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8575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8575A
KR20070088575A KR1020077007809A KR20077007809A KR20070088575A KR 20070088575 A KR20070088575 A KR 20070088575A KR 1020077007809 A KR1020077007809 A KR 1020077007809A KR 20077007809 A KR20077007809 A KR 20077007809A KR 20070088575 A KR20070088575 A KR 20070088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image
information
section
viewing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86660B1 (ko
Inventor
야스히로 후쿠다
미츠히로 가모토
히로유키 후지모토
요시유키 하시모토
다쿠 요카와
요시카즈 우에타
다쿠미 요시모토
도모키 사이토
다카시 가토
Original Assignee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59842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8486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252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6146164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5264288A external-priority patent/JP4781059B2/ja
Application filed by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쓰 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8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85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66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66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4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the dri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65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 B60K35/656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vehicle types or users, e.g. for left- or right-hand drive the user being a passeng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23Arrangements for providing a switchable viewing ang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viewing angle adjust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서의 화상의 방향,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화상의 방향에 관한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정보 취득부가 취득한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는 화상 방향 변경부를 포함한다.
표시 장치, 시야각, 시야 범위, 표시부, 취득부, 방향 정보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동일 화면에 복수의 이용자 각각에 대하여 독립한 다른 정보들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할 수 있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는 방향, 예를 들어 두 개의 방향에 따라 동일 표시 패널에서 다른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및 2 참조). 구체적으로는, 동일 액정 디스플레이(LCD)에서 두 개의 다른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차량에서 운전자와 탑승자가 각각 그들의 위치에서 다른 화면을 볼 수 있는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및 4 참조). 또한 두 개의 다른 화상을 동시에 동일 화면에 표시할 수 있는 듀얼 화면 표시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5 및 6 참조). 이러한 표시 장치는 다중 뷰(Multiple View) 표시 장치라고도 불린다.
한편, 특허문헌 7 및 8에는 입체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해 시야 방향을 제한하는 배리어(barrier)가 개시되어 있다.
또한, 다중 뷰 표시 장치에서, 운전자용의 제 1 화상에 대응한 제 1 음성을 운전자에서만 시청되고, 탑승자용의 제 2 화상에 대응한 제 2 음성을 탑승자에서만 시청하는 시스템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9 참조).
또한, 소위 골전도형 스피커가 내장된 시트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0 참조).
또한, 스피커의 방향성을 변경시키도록 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국 공개특허 2004-206089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국 공개특허 2003-137005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국 공개특허 평6-186526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국 공개특허 2000-137443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국 공개특허 평11-331876호 공보
특허문헌 6: 일본국 공개특허 평9-46622호 공보
특허문헌 7: 일본국 공개특허 평10-123461호 공보
특허문헌 8: 일본국 공개특허 평11-84131호 공보
특허문헌 9: 일본국 공개특허 평6-236152호 공보
특허문헌 10: 일본국 공개특허 2004-83004호 공보
특허문헌 11: 일본국 공개특허 평11-75284호 공보
모든 표시 장치는 그 구조상, 시인(視認)할 수 있는 제한된 시야각이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의 시인자(視認者)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시인자의 위치를 맞추기 위한 조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장치에서의 화상의 시야 방향,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차량용 표시 장치의 경우에, 종래의 표시 장치를 이용할 경우, 차량이 이동 중에서는, 내비게이션 화면만을 표시하고, 운전자의 주의를 방해하는 텔레비전 화면 등의 표시 화면은 표시되지 않는 방식으로 이용되어 왔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다중 뷰 표시 장치가 차량용 표시 장치로서 이용되면, 차량이 이동 중인지의 여부와 상관없이 조수석 및 뒷좌석에 앉아 있는 탑승자는 텔레비전 화면을 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다중 뷰 표시 장치의 경우,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표시부(디스플레이)의 거의 중앙에 대응하는 위치에 자리잡은 사람에게, 내비게이션 화면 및 텔레비전 화면 모두가 보일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는 뒷좌석 중앙에 앉아 있는 탑승객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다른 시야 방향에서 동일 화면 위에 다른 화상이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고, 보는 방향에 의해서는 다른 화상이 동시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간단하게 해소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차량에 다중 뷰 표시 장치가 탑재된 경우, 의도된 각 관찰자에게는 화상과 음성 모두가 시청 되어야 하지만, 탑승자 자리에는, 화상/음성의 크로스토크 영역(예를 들어, 표시부의 중앙 부분을 직접 대향하는 영역)이 존재하고, 그 영역에 앉은 관찰자(탑승자)는 원하는 화상 및 음성만을 시청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다른 화상들이 그 수반하는 음성과 함께 다중 뷰 표시 장치에서 생성되는 경우, 차내에는 2 종류의 화상과 음성이 혼재하게 되는데, 예를 들어, 긴급 사태가 발생한 경우 등에서, 다른 화상들이나 음성들이 혼재함으로써 필요한 정보가 차내에 탑승자들에게 정확하게 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특정 시야 방향에 대해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수반하는 음성을, 의도된 영역으로 정확하게 향하도록 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크로스토크 영역에서도 사용자에게 양호한 표시 화상 및/또는 음성을 제공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차내에 혼재하는 다른 종류의 표시 화상과 음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출력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해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화상의 방향에 관한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는 화상 방향 변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해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와,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 출사 방향에 관한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광 출사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광 차폐 위치 가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출사 정보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은, 정보 취득부에 접속되고,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와,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값에 따른 광 출사 정보를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는 광 출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프리세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 차폐 위치 가변부는 액정 소자에 의해 광의 투광/차폐 를 제어하는 액정 투과/차폐판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는 시야각을 조정하기 위한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입력으로 하여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은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표시부에 조정용 화상을 표시하는 조정용 화상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표시부에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조정값 표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의도된 화상이 시인 가능한 각도 범위인 시인 범위를 감소시키는 시인 범위 조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상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주위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시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는 시인자의 좌우 눈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 위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광 차폐 위치 가변부는 시인자가 좌우 눈으로 개별 화상을 각각 볼 수 있도록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시야 방향에 대해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표시부로부터의 광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와,
의도된 화상이 시인 가능한 각도 범위인 시인 범위를 나타내는 시인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와,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시인 범위 정보에 따라서,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광 차폐 위치 가변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인 범위 정보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시인 범위 조정값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본 발명은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접속되고,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와,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값에 따른 시인 범위 정보를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는 시인 범위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프리세트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는 시인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시인 범위 정보를 취득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해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시야각으로서,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과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이 서로 다르도록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차폐부는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을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보다도 넓어지도록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광차페부는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을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보다도 넓어지도록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표시부의 방향에 관계되는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표시 방향 변경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정보 취득부는 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방향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의 각 좌석에 착석 센서를 설치하고, 착석 센서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각 좌석에 탑승자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런 다음 차량 내에서 탑승자의 배치에 따라 최적의 각도가 되도록 표시부를 기울임으로써 표시부의 방향을 변화시킨다.
본 발명은 표시부의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되어야할 방향 정보가 미리 기억된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정보 취득부는 기억부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로부터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탑승자의 배치와 표시부의 방향 정보를 관련지은 테이블을 미리 기억부에 구성하여 거억하고,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적의 방향 정보를 얻는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부 취득부는 표시부의 방향 변경에 관한 표시를 표시부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정보 취득부는 표시부의 관찰자의 위치에 관한 표시를 표시부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취득하는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정보 취득부는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취득한 차량 정보를 방향 정보로서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터페이스부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차량용 LAN에 접속을 위한 LAN 유닛, 인터넷을 통하여 외부 서버에 액세스하기 위한 통신 유닛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차량 정보에 따라서 설정되어야할 방향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정보 취득부는 기억부를 이용하여 차량 정보로부터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차량 정보를 표시부의 방향 정보와 관련시킨 테이블을 구성하여 기억부에 미리 기억하여 둔 테이블을 참조하여 최적의 방향 정보를 얻는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에 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표시부가 위치하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표시 방향 설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방향 설정부는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에 따라,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이 차량의 탑승한 임의의 탑승자에 대하여 동시에 시인되지 않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크로스토크 영역에 탑승자가 위치하지 않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방향 설정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들 중에서 운전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가,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들 중에서 조수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 수보다 크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운전수측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 되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방향 설정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들 중에서 조수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가,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들 중에서 운전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보다 크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조수석측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 되도록,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한다.
본 발명은 표시부의 방향에 관한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표시 방향 설정부는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방향 설정부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가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향하도록 표시 장치를 탑재하는 탑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 장치 자체를 차량에 대하여 어떤 각도로 부작함으로써, 표시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방향 설정부는 표시부가 표시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을 갖고 설정되도록 탑재하는 탑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를 표시 장치에 대하여 어떤 각도로 탑재함으로써, 표시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부는 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표시 방향 설정부는 액정 표시 패널이 표시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을 갖고 설정되도록 탑재하는 탑재 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정 표시 패널을 표시부에 대하여 어떤 각도로 탑재함으로써, 사실상 표시부가 소정의 방향으로 설정된다.
본 발명은, 표시부를 구비하고 서로 다른 방향으로부터 다른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표시 장치로서, 표시부의 미리 설정된 방향에 관한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패널 방향 변경 수단과, 사용시에, 기억 수단에 기억된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관찰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고, 제어 수단은 센서의 출력에 기초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억 수단은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되어야할 표시부의 방향을 미리 기억하고, 제어 수단은 센서의 출력과, 기억 수단에 기억되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 설정될 표시부의 방향에 기초하여, 패널 방향 변경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할 때에, 제어 수단은 표시부의 표시 화면 위에 표시부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구동 수단을 제어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할 때에, 제어 수단은 표시부의 표시 화면 위에 관찰자 위치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기억 수단에는, 복수의 관찰자 위치의 조합 각각에 따라 설정되어야 할 표시부의 방향이 미리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표시 장치는 차량에 탑재되며, 센서는 각 좌석에 탑재되어 좌석 탑승자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복수의 표시 화상의 각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음성이 각각의 시야 영역 내에 국한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이 동시에 시인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음성 제어부는 동시에 시인 가능한 표시 화상을 수반하는 음성 중, 선택된 하나의 음성이 그 영역에 국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는 경우, 크로스토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어느 하나의 음성만이 국한되도록 제어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의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이 동시에 시인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음성 제어부는 동시에 시인 가능한 표시 화상을 수반하는 모든 음성이 그 영역에 국한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크로스토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양방의 음성이 국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각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이 동시에 시인 가능한 영역에 국한되는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크로스토크 영역에 어느 음성을 국한할지를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표시 화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시야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시야 영역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시야 영역 정보에 따라서, 시야 영역에 선택된 하나의 표시 화상을 수반하는 음성이 제공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표시부의 시야각이 조정될 경우, 시야각에 의해 구획된 시야 영역에 표시 화상에 대응한 음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음성 출력부가 출력하는 음성의 중요도에 대응한 중요도 정보를 취득하는 중요도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중요도 정보에 기초하여,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성 내용에 담긴 정보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중요하다고 판단된 내용의 음성을 공급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하나에 대응한 음성이 종료된 경우, 음성 제어부는 다른 표시 화상에 대응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한 방향에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소프트웨어로부터의 화상 및 음성이 제공되고, 다른 방향에는 반복 재생되는 CD 음악 소프트의 음성이 제공되는 경우를 가정할 경우, 이러한 상황에서, DVD의 재생이 종료한 경우에, 음성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D 음악 소프트의 재생 음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수반하는 음성 중에서 출력되는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음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중 하나를 수반하는 음성 내용에 기초하여, 음성 제어부는 어느 스피커로부터 음성을 출력시킬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성 내용에 따라서, 다른 음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서는, 시청 위치에 대응한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음성이 시청 위치에서 국한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각 시청 위치(차량의 각 좌석)마다 제공될 음성이 선택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은 복수의 음성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복수의 음성 검출부로부터 공급된 음성 검출 신호에 따라서, 그 시청 위치에서, 선택된 음성 이외의 임의의 음성을 노이즈로서 제거함으로써,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음성이 시청 위치에 국한되도록,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도한 시청 위치의 근방에 배치된 음성 검출부로부터 공급된 음성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그 시청 위치에 대해 의도하지 않은 음성을 노이즈로서 제거하여, 의도한 음성만을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표시부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소스부를 더 포함하고, 화상 소스부는 방송 채널의 TV 화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또는 화상 기록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채널의 TV 화상과 다른 채널의 TV 화상을 동시에 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되거나, 하나의 DVD로부터의 재생 화상과 다른 DVD로부터의 재생 화상을 동시에 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되고, 또는 DVD로부터의 제 1 재생 화상(멀티 앵글 화상 1)과 동일한 DVD로부터의 제 2 재상 화상(멀티 앵글 화상 2)을 동시에 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중 하나에 대응한 시야 영역에 대한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고,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중 다른 표시 화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다른 음성을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예를 들어, 탑승자용 음성은 헤드론 또는 이어폰을 통하여 제공하면서, 운전자용 음성은 스피커로부터 출력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전도 스피커 또는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영역 등에도 선명한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화상 소스를 프로세스하여 표시 데이터를 공급하는 표시 제어부와, 복수의 표시 화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음성이 각각의 시야 영역에 국한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표시 장치는 제 1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와 제 2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가 생성될 수 있는 표시부에 제 1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화상 또는 제 2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화상 제어부와, 제 1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음성 또는 제 2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음성을 복수의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화상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제 1 및 제 2 음성 중 어느 하나를 국한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크로스토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어느 하나의 음성만이 국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화상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제 1 및 제 2 음성 모두가 국한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 수단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크로스토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양방의 음성이 국한되도록 제어한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음성 중 어느 쪽이 제 1 및 제 2 화상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트크 영역이나 그 근방에 국한되도록 할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제어 장치를 차량에 탑재한 경우, 크로스토크 영역에 어느 음성을 국한시킬지를 사용자의 선호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 1 화상이 관측 가능한 제 1 시야 위치에 대응한 제 1 시야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시야 영역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제 1 시야 영역 정보에 대응하여, 제 1 화상을 수반하는 제 1 음성이 제 1 시야 위치에 국한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표시부의 시야각이 조정될 경우, 시야각에 의해 구획된 시야 영역에 화상에 대응하는 음성 제공된다.
