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9057A - 미싱 - Google Patents

미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9057A
KR20070049057A KR1020060094005A KR20060094005A KR20070049057A KR 20070049057 A KR20070049057 A KR 20070049057A KR 1020060094005 A KR1020060094005 A KR 1020060094005A KR 20060094005 A KR20060094005 A KR 20060094005A KR 20070049057 A KR20070049057 A KR 20070049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ar
sewing
jump
sewing machine
press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94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31059B1 (ko
Inventor
겐지 스즈키
다카시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카이 고교 미싱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49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90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31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31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10Electrical or electromagnetic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CEMBROIDERING; TUFTING
    • D05C11/00Devices for guiding, feeding, handling, or treating the threads in embroidering machines; Machine needles; Operating or control mechanisms therefor
    • D05C11/02Machine needles
    • D05C11/06Needle-driving or control mechanis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35/00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5B35/06Work-feeding or -handl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ttaching bands, ribbons, strips, or tapes or for bindin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5/00Needle holders; Needle bars
    • D05B55/10Needle bars for multiple-needle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22Devices for stopping drive when sewing tools have reached a predetermined position
    • D05B69/24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ascertaining sewing-tool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꿰맴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상하 이동되는 바늘대(8)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하는 점프 기구(15, 16, 17)와, 바늘대(8)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상하 구동 제어되고, 하강시에 피봉제물을 위에서부터 누르는 누름체(24)와, 꿰맴 동작을 휴지(休止)할 때 상기 누름체(24)를 윗쪽의 소정의 퇴피(退避) 위치까지 이동하여, 이 누름체(24)를 이 퇴피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누름체 기구(31 - 41)를 구비하는 미싱에 있어서, 또한, 누름체(24)가 퇴피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되는 것에 연동하여 바늘대(8)를 점프 상태에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연동기구(42 - 48)를 설치한다. 이것에 의해, 정전 등이 갑작스러운 전원 정지가 있다 하여도, 가동(稼動)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의 바늘대는 점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하강하지 않고, 따라서 유저(user)의 의도하지 않는 바늘대의 하강에 수반하여 일어나는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미싱{SEWING MACHINE}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외관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배치되어 있는 미싱 헤드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미싱 헤드의 좌측면도이다.
도 4는 미싱 헤드의 좌측면 단면도이다.
도 5는 옷감 누름체가 봉제 위치에 있는 상태의 미싱 헤드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옷감 누름체가 퇴피 위치에 있는 상태의 미싱 헤드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미싱 테이블, 2 … 상부 프레임, 3 … 가마, 4 … 가마 토대, 5 … 봉제틀, 6 … 미싱 주축, 7 … 미싱 암, 8 … 바늘대, 9 … 바늘, 10 … 바늘대 잡이, 11 … 바늘대 구동 기구, 12 … 바늘대 캠, 13 … 가이드 축, 14 … 승강 구동체, 15 … 구동 암, 16 … 점프 제어용 모터, 17 … 모터축, 18 … 천칭, 19 … 천칭 구동 기구, 20 … 지지통, 21 … 고정 슬리브관, 22 … 링, 23 … 옷감 누름 지지체, 23a … 키 홈, 24 … 옷감 누름체, 25 … 가이드, 26 … 회전통, 27 … 풀 리, 28 … 키 부재, 29 … 보빈 브래킷, 30 … 보빈, 31 … 구동 암, 32 … 가이드 축, 33 … 승강 부재, 34 … 기본 승강 부재, 35 … 블록, 36 … 스프링, 37 … 옷감 누름 지지체 승강용 모터, 38 … 구동 레버, 39 … 링크 부재, 40 … 회동 암, 41 … 링크 부재, 42 … 연동 레버, 43 … 브래킷, 45 … 작동 레버, 46 … 토션 스프링, 47 … 점프 레버, 48 … 핀, 49 … 옷감 누름 지지체 방향 제어용 모터, 50 … 샤프트, 51 … 베이스 부재, 52 … 구동 풀리, 53 … 타이밍 벨트, 54 … 침판, H … 미싱 헤드
<기술 분야> 
본 발명은, 테이프나 코드 등의 끈 모양 소재를 박음질에 의해서 옷감 등의 피봉제물에 대하여 바느질하는 것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구비한 미싱에 관한 것이다. 특히, 바늘대를 점프(jump) 상태로 하는 것에 의해, 해당 미싱 헤드의 가동을 휴지(休止)할 수 있는 미싱에 관한 것이다.
<배경 기술>
종래부터, 하단부에 바늘을 구비하여 상하로 구동되는 바늘대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구동과 동기(同期)하여 상하 이동되는 옷감 누름체와, 상기 바늘대와 동축심상으로 조립되어 그 축심 둘레의 회전이 자유로운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함께 회전되어 바늘의 침원(針元) 위치로 끈 모양 소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소정의 자수 데이터에 근거하는 피봉제물의 이동 방향으로 따라 상기 회전체를 회전 제어하고, 상기 바늘의 침원으로의 끈 모양 소재의 안내 방향이 적정하게 되도록 가이드의 방향을 변경하면서, 이 끈 모양 소재를 박음질에 의해 피봉제물에 바느질하는 것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복수 구비한 다두 미싱이 알려져 있다.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헤드를 구비한 미싱의 일례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한 미싱이 있다.
