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80241A - 렌즈 시트 및 프린터 - Google Patents

렌즈 시트 및 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80241A
KR20070080241A KR1020070012392A KR20070012392A KR20070080241A KR 20070080241 A KR20070080241 A KR 20070080241A KR 1020070012392 A KR1020070012392 A KR 1020070012392A KR 20070012392 A KR20070012392 A KR 20070012392A KR 20070080241 A KR20070080241 A KR 200700802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sheet
signal
lens sheet
pri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2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83465B1 (ko
Inventor
가츠히토 스즈키
도미오 소네하라
Original Assignee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802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802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834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834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8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characterised by being applied to printers having transversely- moving carriages
    • B41J15/1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characterised by being applied to printers having transversely- moving carriages and detached from the carriag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a single direction only, e.g. 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278Lenticula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56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arranged along two different directions in a plane, e.g. honeycomb arrangement of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006Arrays
    • G02B3/0037Arrays characterized by the distribution or form of lenses
    • G02B3/0062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 G02B3/0068Stacked lens arrays, i.e. refractive surfaces arranged in at least two planes, without structurally separate optical elements in-between arranged in a single integral body or plate, e.g. laminates or hybrid structures with other optical elemen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03B21/60Projection screens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surface
    • G03B21/62Translucent screens
    • G03B21/625Lenticular translucent scree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k Jet (AREA)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 Dot-Matrix Printers And Oth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낭비가 되지 않으며, 게다가 인쇄 폭을 벌 수 있는 렌즈 시트를 얻는 것과, 또한 이른바 경사 렌즈 시트에 대하여 양호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이 렌즈 시트(12)는 일방향으로 신장되는 렌즈(12A1)가 복수 병렬로 배치된 제 1 면과, 이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인쇄되는 면, 또는 인쇄된 매체가 첨부되는 면이 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수직 방향에 있어서 외형이 4개의 시트 단부(12E)에 의해 획정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렌즈(12A1)가 시트 단부(12E)중 하나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는 이른바 경사 렌즈 시트라 일컬어지는 이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양호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렌즈 시트 및 프린터{LENS SHEET AND PRINT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 중의 렌즈 검출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로 인쇄되는 렌즈 시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2의 렌즈 시트의 부분 확대도로, (A)는 평면도의 부분 확대도이며, (B)는 단면도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프린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도 4의 프린터의 종이 이송에 관한 부분의 일측 단면도,
도 6은 도 4의 프린터 중의 캐리지의 하면을 도시하는 저면도,
도 7은 도 4의 프린터 중의 플래튼 부근의 형상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8은 도 4의 프린터 중의 렌즈 검출 센서 등의 구성을 도시하는 측단면도,
도 9는 도 4의 프린터 중의 갭 센서의 구성을 도시하는 개략도,
도 10은 도 4의 프린터의 신호 출력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블럭도,
도 11은 도 4의 프린터로 실행되는 렌즈 피치 검출의 아날로그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4의 프린터로 실행되는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4의 프린터로 실행되는, 경사 각도의 산출을 설명하는 동시에, 렌즈 신호를 도시하는 도면,
도 14는 도 4의 프린터로 실행되는,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처리 흐름을 도시하는 도면,
도 15는 도 4의 프린터로 인쇄되는 연속 화소 배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그 데이터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4의 프린터로 인쇄되는 이격 화소 배치를 도시한 도면으로, 그 데이터 배치를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4의 프린터에 있어서,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 흐름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4의 프린터에 요동 기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그 요동 기구에 있어서의 도트 형성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9는 도 4의 프린터에 다른 요동 기구가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 그 요동 기구에 있어서의 도트 형성의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0은 도 4의 프린터에 채용 가능한 도트 형성 방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각 노즐의 구동 타이밍 조정으로 도트를 형성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21은 도 4의 프린터로 인쇄할 때에 생성되는 렌즈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렌즈 시트에 대한 캐리지의 부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주사 위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렌즈 시트의 시트 단부에서 펄스 폭이 좁아지는 렌즈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2는 도 4의 프린터로 인쇄할 때에 생성되는 보완 렌즈 신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A)는 렌즈 시트 단부에서 보완 처리를 행한 보완 렌즈 신호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다시 보완 처리를 행한 후의 보완 렌즈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3은 도 4의 프린터의 렌즈 신호 처리 제어부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4는 도 4의 프린터로 실행되는 보완 렌즈 신호의 생성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5는 도 4의 프린터에서 생성되는 보완 렌즈 신호의 생성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으로, (A)는 렌즈 신호 자체를 도시한 도면이고, (B)는 버퍼에 기록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C)는 생성된 보완 렌즈 신호를 도시한 도면,
도 26은 도 4의 프린터에 있어서의, 렌즈 시트의 인쇄 종료 측의 시트 단부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 수광부, 볼록 렌즈 및 렌즈 신호의 위치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린터 12 : 렌즈 시트(경사 렌즈 시트에 상당)
12A1 : 볼록 렌즈(렌즈에 상당) 12E : 시트 단부,
12Et : 부 주사 방향 시트 단부 60 : 렌즈 검출 센서
θ : 경사 각도
본 발명은 렌즈 시트 및 그 렌즈 시트에 인쇄 가능한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각종 인쇄 기술 중에는, 다수의 실린드리컬 볼록 렌즈(이하, 볼록 렌즈라고 함)가 병렬 배치된 렌티큘러 렌즈를 구비하는 렌즈 시트의 기록층에, 인쇄 화상을 인쇄하는 경우가 있다(특허문헌 1 참조).
이 인쇄 기술은, 렌즈 시트의 기록층에, 볼록 렌즈의 피치에 대응시킨 스트라이프 형상의 세분화 화상을 다수 나란히 기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세분화 화상의 종류에 따라서, 눈으로 확인되는 화상이 입체적이 되거나, 보는 각도를 바꾸어서 움직이는 화상(애니메이션)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렌즈 시트에의 인쇄에서는, 양쪽 눈에 대하여 볼록 렌즈 배열을 세로 또는 가로로 한 배치가 일반적이다(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제 3471930 호 공보(단락 번호 0066 내지 0076, 도 1, 도 5, 도 8, 도 9 등 참조)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발명에서는, 볼록 렌즈 내에서의 인쇄 폭의 상태에서 취급하는 시차수가 한정되거나, 시차수의 증가에 따라 인쇄 폭이 감소하거나 한다. 또한, 시차수는 화상의 매끄러움에 영향을 주기 쉽고, 1 시차당의 인쇄 폭은 화질에 영향을 준다.
이 대응책으로서, 세분화 화상을 렌즈 시트에 대하여 비스듬히 인쇄하는 것 이 고려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에서는, 필요한 화상 부분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는 렌즈 시트에, 그 화상을 인쇄하고, 인쇄 후에 렌즈 시트로부터 그 화상 부분만을 잘라내게 된다. 이러한 잘라냄 작업이 있으면, 렌즈 시트의 나머지 부분은 불필요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의거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낭비가 생기지 않으며, 게다가 인쇄 폭을 벌 수 있는 렌즈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다른 발명은, 이른바 경사 렌즈 시트에 대하여 양호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는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렌즈 시트는 일방향으로 신장되는 렌즈가 복수 병렬로 배치된 제 1 면과, 이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인쇄되는 면, 또는 인쇄된 매체가 첨부되는 면이 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수직 방향에 있어서 외형이 4개의 시트 단부에 의해 획정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되는 렌즈 시트에 있어서, 각 렌즈가 상기 시트 단부중 하나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렌즈 시트에서는, 외형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또한 각 렌즈가 시트 단부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낭비가 되지 않으며, 게다가 인쇄 폭을 버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렌즈 시트의 각 렌즈는, 시트 단부에 대하여 경사져 있지만, 경사 각도는 0.2도나 45도 등과 같이, 몇 번이라도 좋 다. 또한, 경사는 우측으로 내려가도, 좌측으로 내려가도 좋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다가, 경사의 각도가, 부 주사 방향에 따른 시트 단부에 대해서 5도 내지 15도의 범위에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경사를 이 범위로 하면, 입체 인쇄에 적합한 것이 되고, 그 시트를 90도 기울여서 관측하는 경우는 모션 인쇄나 변하는 그림 인쇄 등의 변화계 인쇄에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다가, 시트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쇄된 도트가 늘어서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인쇄 폭을 벌 수 있는 렌즈 시트가 된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다가, 시트 단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라운딩을 갖게 하고 있다. 이 구성으로 하면, 렌즈 시트를 취급할 때에, 손이 베이게 되는 위험이 감소한다.
게다가, 또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다가, 시트 단부가 교차하는 부분이며, 제 1 면 또는 제 2 면 중 적어도 한쪽이 라운딩 형성되거나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렌즈 시트를 취급할 때에, 손이 베이게 되는 위험이 한층 감소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린터는, 일방향으로 신장하는 렌즈가 복수 병렬로 배치된 제 1 면과, 이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인쇄되는 면이 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수직 방향으로 외형이 4개의 시트 단부에 의해 획정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되는 렌즈 시트에 문자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한쪽을 인쇄 가능한 프린터에 있어서, 렌즈 시트가 시트 단부중 하나에 대하여 각 렌즈가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경 사 렌즈 시트인 경우, 각 렌즈의 폭에 대응하는 주기 폭의 신호가 계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출력되는 렌즈 신호를 기초로 하여, 렌즈 신호의 최초에 출력되는 결손된 펄스 부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이후에 출력되는 신호의 펄스 폭과 동일한 펄스 폭의 결손이 없는 신호로 한 보완 렌즈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완 렌즈 신호를 기초로 하여, 경사 렌즈 시트에 인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렌즈 시트(경사 렌즈 시트)의 경우, 인쇄 개시 측의 시트 단부의 일부의 렌즈에 결손이 생기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 결손 부분에 대응하는 보완 렌즈 신호는, 다른 부위의 렌즈와 같은 폭의 펄스 폭으로 되어 있으므로, 좁은 렌즈 폭 내에 세분화 화상이 들어가게 되는 인쇄가 되는 일이 없어진다.
또한, 다른 발명은, 상술한 발명에다가, 보완 렌즈 신호는 마지막으로 출력되는 펄스 부분에 대응하는 결손된 신호를, 앞서 출력된 신호의 펄스 폭과 동일한 펄스 폭의 결손이 없는 신호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한 경우에는, 경사 렌즈 시트의 인쇄를 종료하는 측의 시트 단부의 렌즈가 결손되어 있어도, 이 부분에 대응하는 보완 렌즈 신호는, 다른 부위의 렌즈와 동일한 폭의 펄스 폭으로 되어 있으므로, 좁은 렌즈 폭 내에 세분화 화상이 들어가게 되는 인쇄가 되는 일이 없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렌즈 시트 및 프린터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도 1 내지 도 26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프린터(10)는, 잉크젯식의 프 린터로 되어 있다. 이러한 잉크젯식 프린터는, 잉크를 토출해서 인쇄 가능한 장치이면, 어떠한 토출 방법을 채용한 장치라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레이저 방식, 승화형 열 전사 방식, 도트 임팩트 방식 등의 잉크젯식 이외의 프린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은 적용 가능하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는, 하방측이라 함은 프린터(10)가 설치되는 측을 가리키고, 상방 측이라 함은 설치되는 측으로부터 이격되는 측을 가리킨다. 또한, 후술하는 캐리지(30)가 이동하는 방향을 주 주사 방향, 주 주사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이며 렌즈 시트(12)가 반송되는 방향을 부 주사 방향으로 한다. 또한, 렌즈 시트(12)가 공급되는 측을 급지 측(후단부 측), 렌즈 시트(12)가 배출되는 측을 배지 측(전방)으로 하여 설명한다.
<렌즈 시트에 관해서>
처음에, 인쇄 대상물인 렌즈 시트(1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렌즈 시트(12)는 표면에 위치하는 렌티큘러 렌즈(12A)와, 이 렌티큘러 렌즈(12A)의 이면과 접하는 잉크 흡수층(12B)과, 해당 렌즈 시트(12)의 이면에 위치하는 잉크 투과층(12C)을 구비하고 있다. 이들 중, 렌티큘러 렌즈(12A)는 일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복수의 실린드리컬 볼록 렌즈[볼록 렌즈(12A1)]가 일정한 피치로 병렬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렌티큘러 렌즈(12A)에 있어서는, 각각의 볼록 렌즈(12A1)를 진행하는 광의 초점이, 렌티큘러 렌즈(12A)의 이면[잉크 흡수층(12B)과의 경계면(Q)]에 위치하도록, 볼록 렌즈(12A1)의 곡률이 형성되어 있다.
