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57812A -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및 포장 구조체 - Google Patents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및 포장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57812A
KR20070057812A KR1020077004625A KR20077004625A KR20070057812A KR 20070057812 A KR20070057812 A KR 20070057812A KR 1020077004625 A KR1020077004625 A KR 1020077004625A KR 20077004625 A KR20077004625 A KR 20077004625A KR 20070057812 A KR20070057812 A KR 200700578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aging bag
ejection nozzle
nozzle
liquid ejection
pack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4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10521B1 (ko
Inventor
요시카즈 가사이
Original Assignee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4224041A external-priority patent/JP4996815B2/ja
Application filed by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세이 라믹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578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578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0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0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51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dispensing by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56Linings or internal coatings, e.g. pre-formed trays provided with a blow- or thermoformed layer
    • B65D5/60Loose, or loosely attached, lin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66Integral spou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04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in two or more containers disposed one within another
    • B65D77/06Liquids or semi-liquids or other materials or articles enclosed in 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rigid containers
    • B65D77/062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 B65D77/064Flexible containers disposed within polygonal containers formed by folding a carton blank comprising discharging means formed by cutting a part, e.g. a corner, of the flexible contai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383/00Flexible bags
    • Y10S383/906Dispensing fe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와 동시에 개구를 자동적으로 폐지하고,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확실히 저지하는 역지 기능을 구비하는 것으로, 주출 노즐로의 캡의 탈착이 불필요하며,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고, 포장봉지 본체로의 융착 접합을 간단하고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저렴한 액체 주출 노즐과, 이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및 포장봉지용 상자, 포장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노즐은,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에서, 그의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에, 가장 외층의 밀봉층에 의해 기단부가 융착 접합되는 액체 주출 노즐을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과, 그것을 사이에 끼워 적층한 각각의 밀봉층을 구비하는 표리의 각각의 적층 필름을, 한쪽 밀봉층의 상호 대향 자세로, 기단 주위를 제외한 주변부분에서 상호로 융착시켜 구성시킨다.
주출 노즐, 포장봉지, 베이스 필름, 휨강도

Description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Liquid spouting nozzle, packaging bag using the nozzle, box for packaging bag, and packaging structure}
이 발명은, 적층 필름으로 되는, 연질로 하여 가소성이 우수한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에 그것과 일체로 구성되거나 또는 포장봉지 본체와는 별체 구조가 되어, 포장봉지의 제조와 동시에, 또는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과 함께 그것에 융착 접합(fusion joining)되는 액체 주출(注出) 노즐, 그것을 적용한 포장봉지 및 그의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특히, 이 발명은 저렴하게 제조 및 취급이 모두 용이하고 피포장물의 복수회에 걸친 주출에 있어서의 개봉 후의 포장봉지 내로의 외부 공기(외기)가 들어오는 것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는, 이른바 역방지 기능(one-way function)을 가지는 액체 주출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및 그의 포장봉지에 정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액체 주출 노즐로부터의 피포장물의 복수회에 걸친 주출작업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따라 주출을 끝낸 후의, 액체 주출 노즐의 상자 체내로의 수용을 간이하고 확실하게 한 포장봉지용 상자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 구조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100 ㎖를 초과하는 체적의 액상, 젤리형상 등의 음식물, 조미료 또는 그 밖의 포장봉지로서는 알루미늄박을 포함하는 비교적 경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내면에 플라스틱의 사출 성형품 등으로 되는 캡을 구비한 주출 노즐을 열융착시킨 것이 있고, 이것에 의하면 주출 노즐에 대한 캡의 분리 및 나사결합 조작을 토대로 피포장물을 복수회에 걸쳐 주출 등을 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포장봉지에 있어서는 플라스틱 성형품인 주출 노즐 및 캡의 비용이 높아지고, 또한, 3차원의 입체형상을 갖는 그 주출 노즐의 포장봉지 본체로의 충분한 접합강도하에서의 완전한 열융착이 특별한 히트 실링 수단 등을 사용하여 또한 곤란한 것 외에, 피포장물 주출때마다 캡의 분리 및 재차의 나사 결합이 필요해진다고 하는 취급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비교적 경질로 압착 변형(crush deformation)되기 어려운 포장봉지에 대해서는 피포장물의 주출 등에 따라서, 포장봉지 내에서의 피포장물과 외기의 치환이 필수가 되고, 또한, 주출의 종료 후, 주출 노즐로의 캡의 나사결합까지의 사이의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의 진입이 불가피해져 그 외기 중의 진애, 균류 등이 피포장물을 오염시키고, 또한, 외기 그 자체가 피포장물을 산화시켜, 조미료, 알코올 음료의 풍미 등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있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 발명은 종래 기술이 안고 있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과제로 하는 것이다. 이 발명의 제1 목적은 봉지 내 피포장물의 주출을 포장봉지 내로 외기를 끌어오는 것 없이 행하여 자신은 수납 내지는 압착 변형에 의해 그의 주출에 대응하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에 적용되고,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와 동시에, 그의 피포장물에 의한 젖음에 의해서 토출구를 자동적으로 밀폐하여,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확실히 저지하는 자기 봉인 역방지 기능(self-seal one-way function)을 구비하는 것으로서, 주출 노즐에 대한 캡의 탈착 조작이 불필요하여, 간단하게 제조할 수 있고 포장봉지 본체로의 일체 구성 또는 그곳으로의 사후적인 융착 접합을 항상 확실하고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저렴한 액체 주출 노즐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이의 한편으로, 충전 포장한 액상 피포장물을 복수회에 걸쳐 주출하는데 사용되는 상자형상 용기로서는, 우유팩, 과즙팩 등의 각종 종이상자가 널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이상자는 예를 들면 100~3000 ㎖ 정도 체적의 피포장물을 위한 포장용 용기로서 사용하고, 유리병, 플라스틱 용기, 캔 등에 비하여 취급이 용이한 것 외에, 가게의 앞쪽 진열 등에 있어서 원형의 바깥윤곽 형상을 갖는 각종 용기, 캔 등 보다도 자리를 차지하는 면적 효율이 높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그런데, 이 종의 종이상자는 그 자체가 수지 재료의 융착 접합에 의해 조립되는 것이고, 또한, 그의 안쪽에 피포장물을 직접적으로 충전 포장하는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충분한 내습윤성을 부여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내외의 양면에 폴리에틸렌이나 그 밖의 수지 재료를 적층하고 있고, 이 때문에 종이상자의 재활용에 있어서는 그 수지 재료를 제거하는 것이 불가피해지고, 이의 한편으로는, 종이상자 그 자체의 제조에 있어서는, 버진 펄프(virgin pulp) 100%의 사용이 필수가 되어, 낡은 종이를 이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정상부가 지붕형을 이루는 종이상자의 개봉에 있어서는, 그 지붕형 정상부의 수지 재료의 융착 접합부분을 손가락에 의해 뜯는 것이 필요해진다는 번거로움이 있는데다가, 적정하게 개봉할 수 없는 경우가 가끔 발생하고, 더 나아가서는 일단 개봉한 개구의 충분한 폐지(閉止)가 불가능하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정상부가 평탄한 벽돌타입의 종이상자는 측벽 위로 접혀진 융착 끝 부분을 가위로 절단한다고 하는 개봉시의 번거로움은 여전히 있지만, 그 절단에 의해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은 개봉이 확실히 행하여졌다. 또한, 정상부의 융착 접합부를 측벽 위로 접음으로써 개봉한 개구를 폐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이 벽돌타입의 종이상자에서는, 그 형태상, 대부분은 피포장물의 충전 높이와 개구 높이가 상당히 가까워지기 때문에, 특히 첫회의 주출에 있어서는 피포장물이 의도하지 않은 방향으로 유하(flowing)할 우려가 높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제2 목적은 종래의 종이상자가 갖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도 과제로 하고, 특히 포장 구조체를 충전 포장기능을 발휘하는 연질의 포장봉지와 그것에 정형성 등을 부여하는 포장용 상자로 기능 분리시킴으로써 상자 몸체(box body)에 대한 수지 재료의 라미네이트(laminate)를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낡은 종이의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더 나아가서는 상자 몸체 개봉의 번거로움을 제거하며 또한,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은 간이하게 하여 확실한 개봉을 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개봉한 개구의 충분한 폐지도 또한 확실한 것으로 하고, 또한 피포장물의 유출방향의 특정을 용이하게 한 포장봉지용 상자 및 그것을 사용한 포장 구조 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발명의 개시
이 발명에 따라, 역방지 기능(逆止機能)을 구비하는 액체 주출 노즐은,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에서, 그의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에, 최외층의 밀봉층에 의해 기단부(base end portion)가 융착 접합되는 것으로서, 열가소성의 1축 또는 2축 연신의 적절한 증착층 및/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는 베이스 필름층과, 그것을 사이에 끼워 적층한 각각의 밀봉층을 구비하는, 표리(forward and rearward) 각각 측의 적층 필름, 예를 들면, 표리 2매의 적층 필름 또는, 중앙부에서 표리로 접혀지는 1매의 적층 필름을, 한쪽 밀봉층의 상호 대향 자세로 기단 주위를 제외한 주변부분에서 상호 융착시킨 것이다.
이와 같은 액체 주출 노즐은, 표리 각각의 적층 필름의, 예를 들면 무연신 폴리에틸렌층(non-oriented polyethylene layer)(이하 「PE층」이라고 한다) 또는 폴리프로포필렌층(이하 「PP층」이라고 한다)로 할 수 있는 밀봉층을, 적층 필름이 필요로 하는 주위부분에서, 예를 들면, 히트 실링, 고주파 실링, 임펄스 실링 등에 의해 융착시킴으로써, 간이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융착부를 상호로 대향하는 밀봉층의 히트 실링에 의해 형성할 때에는, 비교적 저온으로, 간이 신속하고, 또한, 목적으로 한 폭 등을 갖는 융착부를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되는, 적어도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액체 주출 노즐 및, 후술하는 적어도 2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주출 노즐 중 어느 하나여도, 그의 손가락에 의한 필요에 따른 찢음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1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연신방향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세로방향(MD)을 적층 필름의 거의 폭방향, 다시 말하면, 찢음에 필요한 진행방향을 향하여 배열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 「적층 필름의 거의 폭방향」으로 하는 것은, 액체 주출 노즐을 포장봉지체에 융착 접합시켜 되는 포장봉지 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포장봉지 본체에 일체 구성하여 되는 포장봉지의 어떤 것에 있어서도, 적층 필름의 폭방향은, 통상은 포장봉지의 상하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이 될 때, 노즐의 찢음 개봉의 진행방향, 다시 말하면, 노즐의 주출구 가장자리의 연재방향(extending direction)은,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주출구 가장자리의 하단부분이 포장봉지 본체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0~15° 범위의 각도에서 작위적으로 경사시키는 경우가 있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또한, 이 명세서에서 말하는 베이스 필름층은, 1축 또는 2축 연신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 나일론, 폴리프로필렌 등 외에, 그들 중 어느 하나에 필요한 증착층을 설치한 것에 의해 형성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그것을 2축 연신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으로 할 때에는, 직선 컷팅 폴리에스테르 필름(straight-cutting polyester film)인 「엠블렛 PC」(등록상표: 유니티카(주))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2축 연신 나일론 필름층으로 할 때는, 직선 컷팅 나일론 필름인 「엠블렘 NC」(등록상표: 유니티카(주))를 사용하는 것이, 이하의 이유에 의해 적합하다.
