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66638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66638A
KR20060066638A KR1020050120405A KR20050120405A KR20060066638A KR 20060066638 A KR20060066638 A KR 20060066638A KR 1020050120405 A KR1020050120405 A KR 1020050120405A KR 20050120405 A KR20050120405 A KR 20050120405A KR 20060066638 A KR20060066638 A KR 200600666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er foot
sewing
center presser
needle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204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40386B1 (ko
Inventor
타카시 니토우
Original Assignee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600666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666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40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40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6Presser feet
    • D05B29/08Presser feet comprising relatively-movable part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9/00Programme-controlled sewing machines
    • D05B19/0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 D05B19/12Sewing machines having electronic memory or microprocessor control unit characterised by control of operation of machine
    • D05B19/16Control of workpiece movement, e.g. modulation of travel of feed dog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29/00Pressers; Presser feet
    • D05B29/02Presser-control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49/00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 D05B49/02Take-up devices, e.g. levers, for the needle thread operated by cams or linkag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69/00Driving-gear; Control devices
    • D05B69/30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땀의 품질이나 봉제의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와이퍼에 의해 실을 중심 노루발로부터 확실히 빼낼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한다.
재봉기(M)는, 재봉바늘(1)을 봉제물로부터 빼낼 때에 봉제물을 바늘판을 향해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29)과, 봉제가 종료되고 실(T)이 잘린 후에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를 가로질러 중심 노루발(29)에 삽입통과된 실(T)을 빼내는 와이퍼(205)와, 중심 노루발(29)을 재봉바늘(1)의 상하 움직임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42)와,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부터 와이퍼(205)의 동작 개시시까지의 사이에, 중심 노루발(29)을 바늘판으로부터의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키도록 구동장치(42)를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한다.

Description

재봉기{SEWING MACHINE}
도 1은 중심 노루발 장치 및 와이퍼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중심 노루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중심 노루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중)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중심 노루발의 퇴피기구(퇴피후)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도 7은 와이퍼장치의 와이퍼 근방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와이퍼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실 제거부의 확대도이다.
도 10은 와이퍼에 의한 중심 노루발의 실을 빼낼 때의 와이퍼와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제어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12는 와이퍼에 의한 중심 노루발의 실 빼내기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에서의 상축의 회전각도에 대응하는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종래기술에서의 문제점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재봉바늘 29 : 중심 노루발
42 : 모터(구동장치) 100 : 중심 노루발 장치
200 : 와이퍼장치 205 : 와이퍼
300 : 제어장치(구동제어수단) M : 재봉기
T : 실