<특허문헌 1> 특개평8-299639호 공보
상기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는 미싱에 있어서, 미싱 헤드의 가동(稼動)을 휴지시키려면, 점프 기구에 의해서 바늘대로의 미싱 주축의 회전 구동의 전달을 차단함으로써, 바늘대를 미싱 주축의 회전에 맞추어 상하 이동하지 않는 「점프 상태」로 함과 동시에, 옷감 누름체를 윗쪽으로 퇴피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즉, 미싱 헤드에는 미싱 주축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미싱 모터에 의한 미싱 주축의 회전 제어에 의해 미싱 헤드의 바늘대를 상하 이동함으로써 끈 모양 소재를 피봉제물에 바느질하기 위한 바늘대 기구를 가지고 있다. 또, 미싱 헤드에는, 바늘대로의 미싱 주축의 구동 전달을 차단하는 점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점프 기구는 주지(周知)하는 바와 같이 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제어되는 모터식인 것으로, 미싱 헤드에 설치된 점프 제어용 모터의 축에 구동 암이 고정되어 있고, 소정의 점프 신호(전기적 신호)에 따른 점프 제어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상기 구동 암이 소정의 대기 위치와 소정의 점프 작동 위치와의 사이에 회동(回動)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구동 암은 상시에는 가압 수단에 의해서 대기 위치에 위치하도록 가압되어 있지만, 구동 암의 점프 작동 위치로의 회동에 수반하여 바늘대를 상하 이동시키는 승강 구동체가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 이 승강 구동체와 바늘대와의 연결이 해제되는 것에 의해서 바늘대는 상하 이동이 휴지된 「점프 상태」가 된다. 봉제 중에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함으로써, 긴 스티치(stitch)를 형성할 수 있는, 이른바 점프 꿰맴을 할 수 있음과 동시에, 바늘대를 연속적으로 점프 상태에 둠으로써 그 미싱 헤드의 가동 그 자체를 휴지시킬 수 있다.
또한, 미싱 헤드에는, 상기 점프 제어용 모터와는 별도로 옷감 누름체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제어용 모터가 설치되어 있고, 이 제어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미싱 운전시(즉 봉제시)에는 바늘대의 상하 이동에 맞추어 상하로 옷감 누름체를 구동시키는 한편으로, 미싱 정지시에는 봉제시의 스트로크(stroke)보다 크게 윗쪽으로 옷감 누름체를 퇴피시키도록 되어 있다. 이 옷감 누름체를 구동시키기 위한 옷감 누름체 기구에서는, 옷감 누름체를 퇴피시킨 상태에 있어서, 옷감 누름체를 상하 이동시키는 모터가 어떠한 원인에 의해서 구동하지 않는 경우에서도, 미싱 주축에 의해 구동되는 바늘대의 하강에 따라 바늘대에 고정된 부품이 옷감 누름체의 구동 기구의 부품에 닿음으로써, 옷감 누름체도 상기 바늘대의 하강에 연동하여 하강되도록 되어 있어, 부품의 파손이라고 하는 트러블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미싱 운전 중에 정전 등이 갑작스러운 전원 정지가 있었을 경우에는, 미싱을 구동시키고 있는 모든 모터가 정지한다. 당연히 미싱 주축을 구동하고 있는 미싱 모터도 정지하는 것이지만, 정전 등에 의한 모터 정지의 경우에는 미싱 주축은 관성에 의해서 잠시 회전이 계속 되고, 그것에 따라 바늘대는 몇 차례 상하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다두 미싱에 있어서는,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이 가능한 복수의 미싱 헤드 중 일부만을 가동시켜, 나머지의 미싱 헤드에 대해서는 가동시키지 않게 가동을 휴지하여 둔다고 하는 사용법을 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의 다두 미싱의 운전 중에 정전이 있으면, 가동시키고 있는 미싱 헤드의 바늘대뿐만이 아니라, 가동을 휴지시키고 있는 미싱 헤드에 대해서도 바늘대가 상하 이동 되어 버린다. 이것은, 상술한 바와 같이, 미싱 헤드의 휴지는 점프 제어용 모터의 구동에 의해서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함으로써 행하고 있고, 정전에 의해 이러한 점프 제어용 모터의 구동까지도 정지하므로, 구동 암이 가압 수단에 의해서 대기 위치로 회동되어 바늘대의 점프 상태가 해제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동을 휴지시키고 있는 미싱 헤드에 있어서는 옷감 누름체를 윗쪽으로 퇴피시키고 있지만, 이 상태로 바늘대가 하강하여도 이 바늘대의 하강에 연동하여 옷감 누름체도 하강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바늘대 기구와 옷감 누름체 기구의 충돌에 의한 부품의 파손이라고 하는 트러블은 회피되도록 되어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미싱 헤드 중 일부만을 가동시켜, 나머지의 미싱 헤드의 가동을 휴지시키고 있는 다두 미싱에 있어서, 미싱 운전 중의 정전 등에 의해 가동을 휴지시키고 있는 미싱 헤드의 바늘대가 하강해 버리면, 부품이 변형하거나 파손한다고 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다. 즉, 복수의 미싱 헤드 중 일부만을 가동시키고 있는 경우에는, 미싱 운전에 수반하여 가동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의 하부에 피봉제물을 유지하는 주지의 직사각형의 자수틀의 틀 변이 위치하는 것 이 있고, 이 자수틀의 틀 변이 가동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을 때, 정전 등에 의해 바늘대와 옷감 누름체가 하강해 버리면, 이것들이 자수틀의 틀 변 등과 충돌하여 바늘대 기구와 옷감 누름체 기구와 자수틀 등에 둘 수 있는 각 부품이 변형하거나 파손해 버리는 것 때문에 매우 사정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의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미싱 운전 중에 정전 등의 갑작스러운 전원 정지가 있었다고 하여도, 가동을 휴지시키고 있는 미싱 헤드에 대해서는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유지하여 바늘대가 하강하지 않도록 한 미싱을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은, 꿰맴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상하 이동되는 바늘대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하는 점프 기구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상하 구동 제어되고, 하강시에 피봉제물을 위에서부터 누르는 누름체와, 꿰맴 동작을 휴지할 때 상기 누름체를 윗쪽의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하며, 