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9933A - 보호 및 재생기능의 조성물 - Google Patents

보호 및 재생기능의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9933A
KR20070079933A KR1020070011065A KR20070011065A KR20070079933A KR 20070079933 A KR20070079933 A KR 20070079933A KR 1020070011065 A KR1020070011065 A KR 1020070011065A KR 20070011065 A KR20070011065 A KR 20070011065A KR 20070079933 A KR20070079933 A KR 20070079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nent
composition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11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6647B1 (ko
Inventor
파트리스 앙뜨레
이자벨르 르니멜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070079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9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66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66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5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containing pyrimidine ring derivatives, e.g. minoxidi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발명은 보호와 재생기능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조성물은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vine shoot)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과, 엑토인(ectoine)류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물(association)을 포함한다.
상기 조성물은 항노화(anti-ageing) 화장 관리 효과와 피부 재활성 (revitalization) 효과를 발휘한다.
포도나무 묘조, 엑토인, 히드로인, 화장용 조성물, 항노화, 재활성

Description

보호 및 재생기능의 조성물{PROTECTING AND REGENERATING COMPOSITION}
도 1 은 실시예 3 에서 실시한 세포 생장 (cell growth)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2 는 18 시간 배양 후의 세포 갯수의 상대적 비율을 도시한 그래프.
도 3 은 실시예 4 의 항-자유라디칼 시험 (anti-free radical test)의 결과를 도시한 막대 그래프.
본원발명은 보호 및 재생기능을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원발명은, 포도나무 묘조(vine shoot)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 및 엑토인(ectoine)류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물(association)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원발명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여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원발명은 상기 조성물로 화장 효과를 얻으려는 사람의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화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PCT 공개특허 "WO 01/03713" 는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에서 레스베라트롤(resveratrol) 및/또는 비니페린(viniferine)을 추출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공개특허는 비니페린이 레스베라트롤의 이합체(dimer)임을 지적하였다. 또한 상기 공개특허는 레스베라트롤이 일반적으로 단위체(monomer) 형태로 존재하지만, 최대 4 개의 단위체를 포함하는 올리고머로도 존재함을 지적하였다 (1면 11줄 내지 17줄).
건조한 묘조는, 싱싱한 묘조에서보다 훨씬 많은 레스베라트롤과 비니페린을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2면31줄 내지 3면2줄)
상기 공개특허는 액체, 분말 또는 정제(tablet)의 조제가 가능하면서, 포도나무에서 얻은 시중의 추출물 제품보다 레스베라트롤이 1000 배 더 농축된 포도나무덩굴(grapevine) 추출물을 얻는 것이 가능함을 예상한다. 그리고 상기 공개특허는 약제(pharmaceutic), 식이(dietetic), 및 화장 분야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설명한다 (5면 25줄 내지 32줄, 청구항 18).
또한, 상기 공개특허는 포도나무 묘조를 4 개월을 초과하지 않는 기간 동안 야외에서 건조해야 한다고 하고 있다 (실시예 1: 4개월 건조, 실시예 2: 3개월 건조, 실시예 3: 최대 3개월 건조).
본원발명의 목적은, 유효 성분들의 상승적 회합물(synergistic association)을 포함하는 새로운 조성물, 특히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화장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의 다른 목적은 화장용으로 가능한 유효 성분 (예: 피부 세포에 대한 독성이 발견되지 않은 유효 성분)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유효 성분은 현재의 화장 산업 규모에 비추어 볼 때 화장용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합리적인 비용으로 다량 사용이 가능한 것이다.
본원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의 형성에 유리한 적량의 레스베라트롤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발명은 화장 산업 규모에 적용시키기 쉬운 방법으로 상기 목적들을 모두 달성하였다.
본원발명의 첫 번째 특징은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과, 엑토인류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에서, "엑토인류 성분" 이라는 표현은 치환되지 않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C1-C6 저 알킬 라디칼(lower alkyl radical)로 (특히 2-위치에서) 치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시기나 메톡시기로 (특히 5-위치에서) 치환된 (S)-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4-카복실산 및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들의 염제(salts)나 에스테르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성분은 엑토인, 또는 (S)-1,4,5,6-테트라히드로-2-메틸피리미딘-4-카복실산, 그리고 히드록시엑토인, 또는 (S,S)-1,4,5,6-테트라히드 로-5-히드록시-2-메틸피리미딘-4-카복실산, 그리고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들의 염제나 에스테르로부터 선택된다.
본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할 때, 제1 성분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포함하며; 제2 성분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포함한다. 그러나 상기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합은 2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부 미만이다.
본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성분과 제2 성분 각각의 중량 비율은 1/10 과 10/1 사이, 특히 약 1/1 이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성분은 엑토인과 히드록시엑토인을 실질적으로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물을 사용한다.
그리고 본원발명의 두 번째 특징으로서,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되거나 이하 설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조성물에 화장용으로 가능한 첨가물을 회합시켜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화장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른 변형예에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다른 화장용 유효 성분, 특히 피부 노화의 방지나 치료, 감속의 항노화 기능 (anti-ageing activity)을 하는 다른 화장용 유효 성분(예: 비타민 A, E 또는 C); 피부 재활성 (revitalization) 기능을 하는 화장용 유효 성분(예: 마데카소시드(madecassoside)); 보습 기능을 가지는 화장용 유효 성분(예: 엑디스테로이드(ecdysteroid)나 이를 함유하는 아주가 투르케스타니카(Ajuga turkestanica)와 같은 식물 추출물); 또는 화학 방사선 (actinic radiation)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예: 메톡시시나메이트 (methoxycinnamate)와 같은 화장용으로 가능한 물리적 또는 화학적 차단제 (sunscreen))을 포함한다.
본원발명의 세 번째 특징은, 본원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조성물, 또는 상기 언급되거나 이하 설명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화장용 조성물을 이용하여, 화장 관리 효과를 원하는 사람의 피부에 대해 국소 도포를 하는 화장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화장 관리 방법의 변형예에서, 상기 화장 관리 방법은 항노화 관리 (특히 피부 노화 작용의 방지나 치료, 감속), 그리고 피부 재활성 관리를 하는 것이다. 피부 항노화 기능은 주로 나이에 따른 피부 노화나 화학 방사선에 의한 피부 노화의 방지 기능이다.
본발명을 통해,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과, 엑토인류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물에서 일어나는 상승 효과 (synergistic effect) 를 설명할 수 있다.