본 발명은 제 1 및 제 2 음성의 중요도에 대응한 중요도 정보를 취득하는 중요도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중요도 정보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음성이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복수의 음성 출력부 모두에서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된 제 1 또는 제 2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담긴 정보의 중요도에 기초하여, 중요하다고 판단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 제어부는 제 1 또는 제 2 음성 중 하나가 종료한 경우, 복수의 음성 출력부 모두로부터 제 1 또는 제 2 음성 중 다른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반복 재생하는 CD 음약 소프트웨어의 음성이 다른 소스로부터 재생되고 있으면서, DVD 소프트웨어에서의 화상 및 음성이 하나의 소스로부터 재생되고 있다고 가정할 경우, 이 상황에서, DVD의 재생이 종료한 경우, 음성이 끊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CD 음악 소프트웨어의 재생 음성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제 1 또는 제 2 음성을 복수의 음성 출력부의 어느 것으로부터 출력시킬지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다른 음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음성 제어부는 제 1 및 제 2 음성의 내용에 기초하여, 제 1 또는 제 2 음성을 복수의 스피커의 어느 것으로부터 출력시킬지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음성 내용에 따라 다른 음성을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시청 위치에 대해 시청 위치에 대응한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선택부에 의한 선택에 따라 각각의 시청 위치마다 제 1 음성 또는 제 2 음성 중 어느 하나가 국한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청 위치(예를 들어, 차량의 각 좌석)마다 제공받고자 하는 음성이 선택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은 각각의 시청 위치에 대해 하나씩, 복수의 음성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복수의 음성 검출부로부터 공급된 음성 검출 신호에 따라 각각의 시청 위치에서, 선택된 음성 이외를 노이즈로서 제거함으로써, 각각의 시청 위치에서 제 1 음성 또는 제 2 음성 중 어느 하나가 국한되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의도한 시야 위치의 근방에 배치된 음성 검출부로부터 공급된 음성 검출 신호에 기초하여, 의도하지 않은 음성은 노이즈로서 제거하고, 의도한 음성만을 선명하게 시청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소스는 복수의 방송 채널로부터 TV 화상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구성하며, 제 1 화상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 1 채널의 TV 화상이며, 제 2 화상은 수신부에 의해 수신된 제 1 채널과는 다른 제 2 채널로부터의 TV 화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채널의 TV 화상과 다른 채널의 TV 화상을 동시에 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시청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소스는 제 1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제 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화상 출력부이며, 제 2 소스는 제 2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제 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화상 출력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DVD로부터의 재생 화상과 다른 DVD로부터의 재생 화상을 동시에 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시청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소스는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구성하고, 제 1 화상은 화상 출력부로부터의 제 1 화상 데이터이며, 제 2 화상은 화상 출력부로부터의 제 1 화상 데이터와 다른 제 2 화상 데이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동일한 표시부를 이용하여, 하나의 DVD로부터의 제 1 재생 화상(멀티 앵글 화상 1)과, 동일한 DVD로부터의 제 2 재생 화상(멀티 앵글 화상 2)을 동시에 다른 관찰자들에 의해 시청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음성 제어부는 탑승자 또는 제 1 및 제 2 화상 사이에 발생하는 크로스토크 영역 방향의 음성을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부터 출력시키면서, 운전자 방향의 음성을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운전자 방향의 음성은 스피커로부터, 탑승자 방향의 음성은 헤드론 또는 이어폰을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출력부는 운전석측에 탑재된 스피커와 조수석측에 탑재된 스피커를 포함하고, 제 1 음성은 운전석측에 탑재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고, 제 2 음성은 조수석측에 탑재된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복수의 음성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골전도 스피커 또는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예를 들어, 크로스토크 영역 등에도 선명한 음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표시 장치는 제 1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와 제 2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가 생성될 수 있는 표시부에 제 1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화상 또는 제 2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화상을 표시시키는 화상 제어부와, 복수의 음성 출력부로부터 제 1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음성 또는 제 2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2 음성을 출력시키도록 제어를 행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소스는 복수의 방송 채널로부터의 TV 화상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를 구성하고, 제 1 화상은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제 1 채널로부터의 TV 화상이며, 제 2 화상은 수신부에 의해 수신한 제 1 채널과는 다른 제 2 채널로부터의 TV 화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표시 장치는 제 1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와 제 2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를 생성할 수 있는 표시부에 제 1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화상 또는 제 2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화상 제어부와, 제 1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1 음성 또는 제 2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2 음성을 복수의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소스는 제 1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제 1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1 화상 출력부이며, 제 2 소스는 제 2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제 2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제 2 화상 출력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력 표시 장치는 제 1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와 제 2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를 생성할 수 있는 표시부에 제 1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1 화상 또는 제 2 소스로부터 출력되는 제 2 화상을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화상 제어부와, 제 1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1 음성 또는 제 2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2 음성을 복수의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 1 및 제 2 소스는 화상 기록 매체로부터 복수의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출력부를 구성하고, 제 1 화상은 화상 출력부로부터의 제 1 화상 데이터이며, 제 2 화상은 화상 출력부로부터의 제 1 화상 데이터와는 다른 제 2 화상 데이터이다.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비디오 장치는 제 1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와 제 2 시야 방향으로부터 시인 가능한 표시를 생성할 수 있는 표시부와, 제 1 화상 또는 제 1 음성을 출력하는 제 1 소스와, 제 2 화상 또는 제 2 음성을 출력하는 제 2 소스와, 제 1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1 화상 또는 제 2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2 화상을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화상 제어부와, 복수의 음성 출력부와, 제 1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1 음성 또는 제 2 소스에서 출력되는 제 2 음성을 복수의 음성 출력부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를 행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취득한 광 출사 정보에 따라 광 차폐 위치 가변부가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기 때문에, 이하의 유효한 효과가 나타난다. 각종 광 출사 정보에 대한 광차폐부의 최적의 광 차폐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광 출사 정보에 따라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할 수 있기 때문에, 모터 등의 구동원을 이용하여 슬릿(slit)을 구동함으로써 주체적으로 제어를 실행한 종래 기술에 비하여 다음의 유효한 효과가 나타난다, (1) 부품점수의 저감할 수 있다. (2) 시야각 조정의 응답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상기 (1)의 효과로 인해 제작 비용의 저감 및 표시 장치의 크기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광 출사 정보에 따라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하여 시야각 조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표시 장치에서의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화상을 복수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용이하게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값에 대응한 광 출사 정보를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기 때문에, 시야각은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다. 즉, 일단 조정값이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에 기억되면,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는 조정값에 따라 유일하게 취득된다. 결과적으로, 시야각 조정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값이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기억되기 때문에, 지정된 각 방향에 위치하는 시인자에 대응한 시야각이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야각 조정값이 기억되기 때문에, 지정된 각 방향에 위치하는 시인자에 대응한 시야각이 설정된다. 그러므로, 복수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시인자는 각각의 시인자에 대응한 서로 다른 화상을 확실히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광의 투과/차폐 제어는 액정 소자를 사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을 이용하여 슬릿을 구동함으로써 제어를 행하는 종래 기술에 비하여,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크기를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고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한다. 시인자는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 스위치에 의한 조정 동안에, 조정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인자는 이 조정 화상을 시인하면서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 스위치에 의한 조정 동안에,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인자는 이 시야각 조정값을 확인하면서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는 시야각 조정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야각 조정 스위치에 의한 조정 동안에, 시인 범위를 좁힘으로써, 시야각을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태에 대응하도록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한다. 상기 주행 상태에 반하여 시인자는 머리를 이동하는 등을 할 필요가 없어진다. 이는 시인자의 부담을 경감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온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주위 온도에 대해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보정할 수 있다. 이는 시야각 조정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위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시인자의 위치를 특정하고, 시인자의 위치에 대응하도록 시야각을 고정밀도로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눈 위치 신호가 입력되며, 이 경우에는 시인자가 좌우의 눈으로 서로 다른 화상을 독립적으로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자는 입체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득한 시인 범위 정보에 따라 광 차폐 위치 가변부가 광차폐부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기 때문에, 이하의 유효한 효과가 나타난다. 각종 시인 범위 정보에 대하여 광차폐부의 최적의 광 차폐 위치를 취득할 수 있다.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시인 범위 정보에 따라 표시부의 전면(前面)에 위치된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함으로써 시인 범위 조정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청구항 1에서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별 화상은 복수의 서로 다른 방향으로 용이하게 출력될 수 있다. 또한 크로스토크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값에 대응한 시인 범위 정보를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기 때문에, 시인 범위는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다. 즉, 일단 조정값이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되면, 광차폐부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는 조정값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취득된다. 결과적으로, 시인 범위 조정은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인 범위 조정값은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기억되기 때문에, 지정된 각 방향에 위치하는 시인자에 대응한 시인 범위가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시인 범위 조정값이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기억되기 때문에, 지정된 각 방향에 위치하는 시인자에 최적의 시인 범위가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의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시인자는 각각 개별 화상을 명확하게 시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를 통하여 입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시인 범위 정보가 취득되고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한다. 시인자는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를 수동으로 동작시켜서 조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광차폐부는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과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기 때문에, 조수석측 화상에 비하여 크로스토크 등을 해소함으로써 화상 품질을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탑승자측 화상의 시야각을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보다도 넓게함으로써, 조수석측 화상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는 조수석측의 시인자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유지하면서 조수석측 화상을 즐길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을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보다도 넓게함으로써, 운전석측 화상의 화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의 방향을 조정 가능하게 함으로써, 상술의 모든 문제가 해소된다. 즉, 시야 방향에 따라서 서로 다른 화상이 동시에 관측 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간단한 조정에 의해 해소되고, 그 조정이 자동으로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히 자동차 애플리케이션에서 탁월한 유용성을 제공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크로스토크 영역에 원하는 음성 또는 표시 화상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로부터 복수의 음성 및/또는 표시 화상이 제생될 경우, 필요에 따라서, 음성 출력을 특정 음성으로 전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도.
도 2는 표시 장치의 탑재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표시부의 단면 구조의 개략도.
도 4는 액정 표시 패널을 정면에서 본 구조의 개략도.
도 5는 TFT 기판의 개략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7은 화상 출력 유닛(211)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8은 제어 유닛(200)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9는 메모리(218)의 개략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0의 (a)는 운전자측에 출력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고, 도 10의 (b)는 탑승자측에 출력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며, 도 10의 (c)는 주요부의 단면도.
도 11은 표시 장치(1)의 제어계의 블록도.
도 12는 표시 장치(1)의 시야각 조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계략도로, 도 12의 (a)는 시야각 조정 이전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의 (b)는 시야각 조정에서의 제 1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2의 (c)는 시야각 조정에서의 제 2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컬러 필터 기판(53)에 대한 광차폐부(108)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13의 (a)는 광차폐부(108)가 기준 위치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b)는 광차폐부(108)의 차폐 위치를 좌측으로 시프트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13의 (c)는 광차폐부(108)의 차폐 위치를 우측으로 시프트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표시 장치(1)의 시인 범위(각도 범위) 조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로, 도 14의 (a)는 시인 범위 조정 이전 단계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14의 (b)는 시인 범위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폐 위치 조정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광 위치 조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값 기억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
도 18은 다중 뷰 표시 장치가 자동차 표시 장치로서 이용될 경우 생기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다중 뷰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로서 다중 뷰 표시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로도.
도 21은 표시부가 구동용 모터에 의해 좌우 회전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2는 차량 내의 좌석에 대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변화시키는 모양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도 22의 (a)는 변화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2의 (b)는 변화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3은 표시부의 방향과 차량 내의 착석 위치의 관계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도 23의 (a)는 도 22의 (b)와 동일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3의 (b)는 표시부의 방향이 도 23의 (a)와 역방향으로 조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4는 복수의 착석 센서가 각 좌석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5는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할 때에 생성된 화면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6의 (a)는 표시 장치를 좌우 대칭 방식으로 차량에 탑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의 (b)는 표시 장치를 좌우 비대칭 방식으로 차량에 탑재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7의 (a)는 프레임 부재가 하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의 (b)는 프레임 부재가 슬라이딩식으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의 (c)는 도 27의 (b)의 단면도.
도 28의 (a)는 프레임 부재가 하강하고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의 (b)는 프레임 부재가 슬라이딩식으로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의 (c)는 도 28의 (a)의 단면도.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
도 30은 스피커 및 센서의 배치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표시부의 단면 형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2의 (a)는 운전석측의 표시 화상의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의 (b)는 조수석측의 표시 화상의 출력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3은 시야 범위 및 음성 출력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
도 34는 시야 범위 및 음성 출력 범위를 변경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5는 시야 범위 및 음성 출력 범위를 변경한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6은 골전도 스피커의 설치 방법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7은 지향성 스피커의 구성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8의 (a)는 지향성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음성 출력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8의 (b)는 지향성 스피커에 의해 생성된 음성 출력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각 실시예에서 선행하는 실시예에 이미 설명된 사항에 대응하는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중복 설명은 생략할 수도 있다. 주어진 구성의 일부만을 설명하는 경우, 구성의 나머지 부분은 선행하는 실시예에서 설명된 해당 부분과 동일한 것으로 이해한다. 각 실시예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는 부분의 조합 이외에, 조합 결과 특 별한 문제가 생기지 않는다면, 서로 다른 실시예를 부분적으로 조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 장치("다중 뷰 표시 장치"라고도 함)(20)는 표시 제어부(5)(제어부)와, 표시부(7)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화상 데이터(3)와 제 2 회상 데이터(4)로 표시부(7) 상에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될 수 있도록 프로세스하는 제어부(5)에 공급된다. 제 1 화상 소스(1)는, 예를 들어, DVD 플레이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이다. 제 1 화상 데이터는 DVD 플레이어 또는 텔레비전 수신기로부터 출력되는 영화 화상 또는 수신된 화상을 포함한다. 제 2 화상 소스는, 예를 들어, 카내비게이션 장치이다. 제 2 화상 데이터는 카내비게이션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지도 또는 루트 안내 화상이다.
표시부(7)에 대한 관찰자(10, 11)의 위치에 따라, 또는 환언하면 표시부(7)에 대한 그들의 시야각에 따라, 관찰자(11)가 제 2 표시 화상(9)을, 관찰자(10)는 제 1 표시 화상(8)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보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관찰자(11)가 제 2 표시 화상(9)을, 관찰자(10)는 제 1 표시 화상(8)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볼 수 있다. 표시 제어부(5)로부터 표시 데이터를 공급받는 표시부(7)는 후술하는 시차(視差) 베리어를 구비한 액정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표시부(7)의 길이 방향(횡 방향)의 총 화소의 반수가 제 1 화상 소스(1)에 기초하여 제 1 표시 화상(8)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총 화소 중 남는 반수가 제 2 화상 소스(2)에 기초하 여 제 2 표시 화상(9)을 표시하는데 사용된다.
관찰자(10)는 표시부(7)의 두께 방향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을 따라 일측에 배치한다. 관찰자(10)는 제 1 표시 화상(8)에 대응하는 화소만을 볼 수 있지만, 제 2 표시 화상(9)은 표시부(7)의 표면에 형성된 시차 베리어에 의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볼 수 없게 된다. 한편, 관찰자(11)는 표시부(7)의 두께 방향의 일측뿐만 아니라, 길이 방향을 따라 타측에 배치되어 있다. 관찰자(11)는 제 2 표시 화상(9)에 대응한 화소만을 볼 수 있지만, 제 1 표시 화상(8)은 시차 베리어에 의해 차단되어 실질적으로 볼 수 없게 된다.
다음으로, 시차 베리어에 대해서 설명한다.
평면 패널형의 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의 화소 구성 및, 일반적으로 시차 렌즈와 같은 광학 소자 사이의 조합은 시계(視界)를 일으킨다. 그러한 렌즈의 일례가 시차 베리어(parallex barrier)이다. 시차 베리어는 복수의 투과 슬릿이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복수의 불투명한 영역에 의해 분리된 화면이다. 시차 렌즈(시차 베리어)의 기능은 화소를 통과하는 광의 출사각을 소정의 범위 내로 제한하는 것이다. 이 출사각의 제한은 또한 대응하는 투과 슬릿의 후방에 배치된 화소 라인의 시야각을 규정한다. 시야각의 범위는 화소 폭 및 화소가 배치되는 평면과 시차 렌즈가 배치되는 평면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복수의 슬릿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화소 라인은 시야 윈도에서 볼 수 있다. 상술한 시차 베리어를 본 발명의 실시예에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개략적으로 설명한 구성의 단 하나의 화면은 좌우 측의 관찰자에게 다른 정보 및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물론, 제 1 화상 소스(1)가 제 2 화상 소스(2)와 동일할 경우, 한편 및 다른 편의 관찰자는 관례적인 방식으로 동일한 화상을 공유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표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는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차량의 폭 방향으로 거의 중앙에서 계기반 부분에 표시 장치의 표시부(7)가 배열 설치된다. 표시 장치(20)에 대한 각종 조작은 터치 패널(도시 생략), 조작부(15), 및 자외선 또는 무선 리모트 컨트롤러(도시 생략)를 사용하여 실행된다. 차량의 각 문에는 스피커(16)가 설치되어, 표시 화상에 관련한 음성 및 경고음이 생성된다.
