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32949A - 환기 난방기 - Google Patents

환기 난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32949A
KR20070032949A KR1020067025098A KR20067025098A KR20070032949A KR 20070032949 A KR20070032949 A KR 20070032949A KR 1020067025098 A KR1020067025098 A KR 1020067025098A KR 20067025098 A KR20067025098 A KR 20067025098A KR 20070032949 A KR20070032949 A KR 20070032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uver
main body
ventilation
fram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25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2681B1 (ko
Inventor
히로츠구 히라노
노리히코 하세가와
야스히사 오쿠야마
Original Assignee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70032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32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6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6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15/00Other 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5/00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5/02Hot-air central heating systems; Exhaust gas central heating systems operating with discharge of hot air into the space or area to be he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9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 F24F1/009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heating arrangements with additional radiant heat-discharging elements, e.g. electric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Abstract

방의 천정에 마련되는 환기 난방기는, 방의 외부에 배치된 본체와, 본체 내에 배치된 환기 송풍 수단과, 본체 내에 배치된 순환 송풍 수단과, 본체 내에 배치된 발열 수단과,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한편 상기 방 내에 배치된 루버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하면을 갖는다. 루버는 하면과 사각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을 갖는다. 루버의 하면은 본체의 개구부에 대향한다. 루버의 프레임은 하면의 외주로부터 본체를 향해 돌출하고, 루버의 하면과 천정의 사이를 막는다. 이 환기 난방기에서는, 루버 부근에서의 곰팡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환기 난방기{VENTILATION H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방의 난방과 환기를 실행하는 환기 난방기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일본 특허공개 제 2001-208413 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욕실에 마련된 종래의 환기 난방기(101)의 단면도이다. 환기 난방기(101)는 본체(102) 및 루버(louver; 10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102)는 하면을 개구한 케이싱(104)을 갖고, 케이싱(104)의 내부에는 순환용 송풍기(111)를 수납하는 수납부(105)와, 환기용 송풍기(113)를 수납하는 수납부(106)가 마련되어 있다. 케이싱(104)의 하단부 외주에는 플랜지(107)가 마련되어 있다. 수납부(105)의 하부에는 송풍로 본체(108)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송풍로 본체(108)에는 송풍로 접동부(109)가 미끄럼 운동할 수 있도록 접속되어 있다. 고정된 송풍로 본체(108)와 미끄럼 운동 가능한 송풍로 접동부(109)에 의해 신축 가능한 송풍로(110)가 구성되어 있다.
수납부(105)의 공기 흡인측에는 열교환기(112)가 마련되어 있어, 공기를 가열하고 있다. 환기용 송풍기(113)의 공기의 송풍 방향의 케이싱(104)의 부분에는 배기구(114)가 개구되어 있다.
본체(102)의 하면측의, 수납부(105)의 공기 유입부(115)에 대향하는 루버(103)의 부분에는 순환 흡입구(116)가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106)의 공기 유입부(118)에 대향하는 루버(103)의 부분에는 환기 흡입구(119)가 형성되어 있다. 송풍로(110)의 공기 취출부(120)에 대향하는 루버(103)의 부분에는 환기 흡입구(121)가 형성되어 있다.
환기 난방기(101)는 욕실(1001)의 천정 내에 설치된다. 욕실(1001)의 천정판(1002)을 사이에 끼워 루버(103)가 본체(102)에 고정되고, 루버(103)가 욕실(1001) 내에 위치한다.
종래의 환기 난방기(101)에서는, 천정판(1002)에 루버(103)의 외주 프레임(103A)이 접촉하고 있다. 일반적으로는 루버(103)는 판형상은 아니기 때문에, 천정판(1002)과 루버(1003)로 둘러싸인 공간(1004)이 형성된다. 공간(1004)에는 욕실(1001)의 샤워 등의 온수로부터 발생한 증기나 수분이 침입하고, 고습도의 공기가 빠지기 어렵기 때문에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다.
발명의 요약
방의 천정에 설치되는 환기 난방기는, 방의 외부에 배치된 본체와, 본체 내에 배치된 환기 송풍 수단과, 본체 내에 배치된 순환 송풍 수단과, 본체 내에 배치된 발열 수단과, 본체의 개구부를 덮는 한편 방 내에 배치된 루버를 구비한다. 본체에는, 배기구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하면을 갖는다. 루버는 하면과 사각 프레임 형상의 프레임을 갖는다. 루버의 하면은 본체의 개구부에 대향한다. 루버 의 프레임은 하면의 외주로부터 본체를 향해서 돌출하여, 루버의 하면과 천정 사이를 막는다.
