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11638B1 - 힌지 - Google Patents

힌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11638B1
KR930011638B1 KR1019860010412A KR860010412A KR930011638B1 KR 930011638 B1 KR930011638 B1 KR 930011638B1 KR 1019860010412 A KR1019860010412 A KR 1019860010412A KR 860010412 A KR860010412 A KR 860010412A KR 930011638 B1 KR930011638 B1 KR 930011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mediate member
hinge
fixed
plate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6001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70006298A (ko
Inventor
뢰크 에릭
브뤼스틀 클라우스
루프레쳐 헬무트
Original Assignee
줄리어스 브룸 게엠베하
알베르트 비트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0356985A external-priority patent/AT385081B/de
Priority claimed from AT0031386A external-priority patent/AT383644B/de
Priority claimed from DE8611716U external-priority patent/DE8611716U1/de
Application filed by 줄리어스 브룸 게엠베하, 알베르트 비트머 filed Critical 줄리어스 브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870006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6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11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1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8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for use in suspensions comprising two spigots placed at opposite edges of the wing, especially at the top and the bottom, e.g. trunn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2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 E05D7/123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05D7/125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detachment of the hinge from the wing or the frame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the hinge having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07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the hinges having two or more pins and being specially adapted for cabinets or furni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2Toolless
    • E05Y2600/53Snap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힌지
제1도는 힌지아암이 고정되려 할 때의 힌지아암과 고정판의 종단면도.
제2도는 힌지아암이 고정위치에 있을 때의 힌지아암과 고정판의 종단면도.
제3도는 정지영역에서의 고정판과 중간부재의 측면도.
제4도는 두 번째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힌지아암이 고정되려 할 때의 힌지아암과 고정판의 종단면도.
제5도는 두 번째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힌지아암이 고정위치에 있을 때의 힌지아암과 고정판의 종단면도.
제6도는 로킹보울트의 영역 내의 중간부재의 수평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A-A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B-B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
제9도는 피봇 레버가 접촉되는 돌출부영역에서의 고정판의 평면도.
제10도는 제5도의 Ⅳ-Ⅳ선을 따라 잘라낸 단면도.
제11도는 두 개의 캠을 포함하는 고정판의 개략도.
본 발명은 힌지아암이 적어도 한 개의 중간부재에 의해서 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으며, 힌지링크와 같은 것에 의해서 힌지케이스와 같은 제2힌지부품과 연결되도록 한 조정수단을 구비하되, 중간부재의 일측단부를 고정판에 접촉시켜, 피봇베어링에 의해서 상기의 고정판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중간부재의 타측단부를 중간부재에 피봇 가능하게 접속시켜, 고정판의 돌출부와 접촉하는 후크부재를 피봇 레버에 의해 잠그도록 된 힌지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힌지에 있어서, 힌지아암은 고정나사에 의해서 고정판에 고정되는 바, 상기의 고정나사는 가구류의 깊이에 따라 힌지아암을 조정토록 한 가늘고 긴 구멍을 관통한다.
최근에는 힌지아암을 고정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냅-인(snap-in) 연결이 공지되었다. 예를 들어, 서독 특허출원 제30 26 796호 및 제30 39 328호에는 힌지아암과 고정판을 가진 힌지가 도시되어 있는 바, 상호 잠겨지는 그러한 두 개의 부품은 힌지아암을 고정판의 안내구안으로 삽입하고, 상기의 힌지아암을 종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상호 맞물리게 된다. 힌지아암을 고정판에 고정하는 유사한 방식은 서독 특허출원 제24 60 127호에 기술되어 있다. 서독 특허출원 제32 41 284호에는 힌지아암을 고정판의 측방향 안내구안으로 삽입되어 편신축에 의해 고정판에 고정될 수 있는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힌지아암을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상기의 방식은 조립시에 힌지아암을 고정판에 신속히 고정할 수 있으며, 그러한 고정작업을 위해서는 어떠한 공구도 필요치 않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장점은 힌지아암이 접촉될 경우 도어를 잘 유지해야만 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예컨대, 힌지아암을 조정나사에 의해서 고정시키고자 할 경우 두 사람 중 한사람은 한손으로는 도어를 잡고 다른 한손으로는 부착시키고자 하는 힌지를 잡은 뒤, 다른 사람이 나사드라이버를 사용하여 조정나사를 고정할 경우가 있다.
