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91205A - 스크롤형 유체기계 - Google Patents

스크롤형 유체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91205A
KR20070091205A KR1020077016611A KR20077016611A KR20070091205A KR 20070091205 A KR20070091205 A KR 20070091205A KR 1020077016611 A KR1020077016611 A KR 1020077016611A KR 20077016611 A KR20077016611 A KR 20077016611A KR 20070091205 A KR20070091205 A KR 200700912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oll
slide groove
pin shaft
shaft portion
w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5049B1 (ko
Inventor
다까시 우에까와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912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12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50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MACHINES OR ENGINES
    • F01C17/00Arrangements for drive of co-operating members, e.g. for rotary piston and ca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15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where only one member is mov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 F04C18/0207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arcuate-engagement type, i.e. with circular translatory movement of co-operating members, each member having the same number of teeth or tooth-equivalents both members having co-operating elements in spiral form
    • F04C18/0246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or their base, e.g. geometry
    • F04C18/0269Details concerning the involute w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0042Driving elements, brakes, coupling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pum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18Mechanical movements
    • Y10T74/18544Rotary to gyrator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tary Pumps (AREA)

Abstract

고정스크롤(60)에는, 원주형의 핀축부(70)가 장착된다. 한편, 가동스크롤(50)에는, 그 반지름방향으로 이어지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가동스크롤(50)의 슬라이드홈(80)에는, 고정스크롤(60)의 핀축부(70)가 끼워진다. 가동스크롤(50)이 공전운동 할 때에는, 핀축부(70)가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스크롤, 유체기계, 자전운동, 핀 축, 슬라이드 홈

Description

스크롤형 유체기계{SCROLL FLUID MACHINE}
본 발명은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스크롤형 유체기계는 공조기에 설치되는 압축기 등으로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고정스크롤과 가동스크롤 각각에 나선형의 랩이 형성되며, 고정측과 가동측의 랩이 서로 맞물려 유체실을 형성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예를 들어 가동스크롤이 공전운동을 하며, 이에 따라 유체실의 용적이 변화한다. 예를 들어 압축기를 구성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는, 폐쇄상태로 된 유체실의 용적을 감쇄시켜감으로써, 유체실 내의 유체를 압축한다.
상기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는 기구로는, 예를 들어 일특개 2004-19545호 공보(특허문헌 1)에 개시된 바와 같이, 올덤링 기구가 널리 채용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올덤링 기구를 채용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가동스크롤이 올덤링(Oldham's coupling)을 개재하고 하우징 상에 탑재된다. 하우징은 고정스크롤과 함께 고정된다. 올덤링에는 2 쌍의 키가 돌출 형성된다. 즉 올덤링에는 합계 4개 키가 형성된다. 이 올덤링은 2개 키가 하우징에 형성된 키홈에 맞물리 며, 나머지 2개 키가 가동스크롤에 형성된 키홈에 맞물린다. 그리고 올덤링의 각 키가 키홈을 따라 미끄러지고, 이로써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규제된다.
[발명의 개시]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전술한 바와 같이 올덤링에는 4개 키가 형성되며, 이들 4개 키가 각각 대응하는 키홈에 맞물린다. 가동스크롤의 공전운동 중에 이들 4개 키는, 각각이 키홈의 측벽에 밀어붙여진 상태로 미끄러진다. 즉 올덤링의 각 키는, 키홈이 형성된 가동스크롤이나 하우징과 미끄럼운동 한다. 이 때문에,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올덤링 기구를 채용한 경우에 올덤링의 4개 키가 가동스크롤이나 하우징과 미끄럼운동 하게 되어, 습동손실이 비교적 커진다는 문제가 있다.
또 올덤링의 크기는, 가동스크롤보다 약간 작은 정도인 경우가 많다. 그리고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운전 중에는, 이와 같은 비교적 큰 올덤링이 가동스크롤의 공전운동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때문에 올덤링의 주변에 윤활유가 저류되어 있으면, 올덤링이 이 윤활유를 교반함에 기인하는 손실이 비교적 커질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있어서 손실의 저감, 특히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기구에 기인하는 손실을 저감하는 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제 1 및 제 2 발명은, 선회스크롤(50)과, 이 선회스크롤(50)에 맞물리는 회전샤프트(20)와, 적어도 비선회스크롤(60)로 이루어지는 비선회부재(69)를 구비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이 상기 회전샤프트(2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제 1 발명은, 상기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회전샤프트(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또 제 2 발명은, 상기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편심부(22, 23)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비선회부재(69)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제 3 및 제 4 발명은, 선회스크롤(50)과, 비선회스크롤(60)과, 회전샤프트(20)와,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에는 그 회전샤프트에 대해 편심된 편심부(22, 23)가 형성되고, 이 편심부(22, 23)에 맞물리는 상기 선회스크롤(50)이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샤프트를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제 3 발명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및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며,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회전샤프트(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또 제 4 발명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및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며, 상기 선회스크롤(60)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고,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편심부(22, 23)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 중 한쪽 또는 양쪽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제 5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편심부(22, 23)의 축심 양쪽에 직교한다.
제 6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편심부(22, 23)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다.
제 7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핀축부(70)의 축심과 회전샤프트(20)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것이다.
제 8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핀축부(70)의 축심과 회전샤프트(30)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다.
제 9 발명은 상기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3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된다.
제 10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표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다.
제 11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으로 구성된다.
제 12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다.
제 13 발명은 상기 제 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각각에 형성된다.
제 14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비선회부재(69)에 고정되며, 상기 핀축부(70)의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이 원호면으로 구성된다.
제 15 발명은 상기 제 1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보다 상기 회전샤프트(20)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자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 16 발명은 상기 제 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상기 선회랩(52) 쪽 끝단부부터 이 선회랩(52)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길다.
제 17 발명은 상기 제 15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비선회부재(69)로서의 비선회스크롤(60)에 고정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선회랩(52) 쪽 표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상기 선회랩(52) 쪽 끝단부부터 이 선회랩(52)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길다.
제 18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선회스크롤(50)에 고정되며, 상기 핀축부(70)의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이 원호면으로 구성된다.
제 19 발명은 상기 제 18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보다 상기 회전샤프트(20)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절단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제 20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비선회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21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선회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22 발명은 상기 제 20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된다.
제 23 발명은 상기 제 2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된다.
제 24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된다.
제 25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비선회부재(69)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26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선회스크롤(50)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27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비선회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된다.
제 28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선회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된다.
제 29 발명은 상기 제 25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제 30 발명은 상기 제 26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제 31 발명은 상기 제 27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제 32 발명은 상기 제 28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제 33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상기 선회랩(52)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제 34 발명은 상기 제 1 또는 제 3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는, 상기 선회랩(52)의 신장방향을 따라 이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부터 더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제 35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상기 선회랩(52)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제 36 발명은 상기 제 2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는, 상기 선회랩(52)의 신장방향을 따라 이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부터 더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상기 핀축부(70)가 형성된다.
제 37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일정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한다.
제 38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일정하다.
제 39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한다.
제 40 발명은 상기 제 1, 제 2, 제 3 또는 제 4 발명에 있어서,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이,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비선회랩(63)의 외주 쪽 끝단부는 상기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까지 신장된다.
제 41 및 제 42 발명은, 가동스크롤(50)과, 이 가동스크롤(50)에 그 편심 핀(22)이 맞물리는 크랭크(20)와, 적어도 고정스크롤(60)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부재(69)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스크롤(50)이 상기 크랭크(2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제 41 발명은,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크랭크(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가동스크롤(50)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또 제 42 발명은, 상기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편심 핀(22)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측 부재(69)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제 43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편심핀(22)의 축심 양쪽과 직교한다.
제 44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편심핀(22)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다.
제 45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크랭크(20)의 축심 양쪽에 직교한다.
제 46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크랭크(20)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이 된다.
제 47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고정스크롤(60)과 함께 상기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고정스크롤(60)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된다.
제 48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표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으로 구성된다.
제 49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으로 구성된다.
제 50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고정스크롤(60)과 함께 상기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고정스크롤(6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된다.
제 51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고정스크롤(60)과 함께 상기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고정스크롤(60) 각각에 형성된다.
제 52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고정된다.
제 53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원주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동스크롤(50)에 고정된다.
제 54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55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가동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56 발명은 상기 제 54 또는 제 55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된다.
제 57 발명은 상기 제 41 또는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된다.
제 58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59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가동스크롤(50)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제 60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된다.
제 61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가동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된다.
제 62 발명은 상기 제 58, 제 59, 제 60 또는 제 6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제 63 발명은 상기 제 41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상기 가동측 랩(52)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제 64 발명은 상기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상기 가동측 랩(52)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제 65 발명은 상기 제 41 또는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일정하며, 상기 고정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한다.
제 66 발명은 상기 제 41 또는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고정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일정하다.
제 67 발명은 상기 제 41 또는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고정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한다.
제 68 발명은 상기 제 41 또는 제 42 발명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60)에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이, 상기 가동스크롤(50)에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측 랩(63)의 외주 쪽 끝단부는 상기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까지 신장된다.
-작용-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각 발명에서는, 회전샤프트(20)에 선회스크롤(50)이 맞물린다. 회전샤프트(20)가 회전하면, 선회스크롤(50)이 회전샤프트(2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은, 회전샤프트(20)의 편심부(22, 23) 편심량, 즉 회전샤프트(20)의 축심과 편심부(22, 23) 축심과의 거리와 동등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 1 및 제 2 각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적어도 비선회스크롤(60)이 비선회부재(69)로서 구성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다른 부재가 비선회부재(69)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또 상기 제 3 및 제 4 각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비선회스크롤(60) 및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로서 구성된다.
상기 제 1 발명에서는, 비선회부재(69)에 핀축부(70)가 장착되며, 이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선회스크롤(50)에 형성된다. 또 상기 제 3 발명에서는,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핀축부(70)가 장착되며, 이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선회스크롤(50)에 형성된다.
이들 제 1 및 제 3 각 발명의 비선회부재(69)에서 핀축부(70)는, 그 축심부터 상기 회전샤프트(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선회스크롤(50)은, 거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이 핀축부(70)와 맞물린 상태로 공전운동 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하며,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선회스크롤(50)이 핀축부(70)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 핀축부(70)가 선회스크롤(50)을 안내함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단, 이들 발명에서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완전하게 금지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허용된다.
상기 제 2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에 핀축부(70)가 장착되며, 이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비선회부재(69)에 형성된다. 또 상기 제 4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에 핀축부(70)가 장착되며, 이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 중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된다.
이들 제 2 및 제 4 각 발명의 선회스크롤(50)에서 핀축부(70)는, 그 축심부터 상기 편심부(22, 23)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선회스크롤(50)은, 거기에 형성된 핀축부(70)가 슬라이드홈(80)과 맞물린 상태로 공전운동 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하며, 선회스크롤(50)에 형성된 핀축부(70)가 슬라이드홈(80)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핀축부(70)를 구비하는 선회스크롤(50)이 슬라이드홈(8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단, 이 발명에서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완전하게 금지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허용된다.
상기 제 5 및 제 6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80)이 직선형이다.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은 평면형상이며, 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5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핀축부(70)의 축심과 편심부(22, 23)의 축심 양쪽과 직교한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편심부(22, 23)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0°로 된다.
한편, 상기 제 6 발명에서는 핀축부(70)의 축심과 편심부(22, 23)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예각을 이룬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편심부(22, 23)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으로 된다.
상기 제 7 및 제 8 발명에서는, 비선회부재(69)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80)이 직선형이다.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은 평면형상이며, 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7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핀축부(70)의 축심과 회전샤프트(20)의 축심 양쪽과 직교한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회전샤프트(20)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0°로 된다.
한편, 상기 제 8 발명에서는 핀축부(70)의 축심과 회전샤프트(20)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예각을 이룬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회전샤프트(20)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이 된다.
상기 제 9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로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 구성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한다. 핀축부(70)는 하우징부재(45)와 비선회스크롤(60)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된다. 즉 핀축부(70)는 하우징부재(45)에만 장착되어도 되며, 비선회스크롤(60)에만 장착되어도 된다. 또 핀축부(70)는, 그 한끝이 하우징부재(45)에, 다른 끝이 비선회스크롤(60)에 각각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핀축부(70)는, 하우징부재(45)와 비선회스크롤(60)의 대향위치에 1개씩 장착되어도 된다.
상기 제 10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표면에 개구된다. 즉, 슬라이드홈(80)은 선회랩(52)이 수직 설치된 전면(前面) 또는 선회랩(52)과 반대쪽의 배면에 개구한 유저형 홈이다.
상기 제 11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슬라이드홈(80)은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홈이다. 즉, 이 슬라이드홈(80)은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일부를 잘라 형성된 홈이다.