즉, 이것에 의하면, 주출 노즐에, 1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보다 높은 수증기 불투과성, 가스 차단성 등을 부여할 수 있는 것 외에, 주출 노즐의 선단 부분의, 손가락에 의한 직선적인 찢음 제거를 원활하고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찢긴 자국(tearing flaw)을, 보풀 등이 없는 충분히 평활한 것으로 하여, 주출 노즐에 밀폐 봉지기능을 보다 충분히 발휘시킬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제조한, 적어도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주출 노즐은, 노즐의 바깥 표면에 위치하여 되는 밀봉층, 예를 들면, 무연신의 각종 PE층, PP층, 메탈로센 촉매(metallocence catalyst) 폴리에틸렌층 등의 올레핀계 수지층, 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체층,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체층, 아이오노머층(ionomer layer) 등을,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층으로서의, 바람직하게는 동종의 밀봉층에, 예를 들면 히트 실링에 의해 융착시킴으로써, 주출 노즐의 기단부를, 그것도 간이하고 신속하며 또한 항상 확실하게 포장봉지 본체에 융착 접합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서, 포장봉지 본체에 대하여, 그 측부 또는 정상부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는 주출 노즐을 구비한 포장봉지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노즐의 내표면에 위치하게 되는 밀봉층도 또한, 전술한 것과 동일한 재료로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그런데, 내외의 양 표면에 밀봉층을 갖는, 적어도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주출 노즐의 기단부 외표면을,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에, 이와 같이 융착 접합하는데 있어서의, 주출 노즐의 내표면의 상호 융착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서는, 노즐의 기단부 내측에, 보다 고융점의 또는 열용융되지 않는 분리형 시트를 넣어 배치하는 것, 노즐의 내외 표면 각각의 밀봉층의 융착온도를, 예를 들면, 재질의 변경, 동일 재질 각각의 밀봉층의 압출 라미네이트 조건의 변경 등에 의해 상호 상이하게 하여, 노즐 내표면 밀봉층의 융점을, 노즐 외표면의 밀봉층의 그것보다 높게 하는 것 등이 유효하다.
여기에서, 표장봉지에 대한 조미료, 스프 그 밖의 액상 피포장물의 충전 포장은, 적어도 3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액체 주출 노즐의 포장봉지 본체로의 접합공정과 동시에, 또는, 그 접합공정 후에 행할 수 있고, 이 충전 포장은, 예를 들면, 액중충전(液中充塡)을 행하는 것 또는, 피포장물의 충전 후에 봉지 내 공기 빼기를 행하는 것 등에 의해 포장봉지 안으로부터 외기를 충분히 배제한 상태에서 행하는 것이, 봉지 내 피포장물의 산화 등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고, 또한, 주출 노즐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역방지 기능을 보다 확실히 발휘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것은, 포장봉지 본체에,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적어도 2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액체 주출 노즐을 일체 구성하는 경우도 동일하다.
그런데, 봉지 내 피포장의 사용, 소비 등에 있어서의 그것의 주출은, 주출 노즐이 2층 이상의 층 구조의 필름이 되면, 3층 이상의 층 구조의 필름이 되는 것과 다름없이, 그것의 선단의 융착부분을, 손가락에 의한 찢음 절단 등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노즐에 선단 주출구를 형성하고, 이어서, 이 포장봉지를, 노즐의 주출구가 아래쪽을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경동(tilting)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 경우, 연질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주출 노즐은, 피포장물의 수두압(水頭壓)의 작용하에서 표리측에 이격시켜 선단 주출구를 필요량만 개방하여, 피포장물의 필요에 따른 주출을 허용한다.
또한, 피포장물을 이와 같이 하여 주출할 때에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는, 피포장물의 주출에 따라서, 외기가 들어오지 않고, 주출 체적에 대응하는 양만 수축 내지는 압착 변형되게 된다.
포장봉지의 경동에 의해 소요량의 피포장물을 주출한 후에는, 포장봉지를 원래의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 주출을 정지시키고, 이 주출의 정지를 토대로, 피포장물에 젖은 노즐 내표면의, 그 피포장물의 박막의 개재(介在)하에서의 상호의 밀착을, 그의 정지와 동시에, 주출 노즐의 표리 필름의 폭방향, 다시 말하면 상하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가져와 노즐의 선단 주출구를 밀폐하여,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확실히 저지한다.
따라서, 이 주출 노즐을 구비하는 포장봉지에서는, 봉지 내 피포장물은, 피포장물의 주출 전은 물론, 주출 중 및 주출 후에 있어서도 외기와의 접촉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게 되어, 봉지 내 피포장물의 산화, 오염 등이 유효하게 방지되게 된다.
그런데, 주출 노즐의 표리 필름의, 여기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밀착은, 포장봉지의 기립 복귀에 의해서, 주출 노즐이 수두압의 작용으로부터 해방되어 제조시의 원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에 추가하여, 주출 노즐 내의 피포장물이 포장봉지 본채 내로 환류(flowing back)할 때에, 피포장물에 젖은 표리 필름의 내표면이, 감압 분위기에 두어져 상호 흡착되고, 모세관 작용에 의해 그 젖은 상태가 유지되는 것 등에 의해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게 되며, 이와 같은 밀착은,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에 따라서, 수축 내지는 압착 변형된 포장봉지 본체가, 그에 고유의 탄성 복원력을 토대로, 그 내부를 감압 경향으로 하는 경우에 의해 확실해진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주출 노즐에 대한 특별한 조작 등 없이, 포장봉지의 기립 복귀와 함께, 그의 선단 주출구를 자동적으로 밀착 봉지시킬 수 있고, 주출 노즐에 우수한 역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또한, 이 밀착 봉지상태는 통상, 노즐 내면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발생하기 때문에, 그 노즐 안에, 협잡물로서의 고형물이 끼워지는 경우가 있어도, 역지 기능은 확실히 발휘되게 된다.
이의 한편으로, 피포장물의 재차 주출은, 포장봉지를,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경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고, 그 정지도 또한 상술한 것과 동일하게 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또한, 주출 노즐은, 자동적인 밀착 봉지를 토대로, 외기의 진입에 대하여 우수한 역지 기능을 발휘한다.
주출 노즐을 이와 같이 기능시킴에 있어서의, 그의 선단 융착부분의 손가락에 의한 찢음 제거를 위해서는, 3층 이상의 층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층 구조의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항하는 각각의 융착부분의 적어도 한쪽에, 노즐의 개봉위치와 대응하여 위치하는 V자형상 절곡부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의하면, 융착부분 그 자체가 V자형으로 구부러지기 때문에, 융착부분에 V 노치(V-notch), -노치 등의 찢음 유도 흔적을 별도로 형성하지 않고, 그 찢음을 충분히 유도할 수 있으며, 또한 찢음 유도 개소의 시각적인 인지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주출 노즐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층 구조 또는 2층 구조의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항하는 각각의 융착부의 상호를, 앞에 기술한 V자형상 절곡부의 형성위치보다 기단부쪽으로, 그 V자형상 절곡부로부터, 약간의 절곡됨, 정체 등이 있어도 함께 아래쪽을 향하는 경향을 가지고 기울여 연재시키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항하는 각각의 융착부의 간격을, 기단부로부터 V자형상 절곡부의 형성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그 V자형상 절곡부를 향하여 일부에 동일한 간격부분 등이 존재되어도, 경향적으로 점차 감소시킨다.
전자에 의하면, 특히 포장봉지 본체 내에 다량의 피포장물이 존재하는 경우에, 그 피포장물의 주출 노즐로부터 불측의 유출의 우려를 유리하게 제거할 수 있고, 또한 후자에 의하면, 주출 노즐의 선단 주출구로부터 피포장물의 주출에 있어서의, 주출 유량 및 주출방향의 컨트롤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에 따르는 일 포장봉지는, 3층 이상의 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상술한 어느 하나의 액체 주출 노즐의 기단부를,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밀봉층 상호의 융착부에서, 그의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에 융착 접합시키고, 액체 주출 노즐을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로부터 돌출시킨 것이다.
여기에서,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필름 구성은, 그의 외표면에 위치하는 베이스 필름층 및, 내표면에 위치하는 밀봉층의 각각을, 주출 노즐과 동종의 베이스 필름층 및 밀봉층으로 할 수 있고, 또한 그들 사이에 적절한 중간층을 사이에 끼운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일 포장봉지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을 형성하는 밀봉층을, 액체 주출 노즐의 외표면의 밀봉층과 동종의 수지 재료에 의해 구성한다. 이것에 의하면, 액체 주출 노즐의 포장봉지 본체의 융착 접합강도를 충분히 높일 수 있다.
그런데, 3층 이상의 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액체 주출 노즐 및 그것을 융착시키는 포장봉지 본체, 및 이하에서 기술하는 2층 이상의 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주출 노즐 내지는 포장봉지 본체의 각각의 밀봉층은 모두, 베이스 필름층에 대한 압출 라미네이트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트(dry laminate)에 의해, 그것에 적층할 수 있다.
이 발명에 따라, 적어도 2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다른 액체 주출 노즐은,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에, 그곳으로부터 돌출시켜 일체로 구성되는, 통상은 그 포장봉지 본체와 동일한 필름 구성이 되는 것으로,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과, 그것의 한쪽 표면측에 적층한 밀봉층을 구비하는 표리 각각의, 2매의 또는 접히는 형태의 적층 필름을, 밀봉층의 상호 대향 자세로 사전에 형성된, 또는 사후적으로 혹은 동시에 형성되는 포장봉지 본체로부터의 돌출부의 주변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상호 융착시킨 것이다.
이 주출 노즐도 또한, 포장봉지 본체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그 전후에 있어서의, 보다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간이하고 신속하며 또한 저렴하게 나아가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이 확실히 제조함과 동시에, 포장봉지 본체에 항상 적정하게 일체 구성할 수 있으며, 또한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 및 그 정지에 있어서는, 적어도 3층 구조의 필름으로 되는 앞의 액체 주출 노즐과 동일하게 기능시키고,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액체 주출 노즐에 있어서도, 적층 필름의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은, 8~30 ㎛ 두께의 증착층을 갖는, 또는 갖지 않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이하 PET층이라 한다), 또는 나일론 수지 필름층(이하 「NY층」이라고 한다)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 필름의 밀봉층은, 10~60 ㎛ 두께의 무연신 PE층 또는 PP층에 의해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베이스 필름층으로서의 PET층 및 NY층은, 주출 노즐에 우수한 수증기 불투과성 및 높은 가스 차단성을 발휘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고, 또한 밀봉층으로서의 PE층 및 PP층은, 비교적 낮은 온도의 히트 실링 온도에서 우수한 실링 강도를 발휘시키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그런데, 상기 베이스 필름층의 두께를 8 ㎛ 미만으로 했을 때에는, 수증기 불투과성, 가스 차단성 등이 부족할 우려가 있고, 한편, 30 ㎛를 초과하는 두께로 했을 때에는, 적층 필름의 굽힘 강도가 너무 커져,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 후의, 노즐 내표면의 밀착성이 손상될 우려가 있다.
또한, 밀봉층에 대해서는, 그것이 10 ㎛ 미만의 두께에서는, 충분한 실링 강도를 확보할 수 없는 우려가 있고, 60 ㎛를 초과하면, 적층 필름의 굽힘강도가 너무 커질 우려가 있다.