힌지아암 또는 중간부재가 정면으로부터 고정판내로 삽입시키는 것에서 종종 경사가 발생한다는 것이 힌지의 단점이다. 이것은 많은 힌지로 지지되는 크기가 큰 도어의 경우에 특히 많이 발생한다.
오스트리아 특허명세서 제360 856호에는 중간부재가 일측단부에서는 고정판에 계합 가능하고, 타단측부에서는 고정판에 고정가능한 피봇 레버를 갖는 힌지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힌지를 계량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능한한 틈이 없이 고정판에 힌지아암을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문제에 기초하였다.
유럽 특허출원 제A 3-0 043 903호에는 힌지아암이 고정판에서 압축되어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는 캐칭 레버(caching lever)에 의해 유지되도록한 힌지가 기술되어 있다. 그 스프링과 캐칭 레버는 힌지아암을 고정판의 정지부에 대해 영구적으로 압축한다. 이러한 배치는 힌지아암의 견고한 지지가 스프링의 힘에 의존하며 그 스프링은 힌지아암을 몇 년 동안 계속해서 유지해야만 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유형의 힌지를 개량하는데 있다. 실제의 로킹수단에 대한 연속응력을 발생하지 않고서도 중간부재와 고정판간의 틈을 가능한한 상당히 줄이고자 함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이것은 가구류의 깊이에 있어서 피봇베어링에 대해 기울어진 위치조정면을 중간부재에 제공하되, 상기의 위치조정면은 고정판의 대향면에 인접시켜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접촉될 경우 중간부재와 피봇베어링을 가구류의 깊이에 있어서 틈이 업시 조정함으로써 성취된다.
힌지아암이 중간부재와 고정판의 단단한 부분에 의해서 틈이 없이 위치됨으로써, 힌지아암은 상당히 오랫동안 아주 단단히 유지된다. 피봇 레버를 작동시키는 스프링은 고정작동시에 고정판의 돌출부 뒷부부만을 압축한다. 중간부재는 확실히 고정에 의해 고정판에 부착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우즈가 중간부재에 제공되어 중간부재가 고정판상에 고정될 경우, 고정판의 대향면 뒤에 위치된다.
중간부재는 U자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노우즈는 각각의 측방향 플랜지에 형성되며, 고정판의 각 측면에 기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기저부재에는 대향면(countersurfaces)이 형성되어 있다.
한 실시예로서, 노우즈는 피봇 레버의 후크부재에 인접배치된다.
중간부재를 견고히 지지하고, 센터링수단(centering means)을 제공하기 위해서, 중간부재의 측방향 플랜지는 연장된 고정판의 기저부재상의 노우즈의 정면에 배열된 홈을 갖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정지표면 고정판과 힌지아암의 종방향 중심축에 대해 횡으로 위치된 로킹보울트에 배치시키고, 또한 중간부재에 장착되어 고정판의 노치(notch)에 개합되며, 상기 노치의 벽은 대향면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노치는 상이한 반경을 갖는 반원형으로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치는 취부판의 후반부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킹보울트를 가진 중간부재는 부품의 틈을 최적의 정도로 줄이도록 정교하게 제조될 수 있다.
역으로의 구조적 부품의 배치도 가능함을 알 수 있다. 로킹보울트는 고정판에 형성되어 중간부재의 개구안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간부재에서 후크부재를 개합시키기 위하여 피봇 레버를 고정판에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구들의 깊이 뿐만 아니라 도어 조인트의 폭의 방향에서 중간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서, 우선 고정면의 돌출부, 고정면으로부터 이격된 측면에 고정면과 평행한 대향면을 제공하고, 그 다음에 후크부재가 평행한 위치조정면을 갖도록 하여 피봇 레버의 후크부재 및 위치 조정면이 대향면과 돌기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대향면은 돌기의 캠에 설치할 수도 있다.
피봇 레버의 후크부재는 포크형태이고, 피봇 레버가 고정 또는 해제될 때 캡을 지나 측방향으로 이동하는 두 개의 프롱(prong)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르면, 두 개의 캠이 제공되며, 피봇 레버의 후크부재는 피봇 레버가 고정 또는 해제될 경우, 캠 사이로 연장된다.