상기 제 12 및 제 13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로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 구성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한다. 상기 제 12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와 비선회스크롤(60) 중 어느 한쪽에만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13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와 비선회스크롤(60) 각각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상기 제 14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핀축부(70)가 비선회부재(69)에 고정된다. 즉 핀축부(70)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비선회부재(69)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된다. 기둥형의 핀축부(70)에서는, 그 측면 중,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러지는 부분(즉, 습동면(95))이 원호면이 된다. 그리고 이 원호면인 습동면(95)이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상기 제 15 발명에서 핀축부는, 그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 이 핀축부(70)는,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보다 상기 회전샤프트(20) 쪽 부분, 즉 습동면(95)보다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의 중심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16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를 관통한다. 또 상기 제 17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이 오목홈 형상이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선회랩(52) 쪽 표면에 형성된다. 즉, 이들 발명의 선회스크롤(50)에서는,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선회랩(52) 쪽 표면에 슬라이드홈(80)이 개구된다. 또한 이들 발명에서 슬라이드홈(80)의 선회랩(52) 쪽 끝단부는, 그 위치가 선회랩(52) 외측면부터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떨어진 위치에 있다.
상기 제 18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핀축부(70)가 선회스크롤(50)에 고정된다. 즉 핀축부(70)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선회스크롤(5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된다. 기둥형의 핀축부(70)에서는, 그 측면 중,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러지는 부분(즉, 습동면(95))이 원호면이 된다. 그리고 이 원호면인 습동면(95)이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상기 제 19 발명에 있어서 핀축부(70)는, 그 일부가 절단된 형상으로 된다. 구체적으로 이 핀축부(70)는,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보다 회전샤프트(20) 쪽 부분, 즉 습동면(95)보다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의 중심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절단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제 20 발명에서는,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된 핀축부(70)가 이 비선회부재(6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제 21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된 핀축부(70)가 이 선회스크롤(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이들 발명에서 핀축부(70)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할 때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22 및 제 23 발명에서는, 핀축부(70)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핀축부(70)의 습동면(72)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함과 동시에, 핀축부(70)가 회전한다.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은 핀축부(70)의 습동면(72)에 작용한다.
상기 제 24에서 제 28까지의 각 발명에서는, 핀축부(70)가 본체부재(73)와 부시부재(74)로 구성된다. 이 핀축부(70)에서는, 본체부재(73)가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이 본체부재(73)에 부시부재(74)가 장착된다.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는,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가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24 발명에서, 핀축부(70)의 장착대상이 되는 부재로서, 본체부재(73)가 장착된다. 즉, 핀축부(70)를 비선회부재(69)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본체부재(73)가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되며, 핀축부(70)를 선회스크롤(50)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본체부재(73)가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된다.
상기 제 25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비선회부재(69)에 고정된다. 즉 본체부재(73)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비선회부재(69)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 26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선회스크롤(50)에 고정된다. 즉 본체부재(73)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선회스크롤(5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된다. 이들 제 25 및 제 26 발명에서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부시부재(74)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제 27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된다. 이 본체부재(73)는, 비선회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상기 제 28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된다. 이 본체부재(73)는, 선회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들 제 27 및 제 28 발명에서,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에 고정된다. 즉 부시부재(74)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본체부재(73)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된다. 본체부재(73)에 고정된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와 함께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상기 제 29, 제 30, 제 31, 및 제 32 발명에서는, 부시부재(74)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은,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에 작용한다.
상기 제 33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슬라이드홈(80)은,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선회스크롤(5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이,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된 핀축부(70)와 맞물린다.
상기 제 34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슬라이드홈(80)은,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보다 더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5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핀축부(70)가 장착된다.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핀축부(70)는,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된 핀축부(70)가, 비선회부재(69)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다.
상기 제 36 발명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핀축부(70)가 장착된다.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핀축부(70)는,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보다 더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 37 발명에서,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일정하다. 즉 선회랩(52)의 형상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비선회랩(63)은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이다.
상기 제 38 발명에서,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일정하다. 즉 비선회랩(63)의 형상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선회랩(52)은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이다.
상기 제 39 발명에서, 선회랩(52)은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비선회랩(63)도,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40 발명에서는, 비선회랩(63)의 외주 쪽 끝단부가,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까지 신장된다. 즉,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까지의 길이는, 비선회랩(63)이 선회랩(52)보다 길다. 여기서,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선회랩(52)의 내주 쪽과 외주 쪽에 유체실(41)이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비선회랩(63)이 선회랩(52)보다 길게 구성되며, 각 유체실(41)의 최대용적은, 선회랩(52)의 외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2)이 그 내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3)보다 크다.
상기 제 41 및 제 42 발명에서는, 크랭크(20)의 편심 핀(22)에 가동스크롤(50)이 맞물린다. 크랭크(20)가 회전하면, 가동스크롤(50)이 크랭크(2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은, 크랭크(20)에서의 편심 핀(22)의 편심량, 즉 크랭크(20)의 축심과 편심 핀(22) 축심과의 거리와 동등해진다. 또 이들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적어도 고정스크롤(60)이 고정측 부재(69)로서 구성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는, 고정스크롤(60)과 함께 다른 부재가 고정측 부재(69)로서 구성되어도 된다.
상기 제 41 발명에서는, 고정측 부재(69)에 핀축부(70)가 장착되며, 이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가동스크롤(50)에 형성된다. 고정측 부재(69)에서 핀축부(70)는, 그 축심부터 상기 크랭크(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은, 거기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이 핀축부(70)와 맞물린 상태로 공전운동 한다.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하며,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가동스크롤(50)이 핀축부(70)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 핀축부(70)가 가동스크롤(50)을 안내함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단, 이 발명에서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완전하게 금지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허용된다.
상기 제 42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에 핀축부(70)가 장착되며, 이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고정측 부재(69)에 형성된다.가동스크롤(50)에서 핀축부(70)는, 그 축심부터 상기 편심 핀(22, 23)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되도록 배치된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은, 거기에 형성된 핀축부(70)가 슬라이드홈(80)과 맞물린 상태로 공전운동 한다.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하며, 가동스크롤(50)에 형성된 핀축부(70)가 슬라이드홈(80)에 의해 안내된다. 그리고 핀축부(70)를 구비하는 가동스크롤(50)이 슬라이드홈(8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단, 이 발명에서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완전하게 금지되는 것은 아니며, 어느 정도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은 허용된다.
상기 제 43 및 제 44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80)이 직선형이다.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은 평면형상이며, 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43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핀축부(70)의 축심과 편심 핀(22)의 축심 양쪽과 직교한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편심부(22, 23)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0°로 된다.
한편, 상기 제 44 발명에서는 핀축부(70)의 축심과 편심 핀(22)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예각을 이룬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편심 핀(22)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이다.
상기 제 45 및 제 46 발명에서는, 고정측 부재(69)에 형성되는 슬라이드홈(80)이 직선형이다.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은 평면형상이며, 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45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핀축부(70)의 축심과 크랭크(20)의 축심 양쪽과 직교한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크랭크(20)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0°이다.
한편, 상기 제 46 발명에서는 핀축부(70)의 축심과 크랭크(20)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예각을 이룬다. 즉, 이 발명에서는 핀축부(70) 및 크랭크(20)의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이다.
상기 제 47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가 고정측 부재(69)로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 구성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가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한다. 핀축부(70)는 하우징부재(45)와 고정스크롤(60)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된다. 즉 핀축부(70)는 하우징부재(45)에만 장착되어도 되며, 고정스크롤(60)에만 장착되어도 된다. 또 핀축부(70)는, 그 한끝이 하우징부재(45)에, 다른 끝이 고정스크롤(60)에 각각 장착되어도 된다. 또한 핀축부(70)는, 하우징부재(45)와 고정스크롤(60)의 대향위치에 1개씩 장착되어도 된다.
상기 제 48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표면에 개구된다. 즉,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랩(52)이 수직 설치된 전면 또는 가동측 랩(52)과는 반대쪽 배면에 개구한 유저형 홈이다.
상기 제 49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 홈으로 형성된다. 즉, 이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일부를 절단하여 형성된 홈이다.
상기 제 50 및 제 51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가 고정측 부재(69)로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 구성된다. 이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가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한다. 상기 제 50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와 고정측 스크롤(60) 중 어느 한쪽에만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 51 발명에서는, 하우징부재(45)와 고정스크롤(60) 각각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상기 제 52 발명에서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핀축부(70)가 고정측부재(69)에 고정된다. 즉 핀축부(70)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측 부재(69)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된다. 또 상기 제 53 발명에서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핀축부(70)가 가동스크롤(50)에 고정된다. 즉 핀축부(70)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가동스크롤(5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된다. 그리고 이들 발명에서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핀축부(70)의 측면, 즉 곡면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54 발명에서는,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된 핀축부(70)가, 이 고정측 부재(69)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또 상기 제 55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된 핀축부(70)가, 이 가동스크롤(50)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이들 발명에서 핀축부(70)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할 때에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 56 발명에서는, 핀축부(70)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된다.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핀축부(70)의 습동면(72)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함과 동시에, 핀축부(70)가 회전한다.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은 핀축부(70)의 습동면(72)에 작용한다.
상기 제 57에서 제 61까지의 각 발명에서는, 핀축부(70)가 본체부재(73)와 부시부재(74)로 구성된다. 이 핀축부(70)에서는, 본체부재(73)가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이 본체부재(73)에 부시부재(74)가 장착된다.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는,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가 미끄럼운동 한다.
상기 제 57 발명에서, 핀축부(70)의 장착대상이 되는 부재로서, 본체부재(73)가 장착된다. 즉, 핀축부(70)를 고정측 부재(69)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본체부재(73)가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되며, 핀축부(70)를 가동스크롤(50)에 장착하는 구성에서는 본체부재(73)가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된다.
상기 제 58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고정측 부재(69)에 고정된다. 즉 본체부재(73)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측 부재(69)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된다. 한편, 상기 제 59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가동스크롤(50)에 고정된다. 즉, 본체부재(73)는 가동스크롤(50)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된다. 이들 제 58 및 제 59 발명에서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있어서, 부시부재(74)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함과 동시에, 회전 가능한 상태로 된다.
상기 제 60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된다. 이 본체부재(73)는 고정측 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상기 제 61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가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된다. 이 본체부재(73)는 가동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이들 제 60 및 제 61 발명에서,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에 고정된다. 즉 부시부재(74)는, 예를 들어 눌러 넣는 등의 방법에 의해, 본체부재(73)에 대한 상대적 이동이 금지된 상태에서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된다. 본체부재(73)에 고정된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와 함께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상기 제 62 발명에서는, 부시부재(74)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된다.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은 부시부재(77)의 습동면(75)에 작용한다.
상기 제 63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스크롤(5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이,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된 핀축부(70)와 맞물린다.
상기 제 64 발명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핀축부(70)가 장착된다.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핀축부(70)는,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부근에 배치된다. 그리고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된 핀축부(70)가, 고정측 부재(69)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다.
상기 제 65 발명에서,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일정하다. 즉 가동측 랩(52)의 형상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고정측 랩(63)은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이다.
상기 제 66 발명에서,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일정하다. 즉 고정측 랩(63)의 형상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형상과 마찬가지이다. 한편, 가동측 랩(52)은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이다.
상기 제 67 발명에서, 가동측 랩(52)은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또 고정측 랩(63)도,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그 두께가 점점 증감을 반복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 68 발명에서는, 고정측 랩(63)의 외주 쪽 끝단부가,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까지 신장된다. 즉,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까지의 길이는, 고정측 랩(63)이 가동측 랩(52)보다 길다. 여기서,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는 일반적으로, 가동측 랩(52)의 내주 쪽과 외주 쪽에 유체실(41)이 쌍을 이루어 형성된다. 이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고정측 랩(63)이 가동측 랩(52)보다 길게 구성되며, 각 유체실(41)의 최대용적은,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2)이 그 내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3)보다 크다.
[발명의 효과]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각 발명에서는, 핀축부(70)와 슬라이드홈(80) 측면을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한다. 즉, 슬라이드홈(80)을 따라 핀축부(70)가 상대적으로 미끄러진다는 비교적 단순한 기구에 의해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인 올덤링 기구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한 습동부분을 삭감할 수 있으며, 부재 상호간의 미끄럼운동에 따른 마찰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발명에 의하면,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 있어서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1 내지 제 4의 각 발명에서는, 핀축부(70)와 슬라이드홈(80) 측면을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므로,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올덤링과 같은 비교적 대형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종래에는 비교적 커다란 올덤링이 이동할 때에 윤활유를 교반함으로도 동력손실이 발생한데 반해, 이들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부재가 윤활유를 교반함에 기인하는 손실도 저감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14 내지 제 18 발명에서는, 기둥형으로 형성한 핀축부(70)에 원호면으로 이루어지는 습동면(95)을 형성하며, 이 습동면(95)을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한다. 따라서 단독부재로 구성된 핀축부(70)를 슬라이드홈(80)과 결합시킴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으며,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제 15 및 제 19 발명에서 핀축부(70)는, 습동면(95)보다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의 중심 쪽에 위치하는 부분이 절단된 형상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핀축부(70)의 습동면(95)과 슬라이드홈(80) 벽면이 미끄럼운동 할 때의 윤활조건은, 핀축부(70)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엄격해진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하여 시저(seizure) 등의 고장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핀축부(70)에서의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핀축부(70) 전체를 굵게 하여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면,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의 랩 등이 핀축부(70)와 간섭되어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제 15 및 제 19 발명의 핀축부(70) 형상은, 핀축부(70) 중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의 중심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절단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에서는, 그 중앙 쪽에 랩 등이 형성된다. 이로써, 이들 발명에 의하면 선회스크롤(50)이나 비선회스크롤(60)의 랩 등이 핀축부(70)와 간섭하는 것을 회피한 상태에서, 핀축부(70)에서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여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상기 제 16 및 제 17 발명에서는,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선회랩(52) 쪽 표면에 슬라이드홈(80)이 개구된다. 또 이들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선회랩(52) 쪽 끝단부부터 선회랩(52) 외측면까지의 거리가,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길게 구성된다.
