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64607A - 매달기 반송 장치 - Google Patents

매달기 반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64607A
KR20070064607A KR1020077007061A KR20077007061A KR20070064607A KR 20070064607 A KR20070064607 A KR 20070064607A KR 1020077007061 A KR1020077007061 A KR 1020077007061A KR 20077007061 A KR20077007061 A KR 20077007061A KR 20070064607 A KR20070064607 A KR 200700646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upporting
members
open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7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10009B1 (ko
Inventor
지로 나카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2353A external-priority patent/JP41266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92351A external-priority patent/JP4086028B2/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Publication of KR200700646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646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10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10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7/0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 B65G17/20Conveyors having an endless traction element, e.g. a chain, transmitting movement to a continuous or substantially-continuous load-carrying surface or to a series of individual load-carriers; Endless-chain conveyors in which the chains form the load-carrying surface comprising load-carriers suspended from overhead traction cha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65G19/025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for suspend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0Power and free systems
    • B61B10/02Power and free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ain Conveyers (AREA)
  • Automobile Manufacture Line, Endless Track Vehicle, Trailer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Pretreatment Of Seeds And Plant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 암에 설치된 위치 전환 가능한 받침구(18)의 지지 구조를 간략화한다. 받침구(18)를 횡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평행 링크(24)의 축지지부에 설치되어 받침구(18)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긴 구멍(31), 이 받침구(18)를 받침구 지지 부재(21a) 상으로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28a), 받침구 지지 부재(21a) 측에 설치된 걸림 부재(33), 및 받침구(18)가 내외 양 위치(P1, P2)에 있어서 받침구 지지 부재(21a)에 지지되는 레벨에 있을 때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지도록 받침구(18) 측에 설치된 내외 2개의 결합 오목부(32a, 32b)를 구비하고,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 중의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18)를 내외 양 위치(P1, P2) 사이에서 횡 이동시키는 받침구 구동 수단(42)이 배치된 구성.
Figure 112007024334221-PCT00001
반송용 주행체,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 피반송물, 받침구, 행거 암, 매달기 반송 장치, 가압 수단, 받침구 구동 수단.

Description

매달기 반송 장치{SUSPENSION CONVEYANCE APPARATUS}
본 발명은 반송용 주행체에 매달린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가 하단 내측에 피반송물의 받침구를 구비하면서 상단측이 좌우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개폐 가능한 행거 암을 구비하고 있는 매달기 반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매달기 반송 장치에서는, 특허 문헌 1에도 기재된 바와 같이, 취급하는 피반송물에서의 좌우 양 측변의 피지지 위치(상기 받침구로 지지되는 위치) 간의 간격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도록 상기 각 받침구를 행거 암에 대하여 개폐 방향 내외 양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받침구는 상기 개폐 방향 내외 양 위치 사이에서 횡 이동할 수 있도록 행거 암 측의 받침구 지지 부재에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을 통하여 직선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받침구 측에 승강 가능한 록 핀과 해당 록 핀을 하강 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이 설치되고, 상기 받침구 지지 부재 측에는 상기 록 핀이 상기 스프링의 가압력으로 강하 끼워맞춰지는 걸림 오목부를 양단에 구비한 록 핀 슬라이드 가이드가 설치되고,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 경로 중에 설정된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상기 걸림 오목부에 끼워맞춰져 있는 록 핀을 밀어올려 받침구의 록을 해제하는 록 핀 밀어올림 수단과, 상기 받침구를 위치 전환 방향으로 횡 이동 시키는 받침구 구동 수단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 특허 공개 평 4-153118호 공보
상기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종래의 구성에서는 받침구를 상기 개폐 방향 내외 양 위치 각각에서 록 핀에 의해 록하지 않으면 받침구의 위치가 정해지지 않는 구조로서, 받침구를 내측 위치에서 외측 위치로 전환하는 장소와 그 반대로 받침구를 외측 위치에서 내측 위치로 전환하는 장소의 양방에서 록 핀을 밀어올려 록 해제하는 것이 필수적이게 된다. 