취부판에 있는 피봇 레버와 캠은 부품의 틈을 최소한으로 줄이도록 정밀하게 제조될 수 있다.
고정판의 돌기는 피봇 레버의 피봇축과 고정판의 고정면에 평행하게 경사진 경사면이 제공된 캠 또는 캠들에 대해 측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고정판에서 피봇 레버의 측방향 지지를 향상시키시 위해서, 피봇 레버에는 두 개의 치크(cheek)가 설치되어 있고, 고정판의 돌출부에 있는 캠이 이 사이로 수용된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과는 직접적으로 관련없는 힌지케이스, 힌지링크와 같은 힌지부품들은 종래의 기술에 의해 제조될 수 있기 때문에 첨부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따.
첨부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힌지의 필수적인 부품은 힌지아암(1), 고정판(2), 및 피봇 레버(4)를 구비한 중간부재(3)이다.
힌지아암(1)은 힌지아암(1)의 암나사에 설치된 조인트 조정나사(6)와 깊이 조정용 고정나사(5)에 의해서 중간부재(3)에 고정되어 있다. 고정나사(5)는 힌지아암(1)의 슬로트(8)를 관통하며, 조인트 조정나사(6)는 그의 헤드(6')에 의해서 중간부재(3)의 슬로트(9)에 고정된다. 고정나사(5)를 해제함으로써, 힌지아암(1)은 슬로트(8)의 길이에 걸쳐 변위되며 따라서 가구류의 깊이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도어 조인트의 방향에서의 조정은 조인트 조정나사(6)를 돌려줌으로써 편리하게 이루어진다.
중간부재(3)는 U자형 단면을 갖는다. 고정판(2)는 중간부재(3)의 레그(3') 사이에 삽입된다.
중간부재(3)의 전방에는 중간부재(3)의 지지돌기로서 작용하는 핀(10)이 제공된다. 고정판(2)의 전방에는 노치(11)가 설치되어, 이 노치안으로 핀(10)이 개합되어 고정판(2)에 고정되도록 한다.
취부판(2)의 후단부에는 또한 노치(12)가 제공된다. 피봇 레버(4)는 볼트(13)에 의해서 힌지아암(1)의 후단부에 고정된다. 후크부재(15)는 피봇 레버(4)에 형성되어 있다.
피봇 레버(4)는 스프링에 의해 작동되어 중간부재(3)가 고정판(2)에 고정될 때, 상기의 피봇 레버는 노치(12)안에 자동적으로 맞물리게 된다.
구체화된 실시예에서, 레그스프링(7)은 피봇 레버(4)의 홈(14)에 고정되어 중간부재(3)상의 일측단부와 인접되어 있다.
힌지아암(1)이 중간부재(3)와 함께 제1도에 나타낸 위치에서부터 제2도에 나타낸 위치로 압축될 경우, 후크부재(15)는 노치(12)에 개합되며, 힌지아암(1)은 고정판(2)에 고정된다.
힌지아암(1)이 전방향, 즉 제2도의 화살표방향(V)으로 임의적으로 변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중간부재(3)에는 각각 노우즈(19)가 있는 두 개의 측방향 플랜지(3')가 제공된다. 힌지아암(1)이 고정위치에 있을 때 노우즈(19)는 고정판(2)의 기저부재(20) 바로 뒤쪽에 위치한다. 이들 노우즈는 기저부재(20)의 대향면(21)에서 그들의 위치면(28)과 바로 인접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있어서, 피봇 레버(4)는 힌지아암(1)이 화살표(A)의 방향으로만 들어올려지도록 한다. 이것은 최소의 힘만이 수용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화살표(V)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큰 힘은 확실히 고정에 의하여 노우즈(19)와 기저부재(20) 사이에 수용된다.
힌지아암(1)과 중간부재(3)를 고정판(2)에 중심을 맞추는 것을 편리하고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기저부재(20) 안으로 연장된 홈(30)이 노우즈(19)의 바로 전방에 제공된다.
노우즈(19)와 기저부재(20)는 피봇 레버(4)의 후크부재(15)로 바로 옆에 위치한다.