운전석(13)에 도 1의 관찰자(11)가 착석하고, 조수석(12)에 관찰자(10)가 착석한다. 제 1 시야 방향(운전석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표시부(7) 상의 화상은, 예를 들어, 카내비게이션 장치의 지도 등의 화상이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제 2 시야 방향(조수석측)으로부터 볼 수 있는 화상은, 예를 들어, 텔레비전 수신 화상이나 DVD 영화 화상이다. 따라서, 운전석(13)의 운전자가 카내비게이션에 의한 운전 지원을 받으면서, 조수석(12)의 탑승자는 텔레비전이나 DVD를 즐길 수 있다. 그리고, 각 화상은 예를 들어, 7인치의 화면 전체를 사용하여 표시된다. 종래의 멀티 윈도 표시와 달리 화면 사이즈가 작게 되지 않는다. 즉, 운전자와 탑승자에게는, 마치 각각 독립한 전용의 디스플레이가 있는 것으로 여겨지고, 그들에게 최적의 정보나 콘텐츠가 제공된다.
도 3은 표시부(7)의 단면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표시부(7) 는 액정 표시 패널(100)과 백라이트(101)를 포함하는다. 액정 표시 패널(100)은 한 쌍의 기판과, 광 출사 방향으로 기판의 정면에 배치된 시차 베리어(108)(광차폐부(108)라고도 함)와, 유리 기판(107)과, 한 쌍의 기판을 사이에 끼우도록 설치된 2장의 편광판(102, 103)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TFT(Thin Film transistor) 기판(104)과 컬러 필터 기판(53) 사이에 액정층(105)을 한 쌍의 기판 사이에 삽입한다. 액정 표시 패널(100)은 백라이트(101)로부터 다소 이격하여 배열 설치된다. 액정 표시 패널(100)은 RGB(Red-Green-Blue) 색(삼원색)의 화소를 가질 수 있다.
액정 표시 패널(100)의 각 화소는 좌측(조수석측) 표시용과, 우측(운전석측) 표시용으로 나뉘어 표시 제어된다. 좌측(조수석측) 표시용 화소는 시차 베리어(108)에 의해 우측(운전석측)으로 표시되는 것이 차단되고, 좌측(조수석측)에서만 볼 수 있다. 한편, 우측(운전석측) 표시용 화소는 시차 베리어(108)에 의해 좌측(조수석측)으로 표시되는 것이 차단되고, 우측(운전석측)에서만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운전자와 탑승자에 서로 다른 표시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즉, 운전자에게는 내비게이션의 지도 정보가 제공되고, 동시에 탑승자에게는 영화를 볼 수 있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차 베리어(108)와 액정 표시 패널의 각 화소의 구성을 변경하면, 세 방향 등의 복수 방향으로 서로 다른 화상을 표시하는 구성을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시차 베리어 자체는 전기적으로 구동 가능한 액정 셔터(shutter)로 구성하여 시야각을 가변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좌측 표시용 화소, 우측 표시용 화소 및 시차 베리어(108) 사이의 관 계를 나타내는 개략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4의 A-A선의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는, 예를 들어, 종(폭) 방향으로 800 화소, 횡(길이) 방향으로 480 화소가 나열된 액정 표시 패널(100)의 일부를 나타낸다. 좌측 표시용 화소(109)와 우측 표시용 화소(110)는 횡 방향으로 그룹화되고, 종 방향으로 교호로 배열 설치된다. 시차 베리어(108)은 종 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배열 설치되고, 또는 횡 방향으로는 일률적으로 유지된다. 그러므로, 좌측으로부터 표시부(7)를 보면, 시차 베리어(108)가 우측용 화소(110)를 덮어 감추고, 좌측용 화소(109)를 볼 수 있다. 우측으로부터 보면, 시차 베리어(108)가 좌측 표시용 화소(109)를 덮어 감추어, 우측용 화소(110)를 볼 수 있다.
표시부(7)의 표면에 수직한 정면 부근으로부터 표시부(7)를 보면, 좌측용 화소(109) 및 우측용 화소(110)의 모두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좌측의 표시용 화상과 우측의 표시 화상이 실질적으로 서로 겹쳐서 보일 수 있다. 여기서, 도 4에 나타낸 교호로 나열된 좌측용 화소(109) 및 우측용 화소(110)는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RGB 색을 포함한다. 그러나, 각 그룹 종 방향 내는 R열, G열 또는 B열과 같이 단색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RGB가 혼합된 열로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TFT 기판(104)의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회로도이다. TFT 기판(104)은 표시 패널 구동부(111), 주사선 구동 회로(112), 데이터선 구동 회로(113), TFT 소자(114), 데이터선(115 내지 118), 주사선(119 내지 121), 화소 전극(122) 및 서브 픽셀(123)을 포함한다. 서브 픽셀(123)은 각 데이터선(115 내지 118) 및 각 주사선(119 내지 121)에 의해 둘려 쌓인 각 영역을 일 단위로 복수 개 형성된다. 각 서브 픽셀(123)에는 액정층(105)에 전압을 인가하는 화소 전극(122)과, 화소 전극(122)을 스위칭 제어하는 TFT 소자(114)가 형성되어 있다. 표시 패널 구동부(111)는, 주사선 구동 회로(112) 및 데이터선 구동 회로(113)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주사선 구동 회로(112)는 TFT 소자(114)를 선택 주사하고, 데이터선 구동 회로(113)는 화소 전극(122)에 인가된 전압을 제어한다.
상기 복수의 서브 픽셀(123)은,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의 합성 데이터 또는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데이터선(115, 117)에 제 1 픽셀 데이터(좌측 화상 표시용)를, 그리고 데어터선(116, 118)에 제 2 픽셀 데이터(우측 화상 표시용)를 전송함으로써, 제 1 화상을 표시하는 제 1 픽셀 군과, 제 2 화상을 표시하는 제 2 픽셀 군을 형성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이른바 AVN(Audio Visual Navigation) 복합기에 적용한 것이다. AVN 복합기는, 터치 패널(124)을 포함하는 표시부(7), 제어부(200), CD(Compact Disk)/MD(Mini Disk) 재생부(201), 라디오 수신부(202), TV 수신부(203), DVD 재생부(204), 하드디스크(HD) 재생부(205), 내비게이션부(206), 분배 회로(207),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 음성 조정 회로(210), 화상 출력부(211), VICS 정보 수신부(212),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정보 수신부(213), 셀렉터(214), 조작부(215), 리모콘 송수신부(216), 리모콘(217), 메모리(218), 외부 음성/화상 입력부(219), 카메라(220), 밝기 검출부(221), 탑승자 검출부(222), 리어 표시부(223), ETC(Electronic Toll Collection) 차량 탑재기(224) 및 통신 유닛(225) 을 구비한다.
표시부(7)는 터치 패널(124), 액정 표시 패널(100) 및 백라이트(101)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의 액정 표시 패널(100)은 제 1 시야 방향이나 운전석측으로부터 보이는 화상과, 제 2 시야 방향이나 조수석측으로부터 보이는 화상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표시 가능하게 된다. 표시부(7)에서는 액정 표시 패널 이외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유기 EL(Electro Luminescence) 표시 패널, 플라스마 표시 패널, 냉음극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각종 소스로부터의 화상 데이터나 음성 데이터를, 분배 회로(207)에 의해, 즉, 화상 데이터는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에, 음성 데이터는 음성 조정 회로(210)에 각각 분배시킨다. 상기 각종 소스란, CD/MD 재생부(201), 라디오 수신부(202), TV 수신부(203), DVD 재생부(204), HD 재생부(205) 및 내비게이션부(206)이다. 제 1 및 제 2 화상 조정 회로(208, 209)에서는 휘도나 색조, 콘트라스트 등이 조정되고, 조정된 각 화상을 화상 출력부(211))에서, 표시부(7)에 표시시킨다. 또한 음성 조정 회로(210)에서는 각 스피커로의 분배나 음량, 음성이 조정되고, 조정된 음성이, 스피커로부터 출력된다.
도 7은 화상 출력부(211)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화상 출력부(211)는 제 1 기입 회로(226)와, 제 2 기입 회로(227)와, VRAM(228)(Video RAM)과, 표시 구동부(111)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제 1 기입 회로(226)는 조정된 화상 데이터 중에서 기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제 2 기입 회로(227)는 우수열에 대응하는 화상 데이터를, 각각 VRAM(228)에서의 해당하는 영역에 기입한다.
표시 구동부(111)는 액정 표시 패널(100)을 구동하는 회로이며, VRAM(228)에 유지되어 있는 화상 데이터(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의 합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100)에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한다. VRAM(228)에는, 제 1 및 제 2 화상 데이터의 합성하여 취득한 화상 데이터를 다중 뷰 표시용의 화상에 대응하도록 기입이 행해진다. 그러므로, 하나의 구동 회로만이 채용될 수 있으며, 그 동작은 통상의 액정 표시 장치의 구동 회로의 동작과 동일하다. 다른 구성으로서, 제 1 화상 데이터와 제 2 화상 데이터를 합성시키지 않고 각각의 화상 데이터에 기초하여, 액정 표시 패널에 대응하는 화소를 구동하는 제 1 표시 패널 구동 회로 및 제 2 표시 패널 구동 회로를 이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제어부(200)는 광 차폐 위치 가변부에 해당한다.
여기서, 도 6에 나타낸 각종 소스를 설명한다. HD 재생부(205)를 선택할 경우, 하드디스크에 기억되어 있는, 예를 들어, MP3(MPEC Audio Layer 3) 파일 등의 음악 데이터, JPEG 파일 등의 화상 데이터, 및 음악 데이터를 선택하기 위한 메뉴 표시와 화상 데이터가 표시부(7)에 표시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부(206)는 내비게이션용으로 사용되는 지도 정보를 기억한 지도 정보 기억부를 포함하고, VICS(Vehicl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정보 수신부(212)와 GPS 정보 수신부(213)로부터 정보를 취득하고, 내비게이션 동작을 위한 화상을 작성하여 출력한다. TV 수신부(203)는 안테나로부터 셀렉터(214)를 통하여, 아날로그 TV 방송파 및 디지털 TV 방송파를 수신하고, 거기에 포함된 화상을 출력한다.
도 8은 제어부(2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어부(200)는 분배 회로(207) 및 각종 소스를 제어하고, 선택된 두 개의 소스 또는 하나의 소스를 표시한다. 제어부(200)는 각종 소스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 메뉴 표시를 표시부(7)에 표시시키는 기능도 포함하는다. 제어부(200)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성되고, CPU(Central Processing Unit)와, 프로그램 기억부(231)와, 데이터 기억부(232)와, 입출력 인터페이스(229)로 구성된다.
CPU(23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229)를 통하여, 표시 장치 내의 각부나 각 회로를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프로그램 기억부(231)는 표시 장치(20)의 동작에 필요한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롬(ROM)으로 구성된다. 데이터 기억부(232)는 각종의 데이터를 유지하는 램(RAM)으로 구성된다. ROM과 RAM은 CPU에 일체로 구성되거나, 외부에 설치된 것이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ROM은 플래시 메모리와 같이 전기적으로 개서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로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는 상기 각종 소스를 표시부(7)의 표면에 부착된 터치 패널(124)이나 표시부(7)의 주위에 설치된 스위치, 또는 음성 인식 등의 입력 조작이나 선택 조작을 조작부(215)를 통하여 조작할 수도 있다. 또한, 리모콘 송수신부(216)를 통하여 리모콘(217)을 사용하여 입력 또는 선택 조작을 행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터치 패널(124)이나 조작부(215)를 통한 조작에 따라서, 각종 소스를 포함시킨 제어 조작을 행한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 내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16)(도 2 참조)의 음량을 음성 조정 회로(210)를 이용하여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메모리(218)에 화질 설정 데이터, 프로그램, 및 차량 데이터 등의 각종 설정 데이 터를 기억시키는 것도 행한다.
도 9는 메모리(218)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메모리(218)는 제 1 화상 RAM(233), 제 2 화상 RAM(234), 화질 설정 데이터 기억 수단(235) 및 환경 조정값 유지 수단(236)을 포함하는다. 제 1 화상 RAM(233)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 1 화상의 화질 조정값을 기입할 수 있고, 제 2 화상 RAM(234)은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값을 기입할 수 있다. 화질 설정 데이터 기억 수단(235)에서는, 제 1 화상과 제 2 화상의 화질을 조정하기 위해, 복수 단계의 화질 조정값이 화질을 조정용 프리세트(preset) 값으로 선택 가능하게 기억되어 있다. 환경 조정값 유지 수단(236)은 주위 환경에 대한 제 1 화상 및 제 2 화상의 화질 조정 상태를 유지한다. 화질 설정 데이터 기억 수단(235) 및 환경 조정값 유지 수단(236)은 플래시 메모리 등의 전기적 개서 가능한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배터리 백업된 휘발성 메모리에 의해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외부 음성/화상 입력부(219)에 접속된 후방 감시용 카메라(220)로부터의 화상이 표시부(7)에 표시될 수도 있다. 상기 후방 감시용의 카메라(220) 이외에, 비디오 카메라 및 게임기 등을 외부 음성/화상 입력부(219)에 접속할 수도 있다. 제어부(200)는 밝기 검출 수단(221) 또는 탑승자 검출 수단(222)에 위해 검출된 데이터를 기준으로, 음성의 위치를 변경시킬 수도 있다. 밝기 검출 수단(221)은, 예를 들어, 차량의 라이트 스위치나 광 센서에 의해 구성되고, 탑승자 검출 수단(222)은, 예를 들어, 압력 센서에 의해 실현된다.
리어 표시부(223)는 차량의 뒷좌석용으로 설치해 두고, 화상 출력부(211)를 통하여, 표시부(7)에 표시되는 화상과 동일한 화상, 또는 운전석용의 화상이나 조수석용의 화상 중 어느 한 편을 표시한다. 또한, 리어 표시부(223)는 분배 회로(207)을 통하여, 운전석용의 화상이나 조수석용의 화상 중 어느 한편을 표시한다. 제어부(200)는 ETC 차량 탑재기(224)로부터의 요금 표시, 요금 이력, ETC 게이트로의 레인 안내 등을 표시 가능하게 제어한다. 제어부(200)는 휴대 전화기 등과 무선 접속하기 위한 통신 유닛(225)을 제어하고, 이에 관하여 표시가 되도록 하여도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의 (a)는 운전석측에 출력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의 (b)는 조수석측에 출력되는 화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의 (c)는 주요부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표시 장치(301)의 제어계의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1)는 차량에 탑재된다. 그러나, 표시 장치는 차량 애플리케이션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차량 애플리케이션 이외의 전자 기기에도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은 광 차폐 위치 조정 방법의 설명을 포함한다.
