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5318A -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 Google Patents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5318A
KR20070075318A KR1020070002830A KR20070002830A KR20070075318A KR 20070075318 A KR20070075318 A KR 20070075318A KR 1020070002830 A KR1020070002830 A KR 1020070002830A KR 20070002830 A KR20070002830 A KR 20070002830A KR 20070075318 A KR20070075318 A KR 200700753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ut
clip
opposing
piece
connect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2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30413B1 (ko
Inventor
타카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닛신보세키 가부시키 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75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5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0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04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14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 F16D65/16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 F16D65/22Actuating mechanisms for brakes; Means for initiating operation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ranged in or on the brake adapted for pressing members apart, e.g. for drum brak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63F9/083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vacant positions or gap mig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03Two-dimensional puzzles with slide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 A63F9/0811Two-dimensional puzzles with slide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with rotatable concentric rings or discs
    • A63F2009/0815Two-dimensional puzzles with slide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with rotatable concentric rings or discs with rotary, stacked elements, e.g. elements with a puzzle image on a curved or cylindrical outer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1/00Type of actuator operation force
    • F16D2121/14Mechanic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0Cables or chains, e.g. Bowden cables
    • F16D2125/62Fixing arrangements therefor, e.g. cable end attach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125/00Components of actuators
    • F16D2125/18Mechanical mechanisms
    • F16D2125/58Mechanical mechanisms transmitting linear movement
    • F16D2125/68Lever-link mechanisms, e.g. toggles with change of force rati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396Hand operated
    • Y10T74/20402Flexible transmitter [e.g., Bowden cable]
    • Y10T74/20462Specific cable connector or gu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장치와 소형화와 부품비의 저렴화를 도모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조작 레버가 반 케이블 견인방향으로 회동한 때에는, 일방의 대향편 측으로부터 연결핀을 상기 조작레버의 자유단부에 연결가능하고, 나아가, 타방의 대향편이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조작레버를 연결핀으로 연결한 후에,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일방의 대향편(23b)에 클립(30)을 장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브레이크

Description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Mechanical brake actuator}
도 1은 실시예 1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를 장착한 드럼 브레이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의 단면도.
도 4는 실시예 1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실시예 1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의 구성 설명도와 작용 설명도를 겸한 도면으로서, 조작 레버의 자유단부가 스트럿(strut)의 공간(간극)의 개구부로부터 반 케이블 견인 방향 측으로 노출하고 있는 상태를 보이는 확대도.
도 6은 일부를 생략한 실시예 1에 관한 클립의 사시도.
도 7은 연결핀의 삽입 전에 놓인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의 단면도.
도 8은 연결핀이 삽입 전에 놓인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의 구성 설명도와 작용 설명도를 겸한 도면으로서, 조작 레버의 자유단이 스트럿의 공간의 개구부에서 반 케이블 견인 방향으로 노출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확대도.
도 9는 실시예 2에 관한 기계적 작동 기구부의 작용 설명도로서, 종 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클립에 의해서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실시예 3에 관한 기계적 작동 기구부의 작용 설명도로서, 횡 방향으 로 슬라이드하는 클립에 의해서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11은 실시예 4에 관한 기계적 작동 기구부의 작용 설명도로서, 회동하는 클립에 의해서 조작 레버의 반 케이블 견인 방향으로의 회동을 불가능하게 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차체의 부동부(不動部) 11 : 백 플레이트 12, 13 : 브레이크 슈
16 : 앵커 16a : 입설부(立設部) 19 : 슈 리턴 스프링
20, 21 : 설치 볼트 22 : 기계적 작동 기구
23, 123, 223, 323 : 스트럿(strut)
23a, 123a, 223a, 323a : 교락부
23b, 123b, 223b, 323b : 일방의 대향편
23c, 123c, 223c, 323c : 타방의 대향편
23d : 광폭 공간(간극) 23e : 협폭 공간(간극) 23f : 슈 연결홈(溝)
23g : 피봇지지공 23h : 돌기부
23i, 123i, 223i, 323i : 절흠부(切欠部)
23k, 123k : 위치결정요부(位置決定凹部)
23m : 어긋남 멈춤홈(溝)
24 : 조작 레버 24a : 기부(基部) 24b : 슈 연결홈(溝)
24c : (일방의) 돌기부 24d : 피봇지지 공
24e : 자유단부 24f : 연결공
24h : 돌기부 25 : 피봇지지핀 26 : 정지와셔
30, 130, 230, 330 : 클립
31, 131, 231, 331 : 일방의 협착편(挾着片)
31a : 도피공 31b : 계지부(係止部)
32, 132, 232, 332 : 타방의 협착편 32a : 도피공
40 : 브레이크 케이블 41 : 이너 케이블 42 : 케이블 단부
