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45975A -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45975A
KR20070045975A KR1020060104629A KR20060104629A KR20070045975A KR 20070045975 A KR20070045975 A KR 20070045975A KR 1020060104629 A KR1020060104629 A KR 1020060104629A KR 20060104629 A KR20060104629 A KR 20060104629A KR 20070045975 A KR20070045975 A KR 200700459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ondary battery
electrolyte
eutectic mixture
group
lith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10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804981B1 (ko
Inventor
오재승
최신정
이병배
박재덕
박지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ublication of KR200700459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459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4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4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5Polymeric materials, e.g. gel-type or solid-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35Safety or regulating additives or arrangements in electrodes, separators or electrolyt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1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2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 H01M4/52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nickel, cobalt or iron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iron, cobalt or nickel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NiO2, LiCoO2 or LiCoOxF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a) 아미드(amide)기 함유 화합물 및 (b)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으로 구성된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포함하며, 음극은 리튬 대비 전위(Li/Li+)가 공융혼합물의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 영역에 포함되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이용한 전극인 것이 특징인 이차 전지 및 상기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차 전지는 공융혼합물 전해질 및 상기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영역에 해당되는 리튬 전위를 갖는 음극을 병용(竝用)함으로써,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전지용 전해질로 사용시 발생되는 전해액 분해 및 이로 인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융혼합물의 열적, 화학적 안정성, 높은 전도도, 넓은 전위창을 통해 전지의 안전성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리튬 이차 전지, 전해질, 공융혼합물, 전위창, 음극

Description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SECONDARY BATTERY COMPRISING EUTECTIC MIXTUR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도 1은 동전형(coin type) 이차 전지의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리튬 전위가 1V 이상인 금속산화물을 음극활물질로 사용한 음극과 공융혼합물 함유 전해질을 병용(竝用)하는 실시예 1의 리튬 이차 전지 및 이온성 액체를 전해질로 구비하는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의 용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통상적인 탄소재 음극과 공융혼합물 함유 전해질을 병용(竝用)하는 비교예 2의 리튬 이차 전지의 용량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높은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 높은 전기전도도(electric conductivity), 넓은 전기화학적 창(electrochemical window)을 갖는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함유하여 안전성과 성능이 동시에 향상된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에너지 저장 기술에 대한 관심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휴대폰, 노트 북 PC, 나아가서는 전기 자동차에까지 적용 분야가 확대되면서 에너지 저장에 대한 연구개발이 구체화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가장 주목을 끄는 분야가 전기화학 소자이며, 그 중에서 특히 충-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가 관심을 끌고 있다. 최근에는 이러한 전지를 개발함에 있어서 용량 밀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전극과 전지의 설계에 대한 연구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현재 적용되고 있는 2차 전지 중에서 1990 년대 초에 개발된 리튬 이온 전지는 Ni-MH, Ni-Cd, 황산-납 이차 전지 등의 재래식 전지에 비해서 작동 전압이 높고 에너지 밀도가 월등히 크다는 장점으로 각광을 받고 있다. 일반적으로 리튬 이온 전지에 있어서 양극에는 리튬 금속산화물, 음극에는 탄소 재료나 리튬 금속 합금, 전해질로는 유기 용매에 리튬 염을 녹인 용액을 사용한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유기 용매로는 에틸렌카보네이트,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디메톡시에탄, 감마부틸로락톤, N,N-디메틸포름아미드,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또는 아세트니트릴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기 용매는 일반적으로 휘발하기 쉽고 인화성이 높아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적용함에 있어서 과충전, 과방전, 단락 및 고온시 안전성에 문제가 있다.
최근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이온성 액체를 전해질로 사용한 시도가 있다. 미국 특허 5,827,602호(V. R. Koch et al.)에서는 강한 루이스산을 포함하는 AlCl3-EMICl (1-ethyl-3-methylimidazolium chrolide) 이온성 액체를 리튬 이온 전지의 전해질로 사용하였다. AlCl3-EMICl는 증기압이 없으므로 전해질의 증발 및 인화 문제는 해결할 수 있었으나, 소량의 수분이나 산소에 노출될 경우 유독 가스를 방출할 뿐만 아니라 전해질 첨가제와의 반응성이 매우 크고, 특히 150℃ 이상의 온도에서 쉽게 분해가 일어나는 단점이 있었다.
또 다른 시도로서 일본 특허 2002-110225에서는 이온성 액체 중 이미다졸륨 계열과 암모늄 계열의 이온성 액체를 리튬 이온 이차 전지에 적용한 예를 보고하였다. 이 액체는 음극에서 리튬 이온보다 높은 전압에서 환원되거나, 리튬 이온과 함께 이미다졸륨, 암모늄 양이온이 함께 음극에 삽입되는 문제가 존재하였다. 결국 이미다졸륨이나 암모늄 계열의 이온성 액체를 단독으로 리튬 이차 전지의 액체 전해질로 적용한 결과, 충-방전 사이클에서 이차 전지의 용량 감소가 매우 크기 때문에 실제 이차 전지에 적용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았다. 또한 기존의 이온성 액체는 고가이고 합성 및 정제가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유기 전해질과 이온성 액체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전극 물질을 개질하거나 새로운 전극 물질을 찾기도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첨가제를 포함한 새로운 전해질을 개발하려는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경제적이며 우수한 열적 및 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공융혼합물을 전지용 전해질의 구성 성분으로 사용하면, 기존 유기 용매를 전해질로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전해질 증발 및 인화 등의 문제점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이온성 액체를 사용할 경우 발생하는 물질 자체의 높은 환원전위로 인한 분해 문제, 두 개의 양이온 존재로 인한 리튬 이온의 삽입 방해 효과, 고가의 합성 과정 및 정제가 복잡한 문제들이 해결되어 전지의 안전성이 향상됨과 동 시에 공융혼합물의 우수한 전도도, 넓은 전기화학적 창으로 인해 전지의 성능이 동시에 향상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과 통상적인 음극재인 탄소재를 병용(竝用)하는 경우, 공융혼합물의 전위창(chemical window)을 벗어나는 전위에서 발생하는 음극의 전기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전해질의 분해 및 이로 인한 전지의 성능 저하가 필수적으로 초래된다는 것을 인식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리튬 대비 전위(Li/Li+)가 전술한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영역에 해당되는 음극재와 공융혼합물 함유 전해질을 병용(竝用)하여 안전성과 성능 향상이 동시에 도모된 이차 전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a) 아미드(amide)기 함유 화합물 및 (b)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으로 구성된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포함하며, 음극은 리튬 대비 전위(Li/Li+)가 공융혼합물의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 영역에 포함되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이용한 전극인 것이 특징인 이차 전지,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상기 공융혼합물이 포함된 이차 전지용 전해질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차 전지의 구성 요소로서,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 함유 전해질과 상기 공융혼합물의 전기화학적 창(electrochemical window) 영역에 해당 되는 리튬 전위(Li/Li+)를 갖는 음극재를 병용(竝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융혼합물은 이미 알려진 이온성 액체(ionic liquid: IL)와 마찬가지로 높은 전기 전도도, 넓은 전기화학적 창, 비가연성, 액체로서의 넓은 온도 범위, 높은 용매화 능력, 비배위 결합성 등을 보유하기 때문에, 기존의 유독성 유기 용매를 대체할 수 있는 환경친화성 용매로서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지닌다. 게다가 상기 이온성 액체에 비해 합성이 용이하고 난연성, 높은 이온 농도, 넓은 전기 화학적 창(0.5~ 5.5V)을 가지므로, 보다 넓은 응용 범위를 가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공융혼합물을 단독 사용하는 전해질과 음극재인 탄소재를 병용(竝用)하여 이차 전지를 구성하는 경우, 공융혼합물의 전위창(chemical window)을 벗어나는 전위, 예컨대 0 내지 1V 범위에서 발생하는 음극의 전기 화학 반응으로 인해 전해질의 분해 및 이로 인한 이차 전지의 성능 저하가 필수적으로 초래된다.
