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9402A -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9402A
KR20070099402A KR1020060098937A KR20060098937A KR20070099402A KR 20070099402 A KR20070099402 A KR 20070099402A KR 1020060098937 A KR1020060098937 A KR 1020060098937A KR 20060098937 A KR20060098937 A KR 20060098937A KR 20070099402 A KR20070099402 A KR 2007009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cover
closing cover
body fram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8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66548B1 (ko
Inventor
야스히데 사이토
미치타 이가라시
Original Assignee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제롯쿠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66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66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 G03G21/1604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entire apparatus
    • G03G21/1623Means to access the interior of the apparatus
    • G03G21/1628Clamshell typ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21/00Processes not provided for by group G03G2215/00, e.g. cleaning or residual charge elimination
    • G03G2221/16Mechanical means for facilitating the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e.g. modular arrangements and complete machine concepts
    • G03G2221/1678Frame structures
    • G03G2221/169Structural door desig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구가 설치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개구측 에지부에 덮는 개폐 커버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에 덮여지는 고정 커버를 갖는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한다.
클리닝부, 회수 박스, 광학 박스, 스페이서 부재, 레지스트 롤러쌍

Description

화상 형성 장치{IMAGE FORMING APPARATUS}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 측면도.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스페이서 부재와 앞커버 측벽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8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스페이서 부재와 앞커버 측벽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9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힌지부(hinge portion) 주위를 나타낸 개략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화상 형성 장치 12 : 본체 프레임
14 : 앞커버 14A : 전면(前面) 커버부
14B : 상면(上面) 커버부 14C, 14D : 측벽
50 : 우측 커버 50E, 50F, 52E, 52F : 리브(rib)
50A, 50B, 50C, 50D, 52A, 52B, 52D : 스페이서 부재
50T, 52T, 52P : 테이퍼부 52 : 좌측 커버
본 발명은 본체 프레임에 회동(回動) 가능하게 부착된 개폐 커버에 의해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개구가 개폐되는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감광체(상담지체)나 중간 전사 벨트에 형성된 토너상을 기록 용지(기록 매체)에 전사·정착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나, 잉크젯 기록 헤드로부터 기록 용지에 잉크를 토출시킴으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본체 프레임에 설치된 개구가 개폐 커버에 의해 개폐되게 되어 있으며, 이 개폐 커버를 개방하여 본체 프레임에 수용된 유닛의 보수(保守), 교환 등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은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를 개폐할 때에, 개폐 커버의 외면(外面)과 본체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 커버가 슬라이딩 마찰하여 개폐 커버의 외면에 마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해야만 하고, 또한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커버와 고정 커버 사이로부터 본체 프레임이 노출되는 것을 방지 해야만 하는 등의 이유 때문에, 개폐 커버의 에지부가 고정 커버의 노출되지 않는 부분에 덮여지는 구성에 한정되어 있어,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좁았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큰, 본체 프레임이 개폐 커버와 고정 커버에 의해 외장(外裝)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개구가 설치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개구측 에지부에 덮는 개폐 커버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에 덮여지는 고정 커버를 갖는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를 회동시켜 본체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에 수용된 화상 형성부가 개폐되고, 이 화상 형성부의 보수(保守), 교환 등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개폐 커버의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의 개구 측의 에지부에 덮여지고, 또한 본체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고정 커버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에 덮여지게 되어 있어, 종래와 비교하여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확대되고 있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삽입 가능한 틈을 형성하는 스페이서(spacer)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 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삽입 가능한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을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外面)과 고정 커버를 슬라이딩 마찰시키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상기 고정 커버로부터 이간(離間)시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고정 커버로부터 이간시켜 위치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을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를 슬라이딩 마찰시키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까지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를 폐쇄할 때, 가이드부에 의해 개폐 커버의 굴곡부가 위치 결정부까지 안내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의 슬라이딩 마찰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에 마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개폐 커버 측에 걸쳐 점차 폭을 좁게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사이에 삽입하는 한 쌍의 리브(rib)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커버의 굴곡부가 한 쌍의 리브에 의해 사이에 삽입됨으로써, 개폐 커버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리브에는 개폐 커버 측에 걸쳐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고, 이 테이퍼부에 의해 개폐 커버의 굴곡부가 한 쌍의 리브에 의한 위치 결정 위치까지 안내된다. 따라서, 개폐 커버를 개폐할 때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가 슬라이딩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에 마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고정 커버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위치 결정부를 본체 프레임과 비교하여 작은 사이즈의 고정 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위치 결정부를 본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굴곡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부로부터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개폐 커버의 회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 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측의 굴곡부가 회동축 측으로부터 차례로 복수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를 휘어지게 하거나, 회동축 방향의 여유 분만큼 시프트시키면서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위치 결정부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모든 위치 결정부에 동시에 끼워 넣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폐 커버나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의 요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복수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배치 및 수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一端) 측과 타단(他端) 측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의 배치 및 수 중 적어도 한쪽이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과 타단 측에서 상이하고, 개폐 커버를 폐쇄할 때,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의 굴곡부와 타단 측의 굴곡부를 번갈아 위치 결정부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폐 커버나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의 요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개폐 커버를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폐 커버가 가압부에 의해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되고,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의 여유가 없어지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위치 결정부에 세트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측 또는 상기 개폐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 또는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돌출부와 맞닿으며,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측 방향 또는 타단측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일 형태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 폐 커버의 굴곡부로부터 본체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된 테이퍼부에 맞닿고, 테이퍼부로부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측 방향의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가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의 여유가 없어진다.
