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9673A -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 - Google Patents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9673A
KR20070089673A KR1020077010619A KR20077010619A KR20070089673A KR 20070089673 A KR20070089673 A KR 20070089673A KR 1020077010619 A KR1020077010619 A KR 1020077010619A KR 20077010619 A KR20077010619 A KR 20077010619A KR 20070089673 A KR20070089673 A KR 200700896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tension member
plane
fastening anchor
retai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10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33474B1 (ko
Inventor
칼 하인즈 슈비데
프란크 마이어
Original Assignee
슈비하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비하크 아게 filed Critical 슈비하크 아게
Publication of KR200700896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96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334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334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BPERMANENT WAY; PERMANENT-WAY TOOLS; MACHINES FOR MAKING RAILWAYS OF ALL KINDS
    • E01B9/00Fastening rails on sleepers, or the like
    • E01B9/02Fastening rails, tie-plates, or chairs directly on sleepers or foundations; Means therefor
    • E01B9/28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 E01B9/30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 E01B9/303Fastening on wooden or concrete sleepers or on masonry with clamp members by resilient steel clips the clip being a shaped 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ailway Track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궤도 시스템용 레일 체결구에 관한 것으로, 탄성 소재, 특히 경화된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 인장 부재(1)를 포함하는 상기 레일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인장 부재(1)는, 조립된 상태에서, 레일(6)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레일(6)의 레일 베이스(5) 상에 유지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침목(2)에 배치되는 유지판(3)과 체결 앵커(4) 사이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인장 부재(1)는 상기 레일(6)의 종축상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대칭 평면(7)에 대해 대칭이 되게끔 구현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단계적 과하중 방지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인장 부재(1)는 바람직하게는 대체로 상호 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토션 다리부(1a', 1a")를 포함하고, 이들 두 토션 다리부(1a', 1a")는 레일(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서 연결 구간(1b)을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에 있어 레일(6)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들의 단부들(1c', 1c")에는 각각 고리 모양의 클램핑 구간(1d', 1d")이 배치되고, 상기 인장 부재(1)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은 연결 구간(1b)과 함께 대체로 제1 평면(9)에 위치하고, 고리 모양의 클램핑 구간들(1d', 1d") 중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평면(10)에 위치한다. 상기 제2 평면(10)은 제1 평면(9)과 함께 대칭 평면(7)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평면(9)에 대향하여 비틀어져 있다.
Figure 112007034735867-PCT00001
레일 체결구, 인장 부재, 레일 베이스, 침목, 유지판, 토션 다리부, 연결 구간, 클램핑 구간

Description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NON-POSITIVE FIT ELASTIC RAIL CONNECTION FOR TRACK SYSTEMS}
본 발명은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로서, 탄성 소재, 특히 경화된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 인장 부재를 포함하는 상기 레일 체결구에 관한 것이다. 인장 부재는, 조립된 상태에서, 레일을 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레일의 레일 베이스에 유지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침목에 배치된 유지판;과 체결 앵커 사이에 고정된다. 본 발명에 따라 인장 부재는 레일의 종축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대칭 평면에 대해 대칭이 되게 구현된다.
일반적인 레일 체결구는 DE 34 00 110 C2로부터 공지되었다. 상기 참증 인용물에는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판과 체결 앵커 사이에 배치되는 인장 부재가 이용된다. 이와 관련하여 인장 부재는 토션 부분으로서 고안된 2개의 다리부를 포함한다. 토션 다리부들은 상호 간에 나란히 평행하게 위치하는 2개의 스프링 바 구간을 구비하고, 이들 스프링 바 구간들은 예압 구간(pre-loading section)을 형성하면서 본질적으로 스프링 바 구간들에 대해 횡방향으로 외부 방향을 향해 만곡된 고리부(loop)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토션 다리부들의 두 외부 스프링 바 구간은 횡방향 연결편(cross connection piece) 후방에 이격되어 각각의 U 형 만곡부 를 갖는다. 이 만곡부는 자체 자유 단부 구간을 이용하여 횡방향 연결편 상에 지지되며, 그에 반해 레일 체결구의 앵커들은, 크로스 바(cross bar)에 연결되고 각각은 인장 부재의 비틀림 구간을 위해 레일 베이스에 나란하게 배치되는 정지 사면들(stopping slopes) 상부에서 이격되면서, 인장 부재의 토션 다리부들을 위해 상호 간에 반대하는 측면을 향해 돌출된 2개의 지지 플랜지를 포함한다.
DE 39 18 091 C2로부터는 최초에 언급한 종류의 레일 체결구가 공지되었다. 이에 따른 레일 체결구의 경우, 타원형으로 고안된 인장 부재의 외측 다리부들의 구간들은, 내측 다리부들의 이격 간격이 확대되는 상태에서, 레일 베이스 쪽으로 갈수록 넓어진다. 인장 부재에 있어 연속해서 배치되는 그의 자유 단부들은 내측 다리부들의 외부에서 종결된다. 또한, 인장 부재의 구현은, 크로스 바가 조립 위치에서 레일 베이스 위쪽에 적은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하고, 사전 조립 위치에서는 자체 내측면으로써 침목 나사의 섕크(shank)에 안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앞서 공지된 해결 방법들 중 한 가지 방법에서, 인장 부재가 비록 침목에 레일을 양호하게 고정하기 위한 자체 목적을 충족하기는 하지만, 그 인장 부재는 상대적으로 크면서도 복잡하게 고안되었다. 그러므로 그에 상응하게 높은 제조 비용이 수반되며, 이는 인장 부재의 생산 비용을 상승시킨다.
또한, 앞서 공지된 인장 부재들은 하기와 같은 문제에 대해 충분한 해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레일에 하중이 바람직하지 못할 정도로 높게 가해질 시에, 레일이 기울어질 수 있다. 인장 부재의 토션 다리부와 침목 나사 체결부는 레일이 기울어질 시에 높은 하중을 받게 되는데, 다시 말하면 과도하게 비틀리거나 과도한 하중을 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한 문제에 대한 대비가 이루어지며, 그리고 레일이 기울어질 시에도 인장 부재의 토션 다리부와 침목 나사 체결부가 과도한 하중을 받는 점이 배제되는 방식으로, 레일 체결구를 고안하는 점이 바람직하다.