즉, 전지의 충방전 중 음극이나 양극에서 전해질의 전위창을 벗어나는 전기 화학 반응이 일어나면 전해질의 분해가 초래된다. 예컨대, 음극재로서 리튬 대비 전위가 0 내지 1V 미만인 탄소재와 전기 화학적 창이 1V 이상인 공융혼합물을 전해질로서 병용하는 경우, 초기 충전시 전해질인 공융혼합물의 전위창을 벗어나는 음극의 환원 반응으로 인해 공융혼합물이 분해됨으로써 전지의 초기 용량 및 수명 특성 감소가 급격히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전지의 초기 용량 및 수명 특성 감소는 초기 충전시 공융혼합물의 분해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리튬 대비 전위(Li/Li+)가 상기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영역에 해당되는 음극재를 병용함으로써, 전해질 분해 및 이로 인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근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지용 전해질을 구성하는 요소는 공융혼합물(共融混合物, eutectic mixture)이다.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이상의 물질이 혼합되어 용융 온도가 낮아지는 물질을 본 발명에서 지칭하는 것으로서, 특히 상온에서 액상인 혼합염을 말한다. 여기서 상온이란 상한이 100℃, 경우에 따라서는 60℃을 의미한다.
상기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이루는 구성 성분 중 하나는 분자 내 2개의 극성기인 카르보닐기와 아민기가 존재하는 아미드(amide)기 함유 화합물이 바람직하나, 분자 내 2개 이상의 극성 작용기, 예컨대 산성 작용기와 염기성 작용기를 동시에 갖는 화합물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극성 작용기들은 이온화 가능한 염(salt)의 양이온과 음이온 사이의 결합을 약화시켜주는 착화제(complexing agent) 역할 수행을 통해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형성함으로써, 이들의 용융 온도가 감소하게 된다. 전술한 작용기 이외에, 이온화가 가능한 염의 양이온과 음이온의 결합을 약화시킬 수 있는 서로 다른 2개의 극성 작용기를 분자 내 포함하여 공융혼합물을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한다.
상기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은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선형, 환형 또는 이들의 혼합 형태의 구조가 가능하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아미드, 알케닐아미드, 아릴아미드 또는 알릴아미드 화합물 등이 있다. 1차, 2차 또는 3차 아미드 화합물 모두 사용 가능하다. 특히, 보다 넓은 전위창을 나타내는 환형 아미드가 바람직한데, 이는 아민기의 수소수가 작아 고전압에서도 안정하기 때문에 쉽게 분해되지 않기 때문이다. 사용 가능한 아미드 계열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세트아미드, 우레아, 메틸우레아, 카프로락탐, 발레르락탐, 트리플루오르아세트아미드, 카바메이트, 포름아미드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공융혼합물을 이루는 구성 성분 중 다른 하나는 이온화가 가능한 리튬 함유 염(salt)이 모두 사용 가능하다. 리튬염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 나이트레이트, 리튬 아세테이트,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리튬 설페이트, 리튬 알콕시드, 리튬 할로겐화물, 리튬 옥사이드, 리튬 카보네이트, 리튬 옥살레이트 등이 있다. 특히 LiN(CN)2, LiClO4, Li(CF3)3PF3, Li(CF3)4PF2, Li(CF3)5PF, Li(CF3)6P, Li(CF2CF2SO3)2N, Li(CF3SO3)2N, LiCF3SO3, LiCF3CF2(CF3)2CO, Li(CF3SO2)2C, Li(CF3SO2)3C, LiCF3(CF2)7SO3, LiCF3CO2, LiCH3CO2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융혼합물은 하기 화학식 1과 같이 표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Figure 112006077870942-PAT00001
(Ⅰ)
상기 식에 있어서,
R1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민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릴기이고;
R2는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릴기이고;
X는 수소, 산소, 탄소, 질소, 황 중에서 선택되며, 이때 X가 수소인 경우 R2는 없으며;
Y는 리튬과 염(salt)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anion)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이때 n이 1 이상인 경우 X는 수소를 제외한 탄소, 산소, 질소, 황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화학식 1로 표기되는 화합물에서, 리튬염의 음이온인 Y는 리튬과 염(salt)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anion)이기만 하면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RSO3 -, RCOO-;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 )2, (CF3SO3)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 SCN, (CF3CF2SO2 -)2N 등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공융혼합물의 구성 성분인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과 리튬염(LiY)은 하기 반응식 1과 같이 아미드 화합물 내 존재하는 카르보닐기(-C=O)와 리튬염의 Li 양이온(Li+)이 배위결합(coordination)을 하고, 리튬염의 음이온(Y-)과 아미드 화합물 내 아민기(-NH2)가 수소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Li-Y의 결합 저하가 도모된다. 그 결과 고체 상태로 존재하던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과 리튬염의 용융점이 낮아지면서 상온에서 액상 형태인 공융혼합물을 형성하게 되는 것이다.