또한,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의 다른 형태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로부터 개폐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에 설치된 테이퍼부에 맞닿고, 테이퍼부로부터 돌출부로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타단측 방향의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가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의 여유가 없어진다.
따라서,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위치 결정부에 세트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 내측에 맞닿아 상기 굴곡부의 자세를 교정(矯正)하는 교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본체 프레임의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부에서 교정 부재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 내측에 맞닿아 있으며, 가공상의 이유 때문에 굴곡부가 내측으로 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자세가 교정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굴곡부와 위치 결정부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를 폐쇄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는,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 단부(端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上面)을 개폐하는 상면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개폐 조작될 때, 개폐 커버의 회동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면 커버에 의해 본체 프레임의 상면이 개폐된다.
여기서, 개폐 커버와 상면 커버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개폐 커버의 강도(强度)가 높아지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 시에 개폐 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개폐 커버의 변형이나 파손(破損)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형태에 의하면, 본체 프레임이 개폐 커버와 고정 커버에 의해 외장된 화상 형성 장치의 외관 설계 자유도가 확대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에 나타낸 실시예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또한, 각 도면에서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각색마다 배열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해서는 부호 뒤에 「Y」, 「M」, 「C」, 「K」의 영자(英字)가 첨부되어 있는 것이 있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의 개요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0)는 상담지체(감광체)(20) 및 현상 유닛(16)을 착탈(着脫) 가능하게 수용하는 본체 프레임(12)과, 그 상담지체(20) 및 현상 유닛(16), 후술하는 정착 장치(38)를 개방·폐색(閉塞)하는, 즉, 장치 전면(前面)과 장치 상면(上面)을 개방·폐색하는 앞커버(14)를 갖고 있으며, 그 앞커버(14)에 기록 용지(P)를 흡착(吸着) 반송 가능한 반송 벨트(34) 등을 구비한 반송 유닛(18)이 착탈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 앞커버(14)는 장치 전면을 개방·폐색하는 전면(前面) 커버부(14A)와, 장치 상면을 개방·폐색하는 상면(上面) 커버부(14B)로 구성되며, 측면에서 보아 L자 형상을 하고 있다.
현상 유닛(16)에는, 롤러 형상의 상담지체(20)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시키는 대전 롤러(22)와,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상담지체(20)에 화상광을 조사(照射)하고, 정전(靜電) 전위 차에 의한 잠상(潛像)을 형성하는 광학 박스(24)와, 잠상에 토너를 선택적으로 전이(轉移)시켜 가시화하는 현상 롤러(26)와, 토너상이 전사된 후의 상담지체(20)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그 상담지체(20)에 잔류되는 토너를 클리닝하는 클리닝 부재(28)가 구비되어 있다.
상담지체(20)는 표면(둘레면)에 감광체층을 갖고, 대전 롤러(22)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균일하게 대전된 후, 광학 박스(24)로부터 조사되는 레이저광(화상광)에 의해 그 표면(둘레면)이 노광(露光)되며, 그 노광된 부분의 전위가 감쇠(減衰)됨으로써 정전 잠상(화상)이 형성된다. 또한, 대전 롤러(22)는 상담지체(20)에 맞닿고, 이들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어 맞닿음부 부근의 미소한 간극(間隙) 내에서 방전이 발생함으로써,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을 대략 균일하게 대전시킨다.
광학 박스(24)는 점멸(點滅)하는 레이저광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에 주사시키고, 화상 데이터에 의거한 정전 잠상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 위에 형성한다. 또한, 광학 박스(24)로서는, LED 등의 발광 소자를 배열하고, 이들을 화상 데이터에 의거하여 점멸시키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현상 롤러(26)는 상담지체(20)와 근접하여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이 현상 롤 러(26)와 상담지체(20) 사이에 현상 바이어스 전압이 인가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현상 롤러(26)와 상담지체(20) 사이에는 현상 바이어스 전계(電界)가 형성되고, 전하를 갖는 토너가 상담지체(20) 위의 노광된 부분에 전이되어 가시상을 형성한다.