또한, 받침구를 내외 양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이 필요할 뿐만 아니라, 승강 가능한 록 핀과 이를 안내하는 록 핀 슬라이드 가이드가 필요한 등 구조가 복잡하고, 받침구 부분 전체의 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매달기 반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그 수단을 후술하는 실시 형태의 참조 부호를 괄호로 묶어 나타내면, 반송용 주행체(1)에 매달린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가 하단 내측에 피반송물(W)의 받침구(18)를 구비하면서 상단측이 좌우 요동 가능하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개폐 가능한 행거 암(16)을 구비하고, 양 받침구(18)가 행거 암(16)에 대하여 개폐 방향의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매달기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받침구(18)는 행거 암(16) 측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에 평행 링크(23, 24)에 의해 내외 양 위치(P1, P2) 사이에서 횡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평행 링크(23, 24)의 축지지부에는 받침구(18)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긴 구멍(31)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받침구(18)를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상으로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28a, 28b)이 설치되고,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 중의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18)를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와의 사이에서 횡 이동시키는 받침구 구동 수단(42)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경우, 구체적으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 결합 오목부(32a, 32b) 중 적어도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에 있을 때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지는 내측 결합 오목부(32a)와 해당 걸림 부재(33)는 해당 받침구(18)의 내측 위치(P1)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받침구 구동 수단(42)을 구비한 받침구 전환 위치 중 적어도 받침구(18)를 외측 위치(P2)에서 내측 위치(P1)로 전환하는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18)를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에 지지되는 레벨로부터 밀어올려 내측 결합 오목부(32a)와 걸림 부재(33)간의 끼움을 해제하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41)이 병설할 수 있다.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양 결합 오목부(32a, 32b) 중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에 있을 때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지는 외측 결합 오목부(32b)와 해당 걸림 부재(33)는 받침구(18)의 외측 위치(P2)로의 이동 시에 해당 받침구(18)가 걸림 부재(33)에 올라앉아 통과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4에 기재된 바와 같이,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는 한 쌍으로 병설되고, 이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상에서 지지되는 받침구(18)에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가 돌출 설치되고, 평행 링크(23, 24)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가설된 하측 지지축(26a, 26b)과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에 설치된 상측 지지축(27a, 27b)과의 사이에 개재하고, 해당 평행 링크(23, 24)의 축지지부의 긴 구멍(31)은 평행 링크(23, 24)의 상측 지지축(27a, 27b)이 관통하는 축 구멍으로서 설치하고, 내외 2개의 결합 오목부(32a, 32b)는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에 형성하고, 걸림 부재(33)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가설하고,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41)은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서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을 밀어올리도록 구성할 수 있다. 물론 이 구성은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압 수단은, 청구항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평행 링크(23, 24)를 지지하는 하측 지지축(26a, 26b)과 상측 지지축(27a, 27b)과의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28a, 28b)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구성은 청구항 1 내지 4 중 적어도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구성과 조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청구항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와 평행 링크(23, 24)는 각각 한 쌍으로 병설되고, 인장 스프링(28a, 28b)은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사이에 배치할 수 있고, 청구항 7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8a, 28b)은 직선형의 스프링 선재의 양단을 동일 평면상에서 원호형으로 굽힘 가공한 편평한 것으로 하고, 하측 지지축(26a, 26b)과 상측 지지축(27a, 27b)에 양단의 원호형 부분(29, 30)을 걸어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8a, 28b)은 양단의 원호형 부분(29, 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S자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매달기 반송 장치에 의하면, 받침구가 내외 양 위치에서 자동으로 결합 오목부와 걸림 부재의 끼움에 의해 위치 결정되는 구성이면서, 해당 걸림 부재는 종래의 승강 가능한 록 핀과 같은 가동 부재일 필요는 없고, 받침구 지지 부재 측에 고정된 것이어도 좋으므로, 받침구가 평행 링크로 지지되는 구조인 것, 그리고 종래의 록 핀을 안내하는 록 핀 슬라이드 가이드가 불필요한 것과 상승 작용을 하여, 받침구 부분 전체의 구조가 매우 간단해지고, 소형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받침구가 내외 양 위치에서 결합 오목부와 걸림 부재의 끼움에 의해 위치 결정된 상태는 받침구를 받침구 지지 부재 측으로 끌어내리는 가압 수단의 가압력으로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본적으로는 받침구를 내외 양 위치에서 록하는 수단은 불필요하지만, 해당 받침구가 외측 위치에 있을 때에는 피반송물의 싣고내림을 위하여 행거 암을 외측으로 개방시켰을 때 받침구의 내측 위치로의 이동 방향이 비스듬히 상하 방향이 되어, 중력이 받침구의 내측 위치로의 이동을 조장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므로, 반동 등으로 상기 가압력에 저항하여 결합 오목부가 걸림 부재에 올라앉아 이탈하고, 받침구가 뜻밖에 내측 위치로 횡 이동하여 위치가 전환되게 될 우려가 있다고 사료되는데, 이러한 문제에 대해서는 청구항 2에 기재된 구성을 채용함으로써 받침구가 적어도 상기 외측 위치에 있을 때에는 결합 오목부와 걸림 부재가 받침구의 내측 위치로의 이동을 확실하게 저지할 수 있으므로, 받침구를 외측 위치로 확실하게 유지시켜 안전성을 높일 수 있다. 게다가, 외측 위치에 있는 받침구를 내측 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결합 오목부가 걸림 부재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도록 받침구 그 자체를 밀어올리면 되어, 종래와 같이 받침부 부분으로부터 횡 측방으로 돌출하는 작은 록 핀을 밀어올려야 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 경로 측에 설치되는 밀어올림 수단의 구성이 간단해진다.