42a : 기부(基部) 42b : 귀편 42c : 연결공
43 : 연결핀 44 : 아우터 케이싱 44a : 케이싱 캡
45 : 가이드 파이프 46 : 고정링
특개 2001-349360호 공보(제 4, 5 페이지 도 2-8)
특개 2004-108458호 공보(제 5-9 페이지 도 2-12)
본 발명은 브레이크 케이블이 조작레버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종류의 브레이크 작동 장치는, 판상의 조작 레버와, 조작 레버를 내부에 수용하고 회동이 자유롭게 피봇지지 한 스트럿(strut)과, 피봇지지 핀으로 이루어진 기계적 작동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기계적 작동 기구가 한 쌍의 브레이크 슈 사이에 배치되어, 조작 레버에 접속한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 조작하는 것으로서 조작 레버와 스트럿이 상대 회전함과 동시에, 쌍방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하는 기구로 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 케이블의 연결공과 스트럿의 개구부로부터 돌출하여 노출하는 조작레버의 연결공을 직렬로 배열하여 연결핀을 삽입하여 통과시켜서, 브레이크 케이블과 조작레버를 접속한 후, 대략 '
Figure 112007002474301-PAT00001
' 형으로 굴곡하여 형성한 클립을 스트럿에 외장하여 장착하고, 클립의 양측 내면에 형성한 움푹한 부분을 스트럿의 양측 외면에 형성한 돌기에 결합시켜서, 이 클립에 의하여 조작 레버를 스트럿의 공간(간극) 내에 위치 결정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단락 0015, 0016, 도 2-4참조)
나아가서, 상술한 구조를 대신하여, 클립을 스트럿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하여 일체화한 것도 있다.(특허문헌 1의 단락 0020 - 0023, 도 5-8참조)
또한, 조작레버를 스트럿의 공간 내에 위치결정하는 다른 수단으로서, 판상의 용수철 강을 절곡가공하여 형성한 탄성부재를 스트럿 또는 조작 레버에 설치하고, 탄성부재의 일부에 형성한 탄성편을 조작레버의 회동궤적상에 위치시켜서 조작레버의 회동을 제한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2의 단락 0018-0039, 도 2-12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클립은 스트럿(strut)에 외장할 수 있도록 광폭으로 형성할 필요가 있 다.
그 때문에, 클립의 재료비가 늘어나는데다가, 클립이 스트럿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립과 스트럿의 양 부품에 벗어남 방지용의 끼움결합가공을 시행해야 하는 필요가 있기 때문에 가공비가 늘어나는 문제도 있다.
(2) 클립을 스트럿에 일체화한 경우는, 한 쌍의 대향편의 양쪽 외측면에 회동축을 마련할 필요가 있어서, 더욱 비용이 늘어난다.
(3) 스트럿을 구성하는 한 쌍의 대향편의 양측에 절흠부(切欠部)를 형성하기 때문에, 스트럿의 강성이 낮아지게 된다.
또한, 전체의 높이를 낮추는 요구가 있는 브레이크 장치에는, 스트럿의 교락부를 내려가면 절흠부도 깊게 되어 스트럿의 강성이 더욱 낮아진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발명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탄성부재를 스트럿의 광폭공간의 안에 삽입하여 설치한 형태에 있어서는, 스트럿을 구성하는 한 쌍의 대향편으로 형성된 공간이 크게 된다.
그 때문에, 레이아웃 성이 나쁘게 되어, 작은 사이즈의 브레이크 장치에 적용하기 어렵다.
레이아웃이 가능한 브레이크에 있어서는, 스트럿의 강성이 저하되고, 변형하기 쉬워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2) 탄성부재를 스트럿의 교락부에 장착하여 설치한 형태는, 교락부가 작아지게 된다.
그 때문에, 교락부에 의하여 눌려지게 된, 한 쌍의 대향편의 열림 변형이 발 생하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3) 탄성부재를 조작레버에 장착한 형태는, 더욱이 교락부의 강성이 저하한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장치 전체의 소형화와 부품비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 있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클립의 장착 작업성을 현저하게 개선할 수 있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는, 교락부로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편을 가지고, 일방의 브레이크 슈에 계합(係合)하는 스트럿(strut)과, 이 스트럿의 대향편 간의 공간(간극) 내에 수용되어, 그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피봇지지되고, 타방의 브레이크 슈에 계합(係合)하는 판상의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조작레버의 자유단부에 연결핀으로 접속하는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하면, 조작레버와 스트럿이 상대회전하는 것과 함께, 쌍방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편은, 상기 조작레버가 반 케이블 견인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일방의 대향편측으로부터 상기 연결핀을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조작레버의 자유단부에 연결가능하고, 나아가, 타방의 대향편은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로 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조작레버를 연결핀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제 한하도록,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클립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작은 사이즈의 클립을 스트럿의 일방의 대향편에 장착하는 것 만의 간단한 장착작업으로 브레이크 케이블의 벗어남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연결핀의 통과가 가능한 절흠부(切欠部)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의 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를 가(假) 부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을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술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을 회동가능하게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클립을 스트럿의 일방의 대향편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클립의 장착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2) 스트럿의 대향편의 양방에 절흠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트럿 전체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클립을 스트럿의 교락부에 장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교락부의 강성저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클립은 스트럿의 일 방의 대향편에 장착시키기 때문에 클립을 소형화할 수 있고, 게다가 간단한 절곡가공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의 재료비와 가공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4) 스트럿과 그 스트럿의 일방의 대향편에 장착하는 클립의 조합만으로 연결핀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안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럿에 형성하는 교락부의 높이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교락부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 높이가 낮게 한다고 하는 강한 요구를 만족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 장치를 장착한 드럼 브레이크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2, 3은 그 요부단면도. 도 4는 기계적 작동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대하여 설명한다.