한편, 반송 유닛(18)은 적어도 구동 롤러(30)와 종동(從動) 롤러(32)에 걸쳐진 반송 벨트(34)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반송 벨트(34)의 내면 측으로서 구동 롤러(30)와 종동 롤러(32) 사이의 소정 위치에는 전사 롤러(36)가 소정 간격을 두어 복수(후술하는 각색에 대응하여 4개) 배열 설치되어 있다.
이 전사 롤러(36)는, 앞커버(14)가 폐쇄되었을 때(앞커버(14)를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회동(回動)시켜 상담지체(20) 등을 폐색했을 때), 반송 벨트(34)를 사이에 두어 상담지체(20)와 대향하게 되어 있으며, 상담지체(20)와의 사이에 전사 전계를 형성함으로써, 반송 벨트(34)에 흡착되어 통과하는 기록 용지(P) 위에 상담지체(20) 표면의 토너상(미(未)정착 화상)을 전사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반송 유닛(18)은 기록 용지(P)의 반송 경로를 사이에 두어 종동 롤러(32)와 대향된 대전 롤러(35)를 구비하고 있다. 이 대전 롤러(35)는 기록 용지(P), 반송 벨트(34)를 종동 롤러(32)와의 사이에 삽입하는 동시에, 기록 용지(P)를 대전시켜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에 정전 흡착시킨다.
또한, 반송 유닛(18)은 반송 벨트(34)를 클리닝하는 클리닝부(84)를 구비하고 있다. 이 클리닝부(84)는 반송 벨트(34)와 앞커버(14) 사이에 설치된 회수(回收) 박스(86)와, 회수 박스(86)에 지지되고, 선단부를 반송 벨트(34)에 맞닿게 한 블레이드(88)를 구비하고 있다. 클리닝부(84)는 블레이드(88)에 의해 반송 벨트(34)에 부착된 토너나 종이가루 등을 긁어내고, 블레이드(88)에 의해 긁어낸 토너나 종이가루 등을 회수 박스(86)에 집적(集積)시킨다.
또한, 반송 유닛(18)은 표면에 프린트가 실행된 기록 용지(P)를 표리(表裏) 반전시켜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에 반송하는 양면(兩面) 반송부(9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양면 반송부(90)는 반송 벨트(34)와 앞커버(14) 사이에서 연직(鉛直)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반송 롤러쌍(92)과, 반송 롤러쌍(92)에 의해 반송되는 기록 용지(P)를 가이드하는 가이드판(5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현상 유닛(16)은 풀 컬러(full-color) 인쇄가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아래로부터 황색(Y), 자홍색(M), 청록색(C), 흑색(K)의 순서로 연직 방향으로 배열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 현상 유닛(16Y∼16K)보다도 기록 용지(P)의 반송 방향 하류 측(본체 프레임(12)의 상부)에는 정착 장치(38)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정착 장치(38)는 서로의 둘레면이 대향하여 소정의 압력으로 압접(nip)되는 가열 롤러(40)와 가압 롤러(42)를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기록 용지(P) 위에 전사된 미정착 토너상을 가열·가압함으로써, 그 기록 용지(P)에 토너상을 정착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정착 장치(38)(가열 롤러(40) 및 가압 롤러(42))에 의해 가열·가압되어 토너상이 정착된 기록 용지(P)는 배지(排紙) 롤러(102)에 의해 배지 트레이(44) 위에 배출된다. 그리고, 기록 용지(P)에 토너상을 전사 종료한 후, 상담지체(20)의 표면(둘레면)은 클리닝 부재(28)에 의해 클리닝 처리되어, 차회(次回)의 화상 형성 처리에 대비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 프레임(12)의 하부에는 착탈 가능한 급지 카세트(46)가 구비되어 있다. 이 급지 카세트(46)는 기록 용지(P)가 송출(送出)되는 방향으로 빼낼 수 있게 되어 있고, 기록 용지(P)를 적절히 급지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리고, 급지 카세트(46)의 선단부 근방에는 급지 카세트(46) 내로부터 기록 용지(P)를 1매씩 송출하는 급지 롤러쌍(48)이 설치되어 있으며, 급지 롤러쌍(48)으로부터 송출된 기록 용지(P)는 레지스트 롤러쌍(45)에 의해 소정의 타이밍에서 반송 벨트(34)의 흡착 반송면으로 송출되어, 각색의 토너상의 전사 위치에 반송된다.