앞서 공지된 해결 방법들 중 한 방법의 경우, 예압 토크는 단지 침목 나사 혹은 후크 볼트를 조임으로써 간접적으로 생성된다. 이때 인장 부재의 예압력은 추가로 침목 나사의 예압력에 작용하며, 그럼으로써 나사는 추가로 하중을 받게 된다. 또한, 인장 부재의 조립은 오로지 침목 나사 혹은 후크 볼트를 이용하여서만 실현될 수 있다. 하지만, 나사 또는 볼트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필요에 따라서는 나사 또는 볼트 예압력의 영향 없이, 인장 부재의 보편적인 조립을 실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일반적인 종류의 레일 체결구에 있어서 전술한 단점이 회피되고, 또한 특히 인장 부재의 간단한 기하 구조 고안이 가능하며, 그리고 이에 대한 생산 비용이 낮게 유지되는 방식으로 상기한 레일 체결구를 개선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신뢰되는 방식으로 부합하는 2 단식 과하중 방지를 실현함으로써 경우에 따라 비정상적으로 높은 하중이 발생할 때에도 인장 부재가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있다. 그 외에도, 본 발명의 목적은 보편적이면서도 필요에 따라 나사 예압과 무관한 조립 가능성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목적의 해결 방법은, 인장 부재가 바람직하게는 본질적으로 상호 간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2개의 토션 다리부를 포함하고, 이들 토션 다리부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적어도 광범위하게 유지판과 체결 앵커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두 토션 다리부는 레일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서 연결 구간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토션 다리부들에 있어 레일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들의 단부에는 각각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이 배치되고, 이 클램핑 구간은 토션 다리부들에 연결되어 우선 본질적으로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런 다음 다시 클램핑 구간은 자체 단부들이 토션 다리부들의 단부들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고리 모양으로 연장되고, 상기한 클램핑 구간의 단부들은 레일 베이스 상에서 지지면을 형성한다. 그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인장 부재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토션 다리부는 연결 구간과 함께 본질적으로 제1 평면에 위치하며, 그리고 고리 모양의 클램핑 구간들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평면에 위치하고, 이 제2 평면은 제1 평면과 함께 대칭 평면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을 중심으로 제1 평면에 대향하여 비틀어져 있다.
인정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제2 평면은 바람직하게는 대부분 제1 평면과 일치한다.
레일의 정상적인 하중 조건에서, 조립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인장 부재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이 레일 베이스에 접촉한다. 그 외에도 클램핑 구간의 단부들은 조립된 상태에서 단부들 자체를 위해 유지판 내에 제공되는 오목부들 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클램핑 구간들의 선단측 단부들은 최종 조립 위치에서 수평의 위치 안정화를 위해 오목부들 내에 맞물려 고정되는 점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경우에 따라, 유지판 내의 오목부들은 맞물림 고정 돌출부(engaging projection)들 내지 맞물림 고정 노즈부(engaging nose)들을 포함하며, 그럼으로써 클램핑 구간의 단부들은 유지판 내에서 맞물림 고정될 수 있다.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은 또한 토션 다리부의 단부로부터 우선 본질적으로 대칭 평면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런 다음 만곡된 연장부에서 다시 레일 쪽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레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S자 모양 연장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고안을 이용하여, 계속해서 보게 되는 바와 같이, 체결 시스템의 보다 콤팩트한 구성이 달성될 수 있다.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은 바람직하게는 평면도에서 볼 때 레일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부분에서 본질적으로 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구현된다. 이때 개별 기능 구역들 간의 연결 전환부들은 인장 부재의 소재에 최적의 인장 연장부를 보장하기 위해 큰 반경부 내지 반경 전환부를 구비하여 고안된다. 인장 부재의 연장부를 따라 형성되는 개별 반경부 내지 반경 전환부들은 서로 상이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은 토션 다리부에 연결되면서 우선 대칭 평면으로부터 멀어지면서 본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전술한 평면들 사이의 각도, 다시 말해 제1 평면과 제2 평면 사이의 각도는 인장 부재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바람직하게는 5°와 30°사이이다.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의 단부들은 직선 구간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선 구간들은 바람직하게는 상호 간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의 단부들, 특히 직선 구간들은 그루브 모양의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되, 이 함몰부는 레일 베이스의 필릿 반경부(fillet radius) 상에 지지면으로서 구현된다. 그에 따라 레일 베이스에 정의되고 확실한 방식으로 안착이 이루어질 수 있다.
과하중의 경우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각각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은 레일 베이스에 안착할 수 있도록 클램핑 구간의 측면 영역에 제1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 접촉면은 레일 헤드부에 높은 수평 하중이 발생한 경우(제1 과하중 상태) 레일이 기울어질 시에 마찬가지로 레일 베이스에 접촉하지만, 그러나 레버 아암(lever arm)은 크게 감소한다. 또한, 각각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은 체결 앵커에 안착되기 위한 제2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제2 접촉면은 레일 상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과하중 상태를 초과하여 더욱 강한 제2 과하중 상태를 나타낼 시에 체결 앵커에 접촉한다.
유지판은 레일 바닥판 내에 통합될 수 있다.
유지판과 체결 앵커는 2개의 부재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유지판과 체결 앵커는 후크 볼트를 이용하여 체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다.
체결 앵커는 판 모양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볼트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유지판 및 체결 앵커는 일체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체결 앵커는, 자체 저면에서 레일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의 단부 영역에,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을 위한 접촉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 앵커는, 자체 저면에서 레일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의 단부 영역에, 사전 조립 위치에 인장 부재를 맞물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체결 앵커는, 자체 저면에서 레일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의 단부 영역에, 중립화 위치에 인장 부재를 맞물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제2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체결 앵커는, 자체 저면에, 최종 조립된 상태에서 인장 부재의 토션 다리부들을 안착시키기 위한 2개의 그루브 모양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체결 앵커를 침목 나사를 통해 혹은 이 침목 나사와 연결된 와셔를 통해 구현하는 점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유지판은, 인장 부재를 조립할 시에 인장 부재를 안내하기 위해, 레일의 종축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호 모양 함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유지판은, 인장 부재가 조립된 상태에서 그 인장 부재를 안착시키기 위한 2개의 접촉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유지판은 자체 저면에, 침목 내 대응하는 오목부 내에 삽입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레일의 종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안된 구현예를 이용하여, 인장 부재가 경제적인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는 점이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른 인장 부재는 상대적으로 작은 설계 공간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제안된 레일 체결구는 수많은 적용 상태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과하중 상태에 대해 레일 체결구의 2 단식 과하중 방지가 제공되며, 그럼으로써 레일이 너무 많이 기울어지는 점도 확실하게 억제되며, 그리고 브래킷의 소성 변형이 회피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음에서 도면에 따라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1은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도1에 따른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은 도1에 따른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4는 도3에 따른 레일 체결구를 아래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5는 예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레일 체결구의 인장 부재를 시한 평면도이다.