본 발명은, 재봉바늘의 상승시에 봉제물의 바늘 관통부 주변을 하방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을 갖는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자수 재봉기 등과 같이 이송톱니를 이용하지 않고 봉제물을 XY방향으로 반송시키면서 봉제하는 재봉기에서는, 봉제물이 재봉바늘과의 마찰로 인해 재봉바늘과 함께 상승하여 펄럭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재봉바늘의 상승시에 봉제물의 바늘 관통부 주변을 하방으로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장치는 통상적으로, 재봉바늘이 봉제물로부터 상승할 때 중심 노루발에 의해 봉제물을 하방으로 눌러 붙이고, 재봉바늘이 봉제물로부터 완전히 상승한 후에는 중 심 노루발이 재봉바늘과 함께 상승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중심 노루발 장치로는, 캠이나 손잡이를 회동시켜 중심 노루발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는 요동체를 구성하는 링크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중심 노루발 하위치(下位置)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여기서, 도 13은 중심 노루발과 재봉바늘의 이동궤적을 나타낸다. 도 13은, 가로축에 재봉바늘을 상하로 움직이게 하기 위한 상축의 각도를 취하고, 세로축에 거리를 취하여 그린 것이다. 여기서, 상축의 각도는 상축의 기준위치에 대한 회전각도를 말한다. 재봉기에서는 일반적으로, 봉제종료시에 실절단장치에 의해 봉제물 하방에서 재봉실이 절단된 후, 와이퍼가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가로지름으로써, 재봉바늘에 이어지는 재봉실의 절단 단부를 봉제물 위로 끌어올리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재봉바늘이 지나치게 내려가거나, 봉제되는 봉제물의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면,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간격이 작아져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상축이 도 13에서의 48°의 위치에서 정지했을 경우, 중심 노루발의 선단과 재봉바늘의 선단과의 거리가 매우 좁아져 버리기 때문에,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없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2가지의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제 1 방법은, 와이퍼가 중심 노루발의 아래를 가로지르도록 하는 방법이다. 제 1 방법에 따르면,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간격이 작아져도 와이퍼의 이동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기 때문에, 실을 봉제물로부터 확실히 빼낼 수 있다. 제 2 방법은, 와이퍼 가 통과하기 전에 재봉바늘을 상승시키는 방법이다. 즉, 재봉바늘을 유지하는 바늘대의 구동모터를 봉제시와 역(逆)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재봉바늘을 상승시켜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간격을 넓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H9(1997)-253365호
그러나, 제 1 방법에서는 중심 노루발이 환형(環形)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 환형상을 바늘과 실이 관통하고 있으므로, 와이퍼에 의해 재봉실을 봉제물로부터 끌어올려도, 실은 중심 노루발에 삽입통과된 상태로 있다. 그 때문에, 다음의 바늘땀을 봉제할 때,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노루발(501)에 의해 재봉바늘에 이어지는 실(502)을 눌러 버리는 경우가 있어, 바늘땀의 품질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제 2 방법에서는 봉제종료 후에 재봉바늘을 상승시키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늘땀에 장력을 부여하는 천칭(503)이 하강하여, 상기 천칭(503)과 재봉바늘(504)에 걸쳐진 실(505)이 느슨해진다(도 15의 이점쇄선으로 도시). 이로 인해, 와이퍼가 작동할 때에는 재봉바늘(504)의 상류측에서 느슨해진 실(505)을 재봉바늘(504)로부터 끌어내도록 작용되어, 봉제물로부터 실(505)을 확실히 빼낼 수 없었다. 또한, 바늘 끝에서 끌어낸 실(505)이 방해가 되어 봉제물을 세트하기가 어려웠다. 더욱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 개시시에 천칭(503)이 하강한 만큼 상승시켜 실(505)을 끌어올림에 따라, 실(505)이 재봉바늘(504)로부터 빠져버린다(도 16의 이점쇄선으로 도시)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바늘땀의 품질이나 봉제의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와이퍼에 의해 실을 중심 노루발로부터 확실히 빼낼 수 있는 재봉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재봉기에 있어서, 재봉바늘을 봉제물로부터 빼낼 때에 봉제물을 바늘판을 향해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과, 봉제가 종료되어 실이 잘린 후에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중심 노루발에 삽입통과된 실을 빼내는 와이퍼와, 상기 중심 노루발을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부터 상기 와이퍼의 동작 개시시까지의 사이에, 상기 중심 노루발을 바늘판으로부터의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소정 높이’란,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있는 중심 노루발의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를 말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중심 노루발의 초기위치가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중심 노루발의 사이에 상기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 형성되는 기준 높이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재봉기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수단은, 상기 중심 노루발의 초기위치가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중심 노루발의 사이에 상기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 형성되는 기준 높이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 당해 기준 높이를 초과한 만큼만 상기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한 재봉기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재봉기의 구성>
재봉기(M)는, 도 1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노루발 장치(100)와, 와이퍼장치(200)를 구비하고 있다.