표시 장치(301)는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본체(302)와, 드라이버(303)와, 마이크로 컴퓨터(304)와, 메모리(305)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본체(302)(간단히 디스플레이(302)로 하는 경우가 있음)는 액정 표시 패널(306), 터치 패널(307), 광차폐 패널(308), 백라이트(309) 및 편광판(310)을 사용하여 실현된다. 액정 표시 패널(306)의 화소를 구동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드라이버(303)와 마이크로 컴퓨터(304)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본체(302) 내에 격납된다. 마이크로 컴 퓨터(304)는 중앙 연상 프로세스 장치(311)(CPU)와 롬(312)(ROM)과, 램(RAM)을 포함한다. CPU(311), 롬(312), 및 램(313)은 버스(314)를 통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15)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시야각 조정값 및 시야 범위 조정값 등을 기억하는 메모리(305)는 버스(314)를 통하여 CPU(311) 등에 접속된다.
디스플레이 본체(302)는 화상을 표시하는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액정 표시 패널(306)과, 액정 표시 패널(306)의 화소로부터의 출사광을 투과/차폐함으로써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액정 표시 소자로 이루어지는 광차폐 패널(308)로 이루어진다. 액정 표시 소자(TFT-LCD)(321)는 백라이트(309) 및 편광판(310)으로부터 패널의 두께 방향으로 다소 이격하여 배열 설치되고, 유리판으로 형성된 두 개의 전극 기판(322, 323) 사이에 액정층을 끼워 구성된다. 액정 표시 패널(306)의 전면 즉 패널의 광 발광측의 전면에 광차폐 패널(308)이 설치된다. 액정 표시 패널(306)과 마찬가지로 광차폐 패널(308)을 유리판으로 형성된 전극 기판(316, 325) 사이에 액정 소자(324)를 끼워 구성한다. 그리고, 편광판(310a, 310b, 310c)이 각각 전극 기판(323)과 백라이트(309) 사이, 전극 기판(322, 325) 사이, 전극 기판(316)의 외측에 설치된다. 편광판(310b, 310c)에 의해 양측에 형성된 광차폐 패널(308)이 액정 표시 장치와 마찬가지의 원리에 기초하여 광의 투과 또는 차폐를 행한다. 그리고, 각 액정 투과/차폐 화소마다, 유리 기판(316, 322) 및 액정 소자(324)가 광의 투과/차폐 제어를 행함으로써, 차폐 위치를 가변할 수 있다. 그리고, 입력된 시야각 조정 신호 및 시인 범위 조정 신호에 따라서, 광차폐 패널(308)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가 가변된다.
액정 표시 패널(306)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드라이버(303)에 의해 구동되고, 광차폐 패널(308)의 디스플레이 소자는 드라이버(320)에 의해 구동된다. 시야각 조정은 광차폐 패널(308)의 차폐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으며, 시인 범위 조정(시야 범위 조정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은 광차폐 패널(308)의 광 투과 부분의 면적을 조정함으로써 행해질 수 있다.
도 12는 표시 장치(301)의 시야각 조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2의 (a)는 시야각 조정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b)는 시야각 조정을 하는 제 1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2의 (c)는 시야각 조정을 하는 제 2 단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시야각 조정 신호는 각각 다른 화상을 출력하는 각 방향(간단히 각 방향으로 함)마다 조정값으로서,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낸다. 이 시야각 조정 신호는 예를 들어, 시인자에 의해 입력 수단 및 정보 취득부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307)을 조작하여 입력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신호는 "광 출사 정보"에 상당한다. 메모리(305) 내에서의 시야각 조정값 기억 영역에는, 각 방향마다 하나 이상의 조정값이 기억된다. 그러나, 각 방향마다 기억된 조정값 개수는 복수의 조정값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305) 내에서의 시야각 조정값 기억 영역에, 각 방향마다 하나의 조정값이 기억되는 경우도 생길 수 있다. 그래서, 터치 패널(307)에 실행된 조작에 따라서, 조정 대상의 방향에 대한 조정값이 메모리(305)로부터 판독되어 시야각 조정 신호가 드라이버(320)에 출력된다. 또한, 터치 패널(307)에 등록 조작을 행할 경우, 조작 시점의 시야각에 대응하는 조정값이 메모리(305)에 기억된다. 이들 조 작으로 시야각의 프리세트 기능이 실현된다.
광차폐부(108)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하여 시야 영역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3은 컬러 필터 기판(106)에 대한 광차폐부(108)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3의 (a)는 광차폐부(108)가 기준 위치에 설정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3의 (b)는 광차폐부(108)의 광 차폐 위치를 차량 폭 방향을 따라 한 방향으로 시프트한 상태의 도면이고, 도 13의 (c)는 광차폐부(108)의 광 차폐 위치를 차량 폭 방향의 다른 방향으로 시프트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1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차폐부(108)가 기준 위치에 있을 경우, 운전석측(좌측) 화상의 시야각 α(α는 예를 들어, 60도)와, 조수석측(우측) 화상의 시야각 β(β는 예를 들어, 60도)는 동일하게 되도록, 컬러 필터 기판(106)(컬러 필터(106)로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대하여 제어된다. 시야각 α 및 β는, 표시부(7)가 설치되는 차량의 차량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한다.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향각, 조향 방향 및 차량의 가속도 등(이후, 조향각 등으로 칭함)에 기초하여,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운전석측(좌측) 화상의 시야각 α를 조수석측(우측) 화상의 시야각 β보다도 작게 할 수 있다. 환언하면, 조향각 등에 기초하여, 우측 화상의 시야각 β를 좌측 화상의 시야각 α보다도 넓게 되도록 컬러 필터 기판(106)으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이 제어된다. 구체적으로는, 기준 위치에 있는 광차폐부(108)의 차폐 위치를 차량 폭 방향을 따라 한방향(화살표 H1으로 표기)으로 소정 작은 거리만큼 시프트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컬러 필터(10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이 제어된다. 차량에 작용 하는 원심력에 의해, 관찰자의 머리 부분 위치가 착석 위치보다도 좌우 즉 차량 폭 방향으로 어긋나도, 그 어긋난 양에 따라 컬러 필터(10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기 때문에, 운전석, 조수석 양자에 대해 시야 영역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향각 등에 기초하여, 차량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조수석측(우측) 화상의 시야각 β를, 운전석측(우측) 화상의 시야각 α보다도 작게할 수 있다. 환언하면, 좌측 화상의 시야각 α를 우측 화상의 시야각 β보다도 넓게 되도록 컬러 필터(10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광차폐부(108)의 차폐 위치를, 기준 위치로부터 차량 폭 방향을 따라 다른 방향(화살표 H2로 표기)으로 소정 작은 거리만큼 시프트함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한다. 그리고, 차량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관찰자의 머리 부분 위치가 착석 위치 보다도 좌우 방향으로 어긋난다하더라도, 그 어긋남에 대하여, 컬러 필터(10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기 때문에, 운전석, 조수석 양자의 시인 영역을 적절히 유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차폐부(108)는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 α와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 β가 서로 다르게 되도록 컬러 필터(10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기 때문에, 크로스토크 영역(양방의 화상이 시인 가능한 영역)을 적절하게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어, 도 1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수석측(우측) 화상의 시야각 β를 운전석측(좌측) 화상의 시야각 α보도 넓게 되도록, 컬러 필터(106)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할 경우, 차량의 운전 동안에 신체 위치가 실질적으로 구속되는 운전자보다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범위가 넓은 조수적측의 관찰자가 용이하게 크로스토크 영역(양방의 화상이 시인 가능한 영역)으로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한편, 도 1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측(좌측) 화상의 시야갹 α를 조수적측(우측) 화상의 시야각 β보다도 넓게 되도록, 운전석에 앉은 운전자가 조수석측(좌측) 화상을 보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주행 도중에 운전자에게 의도하지 않은 표시 화상(예를 들어, 조수석측(좌측)에 나타낸 DVD 화상)이 운전석측(우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 가능하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터치 패널(307)은 시야각 조정 스위치로서도 기능한다. 이 시야각 조정 스위치는 시야각을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각 방향에서의 화상에 대하여 시야각을 좌우로 시프트시키는 지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표시 장치(301)는 또한 조정용 화상 표시 수단 및 조정값 표시 수단(조정값 표시부)을 더 포함한다. 이들 중에서 조정용 화상 표시 수단은, 터치 패널(307)에 의한 시야각의 조정 중에서 디스플레이(302)에 조정용 화상, 예를 들어, 시야각이 적절하게 조정된 경우에, 그 시야각 방향으로 보였을 때에 식별할 수 있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조정용 화상은 메모리(305)에 기억되어 있다. 한편, 조정값 표시 수단은 시야각 조정 중에서 디스플레이(302)에 그 조정값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 조정값을 표시하는 화상은, 예를 들어, 조정값의 증감에 따라 값이 증감하는 레벨 미터, 원 그래프, 벡터 표시 등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특정 화상 중 어느 하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장치(301)는 또한 시인 범위 조정 수단을 더 포함하 고 있다. 이 시인 범위 조정 수단은 시야각 조정 중에, 의도된 화상이 시인 가능한 범위(각도 범위)인 시인 범위를 좁게 한다(도 14 참조).
도 14는 표시 장치(301)의 시인 범위(각도 범위) 조정을 단계적으로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4의 (a)는 시인 범위 조정 이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4의 (b)는 시인 범위 조정이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 중에서, 시인 범위를 α1, β1 및 β2로 표기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상기 시인 범위 조정 신호는 화상이 시인 가능한 각도의 범위인 시인 범위(각도 영역)를 나타내는 신호이다. 시인 범위 조정 신호는 각 방향마다 시인 범위 조정값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이 시인 범위 조정 신호는, 예를 들어, 시인자에 의해 터치 패널(307)을 조작하여 입력될 수 있다. 메모리(305) 내의 시인 범위 조정값 기억 영역에는, 각 방향마다 하나 이상의 조정값이 기억된다. 그러나, 각 방향에 대하여 기억되는 조정값의 수를 반드시 하나 이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메모리(305) 내의 시인 범위 조정값 기억 영역에서, 각 방향마다 단 하나의 조정값이 기억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상술의 메모리(305)와 터치 패널(307)을 사용하여 실행되는, 시야각의 프리세트 기능과 동일한 시인 범위 프리세트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터치 패널(307)은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로서의 기능도 포함한다. 이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는 시인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며, 각 방향의 각 화상에 대하여, 시인 범위를 확대 또는 축소하는 지시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표시 장치(301)는 시인 범위 조정 동안에 디스플레이(302)에 그 조정이 쉽게 행하는 조정용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도 포함한다. 이러한 조정용 화상은 메모리(305)에 기억되어 있다. 조정값 표시 수단은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이 이루어지면서 디스플레이(302)에 그 조정값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한다. 이 조정값을 표시하는 화상은, 예를 들어, 조정값의 증감에 따라 증감하는 레벨 미터, 원 그래프, 벡터 표시 등을 포함한다. 다만 이들 특정 화상 중 어느 하나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차폐 위치 조장 프로세스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광 차폐 위치 조정 프로세스는 CPU(311)에 의해 행해진다. 이 프로세스는 표시 장치(301) 동작 동안에 반복하여 행해진다. 스텝 a1에서는 입력 신호의 유무를 확인한다. 입력 신호가 있으면 스텝 a2로 프로세스를 이행하고, 입력 신호가 없으면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여기서 입력 신호는 예를 들어, 터치 패널(307) 상에 시야각 조정 스위치 또는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의 가압 조작에 의해 발생한 신호, 또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상태 신호와 같은 시야각 조정 등의 실행과 관련되는 것으로, 미리 설정된 신호 중의 하나이다. 주행 상태 신호는 차량에 탑재되는, 예를 들어, 자이로, 가속도 센서, 차속 검출 수단 등 차량의 상태를 검출하는 센서에 의해 실현된다. 그 외의 가능한 입력은 표시 장치(301)의 주위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열전대 소자)와 시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예를 들어, 차량 내부에 탑재된 CCD 카메라를 이용하여 시인자의 위치를 검출, 시트 위치에 위해 시인자의 위치 검출)를 포함한다.
스텝 a2에서는, 입력 신호에 따른 광 차폐 위치를 달성하기 위해 광차폐 패 널(308)의 각 소자를 제어한다. 입력에 따른 광차폐 패널(308)의 소자 제어 패턴은 메모리(305)에 기억되어 있고, 이 패턴 데이터에 기초하여 각 소자가 제어된다. 차량 상황에 따라 제어가 어떻게 실행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한다. 예를 들어, 도 12의 (b) 및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이 커브를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 운전자 및 탑승자는 원심력에 의해, 차량이 직선 주행하는 경우에 비해서, 신체가 차량의 폭 방향으로 다소 변위(변위량 "δ")한다. 좌 커브를 주행할 경우에, 그 변위량에 기초하여 차량의 폭 방향으로 운전자에게 출력해야할 화상의 시야각을,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이 직선 주행 상태보다도 예각으로 되도록 조정값이 정해진다. 이 조정값은 차량에 탑재된 센서로부터 제공된 신호에 기초하여 메모리로부터 판독된다. 그런 다음, 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화상의 시야각이 제어된다.
도 12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 커브에서는, 그 변위량에 기초하여 차량의 폭 방향에 대하여 운전자측에 출력해야할 화상의 시야각을 도 12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 주행 경우보다 둔각으로 하도록 조정값이 정해진다. 이와 함께 탑승자에 출력해야할 화상의 시야각을 직선 주행 경우보다도 예각으로 하도록 조정값이 정해지고, 이 조정값에 기초하여 조정된다. 또한, 차량이 급가속 또는 급정차할 경우에는, 운전자 및 탑승자는 관성력 등에 의해 신체가 각각 전후 방향으로 변위하지만, 그 변위량에 따라서, 각 방향에서의 시야각 조정값을 정할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이 스텝 a2에서 입력 신호에 따라서,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가 가변된 후, 본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 차폐 위치 조정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광 차폐 위치 조정 프로세스는 CPU(311)에 의해 행해진다. 이 프로세스는 조작자에 의해 시야각(시인 범위)의 조정을 개시하도록 조작이 행해진 경우, 개시된다. 즉, 조작자가 조정을 행할 의지를 나타내었을 때만 조정을 행하고, 원하지 않을 경우 조정은 행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스텝 b1에서는, 조정값에 관한 입력 신호의 유무가 확인되고, 입력 신호가 있으면 프로세스는 스텝 b2로 이행하고, 이러한 입력 신호가 없으면 프로세스는 스텝 b5로 이행한다. 스텝 b5에서는, 조정값을 디폴트값으로 설정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스텝 b2에서,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조정값이 메모리(305)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억되어 있으면 프로세스는 스텝 b3으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스텝 b6으로 이행한다. 스텝 b6에서는, 조작자가 수동 조작을 행하도록 재촉하는 표시와 그러한 목적의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후에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스텝 b3에서는, 메모리(305)로부터 입력 신호에 대응한 조정값을 나타내는 신호를 판독하고, 프로세스는 스텝 b4로 이행한다. 스텝 b4에서는, 메모리(305)로부터 판독된 조정값을 드라이버(320)에 공급하고, 후에 프로세스를 마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정값 기억 프로세스를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이 조정값 기억 프로세스는 CPU(311)에 의해 행해진다. 이 프로세스는 조작자에 의한 조정값 등록 조작(터치 패널(307)의 조작)이 행해질 경우 개시된다. 스텝 c1에서는, 입력 신호를 판독하고, 프로세스는 스텝 c2로 이행한다.
