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6928A - 게임기 - Google Patents

게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6928A
KR20070046928A KR1020077006160A KR20077006160A KR20070046928A KR 20070046928 A KR20070046928 A KR 20070046928A KR 1020077006160 A KR1020077006160 A KR 1020077006160A KR 20077006160 A KR20077006160 A KR 20077006160A KR 20070046928 A KR20070046928 A KR 20070046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me
winning
lottery
medal
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7006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79171B1 (ko
Inventor
도오루 오모또
마사또 오꾸아끼
히로또 나까모또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코나미 데지타루 엔타테인멘토
Publication of KR20070046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6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791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791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07F17/3262Player actions which determine the course of the game, e.g. selecting a prize to be won, outcome to be achieved, game to be play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02Hardware aspects of a gaming system, e.g. components, construction, architecture thereof
    • G07F17/3204Player-machine interfaces
    • G07F17/3211Display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6Game play aspects of gaming systems
    • G07F17/3272Games involving multiple players
    • G07F17/3276Games involving multiple players wherein the players compete, e.g. tourname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7/00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 G07F17/32Coin-freed apparatus for hiring articles; Coin-freed facilities or services for games, toys, sports, or amusements
    • G07F17/3286Type of games
    • G07F17/3297Fairground games, e.g. Tivoli, coin pusher machines, cran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lot Machines And Peripheral Devices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플레이 필드는 상면에 복수의 메달을 적재 가능하게 된 메달 적재대와, 상기 메달 적재대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수용 가능하게 된 홈부를 갖는다. 이동대는 상기 메달 적재대 상의 상기 메달을 상기 홈부를 향해 압박하는 방향으로 상기 메달 적재대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한다. 메달 불출 수단은 상기 메달 적재대 상의 메달이 상기 이동대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홈부로 낙하하는 것을 조건으로, 메달을 플레이어에게 불출한다. 제1 게임 실행 수단은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1 게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제2 게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다.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동작 모드도 다른 하나로 절환한다.
게임기, 플레이 필드, 적재대, 이동대, 메달 불출 장치

Description

게임기 {GAME MACHINE}
본 발명은 서로 다른 2개의 게임을 실행할 수 있는 게임기에 관한 것이다.
일본 특허 제3542119호 공보에는 복수의 추첨 기구를 구비한 푸셔 게임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푸셔 게임기는 투입한 메달이 메달 쳐커의 메달 통과구를 통과하면, 추첨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당첨 확률 테이블(당첨 확률 데이터)을 이용한 컴퓨터 추첨 게임(제1 게임)이 행해진다. 그리고, 이 추첨 게임에 의해 볼 보너스약이 당첨되면, 메달 적재대 상의 메달 상에 볼이 공급된다. 이 볼은 메달 적재대 상으로부터 메달 낙하 홈으로 낙하하면, 볼 추첨 장치로 반송된다. 볼 추첨 장치에서는 반송되어 온 볼이 소정의 당첨구로 들어가는지 여부의 물리 추첨 게임(제2 게임)이 행해진다. 이 물리 추첨에서 당첨되면, 그 당첨약에 따라서, 또 다른 고배당 추첨이 행해지거나, 소정 매수의 메달의 불출이 행해진다.
그런데,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과 상기 물리 추첨 게임의 관련성은 그 컴퓨터 추첨 게임에서 볼 보너스약이 당첨됨으로써 공급되는 볼이 볼 추첨 장치로 반송되어 상기 물리 추첨 게임에 이용된다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즉, 이들 추첨 게임 사이의 관련성은 컴퓨터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가 그 물리 추첨 게임의 개시 조건 중 하나에 지나지 않고, 그 관련성이 낮은 것이었으므로, 우수한 게임성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푸셔 게임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추첨 게임으로 한정되지 않고, 서로 다른 2개의 게임을 진행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푸셔 게임기에 있어서도, 이들 게임 사이의 관련성은 낮은 것이었다. 예를 들어, 상기 일본 특허 제3542119호 공보에 기재된 푸셔 게임기에서는 투입한 메달을 메달 쳐커의 메달 통과구를 통과시킨다는 게임과, 메달 적재대 상의 메달을 메달 낙하 홈으로 떨어뜨린다는 게임이 진행된다. 그러나, 이들 게임 사이의 관련성은, 전자의 게임에서 메달 통과구에 메달을 통과시키기 위해서는 그 메달을 메달 적재대의 단부로부터 메달 낙하 홈으로 낙하시키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에 지나지 않았다. 그로 인해, 서로 다른 2개의 게임을 진행하는 종래의 푸셔 게임기에 있어서도, 이들 게임 사이의 관련성이 한쪽의 게임 결과가 다른 쪽 게임의 개시 조건이라는 것에 지나지 않아, 그 관련성이 낮았으므로, 우수한 게임성을 충분히 제공할 수 없다는 상기 문제와 동일한 문제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추첨 게임과 물리 추첨 게임과 같이, 서로 다른 2개의 게임 사이의 관련성이 높은 우수한 게임성이 부가된 게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기이며,
상면에 복수의 메달을 적재 가능하게 된 메달 적재대와, 상기 메달 적재대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수용 가능하게 된 홈부를 갖는 플레이 필드와,
상기 메달 적재대 상의 상기 메달을 상기 홈부를 향해 압박하는 방향으로, 상기 메달 적재대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메달 적재대 상의 메달이 상기 이동대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홈부로 낙하하는 것을 조건으로, 메달을 플레이어에게 불출하는 메달 불출 수단과,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제1 게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게임 실행 수단과,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제2 게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게임 실행 수단과,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동작 모드도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제공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면, 제1 게임 실행 수단의 동작 모드와 함께 제2 게임 실행 수단의 동작 모드도 절환한다. 각 게임 실행 수단의 동작 모드가 절환되면 각 게임의 동작 내용이 변경되어, 각 게임의 진행 내용이 변한다. 따라서, 본 게임기에 따르면,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면, 제1 게임의 진행 내용과, 제2 게임의 게임 진행 내용의 양쪽이 변한다. 이에 의해, 서로 다른 2개의 게임(제1 게임과 제2 게임) 사이의 관련성이 종래의 푸셔 게임기에 비해 높아진다.
상기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은 상기 제1 게임에서 소정의 게임 결과를 얻음으로써 만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제2 게임의 게임 진행 내용이 변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2개의 게임(제1 게임과 제2 게임) 사이의 관련성이 종래의 푸셔 게임기에 비해 더 높아진다.
상기 복수의 제1 동작 모드의 각각은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 중 하나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1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것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추첨 게임을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모드 절환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대응하는 당첨 확률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 동작 모드로 절환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이 경우, 복수의 모드 절환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면, 소위 컴퓨터 추첨 게임인 제1 추첨 게임에서 이용되는 당첨 확률 데이터가 변할 뿐만 아니라, 제2 게임의 게임 진행 내용도 바꿀 수 있다.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하나로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선택된 당첨 확률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당첨 확률이 높을수록, 보다 높은 당첨 확률을 갖는 제2 동작 모드로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이 높아지면, 제2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도 높아진다. 이에 의해, 제1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이 높아지기 위한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는 것의 플레이어의 기대감을, 단순히 제1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만이 높아지는 것의 경우에 비해 높일 수 있다.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당첨구를 형성하는 당첨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상기 당첨구로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상술한 컴퓨터 추첨 게임은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가 결정되므로, 대규모의 설비는 불필요하다는 이점은 있지만, 당첨 확률이 변한 것에 대해 플레이어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물리 추첨 게임은 대규모의 설비가 필요하지만, 컴퓨터 추첨 게임에 비해 당첨 확률이 변한 것에 대한 플레이어의 신뢰를 얻기 쉽다.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면 당첨 확률이 변하는 제2 추첨 게임으로서, 공급 수단에 의해 공급한 추첨용 이동 물체가 소정의 당첨구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소위 물리 추첨 게임을 채용함으로써, 컴퓨터 추첨 게임을 채용하는 경우에 비해, 제2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이 변한 것에 대한 플레이어의 신뢰를 얻기 쉽다.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 필드 내에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제1 게임과 제2 추첨 게임 사이에 그 제1 게임의 결과가 그 제2 추첨 게임의 개시 조건 중 하나라는 관련성을 부가할 수 있다.