또한,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수증기 투과도(JIS K7129)는, 어느 하나의 액체 주출 노즐에 있어서도, 온도 40℃, 습도 90%에서, 10 g/(㎡·24h)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증기 투과도가 10 g/(㎡·24h)를 초과하면, 피포장물 박막의 개재하에서 밀폐상태가 유지되는 액체 주출 노즐의, 그 개재 박막이 비교적 조기에 상실되어, 주출 노즐의 밀폐상태가 10일 이내의 단기간에 해제되어 버리는 우려가 있고, 또한, 수분 등의 액분(liquid content)의 소실 후의 석출 결정이 노즐 내표면의 블록킹(blocking)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여기에서, 적층 필름의 15 ㎜ 폭당 굽힘강도, 다시 말하면 휨강도(nerve)는, 후술하는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여 40~300 mN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휨강도가 40 mN 미만에서는,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에 있어서의, 그것의 주출방향 등의 정확한 특정이 어려워지는 것 외에, 포장봉지 본체에 일체 구성되며 그와 동일한 적층 구조가 되는, 2층 이상의 층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액체 주출 노즐에서는, 포장봉지 본체의 약함을 부인할 수 없고, 포장봉지 그 자체의 강도 부족이 현재화(顯在化)될 우려가 있다.
한편, 300 mN를 초과하면, 적층 필름의 적층 구조에 관계없이, 주출 노즐의 밀착 봉지기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또한, 적층 필름의 거의 폭방향으로 뻗은 노즐 주출구 가장자리의 연재 길이는 그 적층 필름의 적층수에 관계없이 5~40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 있어서 「거의 폭방향」은 앞서 기술한 것과 동일하게 찢음의 진출방향, 더 나아가서는 노즐 주출구 가장자리의 연재방향을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하여 0~15° 범위의 각도로 경사시키는 경우가 있다는 점을 고려한 것이다.
노즐 주출구 가장자리의 길이가 5 ㎜ 미만에서는 포장봉지 본체의 용적과의 관련에 있어서 주출량이 너무 작은 한편, 그것이 40 ㎜를 초과하면 주출방향의 정확한 특정이 어려워짐과 동시에, 주출 노즐 안으로의 외기의 불측의 진입의 우려가 높아진다.
그리고, 2층 이상의 층의 적층 구조가 되는 적층 필름으로 되는 다른 액체 주출 노즐을 사용한 다른 포장봉지는, 앞서 기술한 어느 하나의 동일한 주출노즐을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로부터 포장봉지 본체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그의 형성 후에 포장봉지 본체에 일체 구성한 것이다.
또한 전자는, 액체 주출 노즐을 문자 그대로 포장봉지 본체의 형성과 동시에 제조하는 경우 외에 주출 노즐의 제조보다 늦게 포장봉지 본체를 형성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 포장봉지에서는 포장봉지 본체를 위한 적층 필름과 액체 주출 노즐을 위한 적층 필름을 공용함으로써, 그들 양자의 융착 접합을 위한 공정을 불필요하게 함과 동시에 독립된 주출 노즐의 제조를 불필요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접합 불량 등의 발생을 완전히 제거하고, 또한 소요의 포장봉지의 보다 간이하고 신속하여 저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포장봉지도 또한 피포장물의 주출에 있어서는, 액체 주출 노즐을 앞서 기술한 하나의 포장봉지와 동일하게 기능시킬 수 있고,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 후에는 피포장물의 박막의 개재하에서의 그 주출 노즐의 밀착 봉지를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여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상에 기술한 포장봉지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적층 구조에 관계없이, 액체 주출 노즐의 적어도 주출구 형성부분의 외표면, 즉, 주출구 근방의 외표면에 실리콘 오일(silicone oil), 밀랍형상 물질(waxy substance)이나 그 밖의 발수성 물질을 도포한 경우, 그 외표면에 연꽃잎(lotus leaf)이나 토란잎(aroid leaf)과 같은 초미세한 요철을 부여한 경우 등에는, 포장봉지를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 피포장물의 주출을 정지시킬 때의 이른바 액 차단성을 높여, 피포장물의 불측의 떨어짐을 유효하게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상과 같은 포장봉지의 사용방법에 있어서는, 포장봉지의 액체 주출 노즐의 선단부를 찢음 제거 또는 절제 제거하여 주출구를 형성한 상태에서 포장봉지 내의 피포장물을, 예를 들면 종이제 등의 상자 몸체 내에 수납한 그 포장봉지의 경동 자세로, 액체 주출 노즐에 설치한 주출구로부터 외기의 흡입 없이 주출함과 동시에, 포장봉지의 기립 복귀를 토대로 한 주출의 정지에 따라서 그의 액체 주출 노즐의 내표면을 그의 내표면을 적시는 피포장물의 박막의 개재하에서 전체에 걸쳐서 밀착시켜 외기의 포장봉지 내로의 진입을 저지한다.
이와 같이 하여 사용할 때에는, 피포장물의 주출을 포장봉지 본체의 수납 내지는 압착 변형하에서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의 들어옴 없이 행함과 동시에, 그 주출의 정지 후에는 주출 노즐 내표면의 밀착 봉지로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주출 노즐 내에 고형물을 끼우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저지할 수 있고, 포장봉지 내에 잔류하는 피포장물의 외기에 의한 오손, 산화 등을 충분히 저지할 수 있다.
이상에 기술한 바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2층 이상 또는 3층 이상의 적층 구조의 2매의 또는 접힘 구조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액체 주출 노즐을 매우 저렴하게 제조할 수 있고, 게다가, 주출 노즐의 포장봉지 본체와의 일체 구성 또는 그곳으로의 접합을 일반적인 히트 실링 등으로 간이하고 항상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봉지 내 피포장물의 주출은 첫회의 주출시에 노즐 선단 부분의 찢음 제거 등을 제거하고, 노즐에 대한 특별한 조작 등 없이 포장봉지 그 자체의 경동 및 기립 조작만으로 간단히 행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액체의 주출에 수반되는 포장봉지 본체의 압착 변형 등과 주출 노즐의 우수한 역지 기능의 발휘에 의해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저지함으로써, 봉지 내 피포장물을 산화, 오염, 풍미 저하 등으로부터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이 발명의 포장봉지용 상자는 종이제의 상자 몸체의 일 측벽 상부에, 그 측벽의 각도를 지점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요동 변위(swingably displace)하고, 그의 측벽 상부에 설치한 개구 내로 바람직하게는 꼭 끼는 도어 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측벽에 도어 부재의 외표면에 끼우는 돌출부를 설치한 것이다.
여기에서, 돌출부의 도어 부재에 대한 형성위치는 도어 부재의 상하방향, 수평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뻗은 직선형상 연재부분과 대응하는 위치로 할 수 있는 것 외에, 도어 부재의 윤곽형상이 출각 또는 입각이 되는 구석부와 대응하는 위치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특히 후자에 의하면, 충분히 작은 일 돌출부를 가지며, 도어 부재 부족의 개방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도어 부재에 측벽의 내표면에 끼워 도어 부재의 잉여의 개방을 구속하는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여 된다. 또한, 이 스토퍼는 연결 부재를 매개로 하여 도어 부재의 상단에 연결시키는 것이 포장용 상자의 재료를 취하는 점 및 그 상자의 조립공정의 점에서 유리하다.
그리고 이 경우는, 연결 부재를 도어 부재의 요동지점 주위에 거의 부채형상으로, 예를 들면 90°의 각도범위에 걸쳐 형성되고, 상기 측벽과 그에 연속되는 뚜껑 또는 정상부의 접힘편과의 경계부에 미끄러져 접하는 개폐 가이드로 하는 것이 도어 부재의 원활하고 확실한 개폐 작동을 담보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자 몸체의 적어도 하반부에서, 각 측벽의 전폭 또는 적어도 그 일부에 수평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오목면(convex) 또는 볼록형상(concave)을 소정의 간격을 두어 설치한다. 이에 따르면, 상자 몸체의 변형강도를 높일 수 있고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한 연질 포장봉지를 상자 몸체에 수납한 경우의 상자 몸체의 팽창 변형(expansion deformation)을 얇은 종이재료의 사용하에서 유리하게 저지하여 정형성을 보다 유효하게 높일 수 있다.
그런데, 상자 몸체를 내수종이제(耐水紙製)로 했을 때에는, 예를 들면 결로나 그 밖에 의한 다소의 습윤에 대해서는 상자 몸체로의 수지 재료의 라미네이트 내지 정형성을 보다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포장 구조체는, 전술한 어느 하나의 포장봉지용 상자를 사용한 것으로, 선단을 봉지한 평탄한 액체 주출 노즐을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분에, 그것의 측방으로의 돌출 자세로 융착시켜 되는 포장봉지를 포장봉지용 상자 내로 수납하고, 그 액체 주출 노즐을 도어 부재의 내면측에 취부함과 동시에, 액체 주출 노즐의 일부를 도어 부재의 요동 지점에 대응시켜 위치시킨 것이다.
이러한 포장 구조체가 그 본래의 기능을 발휘하는 것은, 포장봉지 내에, 예를 들면 액상의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하여 되는 경우이고, 이 경우에는 포장봉지가 상자 몸체의 저부에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해야하며, 포장봉지의 상부를 그것의 복수개소에서 상자 몸체의 상부, 정상부 등에 고정 또는 고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액체 주출 노즐을 적어도 그 선단 부분이 도어 부재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된 자세로 도어 부재에 취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에 의하면, 액체 주출 노즐에 선단개항(top end port)을 설치하여, 그곳으로부터 액상의 피포장물을 주출함에 있어서 도어 부재의 내표면이 그 피포장물에 젖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상자 몸체의 기립 조작을 토대로 한 그 주출 정지에 있어서, 도어 부재에 부착된 피포장물이 상자 몸체의 내부로 유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액체 주출 노즐은 도어 부재의 내면측에 직접적으로 또는 스페이서를 개재시켜 국부적으로 고정 또는 고착함으로써 도어 부재에 장착할 수 있는 것 외에, 도어 부재의 내면측에 유지함으로써 그곳에 취부하는 것도 가능하고, 액체 주출 노즐의 이 유지는, 도어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액체 주출 노즐을 구속하는 접힘편의 접힘 고정 또는 고착으로 행할 수 있다.
또한, 이 접힘편은 도어 부재로 일체 형성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지만, 그 접힘편을 액체 주출 노즐의 선단 부분을 도어 부재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그 도어 부재와 일체의 또는 별체가 되는 스페이서 부재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발명의 포장봉지용 상자에서는, 종이제의 상자 몸체의 한 측벽의 상부에서 도어 부재를 요동 변위시킴으로써, 그것을 측벽 상부의 개구로부터 이격시키는 개방위치와, 그 측벽 개구에, 바람직하게는 꼭 끼는 폐지위치(閉止位置)와의 사이에서 개폐 변위시킬 수 있고, 도어 부재의 폐지위치에서는 그것의 상자 몸체의 내측방향의 누름(pushing)을 토대로 그 도어 부재 및 측벽쪽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를 도어 부재의 외표면에 상호 맞물림으로써, 도어 부재를 그 폐지위치에 확실히 구속할 수 있다.
이의 한편으로, 도어 부재의 개방은 측벽의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의 근방부분을 손가락에 의해 눌러 변형시키고, 그 돌출부 및 도어 부재의 적어도 한쪽의 탄성 변형을 가지며, 돌출부의 도어 부재의 안쪽으로의 인입을 가져오고, 이어서, 그 도어 부재를 그것에 손가락을 걸어 개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여기에서는, 도어 부재의 개방, 더 나아가서는 상자 몸체의 개봉을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항상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이 간이하게 행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도어 부재의 폐지에 수반되는 개구의 폐지를 확실히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이 포장봉지용 상자는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한 연질의 포장봉지에 정형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그것의 경동 주출 조작을 돕기 위해 기능하는 것으로서, 피포장물의 그곳으로의 직접적인 충전 포장을 행하지 않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상자 몸체 그 자체를 내수종이제로 하는 것만으로, 수지 재료의 라미네이트층을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고, 또한, 상자 몸체에 낡은 종이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 포장봉지용 상자에서는, 포장봉지의 액체 주출 노즐을 도어 부재의 내면측에 취부함으로써, 그 노즐에 설치한 개구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유출방향을 항상 용이하게 특정할 수 있고, 피포장물을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은 위치로 확실히 유하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것은, 도어 부재에 그것의 개방 한계위치를 특정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피포장물의 주출시의 그 도어 부재의 개방위치를 개방 한계위치로 특정한 경우에 보다 효과적이다.