도6은 인장 부재를 (도5에 따라 A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7은 도6에 대응하는 인장 부재를 보다 더 아래의 시야 각도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8은 인장 부재를 (도5에 따라 B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9는 인장 부재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0은 인장 부재를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은 레일 체결구의 유지판을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2는 도11에 따른 유지판을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3은 레일 체결구의 체결 앵커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4는 도13에 따른 체결 앵커를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5는 조립의 제1 단계, 다시 말해 사전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6은 조립의 제2 단계, 다시 말해 중립화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7은 조립의 제3 단계, 다시 말해 중간 단계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8은 조립을 완료한 후의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19는 레일 헤드부에 수평 하중이 과도한 경우 레일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한 과하중 방지와 관련하여 도18에 대응하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20은 인장 부재의 단부들을 위한 오목부들을 구비한, 레일 체결구의 유지판을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1은 체결 앵커와 함께 일체형으로 구현된 유지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2는 콘크리트 침목 앵커와 더불어 체결 앵커와 일체형으로 구현된 유지판의 대체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3은 체결 앵커와 함께 유지판이 통합되어 있는 레일 바닥판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4는 도23에 따른 레일 바닥판 상에 인장 부재를 이용하여 고정된 레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5는 체결 앵커가 독립적으로 체결되어 있되, 그 체결은 후크 볼트를 통해 이루어지는, 도24에 대체되는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6은 도25에 따른 실시예를 하부로부터 바라보고 부분적으로는 단면도로써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7은 전철기 영역용 슬라이드 체어 플레이트를 구비한 본 발명의 대체되는 구현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8은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구현된 인장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9는 도28에 따른 인장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0은 체결 앵커가 침목 나사에 의해 형성되어 있으며, 더욱 정확하게는 사전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1은 도30에 따른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2는 도30에 따른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3은 도30 내지 도32에 따른 레일 체결구로서, 더욱 정확하게는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상기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34는 도33에 따른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35는 도33에 따른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6은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구현된 인장 부재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7은 도36에 따른 인장 부재를 (도36에 따라 A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8은 도36에 따른 인장 부재를 (도36에 따라 B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9는 도36 내지 도38에 따른 인장 부재를 구비하여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0는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구현된 또 다른 인장 부재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1은 도40에 따른 인장 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42는 도40에 따른 인장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3은 도40 내지 도42에 따른 인장 부재를 구비하여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4 및 도45는 도40 내지 도42에 따른 인장 부재를 구비하여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46은 대체되는 방법에 따라 구현된 또 다른 인장 부재를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7은 도46에 따른 인장 부재를 또 다른 시야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48은 도46 내지 도47에 따른 인장 부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49는 도46 내지 도48에 따른 인장 부재를 구비하여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50 및 도51은 도46 내지 도48에 따른 인장 부재를 구비하여 최종 조립 위 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각각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서 바라보고 도시한 각각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 인장 부재
1a': 토션 다리부
1a": 토션 다리부
1b: 연결 구간
1c': 토션 다리부의 단부
1c": 토션 다리부의 단부
1d':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loop-shaped clamping section)
1d":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
1e': 클램핑 구간의 단부
1e": 클램핑 구간의 단부
1f': 직선 구간
1f": 직선 구간
1g': 그루브 모양 함몰부
1g": 그루브 모양 함몰부
1h': 제1 접촉면
1h": 제1 접촉면
1i': 측면 영역
1i": 측면 영역
1k': 제2 접촉면
1k": 제2 접촉면
2: 침목
3: 유지판
4: 체결 앵커
5: 레일 베이스
6: 레일
7: 대칭 평면
8: 종축
9: 제1 평면
10: 제2 평면
11: 축
12: 침목 나사
13: 체결 앵커의 저면
14': 측면 단부 영역
14": 측면 단부 영역
15': 접촉면
15": 접촉면
16': 측면 단부 영역
16": 측면 단부 영역
17':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groove-shaped locking depression)
17":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
18':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
18": 제2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
19': 그루브 모양 접촉면
19": 그루브 모양 접촉면
20': 호 모양 함몰부(arc-shaped depression)
20": 호 모양 함몰부
21': 접촉면
21": 접촉면
22: 유지판의 저면
23: 돌출부
24: 침목 내 오목
25: 오목부
26: 후크 볼트
27: 콘크리트 침목 앵커
28: 레일 바닥판
29: 슬라이드 체어 플레이트(slide chair plate)
30: 레일 스템(rail stem)
31: 레일 이음판
α: 각도
s1: 제1 이격 간격
s2: 제2 이격 간격
도1 내지 도4는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의 기본적인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레일(6)은 침목(2) 상에, 혹은 레일 바닥판(도23 참조) 상에 체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침목(2)의 경우 침목(2) 내에 오목부(24)가 제공되며, 그 오목부의 형태는 침목(2) 상에 안착되는 유지판(3)의 돌출부에 대응한다. 오목부(24)는 공지된 각도 안내판의 형태에 상응하거나 혹은 또 다른 방식으로 고안될 수 있다. 침목 나사(12)를 이용하여, 판 모양으로 구현된 체결 앵커(4)가 유지판(3) 내지 침목(2)에 고정된다. 체결 앵커(4)와 유지판(3) 사이에는 인장 부재(1)가 배치되고, 이 인장 부재는 조립된 상태에서 레일 베이스(5) 상에 압력힘을 인가하고, 그에 따라 레일(6)을 목표하는 위치에 고정한다.
도2에서 볼 수 있듯이, 인장 부재(1)는 대칭이 되는 방식으로 구현되고, 대칭축(7)은 수직으로 배치되고, 레일(6)의 종축 상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인장 부재(1)의 특유의 구성은 도5 내지 도10에 도시되어 있다.
도5로부터 가장 잘 알 수 있듯이, 인장 부재(1)는 2개의 토션 다리부(1a' 및 1a")로 구성되고, 이들 토션 다리부들은 대칭 평면(7)에 대해 대칭이 되게 배치되 고 상호 간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토션 다리부들은 연결 구간(1b)을 통해 상호 간에 연결된다. 토션 다리부(1a', 1a")의 단부(1c' 내지 1c")에는,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이 배치되는데, 다시 말해 둥근 구간을 통해 토션 다리부(1a', 1a")가 클램핑 구간(1d', 1d")으로 전환된다. 클램핑 구간(1d', 1d")은, 인장 부재(1)에 대한 평면도(도5 참조)로 알 수 있듯이 본질적으로 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형성되는 방식으로 고안된다. 클램핑 구간(1d', 1d")은 (둥글게 형성되어) 자체 단부(1e', 1e")에까지 연장되고, 이 클램핑 구간의 단부는 토션 다리부(1a', 1a")의 단부(1c', 1c") 근처에 위치한다.
상기한 단부 영역(1e', 1e")은 직선 구간(1f', 1f")으로서 고안되어, 정상적인 운영 상태에서 레일 베이스(5)의 상부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를 위해, 도7, 도8 및 도10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그루브 모양 함몰부(1g', 1g")가 인장 부재(1) 내에, 이름 그대로 직선 구간(1f', 1f") 내에 구성되며, 그럼으로써 인장 부재(1)는 직선 구간(1f', 1f")의 영역에서 레일 베이스(5)의 어깨 반경부 상에 (단지 지점에서뿐만 아니라) 평평하게 안착된다.