여기서, 화상 형성 장치(10)의 외장(外裝)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체 프레임(12)의 조작 패널(210) 측(이하, 사용자 측이라고 함)에는 흑색 등의 어두운 색의 앞커버(14)가 설치되고, 본체 프레임(12)의 조작 패널(210) 측으로부터 보아 우측(이하, 우측이라고 함)의 측면 및 조작 패널(210) 측으로부터 보아 좌측(이하, 좌측이라고 함)의 측면에는 각각 은색 등의 밝은 색의 우측 커버(50), 좌측 커버(52)가 부착되어 있다.
앞커버(14)는 하측 단부를 본체 프레임(12)의 조작 패널(210) 측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앞쪽으로 기울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앞커버(14)는 본체 프레임(12)의 사용자 측에 설치된 개구(12A)를 개폐하는 전면 커버부(14A)와, 전면 커버부(14A)의 상단(上端)으로부터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굴곡되고, 본체 프레임(12) 상면의 사용자 측을 개폐하는 상면 커버부(14B)와, 앞커버(14)의 좌우 단부로부터 각각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굴곡되는 측벽(14C, 14D)에 의해 구성되 어 있다. 측벽(14C, 14D)은 각각 본체 프레임(12)의 좌측 측면, 우측 측면의 개구(12A) 측의 에지부에 덮여진다.
또한, 우측 커버(50)는 본체 프레임(12)의 우측 측면에 고정되고, 좌측 커버(52)는 본체 프레임(12)의 좌측 측면에 고정된다.
여기서, 우측 커버(50) 이면(裏面)의 사용자 측의 에지부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4개)의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 50D)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우측 커버(50)와 본체 프레임(12)의 우측 측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이 틈에 앞커버(14)의 측벽(14D)이 삽입된다. 또한, 좌측 커버(52) 이면의 사용자 측의 에지부에 복수(본 실시예에서는, 도시하는 바와 같이 3개)의 스페이서 부재(52A, 52B, 52D)가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좌측 커버(52)와 본체 프레임(12)의 좌측 측면 사이에 틈이 형성되고, 이 틈에 앞커버(14)의 측벽(14C)이 삽입된다.
따라서, 우측 커버(50), 좌측 커버(52)의 에지부가 노출되어 강조되는 동시에, 우측 커버(50), 좌측 커버(52)의 에지 주위로부터 본체 프레임(12)이 노출되지 않고, 이 부위의 색이 흑색 등의 어두운 색으로 되기 때문에, 외관의 심미성(審美性)이 향상된다.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는 우측 커버(50)의 사용자 측의 에지에 하측으로부터 기재순으로 배열되고, 스페이서 부재(50D)는 우측 커버(50) 상측의 에지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2A, 52B)는 좌측 커버(52)의 사용자 측의 에지에 하측으로부터 기재순으로 배열되고, 스페이서 부재(52D)는 좌측 커버(52) 상측의 에지에 배열 설치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D)는 동일 한 형상이며, 스페이서 부재(52A)와 스페이서 부재(50A), 스페이서 부재(52B)와 스페이서 부재(50B), 스페이서 부재(52D)와 스페이서 부재(50D)는 각각 형상, 위치가 좌우 대칭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는 우측 커버(50) 이면의 사용자 측의 에지에 세워 설치되고 사용자 측으로 굴곡되어 선단부를 에지로부터 돌출시킨, 상면에서 보아 갈고리 형상의 부재이며, 본체 프레임(12)의 우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2A, 52B)는 좌측 커버(52) 이면의 사용자 측의 에지에 세워 설치되고 사용자 측으로 굴곡되어 선단부를 에지로부터 돌출시킨, 상면에서 보아 갈고리 형상의 부재이며, 본체 프레임(12)의 좌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0D)는 우측 커버(50) 이면의 상측 에지에 세워 설치되고 상측으로 굴곡되어 선단부를 에지로부터 돌출시킨, 정면에서 보아 갈고리 형상의 부재이며, 본체 프레임(12)의 우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2D)는 좌측 커버(52) 이면의 상측 에지에 세워 설치되고 상측으로 굴곡되어 선단부를 에지로부터 돌출시킨, 정면에서 보아 갈고리 형상의 부재이며, 본체 프레임(12)의 좌측 측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도 5 내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 50D) 및 스페이서 부재(52A, 52B, 52D)에는 각각 우측 커버(50) 및 좌측 커버(52) 측으로 돌출된 리브(50F, 52F)가 형성되어 있다.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 52A, 52B)의 리브(50F, 52F)는 장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측에 걸쳐 점차 폭을 축소시키는 테이퍼부(50T, 52T)(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 한, 스페이서 부재(50D), 스페이서 부재(52D)의 리브(50F, 52F)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측에 걸쳐 점차 폭을 축소시키는 테이퍼부(50T, 52T)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우측 커버(50)의 이면에는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 50D)의 리브(50F)와 대향하는 리브(50E)가 형성되고, 좌측 커버(52)의 이면에는 스페이서 부재(52A, 52B, 52D)의 리브(52F)와 대향하는 리브(52E)가 형성된다.