차체의 부동부(不動部)(10)에 고정된 백 플레이트(11) 상에, 한 쌍의 브레이크 슈(12)(13)가 슈 홀드 기구(미도시)로 하여금 가동적으로 걸려 있고, 그 일방의 인접단은 후술하는 앵커(16)의 입설부(立設部)(16a)에 지지되고, 도시하지 않은 타방의 인접단이 연결부재로 결합되어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 슈(12)(13) 사이에 장착한 한 쌍의 슈 리턴 스프링(한 쪽 의 슈 리턴 스프링(19)만을 도시한다)에 의하여, 한 쌍의 브레이크 슈(12)(13)의 양단부와 연결부재 및 앵커(16)와의 접촉 상태가 유지되고 있다.
한 쌍의 브레이크 슈(12)(13)의 일방 인접단을 확장하여 작동시키는 기계적 작동기구(22)는, 스트럿(strut)(23)과, 조작레버(24)와, 피봇지지핀(25) 및 정지와셔(26)로 구성되고, 앵커(16)의 입설부(16a)에 인접하여 한 쌍의 브레이크 슈(12)(13)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기계적 작동기구(22)의 구성부재인 스트럿(23)은 한 장의 판체로 이루어져, 길이방향의 양단 간에 교락부(23a)를 설치함과 동시에, '
Figure 112007002474301-PAT00002
' 형으로 절곡하여 한 쌍의 대향편(23b)(23c)을 형성하고 있다.
더욱이,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대향편(23b)(23c)의 일방 측을 중첩하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밀착 접합하여, 길이방향의 양단 간에 광폭의 공간(간극)(23d)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공간(23d)보다 협폭의 공간(간극)(23e)이 다른 쪽에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대향편(23b)(23c)의 일방의 중첩부에는 슈 연결홈(溝)(23f)이 형성되고, 타방에는 피봇 지지공(23g)(23g)이 천공 설치되어 있다.
한 쌍의 대향편(23b)(23c)의 상방을 걸쳐서 연결하는 교락부(23a)는, 광폭 공간(23d)의 일부를 봉쇄하고 있는 것과 함께, 조작레버(24)의 도 2를 기준으로 하는 시계방향의 회전을 제한한다.
또한, 일방의 대향편(23b)에는, 연결핀(43)의 이동을 제한하는 클립(30)이 설치되어 있다.
클립(30)을 설치하는 일방의 대향편(23b)의, 상측 가장자리부에는 연결핀(43)의 통과를 허용하는 절흠부(切欠部)(23i)가, 외측면의 중간부에는 클립(30)을 가(假) 부착하는 위치결정요부(位置決定凹部)(23k)가, 더욱이 외측면의 하부에는 클립(30)의 횡 방향 어긋남을 방지하는 어긋남 멈춤홈(溝)(23m)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위치결정요부(23k)와 어긋남 멈춤홈(23m)은, 클립(30)을 위치결정하여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타방의 대향편(23c)에는, 조작레버(24)의 상단면이 스트럿(23)의 교락부(23a)에 접한 상태하에서, 연결핀(43)이 후술하는 브레이크 케이블(40) 및 조작레버(24)의 연결공(42c)(24f)으로 삽입하여 통과할 때, 연결핀(43)의 선단이 접한다.
교락부(23a)와 조작레버(24)와 양 대향편(23b)(23c)은, 조작레버(24)가 교락부(23a)에 접한 상태하에서, 일방의 대향편(23b)은 연결핀(43)의 통과를 허용하지만, 타방의 대향편(23c)은 연결핀(43)의 통과를 저지하도록 관계가 지어져 있다.
기계적 작동 기구(22)의 구성부품의 하나인 조작레버(24)는 한 장의 판상체로 이루어져, 스트럿(23)의 공간(23d)(23e) 안에 협지(挾持)(끼워져 지지)되도록 수용된다.
조작레버(24)의 기부(基部)(24a)에 슈 연결홈(溝)(24b)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 슈 연결홈(24b)을 구획하는 일방의 돌기부(24c)에는, 피봇지지 핀(25)을 삽입 관통시키는 피봇지지 공(24d)이 천공되고, 스트럿(23) 및 조작레버(24)의 피봇지지 공(23g)(24d)(23g)에 삽입하여 관통시킨 피봇지지 핀(25)의 선단에 정지와셔(26)를 설치하여, 스트럿(23)에 대하여 조작레버(24)가 회동 가능하게 피봇지지되고 있다.