제4도에서 제11도까지에 따른 실시예에서, 중간부재(3)는 길이에 대해서 후반부에 위치되어 중간부재(3)의 레그(3') 사이에 고정된 로킹보울트(18)을 갖는다. 로킹보울트(18)의 외측면은 위치조정면(28)을 형성한다. 중간부재(3)가 고정판(20)에 고정되어 있을 경우, 로킹보울트(18)는 고정판(2)의 반원형 노치(32)에 안착된다. 따라서, 고정판(2) 상에서의 중간부재(3)의 중심이 얻어지며 두 개의 부품간의 불필요한 틈이 없어진다. 노치(19)의 전방측면은 대향면(21)을 형성한다. 로킹보울트(18)는 그의 기능에 대해서 노우즈에 해당한다.
로킹보울트(18)를 용이하게 개합하기 위해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노치(32)는 상이한 반경을 갖는다.
중간부재(3)가 고정위치에 있을 경우, 로킹보울트(18)는 노치(32)의 전방벽에 들어가서 위치된다.
힌지아암(1)을 중간부재(3)에 고정한 후, 힌지아암(1)은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조정된다.
상기 두 개의 실시예 모두에 있어서, 위치조정면(28)을 지지하는 센터링부품(centering part)은 중간부재(3)의 단단한 부분이다.
피봇 레버(4)에 하나의 핸들(4')이 형성된다. 힌지아암(1)이 고정판(2)에서 해체될 경우, 상기의 핸들(4')을 들어 올리기 위해 충분하며, 후크부재(15)는 노치(12)에서 해체되며, 힌지아암(1)과 중간부재는 취부판(2)으로부터 들어 올려진다.
상기의 해제작동은 피봇 레버(4)에 있는 노우즈(31)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상기의 노우즈는 고정판(2)에 압축되어 지렛대와 같이 작용한다. 따라서, 로킹보울트(18)는 로킹보울트(18)와 핀(10) 사이에 소정의 브레이싱 효과(bracing effect)가 존재할지라도 노치(32)로부터 용이하게 해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피봇 레버(4)의 후크부재(15)는 포크형태이고 두 개의 프롱(prong)(25)을 포함한다. 고정판(2)은 중심적으로 배치된 캠(23)과 함께 제공된 돌기(22)에 위치한다. 힌지아암(1)과 중간부재(3)가 고정판(2)에 맞물려져 있을 경우,후크부재(15)의 프롬(25)은 캠(23)을 지나 양측으로 이동하여 아래쪽에 있는 돌기(22)와 개합한다.
피봇 레버(4)이 대향면(24)은 캡(23)에 인접되어 있는 바, 그것은 피봇 레버(4)가 후크부재(15)의 프롱(25)에 둘러싸이며, 또한 대향면(24)이 돌기(22) 및 캠(23)을 둘러쌈을 의미한다. 피봇 레버(4)와, 중간부재(3) 및 힌지아암(1)은 후단부에서 틈없이 힌지(2)에 유지된다.
중간부재(3)는 가구류의 깊이 뿐만 아니라 도어 조인트의 방향에서 확실한 고정에 의해 고정판(2)에 고정된다.
캠(23)과 후크부재(15)의 프롱(25)의 역배치도 분명히 가능하다. 제9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두 개의 캠(23)은 고정판(2)의 후단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후크부재(15)는 피봇 레버를 고정 및 해제하기 위해서 캠(23) 사이에 압축되어 돌기(22)의 하단부에서 한개의 핑거로서 개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 후크부재(15)는 전방에서 보아 T자 형태일 수 있다. 피봇 레버(4)를 용일하게 고정시키기 위해서, 고정판(2)의 돌기(22)는 피봇 레버의 피봇축에 평행하게 정렬된 경사면(26)이 제공되는 바, 상기의 피봇축은 저어널(13)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의 경사면(26)은 고정판(2)의 고정면에 대해 경사져 있다.
고정판(2)에서 피봇 레버(4)의 측방향 지지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제1도에 따른 실시예에는 피봇 레버(4)에 측방향 치크(cheek)를 제공하는 바, 상기의 치크는 중간부재(3)가 고정판(2)에 고정될 경우 그들 사이에 캠(23)을 수용한다.