여기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선회스크롤(50)과 비선회스크롤(60)의 랩끼리 서로 맞물려 유체실(41)을 형성한다. 그리고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비선회스크롤(60)의 랩 내주면이 슬라이드홈(80)에 달하면, 유체실(41)이 슬라이드홈(80)과 연통되어 유체실(41) 내의 유체가 슬라이드홈(80)으로 누출되어버린다.
이에 반해 상기 제 16 및 제 17 발명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선회랩(52) 쪽 끝단부가, 선회랩(52) 외측면부터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떨어져있다. 이로써, 이들 발명에서는 선회랩(52)의 공전운동 중에 있어서, 비선회스크롤(60)의 랩 내주면이 슬라이드홈(80)의 선회랩(52) 쪽 끝단부보다 바깥쪽에 도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이들 발명에 의하면, 유체실(41)로부터 슬라이드홈(80)으로의 유체 누설을 방지할 수 있어,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효율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상기 제 22 및 제 23 발명에서는, 회전 가능한 핀축부(70)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되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이 핀축부(70)의 습동면(72)에 작용한다. 이로써,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핀축부(70)의 습동면(72)이나 슬라이드홈(80) 측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핀축부(70)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핀축부(70)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나 마찰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24에서 제 28까지의 각 발명에서는, 본체부재(73)와는 별개의 부시부재(74)를 슬라이드홈(80) 측면과 미끄럼운동 시킨다. 따라서 이들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재(73)와 부시부재(74)를 다른 재질로 구성하기가 가능해지며, 습동성능이나 윤활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부시부재(74)를 구성함으로써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29, 제 30, 제 31, 및 제 32 발명에서는, 부시부재(74)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에 작용한다. 이로써,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나 슬라이드홈(80) 측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부시부재(74)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나 마찰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37 발명에서 선회랩(52)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형상과 마찬가지 형상이다. 이로써, 종래부터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가동스크롤을 유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38 발명에서 비선회랩(63)은,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형상과 마찬가지 형상이다. 이로써, 종래부터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가동스크롤을 유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39 발명에서는, 선회랩(52)과 비선회랩(63)이 모두 각각의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점 증감하는 형상이다. 이로써, 선회랩(52)과 비선회랩(63) 각각에 대해, 두께의 변동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두께의 변화에 기인하는 선회랩(52)이나 비선회랩(63)의 강성(剛性)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선회랩(52)이나 비선회랩(63)의 변형에 기인하는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여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40 발명에서는, 선회랩(52)의 내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3)과 그 외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2)에 대해, 각각의 최대용적이 상이하다. 한편, 이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공전운동 중에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허용되면, 각 유체실(42, 43)의 최대용적은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된 경우와 다른 값이 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선회랩(52)과 비선회랩(63)의 길이가 다른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선회랩(52)의 내주 쪽과 외주 쪽에 형성되는 각 유체실(42, 43)의 최대용적 차를 삭감할 수 있다.
상기 제 41 및 제 42의 각 발명에서는, 핀축부(70)와 슬라이드홈(80) 측면을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한다. 즉, 슬라이드홈(80)을 따라 핀축부(70)가 상대적으로 미끄러진다는 비교적 단순한 기구에 의해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인 올덤링 기구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한 습동부분을 삭감할 수 있으며, 부재 상호간의 미끄럼운동에 따른 마찰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이들 발명에 의하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손실을 저감할 수 있으며,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 있어서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상기 제 41 및 제 42의 각 발명에서는, 핀축부(70)와 슬라이드홈(80) 측면을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규제하기 위한 올덤링과 같은 비교적 대형의 부재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이로써, 종래에는 비교적 커다란 올덤링이 이동할 때에 윤활유를 교반함으로도 동력손실이 발생한데 반해, 이들 발명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부재가 윤활유를 교반함에 기인하는 손실도 저감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56 발명에서는, 회전 가능한 핀축부(70)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이 핀축부(70)의 습동면(72)에 작용한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핀축부(70)의 습동면(72)이나 슬라이드홈(80) 측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핀축부(70)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핀축부(70)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나 마찰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57에서 제 61까지의 각 발명에서는, 본체부재(73)와는 별개의 부시부재(74)를 슬라이드홈(80) 측면과 미끄럼운동 시킨다. 따라서 이들 발명에 의하면, 본체부재(73)와 부시부재(74)를 다른 재질로 구성하기가 가능해지며, 습동성능이나 윤활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부시부재(74)를 구성함으로써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제 62 발명에서는, 부시부재(74)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에 작용한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나 슬라이드홈(80) 측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부시부재(74)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나 마찰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65 발명에서 가동측 랩(52)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것과 마찬가지 형상이다. 이로써, 종래부터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가동스크롤을 유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66 발명에서 고정측 랩(63)은,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것과 마찬가지 형상이다. 이로써, 종래부터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가동스크롤을 유용할 수 있어,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상기 제 67 발명에서는,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이 모두 각각의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점 증감하는 형상이다. 이로써,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 각각에 대해, 두께의 변동폭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두께의 변화에 기인하는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랩(63)의 강성 저하를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랩(63)의 변형에 기인하는 유체의 누출을 억제하여 스크롤형 유체기계(10)의 효율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제 68 발명에서는, 가동측 랩(52)의 내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3)과 그 외주 쪽에 형성되는 유체실(42)에 대해, 각각의 최대용적이 상이하다. 한편, 이 발명의 스크롤형 유체기계(10)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공전운동 중에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허용되면, 각 유체실(42, 43)의 최대용적은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된 경우와 다른 값이 된다. 따라서 이 발명에 의하면, 가동측랩(52)과 고정측랩(63)의 길이가 다른 구성을 채용한 경우에, 가동측 랩(52)의 내주 쪽과 외주 쪽에 형성되는 각 유체실(42, 43)의 최대용적 차를 삭감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형태의 스코롤압축기 종단면도.
도 2는 제 1 실시형태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제 1 실시형태의 고정스크롤,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4는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구 개략구성도.
도 5는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구 횡단면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6은 제 1 실시형태의 가동스크롤 움직임을 나타낸 압축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7의 (A)는 제 1 실시형태의 압축기구 개략구성도이며, (B)는 종래 스크롤압축기의 개략구성도.
도 8은 제 1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9는 제 1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의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10은 제 1 실시형태 제 3 변형예의 고정스크롤,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11은 제 1 실시형태 제 4 변형예의 압축기구 개략구성도.
도 12는 제 2 실시형태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13은 제 2 실시형태의 압축기구 개략구성도.
도 14는 제 2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의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15는 제 2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의 고정스크롤,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16은 제 2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의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17은 제 2 실시형태 제 3 변형예의 압축기구 개략구성도.
도 18은 제 3 실시형태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19는 제 3 실시형태의 가동스크롤 움직임을 나타낸 압축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20은 제 3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의 가동스크롤 및 하우징을 비스듬히 위쪽에서 본 사시도.
도 21은 제 4 실시형태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22는 제 4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23은 제 5 실시형태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24는 제 5 실시형태의 핀 부재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25는 제 5 실시형태의 압축기구 주요부 확대도.
도 26은 제 5 실시형태의 압축기구 주요부 확대도.
도 27은 제 5 실시형태의 가동스크롤 움직임을 나타낸 압축기구의 개략구성도.
도 28은 핀 부재의 지름이 10㎜인 경우와 20㎜인 경우의 헬츠압력 및 EHL유막 두께의 시산값을 나타낸 표.
도 29는 제 5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의 고정스크롤 및 가동스크롤을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0은 기타 실시형태 제 1 변형예의 압축기구 횡단면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31은 기타 실시형태 제 2 변형예의 압축기구 횡단면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32는 기타 실시형태 제 3 변형예의 압축기구 횡단면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33은 기타 실시형태 제 4 변형예의 압축기구 횡단면을 나타낸 주요부 단면도.
도 34는 기타 실시형태 제 5 변형예의 스크롤압축기 종단면도.
[부호의 설명]
10 : 스크롤압축기(스크롤형 유체기계)
20 : 구동축(회전샤프트, 크랭크) 22 : 편심축부(편심부, 편심 핀)
23 : 편심원통부(편심부) 45 : 하우징(하우징부재)
48 : 하단부(베어링) 50 : 가동스크롤(선회스크롤)
51 :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선회 엔드플레이트부)
52 : 가동측 랩(선회랩) 60 : 고정스크롤(비선회스크롤)
63 : 고정측 랩(비선회랩) 69 : 고정측 부재
70 : 핀축부 71 : 주상핀
72, 75, 95 : 습동면 73 : 본체부재
74 : 부시부재 80 : 슬라이드홈
90 : 핀부재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1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는,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로 구성된다. 이 스크롤압축기(10)는 냉동장치의 냉매회로에 배치되며, 가스냉매를 압축하기 위해 이용된다.
<스크롤압축기의 전체구성>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크롤압축기(10)는, 이른바 전(全)밀폐형으로 구성된다. 이 스크롤압축기(10)는, 세로로 긴 원통형의 밀폐용기형으로 형성된 케이싱(11)을 구비한다. 케이싱(11)의 내부에는, 밑부터 위를 향해 차례로, 하부 베어링부재(30)와, 전동기(35)와, 압축기구(40)가 배치된다. 또 케이싱(11)의 내부에는 상하로 이어지는 구동축(20)이 설치된다.
케이싱(11)의 상부에는 흡입관(12)이 장착된다. 이 흡입관(12)은, 그 종단이 압축기구(40)에 접속된다. 케이싱(11)의 몸체부에는 토출관(13)이 장착된다. 이 토출관(13)은, 그 종단이 케이싱(11) 내의 전동기(35)와 압축기구(40) 사이에 개구된다.
구동축(20)은, 주축부(21)와, 편심부인 편심축부(22)를 구비하며, 회전샤프트를 구성한다. 주축부(21)는 그 위쪽 끝단부가 약간 큰 지름으로 형성된다. 이 주축부(21)의 축심이, 회전샤프트의 축심(즉, 회전샤프트의 회전샤프트)이 된다. 편심축부(22)는 주축부(21)보다 지름이 작은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주축부(21)의 위쪽 끝단면에 수직 배치된다. 이 편심축부(22)는 주축부(21)에 대해 편심되며, 편심 핀을 구성한다. 즉 편심축부(22)의 축심은, 주축부(21)의 축심과 평행으로 됨과 더불어, 주축부(21)의 축심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떨어진다. 여기서 구동축(20)은 회전샤프트인 동시에, 크랭크이기도 한다. 또 편심축부(22)는, 편심부인 동시에 편심 핀이기도 한다.
도시하지 않지만, 구동축(2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이어지는 급유통로가 형성된다. 또 주축부(21)의 아래쪽 끝단부에는, 원심펌프가 설치된다. 케이싱(11)의 저부로부터 원심펌프에 의해 퍼 올려진 냉동기유는, 구동축(20) 내의 급유통로를 통해 압축기구(40) 등으로 공급된다.
하부 베어링부재(30)는, 케이싱(11)의 몸체부 하단 부근에 고정된다. 하부 베어링부재(30)의 중심부에는 미끄럼 베어링이 형성되며, 이 미끄럼 베어링은 주축부(21)의 아래쪽 끝단부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한다.
전동기(35)는 고정자(36)와 회전자(37)로 구성된다. 고정자(36)는 케이싱(11)의 몸체부에 고정된다. 회전자는 구동축(20)의 주축부(21)에 고정된다.
압축기구(40)는, 선회스크롤로서의 가동스크롤(50)과, 비선회스크롤로서의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로서의 하우징(45)을 구비한다. 이 압축기구(40)에서는, 고정스크롤(60)의 고정측 랩(63)과, 가동스크롤(50)의 가동측 랩이 맞물림으로써, 유체실인 압축실(41)이 형성된다.