본발명의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은 포도밭에서 재배된 어떤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도 가능하다. 포도나무의 어떠한 변종의 묘조도 해당되고, 특히 메를로 (Merlot), 까뻬르네 프랑(Cabernet Franc), 가메(Gamay), 시라(Sirah), 세미용(Semillon) 그리고 쇼비뇽(Sauvignon) 같은 변종이 해당한다. 이 중 세미용 및/또는 쇼비뇽 변종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발명의 실시예에서,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가 사용된다.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는 수분 함유량이 바람직하게 20 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가 되도록 건조한 묘조이다.
변형예에서, 상기 묘조는 야외의 건조한 장소 또는 적절한 온도 (예를 들어 약 40℃ 를 넘지 않는 적정 온도)의 건조실에서 수분 함유량이 20 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5 중량부 이하가 될 때까지 자연적으로 건조한다.
예를 들어, 상기 건조는 앞서 언급한 공개특허 WO 01/03713 에서 제시하는 것처럼 적어도 2개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월을 건조하는 건조 방법으로 야외의 건조한 장소에서 자연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이러한 야외에서의 자연 건조는 유효 성분의 추출에 도움이 되며,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의 형성에 유리하다.
본발명에 쓰이는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폴리페놀계 분자,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가 풍부한 추출물을 생산하는 방법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는 본발명에서 화장 효과를 위하여 알아낸 것이다.
본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출 방법은 크게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a) 포도밭에서 포도나무 묘조를 재배한다;
b) 최소 4개월을 건조시킨다;
c) 극성 유기 용매를 이용해 추출하는 단계를 한번 이상 수행하여 추출물을 얻는다 (극성 유기 용매의 예: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부탄올, 펜탄올 또는 헥산올 같은 C1-C6 저 알코올(lower alcohol), 순물질이나 물과의 혼합 물 또는 수용액, 또는 케톤(특히 아세톤), 또는 케톤과 물의 혼합물).
d) 상기 추출물을 헥산 등의 무극성 유기 용매로 한번 이상 세척하여 정제된 추출물을 얻는다.
e) 선택적으로, 컬럼(특히 실리카 컬럼(silica column))을 이용하여 정제를 실시한다. 이 단계는 더욱 정제된 추출물(고순도의 추출물)을 얻기 위하여 행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얻고자 하는 유효 물질 (주로 폴리페놀계 물질,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이 고정되고, 그 후 적절한 용리 용매(eluting solvent) (예: 에틸 아세테이트/헥산을 특히 80/20 의 부피비로 혼합한 용매)로 선택적으로 녹여서 분리시킬 수 있다.
f) 상기 단계에 이어, 상기 용리 용매를 제거(특히 증발에 의해 제거)하여 베이지(beige) 색의 분말을 얻을 수 있다.
본발명의 변형예에서, 상기 분말은 알코올/물의 혼합물(예: 부피비가 80/20, 특히 부피비가 80/20 인 부틸렌 글리콜/물의 혼합물)에 재용해(resolubilized)될 수 있다.
부피비 80/20 으로 혼합된 알코올/물의 혼합물에 재용해시킨 상기 분말은 최종 용액에서 레스베라트롤의 이합체인 비니페린을 적어도 약 1%,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를 포함한다.
엑토인류 성분을 포함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로나케어 히드로인(RONACARE® hydroine) 같은 머크(MERCK) 사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머크사의 제품은 엑토인과 히드록시엑토인이 동일 비율 (엑토인 50~60 중량부, 히드록시엑토인 40~50 중량부)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유용하다. 또한 상기 머크사의 제품은 항산화제(antioxident)나 방부제(preservative) 없이도 매우 높은 안정성을 유지하며, 화장용으로도 가능한 제품이다.
본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본발명에 따르는 이하의 자세한 실시예를 통해 명백히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다른 언급이 없는 한, 모든 백분율(%)은 중량 기준이고, 온도는 섭씨온도(℃)이며, 압력은 기압(atm)을 기준으로 한다.
먼저 도면에 대하여 설명을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엑스티티(XTT) 시험기인 베링거(BOEHRINGER)사의 "세포 증식 장비 2 (Cell proliferation kit II)" 를 이용하여, 실시예 3 에서 실시한 세포 생장 (cell growth) 시험 결과를 나타낸다. 이들은 각각 미처리된 대조구(untreated control), 포도나무 묘조의 제3 추출물(I3), "히드로인" 제품 (머크사의 로나케어(RONACARE®)),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의 화합물에 대한 세포 생장 활동(kinetics)을 나타낸다. 이는 6, 9, 15, 18 시간(가로축) 경과 후의 세포 생장 측정을 도시한 것이며, 시험 개시 6 시간 후의 세포 수를 100 으로 볼 때의 세포 수의 상대적 비율(세로축)로서 도시되었다.
도 2 는, 18 시간의 배양 후, 미처리 대조구, 제3 추출물(I3), "히드로인" 제품 (머크사의 로나케어), 본발명의 회합물의 세포 갯수를 각각 도 1 에서 얻어 막대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 를 통해,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 제품의 회합물에서 상승 효과가 일어남을 알 수 있다.
도 3 은 실시예 4 의 항-자유라디칼 시험 (anti-free radical test)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3 추출물(I3), "히드로인" 제품(머크사의 로나케어), 및 상기 두 유효 성분의 회합물 (이상 가로축)에서 각각 구해낸 보호율% (세로축)을 막대 그래프로 도시한 것이다. 개개의 물질(제3 추출물(I3), 히드로인)에 비해 두 물질의 회합물이 탁월한 우수성을 보임을 알 수 있다.
[ 실시예 ]
실시예 1
본발명에 따르는 포도나무 묘조의 제3 추출물( I3 ) 의 제조 방법
본발명에 따르는 추출 방법은 크게 다음 단계를 포함한다.
a) 쇼비뇽 변종의 포도나무 묘조 1 kg 을 보르도(Bordeaux)의 동남쪽에 위치한 포도밭에서 3~4 월에 재배한다;
b) 재배한 포도나무 묘조를 수분 함유량이 5 중량부 이하로 될 때까지 최소 4 개월 동안 건조한 장소에서 공기 중에 건조시킨다.
c) 추출을 수행하기 위해,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를 평균 입자 크기가 4 mm 미만이 되도록 만든다. 상온 또는 30℃의 온도에서, 묘조 분말과 극성 유기 용매 (여기서는 아세톤)의 중량비를 적어도 1/10 으로 하여 적어도 20 시간 동안 추출하는 과정을 적어도 한번 수행한다; 잔여물은 여과를 통해 제거한다.