상기 메달 적재대로부터 상기 홈부로 낙하한 메달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이 메달을 검지하면 상기 제1 게임을 개시하도록 해도 좋다.
본 발명에 따르면, 게임기이며,
서로 다른 복수의 당첨 확률을 각각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당첨 확률 데이터를 각각 이용하는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이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제1 게임 실행 수단과,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이고, 추첨용 이동 물체를 이동시켜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소정의 당첨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제2 게임 실행 수단과,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동작 모드도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제공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면, 소위 컴퓨터 추첨 게임인 제1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이 변하는 동시에, 소위 물리 추첨 게임인 제2 추첨 게임의 당첨 확률도 변한다. 이에 의해, 컴퓨터 추첨 게임과 물리 추첨 게임의 관련성이 종래의 게임기에 비해 높아진다.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당첨구를 형성하는 당첨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상기 당첨구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비당첨구가 상기 당첨구 형성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절환하도록 구성해도 좋다.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소정의 득점 가산 조건을 만족시키면, 만족시킨 득점 가산 조건에 따른 득점을 누적 가산하고, 누적 가산된 값이 규정치에 도달한다는 당첨 조건을 만족시켰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소정의 득점 가산 조건에 따라서 누적 가산되는 득점치가 서로 다르도록 해도 좋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관한 푸셔 게임기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2는 상기 푸셔 게임기의 외관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3은 상기 푸셔 게임기의 스테이션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4는 상기 푸셔 게임기의 제어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블럭도이다.
도5는 판타직(fantastic) 찬스 시에 있어서의 상기 푸셔 게임기의 중앙 추첨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6은 잭팟 찬스 시에 있어서의 상기 중앙 추첨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관한 푸셔 게임기에 있어서의 중앙 추첨 장치를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2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푸셔 게임기(1)를 도시한다. 푸셔 게임기(1)는 8개의 독립된 플레이 필드(2)를 갖고, 각 플레이 필드(2)에서는 각각 2명의 플레이어가 게임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최대 16명의 플레이어가 동시에 게임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플레이어가 유기하는 유기 스페이스는 플레이 필드(2)마다 기둥(3)으로 구획되어 있고, 기둥(3) 사이는 투명한 커버로 덮여 있 다. 이에 의해, 플레이어는 직접 플레이 필드(2) 내부의 기구에 접촉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플레이 필드(2)에서는 각각 독립된 푸셔 게임을 행하는 게임기로서의 스테이션(10)에 의해 푸셔 게임이 행해진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이션(10)에는 플레이 필드(2) 내에 메달을 투입하기 위한 2개의 메달 투입기(11)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투입기(11)는 푸셔 게임기(1)의 외측에 노출된 메달 수납 수단으로서의 메달 투입구(11a)를 갖는다. 이 메달 투입구(11a)가 플레이어로부터 메달을 수납하면, 그 메달은 메달 투입기(11) 내에 형성된 메달 통로부를 통해 플레이 필드(2) 내에 위치하는 선단부(11b)로부터 플레이 필드(2) 내로 투입된다. 메달 통로부에는 메달의 통과를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투입 매수 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투입 매수 검지 센서는 메달을 검지하면, 그 검지 신호를 후술의 메인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또한, 메달 투입기(11)는 메달 투입 방향을 플레이어가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푸셔 게임기(1)의 본체 부분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플레이어는 메달 투입기(11)의 선단부(11b)를 소정의 범위 내에서 좌우로 향하게 할 수 있다.
메달 투입기(11)에 의해 메달이 투입되는 플레이 필드(2) 내에는 고정된 메달 적재대(12)와, 도면 중 화살표 A,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푸셔대(13)가 설치되어 있다. 메달 적재대(12)는 그 상면에 다수의 메달을 적재한다. 메달 적재대(12) 상의 메달이 그 메달 적재대(12)의 도면 중 우측에 형성된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하면, 그 메달은 푸셔 게임기(1)의 본체 외면에 설치된 수용 접시(4)(도2 참조)로부터 불출된다. 이에 의해, 플레이어는 메달을 획득할 수 있 다. 또한, 메달 적재대(12)의 도면 중 우측 단부(이하, 개방 단부라 칭함)에는 그 메달 적재대(12) 상에 퇴적된 메달이 간단하게 메달 낙하 홈(14)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스토퍼부(12a)가 설치되어 있다.
푸셔대(13)는 메달 적재대(12)의 상면을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도면 중 화살표 A, B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소정의 스트로크로 왕복 이동한다. 이와 같이 왕복 이동하는 푸셔대(13)는 이것이 왕복 이동하는 메달 적재대(12)의 상면 부분에 존재하는 메달을 개방 단부측으로 압출한다. 또한, 이 푸셔대(13)의 상면에도 메달이 적재된다. 푸셔대(13) 상의 메달이 도면 중 우측으로부터 낙하하면, 메달 적재대(12) 상에 적재되게 된다. 푸셔대(13)가 가장 우측 위치에 없을 때에 푸셔대(13) 상으로부터 메달이 낙하하면, 그 메달은 푸셔대(13)에 의해 압박되고, 메달 적재대(12) 상의 다수의 메달이 퇴적된 부분으로 압입된다. 이와 같이 하여 메달이 압입되면, 그 다수의 메달의 일부에 개방 단부측으로의 압박력이 작용하고, 그 압박력이 개방 단부의 스토퍼부(12a)에서 정지되어 있던 메달에 가해져 메달이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한다.
또한, 메달 낙하 홈(14)의 내부에는 회전 반송 기구(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반송 기구(15)는 메달 적재대(12)의 개방 단부에 평행한 회전축(15a)과, 이 회전축에 고정된 3개의 회전 블레이드부(15b)와, 이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각 회전 블레이드부(15b)는 복수매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지고, 구동 기구로부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축(15a)이 회전함으로써, 회전축 주위를 일정 속도로 항시 회전한다. 메달 적재대(12)의 개방 단부로부 터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한 메달은, 일단 회전 블레이드부(15b)의 블레이드에 받쳐지고, 회전 블레이드부(15b)의 회전에 의해 도면 중 우측으로 반송된다. 그 후, 그 메달은 블레이드 상부로부터 넘치고, 메달 낙하 홈(14)의 내부로 낙하한다. 각 회전 블레이드부(15b)에 의해 반송된 메달이 넘치는 부위의 수직 방향 하방에는 메달 검지 센서(이하, 스타트 체커라 칭함)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타트 체커는, 예를 들어 포토인터럽터로 구성되고, 그 광로 상을 메달이 통과하면, 메달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지 신호는 후술하는 메인 제어 장치로 이송된다.
메달 적재대(12)의 개방 단부로부터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한 전체 메달은 최종적으로 메달 낙하 홈(14)의 바닥부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메달 불출 수단으로서의 메달 호퍼로 이동한다. 그리고, 그 메달 호퍼에 의해 도2에 도시한 수용 접시(4)에 배출된다. 이 메달 호퍼와 수용 접시(4) 사이의 메달 배출로 중에는 메달의 통과를 검지하는 도시하지 않은 불출 매수 검지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불출 매수 검지 센서는 메달을 검지하면, 그 검지 신호를 후술의 메인 제어 장치에 출력한다.
또한, 플레이 필드(2) 내에는 액정 표시 장치(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액정 표시 장치(20)의 액정 화면에는 3개의 릴 화상이 표시된다. 각 스테이션(10)의 액정 표시 장치(20)의 표시 제어는 후술의 표시 제어 장치를 거쳐서 메인 제어 장치에 의해 일괄하여 행해진다.
도4는 본 푸셔 게임기(1)의 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제어 블럭도이다. 또한, 이 도면에는 스테이션(10)마다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는 1 개만 기재하고 생략하고 있다.