여기에서, 상자 몸체의 적어도 하반부에, 수평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오목면을 설치한 경우에는, 상자 몸체를 구성하는 종이의 두께를 얇게 하고 또한,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하여 포장봉지용 상자 안으로 수납되는 포장봉지에 대한 변형강도를 높여 우수한 정형성을 가져올 수 있다. 이것에 의하면, 예를 들면 1000 ㎖의 피포장물에 대하여 270~350(g/㎡)의 종이를 사용하여 충분한 정형성을 발휘시킬 수 있다.
그리고 또한, 이 발명의 포장 구조체에서는, 도어 부재의 내면측에 장착된 액체 주출 노즐의 선단 부분을 그의 도어 부재의 개방하에서, 예를 들면 손가락에 의한 찢음에 의해 절제하고, 그 주출 노즐에 개구를 형성함으로써, 포장봉지에 충전 포장한 피포장물을 포장봉지용 상자의 경동 조작을 토대로 상기 개구를 거쳐 적절히 주출 및 정지시킬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 포장봉지를 포장봉지용 상자와 함께, 노즐의 개구가 아래쪽으로 향하는 자세가 되도록 경동시킨 경우에는, 연질의 적층 필름으로 되는 주출 노즐은, 피포장물 수두압의 작용하에서 표리측에 이격시켜 선단 개구를 개방하고, 피포장물의 소요에 따른 주출을 허용한다.
또한, 피포장물을 이와 같이 하여 주출할 때에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는, 피포장물의 주출에 수반하여 외기가 들어오지 않고 주출 체적에 대응하는 양만 수축 내지는 압착 변형하게 된다.
이의 한편으로, 소요량의 피포장물을 주출한 후에는 포장봉지를 상자와 함께 원래의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 주출을 정지시키고, 이 주출의 정지와 동시에, 주출 노즐의 표리 필름의 폭방향, 다시 말하면, 상하방향의 전체에 걸친 상호의 밀착을 가져와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확실하게 저지한다.
따라서, 이 주출 노즐을 구비하는 포장봉지에서는, 봉지 내 피포장물은, 피포장물의 주출 전은 물론, 주출 중 및 주출 후에 있어서도 외기와의 접촉으로부터 충분히 보호되게 되어 봉지 내 피포장물의 산화, 오염 등이 유효하게 저지되게 된다.
그런데, 주출 노즐의 표리 필름의 여기에 있어서의 이와 같은 밀착은, 포장봉지의 기립 복귀에 의해 주출 노즐이 수두압의 작용으로부터 해방되어 제조시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에 첨가하여, 주출 노즐 내의 피포장물이 포장봉지 본체 내로 환류할 때에 표리의 필름이 감압 분위기에 두어져 상호로 부압(負壓) 흡착되는 것 등에 의해, 주출 노즐의 거의 전체에 걸쳐서 자동적으로 행하게 되고, 이와 같은 밀착은,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에 따라서, 수축 내지는 압착 변형된 포장봉지 본체가 또한 고유의 탄성 복원력을 토대로 그 내부를 감압 경향으로 함으로써 돕게 된다.
이렇게 하여 여기에서는, 주출 노즐에 대한 특별한 조작 등 없이 포장봉지의 기립복귀와 함께 그 선단 개구를 자동적으로 밀착 봉지시킬 수 있고, 주출 노즐이 우수한 역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피포장물의 소요의 주출을 행한 후에는, 포장봉지용 상자의 도어 부재를 그것이 측벽 개구에 끼워지는 폐지위치에 가져오고, 도어 부재의 외표면으로의 측벽 돌출부의 상호 맞물림을 가져와, 도어 부재를 폐지 자세로 유지한다.
도어 부재의 이와 같은 폐지 자세 하에서는, 일부가 도어 부재의 요동 지점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액체 주출 노즐은, 예를 들면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지게 되어, 그의 주출 노즐의 표리 필름의 상호 밀착을 한층 확실히 하기 때문에, 도어 부재의 폐지상태에 있어서는 외기 등의 포장봉지 내로의 진입은 보다 충분히 저지되게 되고, 또한, 포장봉지용 상자를 실수로 쓰러뜨린 경우가 있어도 피포장물의 불측의 누출을 유효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피포장물의 재차의 주출은 상자의 도어 부재를, 그것과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와의 상호 맞물림을 해제하여 개방함과 동시에, 포장봉지를, 그 상자와 함께 전술한 바와 같이 하여 경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고, 그 정지도 또한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하여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도 또한, 주출 노즐은, 자동적인 밀착 봉지를 토대로, 외기의 진입에 대하여 우수한 역지 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액체 주출 노즐의, 도어 부재의 내면측으로의 취부는, 국부적인 고정 또는 고착으로 행함으로써, 피포장물의 주출에 수반되는, 노즐의 표리 필름의 충분한 이격 변위를 원활하게 행하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주출 노즐의, 어느 한쪽의 필름을, 그 전폭에 걸쳐 기계적으로 고정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해 고착한 경우에는, 주출 노즐의 표리 필름의, 충분히 큰 이격 변형을 담보할 수 없게 된다.
그리고 이것은, 예를 들면 도어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한 접힘편의 접힘 고정 또는 고착으로 주출 노즐을 유지하는 경우에도 또한 동일하고, 접힘편에 의해 주출 노즐을 강하게 사이에 끼웠을 때에는, 피포장물의 주출에 있어서의, 노즐의 표리 필름을 충분히 이격시킬 수 없게 된다.
여기에서, 주출 노즐을 접힘편 등으로 유지하는 경우에는, 특히, 도어 부재의 폐지 작동에 수반되는, 액체 주출 노즐의, 전술한 바와 같은 굽힘 변형을, 그 접힘편에 의해 확실히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이 발명의 액체 주출 노즐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는, 주출 노즐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Ⅲ-Ⅲ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주출 노즐의 찢음 개봉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이 발명의 포장봉지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포장봉지로의 피포장물의 충전 포장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상자 몸체에 수납한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액체 주출 노즐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휨강도의 측정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포장봉지용 상자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전개도이다.
도 12는, 포장봉지용 상자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어 부재의 폐지하에서의 스토퍼 및 연결 부재의 수납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확대도이다.
도 14는, 스토퍼의 기능상태를 나타내는, 부분 파단 평면도이다.
도 15는, 스페이서 등을 비스듬이 아래쪽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6은, 접힘편에 의한 주출 노즐의 유지상태를 나타내는 도 15와 동일한 도면이다.
도 17은, 스토퍼 외의 형성예를 나타내는 요부 전개도이다.
도 18은, 피포장물의 주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 발명의 액체 주출 노즐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 1에 있어서, 액체 주출 노즐(1)은, 도면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2)의 예를 들면 측부의 융착부에서, 그것의 내표면의 밀봉층에, 최외층의 밀봉층, 바람직하게는 포장봉지 본체의 밀봉층과 동종의 수지재료로 되는 밀봉층에 의해 기단부가 융착 접합된다.
여기에서, 이 액체 주출 노즐(1)은, 열가소성 베이스 필름층, 예를 들면 5~40 ㎛, 바람직하게는 8~30 ㎛ 두께의, 1축 또는 2축 연신 소요의 증착층을 갖는 경우도 있는 PET층 또는 NY층과, 그 베이스 필름층의 양면에 적층한 각각의 밀봉층, 예를 들면 5~80 ㎛, 바람직하게는 10~60 ㎛ 두께의 무연신 PE층 또는 PP층과 3층으로 되는, 표리의 각각의 측에 배열 설치되는 적층 필름, 즉, 윤곽형상이 모두 동일 표리 2매의 적층 필름 또는, 중앙부에서 표리에 접혀 되는 1매의 적층 필름을, 내면측 밀봉층의 상호 대향 자세로, 기단 주위를 제외한 각 주변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도면에 사선을 그어 나타내도록 상호 융착시킴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 중 3은, 주출 노즐(1)을 찢을 예정위치로, 노즐 폭방향, 통상은 도면의 상하방향에 대항하는 한쪽 융착부에 형성한, 찢음 개시 흔적을 대신하는 V자형상 절곡부를 나타내고, 이 V자형상 절곡부(3)은, 주출 노즐(1)의 선단 융착부(4)를 포함하는 노즐 선단의 찢음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기능한다. 여기에서, 이 V자형상 절곡부(3)은, 전술한 바를 대신하여, 또는 첨가하여, 도면의 아래쪽 융착부에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노즐의 폭방향에 대항하여 위치하고, 주출 노즐(1)의 기단 주위까지 뻗은, 도면에서는 상하 2개의 융착부(5, 6)의 각각은, V자형상 절곡부(3)의 형성위치보다 기단부쪽에서, 그 V자형상 절곡부(3)으로부터 경향적으로 모두 아래쪽으로 기울여 연재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그들 융착부(5, 6)의 간격은, 기단부로부터 V자형상 절곡부(3)의 형성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그 V자형상 절곡부(3)을 향하여 이것도 경향적으로 점차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노즐(1)의 기단 주위의 내폭(inner width)을 40 ㎜, 그의 기단 주위로부터 V자형상 절곡부(3)의 형성위치까지의 길이를 31 ㎜, 그리고 V형상 절곡부(3)의 형성위치에서의 내폭을 14 ㎜로 할 수 있다. 이러한 주출 노즐에 있어서, 통상은, 기단 주위쪽의 약 10 ㎜폭의 기단부는, 포장봉지 본체(2)로의 융착 접합대가 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주출 노즐은, 도 3에, 도 1의 노즐 폭방향의 Ⅲ-Ⅲ선을 따라 확대 단면도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상호 융착되는 표리 각각의 적층 필름(7, 8)을, 예를 들면, 세로방향(MD)를 적층 필름의 거의 폭방향을 향하여 설치한 각각의 베이스 필름층(9)와, 이 베이스 필름층(9)의 양면에 적층한 각각의 밀봉층(10, 11)과의 3층 구조로 한 바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내면측 밀봉층(10)끼리를, 기단 주위를 제외한 주변부분에서, 소정의 폭, 예를 들면 0.5~3 ㎜의 폭, 바람직하게는 1.0~2.0 ㎜의 폭에 걸쳐서, 적합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소요의 실링형태하에 융착시킴으로써, 간이하고 신속하게, 또한 항상 확실히 제조할 수 있고, 이러한 주출 노즐(1)은, 그의 평탄형상 때문에, 그의 기단부에서 외면측 밀봉층(11)을 포장봉지 본체(2)의 내표면에, 이것도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융착시킴으로써, 그의 포장봉지 본체(2)에, 항상 적정하고 확실하게, 또한 간단하게 접합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주출 노즐(1)에 있어서, 그 개봉 개소가 되는 V자형상 절곡부(3)은, 도 1에 나타내는 평면도에서, 노즐 레벨이 가장 높아지는 위치보다 어느 정도 선단측으로 기울어져, 아래쪽으로 기울어진 부분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르면, 노즐(1)을 개봉하여 피포장물을 주출한 후, 포장봉지를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 그 주출을 정지시킬 때에, 특히, 노즐(1)의 아래쪽 융착부의 경사 융착부분의 작용하에서 액 차단성을 향상시키고, 노즐(1)의 아래쪽 면을 따라 피포장물이 방울져 떨어지는 것을 유리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 액 차단성에 대해서 보면, 주출 노즐(1)의 찢음 선단 주출구는, 도 4(a)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수직방향으로 연재하는 것에 비하여,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단이 앞쪽으로 15°까지의 각도 범위에서 어느 정도 돌출되는 아랫입술이 윗입술보다 나온 입모양과 유사한 선단 주출구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것은, 예를 들면, 1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연신 방향 또는, 상기 「엠블랫 PC」 등의 세로방향(MD)을, 찢는 선단 개구의 소요의 연재방향으로 일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은,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로의 피포장물의 충전 포장과 동시에 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포장물의 충전 포장에 앞서, 예를 들면, 그의 포장봉지 본체(2) 측부의 밀봉층 상호의 융착부에서, 포장봉지 본체(2)의 내표면에, 노즐(1)의 기단부 외표면의 밀봉층(11)을,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융착 접합시킴으로써 포장봉지(12)의 일부가 되어, 포장봉지 본체(2)의 도면에서는 상단부로부터 옆쪽으로 돌출된다. 여기에서, 포장봉지 본체 그 자체 및 포장봉지 본체(2)와 주출 노즐의 융착부는 도면에 사선을 그어 나타낸다.