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D)의 리브(50F)와 대향하는 리브(50E)는 장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측에 걸쳐 점차 폭을 축소시키는 테이퍼부(50P)(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0D)의 리브(50F)와 대향하는 리브(50E)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측에 걸쳐 점차 폭을 축소시키는 테이퍼부(50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2A, 52B)의 리브(52F)와 대향하는 리브(52E)는 장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사용자 측에 걸쳐 점차 폭을 축소시키는 테이퍼부(52P)(도 7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2D)의 리브(52F)와 대향하는 리브(52E)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상측에 걸쳐 점차 폭을 축소시키는 테이퍼부(52P)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 50D)의 리브(50F)와 리브(50E)의 간격의 최소값은 측벽(14D)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간격의 최대값은 측벽(14D)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스페이서 부재(52A, 52B, 52D)의 리브(52F)와 리브(52E)의 간격의 최소값은 측벽(14C)의 두께보다 작고, 상기 간격의 최대값은 측벽 (14C)의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페이서 부재(50C)에는 3개의 리브(50F, 50G)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의 1개의 리브(50F)는 스페이서 부재(50A, 50B)의 리브(50F)와 동일한 형상, 치수이지만, 상측, 한가운데의 2개의 리브(50G)는 스페이서 부재(50A, 50B)의 리브(50F)보다도 폭이 좁게 되어 있다. 또한, 측벽(14D) 이면의 에지부에는 스페이서 부재(50C)의 상측, 한가운데의 2개의 리브(50G)에 맞닿는 리브(14E)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14E)는 측벽(14D)의 에지부로부터 본체 프레임(12) 측으로 돌출되고, 또한 두께 분만큼 측벽(14D)의 이면으로부터 스페이서 부재(50C) 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앞커버(14)는 좌우 방향(회동축의 축방향)으로 다소의 여유를 갖고 본체 프레임(12)에 지지되어 있지만, 커버체(14)를 폐쇄한 상태에서는, 리브(14E)가 스페이서 부재(50C)의 상측, 한가운데의 2개의 리브(50G)에 맞닿아 앞커버(14)가 우측으로 다가가게 되어 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상태에서 측벽(14D)이 스페이서 부재(50A, 50B, 50C, 50D)의 리브(50F)와 이들과 대향된 4개의 리브(50E)에 의해 삽입되고, 측벽(14C)이 스페이서 부재(52A, 52B, 52D)의 리브(52F)와 이들과 대향된 3개의 리브(52E)에 의해 삽입되어 앞커버(14)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커버(14)를 본체 프레임(12)의 하부를 회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56)와 측벽(14C, 14D)(14C만 도시)의 하단측 사이에는 측벽(14C, 14D)의 내면에 맞닿는 가이드 벽(58)이 설치되어 있다. 이 가이드 벽 (58)은 본체 프레임(12)의 하부에 부착된, 힌지(56)를 구비하는 힌지 유닛의 프레임(6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폐쇄된 상태로부터 전체 개방의 상태까지 측벽(14C, 14D)의 내벽에 항상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 프레임(12)의 좌우 방향으로의 여유가 규제된다.
여기서, 도 10에 쇄선(鎖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측벽(14C, 14D)은 앞커버(14)의 성형상 내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완성되는 경우가 있지만, 본체 프레임(12)에 장착하면, 실선(實線)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벽(58)에 의해 자세가 교정된다. 이것에 의해, 측벽(14C, 14D)과 스페이서 부재(50A∼50D, 52A, 52B, 52D)의 위치 어긋남이 저감되기 때문에, 앞커버(14)를 폐쇄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이하, 앞커버(14)를 개폐하는 조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커버(14)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측벽(14C, 14D)이 스페이서 부재(50A∼50D, 52A, 52B, 52D)의 리브(50F, 52F)와 리브(50E, 52E) 사이에 삽입되어, 측벽(14C)이 좌측 커버(52)로부터 이간되어 위치 결정되고, 측벽(14D)이 우측 커버(50)로부터 이간되어 위치 결정된다.