본 푸셔 게임기(1)는 메인 제어 장치(30)에 의해 일괄 제어되어 있다. 메인 제어 장치(30)는 CPU, RAM, ROM 등에 의해 구성되고, ROM에 기억된 각종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각종 제어 처리를 행한다. 메인 제어 장치(30)에는 상기 스타트 체커(16), 후술하는 제1 볼 검지 센서(43) 및 제2 볼 검지 센서(54), 상기 투입 매수 검지 센서(11c), 상기 불출 매수 검지 센서(17)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검지 신호가 입력된다. 또한, 도4에서는 제2 볼 검지 센서(54)를 1개만 기재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10개의 제2 볼 검지 센서(54)가 존재하고, 각 제2 볼 검지 센서(54)가 메인 제어 장치(3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표시 제어 장치(21)를 거쳐서 상기 액정 표시 장치(20)의 표시 내용을 제어한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후술의 볼 불출 장치(40), 후술의 판타직 찬스용 제1 추첨 볼 공급 장치(53), 후술의 잭팟 찬스용 제2 추첨 볼 공급 장치(56), 스테이션마다 설치되는 제1 메달 불출 장치(18), 각 스테이션에서 공용하는 제2 메달 불출 장치(57), 램프 표시 장치(22) 등의 제어도 행한다.
도1에 본 푸셔 게임기(1)의 게임 전체의 흐름을 나타낸다. 플레이어에 의해 메달 투입기(11)에 메달이 투입되면(S1), 투입 매수 검지 센서(11c)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메인 제어 장치(30)에 출력된다. 이 검지 신호를 수취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RAM 내의 메달 IN 데이터에 1을 가산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잭팟(이하, 적절하게 「JP」로 생략함) 당첨되었을 때의 메달 불출 매수를 나타내는 JP 저류 매수 데이터를 카운트한다. 이 JP 저류 매수 데이터의 초기치는 본 실시예에서는 500이지만,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1개의 검지 신호에 대한 JP 저류 매수 데이터의 카운트치도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 카운트치를 0.03으로 설정하고 있으므로, 플레이어에 의해 메달이 1매 투입되는 JP 저류 매수 데이터에 0.03이 가산되게 된다. JP 저류 매수 데이터의 카운트치는 메인 제어 장치(30)에 의해 본 푸셔 게임기(1)의 중앙 상부에 설치된 표시기에 의해 표시된다.
메달이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하여 스타트 체커(16)에 검지되면(S2), 스타트 체커(16)로부터의 검지 신호가 메인 제어 장치(30)에 출력된다. 이 검지 신호를 수취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ROM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컴퓨터 추첨 게임(제1 게임)을 진행한다(S3). 이 제1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추첨용 난수(亂數)를 생성하고, 복수의 약과 난수 값의 대응 관계를 나타내는 당첨 확률 테이블(당첨 확률 데이터)에 비추어, 생성된 추첨용 난수를 기초로 당첨약을 결정한다(S4 내지 S9). 이 컴퓨터 추첨 게임에 있어서는 당첨약이 결정되지 않고, 어긋남이 결정되는 일도 있다(S10).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과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의 2개가 ROM에 기억되어 있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어느 하나의 테이블을 ROM으로부터 판독하고, 이를 이용하여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을 진행한다. 이들 당첨 확률 테이블은 서로 다른 당첨 확률을 결정하기 위한 것이고,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의 쪽이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보다도 높은 당첨 확률에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은,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에 있어서의 어긋남에 대응한 난수 값의 일부가 상기 복수의 약 중 적어도 1개 에 대응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은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에 비해 어긋남에 대응하는 난수 값의 수가 적어, 어긋남이 결정되는 확률이 낮게 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은 모든 약에 대해 대응하는 난수 값의 수가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보다도 많게 되어 있다. 이하,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 추첨 게임을 행하는 상태를 노멀 상태라고 말하고,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을 이용하여 컴퓨터 추첨 게임을 행하는 상태를 확률 변동 상태라고 한다.
메인 제어 장치(30)는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의 추첨 결과를 기초로 하여 표시 제어 장치(21)에 화상 표시 지령을 출력한다. 이 화상 표시 지령을 수취한 표시 제어 장치(21)는 3개의 릴이 회전하는 화상을 액정 표시 장치(20)의 액정 화면에 표시시키고, 최종적으로 3개의 릴의 정지 화상을 표시시킨다. 이때, 메인 제어 장치(30)에 의해 당첨약이 결정되고 있는 경우에는 그 화상 표시 지령을 기초로, 최종적으로 그 당첨약에 관한 무늬의 조합을 정지 표시시킨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에 의해 어긋남이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그 화상 표시 지령을 기초로, 최종적으로 당첨약에 대응하지 않는 적당한 무늬의 조합을 정지 표시시킨다. 이에 의해, 플레이어는 액정 표시 장치(20)의 화면을 보고, 컴퓨터 추첨의 추첨 결과를 알 수 있다.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1 추첨 프로그램의 실행에 의해 당첨약을 결정하면, 플레이어에 대해 그 당첨약에 따른 특전을 부여하는 처리를 행한다.
표1에, 본 실시예에서 이용하는 약과 각 약에 따른 특전의 대조표를 나타낸다.
[표1]
같은 수 도안 특전
노멀 보너스 짝수 메달 불출
확률 변동 보너스 홀수(7을 제외함) 메달 불출 + 확률 변동
볼 보너스 1볼 도안 플레이 필드에 볼 1개 공급
럭키 보너스 럭키 도안 통상 판타직 찬스로 이행
슈퍼 보너스 슈퍼 도안 특별 판타직 찬스로 이행
잭팟 보너스 7 잭팟 찬스로 이행
짝수(「2」, 「4」, 「6」, 「8」)의 같은 수에 관한 노멀 보너스 중 어느 하나가 당첨되면(S4), 우선, 메인 제어 장치(30)는 현재의 상태가 확률 변동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1), 확률 변동 상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확률 변동 상태를 종료하고 노멀 상태로 이행한다(S12). 구체적으로는, ROM으로부터 통상의 당첨 확률 테이블을 판독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후의 컴퓨터 추첨 게임을 진행한다. 이 경우의 모드 절환 조건인 당첨 확률 변동 조건은 확률 변동 상태 시에 노멀 보너스에 당첨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노멀 보너스 중 어느 하나가 당첨되면, 메인 제어 장치(30)는 표시 제어 장치(21)를 제어하고, 그 짝수의 같은 수가 액정 표시 장치(20)의 화면에 정지 표시시킨다. 그리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메달 불출 지령을 제1 메달 불출 장치(18)에 출력한다. 이 제1 메달 불출 장치(18)는 본 푸셔 게임기(1)의 내부에 설치된 다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메달 호퍼부와, 그 메달 호퍼부에 저류된 메달을 불출하는 메달 불출부와, 메달 불출부로부터 불출된 메달을 플레이 필드(2) 내로 안내하는 메달 통로부를 구비하고 있다. 메달 불출 지령을 받은 제1 메달 불출 장치(18)는 메달 불출부를 제어하고, 그 메달 불출 지령에 따른 매수의 메달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메달 불출부에 의해 불출된 메달은 메달 통로부를 통해 푸셔 대(13)의 상면으로 낙하하고, 플레이 필드(2) 내에 불출된다(S30).
또한, 「7」 이외의 홀수의 같은 수(「1」, 「3」, 「5」, 「9」)에 관한 확률 변동 보너스 중 어느 하나가 당첨되면(S5), 메인 제어 장치(30)는 현재의 상태가 노멀 상태인지 여부를 판단하여(S13), 노멀 상태라고 판단했을 때에는 그 노멀 상태를 종료하고 확률 변동 상태로 이행한다(S14). 구체적으로는, ROM으로부터 확률 변동용 당첨 확률 테이블을 판독하고, 이를 이용하여 이후의 컴퓨터 추첨 게임을 진행한다. 이 경우의 모드 절환 조건인 당첨 확률 변동 조건은 노멀 상태일 때에 확률 변동 보너스에 당첨되는 것이다.