조작레버(24)는 그 단부면이 스트럿(23)의 교락부(23a)에 접하는 것으로서 도 2에 있어서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이 제한된다.
조작레버(24)의 자유단부(24e)에는, 후술하는 브레이크 케이블(40)을 구성하는 이너 케이블(41)의 단부에 고정 장착된 케이블 단부(42)를, 연결핀(43)을 이용하여 접속할 수 있는 연결공(24f)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계적 작동 기구(22)를 구성하는 스트럿(23)과 조작 레버(24)는, 그 케이블 견인 방향 측의 각각의 돌기부(23h)(24h)가, 도 2에 보이는 설치 볼트(20)(21)의 머리부에 미끄러 질 수 있게 접하고 있다.
브레이크 케이블(40)은 이너 케이블(41)과 아우터 케이싱(44)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너 케이블(41)의 선단에는 크레비스 형의 케이블 단부(42)가 고정 장착되어 있고, 그 기부(基部)(42a)로부터 한 쌍의 귀편(42b)(42b)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귀편(42b)(42b)에는 연결핀(43)이 삽입 관통하는 연결공(42c)(42c)이 서로 대향하여 천공되어 있다.
클립(30)은 연결핀(43)의 발출(拔出)을 방지하는 것으로서,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협착된다.
도 6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예의 클립(30)은 한 장의 얇은 판상의 용수철 강을 'U' 형 또는 '
Figure 112007002474301-PAT00003
' 형으로 절곡가공하여,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을 탄성적으로 협지(挾持)가능하도록 한 쌍의 협착편(挾着片)(31)(32)을 서로 대향하여 형성된다.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협착편(31)(32) 중에서, 일방의 대향편(23b)의 외측면에 접하는 일방의 협착편(31)은 그 중간부에 연결핀(43)이 통과가능한 크기의 도피공(31a)이 천공되고, 그 선단부는 타방의 대향편(23c)을 향하여 굴곡하여, 위치 결정요부(23k)와 어긋남 멈춤홈(23m)에 각각 계지(係止)(관계지어져 정지) 가능한 계지부(係止部)(31b)가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31b)의 형성 폭은 어긋남 멈춤홈(23m)내에 횡 방향으로 어긋나지 않도록, 어긋남 멈춤홈(23m)의 횡 방향 폭보다 약간 작은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일방의 대향편(23b)의 내측면에 접하는 타방의 협착편(32)에도, 그 중간부에 연결핀(43)이 통과가능한 크기로 도피공(32a)이 천공되어 있다.
이들 양 도피공(31a)(32a)은 서로 대향하는 위치에 가지런히 놓여서, 일방의 협착편(31)의 계지부(31b)를 스트럿(23)의 위치결정요부(23k)에 계지(係止)하여 가(假) 장착 상태인 때에, 연결핀(43)이 통과가능하고, 또한, 클립(30)을 눌러 넣어 슬라이드시켜서 계지부(31b)를 스트럿(23)의 어긋남 멈춤홈(23m)에 계지(係止)시키는 상태인 때에, 연결핀(43)이 클립(30)에 접하여 연결핀(43)의 발출(拔出)을 제한할 수 있다.
본 예는 양 도피공(31a)(32a)의 형상을 사각형 구멍으로 한 경우를 예시하지만, 그 형상을 환형 구멍이나 그 외의 형상으로 해도 좋다.
이 구조에 따르면, 드럼 브레이크의 운반중에 있어서, 케이블 단부(42)가 조작레버(24)로부터 물리적으로 벗어나는 것이 없다.
클립(30)은 그 계지부(31b)를 스트럿(23)의 위치결정요부(23k)와 어긋남 멈춤홈(23m)에 각각 개별적으로 계합(係合)(관계지어져 합하여지는 것)하는 것으로서, 일방의 대향편(23b)에 대하여 다른 위치에서 클립(30)을 위치결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조작레버(24)의 단부면이 스트럿(23)의 교락부(23a)에 접하는 것으로서 조작레버(24)가 반 케이블 견인방향을 향한 회전을 제한하면서,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협착시킨 클립(30)을 상하로 슬라이드 시켜서, 양 도피공(31a)(32a)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대한 위치를 변경하는 것으로서, 연결핀(43)을 통과시키거나, 통과 후에 연결핀(43)의 이동을 제한하거나 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말을 바꾸면, 조작레버(24)가 스트럿(23)의 교락부(23a)에 접할 때에, 스트럿(23)에 가(假) 장착된 클립(30)의 양 도피공(31a)(32a)이,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형성한 절흠부(23i), 브레이크 케이블(40) 및 조작레버(24)의 자유단부(24e)에 형성한 연결공(42c)(24f)과 동일 중심선 상에 가지런히 놓여서, 연결핀(43)을 삽입 통과하여 세트 가능하도록 관계가 지어져 있다.
