서의 유동은 허용된다. 단말기의 경우 24개의 타임슬롯 중 하나의 타임슬롯에서만 송신을 하므로 단말기의 평균 출력은 10mW가 된다.
DECT 기지국(FP; Fixed Part)과 단말기(PP; Portable Part) 사이의 프로토콜로서 동적인 채널 할당 등을 그 특징으로 하며, 사설 코드리스 전화 Wireless PBX, 공중용 텔리포인트, GSM 과 RLL 에 대한 엑세스를 목적으로 하는 표준안이다.
도 1은 종래의 DECT 시스템의 호 발신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키폰 시스템(100)과, 상기 키폰 시스템(100) 내부의 DECT 시스템을 위한 DECT 기지국(200)과, DECT 단말기(300)간의 호 발신을 위한 동작은, 먼저 DECT 단말기(300)를 가지는 사용자가 통화키를 눌러 발신의사를 밝히면, DECT 기지국(200)으로 발신요청신호(CC_SETUP)신호가 전송되고(S101), 이 발신요청 신호를 수신한 DECT 기지국(200)에서 해당 DECT 단말기(300)가 등록된 사용자임을 확인하여 키폰 시스템(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로 발신요청이 수신되었음을 알린다(SETUP_IND_EVT)(S102).
상기 발신요청알림신호를 받은 키폰 시스템(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는 시스템의 음성연결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고, 연결을 하라는 허가 메시지를 DECT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CONNECT_CMD)(S103).
이에, DECT 기지국(200)은 상기 DECT 단말기(300)와 연결되어 있는 무선 음성연결통로를 키폰시스템(100)과의 음성연결통로와 연결하고, 연결되었음을 DECT 단말기(300)에 알려(CC_CONNECT)(S104), 다이얼 톤을 사용자가 듣고 전화를 발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먼저 상기 음성통로 연결알림 메시지를 받은 DECT 단말기(300)에서 음성통로를 스피커 및 마이크와 연결하는 동작을 수행하고 사용자에게 다이얼 톤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발신되는 DECT 단말기에서 착신을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수행한다.
도 2는 종래의 DECT 시스템의 호 착신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키폰 시스템(100)으로 외부로부터 호가 수신되어 DECT 단말기로 착신되기를 원한다는 요청이 오면, 키폰 시스템(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는 DECT 기지국(200)으로 호수신을 알린다(SETUP_REQ_CMD)(S201).
상기 호수신 알림 메시지에 따라 DECT 기지국(200)은 착신측에 해당하는 DECT 단말기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해당 단말을 페이징(Paging)하여 응답이 있으면, 호수신 요청이 왔음을 알린다(CC_SETUP)(S202). 이때, 페이징은 해당 단말을 찾아, 현재 수신가능한가를 확인하고 응답을 받는 것으로 DECT 표준 프로토콜의 일종이라 할 수 있다.
상기 호수신 요청에 따라, DECT 단말기(300)는 응답신호를 보내고(CC_ALERTING)(S203), DECT기지국(200)에서 해당 DECT 단말기(300)가 존재함을 응답알림메시지(ALERT_IND_EVT)로 키폰시스템(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에 알린다(S204). 또한, 해당 DECT 단말기(300)에 호수신에 따른 링을 울리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전화가 수신되었음을 알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링소리에 따라, 사용자가 전화를 받기 위해 통화키를 누르면, DECT 단말기(300)는 연결요청신호(CC_CONNECT)를 DECT 기지국(200)으로 전송하여(S205), 사용자가 통화를 하고자 한다는 것을 알리고, DECT 기지국(200)에서 다시 키폰시스템(100)으로 연결요청이 있었음을 알린다(CONNECT_IND_EVT)(S206).