렌티큘러 렌즈(12A)는 PET, PETG, APET, PP, PS, PVC, 아크릴, UV 수지 등으 로 만들어진다. 잉크 흡수층(12B)은 인쇄면에 상당하고, 이 인쇄면에 잉크가 정착되어 인쇄 화상이 형성되게 된다. 잉크 흡수층(12B)은 렌티큘러 렌즈(12A)에 점착하는 전용지, 롤 형상의 종이 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렌즈 시트(12)에는 잉크 투과층(12C)은 있어도 없어도 좋지만, 그 잉크 투과층(12C)이 있음으로써, 인쇄 후 바로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잉크 투과층(12C)이나 잉크 흡수층(12B) 이외에, 투명 필름층이나 접착층 등의 다른 층이 있어도 좋다. 또한, 렌즈 시트(12)는 상술한 잉크 흡수층(12B) 및 잉크 투과층(12C)을 구비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하고, 렌티큘러 렌즈(12A)의 이면에 직접 인쇄를 하고, 렌티큘러 렌즈(12A)의 이면 자체를 인쇄면으로 해도 좋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티큘러 렌즈(12A)에 있어서의 볼록 렌즈(12A1)의 병렬 피치(배치 간격)로서는, 후술하는 스케일(81)의 라인 패턴의 줄의 피치의 정수배로 하는 것이 있다. 예를 들면, 스케일(81)의 라인 패턴이 1/180 인치일 경우, 볼록 렌즈(12A1)의 피치는 10lpi[lens per inch ; 1 인치당의 볼록 렌즈(12A1)의 개수], 20lpi, 30lpi, 45lpi, 60lpi, 90lpi, 180lpi[180dpi의 패턴 피치의 라인 패턴을 갖는 스케일(81)과 비교하여, 1 내지 18의 비를 갖는 피치]로 하는 것이 있다. 그러나 볼록 렌즈(12A1)의 피치는, 해당 예시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100lpi, 120lpi, 130lpi와 같이, 여러 가지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렌즈 시트(12)의 볼록 렌즈(12A1)의 피치는, 제조 오차 등에 의해, 통상은 상술한 바와 같은 정확한 피치는 되지 않고, 약간 어긋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잉크 투과층(12C)은 노즐로부터 토출된 잉크 방울이 최초에 부착되는 부분이며, 해당 부착된 잉크가 투과해 가는 부분이다. 이 잉크 투과층(12C)은, 예를 들어 산화 티탄, 실리카 겔, PMMA(메타크릴 수지), 바인더 수지, 황산 바륨, 유리 섬유, 플라스틱 섬유 등을 재료로 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흡수층(12B)은 잉크 투과층(12C)을 투과한 잉크를 흡수 및/또는 고정 부착시키는 부위이다. 이 잉크 흡수층(12B)은, 예를 들어 PVA(폴리비닐알코올) 등의 친수성 폴리머 수지, 카티온 화합물, 실리카 등의 미립자 등을 재료로 한 것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잉크 흡수층(12B)과 잉크 투과층(12C) 중 어느 한쪽은 광을 통과시키는 투명한 부재로 되고, 다른 쪽은 투명한 부재로 되어 있지만, 모두 백색으로 광을 통과시키는 부재로 하거나, 모두 투명한 부재로 하거나 해도 좋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모두 광을 통과시키지 않는 부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렌티큘러 렌즈(12A)의 절단면은 예리하게 되어 있으므로, 취급하는 사람의 손이나 손가락을 베일 위험이 있어서, 모서리를 라운딩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단부(12E)가 교차하는 부분(13)을 둥글게 하거나(원호 형상으로 하거나), 도 3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단부(12E) 부분이며, 표면 측에 라운딩 부분(14)이나 이면 측에 마찬가지인 라운딩 부분(15)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라운딩을 마련하는 대신에, 테이퍼인 경사면을 마련해도 좋다. 또한, 라운딩을 마련하는 부분은, 렌티큘러 렌즈(12A)의 부분에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표면이나 이면 중 적어도 한쪽이 라운딩 형성되거나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으면, 손을 베일 위험은 감소한다.
또한, 손이 베일 위험성을 피하는 다른 방법으로서, 렌즈 시트(12)를, 렌티큘러 렌즈(12A), 투명 필름, 잉크 흡수층(12B), 잉크 투과층(12C)의 순으로 구성하고, 렌티큘러 렌즈(12A)보다 투명 필름 쪽을 약간 크게 하는 방법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렌즈 시트(12)는 수직 방향에서 보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인 직사각 형상으로 되어 있는 동시에, 해당 직사각 형상의 외관을 구성하는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이 시트 단부(12Et)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쇄 시의 부 주사 방향과 평행이 되는 시트 단부로, 이하에서는 적절하게 부 주사 방향 시트 단부라고 함]가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천이 방향에 상당)에 대하여 경사지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즉,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은 직사각 형상의 렌즈 시트(12)의 외곽선[각 시트 단부(12E)]에 대하여, 평행 또는 수직이 아닌, 경사지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부 주사 방향 시트 단부는, 인쇄 개시 측의 시트 단부(12Et)와, 인쇄 종료 측의 시트 단부(12Ee)의 2개가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시트 단부(12E)에는 상술한 2개 외에, 시트 단부(12Et, 12Ee)를 잇도록, 전후 방향이 되는 위치에, 시트 단부(12Em, 12Eu)가 존재하고 있다. 이들 4개의 시트 단부(12Et, 12Ee, 12Em, 12Eu)에 의해, 수직 방향에 있어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의 외형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볼록 렌즈(12A1)의 시트 단부(12Et, 12Ee)에 대한 경사 각도(θ)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10도 정도가 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경사 각도(θ)는, 10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5 도 내지 15도의 범위 내이면, 시차에 대응하는 시차 화상의 육안 확인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경사를 이 범위로 하면, 입체 인쇄에 적합한 것이 되고, 그 렌즈 시트(12)를 90도 기울여서 관측할 경우는, 모션 인쇄나 변하는 그림 인쇄 등의 변화계 인쇄에 적합한 것이 된다. 또한, 시트 단부(12Et)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시트(12)의 주 주사 방향(인쇄 방향)에 있어서의 인쇄가 개시되는 측의 시트 단부이다.
<프린터의 전체적인 구성에 대해>
도 4 외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캐리지 모터[CR 모터(22)]에 의해 캐리지(30)를 주 주사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키는 캐리지 기구(20), PF 모터(41)(종이 이송 모터에 대응)에 의해 렌즈 시트(12)를 반송하는 용지 반송 기구(40) 등이 있고, 그 밖에, 도 4에 도시하는 제어부(100)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캐리지 기구(20)의 상세에 대해 설명한다. 캐리지 기구(20)는, 도 4 및 도 5 외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캐리지 기구(20)는 캐리지(30)를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유지하는 캐리지 축(21)과, 캐리지 모터[CR 모터(22)]와, 이 CR 모터(22)에 부착되어 있는 기어 풀리(23)와, 무단의 벨트(24)와, 기어 풀리(23)와의 사이에 이 무단의 벨트(24)를 설치하는 종동 풀리(25)와 리니어 인코더(8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캐리지 기구(20)를 요동시켜 주 주사 방향을 부 주사 방향[= 렌즈 시트(12)의 반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로 하는 요동 기구를 부가하도록 해도 좋다.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래튼(50)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캐리지(30) 가 마련되어 있다. 캐리지(30)에는,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색의 잉크 캐리지(31)가 착탈 가능하게 탑재되어 있다. 또한, 캐리지(30)의 하부에는, 인쇄 헤드(32)가 마련되어 있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헤드(32)에는 노즐(33a)이 렌즈 시트(12)의 반송 방향(부 주사 방향)으로 열 형상으로 배치되고, 각각의 색의 잉크에 대응한 노즐 열(33)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즐 열(33)은, 예를 들면 180개의 노즐(33a)로 구성되어 있고, 이 중, 180번째의 노즐(33a)이 급지 측, 1번째의 노즐(33a)이 배지 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캐리지(30)의 하부에 마련되고, 각 잉크에 대응되어진 노즐 열(33)에는, 노즐(33a)마다, 피에조 소자(도시 생략)가 배치되어 있다. 이 피에조 소자의 작동에 의해, 잉크 통로의 단부에 있는 노즐(33a)로부터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있다. 또한, 인쇄 헤드(32)는, 피에조 소자를 이용한 피에조 구동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잉크를 히터로 가열하고, 발생하는 거품의 힘을 이용하는 히터 방식, 자왜 소자를 이용하는 자왜 방식, 정전기력을 이용한 정전 방식, 먼지를 전계로 제어하는 미스트 방식 등, 그 밖의 방식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5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용지 반송 기구(40)를 구비하고 있다. 용지 반송 기구(40)는 렌즈 시트(12) 등을 반송하기 위한 PF 모터(41)(도 4참조), 및 보통지 등의 급지에 대응하는 급지 롤러(4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급지 롤러(42)보다도 배지 측에는, 렌즈 시트(12)를 반송 및/또는 협지하기 위한 PF 롤러쌍(43)이 마련되어 있다. 또한, PF 롤러쌍(43) 중, PF 구동 롤 러(43a)는 PF 모터(41)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되어, 렌즈 시트(12)의 1단계씩의 반송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PF 롤러쌍(43)의 배지 측에는, 플래튼(50) 및 상술한 인쇄 헤드(32)가 상하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플래튼(50)은 PF 롤러쌍(43)에 의해 인쇄 헤드(32) 아래로 반송되어 오는 렌즈 시트(12)를 하방 측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플래튼(50)보다도 배지 측에는, 상술한 PF 롤러쌍(43)과 같은 배지 롤러 쌍(44)이 마련되어 있다. 이 배지 롤러 쌍(44) 중, 배지 구동 롤러(44a)에는 PF 구동 롤러(43a)와 함께, PF 모터(41)로부터의 구동력이 전달된다.
또한, 프린터(10) 중, 배지측과는 반대인 후단부 측 또한 급지 롤러(42)의 하방 측에는, 개구부(45)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45)는 렌즈 시트(12) 등의 구부리기 곤란한 인쇄 대상물을, 프린터(10)의 후단부 측에서 통과시키기 위한 개구 부분이다. 또한, 렌즈 시트(12)는, 단일 부재로 개구부(45)를 통과하는 이외에, 트레이 등에 적재된 상태에서 통과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도 1 및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0)의 하면과 플래튼(50) 사이의 부위에는, 렌즈 시트(12)에서의 볼록 렌즈(12A1)의 렌즈 피치(또는 렌즈 위치)를 검출하는, 렌즈 검출 수단으로서의 렌즈 검출 센서(60)가 배치되어 있다. 렌즈 검출 센서(60)는, 광의 투수광 방식(투과 방식)의 센서이며, 도 1 및 도 8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발광부(61)와 수광부(62)를 갖고 있다. 이들 중, 발광부(61)는 반송되는 렌즈 시트(12)보다도 플래튼(50) 측(하방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수광부(62)는 반송되는 렌즈 시트(12)보다도 캐리지(30) 측(상방 측)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발광부(61)가 마련되는 부위는, 플래튼(50)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밖의 고정적인 부위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고, 또한 플래튼(50)의 전단부 측에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이와 같이, 발광부(61)를 플래튼(50)의 후단부 측에 마련함으로써, 후술하는 발광부(61)와 수광부(62)가 대향하게 된다.