이 누름체를 이 퇴피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누름체 기구와, 상기 누름체가 상기 퇴피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하면, 미싱 헤드의 가동을 휴지시키기 위해서, 누름체 기구에 의해서, 누름체가 퇴피 위치로 이동되어 이 퇴피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되면, 이것에 연동하여 연동기구에 의해서 바늘대의 점프 상태가 기계적으로 유지되고, 미싱 헤드가 휴지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연동기구에 의해서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미싱 운전 중에 정전이 있었다고 하여도, 가동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의 바늘대는 점프 상태로 유지된 채로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자수틀의 틀 변과 바늘대 등과의 충돌에 의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으로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유지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서 이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정전 등이 갑작스러운 전원 정지가 있었다고 하여도, 가동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의 바늘대는 점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하강하지 않고, 따라서 유저(user)의 의도하지 않는 바늘대의 하강에 수반하여 일어나게 되어 얻는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형태를 첨부 도면에 따라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의 개요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미싱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 외관도이다. 다만, 이 실시예에서는, 피봉제물은 끈 모양 소재와 옷감(기초)이고, 끈 모양 소재를 옷감(기초)에 바느질하는 것이 가능한 미싱 헤드(H)를 복수(여기서는 8개) 구비한 다두 미싱을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에 있어서는 앞쪽이 봉제 작업 등을 행하는 작업자가 실제 로 위치하는 다두 미싱 전면(前面)에 상당한다.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있어서, 수평 방향(도면 X방향)으로 연장해 있는 긴 미싱 테이블(1)의 윗쪽에는 상부 프레임(2)이 배치되어 있고, 이 상부 프레임(2)의 전면에는 이 상부 프레임(2)의 길이 방향(도면 X방향)에 따라서 미싱 헤드(H)를 등 간격마다 배치하고 있다. 각 미싱 헤드(H)의 아래쪽에는 가마(3)를 지지한 가마 토대(4)가 각 미싱 헤드(H)에 대응하여, 미싱 테이블(1)과 대략 같은 높이로 설치되어 있다. 또, 미싱 테이블(1)의 상면(上面)에는 옷감 등의 피봉제물을 전장(展張) 유지하기 위한 봉제틀(5)이 실어 놓여 있고, 봉제틀(5)은 미싱 테이블(1)의 아래쪽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는 구동 기구에 의해서, 바느질 모양 데이터에 의해서 지시되는 임의의 바느질 모양 패턴에 따라, 전후좌우 방향(X-Y방향)으로 구동된다. 각 미싱 헤드(H)에는 공통의 미싱 주축(6)이 관통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 미싱 주축(6)의 회전에 의해서 미싱 헤드(H)의 바늘(9)(후술하는 도 3, 도 4 참조)이 상하로 왕복 구동된다. 이 바늘(9)과, 가마 토대(4)에 있어서 회전되는 가마(3)와의 협동함으로써, 봉제틀(5)에 전장 유지된 옷감에 대한 봉제가 행해진다.
다음으로,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미싱 헤드(H)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다두 미싱에 배치되어 있는 미싱 헤드(H)의 정면도, 도 3은 미싱 헤드(H)의 좌측면도, 도 4는 미싱 헤드(H)의 좌측면 단면도, 도 5는 미싱 헤드(H)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러한 도 2 ~ 도 6에서는, 옷감 누름체(24)가 봉제 위치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7은 미싱 헤드(H)의 일부를 파단하여 나타낸 측면도이지만, 도 5와 달리 옷감 누름체(24)가 퇴피 위치에 있는 경우, 즉 가동 휴지 상태에 있는 미싱 헤드(H)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이들 도 2 ~ 도 7에 나타낸 각 도에 의해 미싱 헤드(H)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각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미싱 암(7)에는 미싱 주축(6)이 관통하고 있음과 동시에, 미싱 암(7)의 좌측면에는 바늘대(8)의 점프 제어를 위한 점프 제어용 모터(16)(이하, 간단히 점프용 모터), 옷감 누름 지지체(23)의 승강 구동을 위한 옷감 누름 지지체 승강용 모터(37)(이하, 간단히 승강용 모터), 옷감 누름 지지체(23)의 방향 제어를 위한 옷감 누름 지지체 방향 제어용 모터(49)(이하, 간단히 제어용 모터)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4등으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바늘대(8)는 미싱 암(7)에 상하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바늘대(8)의 하단부에는 바늘(9)이 고정되어 있어, 이 바늘대(8)를 유지하기 위한 바늘대 잡이(10)가 바늘대(8)의 대략 중간부에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바늘대(8)는, 상기 미싱 주축(6)의 회전을 구동원으로 하는 바늘대 구동 기구(11)에 의해 상하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바늘대 구동 기구(11)는, 상기 미싱 주축(6)에 고정된 바늘대 캠(12)의 회전을, 상기 미싱 암(7)에 상하 방향으로 지지된 가이드 축(13)에 대한 승강 구동체(14)의 상하 동작으로 변환하고, 이 상하 동작이 상기 바늘대 잡이(10)를 통하여 바늘대(8)에 전달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승강 구동체(14)는 가이드 축(13)에 대하여 그 축선 둘레의 회전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 승강 구동체(14)의 측부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를 가진 맞물림 면(14a)이 형성되어 있다.