스텝 c2에서는, 광차폐 패널(308)의 조정값을 판독하고, 프로세스는 스텝 c3 으로 이행한다. 스텝 c3에서는, 그 입력 신호에 대응한 조정값이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고, 기억되어 있으면, 프로세스는 스텝 c4로 이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스텝 c5로 이행한다. 스텝 c4에서는, 메모리(305)에 기억된 동일 입력 신호에 대한 조정값을 새로운 조정값으로 갱신하고,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한편, 스텝 c5에서는, 입력 신호를 조정값과 대응시켜 메모리(305) 내의 빈 영역에 기억시키고, 후에 프로세스를 종료한다.
상술한 표시 장치(301)에 따르면, 입력된 시야각 조정 신호에 따라서, 액정 투과/차폐판이 광차폐 패널(308)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시키기 때문에, 이하의 효과가 제공된다. 즉, 광 차폐 위치는 전체적으로 이동할 뿐만 아니라, 미세하게 다양한 패턴으로 변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야각 조정 신호에 대한 광차폐 패널(308)의 최적의 광 차폐 위치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입력 수단을 통한 시야각 조정 신호에 따라서, 액정 표시 패널(306)의 전면에 배치된 광차폐 패널(308)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써 시야각 조정을 실현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상황, 예를 들어,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 조정 신호는 서로 다른 화상이 출력되는 각 방향에 대해 조정값을 나타내는 신호이기 때문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출력되는 각 화상에 대하여 독립하여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크로스토크의 저감을 도모하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301)는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 조정에 대한 프리세트 수단(프리세트부)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시야각 및 시야 범위의 조정을 용이하 고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환언하면, 조정값이 메모리(305)에 일단 기억되면, 광차폐 패널(308)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는 조정값에 따라서 일의적으로 얻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시야각 및 시야 범위를 용이하고 신속하게 조정할 수 있다.
메모리(305) 내에 시야각 및 시야 범위의 조정값 기억 영역에는, 각 방향마다 복수의 조정값이 기억되어 있기 때문에, 각 방향으로 위치하는 시인자에 최적의 시야각 및 시야 범위가 설정된다. 따라서, 복수 방향에 위치하는 복수의 시인자는, 각각 서로 다른 화상을 확실히 시인할 수 있다. 메모리(305) 내에 시야각 및 시야 범위의 조정값 기억 영역에, 각 방향마다 조정값이 기억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특정 방향으로 위치하는 시인자에 대해 시야각 및 시야 범위가 설정된다. 본 표시 장치(301)에 따르면, 액정 소자를 사용하여 광의 투과/차폐 제어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원을 이용하여 슬릿을 구동 제어하는 종래 기술에 비해,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시인자는 터치 패널(307)의 조작에 의해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를 수동으로 조정을 할 수 있다. 시야각 조정 동안에 조정용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인자는 이 조정용 화상을 보면서 용이하고 정확하게 시야각 조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 조정 동안에 조정값을 나타내는 화상이 표시되기 때문에, 시인자는 이 조정값을 확인하면서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자가 조정값을 용이하게 기억하여 둘 수 있고,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 조정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를 조정하면서, 시인 범위를 좁힘으로써, 시야각 또는 시야 범위를 고정밀도로 조정할 수 있 다.
본 표시 장치(301)에 따르면, 차량의 주행 상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서 광차폐 패널(308)의 광 차폐 위치가 가변되어, 적정한 시야각을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행 상태에 기인하는 원심력 또는 관성력에 반하여 시인자는 머리 등을 이동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이는 시인자의 신체적 부담을 경감시키게 한다. 차량의 주행 상태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인자는 화상을 적절하게 또는 확실하게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표시 장치(301)의 주위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를 입력할 경우,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광차폐 패널(308)의 광 차폐 위치의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이는 고정밀도의 시야각 및 시야 범위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CCD 카메라 등을 이용하여 시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시인자의 위치를 특정할 수 있게 되고, 시인자의 위치에 맞도록 고정밀한 시야각 및 시야 범위 조정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화상"은 정지 화상 및 동화상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그 밖의 실시예로서, 시인자의 좌우 눈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 위치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 수단을 설치하고, 액정 투과/차폐판이 시인자가 좌우의 눈으로 다른 화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광차폐 패널(308)의 광 차폐 위치를 가변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시인자는 좌우의 눈으로 다른 화상을 시인할 수 있기 때문에, 시인자는 입체 화상을 시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광차폐부의 광 차폐 위치를 동적으로 가변하지 않고, 예를 들어, 차량에 따라서, 탑재시(공장에서 출하시)에 좌우 비대칭으로 되도록 광차폐부의 설정을 고정하여도 된다. 본 발명은 차량용 애플리케이션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정용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일실시예로서의 다중 뷰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를 차량용의 다중 뷰 표시 장치를 적용한 경우를 예로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는 가정용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표시 장치(20)는 특정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200)와, 프로그램, 데이터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218)와, 제어부(200)로부터 지령에 의해 표시부(7)에 제어 신호를 작성하는 화상 출력부(211)와, 표시부(7)의 좌우 방향의 방향을 변경하는 구동 수단으로서의 모터(21)와, 제어부(200)로부터 지령에 의해 모터(21)로 제어 신호를 작성하는 모터 제어 회로(254)를 포함한다.
제어부(2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리모콘 등의 외부 스위치(250)로부터의 신호를 입력받는다. 또한, 제어부(200)는 차량의 각 좌석에 대응하여 설치된 복수의 착석 센서(25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의 다중 뷰 표시 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0에서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부 스위치(250) 또는 착석 센서(252)로부터의 신호를 입력하지 않고, 제어부(200)는 LAN 유닛(258)를 통하여 차량(19) 내부에 구성된 차량용 LAN(260), 및 통신 유닛(225)을 통하여 인터넷과 접속되어 있다.
도 20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어부(200)는 차량 탑재 LAN(260)과 접속되어 있 는, 예를 들어, 차량 제어 ECU(262), 파워 트레인 ECU(264) 및 에어백 ECU(266)로부터, 다중 뷰 표시 장치(20)가 탑재된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예를 들어, 05년 모델, 모델명 XXX)를 차량 탑재 LAN(260)을 통하여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어부(200)는 통신 유닛(225)을 이용하여, 인터넷을 통해 외부의 카 딜러 등의 서버에 접속하고 다중 뷰 표시 장치(20)가 탑재된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취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표시 장치(20)는 LAN 유닛(258) 및 통신 유닛(225) 모두 장착되거나, 하나만 장착될 수도 있다.
도 21은 표시부(7)가 구동용 모터(21)를 사용하여 좌우로 회전 구동되는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표시 장치를 위에서 보았을 때이다.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21)의 회전 운동은 두 개의 구동축(22A, 22B)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된다. 한쪽의 구동축이 전방(또는 후방)으로 이동과 함께 다른 쪽의 구동축이 후방(또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표시부(7)가 회동한다.
도 22는 차량 내의 좌석에 대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어떻게 변화시키는 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가 회전될 수 있는 다중 뷰 표시 장치를 차량에 탑재하면, 차량 내의 좌석에 대한 표시부(7)의 방향을 예를 들어, 도 22의 (a)에 나타낸 상태로부터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2의 (b)에 나타낸 상태에서는, 표시부(7)의 방향과 차량 내의 착석 위치 사이의 관계가, 예를 들어,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된다. 도 2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뒷좌석 중앙에 앉아 있는 사람의 위치로부터 표시부(7)를 보았 을 때, 단 하나의 화상만이 시인 가능하도록 표시부(7)의 방향이 조정된다. 또한, 조수석측 표시 화상을 시청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되기 때문에, 이동량이 많은 조수석 탑승자가 용이하게 크로스토크 영역(양방의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영역)으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23의 (b)는 표시부(7)의 방향을 도 23의 (a)에 나타낸 방향과 역방향으로 조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3의 (b)의 경우에는, 뒷좌석 중앙에 앉아 있는 사람의 위치로부터 표시부(7)를 볼 때, 도 23의 (a)의 경우와는 반대의 다른 표시 화상만이 보이도록 표시부(7)의 방향이 조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서도, 뒷좌석 중앙에 앉은 탑승자에 양방의 표시 화상이 보이게 되는 문제점이 해소된다. 또한, 운전석측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는 영역이 증가하여, 운전자가 조수석측 표시 화상을 보는 것이 상당히 곤란하게 되기 때문에, 주행 동안에 의도하지 않은 화상(예를 들어, 조수석측에 표시되는 DVD 화상)이 운전석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시인 가능해지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다중 뷰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부(7) 방향 조정을 수동 조정 모드와 자동 조정 모드를 지원함으로써 실현한다. 즉, 수동 조정 모드에서는, 사용자가 리모콘(217) 등의 외부 스위치(250)를 조작하고, 그 신호를 받은 제어부(200)가 모터(21)를 제어한다. 표시부의 적절한 방향은 차종, 시트 위치 등에 따라 변하지만, 수동 조정 모드를 이용하여 사용자는 미세 조정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200)의 제어 하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설정된 표시부(7)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218)에 기억시키고, 표시 장치의 사용이 정지되어 다시 개시될 때에, 메모리(218)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부(7)의 위치를 설정하는 프로세스를 행한다. 즉, 표시 장치의 설계에 따라서는, 표시 장치의 오프 시에 표시부(7)가 정상 위치(좌로도 우로도 향하지 않는 위치)로 돌아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서 표시 장치를 다시 온 시킬 때에는, 표시부(7)의 방향을 재설정할 필요가 있지만, 그 재설정 조작은 자동으로 행해진다.
다음으로, 자동 조정에서 표시부(7)의 방향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4는 각 좌석에 설치된 복수의 착석 센서(252)의 배열을 나타낸다. 각 착석 센서(252)는 사람이 좌석에 앉아 있는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그 신호를 표시 장치 본체(10)의 제어부(200)에 송신한다. 그러므로, 제어부(200)는 차량 내의 착석 상태를 검출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자동 조정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200)는 검출된 착석 상태에 따라서 모터(21)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착석 상태에 따라 표시부(7)의 위치가 자동으로 최적의 방향으로 설정되므로, 사용자가 표시 방향을 설정하는 수고를 덜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다양한 착석 상태에 대한 표시부(7)의 방향 설정이 테이블화되어 메모리(218)에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메모리(200)를 참조함으로써, 제어부(200)는 검출된 착석 상태에 적합한 표시부(7)의 방향을 결정하고, 모터(21)를 제어한다. 또한, 메모리(218) 내에 저장된 테이블은 사용자에 의해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 테이블은 차종, 시트 위치 등과 같은 그 밖의 파라미터를 고려하여 표시부의 방향을 정의하는 것으로서 구성해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부(200)는 모터(21)를 제어하여 표시부(7)의 방향을 변경할 때에, 표시부(7) 위의 표시 화면에, 표시부의 방향에 관한 정보를 표시한다. 도 25는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할 때의 화면 표시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 예에서, 표시부의 방향에 관한 정보가 "화면 각도 + 10"으로 하여 표시되어 있다.
"설정 1" 표시는 검출된 착석 상태에 대해 설정에 할당된 번호를 나타내고 있다. "자동 조정 ON" 표시는 자동 조정 모드에서의 조정이 행해지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표시부 방향에 대한 설정값이 표시되기 때문에, 수동 조정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는, 조수석 또는 뒷좌석의 탑승자가 설정자에게 가장 좋은 설정값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어부(200)는 모터(21)를 제어하여 표시부(7)의 방향을 변경할 때에, 표시부(7)의 화면에 착석 상태를 표시하는 프로세스를 행한다. 도 25에 나타낸 표시 화면의 예에서는, 착석 상태는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좌)"으로 표시되고, 이들 좌석에 사람이 앉아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착석 상태가 표시되기 때문에, 수동 조정 모드의 경우에 있어서는, 표시 위치를 설정하는 사람이 착석 상태를 시인할 수 있고, 설정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다른 자동 조정 모드에 의한 표시부(7)의 방향 조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외부 스위치(250)와 착석 센서(252)가 없는 도 20의 구성에서, 제어부(200)는 LAN 유닛(258) 또는 통신 유닛(225)을 통하여, 다중 뷰 표시 장치가 탑재되어 있는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취득하여, 취득한 차량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 부(7)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그 경우, 메모리(218) 내에는, 차량 정보와 적절한 표시부(7)의 각도 정보를 대응시킨 테이블이 기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200)는 취득한 차량 정보를 이용하여, 표시부(7)의 각도 정보(조수적측에 15도)를 추출하고, 추출된 각도 정보에 따라 모터(21)를 제어시켜 표시부(7)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다. 차량에 따라서, 다중 뷰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위치, 운전석, 조수석, 뒷좌석 등의 배치가 결정되기 때문에, 최적의 표시부(7)의 방향을 차량에 따라서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선호에 맞춰 미세 조정이 필요한 경우도 많기 때문에, 차량 정보에 기초한 표시부(7)의 방향 조정을 초기 설정시(공장 설정)에만 행하고, 그 후에는, 도 19에 나타낸 예에 따라서, 조정을 행할 수 있다.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표시부(7)의 방향을 모터(21)를 이용하여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러나, 가변하여 조정을 행할 필요성 등이 적은 경우 등에는, 예를 들어, 차량에 따라서, 표시부(7)를 좌우 비대칭으로 경사진 위치에 고정하여 미리 조정하여도 된다. 이하에, 표시부(7)를 좌우 비대칭으로 경사진 위치에 고정하여 미리 조정되는 3 개의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표시 장치(20)를 좌우 비대칭으로 차량에 부착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의 (a)는 표시 장치(20)를 차량(19)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탑재한 예를 나타내고, 도 26의 (b)는 표시 장치(20)를 차량(19)에 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탑재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6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쐐기형으로 탑재된 부착구(32)를 사용하여 표시 장치(20)를 차량(19)에 나사(33)에 의해 고정 함으로써, 표시부(7)는 운전석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부착구(32)를 좌우 반대로 할 경우, 표시부(7)를 조수석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경사진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각 부착부(32)의 쐐기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표시부(7)가 경사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이 경우, 부착부(32) 자체의 쐐기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도 좋고, 쐐기 각도가 다른 복수의 부착구(32)를 미리 준비하도록 하여도 된다.