Figure 112006077870942-PAT00002
본 발명에 따른 공융혼합물의 용융 온도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온에서 액체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공융혼합물의 점도(viscosity) 역시 특별한 제한은 없으나, 100cP 이하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융혼합물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이의 일 실시예를 들면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과 리튬염을 상온에서 혼합하여 70℃ 이하의 적당한 온도를 가해 반응시킨 후 정제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아미드 계열 화합물과 리튬염의 몰%비는 1:1 내지 8:1이 적절하며, 특히 2:1 내지 6:1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공융혼합물을 전해질 성분으로 구비하는 경우, 1) 공융혼합물이 보유하는 기본 물성, 예컨대 공융혼합물 자체의 물적 안정도로 인해 종래 유기 용매 및 이온성 액체에 비해 더 넓은 전위창을 나타내므로 적용하는 이차 전지의 사용 전압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실제로, 종래 이온성 액체 및 유기 용매 전해질의 전위창 상한치가 4 내지 4.5V 정도인 것에 비해, 본 발명의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상한치는 4.5 내지 5.5V 범위를 나타냄으로써, 상기 이온성 액체 및 유기 용매 전해질보다 더 확장된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을 나타낸다는 것을 본원 실험예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카프로락탐/LiTFSI, 발레로락탐/LiTFSI 공융혼합물은 5.5V의 전위창, LiSO3CF3/메틸우레아 공융혼합물은 5.7V의 전위창을 나타내어 높은 작동 전압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표 1 참조).
2) 또한, 본 발명의 전해질에 포함된 공융혼합물은 기존 용매에 비해 증기압이 없어 전해질의 증발 및 고갈 문제가 없으며, 난연성을 보유하여 전기 화학 소자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융혼합물 자체가 매우 안정한 형태이므로 전지 내에서의 부반응 억제를 구현할 수 있으며, 높은 전도도를 통해 성능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3) 추가적으로, 상기 공융혼합물의 구성 성분으로 자체 내 리튬염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리튬 이온이 양(兩) 전극활물질로 삽입 및 탈리되어야 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경우에도 별도의 리튬염 추가가 요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4) 나아가, 종래 이온성 액체를 리튬 이차 전지의 전해질로 사용하는 경우 충방전 사이클에서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 및 세번째 사이클 이후의 이차 전지의 용량 감소가 매우 크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차 전지의 초기 용량 및 사이클 진행 이후의 용량 감소는 초기 충전시 음극 표면에 형성되는 비활성막인 SEI (solid electrolyte interface) 막과 연관이 있는데, 탄소재를 사용하는 경우 이온성 액체 자체의 높은 환원 전위로 인해 음극에서 리튬 이온보다 높은 전압에서 환원 분해된다. 또한 이온성 액체는 자체 내 리튬 이온 보다 크기가 큰 2개 이상의 유기 양이온, 예컨대 이미다졸륨 및 암모늄 양이온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들 유기 양이온은 리튬 이온 보다 이동 속도가 빨라 음극에 먼저 도달하여 둘러싸게 된다. 이로 인해 음극 내부로 삽입되려는 리튬 이온의 원활한 이동을 방해할 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과 상기 유기 양이온들이 함께 음극에 삽입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높은 전위창을 갖는 공융혼합물 뿐만 아니라 상기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영역에 리튬 전위가 해당되는 음극재를 병용(竝用)함으로써 전해질 분해를 피할 수 있다. 또한, 공융혼합물 자체 내 양이온(cation)으로 리튬 이온(Li+)만이 존재하여 리튬 이온의 음극 삽입 방해 효과가 근본적으로 해결될 뿐만 아니라, 리튬 이온의 원활한 이동이 이루어져 전지의 성능 향상이 도모될 수 있 다.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본 발명에 따라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은 형태에 상관 없이 모두 적용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2가지의 실시 양태, 즉 액체 또는 젤 폴리머 전해질 형태로 적용 가능하다.
1)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의 첫번째 실시 양태는 공융혼합물 함유 액체 형태(liquid type)의 전해질로서, 전술한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및 리튬 함유 이온결합성 염으로 이루어진 공융혼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전해질 첨가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 본 발명에 따른 전해질의 두번째 실시 양태는 공융혼합물을 함유하는 젤 폴리머 형태의 전해질이다. 상기 젤 폴리머는 공융혼합물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전해질 누출 문제점을 해결하고 소자의 박막화 및 필름 형태의 가공을 가능하게 한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젤 폴리머 전해질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 가능하며, 이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로는 하기 3가지 형태가 적용 가능하다. 이때에도 전술한 전해질 첨가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① 첫째는 공융혼합물 존재하에 단량체(monomer)의 중합 반응을 진행시켜 젤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량체의 중합반응에 의한 젤 폴리머 형성은 전기 화학 소자 내부에서 In-Situ 중합 반응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젤 폴리머 전해질 형성 이후, 이를 전기 화학 소자 내부에 투입할 수도 있다.
전술한 젤 폴리머 전해질은 (i)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및 리튬 함유 이온결합성 염으로 구성되는 공융혼합물; 및 (ii) 중합 반응에 의해 젤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monomer)를 함유하는 전해질 전구체 액(pre-gel)을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단량체(monomer)는 중합반응에 의해 젤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기만 하다면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 가능하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비닐 모노머 등이 있다. 비닐 모노머는 공융혼합물과 혼합되어 젤 폴리머를 형성하는 경우 투명한 중합이 가능하며, 중합조건이 매우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사용 가능한 비닐 모노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니트닐, 메틸스티렌, 비닐에스테르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아크릴아마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메틸비닐케톤, 에틸렌, 스티렌, 파라메톡시스티렌, 파라시아노스티렌 등이 있다. 또한, 상기 단량체는 중합시 부피 수축이 적고, 전기 화학 소자 내에서 In-situ 중합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단량체(monomer)의 중합 반응은 일반적으로 열 또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므로, 상기 전해질 전구체 액은 중합 개시제 또는 광 개시제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제(initiator)는 열이나 자외선에 의해 분해되어 라디칼(radical)을 형성하고, 자유라디칼 중합에 의해 모노머와 반응하여 젤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한다. 또한, 개시제를 사용하지 않고 모노머의 중합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자 유라디칼 중합은 반응성이 강한 일시적인 분자들 또는 활성점이 형성되는 개시반응, 활성연쇄말단에 단량체가 부가되어 다시 사슬 끝에 활성점이 형성되는 성장반응, 활성점을 다른 분자들에게 이동시키는 연쇄이동반응, 활성연쇄 중심이 파괴되는 정지반응의 과정을 거치게 된다.