또한, 노즐(1)의 기단부 외표면의 포장봉지 본체(2)로의 이와 같은 융착 접합에 있어서의, 노즐 내표면의 밀봉층(10)의 상호 융착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그들의 내외 밀봉층(10, 11)의 융점을 다르게 하는 것 등이 유효하다.
여기에서,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2)의 내표면을 형성하는 밀봉층은, 노즐 외표면의 밀봉층과 동종의 수지 재료로 구성하는 것이, 융착 강도를 높이는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포장봉지 본체의 증착층 및/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층을 갖는 경우도 있는 베이스 필름층은, 노즐(1)의 그것과 동종인 것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 외에, 소요의 물성을 갖는 각종 재료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층만으로는 포장봉지에 소요의 물성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밀봉층과 베이스 필름층의 사이에 중간층을 사이에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포장봉지(12)는, 그곳으로 액상 피포장물을,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뺀 상태하에서 충전 포장함으로써,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팽만 형태(expansion form)를 취하는 것이 되지만, 연질의 포장봉지 그 자체는, 통상은 자립성도 정형성도 갖지 않기 때문에, 피포장물의 반송, 보관, 진열, 사용 등에 있어서는, 그것을 종이제 등의 상자 몸체 내에, 복수 개소로의 고정 또는 고착하에서 수납하여, 포장봉지에 자립성 및 정형성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의 한편으로, 충전 포장한 피포장물의 소요량의 주출에 있어서는, 주출 노즐(1)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에서는 위쪽의 융착부(5)의 V자형상 절곡부(3)으로부터 노즐(1)의 선단 부분을, 예를 들면, 손가락에 의해 찢어 제거하여 포장봉지(12)를 개봉하고, 이어서 그의 포장봉지(12)를,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수납 유지하는 상자 몸체와 함께 경동시킨다.
도 7은, 이 경동 상태를 예시하는 도면으로, 이 경동 자세하에서는, 상자 몸체(13) 내의 포장봉지(12)의, 그의 상자 몸체(13)으로부터 돌출되는 노즐(1)의 선단 주출구가, 봉지 내 피포장물의 수두압에 의해, 표리측에 필요량만 개방되게 되어, 소요에 따른 주출이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주출은, 봉지 내 피포장물의 감소에 따라서 상자 몸체(13)의 경동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행하여지게 된다.
여기에서, 연질의 포장봉지(12)는, 피포장물의 이와 같은 주출에 있어서는, 주출량 체적에 따른 수납 변형 내지는 압착 변형을 행하기 때문에, 그 주출에 수반되는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은 충분히 방지되게 되고, 봉지 내 피포장물은 외기에 대하여 유효하게 보호되게 된다.
이에 따라서 소요량의 피포장물을 주출한 후에는, 상자 몸체(13)을 도면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 그의 주출을 정지시키고, 또한, 노즐(1)의 선단 주출구의 자동적인 밀착 폐지를 가져온다.
여기에서, 주출 노즐(1)의 이 밀착 봉지는,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주출 노즐(1)이 수두압으로부터 해방되어, 표리의 적층 필름(7, 8)이 주출 노즐(1)의 제조시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는 것 및, 주출 노즐(1) 내의 피포장물이 포장봉지 본체(2) 내로 유하할 때에 표리의 필름(7, 8)이 감압 분위기에 놓여짐으로써, 연질의 그들 필름의 내표면이, 피포장물의 모세관 현상과 더불어, 그에 부착된 피포장물의 개재하에서, 적어도 노즐 폭의 전체에 걸쳐서 상호 부압 흡착되는 것 등에 의해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밀착 봉지는, 압착 변형 등이 된 피포장봉지 본체(2)가, 고유의 탄성 복원력을 토대로 포장봉지(12) 내를 감압 경향으로 하는 경우에 의해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주출의 정지와 동시에 노즐(1)의 밀착 봉지 및, 그의 밀착 봉지의 그 다음의 계속 유지를 토대로, 주출의 정지시로부터 봉지 내 피포장물을 외기로부터 계속적으로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고, 이것은, 노즐 내에 고형물 등이 끼워진 경우에도 동일하다.
이와 같이 여기에서는, 간단한 구조로 저렴한 주출 노즐(1)을 포장봉지 본체(2)에 히트 실링 등으로 융착 접합시킴으로써, 그들 양자의 항상 확실한 접합을 간이하게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포장봉지(12) 내의 피포장물의 주출 작업에 있어서의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을, 주출 노즐(1)에 대한 특별한 조작 등 없이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기의 진입은, 피포장물의 재차의 주출을 위한, 포장봉지(12)의 그 다음의 경동 및 그에 계속되는 기립 복귀에 있어서도 또한 충분히 방지되게 된다.
도 8은, 이 발명의 다른 액체 주출 노즐의 실시형태를,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와 함께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이다.
포장봉지 본체(21)의 형성과 동시에, 또는, 그 형성 전 또는 후에 그것과 일체로 구성되는 이 액체 주출 노즐(22)는, 도 8의 Ⅸ-Ⅸ선에 따른 단면을 나타내는 도 9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23)에, 밀봉층(24)를 압출 라미네이트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적층하여 되는, 예를 들면 2매의 적층 필름(25, 26)을, 밀봉층(24)의 상호 대향 자세로, 포장봉지 본체(21)로부터의 돌출부, 도면에서는 상단부의 옆쪽으로의 돌출부의 주변부분에서, 바람직하게는 히트 실링에 의해, 상호 융착 접합시킴으로써 형성하여 되고, 적층 필름(25, 26)의 폭방향에 대한 각각의 융착부(27, 28)에, 상하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찢음 개봉용 각각의 V자형상 절곡부(29, 30)을 설치한 것이다.
여기에서 베이스 필름층(23)은,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8~30 ㎛ 두께의, 1축 또는 2축 연신의 증착층 및/또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박층을 포함하는 경우도 있는 PET층 또는 NY층으로 하는 것이, 그리고 밀봉층(24)는 10~60 ㎛ 두께의 무연신 PE층 또는 PP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여기에 있어서의 이 주출 노즐(22)도, 1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연신방향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세로방향(MD 방향)을, 적층 필름(25, 26)의, 도 8에 나타내는 거의 상하방향과 대응하는 거의 폭방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적층 필름(25, 26)의, 폭방향에 대향하는 각각의 융착부(27, 28)의 상호, 더 나아가서는, 그들로 구획되는 노즐 유로(31)을, V자형상 절곡부(29, 30)의 형성위치보다 기단부쪽으로, 경향적으로 아래로 향하여 연재시키는 것, 및 그들의 융착부(27, 28)의 간격을, 기단부로부터 V자형상 절곡부(29, 30)의 형성위치까지의 사이에서, V자형상 절곡부(29, 30)을 향하여, 경향적으로 점차 감소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여기에 있어서의 액체 주출 노즐(22) 및, 전술한 액체 주출 노즐(1)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JIS K7129에서 말하는 수증기 투과도는, 온도 40℃, 습도 90%의 조건하에서 10 g/(㎡·24 h) 이하로 하는 것이, 피포장물에 젖어 밀착 봉지상태가 되는 주출 노즐(1, 22)의, 피포장물에 의한 습윤상태, 더 나아가서는, 그 밀착 봉지상태를 장기간에 걸쳐서 유지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즉, 수증기 투과도가 10 g/(㎡·24 h)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주출 노즐(1, 22)의 밀착 봉지에 기여하는 피포장물의 막 두께를, 노즐 유로(31)의 구획에 기여하는 표리 각각의 필름 단위면적당 10 ㎛로 했을 때, 개재된 피포장물의 수분이, 8일간으로 소실되게 되어, 주출 노즐의 역지 기능이 손상되게 되기 때문에, 주출 빈도가 낮은 피포장물에 있어서는, 역지 기간이 너무 짧아질 우려가 있다.
이의 한편으로, 각각의 주출 노즐(1, 22)의 구성 소재로서의 적층 필름(7, 8, 25, 26)의 15 ㎜ 폭당 굽힘강도는 40~300 mM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이 굽힘강도는, 도 10에 개략 사시도로 예시하는 바와 같이, 15 ㎜ 폭의 적층 필름(F)를 클램퍼(clamper)(C)로 끼워두어, 그의 적층 필름(F)의 클램퍼(C)로부터의 돌출 길이를 5 ㎜로 한 바에 있어서, 적층 필름(F)를 클램퍼(C)와 함께 왕복 위치시키고, 적층 필름(F)의 선단부를, 위쪽으로부터 돌출시킨 니들 센서(needdle sensor)(N)에, 2 ㎜의 돌출방향 길이에 걸쳐서 간섭시키고, 적층 필름(F)의, 도면에 확대 단면 사시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굽힘 변형 하에서, 그것을 니들 센서(N)의 아래쪽으로 통과시킬 때의, 니들 센서(N)으로의 입력의 크기를 측정함으로써 구한 값이고, 이 방법에 따라서 측정한, 공지의 2축 연신 PET층의 굽힘강도, 즉 휨강도는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Figure 112007016769415-PCT00001
또한, 동일하게 하여 측정한 2축 연신의, 실리카 증착층을 포함하는 PET층 또는 NY층을 베이스 필름층으로 하고, 이 베이스 필름층에, 밀봉층으로서의 시판되는 로딩 시티 폴리에틸렌(loading city polyethylene)이나 리니어 로딩 시티 폴리에틸렌(linear loading city polyethylene) 등의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을, 압출 라미네이트 또는 드라이 라미네이트에 의해 적층하여 되는, 특히, 도 8에 나타내는 액체 주출 노즐(22)의 제조에 사용하여 적합한 적층 필름의 휨강도는 표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되었다.