추출물을 재용해시킨 아세톤 용액에서 아세톤을 증발시켜, 충분히 건조된 미정제 추출물을 얻는다. 상기 미정제 추출물 30 g 정도를 부피비 50/50 의 에탄올/물의 혼합 용매 225 ml 에 재용해시킨다. 추출물을 재용해시킨 상기 물/에탄올 용액을 상온이나 25~30℃에서 한 시간 동안 저어 준다. 그리고 상청액 (supernatant)을 여과를 통해 분리한다.
에탄올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제거되도록 증발시키면, 정제된 추출물이 침전되어, 고체상의 정제된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이를 통상의 방식으로 건조시켜서 분말 형태의 정제된 추출물을 얻는다.
d) 상기 정제된 추출물을 부피비 80/20 의 아세톤/물의 혼합 용매에 재용해하여 더욱 정제시킨다.
헥산을 첨가하여 용액이 두 개의 층으로 분리되도록 한다. 유기층은 헥산으로 이루어져 있고, 수용액 층(aqueous phase)에는 아세톤/물의 혼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이것을 상온에서 수 분 동안 (예: 약 10 분간) 격렬히 저어가며 추출을 실시한다.
상층액을 분리하여 정제된 묘조 추출액을 함유한 수용액 층만이 남도록 한다.
e) 용매를 증발시키면 묘조의 정제된 제1 추출물(I1) 을 얻는다.
f) 이 추출물을 실리카 컬럼으로 정제시키면 더욱 좋다. 실리카 칼럼으로 폴 리페놀계 물질과 특히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 같은 원하는 유효 물질을 고정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실리카 컬럼은 머크사의 타입 60 실리카 (type 60 silica)를 이용한 컬럼이다. 상기 칼럼에 에틸 아세테이트/헥산(80/20,v/v) 혼합용매를 건조 추출물 1g 당 용매 1ℓ의 비율로 주입시켜 실리카에 고정된 폴리페놀계 물질을 선택적으로 용리시킨다.
g) 증발 등으로 용리 용매를 제거시켜 베이지 색의 분말을 얻는다. 이것이 본발명에 따라 정제된 포도나무 묘조의 제2 추출물(I2) 이다.
h)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추출물(I2) 분말은, 조성물(특히 화장용 조성물)의 용이한 사용을 위해, 알코올/물 혼합물(여기서는 부틸렌 글리콜/물, 80/20, v/v)에 재용해시킬 수 있다.
상기 재용해된 분말(제3 추출물(I3))을 분석해 본 결과, 약 68% 의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와 약 24% 의 비니페린을 함유하고 있었다.
실시예 2
본발명에 따르는 조성물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를 약 68 중량부 함유하는 실시예 1 에서 얻은 제3 추출물(I3)을 50 중량부와, 상업적으로 얻을 수 있는 엑토인류 성분, 즉 머크사의 히드로인 제품인 로나케어를 약 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합성한다.
상기 조성물은 이하의 실시예에서 수행되는 실험을 위하여 다양한 비율로 희석될 수 있다.
실시예 3
세포 생장 실험
A - 세포 생장 모형
실시예 2 의 조성물은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엑스티티(XTT) 시험기인 베링거사의 "세포 증식 장비 2" 를 통해 세포 생장에 상기 조성물이 미치는 영향을 시험해 볼 수 있다.
본 모형에서, 테트라졸리움 염(tetrazolium salt)은 미토콘드리아의 호흡 연쇄반응(respiratory chain)에서 발견되는 탈수소효소(dehydrogenase)에 의해 포르마잔(formazan)으로 변환된다. 포르마잔은 시중에 판매되는 분광 형광계(예: 테칸(TECAN))로 450 nm 에서 검출되는 오렌지 색의 화합물이다.
반응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Figure 112007010287144-PAT00001
본발명의 실시예 2 의 조성물을 세포에 처리하여 24 시간 동안 배양시킨다. 단, 상기 조성물을 구성하는 두 개의 유효 성분을 각각 1.56㎍/㎖ 의 농도로 희석시킨 조성물을 사용한다. 또는 비교를 위하여, 각 단일물만을 3.52㎍/㎖ 의 농도로 희석시켜 총 농도가 같도록 한 뒤 세포와 24 시간 동안 반응시킨다.
매 3시간마다 XTT 시험을 실시하여 세포 생장 활동을 관찰한다.
단, 실험이 시작하고 6시간 후의 결과부터 고려하고, 이 때의 세포 수를 100% 로 가정한다. 0시간후 결과(T0) 와 3시간후 결과(T3) 는 표준편차가 너무 크기 때문에 결과값에서 제외하였는데, 환경(medium)의 변화에 따른 혼란 (perturbation)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B - 실험 계획 ( Treatment protocol )
실험 개시일 ( D0 )
실험 개시일(D0)에, 96-웰의 마이크로평판 (96-well microplate)을 사용하여, 하나의 웰(well) 당 세포 10,000 개의 비율로, 당업자에게는 잘 알려진 HaCaT 타입의 영구 변형된 인간의 케라티노사이트(keratinocyte)를 넣었다. (http:/cat.inist.fr/?aModele=afficheN&cpsidt=15688132? 참조, 이 웹페이지는 저널 오브 엔도크리날의 포지(POZZI) 등의 글을 인용한다(Journal of Endocrinal, Invest. 2004. vol 27, N°2, p 147-149))
실험 개시 24일 후 ( D24 )
실험 개시 후 24일째 되는 날(D24)에 위의 결과물을 가지고 지시되는 농도로 실험을 실시하면, 세포 생장이 일어난다.
C - 반응 개시로부터 3시간 ( T3 ), 6시간 ( T6 ), 9시간 ( T9 ), 15시간 ( T15 ), 18시간 (T18) 경과 후의 관찰
상기 제목에 서술된 처리의 각 단계에서 배지 (보완된 KSFM, 깁코(Gibco)사)를 제거한다.
본발명의 실시예 2 에 따른 조성물, 제3 추출물(I3), 또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히드로인 제품인 머크사의 로나케어로 세포를 반응시킨다.
먼저, 비멸균 조건(non-sterile condition)으로, 5% 디메틸 술폭사이드 표준 원액 (5% stock solution in DMSO)을 1/16 및 1/32 비율로 희석하여, 단일물의 경우 3.12mg/ml 의 농도로, 혼합물의 경우 각 물질에 1.56mg/ml 의 농도로 희석을 실시한다.
마지막으로 후드 내의 배지에서 1/1000 희석을 실시하여, 3.12㎍/㎖ 의 농도와 1.56㎍/㎖ 의 농도를 얻는다.