또한, 이와 같이 확률 변동 보너스 중 어느 하나가 당첨되면, 메인 제어 장치(30)는 표시 제어 장치(21)를 제어하고, 그 홀수의 같은 수가 액정 표시 장치(20)의 화면에 정지 표시된다. 그리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메달 불출 지령을 제1 메달 불출 장치(18)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노멀 보너스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그 메달 불출 지령에 따른 매수의 메달이 플레이 필드(2) 내에 불출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메달 불출 장치(18) 및 후술의 제2 메달 불출 장치(57)에 의해 불출되는 메달은 플레이어에게 직접 불출되는 것은 아니고, 플레이 필드(2) 내에 불출된다. 따라서, 그 메달을 플레이어가 획득하기 위해서는, 메달 적재대(12)로부터 메달 낙하 홈(14)으로 떨어뜨려야만 한다. 통상은, 플레이 필드(2) 내에 메달이 불출됨으로써, 그 메달을 푸셔대(13)가 압박함으로써, 메달 적재대(12) 상의 메달이 개방 단부측으로 압출되어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하고, 메달이 플레이어에게 불출되게 된다.
또한, 볼 보너스 중 어느 하나가 당첨되면(S6), 메인 제어 장치(30)는 볼 불출 장치(40)에 볼 불출 지령을 출력한다. 이 볼 불출 장치(40)는 본 푸셔 게임기(1)의 내부에 배치된 도시하지 않은 볼 저류부와, 도시하지 않은 볼 불출 제어부와, 플레이 필드 내에 볼을 배출하는 도3에 도시하는 볼 배출부(41)와, 볼 불출 제어부의 제어 하에서 볼 저류부로부터 볼 배출부(41)로 볼을 반송하는 볼 반송부를 구비하고 있다. 메인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볼 불출 지령을 볼 불출 장치(40)의 볼 불출 제어부가 수취하면, 그 볼 불출 제어부는 볼 반송부를 제어하여 1개의 볼을 볼 저류부로부터 볼 배출부(41)로 반송시킨다. 볼 배출부(41)로 반송된 볼은 그 볼 배출부(41)의 레일 상을 굴러, 플레이 필드 내의 메달 적재대(12) 상에 배출된다(S15).
이와 같이 하여 불출된 볼은 메달 적재대(12) 상에 퇴적된 메달 상에 올라탄 상태에서 플레이 필드 내에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그 메달의 이동과 함께 메달 낙하 홈(14)을 향해 이동한다. 여기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달 적재대(12)에 설치된 스토퍼부(12a)의 중앙 부분에는 볼이 낙하하기 쉽도록 절결부(12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메달 적재대(12)의 상방에는 2개의 볼 가이드(42)가 설치되어 있고, 메달 적재대(12) 상의 볼만을 중앙측으로 치우치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메달 적재대(12) 상의 볼은 메달 낙하 홈(14)을 향함에 따라서, 볼 가이드(42)에 의해 중앙측으로 치우치고, 낙하하기 쉽게 되어 있는 스토퍼부(12a)의 절결부(12b)를 거쳐서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한다.
볼이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하면, 이 볼은 상기 회전 반송 기구(15)의 회전 블레이드부(15b)의 블레이드 상에 올라타고, 그 회전 블레이드부(15b)의 회전에 의해 도3 중 우측으로 반송된다. 그 후, 그 볼은 블레이드 상부로부터 넘치고, 메달 낙하 홈(14)의 내부로 낙하한다. 여기서, 메달 낙하 홈(14)의 내부에 설치된 상기 스타트 체커(16)의 수직 방향 상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분류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이 분류 부재는 볼의 직경보다도 좁고 메달의 직경보다는 넓은 간격이 빈 레일이 된다. 회전 블레이드부(15b)의 블레이드로부터 넘친 메달은 이 레일 사이를 통해 스타트 체커(16)를 통과하게 된다. 한편, 회전 블레이드부(15b)의 블레이드로부터 넘친 볼은 이 레일 상에 올라타고, 스타트 체커(16)까지 도달하는 일은 없다. 이 레일은 상기 볼 저류부를 향해 경사져 있으므로, 레일 상에 올라탄 볼은 그 레일의 경사에 의해 볼 저류부까지 반송된다. 이 레일의 도중에는 제1 볼 검지 센서(4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1 볼 검지 센서(43)는, 예를 들어 포토인터럽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 광로 상을 볼이 통과하면, 볼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지 신호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30)로 이송된다.
이와 같이 볼이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하여 제1 볼 검지 센서(43)에 의해 검지되고(S20), 그 검지 신호를 메인 제어 장치(30)가 수취하면, 메인 제어 장치(30)는 RAM 내의 볼 저류수 데이터에 1을 가산하는 처리를 행한다(S21).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볼 저류수 데이터의 카운트 값을 플레이어에게 통지하기 위한 램프 표시 장치(22)를 제어하고, 그 카운트치에 대응하는 수만큼 볼 저류 램프를 점등시킨다. 이 램프 표시 장치(22)는 3개의 볼 저류 램프를 구비하고 있고, 각 스테이션(10)의 플레이 필드 내에 설치되어 있다. 그 후, 메인 제어 장치(30) 는 상기 볼 저류수 데이터가 3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 그리고, 볼 저류수 데이터가 3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ROM에 저장되어 있는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후술의 중앙 추첨 장치(50)를 제어하고, 제2 게임인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다(S24, S25).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 추첨 장치(50)는 구형의 추첨용 이동 물체인 추첨 볼(B1)이 들어갈 수 있는 소정의 당첨구를 형성하는 당첨구 형성 부재(51)와, 추첨 볼 받침대(52)와, 추첨 볼 받침대 상에 추첨 볼(B1)을 공급하는 공급 수단으로서의 제1 추첨 볼 공급 장치(5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추첨 볼 공급 장치(53)는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저류부와,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공급 구동부와, 추첨 볼 저류부로부터의 추첨 볼(B1)을 추첨 볼 받침대(52) 상으로 반송하는 도2에 도시하는 반송 레일(53a)을 구비하고 있다. 저류 볼 공급 구동부가 메인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볼 공급 지령을 수취하면, 저류 볼 공급 구동부는 추첨 볼 저류부 내의 추첨 볼(B1)을 반송 레일(53a)의 상부까지 반송한다. 이에 의해, 그 추첨 볼(B1)은 반송 레일(53a)의 경사에 의해 반송 레일(53a)을 따라서 반송되고, 최종적으로는 도면 중 화살표 D의 방향으로부터 추첨 볼 받침대(52) 상으로 공급된다.