(1) 중심 노루발 장치의 구성
중심 노루발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단에 재봉바늘(1)이 설치된 바늘대(1b)를 상하방향으로 구동시키는 상축(2)에 설치되어 있다. 상축(2)에는 편심 캠(3)이 고정되고, 상기 편심 캠(3)에는 접속링크(4)가 연결되어 있다. 접속링크(4)에는 요동축 홀더(5)가 연결되며, 요동축 홀더(5)에는 요동축(6)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요동축(6)의 타단부에는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의 이동량을 조절하는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의 기단부(基端部)가 고정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에는 홈 캠(7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 캠(7a)은 아크형상의 긴 구멍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홈 캠(7a)의 원하는 위치와 제 1 링크(8)의 일단부가 조절너트(9)와 단붙이 나사(10)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고정된다. 그 고정위치는 요 동축(6)의 축심선과 교차하는 위치로부터 이 교차위치에서 중심 노루발 조절아암(7) 일단측의 소정 위치의 범위까지의 사이에 형성되며, 이 범위 내에서 원하는 바대로 조절할 수가 있다.
제 1 링크(8)의 타단부는, 제 2 링크(11)의 길이부분과 단붙이 나사(12)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조절너트(9)가 걸림결합되는 홈 캠(7a)은, 중심 노루발(29)이 상하 왕복운동의 하사점에 있을 때, 단붙이 나사(12)의 축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의 일부가 된다. 제 2 링크(11)의 배면측에는 위치결정 링크(13)가 연결되어 있다.
위치결정 링크(13)는 그 중앙부 근방에서 단붙이 나사(14)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도록 부착되며, 단붙이 나사(14)의 위치는 중심 노루발(29)이 하사점에 있을 때의 단붙이 나사(12)의 위치와 일치한다.
위치결정 링크(13)의 일단부에는 스프링 걸이(13a)가 부착되고, 재봉기 프레임(15)에도 스프링 걸이(15a)가 고정되며, 이들 스프링 걸이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16)이 걸쳐져 있어, 스프링 걸이(13a)가 부착된 위치결정 링크(13)의 일단부를 하방으로 끌어내리도록 가압한다. 즉, 코일 스프링(16)은 제 2 링크(11)에서의 제 3 링크(20)와의 접속부위(P1)가 상방으로 이동했을 때, 접속부위(P1)를 하측을 향해 가압하는 가압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위치결정 링크(13)의 타단부에는 스토퍼(17)가 연결되어 있으며, 제 2 링크(11)의 일단부 및 위치결정 링크(13)의 타단부와 하나의 단붙이 나사(18)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 스토퍼(17)는 단붙이 나사(14)에 의해 위치결정 링크(13)와 함께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스토퍼(17)의 일단부(17a)의 상방에는, 스토퍼(17)가 상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규제하도록 규제부재(1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규제부재(19)는 재봉기 프레임(15)의 일부로 대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 1 링크(8), 제 2 링크(11), 위치결정 링크(13)에 의해 중심 노루발 요동기구(M1)가 구성된다.
제 2 링크(11)의 타단부에는 제 3 링크(20)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21)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제 3 링크(20)의 타단부에는 제 4 링크(22)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23)에 의해 제 3 링크(20)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렬이 되도록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에 의해 중심 노루발 링크부재(24)가 구성된다.
제 4 링크(22)의 타단부에는 링크 중계판(25)이 단붙이 나사(26)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링크 중계판(25)에는 중심 노루발대 홀더(27)가 고정되어 있고,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심 노루발대(28)가 유지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대(28)의 하단부에는, 재봉바늘(1)을 봉제물로부터 빼낼 때에 봉제물을 바늘판을 향해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29)이 부착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대(28)의 상단부에는 코일 스프링(30)이 설치되어 있으며, 볼트(31) 및 너트(32)에 의해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에 부착되어 있다.
단붙이 나사(23)는 사각 피스(piece,33) 및 안내부재(34)와 함께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를 연결한다. 즉, 제 4 링크(22)의 정면 쪽에는 안내부재(34)가 설치되고, 상기 안내부재(34)의 정면 쪽에는 사각 피스(33)가 설치되어 있으며, 제 3 링크(20), 제 4 링크(22), 사각 피스(33), 안내부재(34)를 하나의 단붙 이 나사(23)로 연결하고 있다.
