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443A -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 Google Patents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443A
KR20000020443A KR1019980039054A KR19980039054A KR20000020443A KR 20000020443 A KR20000020443 A KR 20000020443A KR 1019980039054 A KR1019980039054 A KR 1019980039054A KR 19980039054 A KR19980039054 A KR 19980039054A KR 20000020443 A KR20000020443 A KR 20000020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extension
call
generated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1479B1 (ko
Inventor
조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9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479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4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4WLL [Wireless Local Loop]; RLL [Radio Local Loop]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기능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다수의 내선 전화기를 가지는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서 통화 방법을 구현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각각의 내선 전화기에 고유의 아이디를 지정하고, 상기 아이디에 따라 통화 기능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이용된다.

Description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WLL : WIRELESS LOCAL LOOP 이하 무선 "가입자망"이라 함)의 통화 기능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가 상기 단말기에 연결된 일반 내선 전화기 각각에 아이디를 지정하여 상기 각각의 내선 전화기를 인식하고 통화가 가능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박스 타입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내선 시스템 구성도이다.
통상적으로, 박스 타입(BOX TYPE)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시스템은 단말기 100 하나에 다수개의 일반 전화기 130, 131, 132와 PC(PERSONAL COMPUTER) 120 등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그러나 도면에서 보는바와 같이 단말기 100은 각각의 전화기 130, 131, 132를 인지할 수 없다. 그래서 단말기 100은 각각의 전화기를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없기 때문에 각각의 전화기 사이의 내선 통화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연결된 각각의 내선 전화기들 사이에 내선 통화가 가능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시스템에서 내선 통화중에 호출이 있을 때 상기 호출에 응답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RF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밴드로 전환하거나 코덱을 통해 펄스부호 변조된 신호가 제어부에서 부호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기저대역 밴드로 변환하여 상기 RF부로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부호 변조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음성을 펄스 부호 변조하는 코덱과, 상기 내선 전화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며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에 따라 디티엠에프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내선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듀얼톤을 수신하는 디티엠에프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내선 전화기 각각의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상기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연결된 다수의 내선 전화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는 제 1 과정과, 통화로가 연결되었으면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되는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아이디 정보를 독출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독출한 아이디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발생된 내선 호출 신호에 따라 해당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해당 내선 전화기로부터 후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3자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5 과정과, 상기 연결된 내선 전화기 중에 임의의 전화기로부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된 상기 내선 전화기 외에 연결된 통화로가 있는지 검사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연결된 통화로가 있으면 상기 연결된 통화로의 내선 전화기와 계속해서 통화로를 유지하고 상기 제 6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연결된 통화로가 없으면 통화로를 차단하는 제 8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박스 타입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시스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내전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시스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시스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특정(特定)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 없이도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내선 시스템 구성도이다.
도 2에서 보는바와 같이 내선 전화기 131, 132, 133은 각각 독립되어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100에 연결됨을 알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각각의 내선 가입자 전화기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100에 연결됨으로써 임의의 내선 전화기간에 내선 통화를 할 수 있고, 내선 전화기의 통화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내전 전화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제어부 101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 101은 퀄컴사의 MSM(MOBILE SYSTEM MODEM) 칩을 구비하고 코덱 108에서 입력되는 신호를 인터리빙 및 엔코딩하고 베이스 밴드부(BASE BAND ANALOG) 103에서 입력되는 기저대역 신호를 디인터리빙 및 디코딩한다. 베이스 밴드부 103은 제어부 10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바꾸고 RF부 102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여 제어부로 전송한다. RF부 102는 상기 베이스 밴드부 103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무선 신호로 바꾸어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으로 송신한다. 또한 상기 RF부 102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여 베이스 밴드부 103으로 전송한다. 