맞물림 면(14a)의 후방에는 구동 암(15)이 설치되어 있고, 이 구동 암(15)은 바늘대(8)를 점프 제어하기 위한 점프용 모터(16), 즉 바늘대(8)로의 미싱 주축(6)의 회전 구동의 전달을 차단하여 바늘대(8)가 미싱 주축(6)의 회전에 맞추어 상하 이동하지 않는 「점프 상태」로 제어하는 점프용 모터(16)의 축(17)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다. 각 미싱 헤드(H) 마다의 점프용 모터(16)는, 각 미싱 헤드(H)를 개별적으로 점프 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전기적인 점프 신호(전기적 신호)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구동 제어되는 것이다.
상기 구동 암(15)은, 상시에는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이나 고무 등의 가압 수단에 의해서 대기 위치(도 6으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고, 따라서 점프용 모터(16)가 오프(off) 시에는 이 가압 수단에 의해서 이 대기 위치에 위치 결정된다. 한편, 점프 신호에 따라 점프용 모터(16)가 온(on) 되면,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에 저항하여 구동 암(15)이 도 6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소정 위치(점프 작동 위치) 쪽으로 구동된다.
이 점프 신호는, 바늘대(8)가 상사점 근처에 위치할 때의 타이밍으로 주어지게 되어 있고, 점프용 모터(16)의 구동에 따라 상기 구동 암(15)이 도 6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소정 위치(점프 작동 위치) 쪽으로 구동되면, 이 구동 암(15)의 선단부에 의해서 승강 구동체(14)의 맞물림 면(14a)이 밀려, 이것에 따라 승강 구동체(14)가 가이드 축(13)의 축선 둘레에서 회전한다. 구동 암(15)이 점프 작동 위치에 위치하면, 바늘대(8)의 바늘대 잡이(10)(도 4 참조)가 승강 구동체(14)로부터 개방되어 미싱 주축(6)의 회전 구동의 전달이 차단되므로, 바늘대(8) 는 점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점프용 모터(16)의 구동을 계속해 구동 암(15)을 상기 점프 작동 위치에 유지하도록 해 두면, 바늘대(8)는 연속 점프 상태가 된다. 한편, 점프용 모터(16)가 오프되면, 구동 암(15)은 상기 가압 수단의 가압에 의해서 상기 대기 위치로 되돌려지고, 이것에 수반하여 도시하지 않는 가압 수단에 의해서 승강 구동체(14)가 바늘대 잡이(10)를 유지하는 위치까지 되돌려져, 바늘대(8)의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미싱 헤드(H)에는, 바늘대(8)로의 미싱 주축(6)으로부터의 구동 전달을 차단하기 위한 점프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승강 구동체(14)의 맞물림 면(14a)의 상하 길이는, 바늘대(8)의 상하 스트로크의 전(全)범위에 있어서 구동 암(15)의 선단부와 항상 대향하는 치수로 설정해 둔다. 천칭(18)은, 주지하는 바와 같이 상기 미싱 암(7)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미싱 주축(6)의 회전을 구동원으로 하는 천칭 구동 기구(19)에 의해 상하 요동 되도록 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바늘대(8)의 외주에는 지지통(20)이, 미싱 암(7)의 하부에 고정된 고정 슬리브(sleeve)관(21)의 내주면에 안내되어 바늘대(8)와의 상대적인 승강 동작 및 그 축선 둘레의 회전이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지지통(20)의 상단부에는 링(22)이 고정되고, 또한 지지통(20)의 하단부에는 옷감 누름 지지체(23)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옷감 누름 지지체(23)는 양다리 모양에 형성되어 있고, 한쪽의 외측면에는 상하로 긴 키(key) 홈(23a)이 형성되고, 다른 한쪽의 아래쪽 부분에는 옷감 누름체(24)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옷감 누름체(24)에는, 후술하는 보빈(bobbin)(30)으로부터 계속 내보내지는 끈 모양 소재를 바늘(9) 의 침원으로 이끄는 가이드(25)가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슬리브관(21)의 외주에는, 회전통(26)이 그 축선 둘레의 회전만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통(26)의 상단부 외주에는 풀리(27)가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하단부에는 옷감 누름 지지체(23)의 키 홈(23a)에 맞물리는 키 부재(28)가 고정되어 있다. 또 회전통(26)의 외주에는 보빈 브래킷(bracket)(29)이 고정되어 있rh, 이 보빈 브래킷(29)에는 옷감에 바느질되는 끈 모양 소재를 감아 두기 위한 보빈(30)이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 옷감 누름체(24)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기구(옷감 누름체 기구)에 대하여, 주로 도 2, 도 5 및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지지통(20)의 링(22)에는 구동 암(31)의 선단부(포크(fork)부)가 상하 방향의 동력 전달 가능하게 맞물려 있다. 이 구동 암(31)은, 미싱 암(7)에 대하여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가이드 축(32)에 대하여 승강 동작 가능하게 지지된 승강 부재(33)에 대하여 위치 조정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또, 이 가이드 축(32)의 축 위에는 기본 승강 부재(34)가 승강 동작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승강 부재(33)는 기본 승강 부재(34)에 블록(35)을 통하여 받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이러한 양자(兩者) 사이에 있어서 가이드 축(32)의 축 위에 설치된 스프링(36)의 탄성에 의해서 승강 부재(33)가 블록(35)으로 가압되는 방향(아래쪽)으로 가압되어 있다.