다음으로, 브레이크 케이블의 접속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 8은 브레이크 케이블(40)을 조작레버(24)에 접속하기 전의 기계적 작동 기구(22)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클립(30)을 스트럿(23)에 가(假) 장착하는 것에는, 클립(30)의 개구부가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형성한 절흠부(23i)의 장소로 눌러 맞도록,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협착편(31)(32)을 열면서, 일방의 협착편(31)의 선단의 계지부(31b)가 스트럿(23)의 위치결정요부(23k)에 다다를 때까지 삽입한다. 이것 만의 단순한 조작으로, 일방의 협착편(31)의 탄성력에 의해서 계지부(31b)가 위치결정요부(23k)에 끼움결합되어 위치결정된다.
클립(30)의 계지부(31b)를 스트럿(23)에 가(假) 장착하였을 때, 연결핀(43)의 통과가 가능하도록 클립(30)의 양 도피공(31a)(32a)은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형성한 절흠부(23i)와 대략 중첩(정렬)한다.
클립(30)의 위치결정은 계지부(31b)와 위치결정요부(23k)가 계합(係合)하는 그 장소만이 아니라, 한 쌍의 협착편(31)(32)이 일방의 대향편(23b)을 탄성적으로 협지(挾持)하기 때문에, 안정된 위치결정이 달성되고, 가(假) 장착한 클립(30)은, 드럼 브레이크의 운반 중에 발출(拔出)하여 떨어지는 일이 없다.
이너 케이블(41)을 손가락으로 집어서 가이드 파이프(45)안으로 삽입하면, 이너 케이블(41)의 단부에 고정한 케이블 단부(42)가 스트럿(23)의 광폭의 공간(23d)을 통하여 조작레버(24)의 자유단부(24e)에 도달하고, 케이블 단부(42)에 형성한 한 쌍의 귀편(42b)(42b)사이에 조작레버(24)의 자유단부(24e)가 수용된다.
조작레버(24)가 스트럿(23)의 교락부(23a)에 접할 때까지 이너 케이블(41)을 삽입하면, 조작레버(24)의 자유단부(24e)는, 스트럿(23)의 광폭 공간(23d)으로부터 반 케이블 견인방향 측으로 돌출한다.
연결공(42c)은, 스트럿(23)의 타방의 대향편(23c) 측의 연결공(24f)의 일부가 타방의 대향편(23c)으로 차폐되고, 일방의 대향편(23b) 측의 연결공(42c)은 절흠부(23i)에 의해서 전부 노출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도 7, 8 참조).
스트럿(23)에 가(假) 장착한 클립(30)의 양 도피공(31a)(32a), 절흠부(23i), 및 연결공(42c)(24f)(42c)이 대략 중첩한 것을 확인하고, 클립(30)의 일방의 대향편(23b)측의 외측방향으로부터 연결핀(43)을 삽입한다. 연결핀(43)의 선단이 타방의 대향편(23c)에 접할 때까지 삽입하여 조작레버(24)와 케이블 단부(42)의 접속을 완료한다.
케이블 단부(42)를 조작레버(24)에 접속하면, 도 8에 보이는 바와 같이 클립(30)의 상단부를 케이블의 견인 방향을 향하여 손가락으로 삽입하여서, 클립(30)은 계지부(31b)와 스트럿(23)의 위치결정요부(23k)와의 계합(係合)이 해제된다.
클립(30)을 더 삽입하면, 클립(30)의 계지부(31b)가 일방의 대향편(23b)에 형성된 어긋남 멈춤홈(23m)에 계합(係合)한다.
계지부(31b)는 어긋남 멈춤홈(23m)의 측면에 접하여 위치결정되기 때문에, 클립(30)의 횡 방향 어긋남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어긋남 방지홈(23m)의 저면에 계지(係止)하는 클립(30)이 삽입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는 것도 함께 방지할 수 있다.
클립(30)을 삽입하여 종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키는 것에 동반하여,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협착편(31)(32)에 형성된 양 도피공(31a)(32a)의 위치가 변화하고, 마침내는 절흠부(23i)가 한 쌍의 협착편(31)(32)으로 차폐된다.
그 결과, 연결핀(43)은 타방의 대향편(23c)과 클립(30)의 타방의 협착편(32)사이에서 자유로운 이동이 제한된다.
최후로, 아우터 케이싱(44)의 케이싱 캡(44a)을 가이드 파이프(45)의 타단에 멈춤링(46)으로써 정지시켜서, 케이블 단부(42)를 조작레버(24)에 접속하여 작업을 종료한다(도 2참조)
따라서, 이 이후에는 조작레버(24)가 반 케이블 견인 방향을 향하여 회동하려고 하면, 조작레버(24)가 스트럿(23)의 교락부(23a)에 접하여 그 이상의 회동이 제한된다(도 5참조).