사용 가능한 열중합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Benzoyl peroxide, Acetyl peroxide, Dilauryl peroxide, Di-tert-butyl peroxide, Cumyl hydroperoxide, Hydrogen peroxide 등의 유기과산화물류나 히드로과산화물류, 2,2-Azobis(2-cyanobutane), 2,2-Azobis(Methylbutyronitrile), AIBN(Azobis(iso-butyronitrile), AMVN (Azobisdimethyl-Valeronitrile) 등의 아조화합물류, 알킬화은류와 같은 유기금속 등이 있다. 또한, 자외선과 같은 빛에 의해 라디칼이 형성되는 광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Chloroacetophenone, Diethoxy Acetophenone(DEAP), 1-phenyl-2-hydroxy-2-methyl propaneone(HMPP), 1-Hydroxy cyclrohexyl phenyl ketone, α-Amino Acetophenone, Benzoin Ether, Benzyl Dimethyl ketal, Benzophenone, Thioxanthone, 2-ethylAnthraquinone(2-ETAQ)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젤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는 전해질 전구체 액의 혼합 비율은 무게비로 (공융혼합물)x: (중합반응에 의해 젤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는 모노머)y: (중합개시제)z 일 때, x는 0.5~0.95, y는 0.05~0.5, z는 0.00~0.05 이며 x + y + z = 1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x는 0.7~0.95이며, y는 0.05~0.3이며 z는 0.00~0.01이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젤 폴리머 형성용 전해질 전구체 액은 전술한 성분들 이외에, 당 업계에 알려진 기타 첨가제 등을 선택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In-Situ 중합 반응은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열 또는 자외선 조사를 통해 중합반응이 개시됨으로써 젤 폴리머 전해질 형성이 완성된다. 이때 젤 폴리머의 중합 정도는 반응 인자, 즉 열 중합의 경우 중합 시간과 중합 온도; UV 중합의 경우 광 조사량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반응 인자인 중합 시간, 중합 온도 또는 광조사량 조절을 통해 젤 폴리머 중합 정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중합시간은 개시제의 종류와 중합 온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바람직하게는 중합시 젤 폴리머 전해질이 누출되지 않을 정도이며, 전해질이 과중합되어 부피가 수축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일례로 중합 시간은 대략 20~60분 정도 소요되며, 열 중합온도는 40 내지 80℃ 정도이다.
② 둘째는 공융혼합물의 주입을 통해 이미 형성된 폴리머 또는 젤 폴리머에 상기 공융혼합물이 함침된 형태이다.
사용 가능한 폴리머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이 있다. 또한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젤 폴리머가 모두 사용 가능하다. 이러한 함침 방법을 사용할 경우 전술한 In-Situ 방법에 비해 제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③ 셋째는 폴리머와 공융혼합물을 용매에 용해시킨 후 용매를 제거함으로써, 젤 폴리머 전해질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때, 공융혼합물은 전술한 성분의 폴리머 매트릭스 내부에 함유된 형태가 된다.
사용 가능한 용매로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일례로 전지에 사용되는 일반 유기 용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Toluene, Acetone, Acetonitrile, THF, 프로필렌 카보네이트(PC), 에틸렌 카보네이트(EC), 디에틸카보네이트(DEC), 디메틸카보네이트(DMC), 디프로필카보네이트(DPC), 디메틸설폭사이드, 아세토니트릴, 디메톡시에탄, 디에톡시에탄, 테트라하이드로퓨란, N-메틸-2-피롤리돈(NMP), 에틸메틸카보네이트(EMC), 감마 부티로락톤(GBL)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인화성으로 인해 이차 전지의 안전성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소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리튬 이차 전지에 주로 이용되는 난연성 첨가제로 인산 에스테르를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인산 트리메틸, 인산 트리에틸, 인산 에틸디메틸, 인산 트리프로필, 인산 트리부틸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용매 제거 방법 역시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가열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세번째 실시 형태의 경우 젤 폴리머 전해질 형성시 용매를 제거하는 후처리 공정이 필요할 수 있다. 그러나, 용매 제거를 완전하게 도모하지 않아 젤 폴리머 전해질 내 용매의 일부를 포함하게 함으로써, 전해질의 리튬 이온 전도성 향상을 도모할 수도 있다.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구비한 이차 전지>
본 발명의 이차 전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극, 양극, 전해질 및 분리막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충전과 방전을 통해 지속적인 전기 화학 반응을 하는 모든 소자를 이차 전지로 지칭하는 것이다. 특히 리튬 이차 전지가 바람직하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리튬 금속 이차 전지, 리튬 이온 이차 전지, 리튬 폴리머 이차 전지 또는 리튬 이온 폴리머 이차 전지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이차 전지를 제조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일 실시예를 들면, 상기 양(兩) 전극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하여 조립한 후,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을 주입하여 제조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양극과 음극은 당 분야에 알려져 있는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각각 전극활물질 즉, 양극활물질과 음극활물질을 포함하는 전극 슬러리를 제조하고, 제조된 전극 슬러리를 각 전류 집전체에 도포한 후 용매나 분산매를 건조 등으로 제거하고, 집전체에 활물질을 결착시킴과 더불어 활물질간을 결착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도전제 및/또는 바인더를 소량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전극활물질 중 음극활물질로는, 리튬 대비 전위(Li/Li+)가 전해질 성분으로 사용하는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영역에 포함되는 물질로서, 리튬의 흡장 및 탈리가 가능한 물질이라면 특별한 제한이 없다. 예컨대, 리튬 전위가 전술한 공융혼합물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의 하한치 보다 높은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 사용 가능하며, 바람직하게는 리튬 대비 전위(Li/Li+)가 1V 이상인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이다.