코덱 108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를 PCM(PULSE CODE MODULATION)신호로 바꾸어 제어부 101로 전송한다. 그리고 상기 코덱은 제어부 101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변조하여 스피커를 통해 음성으로 출력한다. 키입력부 104와 표시부 105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이다. 키입력부 104는 통상의 전화기 숫자 키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100의 다양한 기능 구현을 위하여 다수의 기능 키를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 105는 제어부 101의 제어를 받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것으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 100의 상태 등을 표시한다. 메모리 106은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내선 전화기 아이디를 저장하고 있다. 인터페이스부 107은 DTMF(DUAL TONE MULTIPLE FREQUENCY 이하 "디티엠에프"라 함) 송수신부를 가지고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INTERFACE UNIT) 107은 내선전화기 131, 132, 133, PC 120과 인터페이싱 한다. 도 3에서 내선 전화기 131, 132, 133은 유선으로 연결되었지만 무선 가입자망 100이 무선 인터페이스부를 가지고 상기 내선 전화기와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시스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40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통화로가 연결되었으면 41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통화로의 연결은 내선 전화기에서 발신에 따라 이루어질 수도 있고, 외부로부터의 호출에 사용자가 응답하여 통화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41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통화로가 연결되지 않은 다른 내선 전화기로부터 후크 오프(HOOK OFF)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후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42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30 단계로 진행한다. 42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페일 톤(FAIL TONE)을 발생하게 함으로써 사용자가 지금은 전화가 통화중임을 알려준다. 상기 페일 톤은 예를 들어 비지(BUSY) 신호와 같은 통화중 메시지나 특정 음으로 발생할 수도 있다. 430 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했는지 검사한다. 상기 내선 호출 신호는 통화 상대자와 통화로가 형성된 내선 전화기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말한다. 상기 통화로가 형성된 내선 전화기에서 내선을 호출하는 신호가 발생되면 44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70 단계로 진행한다. 44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메모리 106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내선 전화기 각각의 아이디 정보를 독출한다. 45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인터페이스부 107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디티엠에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해당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를 발생한다. 46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상기 호출한 내선 전화기에서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내선 통화로를 연결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처음 통화로가 형성된 내선 전화기와 통화 상대자는 다시 추가된 내선 가입자와 3자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470 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임의의 통화로가 연결된 내선 가입자로부터 후크 온(HOOK ON)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48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계속해서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는지 검사한다. 48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된 내선 전화기 외에 다른 통화로가 형성되어 있는지 검사한다. 즉, 3자간 통화를 하다가 임의의 내선 전화기에서 전화를 끊은 후에 아직 연결된 통화로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된 통화로가 있으면 49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491 단계로 진행한다. 49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아직 전화를 끊지 않은 내선 전화기와 통화로를 계속해서 유지한다. 이후 470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491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통화로를 차단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의 시스템에서 통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제어 흐름도이다.
500 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인터페이스부 107의 도시하지 않은 디티엠에프 송수신부로 입력되는 신호를 검사하여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했는지 검사한다. 내선 전화기에서 내선을 호출하는 신호가 발생되면 510 단계로 진행한다. 51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메모리 106의 특정 영역에 저장된 내선 전화기 각각의 아이디 정보를 독출한다. 52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인터페이스부 107에 구비된 도시하지 않은 디티엠에프 신호 송수신부를 통해 해당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를 발생한다. 53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상기 호출한 내선 전화기에서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내선 통화로를 연결한다. 540 단계에서 제어부 100은 임의의 통화로가 연결된 내선 가입자로부터 후크 온(HOOK ON) 신호가 발생되었는지 검사한다. 상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550 단계에서 제어부 101은 통화로를 차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연결된 내선 전화기가 각각의 아이디 정보를 가지고 이를 식별하여 통화를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3자 통화 기능과 내선 통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4)

  1.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RF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밴드로 전환하거나 코덱을 통해 펄스부호 변조된 신호가 제어부에서 부호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기저대역 밴드로 변환하여 상기 RF부로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부호 변조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음성을 펄스 부호 변조하는 코덱과, 상기 내선 전화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며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에 따라 디티엠에프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내선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듀얼톤을 수신하는 디티엠에프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내선 전화기 각각의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상기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연결된 다수의 내선 전화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통화로가 연결되었는지 검사하는 제 1 과정과,