사각 피스(33)는 단붙이 나사(23)와,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와의 갭을 메우는 스페이서의 역할을 하며, 각 링크의 덜거덕거림을 방지하여 각 부재를 원활히 구동시킨다.
안내부재(34)는, 대략 삼각형상의 판재이며, 상단부(34t)가 단붙이 나사(35)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안내부재(34)의 하단부 근방에는 상하방향으로 길이가 긴 구멍(34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긴 구멍(34a)은 단붙이 나사(23)의 나사부의 지름보다 약간 큰 폭으로 형성되며, 이 긴 구멍(34a)에 단붙이 나사(23)가 삽입통과되어 있다. 즉, 안내부재(34)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연결부(P3)를 중심 노루발(29)의 상하방향(D1)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을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 안내부재(34)에는, 안내부재(34)를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링크(36)의 일단부가 단붙이 나사(37)에 의해 긴 구멍(34a)의 상부 근방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있다. 이동링크(36)의 타단부에는 편심 캠(38)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편심 캠(38)에는 가변축(39)의 일단부가 연결되어 있다. 가변축(39)의 타단부에는, 베어링(40), 베벨기어(41)를 통해 구동장치로서의 모터(42)가 연결되어 있다. 즉, 모터(42)는 그 구동이 가변축(39), 편심 캠(38), 이동링크(36)의 순서로 전달되어, 이동링크(36)가 안내부재(34)를 이동시킴으로써, 중심 노루발(29)을 재봉바늘(1)의 상하 움직임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베벨기어(41)에는 베벨기어(43)가 맞물려 있어, 모터(42)의 구동을 가변축(39)의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D5)으로 출력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베벨기어(43)의 후단에는 베어링(44),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등이 동축상에 연결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은, 도 4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동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한쪽은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거의 동일한 원호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이하, 유지부(45a)라 함), 다른 쪽은 회동중심으로부터 외주면까지의 거리가 유지부(45a)에서의 회동중심에서 외주면까지의 거리보다 크고, 매끄럽게 변화하는 형상(이하, 변화부(45b)라 함)으로 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은, 중심 노루발(29)을 봉제종료 후의 퇴피높이위치(P5)로 상승시키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를 승강시키는 것으로서,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에 설치된 원통형상의 롤러(47)의 외주면에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외주면이 맞닿게 되어 있다. 즉,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유지부(45a)가 롤러(47)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상승하지 않지만(도 4 참조),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있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가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도 5 및 도 6 참조). 즉,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 롤러(47)에 의해 중심 노루발 퇴피기구(M2)가 구성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그 중간부에서 핀(48)에 의해 재봉기 프레임(15)에 회동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는, 그 타단부 가 중심 노루발대 홀더(27)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중심 노루발 승강 캠(45)의 변화부(45b)가 롤러(47)에 맞닿아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타단부가 상승함에 따라, 중심 노루발대 홀더(27)를 상승시켜 중심 노루발(29)을 퇴피높이위치(P5)로 상승시킬 수 있다(도 6 참조). 또한, 재봉기 프레임(15)에는,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보다 상방에 위치하도록 스프링 걸이(49)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프링 걸이(49)에 코일 스프링(50)의 일단부가 걸려있고, 타단부가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 근방에 걸려 있다. 이로써, 중심 노루발 상승부재(46)의 일단부를 항상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되어 있다.
(2) 와이퍼장치의 구성
와이퍼장치(200)는, 도 1, 도 7 내지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 프레임(15) 내부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도시생략)와, 상기 솔레노이드에 연결된 복수의 연결링크(201)와, 상기 연결링크(201)의 선단에 연결된 요동링크(202)와, 요동링크(202)에 연결된 캠부재(203)와, 캠부재(203)를 회전시키는 축부재(204)와, 축부재(204)에 기단부가 연결된 와이퍼(205)를 구비하고 있다.