한편, 청구항 3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내측 위치에 있는 받침구를 외측 위치로 전환할 때에는 받침구를 밀어올려 결합 오목부와 걸림 부재의 끼움을 해제할 필요가 없고 직접 받침구를 외측 위치로 강제 이동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반송용 주행체의 주행 경로 중에 설정된 받침구 전환 위치 중 내측 위치에 있는 받침구를 외측 위치로 전환하는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록 해제 수단, 즉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의 설치를 생략하여 구성을 간략화하고,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게다가, 해당 내측 위치에서 외측 위치로 받침구를 이동시킬 때에는, 가압 수단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림 부재로부터 결합 오목부를 올라타게 하여 이탈시켜야 하므로 그 때의 저항을 충분히 크게 할 수 있고, 진동 등으로 뜻밖에 받침구가 내측 위치에서 외측 위치로 이동하게 될 우려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청구항 4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행거 암 하단 내측의 받침구와 그 지지 구조체의 전체를 매우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송 경로 측에 배치되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도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5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행거 암 하단 내측의 받침구의 지지 구조가 훨씬 간단해진다. 더욱이 청구항 6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받침구의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청구항 7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가압 수단을 구성하는 인장 스프링이 직선형의 스프링 선재의 양단을 원호형으로 굽힘 가공만 한 편평하고 매우 심플한 구조의 것으로서, 종래의 인장 코일 스프링의 양단에 원호형의 걸고리부를 형성한 것을 가압 수단으로 이용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링 선재의 직경보다 약간 넓은 틈만 확보할 수 있다면 받침구 지지 구조 부분에 가압 수단을 조립해 넣을 수 있으므로, 해당 받침구 지지 구조 부분의 횡폭을 대폭으로 좁힐 수 있다. 이 경우, 청구항 8에 기재된 구성에 따르면, 해당 인장 스프링의 유효 길이를 길게 할 수 있고, 또한 쉽게 빠지지 않는 상태로 개재할 수 있다.
도 1은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를 구비한 반송용 주행체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동 반송용 주행체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받침구 전환 위치에서의 받침구 구동 수단과 받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받침구 전환 위치에서의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과 받침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받침구 전환 위치에서의 한 쪽의 받침구 구동 수단,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 및 받침구를 도시한 배면도이다.
도 6은 받침구 전환 위치에서의 한 쪽의 받침구 구동 수단,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 및 받침구를 내측에서 본 일부 종단 측면도이다.
도 7은 내측 위치로 유지된 받침구, 받침구 구동 수단 및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을 도시한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받침구를 받침구 구동 수단으로 외측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9는 외측 위치에 있는 받침구를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으로 밀어올린 상태를 도시한 요부의 종단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7 또는 도 8의 종단 측면도이다.
도 11은 받침구 지지 구조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일부 분해 종단 측면도이다.
도 12는 받침구 지지 구조의 걸림 부재 위치에서의 종단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반송용 주행체 14 :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
15 : 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 16 :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
18 : 받침구 21a, 21b :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
22a, 22b :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 23, 24 : 두 쌍의 평행 링크
25a, 25b : 링크 26a, 26b : 하측 지지축
27a, 27b : 상측 지지축 28a, 28b : 인장 스프링
31 : 긴 구멍 32a, 32b : 내외 2개의 결합 오목부
33 : 걸림 부재 34 : 수직 걸림면
35A, 35B :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 36A, 36B : 받침구 구동 수단
37a, 37b : 좌우 한 쌍의 가동 부재 38 : 승강 가이드 로드
39 : 유체압 실린더 40 : 승강 지지 암
41 : 푸셔 42 : 하측이 개방된 홈형 부재
43 : 좌우 한 쌍의 가동 부재 45 :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
46 : 슬라이더 47 : 좌우 한 쌍의 유체압 실린더
P1 :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의 내측 위치
P2 :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의 외측 위치
W : 피반송물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하면, 도 1 및 도 2에 있어서, 1은 반송용 주행체로서 트롤리 가이드 레일(2)에 지지되는 전후 한 쌍의 로드 트롤리(3, 4), 이 두 로드 트롤리(3, 4)에 의해 매달린 로드 바(5) 및 각 로드 트롤리(3, 4)에 연결 로드(6, 7)를 통하여 연결되며 상기 트롤리 가이드 레일(2)에 지지되는 전부 프리 트롤리(8)와 후부 프리 트롤리(9)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반송용 주행체(1)의 구동은 트롤리 가이드 레일(2)을 따라 그 상측에 가설된 구동 체인 가이드 레일(10)에 트롤리(1)를 통하여 매달리며 도시 생략한 구동 수단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 체인(11)에 설치된 푸셔(12)가 전부 프리 트롤리(8)에 설치된 출몰 가능한 주 도그(13)를 뒤에서 밂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반송용 주행체(1)에는 로드 바(5)에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가 매달 려 있다. 이 행거(14)는 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5)과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으로 구성된 것으로서, 각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5, 16)은 로드 바(5)의 전후 양단에 좌우 횡 방향으로 연속되어 설치된 좌우 방향 부재(5a, 5b)의 좌우 양단에 상단이 전후 방향 수평 지지축(17)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개폐 가능하게 축지지되고, 하단 내측에는 피반송물(W)의 좌우 양 측변의 바닥부를 지지하는 받침구(18)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행거(14)에서는,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은 암 상부(16a)와, 받침구(18)를 구비한 암 하부(16b)로 분할되고, 암 상부(16a)는 상기 지지축(17)에 의해 축지지됨과 동시에, 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5)의 상부와 각각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연결 부재(19a, 19b)에 의해 연결 일체화되고, 암 하부(16b)는 상기 연결 부재(19a, 19b)에 범위(L) 내에서 전후 방향 위치 변경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암 하부(16b)의 전후 방향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5)의 받침구(18)와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받침구(18)와의 전후 방향 간격을 피반송물(W)의 종류 등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좌우 한 쌍의 전후 방향 연결 부재(19a)에 설치된 개방 조작용 레버(20a, 20b)를 주행 경로 옆에 배치된 조작 수단으로 상방으로 밀어올림으로써 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5)과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을 일체로 개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행거(14)에서는,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받침구(18)가 해당 행거 암(16)의 개폐 방향(좌우 횡 방향)으로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하의 상세한 구조 및 작용의 설명에 있어서는, 이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받침구(18)를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라고 칭하기로 한다.