도 2, 도 3에도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0)은, 선회 엔드플레이트부로서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선회랩으로서의 가동측 랩(52)과, 돌출원통부(53)를 구비한다.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는 약간 두꺼운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는, 그 전(前)면(도 1 내지 도 3에서 상면)에 가동측 랩(52)이 돌출 형성되며, 그 배면(도 1 내지 도 3에서 하면)에 돌출원통부(53)가 돌출 형성된다. 또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가동측 랩(52)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상면 쪽에 수직 설치되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가동측 랩(52)은 높이가 일정한 나선형의 벽상태로 형성된다. 가동측 랩(52)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돌출원통부(53)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 거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 돌출원통부(53)에는 구동축(20)의 편심축부(22)가 삽입된다. 즉 가동스크롤(50)에는 구동축(20)의 편심축부(22)가 맞물린다. 구동축(20)이 회전하면, 편심축부(22)와 맞물린 가동스크롤(50)은,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은, 편심축부(22)의 축심과 주축부(21) 축심과의 거리, 즉 편심축부(22)의 편심량과 일치한다.
고정스크롤(60)은 케이싱(11)의 몸체부에 고정된다. 이 고정스크롤(60)은, 비선회 엔드플레이트부로서의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와, 둘레부(62)와, 비선회 랩으로서의 고정측 랩(63)을 구비한다. 또 고정스크롤(60)에는 핀축부(70)가 형성된다. 이 핀축부(7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는 약간 두꺼운 원판형으로 형성된다.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의 중앙부에는 토출구(64)가 형성된다. 이 토출구(64)는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를 관통한다.
둘레부(62)는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의 주연부분부터 아래쪽으로 향해 이어지는 벽형상으로 형성된다. 둘레부(62)는, 그 아래쪽 끝단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또 둘레부(62)는 그 둘레방향의 3개 부분이 바깥쪽으로 돌출된다.
고정측 랩(63)은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의 하면 쪽에 수직 설치되며, 고정측 엔드플레이트부(61)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고정측 랩(63)은 높이가 일정한 나선형의 벽상태로 형성된다. 고정측 랩(63)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하우징(45)은 케이싱(11)의 몸체부에 고정된다. 이 하우징(45)은, 상단(上段)부(46)와 중단(中段)부(47)와 하단(下段)부(48)로 구성된다(도 3 참조). 상단부(46)는 접시형으로 형성된다. 중단부(47)는 상단부(46)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상단부(46)의 하면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하단부(48)는, 중단부(47)보다 작은 지름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중단부(47)의 하면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다. 하단부(48)에는 구동축(20)의 주축부(21)가 삽입 통과되며, 이 하단부(48)가 구동축(20)을 지지하는 미끄럼베어링으로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압축기구(40)에서는,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45)이 케이싱(11)에 고정된다. 즉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45)은 모두 동일 좌표계에 배치된다. 그리고 이 압축기구(40)에서는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45)이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한다. 또 고정스크롤(60) 및 하우징(45)으로 구성된 비선회부재(69)는 고정측 부재이기도 한다.
압축기구(40)에서는,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45)으로 둘러싸인 공간 내에 가동스크롤(50)이 수납된다. 가동스크롤(50)은 하우징(45)의 상단부(46)에 탑재된다.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은, 상단부(46)의 바닥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또 돌출원통부(53)는 하우징(45)의 중단부(47) 안쪽에 위치한다.
<핀축부와 슬라이드홈의 구성>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0)에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며, 고정스크롤(60)에는 핀축부(70)가 구성된다. 압축기구(40)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동시에, 핀축부(70)를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리게 함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규제된다.
우선, 슬라이드홈(80) 및 핀축부(7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기로 한다.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랩(52)의 나성방향을 따라 그 외주 쪽 끝단부보다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 홈(80)은 폭이 일정한 일직선의 오목홈이며, 대략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반지름방향으로 이어진다.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전면(도 2, 도 3에서 상면)만이 아닌,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외주면에도 개구한다. 즉,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관통하지 않는 유저형의 오목홈이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에는 개구되지 않는다.
고정스크롤(60)에서 핀축부(70)는, 둘레부(62)의 하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이 핀축부(70)는, 둘레부(62)의 하면에서 가동스크롤(50)의 슬라이드홈(80)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핀축부(70)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1개의 주상핀(71)으로 구성된다. 주상핀(71)의 바깥지름은 슬라이드홈(80)의 폭보다 약간 작게 형성된다. 주상핀(71)의 기단부(도 2, 도 3에서 위쪽 끝단부)는,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에 매입된다. 구체적으로는, 둘레부(62)에 주상핀(71)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미리 형성되며, 이 구멍에 주상핀(71)이 삽입된다. 즉,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고정스크롤(60)에 고정되며, 고정스크롤(60)에 대한 상대이동이 금지된 상태로 된다. 한편, 주상핀(71)의 돌출단부(도 2, 도 3에서 아래쪽 끝단부)는 가동스크롤(50)의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진다. 즉,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다.
다음으로, 슬라이드홈(80) 및 핀축부(70)의 배치나 형상에 대해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주축부(21), 편심축부(22), 및 주상핀(71)의 각 축심과, 슬라이드홈(80)과의 위치관계를, 주축부(21)의 축심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4에서는 Of가 주축부(21)의 축심위치를, Os가 편심축부(22)의 축심위치를, Op가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축심위치를, L1이 슬라이드홈(80)의 폭방향 중심선을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0)은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도 4에서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은, 선분(OfOs)의 길이로 나타내진다. 또 주상핀(71)과 주축부(21) 축심과의 거리는 선분(OpOf)의 길이로 나타내진다. 그리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분(OpOf)은 선분(OfOs)보다 길다. 즉, 고정스크롤(60)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축심과 주축부(21) 축심과의 거리가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되도록 배치된다.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바깥지름이 슬라이드홈(80)의 폭과 거의 일치한다. 이에 따라, 도 4에서는 주상핀(71)의 축심위치(Op)가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 상을 타게 되며, 주상핀(71)의 축심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직교한다. 또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 상에는 편심축부(22)의 축심위치(Os)가 타며, 편심축부(22)의 축심도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직교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편심축부(22)의 축심과,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한다. 즉, 가동스크롤(50)에서 슬라이드홈(80)은 그 중심선이 편심축부(22)의 축심과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가동측 랩과 고정측 랩의 구성>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에 대해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은 각각이 나선형의 벽상태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이른바 비대칭 나선구조가 채용되며,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의 회전수가 다르다. 구체적으로, 고정측 랩(63)은 가동측 랩(52)보다 약 1/2회전만큼 길게 설정된다. 그리고 고정측 랩(63)의 외주 쪽 끝단부는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위치한다. 여기서 이 고정측 랩(63)은 그 가장 바깥둘레 부분이 둘레부(62)와 일체화된다(도 2 참조).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은 서로 맞물려 복수의 압축실(41)을 형성한다. 이들 복수의 압축실(41)은, 가동측 랩(52)의 외측면(외측 랩면)에 임하는 것이 A실(42)이며, 가동측 랩(52)의 내측면(내측 랩면)에 임하는 것이 B실(43)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고정측 랩(63)의 회전수가 가동측 랩(52)의 회전수보다 많으므로, A실(42)의 최대용적이 B실(43)의 최대용적보다 크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가동스크롤(50)이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와 다르다. 구체적으로는, 올덤링기구 등을 채용하는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에서는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데 반해,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어느 정도 허용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형상을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적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측 랩(52)의 내측면 및 외측면과, 고정측 랩(63)의 내측면 및 외측면, 즉 모든 랩면을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에서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한다. 본 실시형태의 가동측 랩(52)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에서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점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점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고정측 랩(63)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에서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점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점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측 랩(63)은, 그 내측면이 가동측 랩(52) 외측면의 포락면이 되며, 그 외측면이 가동측 랩(52) 내측면의 포락면이 된다.
-운전동작-
우선, 스크롤압축기(10)가 냉매를 압축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는 냉동기의 냉매회로에 설치된다. 그리고 스크롤압축기(10)는 증발기로부터 저압의 가스냉매를 흡입하여 압축하며, 압축 후의 고압 가스냉매를 응축기로 송출한다.
구체적으로, 전동기(35)에서 발생한 회전동력은 구동축(20)에 의해 가동스크 롤(50)로 전달된다. 구동축(20)의 편심축부(22)에 맞물리는 가동스크롤(50)은,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은,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이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림으로써, 그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스크롤압축기(10)로 흡입되는 저압의 가스냉매는, 흡입관(12)을 통해 압축기구(40)로 유입한다. 이 가스냉매는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외주 쪽으로부터 압축실(41)로 흡입된다. 가동스크롤(50)이 공전운동 하면, 이에 따라 폐쇄상태로 된 압축실(41)의 용적이 감소해가, 압축실(41) 내의 가스냉매가 압축되어간다. 그리고 압축되어 고압이 된 가스냉매는 토출구(64)를 통해 압축기구(40)의 상측공간으로 토출된다. 이 압축기구(40)로부터 토출된 가스냉매는, 도면 밖의 통로를 통해 압축기구(40)의 하측공간으로 유입하며, 그 후에 토출관(13)을 통해 케이싱(11)으로부터 토출된다.
다음으로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대해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 설명에서 이용하는 "오른쪽방향"과 "왼쪽방향"은, 각각 도 6에서의 "오른쪽방향"과 "왼쪽방향"을 의미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축심과, 구동축(20)의 축심과, 편심축부(22)의 축심이 차례로 일직선으로 나열된 시점의 구동축(20) 회전각도를 0°로 한다. 그리고 도 6의 (A)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 또는 360°인 상태를, (B)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90°인 상태를, (C)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인 상태를, (D)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270°인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구동축(20)이 왼쪽으로 회전하면, 가동스크롤(50)이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해간다. 그리고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로 된 시점에서는, 주상핀(71)의 축심과 구동축(20) 축심 사이에 편심축부(22)의 축심이 위치한다(도 6의 (C) 참조). 그동안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주상핀(71)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에서 증대함에 따라, 가동스크롤(50)은 왼쪽으로 자전운동 해간다. 그 후 가동스크롤(50)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소정 값에 달하면 오른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그리고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로 된 시점에서, 가동스크롤(50)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인 시점과 마찬가지로, 그 자전운동 각도가 0°로 된다.
구동축(20)이 계속 왼쪽으로 회전하면, 곧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360°로 되어,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인 상태와 마찬가지 상태로 돌아온다(도 6의 (A) 참조). 그동안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주상핀(71)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에서 증대함에 따라, 가동스크롤(50)은 오른쪽으로 자전운동 해간다. 그 후 가동스크롤(50)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소정 값에 달하면, 이번에 왼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그리고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360°로 된 시점에서, 가동스크롤(50)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인 시점과 마찬가지로, 그 자전운동 각도가 0°로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과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을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한다. 즉, 슬라이드홈(80)을 따라 핀축부(70)가 상대적으로 미끄러지는 비교적 단순한 기구에 의해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을 제한한다. 이로써, 예를 들어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는 기구로서 일반적인 올덤링기구를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필요한 습동부분을 삭감할 수 있어, 부재간의 미끄럼운동에 따른 마찰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해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의 (B)는, 올덤링기구를 이용하여 가동스크롤(100)의 자전운동을 규제하는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를 나타낸다. 이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에서, 구동축(103)이 1회전하는 동안에 가동스크롤(100)이나 하우징(101)과 올덤링(102)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손실(WO)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WO=2×(F×μ×4Lor)+2×(F×μ×4Lor)
=2μ(M/LF+M/LR)×4Lor
F : 가동스크롤 쪽의 키홈 반력(反力)
R : 하우징 쪽의 키홈 반력
μ : 올덤링의 키와 키홈의 마찰계수
LF : 가동스크롤에 맞물리는 키 상호간의 거리
LR : 하우징에 맞물리는 키 상호간의 거리
Lor : 구동축에서의 편심부 편심량
M :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 모멘트
LF=LR=LO인 것으로 가정한 경우, 마찰손실(WO)을 나타내는 식은 하기의 식(1)으로 된다.
식(1) … W O =4μ(M/L O )×4L or
한편, 도 7의 (A)는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를 나타낸다. 이 스크롤압축기(10)에서, 구동축(103)이 1회전하는 동안에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과 슬라이드홈(8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손실(WP)은, 다음 식으로 나타내진다.
WP=R`×μ×4Lor
=μ(M/LP)×4Lor
R` : 슬라이드홈이 주상핀에 끼치는 반력
μ : 주상핀과 슬라이드홈의 마찰계수
LP : 주상핀과 편심부의 축심간 거리
Lor : 구동축에서의 편심부 편심량
M :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 모멘트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통상, Lo≒2LP가 될 것으로 생각된 다. 그래서 Lo=2LP인 것으로 가정한 경우, 마찰손실(WP)을 나타내는 식은 하기의 식(2)으로 된다.
