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73583A - 플래시 메모리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 방법 - Google Patents

플래시 메모리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73583A
KR20070073583A KR20060120631A KR20060120631A KR20070073583A KR 20070073583 A KR20070073583 A KR 20070073583A KR 20060120631 A KR20060120631 A KR 20060120631A KR 20060120631 A KR20060120631 A KR 20060120631A KR 20070073583 A KR20070073583 A KR 2007007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ard
card module
substrate
molding compound
modul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601206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엔-민 조우
Original Assignee
엔-민 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TW095121679A external-priority patent/TW200727176A/zh
Application filed by 엔-민 조우 filed Critical 엔-민 조우
Publication of KR2007007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7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6Encapsulations, e.g. encapsulation layers, coatings
    • H01L21/561Batch process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 G06K19/07732Physical layout of the record carrier the record carrier having a housing or construction similar to well-known portable memory devices, such as SD cards, USB or memory stic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28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 H01L23/3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 H01L23/3107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 H01L23/3121Encapsulations, e.g. encapsulating layers, coatings, e.g. for protect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shape the device being completely enclosed a substrate forming part of the 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93Batch processes
    • H01L24/95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 H01L24/97Batch processes at chip-level, i.e. with connecting carried out on a plurality of singulated devices, i.e. on diced chips the devices being connected to a common substrate, e.g. interposer, said common substrate being separable into individual assemblies after connec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5001Core members of the connector
    • H01L2224/45099Material
    • H01L2224/451Material with a principal constituent of the material being a metal or a metalloid, e.g. boron (B), silicon (Si), germanium (Ge), arsenic (As), antimony (Sb), tellurium (Te) and polonium (Po), and alloy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2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2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2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2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01L2224/4805Shape
    • H01L2224/4809Loop shape
    • H01L2224/48091Arch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4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5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prior to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4/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Methods or apparatus related thereto
    • H01L24/01Means for bonding being attached to, or being formed on, the surface to be connected, e.g. chip-to-package, die-attach, "first-level" interconnect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2Wire connectors; Manufacturing methods related thereto
    • H01L24/47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 H01L24/48Structure, shape, material or disposition of the wire connectors after the connecting process of an individual wire connec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14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the subject-matter covered by the group, the symbol of which is combined with the symbol of this group, being disclosed without further technical 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06Carbon [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33Arsenic [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1Chemical elements
    • H01L2924/01075Rhenium [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61Cap
    • H01L2924/1615Shape
    • H01L2924/16152Cap comprising a cavity for hosting the device, e.g. U-shaped c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15Details of package parts other than the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to be connected
    • H01L2924/181Encapsulation
    • H01L2924/1815Sha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redit C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독립적인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기판에 배열되어 있으며 이들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들은 복수의 연결 바가 있는 기판과 연결되어 있다. 칩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배열되어 있으며 몰딩 화합물 소자가 칩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각각 덮기 위하여 사용되는 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상부 몰딩 기판 및 지지기판으로 몰딩 공정을 수행하여 챔퍼링된 표준 프로파일로 형성된다. 그러면, 이들 연결바의 복수의 거친 범프들이 펀칭 및 없어져서 좋은 절단면을 가진 제품을 얻을 수 있어 비용을 낮출수가 있다.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몰딩 화합물

Description

플래시 메모리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 방법{Package method for flash memory card and structure thereof}
도 1a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정면도
도 1b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배면도
도 2는 일반적인 단일 마이크로 SD 카드를 형성하는 방법을 도시한 도면
도 3a, 도 3b,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d는 도 3c의 A A' 절단면을 따라 본 측면도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평탄화하는 단계의 미세한 변형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결바의 형상과, 연결바의 배치 및 장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a, 도 8b, 도 8c는 종래기술에 따른 마이크로 SD 카드의 측면도 및 윗방향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플로우차트
도 10a, 도 10b, 도 10c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110: 기판 20:플래시 메모리카드 모듈 기판
22, 22': 연결바 24:골든 핑거
30, 130: 몰딩 화합물 소자 40: 톱니 도구
100: 단일 마이크로 SD 카드 120:마이크로 SD 카드 모듈 기판
122: 금속선 50: 칩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패키지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방법에 관한 것이다.