이 상태에서, 측벽(14C, 14D)이 각각 본체 프레임(12)과 좌측 커버(52) 사이, 본체 프레임(12)과 우측 커버(50) 사이에 들어가고, 좌측 커버(52), 우측 커버(50)의 에지가 노출된다. 또한, 좌측 커버(52)의 에지와 측벽(14C), 우측 커버(50)의 에지와 측벽(14D) 사이로부터 본체 프레임(12)이 노출되지 않고, 좌측 커버(52), 우측 커버(50)의 에지 주위가 흑색 등의 어두운 색으로 된다. 또한, 좌측 커버(52), 우측 커버(50)의 에지 주위에 흑색 등의 어두운 색의 다른 부재를 부착하거나, 좌측 커버(52), 우측 커버(50)의 에지 주위를 흑색 등의 어두운 색으로 도장(塗裝)하면, 측벽(14C, 14D)을 각각 좌측 커버(52), 우측 커버(50)의 내측에 배열 설치하지 않아도 동일한 외관으로 되지만, 비용이 상승하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측벽(14C, 14D)을 각각 좌측 커버(52), 우측 커버(50)의 내측에 배열 설치함으로써, 비용을 저감하면서 외관 설계의 자유도를 확대할 수 있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앞커버(14)를 개방할 때에는, 상측으로부터 차례로 측벽(14C, 14D)이 스페이서 부재(50A∼50D, 52A, 52B, 52D)의 리브(50F, 52F)와 리브(50E, 52E) 사이로부터 빠져나간다.
그리고, 앞커버(14)를 폐쇄할 때에는, 우선, 측벽(14D)을 스페이서 부재(50A)의 리브(50F)와 리브(50E) 사이에, 측벽(14C)을 스페이서 부재(52A)의 리브(52F)와 리브(52E) 사이에 끼워 넣고, 이어서 측벽(14D)을 스페이서 부재(50B)의 리브(50F)와 리브(50E) 사이에, 측벽(14C)을 스페이서 부재(52B)의 리브(52F)와 리브(52E) 사이에 끼워 넣으며, 마지막으로 측벽(14D)을 스페이서 부재(50D)의 리브(50F)와 리브(50E) 사이에, 측벽(14C)을 스페이서 부재(52D)의 리브(52F)와 리브(52E) 사이에 끼워 넣는다.
이 때, 측벽(14D)이 스페이서 부재(50B)의 리브(50F)와 리브(50E) 사이에 끼우기 전에, 리브(14E)가 스페이서 부재(50C)의 리브(50G)와 맞닿고, 리브(50G)의 테이퍼부(50T)로부터 리브(14E)에 우측 방향의 힘이 작용하여, 앞커버(14)가 우측으로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앞커버(14)가 우측 커버(50) 측으로 다가가 좌우 방 향의 여유가 없어지기 때문에, 측벽(14D)을 스페이서 부재(50B∼50D)의 리브(50F)와 리브(50E) 사이에, 측벽(14C)을 스페이서 부재(52B, 52D)의 리브(52F)와 리브(52E) 사이에 우측 커버(50), 좌측 커버(52)에 슬라이딩 마찰시키지 않고 끼워 넣을 수 있다. 따라서, 측벽(14C, 14D)의 도장 박리나 마찰 손상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외관의 심미성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측벽(14C, 14D)을 스페이서 부재(50A∼50D, 52A, 52B, 52D)에 아래로부터 차례로 세트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앞커버(14)를 휘어지게 하거나, 좌우 방향의 여유 분만큼 시프트시키면서 측벽(14C, 14D)을 상측의 스페이서 부재(50B∼50D, 52B, 52D)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측벽(14C, 14D)을 모든 스페이서 부재(50A∼50D, 52A, 52B, 52D)에 동시에 끼워 넣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앞커버(14), 우측 커버(50), 좌측 커버(52)의 부품 정밀도의 요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부품의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위치 결정부(50E와 50F의 사이, 52E와 52F의 사이)의 배치 및 수 중 적어도 한쪽이 우측과 좌측에서 상이하고, 앞커버(14)를 폐쇄할 때, 측벽(14C)과 측벽(14D)을 번갈아 위치 결정부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앞커버(14)나 스페이서 부재(50A∼50D, 52A, 52B, 52D)의 가공 정밀도의 요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전면 커버부(14A)와 상면 커버부(14B)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면 커버부(14A)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앞커버(14)의 개폐 조작 시에 전면 커버부(14A)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전면 커버부(14A)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 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앞커버(14)를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측벽(14D)에 설치된 리브(14E)(돌출부)와 본체 프레임(12)과 우측 커버(50) 사이에 설치된 리브(50G)의 테이퍼부(50T)(테이퍼부)로 했지만, 돌출부를 본체 프레임(12)과 우측 커버(50) 사이에 설치하고, 테이퍼부를 측벽(14D)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이들은 본체 프레임(12)의 좌측에 배열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전자 사진 방식의 화상 형성 장치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을 설명했지만, 잉크젯 기록 방식 등의 다른 방식을 이용한 화상 형성 장치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를 회동시켜 본체 프레임의 개구를 개폐함으로써, 본체 프레임에 수용된 화상 형성부가 개폐되고, 이 화상 형성부의 보수, 교환 등이 가능해진다.