상기 키폰 시스템(100)은 음성통로를 통해 연결되었음을 알리는 연결알림신호(CONNECT_ACK_CMD)를 DECT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S207), 이에 따라 DECT 기지국(200)은 해당 DECT 단말기(300)와의 무선 음성연결통로를 연결하고, 키폰시스템(100)과의 연결통로를 연결한 후, 연결이 완료되었음을 연결응답(CC_CONNECT_ACK)으로 알려(S208), 착신 호를 연결하도록 하여 통화가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방법의 DECT 단말기의 호연결은 사용자가 DECT 단말기를 가지고, 통화키를 눌러야만 착신/발신이 가능하며, 자동으로 착신/발신되도록 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제조라인에서의 착신/발신 시험을 할 경우에는 DECT 단말기를 조작하는 기계가 별도로 필요하게 되며, 보통 CTI(Computer Telephony Integration)와 DECT 단말간의 연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컴퓨터와 DECT 단말기를 연동시켜 컴퓨터 프로그램 조작만으로 DECT 단말기의 조작이 어려워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DECT 표준프로토콜에서 제조라인에서 특별 메시지를 첨부하여 DECT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 포맷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DECT 단말기를 조작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특정 프로그램과 연동 하여 DECT 단말기를 조작하여 착신/발신 테스트 등에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은,
DECT 단말기의 자동 발신을 위하여,
키폰 시스템에서 DECT 기지국으로 해당 DECT 단말의 발신요청을 위한 오프후크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DECT 기지국에서 DECT 단말기가 자동으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풀-페이징 메시지를 작성하여 DEC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ECT 단말기에서 수신된 풀-페이징 메시지를 해석하여, 자동으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풀-페이징 메시지는,
각각의 DECT 단말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는 포맷에 따라 작성되는 자동 발신명령, 발신을 위한 착신측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DECT 단말기에서 해석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DECT 단말기의 자동 착신을 위하여,
키폰 시스템에서, DECT 단말로 착신호를 연결할 것을 DECT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ECT 기지국에서 착신호를 해당 DECT 단말기로 연결하여 링을 울리게 하고, 상기 DECT 단말기의 응답대기상태를 키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키폰 시스템에서 해당 DECT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착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DECT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이를 DECT 기지국에서 자동착신명령 메시지로 작성하여 해당 DEC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ECT 단말기에서 자동착신명령 메시지를 해석하여, 현재 링이 울리는 착신호에 대한 자동 응답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자동착신명령 메시지는,
각각의 DECT 단말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는 포맷에 따라 작성되는 메시지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에 따른 호 발신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의 발신제어는 사용자의 키조작이 없이, 키폰 시스템(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에서 발신테스트를 위한 발신을 원할 경우, 오프후크요청신호를 DECT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OFFHOOK_REQ_CMD)(S301), 이에 따라 DECT 기지국(200)에서 해당 DECT 단말기(300)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단말기인가를 확인하고 페이징 채널을 통해 풀-페이징메시지(Full-paging)를 방송하게 된다(S302).
이때, 상기 풀-페이징 메시지는 DECT 표준 프로토콜 중에 하나로써, 일반적으로 DECT 표준 프로토콜은 제로-페이징(Zero-paging), 쇼트-페이징(Short-paging), 풀-페이징(Full-paging)과 같은 3가지 형태의 페이징 신호를 지원하는데, 풀-페이징 신호의 경우, 기지국에서 단말기방향으로 페이징 채널을 통해 5바이트 크기로 전송할 수 있는 메시지를 말한다.
따라서, DECT 단말기(300)가 통화중이 아닌 경우, 즉 트래픽 전달 링크가 설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풀-페이징 신호를 이용하여 DECT 기지국(200)의 상위 계층 정보를 DECT 단말기(300)로 전송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제조사에서 임의로 메시지를 구성하여 단말기를 제어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발신테스트를 위하여 제조사에서 자사의 국선링 번호정보, LCD 메시지와 같은 실시간을 요구하지 않은 정보 등을 전송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여 발신을 시도하라는 메시지를 만들어 DECT 단말기(300)로 방송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풀-페이징 신호에 따라 DECT 단말기(300)는 사용자가 통화키를 조작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발신요청 메시지(CC_SETUP)를 DECT 기지국(200)으로 전송한다(S303). 상기 발신요청 메시지에 따라 DECT 기지국(200)에서 발신요청이 있음을 키폰 시스템(100)으로 알리고(SETUP_IND_EVT)(S304), 음성통로를 연결하고 연결할 것을 알린다(CONNECT_REQ_CMD)(S305).
DECT 기지국(200)에서는 발신을 위한 통화로가 연결되었음을 DECT 단말기(300)로 알리고(CC_CONNECT)(S306), 발신하여 테스트 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수신테스트를 위한 동작은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에 따른 호 착신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키폰 시스템(100)에의 호처리 소프트웨어에서 특정 DECT 단말기(300)기로 착신을 요구하는 신호를 보내면(SETUP_REQ_CMD)(S401), DECT 기지국(200)에서 해당 DECT 단말기(300)가 등록되어 있는가를 확인하고 착신호를 전송한다(CC_SETUP)(S402).