이 환기 난방기로는 루버 부근에서의 곰팡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 루버의 이면측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3은 실시형태에 의한 욕실 환기 난방기의 요부 단면도,
도 4는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의 설치 방법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5는 종래의 욕실 환기 난방기의 단면도.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501)의 사시도이다. 환기 난방기(501)는 본체(1)와 루버(12)를 구비한다. 본체(1)는 욕실 등의 습기가 많이 존재하는 방의 천정판에 설치된다. 본체(1)의 측면(2)에는 배기구(3)가 구비되어 있으며, 배기구(3)에는 옥외로 도통하는 덕트(도시 생략)가 접속된다. 본체(1) 내부에는 환기 송풍 수단인 환기용 송풍기(4)와, 순환 송풍 수단인 순환용 송풍기(5)와, 발열 수단인 히터 유닛(6)이 배치되어 있다. 환기용 송풍기(5)의 공기의 취출 측은 배기구(3)에 접속되어 있다. 환기용 송풍기(4)의 공기의 흡입구(7)와 순환용 송풍기(5)의 공기의 흡입구(8)는 함께 본체(1)의 하부에 마련된 개구부(9)에 위치하고 있다.
본체(1)의 개구부(9)의 테두리에는 플랜지부(10)가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10)에는 천정판에 설치하기 위한 나사 구멍(11)이 형성되고, 루버(12)를 고정하는 장착 나사부(13)가 설치된다. 개구부(9)의 대략 중심부에는 루버 유지 수단으로서 루버 인괘금 장치(14)가 마련되어 있다.
루버(12)에는 중앙부를 하측으로 팽출시킨 만곡면으로 형성되는 하면(15)을 갖는다. 만곡함으로써, 루버(12)의 강도가 향상된다. 하면(15)은 본체(1)의 개구부(9)를 덮는다. 루버(12)는 하면(15)과 본체(1)를 향해서 돌출한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18)을 갖는다. 히터 유닛(6)은 공기를 취출하는 취출구(17A)가 마련된 프레임체(17)를 구비한다. 하면(15)에는, 히터 유닛(6)의 프레임체(17)와의 사이에 빈틈이 생기도록 프레임체(17)가 삽입되는 개구부(16)가 마련된다. 루버(12)의 프레임(18)은 본체(1)의 하단이 되는 플랜지부(10)에 접하여 하면(15)과 밀착되어 있다. 루버(12)의 하면(15)에는 본체(1)의 플랜지부(10)에 마련된 장착 나사부(13)에 일치하는 장착 나사 구멍(19)이 마련되어 있다.
루버(12)의 하면(15)은 만곡면 축(20)과 평행한 중심축을 갖는 원통면의 형상을 갖는다. 루버(12)는 만곡면 축(20)과 직교하는 측면(21)을 갖는다. 측면(21)은 루버(12)의 프레임(18)에 병행하여 마련되고, 프레임(18)은 측면(21)을 구성한다. 하단 모퉁이(22)는 루버(12)의 하면(15)과 교차한다. 하면(15)은 측면(21)의 중앙부(21A)로부터 측방(21B)에 걸쳐서 본체(1)에 연속적으로 가까이 가도록 만곡되어 있다. 측면(21)의 상단 모퉁이(23)는 중앙부(21A)가 측방(21B)보다 본체(1)에 가까이 간 곡선을 구성하고 있다. 루버(12)의 프레임(18), 즉 측면(21)에는 흡입구(24)가 마련되어 있다. 흡입구(24)는 루버(12)의 프레임(18)을 관통해서 통풍할 수 있다. 루버(12)의 측면(21)의 형상으로부터, 흡입구(24)의 개구의 높이(25)는 프레임(18), 즉 측면(21)의 측방(21B)보다도 중앙부(21A)를 크게 하고 있다. 즉, 흡입구(24)의 개구면적은 프레임(18), 즉 측면(21)의 측방(21B)의 부분보다도 중앙부(21A)의 부분이 크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흡입구(24)는 루버(12)의 측면(21)과 그 반대측의 측면(521)에 대칭으로 마련된다. 많은 흡입 풍량을 확보하는 동시에 천정면 근방의 순환 기류를 약하게 하기 위해서 루버(12)의 하면(15)에 하면 흡입구(26)가 마련되어 있다. 루버(12)의 프레임(18)의 만곡면 축(20)에 병행한 면에 환기용 송풍기(4)의 흡입구(7)와 순환용 송풍기(5)의 흡입구(8)에 대응하여 마련되어도 좋다.