상기 옷감 누름 지지체(23)를 승강 구동하기 위한 구동원인 승강용 모터(37)의 축에서는,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동 레버(38)가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레버(38)의 선단부는 미싱 암(7)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 암(40)의 일단부에 링크 부재(39)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또, 회동 암(40)의 타단부는, 상기 기본 승강 부재(34)에 링크 부재(4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승강용 모터(37)를 구동시키면, 회동 암(40)이 왕복 회동되어 기본 승강 부재(34) 및 승강 부재(33)가 가이드 축(32)에 따라서 승강하고, 구동 암(31)을 통하여 지지통(20)이 옷감 누름 지지체(23)(및 옷감 누름체(24))와 함께 승강되게 된다(도 2 참조). 이 승강용 모터(37)은 봉제시에 있어서 미싱 주축(6)의 회전에 연동하여 소정의 각도 범위로 정역회전(正逆回轉) 방향으로 왕복으로 움직이도록 제어되고(즉, 소정 패턴으로 구동 제어된다), 이것에 따라, 구동 레버(38)가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38')와의 사이에서 왕복 회동하도록 구동되며, 이것에 수반하여, 회동 암(40)이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와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40')와의 사이에 왕복 회동되고, 이 동작에 수반하여 옷감 누름체(24)가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하사점과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사점(24')과의 사이를 승강 구동된다. 옷감 누름체(24)가 하사점에 있을 때는, 옷감 및 끈 모양 소재를 위에서부터 누른다. 또, 봉제 종료시나 미싱 헤드(H)의 가동을 휴지할 경우에 있어서는, 승강용 모터(37)를 소정 위치(각도)로 구동 제어함으로써 회동 암(40)을 도 6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40")까지 회동시키고, 이것에 수반하여, 옷감 누름체(24)를 도 6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24")(소정의 퇴피 위치)로 퇴피시킨다. 이 퇴피 위치(24")는 상기 상사점(24')의 윗쪽에 설정되어 있다.
또한, 옷감 누름체(24)는, 바느질하는 끈 모양 소재나 천의 종류 등에 의해서 하사점이 상승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옷감 누름체(24)가 끈 모양 소재에 닿는 곳에서 승강 부재(33)의 하강이 정지하고, 기본 승강 부재(34)만이 스프링(36)(도 2 참조)의 탄성에 저항하여 하강하여 하사점의 상승을 허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옷감 누름체(24)의 퇴피 동작에 수반하여, 바늘대(8)를 점프 상태로 하는 연동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 ~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본 승강 부재(34)의 윗쪽 좌측에는, 연동 레버(4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연동 레버(42)는, 바늘대(8)를 점프 제어하기 위한 점프용 모터(16)에 고정한 브래킷(43)에 축 지지되어 있는 샤프트(44)의 일단에 고정되어 있고, 이 샤프트(44)의 타단에는 작동 레버(45)가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43)과 작동 레버(45)의 사이에는 토션(torsion) 스프링(46)이 설치되어 있고, 이 토션 스프링(46)은 작동 레버(45)를 도 5 또는 도 7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가압하고 있다. 또, 연동 레버(42)는 그 선단부가, 옷감 누름체(24)를 퇴피 위치로 퇴피시킬 때 이동되는 링크 부재(41)와, 옷감 누름체(24)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여 맞닿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연동 레버(42)는 상시에는 토션 스프링(46)의 가압력에 의해서, 그 기단부 아래쪽(42a)이 점프용 모터(16)의 측면으로 맞닿는 도 6에 있어서 실선으로 나타내는 회동 위치에 있고, 연동 레버(42)가 상기 회동 위치에 있는 경우에는 작동 레버(45)가 도 5에 나타내는 회동 위치에 있게 된다. 그리고, 옷감 누름체(24)가 퇴 피 위치로 퇴피되면, 연동 레버(42)는 링크 부재(41)에 밀려 도 6에 나타내는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회동되고, 작동 레버(45)가 도 7에 나타내는 위치에 회동된다. 점프용 모터(16)의 축(17)의 타단에는 점프 레버(47)가 고정되어 있고, 이 점프 레버(47)에는 작동 레버(45)와 맞닿음 가능한 핀(48)이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옷감 누름체(24)의 퇴피 동작에 의해서 작동 레버(45)가 회동되면, 핀(48)이 밀려 점프 레버(4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로 온다. 점프 레버(47)가 회동되면, 점프용 모터(16)의 축(17)을 통하여 구동 암(15)도 도 6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점프 작동 위치에서 회동되므로, 바늘대(8)가 점프 상태가 된다. 이 경우, 구동 암(15)은 항상 상기 점프 작동 위치에 유지되게 되기 때문에, 점프용 모터(16)가 구동되어 있지 않아도 바늘대(8)는 연속 점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승강용 모터(37)의 구동에 수반하여 동작하는 구동 레버(38), 링크 부재(39, 41), 회동 암(40), 더욱이는 이러한 동작에 수반하여 동작되는 연동 레버(42), 작동 레버(45), 점프 레버(47)의 각부가 마치 1개의 유지 부재로서 협동하도록 하여, 바늘대(8)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도록 하고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옷감 누름 지지체(23)를 방향 제어하기 위한 제어용 모터(49)의 축에는 샤프트(50)가 연결되어 있고, 샤프트(50)의 아래쪽 부분은 미싱 암(7)에 고정한 베이스 부재(5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샤프트(50)의 하단부에는 구동 풀리(52)가 고정되어 있고, 이 구동 풀리(52)와 상기 회전통(26)의 풀리(27) 사이에는 타이밍 벨트(53)가 걸려 건너져 있다. 이것에 의해, 제어용 모터(49)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구동에 따라 회전통(26)이 정회전 또는 역회전되어, 키 부재(28)을 통하여 옷감 누름 지지체(23) 및 가이드(25)가 방향 제어되게 된다. 공지한 바와 같이, 바느질 모양 데이터(자수 꿰맴 데이터)에 따라 제어용 모터(49) 즉 회전통(26)의 회전 방향과 회전량(각도)이 제어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상기 가이드(25)의 방향이 제어되어, 끈 모양 소재가 이 바느질 모양 패턴을 모방하도록, 침원 위치에서의 이 끈 모양 소재가 방향 결정이 된다.