식(2) … W P =2μ(M/L O )×4L or
그리고 상기 식(1) 및 식(2)으로부터, WP=1/2×WO로 된다. 즉,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기구 때문에 발생하는 마찰손실은, 올덤링기구를 이용한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의 약 절반이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손실을 대략 반감시킬 수 있으며, 스크롤압축기(10)의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가동스크롤(50)에 형성한 슬라이드홈(80)을 핀축부(70)와 미끄럼운동 시킴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한다. 즉 이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압축기구(40)에서 이동하는 부재가 가동스크롤(50)만며, 올덤링과 같은 비교적 대형인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이로써, 종래의 스크롤압축기에서는 비교적 큰 올덤링이 이동할 때에 윤활유를 교반함으로도 동력손실이 발생한데 반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와 같은 부재에 의한 윤활유의 교반에 기인하는 손실도 저감할 수 있으며, 이 점에서도 스크롤압축기(10)에서의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고정측 랩(63)의 회전수가 가동측 랩(52)의 회전수보다 많은 비대칭 나선구조가 채용되며, A실(42)의 최대용적이 B실(43)의 최대용적보다 크게 구성된다. 한편, 이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지 않는다. 그리고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어느 정도 허용할 경우에는,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완전하게 금지할 경우에 비해, A실(42)의 최대용적을 감소시켜 B실(43)의 최대용적을 증가시키기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른바 비대칭 나선구조를 채용한 경우의 A실(42)과 B실(43)의 최대용적 차를 축소하기가 가능해진다. 그 결과, 가동스크롤(50)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토크의 변동을 억제할 수 있어, 스크롤압축기(10)의 진동을 저감하기가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이 고정스크롤(60)에 장착되므로, 주상핀(71)과 고정측 랩(63)의 위치정밀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의 틈새를 확실하게 관리하여 압축실(41)로부터의 냉매가스 누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스크롤압축기(10)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이 가동측 랩(52)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관통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외주면부터 중심을 향해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 핀(71)이 하우징(45)에 장착되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 슬라이드홈(80)은 도 8에 나타낸 제 1 변형예와 마찬가지로, 가동측 랩(52)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관통한다. 또 이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도 8에서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하우징(45)에서 주상핀(71)은, 상단부(46)의 바닥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주상핀(71)의 기단부(도 9에서 아래쪽 끝단부)는, 상단부(46)의 바닥면에 매입된다. 구체적으로는, 상단부(46)의 바닥면에 주상핀(71)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미리 형성되며, 이 구멍에 주상핀(71)이 삽입된다. 즉,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하우징(45)에 고정되며, 하우징(45)에 대한 상대이동이 금지된 상태로 된다. 한편, 주상핀(71)의 돌출단부(도 9에서 위쪽 끝단부)는 가동스크롤(50)의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이 하우징(45)에 장착되므로, 하우징(45)에 지지되는 주축부(21)의 축심과 주상핀(71)의 위치 정밀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의 틈새를 확실하게 관리하여 압축실(41)로부터의 냉매가스 누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스크롤압축기(10)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축부(70)를 구성하는 1개의 주상핀(71)이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45)의 양쪽에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주상핀(71)은, 도 10에 있어서 위쪽 끝단부가 고정스크롤(60)에 삽입되며, 도 10에 있어서 아래쪽 끝단부가 하우징(45)에 삽입된다. 그리고 주상핀(71)은, 그 축방향(상하방향)의 중앙부가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본 변형예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한끝이 고정스크롤(60)에 지지되며, 다른 끝이 하우징(45)에 지지된다. 이로써 주상핀(71)의 변형량을 저감하기가 가능해져, 주상핀(71)의 변형에 기인하는 주상핀(71)이나 슬라이드홈(80)의 편마모(partial side wear)를 억제할 수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이, 편심축부(22) 축심과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선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어도 된다.
도 11은 도 4에 대응하는 것으로, Of가 주축부(21)의 축심위치를, Os가 편심축부(22)의 축심위치를, Op가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축심위치를, L1이 슬라이드홈(80)의 폭 방향 중심선을 각각 나타낸다. 편심축부(22)의 축심과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선은, 도 11에서 편심축부(22)의 축심위치(Os)와 주상핀(71)의 축심위치(Op)를 지나는 직선(OpOs)이 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과 직선(OpOs)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이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편심축부(22) 및 주상핀(71)의 각 축심과 직교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 각도를 작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이 자전운동 함에 따른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랩(63)의 두께 변화를 축소할 수 있으며,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랩(63)의 강성(剛性)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제 2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압축기구(4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구(40)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이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되며, 슬라이드홈(80)이 고정스크롤(60)에 형성된다.
우선, 슬라이드홈(80) 및 핀축부(7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전면 쪽(도 12에서 상면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또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 주상핀(71)은,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이 주상핀(71)은, 가동측 랩(52)의 나성방향을 따라 그 외주 쪽 끝단부보다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장착된다.
주상핀(71)의 기단부(도 12에서 아래쪽 끝단부)는,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매입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주상핀(71)을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미리 형성되며, 이 구멍에 주상핀(71)이 삽입된다. 즉,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고정되며, 가동스크 롤(50)에 대한 상대이동이 금지된 상태이다.
고정스크롤(60)에서 슬라이드홈(80)은, 가동스크롤(50)의 주상핀(71)과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슬라이드홈(80)은 폭이 일정한 일직선의 오목홈이며, 둘레부(62)의 하면에 개구된다. 또 슬라이드홈(80)은 대략 고정스크롤(60)의 반지름방향으로 이어진다. 이 슬라이드홈(80)에는 주상핀(71)의 돌출단부(도 12에서 위쪽 끝단부)가 끼워진다. 즉,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다.
다음으로, 슬라이드홈(80) 및 핀축부(70)의 배치나 형상에 대해 도 1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3은 주축부(21), 편심축부(22), 및 주상핀(71)의 각 축심과 슬라이드홈(80)의 위치관계를, 주축부(21)의 축심에 직교하는 평면 상에 나타낸 것이다. 도 13에서는 Of가 주축부(21)의 축심위치를, Os가 편심축부(22)의 축심위치를, Op가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축심위치를, L1이 슬라이드홈(80)의 폭방향 중심선을 각각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0)은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도 13에서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은, 선분(OfOs)의 길이로 나타내진다. 또 주상핀(71)과 주축부(21)의 축심끼리 거리는 선분(OpOf)의 길이로 나타내진다. 그리고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분(OfOs)은 선분(OpOf)보다 길게 설정된다. 즉, 고정스크롤(60)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축심과 주축부(21) 축심과의 거리가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되도록 배치된 다.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바깥지름이 슬라이드홈(80)의 폭보다 약간 작다. 이로써, 도 13에서는 주상핀(71)의 축심위치(Op)가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 상을 타게 되며, 주상핀(71)의 축심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직교한다. 또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 상에는 주축부(21)의 축심위치(Of)가 타며, 주축부(21)의 축심도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과 직교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주축부(21)의 축심과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한다. 즉, 고정스크롤(60)에서 슬라이드홈(80)은, 그 중심선이 주축부(22)의 축심과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하도록 형성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 가동스크롤(5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의 움직임을 한다. 즉, 가동스크롤(50)은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하며, 이와 동시에 편심축부(22)의 축심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범위 내에서 자전운동 한다. 단,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된 주상핀(71)이 고정스크롤(6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린다. 그리고 가동스크롤(50)의 주상핀(71)이 슬라이드홈(80)에 의해 안내되고, 이 주상핀(71)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제 2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할 때에 발생하는 마찰손실의 삭감이나, 올덤링 등의 부재가 윤활유를 교반함에 기인하는 손실의 삭감이 가능해져, 스크롤압축기(10)의 동력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어느 정도 허용되는 점에서,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A실(42)과 B실(43)의 최대용적 차를 축소하기가 가능해져, 스크롤압축기(10)의 진동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슬라이드홈(80)이 고정스크롤(60)에 형성되므로, 슬라이드홈(80)과 고정측 랩(63)의 위치정밀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의 틈새를 확실하게 관리하여 압축실(41)로부터의 냉매가스 누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스크롤압축기(10)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을 하우징(45)에 형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의 슬라이드홈(80)은 하우징(45)의 상단부(46)에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상단부(46)의 바닥부 상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다. 본 변형예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 쪽(도 14에서 하면 쪽)으로 돌출된다. 이 주상핀(71)은, 그 위쪽 끝단부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미리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며, 그 아래쪽 끝단부가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진다.
본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홈(80)을 하우징(45)에 형성하므로, 하우징(45)에 지지되는 주축부(21)의 축심과 슬라이드홈(80)의 위치정밀도를 비교적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의 틈새를 확실하게 관리하여 압축실(41)로부터의 냉매가스 누출을 억제할 수 있으며, 스크롤압축기(10)의 효율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과 하우징(45)의 양쪽에 형성해도 된다. 하우징(45)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은, 상단부(46)의 바닥부 상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다. 본 변형예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전면 쪽(도 15, 도 16에서 상면 쪽)만이 아닌 배면 쪽(도 15, 도 16에서 하면 쪽)으로도 돌출된다. 즉, 이 주상핀(71)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관통한다. 그리고 주상핀(71)은, 그 위쪽 끝단부가 고정스크롤(60)의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지며, 그 아래쪽 끝단부가 하우징(45)의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진다.
본 변형예에서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그 위쪽 끝단부가 고정스크롤(60)의 슬라이드홈(80)과 미끄럼운동 하며, 아래쪽 끝단부가 하우징(45)의 슬라이드홈(80)과 미끄럼운동 한다. 이로써 주상핀(71)의 변형량을 저감하기가 가능해지며, 주상핀(71)의 변형에 기인하는 주상핀(71)이나 슬라이드홈(80)의 편마모를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이, 주축부(21) 축심과 주상핀(71) 축심의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소정의 예각을 이루어도 된다.
도 17은 도 13에 대응하는 것으로, Of가 주축부(21)의 축심위치를, Os가 편심축부(22)의 축심위치를, Op가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축심위치를, L1이 슬라이드홈(80)의 폭 방향 중심선을 각각 나타낸다. 주축부(21)의 축심과 주상핀(71) 축심의 양쪽과 직교하는 직선은, 도 17에서 주축부(21)의 축심위치(Of)와 주상핀(71)의 축심위치(Op)를 지나는 직선(OpOf)이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L1)과 직선(OpOf)이 이루는 각도가 90°미만이다.
본 변형예에 의하면,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이 주축부(22) 및 주상핀(71)의 각 축심에 직교하는 경우에 비해,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 각도를 작게 하기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이 자전운동함에 따른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랩(63)의 두께 변화를 축소할 수 있으며,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랩(63)의 강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제 3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핀축부(70)와 슬라이드홈(8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하기로 한 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에는 1쌍의 습동면(72)이 형성된다. 이 습동면(72)은 주상핀(71)의 측면을 부분적으로 깎아냄으로써 형성된 평탄한 면이며, 주상핀(71)의 아래쪽 끝단부터 그 높이의 약 절반에 걸쳐 형성된다. 또 이 습동면(72)은 주상핀(71)의 축심과 평행인 평탄한 면이며, 주상핀(71)의 축심을 개재하고 대향하는 위치에 1개씩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주상핀(71)의 기단부(도 18에서 위쪽 끝단부)는, 고정스크롤(60)에 형성된 결합공(65)에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결합공(65)의 지름은 주상핀(71)의 기단부 지름보다 약간 크다. 그리고 이 결합공(65)에 삽입된 주상핀(71)은, 고정스크롤(60)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랩(52)의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관통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외주면부터 중심을 향해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슬라이드홈(80)의 폭은, 주상핀(71)의 습동면(72) 상호간의 거리보다 약간 넓다. 이 슬라이드홈(80)에는 주상핀(71)의 선단부(도 18에서 아래쪽 끝단부)가 끼워진다. 그리고 주상핀(71)의 선단부에 형성된 습동면(72)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가 냉매를 압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여기서는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대해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그리고 여기서의 설명에서 이용하는 "오른쪽방향"과 "왼쪽방향"은, 각각 도 19의 "오른쪽방향"과 "왼쪽방향"을 의미한다.
도 19는 도 6에 대응하는 것이다. 즉, 도 19의 (A)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 또는 360°인 상태를, (B)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90°인 상태를, (C)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인 상태를, (D)는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270°인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구동축(20)이 왼쪽으로 회전하면, 가동스크롤(50)이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한다. 그동안,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주상핀(71)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에서 증대함에 따라, 가동스크롤(50)은 왼쪽으로 자전운동 해간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에 따라 핀축부(70)도 왼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그 후 가동스크롤(50)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소정 값에 달하면, 이번에 오른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에 따라 핀축부(70)도 오른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그리고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로 된 시점에서, 가동스크롤(50) 및 주상핀(71)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인 시점과 마찬가지로, 그 자전운동 각도가 0°로 된다.
구동축(20)이 계속해서 왼쪽으로 회전하면, 곧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360°로 되어,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인 상태와 마찬가지 상태로 돌아온다(도 19의 (A) 참조). 그동안, 슬라이드홈(80)의 측면이 주상핀(71)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구체적으로,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180°에서 증대함에 따라, 가동스크롤(50)은 오른쪽으로 자전운동 해간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에 따라 핀축부(70)도 오른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그 후 가동스크롤(50)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소정 값에 달하면, 이번에 왼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에 따라 핀축부(70)도 왼쪽으로 자전운동 한다. 그리고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360°로 된 시점에서, 가동스크롤(50) 및 주상핀(71)은 구동축(20)의 회전각도가 0°인 시점과 마찬가지로, 그 자전운동 각도가 0°로 된다.