도 2는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501)의 루버(12)의 이면측의 사시도이며, 본체(1)의 히터 유닛(6)의 일부분 및 루버 인부금 장치(14)와 함께 루버(12)의 이면을 도시한다. 루버 인괘금 장치(14)는 본체(1)의 개구부(9)의 대략 중심부에 위치한다. 루버(12)에는 루버 인괘금 장치(14)에 대응하는 위치에 루버(12)의 대략 중앙부로 돌출하는 가이드부(27)가 마련되어 있다. 가이드부(27)의 측면(28)은 루버 인괘금 장치(14)와 면으로 접촉한다. 가이드부(27)의 측면(28)에는 루버 인괘금 장치(14)를 삽입할 수 있는 개구부(29)가 마련되어 있다. 개구부(29)의 폭은 루버 인괘금 장치(14)가 당겨 걸리는 폭(30)과 거의 같아서, 그 폭의 방향의 루버(12)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개구부(29)는 루버(12)를 장착할 때의 가이드로서 기능한다.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501)의 요점부 단면도이며, 루버 인괘금 장치(14)로 가이드부(27)를 설치하는 방법을 도시하고 있다. 루버 인괘금 장치(14)는 유지부로서 인괘부(31)를 갖는다. 인괘부(31)의 선단은 비스듬하게 위쪽으로 굽어 있어서 가이드부(27)가 빠지기 어렵게 되어 있다. 인괘부(31)에 이어져 경사 안내면(32)이 형성되고, 더 이어서 유지부인 인괘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인괘부(33)로부터 더 이어져 직립편(34)이 형성되고, 직립편(34)에서 본체(1)에 설치되어 있다.
루버(12)는 인괘금 장치(14)에 이하의 순서로 설치된다. 우선, 인괘부(31)에 가이드부(27)를 당겨 걸어서 임시 정지 위치(35)에 두고, 다음으로 경사 안내면(32)에 따르도록 방향(36)으로 루버(12)를 미끄럼 운동 시켜서 이동시키면, 가이드부(27)는 인괘부(33)에 유지되는 동시에 직립편(34)에 면 접촉하여 나사 멈춤 위치(37)에 유지된다. 루버(12)가 나사 멈춤 위치(37)에 있다면, 본체(1)의 플랜지부(10)에 마련된 장착 나사부(13)와 루버(12)의 장착 나사 구멍(19)이 일치한다. 또한, 인괘부(31)와 인괘부(33)의 위치의 차이(H)는, 루버(12)를 당겨 걸 때의 가이드부(27)와 루버 인괘금 장치(14)와의 위치 관계를 확인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경사 안내면(32)의 경사 각도(θ)와 인괘부(33)의 깊이(L)는, 루버(12)를 미끄럼 운동할 때에, 발열 수단인 히터 유닛(6)의 프레임체(17)의 하단부를 회피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도 4는 욕실 등의 방의 천정(39)에 설치된 환기 난방기(501)의 단면도이며, 순환용 송풍기(5)의 주변을 도시한다. 본체(1)의 플랜지부(10)는 방의 실내(38)에 위치하고, 천정(39)의 설치 개구부(40)에 설치되어 있다. 본체(1)는 천정(39)에 대해서 실내(38)의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순환용 송풍기(5)는 본체(1)의 상부면(41)에 마련된 모터(42)와, 모터(42)에 직결하는 팬(43)과, 팬(43)의 아래쪽에 흡입측으로서 설정된 오리피스판(44)을 갖는다. 팬(43)의 취출측(45)은 히터 유닛(6)에 접속되어 있다. 히터 유닛(6)에는 취출측(45)의 접속 부분이 개구하여 연통한다. 히터 유닛(6)은 그 하면(46)이 개방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발열체로서 할로겐 히터(47A, 47B)가 설치되어 있다. 할로겐 히터(47A, 47B)의 배면에는, 소정의 통풍량을 확보하는 통풍 슬릿(48)이 형성된 반사판(49)이 마련되고, 반사판(49)은 히터(47A, 47B)로부터의 열선을 히터 유닛(6)의 하면(46)으로 반사한다. 히터 유닛(6)의 하면(46)에는 개구부(6A)가 형성되어 있고, 개구부(6A)에는 철선재로 격자 형상으로 만들어진 가드(50)가 설치되어 있다. 루버(12)의 프레임(18)은 루버(12)의 하면(15)과 천정(39) 사이를 막는다.