이들 중, 발광부(61)는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LED : light emitting diode)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LED로서는, 가시광 또는 적외광 등의 여러 가지 파장의 광을 발하는 것이 있지만, 눈부심을 억제할 경우, 적외광을 발하는 적외 LED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부(61)는 플래튼(50)의 후단부 측에 존재하는 오목부(51)에 마련되어 있다. 오목부(51)는 플래튼(50)의 다른 부분보다도 우묵하게 들어가 있는 부분이다. 이 오목부(51)는, 광원군(611)[광원(612)]이 확산판(613)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 가능해지도록, 일정 이상의 깊이 치수를 갖는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광원군(611)은, 다수의 광원(612)이 주 주사 방향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다. 또한, 광원(612)은 소정의 간격마다 배치되어 있는 동시에, 광원(612)의 지향성을 고려하여,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일정한 간격만큼 이격하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에 의해, 광원(612)으로부터 출사된 광은, 확산판(613)에 대하여, 약간의 넓이를 가진 상태에서 조사된다. 또한, 확산판(613)은 광원(612)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진행 방향을 다양하게 변경한다. 그에 의해, 확산판(613)을 통과한 광은, 콘트라스트의 균일화가 도모된 상태에서, 렌즈 시트(12)를 향해서 출사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612)이 늘어 세워진 광원군(611)은, 렌즈 시트(12)의 규정 폭보다도 커지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로 인해,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입사되는 광의 콘트라스트에, 큰 차이가 생기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한, 광의 콘트라스트를 한층 저감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광원군(611)을 구성하는 광원(612)의 배치를 변경하여, 다수의 광원(612)을 지그재그형이 되도록 배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수광부(62)는, 예를 들면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0)의 하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게다가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 예를 들면 홈 포지션으로부터 이격하는 부위, 또한 부 주사 방향에 있어서 급지 측에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수광부(62)의 부착 위치는 이러한 부위에는 한정되지 않고, 캐리지(30)의 하면 중, 예를 들면 주 주사 방향의 중앙부에 부착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광부(62)는 기체부(621), 수광 소자(623) 및 슬릿판(624)을 갖고 있다. 이 중, 기체부(621)는 수광 소자(623)를 부착하는 부분이며, 상기 수광 소자(623)를 부착하는 수납부(622)를 갖고 있다. 이 수납부(622)는, 사방이 판형상 부재로 둘러싸이는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판형상 부재로 둘러싸인 수납부(622)에 수광 소자(623)가 부착되고, 하면 측만이 개방되어 있다. 그에 의해, 일정한 확산광의 수광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수광 소자(623)는, 예를 들어 포토 트랜지스터, 포토다이오드, 포토 IC 등과 같은, 수광한 광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한 소자이다. 또한, 수납부(622)의 하면 측에는 슬릿판(624)이 부착되어 있다. 이 슬릿판(624)에는, 광의 통과를 허용하는 슬릿(624a)이 형성되어 있고, 해당 슬릿(624a)을 거쳐서 소정 방향의 광(도 1에 있어서는 광축(L)을 따르는 방향의 광)의 수광을 허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슬릿(624a)의 폭 치수는 볼록 렌즈(12A1)의 렌즈 폭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슬릿(624a)의 폭 치수가 지나치게 좁을 경우, 플래튼(50)과 캐리지(30)와의 사이의 갭 조정이 엄격해져, 양호한 검출을 행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로 인해, 슬릿(624a)의 폭 치수는 일정한 치수 이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슬릿판(624) 중, 슬릿(624a) 이외의 부분에 조사된 광은 상기 슬릿판(624)에 의해 차단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광축(L)에 따르는 방향 이외의 확산광이 수광 소자(623)로 수광되는 것이 방지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슬릿판(624)을 마련하지 않은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수광 소자(623)에 있어서의 렌즈 피치의 검출 정밀도는 악화되지만, 각 볼록 렌즈(12A1)가 갖는 집광 작용 등에 의해, 렌즈 시트(12)의 렌즈 피치의 검출은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수광부(62)는 렌즈 시트(12)의 반송 상태에 있어서, 해당 렌즈 시트(12)에 접촉하지 않지만, 이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반송성을 악화시키지 않을 정도로 근접하는 배치로 되어 있다. 그에 의해, 발광부(61)로부터 출사된 광은, 경계면(Q) 중 각 볼록 렌즈(12A1)의 곡률 중심을 초점으로 하여 확산되지만, 광은 그다지 확산되지 않는 상태에서 수광부(62)에 입사된다.
또한, 발광부(61)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직하 방식을 채용할 경우, 그 구성은 발광 다이오드를 다수 늘어세우는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주 주사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라인 형상 광원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라인 형상 광원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음극 형광 램프(CFL ; Cathode Fluorescent Lamp), 냉음극 형광 램프(CCFL ; Cold Cathode Fluoresoent Lamp) 또는 일렉트로 루미네센스(EL ; Electro Luminescence)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발광부(61)는 그 밖의 가시광 또는 적외광과 같은 레이저광을 생기게 하는 것이 가능한 레이저 발진기, 램프 등을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발광부로서는 직하 방식을 채용하지 않고, 에지 라이트 방식의 구성을 채용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발광부는 주 주사 방향의 단부에 배치되는 광원과, 광원의 광을 주 주사 방향측을 향해서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광이 내부를 진행하는 동시에 주 주사 방향을 긴 쪽으로 하는 도광판과, 도광판의 하면 측, 측면 측 및 도광판의 길이 방향의 타단부 측에 부착되어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와, 상면 측을 향해 출사되는 광을 확산시키는 확산 필름과, 도광판의 하면에 배치되어 광을 확산시키는 반사 도트를 갖는 것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 시트(12)와 노즐(33a)과의 사이의 거리(PG)를 측정하기 위해, 캐리지(30)의 하면에는 렌즈 검출 센서(60) 이외에, 갭 검출 센서(70)가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는, 거리(PG)를 검출하는 갭 검출 센서(70)의 설명도이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갭 검출 센서(70)는 발광부(71)와, 2개의 수광부[제 1 수광부(72a) 및 제 2 수광부(72b)]를 갖는다. 발광부(71)는 발광 다이오드를 갖고, 렌즈 시트(12)에 광을 조사한다. 제 1 수광부(72a) 및 제 2 수광부(72b)는, 수광한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수광 소자를 각각 갖는다. 또한, 제 2 수광부(72b)는 제 1 수광부(72a)와 비교하여, 발광부(71)로부터 먼 위치에 마련되어 있다.
발광부(71)로부터 발하게 된 광은, 렌즈 시트(12)에 조사되는 동시에, 반사된다. 반사된 광은 상술한 수광 소자에 입사되어, 이 수광 소자에 있어서 입사한 광량에 따른 전기 신호로 변환된다. 여기에서, 거리(PG)가 작을 경우, 렌즈 시트(12)에 의해 반사된 광은 주로 제 1 수광부(72a)에 입사되지만, 제 2 수광부(72b)에는 확산광밖에 입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수광부(72b)의 출력 신호는, 제 1 수광부(72a)의 출력 신호보다도 커진다.
한편, 거리(PG)가 큰 경우, 반사된 광은 주로 제 2 수광부(72b)에 입사되고, 제 1 수광부(72b)에는 확산광밖에 입사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 2 수광부(72b)의 출력 신호는 제 1 수광부(72a)의 출력 신호보다도 커진다. 이로 인해, 제 1 수광부(72a)와 제 2 수광부(72b)의 출력 신호의 비와 거리(PG)와의 관계를 미리 구해 두면, 해당 출력 신호의 비에 의거하여, 렌즈 시트(12) 등에 대응하는 거리(PG)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경우, 수광부(72a, 72b)의 출력 신호의 비와 거리(PG)와의 관계에 관한 정보를 테이블로서 ROM(102)이나 비휘발성 메모리(104)에 기억해 두는 것이 좋다.
이러한 출력 신호의 검출을, 캐리지(30)를 주 주사 방향으로 구동시키면서 실행한다. 이 구동 시에, 후술하는 리니어 인코더(80)의 위치 검출과 대응시킴으로써, 렌즈 시트(12)의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의 거리(PG)를 검출하는 것이 가능해 진다.
또한, 갭 검출 센서(70)는 상술한 렌즈 검출 센서(60)와 겸용 가능하다. 이 경우, 발광부(61)의 광축이 경사지도록 배치하고, 거리(PG)에 따라서 제 1 수광부(72a)와 제 2 수광부(72b) 사이에 있어서의 출력 신호의 비가 변화되도록 하면, 갭 검출 센서(70)와 렌즈 검출 센서(60)를 겸용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4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 기구(20)에는 위치 검출 수단에 대응하는 리니어 인코더(80)가 마련되어 있다. 리니어 인코더(80)는 흑색의 인쇄 부분과 광을 투과하는 투명 부분으로 이루어지는 라인 패턴이 반복되는 스케일(81)과, 스케일(81)을 향해 광을 출력하는 동시에, 해당 스케일(81)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전기적인 신호(인코더 신호 ; 이하, ENC 신호로 함)로 변환해서 제어부(100)로 송신하는 라인 센서(82)를 갖고 있다.
여기에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캐리지 기구(201)에는 지지축에 대응하는 캐리지 축(21)을 요동시키기 위한 요동 기구가 마련되어 있지 않지만, 요동 기구를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즉, 인쇄 헤드(32) 그 자체를 도 18과 같이 경사지게 하면서, 또한 부 주사 방향에 대하여 90도를 넘는 각도를 가지는 방향으로 구동시키거나,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헤드(32)만을 경사시켜서 구동하도록 해도 좋다.
<신호 형성부의 구성 및 신호 처리의 개요에 대해>
다음에, 신호 형성부(9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호 형성부(90)는 필터(91)와, 앰프(AMP)(92)와, 2값화 처리부(93)를 구비 하고 있다. 이들 중, 필터(91)는 신호선(94)의 일단부 측과 접속되어 있다. 신호선(94)의 타단부 측은, 상술한 수광부(62)[수광 소자(623)]에 접속되어 있다. 이로 인해, 수광부(62)에서 발생한 아날로그 신호는, 이 신호선(94)을 거쳐서 필터(91)에 전달되지만, 필터(91)에서는, 아날로그 신호(도 11 참조) 중 소정의 대역 이외의 주파수 성분이 제거된다. 그에 의해,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디지털 신호(렌즈 신호 ; 검출 신호에 상당)가 생성된다.
또한, 필터(91)를 통과한 신호는, AMP(92)에 입력되어, 소정의 전압 등(일예로서, 40배 등)으로 증폭된다. 이러한 증폭이 이루어진 신호는, 계속해서 2값화 처리부(93)에 입력되고, 해당 입력된 신호를, 임계치를 초과하였는지의 여부에 의해 H 레벨 또는 L 레벨의 2값의 신호(2값화 신호)로 한다. 이 상태에서, 기술하는 제어부(100)에 2값화 신호를 입력하고, H 레벨의 신호 및/또는 L 레벨의 신호의 절환 타이밍을 검출함으로써, 렌즈 시트(12)의 렌즈 피치가 계측 가능해진다.
<프린터의 제어부에 대해>
다음에, 제어부(1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00)는 각종 제어를 실행하는 부분이며, 제어 수단 및 판단부에 대응하는 부분이며, 렌즈 검출 센서(60), 렌즈 시트 검출을 위한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도 6 참조), 갭 검출 센서(70), 리니어 센서(82), 후술하는 로터리 인코더(132), 프린터(10)의 전원을 온/오프하는 전원 SW 등)의 각 출력 신호가 입력된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100)는 CPU(101), 각종 프로그램을 기억하는 ROM(102),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구축하는 RAM(103), 비휘발성 메모리(PROM)(104), ASIC(105), 헤드 드라이버(106) 등을 구비 하고 있어서, 이들이 버스(107)를 거쳐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협동, 또는 특유의 처리를 행하는 회로를 추가하는 등에 의해, 이하에서 서술하는 처리 흐름이 실현된다.
또한, 이하의 도 12, 도 14 및 도 17에 있어서의 처리 흐름을 실행하는 구성은, 하드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좋고, 또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실현되어도 좋다.
또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린터(10)는 제어부(100)와 접속되는 인터페이스(131)를 구비하고 있다. 이 인터페이스(131)를 거쳐서, 프린터(10)는 컴퓨터(13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프린터(10)는 로터리 인코더(132)를 구비하고 있다. 로터리 인코더(132)는, 상술한 리니어 인코더(80)와는 달리, 스케일(132a)이 원반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그 이외의 구성은, 리니어 인코더(80)와 동일하게 되어 있다.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 흐름에 대해>
이상과 같은 구성의 프린터(10)를 이용하여,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기본적인 처리 흐름을, 도 12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프린터(10)의 전원이 온 상태에서, 최초에 렌즈 시트(12)의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0 ; 정보 획득 공정에 대응). 이 판단을 실행함으로써, 후술하는 인쇄 데이터가 볼록 렌즈(12A1)의 경사에 대응시켜서 형성해야할 것인지[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이 부 주사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지], 또는 통상의 렌즈 시트(12)에의 인쇄와 같이 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이 부 주사 방향을 따를지가 정해진다. 이 판단에 있어서, 예인 경우[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이 경사져 있는 경우], 단계 S20으로 진행한다. 또한, 아니오인 경우[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이 부 주사 방향을 따르고 있는 경우], 후술하는 단계 S50으로 진행한다.
상술한 단계 S10에 있어서 예인 경우, 계속해서 경사 각도(도 2에 있어서의 경사 각도(θ))가 어느 정도인가, 산출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 이 산출은, 예를 들어도 도 13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점(A)과, 이 지점(A)에 대하여 부 주사 방향을 따라서 소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지점(B)과의 사이의 거리(Q)를 계측한다. 또한, 부 주사 방향에 수직인 방향, 즉 볼록 렌즈(12A1)의 횡단 방향을 따르는 직선 상의 지점(A)에 대한 우측 근방 또는 좌측 근방 중 어느 한쪽[도 13의 (A)에서는 우측 근방]에 존재하는 골 부분까지의 거리(AL)와, 상술한 횡단 방향 상의 지점(B)에 대한 우측 근방 또는 좌측 근방 중 어느 하나[도 13의 (A)에서는 우측 근방]에 존재하는 골 부분까지의 거리(BL)를 계측한다. 그리고 이들 거리(AL, BL) 및 거리(Q)의 계측이 종료된 후에, 계속해서 경사 각도(θ)의 계산을 실행한다. 「θ」를 도로 나타낼 경우, 경사 각도(θ)는 e = ATAN(Δ/Q) ㅧ 180/n에 의해 구해진다. 또한, Δ는 거리(BL)와 거리(AL)와의 사이의 차이분이다. 이상과 같이 해서, 볼록 렌즈(12A1)의 경사 각도(θ)가 산출된다.