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하단에는, 도 3~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을 향하여 뻗어나오는 받침구 지지 암부(16a)가 설치되고, 이 받침구 지지 암부(16a)의 선단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돌출되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가 병설되어 있다. 상기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는,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상에서 행거 암 개폐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기판(18a)의 상측에 피반송물 지지용 어태치먼트(18b)를 부설한 것으로서, 상기 기판(18a)의 하측에는 상기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와 평행하며 해당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가 돌출 설치되고, 이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와 상기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는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사이에 병렬 배치된 두 쌍의 평행 링크(23, 2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각 평행 링크(23, 24)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서로 평행한 링크(25a , 25b)의 하단은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가설된 하측 지지축(26a, 26b)에 떠받쳐지고, 링크(25a, 25b)의 상단은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사이에 가설된 상측 지지축(27a, 27b)에 떠받쳐져 있다. 따라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는 두 쌍의 평행 링크(23, 24)의 평행 요동 운동을 수반하여 행거 암 개폐 방향으로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와의 사이에서 평행 이동할 수 있다. 이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와의 사이의 평행 이동 시에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 구(18)의 기판(18a)은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로부터 부상하는데, 양단의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에 있어서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로 지지되게 된다.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 측의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와 행거 암(16) 측의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와의 사이에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측으로 끌어내리는 스프링재로서 한 쌍의 인장 스프링(28a, 28b)이 두 쌍 개재되어 있다. 이 인장 스프링(28a, 28b)은 스프링 선재를 S자형으로 굽힘 가공한 것으로서, 그 양단 원호부(29, 30)를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사이에 있어서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측의 상측 지지축(27a, 27b)과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측의 하측 지지축(26a, 26b)에 바깥에서 끼움으로써 개재되며, 이 때 양단 원호부(29, 30) 사이가 이들 양단 원호부(29, 30)의 탄성에 저항하는 변형에 의해 약간 잡아늘려져서 상측 지지축(27a, 27b)과 하측 지지축(26a, 26b)과의 사이에 인장력이 작용하도록 인장 스프링(28a, 28b)의 초기 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한 강도의 인장력을 얻기 위하여 상측 지지축(27a, 27b)과 하측 지지축(26a, 26b)과의 사이에 각각 2개의 인장 스프링(28a, 28b)을 개재하고 있는데, 인장 스프링(28a, 28b)의 설계에 따라서는 상측 지지축(27a, 27b)과 하측 지지축(26a, 26b)과의 사이에 각각 하나의 인장 스프링(28a, 28b)을 개재할 수도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상측 지지축(27a(또는 27b))과 하측 지지축(26a(또는 26b))과의 사이에만 하나 또는 병렬시킨 2개의 인장 스프링(28a(또 는 28b))을 개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욱이, 평행 링크를 축지지하는 상측 지지축(27a, 27b) 및 하측 지지축(26a, 26b)은 별도로 받침구(18) 측의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와 행거 암(16) 측의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에 스프링 걸림부를 설치하고, 이들 두 스프링 걸림부 사이에 인장 스프링을 개재할 수도 있다. 물론, 스프링재로서 상기 구성의 인장 스프링(28a, 28b) 이외의 일반적인 코일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행 링크(23, 24)의 각 링크(25a, 25b)의 상단에 상측 지지축(27a, 27b)을 관통시키기 위하여 설치되는 축 구멍은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도 8 참조)에 있을 때 상측 지지축(27a, 27b)으로부터 수직 상방으로 뻗어나오는 긴 구멍(31)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내측 위치(P1)(도 7 참조) 또는 외측 위치(P2)(도 8 참조)에 있어서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로 기판(18a)이 지지되는 레벨에 있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는 해당 긴 구멍(31)의 길이 방향으로 인장 스프링(28a, 28b)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해당 긴 구멍(31)의 범위 내에서 위로 이동할 수 있다.