즉, 솔레노이드의 구동이 연결링크(201)를 통해 요동링크(202)에 전달되면, 요동링크(202)는 상하방향으로 요동하고, 요동링크(202)의 상하방향으로의 요동이 캠부재(203)에 의해 회전운동으로 변환되어 축부재(204)를 회전시킨다. 축부재(204)의 회전에 의해, 와이퍼(205)는,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가 회동한다. 와이퍼(205)의 선단부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실 제거부(205a)가 형성되고, 상기 실 제거부(205a)는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중심 노루발(29)과 재봉바늘(1) 사이의 실(T)의 측방에 위치하며, 요동링크(202)가 요동하여 와이퍼(205)를 사용할 때에는, 도 8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선단부가 중심 노루발(29)과 재봉바늘(1)의 사이를 가로질러 상승하도록 되어 있다. 와이퍼(205)의 선단부가 중심 노루발(29)과 재봉바늘(1)의 사이를 가로지르는 동시에 상방으로 회동함으로써, 갈고리형상으로 형성된 실 제거부(205a)가, 중심 노루발(29)에 삽입통과된 실(T)을 끌어올려 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재봉기의 제어시스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봉기(M)는 구동제어수단으로서의 제어장치(300)에 의해 봉제동작, 중심 노루발(29)의 하강동작 등이 제어된다. 제어장치(300)는 각종 처리를 수행하는 CPU(301)와, 프로그램이나 데이터가 기억된 메모리(302)를 구비하고 있다.
메모리(302)에는 CPU(301)가 처리를 수행하는 작업영역(303)과, 처리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기록하는 데이터영역(304)과, 중심 노루발 장치(100)에 각 동작을 수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억된 프로그램영역(305)이 형성되어 있다.
데이터영역(304)에는 봉제를 제어하기 위한 봉제데이터(304a)가 기억되어 있으며, 상기 봉제데이터(304a)에는 바늘판으로부터의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를 와이퍼(205)가 가로지를 수 있는 중심 노루발(29)의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기억되어 있는 높이는,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에 와이퍼(205)가 가로지를 수 있는 필요 최소한의 간격이 형성되는 기준 높이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영역(305)에는 봉제종료 후에 중심 노루발(29)이 기준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에 중심 노루발(29)을 기준 높이를 초과한 만큼만 하강시키는 기능을 실현하는 구동제어 프로그램(305a)이 기억되어 있다. 즉, 구동제어 프로그램(305a)은, 봉제종료 후에 중심 노루발(29)이 기준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때에만 중심 노루발(29)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기능을 실현시킨다. 또, 봉제종료 후의 중심 노루발(29)의 높이도 봉제데이터(304a)에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으며, CPU(301)는 봉제데이터(304a)로부터 기준 높이 데이터와 중심 노루발 높이 데이터를 판독함으로써, 이들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봉제시 중심 노루발의 동작>
다음으로 상술한 구성을 갖는 중심 노루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상축 모터(도시생략)를 구동시켜 편심 캠(3)을 회동시키면, 접속링크(4)의 선단은 상축(2)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하며, 접속링크(4)에 연결된 요동축 홀더(5)도 동일한 방향으로 요동한다. 요동축 홀더(5)가 요동함에 따라 요동축(6)도 요동하기 때문에, 제 1 링크(8)의 일단부가 요동 지점(支点)이 되어 제 1 링크(8)의 타단부가 요동축(6)의 축선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에 대하여 가로지르는 방향(D3))으로 요동한다. 제 1 링크(8)의 타단부의 요동에 따라, 제 2 링크(11)의 타단부는 제 3 링크(20)와 제 4 링크(22)의 직렬방향(D2)으로 요동하고, 제 2 링크(11)의 타단부에 연결된 제 3 링크(20) 및 제 4 링크(22)는 그 직렬방향(상하방향; D2)으로 요동한다. 제 3 링크(20) 및 제 4 링크(22)의 요동에 따라, 제 4 링크(22)에 연결된 중심 노루발대(28)는 상하방향(D1)을 따라 하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중심 노루발(29)도 상하방향으로 이동한다.