도6에서 가장 잘 확인할 수 있듯이, 두 토션 다리부(1a', 1a")는 연결 구간(1b)과 함께 본질적으로 제1 평면(9)에 위치한다. 그에 반해 클램핑 구간(1d', 1d")의 일부분은 제2 평면(10)에 위치하고, 이 평면(10)은 축(11)을 중심으로 각도(α)만큼 평면(9)에 대향하여 비틀어져 있다. 이와 관련하여 축(11)은 제1 평면(9)과 함께 대칭 평면(7)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축에 대해 평행하게 배향되는데, 다시 말해 그 축(11)은 도6에서 도면 평면에 수직으로 위치한다. 각도(α)는 예압 되지 않았거나 단지 부분적으로만 예압된 상태에서 5° 내지 30°이다.
상기한 실시예를 통해, 인장 부재(1)를 조립한 후에 단지 직선 구간(1f', 1f")의 영역에만 인장 부재(1)를 정의한 바대로 접촉시키는 점이 달성된다. 그렇지 않으면, 정상적인 운영 조건에서, 인장 부재(1)는 레일 베이스(5)에 접촉하지 않는다.
도8로부터 알 수 있듯이, 인장 부재(1)는 유지판(3) 내지 체결 앵커(4)와 최적화되어 상호 작용하기 위해 전체적으로 다소 만곡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8로부터는, 클램핑 구간(1d', 1d")의 최선단 부분이 토션 다리부의 평면으로부터 어떤 형태로 선회되어 나오는지를 분명하게 알 수 있다.
레일(6)의 헤드부에 측면으로 과도한 수평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 다시 말해 레일(6)이 자체 종축(8)을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될 때, 인장 부재(1)가 손상되거나 과하중을 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하기와 같은 배치가 이루어진다:
인장 부재에서, 다시 말해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의 영역에서, 클램핑 구간(1d', 1d")의 측면 영역(1i', 1i")에는 제1 접촉면(1h', 1h")이 제공된다. 레일(6)이 더욱 강하게 기울어지는 경우, 레일 베이스(5)는 추가로 상기한 접촉면(1h', 1h")을 가압하며, 그럼으로써 레일 베이스(5)에 가해지는 인장 부재(1)의 탄성력은 상승하게 된다. 다시 말해, 제1 접촉면(1h', 1h")을 통해, 과하중 방지의 제1 단계가 제공된다.
만일 레일(6)이 더욱 강하게 기울어진다면, 클램핑 구간(1d', 1d")에는 제2 접촉면(1k', 1k")이 제공되고, 이 제2 접촉면은 클램핑 구간(1d', 1d")이 추가로 상승할 시에 함께 상승되면서, 체결 앵커(4)에 제공된 접촉면(15', 15")(도14 참조)을 가압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장 부재(1)가 과도하게 비틀어지거나, 그로 인해 손상되지도 않으면서, 레일(6)이 추가로 기울어지는 점에 대항하여 높은 저항력이 제공된다.
도11 및 도12는 사용하는 유지판(3)의 가능한 해결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저면(22)에서, 유지판(3)은 돌출부(23)를 포함하고, 이 돌출부의 형태는 침목(2) 내 각각의 오목부(24)에 대응한다(도3 및 도4 참조). 그에 따라 침목(2) 상에서 유지판(3)의 정확한 안착이 보장된다. 유지판(3)은 상부면에 2개의 호 모양 함몰부(20', 20")를 구비하고, 이들 함몰부들은 인장 부재(1)를 조립 시에 그 인장 부재(1)의 삽입을 보조한다. 인장 부재(1)는 최종 조립된 상태에서 유지판(3)에 제공된 접촉면들(21', 21")에 안착된다. 호 모양 내지 U자 홈 형태의 함몰부들은, 조립 공구를 이용하여 후방으로부터 인장 부재(1)를 삽입할 시에 큰 도움이 된다. 다시 말해 체결 앵커(4)를 분리할 필요가 없다. 상기한 함몰부들은 더욱 큰 힘을 소모하지 않고 후방으로부터 인장 부재를 밀어넣기 위해 이용된다. 만일 상기한 함몰부들이 없다면, 밀어넣을 시에 인장 부재를 완전히 그 최종 예압 상태로 압착해야 한다.
체결 앵커(4)는 도13 및 도14에 도시되어 있다. 판 모양으로 구현된 체결 앵커(4)의 저면(13)은 최종 조립된 위치에서 인장 부재(1)의 조립 및 고정을 개선시키는 다양한 특징 부분들을 포함한다. 체결 앵커(4)에 있어 레일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의 측면 단부 영역들(14', 14")에는 우선 앞서 언급한 접촉면들(15', 15")이 배치되고, 이들 접촉면들에는 제2 과하중 방지 단계에서 클램핑 구간들(1d', 1d")이 자체 제2 접촉면들(1k', 1k")을 이용하여 안착된다.
조립 시에, 인장 부재(1)는 우선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들(17', 17") 내에 안착될 때까지 레일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한 고정 함몰부들은 측면 단부 영역들(16', 16")에 배치되는데, 다시 말해 일체형으로 성형된다. 조립 후에 레일(6)의 방향으로, 그에 따라 자체 최종 위치의 방향으로 인장 부재(1)를 추가로 삽입할 시에, 인장 부재(1)는 제2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18', 18")에 위치하게 된다. 그런 다음 조립 최종 위치에서 인장 부재(1)는 그루브 모양 접촉면들(19', 19") 내에 안착한다.
레일 체결구의 조립 순서는 도15 내지 도18로부터 알 수 있다.
도5는 조립의 제1 단계, 다시 말해 사전 조립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체결 앵커(4)는 유지판(3)과 함께 침목 나사(12)를 이용하여 (궤도에서 혹은 침목 공장에서) 사전 조립되고, 이때 침목 나사(12)는 완전하게 조여진다. 유지판(3)과 체결 앵커(4)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에는 인장 부재(1)가 우선 작업자에 의해 직접 삽입된다. 그런 다음 조립 공구를 이용하여 인장 부재(1)는 레일의 방향으로 계속해서 삽입될 수 있다. 이는 클램핑 구간들(1d', 1d")의 최선단 영역들이 체결 앵커(4) 내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들(17', 17") 내에 위치할 때까지 이루어진다.
도16은 조립의 제2 단계, 다시 말해 중립화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인장 부재(1)는 중립화 위치에서 클램핑 구간들(1d', 1d")의 최선단 영역들이 체결 앵 커(4) 내의 제2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들(18', 18") 내에 위치할 때까지 레일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와 같은 인장 부재(1)의 위치에서, 조립 작업 동안 레일(6)이 기울어지는 현상은 억제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인장 부재(1)로부터 극미한 인장력이 생성된다.