상술한 경사 각도(θ)의 산출 후에, 경사 각도(θ)의 정보를 반영시켜서, 인쇄해야 할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 ; 이하, 단계 S50까지 인쇄 공정에 대응). 이 처리에 의해, 인쇄 데이터가 작성되면 인쇄를 실행한다(단계 S40). 또한, 상술한 단계 S10의 판단에 있어서, 아니오인 경우[볼록 렌 즈(12A1)의 긴 쪽이 부 주사 방향을 따라고 있는 경우],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지 않은 상태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는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50).
또한, 단계 S50에 있어서는, 렌즈 해상도[볼록 렌즈(12A1)의 개수]와, 인쇄 해상도, 인쇄 사이즈에 따라서, 해상도 변환이 이루어져 복수 매의 원 화상 데이터가 합성된 후의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화상 사이즈의 계산(통상은, 원 화상 데이터의 압축이 됨)이 행해진다. 다음에, 각각의 볼록 렌즈(12A1) 내의 화소부(R)를 구한다. 화소수(R)는 각각의 볼록 렌즈(12A1) 내에 칠 수 있는 도트수에 대응한다. 다음에, 각각의 볼록 렌즈(12A1) 내에 있어서의, 1 화상 데이터당의 화소수(도트수)(L)를 구한다. 이 화소수(L)는 도트수(L)를, 원 화상 데이터의 매수로 나눔으로써 구해진다. 이상과 같이 해서, 해상도 변환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해상도 변환을, 원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행한다. 그리고 정해져 있는 순번(육안 각도 순)으로, 해상도 변환 후의 세분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나란히 배치한다. 그에 의해, 1개의 볼록 렌즈(12A1) 내에 배치되는 직사각형의 세분화 화상 데이터가 작성된다.
또한, 작성된 세분화 화상 데이터를, 볼록 렌즈(12A1)의 짧은 방향의 줄의 순으로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원 화상 데이터의 정보가 반영된,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가 작성된다. 또한, 이 후에, 색 변환 처리를 실행하고,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의 R, G, B계로 표현되는 색 성분이, 프린터(10)로 인쇄 및/또는 표현 가능한 시안(C), 마젠타(M), 옐로우(Y), 블랙(K)계의 색 성분으로 변환된다. 또한, 색 변환이 이루어진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하프톤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 하프톤 처리라 함은 원 화상 데이터의 계조치(본 실시 형태에서는 256 계조)를 프린터(10)가 화소마다 표현 가능한 계조치로 감색하는 처리를 말한다. 여기에서, 감색이라 함은 색을 표현하는 계조의 수를 줄이는 것을 말한다. 또한, 구체적으로는 기록률 테이블을 참조하여, 예컨대 "도트의 형성 없음", "작은 도트의 형성" 및 "큰 도트의 형성"의 4계조에의 감색을 행한다. 또한, 이 하프톤 처리에 있어서는 오차 확산법, 디저법 등의 수법을 이용하여, 도트의 분산 처리가 행해진다.
또한, 하프톤 처리가 된 화상 데이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가 실행된다. 여기에서, 인쇄 데이터라 함은 각 주 주사시의 도트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라스터 데이터와, 부 주사 이송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분산 테이블의 분산 데이터를 참조하여 작성된다. 또한, 인쇄 데이터는 통상의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경상 반전하게 된 데이터로 되어 있다. 이상이, 프린터(10)에 의한 인쇄를 실행할 때의, 기본적인 처리 흐름이다.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을 경우의 인쇄 데이터 작성의 처리 흐름에 대해>
계속해서, 상술한 단계 S10의 판단에 있어서,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다고 판단된 경우(예인 경우)에, 단계 S30에서 행하는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처리에 대해, 도 14를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처음에, 작성되는 인쇄 데이터가, 연속 화소 배치에 대응하는지, 또는 이격 화소 배치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301). 여기에서, 연속 화소 배치라 함은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시차에 대응하는 원 화상 데이터를 압축해서 얻 을 수 있는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 데이터가,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에 따라 연속적(열 형상)으로 배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이에 대하여, 이격 화소 배치라 함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시차에 대응하는 상술한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구성하는 화소가,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지만, 연속적(열 형상)이 아닌, 다른 화소 데이터를 사이에 두고 이격한 상태로 배치되는 상태를 말한다. 또한, 인쇄 데이터가 연속 화소 배치에 대응시키는지, 또는 이격 화소 배치에 대응시키는지는, 원 화상 데이터의 수(시차수)에 의해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그러나 예를 들어 화질 등, 다른 요소에 의해 판단하도록 해도 좋다.
도 15에 도시하는 연속 화소 배치에서는, 4개의 화상(1, 2, 3, 4)의 화소는 1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화상(1)의 화소(1a1), 화상(2)의 화소(2a1), 화상(3)의 화소(3a1), 화상(4)의 화소(4a1)가 주 주사 방향으로, 일렬로 나란히 배치되는 동시에, 그 후의 화소(1a2, 2a2, 3a2, 4a2, …)도 동일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부 주사 방향으로 늘어나 있다. 화소 1a계에서 1개의 볼록 렌즈(12A1) 중의 1개의 부분 시차 화상을 형성하고, 화소 1a계, 1b계, …에서, 1개의 세분화 시차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도 16에 도시하는 이격 화소 배치에서는, 6개의 화상(1, 2, 3, 4, 5, 6)의 화소는 2차원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즉, 화상(1)의 화소(1a1)의 우측 근방에 화상(3)의 화소(3a1), 그 우측 옆에 화상(5)의 화소(5a1)를 배치하고, 화상(1)의 화소(1a1)의 부 주사 방향(도 16에서는, 하측)으로 화상(6)의 화소(6a1), 그 우측 근방에 화상(2)의 화소(2a1), 그 우측 근방에 화상(4)의 화소(4a1)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도, 화소 1a계에서 1개의 볼록 렌즈(12A1) 중의 1개의 부분 시차 화상을 형성하고, 화소 1a계, 1b계, …에서, 1개의 세분화 시차 화상을 형성하고 있다. 도면에서는, 화소 3a계의 부분 시차 화상을 사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굵은 점선의 작은 사각 부분(12B)은, 시차 화상의 배치 영역(=시차 영역)을 나타내고, 굵은 실선 부분(12C)은 시차수분의 시차 영역(이하, 시차역이라 부름)을 나타내고, 경사지게 신장하는 가는 점선 부분(12D)은 시차 경계의 이미지 라인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경사지게 신장하는 실선 부분(12F)은, 각 볼록 렌즈(12A1)의 물리적 경계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에서, 이격 화소 배치 쪽이, 도 15에 도시하는 연속 화소 배치보다도, 육안 확인 가능(배치 가능)한 원 화상 데이터의 매수가 많아진다. 즉, 시차수를 많게 하기 쉬운 것이 된다. 이것은 2차원 배치의 이점이다. 또한, 이격 화소 배치나 연속 화소 배치에 있어서는, 모두 육안으로 확인할 때의 렌즈 시트(12)의 회전은, 기준 방향(L)(이 방향이, 기준축 방향 및 회전축 방향에 상당)을 기준으로 하고 있어서, 사용자의 눈도 기준 방향(L)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또한, 이격 화소 배치에서는, 렌즈 시트(12)를 연속적으로 회전시킬 경우, 눈으로 확인되는 화소는, 예를 들어 매트릭스 형상의 배치의 화소가, 연속적으로 절환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사용자가 렌즈 시트(12)를 통과시켜 육안으로 확인하는 그림은, 입체 화상에 대응하고 있다. 그로 인해, 각 화소는 근사하고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은 이격 화소 배치를 채용해도, 사용자는 양호하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진다. 또한, 눈으로 확인되는 화상으로서는 입체 화상이 아닌, 보 는 각도를 바꾸어 움직이는 화상(애니메이션)으로 해도, 동일하게 사용자는 양호하게 육안으로 확인 가능해진다. 이것은,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격 화소 배치에 있어서도, 예를 들면 화소(1a, 1b, …)와 화소(2a,2b, …)와 화소(3a, 3b, …) 등은, 모두 기준 방향(L)에 대하여 동일한 각도가 되기 때문이다.
상술한 단계 S301의 판단에 있어서, 예인 경우(연속 화소 배치에 대응하는 경우), 계속해서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의 회전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2). 이 회전 처리에 있어서는 상술한 단계 S20에 있어서 검출된 경사 각도(θ)분만큼,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연속 화소 배치에 대응하는 일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단계 S303). 이 경우, 회전 처리가 된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종이 이송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서, 볼록 렌즈(12A1)의 렌즈 피치에 대응시켜서 세분화한다. 또한, 세분화에 앞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상도 변환 처리를 행하고, 원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 데이터의 압축을 거쳐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얻는다. 그리고 이 압축 원 화상 데이터로부터 직사각형의 세분화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 다음에, 직사각형의 세분화 화상 데이터를, 육안으로 확인할 때에 바뀌는 순서로 배치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일시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계속해서, 단계 S303에서 작성된 일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앞선 단계 S302와는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각도(θ)만큼 회전시키는, 역회전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4 ; 이때 작성되는 화상 데이터를 시차 화상 데이터라고 함). 이 역회전에 의해 각각의 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세분화 화상 데이터의 경계가, 볼 록 렌즈(12A1)의 길이를 따르는 상태가 된다.
상술한 단계 S304에서 작성된 시차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은 하프톤 처리를 행한다(단계 S305). 또한, 하프톤 처리는 복수의 압축 원 화상 데이터의 각각에 대하여 행하는 등, 단계 S304보다도 앞의 단계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하프톤 처리가 이루어진 화상 데이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생성하는 처리가 실행되어, 처리가 종료된다. 여기에서, 인쇄 데이터라 함은 각 주 주사시의 도트의 기록 상태를 나타내는 라스터 데이터와, 부 주사 이송량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포함하는 데이터이며, 분산 테이블의 분산 데이터를 참조해서 작성된다. 또한, 인쇄 데이터는 통상의 인쇄 데이터에 대하여, 경상 반전시켜진 데이터로 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01에 있어서, 이격 화소 배치에 대응한다고 판단되는 경우, 다음에 인쇄를 행하는 프린터(10)가,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는지 여부(상술한 요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지 여부 또는 요동 기구를 구비할 경우에는, 그것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10). 여기에서, 경사 토출이라 함은 노즐 열(33)이 종이 이송 방향을 따르는 열은 되지 않으며, 볼록 렌즈(12A1)의 경사 각도(θ)에 대응하는 각도만큼 경사져 있는 상태(도 18, 도 19 참조)를 말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10의 판단에 있어서,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계속해서 경사 토출에 대응한 시차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단계 S311). 단계 S311에 의해, 경사 토출용의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가 작성되면, 계속해서 상술한 단계 S305에 나타내는 하프톤 처리로 이행한다. 또한,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프린터(10)의 경우, 이 단계 S310과 단계 S311이 생략된 처리 흐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단계 S310에 있어서, 프린터(10)가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아니오인 경우), 상술한 단계 S302와 같은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의 회전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312). 이 회전 처리에 있어서도, 볼록 렌즈(12A1)의 경사 각도(θ)분만큼,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회전시키는 처리를 행한다.
단계 S312의 다음에, 이격 화소 배치에 대응하는 일시 화상 데이터를 작성하고, 시차 화상이 되는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를 작성한다(단계 S313). 이때, 상술한 단계 S303과 같이, 회전 처리가 된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종이 이송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을 따라서, 볼록 렌즈(12A1)의 렌즈 피치에 대응시켜 세분화한다. 또한, 세분화의 처리에 앞서, 이격 화소 배치에 대응시켜 종이 이송 방향에 있어서도, 각 원 화상 데이터를 압축하는 처리를 행한다. 이 경우,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에 따라 배치되는 세분화 화상 데이터의 개수에 따라서, 각 원 화상 데이터가 압축된다. 그리고 이 압축이 종료된 후에, 압축 후의 각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볼록 렌즈(12A1)와, 각각의 압축 원 화상 데이터에 있어서의 화소 데이터를, 1개씩 나란히 매트릭스를 형성함으로써, 매트릭스 형상의 세분화 화상 데이터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일시 화상 데이터가 작성된다.