상기 추첨 볼 받침대(52)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당첨구 형성 부재(51)가 설치되어 있다. 이 당첨구 형성 부재(51)에는 원반형 부재이며, 그 외주면에 등간격으로 10개의 볼 수용구(C1 내지 C10)가 형성되어 있다. 당첨구 형성 부재(51)는 도시하지 않은 회전 구동 장치에 의해 추첨 볼 받침대(52) 중심축의 주위를 회전한다. 상기 반송 레일(53a)로부터 추첨 볼 받침대(52) 상으로 공급된 추첨 볼(B1)은 그 추첨 볼 받침대(52) 상을 굴러가면서 당첨구 형성 부재(51)의 주위를 이동한다. 그리고, 추첨 볼 받침대(52)의 경사에 의해, 최종적으로는 당첨구 형성 부재(51)의 볼 수용구(C1 내지 C10) 중 어느 하나에 들어간다. 이들 볼 수용구(C1 내지 C10)의 바닥면은 개방되어 있고, 볼 수용구에 들어간 추첨 볼(B1)은 그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각 볼 수용구(C1 내지 C10)의 내부 또는 그 수직 방향 하방에는 각각 제2 볼 검지 센서(54)가 설치되어 있다. 각 제2 볼 검지 센서(54)는, 예를 들어 포토인터럽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 광로 상을 추첨 볼(B1)이 통과하면, 볼 검지 신호를 출력한다. 이 검지 신호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 제어 장치(30)로 이송된다. 이 볼 검지 신호에 의해, 메인 제어 장치(30)는 추첨 볼이 들어갔는지 여부를 볼 수용구(C1 내지 C10)마다 인식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 저류수 데이터가 3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중앙 추첨 장치(50)를 제어하고,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메인 제어 장치(30)는 상기 볼 수용구(C1 내지 C10) 중 적어도 1개를 당첨구로서 할당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30)는 1개로 부터 최대 10개까지의 사이에서 당첨구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장치(30)는 제1 추첨 볼 공급 장치(53)에 볼 공급 지령을 출력한다. 이 지령을 받은 제1 추첨 볼 공급 장치(53)는 저류 볼 공급 구동부를 구동하여 12개의 추첨 볼(B1)을 연속해서 추첨 볼 받침대(52) 상에 공급한다. 그리고, 할당된 당첨구의 전체에 추첨 볼(B1)이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통상 판타직 찬스와 특별 판타직 찬스의 2종류의 판타직 찬스가 존재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중앙 추첨 장치(50)를 제어함으로써, 통상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통상 동작 모드나, 특별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통상 판타직 찬스에서는 10개의 볼 수용구(C1 내지 C10) 중 3개가 당첨구에 할당되고, 특별 판타직 찬스(110)에서는 10개의 볼 수용구(C1 내지 C10) 중 1개가 당첨구에 할당된다. 그리고(110), 이들 판타직 찬스는 할당되는 당첨구의 수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진행 내용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할당된 당첨구의 전체에 추첨 볼(B1)이 들어가지 않으면 당첨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별 판타직 찬스는 통상 판타직 찬스보다도 당첨 확률이 높은 추첨 게임이다. 즉,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2개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통상 판타직 찬스나 특별 판타직 찬스 중 어 느 하나를 진행한다.
또한, 당첨구 형성 부재(51)에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볼 수용구(C1 내지 C10)에 각각 대응하는 10개의 당첨구 램프(55)가 설치되어 있다. 각 당첨구 램프의 점등 제어는 메인 제어 장치(30)에 의해 행해지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당첨구가 할당된 후, 그 당첨구로서 할당된 볼 수용구에 대응하는 당첨구 램프(55)를 점등하고, 남은 당첨구 램프는 소등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점등 중의 당첨구 램프(55)에 대응하는 볼 수용구에 추첨 볼이 들어가고, 이것이 제2 볼 검지 센서(54)에 검지되면, 메인 제어 장치(30)는 그 당첨구 램프를 소등하는 제어를 행한다.
여기서, 메인 제어 장치(30)가 통상 동작 모드로 동작할지,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할지는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의 컴퓨터 추첨 게임에 있어서 확률 변동 보너스에 당첨된 결과, 확률 변동 상태가 되고, 그 확률 변동 상태가 현재에도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현재의 상태가 노멀 상태인 경우에는 통상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동작 모드 절환 수단으로서 기능하고, 현재, 확률 변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23), 확률 변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통상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통상 동작 모드로 절환하고(S24), 확률 변동 상태라고 판단되면 특별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특별 동작 모드로 절환한다(S25).
어떠한 판타직 찬스에 있어서도,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볼 검지 센서(54)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당첨구의 전체에 추첨 볼(B1)이 들어갔는지 여부, 즉 당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6). 당첨구의 전체에 추첨 볼(B1)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판단된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어긋남이라고 판단하고, 그 판타직 찬스를 종료한다. 한편, 당첨구의 전체에 추첨 볼(B1)이 들어갔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당첨이라고 판단하고, ROM에 저장되어 있는 제3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중앙 추첨 장치(50)를 제어하고, 후술의 잭팟 찬스를 진행한다(S27).
또한, 통상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 결과, 당첨구의 전체에는 추첨 볼(B1)이 들어가지 않았지만, 일부의 당첨구에는 추첨 볼(B1)이 들어간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추첨 볼(B1)이 들어간 당첨구의 수에 따른 매수의 메달 불출 지령을 제2 메달 불출 장치(57)에 출력한다. 메달 불출 지령을 받은 메달 불출 장치(18)는 메달 불출부를 제어하고, 그 메달 불출 지령에 따른 매수의 메달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이 제2 메달 불출 장치(57)는 본 푸셔 게임기(1)의 내부 하부에 설치된 다수의 메달을 저류하는 메달 호퍼부와, 그 메달 호퍼부에 저류된 메달을 불출하는 메달 불출부와, 메달 불출부로부터 불출된 메달을 반송하는 메달 반송 레일과, 메달 반송 레일에 의해 반송되어 온 메달을 수취하고, 메달을 불출해야 할 스테이션(10)의 플레이 필드 내에 메달을 배출하는 도2에 도시하는 메달 배출부(57a)를 구비하 고 있다. 이 메달 배출부(57a)는 상기 중앙 추첨 장치(50)의 추첨 볼 받침대(52)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메달 반송 레일은 도2에서는 도시를 생략하고 있지만, 메달 배출부(57a)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나선형으로 연장되어 있다. 메달 불출부에 의해 메달 호퍼부로부터 본 푸셔 게임기(1)의 상부까지 반송된 메달은 이 메달 반송 레일을 통해 최종적으로 중앙의 메달 배출부(57a)로 반송된다. 그리고, 메달 배출부(57a)로부터 메달을 불출해야 할 스테이션(10)의 플레이 필드로 배출되어 푸셔대(13)의 상면으로 낙하하고, 플레이 필드(2) 내에 불출된다(S30).
이 잭팟 찬스도 상기 중앙 추첨 장치(50)를 이용하여 행해지지만,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추첨 볼로서, 상기 판타직 찬스에서 사용한 추첨 볼(B1)보다도 큰 직경의 추첨 볼(B2)을 사용한다. 구체적으로는, 판타직 찬스에서 당첨이라고 판단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우선, 메인 제어 장치(30)는 상기 볼 수용구(C1 내지 C10) 중 1개를 당첨구로서 할당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추첨 볼 공급 장치(56)에 볼 공급 지령을 출력한다. 이 제2 추첨 볼 공급 장치(56)는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저류부와,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공급 구동부와, 추첨 볼 저류부로부터의 추첨 볼(B2)을 추첨 볼 받침대(52) 상으로 반송하는 도2에 도시하는 반송 통로부(56a)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레이 필드(2)를 구획하고 있는 기둥(3) 중 하나가 추첨 볼 저류부로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그 기둥(3)의 내부에는 추첨 볼(B2) 이 일렬로 적층된 상태에서 저류되어 있다. 그리고, 저류 볼 공급 구동부가 메인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볼 공급 지령을 수취하면, 저류 볼 공급 구동부는 그 기둥(3)의 내부에 적층된 추첨 볼(B2)의 가장 아래에 새롭게 추첨 볼(B2)을 넣도록 동작한다. 이에 의해, 적층된 가장 위의 추첨 볼(B2)이 그 기둥(3)의 상부에 마련된 추첨 볼 배출 구멍까지 들어 올려지고, 그 추첨 볼 배출 구멍으로부터 낙하한다. 낙하한 추첨 볼(B2)은 상기 반송 통로부(56a)에 수취되고, 반송 통로부(56a)의 경사에 의해 반송 통로부(56a)를 따라서 반송되고, 최종적으로는 도면 중 화살표 E의 방향으로부터 추첨 볼 받침대(52) 상으로 공급된다.
잭팟 찬스에 있어서, 메인 제어 장치(30)는 상기 볼 수용구(C1 내지 C10) 중 하나를 당첨구로서 할당한다. 또한, 당첨구로서 할당된 볼 수용구에 대응하는 당첨구 램프(55)를 점등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추첨 볼 공급 장치(56)에 볼 공급 지령을 출력한다. 이 지령을 받은 제2 추첨 볼 공급 장치(56)는 저류 볼 공급 구동부를 구동하여 1개의 추첨 볼(B2)을 추첨 볼 받침대(52) 상에 공급한다. 그리고, 할당된 당첨구에 추첨 볼(B2)이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볼 검지 센서(54)로부터의 검지 신호를 기초로 하여 당첨구에 추첨 볼(B2)이 들어갔는지 여부, 즉 당첨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28). 당첨구에 추첨 볼(B2)이 들어가지 않았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어긋남이라 판단하고, 상기 제2 메달 불출 장치(57)에 의해 소정 매수의 메달을 불출하고, 그 잭팟 찬스를 종료한다. 한편, 당첨구에 추첨 볼(B2)이 들어갔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당첨이라고 판단하여 RAM 내에 기억되어 있는 JP 저류 매수 데이터를 판독한다. 그리고, JP 저류 매수 데이터가 나타내는 매수의 메달 불출 지령을 상기 제2 메달 불출 장치(57)에 출력한다. 이에 의해, 메달을 불출해야 하는 스테이션(10)의 플레이 필드(2) 내에 대량의 메달이 불출된다(S29).