그리고, 시험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한다.
- 실시예 1 의 제3 추출물(I3)의 경우 3.12㎍/㎖
- 히드로인 제품인 머크사의 로나케어의 경우 3.12㎍/㎖
- 본발명의 실시예 2 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우: 실시예 1 의 제3 추출물(I3)의 경우 1.56㎍/㎖, 그리고 히드로인 제품인 머크사의 로나케어의 경우 1.56㎍/㎖.
D - 시험의 실시
시험을 실시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평판을 뒤집어 배지를 제거한다.
세포를 한 번 씻어낸다: 하나의 웰 당 200㎕의 양으로 37℃에서 인산완충식염수(PBS)로 세포를 세척한다.
0.2mg/ml 의 XTT 용액 (1mg/ml 표준 용액을 1/5 로 희석)을 보완된 KSFM 배지에 즉시 사용할 수 있도록 제조하여, 하나의 웰 당 100㎕ 씩 첨가한다.
세포가 없는 블랭크(blank)도 준비한다.
마이크로평판을 알루미늄지로 싸고, 오븐에서 3시간 동안 배양시킨다 (37℃, 5% CO2 ).
3시간의 배양 후, 시중에서 판매되는 테칸(Tecan) 분광 광도계로 450nm 에서의 광학 밀도(optical density, OD)를 측정한다.
본 실험의 결과는 이하에 기술하였다.
E - 결과 처리
6시간의 배양(T6) 후에 웰에 존재하는 세포의 수를 100% 로 가정한다.
아래와 같은 식을 통해 생존률을 계산할 수 있다.
생존률(%) = (광학밀도 × 100) / (대조구의 광학밀도 - 100)
결과
결과는 아래 표 1 과 같다.
표 1
실험개시 24일 (D24)에 실시한 배양 시간 미처리 대조구의 생존률 (%) 실시예 1의 제3 추출물(I3)일 때 생존률 (%) 로나케어 히드로인일 때의 생존률 (%) 본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물일 때 생존률(%)
6시간 100 100 100 100
9시간 106 108 108 113
15시간 110 112 111 127
18시간 126 130 133 142
이 결과는 도 1 에서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하였다.
본발명의 실시예 2의 조성물은 레스베라트롤 올리고머가 주성분인 본발명의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류 물질과의 회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위 표를 보면, 상기 조성물로 처리하여 배양한 세포들은 실시예 1의 제3추출물(I3)이나 히드로인류 제품인 머크사의 로나케어만으로 처리한 세포 또는 미처리된 세포에 비해 더욱 부단한 생장이 이루어졌음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 1의 제3추출물(I3)과 히드로인류 제품은 개별적으로는 낮은 활성을 보이고 있다.
또한, 본발명의 조성물은 세포 생장 활동이 최종 시험 결과 (18시간 후의 시험결과)에서도 가장 우수하다.
도 2는 처리 후 18시간 동안 배양한 결과를 비교한 것이다. 이를 보면 본발명에 따르는 회합물이 상승 작용을 분명히 일으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는 당업자도 전혀 예측할 수 없었던 것이다.
실시예 4
항- 자유라디칼 보호 시험 ( Anti - free radical protection test )
모형 : 3D 시험 (미국음향기술자협회 ( AES ) 시험소)
본 시험으로 히드록시 라디칼(과산화수소로 생성)에 대한 분자의 DNA-보호 효과를 알아볼 수 있다.
항산화제 또는 항-자유라디칼 성질을 가진 혼합물이나 분자의 특성을 알고, 활성산소(reactive oxygenated species(ROS))에 의한 산화 손상 (oxidative damage)으로부터 사람의 세포를 보호하기 위하여, 배리 할리웰(Barry Halliwell)이 정한 다음의 3 가지 기준을 고려해야 한다.
- 세포 내에서 그 분자가 효능이 있어야 한다; 순수 화학 시험을 통해 대체적으로 알 수는 있겠지만, 확실한 증명을 할 수는 없다;
- 그 분자는 생물학적 산화제(biological oxidant)(예: 세포 내의 산화제)에 효과가 있어야 한다; 일부 항산화제는 특정 산화제에 대한 특별한 보호 기능을 가지고 있다;
- 사용된 산화제의 농도는 생체 내(in vivo)에서 사용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이어야 한다.
산화제 전문가 배리 할리웰이 확립한 이 기준은, 의학 전문지 바이오케미칼 파마콜로지에 1995년에 실린 논문 "항산화제 특성화 - 방법 및 메커니즘" (Antioxidant characterization - Methodology and Mechanism) (Journal Biochemical Pharmacology, vol 49, 1341-1348) 에서 인용하였다.
3D 시험(3D TEST)으로 염화제일철(FeCl2) 존재하에서 과산화수소에 의해 발생된 히드록시 라디칼에 대한 분자의 DNA-보호 성능을 알아낼 수 있다.
세포에 대한 3D 시험은 배리 할리웰의 기준도 완벽하게 만족시킨다.
원리:
프랑스 툴루즈(Toulouse) 지방에 위치한 프랑스국립과학연구센터(CNRS) I.P.B.S 의 독성-저항(toxico-resistance)팀과 S.F.R.I.는 마이크로평판에 수집된 DNA 의 손상을 검출하는 방법 (3D 시험) 을 개발해 오고 있다. (분석 생화학 (Analytical Biochemistry), 1995, 232, 37-42)
DNA 를 민감화된 웰 (sensitized well)에 흡수시키고, 산화제(과산화수소+철)와 함께 배양시킨다. 발생한 손상을 확인하고, 사람에게서 채취한 정제된 세포 추출물에 존재하는 특효의 단백질 복합물(protein complex)로 회복시킨다. 손상의 회복은 손상 제거 및 그 후의 DNA 조각이나 손상된 염기의 재합성으로 이루어진다.
회복적 합성 단계 중에, 변형된 뉴클레오티드(비오틴-결합된 dUTP (biotin-coupled dUTP))를 DNA 에 첨가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비오틴-결합된 뉴클레오티드를 과산화효소-결합 아비딘 (peroxidase-coupled avidine) 분자로 확인한다. 그리고 화학발광화합물(chemoluminescent) 과산화효소 기질을 첨가하고, 루미노미터(luminometer)(스펙트라플루오플러스(spectrafluorplus), 테칸사)로 방출 세기를측정한다. 이후에 상대형광도(RLU)를 이용하여 계산된, 측정값(signal)의 세기는 DNA 의 손상 회복 수와 상관 관계에 있다. 선량 효과(dose effect)가 대다수의 손상에 6 킬로베이스(kilobase)마다 1 내지 15 손상 범위 내에서 관찰된다.