이 일시 화상 데이터가 작성된 후에, 해당 일시 화상 데이터에 대하여, 앞선 단계 S312와는 반대 방향으로, 동일한 회전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역회전 처리를 실행한다(이때 작성되는 화상 데이터는,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에 대응). 이 역회전에 의해, 각각의 원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세분화 화상 데이터의 경계가, 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을 따르는 상태가 되어 이격 화소 배치에 대응하는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가 작성된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2차원 배치(이격 화소 배치)의 경우는, 단계 S312, S313의 회전과 역회전의 처리는 불필요해지지만, 각 볼록 렌즈(12A1)의 물리적 경계를 나타내는 실선 부분(12F)을 따라, 이격 화소가 배치되는 경우는, 단계 S312, S313 중의 회전과 역회전의 처리는 필요해진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가 작성되면, 계속해서 상술한 단계 S305에 나타내는 하프톤 처리로 이행한다. 이상이,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는 경사 렌즈 시트에 인쇄를 행할 때의, 인쇄 데이터를 작성하기 위한 처리 흐름이다.
<인쇄를 실행할 때의 처리 흐름에 대해>
계속해서, 상술한 단계 S10의 판단에 있어서,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다고 판단된 경우(예인 경우)에, 인쇄를 실행하기 위한 처리(단계 S40)에 대해, 도 17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인쇄를 실행하는 경우, 우선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는 인쇄 데이터의 피치 조정을 행한다(단계 S401). 이 피치 조정에 있어서는, 잉크 방울의 토출에 대응하는 도트의 데이터가, 볼록 렌즈(12A1)의 골 사이의 부분에 존재하는 경우에, 어느 한 볼록 렌즈(12A1) 측에 그 도트의 데이터가 포함되도록 조정한다. 이 경우, 도트의 데이터가 걸치는 비율에 따라서, 어느 하나의 볼록 렌즈(12A1) 측 에 포함되도록 조정한다. 또한, 이 피치 조정은 단계 S303이나 단계 S313 중에서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볼록 렌즈(12A1)를 걸치는 도트의 경우, 어느 쪽의 볼록 렌즈(12A1)에 넣을지를 조정하는 피치 조정은, 후술하는 ENC 신호에서의 토출에만 사용하고, 후술하는 렌즈 신호에서의 토출에는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렌즈 토출은 어떤 볼록 렌즈(12A1)라도, 동일한 도트수를 토출하기 때문이며, 만약 조정해 버리면, 피치가 맞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피치 조정이 된 경우에는, 반드시 ENC 신호에서의 토출이 된다. 다음에,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를 기준으로 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2). 이 판단에 있어서, 시트 단부(12Et)를 기준으로 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할 경우(예인 경우)에는, ENC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설정으로 한다(단계 S403). 여기에서, ENC 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경우라 함은 렌즈 피치가 정확하다는 등, 일정한 조건을 충족시키는 경우이다.
또한, 상술한 단계 S402의 판단에 있어서, 시트 단부(12Et)를 기준으로 하지 않고, 잉크 방울을 토출할 경우(아니오인 경우)에는, 렌즈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설정으로 한다(단계 S404). 이 경우, 상술한 렌즈 검출 센서(60)를 이용하여, 렌즈 시트(12)의 렌즈 피치를 검출하면서, 인쇄를 실행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상술한 단계 S403, 단계 S404에 있어서의 설정이 종료된 후에, 계속해서 상술한 단계 S310과 같이, 프린터(10)가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는지의 여부(상술한 요동 기구를 구비하는지 여부, 또는 요동 기구를 구비할 경우에는, 그것이 사용 가능한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405). 이 판단에 있어서, 프린터(10)가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다고 판단될 경우(예인 경우), 계속해서 경사 토출에 대응하는 설정으로 한다(단계 S406). 또한, 상술한 단계 S405에 있어서, 프린터(10)가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될 경우(아니오인 경우), 경사 토출은 아니며, 통상의 토출에 대응하는 설정으로 한다(단계 S407). 또한, 경사 토출에 대응하고 있지 않은 이 프린터(10)의 경우, 단계 S405와 S406이 생략된 처리 흐름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 S406 및 단계 S407에서의 설정이 이루어진 후에, 각 설정에 대응하는 인쇄를 실행한다(단계 S408).
여기에서, 각 설정에 대응하는 인쇄의 예를 서술한다. 예를 들면, 캐리지 축(21)의 일단부 측을 슬라이드시키는 것이 가능한 요동 기구를 구비할 경우,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쇄 시에는 종이 이송 방향에 대하여, 인쇄 헤드(32)의 주사 방향이 직교하고 있지 않으며, 게다가 렌즈 시트(12)의 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이, 노즐 열(33)의 긴 쪽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이 경우, 잉크 방울의 토출 타이밍은, 렌즈 신호를 기준으로 하는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렌즈 피치에 따라서 잉크 방울의 토출 타이밍을 조정하면서, 인쇄를 실행하게 된다.
또한, 도 18에 도시하는 상태에 있어서는 노즐 열(33)의 긴 쪽이 종이 이송 방향을 따른 상태에서의 종이 이송량을 L이라 하면, 종이 이송량 W = Lcos θ가 된다. 이 이송량으로 PF 모터(41)를 구동하는 동시에, 렌즈 신호를 트리거로서 잉크 방울을 토출하면,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경사 렌즈 시트가 되는 렌즈 시트(12) 에 대해, 양호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18에 있어서, 렌즈 피치가 정확한 경우이며, 렌즈 신호와 ENC 신호와의 정합성이 양호한 등의 경우에는 시트 단부(12Et)를 검출한 후에, ENC 신호를 기준으로 하여 인쇄를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캐리지 축(21)이 고정적인 동시에, 이 캐리지 축(21)에 대해 인쇄 헤드(32)가 요동하는 요동 기구를 구비하는 경우, 도 18에 도시하는 경우와는 달리, 볼록 렌즈(12A1) 내에 배열되는 잉크 방울의 도트는 정사각 형상은 되지 않고, 도 19에 도시한 바와 같은 평행사변형을 형성하는 상태에서 도트가 렌즈 시트(12)에 부착된다. 이로 인해, 잉크 방울의 토출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를 작성한다. 이 경우, 렌즈 신호의 에지를 기준으로 하여 도트를 형성하는 경우, 인쇄 헤드(32)의 주사 방향을 따라 수 도트 진행하면, 도 19에서의 도트 배치에서는 도 18에서의 도트 배치보다도 1개만큼 종이 이송 방향에 있어서 옆에 위치하는 화상 데이터에 대응시켜,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상태가 된다.
또한, 도 19에 도시하는 경우, 인쇄 헤드(32)의 주 주사 방향은, 볼록 렌즈(12A1)의 폭 방향에 대하여, 약간 경사져 있기 때문에, 주 주사 방향을 따르는 볼록 렌즈(12A1)의 횡단 거리는 볼록 렌즈(12A1)의 폭 방향보다도 길다. 그로 인해, 인쇄 헤드(32)는 1개의 볼록 렌즈(12A1)에 대해, 칠 수 있는 도트의 수를 많게 할 수 있다.
또한, 요동 기구를 구비하지 않고, 인쇄 헤드(32)의 제어 구동만으로 인쇄를 행할 경우에 있어서, 각각의 노즐(33a)에 있어서 잉크 토출의 타이밍을 독자적으로 조정 가능하면, 도 20에 있어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사변형 형상의 도트 배치로 인쇄를 실행할 수 있다. 이 방법으로 인쇄를 실행할 경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이 경우도 잉크 토출은 렌즈 신호를 트리거로서 토출하는 상태가 된다.
<보완 렌즈 신호의 생성에 대해>
그런데, 도 2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면 중 화살표 방향으로 반송되는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캐리지(30)가 부 주사 방향의 지점(1, 2, 3)으로부터 주 주사 방향으로 이동했을 때의 렌즈 신호는, 도 21의 (B)에 도시하게 된다. 렌즈 신호(1)는 지점(1)에 있어서의 렌즈 신호를 나타낸다. 렌즈 신호(2)는 지점(2)에 있어서의 렌즈 신호를 나타낸다. 또한, 렌즈 신호(3)는 지점(3)에 있어서의 렌즈 신호를 나타낸다.
렌즈 신호(1, 2, 3)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최초에 출력되는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 부분의 렌즈 신호는, 시트 단부(12Et)를 따르는 위치에 있는 볼록 렌즈(12A1)[볼록 렌즈(12A11)]가, 시트 단부(12Et)의 외측에 있어서 결손되어 있음으로써, 볼록 렌즈(12A1)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펄스가 나타나지 않거나[렌즈 신호(1)], 펄스 폭이 좁아져 버려 있다[렌즈 신호(2, 3)].
렌즈 신호(2, 3)에 나타나 있는 해당 좁은 펄스 폭의 펄스를 기준으로 해서 잉크 방울을 토출하면, 해당 좁은 펄스 폭에, 통상의 폭의 볼록 렌즈(12A1)의 1개분의 토출 신호가 인쇄 신호로서 존재하게 되어, 잉크 방울을 토출한 경우에, 도트가 막히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로 인해, 육안으로 확인 가능한 그림도, 가로 방향으로 압축된 상태가 되거나, 또는 잉크 방울의 섞임에 의해 번진 것 같은 상태가 되어, 바람직하지 못한 화상이 인쇄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하에 설명한 바와 같이, 시트 단부(12Et)에 있어서 볼록 렌즈(12A1)가 결손되어 있어도, 이 볼록 렌즈(12A1)에 대응하는 펄스의 폭을, 주 주사 방향의 다른 타이밍에 있어서의 펄스 폭과 동일한 폭으로 한 보완 렌즈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완 렌즈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한 화상의 인쇄가 행해지지 않도록 한다. 도 22의 (A)에는, 도 21에 나타내는 렌즈 신호(1, 2, 3)에 대한 보완 렌즈 신호가, 보완 렌즈 신호(1', 2', 3')로서 나타내고 있다.
도 23에, 렌즈 신호로부터 보완 렌즈 신호, 유사 ENC 신호 및 토출 신호를 생성하고, 잉크 방울의 토출 제어를 행하는 렌즈 신호 처리 제어부(11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한다. 이 렌즈 신호 처리 제어부(110)에 있어서는, 우선 보완 렌즈 신호 생성부(111)에 있어서 버퍼(112)를 이용하면서 렌즈 신호로부터 보완 렌즈 신호를 생성한다. 그리고 유사 ENC 신호 생성부(113)에 있어서, 보완 렌즈 신호로부터 ENC 신호를 이용해서 유사 ENC 신호에 생성한다. 그와 같이 하여, 토출 제어부(114)에 있어서, 유사 ENC 신호로부터 잉크를 토출하기 위한 토출 신호를 생성한다.
보완 렌즈 신호 생성부(111)에 있어서의 렌즈 신호의 보완 처리에 대해, 렌즈 신호(3)를, 예를 들어 도 24의 처리 흐름 및 도 25 등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렌즈 신호(1, 2)에 있어서도, 렌즈 신호(3)에 대해 행해지는 처리와 같은 처리가 행해진다. 여기에서는 대표예로서, 렌즈 신호(3)만 도 25에 취하여, 설명하는 것으로 한다. 렌즈 신호(3)는 도 2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펄스(P1, P2, P3, …, Pn-2, Pn-1, Pn)가, 도 21의 (A)에 도시하는 렌즈 시트(12)의 볼록 렌즈(12A11, 12A12, 12A13, 12A14, …, 12A1(n-2), 12A1(n-1), 12A1n)에 대응하는 펄스로 되어 있다.
보완 렌즈 신호의 생성에 있어서는, 우선 렌즈 신호(3)의 인접하는 펄스의 포지티브에지(급상승부)의 간격을, 클럭 신호의 클럭수에 의해 계수하고, 이 계수치를 볼록 렌즈(12A1)의 배치 간격으로 한다(단계 S500). 최초에 검출되는 볼록 렌즈(12A11)는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 측이 결손된 렌즈이므로, 렌즈 폭이 좁게 검출된다. 따라서 최초의 펄스(P1)와 볼록 렌즈(A12)를 검출한 펄스(P2)의 포지티브 에지의 간격은, 다른 펄스 간, 예를 들어 펄스(P2와 P3)의 포지티브 에지의 간격에 비해 좁아져 있다. 즉, 최초의 볼록 렌즈(12A11)와 다음 볼록 렌즈(12A12)와의 클럭수에 있어서의 간격은 700으로 되어 있다. 2번째 이후의 볼록 렌즈(12A12, 12A13, …)에 대해서는, 볼록 렌즈(12A1)가 완전한 형태로 존재하므로, 인접하는 볼록 렌즈(12A1)끼리의 클럭수에 있어서의 간격은 1000으로 되어 있다. 볼록 렌즈(12A1n)에 대해서도, 시트 단부(12Ee)의 외측이 결손되어 있으므로, 펄스(Pn)의 폭은 다른 펄스에 비해 좁아져 있지만, 앞의 펄스(Pn-1)와의 간격(배치 간격)은, 그 이전과 같이 1000으로 되어 있다. 시트 단부(12Ee)는, 렌즈 시트(12)의 주 주사 방향에의 인쇄 방향에 있어서의 인쇄가 종료되는 측의 시트 단부이다.