마이크로 안전 디지털 메모리카드(이하 '마이크로 SD 카드'라 함)는 가볍고, 편하게 이용할 수 있으며 휴대할 수 있는 데이터 저장소자이기에, 여러 전자 장치, 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휴대폰, 디지털카메라 등등에 사용될 수 있다. 도 1a 및 1b에는 마이크로 SD 카드의 정면도 및 배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 SD 카드(100)의 형상은 다각적이며 한쪽 면에서 돌출되고 다시 들어가는 형상(102)을 갖고 있다. 종래의 마이크로 SD 카드의 절단 공정은 다수의 마이크로 SD 카드 어셈블리를 잘라서 복수의 단일 어셈블리로 분리시키는 것이다.
도 2는 정면 다이어그램을 나타낸 것으로 일반적인 단일 마이크로 SD 카드의 형성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기판(110)에 복수의 마이크로 SD 카드 모듈 기판을 배열하기 위해서 칩(미도시)을 적절한 위치에 배치한 다음에, 몰딩 화합물 소자(130)를 이용하여 복수의 마이크로 SD 카드 모듈 기판(120)을 포함하여 기판(110)의 전체 표면을 덮는다. 몰딩 화합물 소자(130)가 굳어질 때까지 기다린 다음에, 워터 제트(water jet) 기계 또는 레이저-절단 기계(미도시)을 사용하여 복수의 마이크로 SD 카드 어셈블리를 복수의 단일 마이크로 SD 카드(100)로 정확하게 분리시킨다. 하지만, 레이저-절단 기계 및 워터 제트 기계는 고가 장비이며, 더군다나 워터 제트 기계는 절단 목적을 얻기 위해서는 여분의 연마재까지 필요하다. 게다가, 절단 공정으로 레이저 또는 워터 제트 방법을 사용하는 데 문제가 없다 하더라도, 기계를 정확하게 조정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될 수 밖에 없어 절단 공정이 상당히 느리며, 생산성이 상대적으로 낮다. 절단 표면은 거칠며, 크기를 제어하기가 어려우므로 절단을 위한 진입 및 인출함에 따른 문제점을 일으키기가 쉽다.
도 8a, 8b, 8c는 선행기술에 따른 절단 공정후에 마이크로 SD 카드의 측면도 및 윗방향 도면(저면도)이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SD 카드 모듈기판(120)은 마이크로 SD 카드(100)의 측면에 노출되어 있다. 그리하여, 마이크로 SD 카드 모듈 기판(120)에 있는 금속선(122)은 또한 금속 먼지의 오염 및 접촉불량의 문제점이 일어나기 쉽게 노출되어 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해결책은 솔더 마스크의 에지에 있는 윈도우를 개방하고, 금속선을 제거하도록 다시 에치를 한 다음에 먼저 패키지 공정을 수행하는 것이다. 하지만, 도 8b 및 도 8c에 도시된 것처럼 마이크로 SD 카드(100)의 챔퍼링(chamfering)을 행한 후에 마 이크로 SD 카드 모듈 기판(120)에 금속선(122)이 노출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같은 해결책을 사용할 수는 없다.
마이크로 SD 카드가 절단 뒤에 거친 표면을 갖지 않기 위해서는 비싼 절단 장비, 낮은 생산성, 및 과도한 비용등이 소요될 것이며, 이것이 완벽한 면에서 오점이 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이 기업들로서는 현재 해결해야 할 당면과제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문제점에 따라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 및 기판에 복수의 연결 바들을 배열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방법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몰딩 단계를 처리할 때, 몰딩 화합물을 전체 기판에 주입하는 대신에 단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으로만 몰딩 화합물을 주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결과, 본 발명은 몰딩 화합물의 낭비를 피할 수 있어 몰딩 화합물의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 및 기판에 복수의 연결 바(bar)들을 배열하기 위한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방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몰딩 단계를 처리할 때,몰딩 화합물을 전체 기판에 주입하는 대신에 단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으로만 몰딩 화합물을 주입하는 것이 필요하며, 몰딩 화합물 소자의 덮히는 영역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영역보다 크므로 본 발명에 따라 정확한 디멘션의 특정한 형상을 디자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많은 영역을 절단하지 않고도 안정적인 제조 공정을 갖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연결 바들을 분리시키기 위한 펀칭 방법을 이용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위한 패키지방법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펀칭 방법은 절단 공정에서 비싼 절단 장비(예를 들어, 레이저 절단 기계 또는 워터 제트 기계)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기판과 메모리 카드 패키지을 직접 분리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생산 설비의 비용을 줄일 수가 있으며 또한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키지 절단 공정을 행하면서 펀칭 장치를 이용하여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펀칭 장치의 절단속도는 통상의 레이저-절단 기계 또는 워터-제트 기계보다 빠르다. 