Figure 112007016769415-PCT00002
또한 여기에 있어서, 휨강도의 하한치를 40 mN로 하는 것은, 전술한 바와 같이, 포장봉지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주출에 있어서의, 주출방향의 정확한 특정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특히, 주출 노즐(22)와 일체 구성이 되는 포장봉지 본체의 강도 부족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상한치를 300 mN로 하는 것은, 주출 노즐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에 수반되는, 확실한 밀착 봉지를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액체 주출 노즐(1, 22)에 있어서, 그것을 찢음 개봉 등을 한 후에 있어서의, 노즐 주출구 가장자리의 길이는 5~40 ㎜ 범위로 하는 것이, 피포장물의 충분한 주출량을 확보하면서, 그것을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의 우려 등에,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은 위치에 적정하게 주출함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이상에 전술한 바와 같은 액체 주출 노즐(1, 22)에 있어서,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에 수반되는 노즐의 밀봉 폐지에 있어서, 노즐(1, 22) 내에 개재되는 피포장물의 박막 두께는, 피포장물의 점도, 수분 함유량, 노즐 그 자체의 습윤성 그 외의 관련에 있어서, 1~50 ㎛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8에 나타내는 바에서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21)의 옆쪽 상단부에 주출 노즐(22)를 돌출 구성하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주출 노즐(22)의 돌출 설치 위치 및 돌출 형태는, 소요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할 수 있고, 포장봉지 본체(21)의 정상부에 돌출 설치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이와 같이 하여 구성하여 되는 포장봉지에서는, 액체 주출 노즐을 포장봉지 본체에 일체 구성하면, 별체 구성하는 것과 다름없이, 주출 노즐(1, 22)의 적어도 주출구의 형성부분의 외표면, 다시 말하면 V자형상 절곡부(3, 29, 30)에서의 노즐 선단부의 찢음 등에 의해 형성되는 선단 주출구의 위치보다 노즐 기부측이 되는 외표면에 실리콘 오일 그 밖의 발수성 물질을 도포 등을 한 경우에는, 피포장물의 주출 정지시에 액 차단성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액체 주출 노즐(22)를 포장봉지 본체(21)에 일체 구성하여 되는, 도 8에 나타내는 포장봉지에 의해서도 또한, 그곳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 포장한 피포장물의 주출 및 그의 정지에 있어서는, 액체 주출 노즐(22)의, 앞서 기술한 주출 노즐(1)과 완전히 동일한 기능에 의한, 자동 역지 기능하에서, 포장봉지 본체(21) 내의 외기 진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이상에 기술한 액체 주출 노즐은, 간장이나 소스, 드레싱 등의 액체 조미료, 각종 스프, 우유음료나 과즙 등 외에, 오일, 술이나 와인 등의 알코올 음료, 분립상물(powdery matter)을 포함하는 경우의 세제, 액상 의약품 등을 포장하는데에 사용되는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에 적용되고, 외기에 대한 우수한 역지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이하에 이 발명의 포장봉지용 상자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포장봉지용 상자의 전개도이고, 도 12는 그의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전체로서 사각 기둥형상으로 조립되는 이 포장봉지용 상자는, 4면의 측벽(41), 각각의 저벽 구성부재(42), 하나의 측벽(41)로부터, 도 11에 나타내는 바에서는 위쪽으로 돌출시켜 설치한 뚜껑(43), 동일한 도면에서는 2면의 측벽(4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시켜 형성한 각각의 정상부 접힘편(44)를 구비하는 것으로, 도 11 중의 가상선은, 포장봉지용 상자 내로 수납되는, 도 5,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연질의 포장봉지(12)를, 피포장물을 충전하지 않은 자세로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종이제, 바람직하게는 내수종이제의 이 포장봉지용 상자(45)에서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나의 측벽(41)의 상부에, 그의 측벽(41)의 각부(corner part)를 지점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요동 변위하여, 그의 측벽(41)의 상부에 설치한 개구(46) 내로, 바람직하게는 꼭 끼는 도어 부재(47)을 설치함과 동시에, 개구(46)을 형성한 그 측벽(이하, 「개구측벽」이라고 한다)(41)에, 도어 부재(47)의 외표면, 도면에서는 도어 부재(47)의 돌출각(出角, projecting corner)이 되는 구석부(47a)의 외표면에 상호 맞물리는 하나의 돌출부(48)을 설치한다.
또한, 이와 같은 돌출부(48)은, 도어 부재(47)의 돌출각 또는 함몰각(入角, entering corner)이 되는 구석부에 대응시켜 설치하는 것이, 그의 돌출량을 작게 하는 데 있어서 유리하지만, 도어 부재(47)의 직선상의 연재부분(延在部分)에 대응시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여기에서는, 도어 부재(47)에, 개구측벽(41)의 내표면에 상호 맞물려 도어 부재(47)의 잉여의 개방을 구속하는 스토퍼(49)를, 바람직하게는 그것을 도어 부재(47)의 상단에 연결하는 연결 부재(50)을 매개로 하여 설치한다.
도 13은 이들을, 도어 부재(47)의 폐지 자세로 나타내는, 부분 파단 확대 사시도로, 이 폐지 자세에서는, 연결 부재(50)은 수평면 내에 위치하는 한쪽, 스토퍼(49)는, 개구측벽(41)에 인접하는 측벽(41)의 내면에 당접하여 그에 따른 수직 하향의 상태에 있고, 선단측이 기단쪽에 비하여 도어 부재(47)로부터 멀어지는 연재형태에 있다.
이 한편으로, 스토퍼(49)는, 도어 부재(47)이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90° 개방한 형태에서, 도 14에 뚜껑(43) 및 정상부 접힘편(44)을 파단 제거한 평면도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측벽(41)의 내표면에 상호 맞물려 도어 부재(47)의 그 이상의 개방을 구속하기 위한 기능이다.
그런데, 연결 부재(50)을, 도시하는 바와 같은 거의 도어 부재로 하고, 그 주변 가장자리를, 개구측벽(41)과 그에 연속되는 뚜껑(43)의 경계부에 미끄러져 접하는 개폐 가이드로서도 기능시키는 경우에는, 도어 부재(47)의, 원활하게 하여 확실한 개폐 작동을 충분히 담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45)의, 도어 부재(47)의 개폐 조작은, 처음에 개구측벽(41)의 연결 돌출부(48)의 근방부분을 압압(壓押) 변형시키고, 그 돌출부(48) 및 도어 부재(47)의 돌출각 구석부(47a)의 적어도 한쪽 탄성 변형하에서,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48)를 도어 부재(47)의 안쪽에 넣고, 이어서 도어 부재(47)을 지점의 주위에 요동시켜,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49)가 개구측벽(41)의 내표면에 닿는 개방 한계위치까지 변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일단 개구한 도어 부재(47)의 폐지는, 그의 도어 부재(47)을, 연결 부재(50)의 안내하에서 측벽 개구(46)의 방향으로 압압 변위시키고, 스토퍼(49)를 그 굽혀지는 성질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수직면 내에서의 연재 자세로 함과 동시에, 도어 부재(47)을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48)의 안쪽까지 누름으로써 행할 수 있고, 이들에 의하면, 도어 부재(47)은, 돌출부(48)과의 상호 맞물림하에서, 폐지 자세로 확실히 유지되게 된다.
이러한 포장봉지용 상자(45)에 있어서, 사용종이 재료의 두께를 얇게 하고 또한, 그 상자 내에 수납하는,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한 연질의 포장봉지가 압착 변형에 충분히 대항하여, 우수한 정형성을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상자 몸체의 적어도 하반부에서, 각 측벽(41)에 도 11,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오목면(51)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포장봉지용 상자(45)는, 그것을 주로는, 연질의 포장봉지에 정형성을 부여하기 위해 기능시킴으로써, 상자 몸체에 대한 수지 재료의 라미네이트가 불필요해지기 때문에, 그 상자(45)의 재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또한, 상자 그 자체로의 낡은 종이의 사용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자원 절약에 유리하게 공헌할 수 있는 것과 동시에,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도어 부재(47)의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48)에 대한 걸거나 벗김(disengaging)을 가져옴으로써, 도어 부재(47)의 확실한 폐지 및, 그것의 용이하게 하여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은, 개봉도 포함하는 개방을 실현할 수 있다.
이 발명의 포장 구조체에 있어서, 피포장물의 충전 포장에 기여하고, 포장용 상자 내로 수납하여 사용에 제공되는 연질의 포장봉지로서는, 도 5, 6 및 도 8 등에 관련하여 앞서 기술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를 예를 들면, 포장봉지(12)는, 그곳으로 액상 피포장물을, 바람직하게는 공기를 뺀 상태하에서 충전 포장함으로써, 도 6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팽만 형태를 취하게 되는 것이지만, 연질의 포장봉지 그 자체는, 통상은 자립성도 정형성도 갖지 않기 때문에, 피포장물의 반송, 보관, 진열, 사용 등에 있어서는 그것을 앞서 기술한 포장봉지용 상자(45) 내로, 복수 개소로의 고정 또는 고착하에서 수납하여, 포장봉지에 자립성 및 정형성을 부여한다.
이의 한편으로, 충전 포장한 피포장물의 소요량의 주출에 있어서는, 포장봉지 그 자체에 대해서는, 액체 주출 노즐(1)의, 도면에 나타내는 바에서는 윗쪽의 융착부(5)의 V자형상 절곡부(3)으로부터, 노즐(1)의 선단 부분을, 예를 들면 손가락에 의해 찢어 제거하여 포장봉지(12)를 개봉하고, 이어서 그의 포장봉지(12)를, 그것을 수납 유지하는 상자 몸체와 함께 경동시킨다.
또한 여기에서,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한 이와 같은 포장봉지(12)의, 상자(45)의 내면쪽으로의 장착은, 예를 들면, 포장봉지 본체(2) 상단부의 히트 실링부를, 상자(45)의 각각의 측벽(41)(도 11에 나타내는 바에서는 2측벽)에, 관통 핀, 스태플러(stapler) 등에 의한 고정, 핫 멜트(hot melt) 또는 그 밖의 접착 또는 점착 의한 고착 등에 의해 구속되고, 그 포장봉지(12)의 흘러내림을 방지하며, 또한, 액체 주출 노즐(1)을 도어 부재(47)의 내면쪽으로,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예를 들면 국부적으로 고정 또는 고착하여, 그 주출 노즐(1)의 도어 부재(47)과 일체적인 개폐 변위를 가능하게 하고, 그리고, 그 주출 노즐(1)의 일부를,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부재(47)의 요동 지점에 대응시켜 위치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그런데, 액출 주출 노즐(1)의 이와 같은 장착은, 예를 들면, 도 15에, 개방 자세의 도어 부재를 비스듬히 아래쪽으로부터 보아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어 부재(47)의 내면쪽에, 주출 노즐(1)의 선단 부분을, 도어 부재(47)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52)를, 접착 등을 시켜 설치하고, 그리고 이 스페이서(52)에, 노즐(1)의 한쪽 면을 국부적으로 고정 또는 고착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는 것 외에, 그 스페이터(52)에,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접힙편(53)을 설치하고, 그 접힘편(53)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노즐(1)을 느슨하게 사이에 끼워 접으며, 그리고 접힘편(53)의 접혀진 끝을 도어 부재(47)의 내면에 접착, 점착 등을 시켜, 액체 주출 노즐(1)을 유지함으로써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은, 도 8에 나타내는 포장봉지(21)을, 그곳으로의 피포장물의 충전상태에서, 상자(45) 내로 수용하는 경우에도 또한 동일하다.
도 17은, 이와 같이 기능하는 스페이서 및 접힘편을, 도어 부재에 일체 형성한 경우를 나타내는 요부 전개도이고, 도시한 스페이서(52)는, 도어 부재(47)의, 도면의 우측에 위치하는 2개소의 절곡부를 함께 바깥쪽으로 접어, 그 스페이서(52)의 도면의 우단부를, 도어 부재(47)의 내면에 접착 등을 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며, 접힘편(53)은, 도면의 아래쪽으로의 접힘에 의해 주출 노즐(1)을 유지하고, 그리고, 그 접힘 유단 부분(folded free end portion)을 스페이서(52)에 접착 등을 시킴으로써 목적으로 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
이상와 같이 하여 구성되는 포장 구성체로부터, 포장봉지 내의 피포장물을 주출함에 있어서는, 처음에 포장봉지용 상자(45)의 도어 부재(47)을, 전술한 바와 같이 그의 한계위치까지 개방하고, 포장봉지(12)를 액체 주출 노즐(1)을,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개방 자세로 하며, 여기에서 그 주출 노즐(1)의 선단 부분을, 그 V자형상 절곡부(3)으로부터 손가락에 의한 찢음에 의해 절제하여, 노즐(1)에 선단 개구를 형성한다.