클럭수로서 계수된 볼록 렌즈(12A1)의 배치 간격은, 캐리지(30)의 이동을 따라 순차적으로 버퍼(112)에 기록해 간다(단계 S500). 이때, 렌즈 신호(3)의 최초 에 검출된 펄스(P1)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의 부분에 있는 볼록 렌즈(12A11)이며, 결손되어 있으므로, 포지티브 에지 신호의 버퍼(112)에의 기록은 행하지 않는다. 다른 렌즈 신호(1, 2)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최초에 검출된 펄스에 대해서는,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의 부분에 있는 볼록 렌즈(12A11)이며, 결손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어서, 버퍼(112)에의 포지티브 에지 신호의 기록은 행하지 않도록 한다.
버퍼(112)에의 볼록 렌즈(12A1)의 배치 간격의 기록은, 도 2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행해진다. 도 25의 (B)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향하는 방향이 캐리지(30)의 진행 방향에 대응하고 있다. 버퍼(112)는 5개분의 볼록 렌즈(12A1)에 대한 배치 간격이 클럭 신호의 계수치로서 기록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25의 (B)는 볼록 렌즈(A12)와 볼록 렌즈(A13)의 간격과 볼록 렌즈(A13)와 볼록 렌즈(A14)의 간격이 클럭수 1000으로서 기록되고, 또한 볼록 렌즈(A14)와 볼록 렌즈(A15)의 간격이 계측 중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소정 개수의 볼록 렌즈(12A1)를 검출한 곳에서(단계 S510), 버퍼(112) 내에 기록되어 있는 볼록 렌즈(12A1)의 배치 간격에 의거하여, 보완 렌즈 신호(3')를 생성한다(단계 S520). 소정 개수는 소정 개수의 볼록 렌즈(12A1)의 폭이, 인쇄 헤드(32)와 렌즈 검출 센서(60)의 수광부(62)와의 간격보다도 좁아지도록 설정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적어도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에 도달하기 전에 보완 렌즈 신호를 생성하고, 잉크의 토출에 구비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신호(3)의 4개째의 포지티브 에지 가 검출되는 것을 기다려, 보완 렌즈 신호의 생성 처리(단계 S520)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보완 렌즈 신호(3')의 생성은, 버퍼(112)에 기록되어 있는 볼록 렌즈(12A1)의 배치 간격을 기초로 하여 행한다. 클럭수 1000의 배치 간격의 최초의 절반 500은 Hi의 신호로서, 이후의 절반 500은 Lo의 신호로서, 도 25의 (C)에 도시하는 보완 렌즈 신호(3')를 생성한다. 그리고 이 보완 렌즈 신호(3')는, 결손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해서, 버퍼(112)에 기록되지 않은 렌즈 신호(3)의 펄스(P1) 대신에, 점선으로 나타내는 펄스(P1')가 보완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완된 펄스(P1')는 펄스(P2')를 이용하고 있다. 또한, 펄스(P2')는 펄스(P2)에 대응하고, 펄스(P3')는 펄스(P3)에 대응하고 있다. 또한, 펄스(P4')는 펄스(P4)에 대응하고 있다.
이 후, 캐리지(30)가 시트 단부(12Ee)를 향해서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검출되는 렌즈 신호(3)를 기초로 하여, 보완 렌즈 신호(3')를 생성한다(단계 S520). 버퍼(112)는 상술한 바와 같이 5개분의 볼록 렌즈(12A1)의 배치 간격이 기록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캐리지(30)가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차례로 기록되어 있는 볼록 렌즈(12A1)의 배치 내용을 갱신해 간다(단계 S530).
캐리지(30)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로부터 시트 단부(12Ee)의 측을 향해서 이동하면, 볼록 렌즈(12A11, 12A12, 12A13, 12A14, …, 12A1(n-2), 12A1(n-1), 12A1n)에 맞추어, 도 2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펄스(P1, P2, P3, P4, …, Pn-2, Pn-1, Pn)의 렌즈 신호(3)가 출력된다. 그리고 이 렌즈 신호(3)를 기초로 하여, 도 25의 (C)에 도시된 보완 렌즈 신호(3')가 생성되게 된다. 보완 렌즈 신호(3')의 펄스(P1', P2', P3', P4', …, Pn-2'·Pn-1', Pn')는, 각각 렌즈 신호(3)의 펄스(P1, P2, P3, P4, …, Pn-2, Pn-1, Pn)에 대응하고 있다.
캐리지(30)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 측까지 이동하였는지 여부는 다음과 같이 하여 판단한다. 도 26에,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에 있어서의 인쇄 헤드(32), 렌즈 검출 센서(60)의 수광부(62), 볼록 렌즈(12A1)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캐리지(30)가, 시트 단부(12Et) 측으로부터 시트 단부(12Ee) 측으로 이동하여, 렌즈 검출 센서(60)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에 있는 볼록 렌즈(12A1n)를 넘으면, 그 후에는 볼록 렌즈(12A1)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렌즈 신호(3)의 출력은 없어진다. 그래서 볼록 렌즈(12A1n)의 렌즈 신호(3)의 펄스(Pn)가 검출된 후, 소정의 거리를 캐리지(30)가 이동해도, 렌즈 신호(3)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는 렌즈 검출 센서(60)는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를 검출하였다고 판단한다. 그 소정의 거리는, 예를 들어 이 볼록 렌즈(12A1n)의 직전에 검출된 볼록 렌즈(12A1(n-1))와의 간격의 1.5배에 상당하는 거리로 한다. 이 거리를 캐리지(30)가 이동해도, 렌즈 신호(3)가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캐리지(30)가 수광부(62)의 위치에 있어서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를 넘는 위치로 이동했다고 판단한다(단계 S540).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에 있어서도, 도 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볼록 렌즈(12A1n)가 결손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도, 시트 단부(12Et)에서의 볼록 렌즈(12A11)가 결손되어 있을 때와 같이, 렌즈 신호의 펄스 폭이 좁은 펄 스(Pn)가 생기게 된다. 그리고 해당 좁은 펄스 폭에, 통상의 폭의 볼록 렌즈(12A1)의 1개분의 토출 신호가 존재하면, 잉크 방울을 토출한 경우에, 도트가 막히게 되는 상태가 되어, 육안으로 확인되는 그림이 바람직하지 못한 것이 된다.
그래서 렌즈 검출 센서(60)의 수광부(62)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된 경우에는(단계 S540), 도 25의 (C)에 도시하는 보완 렌즈 신호(3')와 같이, 볼록 렌즈(12A1n)에 대응하는 펄스(Pn')로서, 볼록 렌즈(12A1n)의 직전에 있는 볼록 렌즈(12A1(n-1))와의 렌즈 간격에 대응하는 펄스(Pn-1')를 이용하여 보완 처리를 실행한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보완 렌즈 신호(3')는 생성된다. 그리고 보완 렌즈 신호(3')를 기초로 하여 잉크 방울을 토출함으로써 렌즈 신호(3)에 폭이 좁은 펄스가 있어도, 다른 부분과 같은 정도의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보완 렌즈 신호(3')는 캐리지(30)가 이동하는 것에 맞추어 렌즈 신호(3)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어 간다. 그리고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에 도달하는 것에 맞추어, 보완 렌즈 신호(3')를 기초로 하여 생성되는 잉크의 토출 신호에 의거하여 잉크 방울의 토출을 시작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캐리지(30)에 마련되어 있으면 수광부(62)는 인쇄 헤드(32)보다도 주 주사 방향으로 선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 신호(3)가 검출된 후, 수광부(62)와 인쇄 헤드(32)의 거리(T) 만큼을 캐리지(30)가 이동했을 때에, 잉크 방울의 토출이 개시되게 된다. 또한, 렌즈 검출 센서(60)의 수광부(62)는, 인쇄 헤드(32)보다도 주 주사 방향에 있어서 선행시켜서 배치 할 필요가 있다. 그것은, 렌즈 검출 센서(60)로부터 렌즈 신호(3)가 출력된 후, 보완 렌즈 신호(3')를 생성하고, 그리고 이 보완 렌즈 신호(3')를 기초로 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토출 신호를 생성한 후, 이 토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잉크 방울의 토출을 행하므로, 렌즈 신호(3)의 출력으로부터 잉크 방울의 토출까지는 타임 러그가 있기 때문이다.
보완 렌즈 신호 생성부(111)에서 캐리지(30)의 이동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생성되는 보완 렌즈 신호(3')는, 생성되는 것에 맞추어 유사 ENC 신호 생성부(113)에 출력되고, 유사 ENC 신호로서 생성된다. 이 유사 ENC 신호는 보완 렌즈 신호(3')를 ENC 신호의 해상도에 맞추어 정배하여 유사 ENC 신호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렌즈의 배치 피치가 45lpi이며, ENC 신호의 해상도가 180dpi일 때는, 보완 렌즈 신호(3)의 주기를, ENC 신호의 해상도에 맞추기 위해, 보완 렌즈 신호(3')의 주기를 4배(180 ÷ 45)로 한 신호를 유사 ENC 신호로 한다.
그리고 또한, 이 유사 ENC 신호를 기초로 하여, 토출 제어부(114)에 있어서, 잉크의 토출 신호를 생성한다. 이 토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잉크 방울의 토출이 행해진다. 이 토출 신호는 유사 ENC 신호를 인쇄 해상도에 맞추어 정배하여 토출 신호로서 생성한다. 예를 들어, 인쇄 해상도가 1440dpi이면, 유사 ENC 신호의 주기를, 인쇄 해상도에 맞추기 위해, 8배(1440 ÷ 180)한 신호를 토출 신호로 한다.
프린터(10)는 캐리지(30)를 주 주사 주행으로 이동시키면서, 이 캐리지(30)의 이동에 따라서 출력되는 상술한 토출 신호에 의해, 잉크 방울을 렌즈 시트(12)의 소정 위치로 토출함으로써, 인쇄를 실행한다.
그런데,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검출 센서(60)의 수광부(62)는 인쇄 헤드(32)에 대하여, 캐리지(30)의 이동 방향으로 선행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로 인해, 인쇄 헤드(32)는 렌즈 검출 센서(60)에 의해 검출된 볼록 렌즈(12A1)에, 검출된 시점보다도 지연되어 도달한다. 따라서 인쇄 헤드(32)가 토출 신호에 대응하는 볼록 렌즈(12A1)에 도달했을 때에, 토출이 행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렌즈 신호(3)의 펄스(P1)에 근거해서 생성된 토출 신호에 의해 잉크를 토출할 때는, 인쇄 헤드(32)가 볼록 렌즈(12A11)에 도달했을 때에 토출시킬 필요가 있다.
그로 인해, 토출 신호에 의한 토출은 수광부(62)와 인쇄 헤드(32)와의 주 주사 방향의 거리(T)에 상당하는 분만큼 지연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술한 바와 같이 렌즈의 해상도가 45lpi, ENC 신호의 해상도가 180dpi 그리고 인쇄 해상도가 1440dpi이면, 토출 신호의 1파장은 0.0177㎜에 상당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수광부(62)와 인쇄 헤드(32)와의 거리(간격)(T)를 1.77㎜로 설정하면, 토출 신호가 출력된 후 100 파장분 이송된 타이밍에서 토출을 행하면, 토출 신호에 대응하는 렌즈 시트(12) 상의 인쇄 위치와, 토출 위치가 일치하게 된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간단하게 하기 위해 수광부(62)와 인쇄 헤드(32)와의 거리(T)를 기초로 하여, 토출 신호와 토출의 타이밍을 맞추었지만, 실제로는 인쇄 헤드(32)의 잉크의 토출 노즐(33a)과 수광부(62)와의 간격이 기준이 된다. 또한, 렌즈 신호(3)로부터 토출 신호를 생성할 때까지의 생성 시간이나, 그 밖의 메카니컬적 또는 전기적인 손실 시간 등을 고려해서, 토출 타이밍을 결정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캐리지(30)가 주 주사 방향으로 이송하여, 도 21의 (A)에 도시하는 지점(3)에 대해서, 시트 단부(12Et)로부터 시트 단부(12Ee)에 걸쳐 인쇄가 행해진 후, 종이 이송 기구에 의해 렌즈 시트(12)를 부 주사 방향으로 이송하면서, 캐리지(30)를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 측으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지점(2, 3)에 대해서 상술한 인쇄 동작을 행한다. 즉, 도 21의 (B)에 도시하는 렌즈 신호(1, 2)로부터 도 22의 (A)에 도시하는 보완 렌즈 신호(1', 2')를 생성하고, 또한 이 보완 렌즈 신호(1, 2)를 기초로 하여 토출 신호를 생성해서 인쇄가 행해진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는, 도 21의 (A)에 도시하는 렌즈 시트(12)의 부 주사 방향의 도중에 있는 지점(1, 2, 3)에 대해서만 인쇄 동작을 설명했지만, 렌즈 시트(12)의 반송 방향의 전단부 측으로부터 렌즈 시트(12)의 후단부 측을 향해, 렌즈 시트(12)의 반송 피치마다, 상술한 지점(3)에 대해 설명한 것과 같은 인쇄 동작이 행해진다.