본 발명에 따라 절단공정 시간을 줄임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복수의 연결 바들은 펀칭을 할 때 패키지에 아주 근접한 장소를 펀칭함에 따라 몰딩 화합물의 벗겨짐 또는 균열을 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판에 디자인된다. 그리하여 이것은 생산성을 높이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펀칭 공정에서 일어나는 여분 및 불필요한 몰딩 화합물 소자를 정확하게 다듬어 없애서 펀칭 후에 패키지가 거친 표면을 갖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 및 이를 위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며, 챔퍼링 단계를 단순히 하기 위해 몰딩 화합물 소자가 직접 챔퍼링된 표준 형상으로 몰드될 수가 있다. 여기서, 몰딩 화합물 소자가 덮히는 영역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있는 금속선이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측벽면에 노출되어 금속 먼지의 오염 또는 연결 불량을 일으키지 않도록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영역보다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배열된 기판이 제공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을 나타내는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은 복수의 연결바가 있는 기판과 링크되어 있으며; 몰딩 화합물이 각각 메모리 카드 모듈기판을 덮으며 연결바의 부분이 노출되도록 사용되며; 복수의 메모리 카드 패키지을 얻도록 연결바를 절단하며; 및 각 메모리 카드 패키지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연결바들을 매끄럽게 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배열된 기판이 제공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위한 패키지 구조를 나타내는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은 복수의 연결바가 있는 기판과 링크되어 있으며; 몰딩 화합물이 각각 메모리 카드 모듈기판을 덮으며 연결바의 부분이 노출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배열된 기판이 제공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위한 패키지구조를 나타내는데, 기판과 링크되는 복수의 연결바들을 갖는 메모리 모듈 기판을 포함하며, 몰딩 화합물 소자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 및 연결바들을 덮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플래시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 및 구조에 대해서 이하 설명한다.
먼저,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기판의 디자인을 나타낸다. 실시예에서 플래시 메모리 카드 모듈기판(20)이 기판(10)에 배열되어 있다. 플래시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각각은 연결바(22)들로 기판에 독립적으로 링크되어 있다. 이들 연결바(22)들중에 기판(10)의 빈 부분이 있다. 도 3b을 참고로 하면, 플래시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적절한 위치에 칩(미도시 됨)을 배치한 다음에, 에폭시 같은 몰딩 화합물 소자(30)로 연결바(22)의 부분이 노출되도록 각 플래시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덮는다. 몰딩 화합물 소자(30)에 의해 형성된 윤곽은 플래시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과 유사하나, 덮힌 영역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크기보다 조금 크다. 그외에, 몰딩하는 동안 몰딩 화합물 소자가 밀려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테이프를 캐비티(미도시)의 표면에 붙일 수 있으며 그리하여 기판(10), 플래시 메모리카드 모듈 기판(20) 및 캐비티(미도시)가 서로 가깝게 될 수 있도록 하며 몰딩 화합물 소자(30)가 밀려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런다음, 펀치 장치를 사용하여 개별화 단계를 수행할 수 있으며; 연결바(22)들은 복수의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 해체된다.
도 3c를 참조하여 보면, 펀칭하는 동안 메모리 카드 패키지에 매우 근접하여 펀칭함에 따라 몰딩 화합물 소자(30)가 벗겨지거나 메모리 카드 패키지가 금이 가는 것을 막기 위하여 펀칭 부분과 메모리 카드 패키지 사이에는 약간의 간격이 있다. 그러므로,펀칭후에 메모리카드 패키지는 다수의 범프(bump)를 갖게되며, 도 3c의 AA'라인을 따른 단면도가 도 3d이다. 이들 범프들은 기판(10)의 오리지날 연결바(22)의 부분이다. 도 3c의 일 실시예에서, 플래시 메모리 카드를 위한 패키지는 기판(도면에는 미도시)과 링크되는 복수의 연결바(22)을 갖는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덮는 몰딩 화합물 소자(30) 및 연결바(22)을 포함한다. 여기서 연결바(22)는 몰딩 화합물 소자(30)에 노출되어 있다.