포장봉지(12)를 이와 같이 하여 개봉한 후에는, 예를 들면 포장봉지용 상자(45)의 들어올린 상태에서, 그것을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경동시키고, 봉지 내 피포장물을 주출시킨다. 그런데, 이 경우의 피포장물의 주출은, 도어 부재(47)에 의한 노즐위치의 특정하에서, 또한 상자(45)의 측벽(41)로부터 돌출되는 주출 노즐(1)의 육안하에서 행할 수 있고, 또한, 포장봉지 내의 피포장물 레벨은 통상, 도어 부재(47)보다 대부분 아래쪽에 위치하게 되기 때문에, 그 피포장물을, 목적으로 한 바와 같은 위치로 항상 확실히 유하시킬 수 있다.
또한 피포장물의 이와 같은 주출에 있어서는, 도어 부재(47)에 장착되어 개구측벽(41)로부터 돌출되는 주출 노즐(1)의 선단 개구가, 봉지 내 피포장물의 수두압에 의해, 표리측에 필요량만 개방되게 되기 때문에, 소요에 따른 주출이 충분히 원활하게 행하여지게 되고, 이와 같은 주출에 의한 유량의 확보는, 봉지 내 피포장물의 감소량에 따라서 상자(45)의 경동 각도를 크게 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여기에서, 연질의 포장봉지(12)는, 피포장물의 이와 같은 주출에 있어서는, 주출량 체적에 따른 수축 변형 내지는 압착 변형을 행하기 때문에, 그 주출에 수반되는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진입은 충분히 방지되게 되고, 봉지 내 피포장물은 외기에 대하여 유효하게 보호되게 된다.
이의 한편으로, 소요량의 피포장물을 주출한 후에는, 상자(45)를 도면에 가상선으로 나타내는 기립 자세로 복귀시켜 그의 주출을 정지시키고, 이에 따라서, 노즐(1)의 선단 개구의 자동적인 밀착 폐지를 가져온다.
여기에서, 주출 노즐(1)의 이 밀착 봉지는, 앞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주출 노즐(1)이 수두압으로부터 해방되고, 표리의 적층 필름이 주출 필름(1)의 제조시의 원래 형상으로 복귀되는 것, 주출 노즐(1) 내의 피포장물이 포장봉지 본체(2) 안으로 유하될 때에 표리의 필름이 감압 분위기에 놓여지는 것 등에 의해, 연질의 그것들이 적어도 노즐 폭의 전체에 걸쳐서 상호 부압 흡착되는 것 등에 의해 행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밀착 봉지는, 압착 변형 등이 된 포장봉지 본체(2)가 고유의 탄성 복원력을 토대로 포장봉지 내를 감압 경향으로 하는 것을 토대로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게 된다.
따라서 여기에서는, 주출의 정지와 동시에 노즐(1)의 밀착 봉지 및, 그 밀착 봉지의, 그 다음의 계속 유지를 토대로, 주출의 정치시로부터 봉지 내 피포장물을 외기로부터 계속적으로 보호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액체 주출 노즐(1)로부터의 피포장물의 이러한 주출은, 도 15, 16 등에 나타내는 바에서는, 스페이서(52)의 작용에 의해, 도어 부재(47)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시켜 위치가 정하여지는 주출 노즐(1)의 선단 개구를 거쳐 행하여지기 때문에, 주출 피포장물이 도어 부재(47)에 부착 등이 되는 경우가 없고, 따라서, 부착한 피포장물이 상자(45)의 기립 복귀에 수반하여, 상자(45)의 저부로 전해져 떨어지는 경우도 없다.
이상과 같이 하여 소요의 주출을 끝낸 후에는, 도어 부재(47)을, 전술한 바와 같이, 그들의 외표면에 상호 맞물리는 돌기(48)이 상호 맞물리는,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폐지 자세로 함으로써, 도어 부재(47)의, 완전하게 하여 확실한 폐지가 행하여지게 되고, 이에 따라서 액체 주출 노즐(1)이 도어 부재(47)의 요동 지점과 대응하는 위치에서, 피포장물의 주출위치로부터, 예를 들면, 거의 90° 접혀지게 된다.
여기에서 액체 주출 노즐(1)의 이 접힘은, 주출 노즐(1)의 표리 필름의 보다 한층의 밀착을 가져오기 때문에, 도어 부재(47)의 폐지 후에는, 포장봉지 내로의 외기 등의 진입이 보다 확실하게 저지되게 되고, 또한, 포장봉지용 상자(45)의 불측의 쓰러짐 등에 대해서도, 피포장물의 누출을 보다 충분히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주출 노즐(21)의 이와 같은 접힘 변형은, 도어 부재(47)과 일체적으로 요동 변위하는, 도 15~1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접힙편(53)으로 주출 노즐(1)을 유지하는 경우에, 보다 확실하게, 또한 항상 적정하게 행하여지게 된다.
이 발명의 액체 주출 노즐이나 포장봉지를 포함하는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는, 간장, 소스 등의 액상 조미료, 각종 스프, 우유음료나 과즙 등 외에, 오일, 술이나 와인 등의 알코올 음료, 분립상물을 포함하는 드레싱, 세제, 액상의 의약품 등을 포장하는 것에 사용되고, 특히, 개봉 후에 있어서의 외기에 대한 우수한 역지 기능의 발휘에 의해, 내용물의 품질 열화를 방지할 필요가 있는 모든 분야의 포장 용기에 적용된다.

Claims (28)

  1.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에서, 그 포장봉지 본체의 내표면에, 최외층의 밀봉층에 의해 기단부가 융착 접합되는 액체 주출 노즐로서,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과 그것을 사이에 끼워 적층한 각각의 밀봉층을 구비하는 표리의 각각의 적층 필름을, 한쪽의 밀봉층이 상호 대향 자세로 기단 주위를 제외한 주변부분에서 상호 융착시켜 되는 액체 주출 노즐.
  2.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에, 그곳으로부터 돌출시켜 일체로 구성되는 액체 주출 노즐로서,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과 그 한쪽 표면측에 적층한 밀봉층을 구비하는 표리의 각각의 적층 필름을, 밀봉층 상호 대향 자세로 포장봉지 본체로부터의 돌출부의 주변부분에서 상호 융착시켜 되는 액체 주출 노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을, 8~30 ㎛ 두께의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필름층 또는 나일론 수지 필름층으로 구성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밀봉층을, 10~60 ㎛ 두께의 무연신의 폴리에틸렌층 또는 폴리프로필렌층으로 구성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축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수증기 투과도(JIS K7129)를 10 g/(㎡·24 h) 이하로 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15 ㎜ 폭당 접힘강도를 40~300 mN으로 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거의 폭방향에서의 주출구 치수를 5~40 mN으로 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1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연신방향 또는 2축 연신 베이스 필름층의 세로방향(MD)를 적층 필름의 거의 폭방향으로 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항하는 각각의 융착부의 적어도 한쪽에, 노즐의 개봉위치와 대응하는 V자형상 절곡부를 설치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융착부를 히트 실링 융착부로 하여 되는 액체 주출 노즐.
  11. 제9항 또는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항하는 각각의 융착부의 상호를, V자형상 절곡부의 형성위치보다 기단부측에서, 그 V자형상 절곡부로부터 함께 아래쪽을 향하는 경향으로 기울여 연재시켜 되는 액체 주출 노즐.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폭방향에 대항하는 각각의 융착부의 간격을, 기단부로부터 V자형상 절곡부의 형성위치까지의 사이에서 그의 V자형상 절곡부를 향하여 경향으로 하여 점차 감소시켜 되는 액체 주출 노즐.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액체 주출 노즐을,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측부 또는 정상부로부터 돌출시켜 포장봉지 본체에 일체 구성하여 되는 포장봉지.
  14. 제13항에 있어서, 액체 주출 노즐의 적어도 주출구의 형성부분의 외표면에 발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되는 포장봉지.
  15. 종이제의 상자 몸체의 일 측벽의 상부에, 그 측벽의 각도를 지점으로 하여, 수평면 내에서 요동 변위하고, 그 측벽의 상부에 설치한 개구 내로 끼우는 도어 부재를 설치함과 동시에, 측벽에 도어 부재의 외표면에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16. 제15항에 있어서, 도어 부재에, 윤곽형상이 출각 또는 입각이 되는 구석부를 설치함과 동시에, 측벽에 그 구석부에 상호 맞물리는 돌출부를 설치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17. 제15항 또는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어 부재에, 상기 측벽의 내표면에 상호 맞물려 도어 부재의 잉여의 개방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설치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18. 제17항에 있어서, 스토퍼를 연결 부재를 매개로 하여 도어 부재의 상단에 연결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19. 제18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를, 거의 날개형을 이루고 주변 가장자리로 상기 측벽과 그것에 연속되는 뚜껑 또는 정상부 접힘편과의 경계부에 미끄러져 접하는 개폐 가이드로 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20. 제15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자 몸체의 적어도 하반부에 서, 각 측벽에, 수평방향으로 뻗은 복수개의 오목면을 설치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21. 제15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자 몸체를 내수종이제로 하여 되는 포장봉지용 상자.
  22. 제15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의 포장봉지용 상자를 사용한 포장 구조체로서,
    선단을 봉지한 평탄한 액체 주출 노즐을, 연질의 포장봉지 본체의 상단부분에, 그것들의 옆쪽으로의 돌출 자세로 융착시키고 또는 일체 형성하여 되는 포장봉지를 포장용 상자 내로 수납하여, 그의 액체 주출 노즐을 도어 부재의 내면쪽으로 취부함과 동시에, 그의 액체 주출 노즐의 일부를 도어 부재의 요동 지점에 대응시켜 위치시켜 되는 포장 구조체.
  23. 제22항에 있어서, 포장봉지 내에 피포장물을 충전 포장하여 되는 포장 구조체.
  24. 제22항 또는 제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주출 노즐을 적어도 그의 선단부분이 도어 부재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킨 자세로 도어 부재에 취부하여 되는 포장 구조체.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주출 노즐을 도어 부재의 내면쪽에 국부적으로 고정 또는 고착하여 되는 포장 구조체.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체 주출 노즐을 도어 부재의 내면쪽으로 유지하여 되는 포장 구조체.
  27. 제26항에 있어서, 도어 부재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액체 주출 노즐을 구속하는 접힘편에 의해 그 액체 주출 노즐을 유지하는 포장 구조체.
  28. 제27항에 있어서, 액체 주출 노즐의 선단 부분을 도어 부재의 내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는 스페이서 부재에 접힘편을 설치하여 되는 포장 구조체.