본 실시예에 따르면,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컴퓨터 추첨 게임의 결과, 상기 S23에 있어서 확률 변동 상태가 아닌, 즉 노멀 상태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통상 동작 모드로 동작하고, 저당첨 확률의 통상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다(S24). 한편, 상기 S23에 있어서 확률 변동 상태라고 판단하였을 때에는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하여 고당첨 확률의 특별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다(S25). 이와 같이, 본 푸셔 게임기(1)에 따르면,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의 추첨의 결과에 따라서 판타직 찬스의 진행 내용을 바꿀 수 있다. 이에 의해, 각 스테이션(10)에서 행해지는 컴퓨터 추첨 게임과 판타직 찬스 사이의 관련성이 높아져, 우수한 게임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물리 추첨 게임인 판타직 찬스의 당첨 확률을 바꾸는 방법으로서는, 10개의 볼 수용구 중에서 당첨구로서 할당하는 수를 바꾸어 당첨구 수를 바꾸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당첨구 형성 부재(51)에 볼 수용구의 크기(넓이)를 변화시키는 구동 기구를 설치하 고, 당첨구에 할당한 볼 수용구에 대한 추첨용 이동 물체의 출입 용이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당첨 확률을 높게 할 때에는 당첨구에 할당한 볼 수용구의 크기를 크게 하고, 당첨 확률을 낮게 할 때에는 당첨구에 할당한 볼 수용구의 크기를 작게 하도록 구동 기구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추첨 볼 받침대(52) 상에 추첨 볼의 구름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돌기를 마련하여 이를 구동 기구로 출입하거나, 추첨 볼 받침대(52)의 경사 방향을 구동 기구에 의해 변화시켜, 당첨구에 할당한 볼 수용구에 대한 추첨용 이동 물체의 출입 용이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중앙 추첨 장치(50) 대신에 도7에 도시하는 중앙 추첨 장치(150)를 이용하여 판타직 찬스를 행한다. 이 중앙 추첨 장치(150)는 3개의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와, 비당첨구 형성 부재로서의 추첨 볼 받침대(152)와, 추첨 볼 받침대 상에 추첨 볼(B1)을 공급하는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공급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추첨 볼 공급 장치는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저류부와, 도시하지 않은 추첨 볼 공급 구동부와, 추첨 볼 저류부로부터의 추첨 볼(B3)을 추첨 볼 받침대(152) 상으로 반송하는 도7에 도시하는 반송 레일(153a)을 구비하고 있다. 저류 볼 공급 구동부가 메인 제어 장치(30)로부터의 볼 공급 지령을 수취하면, 저류 볼 공급 구동부는 추첨 볼 저류부 내의 추첨 볼(B3)을 반송 레일(153a)의 상부까지 반송한다. 이에 의해, 그 추첨 볼(B3)은 반송 레일(153a)의 경사에 의해 반송 레일(153a)을 따라서 반송되고, 최종적으로는 도면 중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추첨 볼 받침대(152) 상에 공급 된다.
상기 추첨 볼 받침대(152)는 상기 중앙 추첨 장치(50)와 마찬가지로 주발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중앙 부분에 1개의 비당첨구(C21), 3개의 비당첨구(C22)가 마련되어 있다. 비당첨구(C21, C22)에 추첨 볼(B3)이 들어가면, 그 개구로부터 하방으로 낙하하여 회수된다. 비당첨구(C21, C22)에 추첨 볼(B3)이 회수되면, 그 추첨 볼(B3)은 도시하지 않은 볼 검지 센서에 검출된다. 이 볼 검지 센서는 상기 제2 볼 검지 센서(54)와 마찬가지로, 예를 들어 포토인터럽터에 의해 구성되고, 그 볼 검지 신호는 메인 제어 장치(30)로 이송된다. 이 볼 검지 신호에 의해, 메인 제어 장치(30)는 추첨 볼이 비당첨구(C21, C22)에 들어갔는지 여부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3개의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는 상기 비당첨구(C21, C22)를 둘러싸도록 추첨 볼 받침대(152)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는 공지의 핀볼기에서 이용되는 것과 동일한 것이고, 추첨용 볼(B3)이 접촉하면 이를 튕기도록 구동하는 볼 반발용 범퍼이다. 각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추첨용 볼(B3)이 접촉하면, 각각 개별의 검지 신호가 메인 제어 장치(30)로 이송된다. 이 검지 신호에 의해, 메인 제어 장치(30)는 추첨 볼이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개별로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각 반발형 범퍼에 대응하는 검지 신호를 수신하면, 소정의 득점치를 RAM 내의 득점 데이터에 가산하는 처리를 행한다.
상술한 볼 저류수 데이터가 3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중앙 추첨 장치(150)를 제어하고, 본 변형예에 관한 판타직 찬스를 진행한다. 구체적으로는, 우선, 메인 제어 장치(30)는 각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접촉하였을 때에 가산하는 득점치를 각각 할당한다. 그리고, 메인 제어 장치(30)는 추첨 볼 공급 장치에 볼 공급 지령을 출력한다. 이 지령을 받은 추첨 볼 공급 장치는 저류 볼 공급 구동부를 구동하여 1개의 추첨 볼(B3)을 추첨 볼 받침대(152) 상에 공급한다. 여기서, 본 변형예에 관한 판타직 찬스는 추첨볼(B3)이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접촉한다는 득점 가산 조건이 만족되면, 접촉된 반발형 범퍼에 대응하는 득점치가 RAM 내의 득점 데이터에 가산되고, 그 득점 데이터의 값이 규정치에 도달한다는 당첨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의 판타직 찬스와 마찬가지로, 통상 판타직 찬스와 특별 판타직 찬스의 2종류의 판타직 찬스가 존재한다. 즉, 메인 제어 장치(30)는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중앙 추첨 장치(50)를 제어함으로써, 통상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통상 동작 모드나, 특별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의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통상 판타직 찬스에서는 제1 반발형 범퍼(151a)에 접촉했을 때에 가산되는 득점치가 10점이고, 제2 반발형 범퍼(151b)에 접촉했을 때에 가산되는 득점치가 20점이고, 제3 반발형 범퍼(151c)에 접촉했을 때에 가산되는 득점치가 30점이다. 한편, 특별 판타직 찬스에서는 어떠 한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접촉했을 때라도, 가산되는 득점치는 30점이다. 그리고, 이들 판타직 찬스는 그 가산되는 득점치가 다른 것 이외에는 동일한 진행 내용이다. 본 변형예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접촉한 반발형 범퍼에 대응하는 득점치의 누적치를 나타내는 RAM 내의 득점 데이터가 규정치(예를 들어, 300점)에 도달하지 않으면 당첨이 되지 않는다. 따라서, 특별히 판타직 찬스는 통상 판타직 찬스보다도 당첨 확률이 높은 추첨 게임이다. 즉, 제2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2개의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통상 판타직 찬스나 특별 판타직 찬스 중 어느 하나를 진행한다.