사용 가능한 음극활물질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WO3, MoO3, LiCr3O8, LiV3O8, TiS2, 스피넬형 구조를 갖는 Li4/3Ti5/3O5 등의 LixTi5/3-yLyO4로 표기되는 산화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다.
상기 산화물(LixTi5/3-yLyO4)에서 L은 2족 내지 16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Ti 및 O를 제외한 원소이며, 이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치환원소 L의 예로는 Be, B, C, Mg, Al, Si, P, Ca, Sc, V, Cr, Mn, Fe, Co, Ni, Cu, Zn, Ga, Ge, As, Se, S. Y, Zr, Nb, Mo, Pd, Ag, Cd, In, Sn, Sb, Te, Ba, La, Ta, W, Hg, Au, Pb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또한, x와 y의 바람직한 범위로는 4/3≤x≤7/3, 0≤y≤5/3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극활물질 중 양극활물질로는 당 업계의 통상적인 양극활물질이 사용 가능하며, 일례로 리튬 전위 대비 4V 이상의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LiCoO2, LiNiO2, LiMnO2, LiMn2O4, LiCrO2, LiFePO4, LiFeO2 LiCoVO4, LiCrxMn2-xO4, LiNiVO4, LiNixMn2-xO4, Li2-xCoMn3O8, 또는 스피넬형 구조를 갖는 Lix[Ni2-yMyO4]로 표기되는 산화물 등이 있다.
상기 산화물(Lix[Ni2-yMyO4])에서, M은 니켈을 제외한 1종 이상의 당 업계의 통상적인 전이금속이며,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Mn, Co, Zn, Fe, V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다. X와 y의 바람직한 범위로는 0≤x≤1.1,0.75≤y ≤1.80이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분리막은 양(兩) 전극의 내부 단락을 차단하고 전해액을 함침하는 역할을 하 는 다공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에틸렌계, 폴리올레핀계 다공성 분리막 또는 상기 다공성 분리막에 무기물 재료가 첨가된 복합 다공성 분리막 등이 있다.
전술한 구성 요소 이외에도 이차 전지의 나머지 공간을 채우기 위한 전도성 탄력 물질을 추가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의 방법으로 제작된 이차 전지, 바람직하게는 리튬 이차 전지의 외형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일례로 캔으로 된 원통형, 각형 또는 파우치(pouch)형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로써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9]
실시예 1
양극활물질로 LiNi0.5Mn1.5O4, 도전재로 인조흑연, 바인더로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를 94:3:3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얻어진 혼합물에 N-메틸피롤리돈을 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슬러리를 알루미늄 포일에 도포하고, 13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양극을 제조하였다.
리튬 전위 대비 1.5 V인 음극활물질 Li4/3Ti5/3O4, 인조흑연 및 바인더를 94:3:3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N-메틸피롤리돈을 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슬러리를 구리 포일에 도포하고, 13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음극을 제조하 였다.
정제된 아세트아미드 5g과 Li(CF3SO2)2N 6g을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넣고, 상온, 질소 분위기에서 12시간 동안 서서히 교반시켜 공융혼합물 11g을 얻었다. 위의 합성된 공융혼합물, 단량체 2-hydroxyethylmethacrylate, 열중합 개시제 azobisdimethyl-valeronitrile을 8:2:0.01 무게비로 혼합한 후, 55℃에서 1시간 동안 중합시키면 젤 폴리머 전해질을 얻었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양극 및 음극을 1cm2로 준비하고, 그 사이에 분리막을 개재(介在)시켰다. 여기에 위에서 제조한 공융혼합물 전해액을 주입하여 최종적으로 도 1과 같이 이차 전지를 완성하였다.
실시예 2 ~ 9
정제된 아세트아미드와 Li(CF3SO2)2N 대신 하기 표 1의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과 리튬염을 각각 사용하여 공융혼합물을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전해질로서 공융혼합물 대신 이온성 액체 EMI-BF4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리튬 전위 대비 1.5 V인 음극활물질 Li4/3Ti5/3O4을 사용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리튬 전위가 0.5V 이하인 통상적인 흑연 탄소를 이용하여 제조된 음극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수행하여 리튬 이차 전지를 제조하였다. 이때 음극은 음극활물질인 흑연 탄소, 인조흑연 및 바인더를 94:3:3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N-메틸피롤리돈을 가하여 슬러리를 제조한 후 제조된 슬러리를 구리 포일에 도포하고, 130℃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함으로써 제조되었다.
실험예 1. 공융혼합물의 물성 평가
본 발명에 따라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및 리튬염을 포함하는 공융혼합물의 물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측정을 실시하였다.
DSC(differenctial scanning calorimeter)를 이용하여 각 화합물의 용융 온도를 측정하였고, 점도 측정은 RS150 점도계를 사용하여 25℃에서 측정하였다. 전기 전도도 역시 측정하였다. 또한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도 측정하였는데, 이때 작업전극은 유리질 탄소, 기준전극은 리튬, 상대전극은 리튬이나 백금을 사용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Salt Amide 몰비 Tm (℃) Td (℃) μ (cP) κ (mS/㎝) 전위창 (V)
1 Li(CF3SO2)2N Acetamide 1:4 -67.0 100 100 1.07 0.7~4.4
2 Li(CF3SO2)2N Urea 1:3 -37.7 180 1190 0.23 0.8~3.8
3 Li(CF3SO2)2N Caprolactam 1:3 -38.3 120 3100 0.03 0.5~5.5
4 Li(CF3SO2)2N Methylurea 1:3 -8.2 150 677 0.12 0.5~5.3
5 Li(CF3SO2)2N Valerolactam 1:3 -44.8 130 910 0.17 0.5~5.5
6 LiClO4 Methylurea 1:3 -9.2 150 990 0.22 1.3~5.3
7 LiSO3CF3 Acetamide 1:4 -50.3 100 30.4 3.47 0.8~5.5
8 LiSO3CF3 Methylurea 1:3 -34.4 150 85.8 2.50 0.7~5.7
9 LiSO3CF3 Valerolactam 1:3 -48.0 140 285 0.46 0.8~5.2
실험예 2. 이차 전지의 특성 분석
본 발명에 따라 공융혼합물을 전해질 성분으로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의 특성을 하기와 같이 분석하였다.