도 4a, 4b, 4c 및 4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매끄럽게 하는 단계의 조금씩 변동하는 것을 보여주며, 여분의 불필요한 몰딩 화합물 소자를 마모시키기 위해 톱니 도구(40)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여러 마모 도구들을 사용하여 여러 단계별로 상세한 부분을 마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매끄럽게 하는 변동단계의 초기에서 연결바(22)의 범프들을 신속하게 마모하기 위해 거친 펠렛(pellet) 또는 표면 도구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여 보면, 범프들이 거의 사라질 때까지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전체 에지를 매끄럽게 하기 위해 약간씩 변동하기 위해 보다 매끄러운 펠렛 또는 표면도구들을 선택할 수 있다. 도 4c를 보면,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전체 에지가 매끄럽게 된 후에 메모리 카드 패키지가 국제 기준 크기 및 형태를 갖기 위해 챔퍼링 단계를 시작한다. 챔퍼링 단계는 진행하는 과정에 여러 단계로 분리해서 행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펀칭이후에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크기는 약간의 매끄럽게 하는 변형 과정을 통하여 국제 표준 크기로 된다. 한편, 약간의 매끄럽게 하는 변형 도구는 톱니 도구(40)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모리카드 패키지에 매우 근접한 범프 및 작은 범프들을 제거하기 위해 다이스(dice)(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지고 웨이퍼를 다이스하는 데 사용되는)를 사용하는 것도 적합할 수 있다. 또는 표면을 매끄럽게 하기 위해 범프를 제거하는 데 있어 고속 회전 라우터(router)(PCB기판을 형성하는데 사용되는)를 선택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3b 및 도 5를 동시에 참조하여 보면,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갖는 기판(10)을 제공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들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은 복수의 연결바(22)가 있는 기판(10)과 링크되어 있으며, 칩을 각 메모리 가드 모듈 기판(20)의 적당한 장소에 배치한다(단계 S10). 그런 다음 연결바(22) 부분을 노출시키기 위해 몰딩 화합물(30)을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덮는다(단계 S20). 패키지 공정이 완성되고 몰딩 화합물이 굳어지는 동안 , 펀치를 시작하여 이들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분리시키고(단계 S30), 순차적으로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에지에 있는 범프를 약간씩 변형하여 매끄럽게 한다(단계 S40). 이들 약간씩 변형하여 매끄럽게 하는 공정은 갈고 ,다듬고, 챔퍼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바(22')의 형태 및 배치상태와 장착한 것을 나타낸다. 이들 연결바(22')들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연결하는 데 사용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국한 된 것은 아니다. 연결바(22')의 위치, 형태, 크기는 변화될 수 있고, 기판(10)에 있는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서로 다른 배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연결바의 형태는 다각형, 바(bar), 둥근형, 또는 다중-래디안(multi-radian) 형태이다.
도 7을 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플래시 메모리 SIM 카드의 몰딩 화합물 소자(30)의 커버 영역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보다 크며, 플래시 메모리 SIM 카드의 뒷면에는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에 배열되어 있는 골든 핑거(24)가 배열되어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국한되지 않고 마이크로 SD 메모리 카드 또는 마이크로 SD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여러 종류의 패키지에 적용할 수 있다.
그 밖에 도 9 및 도 3b를 참조하여 보면,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갖는 기판(10)을 나타내는데, 이들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은 복수의 연결바(22)을 갖는 기판(10)와 링크되어 있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칩은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적절한 곳에 배치된다(단계 S10). 다음에 칩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단계 S12), 몰딩 화합물 소자를 형성하기 위한 몰딩 공정을 행하는데 있어서 칩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상부 표면을 몰딩 화합물(30)로 덮으며, 상부-몰드 기판 및 지지 기판을 이용하여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하부 표면과 연결바(22) 부분을 노출시킨다(단계 S22). 몰딩 화합물 소자는 챔퍼링된 표준 프로파일(profile)로 직접 몰딩된다.
패키지 공정이 완료되고 몰딩 화합물 소자(30)가 굳어지는 동안 펀치를 시작하여 이들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분리시키며(단계 S30), 단계별로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에지에 있는 범프를 약간씩 수정해 가면서 매끄럽게 한다(단계 S40). 상기 약간씩 수정해가며 매끄럽게 하는 단계는 갈고 문지르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몰딩 화합물 소자가 챔퍼링된 표준 프로파일로 직접 몰딩되기 때문에 각 메모리 카드 패키지에서 챔퍼링 단계를 수행하는 것이 필요없게 된다.