도17에서 볼 수 있듯이, 조립의 제3 단계, 다시 말해 중간 단계에서, 인장 부재(1)는 계속해서 레일의 방향으로 삽입된다. 이는 중립화 위치와 최종 예압 위치 사이에서 인장 부재가 변형되는 단계이다. 이 위치에서 인장 부재(1)로부터 평균 인장력이 생성된다. 또한, 이 위치에서 인장 부재는 유지판과 체결 앵커 사이에서 고정된다.
도18은 조립의 제4 단계, 다시 말해 최종 예압 위치를 도시하고 있다. 그에 따라 인장 부재(1)는 운영 중인 레일이 기울어지는 것을 억제한다. 그리고 충분한 최종 예압력이 적용 상태에 따라 생성된다. 이에 인장 부재(1)는 3곳의 영역에서 안착 내지 장착된다. 직선 구간들(1f', 1f")의 영역에서 인장 부재(1)는 레일 베이스(5)를 가압한다. 체결 앵커(4)에서, 인장 부재(1)는 그루브 모양 접촉면들(19', 19")에 안착된다. 유지판(3)의 경우에는, 인장 부재가 접촉면들(21', 21")에 접촉한다.
인장 부재(1)의 과하중에 대항하는 조치는 도19로부터 알 수 있다:
과하중 방지의 제1 단계에서, 인장 부재(1)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의 제1 접촉면들(1h', 1h")은 레일 베이스(5) 상에 장착된다.
제1 과하중 방지 단계에서, 도19에 s1로 표시된 제1 이격 간격은 영(0)에 근접하는데, 다시 말해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과 레일 베이스 사이에 접촉이 발생한다.
과하중 방지의 제2 단계에서,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은 제2 접촉면들(1k', 1k")을 이용하여 체결 앵커(4)의 접촉면들(15', 15")에서 지지된다.
제2 과하중 방지 단계에서, 도19에 s2로 표시된 제2 이격 간격은 영(0)에 근접하는데, 다시 말해 상기한 클램핑 구간과 체결 앵커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진다.
본 실시예에 따라,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은 토션 다리부들(1a', 1a")에 연결되면서 대칭 평면(7)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또한, 기본적으로 클램핑 구간들(1d', 1d")은 대칭 평면(7) 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유지판(3)은 본 실시예에 따라 별도의 구조 부재로서 구현된다. 또한, 유지판(3)은 리브판(ribbed plate)의 구성 부분이거나, 혹은 체결 앵커(4)와 분리되지 않게 결합될 수도 있다.
도시한 조립 절차는, 인장 부재(1)를 삽입하기 전에, 침목 나사(12)가 최종 토크로써 조여지는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침목 나사(12)는 인장 부재(1)가 삽입된 후에 비로소 (완전하게) 조여질 수 있는데, 더욱 정확하게 말하면, 예컨대 침목 공장에서, 다시 말해 레일을 조립하기 전에는 사전 조립 위치에서, 혹은 레일을 조립한 후에는 중립화 위치 혹은 최종 예압 위치에서 조여질 수 있다.
도20은 레일 체결구의 유지판(3)을 상부로부터 바라보고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11에 따른 해결 방법에 대한 차이점은 본질적으로 유지판(3)에 있어 레일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의 단부에는 오목부들(25)이 제공되어 있다는 점에 있다. 상기한 오목부들(25)은 인장 부재(1)의 클램핑 구간의 단부들(1e')을 안착시키기 위해 제공된다. 다시 말해 오목부들(25)은 조립된 상태에서 인장 부재를 위치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오목부들(25)은 또한 도2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해결 방법에서도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유지판(3)과 체결 앵커(4)는 이미 공지된 바와 같이 일체형으로 고안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레일의 조립 내지 분해는 조립 공구로서 그에 상응하게 형성된 장착 클로(mounting claw) 내지 당김 클로(pulling claw)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도22는 도21에 따른 해결 방법을, 다시 말해 유지판(3) 및 체결 앵커(4)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있는 예를 도시하고 있되, 이와 관련하여 체결 장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하는 콘크리트 침목 앵커(27)가 제공된다. 콘크리트 침목 앵커(27)는 형상 고정 방식으로 콘크리트 침목 내에 통합 주조될 수 있다.
도23은 유지판(3)이 내부에 통합되어 있는 레일 바닥판(28)을 도시하고 있다. 체결 앵커(4)도 재차 일체형으로 함께 성형된다. 레일(6)이 레일 바닥판(28) 상에 인장 부재(1)를 이용하여 고정되는 방법은 도24로부터 알 수 있다. 레일 바닥판(28) 내에 유지판(3)을 통합하는 방법은 예컨대 레일 바닥판을 제조할 시에 일차 성형(주조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유지판은 또한 예컨대 별도의 부재 로서 레일 바닥판(28) 상에 용접 체결될 수도 있다.
도25 및 도26은 대체되는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체결 앵커(4)는 별도의 부재로서 구현되어, 후크 볼트(26)를 이용 레일 바닥판(28)과 체결된다. 인장 부재(1)의 매우 평평한 설계 형태를 바탕으로, 인장 부재는 또한 전철기 혹은 교차 영역에서 내부의 기본 혹은 주행 레일 예압부로서 이용될 수도 있다.
도27은 전철기 영역의 슬라이드 체어 플레이트(29)를 도시하고 있다. 이 슬라이드 체어 플레이트 상에는 레일(6)이 인장 부재(1)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인장 부재의 변형예는 도28 및 도29로부터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알 수 있듯이, 두 토션 다리부(1a' 및 1a")는 상호 간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연결 구간(1b)과 함께 V자 모양으로 구현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따른 제안으로써 레일 인장 부재들과 관련하여 지금까지 적용되는 모든 관련 체결 변형예들이 인장 부재 형태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전술한 실시예들의 경우, 항시 침목 나사(12)는 체결 앵커(4)를 고정시킨다. 그러나 이는 필연적인 사항은 아니다. 또한, 체결 앵커(4)를 사용하지 않고도, 침목 나사(12)는 직접 인장 부재 상에 작용하면서 그 인장 부재를 고정시킬 수도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30 내지 도35가 대응하는 구현예를 도시하고 있다. 침목 나사(12)는 와셔와 연결될 수 있거나 그런 와셔를 포함할 수 있다. 우선 도30 내지 도32는 사전 조립 위치에 있는 인장 부재(1)를 도시하고 있다. 도33 내지 도35는 최종의 조립 위치에 있는 인장 부재(1)를 도시하고 있다. 조립과 관련하여서는 전 술한 실시예들이 결부된다.
인장 부재(1)와 관련한 대체되는 구현예는 도36 내지 도38로부터 알 수 있다. 도39는 상기한 인장 부재(1)를 구비하여 최종 조립 위치에 있는 레일 체결구를 도시하고 있다.