리튬 전위가 1V 이상인 음극과 공융혼합물 전해질을 병용(竝用)하는 실시예 1의 리튬 이차 전지를 사용하였으며, 이의 대조군으로 이온성 액체 (EMI-BF4) 전해질과 리튬 전위가 1V 이상인 음극을 병용(竝用)하는 비교예 1의 리튬 이차 전지 및 통상적인 탄소재를 음극활물질로 사용하여 제조된 음극과 공융혼합물 전해질을 병용(竝用)하는 비교예 2의 리튬 이차 전지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이차 전지의 특성은 대략 99%의 방전 용량이 얻어졌고, 충-방전 효율도 대략 99%였다(도 2 참조). 위에서 언급한 음극의 작동 전위가 리튬 전위에 대해 약 1.5 V, 양극의 작동 전위가 약 4.5 V, 그리고 공융혼합물의 전위창이 0.5 V ~ 5.5 V이므로 이 요소들로 이차 전지를 구성할 때 작동 전압은 약 3V를 나타내고, 우수한 에너지 밀도를 나타내며, 과충전, 과방전, 단락, 열 충격에 안정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전해질로서 이온성 액체 EMI-BF4를 사용한 비교예 1의 이차 전지의 특성은 대략 80%의 방전 용량이 얻어졌고, 충-방전 효율도 70% 이하였으며, 방전 평균 전압이 3V로 나타났다(도 2 참조). 또한 통상적인 탄소재 음극을 구비하는 비교예 2의 전지 역시 2번째 사이클부터 급격한 용량 감소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도 3 참조). 이는 전해질 성분인 공융혼합물의 전위창을 벗어나는 전위에서 발생하는 음극재인 탄소재의 전기 화학 반응으로 전지의 성능 저하가 필수적으로 초래된다는 것을 입증하는 것이다.
따라서, 공융혼합물 및 상기 공융혼합물 전위창 영역에 리튬 전위(Li/Li+)가 포함되는 음극을 병용하는 리튬 이차 전지는 안전성 뿐만 아니라 성능면에서도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공융혼합물 함유 전해질 및 상기 공융혼합물의 전위창 영역에 해당되는 리튬 전위를 갖는 음극을 병용(竝用)함으로써,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전지용 전해질로 사용시 발생되는 전해액 분해 및 이로 인한 전지의 성능 저하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융혼합물의 열적, 화학적 안정성, 높은 전도도, 넓은 전위창을 통해 전지의 안전성과 성능 향상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8)

  1. 양극, 음극, 분리막 및 전해질을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a) 아미드(amide)기 함유 화합물 및 (b)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으로 구성된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포함하며, 음극은 리튬 대비 전위(Li/Li+)가 공융혼합물의 전위창(electrochemical window) 영역에 포함되는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을 이용한 전극인 것이 특징인 이차 전지.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은 아세트아미드, 우레아, 메틸우레아, 카프로락탐, 발레르락탐, 트리플로로아세트아미드, 메틸카바메이트 및 포름아미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염의 음이온은 F-, Cl-, Br-, I-, NO3 -, N(CN)2 -, BF4 -, ClO4 -, RSO3 -, RCOO-; PF6 -, (CF3)2PF4 -, (CF3)3PF3 -, (CF3)4PF2 -, (CF3)5PF-, (CF3)6P-, (CF3SO3 -)2, (CF2CF2SO3 -)2, (CF3SO3)2N-, CF3CF2(CF3)2CO-, (CF3SO2)2CH-, (SF5)3C-, (CF3SO2)3C-, CF3(CF2)7SO3 -, CF3CO2 -, CH3CO2 -, SCN 및 (CF3CF2SO2 -)2N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공융혼합물은 하기 일반식 (Ⅰ)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이차 전지:
    Figure 112006077870942-PAT00003
    (Ⅰ)
    상기 식에 있어서,
    R1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민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릴기이고;
    R2는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릴기이고;
    X는 수소, 산소, 탄소, 질소, 황 중에서 선택되며, 이때 X가 수소인 경우 R2는 없으며;
    Y는 리튬과 염(salt)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anion)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이때 n이 1 이상인 경우 X는 수소를 제외한 탄소, 산소, 질소, 황 중에서 선택된다.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공융혼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액체 형(liquid type)인 이차 전지.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i) 공융혼합물; 및 (ii) 중합반응에 의해 젤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는 단량체(monomer)를 함유하는 전해질 전구체 액을 중합시켜 형성된 젤 폴리머형인 이차 전지.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단량체는 비닐 모노머인 이차 전지.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닐 모노머는 아크릴로니트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메타크릴로니트닐, 메틸스티렌, 비닐에스테르류,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아크릴아마이드,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메틸비닐케톤, 에틸렌, 스티렌, 파라메톡시스티렌 및 파라시아노스티렌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전구체 액은 중합개시제 또는 광개시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이차 전지.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전구체 액의 혼합 비율은 무게비로 x(공융혼합물): y(중합반응에 의해 젤 폴리머를 형성할 수 있는 모노머): z(중합개시제)이고, x는 0.5~0.95, y는 0.05~0.5, z는 0.00~0.05이며, x + y + z = 1인 것이 특징 인 이차 전지.
  11.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전지 내부에서 In-situ 중합하여 제조된 것이 특징인 이차 전지.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은 공융혼합물이 폴리머 또는 젤 폴리머에 함침된 것이 특징인 이차 전지.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비닐리덴 디플루라이드,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폴리하이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이차 전지.
  1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또는 금속 산화물은 리튬 대비 전위(Li/Li+)가 1V 이상인 것이 특징인 이차 전지.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리튬 전위 대비 1V 이상인 금속 또는 금속산화물은 WO3, MoO3, LiCr3O8, LiV3O8, TiS2 및 스피넬형 구조를 갖는 LixTi5/3-yLyO4(이때, L은 2족 내지 16족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으로서 Ti 및 O를 제외한 원소이며, 4/3≤x≤7/3, 0≤y≤5/3)로 표기되는 산화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이차 전지.
  1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리튬 이차 전지인 이차 전지.
  17. (a) 아미드기 함유 화합물; 및
    (b) 이온화 가능한 리튬염(salt)
    으로 구성된 공융혼합물(eutectic mixture)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전해질.