도 27은 액정 표시 패널(7)만을 좌우 비대칭으로 프레임 부재(40)에 탑재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7에서는 표시 장치(20) 자체는 거의 좌우 대칭으로 차량(19)에 탑재되고, 프레임 부재(40)에 관한 액정 표시 패널(7)의 방향만이 조정된다. 도 27의 (a)는 프레임 부재(40)가 하강하지 않는 상태를 나타내고, 도 27의 (b)는 프레임 부재(40)가 슬라이딩하여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7의 (c)는 도 27의 (b)의 A-A'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40)는 액정 표시 패널(7)을 유지하고,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하강 및 상승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0) 하강 및 상승 동작은 프레임 부재(40)에 부착된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릿(4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또한 도 27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7)은 완충재(43)를 개재하여 소정의 각도를 갖고 프레임 부재(40)에 탑재되어 있기 때문에, 도 27의 (a)의 상태로 된 경우에,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져 고정되게 된다(화살표 44는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7)가 시청되는 방향을 나타내고 있음). 도 27의 경우에는 운전석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 져 탑재되어 있다. 여기서, 완충재(43)를 도 27의 (c)와는 좌우 반대의 위치에 설치함으로써, 조수석측에 액정 표시 패널(7)을 경사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재의 두께, 위치 등을 조정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7)이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8은 액정 표시 패널(7) 및 프레임 부재(40)를 좌우 비대칭으로 슬릿 프레임(45)으로 탑재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8에서는, 표시 장치(20) 자체는, 거의 좌우 대칭으로 차량(19)에 탑재되고, 슬릿 프레임(45)과 관련된 액정 표시 패널(7) 및 프레임 부재(40)의 방향만을 조정한다. 도 28의 (a)는 프레임 부재(40)가 하강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도 28의 (b)는 프레임 부재(40)가 슬라이딩하여 하강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28의 (c)는 도 28의 (a)의 B-B' 단면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 부재(40)는 액정 표시 패널(7)을 유지하고, 표시 장치(20)에 대하여 하강 및 상승 동작을 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프레임 부재(40)의 하강 및 상승 동작은 슬라이드 레버(46)가 프레임 부재(40)를 지지하면서, 프레임 부재(40)에 부착된 슬라이딩 부재(42)가 슬릿(41)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행해진다. 도 28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정 표시 패널(7) 및 프레임 부재(40)는 소정의 각도를 갖고 슬라이딩 부재(42) 및 슬릿(41)에 의해 슬릿 프레임(45)에 탑재된다. 결과적으로, 표시 장치(20)가 표시 위치로 설정된 경우에, 액정 표시 패널(7)은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진다(화살표 48은 사용자에 의해 표시부(7)가 시청되는 방향을 나타냄). 즉, 실질적으로 액정 표시 패널(7)은 소정 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진다.
도 28의 경우에는, 운전석측으로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지도록 부착되어 있지만, 슬릿(41)의 위치를 도 28의 (c)나타낸 것과는 좌우 반대 위치에 설치됨으로써, 조수석측으로 기울도록 액정 표시 패널(7)을 탑재할 수 있다. 또한, 슬릿(41)의 위치나 슬라이딩 부재(42)의 길이 등을 조정함으로써, 액정 표시 패널(7)이 기울어진 각도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9는 설명을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특징 부분만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하의 설명에서는, 차량용의 표시 장치에 기초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차량 탑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가정용 표시 장치 등에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9에서, 도 6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붙였다. 도 29의 구성은 도 6의 구성과, 음성 조정 회로(210)가 차량(198)의 여러 위치에 탑재된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로부터 음성을 출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 제어부(200)가 차량(198)의 각 시트에 헤드레스트(headrest)부에 탑재된 제 1 검출 센서(420) 내지 제 5 검출 센서(428)로부터의 음량을 음성 검출부(400)를 통하여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점에서 다르다.
도 30은 스피커 및 검출 센서의 배치 예를 나타낸다.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19) 내에서 제 1 스피커(16-1)는 운전석 시트측 문에 탑재하고, 제 2 스피커(16-2)는 조수석 시트측 문에 탑재하고, 제 3 스피커(16-3)는 뒷좌석(18)의 우측에 탑재되고, 제 4 스피커(16-4)는 뒷좌석(18)의 좌측에 배치된다. 한편, 제 1 검출 센서(420)는 운전석(13)의 헤드셋(23)에 탑재되고, 제 2 검출 센서(422)는 조수석(12)의 헤드셋(24)에 탑재되고, 제 3 검출 센서(424)는 뒷좌석(18)의 헤드셋(25)에 탑재되고, 제 4 검출 센서(426)는 뒷좌석(18)의 헤드셋(26)에 탑재되고, 제 5 검출 센서(428)는 뒷좌석(18)의 헤드셋(27)에 탑재된다. 또한, 스피커와 검출 센서의 상기 배치 예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차량의 내부 형상이나 시트의 배치 등에 따라, 다른 여러 가지 배치가 가능하다.
도 31은 표시부(7)의 단면형상을 나타낸 개략도다. 터치 패널(124)은 가요성의 투명 절연 기판대(130, 138), 각 투명 절연 기판 위에 형성된 투명 전극(132, 136), 및 투명 전극(132) 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 도트 스페이서(134)로 구성되고, 사용자가 투명 전극 기판(130)을 가압함으로써 도트 스페이서(134) 중 하나를 투명 전극(136) 접속시키면, 접점의 위치가 전기 저항의 측정에 의해 검출되어, 제어부(200)에 의해서 입력 정보가 판독된다. 터치 패널(124)은 상기의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적합한 방식을 채용할 수도 있다.
액정 표시 패널(100)은 수직으로 복수의 띠형상부로 분할되고, 좌측(조수석측) 표시용 화소(109)와 우측(운전석측) 표시용 화소(110)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모든 좌측(조수석측) 표시용 화소(109)는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에 의해 구동 제어되고, 모든 우측(운전석측) 표시용 화소(110)는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에 의해 구동 제어된다.
액정 표시 패널(100)의 표면측에는, 폴리카보네이트 등으로 형성된 시차 베리어(108')가 배치된다. 시차 베리어(108')의 표면과 이면에는, 차광대(142, 144) 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다. 도 31의 예에서는, 차광대(142, 144)가 교호로 형성되어 있는 시차 베리어(108')를 이용하였지만,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시차 베리어(108)를 이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운전석(13)을 포함하는 제 1 시야 영역에 위치한 관찰자(11)는, 시차 베리어(108')의 작용 때문에, 우측(운전석측) 표시용 화소(110)에 의해 표시된 화상만을 운전석측용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다. 한편, 조수석(12)을 포함하는 제 2 시야 영역에 위치한 관찰자(10)는, 시차 베리어(108')의 작용 때문에, 좌측(조수석측) 표시용 화소(109)에 의해 표시된 화상만을 조수석측용 화상으로서 시인할 수 있다. 실제로, 각 관찰자는 하나의 화면을 복수의 세그먼트로 분할되어 교호로된 세그먼트에 의해 표시된 화상을 시인하게 되지만, 각 띠 세그먼트의 폭은 상당히 좁기 때문에, 운전석측에서도, 조수석측에서도 서로 다른 화상을 각각 시인할 수 있다.
도 32는 표시 화상 예를 나타내고, 도 33은 시야 범위 및 음성 출력 범위를 나타낸다. 도 32의 (a)는 운전석(13)을 포함하는 제 1 시야 범위(도 33의 601)에서 시인할 수 있으며, 제 1 화상 조정 회로(208)에 의해 구동 제어되는 제 2 표시 화상(동화상과 정지 화상 포함)의 예로서, 내비게이션용의 표시 화상 예를 나타낸다. 한편, 도 32의 (b)는 조수석(12)을 포함하는 제 2 시야 범위(도 33의 602)에서 시인할 수 있으며, 제 2 화상 조정 회로(209)에 의해 제어되는 제 1 표시 화상의 예로서, CD 조작용 화면의 화상 표시 예를 나타낸다. 도 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25)가 탑재된 운전석(13) 및 뒷좌석(18)의 관찰자는 제 1 시야 범위에 앉아 있기 때문에, 제 2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고, 헤드레스트(27)가 탑재 된 조수석(12) 및 뒷좌석(18)의 관찰자는 제 2 시야 범위에 앉아 있기 때문에, 제 1 표시 화상을 시인할 수 있다. 그러나,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는 크로스토크 영역(도 33의 603 참조)에 위치하기 때문에, 각 화상을 어느 정도 볼 수 있다.
도 33의 예에서는, 제 2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제 2 음성(내비게이션용 음성)은 제 1 스피커(16-1) 및 제 3 스피커(16-3)으로부터 출력되고, 헤드레스트(25)가 탑재된 운전석(13) 및 뒷좌석(18)의 관찰자에게 양호하게 청취할 수 있는 음성이 제공된다. 또한, 도 33의 예에서는, 제 1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제 1 음성(음악 CD 재생 음성)은 제 2 스피커(16-2) 및 제 4 스피커(16-4)로부터 출력되고, 헤드레스트(27)가 탑재된 조수석(12) 및 뒷좌석(18)의 관찰자에 양호하게 시청될 수 있는 음성이 출력된다. 한편,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크로스토크 영역(603)에 존재하는 뒷좌석(18)의 관찰자에게는, 제 1 음성 및 제 2 음성이 양방으로도 시청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32 및 도 33에서는, 운전석측을 내비게이션용 표시 화상 및 음성, 조수석측을 CD 재생용 표시 화상 및 CD 재생용 음성으로 했지만, 표시 장치에 접속되어 있는 모든 소스(CD/DVD 재생부(201), 라디오 수신부(202), TV 수신부(203), 내비게이션부(206))로부터 화상, 표시 화상 및/또는 음성을, 운전석측(제 1 시야 영역)과 조수석측(제 2 시야 영역) 사이에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또한, TV 방송의 어느 채널에서의 표시 화상 등과 TV 방송의 다른 채널의 표시 화상 등을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에 선택적으로 각각 분배할 수도 있다. 이는, 예를 들어, TV 수신부가 복수의 튜너가 탑재하는 경우나, HD 재생부(205)에 의해, 이전에 녹화된 TV 녹화물 등을 재생할 경우,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동일 형태의 기록 매체, 예를 들어, 제 1 DVD에 기록된 표시 화상 등과 제 2 DVD에 기록된 표시 화상 등을 재생할 수 있고,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에 각각 선택적으로 분배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복수의 기록 매체를 재생할 수 있는 데크(deck)가 탑재되는 경우나, DVD로부터 이전에 재생된 표시를 HD 재생부(205)에 기록한 경우, 달성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한 DVD에 기록된 서로 다른 표시 화상(멀티 앵글 기록 등)을 운전석측과 조수석측으로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복수의 광픽업부가 탑재된 데크가 탑재되는 경우나, DVD를 고속 재생하여 데이터를 버퍼링하면서 2개의 서로 다른 표시 화상을 동일 DVD로부터 재생할 수 있는 데크가 탑재되는 경우나, 과거에 재생한 표시 화상을 HD 재생부(205)에 기록한 경우, 달성할 수 있다.
도 34는 도33에 나타낸 시야 범위 및 음성 출력 범위를 변경한 예를 나타낸다. 도 34의 예에서는, 표시부(7)의 제 1 시야 범위(701)를 변경하여, 헤드레스트(25, 26)가 탑재된 운전석(13), 뒷좌석(18)의 관찰자에게 제 2 표시 화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4의 예에서는, 표시부(7)의 제 2 시야 범위(702) 내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7)가 탑재된 조수석(12) 및 뒷좌석(18)의 관찰자에게 제 1 표시 화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3에서의 크로스토크 영역(603)내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도 제 2 표 시 화상을 선명하게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시차 베리어(108')를 모터 등의 구동 장치에 의해 이동할 수도 있고, 시차 베리어(108')의 이동에 따라 차광대(132, 134)의 위치를 변경시켜서, 시야 방향(범위)을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4의 예에서, 음성 조정 회로(210)는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의 음성 출력을, 제 1 검출 센서(420) 내지 제 5 검출 센서(428)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헤드레스트(25, 26)가 탑재된 운전석(13) 및 뒷좌석(18)의 관찰자가 위치하는 제 1 영역(710)에 제 2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제 1 음성을 국한시킨다. 마찬가지로, 음성 조정 회로(210)는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의 음성 출력을, 제 1 검출 센서(420) 내지 제 5 검출 센서(428)로부터의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어하여, 헤드레스트(27)가 탑재된 조수석(12) 및 뒷좌석(18)의 관찰자가 위치하는 제 2 영역(720)에 제 1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제 2 음성을 국한시킨다. 따라서, 도 33에서의 크로스토크 영역(603) 내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도 제 1 음성을 선명하게 듣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음성을 국한시키기 위한 제어는 예를 들어, 음성 조정 회로(210)가,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 관찰자의 머리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제 4 검출 센서(426)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제 2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노이즈로서 제거하거나, 각 스피커의 음량이나 지연 시간을 기초하여,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의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도 35는 도 33에 나타낸 시야 범위 및 음성 출력 범위를 변경한 다른 예를 나타낸다. 도 35의 예에서는, 표시부(7)의 제 2 시야 범위(802)를 변경하여, 헤드레스트(27, 26)가 탑재된 조수석(12) 및 뒷좌석(18)의 관찰자에게 제 1 표시 화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도 35의 예에서는, 표시부(7)의 제 1 시야 범위(801) 내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5)가 탑재된 운전석(13) 및 뒷좌석(18)의 관찰자에게 제 2 표시 화상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3에서의 크로스토크 영역(603) 내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도 제 1 표시 회상을 선명하게 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도 35의 예에서, 음성 조정 회로(210)는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의 음성 출력을, 제 1 검출 센서(420) 내지 제 5 검출 센서(428)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하여, 헤드레스트(25)가 탑재된 운전석(13) 및 뒷좌석(18)의 관찰자가 위치하는 제 1 영역(810)에 제 2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제 1 음성을 국한시켰다. 마찬가지로, 음성 조정 회로(210)는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의 음성 출력을, 제 1 검출 센서(420) 내지 제 5 검출 센서(428)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기초로 제어하여, 헤드레스트(26, 27)가 탑재된 조수석(12) 및 뒷좌석(18)의 관찰자가 위치하는 제 2 영역(820)에 제 1 표시 화상에 대응하는 제 2 음성을 국한시켰다. 따라서, 도 33에서의 크로스토크 영역(603) 내에 위치하는,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도 제 2 음성을 선명하게 듣는 것이 가능해졌다.
음성을 국한시키기 위한 제어는, 예를 들어, 음성 조정 회로(210)가, 헤드레 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 머리에 가장 근접하여 위치할 가능성이 높은 제 4 검출 센서(426)로부터의 음성 데이터를 검출하고, 검출한 음성 데이터에 기초하여 제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성 데이터에 포함된 제 1 음성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노이즈로서 제거하거나, 각 스피커로부터의 음량이나 지연 시간을 기초하여,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의 음성 출력을 제어한다.
도 33 내지 도 35를 참조하여, 차량(19) 내에, 표시 화상 및 수반되는 음성을 분산시키는 3가지 예를 설명하였다. 여기서, 조작부(15)에 선택 스위치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서, 도 33 내지 도 35 중 어느 하나의 상태가 되도록 표시 화상 및 음성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33 내지 도 35에서는, 표시 화상을 수반되는 음성과 함께 제어하였지만, 조작부(15)에 선택 스위치를 설치하여, 표시 화상만, 또는 음성만을 도 33 내지 도 35에 나타낸 상태 중 원하는 하나가 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15)에 표시부(7)의 시야 범위를, 예를 들어, 도 33 내지 도 35에 나타낸 상태 중 하나로 설정하기 위한 선택 스위치를 설치하고,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시야 범위에 대응하는 시야 범위 정보에 따라서, 음성 출력 범위를 도 33 내지 도 35에 나타낸 상태 중 하나가 설정 되도록 음성 조정 회로(210)가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3에 나타낸 시야 범위를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에, 도 33에 나타낸 음성 출력 범위를 제공하도록 음성 조정 회로(210)는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를 제어한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7)의 시야 범위를 조정하고 음성 조정 회로(210)를 사용하여 제어를 행함으로써, 크로스토크 영역에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표시 화상 및/또는 음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도 33 내지 도 35의 예에서는, 크로스토크 영역에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을 국한시키기 위해, 노이즈 제거 방법을 채용하였지만, 이하에 설명하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여, 동일한 제어를 행할 수 있다.