본 연구에 사용된 세포 추출물에 대해 다른 DNA 손상 회복 경로 (예: 뉴클레오티드 절제 회복 (NER) 과 염기 절제 회복 (BER))도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모든 종류의 손상에 효과가 있다.
물질과 방법
1. 물질
사용 시약은 분석 생화학 (Analytical Biochemistry, 1995, 232, 37-42)의 내용에 따른다.
화학발광화합물(chemoluminescent) 측정값은 스펙트라플루오플러스 루미노미터 (Spectrafluorplus luminometer, 테칸사)로 측정한다.
2. 실험실에서의 ( In vitro ) 3D 시험 방법
2.1 시험 시료의 희석
묘조의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 시료를 50mg/ml의 표준 농도 (stock concentration)로 메탄올에 희석시킨다.
필요한 농도는 표준 용액(stock solution)을 초순수(ultrapure water)에 희석시켜 만든다. 모든 희석은 필요 농도의 2 배로 하여, 과산화수소 + 염화제일철(FeCl2)의 산화 용액 (oxidizing solution)을 첨가한 뒤 원하는 농도로 맞춘다.
측정값(signal) 감소의 특이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과산화수소 + 염화제일철로 손상시킨 DNA 에 동일한 희석물 (1X) 을 동일한 조건에서 배양시켰다. 산화제 하에서 측정값의 감소가 관찰되고, 미리 손상된 DNA 에서 측정값의 특별한 변화가 관찰되지 않는다면 희석물은 보호 효과를 나타낼 것이다. 손상된 DNA 측정값의 저해는 예를 들어 DNA 를 가진 시료의 직접적 영향 (direct interaction)에 의해 설명 가능하다. 이는 단백질 회복 복합물에 의한 손상에의 접근 차단(blocking access)의 효과를 가질 것이다.
2.2 마이크로평판의 웰 에서 표적 DNA ( target DNA ) 의 흡수
매우 정제된 플라스미드 DNA (pBS) (주로 초코일(supercoil)의 형태)를 30℃에서 30분 동안 적당히 흔들면서 민감화된 웰(sensitized well)과 접촉시킨다. 이 상태에서, DNA 가 흡수된다.
과산화수소 + 염화제일철로 미리 손상시킨 플라스미드 DNA 로 이루어진, 대조구를 추가한다.
2.3 활성 산소( reactive oxygen species )에 대한 시료의 보호 효과 조사
히드록시 라디칼은 펜튼 반응 (Fenton's reaction - 과산화수소 + 염화제일철)으로 제조한다.
펜튼 반응 : 과산화수소와 염화제일철의 혼합물의 첨가로 반응이 일어남.
H2O2 + Fe2 + ──────→ Fe3 + + OH- + OH°
강력한 친전자체(electophile)인 이들 라디칼은 수명이 매우 짧다 (대략 10-9초). 따라서 DNA 염기와 매우 빠르게 반응하고, 염기의 변형이나 손실 같은 다른 종류의 손상을 일으킨다.
초순수(밀리포아(Millipore)사의 밀리큐(MilliQ) 등급)에서 과산화수소를 4 mM의 농도로 제조한다. 초순수에서 2μM 의 농도로 염화제일철 용액을 제조한다. 이들 두 용액은 사용 직전에 동일한 부피로 희석된다.
상기 용액을 시험 시료의 다른 희석물들과 동일 양으로 사용 직전에 혼합한다. 이 혼합물 50㎕ 를 플라스미드 DNA 가 흡수된 웰에 첨가한다. 이 모두를 30℃에서 30분 동안 적당히 흔들면서 배양시킨다.
다음으로 산화제에 의해 다소 손상된 DNA 만 남기기 위해서 세척 단계를 실시한다.
각각의 회복 복합물을 이용하여 손상 회복 단계를 실시한다. 절제된 DNA 가닥을 재합성하는 단계 중에, 비오틴으로 표식된(biotin-lebeled) 뉴클레오티드를 DNA 에 주입한다 (30℃에서 30분 동안 흔들지 않고 배양).
그리고 DNA 에 주입되지 않은 비오틴을 제거하기 위해서 세척 단계를 실시한 다.
그 다음으로 과산화효소-결합된 아비딘 분자에 의한 비오틴의 확인 단계를 실시한다 (30℃에서 15분 동안 적당히 흔들면서 실시).
그리고 비오틴에 고착되지 않은 과산화효소-결합된 아비딘을 제거하기 위해 세척 단계를 추가로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화학발광화합물 과산화효소 기질을 첨가(30℃에서 5분 동안 적당히 흔들면서 실시)하고 발광(luminescence)을 관찰하여 회복 반응 진행 단계를 수행한다.
결과의 해석
실험에서 얻은 결과는 보호율(% protection)이나 DNA 산화 손상의 형성 저해율(% inhibition)을 계산하여 가시화할 수 있다. 산화제만을 첨가시켜 손상시킨 DNA 의 측정값(signal)을 0% 으로 한다.
히드록시 라디칼(OH°)이나 1O2 라디칼로 인한 손상에 있어서 활성산소(ROS)의 존재하의 보호율은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상대차로 계산된다.
Figure 112007010287144-PAT00002
때때로 (활성산소 부재시) 측정값의 불특정 저해(non-specific inhibition)가 관찰될 수 있다. 이것은 DNA 를 함유한 화합물의 직접적 영향 (direct interaction)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웰에서 DNA 의 탈리, 회복 단백질 (repaire protein)에서 손상이 가리워지는 DNA 와의 불특정 회합, 기타 등등). 그래서 대조구(시험한 작용물질을 이미 손상된 DNA 로 배양)가 추가된다. 이 조건의 측정값 감소는 항-자유라디칼 성질과 관계없는 화합물의 불특정 저해를 나타낸다.
활성산소 하의 저해는 다음 원인의 결과일 수 있다.
- 순수한 보호 (genuine protection);
- 시험 분자가 DNA 나 마이크로평판에 직접적 영향 (direct interaction)을 주어서 손상된 DNA의 회복 능력을 감소시킴;
- 상기 두 현상의 복합 발생;
이에 따라 불특정 저해를 산출한다. 이는 미리 손상시킨 DNA 에서 배양된 시료를 통해 얻은 결과를 통해 계산한다.