도 10a, 10b, 10c 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기판 상부(60) 와 지지 기판(62)는 몰딩 화합물 소자(30)가 형성되도록 몰딩 공정에 사용된다. 상부-몰드 기판(60)에는 몰딩 재료가 주입되도록 관통 홀(64)이 있다. 지지 기판(62)은 지지대 역할을 하고 베어링(bearing) 기판이나 다른 베이스 기판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몰딩 화합물 소자(30)는 칩(50)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상부 표면을 각각 덮으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하부면 및 연결바( 이 도면에서는 미도시)의 부분은 노출된다. 본 발명에서 몰딩 화합물 소자(30)의 챔퍼링된 표준 프로파일은 도 10b에 도시된 것처럼 상부-몰드 기판(60)에 의해 프로파일로 몰드된다. 하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몰딩 화합물 소자(30)의 챔퍼링된 표준 프로파일은 도 10a에 도시된 것처럼 지지 기판(62)에 의하여 프로파일로 몰드된다.
도 10c를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의 패키지 구조에 관한 실시예에서, 최소한 칩(50)이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에 배열되어 있고, 칩(50)은 와이어-본딩 또는 다른 방법으로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몰딩 화합물 소자(30)는 칩(50)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상부 표면을 각각 덮으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하부면은 노출된다. 몰딩 화합물 소자(30)은 직접 챔퍼링된 표준 프로파일로 몰드된다. 그밖에,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몰딩 화합물 소자(30)가 연결바를 덮는지 안 덮는지의 여부는 공정조건에 달려 있다.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20)의 상부 표면에는 골든 핑거(미도시 됨)가 배열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특징은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복수의 연결바가 있는 기판과 링크되도록 배열되는 것이다. 연결바들을 분리하여 복수의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형성하기 위해 펀칭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연결바와 메모리 카드 패키지사이의 버퍼 공간으로 인하여, 물품을 제작하기 위해서 펀칭을 할 때 패키지에 너무 근접하여 펀칭을 하는 것에 의하여 몰딩 화합물이 벗겨지거나 금이 가는 것을 막을 수가 있다. 몰딩단계에서, 몰딩 화합물 소자는 전체 기판을 덮지는 않도록 하여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몰딩함으로써 몰딩 재료를 줄여 비용을 낮추도록 한다. 게다가, 펀칭 장치는 종래의 레이저-절단 기계 또는 워터-제트 기계보다 싸고 빨라서 물건을 생산하는 비용을 줄일 수가 있다.
앞서의 내용을 요약하면,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 및 기판의 복수의 연결바를 이용한다. 몰딩 단계를 진행할 때, 몰딩 화합물을 전체 기판에 주입하는 대신에 단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몰딩 화합물을 주입하면 된다. 그리하여, 몰딩 화합물의 낭비를 피할 수가 있어 몰딩 화합물의 비용을 줄일수가 있다. 몰딩 화합물 소자의 덮히는 영역은 본 발명에 따라 특별한 형태나 정확한 디멘션 및 많은 영역을 절단하지 않고 안정된 제조 공정을 갖기 위하여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영역보다는 크다. 본 발명은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연결바를 분리시키기 위해 펀칭 방법을 사용한다. 펀칭 방법은 절단 공정에서 비싼 절단 장비(레이저 절단 기계 또는 워터-제트 기계 같은)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과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직접 분리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은 생산설비의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패키지 절단 공정을 진행하면서 펀칭 장치를 사용한다. 펀칭 장치의 절단 속도는 종래의 레이저-절단 기계 또는 워터-제트 기계보다 빠르다. 본 발명은 짧은 절단 공정시간에 따라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복수의 연결바 들은 펀칭을 할때 패키지에 너무 근접한 펀칭 장소로 인하여 몰딩 화합물이 벗겨지거나 금이 가는 것을 피하도록 기판에 디자인된다. 이것은 더욱 생산량을 늘릴 수가 있다. 펀칭후에 펀칭 공정에 따라 생긴 여분의 불필요한 몰딩 화합물을 세심히 다듬으로써 패키지가 거친 면이 없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 몰딩 화합물 소자는 직접 챔퍼링된 표준 형태로 몰드되어 챔퍼링 단계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 몰딩 화합물 소자의 덮이는 영역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있는 금속 선이 금속 먼지 오염이나 불량-접속을 일으키지 않도록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측벽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영역보다는 넓다.