이때 연결핀(43)은, 스트럿(23)의 타방의 대향편(23c)과 클립(30)의 타방의 협착편(32)에 의해서 자유로운 이동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에, 연결핀(43)은 항상 스트럿(23)의 광폭공간(23d)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되어, 케이블 단부(42)가 조작레버(24)로부터 물리적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또한, 브레이크 케이블(40)의 교환등에 의해서, 케이블 단부(42)와 조작레버(24)의 접속의 해제가 필요한 경우에는, 클립(30)의 협착편(31)을 집어서 클립(30)의 계지부(31b)와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형성된 어긋남 멈춤홈(23m)과의 계합(係合)을 해제한 후, 일방의 대향편(23b)에 협착시킨 그대로 클립(30)을 당겨 올려서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형성된 절흠부(23i)를 개방하면, 연결핀(43)을 간단하게 발출(拔出)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예에 있어서는, 클립(30)을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장착하는 것만의 간단한 작업으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의 장착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된다.
더욱이, 클립(30)의 크기는 스트럿(23)의 한 쌍의 대향편(23b)(23c) 중에서 일방의 대향편(23b)에 장착가능하도록 협폭 사이즈로 족하기 때문에, 스트럿의 전체를 걸쳐서 세트하는 종래의 클립과 비교하여, 클립(30)의 소형화에 동반하여, 용수철 강의 사용량을 적게 할 수 있어서 경제적인 것과 함께, 클립(30)을 간단한 절곡가공으로 제작 가능하기 때문에 클립(30)의 가공비를 저감할 수 있다.
스트럿(23)에 형성하는 절흠부(23i)는 일방의 대향편(23b)에만 설치되고, 양방에 설치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트럿(23)의 강성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스트럿(23)의 교락부(23a)를 클립(30)의 장착에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교락부(23a)의 높은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더욱이 본 예는, 스트럿(23)의 일방의 대향편(23b)에 설치된 절흠부(23i)와 클립(30)을 조합시키는 것으로, 연결핀(43)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럿(23)에 형성한 교락부(23a)의 높이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교락부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이 가능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하는 강한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도 9를 기초로 하여 실시예 2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2에 사용하는 클립(130)은, 스트럿(123)의 일방의 대향편(123b)을 탄성적으로 협지(挾持) 할 수 있도록 한 장의 얇은 판상 용수철 강을 'U' 형으로 절곡가공하여 형성한 것으로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협착편(131)(132)에 실시예 1과 같은 도피공을 형성하지 않고, 일방의 협착편(131)의 중간부를 굴곡하여 계지부(131b)를 형성하고, 일방의 대향편(123b)에 형성된 위치결정요부(123k)에 계지(係止)하기만 하는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본 실시예에는, 조작레버(24)를 스트럿(123)의 교락부(도 9에는 미도시)에 접촉시킨 상태하에서, 일방의 대향편(123b)에 형성된 절흠부(123i)를 통하여 연결공(42c)(24f)(42c)에 연결핀(43)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조작레버(24)와 케이블 단부(42)와의 접속을 완료한 후에, 무공구조(無孔構造)의 클립(130)을 일방의 대향편(123b)으로 그 뒤에 붙여서 절흠부(123i)를 봉쇄하는 것이다.
무공구조의 클립(130)의 장착 후에는, 앞의 실시예 1과 동양으로 스트럿(123)의 타방의 대향편(123c)과 클립(130)의 타방의 협착편(132)에 의해서, 연결핀(43)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여 케이블 단부(42)가 조작레버(24)에서 물리적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본 예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상의 이점을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해서, 클립(130)을 제조할 때에 도피공의 개구 공정을 생략가능하기 때문에, 스트럿(123)의 가공이 더욱 간단하게 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더욱이 본 예에는 실시예 1과 동양으로 스트럿(123)의 일방의 대향편(123b)에 클립(130)을 끼워 넣도록 삽입하고, 클립(130)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스트럿(123)의 일방의 대향편(123b)에 협지(挾持)시켜 장착하는 것과 함께, 클립(130)의 일방의 협착편(131)에 형성한 계지부(131b)를 일방의 대향편(123b)의 외측면에 형성한 위치결정요부(123k)에 끼움결합시키는 것으로, 클립(130)의 위치결정이 간단하고 더욱 확실하게 행하여지기 때문에, 차량 주행 중일 때에 진동과 충격을 받아도 클립(130)이 스트럿(123)에서 발출(拔出)하는 일이 없다.
<실시예 3>
도 10을 기초로 하여 실시예 3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사용하는 클립(230)은, 스트럿(223)의 일방의 대향편(223b)을 탄성적으로 협지(挾持)하는 그대로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한 장의 얇은 판상의 용수철 강을 '
Figure 112007002474301-PAT00004
' 형으로 절곡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클립(230)은 상기한 실시예 2와 동일한 양상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협착편(231)(232)(도면에는 232를 생략)이 무공구조(無孔構造)로 되어 있다.