여기서, 개폐 커버의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본체 프레임의 개구 측의 에지부에 덮여지고, 또한 본체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된 고정 커버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에 덮여지게 되어 있어, 종래와 비교하여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확대되고 있다.
본 발명의 형태의 다른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된 스페이서 부재에 의해,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삽입 가능한 틈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을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를 슬라이딩 마찰시키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위치 결정부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고정 커버로부터 이간시켜 위치 결정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을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를 슬라이딩 마찰시키지 않고 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를 폐쇄할 때, 가이드부에 의해 개폐 커버의 굴곡부가 위치 결정부까지 안내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의 슬라이딩 마찰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에 마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개폐 커버의 굴곡부가 한 쌍의 리브에 의해 삽입됨으로써, 개폐 커버가 위치 결정된다. 또한, 리브에는 개폐 커버 측에 걸쳐 점차 폭이 좁아지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테이퍼부에 의해 개폐 커버의 굴곡부가 한 쌍의 리브에 의한 위치 결정 위치까지 안내된다. 따라서, 개폐 커버를 개폐할 때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과 고정 커버가 슬라이딩 마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개폐 커버의 굴곡부 외면에 마찰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위치 결정부를 본체 프레임과 비교하여 작은 사이즈의 고정 커버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위치 결정부를 본체 프레임과 일체로 형성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를 향상시키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부로부터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가 개폐 커버의 회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위치 결정 정밀도가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측의 굴곡부가 회동축 측으로부터 차례로 복수의 위치 결정부에 의해 위치 결정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를 휘어지게 하거나, 회동축 방향의 여유 분만큼 시프트시키면서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위치 결정부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모든 위치 결정부에 동시에 끼워 넣는 경우와 비교하여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폐 커버나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의 요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복수의 위치 결정부의 배치 및 수 중 적어도 한쪽이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과 타단 측에서 상이하고, 개폐 커버를 폐쇄할 때,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의 굴곡부와 타단 측의 굴곡부를 번갈아 위치 결정부에 세트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한, 개폐 커버나 위치 결정부의 가공 정밀도의 요구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폐 커버가 가압부에 의해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되고,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의 여유가 없어지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위치 결정부 에 세트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로부터 본체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된 테이퍼부에 맞닿고, 테이퍼부로부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측 방향의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가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의 여유가 없어진다.
또한,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로부터 개폐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에 설치된 테이퍼부에 맞닿고, 테이퍼부로부터 돌출부로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타단측 방향의 힘이 작용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가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으로의 여유가 없어진다.
따라서, 개폐 커버의 굴곡부를 위치 결정부에 세트하는 조작이 용이해진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본체 프레임의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부에서 교정 부재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 내측에 맞닿아 있으며, 가공상의 이유 때문에 굴곡부가 내측으로 경사져 있을 경우에는 자세가 교정된다. 이것에 의해, 개폐 커버의 굴곡부와 위치 결정부의 위치 어긋남이 억제되기 때문에, 개폐 커버를 폐쇄할 때의 조작성이 향상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의 화상 형성 장치에서는, 개폐 커버가 개폐 조작될 때, 개폐 커버의 회동 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상면 커버에 의해 본체 프레임의 상면이 개폐된다.