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 측의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의 평행 링크(23, 24)의 중간 위치에는 그 하변 길이 방향의 2곳(행거 암 개폐 방향의 내외 2곳)에 결합 오목부(32a, 32b)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행거 암(16) 측의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에 있을 때(도 8 참조) 내측 결합 오목부(32a)에 끼워맞춰짐과 동시에,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에 있을 때(도 7 참조) 외측 결합 오목부(32b)에 끼워맞춰지는 걸림 부재(33)가 가설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33)는 평행 링크(23, 24)의 중간 위치에서 양단을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에 용접 등에 의해 고정 장착한 환봉재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수직 걸림면(34)이 환봉재 둘레면의 절삭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 부재(33)의 수직 걸림면(34)은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에 있어서 걸림 부재(33)가 내측 결합 오목부(32a)에 끼워맞춰진 상태에서는, 해당 내측 결합 오목부(32a)의 한 쪽의 내측 수직면에 맞닿아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 쪽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또한, 도 7에 도시한 내측 위치(P1)에 있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 쪽으로 이동할 때에는 외측 결합 오목부(32b)에 끼워맞춰져 있는 걸림 부재(33)에 대하여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가 외측 결합 오목부(32b)의 한쪽의 아래가 넓은 경사측면과 걸림 부재(33)의 환봉재 둘레면을 이용하여 올라앉아, 걸림 부재(33)에 대한 외측 결합 오목부(32b)의 끼움이 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의 걸림 부재(33)에 대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의 올라앉음은 상기 긴 구멍(31) 내에서의 상측 지지축(27a, 27b)의 상방 이동과 평행 링크(23, 24)의 요동 기립에 수반되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상방 이동을 수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위치(P1)에 있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는 인장 스프링(28a, 28b)의 인장력으로 외측 결합 오목부(32b)가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해당 내측 위치(P1)에 유지되어 있을 뿐이므로, 일정 이상의 조작력을 가지고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외측 위치(P2) 쪽으로 강제로 이동시킬 수 있는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 위치(P2)에 있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는 인장 스프링(28a, 28b)의 인장력으로 내측 결합 오목부(32a)가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짐으로써 해당 외측 위치(P2)로 유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내측 위치(P1)로의 이동이 내측 결합 오목부(32a)의 한 쪽의 내측 수직면과 걸림 부재(33)의 수직 걸림면(34)과의 맞닿음에 의해 완전히 저지되고 있다. 즉, 외측 위치(P2)에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록되어 있고, 이 상태로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내측 위치(P1)로 강제 이동시킬 수가 없다.
도 3~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 중에 설정된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과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이 배치되어 있다.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과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은 반송용 주행체(1)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해당 반송용 주행체(1)의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의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각 받침구(18), 즉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에 대응하도록 각각 좌우 한 쌍으로 병설되어 있는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구비한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은 범위(L) 내에서 위치 변경 가능한 것이므로,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은 반송용 주행체(1)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의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그 위치가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방향 전후로 자동 조정되는 것이다.
즉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은, 반송용 주행체(1)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의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여, 그 위치가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방향 전후에 연동하여 자동 조정되는 좌우 한 쌍의 가동 부재(37a, 37b)에 각각 별도로 부착된 것으로서, 가동 부재(37a, 37b)의 내단에 승강 가이드 로드(38)를 통하여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고 유체압 실린더(39)에 의해 일정 범위 내에서 승강 구동되는 승강 지지 암(40)과, 이 승강 지지 암(40)의 선단 상측에 부착된 푸셔(41)로 구성되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로 유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셔(41)가 평행 링크(23, 24)의 내측의 링크(25a)와 걸림 부재(33)와의 사이의 바로 아래에 위치하고, 이러한 상태에서 유체압 실린더(39)에 의해 승강 지지 암(40)을 상승시킴으로써 푸셔(41)가 좌우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들어가고,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를 통하여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밀어올릴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은 반송용 주행체(1)가 소정 위치에서 정지하였을 때의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현재 위치가 범위(L) 내의 어디에 있어도 해당 행거 암(16)의 하단 내측의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에서의 피반송물 지지용 어태치먼트(18b)에 대하여 끼워맞춰질 수 있는 상기 범위(L)와 동일 길이의 하측이 개방된 홈형 부재(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홈형 부재(42)를 각각 외단부에서 각각 별도로 지지하는 좌우 한 쌍의 가동 부재(43)는 피반송물 지지용 행 거(14)의 이동 경로 하측에 배치된 좌우 횡 방향의 가대(44) 상에 슬라이드 가이드 레일(45)과 여기에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더(46)를 통하여 좌우 횡 방향(행거 암(16)의 개폐 방향)으로 횡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해당 가대(44)와 각 홈형 부재(42)와의 사이에 개재된 좌우 한 쌍의 유체압 실린더(47)에 의해 왕복 구동된다.
상기 구성의 반송 장치에 있어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로 유지되어 있는 반송용 주행체(1)가 받침구 전환 위치에 도착하면, 이 받침구 전환 위치에 대한 해당 반송용 주행체(1)의 도착 전 또는 도착 후의 가동 부재(37a, 37b)의 위치 조정에 의해, 도 8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의 바로 아래 소정 위치에 위치해 있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을 작동시킨다. 즉, 유체압 실린더(39)에 의해 승강 지지 암(40)을 상승시킴으로써,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하측으로부터 들어가는 푸셔(41)가 좌우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를 통하여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밀어올린다. 이 결과,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의 내측 결합 오목부(32a)에 끼워맞춰져 있던 걸림 부재(33)에 대하여,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가 긴 구멍(31)의 길이의 범위 내에서 밀려올라가고, 내측 결합 오목부(32a)가 걸림 부재(33)로부터 상방으로 이탈하여 외측 위치(P2)에서의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의 록이 해제된다.