또한, 각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의 상면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득점 표시기가 설치되어 있다. 각 득점 표시기의 표시 제어는 메인 제어 장치(30)에 의해 행해진다. 즉, 메인 제어 장치(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를 선택 한 후, 그 동작 모드에 따라서 각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의 특정 표시기에 대응하는 득점을 표시하도록 표시 제어한다. 또한, 도7에 나타내는 예는, 통상 판타직 찬스의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여기서, 메인 제어 장치(30)가 통상 동작 모드로 동작할지,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할지는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과거의 컴퓨터 추첨 게임에 있어서 확률 변동 보너스에 당첨된 결과, 확률 변동 상태가 되고, 그 확률 변동 상태가 현재도 유지되고 있는 경우에는 특별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현재의 상태가 노멀 상태인 경우에는 통상 동작 모드로 동작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메인 제어 장치(30)는 동작 모드 절환 수단으로서 기능 하고,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재 확률 변동 상태에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확률 변동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통상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통상 동작 모드로 절환하고, 확률 변동 상태라고 판단되면 특별 판타직 찬스를 진행하는 특별 동작 모드로 절환한다.
어떠한 판타직 찬스에 있어서도, 메인 제어 장치(30)는 접촉한 반발형 범퍼에 대응하는 득점치를 RAM 내의 득점 데이터에 가산하고, 그 득점 데이터의 값이 규정치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그 득점 데이터의 값이 규정치에 도달하기 전에 추첨 볼(B3)이 어떠한 비당첨구(C21, C22)에 들어갔는지 여부도 판단한다. 득점 데이터의 값이 규정치에 도달하기 전에 추첨 볼(B3)이 임의의 비당첨구(C21, C22)에 들어간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어긋남이라 판단하여, 그 판타직 찬스를 종료한다. 한편, 득점 데이터의 값이 규정치에 도달하였다고 판단한 경우, 메인 제어 장치(30)는 당첨이라 판단하여, ROM에 저장되어 있는 제3 추첨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상기 중앙 추첨 장치(50)를 제어하고, 상술한 잭팟 찬스를 진행한다. 또한, 메인 제어 장치(30)는 어긋남이라고 판단한 경우라도 메인 제어 장치(30)는 지금까지 카운트된 득점 데이터의 값에 따른 매수의 메달 불출 지령을 제2 메달 불출 장치(57)에 출력한다. 메달 불출 지령을 받은 메달 불출 장치(18)는 상기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메달 불출부를 제어하고, 그 메달 불출 지령에 따른 매수의 메달 불출 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메달 배출부(57a)로부터 메달을 불출해야 하는 스테이션(10)의 플레이 필드로 배출되어 푸셔대(13)의 상면으로 낙하하고, 플 레이 필드(2) 내에 불출된다.
또한, 본 변형예에서는, 물리 추첨 게임인 판타직 찬스의 당첨 확률을 바꾸는 방법으로서는,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접촉했을 때에 가산하는 득점치를 바꾸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다른 방법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상기 3개의 비당첨구(C22)에 개폐 셔터를 설치하고, 비당첨구로의 추첨용 이동 물체의 출입 용이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당첨 확률을 높게 할 때에는 개폐 셔터를 폐쇄하고, 당첨 확률을 낮게 할 때에는 개폐 셔터를 개방하도록 개폐 셔터 구동 기구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예를 들어 비당첨구(C21, C22)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구동 기구를 설치하고, 비당첨구(C21, C22)로의 추첨용 이동 물체의 출입 용이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당첨 확률을 높게 할 때에는 비당첨구(C21, C22)의 크기를 작게 하고, 당첨 확률을 낮게 할 때에는 당첨구에 할당한 볼 수용구의 크기를 크게 하도록 구동 기구를 제어하면 된다. 또한, 추첨 볼 받침대(152) 상에 추첨 볼의 구름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돌기를 마련하여 이를 구동 기구로 출입하거나, 추첨 볼 받침대(152)의 경사 방향을 구동 기구에 의해 변화시켜, 반발형 범퍼(151a, 151b, 151c)에 대한 추첨용 이동 물체의 접촉 용이를 바꾸거나, 비당첨구(C21, C22)로의 추첨용 이동 물체의 출입 용이를 바꾸도록 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상기 변형예를 포함함. 이하 동일함.)에서는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 및 상기 판타직 찬스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기 위한 모드 절환 조건 이 컴퓨터 추첨 게임에서 확률 변동 상태일 때에 노멀 보너스에 당첨되거나 또는 노멀 상태일 때에 확률 변동 보너스에 당첨된다는 소정의 게임 결과를 얻을 수 있던 것이었지만,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제1 게임)의 게임 결과에 관계없는 조건이라도 좋다. 예를 들어, 일정 시간(10분)이 경과한다는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될 때마다 동작 모드를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어 더 많은 추첨을 행하고, 이것에 당첨되면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어,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이 일정 시간 확률 변동 상태가 되는 동작 모드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판타직 찬스가 일정 시간 특별 동작 모드로 절환하도록 해도 좋다. 이 경우, 그 일정 시간의 길이도 다른 추첨에 의해 결정해도 좋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게임이 컴퓨터 추첨 게임이고, 제2 게임이 판타직 찬스라는 물리 추첨 게임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이 추첨 게임 이외의 게임이라도, 마찬가지로 우수한 게임성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게임기가 고려된다. 메달을 메달 낙하 홈(14)으로 낙하시킨다는 제1 게임(푸셔 게임)을 진행하는 동시에, 상기 메달 검지 센서(스타트 체커)(16)에 의해 5매의 메달이 검지될 때마다 1매의 가상 금화를 가산하고, 그 가상 금화 매수가 소정 매수에 도달하면 소정 매수의 메달이 불출된다는 제2 게임도 진행한다. 그리고, 비교적 짧은 규정 시간 내에 상기 메달 검지 센서(16)가 2매 이상인 메달을 검지한다는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1 게임에서는 일정 시간 스토퍼부(12a)가 인입한다는 동작 모드로 절환하는 동시에, 제2 게임에서는 상기 메달 검지 센서(16)에 의해 1매의 메달이 검지될 때마다 1매의 가상 금화 를 가산하는 동작 모드로 절환한다. 본 예에 있어서도, 상기 규정 시간 내에 메달 검지 센서(16)가 2매 이상인 메달을 검지한다는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면, 제1 게임에서는 메달이 메달 낙하 홈(14)으로 떨어지기 쉬워지도록 게임 진행 내용이 변하고, 또한 제2 게임에서는 가상 금화 매수가 가산되기 쉬워지도록 게임 진행 내용이 변한다. 따라서, 서로 다른 2개의 게임(제1 게임과 제2 게임) 사이의 관련성이 높아져, 우수한 게임성이 부가된 게임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의 추첨의 결과에 따라서 판타직 찬스의 당첨 확률을 변경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잭팟 찬스의 당첨 확률을 변경하도록 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상기 컴퓨터 추첨 게임의 추첨의 결과, 확률 변동 상태로 되어 있을 때와 그렇지 않을 때, 잭팟 찬스를 진행하는 메인 제어 장치(30)가 할당하는 당첨구의 수를 변경해도 좋다. 이 경우, 당첨구의 수를 많이 할당할수록 당첨 확률이 높아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상기 변형예를 포함함)에서는 판타직 찬스 등의 물리 추첨 게임에서 이용하는 추첨 볼(B1, B2, B3)이 각 스테이션의 플레이 필드에 공급되는 볼과는 다른 것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동일한 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메달 낙하 홈(14)으로부터 낙하된 볼을 볼 반송 수단에 의해 반송하고, 중앙 추첨 장치(50)의 추첨 볼 받침대(52)로 공급하도록 하면 된다. 또한, 상기 물리 추첨 게임에서 사용하는 추첨용 이동 물체의 형상은 상기 추첨 볼(B1, B2, B3)과 같은 구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그 물리 추첨 게임의 추첨 기구와의 관계 에서 적절하게 결정된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푸셔 게임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다른 게임기에 있어서도 동일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Claims (17)

  1. 게임기이며,
    상면에 복수의 메달을 적재 가능하게 된 메달 적재대와, 상기 메달 적재대로부터 낙하한 메달을 수용 가능하게 된 홈부를 갖는 플레이 필드와,
    상기 메달 적재대 상의 상기 메달을, 상기 홈부를 향해 압박하는 방향으로, 상기 메달 적재대의 상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이동대와,
    상기 메달 적재대 상의 메달이 상기 이동대에 의해 압박되어 상기 홈부로 낙하하는 것을 조건으로, 메달을 플레이어에게 불출하는 메달 불출 수단과,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제1 게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 제1 게임 실행 수단과,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제2 게임을 실행 가능하게 구성된 제2 게임 실행 수단과,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동작 모드도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게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은 상기 제1 게임에서 소정의 게임 결과를 얻음으로써 만족되는 게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1 동작 모드의 각각은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 중 하나에 대응하고 있고,
    상기 제1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것에 대응하는 상기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하나에 의해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추첨 게임을 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모드 절환 조건 중 하나가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대응하는 당첨 확률 데이터를 이용하는 제1 동작 모드로 절환하는 게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하나로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선택된 당첨 확률 데이터에 의해 결정되는 당첨 확률이 높으면, 보다 높은 당첨 확률을 갖는 제2 동작 모드로 절환하는 게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당첨구를 형성 하는 당첨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상기 당첨구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게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 필드 내에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게임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당첨구를 형성하는 당첨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상기 당첨구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당첨구 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의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게임기.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수단은 상기 제1 게임의 결과에 따라서 상기 플레이 필드 내에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게임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달 적재대로부터 상기 홈부로 낙하한 메달을 검지하는 검지 수단을 더 구비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검지 수단이 메달을 검지하면 상기 제1 게임을 개시하는 게임기.