KR1020077004625A 2004-07-30 2004-10-19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KR101110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224041A JP4996815B2 (ja) 2003-07-31 2004-07-30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JP-P-2004-00224041 2004-07-30
PCT/JP2004/015765 WO2006011247A1 (ja) 2004-07-30 2004-10-19 液体注出ノズル、それを用いた包装袋、包装袋用箱ならびに包装構造体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455A Division KR101115627B1 (ko) 2004-07-30 2004-10-19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57812A true KR20070057812A (ko) 2007-06-07
KR101110521B1 KR101110521B1 (ko) 2012-01-31

Family

ID=3578600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455A KR101115627B1 (ko) 2004-07-30 2004-10-19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
KR1020077004625A KR101110521B1 (ko) 2004-07-30 2004-10-19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18455A KR101115627B1 (ko) 2004-07-30 2004-10-19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8418884B2 (ko)
EP (2) EP2354028B1 (ko)
KR (2) KR101115627B1 (ko)
CN (1) CN101014507B (ko)
ES (2) ES2415382T3 (ko)
HK (1) HK1160825A1 (ko)
WO (1) WO200601124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6015936D1 (de) 2005-03-04 2010-09-16 Graphic Packaging Int Inc Beutel in einer schachtel
IES20070805A2 (en) * 2007-11-07 2008-10-15 Aqueduct Invest Internat Ltd System and method for containing and dispensing a liquid
JP4545187B2 (ja) * 2007-11-30 2010-09-15 株式会社悠心 飲食品包装袋用の液体注出ノズルの製造方法
JP4394729B2 (ja) * 2008-05-12 2010-01-06 株式会社悠心 液体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JP4490493B2 (ja) * 2008-07-11 2010-06-23 株式会社悠心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4441575B2 (ja) * 2008-07-24 2010-03-31 株式会社悠心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および液状物充填包装構造体
US9309035B2 (en) * 2009-06-25 2016-04-12 Yushin Co., Ltd. Self-standing liquid package bag with a flat film valve
US8720769B2 (en) 2009-09-15 2014-05-13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Beverage container
WO2012067129A1 (ja) 2010-11-17 2012-05-24 株式会社悠心 包装袋および液状被包装物の注入包装方法
BR112013020171A2 (pt) * 2011-02-14 2016-11-08 Yushin Co Ltd saco de embalagem flexível
MX345161B (es) 2011-05-02 2017-01-18 Graphic Packaging Int Inc Caja de cartón con característica de apertura.
EP2879971B1 (en) 2012-08-06 2017-02-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s of making flexible containers
CN104684819B (zh) * 2012-10-03 2017-08-22 凸版印刷株式会社 替换装容器
EP3066021B1 (en) 2013-11-06 2018-02-14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10131468B2 (en) 2013-11-06 2018-1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containers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BR112016010209A2 (pt) 2013-11-06 2017-08-08 Procter & Gamble recipientes flexíveis e métodos para a produção dos mesmos
MX2016005516A (es) 2013-11-06 2016-07-22 Procter & Gamble Envases flexibles y metodos para su fabricacion.
JP6521987B2 (ja) 2014-01-31 2019-05-29 グラフィック パッケージング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エルエルシー 開封機能部を有するカートン
EP3148885B1 (en) * 2014-05-28 2022-08-10 AptarGroup, Inc. Fitment for a flexible container
EA034829B1 (ru) * 2014-05-30 2020-03-26 Тойо Сейкан Груп Холдингз, Лтд. Структурный элемент, имеющий слой жидкости на своей поверхности
EP3153427B1 (en) * 2014-06-04 2020-08-05 Yushin Co., Ltd. Packaging bag
US10124947B2 (en) 2014-06-23 2018-11-13 Graphic Packaging International, Llc Carton with dispensing features
US10040616B2 (en) 2014-07-08 2018-08-07 Yushin Co., Ltd. Packaging bag
US10081486B2 (en) * 2014-08-19 2018-09-2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with frangible seal for hydrogenated water
CN107107522A (zh) * 2014-10-17 2017-08-29 株式会社同世界 袋体的制造方法及便携式袋体
WO2017116473A1 (en) 2015-12-31 2017-07-06 Bemis Company, Inc. Self-venting bag-in-box package
US20190152761A1 (en) * 2016-04-01 2019-05-23 True Keg S.R.L. A system for dispensing water, and water container to be used in such system
EP3699111B1 (en) * 2017-10-20 2023-07-19 Yushin Co., Ltd. Composite pack to be filled with liquid matter
US10919680B1 (en) 2018-10-08 2021-02-16 Packaging Corporation Of America Liquid beverage container
CN110027254A (zh) * 2019-05-15 2019-07-19 莒南和信食品有限公司 一种多层复合自立包装袋的制作方法
WO2022152702A1 (en) * 2021-01-14 2022-07-21 Sacmi Beverage S.p.A. Container for liquids

Family Cites Families (4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7257A (en) * 1941-07-08 1943-12-21 Richard M Levingston Dispensing container
GB756346A (en) 1953-05-18 1956-09-05 British Cellophane Ltd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emi-moistureproof, heat-sealable sheet wrapping material
US3746215A (en) * 1971-01-29 1973-07-17 A Ausnit Reclosable sealed pouring bag
US4196030A (en) * 1976-12-27 1980-04-01 Minigrip, Inc. Method of making extruded construction for bags
US4491245A (en) * 1982-03-24 1985-01-01 Jamison Mark D Liquid dispensing container
US4686125A (en) * 1984-09-28 1987-08-11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Film laminate for sterile flexible containers
US4833008A (en) * 1985-10-04 1989-05-23 B.A.G. Corporation Metalized fabric
US4878600A (en) * 1987-01-12 1989-11-07 Super Sa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tatic controlled discharge spout
GB2200049B (en) * 1987-01-21 1990-08-29 Metal Box Plc Baby feeding packs
US5077109A (en) * 1987-08-31 1991-12-31 Viskase Corporation Oriented multilayer film and process for making same
JPH0453644A (ja) 1990-06-15 1992-02-21 Murata Mach Ltd 工作機械の可動スピンドル台装置
US5108195A (en) * 1991-08-26 1992-04-28 Perron Georgia M Waste bag with reclosable sealing opening
US5244281A (en) * 1992-01-10 1993-09-14 Super Sack Manufacturing Co. Static controlled collapsible receptacle
JP3246006B2 (ja) 1992-11-17 2002-01-15 東洋紡績株式会社 スパウト付き袋状容器およびその製法
CZ116396A3 (en) * 1993-11-01 1997-02-12 Procter & Gamble Self-closing dosing package for a liquid
JP3623540B2 (ja) 1994-12-22 2005-02-23 セレック株式会社 容器
JPH08282687A (ja) 1995-04-14 1996-10-29 Nippon Tokkyo Kanri Kk 非常用液体袋
JPH08324585A (ja) 1995-06-02 1996-12-10 Sanmitsuku Chiyoda Kk 液体収納用袋
AU7228296A (en) * 1995-10-11 1997-04-30 Nakamura Seitai Co., Ltd. Bag
JP3012968B2 (ja) * 1995-10-20 2000-02-28 株式会社サンエー化研 包装袋用逆止弁
JPH10129681A (ja) 1996-10-30 1998-05-19 Dainippon Printing Co Ltd ガセット袋
US6145736A (en) 1997-12-17 2000-11-14 Kellogg Company Dispensing assembly for a lined carton and process and apparatus thereof
US6062467A (en) * 1997-12-17 2000-05-16 Kellogg Company Dispensing assembly for a lined carton and process and apparatus thereof
JPH11222262A (ja) * 1998-02-04 1999-08-17 Asahi Chem Ind Co Ltd 食品包装材
JPH11321885A (ja) * 1998-05-20 1999-11-24 Dainippon Printing Co Ltd パウチ
US6655837B2 (en) * 1998-05-29 2003-12-02 Toyo Seikan Kaisha, Ltd. Pouch having a branched chamber
JP2000177755A (ja) 1998-12-17 2000-06-27 Hokuryo Kagaku Kk 注ぎ出し口付き容器
JP4270635B2 (ja) * 1999-03-26 2009-06-0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詰め替え用パウチ
JP3750012B2 (ja) * 1999-05-10 2006-03-01 忠 萩原 流体容器のノズル及びそれを備えた流体容器
JP2001048198A (ja) * 1999-08-09 2001-02-20 Yamada Kakosho:Kk 包装用袋とその製造方法
JP2001192068A (ja) 2000-01-12 2001-07-17 Meiwa Pax Co Ltd 加圧密封用袋、包装体、および包装体の製造法
JP2001341755A (ja) * 2000-02-18 2001-12-11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性袋
US6386760B1 (en) * 2000-06-12 2002-05-14 Reynolds Consumer Products, Inc. Slider reclosable bags with dual tamper-evident features
JP2002205763A (ja) 2000-12-28 2002-07-23 Toyo Seikan Kaisha Ltd 包装袋
US6699418B2 (en) * 2001-02-23 2004-03-02 Kurara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biaxially stretched film made of ethylene-vinyl alcohol copolymer
US6869666B2 (en) * 2001-05-02 2005-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Controlled-puncture films
JP3700084B2 (ja) 2001-10-26 2005-09-28 有限会社やましろ産業 自封式逆止弁を備える物品保持具
JP3992502B2 (ja) 2002-01-17 2007-10-17 ユニチカ株式会社 包装袋
US6732889B2 (en) * 2002-02-06 2004-05-11 Ishai Oren Pouring spout for liquid containers, and liquid containers constructed therewith
JP2003267446A (ja) 2002-03-08 2003-09-25 Material Eng Tech Lab Inc 液体容器
JP4107906B2 (ja) 2002-08-01 2008-06-25 大成ラミック株式会社 包装用箱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構造
JP4202733B2 (ja) * 2002-11-29 2008-12-24 二瀬 克規 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の製造方法
JP4077720B2 (ja) 2002-12-19 2008-04-23 二瀬 克規 包装構造体
JP4996815B2 (ja) 2003-07-31 2012-08-08 二瀬 克規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4545187B2 (ja) 2007-11-30 2010-09-15 株式会社悠心 飲食品包装袋用の液体注出ノズルの製造方法
JP4490493B2 (ja) 2008-07-11 2010-06-23 株式会社悠心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80264970A1 (en) 2008-10-30
WO2006011247A1 (ja) 2006-02-02
KR101115627B1 (ko) 2012-03-13
EP1783061B1 (en) 2013-05-15
ES2415382T3 (es) 2013-07-25
US8870026B2 (en) 2014-10-28
KR101110521B1 (ko) 2012-01-31
HK1160825A1 (en) 2012-08-17
US20130270296A1 (en) 2013-10-17
US8413846B2 (en) 2013-04-09
US8418886B2 (en) 2013-04-16
US20110042412A1 (en) 2011-02-24
CN101014507B (zh) 2011-01-12
US8418884B2 (en) 2013-04-16
KR20110093956A (ko) 2011-08-18
ES2433470T3 (es) 2013-12-11
CN101014507A (zh) 2007-08-08
EP1783061A1 (en) 2007-05-09
US20110042411A1 (en) 2011-02-24
US20100327027A1 (en) 2010-12-30
US8418885B2 (en) 2013-04-16
EP1783061A4 (en) 2009-11-25
EP2354028B1 (en) 2013-08-28
EP2354028A1 (en) 2011-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5627B1 (ko) 액체 주출 노즐, 그것을 사용한 포장봉지, 포장봉지용 상자 및 포장 구조체
JP4996815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ならびに包装袋の使用方法
JP4490493B2 (ja) 逆止機能ノズルを備えるフレキシブル包装袋
JP4392198B2 (ja) 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5226939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4449964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JP5002908B2 (ja) 包装体
JPWO2003078262A1 (ja) 柔軟性容器、その形成方法、柔軟性容器の開封ガイド、柔軟性容器への液体封入方法、及び液体
JP2009292527A (ja) 液状物充填包装体の梱包方法
JP5175382B2 (ja) 液体注出ノズル
JP4365173B2 (ja) 包装構造体
JP2008105693A (ja) 包装用箱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構造体
JP5227450B2 (ja) 逆止機能を有する液体注出ノズ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袋
JP4079123B2 (ja) 分岐した小室を設けたパウチ
JP6951759B2 (ja) 液状物充填用複合パック
JP2006199346A (ja) 注出ノズルを有する包装袋
JP2016190681A (ja) パウチ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6362251B2 (ja) 逆止注出ノズルそれを用いた包装袋および、包装袋に被包装物を充填包装してなる包装体
JP2006160298A (ja) 包装用箱およびそれを用いた包装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