한편, 반송용 주행체(1)가 받침구 전환 위치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의 위치가 조정 범위(L) 내의 어디에 있어도, 그리고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의 어디에 있어도, 해당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는 도 7 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의 홈 포지션에서 대기하고 있는 하측 개방 홈형 부재(42) 내로 들어간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에 의해 외측 위치(P2)에 있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의 록을 해제한 후에 해당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의 유체압 실린더(47)를 작동시키고, 도 9에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홈형 부재(42)를 홈 포지션에서 내측(반송 경로의 좌우 폭 방향의 중앙 위치 측)으로 횡 이동시킴으로써, 외측 위치(P2)에 있어서 록이 해제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그 피반송물 지지용 어태치먼트(18b)를 통하여 내측 위치(P1)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록 해제를 위하여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밀어올리고 있던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의 푸셔(41)는, 내측 결합 오목부(32a)가 걸림 부재(33)의 바로 위 위치에서 내측으로 멀어지도록 이동한 후,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에 도달하기 직전까지 강하시키면 좋다. 이 결과,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에 도달하였을 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8a, 28b)의 인장력에 의해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끌려내려와 있음으로써 걸림 부재(33)에 대하여 외측 결합 오목부(32b)가 끼워맞춰지고, 해당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로 유지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하여 외측 위치(P2)에서 록되어 있던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에 의해 록 해제함과 동시에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에 의해 내측 위치(P1)로 이동시켜, 해당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의 위치 전환을 행할 수 있는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 위치(P1)로 유지되어 있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외측 위치(P2)로 위치 전환할 때에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을 작동시키지 않고,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의 홈형 부재(42)를 곧바로 홈 포지션에서 외측으로 횡 이동시키면 된다. 이 경우,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홈형 부재(42)에 끼워맞춰져 있는 피반송물 지지용 어태치먼트(18b)를 통하여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해당 홈형 부재(42)의 횡 이동에 의해 강제로 내측 위치(P1)에서 외측 위치(P2) 쪽으로 이동될 때, 인장 스프링(28a, 28b)의 인장력에 저항하는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의 상방 이동을 수반하여 외측 결합 오목부(32b)가 걸림 부재(33)를 타고넘어 외방으로 통과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에 도달하였을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장 스프링(28a, 28b)의 인장력으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끌려내려오고, 내측 결합 오목부(32a)가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지고,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로 지지된 상태의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걸림 부재(33)(수직 걸림면(34))와 여기에 끼워맞춰지는 내측 결합 오목부(32a)에 의해 록된다.
한편,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로서 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5)과의 사이의 간격을 조정하기 위하여 위치 변경 가능하게 구성된 후측 좌우 한 쌍의 행거 암(16)을 구비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전후의 행거 암(15, 16)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고정된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이어도 좋다. 또한, 전후 두 쌍의 행거 암(15, 16)을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를 예시하였으나, 좌우 한 쌍의 행거 암에 전측 받침구와 후측 받침구를 구비한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이어도 좋다. 또한 좌우측에서 전후 두 쌍의 총 4개의 받침구(18) 중 후측 좌우 한 쌍의 받침구(18)를 행거 암 개폐 방향의 내외 양 위치 사이에서 위치 전환 가능하게 구성하였으나, 모든 받침구(18)를 위치 전환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 중에 설정된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과 받침구 구동 수단(36A, 36B)이 배치된 예를 설명하였으나, 만일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내측 위치(P1)에서 외측 위치(P2)로 전환하는 작용만 이루어지는 받침구 전환 위치가 존재할 때에는, 해당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은 불필요하다. 그러나, 외측 결합 오목부(32b)와 걸림 부재(33)를 내측 결합 오목부(32a)와 걸림 부재(33)와의 관계와 동일하게, 내측 위치(P1)로 유지된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는 형상으로 구성함과 동시에, 긴 구멍(31)을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로 유지되어 있을 때의 상측 지지축(27a, 27b)에 대해서도 바로 위 방향으로 뻗어나오는 형상(따라서 부채꼴이 됨)으로 구성함으로써 위치 전환 대상 받침구(18)를 내측 위치(P1)에서도 록할 수 있도록 구성할 때에는, 어느 받침구 전환 위치에도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35A, 35B)이 필요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매달기 반송 장치는, 자동차의 차체에 부품을 조립해 붙이는 자동차의 조립 라인에 있어서, 개폐 가능한 행거로 매달려서 반송되는 차체의 행거 에 의한 피지지 위치가 좌우 횡 방향으로 서로 다른 적어도 두 종류의 차체를 취급하는 경우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다.