-제 3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되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이 주상핀(71)의 습동면(72)에 작용한다. 이로써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주상핀(71)의 습동면(72)이나 슬라이드홈(80)의 측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주상핀(71)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주상핀(71)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seizure)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켜 스크롤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 핀(71)을 가동스크롤(50)에 장착하며, 슬라이드홈(80)을 하우징(45)에 형성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가동스크롤(50)에는, 도시하지 않지만, 주상핀(71)을 삽입하기 위한 결합공이 형성된다. 이 결합공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형성되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도 20에서 하면)에 개구된다. 그리고 주상핀(71)은, 습동면(72)이 형성되지 않은 기단부(도 20에서 위쪽 끝단부)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결합공에 끼워지며, 가동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본 변형예의 슬라이드홈(80)은 하우징(45)의 상단부(46)에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상단부(46)의 바닥부 상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다.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습동면(72)이 형성된 돌출단부(도 20에서 아래쪽 끝단부)가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진다. 그리고 주상핀(71)의 습동면(72)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홈(80)을 하우징(45)에 형성하지만, 슬라이드홈(80)을 하우징(45)이 아닌 고정스크롤(60)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홈(80)은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 된다. 또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전면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주상핀(71)에 형성된 습동면(72)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주상핀(71)의 습동면(72)은, 슬라이드홈(80)과의 습동방향 으로 5/1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00 정도의 경사가 부여되어도 된다. 주상핀(71)의 습동면(72)을 테이퍼면으로 하면, 이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의 틈새로 침입한 윤활유에 의한 "쐐기효과"가 얻어지므로, 이 틈새에서의 유막 반력을 적극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주상핀(71)의 습동면(72)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주상핀(71)과 슬라이드홈(80)의 마찰손실을 한층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제 3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에서 습동면을 생략해도 된다. 즉, 단순한 원주형으로 형성된 주상핀(71)을 고정스크롤(6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주상핀(71)은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면서 자전운동 하게 되며, 주상핀(71)의 회전을 금지한 경우에 비해, 주상핀(71)과 슬라이드홈(80) 측면과의 습동속도가 저하된다. 이로써 주상핀(71)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율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나 마찰 등의 고장이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스크롤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핀축부(7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핀축부(70)는 본체부재(73)와 부시부재(74)로 구성된다.
본체부재(73)는 원주형으로 형성된다. 본체부재(73)의 기단부(도 21에서 위쪽 끝단부)는,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에 매입된다. 구체적으로는, 둘레부(62)에 본체부재(73)를 삽입하기 위한 구멍이 미리 형성되며, 이 구멍에 본체부재(73)가 삽입된다. 즉, 핀축부(70)의 본체부재(73)는 고정스크롤(60)에 고정되며, 고정스크롤(60)에 대한 상대이동이 금지된 상태로 된다. 본 실시형태의 핀축부(70)에서는, 본체부재(73)의 축심이 핀축부(70)의 축심이다.
부시부재(74)는, 비교적 짧은 사각주에 대해 축방향의 4변을 따라 모깎기처리를 실시한 형상이다. 즉 부시부재(74)의 단면(斷面)은, 서로 대향하는 변이 평행으로 되는 팔각형이다. 이 부시부재(74)에서는, 그 측면 중, 서로 대향하는 1쌍의 측면이 습동면(75)을 구성한다.
또 부시부재(74)에는, 이 부시부재(74)를 그 높이방향(도 21에서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공(76)이 형성된다. 이 관통공(76)은 부시부재(74)와 동축으로 형성된 단면이 원형인 구멍이다. 부시부재(74)의 관통공(76)에는 본체부재(73)의 돌출단부(도 21에서 아래쪽 끝단부)가 끼워진다. 즉, 관통공(76)은 그 지름이 본체부재(73)의 바깥지름보다 약간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부시부재(74)는 그 관통공(76)에 본체부재(73)가 삽입되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은, 그 폭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 상호간의 거리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핀축부(70)는, 그 부시부재(74)가 슬라이드홈(80)에 끼워지며,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가 냉매를 압축하는 동작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다.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는,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가 슬라이드홈(80) 측면과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이때,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에 따라, 부시부재(74)가 본체부재(73)의 축심을 중심으로 자전운동 한다.
-제 4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우선,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재(73)와 다른 부재인 부시부재(74)를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시킨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체부재(73)와 부시부재(74)를 다른 재질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지며, 습동성능이나 윤활성능이 우수한 재질로 부시부재(74)를 구성함으로써 신뢰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시부재(74)에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며,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힘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에 작용한다. 이로써 가동스크롤의 공전운동 중에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나 슬라이드홈(80)의 측면에 작용하는 면압력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부시부재(74)의 습동 면(75)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시저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하시켜 스크롤압축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축부(70)를 가동스크롤(50)에 장착하며,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에 형성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 핀축부(70)의 본체부재(73)는,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미리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되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전면 쪽(도 22에서 상면 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된다. 부시부재(74)의 관통공(76)에는, 본체부재(73) 중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전면 쪽에 돌출된 부분이 삽입된다. 이 변형예에서도 부시부재(74)는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구성된다.
본 변형예의 슬라이드홈(80)은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에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둘레부(62)의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다. 슬라이드홈(80)에는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가 끼워지며,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이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에 형성하지만,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이 아닌 하우징(45)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홈(80)은, 하우징(45) 상단부(46)의 바닥부 상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이 된다. 또 핀축부(70)의 본체부재(73)는,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되며, 이 본체부재(73)의 아래쪽 끝단부가 부시부재(74)의 관통공(76)으로 삽입된다.
-제 4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시부재(74)에 형성된 습동면(75)이 테이퍼면으로 구성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은, 슬라이드홈(80)과의 습동방향으로 5/1000 이하, 바람직하게는 1/1000 정도의 경사가 부여되어도 된다.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을 테이퍼면으로 하면, 이 습동면(75)과 슬라이드홈(80) 측면의 틈새로 침입한 윤활유에 의한 "쐐기효과"가 얻어지며, 이 틈새에서의 유막 반력을 적극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로써, 부시부재(74)의 습동면(75)과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으며, 부시부재(74)와 슬라이드홈(80)의 마찰손실을 한층 확실하게 저감할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제 3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의 부시부재(74)에서 습동면을 생략해도 된다. 즉, 부시부재(74)를 단순한 원통형상으로 하고, 이 원통형의 부시부재(74)를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부시부재(74)는 슬라이드홈(80)의 측면과 미끄럼운동 하면서 자전운동 하게 되며, 부시부재(74)의 회전을 금지한 경우에 비해, 부시부재(74)와 슬라이드홈(80) 측면과의 습동속도가 저하된다. 이로써 부시부재(74)와 슬라이드홈(80) 측면 사이의 율활을 확실하게 행하기가 가능해지며, 시저나 마모 등의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에 의하면, 스크롤압축 기(1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4 실시형태의 제 4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부시부재(74)를 본체부재(73)에 고정시키고, 본체부재(73)를 고정스크롤(60)에 형성된 구멍에 끼워도 된다. 즉, 본 변형예에서는 부시부재(74)의 관통공(76)에 본체부재(73)가 삽입되어, 본체부재(73)에 대한 부시부재(74)의 이동이 금지된다. 그리고 부시부재(74)가 장착된 본체부재(73)는, 고정스크롤(6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된다.
또 상기 제 1 변형예와 같이 핀축부(70)를 가동스크롤(50)에 장착할 경우는, 핀축부(70)의 본체부재(73)를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고정시키고,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고정된 본체부재(73)에 부시부재(74)를 회전 자유롭게 장착해도 된다.
[제 5 실시형태]
본 발명의 제 5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는,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 핀축부(70)와 슬라이드홈(80)의 구성을 변경한 것이다. 여기서는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 대해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다른 점을 설명한다.
도 23 및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핀축부(70)는 1개의 핀부재(90)로 구성된다. 핀부재(90)는, 원주형으로 형성된 기단부(91)와, 기단부(91)의 한끝부터 그 축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2)로 구성된다. 그리고 핀부재(90)의 전체형상은, 원주의 일부를 자른 형상으로 구성된다.
기단부(91)는, 그 높이가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 두께와 대략 같으며, 이 둘레부(62)에 미리 형성된 구멍으로 삽입된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출부(92)의 끝단면(즉, 핀부재(90)의 중심축에 직교하는 단면(斷面))은, 중심각이 180°보다 큰 원호와 그 원호의 현으로 구성된 형상이다. 돌출부(92)의 측면은, 원호면인 원호측면(93)과, 평면인 평탄측면(94)으로 구성된다. 또 핀부재(90)의 지름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의 주상핀(71) 지름의 약 2배이다.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90)의 돌출부(92)에서는, 그 원호측면(93) 중 평탄측면(94) 쪽의 일부분(도 25에서 해칭을 부여한 부분)이 습동면(95)이며, 이 습동면(95)이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 접촉한다. 구체적으로 돌출부(92)의 원호측면(93)에서는, 평탄측면(94) 쪽의 중심각이 2θ로 되는 영역과, 그 영역과는 원호측면(93)의 곡률중심을 사이에 두고 180° 반대쪽에 위치하는 영역이 습동면(95)을 구성한다. 여기서 핀부재(90) 및 슬라이드홈(80)의 위치는, 습동면(95) 중심각의 절반인 θ가 5° 이하가 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부재(90)는 그 평탄측면(94)이 고정스크롤(60)의 중심 쪽을 향하는 자세로,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에 고정된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부재(90)의 평탄측면(94)은, 핀부재(90)의 축심위치(Op)와 구동축(20)의 주축부(21) 축심위치(Of)를 지나는 직선(OpOf)과 거의 직교한다. 이와 같이 핀축부(70)를 구성하는 핀부재(90)는, 그 습동면(95)보다 구동축(20) 쪽에 위치하는 부분을 자른 형상이다.
도 23 및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 부(51)의 바깥둘레면부터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반지름방향으로 직선형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이 이어지는 방향은, 핀부재(90)의 축심위치(Op)와 구동축(20)의 편심축부(22) 축심위치(Os)를 지나는 직선(OpOs)과 거의 일치한다.
슬라이드홈(80)의 폭은 핀부재(90)의 지름보다 약간 넓게 형성된다. 슬라이드홈(80)의 가장 안쪽에 위치하는 벽면(즉, 가동측 랩(52) 쪽 벽면)은 안쪽벽면(81)을 구성한다. 이 안쪽벽면(81)은, 핀부재(90)의 평탄측면(94)에 대면하는 평면이다. 또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라이드홈(80)의 안쪽벽면(81)부터 가동측 랩(52) 바깥둘레면까지의 거리(X)는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Ror) 2배, 즉 2Ror보다 길게 설정된다. 여기서, 이 거리(X)는 2Ror보다 1∼2㎜, 혹은 그 이상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운전동작-
본 실시형태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 가동스크롤(50)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거의 마찬가지의 움직임을 한다.
즉, 고정스크롤(60)에 장착된 핀부재(90)가 가동스크롤(5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에 맞물리고, 가동스크롤(50)이 핀부재(90)에 의해 안내됨으로써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된다. 그리고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스크롤(50)은, 주축부(21)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함과 동시에, 편심축부(2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θ의 각도범위 내에서 자전운동 하게 된다.
스크롤압축기(10)의 운전 중에, 핀부재(90)의 돌출부(92)에서는 그 원호측 면(93)의 일부분인 습동면(95)만이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즉, 원호측면(93) 중에서 습동면(95) 이외의 부분은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지 않는다.
-제 5 실시형태의 효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의해 얻어지는 효과에 더불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얻어진다.
여기서 핀부재(90)의 습동면(95)과 슬라이드홈(80) 벽면이 미끄럼운동할 때의 윤활조건은, 핀부재(90)에 있어서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엄격해진다. 따라서 이 부분에서의 윤활을 확실하게 행하여 시저 등의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서는, 핀부재(90)에 있어서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을 될 수 있는 한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핀부재(90)의 지름(즉,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이 10㎜인 경우와 20㎜인 경우를 비교하면,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구체적으로 핀부재(90)와 가동스크롤(50)의 재질이나 핀부재(90)에 작용하는 하중의 크기를 가정하여 시산하면, 부재의 탄성변형을 고려한 면압력인 헬츠 응력(Hertz Stress)은 28% 정도 감소하는 한편, 탄성유체윤활이론(이른바 EHL(Elastohydrodynamic Lubrication)이론)에 기초하여 계산한 유막두께인 EHL 유막두께는 34% 정도 증가한다.