예컨대 도5에 도시한 인장 부재(1)의 실시예와 도36 내지 도38에 도시한 해결 방법 사이의 차이점은,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의 형태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 있다. 도5에 따른 해결 방법에와 같이, 인장 부재(1)는 우선 토션 다리부(1a', 1a")의 단부들(1c', 1c")로부터 대칭 평면(7)에서 멀어지는 방식으로 연장되고, 그런 다음 레일(6)로부터 멀어지면서 후방을 향해 연장된다. 그런 다음 비로소 인장 부재(1)는, 단부(1e', 1e")에서 레일 베이스(5) 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고리 모양으로 다시 레일(6)의 방향으로 연장된다(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 그러므로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에 대해, 토션 다리부들(1a', 1a")로부터 클램핑 구간들의 단부(1e', 1e")에 이르기까지 S자 모양의 연장부가 제공된다. 도5에 따른 해결 방법의 경우, 그 전환부들은 부분적으로 직선으로 연장된다(도5의 구간(1k', 1k") 참조).
또한, 도36 내지 도38에 도시한 실시예는, 지지면들(예컨대 도10의 1g', 1g"를 참조)이 변경되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해결 방법의 경우, 단부들(1e', 1e")은 레일(6)의 길이방향에 대해 평행을 이룰 때까지 레일 베이스 상부면에 경사져서 안착되는데, 이는 도36과 도39로부터 알 수 있다. 도5에 따른 앞서 기술한 해결 방법의 경우, 단부들(1e', 1e")은 본질적으로 레일 종축에 대해 직각으로 위 치한다.
단부들(1e', 1e")에 제공되는 지지면들(1g', 1g")은 도36 내지 도39에 따른 해결 방법의 경우 간단하게 평평한 모양으로 가공되어, 레일 베이스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그렇게 함으로써, 인장 부재(1)와 레일 베이스(5) 사이의 지지면 내지 접촉면은 확대되고, 그에 따라 길이 방향으로 레일(6)이 이동함으로써 발생하는 추가의 마모가 억제된다.
도36 내지 도39에 따른 해결 방법과 관련하여, 본원의 레일 체결구는, 도3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예컨대 레일 이음판(31)이 장착될 때에도 레일 스템에 대한 이격 거리와 관련하여 본질적으로 더욱 작은 조립 공간을 갖는다는 점이 확인된다. 그러므로 도36 내지 도39에 따른 해결 방법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40 내지 도45에 도시한 인장 부재(1)의 변형예는 도36 내지 도39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다. 그러나 본 변형예의 경우, 클램핑 구간(1d', 1d")의 단부들(1e', 1e")은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이 경우 단부 영역들(1e', 1e")은 45°보다 더 큰 각도만큼 혹은 그와 동일한 각도만큼 내부 방향으로 향해 만곡되어 있다(특히 도41 참조). 만곡된 부분(1e', 1e")은 경우에 따라 제공되는 평평한 저면으로써 완전하게 레일 베이스 상부면 상에 장착된다.
인장 부재(1)의 추가로 변경된 변형예는 도46 내지 도51로부터 알 수 있다. 이 경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은 단축되어 구현된다. 다시 말해 전술한 실시예들과 비교하여, 클램핑 구간에 있어 레일(6)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의 단부 영역은 절단되었으며, 그럼으로써 클램핑 구간은 단지 기본적인 형태로만 구현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변형예는, 조립 공간이 매우 제한된 경우에 제공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명의 컨셉 자체는 레일의 신뢰되는 예압을 가능케 한다. 예를 들어, 조립 공간은, 그 외에 정상적인 규격에 따른 레일 체결구의 장착이 더 이상 가능하지 않은 점에 한해서 특수한 레일 이음판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Claims (29)

  1. 궤도 시스템용 논포지티브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로서, 탄성 소재, 특히 경화된 스프링 강으로 이루어진 인장 부재(1)를 포함하고, 이 인장 부재는, 조립된 상태에서, 레일(6)을 제위치에 고정하기 위해 레일(6)의 레일 베이스(5) 상에 유지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침목(2)에 배치된 유지판(3)과 체결 앵커(4) 사이에 고정되며, 또한 상기 인장 부재(1)는 상기 레일(6)의 종축(8)에 수직으로 위치하여 수직으로 배향된 대칭 평면(7)에 대해 대칭이 되게 형성되는 상기 레일 체결구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1)는,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유지판(3)과 상기 체결 앵커(4) 사이에서 적어도 광범위하게 배치되는 2개의 토션 다리부(1a', 1a")를 포함하고, 이 두 토션 다리부(1a', 1a")는 상기 레일(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측면에서 연결 구간(1b)에 의해 상호 간에 연결되며; 그리고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에 있어 상기 레일(6)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그들의 단부들(1c', 1c")에는 각각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이 배치되고, 이 클램핑 구간은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에 연결되어 우선 평면(7)에 대해 대체로 수직으로 연장되며, 그런 다음 상기 클램핑 구간은 또한 이 클램핑 구간(1d', 1d")의 단부들(1e', 1e")이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의 단부들(1c', 1c") 영역에 도달할 때까지 고리 모양으로 연장될 수 있고, 이에 상기 클램핑 구간들의 단부들(1e', 1e")은 상기 레일 베이스(5) 상에 지지면을 형성하고;
    상기 인장 부재(1)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은 연결 구간(1b)과 함께 대체로 제1 평면(9)에 위치하며, 그리고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의 적어도 일부분은 제2 평면(10)에 위치하고, 이 제2 평면(10)은, 상기 제1 평면(9)과 함께 상기 대칭 평면(7)에 의해 형성되는 단면축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축(11)을 중심으로 상기 제1 평면(9)에 대향하여 비틀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1)가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제2 평면(10)은 대부분 상기 제1 평면(9)과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부재(1)의 두 토션 다리부(1a', 1a")는 대체로 상호 간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은 상기 인장 부재(1)가 조립되고 상기 레일(6)은 정상적인 하중 상태에 있는 조건에서 단지 클램핑 구간(1d', 1d") 자신의 단부들(1e', 1e")을 이용하여서만 상기 레일 베이스(5)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구간(1d', 1d")의 단부들(1e', 1e")은 조립된 상태에서 단부 자신들을 위해 상기 유지판(3)에 제공되는 오목부들(25) 내에 맞물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 내의 오목부들(25)은 맞물림 고정 돌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은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의 단부(1c', 1c")로부터 우선 평면(7)에 대해 대체로 수직이 되게 연장되며, 그런 다음, 호 모양 연장부에서 다시금 레일(6)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일(6)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은 부분적으로 S자모양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은 평면도로 볼 때 대체로 원형 혹은 타원형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원형 혹은 타원형 구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은 상기 토션 다리부들(1a', 1a")에 연결되어 우선 대체로 수직이 되게 상기 대칭 평면(7)으로부터 멀어지면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평면(9)과 상기 제2 평면(10) 사이의 각도(α)는 상기 인장 부재(1)가 인장되지 않은 상태에서 5°와 3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의 단부들(1e', 1e")은 직선 구간(1f', 1f")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선 구간들(1f', 1f")은 상호 간에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d")의 단부들(1e', 1e")은, 특히 상기 직선 구간들(1f', 1f")은 상기 레일 베이스(5) 상에 지지면으로서 형성되는 그루브 모양 함몰부(1g', 1g")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은 상기 레일 베이스(5)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클램핑 구간(1d', 1d") 자신의 측면 영역(1i', 1i")에 제1 접촉면(1h', 1h")을 포함하고, 이 제1 접촉면은, 상기 레일(6) 상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과하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레일 베이스(5)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6. 