  13. 게임기이며,
    서로 다른 복수의 당첨 확률을 각각 결정하기 위한 복수의 당첨 확률 데이터 중에서 선택된 당첨 확률 데이터를 각각 이용하는 복수의 제1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이고,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함으로써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1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제1 게임 실행 수단과,
    당첨 확률이 서로 다른 복수의 제2 동작 모드 중 어느 하나이고, 추첨용 이동 물체를 이동시켜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소정의 당첨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제2 게임 실행 수단과,
    소정의 모드 절환 조건이 만족되었을 때, 상기 제1 동작 모드를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제2 동작 모드도 다른 하나로 절환하는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게임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과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당첨구를 형성하는 당첨구 형성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상기 당첨구에 들어가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는 게임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게임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를 수용할 수 있는 적어도 1개의 비당첨구가 상기 당첨구 형성 부재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상기 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하는 당첨구 변경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동작 모드 절환 수단은 상기 당첨구 변경 수단을 제어하여 상기 비당첨구의 수 또는 크기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제2 동작 모드를 절환하는 게임기.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게임 실행 수단은 추첨용 이동 물체를 공급하는 공급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추첨용 이동 물체가 소정의 득점 가산 조건을 만족시키면, 만족시킨 득점 가산 조건에 따른 득점을 누적 가산하고, 누적 가산된 값이 규정치에 도달한다는 당첨 조건을 만족시키는지 여부에 의해 당첨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제2 추첨 게임을 실행하고,
    상기 복수의 제2 동작 모드는 상기 소정의 득점 가산 조건에 따라서 누적 가산되는 득점치가 서로 다른 게임기.
KR1020077006160A 2004-09-16 2005-09-16 게임기 KR1008791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70506 2004-09-16
JP2004270506A JP3821442B2 (ja) 2004-09-16 2004-09-16 プッシャーゲーム機及びゲーム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6928A true KR20070046928A (ko) 2007-05-03
KR100879171B1 KR100879171B1 (ko) 2009-01-16

Family

ID=36060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7006160A KR100879171B1 (ko) 2004-09-16 2005-09-16 게임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070296146A1 (ko)
EP (1) EP1834676A1 (ko)
JP (1) JP3821442B2 (ko)
KR (1) KR100879171B1 (ko)
CN (1) CN101022860A (ko)
TW (1) TW200615030A (ko)
WO (1) WO20060308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28646B2 (ja) * 2005-02-14 2010-08-18 株式会社カプコン 抽選装置
JP3944517B1 (ja) * 2006-02-15 2007-07-11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メダル遊技機
JP4551342B2 (ja) * 2006-02-15 2010-09-29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景品払出機構及び遊戯装置
JP2007275140A (ja) * 2006-04-03 2007-10-25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ゲーム機
JP4628379B2 (ja) * 2007-02-13 2011-02-09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JP2008194200A (ja) * 2007-02-13 2008-08-28 Konami Digital Entertainment:Kk ゲーム機
JP4741556B2 (ja) * 2007-08-03 2011-08-03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メダルゲーム装置
JP4412740B2 (ja) * 2007-12-18 2010-02-1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ジャックポット抽選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JP4722984B2 (ja) * 2008-10-09 2011-07-13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
JP4701280B2 (ja) * 2008-11-07 2011-06-1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機
CN101739761B (zh) * 2008-11-07 2013-07-03 科乐美数码娱乐株式会社 游戏系统及游戏机
JP4701281B2 (ja) * 2008-11-07 2011-06-15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システム及びゲーム機
JP4663820B2 (ja) * 2010-10-29 2011-04-06 株式会社バンダイナムコゲームス メダルゲーム装置
US8256770B1 (en) * 2011-04-04 2012-09-04 Treasure Box, Inc. Skill game apparatuses
WO2014035396A1 (en) * 2012-08-30 2014-03-06 Konami Gaming, Incorporated Game machine, control method of controlling computer, and computer program
WO2014035404A1 (en) * 2012-08-30 2014-03-06 Konami Gaming, Incorporated Game machine
JP6212692B2 (ja) * 2015-01-30 2017-10-1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ゲーム機、及びプログラム
US9950250B2 (en) * 2016-07-27 2018-04-24 Stephen P. Shoemaker, Jr. Arcade game with rotating targets
JP6671703B1 (ja) * 2019-08-27 2020-03-25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装置
JP6664780B1 (ja) * 2019-08-27 2020-03-13 株式会社コナミアミューズメント ゲーム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748289B2 (ja) * 1996-04-09 2006-02-22 アビリット株式会社 スロットマシン
JP3016771B1 (ja) * 1998-12-03 2000-03-06 サミー株式会社 景品払出遊技機
JP3542119B2 (ja) * 2001-01-22 2004-07-14 コナミ株式会社 メダル遊技機
JP4041749B2 (ja) * 2003-02-17 2008-01-30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抽選装置および遊技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308081B (ko) 2009-04-01
CN101022860A (zh) 2007-08-22
JP2006081768A (ja) 2006-03-30
KR100879171B1 (ko) 2009-01-16
TW200615030A (en) 2006-05-16
EP1834676A1 (en) 2007-09-19
WO2006030899A1 (ja) 2006-03-23
US20070296146A1 (en) 2007-12-27
JP3821442B2 (ja) 2006-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79171B1 (ko) 게임기
KR100767559B1 (ko) 게임기의 메달 받침 접시 및 메달 게임기
US5342049A (en) Gaming machine with skill feature
US8790174B2 (en) Drawing machine for jackpot game, and game machine and game system using the same
JP4412740B2 (ja) ジャックポット抽選装置並びにこれを用いたゲーム装置及びゲームシステム
WO2007094393A1 (ja) 物理的抽選機構を備えたゲーム機
KR20080104075A (ko) 게임기
WO2007094392A1 (ja) 物理的抽選機構を備えたゲーム機
KR20020062554A (ko) 유기기, 추첨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
KR100942641B1 (ko) 메달 게임기
AU2009318559B2 (en) Mechanical drawing machine and game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5106770B2 (ja) メダル遊技機
JP4405476B2 (ja) プッシャーゲーム機及びゲーム機
JP2005027952A (ja) メダル遊戯装置
JP2010088710A (ja) ゲーム機
JP2007167342A (ja) 遊戯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1036549A (ja) ゲームシステム
CN213643078U (zh) 一种推币式游艺机代币循环装置
JP5282250B2 (ja) 遊技機試験装置
JP4722063B2 (ja) プッシャーゲーム機
JP4991804B2 (ja) ゲーム装置
JP5268035B2 (ja) メダルゲーム機
JP2023037969A (ja) メダルゲーム機
JP2005013564A (ja) 遊技機
JP2003071060A (ja) 遊技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3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