Claims (8)

  1. 반송용 주행체(1)에 매달린 피반송물 지지용 행거(14)가 하단 내측에 피반송물(W)의 받침구(18)를 구비하면서 상단측이 좌우 요동 자유롭게 축지지된 좌우 한 쌍의 개폐 자유로운 행거 암(16)을 구비하며, 양 받침구(18)가 행거 암(16)에 대하여 개폐 방향의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와의 사이에서 위치 전환 자유롭게 구성되어 있는 매달기 반송 장치에 있어서,
    받침구(18)는 행거 암(16) 측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에 평행 링크(23, 24)에 의해 내외 양 위치(P1, P2) 사이에서 횡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평행 링크(23, 24)의 축지지부에는 받침구(18)의 상하 이동을 허용하는 긴 구멍(31)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받침구(18)를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상으로 끌어내리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 수단(28a, 28b)이 설치되고, 반송용 주행체(1)의 주행 경로 중의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18)를 내측 위치(P1)와 외측 위치(P2)와의 사이에서 횡 이동시키는 받침구 구동 수단(42)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양 결합 오목부(32a, 32b) 중 적어도 받침구(18)가 외측 위치(P2)에 있을 때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지는 내측 결합 오목부(32a)와 해당 걸림 부재(33)는 해당 받침구(18)의 내측 위치(P1)로의 이동을 저지하는 형상으로 하고, 상기 받침구 구동 수단(42)을 구비한 받침구 전환 위치 중 적어도 받침 구(18)를 외측 위치(P2)에서 내측 위치(P1)로 전환하는 받침구 전환 위치에는 받침구(18)를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에 지지되는 레벨로부터 밀어올려 내측 결합 오목부(32a)와 걸림 부재(33)의 끼워맞춤을 해제하는 받침구 밀어올림 수단(41)이 병설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양 결합 오목부(32a, 32b) 중 받침구(18)가 내측 위치(P1)에 있을 때 걸림 부재(33)에 끼워맞춰지는 외측 결합 오목부(32b)와 해당 걸림 부재(33)는 받침구(18)의 외측 위치(P2)로의 이동 시에 해당 받침구(18)가 걸림 부재(33)에 올라앉아 통과될 수 있는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는 한 쌍으로 병설되고, 이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상에서 지지되는 받침구(18)에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느슨하게 끼워지는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가 돌출 설치되고, 평행 링크(23, 24)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가설된 하측 지지축(26a, 26b)과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에 설치된 상측 지지축(27a, 27b) 사이에 개재되고, 해당 평행 링크(23, 24)의 축지지부의 긴 구멍(31)은 평행 링크(23, 24)의 상측 지지축(27a, 27b)이 관통하는 축 구멍으로서 설치되고, 내외 2개의 결합 오목부(32a, 32b)는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에 형성되고, 걸림 부재(33)는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 가설되고, 받침구 밀 어올림 수단(41)은 한 쌍의 받침구 지지 부재(21a, 21b) 사이에서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의 하변을 밀어올리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 수단은 평행 링크(23, 24)를 지지하는 하측 지지축(26a, 26b)과 상측 지지축(27a, 27b)과의 사이에 개재된 인장 스프링(28a, 28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와 평행 링크(23, 24)는 각각 한 쌍으로 병설되고, 인장 스프링(28a, 28b)은 한 쌍의 링크 축지지 부재(22a, 22b)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28a, 28b)은 직선형의 스프링 선재의 양단을 동일 평면상에서 원호형으로 굽힘 가공한 편평한 것으로서, 하측 지지축(26a, 26b)과 상측 지지축(27a, 27b)에 양단의 원호형 부분(29, 30)이 걸려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인장 스프링(28a, 28b)은 양단의 원호형 부분(29, 30)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구부러진 S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달기 반송 장치.