루버(12)는 프레임(18)이 플랜지부(10)에 즈음하여 본체(1)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프레임(18)의 내부가 흡입 풍로(51)를 형성한다. 루버(12)의 하면(15)에 마련된 개구부(16)에는 히터 유닛(6)의 프레임체(17)가 삽입되어 있다. 프레임체(17)와 개구부(16) 사이에는 열전도를 방지하도록 간극(σ1)이 마련되어 있다. 루버(12)가 본체(1)에 확실하게 설치되어 있을 때에는, 루버(12)의 하면(15)으로부터 히터 유닛(6)의 하면(46)은 길이(σ2; 약 2mm)만큼 돌출한다.
환기 난방기(501)를 운전하면 팬(43)이 회전하고, 루버(12)의 흡입구(24)로부터 실내(38)의 공기가 흡인된다. 흡인된 공기는 취출측(45)으로부터 히터 유닛(6)으로 들어가고, 반사판(49)의 통풍 슬릿(48)을 통과해서 할로겐 히터(47A, 47B)로 가열된 뒤, 히터 유닛(6)의 하면(46)으로부터 실내(38)에 난방 공기로서 내뿜어진다. 내뿜어진 공기는 실내(38)로 확산 강하하여 방의 벽면을 따라 상승한다. 상승한 공기는 천정(39)에 도달하여 천정(39) 근방에 위치하는 흡입구(24)로 되돌아오므로, 실내(38)의 거의 전체를 순환하는 기류가 형성된다.
루버(12)의 흡입구(24)는 중앙부(21A)의 부분의 면적이 측방(21B)의 부분보다 크므로, 팬(43)에 흡인되는 공기 중 루버(12)의 중앙부(21A)의 흡입구(24)에서 흡입된 공기는 흡입 풍로(51)를 히터 유닛(6)의 프레임체(17)를 따라 측면(521)까지 도달하고 나서 팬(43)에 흡입되는 기류를 형성한다. 흡입구(24)의 루버(12)의 측면(21)의 측방(21B)의 흡입구(24)는 중앙부(21A)의 측면 흡입구(24)보다 면적이 작고, 흡입구(24)로부터 흡입된 공기는 그대로 팬(43)에 흡인된다. 또한, 팬(43)으로 공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흡입하기 위해서는, 또는 측면 흡입구(24)로부터의 풍속을 약하게 하기 위해서는, 루버(12)의 하면(15)에 하면 흡입구(26)를 마련해도 좋다. 흡입구(24)로부터의 공기의 흐름을 고려하면, 하면 흡입구(26)는 팬(43)의 흡입측(45)에 대향하고, 또한 중앙측에서 외측으로 접근한 위치에 설정된다. 따라서, 하면 흡입구(26)는 공기가 내뿜어지는 히터 유닛(6)의 하면(46)으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루버(12)의 프레임(18)의 내측은 본체(1) 내의 공간이다. 또한, 프레임(18)의 외측은 욕실 내(38)에 연통된 공간인 동시에 천정(39) 근방에서 순환에 의한 기류와 그것에 유인되는 기류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루버(12)와 천정(39) 사이에는 공기가 정체하는 공간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천정(39)을 따르는 기류가 천정(39)에 결로된 수분의 증산을 촉진하고, 물방울의 적하를 방지하고, 곰팡이를 발생하기 어렵게 한다.