도 36은 골전도 스피커가 탑재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36의 예에서,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에 앉아있는 관찰자(900)의 목보다 상방 신체 부분과 접속할 수 있는 위치에 골전도 스피커(901)를 매설한다. 시트 쿠션과는 달리, 헤드레스트(26)는 관찰자(900)의 신체와의 밀착 안정성을 얻을 수 없지만, 성대에 가장 가까운 두개골 또는 상부 척추는 골전도음을 검출할 수 있기 때문에, 관찰자(900)가 의식적으로 머리로 헤드레스트(26)를 누르도록 하면, 선명한 신호를 추출할 수 있다. 또한, 골전도 스피커(901)의 위치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조합을 채용할 수 있다.
상기 관점에서, 헤드레스트(26)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에 대하여는 헤드레스트(26)에 매설한 골전도 스피커(901)로부터, 운전석(13)의 관찰자에 대하여는 제 1 스피커(16-1)로부터, 조수석측(13)의 관찰자에 대해서는 제 2 스피커(16-2)로부터, 헤드레스트(25)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에 대해서는 제 3 스피커(16-3)로부터, 및 헤드레스트(27)가 탑재된 뒷좌석(18)의 관찰자에 대하여는 제 4 스피커(16-4)로부터, 각각 음성을 출력하도록 구성하여, 제 1 음성과 제 2 음 성이 각 지정된 스피커로 출력되면, 각 지정된 좌석의 관찰자에 각 지정된 음성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37은 지향성 스피커의 구성 예를 나타낸다. 도 37에서, 음성 조정 회로(210)에 의해 그 동작이 제어되는 모터의 회전축(1001)에 기어(1002)가 고정되어 있다. 기어(1002)는 지향성 스피커(1000)에 고정된 기어(1004)와 맞물리고, 기어(1004)는 축(1003)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축(1003)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음성 조정 회로(210)(모터에 대한 제어량을 기억하고, 재생 상태에 따라서 제어량을 선택)를 사용하여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지향성 스피커(1000)의 방향을 조정할 수 있고, 스피커에 의한 재생음의 지향성(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도 37과 동일한 구성을 사용하여, 수동 조작에 의해 스피커의 지향성을 조정할 수 있다.
도 38은 도 37에 나타낸 지향성 스피커를 사용하여 음성 출력 범위를 변경의 예를 나타낸다. 도 38의 예에서는, 도 33에 나타낸 제 3 스피커(16-3) 대신에 도 37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제 1 지향성 스피커(1100)를 탑재하고, 도 33에 나타낸 제 4 스피커(16-4) 대신에 도 37에 나타낸 것과 유사한 제 2 지향성 스피커(1101)를 탑재한다. 도 38의 (a)에서는, 음성 조정 회로(210)로부터의 지시 하에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제 1 지향성 스피커(1100)를 뒷좌석(18)의 헤드레스트(25)만을 포함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제 2 지향성 스피커(1101)를 뒷좌석(18)의 헤드레스트(26, 27)를 포함하는 위치로 회전시킨다. 도 38의 (b)에서는, 음성 조정 회로(210)로부터의 지시 하에서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제 1 지향성 스피커(1100)를 뒷 좌석(18)의 헤드레스트(25, 26)를 포함하는 위치로 회전시키고, 제 2 지향성 스피커(1101)를 뒷좌석(18)의 헤드레스트(27)만을 포함하는 위치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함으로써, 크로스토크 영역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을 국한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크로스토크 영역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음성을 국한시키기 위해서, 골전도 스피커나 지향성 스피커를 이용하였다. 그러나, 이들 대신에, 헤드폰이나 이어폰을 이용할 수도 있다. 그 경우에는, 크로스토크 영역에 위치하는 관찰자용으로 헤드폰 또는 이어폰용의 잭이나 커넥터를 설치해야 한다.
또한, 보다 안전하고 더욱 신뢰할만한 방법으로 원하는 음성을 제공하기 위해, 크로스토크 영역뿐만 아니라, 다른 좌석에 존재하는 관찰자용으로 헤드폰이나 이어폰용의 잭이나 커넥터를 스피커나 검출 센서와 조합하여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수석용으로는 헤드폰이나 이어폰으로 제 2 음성을 출력하고, 제 1 음성은 모든 스피커로부터 출력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선택 등에 따라, 각 지정된 좌석에 선택된 표시 화상이나 음성을 제공 또는 국한시키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긴급한 경우에는, 상기 설정을 해제 또는 변경하도록 음성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도 32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석측(제 1 시야 범위)에 내비게이션용 표시 화상 및 음성을 제공하고, 조수석측(제 2 시야 범위)을 CD 재생용 화상 및 CD 재생용 음성을 제공할 때에, 내비게이션부(206)에 의해 VICS 정보가 수신되거나, 지진이나 그 밖의 재해에 관한 긴급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는, 모 든 스피커(16-1 내지 16-4)로부터 긴급 정보를 출력하도록, 음성 조정 회로(210)가 제 1 스피커(16-1) 내지 제 4 스피커(16-4)를 제어한다. 이 경우, 음성 조정 회로(210)은 내비게이션부(206)로부터 제공된 음성 신호로부터 정보 형태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긴급 정보를 모든 스피커로부터 출력되도록 제어를 행한다. 또한, 내비게이션부(206)가 미리 정해진 긴급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특정 신호를 제어부(200) 및 음성 조정 회로(210)에 송신하고, 제어부(200) 및 음성 조정 회로(210)는 상기 특정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는 모든 음성 출력 및 표시 화상을 내비게이션부(206)로부터 음성 및 표시 화상으로 전환하도록 제어를 행할 수도 있다.
(부기)
1.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와,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에 관한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광 출사 정보에 따라서,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차폐 위치 가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상기 광 출사 정보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기재의 표시 장치.
3. 상기 정보 취득부에 접속되고, 상기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시야 각 조정값 기억부와,
상기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값에 따른 광 출사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는 광 출사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프리세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또는 2 기재의 표시 장치.
4. 상기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3 기재의 표시 장치.
5. 상기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4 기재의 표시 장치.
6. 상기 차폐 위치 가변부는 액정 소자를 사용함으로써 광의 투과/차폐를 제어하는 액정 광 투과/차폐판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7. 상기 정보 취득부는 시야각을 조정하기 위한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입력하여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8. 상기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동안에, 상기 표시부에 조정용 화상을 표시하는 조정용 화상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기재의 표시 장치.
9. 상기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동안에, 상기 표시부에 상기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내는 화상을 표시하는 조정값 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또는 8 기재의 표시 장치.
10. 상기 시야각 조정 스위치를 사용하여 조정하는 동안에, 의도된 화상이 시인 가능한 각도의 범위인 시인 범위를 좁게하는 시인 범위 조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7 또는 8 기재의 표시 장치.
11. 상기 정보 취득부는 차량의 주행 상태를 나타내는 주행 상태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2. 상기 정보 취득부는 주위 온도를 나타내는 온도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11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3. 상기 정보 취득부는 시인자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신호를 입력으로 함으로써 상기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14. 상기 정보 취득부는 시인자의 좌우 눈의 위치를 나타내는 눈 위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광 출사 정보를 취득하고,
상기 광 차폐 위치 가변부는 상기 시인자가 좌우의 눈으로 개별 화상을 시인할 수 있도록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 기재의 표시 장치.
15.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와,
화상이 시인 가능한 각도를 구획하는 시인 범위를 나타내는 시인 범위의 정보를 취득하는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와,
상기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위해 취득한 상기 시인 범위 정보에 따라서,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광 차폐 위치 가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상기 시인 범위 정보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시인 범위 조정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 기재의 표시 장치.
17. 상기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접속되고, 상기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조정값에 따른 상기 시인 범위 정보를 상기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는 시인 범위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는 프리세트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5 또는 16 기재의 표시 장치.
18. 상기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상기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7 기재의 표시 장치.
19. 상기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는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18 기재의 표시 장치.
20. 상기 시인 범위 정보 취득부는 상기 시인 범위를 조정하기 위한 시인 범위 조정 스위치의 신호를 입력함으로써 상기 시인 범위 정보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부기 15 내지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표시 장치.
21.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된 시야각으로서,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과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2. 상기 광차폐부는 조수석측 화상의 상기 시야각을 운전석측 화상의 상기 시야각보다도 넓게 되도록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기재의 표시 장치.
23. 상기 광차폐부는 운전석측 화상의 상기 시야각을 조수석측 화상의 상기 시야갹보다도 넓게 되도록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기 21 기재의 표시 장치.
24.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의 방향에 관한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표시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5. 상기 표시부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상기 방향 정보로서 취득하는 부기 24 기재의 표시 장치.
26. 상기 표시부의 상기 관찰자의 상기 위치에 따라서 설정되어야할 상기 방향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기억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부기 25 기재의 표지 장치.
27.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상기 방향의 변경에 따른 표시를 행하는 부기 24 기재의 표시 장치.
28.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표시부의 상기 관찰자의 상기 위치에 따른 표시를 행하는 부기 25 기재의 표시 장치.
29. 상기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상기 차량에 관한 차량 정보를 취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상기 차량 정보를 상기 방향 정보로서 취득하는 부기 24 기재의 표시 장치.
30. 상기 차량 정보에 따른 설정되어야할 상기 방향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기억부를 이용하여 상기 차량 정보로부터 상기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부기 29 기재의 표시 장치.
31.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에 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표시 방향 설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2.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가 탑재되는 상기 차량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이 상기 차량의 탑승자에 대하여 동시에 시인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의 상기 방향을 설정하는 부기 31 기재의 표시 장치.
33.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운전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조수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보다 커지도록,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기 31 기재의 표시 장치.
34.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조수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운전석측 표시 화상이 시인 가능한 탑승자의 수보다 커지도록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부기 31 기재의 표시 장치.
35. 상기 표시부의 상기 방향에 관한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부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36.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를 포함하는 상기 표시 장치가 상기 표시 장치가 탑재되는 차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를 향하도록 탑재 부재를 포함하는 부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37.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가 상기 표시 장치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을 갖고 설정되도록 탑재하는 탑재 부재를 포함하는 부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38.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액정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액정 표시 패널이 상기 표시부에 대하여 소정의 방향을 갖고 설정되도록 탑재하는 탑재 부재를 포함하는 부기 31 내지 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39.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표시 화상 각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음성이 각 시야 영역에 국한시키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0. 상기 음성 제어부는 각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이 동시에 시인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상기 동시에 시인 가능한 표시 화상에 수반하는 음성 중, 선택된 하나의 음성을 상기 영역에 국한시키도록 제어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1.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각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이 동시에 시인 가능한 영역에 대하여 상기 동시에 시인 가능한 표시 화상에 수반하는 음성 중, 모든 음성을 상기 영역에 국한시키도록 제어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2. 상기 각 시야 방향에 대한 상기 개별 표시 화상이 동시에 시인 가능한 상기 영역에 국한시키는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부기 40 기재의 표시 장치.
43.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 중에서 선택된 하나의 표시 화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시야 영역 정보를 취득하는 시야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시야 영역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시야 영역에서 상기 선택된 하나의 표시 화상을 수반하는 음성을 국한시키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4. 상기 음성 출력부마다 출력하는 음성의 중요도에 대응한 중요도 정보를 취득하는 중요도 정보 취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중요도 정보에 기초하여 중요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5.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 중 하나에 대응한 음성이 종료한 경우, 다른 표시 화상에 대응한 음성을 출력하도록 제어를 행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6.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각각에 수반하는 음성 중에서 출력할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더 포함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7. 상기 음성 출력부는 복수의 스피커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 중 하나를 수반하는 음성 내용에 기초하여, 상기 스피커 중 어디로 출력시킬지를 결정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8. 시인 위치에 대응한 음성을 선택하는 선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시인 위치에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음성을 국한시키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부기 39 기재의 표시 장치.
49. 복수의 음성 검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음성 검출부로부터의 음성 검출 신호에 따라서, 상기 시인 위치에서, 선택된 음성 이외의 모든 음성을 노이즈로서 제거함으로써, 상기 시인 위치에 상기 선택부에 의해 선택된 음성을 국한시키도록, 상기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부기 48 기재의 표시 장치.
50.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표시하기 위하여 상기 표시부에 화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화상 소스부를 더 포함하는 부기 39 내지 4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51. 상기 화상 소스부는 방송 채널로부터 TV 화상을 수신하는 수신부 또는 화상 기록 매체를 재생하기 위한 재생부를 포함하는 부기 50 기재의 표시 장치.
52. 상기 음성 출력부는 스피커와 헤드폰 또는 이어폰을 포함하고,
상기 음성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한 개별 표시 화상 중 하나에 대한 시야 영역에 대응한 음성을 상기 스피커로부터 출력시키고,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 중 다른 하나에 대한 표시 화상의 시야 영역에 대응한 음성을 상기 헤드폰 또는 이어폰으로부터 출력시키는 부기 39 내지 5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표시 장치.
53. 상기 음성 출력부는 골전도 스피커 또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부기 39 내지 51 중 어느 한 항 기재의 표시 장치.