상기 착신호를 수신한 DECT 단말기(300)는 착신호를 받을 수 있다는 응답신호(CC_ALERTING)를 DECT 기지국(200)으로 보내고(S403), 기지국은 이를 키폰 시스템(100)으로 알린다(ALERT_IND_EVT)(S404).
이때 키폰 시스템(100)의 호처리 소프트웨어에서는 상기 DECT 단말기(300)의 사용자가 통화키를 누르지 않고도 수신을 원한다면, 응답을 요구하는 메시지를 DECT 기지국(200)으로 전송하고(ANSWER_REQ_CMD)(S405), 이에 따라 DECT 기지국(200)은 현재 호에 대하여 응답을 하라는 IWU-TO-IWU 메시지를 DECT 단말기(300)로 전송하여(S406), 사용자가 통화키를 누르지 않고 DECT 단말기(300)가 자동으로 응답하도록 한다(CC_CONNECT)(S407).
이때, 상기 IWU-TO-IWU 메시지는 DECT 표준 프로토콜의 CS 채널로 전송되는 5바이트 크기의 메시지에 실려 전송되는 것으로, CS채널은 트래픽 상태인 경우 상위로부터 데이터를 하위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채널을 말한다.
따라서, 페이징 신호는 기지국에서 단말기로 단방향 전송만이 가능한 반면 CS채널을 이용한 데이터 전송은 기지국 및 단말기 양방향이 가능하며, 40비트(5바이트) 전체가 데이터 필드로 채워지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5바이트가 단독으로 사용되지 않고, 여러 개의 5바이트가 한 묶음이 되어 의미를 가지게 되는데, 이러한 의미중 CC-INFO라는 의미를 지니는 구성의 메시지 안에 DECT 단말기(300)가 현재의 착신호에 응답을 하라는 의미를 가지도록 데이터를 전송이 가능한데, 이를 IWU-TO-IWU(Inter Working Unit)라 한다.
상기 IWU-TO-IWU 메시지를 이용하여 제조사에서 특수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의 메시지를 받고 DECT 단말기(300)는 자동으로 응답을 하며(CC_CONNECT)(S407), DECT 기지국(200)은 연결응답이 있음을 키폰 시스템(100)으로 알리고(CONNECT_IND_EVT)(S408), 키폰 시스템(100)은 이에 따라 연결응답메시지를 DECT기지국(200)으로 보내고(CONNECT_ACK_CMD)(S409), 이를 DECT 기지국(200)에서 해당 DECT 단말기(300)로 전달한다(CC_CONNECT_ACK)(S410).
상기와 같이, 착신호의 경우에는 IWU-TO-IWU 메시지를 이용하여 링이 울리는 도중에 DECT 단말기가 자동으로 응답을 할 수 있도록 하여 착신테스트 등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 없이 응답이 되는가에 대한 검사를 할 때 이용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발신 및 착신에서의 자동으로 DECT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해서는 DECT 프로토콜 중에서 무선단말기내에 풀-페이징 메시지와 IWU-TO-IWU 메시지를 인지할 수 있으며, 상기의 정의한 바와 같이 자동으로 발신을 하도록 하는 데이터와 자동으로 응답을 하도록 하는 데이터를 해석하여 정의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을 하여 단말기에 내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은, DECT 표준 프로토콜에서 이용되는 메시지 포맷 중에서 제조사가 임의의 데이터를 만들어 전달할 수 있는 메시지 포맷을 이용하여 DECT 단말기가 사용자의 조작 없이 발신/착신을 할 수 있도록 조작함으로써 DECT 단말기의 성능 검사를 위한 착/발신 테스트 등에 사용자의 조작 없이 DECT 단말기를 제어하여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DECT 시스템의 호 발신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종래의 DECT 시스템의 호 착신의 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에 따른 호 발신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에 따른 호 착신의 동작순서를 나타낸 흐름도.