이와 같이 핀부재(90)의 습동면(95)과 슬라이드홈(80) 벽면 사이의 윤활상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핀축부(70)를 단순한 원주형의 부재로 구성하고, 그 부재를 굵게 함으로써 습 동면(95)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면, 가동측 랩(52)이나 고정측 립(63)이 핀축부(70)와 간섭해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핀부재(90)에서는, 돌출부(92)의 형상이, 원주에서 가동측 랩(52) 쪽에 있는 부분을 자른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가동측 랩(52)과 맞물리는 고정측 랩(63)이 핀부재(90)와 간섭되는 것을 회피한 상태에서, 핀부재(90)에 있어서 습동면(95)의 곡률 반경을 크게 하여 윤활상태를 개선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홈(80)의 안쪽벽면(81)부터 가동측 랩(52) 외측면까지의 거리(X)를,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Ror) 2배보다 길게 설정한다. 한편,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의 거리는 최대,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Ror) 2배로 설정된다. 이로써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측 랩(52)의 공전운동 중에, 고정측 랩(63)의 내측면이 슬라이드홈(80)의 안쪽벽면(81)보다 바깥둘레 쪽에 달하는 일은 없다(도 26 참조).
여기서,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가동측 랩(52)과 고정측 랩(63)이 서로 맞물려 압축실(41)을 형성한다. 그리고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고정측 랩(63)의 내측면이 슬라이드홈(80)의 안쪽벽면(81)보다 바깥둘레 쪽에 달하면, 가동측 랩(52)의 외측면과 고정측 랩(63) 내측면 사이의 압축실(41)이 슬라이드홈(80)과 연통되어, 이 압축실(41) 내의 냉매가 슬라이드홈(80)으로 누출되어버린다.
이에 반해 본 실시형태의 압축기구(40)에서는, 고정측 랩(63)의 내측면이 슬 라이드홈(80)의 안쪽벽면(81)보다 바깥쪽에 달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압축실(41)로부터 슬라이드홈(80)으로의 냉매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스크롤압축기(10)의 효율저하를 회피할 수 있다.
-제 5 실시형태의 제 1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스크롤(5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80)을 오목홈 형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 슬라이드홈(80)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가동측 랩(52) 쪽 표면(즉, 도 23에서 상면)에 개구한 오목홈으로 구성된다. 또 핀부재(90)의 돌출부(92) 높이는, 슬라이드홈(80)의 깊이보다 약간 짧다.
-제 5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축부(70)를 구성하는 핀부재(90)를 가동스크롤(50)에 장착하며,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에 형성해도 된다.
본 변형예의 가동스크롤(50)에는 핀부재(9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이 형성된다. 이 장착공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한다. 그리고 핀부재(90)는, 원주형의 기단부(91)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장착공에 삽입되며, 돌출단부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전면 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구성된다.
본 변형예의 슬라이드홈(80)은 고정스크롤(60)의 둘레부(62)에 형성된다. 이 슬라이드홈(80)은, 둘레부(62)의 하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으로 구성된다. 핀부재(90)의 돌출부(92)는 슬라이드홈(80)에 삽입된다. 그리고 핀부재(90)의 습동 면(95)이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한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서는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에 형성하지만, 슬라이드홈(80)을 고정스크롤(60)이 아닌 하우징(45)에 형성해도 된다. 이 경우, 슬라이드홈(80)은 하우징(45)에 있어서 상단부(46)의 바닥부 상면에 개구하는 오목홈으로 구성 된다. 또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은,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 쪽으로 돌출하도록 장착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상기 각 실시형태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 1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랩(52)을 두께가 일정한 나선형의 벽상태로 형성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 가동측 랩(52)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와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고정측 랩(63)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고정측 랩(63)의 형상을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적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고정측 랩(63)의 내측면 및 외측면, 즉 고정측 랩(63)의 모든 랩면을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한다. 본 변형예의 고정측 랩(63)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에서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측 랩(63)은, 그 내측면이 가동측 랩(52) 외측면의 포락면이 되며, 그 외측면이 가동측 랩(52) 내측면의 포락면이 된다.
본 변형예에서 가동측 랩(52)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의 랩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가동스크롤을 유용할 수 있어, 스크롤압축기(10)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제 2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측 랩(63)을 두께가 일정한 나선형의 벽상태로 형성해도 된다. 본 변형예에서 고정측 랩(63)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와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본 변형예에서는 가동측 랩(52)의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동측 랩(52)의 형상을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적합시킨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측 랩(52)의 내측면 및 외측면, 즉 가동측 랩(52)의 모든 랩면을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의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한다. 본 변형예의 가동측 랩(52)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측 랩(63)은, 그 내측면이 가동측 랩(52) 외측면의 포락면이 되며, 그 외측면이 가동측 랩(52) 내측면의 포락면이 된다.
본 변형예에서 고정측 랩(52)은, 가동스크롤의 자전운동이 완전하게 금지되는 일반적인 스크롤압축기의 랩과 마찬가지의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로써 일반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고정스크롤을 유용할 수 있어, 스크롤압축기(10)의 제조원가를 저감할 수 있다.
-제 3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내측면을 단순한 나선곡선을 그리는 형상으로 하는 한편,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외측면을 단순한 나선곡선을 그리는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하고, 이로써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형상을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적합시켜도 된다.
본 변형예의 가동측 랩(52)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또 본 변형예의 고정측 랩(63)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측 랩(63)은, 그 내측면이 가동측 랩(52) 외측면의 포락면이 되며, 그 외측면이 가동측 랩(52) 내측면의 포락면이 된다.
-제 4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외측면을 단순한 나선곡선을 그리는 형상으로 하는 한편,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내측면을 단순한 나선곡선을 그리는 형상과는 다른 형상으로 하고, 이로써 가동측 랩(52) 및 고정측 랩(63)의 형상을 가동스크롤(50)의 움직임에 적합시켜도 된다.
본 변형예의 가동측 랩(52)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 다. 또 본 변형예의 고정측 랩(63)에서는, 그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두께가 점차 증가하는 부분과 두께가 점차 감소하는 부분이 교대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정측 랩(63)은, 그 내측면이 가동측 랩(52) 외측면의 포락면이 되며, 그 외측면이 가동측 랩(52) 내측면의 포락면이 된다.
-제 5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도 3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편심축부(22) 대신에 편심원통부(23)를 구동축(20)에 구성함과 더불어, 돌출원통부(53) 대신에 돌출축부(54)를 가동스크롤(50)에 구성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본 변형예의 구동축(20)에서는, 주축부(21)의 위쪽 끝단에 편심원통부(23)가 형성된다. 이 편심원통부(23)는 위쪽 끝단면이 개구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편심원통부(23)의 축심은, 주축부(21)의 축심에 대해 편심된다. 본 변형예에서는 이 편심원통부(23)가 편심부를 구성한다. 한편, 본 변형예의 가동스크롤(50)에서는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배면에 돌출축부(54)가 돌출 설치된다. 이 돌출축부(54)는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구동축(20)의 편심원통부(23)에 위쪽부터 삽입된다.
-제 6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에 고정된 고정스크롤(60)을 비선회스크롤로 하지만, 이 비선회스크롤은 케이싱(11)에 고정되어 전혀 움직이지 않는 부재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구동축(20)의 축방향(도 1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부재라도 된다.
일반적으로 스크롤압축기(10)에는, 가동스크롤(50)과 맞물리는 비선회스크롤을 구동축(20)의 축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그 용량을 가변으로 한 것이 있다. 이러한 종류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는, 비선회스크롤을 가동스크롤(50) 쪽으로 밀어붙이는 시간과 비선회스크롤을 가동스크롤(50)로부터 분리하는 시간과의 듀티비(duty ratio)를 조절함으로써, 스크롤압축기(1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을 변화시킨다.
구체적으로, 비선회스크롤이 가동스크롤(50) 쪽에 밀어붙여진 상태에서는 압축기구(40)에서 냉매의 압축이 이루어지며, 압축된 냉매가 압축기구(40)로부터 토출되어간다. 한편, 비선회스크롤이 가동스크롤(5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는, 비선회스크롤의 랩 선단과 가동스크롤(50) 엔드플레이트부(51)의 사이, 또는 가동스크롤(50)의 랩 선단과 비선회스크롤 엔드플레이트부의 사이에 틈새가 형성된다. 때문에, 이 상태에서 가동스크롤(50)이 공전운동 해도 압축기구(40)에서는 냉매가 압축되지 않으며, 압축기구(40)로부터 냉매가 토출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비선회스크롤을 가동스크롤(50)에 밀어붙이는 시간에 대한, 가동스크롤(50)로부터 분리하는 시간의 비율을 변화시키면, 이에 따라 압축기구(40)로부터 토출되는 냉매량이 변화하게 된다.
이러한 종류의 스크롤압축기(10)에서 비선회스크롤의 이동량은 고작해야 수 ㎜정도이다. 따라서 비선회스크롤의 이동량만큼 핀축부(70)를 길게 설정해두면, 비선회스크롤이 변위해도 핀축부(70)는 슬라이드홈(80)과 맞물린 상태로 유지된다.
-제 7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의 재질로서,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부재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것을 이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재질을,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가동스크롤(5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의 재질을,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고정스크롤(6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핀부재(90)의 재질을,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가동스크롤(5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해도 된다. 또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핀부재(90)의 재질을,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고정스크롤(60)의 재질보다 강도가 높은 재질로 해도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부재(즉, 가동스크롤(50) 또는 고정스크롤(60))의 재질이 FC250일 경우에는, 핀축부(70)의 재질로서 SKH51을 이용하면 된다.
-제 8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된 부재와 핀축부(70)의 습동면에, 고체윤활제로서 기능하는 수지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이러한 종류의 수지피막으로는, 매우 마찰계수가 낮은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등의 불소수지와 바인더로 구성된 것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 과, 가동스크롤(50)의 슬라이드홈(80) 벽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윤활용 수지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2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주상핀(71)과, 고정스크롤(60)의 슬라이드홈(80) 벽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윤활용 수지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상기 제 5 실시형태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핀부재(90)와, 가동스크롤(50)의 슬라이드홈(80) 벽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윤활용 수지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또 상기 제 5 실시형태의 제 2 변형예에서는 핀축부(70)를 구성하는 핀부재(90)와, 고정스크롤(60)의 슬라이드홈(80) 벽면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윤활용 수지피막을 형성해도 된다.
-제 9 변형예-
상기 각 실시형태는 모두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로 구성된 스크롤압축기이지만,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의 용도는 압축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 관한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의해 스크롤팽창기를 구성해도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스크롤형 유체기계에 대해 유용하다.

Claims (68)

  1. 선회스크롤(50)과, 적어도 비선회스크롤(60)로 이루어지는 비선회부재(69)와, 회전샤프트(2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에는 그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편심부(22, 23)가 형성되고, 이 편심부(22, 23)에 맞물리는 상기 선회스크롤(50)이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로서,
    상기 비선회부재(69)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회전샤프트(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 선회스크롤(50)과, 적어도 비선회스크롤(60)로 이루어지는 비선회부재(69)와, 회전샤프트(20)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에는 그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편심부(22, 23)가 형성되고, 이 편심부(22, 23)에 맞물리는 상기 선회스크롤(50)이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로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며,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편심부(22, 23)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비선회부재(69)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고,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 선회스크롤(50)과, 비선회스크롤(60)과, 회전샤프트(20)와,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에는 그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편심부(22, 23)가 형성되고, 이 편심부(22, 23)에 맞물리는 상기 선회스크롤(50)이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로서,
    상기 비선회스크롤(60) 및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며,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고,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회전샤프트(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 선회스크롤(50)과, 비선회스크롤(60)과, 회전샤프트(20)와,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샤프트(20)에는 그 회전축에 대해 편심된 편심부(22, 23)가 형성되고, 이 편심부(22, 23)에 맞물리는 상기 선회스크롤(50)이 상기 회전샤프트(2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로서,
    상기 비선회스크롤(60) 및 하우징부재(45)가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고,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편심부(22, 23)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비선회스크롤(60)과 하우징부재(45) 중 한쪽 또는 양쪽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선회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편심부(22, 23) 축심의 양 축심에 직교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상기 편심부(22, 23) 축심의 양 축심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7.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회전샤프트(20)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8.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의 축심과 회전샤프트(20) 의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3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10.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표면에 개구되는 오목홈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11.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12.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1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비선회스크롤(60)과 함께 상기 비선회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비선회스크롤(60) 각각에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1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비선회부재(69)에 고정되고,
    상기 핀축부(70)에 있어서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이 원호면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보다 상기 회전샤프트(20) 쪽에 있는 부분을 일부 자른 형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상기 선회랩(52) 쪽 끝단부부터 이 선회랩(52)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긴, 스크롤형 유체기계.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비선회부재(69)로서의 비선회스크롤(60)에 고정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고,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의 선회랩(52) 쪽 표면에 개구되는 오목홈으로 구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상기 선회랩(52) 쪽 끝단부부터 이 선회랩(52) 외측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선회랩(52)의 공전 반경 2배보다 긴, 스크롤형 유체기계.