  18. 제 17항에 있어서, 상기 공융혼합물은 하기 일반식 (Ⅰ)로 표기되는 화합물인 전해질:
    Figure 112006077870942-PAT00004
    (Ⅰ)
    상기식에 있어서,
    R1은 수소,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킬아민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릴기이고;
    R2는 수소, 할로겐,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알케닐기, 아릴기 또는 알릴기이고;
    X는 수소, 산소, 탄소, 질소, 황 중에서 선택되며, 이때 X가 수소인 경우 R2는 없으며;
    Y는 리튬과 염(salt)을 형성할 수 있는 음이온(anion)이며,
    n은 0 내지 10의 정수이며, 이때 n이 1 이상인 경우 X는 수소를 제외한 탄소, 산소, 질소, 황 중에서 선택된다.
KR1020060104629A 2005-10-27 2006-10-26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049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50101762 2005-10-27
KR1020050101762 2005-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45975A true KR20070045975A (ko) 2007-05-02
KR100804981B1 KR100804981B1 (ko) 2008-02-20

Family

ID=37967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104629A KR100804981B1 (ko) 2005-10-27 2006-10-26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9059477B2 (ko)
EP (1) EP1952477B1 (ko)
JP (1) JP5031755B2 (ko)
KR (1) KR100804981B1 (ko)
CN (1) CN101297434B (ko)
DE (1) DE602006016980D1 (ko)
TW (1) TWI341607B (ko)
WO (1) WO2007049922A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38A2 (en) 2008-01-18 2009-07-23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WO2009091159A3 (en) * 2008-01-16 2009-10-22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20100099963A (ko) * 2009-03-04 2010-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10151639A2 (en) * 2009-06-24 2010-12-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igh voltage electrolyte
KR101022590B1 (ko) * 2008-07-25 2011-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051650B1 (ko) * 2008-08-11 2011-07-26 (주)수양켐텍 이온 콤플렉스형 도전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CN117585647A (zh) * 2023-11-24 2024-02-23 天津大学 分子共晶材料在光催化合成过氧化氢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74B1 (ko) * 2007-01-16 2010-08-2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JP5490676B2 (ja) * 2007-04-11 2014-05-14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三元系共融混合物を用いた二次電池及び電池用電解質
KR100976957B1 (ko) * 2008-01-08 201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KR100976958B1 (ko) * 2008-01-08 201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전지용 비수 전해액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KR100976960B1 (ko) * 2008-01-24 2010-08-1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리튬이차전지
KR100997613B1 (ko) * 2008-02-28 2010-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KR20100065778A (ko) * 2008-12-08 2010-06-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리튬 이차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KR101041722B1 (ko) * 2009-01-09 2011-06-14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과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GB0902580D0 (en) * 2009-02-17 2009-04-01 Itm Power Hydrophillic conductive resin
CN102405549B (zh) * 2009-03-04 2014-05-21 株式会社Lg化学 包含酰胺化合物的电解质和含有所述电解质的电化学装置
EP2525433B1 (en) * 2010-01-15 2016-12-07 LG Chem, Ltd. Electrolyte containing an amide compound,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mprising the same
US8795544B2 (en) 2010-06-30 2014-08-05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device,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 and lithium-ion capacitor
KR101754800B1 (ko) * 2010-08-19 2017-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US8951664B2 (en) 2011-06-03 2015-02-1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Ionic liquid and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13049097A1 (en) * 2011-09-26 2013-04-04 Cornell University Aluminum ion battery including metal sulfide or monocrystalline vanadium oxide cathode and ionic liquid based electrolyte
US9030803B2 (en) * 2011-12-22 2015-05-12 National Synchrotron Radiation Research Center Electrochemical energy storage system
JP6151910B2 (ja) 2011-12-23 2017-06-21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イオン液体、非水溶媒、電解液、蓄電装置
KR20130073822A (ko) 2011-12-23 2013-07-0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이온 액체, 비수 전해질 및 축전 장치
CN103682295B (zh) * 2012-09-26 2016-03-0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锂离子电池负极材料及其制备方法、锂离子电池负极片和锂离子电池
KR20140045880A (ko) 2012-10-09 2014-04-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축전 장치
EP2790260B1 (en) * 2013-01-28 2016-03-23 LG Chem, Ltd. Composition for gel polymer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battery comprising same
WO2014116085A1 (ko) 2013-01-28 2014-07-31 주식회사 엘지화학 리튬 이차 전지
US9735402B2 (en) * 2013-07-30 2017-08-15 Lg Chem, Ltd. Battery cell having double sealing structure
US10158108B2 (en) 2014-10-24 2018-12-1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Power storage device including separator surrounding electrode
WO2016073149A1 (en) * 2014-11-03 2016-05-12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ow transition temperature mixtures or deep eutectic solvents and processes for preparation thereof
WO2016160703A1 (en) 2015-03-27 2016-10-06 Harrup Mason K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FR3035544B1 (fr) 2015-04-21 2017-04-14 Rhodia Operations Electrolyte polymere solide et dispositifs electrochimiques le comprenant
TWI570989B (zh) 2015-08-21 2017-02-11 財團法人工業技術研究院 電解液組合物、與鈉二次電池
US10707531B1 (en) 2016-09-27 2020-07-07 New Dominion Enterprises Inc. All-inorganic solvents for electrolytes
US20180241081A1 (en) * 2017-02-21 2018-08-23 National Synchrotron Radiation Research Center Electrolyte, flexible electrode and flexible electronic device
CN107768741B (zh) * 2017-09-18 2019-12-31 中国科学院青岛生物能源与过程研究所 低共熔体电解质及其在二次锌电池中的应用
CN113471518A (zh) * 2021-06-22 2021-10-01 暨南大学 一种金属锂二次电池用高致密固态电解质膜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9353A (en) * 1974-04-02 1975-08-12 Yuasa Battery Co Ltd Thermal battery
US4060667A (en) * 1974-09-28 1977-11-29 National Research Development Corporation High temperature secondary batteries
US4833046A (en) * 1986-09-19 1989-05-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al-hydrogen secondary battery
US4965146A (en) * 1988-09-28 1990-10-23 The Dow Chemical Company Molten membrane electrolyte battery