여기서, 개폐 커버와 상면 커버를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개폐 커버의 강도가 높아지기 때문에,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 시에 개폐 커버에 가해지는 하중에 따른 개폐 커버의 변형이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외관 설계의 자유도가 큰, 본체 프레임이 개폐 커버와 고정 커버에 의해 외장(外裝)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5)

  1. 개구가 설치된 본체 프레임과,
    상기 본체 프레임에 수용되고, 기록 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 형성부와,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개구를 개폐하는 동시에,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 프레임 측으로 굴곡된 굴곡부를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개구측 에지부에 덮는 개폐 커버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굴곡부에 덮여지는 고정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삽입 가능한 틈을 형성하는 스페이서(spacer)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상기 고정 커버로부터 이간(離間)시켜 위치 결정하는 위치 결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상기 위치 결정부까지 안내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개폐 커버 측에 걸쳐 점차 폭을 좁게 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사이에 삽입하는 한 쌍의 리브(rib)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결정부를 상기 고정 커버와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굴곡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측에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위치 결정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위치 결정부는,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개폐 커버 의 회동축 측으로부터 차례로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를 위치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화상 형성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위치 결정부의 배치 및 수 중 적어도 한쪽이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一端) 측과 타단(他端) 측에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개폐 커버를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 측으로 가압하는 가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가,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 또는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본체 프레임 측 또는 상기 개폐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상기 본체 프레임과 상기 고정 커버 사이 또는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상기 돌출부와 맞닿으며, 상기 돌출부에 대하여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일단측 방향 또는 타단측 방향의 힘을 작용시키는 테이퍼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축의 축방향 양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개폐 커버의 상기 굴곡부 내측에 맞닿아 상기 굴곡부의 자세를 교정(矯正)하는 교정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커버의 회동 단부(端部)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개폐 커버의 개폐 조작에 의해 상기 본체 프레임의 상면(上面)을 개폐하는 상면 커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개폐 커버의 굴곡부로부터 본체 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에 설치된 테이퍼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개폐 커버가 폐쇄될 때에, 본체 프레임과 고정 커버 사이로부터 개폐 커버 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개폐 커버의 굴곡부에 설치된 테이퍼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060098937A 2006-04-04 2006-10-11 화상 형성 장치 KR1008665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103314A JP4730176B2 (ja) 2006-04-04 2006-04-04 画像形成装置
JPJP-P-2006-00103314 2006-04-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9402A true KR20070099402A (ko) 2007-10-09
KR100866548B1 KR100866548B1 (ko) 2008-11-03

Family

ID=38559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8937A KR100866548B1 (ko) 2006-04-04 2006-10-11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7496313B2 (ko)
JP (1) JP4730176B2 (ko)
KR (1) KR100866548B1 (ko)
CN (1) CN10049522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11103B2 (ja) * 2006-04-27 2011-11-0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4983520B2 (ja) * 2007-10-02 2012-07-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7848676B2 (en) * 2007-12-27 2010-12-07 Kyocera Mita Corporation Internal output type image forming apparatus
JP4911728B2 (ja) * 2008-10-29 2012-04-04 株式会社沖データ 画像形成装置
JP6645686B2 (ja) * 2015-08-28 2020-02-1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4618B2 (ja) * 1997-11-28 2004-03-31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0079739A (ja) 1998-09-04 2000-03-21 Canon Inc 開閉カバーのロック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000190595A (ja) 1998-12-29 2000-07-11 Ando Electric Co Ltd カバ―の開閉構造
JP3670153B2 (ja) 1999-02-10 2005-07-13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
JP2002187324A (ja) * 2000-10-11 2002-07-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開閉部スイッチ機構
JP2002351282A (ja) 2001-05-28 2002-12-06 Fuji Xerox Co Ltd 給紙装置
JP2004034648A (ja) 2002-07-08 2004-02-05 Canon Inc 化粧カバー及び記録装置
JP2004206070A (ja) 2002-10-31 2004-07-22 Hitachi Ltd 電子写真装置
JP4482296B2 (ja) 2002-10-31 2010-06-16 株式会社リコー 電子写真装置
JP4529391B2 (ja) * 2003-07-22 2010-08-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カバーの位置決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730176B2 (ja) 2011-07-20
US7496313B2 (en) 2009-02-24
KR100866548B1 (ko) 2008-11-03
CN101051195A (zh) 2007-10-10
CN100495229C (zh) 2009-06-03
US20070230996A1 (en) 2007-10-04
JP2007279229A (ja) 2007-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0380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セスユニット
JP4110143B2 (ja) 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に着脱可能なユニット及び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
JP4565667B2 (ja) カラー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US7272341B2 (en) Electrophotographic image forming apparatus
JP4096269B2 (ja) 画像形成装置
KR100866548B1 (ko) 화상 형성 장치
JP2006258909A (ja) 位置決め機構
JP2000172086A (ja) 転写ベルトユニット
US8706003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process unit provided with handle
JP5883832B2 (ja) 画像形成装置
US20230297000A1 (en) Movable memb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JP6210693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6209095A (ja) 画像形成装置
JP5559922B2 (ja) ユニット集合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4650185B2 (ja) 画像形成装置
JP6858341B2 (ja) 画像形成装置
US11809127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having improved mountability of a cartridge while conserving space
JP2014157381A (ja) ユニット集合体及び画像形成装置
JP6226562B2 (ja) 画像形成装置及びカートリッジ押込み機構
US1169334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6558958B2 (ja) 画像形成装置
JP6222556B2 (ja) 画像記録シート除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画像形成装置
JP2005195724A (ja) 画像形成装置
JP424362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9069466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7

Year of fee payment: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