본 발명이 많은 수정이나 다른 대체된 형태로 할 수 있지만, 어느 특정된 형태의 예를 도면 및 상세한 설명에 설명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개시된 특정형태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청구된 청구범위의 영역 및 요지내에서 모든 수정, 등가 및 대체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 및 기판의 복수의 연결바를 이용한다. 몰딩 단계를 진행할 때, 몰딩 화합물을 전체 기판에 주입하는 대신에 단지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몰딩 화합물을 주입하면 된다. 그리하여, 몰딩 화합물의 낭비를 피할 수가 있어 몰딩 화합물의 비용을 줄일수가 있다. 또한, 기판에 배열된 복수의 연결바를 분리시키기 위해 펀칭을 행할때, 절단 공정에서 비싼 절단 장비(레이저 절단 기계 또는 워터-제트 기계 같은)을 사용하지 않고 기판과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직접 분리시킬 수가 있음으로써 생산설비의 비용을 줄여 생산성을 높 일 수가 있다.

Claims (33)

  1.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방법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배열된 기판이 제공되는데,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각각은 복수의 연결 바가 있는 기판과 링크되어 있는 단계와;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를 사용하여 상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덮으며 상기 연결 바의 일 부분을 노출시키는 단계와;
    복수의 메모리 카드 패키지를 얻기 위해서 상기 연결 바들을 절단하는 단계와; 및
    상기 각 메모리 카드 패키지로부터 돌출된 연결바들을 매끄럽게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에폭시로부터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들을 절단하기 위해서 펀칭 장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톱니 도구를 사용하여 상기 각 메모리 카드 패키지로부터 돌출된 연결 바들을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 법.
  5. 제 1항에 있어서, 칩 절단 장치가 상기 각 메모리 카드 패키지로부터 돌출된 연결 바들을 다듬어 없애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라우터가 상기 각 메모리 카드 패키지로부터 돌출된 연결 바들을 제거하는 데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연결 바의 형태는 다각형, 바, 둥근형, 또는 다중-래디안(multi-radian)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8. 제 1항에 있어서, 몰딩 화합물 소자를 형성하기 위해 몰딩공정을 행하면서 상부-몰드 기판 및 지지 기판을 사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표준 챔퍼링된 외부 디멘션 및 외부 형태를 갖도록 직접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골든 핑거가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하부 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칩이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하부 면과 상기 연결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칩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상부 면을 각각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 방법.
  13.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이 배열되어 있는 기판,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각각은 복수의 연결바가 있는 기판가 링크되어 있으며; 및
    상기 연결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각각 덮는 몰딩 화합물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에폭시로 만들어 지는 것을 특 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의 형태는 다각형, 바, 둥근형, 또는 다중-래디안(multi-radian)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칩이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각각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17.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덮기 위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의 덮는 영역은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영역보다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18.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상부-몰드 기판 및 지지 기판을 사용하여 주입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표준 챔퍼링된 외부 디멘션 및 외부 형태를 갖도록 직접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 지 구조.
  20. 제 13항에 있어서, 골든 핑거가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하부 면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구조.
  21.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하부 면과 상기 연결 바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칩과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상부 면을 각각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구조.
  22.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에 있어서,
    기판과 링크되어 있는 복수의 연결바을 갖는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 및
    상기 연결바 및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덮는 몰딩 화합물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일부가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4.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에폭시로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5.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바의 형태는 다각형, 바, 둥근형, 또는 다중-래디안(multi-radian)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6. 제 22항에 있어서, 칩이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7.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을 덮기 위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의 덮는 영역은 각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영역보다는 넓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8.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상부-몰드 기판 및 지지 기판을 사용하여 주입 공정을 통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29. 제 28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표준 챔퍼링된 외부 디멘션 및 외부 형태를 갖도록 직접 몰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30. 제 22항에 있어서, 골든 핑거가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하부 면에 배 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 패키지의 구조.
  31.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바의 일부가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에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32.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에 배열된 칩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33. 제 22항에 있어서, 상기 몰딩 화합물 소자는 상기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하부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칩, 메모리 카드 모듈 기판의 상부면 및 연결 바들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래시 메모리 카드의 패키지 구조.