<와이퍼장치에 의한 중심 노루발로부터의 실 빼내기 동작>
다음으로, 와이퍼장치(200)를 이용하여 중심 노루발(29)에 삽입통과된 실을 빼내는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제물의 봉제가 종료되어 실이 절단되면(단계 S1), 실의 절단으로부터 조금 늦게 상축(2)이 정지하고, 재봉바늘(1) 및 중심 노루발(29)의 구동이 정지한다(단계 S2). 그러면, CPU(301)는 구동제어 프로그램(305a)을 실행시킴으로써, CPU(301)는 데이터영역(304)에 기억된 봉제데이터(304a)를 판독하고, 봉제종료 후의 중심 노루발 데이터와 기준 높이 데이터를 비교하여, 중심 노루발 높이가 기준 높이(예컨대, 바늘판으로부터의 높이가 2mm)보다 높은지의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3). 여기서, 중심 노루발 높이가 기준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있을 경우(단계 S3 : YES), CPU(301)는 중심 노루발 높이와 기준 높이의 차만큼만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키는 구동신호를 모터(42)에 송신한다. 그리고, 모터(42)는 수신된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킨다(단계 S4). 한편, 중심 노루발 높이가 기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을 경우(단계 S3 : NO), CPU(301)는 모터(42)에 대해서 구동신호를 송신하지 않고, 단계 S5의 처리로 이동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중심 노루발(29)을 기준 높이가 되는 위치로 이동시킨 후에 CPU(301)는 솔레노이드에 구동신호를 송신한다(단계 S5). 솔레노이드는 수신된 구동신호에 기초하여 연결링크(201)를 구동시키고, 연결링크(201)의 구동에 따라 요동링크(202)는 요동하며, 요동링크(202)의 요동에 따라 캠부재(203)가 회전한다. 캠부재(203)의 회전에 따라 축부재(204)는 회전하고, 축부재(204)의 회전에 따라, 와이퍼(205)는 기단부를 회동 중심으로 하여 선단부에 형성된 실 제거부(205a)가 중심 노루발(29)과 재봉바늘(1)의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이동하며, 실(T)을 재봉바늘(1)의 상하방향과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끌어 당긴다. 그리고, 와이퍼(205)가 소정량 이상 이동함으로써, 중심 노루발(29)에 삽입통과된 실(T)이 빼내진다.
<실시형태의 작용효과>
실시형태에서의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1)에 따르면, CPU(301)가 구동제어 프로그램(305a)을 실행함에 따라, 모터(42)는 봉제종료 후에 중심 노루발(29)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킨다. 이에 따라, 와이퍼(205)가 중심 노루발(29)에 삽입통과된 실(T)을 빼낼 때에,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를 확실히 가로지를 수 있으며, 종래와 같이 중심 노루발(29)로 실(T)을 눌러 붙여 바늘땀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재봉바늘(1)에 꿰어진 실(T)이 느슨해지거나, 봉제물로부터 실을 빼낼 수 없거나, 재봉바늘(1)로부터 실(T)이 빠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바늘땀의 품질이나 봉제의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와이퍼(205)에 의해 실(T)을 중 심 노루발(29)로부터 확실히 빼낼 수 있다. 또한, 기준 높이를 바꿈으로써, 봉제물의 두께가 변화되어도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모터(42)는 봉제종료 후에 중심 노루발(29)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키기 때문에, 봉제중인 봉제물에 기준 높이까지 하강중인 중심 노루발(29)이 접촉하지 않아, 중심 노루발(29)에 의한 봉제물의 가압에 의해 봉제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제의 제어와 중심 노루발(29)의 기준 높이까지의 하강제어를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어장치(300)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CPU(301)가 구동제어 프로그램(305a)을 실행함에 따라, 모터(42)는, 봉제종료 후의 중심 노루발(29)의 중심 노루발 높이가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에 와이퍼(205)가 가로지를 수 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 형성되는 기준 높이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중심 노루발 높이가 기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 모터(42)는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키지 않는다. 이에 따라,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에 와이퍼(205)가 가로지를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중심 노루발(29)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중심 노루발(29)의 쓸데없는 동작을 없앨 수 있어, 봉제 사이클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에 드는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CPU(301)가 구동제어 프로그램(305a)을 실행함에 따라, 모터(42)는, 봉제종료 후의 중심 노루발(29)의 중심 노루발 높이가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에 와이퍼(205)가 가로지를 수 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 형성되 는 기준 높이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 당해 기준 높이를 초과한 만큼만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키기 때문에, 와이퍼(205)가 재봉바늘(1)과 중심 노루발(29)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키면서, 그 하강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노루발(29)을 하강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봉제 사이클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봉제에 드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구동제어 프로그램을,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에 중심 노루발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키도록 모터를 제어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이로써, 최종 바늘땀의 봉제에 병행하여 중심 노루발을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중심 노루발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봉제 사이클을 단축시킬 수 있기 때문에, 봉제에 드는 비용을 저감시킬 수 있다.