클립(230)의 일방의 협착편(231)에는, 스트럿(223)의 일방의 대향편(223b)의 외측면과 끼움결합 가능한 공지의 요철끼움결합부(2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철끼움결합부(233)는 일 장소에만 설치되어도 좋지만,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면 클립(230)의 자세가 안정된다.
본 실시예에는, 케이블 단부(42)를 조작레버(24)에 연결하기 전에, 도 10에서 이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스트럿(223)의 일방의 대향편(223b)에 형성되어 있는 절흠부(223i)를 개방하도록, 조작레버(24)의 연장방향으로 이격하여 장착되어 있다.
조작레버(24)를 스트럿(223)의 교락부(223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방의 대향편(223b)에 형성된 절흠부(223i)를 통하여 연결공(42c)(24f)(42c)에 연결핀(43)을 삽입하여 조작레버(24)와 케이블 단부(42)의 접속을 완료한 후에, 절흠부(223i)를 봉쇄하도록 클립(230)을 횡 방향으로 슬라이드시킨다.
클립(230)의 슬라이드 조작 후에, 이전의 실시예 1과 동일한 양상으로 스트럿(223)의 타방의 대향편과 클립(230)의 타방의 협착편(232)이 연결핀(43)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여, 케이블 단부(42)가 조작레버(24)로부터 물리적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본 예에 있어서, 클립(230)을 스트럿(223)의 일방의 대향편(223b)의 측방 가장자리부를 따라서 이동하는 조작만으로써, 연결핀(43)의 이탈방지조작이 더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실시예 4>
도 11을 기초로 하여 실시예 4에 관한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예에 사용하는 클립(330)은, 스트럿(323)의 일방의 대향편(323b)을 탄성적으로 협지(挾持)하는 그대로 회동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으로, 한 장의 얇은 판상의 용수철 강을 '
Figure 112007002474301-PAT00005
' 형으로 절곡 가공하여 형성되어 있다.
본 예의 클립(330)은 전술한 실시예 2, 3과 동일한 양상으로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협착편(331)(332)(도면에는 323을 생략)이 무공구조로 되어 있다.
클립(330)의 일방의 협착편(331)에는 스트럿(323)의 일방의 대향편(323b)의 내외측면과 끼움결합 가능한 공지의 요철끼움결합부(333)가 형성되어 있어서, 이 요철끼움결합부(333)가 클립(330)의 회동중심으로 된다.
본 실시예에는, 케이블 단부(42)를 조작레버(24)에 연결하기 전에는, 도 11의 이점쇄선으로 보이는 바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편향하고 있어서, 스트럿(323)의 일방의 협착편(331)에 형성되는 절흠부(323i)를 개방하고 있다.
조작레버(24)를 스트럿(323)의 교락부(323a)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일방의 대향편(323b)에 형성된 절흠부(323i)를 통하여 연결공(42c)(24f)(42c)에 연결핀(43)을 삽입하여 조작레버(24)와 케이블 단부(42)와의 접속을 완료한 후에, 요철끼움결합부(333)를 중심으로 클립(330)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동하면, 클립(330)의 한 쌍의 협착편(331)(332)이 절흠부(323i)를 봉쇄한다.
클립(330)의 회동조작 후에는, 이전의 실시예 1~3과 동일한 양상으로 스트럿(323)의 타방의 대향편(323c)과 클립(330)의 타방의 협착편(332)이 연결핀(43)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하여 케이블 단부(42)가 조작레버(24)로부터 물리적으로 벗어나는 일이 없다.
본 예에 있어서는, 클립(330)을 회동조작하기만 하는 것으로서, 연결핀(43)의 이탈방지조작이 더욱 간단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클립을 스트럿의 일방의 대향편에 장착하는 것만으로, 클립의 장착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한다.
(2) 스트럿의 대향편의 양방향으로 절흠부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스 트럿 전체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더욱이, 클립을 스트럿의 교락부에 장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교락부의 강성저하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클립은 스트럿의 일방의 대향편에 장착시키기 때문에 클립을 소형화할 수 있고, 게다가 간단한 절곡가공으로 제작할 수 있기 때문에, 클립의 재료비와 가공비를 대폭 저감할 수 있다.
(4) 스트럿과 그 스트럿의 일방의 대향편에 장착하는 클립의 조합만으로 연결핀의 자유로운 이동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스트럿에 형성하는 교락부의 높이의 영향을 전혀 받지 않는다.