힌지아암(1)을 수직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고정나사(16)를 해제하고, 고정판(2)의 상측부(2')는 하측부(2")에서 변위된다. 안내수단(17)은 힌지아암(1)의 기울어짐을 방지한다. 수직조정이 끝난 후에 고정나사(16)는 고정된다. 힌지아암(1)은 덮개부재(29)에 의해서 덮여진다(제5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상측, 하측 및 측방향이라는 용어는 가구류의 취부위치에서의 힌지에 관한 것이 아니라 첨부도면의 상측, 하측 및 측방향에 관한 것이다.

Claims (16)

  1. 고정판, 다른 힌지부품에 연결되는 힌지아암, 상기 고정판상에 상기 힌지아암을 고정하기 위해서 상기 힌지아암을 지지하는 중간부재,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대한 피봇축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개합가능하도록 피봇 가능한 단부를 갖고, 상기 중간부재는 고정판에 중간부재를 고정하도록 고정판의 돌출부에 개합가능한 후크부재를 갖는 피봇 레버를 제2의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된 중간부재를 포함하는 힌지에 있어서, 예를 들어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고정될 때, 중간부재의 제1의 단부와 고정판 사이에 피봇 가능하게 개합됨과 함께 작동가능한 강화수단은 피봇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그 사이에 대체로 틈이 없이 중간부재를 받쳐주고, 그곳으로부터 중간부재의 제2의 단부쪽으로 연장되며, 상기의 받침수단은 가) 피봇축으로부터 상기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간부재상에 있는 위치조정면, 나) 고정면상의 대향면, 및 다) 중간부재가 고정면에 고정될 때 대향면에 인접하는 위치조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2. 제1항에 있어서,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고정될 때 대향면보다 앞서 위치한 피봇축에 더욱 앞서 위치한 중간부재의 돌기부상에 위치조정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3. 제2항에 있어서, 대향면이 고정판의 기저부재상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4. 제3항에 있어서, 중간부재는 두 개의 이격된 측부의 플랜지를 포함하는 U-자형을 가지며, 각 측부의 플랜지는 각 지지면에 형성된 돌기부를 가지며, 고정판은 각각의 반대면에 각각의 대향면으로 형성되는 기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5. 제4항에 있어서, 돌기부는 후크부재를 인접하여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6. 제4항에 있어서, 각 측부의 플랜지는 그 안에 상기 돌기부에 바로 인접하게, 또한 돌기부보다 피봇축에 더 가까운 곳에 홈에 가지며,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고정될 때 상기 기저부재가 각 홈 안으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7. 제1항에 있어서, 위치조정면은 중간부재상의 로킹보울트 위에 형성되어 피봇축까지 평행하게 연장되고,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고정될 때 로킹보울트가 고정판의 홈 내로 연장되며, 대향면이 상기 홈의 표면에 의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8. 제7항에 있어서, 홈은 상기 방향에서 피봇축과 돌기부 사이에서 반 이상 뒤쪽의 위치에 위치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9. 제7항에 있어서, 홈은 대체로 반원형이며 서로 다른 반경의 표면의 침강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0. 제1항에 있어서, 고정판의 돌기부는 고정판의 고정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고정면과 평행하게 연장된 접촉표면을 포함하고, 후크부재가 돌기부에 개합될 때 후크부재는 접촉면을 보충하고 접촉면에 인접하는 인접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1. 제10항에 있어서, 접촉면은 돌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캠부재상에 위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2. 제11항에 있어서, 후크부재는 포크형태이고, 후크부재가 돌기부와 개합할 때 캠부재의 반대면상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레그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3. 제11항에 있어서, 돌기부로부터 연장되는 캠부재를 포함하고, 후크부재가 돌기부와 개합할 때 후크부재가 두 개의 캠부재 사이로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4. 제11항에 있어서, 돌기부가 측면이 캠부재가 인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진 표면을 포함하고, 경사진 표면은 접촉표면에 대해 경사져서 피봇 레버의 피봇축에 평행하게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5. 제11항에 있어서, 피봇 레버는 후크부재가 돌기부에 개합될 때 그 사이로 캠부재를 수용하는 두 개의 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16. 