또한, 도 2 ~ 도 7에 있어서, 54는 가마 토대(4)의 상면에 고정된 주지의 침판이다.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의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을 행할 때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상기 구성의 다두 미싱에 있어서, 옷감에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을 행할 때는, 각 미싱 헤드(H)의 보빈 브래킷(29)에 끈 모양 소재가 감겨진 보빈(30)을 세트함과 동시에, 끈 모양 소재를 보빈(30)으로부터 계속 내보내 가이드(25)를 통과하여 바늘(9)의 침원으로 이끈다. 한편, 봉제틀(5)에는 옷감을 전장 유지하도록 하여 세트해 둔다. 미싱의 기동 스위치를 조작하여 미싱을 운전시키면, 미싱 주축(6)이 회전되어 바늘대(8)(바늘(9))가 승강 구동됨과 동시에 천칭(18)이 요동된다. 옷감 누름체(24)는, 승강용 모터(37)의 구동에 의해서 바늘대(8)의 승강 구동과 동기하여, 도 6의 실선 위치와 일점 쇄선 위치와의 사이에서 승강 구동된다. 회전통(26)은 제어용 모터(49)에 의해서 회전 제어되고, 보빈(30) 및 가이드(25)가 항상 꿰맴 진행 방향의 앞쪽에 위치하도록 방향 제어된다. 그리고, 가마(3)가 바늘대(8)(바늘(9))의 승강 구동과 동기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봉제틀(5)이 전후좌우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에 의해서, 봉제틀(5)에 전장 유지된 피봉제물로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을 행하게 된다. 이 바느질 시에 있어서, 점프 꿰맴을 위해서 바늘대(8)를 점프시킬 때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점프 신호를 점프용 모터(16)에 주어 이 모터(16)를 구동시켜 행한다.
다음으로, 복수의 미싱 헤드(H)의 일부만을 가동시켜, 나머지의 미싱 헤드(H)의 가동은 휴지시킬 때의 동작 순서 및 휴지시키고 있던 미싱 헤드(H)를 가동시킬 때의 동작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미싱 헤드(H)를 휴지시키는 경우에, 휴지시켜야 할 미싱 헤드(H)의 점프용 모터(16)는 오프인채로 해 두고, 이 휴지시켜야 할 미싱 헤드(H)에 대응하는 옷감 누름체(24)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용 모터(37)의 구동 제어만을 행한다. 즉, 가동을 휴지시키는 미싱 헤드(H)에 있어서는, 승강용 모터(37)를 상기 정역(正逆) 왕복 회전 범위보다 반시계 방향(도 6 참조)으로 더 구동시키도록 모터 구동 제어 신호를 주고, 이것에 따라 구동 레버(38)를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소정 위치(38")에 위치시키며, 이것에 수반하여, 회동 암(40) 및 옷감 누름체(24)를 도 6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 40" 및 24"(퇴피 위치)까지 퇴피시킨다. 옷감 누름체(24)가 퇴피 위치로 퇴피되면, 연동 레버(42)가 링크 부재(41)에 밀려 작동 레버(45)와 함께 회동되고, 작동 레버(45)가 핀(48)을 눌러 점프 레버(47)가 회동된다. 이것에 의해, 구동 암(15)이 도 6에 있어서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위치에 회동되어 바늘대(8)가 점프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연동 레버(42)의 작용에 의해, 점프용 모터(16)를 구동하지 않고, 옷감 누름체(24)가 퇴피 위치로 이동하는 움직임에 연동하여 바늘대(8)를 점프 상태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옷감 누름체(24)가 퇴피 위치에 있을 때는 도 6 또는 도 7의 이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승강용 모터(37)의 축, 구동 레버(38)의 선단부와 링크 부재(39)와의 연결부, 링크 부재(39)와 회동 암(40)과의 연결부가 일직선에 가까운 위치에 늘어서도록(소위 데드 포인트(dead poing)) 설정해 두기 때문에, 옷감 누름체(24)는 퇴피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연동 레버(42) 및 작동 레버(45)는 토션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서, 도 7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려고 하는 힘이 작동하는 링크 부재(41)에 받아내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위치로 유지되어, 바늘대(8)의 점프 상태가 기계적으로 유지되게 되어 있다. 따라서, 미싱 헤드(H)를 휴지시키기 위해서, 이와 같이 바늘대(8)의 점프 상태가 일단 기계적으로 유지되면, 이후는, 옷감 누름 지지체(23)의 승강용 모터(37)가 오프가 되어도, 또, 물론, 점프용 모터(16)가 오프인 채에서도, 바늘대(8)의 점프 상태가 기계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미싱 헤드(H)의 휴지시에 정전이 일어났다고 하여도, 어떤 문제점도 생기지 않고, 바늘대(8)의 점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승강용 모터(37)의 축, 구동 레버(38)의 선단부와 링크 부재(39)와의 연결부, 링크 부재(39)와 회동 암(40)과의 연결부를 일직선으로는 아니고, 일직선에 가까운 위치에 늘어서도록 설정하여 두기 때문에, 종래 기술에 있어서 상술한 바와 같이, 만약 바늘대(8)의 하강에 수반하는 강한 힘이 더해졌을 때에는 함께 하강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정전이 있어도 바늘대(8)의 점프 상태 가 기계적으로 유지되므로, 종래와 같은 바늘대(8)의 하강은 일어나지 않는다.