KR20060120631A 2006-01-05 2006-12-01 플래시 메모리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 방법 KR20070073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TW095100500 2006-01-05
TW95100500 2006-01-05
TW095121679A TW200727176A (en) 2006-01-05 2006-06-16 Package method for flash memory card and structure thereof
TW095121679 2006-06-16
TW095135543 2006-09-26
TW095135543A TW200727177A (en) 2006-01-05 2006-09-26 Package method for flash memory card and structure thereof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73583A true KR20070073583A (ko) 2007-07-10

Family

ID=38223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60120631A KR20070073583A (ko) 2006-01-05 2006-12-01 플래시 메모리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70152071A1 (ko)
JP (1) JP2007183928A (ko)
KR (1) KR2007007358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43447B2 (ja) * 2006-03-31 2011-12-21 株式会社東芝 半導体装置とそれを用いたメモリカード
JP4989323B2 (ja) * 2007-06-12 2012-08-01 株式会社ディスコ メモリカードの製造方法
CN101802997B (zh) * 2007-09-14 2011-12-07 韩美半导体株式会社 切割与加工存储卡的装置
DE102011104510A1 (de) * 2011-06-17 2012-12-20 Giesecke & Devrient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atenträgers
TWI451535B (zh) * 2012-02-22 2014-09-01 Advanced Semiconductor Eng 不規則形狀之封裝結構及其製造方法
CN105977223B (zh) * 2012-03-01 2018-11-27 日月光半导体制造股份有限公司 不规则形状的封装结构及其制造方法
USD730907S1 (en) * 2014-05-02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0908S1 (en) * 2014-05-02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0910S1 (en) * 2014-05-02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27912S1 (en) * 2014-06-27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0909S1 (en) * 2014-06-27 2015-06-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27913S1 (en) * 2014-06-27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27911S1 (en) * 2014-06-27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29251S1 (en) * 2014-06-27 2015-05-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6215S1 (en) * 2014-07-0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6212S1 (en) * 2014-07-0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36214S1 (en) * 2014-07-01 2015-08-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27910S1 (en) * 2014-07-02 2015-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73466S1 (en) * 2015-08-20 2016-12-06 Isaac S. Daniel Combined secure digital memory and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D798868S1 (en) * 2015-08-20 2017-10-03 Isaac S. Daniel Combined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and storage card
USD783621S1 (en) * 2015-08-25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USD783622S1 (en) * 2015-08-25 2017-04-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mory card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88620B2 (en) * 2005-12-29 2009-02-10 Sandisk Corporation Method of fabricating leadframe based flash memory cards including singulation by straight line cu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52071A1 (en) 2007-07-05
JP2007183928A (ja) 2007-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73583A (ko) 플래시 메모리카드의 구조 및 패키지 방법
US7488620B2 (en) Method of fabricating leadframe based flash memory cards including singulation by straight line cuts
US7795077B2 (en) Memory card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US8141240B2 (en) Manufacturing method for micro-SD flash memory card
US7485501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flash memory cards
US20050205975A1 (en) Semiconductor package having step type di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2007123327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4851214B2 (ja) パッケージ基板の分割方法
EP1515269A2 (en) An integrated circuit card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623708B1 (en) Integrated circuit packaging system with grid-array mechanism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20070164120A1 (en) Forming method of Micro SD card
US6565008B2 (en) Module card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07023A (ko) 반도체 패키지 슬리밍장치 및 방법
JP2018060882A (ja) パッケージ基板の加工方法
JP2007183899A (ja) マイクロsdメモリカードの形成方法
KR100543510B1 (ko) 반도체 패키지의 싱귤레이션 방법
KR100337450B1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를 위한 웨이퍼와 부착된 써킷 테이프 커팅장치
KR102586967B1 (ko) 리드 프레임
KR100574983B1 (ko) 반도체소자 제조를 위한 반도체웨이퍼 처리방법
TWM312752U (en) Package structure of flash memory card
KR101347027B1 (ko) 반도체 패키지 슬리밍장치 및 방법
JP4643464B2 (ja) パッケージ基板の分割方法および分割装置
KR19990084789A (ko) 반도체 패키지 제조방법
JP2020161757A (ja) パッケージ基板の加工方法
JP2002016189A (ja) Icパッケージ及びicパッケージ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