제 15 항에 있어서, 각각의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1d', 1d")은 체결 앵커(4)에 안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2 접촉면(1k', 1k")을 포함하고, 이 제2 접촉면은, 상기 레일(6) 상에 작용하는 하중이 제1 과하중 상태를 초과하는 더욱 강한 제2 과하중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에, 상기 체결 앵커(4)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은 레일 바닥판(28) 내에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 및 상기 체결 앵커(4)는 2개의 부재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 및 상기 체결 앵커(4)는 후크 볼트(26) 를 이용하여 체결되거나 혹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앵커(4)는 판 모양으로 형성되며, 그리고 침목 나사(12)에 의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1.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 및 상기 체결 앵커(4)는 일체형으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앵커(4)는, 자체 저면(13)에서 상기 레일(6)의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의 단부 영역들(14', 14")에, 상기 고리 모양 클램핑 구간들(1d', 1")을 위한 접촉면들(15', 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앵커(4)는, 자체 저면(13)에서 상기 레일(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의 단부 영역들(16', 16")에, 사전 조립 위치에 상기 인장 부재(1)를 맞물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제1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17', 1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앵커(4)는 자체 저면(13)에서 상기 레일(6)의 반대 방향으로 향해 있는 자체 측면의 단부 영역들(16', 16")에, 중립화 위치에 상기 인장 부재(1)를 맞물림 고정하기 위한 각각의 제2 그루브 모양 고정 함몰부(18', 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5. 제 1 항 내지 제 2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앵커(4)는, 자체 저면에, 최종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인장 부재(1)의 토션 다리부들(1a', 1a")을 안착시키기 위한 2개의 그루브 모양 접촉면(19', 1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6. 제 1 항 내지 제 20 항, 혹은 제 22 항 내지 제 2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 앵커(4)는 상기 침목 나사(12)에 의해, 혹은 이 침목 나사(12)와 연결된 와셔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7. 제 1 항 내지 제 2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은, 상기 인장 부재(1)를 조립할 시에 상기 인장 부재(1)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레일(6)의 종축(8)에 대해 수직으로 연장되는 2개의 호 모양 함몰부(20', 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8. 제 1 항 내지 제 2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은 상기 인장 부재(1)가 조립된 상태에서 인장 부재(1)를 안착시키기 위한 2개의 접촉면(21', 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29. 제 1 항 내지 제 2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판(3)은, 자체 저면(22)에, 침목(2) 내의 대응하는 오목부(24) 내에 맞물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레일(6)의 종축(8)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 체결구.
KR1020077010619A 2004-12-09 2005-12-09 철도 선로 시스템용 억지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 KR1009334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04059536.4 2004-12-09
DE102004059536 2004-12-09
DE102005048829.3 2005-10-12
DE102005048829A DE102005048829A1 (de) 2004-12-09 2005-10-12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PCT/EP2005/013211 WO2006061234A1 (de) 2004-12-09 2005-12-09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befestigung für gleisan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9673A true KR20070089673A (ko) 2007-08-31
KR100933474B1 KR100933474B1 (ko) 2009-12-23

Family

ID=36091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10619A KR100933474B1 (ko) 2004-12-09 2005-12-09 철도 선로 시스템용 억지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7637438B2 (ko)
EP (1) EP1825060B1 (ko)
JP (1) JP4592759B2 (ko)
KR (1) KR100933474B1 (ko)
CN (1) CN101072914B (ko)
AT (1) ATE520827T1 (ko)
AU (1) AU2005313507B2 (ko)
BR (1) BRPI0518403A2 (ko)
CA (1) CA2590099C (ko)
DE (1) DE102005048829A1 (ko)
ES (1) ES2371907T3 (ko)
MX (1) MX2007006892A (ko)
RU (1) RU2381319C2 (ko)
WO (1) WO2006061234A1 (ko)
ZA (1) ZA20070334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36B1 (ko) * 2008-12-11 2011-09-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횡압력 감쇄장치와 이를 이용한 침목 체결구조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3724B3 (de) * 2004-07-13 2005-10-27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DE102005048829A1 (de) * 2004-12-09 2006-06-29 SCHWIHAG GESELLSCHAFT FüR EISENBAHNOBERBAU MBH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DE102005058444B3 (de) * 2005-12-07 2007-04-26 Db Netz Ag Befestigungsmittel für Bahnschienen
DE202006009340U1 (de) * 2006-06-14 2006-08-17 Seifert, Dietrich Vorrichtung zur Lagesicherung und Führung von Schienen
WO2008003340A1 (de) * 2006-07-05 2008-01-10 Transroad Group (Uk) Limited Federklemme für eine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eisenbahnschiene auf einer schwelle
DE102007025708B4 (de) * 2007-06-01 2009-06-18 Schwihag Ag Kraftschlüssige 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DE102007045466B3 (de) * 2007-09-21 2009-08-06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HRP20070525A2 (hr) * 2007-11-15 2010-02-28 Debeljak Tomislav Elastična kopča i postupak pričvrščivanja tračnica na željezničke pragove
HUP0800082A2 (en) * 2008-02-12 2009-10-28 Robert Csepke Clamping device for fastening railway rails on cross-sleeper and fastener spring thereof
DE102008028093A1 (de) * 2008-06-13 2009-12-17 Wirthwein Ag Stützpunkt und Befestigung für Schienen auf einer Holzschwelle
US20110047786A1 (en) * 2009-02-11 2011-03-03 Vossloh-Werke Gmbh Guide plate for a system for securing a rail on a substrate and a system comprising such guide plate
DE102009041112B4 (de) 2009-09-15 2014-10-30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Befestigung einer Schiene
DE102010013055A1 (de) * 2010-03-26 2011-09-29 Thyssenkrupp Gft Gleistechnik Gmbh Spannklemme
CA2809062A1 (en) * 2010-08-24 2012-03-01 Vossloh-Werke Gmbh System for fastening a rail and method for renovating a rail fastening point