Claims (4)

  1. DECT 단말기에서 DECT 기지국으로의 자동 발신을 위하여,
    키폰 시스템에서 DECT 기지국으로 오프후크 요청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따라 DECT 기지국에서는 DECT 단말기가 자동으로 발신할 수 있도록 하는 풀-페이징 메시지를 작성하여 DEC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ECT 단말기에서는 수신된 풀-페이징 메시지에 포함된 자동발신명령 및 발신을 위한 착신정보를 적어도 하나이상 이용하여, 자동으로 호를 발신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풀-페이징 메시지는,
    각각의 DECT 단말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는 포맷에 따라 작성되는 자동 발신명령, 발신을 위한 착신측 번호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로, DECT 단말기에서 해석하여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DECT 단말기의 자동 착신을 위하여,
    키폰 시스템에서, DECT 단말로 착신호를 연결할 것을 DECT 기지국으로 요청하는 단계;
    상기 DECT 기지국에서 착신호를 해당 DECT 단말기로 연결하여 링을 울리게 하고, 상기 DECT 단말기의 응답대기상태를 키폰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키폰 시스템에서 해당 DECT 단말기에서 자동으로 착신호에 대한 응답을 하도록 명령하는 메시지를 DECT 기지국으로 전달하고, 이를 DECT 기지국에서 자동착신명령 메시지로 작성하여 해당 DECT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DECT 단말기에서 자동착신명령 메시지를 해석하여, 현재 링이 울리는 착신호에 대한 자동 응답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착신명령 메시지는,
    각각의 DECT 단말기에 따라 임의로 결정되는 포맷에 따라 작성되는 메시지 인 것을 특징으로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방법.
KR10-2002-0049222A 2002-08-20 2002-08-20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KR100487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222A KR100487568B1 (ko) 2002-08-20 2002-08-20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9222A KR100487568B1 (ko) 2002-08-20 2002-08-20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100A KR20040017100A (ko) 2004-02-26
KR100487568B1 true KR100487568B1 (ko) 2005-05-03

Family

ID=37322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9222A KR100487568B1 (ko) 2002-08-20 2002-08-20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75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6997B1 (ko) * 1999-09-08 2006-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이시티 시스템의 단말기능 및 베이스기능 겸용 무선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266A (ko) * 1989-08-25 1991-03-28 원본미기재 금속피복시스템
KR19980052710A (ko) * 1996-12-24 1998-09-25 유기범 키폰시스템의 원격제어시스템
KR19990047072A (ko) * 1997-12-02 1999-07-05 김영환 키폰시스템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5611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덱트 스펙을 적용한 무선 키폰단말기 구현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04266A (ko) * 1989-08-25 1991-03-28 원본미기재 금속피복시스템
KR19980052710A (ko) * 1996-12-24 1998-09-25 유기범 키폰시스템의 원격제어시스템
KR19990047072A (ko) * 1997-12-02 1999-07-05 김영환 키폰시스템의 원격 제어장치 및 방법
KR19990056111A (ko) * 1997-12-29 1999-07-15 윤종용 덱트 스펙을 적용한 무선 키폰단말기 구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7100A (ko) 2004-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268934A1 (en) Digital wireless voice and data modem
KR20020091402A (ko) 블루투스 단말을 이용한 직접 통화 방법
KR20000044227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통화중 문자메시지 전송방법
KR100487568B1 (ko)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JP3931402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100486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착신 호 대기 방법
JP2806788B2 (ja) コードレス電話中継方式
JP3068547B2 (ja) 携帯端末通信方法
CN1859512B (zh) 一种无线接入系统中实现三方通话的方法、系统及设备
KR19980065539A (ko) 유선전화망을 통해 통화가능한 휴대용 통신기기 및 그 통화수행 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JP3055517B2 (ja) 無線装置の緊急連絡システム
JP330806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538483B1 (ko) 무선 전화 시스템 및 방법과 그 시스템의 베이스 유닛
JPH0528536B2 (ko)
KR100222658B1 (ko) 무선통신망에서 순방향 제어채널을 이용한 발신자 전화번호 송수신 방법
KR100299029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접속방법
KR20000020443A (ko)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KR10079330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발신번호 전송방법 및 그 발신번호 메세지 구조를 가진 데이터가 기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0253794B1 (ko) 씨디엠에이 이동통신시스템 및 그의 이동국, 기지국간 호처리 방법
KR100485076B1 (ko) 발신 단말기의 통화연결음 알람방법
KR100334557B1 (ko) 통화중인 이동국의 톤 신호 전송방법
KR100838960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자동 착신방법 및 장치
KR2004002515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호처리 방법
WO2012031470A1 (zh) 移动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