US5478673A (en) * 1992-10-29 1995-12-26 Fuji Photo Film Co., Ltd. Nonaqueous secondary battery
JPH07272723A (ja) * 1994-03-31 1995-10-20 Sanyo Electric Co Ltd アルカリ蓄電池用ニッケル正極
JP3428147B2 (ja) 1994-06-02 2003-07-22 株式会社デンソー 非水電解液二次電池
GB9418475D0 (en) 1994-09-14 1994-11-02 Secr Defence Battery
JP3129961B2 (ja) 1995-02-21 2001-01-31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それを用いた電池及び固体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並びにそれらの製造方法
JP3575108B2 (ja) 1995-05-23 2004-10-13 昭和電工株式会社 高分子固体電解質、その材料及び用途
US5827602A (en) * 1995-06-30 1998-10-27 Covalent Associates Incorporated Hydrophobic ionic liquids
JPH1064584A (ja) 1996-08-13 1998-03-06 Fujitsu Ltd リチウム二次電池用非水電解液
US6051343A (en) * 1996-09-25 2000-04-18 Tdk Corporation Polymeric solid electrolyte and lithium secondary cell using the same
CA2248246C (fr) * 1996-12-30 2010-02-09 Hydro-Quebec Sels d'anions pentacycliques ou derives de tetrazapentalene, et leurs utilisations comme materiaux a conduction ionique
JPH10265674A (ja) 1997-03-25 1998-10-06 Mitsubishi Chem Corp 高分子化合物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1999005126A1 (fr) * 1997-07-25 1999-02-04 Acep Inc. Composes ioniques perfluorovinyliques et leur utilisation dans des materiaux conducteurs
JPH1167265A (ja) 1997-08-19 1999-03-09 Fujitsu Ltd リチウム電池
JP2000110225A (ja) 1998-10-07 2000-04-18 Sekisui Chem Co Ltd 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におけるポンプ制御方法、並びに、真空式下水道システムのポンプ制御装置
JP4503160B2 (ja) 2000-10-04 2010-07-14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リチウム二次電池
US7029793B2 (en) * 2000-05-12 2006-04-18 Gs Yuasa Corporation Nonaqueous electrolyte lithium secondary cell
JP4184583B2 (ja) 2000-08-18 2008-11-19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コイン型非水電解質電池
TW527745B (en) * 2000-11-21 2003-04-11 Dainichiseika Color Chem Solidifying material for cell electrolyte solution, and cell comprising the solidifying material
US6844102B2 (en) * 2002-02-27 2005-01-18 Gencell Corporation Aqueous based electrolyte slurry for MCFC and method of use
JP4479159B2 (ja) 2003-03-05 2010-06-09 株式会社ジーエス・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非水電解質電池
JP2005142024A (ja) 2003-11-06 2005-06-02 Sumitomo Bakelite Co Ltd 高分子固体電解質及び該高分子固体電解質を用いた二次電池
JP2005174798A (ja) 2003-12-12 2005-06-30 Sony Corp 電解質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池
KR100663032B1 (ko) 2004-09-21 2006-12-2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전기 변색소자
EP1862452A1 (en) 2005-03-23 2007-12-05 Kyoto University Molten salt composition and use thereof
KR100751203B1 (ko) * 2005-08-19 2007-08-22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KR100901535B1 (ko) 2005-10-26 2009-06-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수명 특성이 향상된 이차전지
US20070099084A1 (en) 2005-10-31 2007-05-03 T/J Technologies, Inc. High capacity electrode and methods for its fabrication and use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91159A3 (en) * 2008-01-16 2009-10-22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US9017879B2 (en) 2008-01-16 2015-04-28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046094B1 (ko) * 2008-01-16 2011-07-01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WO2009091138A2 (en) 2008-01-18 2009-07-23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WO2009091138A3 (en) * 2008-01-18 2009-09-17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US9711823B2 (en) 2008-01-18 2017-07-18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of hetero cyclic compound and lithium salt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013328B1 (ko) * 2008-01-18 2011-0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전기화학소자
US8715866B2 (en) 2008-01-18 2014-05-06 Lg Chem, Ltd.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of hetero cyclic compound and lithium salt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022590B1 (ko) * 2008-07-25 2011-03-16 주식회사 엘지화학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051650B1 (ko) * 2008-08-11 2011-07-26 (주)수양켐텍 이온 콤플렉스형 도전재료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00099963A (ko) * 2009-03-04 2010-09-15 주식회사 엘지화학 보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US8383276B2 (en) 2009-06-24 2013-02-26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igh voltage electrolyte
WO2010151639A3 (en) * 2009-06-24 2011-04-07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igh voltage electrolyte
WO2010151639A2 (en) * 2009-06-24 2010-12-29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High voltage electrolyte
CN117585647A (zh) * 2023-11-24 2024-02-23 天津大学 分子共晶材料在光催化合成过氧化氢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297434A (zh) 2008-10-29
KR100804981B1 (ko) 2008-02-20
EP1952477B1 (en) 2010-09-15
US20070099090A1 (en) 2007-05-03
WO2007049922A1 (en) 2007-05-03
JP5031755B2 (ja) 2012-09-26
DE602006016980D1 (de) 2010-10-28
US9059477B2 (en) 2015-06-16
JP2009512156A (ja) 2009-03-19
TW200737564A (en) 2007-10-01
EP1952477A1 (en) 2008-08-06
TWI341607B (en) 2011-05-01
CN101297434B (zh) 2010-05-26
EP1952477A4 (en) 2009-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981B1 (ko)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884479B1 (ko)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84577B1 (ko) 삼원계 공융혼합물을 이용한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US9954253B2 (en)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nitrile compound,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0759541B1 (ko) 폴리머 리튬 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977974B1 (ko)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이용하는 이차 전지
US8481215B2 (en)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055144B1 (ko) 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EP2243188B1 (en) Electrolyte having eutectic mixture and electrochemical device containing the same
KR101073244B1 (ko) 공융혼합물 전해질을 포함하는 이차 전지용 분리막
KR101206262B1 (ko) 공융혼합물 전해질과 주석 합금 음극을 이용한 이차 전지
KR100998102B1 (ko) 공융혼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065574B1 (ko) 시안화 알킬기로 치환된 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101645528B1 (ko) 알콕시알킬 니트릴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KR20120007281A (ko) 아미드 화합물을 포함하는 전해질 및 이를 구비한 전기화학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