    통화로가 연결되었으면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되는지 검사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아이디 정보를 독출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독출한 아이디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발생된 내선 호출 신호에 따라 해당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제 4 과정과,
    상기 해당 내선 전화기로부터 후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3자 통화로를 연결하는 제 5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4 과정 후에
    상기 연결된 내선 전화기 중에 임의의 전화기로부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된 상기 내선 전화기 외에 연결된 통화로가 있는지 검사하는 제 6 과정과,
    상기 연결된 통화로가 있으면 상기 연결된 통화로의 내선 전화기와 계속해서 통화로를 유지하고 상기 제 6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제 7 과정과,
    상기 연결된 통화로가 없으면 통화로를 차단하는 제 8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로가 연결된 상태에서 내선 호출 신호의 수신 없이 다른 내선 전화기로부터 후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사용 중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RF부와, 상기 RF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기저대역 밴드로 전환하거나 코덱을 통해 펄스부호 변조된 신호가 제어부에서 부호화되고 변조된 신호를 기저대역 밴드로 변환하여 상기 RF부로 출력하는 베이스 밴드부와,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펄스부호 변조 신호를 음성으로 출력하거나 음성을 펄스 부호 변조하는 코덱과, 상기 내선 전화기 또는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며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에 따라 디티엠에프 신호를 송신하거나 상기 내선 전화기로부터 수신되는 듀얼톤을 수신하는 디티엠에프 송수신부를 구비하는 인터페이스부와, 상기 내선 전화기 각각의 아이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를 구비한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와 상기 무선 가입자망 단말기에 연결된 다수의 내선 전화기로 이루어진 시스템의 통화 방법에 있어서,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되는지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내선 호출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메모리로부터 아이디 정보를 독출하는 과정과,
    상기 독출한 아이디 정보를 검사하여 상기 발생된 내선 호출 신호에 따라 해당 내선 전화기로 호출 신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해당 내선 전화기로부터 후크 오프 신호가 발생되면 통화로를 연결하는 과정과,
    상기 연결된 내선 전화기 중에 임의의 전화기로부터 후크 온 신호가 발생되면 통화로를 차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039054A 1998-09-21 1998-09-21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KR10029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054A KR100291479B1 (ko) 1998-09-21 1998-09-21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054A KR100291479B1 (ko) 1998-09-21 1998-09-21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443A true KR20000020443A (ko) 2000-04-15
KR100291479B1 KR100291479B1 (ko) 2001-06-01

Family

ID=1955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054A KR100291479B1 (ko) 1998-09-21 1998-09-21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4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9234B1 (ko) * 2001-08-28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무선가입자망의 내선선택 방법
KR100508971B1 (ko) * 1998-10-01 2005-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멀티 채널형 단말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331B1 (ko) * 2001-05-19 2003-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터미널형 무선가입자망 단말기에서의 내선 전환 장치 및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4247B1 (ko) * 1997-12-26 2001-12-28 송문섭 내선기능을가진광대역무선가입자망의다중가입자용가입접속장치및내선기능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8971B1 (ko) * 1998-10-01 2005-10-26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멀티 채널형 단말장치
KR100439234B1 (ko) * 2001-08-28 2004-07-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분리형 무선가입자망의 내선선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1479B1 (ko) 200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1479B1 (ko) 내선 전화기를 가진 무선 가입자망의 통화 방법
KR100506246B1 (ko) 통신단말기의발신자이름을포함한발신자정보표시방법
KR100286451B1 (ko) 통화중 제 3자의 착신전화 알림 방법
KR20010053675A (ko) 이동 전화기에서 다수의 무선 이어폰을 사용한 멀티 통화장치 및 방법
KR100349018B1 (ko) 일반전화기와 연동시킨 일체형 무선가입자망 단말 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3092785A (ja) 携帯電話機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100238323B1 (ko) 스마트폰의 음성 자동응답 방법
CN1859512B (zh) 一种无线接入系统中实现三方通话的方法、系统及设备
KR20030052709A (ko) 아날로그 통신 장비와 인터페이싱이 가능한 무선 가입자망시스템
KR100487568B1 (ko) 키폰 시스템의 dect 단말기 원격제어 방법
KR100439234B1 (ko) 분리형 무선가입자망의 내선선택 방법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KR100566986B1 (ko) 발신자별 벨소리 크기제어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그 제어방법
KR100485076B1 (ko) 발신 단말기의 통화연결음 알람방법
KR100299029B1 (ko) 무선가입자망 시스템의 호 접속방법
KR200254223Y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KR20010111378A (ko) 디티엠에프 신호를 이용한 메시지 수신 장치 및 방법
KR20010090057A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무선 전화기의 휴대장치착신벨 발생 장치 및 그 방법
KR101049110B1 (ko) Dtmf톤을 출력하는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를통해 출력되는 dtmf톤을 이용하여 전화 거는 방법
JPH08265819A (ja) 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方法
KR0167378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20040039514A (ko) 통화 불가 호출자 통보 기능을 갖는 단말기 및 통화 불가호출자 통보 방법
JPH05183613A (ja) コ−ドレス電話装置および通話中デ−タ伝送方法
JPH11136770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0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