  18.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선회스크롤(50)에 고정되고,
    상기 핀축부(70)에 있어서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이 원호면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슬라이드홈(80) 벽면과의 습동면(95)보다 상기 회전샤프트(20) 쪽에 있는 부분을 일부 자른 형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20.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비선회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1.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선회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2. 청구항 20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 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3. 청구항 21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4.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5.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비선회부재(69)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6.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선회스크롤(50)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7.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비선회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8.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선회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29. 청구항 25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0. 청구항 26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1. 청구항 27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2. 청구항 28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3.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있어서 상기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4. 청구항 1 또는 3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는, 상기 선회랩(52)의 신장방향을 따라 이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부터 더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5.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있어서 상기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6. 청구항 2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선회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선회 엔드플레이트부(51)에서는, 상기 선회랩(52)의 신장방향을 따라 이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부터 더 앞으로 진행한 위치에 상기 핀축부(70)가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7.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일정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38.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일정한, 스크롤형 유체기계.
  39.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선회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0. 청구항 1, 2, 3 또는 4에 있어서,
    상기 비선회스크롤(60)에는 나선형의 비선회랩(63)이, 상기 선회스크롤(50)에는 나선형의 선회랩(52)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비선회랩(63)의 외주 쪽 끝단부는, 상기 선회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까지 신장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1. 가동스크롤(50)과, 이 가동스크롤(50)에 그 편심 핀(22)이 맞물리는 크랭크(20)와, 적어도 고정스크롤(60)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부재(69)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스크롤(50)이 상기 크랭크(2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로서,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고,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크랭크(20)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가동스크롤(50)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2. 가동스크롤(50)과, 이 가동스크롤(50)에 그 편심 핀(22)이 맞물리는 크랭크(20)와, 적어도 고정스크롤(60)로 이루어지는 고정측 부재(69)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스크롤(50)이 상기 크랭크(20)의 축심을 중심으로 공전운동 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로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장착되는 핀축부(70)를 구비하고, 이 핀축부(70)의 축심부터 상기 편심 핀(22) 축심까지의 거리가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 반경보다 길게 설정되는 한편,
    상기 고정측 부재(69)에는 상기 핀축부(70)와 맞물리는 슬라이드홈(80)이 형성되며,
    상기 가동스크롤(50)의 공전운동 중에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상기 핀축부(70)가 미끄럼운동 함으로써 상기 가동스크롤(50)의 자전운동이 제한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 축심과 상기 편심핀(22)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4.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 축심과 상기 편심핀(22)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45.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 축심과 상기 크랭크(20)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6.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의 중심선은, 상기 핀축부(70) 축심과 상기 크랭크(20) 축심 양쪽에 직교하는 직선과 이루는 각도가 예각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47.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고정스크롤(60)과 함께 상기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고정스크롤(60) 중 한쪽 또는 양쪽에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의 표면에 개구되는 오목홈으로 구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49.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를 그 두께방향으로 관통하는 홈인, 스크롤형 유체기계.
  50.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고정스크롤(60)과 함께 상기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고정스크롤(60) 중 어느 한쪽에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1.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20)를 지지하는 베어링(48)이 장착된 하우징부재(45)를 구비하며, 이 하우징부재(45)가 상기 고정스크롤(60)과 함께 상기 고정측 부재(69)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하우징부재(45)와 상기 고정스크롤(60) 각각에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2.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고정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3.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원주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가동스크롤(50)에 고정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4.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5.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가동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 형 유체기계.
  56. 청구항 54 또는 55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2)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7. 청구항 41 또는 42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8.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59.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가동스크롤(50)에 고정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0.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고정측 부재(69)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1.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핀축부(70)는, 기둥형으로 형성된 본체부재(73)와, 이 본체부재(73)에 장착되어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부시부재(74)로 구성되며,
    상기 본체부재(73)가 상기 가동스크롤(50)에 회전 자유롭게 장착되고, 상기 부시부재(74)가 상기 본체부재(73)에 고정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2. 청구항 58, 59, 60 또는 61에 있어서,
    상기 부시부재(74)에는, 상기 슬라이드홈(80)의 벽면과 미끄럼운동 하는 평면형상의 습동면(75)이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3. 청구항 41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슬라이드홈(80)은,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형성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4. 청구항 42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은, 평판형으로 형성된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와, 이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수직 배치된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을 구비하며,
    상기 핀축부(70)는, 상기 가동측 엔드플레이트부(51)에 있어서 상기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끝단부 근방에 배치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5. 청구항 41 또는 42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일정하며,
    상기 고정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6. 청구항 41 또는 42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고정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일정한, 스크롤형 유체기계.
  67. 청구항 41 또는 42에 있어서,
    상기 가동스크롤(5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며,
    상기 고정스크롤(60)에 배치되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은, 그 두께가 내주 쪽 끝단부부터 외주 쪽 끝단부를 향해 점차 증감을 반복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68. 청구항 41 또는 42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크롤(60)에는 나선형의 고정측 랩(63)이, 상기 가동스크롤(50)에는 나선형의 가동측 랩(52)이 각각 배치되며,
    상기 고정측 랩(63)의 외주 쪽 끝단부는, 상기 가동측 랩(52)의 외주 쪽 단부 근방까지 신장되는,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020077016611A 2004-12-21 2005-12-16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0087504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69119 2004-12-21
JPJP-P-2004-00369119 2004-12-21
PCT/JP2005/023134 WO2006068044A1 (ja) 2004-12-21 2005-12-16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01A Division KR20080087052A (ko) 2004-12-21 2005-12-16 스크롤형 유체기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1205A true KR20070091205A (ko) 2007-09-07
KR100875049B1 KR100875049B1 (ko) 2008-12-19

Family

ID=366016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01A KR20080087052A (ko) 2004-12-21 2005-12-16 스크롤형 유체기계
KR1020077016611A KR100875049B1 (ko) 2004-12-21 2005-12-16 스크롤형 유체기계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2101A KR20080087052A (ko) 2004-12-21 2005-12-16 스크롤형 유체기계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7789640B2 (ko)
EP (3) EP1830068A4 (ko)
KR (2) KR20080087052A (ko)
CN (1) CN100501165C (ko)
AU (2) AU2005320203B2 (ko)
WO (1) WO200606804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160B1 (ko) * 2015-09-16 2016-09-07 한국원자력연구원 로터리 피스톤 펌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4904B2 (ja) * 2006-09-26 2012-02-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流体機械
JP4973237B2 (ja) * 2006-10-27 2012-07-1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回転式流体機械
JP4241862B2 (ja) * 2007-08-06 2009-03-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圧縮機構及びスクロール圧縮機
EP3301303B1 (en) * 2010-01-22 2018-12-05 Daikin Industries, Ltd. Scroll compressor
TWI464076B (zh) * 2010-11-24 2014-12-11 Tien Hsin Industries Co Ltd Bicycle wheels
KR101059880B1 (ko) * 2011-03-09 2011-08-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KR101225993B1 (ko) * 2011-07-01 2013-01-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크롤 압축기
JP1574166S (ko) * 2016-08-31 2020-04-06
JP1574165S (ko) * 2016-08-31 2020-04-06
DE102016226118A1 (de) * 2016-12-22 2018-06-28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Spiralverdichter
DE202017106425U1 (de) 2017-10-24 2018-09-06 Lux Elements Gmbh & Co. Kg Bodenablaufrinne
DE102018109852A1 (de) * 2018-04-24 2019-10-24 Joma-Polytec Gmbh Scrollpumpe
KR102163921B1 (ko) * 2018-10-02 2020-10-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체압축기
JP6956131B2 (ja) * 2019-03-28 2021-10-27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1089A (en) 1953-05-29 1958-07-01 Rand Dev Corp Scroll pump
JPS5935601A (ja) * 1982-08-19 1984-02-27 Kawasaki Steel Corp 紛末冶金用高圧縮性アトマイズ鋼紛の製造方法
DE3231756C2 (de) * 1982-08-26 1985-08-01 Pierburg Gmbh & Co Kg, 4040 Neuss Rotationskolbenmaschine für Fluide
JPS5935601U (ja) 1982-08-31 1984-03-0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回転式流体機械
JPS5996493A (ja) 1982-11-25 1984-06-02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流体機械
US4609334A (en) * 1982-12-23 1986-09-02 Copeland Corporation Scroll-type machine with rotation controlling means and specific wrap shape
JPS60175793A (ja) * 1984-02-21 1985-09-09 Mitsubishi Heavy Ind Ltd 回転式流体機械
AU3892485A (en) * 1984-02-21 1985-08-29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Scroll-type compressor
JPS60182382A (ja) * 1984-02-28 1985-09-17 Toshiba Corp スクロ−ル圧縮機
US4795323A (en) * 1987-11-02 1989-01-03 Carrier Corporation Scroll machine with anti-rotation mechanism
JPH02169885A (ja) * 1988-09-12 1990-06-29 Toshiba Corp スクロール流体機械
US5165878A (en) 1989-02-10 1992-11-24 Nippon Soken, Inc Scroll type compressor with slide guide for preventing rotation of the moveable scroll
JP2751318B2 (ja) 1989-02-20 1998-05-18 株式会社日本自動車部品総合研究所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2211392A (ja) 1989-02-10 1990-08-22 Nippon Soken Inc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02227577A (ja) * 1989-02-28 1990-09-10 Toshiba Corp スクロール流体機械
KR970003260B1 (ko) * 1990-04-19 1997-03-15 산요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스크로울 압축기
ES2042325T3 (es) * 1990-06-13 1993-12-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ccionamiento por excentrica para una masa rotativa.
US5318424A (en) 1992-12-07 1994-06-07 Carrier Corporation Minimum diameter scroll component
US5330334A (en) * 1993-08-26 1994-07-19 Carrier Corporation Compact Oldham coupling
DE69424803T2 (de) * 1994-01-26 2000-10-12 Shimao Ni Verdrängermaschine nach dem spiralprinzip
JP2770761B2 (ja) 1995-01-25 1998-07-02 三菱電機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US5836752A (en) * 1996-10-18 1998-11-17 Sanden International (U.S.A.), Inc. Scroll-type compressor with spirals of varying pitch
JP3963027B2 (ja) 1997-02-05 2007-08-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H11241691A (ja) 1998-02-25 1999-09-07 Denso Corp Co2用スクロール型電動圧縮機
US6139294A (en) * 1998-06-22 2000-10-31 Tecumseh Products Company Stepped annular intermediate pressure chamber for axial compliance in a scroll compressor
JP2000027774A (ja) 1998-07-10 2000-01-25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スクロール型圧縮機における可動スクロール部材の自転阻止構造
JP2000045965A (ja) 1998-07-29 2000-02-15 Denso Corp スクロール型圧縮機
JP4573074B2 (ja) 2000-05-24 2010-11-04 株式会社Ihi 可変ディフューザ付き遠心圧縮機とその制御方法
US6758659B2 (en) * 2002-04-11 2004-07-06 Shimao Ni Scroll type fluid displacement apparatus with fully compliant floating scrolls
JP3693041B2 (ja) 2002-06-17 2005-09-07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4076602A (ja) 2002-08-12 2004-03-11 Ngk Spark Plug Co Ltd ポンプ用プランジャ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160B1 (ko) * 2015-09-16 2016-09-07 한국원자력연구원 로터리 피스톤 펌프
WO2017048015A1 (ko) * 2015-09-16 2017-03-23 한국원자력연구원 로터리 피스톤 펌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145253A1 (en) 2008-06-19
EP2628956A2 (en) 2013-08-21
US20100296957A1 (en) 2010-11-25
EP2628955A1 (en) 2013-08-21
KR100875049B1 (ko) 2008-12-19
EP2628956A3 (en) 2013-11-13
AU2010214779B2 (en) 2012-08-30
US8246331B2 (en) 2012-08-21
EP1830068A1 (en) 2007-09-05
US7789640B2 (en) 2010-09-07
KR20080087052A (ko) 2008-09-29
WO2006068044A1 (ja) 2006-06-29
EP1830068A4 (en) 2012-11-28
AU2005320203B2 (en) 2010-06-03
AU2005320203A1 (en) 2006-06-29
CN101076667A (zh) 2007-11-21
CN100501165C (zh) 2009-06-17
AU2010214779A1 (en) 2010-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5049B1 (ko) 스크롤형 유체기계
US6695597B2 (en) Scroll fluid machine
JP2006132530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H0545800B2 (ko)
KR10037117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반경방향 순응구조
KR101275181B1 (ko) 스크롤 압축기의 급유구조
JPH05248371A (ja) スクロール流体機械及びスクロール圧縮機
AU2016239057B2 (en) Rotary compressor arrangement
JP3874018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3976070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4013992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US5141423A (en) Axial flow fluid compressor with oil supply passage through rotor
JP2007071215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KR101300258B1 (ko) 스크롤 압축기
JP3976081B2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H0584393B2 (ko)
JP2007107535A5 (ko)
JP2006242195A5 (ko)
JP2007071214A (ja) スクロール型流体機械
JP2007071215A5 (ko)
JP2007107534A5 (ko)
JP2012082714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8144678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JP2007071214A5 (ko)
JP2003129969A (ja) スクロール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