다른 한편, 가동을 휴지시키고 있던 미싱 헤드(H)를 가동시킬 때는, 대응하는 승강용 모터(37)를 소정 방향으로 구동시키는 모터 구동 제어 신호(휴지 해제용의 전기신호)를 주고, 이 모터(37)의 구동에 의해서 옷감 누름체(24)를 도 6의 일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상사점으로 하강시킨다. 이것에 의해, 연동 레버(42), 작동 레버(45)는 토션 스프링(46)의 가압에 의해서 도 5에 나타내는 위치로 회동되고, 점프 레버(47)의 핀(48)과 작동 레버(45)와의 맞닿음이 어긋나, 구동 암(15)은 가압 수단에 의해서 도 6의 실선으로 나타내는 위치로 회동되어 바늘대(8)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상태가 해제된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 형태로서, 미싱 헤드(H)를 휴지시키기 위해서, 휴지시켜야 할 미싱 헤드(H)에 대응하는 옷감 누름체(24)를 퇴피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용 모터(37)의 구동 제어에 더하여, 이 휴지시켜야 할 미싱 헤드(H)의 점프용 모터(16)에 대해서도 일시적으로 점프 신호를 주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점프용 모터(16)의 구동에 의해서 바늘대(8)를 일단 점프 상태로 한 후에, 승강용 모터(37)를 구동하는 것에 의해 이 바늘대(8)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옷감 누름체(24)를 퇴피 위치에 이동시킬 때의 승강용 모터(37)의 부하가 경감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관한 다두 미싱에서는, 미싱 헤드(H)의 가동을 휴지할 때에 옷감 누름체(24)를 퇴피 위치로 퇴피시키면, 이 옷감 누름체(24)의 퇴피 동작에 따라 연동기구에 의해 점프 기구가 연동됨으로써, 바늘대(8)가 점프 상태로 된다. 또, 정전이 있어도, 옷감 누름체(24)가 퇴피 위치에 유지되는 것에 따라, 바늘대(8)는 점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게 된다. 이와 같이, 미싱 헤드(H)의 가동을 휴지시킬 때는 점프 제어를 위한 점프용 모터(16)를 구동시키지 않아서 좋고, 또 미싱 헤드(H)의 가동 휴지 중에 있어서도 종래와 같이 점프용 모터(16)를 계속해서 구동시켜 둘 필요가 없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미싱에서는, 미싱 운전 중에 정전이 있었다고 하여도, 가동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H)의 바늘대(8)는 점프 상태로 유지된 채로 하강하지 않고, 또 옷감 누름체(24)도 하강하지 않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는 자수틀의 틀 변 등과 충돌하는 것에 의한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는 상술한 실시 예의 것에 한정하지 않고, 정전이 있어도 바늘대(8)가 점프 상태에 유지되게 되어 있는 기구이면 어떠한 것이어도 좋다. 요컨데, 미싱 헤드를 가동시키는 경우에는 점프용 모터(16)의 구동에 따라 점프 꿰맴 제어를 행하고, 한편, 미싱 헤드를 휴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프용 모터(16)의 구동에 관계없이, 바늘대(8)를 점프 상태로 기계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휴지시키고 있던 미싱 헤드(H)를 가동 재개시킬 때, 바늘대(8)의 점프 유지 상태의 해제를 승강용 모터(37)의 구동에 의해서 행하는 것을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유지 해제를 위해서 전기적으로 또는 기계적으로 제어되는 다른 기구를 이용하여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헤드(H)만을 구비한 다두 미싱에 적용한 예를 나타냈지만,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헤드(H)와 자수용 미싱 헤드를 교대로 구비한 다두 미싱에 있어서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 헤드(H)에 대해서만 적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은, 끈 모양 소재의 바느질이 가능한 미싱에 한정하지 않고, 요점은, 바늘대 점프 기구와 바늘대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상하 구동 제어되는 누름체를 구비하는 타입의 미싱에 있어서 적용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계적으로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유지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하고, 이것에 의해서 이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기 때문에, 정전 등이 갑작스러운 전원 정지가 있었다고 하여도, 가동을 휴지하고 있는 미싱 헤드의 바늘대는 점프 상태가 그대로 유지되어 하강하지 않고, 따라서 유저(user)의 의도하지 않는 바늘대의 하강에 수반하여 일어나게 되어 얻는 부품의 변형이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는 뛰어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7)

  1. 꿰맴 동작을 행하기 위해서 상하 이동되는 바늘대와,
    전기적으로 제어되어 상기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하는 점프 기구와,
    상기 바늘대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상하 구동 제어되고, 하강시에 피봉제물을 위에서부터 누르는 누름체와,
    꿰맴 동작을 휴지할 때 상기 누름체를 윗쪽의 소정의 퇴피 위치까지 이동하고, 이 누름체를 이 퇴피 위치로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누름체 기구와,
    상기 누름체가 상기 퇴피 위치로 기계적으로 유지되는 것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대를 점프 상태에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연동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점프 기구는, 상기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할 때에 전기적으로 구동되는 모터와, 이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의 점프 작동 위치까지 작동되는 부재를 포함하고, 이 부재가 이 점프 작동 위치에 있을 때 상기 바늘대를 점프 상태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누름체를 상기 퇴피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할 때의 상기 누름체 기구의 움직임을 상기 부재에 전달하여, 이 부재를 상기 점프 작동 위치에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 기구는,
    꿰맴 동작시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의 상하 이동에 동기하여 소정 패턴으로 구동 제어되고, 꿰맴 동작을 휴지할 때에 소정 위치에 구동 제어되는 전기 모터와,
    상기 꿰맴 동작시에 있어서의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소정의 상사점과 하사점과의 사이에 상기 누름체를 상하 구동시키고, 한편, 상기 꿰맴 동작을 휴지할 때의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상기 상사점의 윗쪽의 상기 퇴피 위치까지 상기 누름체를 이동하여, 이 퇴피 위치에 있어서 상기 누름체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기구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누름체 기구에 의한 상기 누름체의 상기 퇴피 위치에서의 기계적 유지가 해제될 때, 이 누름체가 상기 퇴피 위치로부터 멀어지는 움직임에 연동하여, 상기 바늘대의 점프 상태를 기계적으로 유지하는 상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싱.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피봉제물은, 끈 모양 소재와, 이 끈 모양 소재가 바느질되는 기초로 이루어지는 미싱.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대의 축심 둘레에 회전 가능한 회전체와,
    이 회전체와 함께 회전하여 침원(針元) 위치로 끈 모양 소재를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구비하고, 꿰맴 데이터에 따라 상기 회전체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상기 가이드의 방향을 제어하며, 이것에 의해 침원 위치에서의 상기 끈 모양 소재의 안내 방향을 이 꿰맴 데이터에 따라 가변 제어하는 미싱.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미싱 헤드를 가지고, 각 미싱 헤드마다, 상기 바늘대, 상기 점프 기구, 상기 누름체, 상기 누름체 기구, 상기 연동기구를 각각 구비하는 미싱.