그런데, 보완 렌즈 신호는 실제로는 볼록 렌즈(12A1)가 존재하지 않는 렌즈 시트(12)의 외측에, 마치 볼록 렌즈(12A1)가 있는 것 같이, 신호를 생성하고 있다. 따라서 보완 렌즈 신호를 기준으로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것으로 하면, 렌즈 시트(12)의 외측에 잉크의 토출이 행해져 플래튼(50)이 더러워져 버리게 된다.
그래서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에 의해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와 시트 단부(12Ee)의 검출을 행하고,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12)의 외측에 있을 때는, 잉크 방울의 토출을 행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당하다.
즉, 실제로는 볼록 렌즈(12A1)가 없는 위치에 인쇄 헤드(32)가 위치할 때에 있어서, 토출 신호에 의해 본래는 잉크 방울이 토출되어야 할 것이라도,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에 도달할 때까지는, 잉크 방울을 토출하지 않도록 공타를 행한다. 즉, 화상 데이터를 기초로 하여 토출 신호를 따라서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바, 실제로는 잉크 방울의 토출을 행하지 않는 제어를 행한다. 이와 같이, 잉크 방울의 토출을 제어함으로써, 인쇄 화상은 렌즈 시트(12)의 주 주사 방향의 폭에 맞추어서 인쇄되게 된다.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에 도달하였는지의 여부는 다음과 같이 판단한다.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는, 렌즈 검출 센서(60)의 수광부(62)와 같이, 인쇄 헤드(32)보다도 주 주사 방향으로 선행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에 의해 시트 단부(12Et)가 검출되고 나서, 캐리지(30)가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와 인쇄 헤드(32)와의 주 주사 방향의 거리(T)를 이동했을 때에,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32)의 시트 단부(12Et)에 도달해서, 잉크 방울의 토출을 실행하도록 한다.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가 시트 단부(12Et)를 검출하고 나서의 캐리지(30)의 이동 거리는, ENC 신호에 의해 계측을 실행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와 렌즈 검출 센서(60)는 인쇄 헤드(32)에 대해서 주 주사 방향의 동일한 거리(T)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e)에 있어서도, 보완 렌즈 신호는 실제로는 볼록 렌즈(12A1)가 존재하지 않는, 렌즈 시트(12)의 외측에, 마치 볼록 렌 즈(12A1)가 있는 것 같이 생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완 렌즈 신호를 기준으로 잉크 방울을 토출하는 것으로 하면, 렌즈 시트(12)의 외측으로 잉크의 토출이 행해져, 플래튼(50)이 더러워지게 된다.
그래서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가 시트 단부(12Ee)를 검출한 후, 캐리지(30)가 렌즈 시트 검출 센서(63)와 인쇄 헤드(32)와의 주 주사 방향의 거리(T)를 이동했을 때에는, 인쇄 헤드(32)가 렌즈 시트(32)의 시트 단부(12Ee)에 도달해서, 잉크 방울의 토출을 정지하도록 한다.
그런데,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의 외측에 있어서는, 잉크의 토출은 행해지지 않지만, 화상 데이터는 소비되어 있다. 즉, 렌즈 시트(12)에 대한 인쇄가 전체적으로, 시트 단부(12Et) 측에 보완된 신호만큼 편차가 생겨 인쇄가 행해진다. 따라서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의 반대측의 시트 단부(12Ee)에 있어서는, 화상 데이터가 없어져 인쇄가 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그래서 주 주사 방향에 대한 화상 데이터를, 렌즈 시트(12)의 주 주사 방향의 폭보다도 약간 크게 작성해 둔다. 이와 같이 화상 데이터를 작성해 둠으로써,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의 외측에 있어서 화상 데이터가 소비되어도, 시트 단부(12Ee)에 있어서, 인쇄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가 없어져 버리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보완 렌즈 신호는 도 22의 (A)에 도시하는 폭(Y)만큼만, 시트 단부(12Et) 측에 편차시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폭(Y)은, 보완 렌즈 신호의 포지티브 에지와 볼록 렌즈(12A1)의 골부 사이와의 거리이다. 보완 렌즈 신호를, 폭(Y)만큼만, 시트 단부(12Et) 측에 편차시켜, 보완 렌즈 신호의 포지티브 에지와 볼록 렌즈(12A1)의 골부 사이의 위치를 일치시킴으로써, 각 볼록 렌즈(12A1)에 대한 잉크 방울의 토출 개시를, 볼록 렌즈(12A1)의 볼록부가 시작되는 위치에 맞추기 쉬워진다. 즉, 잉크 방울의 토출을 각 볼록 렌즈(12A1)의 폭에 정확하게 맞추어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도 21의 (B)에 도시하는 렌즈 신호(1)와 이것에 대응하는 도 22의 (A)에 도시하는 보완 렌즈 신호(1')를 보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볼록 렌즈(12A11)에 대응하고 있는 부분의 신호에는, 볼록 렌즈(12A11)가 약간 있음에도 불구하고, 펄스가 나타나지 않는다. 즉, 렌즈의 결손량이 크고, 잔존하고 있는 부분이 적은 것 같은 부위에 대해서는, 렌즈 신호에 펄스가 나타나지 않으며, 따라서 보완 렌즈 신호에도 펄스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로 인해, 토출 신호가 생성되지 않으며,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잉크의 토출이 행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최초에 나타나는 펄스의 폭(볼록 부분과 오목 부분의 합계)이, 상술한 예에서 말하면, 클럭수로 하여 1000이면,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는, 잔존하고 있는 부분은 적지만 볼록 렌즈(12A11)가 존재하고 있다고 판단한다. 그리고 도 2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 단부(12Et) 측에 클럭수 1000에 상당하는 펄스의 신호를 2개 보완한 보완 렌즈 신호(1")[도면 중, 시트 단부(12Et) 측에 점선으로 도시한 신호]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시트 단부(12Et)의 부분에 약간 잔존하고 있는 볼록 렌즈(12A11)의 부분에도, 잉크의 토출을 행할 수 있어,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 가득 문자나 화상을 인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렌즈 시트(12), 프린터(10) 및 인쇄 방법에 의하면, 렌즈 시트(12)의 기준 방향(L)은, 볼록 렌즈(12A1)의 긴 쪽에 대하여 경사 각도(θ)로 경사져 있다. 게다가, 이 렌즈 시트(12)에서는 외형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또한 각 볼록 렌즈(12A)가 시트 단부(E)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낭비가 생기지 않으며, 더군다나 인쇄 폭을 벌 수 있다. 또한, 이 렌즈 시트(12)를 회전시키면, 볼록 렌즈(12A1)의 표면 각도는, 볼록 렌즈(12A1)를 가로 지르는 방향 뿐만 아니라, 렌즈 시트(12)의 기준 방향(L)을 따라서도 변화된다. 그에 의해, 시차 화상을 구성하는 압축 원 화상 데이터를,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 직선형으로 배치할 뿐만 아니라, 평면형으로 배치할 수 있고, 복수의 시차에 대응하는 시차 화상을 육안으로 확인할 경우, 시차 화상의 절환이 원활해져, 확인하는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인상을 주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시트(12)는 그 외관이 직사각 형상을 띠는 동시에, 시트 단부(12Et)는 기준 방향(L)에 평행하게 마련되어 있다. 그에 의해, 렌즈 시트(12)의 기준 방향(L)이 시트 단부(12Et)에 평행해지고, 사용자에게 있어서 육안으로 확인 시의 기준 방향(L)을 알기 쉽다. 또한, 프린터(10)에 있어서의 종이 이송 등의 동작을 행하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경사 각도(θ)는 5도 내지 15도의 범위 내에서 경사져 있다. 이로 인해, 렌즈 시트(12)를, 그 기준 방향(L)을 기준으로 해서 5도 내지 15도 회전시킨 경우에, 육안으로 보는 화상에서의 화상의 절환이 양호해져, 특히 육안으로 보는 화상이 입체 화상에 대응할 경우, 입체 화상이 매끄럽게 절환되어, 사용자에 게 있어서 육안 확인성이 양호해진다. 또한, 경사 각도(θ)는 0.1도 내지 45도의 범위 내로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프린터(10)와 같이, 지점(A), 지점(B)을 지나도록 인쇄 헤드(32)를 주사시키는 등에 의해, 렌즈 시트(12)가 통상의 렌즈 시트인지, 또는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는 상태가 되어 있는지가 판단되므로, 경사져 있다고 판단된 경우라도, 통상의 렌즈 시트와 구별하여, 양호하게 인쇄를 행하게 할 수 있다. 즉, 볼록 렌즈(12A1)가 경사져 있어서, 이 렌즈 피치마다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잉크 방울을 토출시키고, 또한 경사 인쇄에 대응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점에 있어서 렌즈 피치의 계측을 행할 경우,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의 일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θ)를 적절하게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지고, 볼록 렌즈(12A1)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려, 적절한 위치에 잉크 방울을 토출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에 의해, 볼록 렌즈(12A1)의 경사 각도를 고려하지 않고 잉크 방울을 토출시키는 경우와 같이, 인쇄 화상(인쇄 콘텐츠에 상당)이 어긋나거나, 구부러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 20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인쇄 헤드(32)로부터의 잉크 방울의 토출을, 각각의 노즐(33a)마다 제어 가능한 경우, 각각의 노즐(33a)마다, 잉크 방울의 토출의 타이밍을 조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이 종이 이송 방향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렌즈 시트(12)에 있어서도, 각 볼록 렌즈(12A1)의 렌즈 피치마다, 시차에 대응하는 만큼만의 원 화상 데이터가 육안 확인 화상 데이터에 존재하고, 해당 경사에 대응하도록, 각 노즐(33a)로부터 잉크 토출의 타이밍 을 어긋나게 하면서 인쇄를 실행 가능해진다. 그에 의해, 인쇄 헤드(32)를 요동시키는 요동 기구 등을 갖지 않아도, 볼록 렌즈(12A1)의 경사에 대응하는 인쇄를 양호하게 행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신호는 볼록 렌즈(12A1)의 폭에 따라서 펄스 폭이 다른 펄스 신호이며, 또한 제어부(100)는 렌즈 신호의 검출에 의해,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12Et) 부근의 볼록 렌즈(12A1)의 폭이 좁다고 판단하면, 다른 부분과 같은 펄스 폭이 되도록, 보완 처리를 행하고 있다. 그에 의해, 좁은 펄스 폭의 렌즈 신호에, 복수의 시차의 시차 화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인쇄 데이터(도트)가 막히게 되는 상태가 해소되어, 다른 부분과 같은 정도의 인쇄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연속 화소 배치를 채용할 경우, 볼록 렌즈(12A1)를 가로 지르는 방향을 따라서, 렌즈 피치에 대응시켜서 세분화된 복수의 압축 원 화상 데이터로부터, 시차 화상 데이터가 구성된다. 이 경우, 볼록 렌즈(12A1)가 기준 방향(L)에 대하여 경사져 있는 경우라도, 시차마다의 화상의 절환이 양호해지는 시차 화상을,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인쇄 가능해진다. 또한, 주 주사 방향이 볼록 렌즈(12A1)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지게 되므로, 이 주 주사 방향을 따르는 거리가 약간 늘어나, 착탄시키는 도트수를 늘릴 수 있으므로, 인쇄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격 화소 배치를 채용할 경우, 복수의 원 화상 데이터로 형성되는 시차 화상 데이터는 압축 및 세분화 후에,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그에 의해, 볼록 렌즈(12A1)를 가로 지르는 방향으로만 세분화된 압축 원 화상 데이터가 배치되는, 도 15에 도시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보다 다수의 화소 데이터(압축 및 세분화된 압축 화상 데이터)를 배치 가능해진다. 그에 의해, 예를 들면 사용자가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한 입체 화상인 경우, 운동 시차에 대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고, 사용자는 보다 자연스러운 상태의 입체 화상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이하, 그것에 대해 서술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볼록 렌즈(12A1)의 경사가 우측 하향으로 되어 있지만, 좌측 하향으로 해도 좋다. 또한, 인쇄를 행할 때, 도 2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인쇄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서는 캐리지 축(21)의 요동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과, 다른 요동 기구를 구비하는 구성과, 요동 기구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을 간단하게 설명하였지만, 이들은 선택적인 요소이며, 어느 하나만을 구비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전부를 구비하는 구성, 또는 그 중 2개를 선택적으로 구비하는 구성을 채용해도 좋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시트(12)에의 인쇄는 트레이를 이용하지 않고, 직접 렌즈 시트(12)를 부 주사 방향으로 반송시켜 인쇄하고 있지만, 인쇄 시에 전용 트레이를 이용하도록 해도 좋다. 트레이를 이용할 경우, 상기 트레이에는 렌즈 시트(12)의 크기에 대응하는 끼워 넣음부가 존재하고, 이 끼워 넣음부에 렌즈 시트(12)를 끼워 넣으면, 볼록 렌즈(12A1)의 긴 쪽은 종이 이송 방향을 따르지만, 렌즈 시트(12)의 시트 단부(E)는 종이 이송 방향으로 경사지는 상태가 되는 것을 사용해도 좋다. 이러한 트레이를 이용하여 인쇄를 행하면, 요동 기구 등의 특유의 기구를 마련하지 않아도, 인쇄 품질을 확보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렌즈 시트(12)를 반송하지 않고, 인쇄 헤드(32)를 주 주사 방향과 부 주사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검출 센서(60)는 홈 포지션으로부터 이격하는 부위에, 1개만 마련되어 있다. 그러나 렌즈 검출 센서(60)의 개수는 1개에 한정되지 않으며, 캐리지(30)에 복수개 마련하도록 해도 좋다. 예를 들어, 캐리지(30)의 하면 중, 주 주사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렌즈 검출 센서(60)를 부착하는 경우, 캐리지(30)의 왕복 이동의 각각에 있어서, 인쇄보다도 앞서 렌즈 피치를 계측하는 것이 가능해져, 렌즈 시트(12)에 대한 인쇄를 왕복 이동의 각각으로 실행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ENC 신호 및 렌즈 신호는, 펄스 신호인 동시에, 인코더 주기 정보나 렌즈 주기 정보는 이들의 포지티브 에지로 계측하고 있지만, 네거티브 에지로 계측해도 좋다. 또한, ENC 신호 및 렌즈 신호는 아날로그 신호라도 좋다. 이들이 아날로그 신호일 경우, 전압의 소정의 임계치를 인코더 주기 정보나 렌즈 주기 정보로 하면, 카운트치 등을 산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렌즈 시트(12)는 볼록 렌즈(12A1)가 다수 늘어서는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렌즈 시트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오목 렌즈가 다수 늘어서는 구성인 렌즈 시트라도 좋다. 또한, 이 경우에는 상술한 각 처리는 포지티브 에지가 아닌, 네거티브 에지를 검출했을 때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프린터(10)는, 인쇄를 실행하는 것으로 되어 있지만, 인쇄만을 행하는 것에는 한정되지 않으며, 복사, 팩시밀리, 스캐너의 각 기능 중 1개 또는 복수를 겸하는 복합적인 프린터라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렌즈 시트(12)에 대하여 인쇄 화상을 직접 인쇄하는 방식인 직묘형의 경우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별도로 인쇄된 인쇄물을 렌티큘러 렌즈(12A)에 점착하는 방식의 분리형의 경우에 대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본 발명의 렌즈 시트에 의하면, 외형이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며, 또한 각 렌즈가 시트 단부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으므로, 낭비가 되지 않으며, 게다가 인쇄 폭을 버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일방향으로 신장되는 렌즈가 복수 병렬로 배치된 제 1 면과, 이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인쇄되는 면, 또는 인쇄된 매체가 첨부되는 면이 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수직 방향에 있어서 외형이 4개의 시트 단부에 의해 획정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되는 렌즈 시트에 있어서,