할로겐 히터(47A, 47B)에 전류가 통전하면, 히터 자체가 고온으로 되어 순환 기류가 가열되는 동시에 복사열이 방사된다. 히터 유닛(6)의 하면(46)이 루버(12)의 하면(15)으로부터도 돌출되고 있기 때문에, 이 복사열이 루버(12)를 직사하지 않고 실내(38)로 방사되어, 루버(12) 자체가 열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루버(12)를 수지 등의 내열성이 작은 재료로 형성할 수 있다. 루버(12)로부터 히터 유닛(6)의 프레임체(17)가 돌출되어 있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루버(12)가 정확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루버(12)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루버(12)는 프레임(18)이 플랜지부(10)에 접하여 설치되므로, 그 치수는 천정(39)의 두께 등 설치 현장에서의 불균형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루버(12)를 정확하게 설치할 수 있다. 즉, 루버(12)가 정확하게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히터 유닛(6)의 하면(46)이 정규인 위치에 있지 않음을 알게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루버(12)의 프레임(18)은 플랜지부(10)에 접촉하지만, 플랜지부(10)의 외주를 따라 프레임(18)을 형성하고, 프레임(18)이 천정(39)에 접촉해도 좋다.
또한, 가이드부(27)를 루버 보호 유지부(12)에 걸어 두는 것으로 루버(12)가 본체(1)에 설치될 수 있는 위치에 합치한다. 따라서, 루버(12)를 본체(1)에 나사 고정할 때에, 본체(1)의 나사 구멍을 찾을 필요가 없어지는 것으로 그 동안에 루버(12)를 지탱할 필요가 없어지고, 루버(12)를 효율적으로 설치할 수 있다. 유지 보수 시 등에서 나사가 풀어져 있을 때에도 루버(12)가 빠져서 낙하하는 일이 없다.
실시형태에 의한 환기 난방기(501)에서는, 루버(12)의 본체(1) 개구부(9)를 서로 향하는 루버(12)의 하면(15)의 면적이, 루버(12)의 프레임(18)으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면적보다도 크고, 또한 플랜지부(10)로 둘러싸여 형성되는 면적보다도 크다. 이로써, 루버(12)의 하면(15)의 주변이 돌출하므로, 루버(12)의 프레임(18)에 결로된 물방울이 프레임(18)의 벽면(18A)을 따라 적하해도 루버(12)에서 받을 수 있어서 직접 적하하지 않는다. 또한, 루버(12)의 하면(15)의 돌출하는 부분에 의해, 루버(12)의 프레임(18)과 본체(1) 또는 천정(39)과의 접속 부분이 보기 어려워진다.
또한, 만곡한 하면(15)에 의해 루버(12)는 큰 강도를 가지므로, 적은 재료로 루버(12)를 제작할 수 있고, 순환 송풍 수단 및 환기 송풍 수단에 풍로가 되는 흡입구(24)를 크게 할 수 있다. 이로써, 풍로에서의 저항이 저감되어서 운전음의 저감과 운전 효율이 향상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난방 환기 장치로는, 루버 부근에서의 곰팡이의 발생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8)

  1. 방의 천정에 설치되는 환기 난방기에 있어서,
    배기구가 형성되고, 개구부가 형성된 하면을 가지며, 또한 상기 방의 외부에 배치된 본체와,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환기 송풍 수단과,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순환 송풍 수단과,
    상기 본체 내에 배치된 발열 수단과,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를 덮는 한편 상기 방 내에 배치된 루버를 구비하며, 상기 루버는,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에 대향하는 하면과,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의 외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하여 돌출하며,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과 상기 천정 사이를 막고, 사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된 프레임을 갖는
    환기 난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에는 상기 발열 수단으로 가열된 공기를 상기 방 내로 내뿜기 위한 취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루버의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환기 송풍 수단과 상기 순환 송풍 수단에 의해 상기 방 내의 공기를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형성된
    환기 난방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은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의 중앙부가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의 측방보다 상기 본체에 가까운 만곡면을 형성하고,
    상기 루버의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는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의 상기 중앙부로부터 상기 측방에 걸쳐 상기 본체에 연속적으로 가까워지도록 만곡하며,
    상기 루버의 상기 중앙부의 상기 흡입구의 부분의 개구의 높이는 상기 루버의 상기 측방의 부분보다 높은
    환기 난방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의 일방측에 상기 발열 수단이 배치되고, 상기 본체 내의 타방측에 순환 송풍 수단과 환기 송풍 수단이 배치되며,
    상기 본체 내의 상기 타방측에 상기 루버의 상기 프레임의 상기 흡입구가 마련된
    환기 난방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일방측에 대응하는 상기 루버의 부위에 상기 발열 수단의 하단부가 관통 삽입하는 개구부가 마련되고, 상기 발열 수단의 상기 하단부는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돌출하는
    환기 난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 유지 수단은,
    제 1 유지부와,
    상기 제 1 유지부로부터 이어지고 상기 천정에 대하여 경사지는 경사 안내면과,
    상기 경사 안내면으로부터 이어지는 제 2 유지부를 갖는
    환기 난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개구부의 대략 중심부에 마련된, 상기 루버를 유지하는 루버 유지 수단을 갖고,
    상기 루버는 상기 루버 유지 수단에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되어서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기 본체를 향해서 돌출하는 가이드부를 갖는
    환기 난방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본체의 상기 개구부의 주위에 상기 천정에 설치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루버의 상기 하면의 상기 외주는 상기 루버의 상기 프레임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며, 또한 상기 플랜지부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하는
    환기 난방기.