특정 저해(specific inhibition)나 특정 보호(specific protection)는 활성산소 하의 저해와 불특정 저해 간의 차이와 같다. 이 차이가 분자 자체에 의한 항-자유라디칼 능력을 나타내는 것이다.
표 2
항- 자유라디칼 보호 시험
시료 보호율(%)
용매 대조구 -
제3 추출물(I3) 43
로나케어 히드로인 47
제3 추출물(I3) + 로나케어 히드로인 62
묘조의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 시료는 자유라디칼에 대한 보호 능력을 보여준다. 이 보호 능력은 본발명의 조성물의 조성물로 처리할 경우 약 40% 까지 증가한다.
그러므로 두 분자 간의 상승 효과는 실제하는 것이다.
적용량은 묘조 추출물/히드로인의 1/1 혼합물을 0.1% 내지 10%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 2 와 도 3 을 보면,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 제품의 각 시료는 자유라디칼에 대하여 보호 능력을 발휘함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제3 추출물(I3)과 히드로인 제품이 결합된 본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당업자로서 전혀 예상치 못하는 두 분자 간의 상승 효과를 보이면서, 보호 능력 면에서 대략 40% 정도 증가를 보인다.
실시예5
본발명에 따르는 회합물의 항- 자유라디칼 능력의 증명
산소 자유라디칼 종은 자외선, 스트레스, 염증 반응 같은 다른 공격 원인에 의해 피부에서 생성된다.
이들 산화성 분자는 피부 조직, 그 중에서도 지질, 단백질, 다당류, 세포 DNA 의 생물학적 기능을 혼란시키면서 공격한다.
본발명에 따르는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과 엑토인류 성분의 회합물의 보호 효과를 증명하기 위해, 본발명의 회합물을 피부에 도포한 후에, 하기의 간행물에서 설명된 것에 기초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간행물 제목 - "사람의 기저나 각질층의 자외선-유발 과산화(peroxydation)를 생체내에서 평가하는 새로운 방법. 자유라디칼-제거 제품의 효능 시험에의 응용", 저자 - P. Girard, L. Lempereur, P. Buche 및 L. Violin, 출처 평론지 - 피부과학의 현행 문제 (Curr. Proble. Dermatol.), 1998, 26, 99-107.)
이 시험의 원리는 형광 물질(디클로로플루오센(DCF*),형광이 형광계로 측정됨)을 생성시키는 2'7'-디클로로플루오로신 디아세테이트 (DCF(H)-DA) 로 구성된 표지(marker)를 이용한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산소 자유라디칼의 반응에 기초한다. 이 형광의 측정은 자유라디칼의 존재를 정량화할 수 있게 하고, 이에 따라 보호 기능의 물질의 성능을 정량화할 수 있게 한다.
30명의 건강한 백인 (Caucasian type) 여성 지원자를 선택한다.
2㎕/㎠ 의 양을 팔뚝에 시험할 생성물을 도포한다. 2시간 간격으로 4번의 도포를 실시한다.
그 이후부터 시험대상자에게 모든 피부 관리 제품을 제외한 일반적인 크리닝 제품만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시험할 생성물을 도포하고 24시간이 경과 후, 표준 투명 접착 디스크 (adhesive disk) (상표명 디-스퀘임스(D-Squames)로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음)를 이용하여 벗김을 실시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기구인 스퀘이미터(Squameter)를 이용하여 디-스퀘임스 (D-Squames)를 투과한 적외선을 측정하여 제거된 각질세포(corneocyte)의 양을 알아낸다. 이를 측정된 결과의 통계 분석에 이용한다.
그리고나서 다른 디스크 디-스퀘임스를 인산-완충용액 66mM 내에서 pH 7.4, 37℃의 조건으로 32시간 동안 디클로로플루오센(DCF*)를 포함하여 배양시킨다. 배 양 후에 상표명 플루로스칸 어센트 (Fluroskan Ascent, 랩시스템스(Labsystems)) 형광계를 이용하여 각 경우마다 용액의 형광을 정량 측정한다.
다음의 생성물에 대하여 시험을 실시한다:
- ( 본발명의 ) 생성물 1 : 제3 추출물(I3) 1 중량부와 머크사의 히드로인 로나케어 (이하 "히드로인"으로 약칭) 1 중량부를 함유한 에멀션(크림),
- ( 본발명의 ) 생성물 2 : 제3 추출물(I3) 1 중량부와 히드로인 1.5 중량부를 함유한 로션,
- 생성물 3 : 포도씨의 폴리페놀을 함유한 에멀션,
- 생성물 4 : 잘 알려진 항산화제인 아이디비논(idebenone) 0.5 중량부를 함유한 에멀션,
- 생성물 5 : 아이디비논 1 중량부를 함유한 에멀션.
형광 측정 결과는 아래의 표 3 에 정리하였다.
표 3
형광 대조구 와의 비교 (%)
(본발명의) 생성물 1 106.6 -19%
(본발명의) 생성물 2 101.0 -23%
생성물 3 121.1 불충분(NS)
생성물 4 126.5 불충분(NS)
생성물 5 114.7 -13%
대조구(미처리) 131.7
S (< 0.01)
형광은 자유라디칼의 양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므로, 자유라디칼의 양이 본발명의 생성물의 존재하에 확연히 감소함이 상기 결과에서 명확히 나타나다. 그러므로, 본발명의 생성물은 생체내에서의 우수한 항라디칼 능력을 발휘하는 것이 다.
본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화장용 합성의 다양한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제시될 수 있다. 다른 성분은 당업자에게 통상적인 방식으로 합성할 수 있다.
실시예 6
본발명에 따르는 크림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
스트레아레스(Streareth)-21 (브리즈(Brij) 721) 2.5 %
글리세릴 스트레아레스 (Glyceryl streareth) (테긴(Tegin)) 1.1
스테아릴 알코올 (Stearyl alcohol) 5
글리세롤 트리카프레이트/카프릴레이트 11.5
부틸렌 글리콜 3
글리세롤 2
보존제 (Preservative) 0.5
향수 에센스 (Perfume concentrate) 0.5
물 62.4
실시예 2 의 조성물 5
옥틸 메톡시시나메이트 7.5
실시예 7
젤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
글리세롤 3 %
아크릴아미도메틸프로판술폰(AMPS) 중합체 (세피겔(Sepigel) 305) 3
수소화 캐스터 오일(caster oil) (크레모포(Cremophor) CO-60) 2
폴리에틸렌 글리콜 1.5
보존제 0.5
향수 에센스 0.3
물 85.7
실시예 2 의 조성물 3
벤조페논 4 1
실시예 8
로션 형태의 화장용 조성물
부틸렌 글리콜 3 %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 (EDTA) 0.1
가용화제 (Solubilizer) 1
향수 에센스 0.3
알코올 5
물 80.47
실시예 2 의 조성물 10
벤조페논 4 0.13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 및 엑토인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물을 포함하는 본원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은, 두 유효 성분의 상승 작용으로, 세포 재생을 돕고, 항-자유라디칼 보호 능력을 발휘하여, 항노화 효과와 피부 재활성 효과를 발휘한다.