또한, 구동제어 프로그램에 의한 모터의 제어는, 중심 노루발을 기준 높이까지 하강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기준 높이보다 낮은 높이까지 하강시키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는 시기는, 봉제종료 후 및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로 한정되지 않으며,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로부터 와이퍼의 동작 개시시까지의 사이라면 언제라도 가능하다.
또한, 솔레노이드에 의한 와이퍼의 구동기구, 링크의 수 등도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으며,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킬 때의 기준 높이도 재봉기의 종류나 와이퍼의 크기, 기구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가 중심 노루발에 삽입통과된 실을 빼낼 때에,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확실히 가로지를 수 있어, 종래와 같이 중심 노루발에 의해 실을 눌러 붙여 바늘땀의 품질이 저하되거나, 재봉바늘에 통과된 실이 느슨해지거나, 봉제물로부터 실을 빼낼 수 없거나, 재봉바늘로부터 실이 빠지는 경우가 없다. 따라서, 바늘땀의 품질이나 봉제의 작업성에 나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와이퍼에 의해 실을 중심 노루발로부터 확실히 빼낼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봉제종료 후에 상기 중심 노루발을 상기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킬 경우에는, 봉제중인 봉제물에 소정 높이까지 하강중인 중심 노루발이 접촉하지 않아, 중심 노루발에 의한 봉제물의 가압에 의해 봉제물의 품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봉제의 제어와 중심 노루발의 소정 높이까지의 하강제어를 동시에 실시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재봉기의 제어부에 대한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에 상기 중심 노루발을 상기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킬 경우에는, 중심 노루발을 소정 높이까지 하강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기 때문에, 봉제 사이클을 단축시킬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중심 노루발의 초기 위치가 기준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있으면, 구동장치는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지 않기 때문에,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에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있는 간격을 형성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만 중심 노루발을 구동시키므로, 중심 노루발의 쓸데없는 동작을 없앨 수 있어, 봉제 사이클을 단축시킬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따르면, 와이퍼가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통과할 수 있도록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면서, 그 하강량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어, 봉제 사이클을 단축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재봉바늘을 봉제물로부터 빼낼 때에 봉제물을 바늘판을 향해 눌러 붙이는 중심 노루발과,
    봉제가 종료되어 실이 잘린 후에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가로질러 상기 중심 노루발에 삽입통과된 실을 빼내는 와이퍼와,
    상기 중심 노루발을 상기 재봉바늘의 상하 움직임에 동기하여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와,
    봉제의 최종 바늘땀 개시시부터 상기 와이퍼의 동작 개시시까지의 사이에, 재봉바늘과 중심 노루발의 사이를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있는 바늘판으로부터의 소정 높이까지 상기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구동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상기 중심 노루발의 초기위치가 상기 재봉바늘과 상기 중심 노루발의 사이에 상기 와이퍼가 가로지를 수 있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간격이 형성되는 기준 높이를 초과하고 있을 경우에, 상기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제어수단은, 당해 기준 높이를 초과한 만큼만 상기 중심 노루발을 하강시키도록 상기 구동장치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20050120405A 2004-12-13 2005-12-09 재봉기 KR101240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4359878A JP4614755B2 (ja) 2004-12-13 2004-12-13 ミシン