KR1020067025098A 2004-07-22 2005-07-21 환기 난방기 KR1011426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4-00214057 2004-07-22
JP2004214057A JP4432654B2 (ja) 2004-07-22 2004-07-22 浴室用換気暖房機
PCT/JP2005/013783 WO2006009303A1 (ja) 2004-07-22 2005-07-21 換気暖房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32949A true KR20070032949A (ko) 2007-03-23
KR101142681B1 KR101142681B1 (ko) 2012-05-11

Family

ID=35785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25098A KR101142681B1 (ko) 2004-07-22 2005-07-21 환기 난방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432654B2 (ko)
KR (1) KR101142681B1 (ko)
CN (2) CN101776324B (ko)
WO (1) WO200600930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36806B1 (fr) 2008-10-08 2012-08-31 Arkema France Fluide refrigerant
CN104074777B (zh) * 2013-03-28 2018-08-21 广东松下环境系统有限公司 换气扇
KR101840697B1 (ko) * 2015-07-17 2018-05-04 삼성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1118792B2 (en) 2015-07-17 2021-09-1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JP2021089103A (ja) * 2019-12-04 2021-06-10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空気調和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670Y2 (ja) * 1989-05-18 1995-04-05 三菱電機株式会社 換気扇
JPH11108414A (ja) * 1997-10-09 1999-04-23 Toshiba Corp 天井用換気扇
JP3678101B2 (ja) * 2000-01-31 2005-08-03 株式会社ノーリツ 浴室暖房乾燥機
CN2544210Y (zh) * 2002-01-30 2003-04-09 黄敏耕 浴室多用途取暖器
JP4202105B2 (ja) * 2002-12-06 2008-12-24 パナソニックエコシステムズ株式会社 浴室の乾燥方法及び浴室乾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6009303A1 (ja) 2006-01-26
CN101776324A (zh) 2010-07-14
CN101776324B (zh) 2013-08-07
CN1961182A (zh) 2007-05-09
JP4432654B2 (ja) 2010-03-17
CN100575803C (zh) 2009-12-30
KR101142681B1 (ko) 2012-05-11
JP2006038245A (ja) 2006-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3952B2 (ja) 空調装置
JP4946352B2 (ja) 送風装置及び空調装置
JP5460921B2 (ja) 浴室乾燥機
KR101142681B1 (ko) 환기 난방기
KR101229343B1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3973807B2 (ja) 浴室用乾燥機
JP4720333B2 (ja) 空調装置
JP6442862B2 (ja) 送風装置
JP4654659B2 (ja) 浴室空調装置
KR20080056476A (ko) 천장형 공기조화기
JP5304367B2 (ja) 送風装置
JP4569313B2 (ja) 暖房装置
JP3954460B2 (ja) 浴室暖房装置
JP4214095B2 (ja) ミストサウナ機能付き浴室暖房機
CN212961826U (zh) 一种风暖式室内加热器
JPS5838356Y2 (ja) 温風機
JPS59210229A (ja) 放熱器
JP4475793B2 (ja) 空気調和機
KR100874231B1 (ko) 천장형 에어컨의 히팅부재 설치장치
JP4093166B2 (ja) 浴室暖房乾燥機
JP6318821B2 (ja) 設備機器
JP3245979B2 (ja) 温風暖房装置
JP2024052777A (ja) 送風装置
JP2006022989A (ja) 乾燥暖房機
JPS592426Y2 (ja) 電気ボイ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8