Claims (22)

  1.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vine shoot)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 및 엑토인(ectoine)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 의 회합물(association)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엑토인 성분은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저 알킬 라디칼(lower alkyl radical)로, 히드록시기, 및 메톡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S)-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4-카복실산 및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의 염제 (salt)와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은 엑토인, 히드록시엑토인 (hydroxyectoine),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들의 염제 및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은 엑토인과 히드록시엑토인을 동일한 중량비로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제1 성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제2 성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제1 성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및
    상기 제2 성분 0.1 중량부 내지 10 중량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과 상기 제2 성분의 중량부의 합이 20 중량부 이하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과 상기 제2 성분의 중량비가 1/10 과 10/1 사이가 되도록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과 엑토인 성분을 함유하고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물을 포함하고,
    화장용으로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한,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0.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엑토인 성분은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저 알킬 라디칼(lower alkyl radical), 히드록시기, 및 메톡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S)-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4-카복실산 및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의 염제 (salt)와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1.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은 엑토인, 히드록시엑토인 (hydroxyectoine),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들의 염제 및 에스테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2.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성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제2 성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3. 청구항 9 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항노화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피부 재활성 (revitalization)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보습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및 화학 광선 (actinic radiation) 보호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으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용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4. 청구항 13 에 있어서,
    상기 항노화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비타민 A, 비타민 E, 및 비타민 C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피부 재활성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마데카소시드(madecassoside)이며;
    상기 보습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엑디스테로이드(ecdysteroid), 엑디스테로이드를 함유한 식물 추출물, 및 아주가 투르케스타니카(Ajuga turkestanica)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 방사선(actinic radiation) 보호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화장용으로 가능한 물리적 자외선차단제 (physical sunscreen)이거나 화장용으로 가능한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5. 청구항 14 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으로 가능한 화학적 자외선차단제는 메톡시시나메이트(methoxycinnam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용 조성물.
  16. 건조한 포도나무 묘조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1 성분과,
    엑토인 성분을 함유한 화장용으로 유효한 제2 성분의 회합을 포함하고,
    화장용으로 가능한 첨가제를 첨가한,
    피부에 국소 도포하기 위한 화장용 조성물을
    화장 관리 효과를 원하는 사람의 피부에 국소 도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17.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엑토인 성분은
    치환되지 않거나,
    C1-C6 저 알킬 라디칼(lower alkyl radical), 히드록시기, 및 메톡시기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치환기로 치환된,
    (S)-1,4,5,6-테트라히드로피리미딘-4-카복실산 및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의 염제 (salt)와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18.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은 엑토인, 히드록시엑토인, 화장용으로 가능한 이들의 염제 및 에스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19.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상기 제1 성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제2 성분 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20.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화장용 조성물은,
    항노화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피부 재활성 (revitalization)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보습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및 화학 광선 (actinic radiation) 보호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
    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장용 유효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21. 청구항 20 에 있어서,
    상기 항노화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비타민 A, 비타민 E, 및 비타민 C 중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피부 재활성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마데카소시드(madecassoside)이며;
    상기 보습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엑디스테로이드(ecdysteroid), 엑디스테로이드를 함유한 식물 추출물, 및 아주가 투르케스타니카(Ajuga turkestanica)의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이고;
    상기 화학 광선 보호 기능의 화장용 유효 성분은 화장용으로 가능한 물리적 자외선차단제 (physical sunscreen)이거나 화장용으로 가능한 화학적 자외선차단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22. 청구항 16 에 있어서, 상기 화장 관리 방법은 항노화 관리를 하거나 피부 재활성 관리를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 관리 방법.
KR1020070011065A 2006-02-03 2007-02-02 보호 및 재생기능의 조성물 KR1015066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0650400 2006-02-03
FR0650400A FR2896990B1 (fr) 2006-02-03 2006-02-03 Composition protectrice et regeneran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9933A true KR20070079933A (ko) 2007-08-08
KR101506647B1 KR101506647B1 (ko) 2015-03-30

Family

ID=3700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11065A KR101506647B1 (ko) 2006-02-03 2007-02-02 보호 및 재생기능의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18203B2 (ko)
EP (1) EP1820492B1 (ko)
JP (1) JP5225590B2 (ko)
KR (1) KR101506647B1 (ko)
CN (2) CN101011335A (ko)
DE (1) DE602007000304D1 (ko)
FR (1) FR2896990B1 (ko)
RU (1) RU2420265C2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3416A3 (en) * 2007-08-13 2009-04-09 Elc Man Llc Cosmeti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pairing human skin
WO2009107984A2 (ko) * 2008-02-26 2009-09-03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00011937A (ko) * 2008-07-25 2010-02-03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친지성 포도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US8703161B2 (en) 2007-08-13 2014-04-22 Elc Management, Llc Skin repair compositions comprising circadian gene activators and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Sirt1 gene activators
US8962571B2 (en) 2009-02-09 2015-02-24 Elc Management Method for repairing DNA damage in keratinocytes
US10383815B2 (en) 2012-09-14 2019-08-20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elective catabolysis in cells of keratin surfa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005941A3 (de) * 2007-06-01 2009-04-01 Henkel AG & Co. KGaA Zellverjüngende Zusammensetzungen
KR101082272B1 (ko) * 2008-02-26 2011-11-0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WO2010006792A1 (de) * 2008-07-16 2010-01-21 Bitop Ag Synthese von zyklischen amidinen
CN102247374B (zh) * 2011-04-22 2013-05-22 山东弘立医学动物实验研究有限公司 含有四氢嘧啶及其衍生物的治疗皮肤创伤的药物
CN102210868A (zh) * 2011-04-29 2011-10-12 济南环肽医药科技有限公司 四氢嘧啶及其衍生物在制备口服吸收促进剂中的应用
CN102357097A (zh) * 2011-09-01 2012-02-22 朱道辰 一种预防和治疗皮肤冻伤的药物
CN102349912A (zh) * 2011-09-01 2012-02-15 朱道辰 一种预防和治疗放射性皮肤损伤的药物
FR2998296B1 (fr) 2012-11-16 2015-03-06 Valagro Carbone Renouvelable Poitou Charentes Procede d'obtention de polyphenols a partir d'une matiere premiere vegetale en contenant
TWI726730B (zh) * 2019-05-23 2021-05-01 國立陽明大學 一種處理細胞老化的方法
KR102548087B1 (ko) 2022-10-26 2023-06-28 주식회사 비아르랩 엑토인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 진정 및 장벽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00810A (en) * 1992-01-30 1996-12-05 Yeda Res & Dev Pharmaceutical preparations including 2 - methyl - carboxy - 5 - hydroxy - tetrahydropyrimidine and / or 2 - methyl - 4 - carboxy - tetrahydropyrimidine, plywood methods
DE19933461A1 (de) * 1998-07-10 2000-01-13 Beiersdorf Ag Verwendung von Ectoinen und UV-Filtern
ES2228089T3 (es) * 1998-08-01 2005-04-01 Merck Patent Gmbh Empleo de ectoina o derivados de ectoina en formulaciones cosmeticas.