KR1020060094005A 2005-11-07 2006-09-27 미싱 KR100831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5321884A JP2007125278A (ja) 2005-11-07 2005-11-07 ミシン
JPJP-P-2005-00321884 2005-11-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6125U Division KR200434476Y1 (ko) 2005-11-07 2006-09-27 미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9057A true KR20070049057A (ko) 2007-05-10
KR100831059B1 KR100831059B1 (ko) 2008-05-22

Family

ID=380024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94005A KR100831059B1 (ko) 2005-11-07 2006-09-27 미싱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90493B2 (ko)
JP (1) JP2007125278A (ko)
KR (1) KR100831059B1 (ko)
CN (2) CN200967883Y (ko)
DE (1) DE10200605062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20A1 (ko) * 2021-05-07 2022-11-10 모베이스썬스타 주식회사 자수기용 미싱 헤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302070A (ja) * 2007-06-08 2008-12-1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刺繍ミシン及びその制御方法
JP5785684B2 (ja) * 2009-11-18 2015-09-30 東海工業ミシン株式会社 ミシン
JP2011172801A (ja) * 2010-02-25 2011-09-08 Brother Industries Ltd ミシン
CN103361899B (zh) * 2013-07-12 2014-05-21 宁波舒普机电科技有限公司 用于缝纫机的多针杆模块
CN105177659B (zh) * 2015-08-10 2018-06-05 灵宝华鑫铜箔有限责任公司 一种提高铜箔耐腐蚀性能的表面处理工艺
CN105926194B (zh) * 2016-06-07 2019-04-02 佛山市日宇自动化设备有限公司 一种具有升降机头的平车缝纫机
CN109629133A (zh) * 2019-01-30 2019-04-16 拓卡奔马机电科技有限公司 缝纫机的上机头系统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1125A (ja) * 1992-05-19 1993-12-07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多頭式刺繍機の布押えロック装置
JPH0824455A (ja) * 1994-07-20 1996-01-30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JPH08299963A (ja) * 1995-04-28 1996-11-19 Permelec Electrode Ltd シアン含有水の処理方法
JP3421206B2 (ja) * 1996-11-20 2003-06-30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の針棒停止装置
US5899157A (en) * 1997-03-25 1999-05-04 Brother Kogyo Kabushiki Kaisha Presser foot device of sewing machine having a presser foot ascent detection device and a control mechanism
TW363095B (en) * 1997-05-09 1999-07-01 Barudan Co Ltd Suppresser of sewing machine
JP2005334329A (ja) * 2004-05-27 2005-12-08 Tokai Ind Sewing Mach Co Ltd ミシン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34920A1 (ko) * 2021-05-07 2022-11-10 모베이스썬스타 주식회사 자수기용 미싱 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70101914A1 (en) 2007-05-10
JP2007125278A (ja) 2007-05-24
KR100831059B1 (ko) 2008-05-22
US7290493B2 (en) 2007-11-06
CN1962994A (zh) 2007-05-16
CN200967883Y (zh) 2007-10-31
DE102006050621A1 (de)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1059B1 (ko) 미싱
KR101171396B1 (ko) 재봉기
KR102039777B1 (ko) 코드재를 봉착할 수 있는 자수 미싱
JPH08299639A (ja) ミシン
KR20080082361A (ko) 자수 미싱
US4461226A (en) Waiting means in an embroidering machine
JP2007159619A (ja) ミシン
JPH05192464A (ja) ミシンの布押え駆動装置
KR20060066638A (ko) 재봉기
KR20080088455A (ko) 재봉기
KR101266356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20110117017A (ko) 미싱
KR20080087691A (ko) 재봉기의 노루발 장치
WO2020136950A1 (ja) ミシン
KR200434476Y1 (ko) 미싱
KR101675594B1 (ko) 자수 미싱용의 자수재 안내 장치
JP2007006912A (ja) ミシンの針棒駆動装置
KR100723545B1 (ko) 미싱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JP3301863B2 (ja) 上送り機構を備えた偏平縫いミシン
JP4017737B2 (ja) 糸端保持手段を備えた多針ミシン
JP5044224B2 (ja) 刺繍ミシン
JP2003326038A (ja) ミシン
KR200435161Y1 (ko) 미싱
KR860001541B1 (ko) 자수기의 대기장치(Waiting means for an embroidery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