DE102010050200A1 (de) * 2010-11-04 2012-05-10 Vossloh-Werke Gmbh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US8844836B2 (en) * 2010-11-04 2014-09-30 Vossloh-Werke Gmbh Rail clamp for attaching a rail and system provided with a rail clamp of this type
US9045866B2 (en) * 2010-11-04 2015-06-02 Vossloh-Werke Gmbh Tensioning clamp for fastening a rail and system equipped with a tensioning clamp of this type
DE102010050199A1 (de) * 2010-11-04 2012-05-10 Vossloh-Werke Gmbh Spannklemme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und mit einer solchen Spannklemme ausgestattetes System
UA114947C2 (uk) * 2013-01-14 2017-08-28 Грінрейл С.Р.Л. Композитна залізнична шпала
CN106012704A (zh) * 2016-07-21 2016-10-12 铁法煤业(集团)有限责任公司晓南矿 用于钢轨与轨枕联接的e型弹销
DE102016216529A1 (de) * 2016-09-01 2018-03-01 Schwihag Ag 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PT3346054T (pt) * 2017-01-10 2022-01-19 Schwihag Ag Braçadeira de tensão e sistema de fixação de carris para a fixação de carris ferroviários
KR101987102B1 (ko) 2018-09-20 2019-06-10 주식회사 엔트켐 레일 체결장치의 가이드 플레이트 체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80336A (en) * 1958-02-25 1961-04-18 Vossloh Werke Gmbh Rail attachment means for use in railway tracks
JPS4632564Y1 (ko) * 1966-09-05 1971-11-10
DE1261151B (de) * 1966-10-29 1968-02-15 Meier Hermann Dr Ing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lastischer Klemme
GB1327814A (en) * 1970-02-20 1973-08-22 Molyneux G Anchorages for track rails
GB1475989A (en) * 1973-05-21 1977-06-10 French M Clip devices
JPS51106910A (ja) * 1975-03-15 1976-09-22 P S Concrete Reerudanseiteiketsusochi
US4067495A (en) * 1975-08-28 1978-01-10 Portec Inc., Railway Products Div. Unitary spring clip rail fastener
JPS54151203A (en) 1978-05-19 1979-11-28 Tetsudo Kizai Kogyo Co Ltd Elastic connecting device of rail
JPS5733042Y2 (ko) 1978-07-24 1982-07-21
ZA796441B (en) * 1978-11-29 1980-11-26 Pandrol Ltd A rail clip and apparatus for making it
CA1203788A (en) * 1981-05-26 1986-04-29 True Temper Railway Appliances, Inc. Two piece rail fastening assemblies for wooden cross ties
DE3334119C2 (de) 1983-09-21 1985-07-11 Vossloh-Werke Gmbh, 5980 Werdohl Vorrichtung zur Schienenbefestigung mittels elastischer Spannklemme
DE3400110A1 (de) * 1984-01-04 1985-07-11 Karl Richtberg GmbH & Co. KG, 6530 Bingen Kraftschluessig-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uer gleisanlagen
DE3408597C2 (de) * 1984-03-09 1986-03-13 Hoesch Ag, 4600 Dortmund Betonschwelle mit Schienenbefestigungen
DE3709034A1 (de) * 1986-10-08 1988-04-21 Siegfried Keusch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auf einer schwelle
DE8906790U1 (ko) * 1989-06-02 1989-08-31 Vossloh-Werke Gmbh, 5980 Werdohl, De
US5046907A (en) * 1990-04-23 1991-09-10 Hans J. von Lange One-piece elastic rail mounting clip
US5735458A (en) * 1991-12-18 1998-04-07 Pandrol Limited Fastening railway rails
IN185922B (ko) * 1991-12-18 2001-05-19 Pandrol Ltd
GB9811591D0 (en) * 1998-05-30 1998-07-29 Penny Charles Railway or tramway rail and rail fastening system
CA2270299A1 (en) * 1998-10-14 2000-04-14 Jude Igwemezie Rail retaining device
DE102004033724B3 (de) * 2004-07-13 2005-10-27 Vossloh-Werke Gmbh System zum Befestigen einer Schiene für Schienenfahrzeuge
DE102005048829A1 (de) * 2004-12-09 2006-06-29 SCHWIHAG GESELLSCHAFT FüR EISENBAHNOBERBAU MBH Kraftschlüssig-elastische Schienenbefestigung für Gleisanlagen
DE102005058444B3 (de) * 2005-12-07 2007-04-26 Db Netz Ag Befestigungsmittel für Bahnschien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7836B1 (ko) * 2008-12-11 2011-09-27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횡압력 감쇄장치와 이를 이용한 침목 체결구조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007125723A (ru) 2009-01-20
RU2381319C2 (ru) 2010-02-10
KR100933474B1 (ko) 2009-12-23
CA2590099A1 (en) 2006-06-15
CN101072914B (zh) 2011-01-26
MX2007006892A (es) 2007-10-18
EP1825060B1 (de) 2011-08-17
CN101072914A (zh) 2007-11-14
WO2006061234A1 (de) 2006-06-15
US20080105758A1 (en) 2008-05-08
AU2005313507B2 (en) 2010-11-25
ATE520827T1 (de) 2011-09-15
JP2008523274A (ja) 2008-07-03
DE102005048829A1 (de) 2006-06-29
JP4592759B2 (ja) 2010-12-08
EP1825060A1 (de) 2007-08-29
BRPI0518403A2 (pt) 2008-11-18
CA2590099C (en) 2010-02-16
AU2005313507A1 (en) 2006-06-15
ZA200703349B (en) 2008-04-30
ES2371907T3 (es) 2012-01-11
US7637438B2 (en) 2009-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3474B1 (ko) 철도 선로 시스템용 억지 끼워맞춤 탄성 레일 체결구
US7648080B2 (en) Rail fixing device
US9010655B2 (en) System for securing a rail on level solid ground
EP2370634B1 (en) Elastic tensioning clamp and rail fixation therefore
TWI385291B (zh) 用於扣緊軌道的系統之支撐件及用於扣緊軌道之系統
JP5406297B2 (ja) ロック偏向装置
US20130015256A1 (en) System for fastening a rail to a baseplate
CA1259056A (en) Uni-clip
US10562349B2 (en) Axle unit
US7651107B1 (en) Suspension deflection system
US5865370A (en) Rail fastening system for fastening a rail to a rail support and assembly including such rail fastening system coupled to the rail support
US11384485B2 (en) Rail clip assembly and snap lock toe insulator for same
HU184374B (en) Clamping stirrup for rail satening of closed forces and flexible deformation
US11485288B2 (en) Adjustment unit for an indirect vision system
US6726419B2 (en) Retention pin redundancy system
HU218459B (hu) Rugalmas sínrögzítő elem
EP0962355A2 (en) Device to fasten seats to vehicles
KR930011638B1 (ko) 힌지
JP7326190B2 (ja) サドルの支持構造
JPH11303001A (ja) レールの無螺釘弾性締結装置
US20040251741A1 (en) End connectors for crawler chains
KR101085965B1 (ko) 차량용 안전벨트 가이드 앵커
JPH045531Y2 (ko)
FI79737C (fi) Anordning foer faestande av skenor.
MXPA01002762A (es) Estructura de abrazadera de riel lateral y vertic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