KR1020077007061A 2004-10-05 2005-09-09 매달기 반송 장치 KR100910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92353A JP4126662B2 (ja) 2004-10-05 2004-10-05 吊り下げ搬送装置
JPJP-P-2004-00292353 2004-10-05
JP2004292351A JP4086028B2 (ja) 2004-10-05 2004-10-05 吊り下げ搬送装置
JPJP-P-2004-00292351 2004-10-05
PCT/JP2005/016585 WO2006038423A1 (ja) 2004-10-05 2005-09-09 吊り下げ搬送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64607A true KR20070064607A (ko) 2007-06-21
KR100910009B1 KR100910009B1 (ko) 2009-07-29

Family

ID=36142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7061A KR100910009B1 (ko) 2004-10-05 2005-09-09 매달기 반송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461735B2 (ko)
EP (1) EP1813495B1 (ko)
KR (1) KR100910009B1 (ko)
AT (1) ATE474756T1 (ko)
BR (1) BRPI0515715B1 (ko)
CA (1) CA2579666C (ko)
DE (1) DE602005022476D1 (ko)
MX (1) MX2007004056A (ko)
RU (1) RU2359851C2 (ko)
WO (1) WO2006038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38820B2 (ja) * 2008-02-05 2010-09-08 株式会社ダイフク 摩擦駆動トロリーコンベヤ
JP4562008B2 (ja) * 2008-02-14 2010-10-13 株式会社ダイフク 吊り下げ搬送装置
ITTO20111095A1 (it) * 2011-11-28 2013-05-29 Fiat Group Automobiles Spa Dispositivo di sospensione ed avanzamento di una scocca in una linea di assemblaggio di autoveicoli
ITTO20120241A1 (it) * 2012-03-19 2013-09-20 Cpm S P A Impianto per assemblare parti meccaniche su scocche di veicoli
CN102849402B (zh) * 2012-08-30 2014-12-10 永济新时速电机电器有限责任公司 用于定子线圈成型的流水线生产系统
RU2661412C1 (ru) * 2017-03-01 2018-07-16 Александр Георгиевич Батт Транспортная система
JP6583399B2 (ja) * 2017-12-13 2019-10-02 マツダ株式会社 搬送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8575B2 (ja) * 1976-04-10 1984-02-25 株式会社安永鉄工所 車両のキャリヤ−装置
US4341161A (en) * 1980-05-08 1982-07-27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Workpiece hanger carriage
JPS5791714U (ko) * 1980-11-28 1982-06-05
JPS5927979U (ja) * 1982-08-13 1984-02-2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車体用吊上支持装置
FR2592013B1 (fr) * 1985-12-19 1991-07-19 Cellier Sa Balancelle pour le transport de charges, notamment des carrosseries de vehicules automobiles
JPH0657529B2 (ja) * 1989-12-06 1994-08-0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における被搬送物の姿勢制御装置
JPH0446861A (ja) * 1990-06-12 1992-02-17 Daifuku Co Ltd 吊下げ搬送装置
JPH04153118A (ja) * 1990-10-18 1992-05-26 Daifuku Co Ltd 吊下げ搬送装置
TW237435B (ko) * 1992-01-21 1995-01-01 Nakanishi Kinzoku Kogyo Kk
FR2718660B1 (fr) * 1994-04-14 1996-06-14 Gagneraud Pere Fils Entr Dispositif de récupération de matières visqueuses pour balancelles.
JP3468274B2 (ja) * 1998-01-26 2003-11-17 株式会社ダイフク 吊り下げ搬送装置
DE10027730A1 (de) * 2000-06-03 2001-12-06 Volkswagen Ag Montagegehänge für PKW-Karosserien
US6374993B1 (en) * 2000-09-14 2002-04-23 Lico, Inc. Carrier locking system for pendulum conveyor
JP3976224B2 (ja) * 2000-09-22 2007-09-1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オーバーヘッドコンベア
JP3946003B2 (ja) * 2001-06-29 2007-07-18 株式会社ダイフク 吊下げ搬送設備
US20060032728A1 (en) * 2004-08-10 2006-02-16 Smith J R Apparatus for removing vehicle from vehicle assembly conveyo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813495A4 (en) 2008-10-15
EP1813495B1 (en) 2010-07-21
MX2007004056A (es) 2007-06-07
KR100910009B1 (ko) 2009-07-29
EP1813495A1 (en) 2007-08-01
WO2006038423A1 (ja) 2006-04-13
CA2579666C (en) 2009-06-30
US20080041699A1 (en) 2008-02-21
BRPI0515715A (pt) 2008-07-29
RU2007116960A (ru) 2008-11-20
RU2359851C2 (ru) 2009-06-27
US7461735B2 (en) 2008-12-09
DE602005022476D1 (de) 2010-09-02
CA2579666A1 (en) 2006-04-13
ATE474756T1 (de) 2010-08-15
BRPI0515715B1 (pt) 2018-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0009B1 (ko) 매달기 반송 장치
US8353396B2 (en) Door conveying apparatus
US4498578A (en) Easy-drop sizing carrier for poultry
CN105819315A (zh) 电梯轿厢
US5549050A (en) Load carrying unit for a conveyor system
JP2538827Y2 (ja) 荷役搬送用昇降機
JP4086028B2 (ja) 吊り下げ搬送装置
US6619468B1 (en) Safety switch for overhead conveyor track
US4402541A (en) Movable load bar with automatic hooks
JP4126662B2 (ja) 吊り下げ搬送装置
CN216775128U (zh) 立式电路板承载装置
NO840410L (no) Opphengsanordning for en transportanordning for forenklet anhugg og automatisk frigjoering
JP2586675Y2 (ja) 手動式吊戸棚
EP0397878A1 (en) Load-lifting device
KR200313698Y1 (ko) 전자력을이용한크레인의보조통스
JPH11245126A (ja) 車体へのリヤサスペンション組付装置
JP2005119767A (ja) 吊り具
JP2627203B2 (ja) ハンガー利用の搬送装置
JP2547091B2 (ja) 吊り下げ搬送用ハンガー
US7353646B1 (en) Creel arm latching device
RU2039000C1 (ru) Подъемно-транспорт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US1004299A (en) Sliding-door construction.
JP2017210322A (ja) ロック機構、これを具えた把持装置、並びに、ロック機構のロック及びアンロック方法
JP2509168Y2 (ja) ハンガ―引戸の振れ止め構造
JP2002120989A (ja) 吊 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