FR2795965B1 (fr) 1999-07-08 2002-12-27 Actichem Procede de fabrication d'un extrait naturel de la vigne concentre en reseratrol et produits
WO2001055128A1 (de) * 2000-01-28 2001-08-02 Merck Patent Gmbh Benzofuranonderivate enthaltende formulierung zum schutz vor oxidativem stress
IT1317033B1 (it) * 2000-05-30 2003-05-26 Istituto Di Medicina Speriment Metodo di estrazione di prodotti ad attivita' farmaceutica da piantespermatofite, prodotti cosi' ottenuti e loro impiego in medicina, in
DE10214257A1 (de) * 2002-03-28 2003-10-16 Merck Patent Gmbh Verwendung von kompatiblen Soluten zur Inhibierung der Freisetzung von Ceramiden
FR2844715B1 (fr) * 2002-09-20 2007-04-27 Af Consulting Composition pour des soins de la peau, et contenant un ou des oligomeres de resveratrol, en particulier de l'epsilone-viniferine, et ou certains de leurs derives
EP1575544A1 (en) * 2002-12-18 2005-09-21 L'oreal Use of an alkyl ether of hydroxystilbene for the treatment of dry skin
US20040197299A1 (en) * 2003-01-16 2004-10-07 Societe L'oreal, S.A. Topically applicable cosmetic/dermatological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lase polypeptides having amidase activity and/or products modulating the activity thereof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3416A3 (en) * 2007-08-13 2009-04-09 Elc Man Llc Cosmetic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repairing human skin
US8703161B2 (en) 2007-08-13 2014-04-22 Elc Management, Llc Skin repair compositions comprising circadian gene activators and a synergistic combination of Sirt1 gene activators
WO2009107984A2 (ko) * 2008-02-26 2009-09-03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WO2009107984A3 (ko) * 2008-02-26 2009-11-12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의 새싹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 노화 억제용 조성물
KR20100011937A (ko) * 2008-07-25 2010-02-03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친지성 포도나무 추출물의 제조 방법
US8962571B2 (en) 2009-02-09 2015-02-24 Elc Management Method for repairing DNA damage in keratinocytes
US10383815B2 (en) 2012-09-14 2019-08-20 Elc Management Llc Method and compositions for improving selective catabolysis in cells of keratin su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420265C2 (ru) 2011-06-10
EP1820492A1 (fr) 2007-08-22
CN103622877B (zh) 2016-05-25
CN101011335A (zh) 2007-08-08
JP2007224023A (ja) 2007-09-06
US20070243148A1 (en) 2007-10-18
JP5225590B2 (ja) 2013-07-03
EP1820492B1 (fr) 2008-12-03
KR101506647B1 (ko) 2015-03-30
CN103622877A (zh) 2014-03-12
FR2896990A1 (fr) 2007-08-10
US7718203B2 (en) 2010-05-18
DE602007000304D1 (de) 2009-01-15
FR2896990B1 (fr) 2008-05-02
RU2007103235A (ru) 2008-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6647B1 (ko) 보호 및 재생기능의 조성물
FR2924334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l&#39;acide 2-glucoside ascorbique et l&#39;ergothioneine.
EP3645127B1 (fr) Composition cosmétique comprenant une huile essentielle d&#39;immortelle et un extrait d&#39;origanum
WO1996016632A1 (fr) Compositions cosmetiques ou pharmaceutiques contenant de la mangiferine ou ses derives
EP4299077A2 (en) Skin enhancing compositions and methods
EP3741379A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zadirachta indica leaf extract
EP1282395A1 (fr) Utilisation de l&#39;acide ellagique comme agent cosmetique anti-pollution
JPH1143444A (ja) オレンジ抽出物を用いたフリーラジカルを捕捉する方法及びその組成物
IE20050411A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lingonberry (vaccinium vitis idea) extracts
US10695283B2 (en) Extract of Greyia radlkoferi and use thereof
KR101398392B1 (ko) 가막살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FR3067249A1 (fr) Compositions cosmetiques comprenant des extraits naturels et leurs utilisations
FR2924335A1 (fr) Utilisation de l&#39;acide 2-glucoside ascorbique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contre le vieillissement.
JP2774882B2 (ja) 美白及び老化防止化粧料
JP5566597B2 (ja) I型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アデノシン三リン酸産生促進剤、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メラニン産生抑制剤、塩基性線維芽細胞増殖因子(bFGF)mRNA発現抑制剤、及び肌の透明感向上剤
EP2437721A2 (fr) Composition cosmétique à base d&#39;ester d&#39;opc de pin
KR100967805B1 (ko) 새우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 개선용 화장료조성물
JPH04282320A (ja) 化粧料
KR101872010B1 (ko) 하라케케에서 추출된 신규한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amalingam et al. In vitro antioxidant potential of acyclic isoprenoid isolated from Semecarpus anacardium
JP2020026408A (ja) 皮膚老化防止剤及びエラスターゼ阻害活性剤
JP2000198725A (ja) 抗酸化剤及びこれを含有する組成物
IES84572Y1 (en)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lingonberry (vaccinium vitis idea) extracts
FR2943534A1 (fr) Utilisation cosmetique anti-radicalaire d&#39;un principe actif issu de myrtus communis, notamment de tanins hydrolysables d&#39;un principe actif issu de myrtus communis.
JPH11228376A (ja) 皮膚外用剤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