    상기 각 렌즈가 상기 시트 단부중 하나에 대하여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의 각도가, 부 주사 방향에 따른 상기 시트 단부에 대해서 5도 내지 15도의 범위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시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단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쇄된 도트가 늘어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시트.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단부가 교차하는 부분에 라운딩을 갖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시트.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 단부가 교차하는 부분이며, 상기 제 1 면 또는 상기 제 2 면 중 적어도 한쪽이 라운딩 형성되거나 또는 테이퍼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시트.
  6. 일방향으로 신장하는 렌즈가 복수 병렬로 배치된 제 1 면과, 이 제 1 면과는 반대측의 면이며, 인쇄되는 면이 되는 제 2 면을 구비하고, 수직 방향으로 외형이 4개의 시트 단부에 의해 획정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이 되는 렌즈 시트에 문자 또는 화상 중 적어도 한쪽을 인쇄 가능한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렌즈 시트가 상기 시트 단부중 하나에 대하여 상기 각 렌즈가 경사져 배치되어 있는 경사 렌즈 시트인 경우,
    상기 각 렌즈의 폭에 대응하는 주기 폭의 신호가 계속됨으로써 형성되어 출력되는 렌즈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렌즈 신호의 최초에 출력되는 결손된 펄스 부분에 대응하는 신호를, 이후에 출력되는 신호의 펄스 폭과 동일한 펄스 폭의 결손이 없는 신호로 한 보완 렌즈 신호를 생성하고, 이 보완 렌즈 신호를 기초로 하 여, 상기 경사 렌즈 시트에 인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보완 렌즈 신호는 마지막으로 출력되는 펄스 부분에 대응하는 결손된 신호를, 앞서 출력된 신호의 펄스 폭과 동일한 펄스 폭의 결손이 없는 신호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
KR1020070012392A 2006-02-06 2007-02-06 프린터 KR1008834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00028025 2006-02-06
JP2006028025A JP4289358B2 (ja) 2006-02-06 2006-02-06 プリンタおよび印刷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56A Division KR20080097371A (ko) 2006-02-06 2008-10-09 렌즈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80241A true KR20070080241A (ko) 2007-08-09
KR100883465B1 KR100883465B1 (ko) 2009-02-16

Family

ID=3847109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2392A KR100883465B1 (ko) 2006-02-06 2007-02-06 프린터
KR1020080099156A KR20080097371A (ko) 2006-02-06 2008-10-09 렌즈 시트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9156A KR20080097371A (ko) 2006-02-06 2008-10-09 렌즈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2) US7907163B2 (ko)
JP (1) JP4289358B2 (ko)
KR (2) KR100883465B1 (ko)
CN (2) CN100487495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184626A4 (en) * 2007-08-28 2011-06-15 Sharp Kk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ELEMENT, ORIGINAL MATERIAL FOR MANUFACTURING OPTICAL ELEMENT, TRANSFER MOLD, ILLUMINATION SYSTEM FOR DISPLAY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JP5194671B2 (ja) * 2007-09-25 2013-05-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装置
JP5386812B2 (ja) * 2007-10-18 2014-01-1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記録媒体
JP5176725B2 (ja) 2008-07-02 2013-04-0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レンズシートおよび印刷方法
JP2010167609A (ja) * 2009-01-21 2010-08-05 Fujifilm Corp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310177B2 (ja) * 2009-03-25 2013-10-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レンズ
US8136938B2 (en) * 2009-05-19 2012-03-20 William Karszes System and method for printing on lenticular sheets
JP5382037B2 (ja) * 2011-03-17 2014-01-08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及び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の製造方法
JP5962058B2 (ja) 2012-02-28 2016-08-0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レンズ製造装置
TWI476115B (zh) * 2012-08-13 2015-03-11 黃瑜貞 一種立體印刷的方法及其所製之裝飾板與燈箱
US9052518B2 (en) * 2012-11-30 2015-06-09 Lumenco, Llc Slant lens interlacing with linearly arranged sets of lenses
BR112015012513A2 (pt) * 2012-11-30 2017-07-11 Lumenco Llc intercalação de lente de inclinação
CN103223776B (zh) * 2013-05-13 2015-12-23 杭州奥普特光学有限公司 数字镜片喷印机
JP6171578B2 (ja) * 2013-05-31 2017-08-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US9233561B2 (en) * 2013-08-02 2016-01-12 Seiko Epson Corporation Recording apparatus
JP6269921B2 (ja) * 2013-08-02 2018-01-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被記録媒体の製造方法
ES2955592T3 (es) * 2014-05-20 2023-12-04 Lumenco Inc Lentes inclinadas entrelazadas con conjuntos de lentes dispuestos linealmente
CA2950253C (en) * 2014-05-20 2019-02-12 Lumenco, Llc Slant lens interlacing with linearly arranged lenses
TWI578267B (zh) * 2015-10-22 2017-04-11 楊智傑 立體處理圖像製造方法及立體影像裝置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12880A (ja) * 1989-02-14 1990-08-24 Asahi Chem Ind Co Ltd 透過型表示装置
US5695346A (en) * 1989-12-07 1997-12-09 Yoshi Sekiguchi Process and display with moveable images
JP3471930B2 (ja) 1994-11-10 2003-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装置
US5642226A (en) * 1995-01-18 1997-06-24 Rosenthal; Bruce A. Lenticular optical system
JP3609065B2 (ja) 1995-11-10 2005-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データ生成装置、記録方法、画像記録方法及び画像データ生成方法
JP3352879B2 (ja) 1995-11-10 2002-12-0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画像データ記録方法およびレンチキュラーシート
US6064424A (en) * 1996-02-23 2000-05-16 U.S. Philips Corporation Autostereoscopic display apparatus
US6329987B1 (en) * 1996-12-09 2001-12-11 Phil Gottfried Lenticular image and method
US6727972B2 (en) * 1997-03-31 2004-04-27 Eastman Kodak Company Detection of pitch variations in lenticular material
JPH1178313A (ja) 1997-09-11 1999-03-23 Isel Kk 打抜き製品の面取り方法及びこれを実施する装置
US5967032A (en) * 1998-05-21 1999-10-19 Lti Corporation Printing process using a thin sheet lenticular lens material
WO1999059820A1 (en) 1998-05-21 1999-11-25 Lenticular Technologies, Llc Thin sheet lenticular lens material printing process
US5974967A (en) * 1998-08-27 1999-11-02 Lenticulartechnologies, L.L.C. Registration system for lenticular printing
US6073854A (en) * 1998-05-21 2000-06-13 Lti Corporation Telephone card or the like using lenticular lens material
KR100604123B1 (ko) * 1998-08-05 2006-07-25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끼가이샤 렌즈 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307086B1 (ko) * 1998-10-21 2001-12-12 김완수 렌티큘러3d입체스티커사진자판기
US6486937B2 (en) * 1999-12-30 2002-11-26 Eastman Kodak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printing large format lenticular images
US6373637B1 (en) 2000-09-13 2002-04-16 Eastman Kodak Company Diagonal lenticular image system
KR100786861B1 (ko) * 2002-10-02 2007-12-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입체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AU2004277273A1 (en) * 2003-09-22 2005-04-07 Gene Dolgoff Omnidirectional lenticular and barrier-grid image display
JP2005186477A (ja) 2003-12-25 2005-07-14 Seiko Epson Corp 液体噴射装置
JP2005350093A (ja) 2004-06-09 2005-12-22 Canon Inc ディスクケース及び該ディスクケースを用いる記録装置
JP2006018608A (ja) 2004-07-01 2006-01-19 Japan Communication Inc 端末装置、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6020098A (ja) 2004-07-02 2006-01-19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206084A1 (en) 2007-09-06
CN101526635A (zh) 2009-09-09
JP2007206592A (ja) 2007-08-16
KR20080097371A (ko) 2008-11-05
US7907163B2 (en) 2011-03-15
CN101017212A (zh) 2007-08-15
KR100883465B1 (ko) 2009-02-16
JP4289358B2 (ja) 2009-07-01
CN100487495C (zh) 2009-05-13
US8009187B2 (en) 2011-08-30
US20110128315A1 (en) 2011-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3465B1 (ko) 프린터
US8559049B2 (en) Printing apparatus, lens sheet, and printing method
JP2007076084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4661533B2 (ja) レンズシート計測装置、このレンズシート計測装置を備える印刷装置およびレンズシート計測方法
JP4997775B2 (ja) プリンタ
JP4337823B2 (ja) プリンタおよび印刷方法
JP4844142B2 (ja) プリンタ
JP4752387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09104154A (ja) レンズシート
JP2007196602A (ja) プリンタ
JP2007199452A (ja) 画像処理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4797524B2 (ja) 画像処理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08155389A (ja) プリンタ、画像処理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5287971B2 (ja) 印刷装置
JP5459323B2 (ja) 印刷装置
JP2007127832A (ja) 光学シート、プリンタおよび印刷方法
JP5082225B2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07098830A (ja) 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ならびに印刷用プログラム
JP2007125790A (ja) プリンタおよび印刷方法
JP2007038597A (ja) プリンタおよびレンズ検出方法
JP5130863B2 (ja) 画像検査装置、画像検査方法および検査用画像作成方法
JP2007125751A (ja) 画像処理装置、印刷装置および印刷方法
JP2013107267A (ja) 印刷装置、印刷方法、制御プログラムおよび印刷物
JP2007190886A (ja) プリンタ
JP2007076085A (ja) プリンタおよびレンズ検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