54.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표시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화상 소스를 처리함으로써 표시 데이터를 제공하는 표시 제어부와,
상기 복수의 표시 화상마다 시야 영역에 대응한 음성을 각각 국한시키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Claims (20)

  1.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viewing direction)에 대하여 의도된 개별 화상을 동일 화면 위에 표시 가능한 표시부와,
    상기 화상의 방향에 관한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정보 취득부와,
    상기 정보 취득부에 의해 취득한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의 방향을 변경하는 화상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의 출사 방향에 관한 광 출사 정보이며,
    상기 화상 방향 변경부는 상기 광 출사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광 차폐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광 출사 정보는 상기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시야각 조정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표시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에 접속되고,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와,
    상기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에 기억된 조정값에 따른 광 출사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는 광 출사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는 상기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는 표시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시야각 조정값 기억부는 상기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야각 조정값을 기억하는 표시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향 정보는 의도된 화상이 시인(視認) 가능한 각도 범위를 구획하는 시인 범위를 나타내는 시인 범위 정보이며,
    상기 화상 방향 변경부는 상기 시인 범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광차폐부에서의 출사광의 차폐 위치를 가변하는 광 차폐 위치 가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범위 정보는 상기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시인 범위 조정값을 나타내는 정보인 표시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취득부에 접속되고, 상기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기 위한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와,
    상기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에 기억된 상기 조정값에 따른 상기 시인 범위 정보를 상기 정보 취득부에 출력하는 시인 범위 정보 출력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는 상기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상기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는 표시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시인 범위 정보 기억부는 상기 개별 화상을 출력하는 상기 시야 방향마다 복수의 시인 범위 조정값을 기억하는 표시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의 폭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시야각으로서,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과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이 서로 다르게 되도록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광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광차폐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부는 상기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을 상기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보다도 넓게 되도록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상기 광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광차폐부는 상기 운전석측 화상의 시야각을 상기 조수석측 화상의 시야각보다도 넓게 되도록 상기 표시부로부터의 상기 광 출사 방향을 제어하는 표시 장치.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 정보는 상기 표시부의 방향에 관한 정보이며,
    상기 화상 방향 변경부는 상기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변경하는 표시 방향 변경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를 관찰하는 관찰자의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센서로부터 제공된 위치 정보를 상기 방향 정보로서 취득하는 표시 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상기 관찰자의 위치에 따라서 설정되어야할 상기 방향 정보를 미리 기억한 기억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보 취득부는 상기 기억부를 이용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부터 상기 방향 정보를 취득하는 표시 장치.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방향 변경부는 상기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에 대하여 좌우 비대칭으로 위치되도록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표시 방향 설정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방향 설정부는 상기 표시부가 탑재되는 차량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서로 다른 시야 방향에 대하여 의도된 상기 개별 표시 화상이 상기 차량의 탑승자 모두에게 동시에 시인되지 않도록 상기 표시부의 방향을 설정하는 표시 장치.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표시 화상에 대한 시야 영역에 대하여 의도된 음성을 각 시야 영역에 국한시키도록 복수의 음성 출력부를 제어하는 음성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077007809A 2004-10-20 2005-10-20 표시 장치 KR10098666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305587 2004-10-20
JP2004305587 2004-10-20
JP2004347382 2004-11-30
JPJP-P-2004-00347382 2004-11-30
JPJP-P-2004-00361402 2004-12-14
JP2004361402 2004-12-14
JPJP-P-2005-00259842 2005-09-07
JP2005259842A JP2006184860A (ja) 2004-11-30 2005-09-07 マルチビュー表示装置
JP2005262520A JP2006146164A (ja) 2004-10-20 2005-09-09 表示装置
JPJP-P-2005-00262520 2005-09-09
JP2005264288A JP4781059B2 (ja) 2004-12-14 2005-09-12 表示装置及び出力制御装置
JPJP-P-2005-00264288 2005-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8575A true KR20070088575A (ko) 2007-08-29
KR100986660B1 KR100986660B1 (ko) 2010-10-11

Family

ID=36203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809A KR100986660B1 (ko) 2004-10-20 2005-10-20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90058845A1 (ko)
EP (1) EP1804233A4 (ko)
KR (1) KR100986660B1 (ko)
WO (1) WO2006043721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27138A (ko) * 2009-05-25 201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101275963B1 (ko) * 2007-10-24 201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30065124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6172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120128A (ko) * 2018-10-19 2018-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68284A1 (en) * 2004-10-27 2008-03-20 Fujitsu Ten Limited Display Device
US20090303157A1 (en) * 2005-09-16 2009-12-10 Akira Imai Display device
US8936373B2 (en) * 2005-10-27 2015-01-20 Koninklijke Philips N.V. Directional light output devices such as multi-view displays
JP2007160974A (ja) * 2005-12-09 2007-06-28 Olympus Corp 車載用情報再生装置
JP2007265221A (ja) * 2006-03-29 2007-10-11 Sanyo Electric Co Ltd 複数画像表示装置及び車載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
JP4950987B2 (ja) * 2006-04-17 2012-06-1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7308084A (ja) * 2006-05-22 2007-11-29 Fujitsu Ten Ltd 車載用表示装置及び音響制御方法
JP2007310326A (ja) * 2006-05-22 2007-11-29 Fujitsu Ten Ltd 車載用表示装置
JP4333697B2 (ja) * 2006-06-06 2009-09-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表示装置
JP5028038B2 (ja) * 2006-07-06 2012-09-19 クラリオン株式会社 車載表示装置および車載表示装置の表示方法
US9380272B2 (en) 2007-09-07 2016-06-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Community internet protocol camera system
US8446355B2 (en) 2007-10-15 2013-05-21 Nlt Technologies, Ltd. Display device, terminal devic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driving method
TWI378329B (en) * 2008-02-12 2012-12-01 Shenzhen China Star Optoelect Method for controlling angle of display and self-adjusting display device
JP5270955B2 (ja) * 2008-04-23 2013-08-2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車載装置、サーバ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US20090281727A1 (en) * 2008-05-06 2009-11-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ar navigation system
US8128342B2 (en) * 2008-10-09 2012-03-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ultidirectional multisound information system
KR101641380B1 (ko) * 2009-05-25 2016-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WO2010147281A1 (ko) * 2009-06-16 2010-12-23 (주)엘지전자 시청범위 알림 방법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한 텔레비전 수신기
JP5418093B2 (ja) * 2009-09-11 2014-02-19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8823782B2 (en) * 2009-12-31 2014-09-02 Broadcom Corporation Remote control with integrated position, viewer identification and optical and audio test
US8964013B2 (en) * 2009-12-31 2015-02-24 Broadcom Corporation Display with elastic light manipulator
US8854531B2 (en) 2009-12-31 2014-10-07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remote controllers that each simultaneously controls a different visual presentation of a 2D/3D display
US9247286B2 (en) * 2009-12-31 2016-01-26 Broadcom Corporation Frame formatting supporting mixed two and three dimensional video data communication
WO2011093354A1 (ja) * 2010-01-29 2011-08-04 富士通テ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方法
JP5403623B2 (ja) * 2010-03-10 2014-01-29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2画面表示装置
WO2012001619A2 (en) * 2010-06-30 2012-01-05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ulti-view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for
GB2501015B (en) * 2010-07-06 2014-06-25 Jaguar Land Rover Ltd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KR101308475B1 (ko) * 2010-08-26 2013-09-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8363325B2 (en) * 2010-09-14 2013-01-29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view display system
DE102010043005A1 (de) * 2010-10-27 2012-05-03 Epson Imaging Devices Corp. Vorrichtung zur Ansteuerung einer Anzeige sowie Anzeige mit einer Vorrichtung zur Ansteuerung
US20120242701A1 (en) * 2011-03-25 2012-09-27 Apple Inc. Accessory dependent display orientation
US8643703B1 (en) * 2011-03-30 2014-02-04 Amazon Technologies, Inc. Viewer tracking image display
US8890674B2 (en) * 2011-06-07 2014-11-18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Inc. Driver assistance detection system
DE102011077421A1 (de) * 2011-06-10 2012-12-13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rstellen von Informationen mittels eines autostereoskopischen 3D-Displays in einer Passagierkabine eines Luft- oder Raumfahrzeuges
DE102011077345B4 (de) 2011-06-10 2019-08-29 Airbus Operations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Darstellen von Informationen mittels eines Dual-View-Displays in einer Passagierkabine eines Luft- oder Raumfahrzeuges
US9041734B2 (en) 2011-07-12 2015-05-26 Amazon Technologies, Inc. Simulating three-dimensional features
US9852135B1 (en) 2011-11-29 2017-12-26 Amazon Technologies, Inc. Context-aware caching
US9223902B1 (en) * 2011-11-29 2015-12-29 Amazon Technologies, Inc. Architectures for content identification
JP6053278B2 (ja) * 2011-12-14 2016-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2画面表示装置
JP6065369B2 (ja) * 2012-02-03 2017-01-2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40040451A (ko) * 2012-09-26 2014-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뷰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표시방법
CN103713867A (zh) * 2012-09-29 2014-04-09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显示方法及电子设备
US20140152534A1 (en) * 2012-12-03 2014-06-05 Facebook, Inc. Selectively Steer Light from Display
US9144169B2 (en) * 2013-05-07 2015-09-22 Honda Motor Co., Ltd. Monitor manipulator
US9269012B2 (en) 2013-08-22 2016-02-23 Amazon Technologies, Inc. Multi-tracker object tracking
US10055013B2 (en) 2013-09-17 2018-08-21 Amazon Technologies, Inc. Dynamic object tracking for user interfaces
US9542029B2 (en) * 2013-09-30 2017-01-10 Fca Us Llc Vehicle multi-mode vertical-split-screen display
JP2015125502A (ja) * 2013-12-25 2015-07-06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コンピューター・プログラム、並びに画像表示システム
DE102015217391B4 (de) * 2014-09-12 2021-09-30 Yazaki Corporation Fahrzeuginterne Anzeigevorrichtung
US20160082884A1 (en) * 2014-09-23 2016-03-24 Dae Kwon Chung WiFi Wireless Rear View Parking System
KR20160062567A (ko) * 2014-11-25 2016-06-02 삼성전자주식회사 영상 재생 디바이스 및 그 방법
JP2016177084A (ja) * 2015-03-19 2016-10-06 株式会社デンソー 表示装置
US10319408B2 (en) 2015-03-30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onolithic display with separately controllable sections
US10922736B2 (en) 2015-05-15 2021-02-1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mart electronic display for restaurants
US10269156B2 (en) 2015-06-05 2019-04-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System and method for blending order confirmation over menu board background
US10186188B2 (en) * 2015-09-23 2019-01-22 Motorola Solutions, Inc. Multi-angle simultaneous view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10319271B2 (en) 2016-03-22 2019-06-11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Cyclic redundancy check for electronic displays
DE102016205700A1 (de) * 2016-04-06 2017-10-12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ereoskopische Anzeigevorrichtung
US10088330B2 (en) * 2016-05-12 2018-10-02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notification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EP3465613A4 (en) 2016-05-31 2019-10-23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IMAGE VERIFICATION ON ELECTRONIC DISPLAY UNIT
CN106297233B (zh) * 2016-07-29 2020-07-03 纳恩博(北京)科技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设备
US10510304B2 (en) 2016-08-10 2019-12-17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Dynamic dimming LED backlight for LCD array
US10343555B2 (en) * 2017-02-27 2019-07-09 Nissan North America, Inc. Autonomous vehicle seat positioning system
WO2019030811A1 (ja) 2017-08-08 2019-02-14 マクセル株式会社 端末、音声連携再生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表示装置
CN108037600B (zh) * 2017-12-08 2021-03-19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显示装置及显示方法
US11276360B2 (en) 2018-07-27 2022-03-15 Kyocera Corporation Display device and mobile body
US11375177B2 (en) * 2018-10-30 2022-06-2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Method, apparatus, device for light-field display, and recording medium
EP3967552A1 (en) * 2020-09-11 2022-03-16 Ficosa Adas, S.L.U. Camera monito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US11810487B2 (en) * 2020-11-30 2023-11-07 Rovi Guides, Inc. Display system for directing different images to different viewers
CN113199985A (zh) * 2021-05-28 2021-08-03 苏州清听声学科技有限公司 一种人员载具
US11895362B2 (en) 2021-10-29 2024-02-06 Manufacturing Resources International, Inc. Proof of play for images displayed at electronic displays
KR20230102329A (ko) * 2021-12-30 2023-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시야각을 제어할 수 있는 표시장치
US20230249588A1 (en) * 2022-02-10 2023-08-10 Matthew BAYES Vehicle seat adjustment system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6526A (ja) 1992-12-18 1994-07-08 Fujitsu Ten Ltd Lcd
JP3398999B2 (ja) 1993-02-10 2003-04-21 株式会社デンソー 多重映像表示装置
JP3184069B2 (ja) * 1994-09-02 2001-07-09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
JPH0946622A (ja) 1995-07-25 1997-02-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2画面表示装置
GB2321815A (en) * 1997-02-04 1998-08-05 Sharp Kk Autostereoscopic display with viewer position indicator
GB2317291A (en) * 1996-09-12 1998-03-18 Sharp Kk Observer tracking directional display
US6046849A (en) * 1996-09-12 2000-04-04 Sharp Kabushiki Kaisha Parallax barrier, display,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US6624863B1 (en) * 1997-06-28 2003-09-23 Sharp Kabushiki Kaisha Method of making a patterned retarder, patterned retarder and illumination source
US6055103A (en) 1997-06-28 2000-04-25 Sharp Kabushiki Kaisha Passive polarisation modulating optical element and method of making such an element
JP3826976B2 (ja) 1997-08-27 2006-09-27 富士通テン株式会社 車載用音響再生装置
JP3503925B2 (ja) 1998-05-11 2004-03-08 株式会社リコー マルチ画像表示装置
JP2000137443A (ja) 1998-11-04 2000-05-16 Harness Syst Tech Res Ltd 車両用表示装置
JP4425496B2 (ja) * 2001-07-03 2010-03-03 アルパイン株式会社 表示装置
JP3733889B2 (ja) * 2001-10-05 2006-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表示装置
JP2003137005A (ja) 2001-10-30 2003-05-14 Denso Corp 車両用表示装置
JP2003200788A (ja) * 2001-12-28 2003-07-15 Pioneer Electronic Corp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駆動制御装置および駆動制御方法
DE10214789A1 (de) 2002-04-04 2003-10-16 Volkswagen Ag Sichteinschränkung des Fahrers auf Anzeigeeinrichtungen
JP3813903B2 (ja) * 2002-05-17 2006-08-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映像表示スクリーン
JP4375709B2 (ja) 2002-06-24 2009-12-0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マイクロフォン内蔵シート
EP1777097B1 (en) * 2002-08-19 2014-02-26 Koninklijke Philips N.V. A display system for displaying images within a vehicle
NZ521505A (en) * 2002-09-20 2005-05-27 Deep Video Imaging Ltd Multi-view display
JP2004149024A (ja) * 2002-10-31 2004-05-27 Sony Corp 車載用画像表示装置
GB2396070A (en) 2002-12-07 2004-06-09 Sharp Kk Multiple view display
GB2405546A (en) * 2003-08-30 2005-03-02 Sharp Kk Dual view directional display providing images having different angular extent.
JP4671591B2 (ja) * 2003-09-12 2011-04-20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2005165228A (ja) * 2003-12-05 2005-06-23 Nissan Motor Co Ltd 画像表示装置
US7561706B2 (en) * 2004-05-04 2009-07-14 Bose Corporation Reproducing center channel information in a vehicle multichannel audio system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963B1 (ko) * 2007-10-24 2013-06-1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127138A (ko) * 2009-05-25 2010-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시야각 조절 방법
KR20130065124A (ko) * 2011-12-09 2013-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126172A (ko) *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640145B2 (en) 2014-05-02 2017-05-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80120128A (ko) * 2018-10-19 2018-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6660B1 (ko) 2010-10-11
WO2006043721A1 (ja) 2006-04-27
EP1804233A1 (en) 2007-07-04
EP1804233A4 (en) 2009-05-27
US20090058845A1 (en) 2009-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6660B1 (ko) 표시 장치
US8045736B2 (en) Sound field reproduction system
KR100869673B1 (ko) 표시제어장치 및 표시장치
CN100489954C (zh) 显示装置
KR100896030B1 (ko) 차량 탑재용 표시 장치
JP4255032B2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4215782B2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装置の音声調整方法
JP2006184859A (ja)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装置
JP2006184860A (ja) マルチビュー表示装置
US917633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same
JP2007041489A (ja) 表示装置、枠部材および反射抑制部材
JP2006154759A (ja) 画像補間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4781059B2 (ja) 表示装置及び出力制御装置
JP2007041490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画質調整方法、および画質調整装置
JP2006190245A (ja) 表示装置、表示装置の操作入力画像カスタマイズ方法、及び表示装置の操作入力画像設定方法
JP2006301573A (ja) 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2007034247A (ja) 表示装置
JP2006259761A (ja) 車両用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JP4023815B2 (ja) 表示装置
JP2006146164A (ja) 表示装置
JP2007058020A (ja)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JP2009069838A (ja)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JP2007087770A (ja) 光源制御装置及び光源制御方法
JP2007025617A (ja) コントラスト調整装置、コントラスト調整方法、及び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