그 때문에, 교락부의 높이를 낮게 설계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고, 브레이크 장치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게 하고자 하는 강한 요구를 만족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교락부로 연결하는 한 쌍의 대향편을 가지고, 일방의 브레이크 슈에 계합(係合) 하는 스트럿(strut)과,
    이 스트럿의 대향편 간의 공간(간극) 내에 수용되어, 그 기단부가 회동가능하게 피봇지지되고, 타방의 브레이크 슈에 계합(係合)하는 판상의 조작레버를 구비하고,
    조작레버의 자유단부에 연결핀으로 접속하는 브레이크 케이블을 견인하면, 조작레버와 스트럿이 상대회전하는 것과 함께, 쌍방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확장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대향편은, 상기 조작레버가 반 케이블 견인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일방의 대향편측으로부터 상기 연결핀을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조작레버의 자유단부에 연결가능하고, 나아가, 타방의 대향편은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구조로 되고,
    상기 브레이크 케이블과 상기 조작레버를 연결핀으로 접속한 후에, 상기 연결핀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클립을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연결핀의 통과가 가능한 절흠부(切欠部)를 형성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의 횡 방향 이동을 제한하는 수단을 부설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을 가(假)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을 슬라이드가 자유롭도록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일방의 대향편에 상기 클립을 회동이 자유롭도록 장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020070002830A 2006-01-11 2007-01-10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KR1013304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6004021A JP4721222B2 (ja) 2006-01-11 2006-01-11 機械式ブレーキ作動装置
JPJP-P-2006-00004021 2006-01-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5318A true KR20070075318A (ko) 2007-07-18
KR101330413B1 KR101330413B1 (ko) 2013-11-15

Family

ID=37872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2830A KR101330413B1 (ko) 2006-01-11 2007-01-10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815018B2 (ko)
EP (1) EP1808614B1 (ko)
JP (1) JP4721222B2 (ko)
KR (1) KR101330413B1 (ko)
CN (1) CN1010000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4827A (ja) * 2007-07-23 2009-02-05 Nisshinbo Ind Inc 機械式ブレーキ作動装置
JP4723542B2 (ja) * 2007-08-10 2011-07-13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の作動装置
US8267227B2 (en) * 2008-07-22 2012-09-18 Akebono Brake Corporation Lever assembly featuring blind cable assembly
JP5342988B2 (ja) 2008-12-16 2013-11-13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の機械式ブレーキ作動装置
US20110100772A1 (en) * 2009-11-05 2011-05-05 Akebono Corporation (North America) Cable end retention clip assembly and method
DE102013215850B4 (de) 2013-08-12 2016-06-02 Saf-Holland Gmbh Betätigungsvorrichtung für eine Bremse
CN105173499A (zh) * 2015-09-02 2015-12-23 广运机电(苏州)有限公司 一种液压驱动升降的货物存取机构
JP6651482B2 (ja) * 2017-06-23 2020-02-19 日信工業株式会社 ドラムブレーキ装置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314350U1 (de) * 1993-09-22 1995-01-26 Lucas Ind Plc Mechanische Betätigungs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Kraftfahrzeugbremsen
JP2001173694A (ja) * 1999-12-16 2001-06-26 Nisshinbo Ind Inc ドラムブレーキのブレーキケーブル取着装置
JP4104811B2 (ja) * 2000-06-08 2008-06-18 曙ブレーキ工業株式会社 機械式ドラムブレーキのレバーとケーブルの接続構造
JP4794723B2 (ja) * 2000-07-17 2011-10-19 日清紡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ブレーキケーブル接続装置
JP4096105B2 (ja) * 2002-09-17 2008-06-04 日清紡績株式会社 ブレーキケーブルの接続装置
JP4005894B2 (ja) * 2002-09-27 2007-11-14 日清紡績株式会社 ブレーキケーブルの接続装置
JP2006105301A (ja) * 2004-10-06 2006-04-20 Nisshinbo Ind Inc ブレーキケーブル接続装置
JP4186012B2 (ja) * 2005-08-09 2008-11-26 日清紡績株式会社 機械式ブレーキ作動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7815018B2 (en) 2010-10-19
KR101330413B1 (ko) 2013-11-15
EP1808614B1 (en) 2008-11-05
CN101000076A (zh) 2007-07-18
EP1808614A1 (en) 2007-07-18
US20070158149A1 (en) 2007-07-12
JP2007187195A (ja) 2007-07-26
JP4721222B2 (ja) 2011-07-13
CN101000076B (zh) 201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0413B1 (ko) 기계식 브레이크 작동장치
JP50298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68465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98517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100894952B1 (ko) 캠 레버 리테이너를 갖는 전기 커넥터
CN103262356B (zh) 杆式连接器、电线罩
JP5820289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TW201222994A (en) Connecting terminal
JP675514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KR20100134525A (ko) 우수한 부착을 위한 통합형 din 레일 부착 형상부
JP5052322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15206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9152061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4475178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004108458A (ja) ブレーキケーブルの接続装置
JP2010092888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WO2015052952A1 (ja) オープンファスナーの連結用具
EP2202424B1 (en) Mechanical type brake actuator for drum brake
JP3976273B2 (ja) コネクタ及びそれを用いたコネクタ装置
JP2009009876A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KR20100070174A (ko) 레버타입 커넥터어셈블리
JP2009104945A (ja) ロック構造およびコネクタ
JPH09147973A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7453873B2 (ja) シリンダ錠
JP4986796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