JPJP-P-2004-00359878 2004-12-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66638A true KR20060066638A (ko) 2006-06-16
KR101240386B1 KR101240386B1 (ko) 2013-03-08

Family

ID=366683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20405A KR101240386B1 (ko) 2004-12-13 2005-12-09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614755B2 (ko)
KR (1) KR101240386B1 (ko)
CN (1) CN1789537B (ko)
TW (1) TW2006321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72B1 (ko) * 2007-06-07 2014-02-21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의 회전 와이퍼 장치
KR20160148388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패기앤코 재봉기용 바늘땀 엉킴방지장치
WO2019190195A1 (ko) * 2018-03-30 2019-10-03 박정현 재봉기
KR20200034558A (ko) * 2018-09-21 2020-03-31 박정현 재봉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040212B2 (ja) * 2006-08-10 2012-10-03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ミシン及びミシンプログラム
JP2009050364A (ja) * 2007-08-24 2009-03-12 Juki Corp ミシンの制御方法
CN104120560B (zh) * 2013-04-23 2018-02-13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控制方法
CN107059267B (zh) * 2017-06-16 2019-07-12 杰克缝纫机股份有限公司 一种缝纫机简易挑线调节机构及缝纫机
CN112522865B (zh) * 2019-09-18 2022-06-14 浙江中捷缝纫科技有限公司 缝纫设备的控制方法及装置、存储介质、处理器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06588A (en) * 1985-08-22 1987-11-1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Fast-release sewing machine control device
JPH06126069A (ja) * 1992-10-20 1994-05-10 Brother Ind Ltd ミシン
JP3734301B2 (ja) * 1996-03-22 2006-01-11 Juki株式会社 自動縫いミシンの中押え装置
JP3983367B2 (ja) * 1998-01-19 2007-09-26 株式会社バルダン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4095337B2 (ja) * 2002-05-14 2008-06-04 Juki株式会社 ミシン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5472B1 (ko) * 2007-06-07 2014-02-21 주식회사 썬스타 재봉기의 회전 와이퍼 장치
KR20160148388A (ko) 2015-06-16 2016-12-26 주식회사 패기앤코 재봉기용 바늘땀 엉킴방지장치
WO2019190195A1 (ko) * 2018-03-30 2019-10-03 박정현 재봉기
KR20200034558A (ko) * 2018-09-21 2020-03-31 박정현 재봉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40386B1 (ko) 2013-03-08
CN1789537A (zh) 2006-06-21
JP2006166977A (ja) 2006-06-29
TWI356859B (ko) 2012-01-21
JP4614755B2 (ja) 2011-01-19
TW200632170A (en) 2006-09-16
CN1789537B (zh) 2012-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0386B1 (ko) 재봉기
KR101240382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KR101171396B1 (ko) 재봉기
JP2017184980A (ja) ミシン
KR20060052109A (ko) 재봉기
JP2008079998A (ja) ミシン
JP2007244721A (ja) ミシン
JP4526956B2 (ja) ミシン
KR101266356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H05192464A (ja) ミシンの布押え駆動装置
JP2006239301A (ja) ミシン
KR101504664B1 (ko) 재봉기의 중심 노루발 장치
JP4860178B2 (ja) ミシン
JP2008237560A (ja) ミシンの布押え装置
JP2011172801A (ja) ミシン
JP2008086561A (ja) 刺繍ミシン及び平テープの千鳥縫付け方法
KR100228930B1 (ko) 재봉틀의 실권취레버 구동장치
KR20070104839A (ko) 재봉기
JP2008086370A (ja) ミシン
JPH04156882A (ja) ミシンの布送り装置
JP2841299B2 (ja) 零送り設定スタートミシン
CN106498629B (zh) 孔锁边缝纫机
JP2007195957A (ja) ミシン
KR101296282B1 (ko) 재봉기
KR100944296B1 (ko) 재봉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