고정판, 다른 힌지부품에 연결되는 힌지아암, 상기 고정판에 힌지아암을 고정하기 위해 힌지아암을 조절 가능하게 지지하는 중간부재, 중간부재는 웨브에 의해 결합되는 두 개의 측플랜지에 의해 한정되고, 핀이 중간부재의 제1단부에 있는 두 개의 측플랜지 사이에 고정되며, 상기 핀은 고정판의 홈 안에 고정되고 그에 의해서 중간부재에 대하여 피봇축을 형성하여 한지암이 고정판에 대해 피봇 가능하게 하고, 중간부재는 고정판에 중간부재를 고정시키기 위해 고정판의 돌기부에 개합 가능한 후크부재를 갖는 피봇 레버를 제2의 단부에 피봇 가능하게 고정시키고, 피봇 레버가 고정판의 돌기부에 있어서, 중간부재가 고정판에 고정될 때, 중간부재의 제1의 단부와 고정판 사이에 피봇 가능하게 개합됨과 함께 작동가능한 강화수단은 피봇축을 가로지르는 방향에서 그 사이에 대체로 틈이 없이 중간부재를 받쳐주고, 그곳으로부터 중간부재의 제2의 단부속으로 연장되며, 상기의 받침수단 가) 피봇축으로부터 상기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중간부재상에 있는 위치조정면, 나) 고정면상의 대향면, 및 다) 중간부재가 고정면에 고정될 때 대향면에 인접하는 위치조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
KR1019860010412A 1985-12-10 1986-12-05 힌지 KR9300116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3569/85 1985-12-10
AT0356985A AT385081B (de) 1985-12-10 1985-12-10 Scharnier
ATA313/86 1986-02-10
AT0031386A AT383644B (de) 1986-02-10 1986-02-10 Scharnier
DE8611716U DE8611716U1 (de) 1986-04-10 1986-04-29 Scharnier mit Verstelleinrichtungen
DEG8611716.5 1986-04-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70006298A KR870006298A (ko) 1987-07-10
KR930011638B1 true KR930011638B1 (ko) 1993-12-16

Family

ID=2559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60010412A KR930011638B1 (ko) 1985-12-10 1986-12-05 힌지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KR (1) KR930011638B1 (ko)
DE (1) DE8632598U1 (ko)
ES (1) ES2022107B3 (ko)
GB (1) GB2183722B (ko)
HK (1) HK4729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92570B1 (de) * 1986-04-29 1992-05-20 Julius Blum Gesellschaft m.b.H. Scharnier
AT398800B (de) * 1987-08-18 1995-01-25 Blum Gmbh Julius Scharnier
JP4040355B2 (ja) * 2002-04-26 2008-01-30 スガツネ工業株式会社 ヒン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043903B2 (de) * 1980-07-15 1988-12-28 Arturo Salice S.p.A. Scharnierarm mit Befestigungspla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22107B3 (es) 1991-12-01
DE8632598U1 (ko) 1987-02-12
HK47291A (en) 1991-06-28
GB2183722A (en) 1987-06-10
GB8629520D0 (en) 1987-01-21
GB2183722B (en) 1989-10-11
KR870006298A (ko) 198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2808A (en) Furniture hinge including hinge arm releasably connected to mounting plate
KR930006998B1 (ko) 힌 지
US4800621A (en) Hinge
US4955633A (en) Adjusting device for a ski binding
US4553873A (en) Connecting fitting for releasably connecting two platelike furniture members
US4691408A (en) Furniture hinge having a resilient catch and spacer mechanism
KR200205397Y1 (ko) 냉장고의 도어힌지 구조
KR0141490B1 (ko) 신속 결합 문 경첩
US5022116A (en) Hinge bracket assembly
US6286262B1 (en) Fitting having support arm or swing arm for supporting a turning sash or a turning-tilting sash
US4654932A (en) Hinge
US4750238A (en) Hinge
KR100583627B1 (ko) 힌지
EP0225058B1 (en) Window stays
KR930011638B1 (ko) 힌지
CN114645647A (zh) 将装配部件紧固在建筑物封闭装置上的装置及紧固方法
US4620343A (en) Three way adjustable door hinge having cooperating wedge surfaces
US4674148A (en) Hinge bracket and mounting plate assembly provided with a spring-biased pivoted detent lever and an abutment for engaging the same
US4862555A (en) Adjustable fitting for overhead opening cabinet door
JP2635010B2 (ja) ガイド装置
CZ284002B6 (cs) Spojovací prvek
JPS62189273A (ja) 調節装置付きヒンジ
GB2189837A (en) A hinge
PL204366B1 (pl) Zawiasa do drzwi lub okien
GB2306998A (en) Sta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